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역정체성 함양을 위한 공간 스토리텔링 중심 미술 교수·학습 지도 방안

        박수진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807

        오늘날 세계 속 국가와 지역은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맺고 있으며 세계화를 위한 문화 다양성 실천 방법의 하나로 지역 고유문화의 보존과 계승이 주목받고 있다. 국내외에서도 지역과 관련한 지원이 고조되어 다양한 지역 맞춤형 사업과 문화예술교육이 추진되고 있다. 또한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도 정체성 역량이 신설되어 미술을 매개로 한 자기 이해 및 세계와의 관계 인식을 목표로 삼고 있다. 지역은 생활 공간의 기반이 되며 일상의 시간을 보내는 곳이다. 전통적 사회와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주거 이동이 잦은 현대사회에서 현재 소속된 지역의 상징성을 파악하는 과정은 지역 소속감과 정체성 형성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즉, 지역 공간 탐방으로 이루어지는 공간 스토리텔링 활용 미술교육은 타인과의 경험 공유를 통해 지역정체성 역량을 강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교육적인 가치를 찾을 수 있다. 이에 미술 교과의 특성을 접목하여 지역정체성 함양을 목적으로 한 공간 스토리텔링 중심 교수·학습 지도 방안을 연구, 개발하였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한 문제 제기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정체성과 공간 스토리텔링은 각각 어떤 과정을 갖는가? 둘째, 본 연구는 구성원의 지역정체성 함양을 위해 미술교육적 차원에서 지도 방식을 어떻게 체계화할 수 있는가? 셋째, 지역정체성 함양을 위한 미술교육 프로그램의 체계화 방안은 무엇이며 그 방법은 무엇인가? 넷째, 공간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미술교육 프로그램의 교육적 기대효과는 무엇인가? 이상 제기된 문제 해결을 위해 지역정체성, 공간 스토리텔링의 개념과 미술교육의 관계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갖는 교육적 역량과 가치를 확인하고, 미술교육적 접근의 의의를 도출하여 본 연구의 지역정체성 함양에 필요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또한 미술교육의 관점에서 공간 스토리텔링이 어떤 함의를 가지는지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고찰하였고 공간 스토리텔링의 단계와 지역정체성 형성 과정 모형이 교육 현장에서 활용될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그리고 국내외의 지역과 작가 사례를 통해 지역정체성이 반영된 공간 스토리텔링을 분석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지역 미술작가로서의 태도’와 ‘지역 공간의 장소성’이라는 두 가지 주제로 나누어 지역정체성 함양을 위한 공간 스토리텔링 중심 지도 방안을 개발하였다. 수업의 전개 과정은 지역 프로젝트 사례와 작품 감상을 통해 관련 개념을 이해하는 사전학습, 지역 현장 탐방, 협동 작품 제작, 작품 전시, 피드백의 순서로 진행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지도 방안의 핵심 수업 목표는 지역을 탐방, 경험하여 지역이 가진 이야기를 공간 스토리텔링을 매개로 인식한 후 지역정체성을 구체화하고 이를 미술 수업을 통해 작품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과 연계한 구체적인 학습모델이 요구되는 현 상황에서 미술 교과의 특성이 접목된 지역정체성 함양 방안을 제시한 연구로써 의의가 있다. 둘째, 구축된 장소성을 공유하는 과정에서 학습자 간 상호작용을 활성화하는 의의가 있다. 셋째, 미술활동을 통한 지역 탐방은 학습자의 실제적 현장 체험을 통해 생활과 미술의 가교가 된다는 의의가 있다. 넷째, 지역별 정체성을 적용한 지도안을 개발함으로써 삶과 연계된 학습의 기회를 제공하는 의의가 있다. 지역정체성 함양을 위한 공간 스토리텔링 중심 미술 수업이 지역 공간을 인식하는 생활에 대한 이해, 다층적 정체성을 탐구하는 자주적 인간상으로서 가져야 할 학습자의 태도 및 역할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 나아가 협력 활동을 통해 지역정체성을 구축하는 학습 활동으로 공동체의 번영을 위해 행동하고 인식할 줄 아는 시민으로 성장하기를 기대한다. Today, as nations worldwide form mutually complementary relationships with their respective regions, the preservation and development of unique cultures are being considered as an effective method for practicing cultural diversity in the pursuit of globalization. Thus,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support for region-specific projects and cultural arts education. Moreover, the 2022 revised art and education curriculum has established identity formation as one of their key objectives, aiming to utilize art as a medium for both self-discovery and the understanding of one’s relationship with the world. A living space, grounded in the foundation of a region, shapes the context where daily life unfolds. Therefore, the process of recognizing the defining aspects and symbols of one's affiliated region can establish the basis of one’s regional belonging. In other words, art education that utilizes spatial storytelling through exploration of local spaces can enhance the development of regional identity through shared experiences within the community. Thus, the conducted research and the newly developed teaching and learning guide (that is centered around spatial storytelling) aims to cultivate regional identity through the use of art education. To explore the research objective, the following questions will be investigated. First, how are regional identity and spatial storytelling each conceptualized in various aspects? Secondly, how can this research systematize teaching methods in art education to foster regional identity among participants? Third, what strategies are implemented to integrate these methods within the art education program? Finally, what educational outcomes and effects can be anticipated from an art education program that applies spatial storytelling? To address these questions, the theoretical aspects of regional identity, neighborhood, and spatial storytelling has been examined, along with their relationships to art education. The educational competence and value of the 2022 revised art and education curriculum has been reviewed in order to use its theoretical basis for cultivating one’s identity as the foundation for this study. Additionally,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spatial storytelling have been explored through diverse pilot studies as well as examining the potential of utilizing the model for the process of regional identity formation and the three stages of spatial storytelling within educational settings. Through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s related to regions and artists, a teaching guide centered around spatial storytelling has been developed with the following two themes: ‘the artist’s mindset towards their affiliated region’ and ‘the placeness’. The teaching process involves pre-training exploration of local sites, collaborative artwork creation, artwork exhibition, and feedback. In addition, the key objectives of the proposed teaching plan are to encourage the exploration of local spaces, experience and recognize the stories held within a region through spatial storytelling, and express an individual's articulated regional identity through artworks within the class. This study holds relevance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ly, it introduces a new learning model that utilizes art education to foster regional identity. Secondly, this model encourages learners to engage with one another and form shared experiences or placeness. through exploring their respective local regions. Thirdly, participation in art activities that prompt learners to explore and experience their respective regions serves as a bridge between one’s lifestyle and the realm of art. Lastly, the creation of a teaching guide that incorporates diverse regional identities enables learners to seamlessly integrate valuable learning opportunities into their lives. Through participating in a spatial storytelling art class designed to foster regional identity, individuals are encouraged to develop an awareness of their local environment within the context of their daily lives and reflect on their role and perspective as learners while exploring the intricate facets of their identity. Furthermore, by participating in collaborative activities that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regional identity, the goal is to evolve into citizens capable of proactive engagement and discernment, fostering the well-being of future communities

