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의를 강조한 탐구 학습법에 따른 초등학교 특수교육 대상학생의 비판적 사고력 및 과학 학업성취도 향상

        박영근 ( Yung Keun Park ),윤세열 ( Sae Yeol Yoon ),( Brian Hand ),( William Therrien ),( Mack Shelley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3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논의를 강조한 탐구 학습법’이 초등학교 특수교육 대상학생의 비판적 사고력 및 과학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데 있다. ‘논의를 강조한 탐구 학습법’ 은 특수교육대상 학생들이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능동적으로 과학 탐구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돕는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서 미국 중부의 48개 일반 초등학교를 ‘논의를 강조한 탐구 학습법’의 하나인, ‘탐구적 과학 글쓰기 활동’을 실시한 24개의 실험집단 학교와, 이 중재학습을 실시하지 않은 24개의 통제집단 학교로 나누고, 각 학교에서 통합교육을 받고 있는 특수교육대상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비판적 사고력 검사와 과학 학업성취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논의를 강조한 탐구 학습법을 경험한 특수교육대상 초등학생들이 1년간의 중재를 통해서 비판적 사고력이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비판적 사고력의 하위 요소가운데, 귀납적 사고력, 관찰적 사고력이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논의를 강조한 탐구 학습법을 경험한 특수교육대상 초등학생들이 1년간의 중재를 받은 후에 중재를 받지 않은 학생들보다 과학 학업성취도 검사에서 유의미한 수준의 향상을 보였다. 우리나라의 초등학교 ‘과학’ 수업 시간을 통해, 논의를 강조한 탐구 학습법을 활용하는 것이 특수교육대상 초등학생들의 비판적 사고력 및 과학 학업성취도 향상을 함께 가져올 수 있다는 점에서, 초등학교 ‘과학’ 수업 시간에 ‘탐구적 과학 글쓰기 활동’을 활용해 보는 것이 의미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 argument-based inquiry approach for improving the critical thinking ability and scientific knowledge of students with special needs. This study would also introduce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SWH) as an argument-based inquiry approach. From forty-eight public elementary schools in the American Midwest, twenty-four elementary schools were designated as the treatment group and the remaining as the control group. The students in the treatment group were immersed in a learning environment where a strong emphasis was placed on argumentation, while those in the control group learned science in a traditional manner. All students were given the Cornell Critical Thinking Test.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ose students who were in the argument-based inquiry approach (treatment group) scored higher than those who were in the traditional science classroom (control group). In specific, these students scored higher in the sub-categories of critical thinking such as induction and observation.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all students` science scores on the state standardized test. The students in the treatment group scored higher than the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on this test. Therefore, the argument-based inquiry approach also improved the scientific ability of the students. This approach provided meaningful learning experiences through argumentation in the science classroom, and would contribute to increase the critical thinking and scientific ability of students with special needs in Korean elementary schools.

