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저소득 도시지역의 정신보건 요구

        유제춘(Je-Chun Yu),손경국(Kyeong-Kook Son),이혜경(Hye-Kyeong Lee),김사리(Sah-Ri Kim),박보아(Bo-Ah Park),강건자(Keon-Ja Kang),이창화(Chang-Hwa Lee)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04 사회정신의학 Vol.9 No.2

        연구목적: 복지를 위한 가용자원이 제한되어 있는 우리나라의 상황에서 효율적인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 수행을 위해 지역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지역 주민들의 요구에 대한 이해는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저소득 도시지역을 대상으로 정신보건과 관련된 지역의 특성, 정신보건에 대한 인식과 요구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대덕구 정신보건센터에 도보로 접근이 가능한 지역의 전체 가구인 7278가구를 대상으로 하여 경기도 의왕시 정신보건센터에서 지역사회 정신보건요구 조사를 위해 사용한 설문지를 이용해서 우편을 통한 설문조사를 하였고, 635개의 회신을 받아 분석 하였다. 결과: 조사 대상 지역은 의료보장 형태나 세대별 월수입 등 여러 측면에서 사회 안전망이 부실하고 사회경제적으로 여건이 열악한 편이었다. 그로인해 지역 주민들은 정신보건 문제의 시급성은 많이 인식하고 있는 반면 치료는 충분히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정신보건센터에 대해서도 모르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정신보건 서비스 중에서 청소년비행, 치매, 알콜문제 등에 대한 위기개입 프로그램이 가장 필요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결론: 정신보건센터의 역할에 대한 홍보와 함께 위기개입에 대한 정신보건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적절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시행이 시급하게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

        호주의 정신보건전략에 관한 연구

        최현미 한국 정신보건 사회사업학회 2001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12 No.-

        본 연구에서는 호주의 정신보건전략을 소개하고 우리의 지역정신보건에 함의하는 바를 생각해 보았다. 호주는 1992년 연방정부가 수립한 정신보건전략을 시작으로 탈시설화를 전폭적으로 시행에 옮김으로써 지역정신보건사업을 확장하여 실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호주의 정신보건제도를 연구하기 위하여 2001년 7월과 8월에 호주 멜버른대학교의 정신보건연구소에 체재하면서 관련기관을 방문하여 시설을 관찰하고 정부 담당자와 정신보건서비스기관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국가정신보건전략 이후 빅토리이주는 주정부의 리더십으로 재정문제해결과 정신보건사업 활성화를 이룩한 것을 살펴보았고 다양한 지역사회서비스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호주의 지역정신보건의 전문화와 그 진행과정을 통해 우리가 주목할 점으로는, 우선 호주정부가 지역 정신보건에 대한 의지와 전략을 성실히 이행함으로써 재정적인 문제해결은 물론 정신장애인을 위한 지원을 확대한 점과 일정 인구비율에 따라 정신보건서비스가 지역적으로 균형이 잡혀 있고 비교적 접근가능성이 높은 점이다. 호주의 경험을 통해 우리의 정신보건 발전방안을 제안하였다. 중심단어 : 정신보건전략, 탈시설화, 지역정신보건, 팀접근 This study aims to introduce the national mental health strategy in Australia and to discuss about what it means to our mental health system. Starting 1992 Australia planned a national mental health strategy and fully implemented deinstitutionalization of the mentally ill. In order to understand the mental health system I visited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s and had interviews with their mental health workers in the state of Victoria of Australia during my stay at the Mental Health Unit at the School of Social Work, University of Melbourne in the period of July and August, 2001. In the state of Victoria, the state government closed down all of the mental hospitals and incorporated into the general hospital and established the area-based mental health services except the acute inpatient units which have only 20 beds in the general hospital. Looking at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Australian community mental health, what we koreans can learn include the Government's will for the improvement of mental health services and the balance and the accessibility of mental health services in each area. The ways of developing our mental health system have been suggested. Key Words : mental health strategy, deinstitutionalization, community mental health, team approach