      • 청소년기 자아정체성 형성을 위한 회심 교육에 관한 연구

        이수남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청소년기를 우리는 ‘질풍노도’의 시기로 정의 내린다. 이는 청소년기에 그들이 겪게 되는 신체적, 사회적, 심리적인 혼돈과 방황으로 인한 영향력이 그들의 삶에 지대한 영향력을 끼치기 때문이다. 급속하게 성장하는 신체는 생식기능을 갖게 되고 이성 및 배우자를 찾게 된다. 뿐만 아니라 인지능력의 발달과 더불어 자기 나름대로의 성격과 가치관을 형성하면서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해답을 얻고자 노력한다. 에릭 에릭슨(E. H. Erikson)은 인간 발달의 전체 8단계 중에서 특별히 청소년기의 정체성 형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것은 아동기와는 달리 새로운 시각에서 자기에 대한 탐색과 고민이 증가된다. 이 시기에 청소년은 ‘나는 누구이며, 나는 과연 무엇을 할 수 있는가?’ 에 대한 질문에 해답을 얻기 위하여 끊임없이 고민하고 갈등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청소년기의 시기가 아직은 아무것도 이루지 못한 미완성의 시기이지만 동시에 무한한 가능성과 잠재력을 실현하며 살아갈 수 있는 기대를 품을 수 있는 희망적인 시기임을 의미한다. 실제로 청소년기에 건전한 자아정체성을 확립하게 된다면 사회적 성취와 사회적 기술의 획득, 갈등해결 능력, 장래 직업적 성취, 가족생활, 성 역할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즉, 이들은 세상을 살아가는 방법과 사회를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보다 큰 안목에서 키워나갈 수 있다. 그러나 이와는 반대로 정체성의 위기로 건전한 자아정체성을 확립하지 못할 경우에는 많은 고민과 갈등 그리고 심리적 압박을 받게 된다. 뿐만 아니라 청소년들은 그들 자신의 실존적인 삶의 문제와 충돌을 일으키면서 오랜 방황과 비행을 경험할 수도 있다. 예전에 비해 현대는 학업의 기간이 길어지고, 빠른 신체적 성장으로 인해 청소년기의 기간은 점차 길어지는 추세이다. 그러므로 청소년들이 하나님 앞에서 ‘나는 누구인가?’ 에 대한 실존적 물음에 대한 답을 얻을 수 있도록 교회는 도울 수 있어야 한다. 급속하게 변화하는 시대 속에서 청소년들의 생각들을 읽고 시대적 상황의 흐름에 맞은 교회교육 이론과 방법들이 제시되어야 한다. 이러한 시대적 변화의 흐름에 우리가 외면할 수 없는 이유는 신앙공동체를 통해 변화될 다음세대를 포기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아무리 청소년들을 교육하기가 어렵고 힘들다 하더라도 교회는 청소년들을 포기할 수 없다. 교육의 궁극적 목표는 변화이다. 복음을 통하여 삶의 이유와 목적과 가치를 재발견하는 것이다. 이전에 아무런 의미가 없던 삶이 신앙교육을 통해 복음을 받아들임으로 자신이 이 땅에서 살아가야 하는 이유를 재발견하는 것이다. 그리고 우리는 이 복음을 통한 삶의 변화에 대한 기대와 소망을 포기할 수 없다. 적어도 교회교육의 가치를 믿고 있고 그 영향력을 인정한다면 우리는 이 기대와 소망이 포기 될 수 없는 가장 본질적인 것임을 받아들 수 있어야 한다. 제임스 파울러(James Fowler)는 최근 자신의 저서를 통해 일관된 가치와 목적의 상실로 오는 공허감으로 인해 종교가 부흥하게 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종교의 부흥과 더불어 종교 신비주의와 영성의 위협이 있을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많은 집단들이 기존의 전통적인 종교형식과 실천의 권위주의적 뿌리에로 돌아가고자 한다는 점이다. 또한, 근대 생활의 모호성과 영적인 분열을 경험해 오면서 공유된 의미를 유지할 이미지, 신뢰, 공동체를 갈망하는 사람들이 점차 늘어난다는 것이다. 현대의 불확실성 속에서 현대인들은 새로운 기적과 권위를 필요로 한다. 무엇하나 부족할 것이 없는 풍요로운 생활 가운데서도 폭력, 전쟁, 마약, 성적타락으로 인한 가정의 파괴 등의 문제는 우리를 고통 속으로 몰아가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혼란의 다원화 사회 속에서 사람들은 자기존재의 정체성과 삶의 의미와 가치와 목적을 종교에서 찾고자 노력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교회교육은 이러한 사회적 상황에서 생활하게 될 다음세대인 청소년들을 위한 교육을 절대로 포기할 수 없는 것이다. 교회교육에서 회심과 양육은 오랫동안 논쟁의 대상이 되어왔다. 회심과 양육은 서로 상반되어지는 개념이 아니다. 회심과 양육은 서로의 필요에 의해서 존재하는 상호보완적관계이다. 교회교육을 통한 신앙의 이해에 대한 토대위에 회심이 경험되어져야 한다. 또한 회심의 경험 이후에는 교회교육을 통해서 열매가 맺혀지는 삶이 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그렇다고 해서 종교적 경험인 회심을 인간적이고 의도적으로 계획하여서 주도한다는 것은 아니다. 회심을 구속사적인 관점에서 비추어 볼 때 절대적인 하나님의 주권이다. 그러나 교육적으로 환경을 제공하여 줌으로서 회심을 경험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하나님 앞에서 진정한 자신의 모습을 발견하여 스스로 군림했던 자아의 자리에서 내려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자아의 주인이 자신이 아닌 하나님이심을 깨닫고 하나님께 자신을 내어 맡겨드릴 수 있는 교육적 환경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깨달음은 하나님과의 만남을 통한 회심의 경험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지금껏 자기중심적인 삶을 살았던 사람이 하나님 중심적인 삶으로 변화되는 것은 일상적인 경험과 일반적인 지식으로는 불가능하다. 이것은 강한 그 무엇인가의 개입이 있어야 하며 우리는 이것을 회심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회심은 분명한 목적이 있는 엑스타시이며 이 경험은 경험자를 새로운 역사를 위해 헌신할 수 있는 그리스도인으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는 힘이 있다. 회심의 종교적 경험을 위한 교회교육은 곧 신앙교육이다. 신앙교육의 본질은 과학적이고 논리적으로는 이해할 수도 없고 설명할 수도 없는 하나님과의 만남을 경험하도록 돕는 것이다. 말씀을 통하여 하나님을 알아가는 지식이 쌓이도록 돕는 것이다. 기도를 통하여 하나님을 경험하고 체험하고 만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에밀 부르너(E. Brunner)는 신앙을 만남으로 정의하고 있다. 그에게 있어서 신앙이란 만남에 의해서 형성되어지고 일정한 행동(certain acts)에 의해 성취되며 일정한 존재상태(states of being)에 의해 특징 지워지고, 일정한 전제조건(pre-conditions) 위에 근거하여, 일정한 주제들과 관련되며 증거에 의해서 구별되어지고, 일정한 동력(dynamics)에 의해서 동기가 유발되고 유지되어지는 친교 안에서의 관계로 정의하고 있다. 신앙의 전제는 하나님과의 만남이며 하나님과의 만남의 경험은 새로운 삶으로의 변화를 일으킨다. 즉, 인간존재의 물음에 해답이 되시는 하나님과의 만남이 이루어질 때 진정한 교회교육이 실현되어진 것으로 볼 수 있다. 사람은 쉽게 변화되는 존재가 아니다. 만약에 한 사람의 변화가 있었다면 거기에는 분명한 계기가 있게 되어 있다. 즉, 하나님과의 만남을 의미하는 회심의 경험이 있었던 것이다. 지금껏 자신이 지녀왔던 삶의 습관들의 옛사람을 벗어버리고 새로운 삶의 모습으로 변화되는 경험이 있었던 것이다. 회심은 교회의 교리목록에 대한 동화를 의미하는 것도 아니며 사람들을 교회로 모집하는 것도 아니다. 회심의 목표는 일련의 감정적 여행을 공급하는 것이며 분명하게 ‘무엇을 위해서’ 라는 목표의 지점을 지니는 것이다. 그러므로 어설픈 가르침이나 일방적인 주입식의 교육만으로는 파격적인 삶의 변화를 가져올 수 없다. 회심의 경험은 이전의 삶의 형태의 모습을 벗어버리고 새로운 삶으로서의 전인적인 변화를 의미하기 때문에 중요하다. 또한 종교적 경험인 회심이야 말로 하나님 앞에서의 ‘진정한 자신’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기에 중요하다. 기독교 신학 및 기독교교육의 입장에서 볼 때, 크리스찬으로서의 자아정체성의 형성은 객관적 기독교 진리와 신앙을 자신의 것으로 내재화하고 내면화할 때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고 본다. 즉, 기독교의 진리와 신앙이 내재화 되고 내면화가 되었다는 것을 분명하게 증명할 수 있는 순간이 회심의 순간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종교적 경험의 대표적 현상으로 간주되는 회심이 청소년기의 자아정체성 형성과 어떠한 상관성을 갖는가를 규명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서 균형 잡힌 자아 정체성 형성을 위한 회심교육의 원리를 제시해보고자 한다.