      • KCI등재

        중등특수교사의 전환교육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장의 리더십 특성

        박영근 ( Park Yung Keun ),이한얼 ( Lee Han Eol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4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지적장애 학생들의 성공적인 전환을 위한 특수교사들의 전환교육 수행의 질을 높이기 위한 학교장의 리더십 특성 및 현 학교장의 리더십 특성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양적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특수교사들은 전환교육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학교장의 교육적 지원이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특수학급에서 근무하고 있는 교사들은 특수학교 교사들에 비해서 학교장과의 의사소통이 더욱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고등부를 담당하고있는 교사들은 중등부 교사들에 비해서 학교장과의 적극적 의사소통 및 학교장의 배려적인 태도가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실제 학교장의 리더십 특성에서도 일반학교 특수학급의 교사들이 학교장과의 적극적인 의사소통 및 배려적인 태도가 크다고 인식하고 있고, 고등부교사들 또한 중등부 교사들에 비해서 학교장과의 효과적인 의사소통 및 배려적인 태도가 크다고 인식하였다. 심층면담의 결과에 따르면 대부분의 특수교사들은 전환교육 수행을 위해서 학교장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고, 실제로 학교장이 전환교육 수행에 적극적으로 협조한다고 인식하고 있다. 하지만 안전의 문제, 원칙의 문제를 내세워서 특수교사의 전환교육 수행에 비협조적인 학교장 또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장은 특수교사의 과중한 업무를 덜어주고, 학급당 인원수를 줄이고, 직업 전담 교사를 둠으로써 취업 및 추수지도까지 수행하도록 하고, 특수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연수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교사들은 인식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principal’s leadership and determine the leadership characteristics necessary to improve the quality of transition education of special teachers in order to achieve successful transition.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 conducts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The results of quantitative survey show that special education teachers believe the principal’s educational support is the most important in performing transition education. The teachers in special classes rather than in special schools, and those in charge of high school rather than middle school students, gave relatively more importance to active communication with principals and principals’ understanding attitude. The results of qualitative in-depth shows that most special education teachers believe the principal’s educational support is the most important in implementing transition education. Most special education teachers believe that principal were active in cooperating with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implement transition education. However, some principal were not active in cooperating with special education teachers due to the safety issue and legal issue. Most special education teachers believe that principal should decrease heavy work load and the number of students in each classroom, hire vocational teacher who only work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provide quality teacher training.

      • KCI등재
      • KCI등재

        전환교육 프로그램에 기반한 지적장애 특수학교 중등교육 프로그램 질 분석: 혼합연구

        박영근 ( Park Yung Keun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4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3 No.2

        본 연구는 전환교육 프로그램에 기반하여 지적장애아 중등특수교육 프로그램의 질을 분석하기 위한 혼합연구(Mixed Method Study)이다. 지적장애 특수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양적연구를 통하여 질적인 중등특수교육 프로그램 구성요인들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지적장애 특수학교 교사들, 특히 전공과 교사들은 중등특수교육 프로그램 구성요인 중 전환교육이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 결과에 기반 하여 전반적인 전환교육 프로그램의 질에 대한 전공과 교사들의 심층적인 인식을 알아보고자, 질적 면담을 양적 연구에 뒤이어 실시하였다. 양적 연구 결과에 따르면, 다섯 가지 중등특수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요소, 즉, 교육과정과 교수, 협력, 전환교육, 문서화, 행정적 지원을 모두 중등특수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구성요인으로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하지만 그들의 질적 구성요인들에 대한 수행은, 교사들의 중요 인식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사들은 전환교육의 질이 질적인 중등특수교육 프로그램 구성요인 가운데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고 인식하고있었고, 급별에 따라서는 전공과 교사들이 전환교육의 질이 중등특수교육 프로그램의 질을 평가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에 전공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전환교육 전반에 걸친 수행에 대하여 질적 면담을 실시하였다. 전환교육의 수행에 있어서는 다수의 교사들은 전환교육 수행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전환교육이 형식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도 있고, 전환교육의 이론과 현장에서의 실천적인 부분들이 많이 괴리된 상태라서 효과적으로 전환교육을 수행하는 것이 어렵다고 인식하고 있다. 그 가운데 특히 전문성을 요구하는 전환 평가가 특히 어려움이 많다고 응답하였고, 교사의 신분으로 학생들의 취업까지 책임져야 하는 현실적인 어려움 때문에 국가 기관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다고 인식 하였다. 개별화 전환계획 수립은, 교사의 부족한 능력에도 불구하고 반드시 해야 하기 때문에 제대로 능력을 갖추어 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교사연수가 필요하고, 전환훈련은 좀 더 지역사회에 기반한 훈련이 필요하므로, 이를 위해서 지역사회 관련 인사들의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추수지도는 반드시 필요하지만 학교 여건상 교사들이 담당하기에 부담이 크기 때문에 추수지도를 담당할 수 있는 교사 인력을 확충하거나, 추수지도 전담인력을 배치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교사들은 인식하고 있다. This study utilized a mixed method design including 1)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and 2)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ncluding semi-structured interviews. The purpose of the quantitative survey study was to investigat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of the quality of various program components and to evaluate the current quality of secondary special education program in order to provide the foundation knowledge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secondary special education program. As a result of quantitative survey study, special school teacher recognized that the five quality component are all important component in secondary special education program.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among five quality components of program, including curriculum and instruction, cooperation, transition, documentation, and administration support, the quality of transition was perceiv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perceived transition to be the most important, but the quality of transition service was perceived as low. Also, the special school teachers in postsecondary vocational training program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ransition services among five quality indicator the most. Thus, semi-structured interview was implemented with only post secondary vocational training program teacher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bout their implementation of transition services. According to qualitative in-depth interview, teachers expressed that they felt undereducated about transition services and how to apply them most effectively to each individual student’s needs. Yet despite their perceived importance, most special school teachers felt that they were lacking in their ability to implement more exact transition assessment for their students, and indicated that more professional training was required in this area. When asked about their implementation level of transition planning, educators stated that it was higher than their preparations for building transition planning. This is due to the necessity for building transition plans despite lacking in the necessary skills. Thus, the quality professional development about transition services is necessary. Teachers thought that transition training should be implemented as practically through community based instruction. Also, national support are necessary in order to provide enough employment opportunitie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inally, in order to help teachers to provide effective follow-up service for students to maintain their employmen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number of personnel who can work for follow-up services.