      • KCI등재

        서울시 지역사회정신보건사업 운영체계 개선방안 연구 : 대상자 의뢰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이용표 (Yong-Pyo Lee),정현주 (Hyun-Ju Chung),두진영 (Jin-Young Du)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8 서울도시연구 Vol.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 지역사회정신보건사업의 민간위탁에 의해 나타나는 결과를 이해관계자의 권력관계에 초점을 두어 구체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달성을 위하여 서울시 3개 자치구의 지역사회정신보건사업관련 조직 간의 정신장애인 의뢰경로에 대한 네트워크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분석내용을 토대로 관련전문가 6명과의 면접조사를 실시하여 보다 심층적인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네트워크 분석을 통하여 첫째, 정신보건센터와 정신의료기관간 퇴원자 관리 네트워크의 부재, 둘째, 정신보건센터 네트워크활동의 자치구내 행정조직 및 정신의료기관에의 편중성, 셋째, 정신보건센터의 서비스 조정 역할의 미약 등과 같은 지역사회정신보건사업의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그리고 심층면접에서 이러한 문제점의 근본적인 요인이 정신의료기관의 자본축적기제에 의한 것임을 밝혔다. 연구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지역사회정신보건정책의 개선방안으로 첫째, 정신보건센터 위탁정책의 폐지, 둘째, 정신장애인의 지역 사회 지지체계의 확충, 셋째, 사업재정으로 바우처 방식의 도입을 제안하였다.

      • 서울시정신보건 기관 현황 추이분석을 위한 조사연구

        성혜연,장세연,최지애,손지훈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2017 정신건강연구집 Vol.7 No.-

        • 연구목적 : 본 조사연구는 서울시의 정신보건 예산, 시설현황, 인력등의 인프라 및 등록 대상자 현황에 대한 추이를 분석해 서울 시의 정신보건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활용 및 서울시정신보건 인프라 현황에 대한 주요지표를 산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 행됨. • 연구방법 : 본 조사연구는 서울시비 지원 약 170개 정신보건기관을 대상으로 2016년 4월, 2017년 3월 수행됨. 6개영역 28 개 세부항목으로 구성된 조사표를 통해 진행되었으며 일부 데이터는 서울시정신보건정보관리시스템을 통해 수집됨. (※본 조 사는 조사시행연의 전년에 대한 현황을 조사한 것이며, 분석항목일부에 대한 결과를 본 연구집에 수록함) • 연구결과 : 서울시의 정신보건예산은 2015년 대비 2016년 6.7% 증가, 정신보건기관수는 2015년 대비 2016년 1.2.% 증가 함. 서울시 정신보건기관 인력은 2015년 대비 2016년 2.3% 증가하였으며 2015년 대비 2016년 전문요원의 수는 2% 증가 함. 등록 대상자 현황에 있어서는 2015년 대비 2016년 25.6% 감소했고 2016년 기준 등록대상자의 정신건강 문제유형의 경우 정신병적 장애(F20-29) 45%, 기분장애(F30-39)34%, 소아청소년기 행태 및 정서장애(F90-98) 11%로 나타남. 또한 등록대상자의 자살사망은 2015년 31명에서 2016년 18명으로 42%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 결론 : 서울시의 정신보건 예산, 인력, 기관은 매년 양적 팽창을 하고 있으나 그 증가세는 감소하고 있는 추세임. 본 조사결과를 토 대로 한 후속 연구를 통해 수요대비 인프라 공급에 대한 적정량에 대한 추계와 이에 기반한 서울시정신보건정책 수립이 필요함. • Objective : This survey study aims to analyze the trend of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 mental health infrastructure (budget, facilities, personnel, etc.) and registration target status for the purpose of: 1) providing basic reference, which can be utilized in establishing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 mental health policies; and 2) developing key indicators of mental health infrastructure status. • Methods : This survey study was done on around 170 mental health centers supported b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n April 2016 and March 2017 through a questionnaire composed of 28 detailed items in 6 fields and some data collected from Mental Health Information System of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 This study conducted year-on-year comparison of mental health center status in 2016 and 2017 and contains analysis results of some part of questionnaire items) • Results : In 2016,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 mental health budget rose 6.7%, mental health center figures increased 1.2%, mental health center employee figures grew 2.3%, and mental health specialist figures increased 2%, whereas registration target figures decreased 25.6% and suicide death committed by registration targets declined 42% from 31 cases to 18 cases. As for mental health problem type of registration targets, psychotic disorder (F20-29) accounted for 45%, mood disorder (F30-39) 34%, and behavioral and emotional disorder of children and adolescents (F90-98) 11% as of 2016.