      • 그리스도인 정체성에 관한 가톨릭교회의 가르침 : 제2차 바티칸 공의회「교회헌장」2장과 공의회 이후 교회문헌을 중심으로

        조한규 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807

        무신론의 위협, 종교 다원주의의 혼란, 신앙에 대한 무관심이 팽배해 있는 오늘날에 그리스도교의 가치관에 따라 살아가는 것은 더욱 어려워졌다. 과학과 인간이성이 중심이 된 현대 산업사회에서 교회의 영향력은 상대적으로 감소하였고, 복음 선포는 더욱 어려워졌다. 그러나 한편으로 현대인의 종교에 대한 갈망은 점점 더 커져가고 있다. 과학과 문명이 발달하면 인간은 행복해질 것이라고 믿었는데, 사회가 산업화되고 대형화되어 갈수록 개인은 더욱 소외되고 있다. 인간소외를 극복하기 위해 현대인들은 뉴에이지 운동이나 일부 정신세계운동(명상, 요가 등)에 심취해 보지만, 이 운동들은 패스트푸드처럼 일순간의 편리함과 쾌락을 가져다줄 뿐 근원적인 갈증을 해결해주지는 못한다. 과학과 문명이 발달한 오늘날의 사람들 역시 근원적인 물음에 목말라하고 있고, 참된 진리를 간절하게 찾고 있다. 그러므로 모든 인간의 참된 구원을 바라시는 하느님의 뜻을 제대로 전할 수 만 있다면, 오히려 지금 이 시대가 가장 복음적인 시간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현실은 그리 간단해 보이지 않는다. 현대세계의 이 위기상황을 복음선포의 좋은 기회로 전환시키기에는 우리 그리스도인의 역량이 부족한 듯 보인다. 그리스도교의 진리는 우리 그리스도인들에게 조차 분명하게 다가오지 않고 있으며,‘대조사회’로서의 교회 모습이나 복음의 가치를 세상에 증거해야 할 그리스도인들도 복잡하고 혼란한 세상의 영향력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사실 가장 절실한 문제는 교회 외부의 도전과 어려움을 극복하는 것이 아니라, 우선적으로 우리 그리스도인들이 올바르게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자신감을 갖는 것이다. 성서와 교회의 가르침에 따르면 그리스도인은 예수를 그리스도로 믿고 따르는 삶을 사는 사람이라고 할 수 있는데, 오늘날‘믿는다’는 것과‘따른다’는 것이 구체적으로 무엇을 의미하는지 그 개념과 실천은 모호하게 느껴지고 있고, 그리스도인들에게 조차 교회의 가르침보다는 세속사회의 변화와 흐름이 더 깊게 영향을 주고 있다. 지금 절실한 것은 우리 그리스도인들이 참된 그리스도인이 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과연 그리스도인을 그리스도인답게 해주는 기준과 조건은 무엇이며, 우리는 어떻게 그리스도인으로서의 정체성을 갖출 수 있는가? 우선‘그리스도인’이라는 말은 신약성서에 3번 밖에 나오지 않고(사도 11,26;26,28;1베드 4,16), 이 단어가 2세기 초 안티오키아의 이냐시오에 의해 교회에 공식적으로 받아들여지기 전까지는 비슷한 의미로‘제자들’,‘하느님의 자녀’,‘하느님 백성’등의 단어가 사용되었다. 초기 교회 공동체의 신자들은 세례를 통해 공동체에 속하여‘서로 함께’사도들의 가르침을 듣고 친교를 나누며 빵을 떼고 공동으로 재산을 소유하였는데(참조: 사도 2,42~47), 이는 그리스도인들이 교회 공동체 안에서 공동으로 신앙을 고백하고, 교회의 성사를 통해 은총을 전달 받으며, 공동으로 신앙을 증거함으로써 자신의 정체성을 확인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단과의 투쟁, 계속되는 박해 과정을 거치면서 초기 교회 공동체는 교회일치와 정통 신앙을 존속시키기 위해 교계제도를 강화하고 정통신앙을 정립해가면서 스스로 정체성을 형성해 나갔다. 그리고 하느님 말씀을 따르고자 세속의 사람들과는 분명히 대조되는 철저한 삶을 살며 자신들의 신앙과 정체성을 지켜가고자 힘썼다. 그러나 대규모 박해가 지나간 후 그리스도교는 국가의 공인을 받게 되었고, 이후 많은 특권을 누리게 되었으며,‘대조사회’로서 교회의 모습도 희미해져 갔다. 그리스도교가 급속히 확산되어 신자들이 늘어나고, 교회 안에는 세례의 유효성이나 성사의 사효성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였다. 전체적으로 정체성이 해이해 지고 있는 상황에서 교회는 공의회를 통해 그리스도교의 교의를 분명하게 정립하려고 노력했고, 일부 그리스도인들은 세속화된 교회에 대한 회의감을 극복하고, 그리스도교의 완덕을 추구하고자 성인공경과 수도생활을 시작하였다. 이후 중세시대에는 거의 모든 사람이 그리스도인이었기 때문에, 세례를 받고 교회에 속해 있다는 단순한 사실로 자신이 지닌 그리스도인으로서의 정체성을 확인하기 어려웠다. 그래서 교회는 공의회를 통해 그리스도교 신앙을 좀 더 개념적으로 분명히 하려는 노력이 있었고, 생활적인 측면에서 신자들은 본격적으로 수도생활에 참여하여 그리스도 신앙을 증거하고자 하였다. 루터에 의한 종교개혁으로 그리스도교 전체는 극심한 혼란을 겪게 되어 신앙의 기반이 흔들렸고, 그리스도교는 분열되었다. 교회의 분열 이후 서로에 대한 반감으로 적대시하였고, 가톨릭교회는 트리엔트 공의회를 통해 가톨릭교회의 신앙교리를 재정비하였다. 특히 벨라르미노는 종교개혁가들이 반대하던 가톨릭교회의 제도와 신학을 적극적으로 옹호하였는데, 그에 따르면 참된 그리스도인의 기준은 첫째 그리스도 신앙교리를 고백하고, 둘째 합당한 성사를 받으며, 셋째 합법적으로 위임된 목자들과 결합된 사람들이기에, 그는 로마 가톨릭 신자들만이 '참으로' 교회 신비체의 지체라고 하였다. 벨라르미노가 제시한 그리스도인의 기준은 종교개혁이라는 혼란의 와중에서 개신교의 논리를 배격하고, 무엇보다도 가톨릭 신자들에게 분명한 정체성을 제공하기위해 주장된 것이다. 이 기준에 따라 가톨릭교회 안에서 개신교 신자들은 참된 그리스도인의 기준에서 제외되었고, 이후 가톨릭교회의 공식 입장이 되었으며, 이 기준은 1943년 교황 비오 12세의 회칙「그리스도의 신비체」(Mystici Corporis)에도 반영되었다. 이처럼 참된 그리스도인을 가톨릭 신자들로 규정한 교회의 입장은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전까지 계속되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는 교회를 성서적 개념인‘하느님 백성’으로 이해하였고, 이 하느님 백성을 그리스도인이라고 규정하였다. 공의회는「교회헌장」에서 신앙고백과 성사, 교회조직과 일치된 가톨릭 신자들이 그리스도의 교회와 온전히 결합되어 있다고 하였고, 동시에 내적인 자세, 즉 교회 안에‘마음’으로도 머물러서 그리스도와 일치해야 됨을 강조하고 있다. 참된 그리스도인이 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교회가 제시한 기준을 갖추고, 예수 그리스도를 온전히 믿고 따르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동시에 공의회는 비가톨릭 그리스도인들도 하느님 백성에 포함시키면서 이들 역시 포괄적인 의미의 그리스도인으로 정의하고 있다. 즉 신앙인과 세례 받은 모든 사람을‘영적 인간’이라고 일컫는(1베드 2,5) 신약성서의 본래 의미를 되살려내어 비가톨릭 그리스도인들도‘완전한 신앙을 고백하지 않거나 베드로의 후계자 안에서 친교의 일치를 보존하지는 못하지만’, 그리스도의 교회는‘여러 가지 이유로’이들과도‘결합되어’있다고 말한다. 더 나아가 공의회는 아직 세례를 받지 않은 비그리스도인들까지도 예비적 그리스도인 내지 넓은 의미의 하느님 백성으로 이해하면서, 이들도 역시 하느님 백성과‘관련되어’있다고 천명하였다. 그리스도인의 조건과 기준에 관한 공의회의 규정은 공의회 이후에도 교회의 공식적인 문헌을 통해 지속적으로 확인되고 있다. 공의회가 천명한 바와 같이 그리스도인이 된다는 것은 교회가 규정하는 외적 기준과 조건을 갖추는 것은 물론이고, 예수 그리스도를 온전히 믿고 따라야 한다. 예수께서는 당신을 믿고 따르고자 하는 제자들에게“자신을 버리고 제 십자가를 지고”(마르 8,34) 따를 것을 요구하였다. 십자가는 죽음을 상징하는 것이므로, 예수를 따른다는 것은 자기의 목숨을 내놓는 것을 의미했다. 그러므로 예수의 제자가 된다는 것은 수난과 죽음까지도 감내하며 그리스도의 길을 따라가는 고난의 삶, 숭고한 삶을 의미한다. 예수의 제자가 된다는 것은 예수를 대신해서 하느님 나라를 선포하는 것이기에, 예수를 믿고 따르고자 하는 이들에게는 예수 그리스도처럼 고난과 죽음을 각오하는 철저한 삶의 자세가 요구되는 것이다. 이처럼 예수를 믿고 따른다는 것이 결코 쉬운 일은 아니지만, 그리스도인의 존재이유가 바로 그리스도 때문이고 그리스도인이 된다는 것 자체가 이미 예수의 부름을 받은 것이기에, 모든 그리스도인들은 예수의 제자가 되어 하느님 나라 선포에 나름대로 참여해야 한다. 그리스도인이 진정한 그리스도인이 되기 위해서, 즉 그리스도인의 참된 정체성은 예수 그리스도를 닮은 사람이 되는 것이고, 예수 그리스도처럼 자기의 십자가를 지고 하느님과 인간을 사랑하며 사는 것이다. 그리스도인의 정체성 형성과 유지를 위해서 중요한 또 한 가지 사실은 예수를 믿고 따르는 것은 한 개인의 차원이 아니라, 언제나 공동체적인 특성을 지닌다는 것이다. 예수는 열 두 제자들을 불러서 하느님의 새 백성을 구성했고, 최후의 만찬에서는 이 제자 공동체의 일치를 위해 기도하였다(요한 17,22). 또한 초기 교회 공동체의 신자들이‘서로 함께’기도하고 생활하면서 그리스도인으로서의 정체성을 확인했던 것처럼, 그리스도인은 교회 공동체 안에서 공동으로 신앙을 고백하고, 교회의 성사를 통해 은총을 전달 받으며, 공동으로 신앙을 증거함으로써 그리스도인으로서의 정체성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스도인의 정체성은 하느님 백성인 교회 공동체를 통해 분명해지는 것이기에 그리스도인다운 그리스도인은 항상 교회적인 그리스도인이 되어야 한다. 동시에 하느님의 거룩한 백성인 교회 공동체 역시 세속사회와는 다른‘대조사회’로서 하느님 나라를 선포하고 유일한 구세주인 그리스도를 증거하며 구원을 위한 보편적인 성사가 되어야 한다. 세상 안에서 하느님을 증거하고 만인에게 구원을 전달하기 위해서, 대조사회로서의 교회는 세상을 따라 변해서는 안 되고, 언제나 교회 본연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어야 한다. Today, it gets too hard to live with christianism, in the context of overflowing threats of atheism, confusion owing to the Religious-Pluralism and the indifference toward belief. Influence of the church on the secular society is relatively on the decrease, and preaching the Gospel gets more difficult in this modern industrial society which is concentrating on the science and the human-rationality. But on the other hand, a thirst for religion of modern people seems to increase more and more. They believed that man could be happy if the science and the civilization were advanced, but in fact an individual person isolated more and more in the industrialized and modernized society. To overcome that isolation, they tend to admire New-Age movement or some spiritual life(ex. meditation, yoga etc.), but these movements, resulting in an instant convenience or pleasure just like a fast food, cannot resolve a fundamental thirst. Radically modern people long for fundamental questions, seek after faithfully truth. Therefore, if we can deliver the God's will which is the salvation of all mankind to modern people successfully, these days are the best time for evangelization. But the real world seems not so simple. The power of our christians doesn't seem to be sufficient enough for converting this crisis into the opportunity of