      • KCI등재

        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실과의 개정 방향 탐색

        박영근 ( Park Yung-keun ),이권재 ( Lee Kwon-jae ),송승민 ( Song Seung-min ) 한국특수아동학회 2023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5 No.2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 현장의 요구를 반영하여 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실과 교과의 개정 방향을 탐색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이 연구의 목적을 위해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실과 교과에 대한 인식과 개정 방향에 대해 특수교사와 학부모를 대상으로 초점집단면담을 실시하였고, 면담 결과를 지속적 비교 분석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실과 개정 방향 탐색을 위한 범주는 크게 실과 내용 체계의 재구조화, 교과와 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교수·학습 설계로 나타났다. 실과 내용 체계의 재구조화에서는 의식주 중심의 가정생활, 작업활동과 정보통신의 기술정보, 인성 역량을 반영한 생명환경, 직업 탐색 및 교육전환으로써의 진로 인식 이라는 하위 주제가 나타났고, 교과와 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교수·학습설계 범주는 크게 사회적 요구를 반영한 장애 학생 지도, 노작 중심의 실습 교육, 교과간 연계 및 경험 중시 라는 하위 주제가 나타났다. 결론: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실과의 개정 방향 탐색에 대한 논의를 제시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revision for the practical art of 2022 revised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by reflecting the needs in special education. Methods: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parents on perceptions of the practical art of 2015 revised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and the direction of revision. The results of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by a continuous comparative analysis. Results: The categories for finding the direction of revision of the practical art of 2022 revised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largely consisted of restructuring the practical art curriculum and designing teaching and learning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other subjects and students. In the category of restructuring the practical art curriculum, sub-themes, such as ‘family life centered on clothing, food, and shelter,’ ‘work activities and information & communication,’ ‘living environment including personality competency,’ and ‘career recognition as job search and educational transition’ appeared. In the category of teaching and learning design in consideration of other subjects and student characteristics, sub-themes, such as ‘guidance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reflecting social needs,’ ‘practice-oriented hands-on education,’ and ‘linkage between subjects and emphasis on experience’ appeared.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a discussion on the direction of revision for the practical art of 2022 revised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was presented.