      • 보건소중심형 정신보건센터 모델

        이후경(Hoo-Kyeong Lee),이선영(Sun-Young Lee)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00 사회정신의학 Vol.5 No.1

        1995년 정신보건법의 제정 이후 정신보건체계가 기존의 병원 중심에서 지역사회 중심으로, 치료 위주에서 사례관리와 재활 위주로 전환되고 있다.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이하 지역정신보건사업이라 함)이란 지역사회에서 행해지는 모든 정신보건관련 활동을 의미한다. 이러한 지역정신보건사업을 원활하게 수행하는 데는 조직체계가 필요하다. 지속적이고 포괄적인 정신보건 서비스를 지역사회에 제공하기 위해서 정신보건센터는 가장 유용하며 선호되고 있는 모델이다. 정신보건센터는 정신보건사업의 조직화,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예방사업, 그리고 정신질환자관리, 사업홍보 및 주민교육, 사업인력 교육 및 훈련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경기도 지역정신보건사업에서 대부분의 정신보건센터는 대학병원 정신과나 전문정신병원에 위탁하여 운영되고 있다. 이와 달리 하남시는 보건소에서 직접 운영하는 정신보건사업으로서 경기도에서 유일하게 정신보건센터을 설립하였다. 개원한 정신과전문의가 자문의로서 주1회 참여하면서 정신질환자의 약물치료와 집단정신치료를 비롯한 전반적인 지역정신보건사업에 대한 자문을 담당하고 있다. 본 보건소중심형 정신보건센터 모델은 정신과전문의의 개입을 최소화하면서 주간보호을 중심으로 하여 정신보건사업을 통합하고 관리해 나갈 수 있는 모델이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보건소형 정신보건센터 모델(중소도시 모델)의 전체적인 특징 및 체계와 조직을 소개하고, 이 모델의 정착과 정에서 나타난 여러 문제점과 특징을 살펴보며, 나아가 중소도시의 정신보건사업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모델로서 일반화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The mental health system has been changed from hospital-orientd to community-oriented, from treatment to case management and rehabilitation after the promulgation of mental health law in 1995.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 performs all the activities within the community. The structure and system are inevitably needed to perform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 smoothly.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is the best usable and favourable model for the supply of continuing and comprehensive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performs the roles which are composed of the organization of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 mental health promotion, the prevention of mental illness, the management of the chronically ill, public relation & public education, and the education and the training of personnels. Most of the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 in Kyonggi Province are deligated by the psychiatric department of university hospital or private mental hospital. On the other hand, Hanam health center established the mental health center from the starting point and has been managing it directly. The psychiatrist who has his private clinic in same area participates weekly as a consultant with the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And he has a role of the medication for patients, group psychotherapy and consultation for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 on the whole. This is the community mental health model led by health center that is operated by the least participation of the psychiatrist, and the psychiatrist is able to integrate and manage the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 in the center of day care.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introduc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general system & structure; examining several problems and phenomena exposed in the process of settlement of this model;and brooding the possibility for generalization as a model applicable effectively in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 of small or middle city.