evangelization. Truth of christianism seems to be ambiguous even for christians themselves, and a identity of church as 'Contra-Society' or christian-life, for being evidence of the worth of gospel to the world, doesn't yet free from the influence of the secularization. Surely, the most important matter is not the challenges or difficulties from outside, but how to settle our christian identity. According to the Bible and the teaching of the church, "christian" means a man who believe and follow Jesus as Christ. But it seems to be so ambiguous what 'Believe' and 'Follow' really means in these days, and even to the christians the social changes and the secularism gets more and more powerful effect than the teaching of church. So we christians need nothing but becoming faithfully christian. Then, we have to ask ourselves this question; What are the criteria and conditions which make christiana real christian, or how can a man get the identity as a christian. Who on earth is a christian? “christian" has been used only 3-times in the new testament(Act 11,26;26,28;1Pet 4,16). This expression has been used meaning "Disciples", "Children of God" or "People of God", before publicly accepted by Ignatius of Antioch to the church in the beginning of 2nd century. The christian in the new testament means people who believe and follow Christ in a community sharing the same baptism. People in the early christian communities devoted themselves to the teaching of the apostles and to the communal life, to the breaking of the bread and to the prayers. This shows that they confirmed their identity through confessing their faith together in the church community, receiving the grace through the sacraments of the church, and testimonying their faith together. They formed their identities as christians to keep the traditional faith and to unite the church in the strife with the heresies and the successive persecutions. They tried to keep their faith and identity by living severe lives which are contrasted to those earthly lives of secular people. The christian church has been authorized by the Roman-Empire after the grand-scale persecution time. On account of that authorization the church enjoyed an exclusive prerogative, and it resulted in an ambiguous attitude toward "Contra-Society". Christians could not simply confirm their identity from the baptism, for almost all people in the middle-age were christians. That's why the church tried to define their faith conceptually through the Councils, and to testimony christian faith through the revitalization of the religious life. With the Reformation of Lurthur, the whole church come to be split into different communities being plunged into the chaos. Those different communities became hostile to each other, and catholic church rearranged their faith through the council of Trent. Especially Bellarmin defended the system and the theology of the catholic church against the Reformists. According to Bellarmin, the criteria to be the true christian are confessing the christianity first of all, and receiving proper sacrament secondly, and thirdly, being united with the pastors who got a lawful commission. That's why, he emphasized that the Roman catholic is "truly" the only community which contains true members of the mystical body of Christ. The real intention of his presenting those criteria is rejecting the logic of the Reformists, and offering catholic christians. Following these criteria, Protestants were excluded from the boundary of "the true christians". These criteria were also accepted by the Pope Pius 12th in his encyclical "Mystici Corporis"(1943). Similar tendencies were kept until the Vatican council Ⅱ. The Vatican council Ⅱ understands "christians" as "People of God", which is the biblical notion. The council says that the catholic christian are united with the church of Christ by confessing the same faith, by participating in the sacraments, and by accepting the organization of the church. This council emphasizes that they have to be united with Christ within their hearts through the church life. Those who want to be true christians should fulfill the criteria which the catholic church presents, and believe and follow the Jesus Christ. At the same time, the Council defines the non-christians as christians in the comprehensively meaning, including in the community of the "People of God". Even people who do not yet receive the baptism are included in the "People of God". The regulations of the council on the qualifications of the christian are continuously confirmed through the public documents of the church after that Council. To be a christian, one should fulfill the conditions and qualifications in the regulations of the church and should believe and follow Jesus Christ. Jesus said to his disciples that "forget yourself, carry your cross and follow me"(Mk 8,34). The meaning of the cross is death, and that's why the meaning of the following Jesus is offering one's life. To be the disciple of Jesus is to proclaim the gospel, to request attitude of life which can offer to suffer and likewise. It's not easy to follow Jesus, however, the reason of the existence of the christian is because of Jesus, to be a christian is to receive the vocation from Jesus. That's why all christians have to proclaim the gospel as disciples of Jesus. The true identity of the christian is to be like Jesus Christ who loved God and human-beings all together. The other very important point of being a christian is that following Jesus Christ has not only individual dimensions but also social dimensions. Jesus consisted new People of God by calling 12 disciples, and prayed for the unity of Disciples in the last suffer(Jh 17,22). And just like the early church community who confirmed her identity as "the christian" by living and praying together, the modern christians confirm their identity by confessing the same faith together, by receiving the grace through the sacraments of the church, and by testimonying their faith together. The identity of the christian's completely fulfilled through the community life in the church who is the "People of God", and that's why christians have to be the ecclesial christians. At the same time, the christian community have to be the universal sacrament for the salvation of mankind, testimony the Christ and proclaim the gospel, as a "Contra-Society" which always keeps the original state of the church. And she should not be changed depending the secular society to actualize the salvation of the mankind and to testimony Jesus to the world.