      • KCI등재

        전환교육 수행에 따른 어려움과 활성화 방안에 관한 교사 인식: 혼합 연구

        박영근 ( Yung Keun Park ),( John L. Hosp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4 지적장애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전환교육을 수행하고 있는 교사들의 전환교육의 개념, 전환교육의 중요성, 수행정도, 수행에 따른 어려움, 활성화 방안에 대한 인식을 밝히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중·고등부 혹은 전공과를 담당하고, 실제로 전환교육을 제공하고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양적 연구 및 질적 연구를 혼합한 혼합 연구(mixed method research)를 실시하였다. 양적 연구결과에 따르면, 특수 교사들은 6가지 전환교육 영역 모두에 있어서 전환교육을 수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지만, 실제 전환교육 수행수준은 그에 많이 미치지 못하고 있었다. 전환교육은 지적장애 학생들이 성인이 되었을 때, 독립적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도와주고, 독립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직업을 가질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전반적인 교육과정 및 관련 서비스라고 인식하고 있었고, 전환교육의 중요성 또한 이러한 목적들을 성취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때문이라고 인식하고 있다. 하지만 전환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환교육 수행을 방해하는 많은 어려움들로 인해 그 수행의 정도는 낮은 편이다. 주로 특수교사들의 전환교육 수행을 방해하는 어려움들은, 과중한 업무 부담, 비체계적인 학교 시스템, 장애에 대한 인식부족, 학생들의 장애 중도·중복화, 학교장의 비협조, 부모와의 비협조 등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어려움들을 극복하고 전환교육 수행의 질을 높이기 위한 활성화 방안으로, 교사들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지원 및 연수 제공, 과중한 업무 감소 및 전문 인력 확보, 장애인에 대한 이해 및 인식수준 향상, 국가적 시스템 개선 및 유관 기관과의 협력 강화 등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of the concept of transition services, importance of transition services, current implementation level, difficulties faced in implementing transition services, and promoting strategie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transition services. This study utilized a mixed method design including 1)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and 2)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ncluding open-ended survey questionnaires and phone interviews. The researchers distributed questionnaires to special education teachers working with students in middle and high schools and in post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programs in high schools. As a results of this study,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ived the importance of transition services because transition services helps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live independently when they become adults by providing them with the skills to gain and maintain employment. Although they perceive the importance of transition services, their implementation level of transition services was relatively low. Special education teacher recognized that many barriers keep special education teachers from effectively implementing transition services. Among those barriers they cited were heavy workload, non-systematic school system, lack of understanding about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severity of students’ disabilities, non-cooperation of the principal, and gaps in opinion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In order to overcome these difficulties and increase the quality of implementation of transition services,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ought that providing in-service training for increasing teacher specialties, decreasing the workload, increasing understanding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mproving national support systems, and building sound cooperation with transition agencies are necessary.

      • KCI등재

        전환교육 과정에서 가족참여의 중요성과 참여율 증진을 위한 교사의 역할: 혼합 연구

        박영근 ( Yung Keun Park ),박경란 ( Kyung Ran Park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4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5 No.4