      • TV트렌디 드라마 주인공 의상스타일 분석 : 성정체성 및 성역할 표현을 중심으로

        이옥경 인천대학교 산업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현대 사회가 다양하고 복잡해지면서 성(性)정체성과 성역할에 대한 인식의 변화도 변하여 남성과 여성의 성개념은 양분화된 개념에서 다원화되고 있는 경향을 보인다. 성역할 및 정체성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대중매체, 그중에서도 젊은 세대들의 일과 사랑을 감각적으로 표현하는 TV 트렌디 드라마에 잘 나타나 있다. 트렌디 드라마 주인공의 의상스타일은 맡은 캐릭터를 통해 그 시기 남녀의 성정체성 및 성역할 인식의 변화를 표현하는데 기여하고 대중에게 미치는 영향도 크다. 따라서 최근 인기리에 방영된 TV트렌디 드라마에 나타난 주인공들의 캐릭터 특성과 의상스타일을 분석하여 현대 사회 남성과 여성들이 지각하는 성 정체성 및 성역할 유형들에 따라 의상 스타일이 어떻게 다양하게 표현되었는지 알아 보았다. 연구방법으로 먼저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패션으로 표현되는 현대 남성과 여성의 성정체성을 매스큘린, 페미닌, 유니섹스, 앤드로지너스, 젠더리스의 5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고, 각 유형의 스타일 특징을 정리하였다. 드라마 의상스타일 사례분석을 위해 2000년 1월부터 2007년 9월 사이에 인기리에 방영되었던 트렌디 드라마 3편을 선정하여 먼저 드라마의 내용 및 캐릭터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VOD 다시보기 서비스를 이용하여 드라마를 다운로드후 캡쳐하여 상황별로 정리하고 주인공들의 의상을 분류하였다. 각 드라마는 주인공이 남성 2인, 여성 2인으로 4인이며 따라서 총 캐릭터 수는 12인이었다. 이들의 의상스타일을 유사성에 따라 4그룹으로 분류하였고, 각 그룹의 대표적 스타일에 대하여 7가지 유목(아이템/형태, 실루엣, 색상, 소재, 디테일, 액세서리, 헤어스타일)으로 나누어 특징들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론적 연구에서 정리한 성정체성 유형별 의상스타일 특징에 기준하여 각 캐릭터들의 의상 스타일이 속하는 위치를 포지셔닝하여 보았다. 드라마 주인공들의 캐릭터를 분석한 결과 세 드라마 모두 공통적으로 전통적인 남성과 여성 정체성의 대립보다는 남성(여성)임에도 불구하고 여성(남성)적인 정체성을 보여주는 식의 혼합 양상이 두드러져 양자의 성적 정체성 경계가 엷어지는 현상을 보였다. 의상스타일을 분석한 결과에서도 남성 주인공들의 패션은 전통적인 매스큘린외에 앤드로지너스, 유니섹스, 젠더리스 스타일이 모두 존재했고, 여성 주인공들의 패션도 전형적인 페미닌, 앤드로지너스, 유니섹스, 젠더리스 스타일들이 모두 존재했다. 각 유형별로 보면, 전통적인 남성성과 여성성을 표현하는 스타일들의 수는 비교적 적었고, 오히려 성의 차이가 확연하지 않은 젠더리스 스타일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특징적인 스타일 변화로는 남성들의 경우 과거에 비해 여성다움의 표현인 몸에 맞는 실루엣이나 난색계열의 색상과 부드러운 소재가 많이 사용되었고, 여성의 패션에서는 남성다움의 표현인 바지와 티셔츠나 셔츠 차림, 헐렁한 실루엣과 어둡고 가라앉는 색채, 짧은 컷스타일 들이 많이 나타났다. 종합하면 트렌디 드라마를 통해 보여주는 젊은 남녀의 의상스타일은 전통적인 개념의 남성적 그리고 여성적 스타일외에도 성의 구별이 모호한 다양한 스타일들이 혼재하여 성정체성의 경계가 엷어지는 사회적 트렌드를 가시적으로 표현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현대 사회에서 성정체성 및 성역할 인식은 착용하는 의상스타일에 그대로 반영되고 있으며, 주요한 변화 양상은 과거 남성다움과 여성다움의 두가지 대립적인 요소로 고정되었던 것에서 벗어나 양자의 특성이 혼재하는 유동적인 개념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With the modern society becoming diversified and complicated, the perception of gender identity and gender roles is changing, thus giving rise to shifts in the perception of gender away from a dichotomy between the masculine and the feminine, a conventional view of gender, to diversified and complicated concepts. Shifts in the perception of gender roles and gender identity have found their full expression in mass media, TV trendy dramas in particular, which sensuously portray the work and love of the young generation. The dressing style of the hero or heroine in a trendy TV drama lends itself to shifts in the perception of gender identity and gender roles at a given time, while at the same time significantly affecting the populace as a whole. This study conducted a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and dressing styles of the heroes and heroines starring in great popularity in the latest trendy and TV dramas, and examined how dressing styles have been expressed diversely depending upon gender identity and the type of gender roles as perceived by men and women of the current society. To this end, we adopted an approach whereby we classified, based on foregoing studies, gender identity of men and women of today as expressed in fashion, into five categories, namely, the masculine, feminine, unisex, androgynous, and genderless, and identified characteristic features of each category. For an analysis of the cases of dressing in dramas, we have picked out, to begin with, 3 trendy dramas that had been aired in much popularity over the period beginning January, 2000 and ending September, 2007, and then conducted an analysis of the contents and the characters of those dramas. Then, we captured the dramas after downloading them, rearranged them according to situations, and classified the dressing styles of the heroes and heroines, by utilizing 'Review' service mounted on the video on demand (VOD). Each drama had two heroes (or heroins), or four characters in all. Subsequently, we selected 4 typical styles and analyzed them according to the category (the item/form, silhouette, color tone, material, detail, accessory and hair style) and attempted to classify these styles according to the category of gender identity, based on the category of fashion by gender identity, which had previously been identified in the theoretical study. A look at the analysis of characters of the heroes and heroines shows that in the three dramas sampled there were few cases where the masculine gender was portrayed as opposed to the feminine gender or vice versa, while there were more cases where a masculine character expressed his identity as feminine and vice versa, thus revealing that the gender identity ended mixed up, leading to a breakdown of identities of the two genders. An analysis of dressing styles also indicates that fashion styles of the heroes embraced the entire spectrum of identities such as the androgynous, unisex, genderless, in addition to the conventional masculine gender. The same was true of the identities of the heroines. An overview of those styles shows that the heroes and heroines were expressed in various styles, featuring an ambiguity as to gender distinctions, rather than distinctive as a masculine or feminine style. A look at the styles by category shows that there were relatively few styles where conventional masculine and feminine identities were expressed as such, while there were more no gender cases than any other identity. Among the outstanding shifts in style, the tight-fitting silhouette, traditionally regarded as an expression of femininity and tones such as those evoking warmth by nature and tender materials have found their way into the masculine style as never before, while more and more styles that used to be regarded as unique to the masculine gender found their way into feminine fashion such as T-shirts, dressing shirts, baggy silhouette, dark and sinking tone and short cut styles, thereby indicating that shifts in the perception of gender roles according to shifts in social environment were symbolically reflected through dressing styles. Our findings show that the perception of gender identity and gender roles is reflected as it is in the dressing style they adopt, and that a major shift is gaining ground where masculine and feminine features are coming together as a flexible concept, taking a departure from conventionally preoccupied view of masculinity as opposed to femininity.

      • 정체성 정치와 공론장을 만드는 미술의 역할

        문혜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paper critically examines the political role of art through Hannah Arendt's philosophy, reassessing the diminished political efficacy of identity politics. Exploring the acquisition of identity, it emphasizes external influences, as identity is formed in relationships. Marginalized individuals revealed in the identification process form activist groups, striving for benefits tied to shared identity. Despite initial confrontations, identity politics evolved, losing its purpose and either pursuing new power or marginalizing unique characteristics. The paper explores this based on Arendt's philosophy, assessing if identity politics fulfilled its duty. Artists like Byron Kim and Nikki S. Lee invited non-homogeneous existences to the public sphere, acknowledging differences. Curator Okwui Enwezor acknowledged the refracted perspectives of contemporary art and opened a forum for public discussion through leading biennales. Despite ongoing societal struggles and discrimination, art, privileged with traversing reality's walls, can restore the political function, extending the public sphere's lifespan and inviting possibilities for a future world of freedom. 20세기 후반의 글로벌 자본주의와 세계화는 전 지구적 영향을 미쳤다. 세계화는 사람들이 동시대를 공유하는 것처럼 보이게 하고 이질적인 문화를 균일화하고자 했다. 거스를 수 없는 세계의 흐름은 사회의 균열을 드러내고 약자들을 권력 투쟁의 무대로 끌어들였다. 전 지구적 맥락 속에 마주한 타자와의 마주침은 한 개인의 정체성을 더욱 명징하게 만들었다. 정체성을 형성하면서 자신의 의미를 파악하고 권력을 획득하는 과정을 정체화라고 한다. 정체화 과정에서 발견되는 소수의 존재는 난민, 성소수자, 장애인, 여성, 비정규직, 소수민족, 외국인, 유색인종 등의 벌거벗은 존재들이다. 정체성을 명명하는 과정은 곧 정체성 정치의 단초가 된다. 명명하는 것으로 만들어진 주체적 권력은 사회의 균열을 드러내며 정치를 시작한다. 투쟁하는 정체성은 권력을 획득하고 웅성거리는 소수들의 목소리를 한데 모으고 그들의 거친 외침을 번역하여 정돈된 언어와 몸짓으로 구체화한다. 이들은 자신의 정체성을 기반으로 생존을 위한 정체성 정치를 전개했다. 정체성 정치는 내면의 주체적 권력을 넘어 사회 내 재배치를 위한 정치 투쟁이자 권력을 갖기 위한 의미 투쟁이며 맞닥뜨린 미해결 문제에 대한 항의 투쟁이다. 1989년 베를린 장벽 붕괴와 이듬해 이어진 구소련의 붕괴는 공산주의의 몰락을 고하며 세계화의 물꼬를 터뜨렸다. 20세기 말 미국은 ‘인종의 용광로(The Melting Pot)’에 모여든 타자들을 균질화하고 압축했다. ‘인종의 용광로’를 통해 미국을 강력한 하나의 국가로 만들려는 노력 이면에는 배타적인 주류사회의 iv 차별적 암시가 깔려있었다. 이후 전개된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은 인종의 용광로가 주도하는 총체화를 거부하고 사회의 타자들을 개별 존재로 인식하게 하였고, 잇따른 ‘다문화주의(Multiculturalism)’가 새로운 문화적 논리로 부상하게 되었다. 미국의 다문화주의자들은 주류 문화에서 배제된 타자의 문화에 대한 편견과 차별을 비판하며 기존의 문화적 의미와 도덕적 규범에 대한 대안을 제시했다. 미술에서는 20세기 후반 미국의 에이즈(AIDS) 문제로부터 본격적인 논의가 시작되었다. 예술가들은 그들의 진짜 삶을 나타내고, 주류 사회 위주의 사회구조와 권력을 비판하기 위해 ‘예술’을 정치에 사용했다. 이로써 해방과 독립을 위한 투쟁을 동반한 정체성 정치는 예술계에 중요한 문제가 되었다. 하지만 1990년대를 전후하여 세계 유력한 미술관에서 연달아 개최된 탈식민주의와 관련된 전시는 ‘분리주의(Separatism)’적 한계를 여실히 드러내었다. 1993년 《휘트니 비엔날레 The Whitney Biennial》에 이르러서야 기존의 극단적이고 이분법적인 대립 구도를 해체하고 소외된 타자들을 적극적으로 포함해 독립적인 주체들로 세분화하였다. 미국 사회의 다문화 물결과 함께 문화예술계 전반에 확산한 정체성 정치는 외부의 요인들과 상호작용하며 도구화되거나 경제적 성과에 몰두하게 되었다. 동시에 예술가와 예술 조직의 적극적인 응답과 전략적 선택을 요구했고, 다양한 각도의 접근과 해석, 다양한 양상의 결과를 수반했다. 이러한 과정에 정체성 정치는 정치적 기능을 상실하게 되었다. 변화한 정체성 정치는 역설적으로 일상의 불평등 문제를 단순하게 만들고 약자들의 삶을 외면하는 결과를 낳았다. 더불어 맹목적인 믿음과 극단주의를 촉발함으로 정치 기능을 상실시키고 사회의 불신과 폭력을 야기한다. 논문에서는 이처럼 정체성 정치가 정치적 기능을 상실한 경우를 한나 아렌트(Hannah Arendt)의 정치 철학적 시도를 근거로 비판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한나 아렌트의 ‘정치’는 평등하고 서로 다른 인간들이 자유로운 공적 세계에서 새로운 공동체를 모색하고 진정한 자유의 의미를 찾고자 하는 것이다. 공동의 세계는 ‘다양성’을 전제로 한 행위자들 사이에 존재하며 소통을 통해 드러난다. 동등성과 차이성을 토대로 한 공공 영역에서 복수적 인간은 타인과 다름을 발견하고 개별적 가치를 이해할 수 있다. 공동의 세계에서 긴장감 있는 소통은 정치 기능을 회복하게 하고 삭제와 단절로부터 미래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논문은 20세기 후반 미국의 타자들을 통해 수행된 미술의 사례를 통해 아렌트가 제시한 공론의 장이 구현되는 방식을 논의했다. 작가로는 바이런 킴(Byron Kim)과 니키 리(Nikki S. Lee)의 작품들을 살펴보았고, 기획자의 경우 오쿠이 엔위저(Okwui Enwezor)가 기획한 비엔날레들을 통해 논의를 전개했다. 바이런 킴은 전통적인 회화 기법으로 정체성 정치에 참여했다. 《복부 회화 Belly Painting》 시리즈는 여덟 가지의 ‘정치적으로 올바른’ 피부색을 범주화하며 기존의 ‘살색’의 정의에 질문을 던진다. 《제유법 Synecdoche》 연작에서는 불특정 다수의 피부색을 수집한 뒤 반복적인 작업을 통해 미묘한 피부색의 변화를 포착하고 인종적 다양성을 탐구했다. 바이런 킴의 추상적 작업은 다른 이들을 해석과 의역에 참여시키며 논쟁을 불러일으킨다. 니키 리는 다채로운 사회 계층에 침투해 복장과 행동 및 생활 습관을 모방하고 이를 기록으로 남긴 《프로젝트 Projects》 연작에서 레즈비언, 드랙퀸, 펑크, 스케이트 보더, 히스패닉, 힙합, 백인, 음악가, 여고생 등 다채로운 사회의 타자들에 자신을 대입했다. 리는 전통적인 예술적 관습에 도전하며 인종, 인식 및 표현에 대한 대중과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신조로 미국 사회의 여러 정체성을 공론장으로 소환했다. 오쿠이 엔위저는 동시대 미술의 탈식민지적 전환을 위해 비엔날레를 역동적인 정치의 장으로 만들고자 했다. 엔위저는 동시대 미술의 복잡한 상황을 조망할 수 있는 절대적 위치를 거부하며 성좌(Constellation) 개념을 도입한다. 개별 존재는 우주에 흩어진 별과 같고, 별들은 각자의 위치에 따라 주관적인 관점에 따라 공간을 인식할 수밖에 없기에 동시대 미술에 대한 시각은 굴절된 것이라 주장한다. 그의 논지를 바탕으로 기획된 1997년《제2회 요하네스버그 비엔날레 2nd Johannesburg Biennale》부터 2002년《카셀 도큐멘타 11 Kassel Documenta 11》, 2008년《제7회 광주비엔날레》, 2012년《파리 트리엔날레 La Triennale 2012: Intense Proximity》, 2015년《제56회 베니스비엔날레 56th Venice Biennale》 등의 굵직한 비엔날레의 사례분석을 통해 동시대의 환영 속에 공공 영역을 만들기 위한 미술의 실천 방법과 효용성을 연구하고 미술의 역할을 살펴본다. 이를 통해 미술의 방법을 통해 한나 아렌트의 정치와 공론의 장이 어떻게 구현되었는지 그 효용성과 한계를 논의해본다.

      • 대학 태권도 선수들의 자아정체성이 진로의식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박연정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relations among self-identity, career consciousnes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iate Tae Kwon Do athletes for helping their future career decision behavior by set up a hypothetical cause-effect model on the basis of precedent studies. The research subject were currently registered collegiate Tae Kwon Do athletes of KTA. This study used questionnaire which is composed of three parts. Consisted survey questions were reconstructed to better suited for this study. To achive the goal,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co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were us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llegiate Tae Kwon Do athletes showed different in consciousness and career preparation about independence, determinacy and career behavior by grade, Second, future assurance of personal identity effects on career consciousness. Third, self evaluation, have assure future plan and collecting more career information enhance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urth, career determinacy should be clear to achieve the established career goal, check the tasks, make a plan for future, collecting various information and career preparation. moreover, collegiate sports should meet the least requirement of athlete's needs, such as not only develop and supplement a athlete's ability to become a professional athletes, but also make them to have other abilities for preparing an ordinary life.