        이 연구는 지적장애 특수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를 대상으로 전환교육 과정에서 가족 구성원참여의 중요성과 가족 참여 증진을 위한 교사 역할의 중요성 및 수행 정도를 살펴봄으로써가족 구성원들의 전환교육 과정 참여 증진을 위한 시사점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02명의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와 함께, 전환교육 관련 교사 15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이에 따른 연구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적장애 특수학교 교사들은 전환교육 과정에서 가족 구성원들의 참여가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특히 ‘학생의 진로’와 관련된 일에서 가족 구성원의 참여가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가족 참여와 관련된 심층 면담 결과, 참여 교사들은 부모와의 지속적인 대화가전환교육과 관련된 중요한 정보를 주고받는 통로가 될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가족 참여 실태에 있어서는 현재 많은 부모들이 적극적으로 전환교육 과정에 참여하고 있으나, 일부 부모들은 경제적 어려움 등의 이유로 인해 전환교육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못하고 있음을 언급하였다. 둘째, 지적장애 특수학교 교사들은 전환교육 과정에 가족 구성원들의 참여 증진을 위한 교사의 역할에 대하여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으나, 참여율 증진을 위한 역할은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환교육 과정에 부모 참여 증진을 위한 방안으로서 교사의 협력적 자세를 들었으며, 교사가 협력하는 자세로 부모와의 신뢰 관계를 형성하고, 전환교육과 관련된 실질적인 교육을 제공하는 것이 전환교육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일이며, 가족의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perception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erms of: 1) perceived importance of involving parents and other family members in the transition process; and 2) perceived importance and frequency of implementing the teacher teacher’’s role in improving the involvement of parents and other family members in thetransition process. This study utilized a mixed method design including 1) survey study with 102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2) in-depth interview with 15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verall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perceived the importance of involving parents and other family members in the transition process. As a result of qualitative in-depth interview, teachers recognized that parents should be involved more in transition process through continuous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in order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have positive transition outcome. Some parents actively participate in the transition process while some parents do not participate in the transition process actively and cooperate with teachers due to many reasons such as economic issue. Seco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ived the importance of teacher roles in improving the involvement of parents and other family members in this process. However, the teachers perceived their implementation of this factor as relatively low. Thus, it is necessary for us to provide qualitative parental education and teachers should build reliable relationship through teachers`` active attitude. It could encourage parents to participate in transition process more actively.

      • KCI등재

        논의를 강조한 탐구 학습법에 따른 초등학교 통합학급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력 향상 분석

        박영근 ( Yung Keun Park ),김용욱 ( Yong Wook Kim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4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논의를 강조한 탐구 학습법’이 초등학교 통합학급에 재학중인 일반학생과 특별한 교육적 지원 요구를 지닌 모든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분석하는데 있다. ‘논의를 강조한 탐구 학습법’은 통합학급에 재학중인 일반 학생과 특별한교육적 지원 요구를 지닌 학생들이, 상호작용을 통하여 능동적으로 과학 탐구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돕는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서 미국 중부의 48개 일반 초등학교를 ‘논의를 강조한 탐구 학습법’의 하나인, ‘탐구적 과학 글쓰기 활동’을 실시한 24개의 실험집단 학교와, 이 중재학습을 실시하지 않은 24개의 통제집단 학교로 나누고, 각 학교 통합학급에서 과학 교육을 받고 있는 일반 학생과 특별한 교육적 지원 요구를 지닌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비판적 사고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논의를 강조한 탐구 학습법을 경험한 통합학급의 일반학생, 특별한 교육적 지원 요구를 지닌 학생들이 1년간의 중재를 통해서 비판적 사고력이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일반 학생의 경우 비판적 사고력의 하위 요소가운데, 귀납적 사고력, 관찰적 사고력, 추정적 사고력이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고, 특별한 교육적 지원이 요구되는 학생의 경우 비판적 사고력의 하위 요소가운데, 귀납적 사고력, 관찰적 사고력이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초등학교‘과학’ 수업 시간을 통해, 논의를 강조한 탐구 학습법을 활용하는 것이 통합학급에서 과학 수업을 듣는 일반학생 및 특별한 교육적 지원 요구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력 향상을 함께 가져올 수 있다는 점에서, 초등학교 ‘과학’ 수업 시간에 ‘탐구적 과학 글쓰기 활동’을 활용해보는 것이 의미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 argumentbased inquiry approach for improving the critical thinking skills of students in inclusive classroom including student with and without special needs. This study would also introduce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SWH) as an argument-based inquiry approach. From forty-eight public elementary schools in the American Midwest, twenty-four elementary schools were designated as the treatment group and the remaining as the control group. The students in the treatment group were immersed in a learning environment where a strong emphasis was placed on argumentation, while those in the control group learned science in a traditional manner. All students were given the Cornell Critical Thinking Test.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ose students who were in the argument-based inquiry approach (treatment group) scored higher than those who were in the traditional science classroom (control group). In specific, these students scored higher in the subcategories of critical thinking skills such as induction and observation. This approach provided meaningful learning experiences through argumentation in the science classroom, and would contribute to increase the critical thinking skills of students in inclusive classroom including students with and without special needs in Korean elementary schools. In addition, it will promote the educational inclusion of students who study in the inclusive classroom through educational interaction between students with special needs and students without special needs.