      • 사회복지사 전문직 정체성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최승주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experienced by Korean social workers.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social workers? Second, by what factors are professional identities formed or hindered in the social context? Third, what factors contribute to the self-reinforcement of the social workers in-group? In the literature review, theories and previous studies related to identity, social identity, collective identity, and professional identity of social workers were examined. In this study, the concept of collective identity (Ashmore, et al., 2004) was considered as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social workers, the process of accepting oneself as a common member of a social worker group. And it focuses on exploring significant interactions that influence this process. In order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social worker's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the researcher adopted a qualitative case study. Research subjects of the study included 27 social workers actively involved in 8 fields of social work. The 8 fields includes a nursing home for the elderly, self-support center, shelter for the homeless, comprehensive social welfare center, public medical institution, welfare center for the elderly, corporation for the disabled, and a welfare center for the elderly. Prior to the main survey,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for a period of one month in December 2019 to clarify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main survey was conducted for two months from September to October 2020. Participants were informed of the research purpose and research questions in advance. Interviews were conducted among participants who were willing to participate voluntarily and submitted written consents. When the study was being conducted, a leading project was already in progress from the Community care plan, and the COVID-19 pandemic was affecting the practice fields. Therefore, the researcher conducted the study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community care plan and the epidemic of COVID-19 as social contexts that affect practice.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practice fields during the process of the social worker's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the researcher conducted a collective case study by selecting multiple cases with an interest in one issue. For data collection, FGI consisting of 2 to 5 people for each practice field was conducted. Each interview took about 50 minutes to an hour. In order to secure sufficient data during the entire period of social worker’s identity formation in eight fields, additional interviews were conducted if necessary. These additional interviews took about 30 minutes to an hour. All interviews were recorded, transcribed, and then analyzed. The researcher meticulously recorded the observations before, during, and after the interview in a field notebook. The researcher observed and recorded the atmosphere of the institution, the dynamic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client and the research participants, and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research participants and other external resources. The case analysis of Creswell(2015) was applied to data analysis. Frist the raw data was coded by grouping it into meaningful pieces. The coded groups were then grouped under categories and organized in figures and graphs for analysis. The procedure for raw data analysis was as follows. First, to conduct within-case analysis, the FGI recorded file was transcribed and composed from the original data. The audio materials were converted to texts, including non-verbal contents such as laughter and silence. Second, after analyzing the raw data, the process of forming the identity as social workers were examined for social workers in each cases. In analyzing professional identities, the following were considered: how social workers became social workers; what they do in the field of practice; how their practices change in the context of the COVID-19 pandemic; and how social workers’ practices change the social system to what level. Creswell(2015:216)'s analysis method was adopted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social workers with the issue of professional identity at the center. In order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identity formation over time, time-series analysis and cross-case analysis were attempted by partially applying the case analysis technique of Yin(2005:191). Through case analysis, it was attempted to reveal how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formed over time, and to discover the basis for the differentiation and typology of the professional identity. From each of the eight practical fields, one social worker was selected to share their experiences. These were analysed to derive the following themes in relation to their professional identity: “Self-sufficient type who are satisfied with communication and care with the clients”; “Compromising type with dreams in the heart and feet in reality”; “Challenging type that keeps resources far away from institutions”; “Satisfaction type that matches welfare and self”; “A lonely growth type trapped in an institution, calling for social values”; “volunteer type who is self-sufficient even when being called as a national maid”; “Explorative type with strong bones in practice”; “Challenging philanthropy type familiar with micro, mezzo, and macro practice”. Social workers were experiencing different interactions in each individual's growth process and practice fields. Social workers were uniquely forming their professional identities to the extent that they showed their abilities to the maximum as social welfare experts. Between-case analysis was conducted to discover patterns penetrating the cases with professional identity as a central issue. 160 semantic units related to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were derived from the original data. By structuring them, 74 concepts, 29 subcategories and 7 categories were composed. The seven categories derived in relation to the topic of identity formation of social workers are as follows: <Entering the door to the social welfare profession>, <Growing up as a prospective social worker>, <Being built as a professional>, <Shaking identity>, <New challenge for the profession 1: COVID-19 pandemic>, <New challenge for the profession 2: Community Care Plan>, <Reestablish Professional Identity>. Over time, social workers were going through five stages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In this process, meaningful interactions that influence identity formation were revealed. The process of identity formation over time is as follows: ‘Entering the door of the social welfare profession’, ‘Growing up as a prospective social worker’, ‘Being established as a professional’, ‘Shaking identity’, ‘Rebuilding a professional identity’. Factors that establish or shake the formation of identity as social workers are pressure from public institutions, dynamism within institutions, attitudes of clients, professional communities, and public perception of social workers. Community care was a long-term challenge to the professions, and COVID-19 was a temporary crisis factor, affecting identity formation. The professional identity was typified by the case cross-case analysis. The study found that the formation of professional identity is constituted by the following two axes: one is the level of the social system involved in practice, and the other is the professionalism-oriented will. Analysis of the professional identity type resulted in four types: ‘passive warmth type’, ‘status maintenance type’, ‘practical seeking type’, and ‘radical challenge type’. This study is an empirical study to understand the ‘professional identity recognized by social workers’ in the social context of ‘COVID-19 and the introduction of community care’.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ordinary social workers who face clients in the field of practice’. Based on the ‘experience from before becoming a social worker to the field’, ‘significant interaction with a social worker’ was considere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shows the process of how an ordinary social worker forms their identity thus overcoming the problem of insufficient number of subjects and duration of research. Secondly, the study revealed a dynamic process in which individuals and society interact during the formation of professional identity. Thirdly, the study specifically revealed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in relation to professional identity in the social context of the COVID-19 pandemic and community care and the process of re-adjusting. Fourthly, collective identity is set as a theoretical framework to understand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social workers. Interactions specifically involved in holding or hindering identities in identity formation were revealed. The professional identity explored from the experiences of social workers in the field of practice is a collective constituted by interactions with others, self-awareness of professionalism, and the socialization process continuously influenced by the times. Professional identity was not limited to defining professionalism and defining boundaries. It was also being formed around the roles social workers required to play in response to the demands from the changing socie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oretical,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the formation of professional identity for social workers are presented in the conclusion. So far, the process of nurturing our social workers was mainly focused on their roles in an organization, and less on their vocation and personal work valu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identity confusion and ethical conflict experienced by social workers in the crisis situation of COVID-19 can serve as a starting point for establishing professional identity. It also emphasizes that social workers who have played a role in blurring the lines drawn by wealth and poverty, health and disease need contemplation and courage to become aware of the inner boundaries that exist within the group.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사가 경험한 전문직 정체성 형성 과정을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사의 전문직 정체성은 무엇인가? 둘째, 사회적 맥락에서 전문직 정체성은 어떠한 요인에 의해 형성 혹은 방해되는가? 셋째, 사회복지사 내집단의 자기 강화에 기여하는 요인은 무엇인가? 문헌 검토에서는 정체성, 사회정체성, 집단정체성, 사회복지사의 전문직 정체성과 관련된 이론과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다.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전문직 정체성을 사회복지사라는 공동의 일원으로 자신을 수용하는 과정으로 집합정체성(Ashmore, et al., 2004) 개념으로 받아들였다. 이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상호작용을 탐색하는 데에 연구는 관심을 기울였다. 사회복지사의 전문직 정체성 형성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 이 연구는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대상은 노인전문요양원, 자활센터, 노숙인 쉼터, 종합사회복지관, 공공의료기관, 재가노인복지센터, 장애인법인, 노인복지관를 포함한 8개 분야 실천영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사회복지사 27명이다. 본 조사에 앞서 2019년 12월 한 달 동안 예비 조사를 실시하여 연구 목적을 명확하게 하고 연구 방법을 보완하는 과정을 거쳤다. 본 조사는 2020년 9월부터 10월까지 약 두 달 동안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자에게 사전에 연구 목적과 연구 질문을 공유하여 자발적인 참여 의사가 있어서 연구동의서를 작성한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를 진행한 시기는 커뮤니티케어 계획이 발표된 후 선도사업이 진행 중이었고, 코로나19 유행이 실천 현장에도 영향을 미치는 상황이었다. 따라서 연구자는 실천에 영향을 주는 사회적 맥락으로 커뮤니티케어와 코로나19의 유행을 고려하며 연구를 진행하였다. 사회복지사의 전문직 정체성 형성 과정에서 사회복지실천 분야의 특성을 고려하면서 연구자는 하나의 이슈에 관심을 두고 복수의 사례들을 선택하는 집합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해 실천 현장별로 2~5명으로 구성된 FGI를 각각 진행하였다. 1회 인터뷰에 소요된 시간은 50분에서 1시간 정도였다. 8개 분야에서 사회복지사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전 시기에 대한 충분한 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 추가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추가 인터뷰는 30분~1시간 정도 소요되었다. 모든 인터뷰는 녹취하여 전사 작업을 한 후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자는 인터뷰 전, 과정, 후에 관찰한 상황을 꼼꼼하게 필드 노트에 기록하였다. 연구자는 기관의 분위기, 연구 참여자의 역동성, 클라이언트와 연구 참여자의 상호작용, 연구 참여자와 다른 외부 자원의 상호작용을 관찰하며 기록하였다. 자료 분석에 크레스웰(Creswell, 2015)의 일반적인 사례 분석 기법을 적용하였다. 사례 분석의 절차는 원자료를 의미 있는 조각들로 묶어 코딩하고, 코딩된 것을 더 큰 범주나 주제로 묶은 후 그림이나 표의 형태로 자료를 조직화하여 주제를 해석하는 것이다. 연구자가 원자료 분석을 위해 수행한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례 내 분석을 시행하기 위하여 FGI를 녹음한 파일을 전사하여 원자료로 구성하였다. 음성 자료는 문자로 전환하고, 웃음이나 침묵과 같은 비언어적인 내용도 원자료에 추가하였다. 둘째, 원자료를 분석하여 사례 내에서 사회복지사에게 어떤 일이 발생하는지 사회복지사로서 정체성을 형성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각 사례에서 사회복지사는 어떤 과정으로 사회복지사가 되었고, 실천 현장에서 어떠한 일을 하고, 코로나19 대유행이 실천에 어떤 변화를 가져 왔는지, 사회복지사의 실천이 사회체계에서 어느 수준까지 닿는지 등에 관심을 두고 전문직 정체성을 분석하였다. 전문직 정체성이라는 이슈를 중심에 놓고 사회복지사의 경험을 탐색하는 데에 크레스웰(Creswell, 2015:216)의 분석방법을 채택하였다. 시간에 따른 정체성 형성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 인(Yin, 2005:191)의 사례분석 기법을 부분적으로 적용하여 시계열 분석과 사례 통합을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연구 참여자의 전문직 정체성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떻게 형성되는지 이해하고, 사례 통합 기법으로 전문직 정체성이 분화되고 유형화되는 근거를 발견하고자 하였다. 여덟 개의 실천 분야에서 각 한 명씩 선정하여 경험에 대한 진술을 사례 내 분석한 결과 전문직 정체성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주제가 도출되었다. “대상과의 소통과 돌봄에 만족하는 자족형”, “꿈은 가슴에 품고 발은 현실에 두는 타협형”, “기관에 갇히지 않고 멀리 있는 자원을 손에 두는 도전형”, “내가 복지가 되고 복지가 내가 되는 만족형”, “끼인 틈에서 조직을 향해 가치를 외치는 외로운 성장형”, “국민무수리 소리를 들어도 자족하는 봉사형”, “실무에서 잔뼈가 굵은 모색형”, “미시, 중간, 거시 실천 모두에 익숙한 도전적 박애형” 등이다. 사회복지사는 개인마다의 성장 과정과 실천현장에서의 각기 다른 상호작용을 경험하고 있었다. 현장의 사회복지사는 사회복지 전문가로서 자신의 역량을 최대한 드러내는 범위에서 전문직 정체성을 고유하게 형성하고 있었다. 전문직 정체성을 중심 이슈로 두고 사례들을 관통하는 패턴을 발견하기 위해 사례 간 분석을 시행하였다. 원자료로부터 전문직 정체성 형성과 관련한 160개의 의미단위를 도출하였다. 이들을 구조화하여 74개의 개념, 29개의 하위범주와 7개의 범주를 구성하였다. 사회복지사의 정체성 형성이라는 주제와 관련하여 도출된 7개의 범주는 <사회복지 전문직의 문으로 들어서기>, <예비 사회복지사로서 성장해 가기>, <전문가로서 세워져 가기>, <흔들리는 정체성>, <전문직에 대한 새로운 도전 1: 코로나19>, <전문직에 대한 새로운 도전 2: 커뮤니티케어>, <전문직 정체성 다시 세우기>이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사회복지사는 5단계의 전문직 정체성 형성 과정을 거치고 있었다. 이 과정에서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의미 있는 상호작용이 드러났다. 사회복지사의 전문직 정체성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사회복지 전문직의 문으로 들어서기’, ‘예비 사회복지사로서 성장하기’, ‘전문가로서 세워져 가기’, ‘흔들리는 정체성’, ‘전문직 정체성 다시 세우기’의 단계를 거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정체성을 형성을 붙들거나 흔드는 요인은 공공기관의 압박, 기관 내 역동성, 클라이언트의 태도, 전문직 공동체, 사회적 인식임이 드러났다. 커뮤니티케어는 전문직에 대한 장기적 도전 요인으로, 코로나19는 일시적 위기 요인으로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사례 통합 기법으로 전문직 정체성을 유형화하였다. 연구는 전문직 정체성 형성이 다음의 두 가지 축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발견하였는데, 하나는 실천에서 관여하는 사회체계의 수준이고 다른 하나는 전문성 지향 의지이다. 전문직 정체성의 유형 분석을 한 결과 ‘소극적 온정형’, ‘현상 유지형’, ‘실천적 모색형’, ‘급진적 도전형’과 같은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본 연구는 ‘코로나19와 커뮤니티케어의 도입’이라는 사회적 맥락에서 사회복지사가 ‘스스로 인식하는 전문직 정체성’을 이해하고자 하는 실증 연구이다. 연구는 ‘실천 현장에서 클라이언트를 대면하는 평범한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사회복지사가 되기 전부터 현장에까지 이르는 경험’을 토대로 ‘사회복지사와 유의미한 상호작용’을 고려하였다. 연구가 밝힌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평범한 사회복지사가 어떻게 정체성을 형성하는지 과정을 밝혀서 지금까지 정체성 연구에서 있었던 대상과 시기의 편협성에 대한 문제를 극복하였다. 둘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전문직 정체성의 형성에서 개인과 사회가 상호작용하는 역동적인 과정을 드러냈다. 셋째, 연구는 코로나19 유행과 커뮤니티케어라는 사회적 맥락에서 전문직 정체성과 관련하여 경험하는 어려움과 재조정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밝혔다. 넷째, 사회복지사의 전문직 정체성을 이해하는 데에 집합정체성을 이론적 틀로 놓았다. 정체성 형성에 정체성을 형성하거나 방해하는 데에 구체적으로 관여하는 상호작용을 밝혔다. 실천 현장의 사회복지사의 경험으로부터 탐색한 전문직 정체성은 타자와의 상호작용과 전문성에 대한 자기 인식, 시대적 상황이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사회화 과정에 의해 구성되는 집합체이다. 전문직 정체성은 전문성을 규정하고 경계를 정하는 데에 머무르지 않고 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대한 시대적 요구에 답하며 형성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결론에서 사회복지사 전문직 정체성 형성에 관한 이론적,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지금까지 우리 사회복지사를 양성하는 과정은 조직에서 맡은 임무를 의미하는 職에 관심을 기울이고, 반면 평생을 두고 실현하고 싶은 가치나 소명을 뜻하는 業은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어 왔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가 코로나19라는 시대적 위기 상황에서 경험한 정체성 혼란과 윤리적 갈등이 전문직 정체성을 확립하는 마중물이 될 수 있다고 제안한다. 또한 부와 빈, 건강과 질병이 그어 온 선을 흐리는 역할을 해온 사회복지사에게 내부 집단에 존재하는 내적 境界를 자각할 수 있도록 고민과 용기가 필요함을 주장한다.

      •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전문직 정체성이 사례관리수행에 미치는 영향

        차정진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전문직 정체성이 사례관리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전문직 정체성 확립과 사례관리수행 활성화 방안 마련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울산·경남지역의 광역 및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에 근무하고 있는 정신건강사회복지사 12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전문직 정체성과 전문직 정체성 하위요인 5가지(전문조직활용, 공동체의식, 자율성, 윤리의식, 소명의식)를 독립변수로, 사례관리수행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전문직 정체성은 사례관리수행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전문직 정체성 하위요인 중 윤리의식이 사례관리수행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나머지 4개 하위요인(전문조직활용, 공동체의식, 자율성, 소명의식)에서는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전문직 정체성 확립과 사례관리수행 활성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고 이에 따라 정신건강영역에서의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 광고 메시지가 제품 구매 의사에 미치는 영향 : 자아해석과 브랜드 이미지를 중심으로

        조민경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새로운 플랫폼의 등장과 함께 광고의 형태도 변화해가고 있다. 광고는 짧은 시간에 소비자에게 메시지를 전달하고 제품을 구매하도록 유도해야 한다. 그러나 모든 브랜드가 동일한 방식으로 메시지를 구성한다면 이는 제품 판매에 효율적이지 않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 이미지와 자기해석을 중심으로 어떤 광고 메시지가 제품 구매 의도에 더 큰 기여를 하는 지를 알아보았다. 실험에 사용된 메시지는 소비자의 정체성을 메시지 내에 포함한 정도를 기준으로 나누었다. 정체성 표현 정도가 낮은 정체성 준거 메시지와 정체성 표현 정도가 높은 정체성 정의 메시지가 사용되었고, 브랜드 이미지는 프리미엄 브랜드와 저가 브랜드로 나누어 실험했다. 먼저, 브랜드 이미지만 고려했을 때에는 프리미엄 브랜드 구매 상황에서는 정체성 정의 메시지에 노출되었을 때가 정체성 준거 메시지에 노출되었을 때 보다 구매의도가 약간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저가 브랜드 구매 상황에서는 정체성 준거 메시지에 노출되었을 때가 정체성 정의 메시지에 노출되었을 때 보다 구매의도가 높았다. 서로 다른 브랜드에 동일한 메시지를 각각 보여주었을 때의 제품 구매 의도는 정체성 준거 메시지에서만 차이가 나타났다. 정체성 준거 메시지를 보여주었을 때, 프리미엄 브랜드보다 저가 브랜드 구매의도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반면 정체성 정의 메시지에 노출되었을 때는 두 개 브랜드 간의 구매의도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다. 자아해석 유형(독립적-상호의존적)을 나누어 메시지별 구매의도를 측정한 결과, 독립적 자아해석자의 경우 정체성 정의 메시지보다 정체성 준거 메시지에 노출되었을 때 구매의도가 더 높게 나타났고, 상호의존적 자아해석자의 경우 정체성 준거 메시지 보다 정체성 정의 메시지에서 구매의도가 높았으나 유의하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마지막으로, 브랜드(프리미엄-저가)와 자아해석 유형(독립-의존), 메시지 유형(정체성 준거-정체성 정의)를 나누어 2X2X2 결과를 확인했다. 프리미엄 제품 구매 상황에서 자아해석 유형이 독립적인 경우에는 정체성 정의메시지에 노출되었을 때 보다 정체성 준거 메시지에 노출되었을 때 구매의도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자아해석 유형이 의존적인 경우에는 정체성 준거 메시지 보다 정체성 정의 메시지에 노출되었을 때 구매의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저가 브랜드 구매 상황에서는 독립적 자아해석자의 경우 정체성 정의 메시지에 노출되었을 때 보다 정체성 준거 메시지에 노출되었을 때 구매의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반면 상호의존적 자아해석자의 경우에는 두 개의 메시지 사이에 구매의도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실험을 통해 상호의존적 자아해석 유형은 독립적 자아해석 유형에 비해 준거 집단을 참조하여 자신을 표현하고자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은 프리미엄 브랜드와 저가 브랜드에서 동일한 정체성 정의 메시지에 노출되었을 때, 브랜드 이미지가 더 높은 프리미엄 제품을 구매함으로써 그 제품이 가진 상징적 의미를 소비하고, 그로써 사회적 인정을 받아 준거 집단에 동조하려는 경향을 보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