      • KCI등재

        논의를 강조한 탐구 학습법에 따른 학생 주도적 교실 환경 조성 및 교실환경에 따른 특수교육대상 초등 학생의 비판적 사고력 차이 분석

        박영근 ( Yung Keun Park ),윤세열 ( Sae Yeol Yoon ),( Brian Hand ),( William Therrien ),김용욱 ( Yong Wook Kim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4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논의를 강조한 탐구 학습법이 통합학급 교사의 교수 환경 조성(학생 주도적, 교사 주도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또한 교사의 교수환경 조성에 따른 특수교육대상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력 향상의 차이를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서, 먼저미국 중부 주정부 내 48개 일반 초등학교를, ‘논의를 강조한 탐구 학습법’의 하나인 ‘탐구적 과학 글쓰기 활동’을 실시한 24개의 실험집단 학교와, 이 중재학습을 실시하지 않은 24개의 통제집단 학교로 나누어, 해당 학교 통합학급에서 특수교육대상 초등학생들을 지도하고있는 교사들 및 학생들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연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첫째The Reformed Teaching Observation Protocol(RTOP)를 수정한 mRTOP을 활용하여, 두 집단 교사들의 교수 방식(학생 주도적, 교사 주도적)을 비교하였다. 둘째, 비교집단의 교사가운데 학생 주도적인 교수환경을 조성하여 수업을 하는 교사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비교집단 교사들을 두 번째 연구 목적을 위해서는 제외하고, 실험집단 학교의 교사들만 mRTOP점수에 따라 다시 ‘학생 주도적 교실’ 교사와 ‘교사 주도적 교실’ 교사로 나누었다. 그 후교사들의 수업 방식(학생 주도적, 교사 주도적)에 따라서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력 향상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논의를 강조한 탐구 학습법을 실시한 집단의교사들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학생 주도적인 수업을 진행하고 있었고, 논의를 강조한 탐구 학습법을 학생 주도적 교수 환경에서 수행하는 교실의 학생들이, 논의를 강조한탐구 학습법을 교사 주도적 교수 환경에서 수행하는 교실의 학생들에 비해서 비판적 사고력의 향상정도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우리나라 초등학교 통합학급의 ‘과학’ 수업 시간을 통하여, 학생 주도적인 교수 방법에 의해 ‘논의를 강조한 탐구 학습법’의 하나인 탐구적 과학 글쓰기 활동을 수행하는 것이 특수교육대상 초등학생들의 비판적 사고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 argument -based inquiry approach for creating a student-centered classroom environment and its relations with improving the critical thinking skills of students with special needs in such a classroom. This study will also introduce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SWH) as an argument-based inquiry approach to the field of Korean special education. From forty-eight public elementary schools in the American Midwest, twenty-four schools were designated as the treatment group and the remaining as the control group. All students had special needs and were in an inclusive classroom. Students in the treatment group were immersed in a learning environment where a strong emphasis was placed on student-centered argumentation, while those in the control group learned science in a teacher centered traditional manner. Teachers in the treatment group that use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SWH) instruction as an argument-based inquiry approach tended to create a more student centered classroom environment, while those in the control group had a more teacher-centered classroom. In the second part of the study, based on analyses of their performances, which were video-recorded, the treatment group teachers were designated either as student-centered group or as teacher-centered group. The students of the student-centered SWH classrooms showed a more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ir critical thinking skills than the students from the teacher-centered SWH classrooms. The studentcentered argument-based inquiry approach emphasized dialogical interactions among students and their active engagement in scientific inquiry more than the teacher-centered argument-based inquiry approach. The former approach provides meaningful learning experiences through argumentation in a science classroom, and will contribute toward building the critical thinking skills of students with special needs in Korean elementary school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