      • KCI등재

        구성주의와 정신보건 사회사업 실천의 접목에 관한 연구

        고미영 한국 정신보건 사회사업학회 2000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10 No.-

        정신보건 분야에서의 구성주의적 사회복지 실천은 아직 생소한 주제로 간주된다. 그것은 전통적으로 정신보건 분야가 다른 분야에 비해 의학과 심리학의 영향을 많이 받은 까닭으로 보인다. 이 논문은 전통적인 사회복지 이론에 대한 구성주의의 입장을 밝히고 정신보건 실천 분야와 관련된 구성주의적 실천의 원칙과 함의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본고는 모든 이론은 가치와 이념의 영향을 받고있으며 이는 사회적으로 구성된 것임을 밝히고 이러한 과정을 실천에 반영하는 자아성찰적인 실천을 한 대안으로 제안하였다. 특히 내담자와 실천가의 협동작업으로 현실에 대한 인식과 정의의 폭을 넓히고 새로운 의미와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이야기의 생성을 변화의 내용과 방향으로 제시하였다. 21세기를 맞이하여 전 학문 분야에서 일고 있는 포스트모더니즘의 확산과 영향력은 막을 수 없는 거대한 흐름을 이루어 인문 사회과학에도 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사회사업 실천에서도 이러한 사회적, 학문적 영향에 힘입어 조심스럽게 구성주의적 패러다임의 논쟁이 시작되고 있으나 아직 정신보건과 관련된 사회사업 실천에서는 그러한 논의가 매우 미미하다. 그것은 정신보건 분야가 사회사업 실천에서 가장 의학적이며 심리학적인 전통에 입각한 실천을 해왔고 그 학문들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다는 점과 정신보건 분야의 뿌리가 과학적이며 객관적이라고 인정받는 경험론적 패러다임에서 출발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미 포스트모더니즘과 구성주의적 논쟁은 모든 경험론적 패러다임에 기초한 학문 분야에 강한 도전을 주었고 실용성과 유용성을 문제 삼아 비판의 수위를 높여가고 있는 이때에 정신보건 사회사업도 그 예외가 될 수 없다는 것은 명확하다. 구성주의의 도전은 이전의 전통과 이론들을 모두 말살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이전에 아무도 제기하지 않았던 인식과 지식에 대한 의미를 고찰해봄으로써 실천에 주는 함의를 새로운 각도에서 도출하는 것이다. 이것은 외부로부터 주어진 객관적 지식에 대한 맹목적인 수용에 대하여 회의를 가져보고 앎이란 무엇이며 그것을 실천한다는 것의 한계는 무엇인지를 고민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한다. 특히 한국 정신보건 사회사업은 무분별한 서구 이론의 수용으로 한국적 상황에 적절한 실천 방법이 아직 없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우리가 간과해버리기 쉽고 비판 없이 받아들인 많은 실천 개념과 방법들에 대한 반성을 요구하는 시점에서 구성주의적 논의는 적절하다고 보여진다. 또한 구성주의적 시각이 제시하는 실천적 함의가 어떻게 정신보건 사회산업과 연관되어 적절하며 대안적인 실천 방법을 제시하는 지 알아보는데 본 논문의 의의가 있을 것이다. 본고에서는 정신보건 사회사업 실천에 관하여 구성주의가 어떤 점을 시사하며 현재 사용되는 이론에 대하여 어떤 입장을 가지고 있는 지를 먼저 살펴보고자 한다. 이와 더불어 새로운 시대와 내담자들의 욕구에 부응하는 실천의 가치와 방향을 구성주의적 실천 원리에 입각하여 모색해 보고자 한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ideological nature of theory and the ways ideology becomes infused into social work theory and practice. Social work has been a value-laden practice through out its history. However, the narrowness of our conceptual frameworks does not allow the recognition of the value and ideology behind the so-called scientifically based theory and knowledge. The constructivist approach in mental health suggests to move away from the narrow application of the diagnostic labeling and the upholding of normality. Instead, the reflecting practice is suggested as an alternative to get involved in the client's experience and to create a meaningful narrative that provides a broader choice for the client's life.

      • KCI등재후보

        정신장애인의 회복에 대한 정신보건전문요원들의 태도 연구

        하준선,윤숙자,변은경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10 한국장애인복지학 Vol.- No.12

        This study was made to see how the disabled people’s participating in the economic activities, social support and disability identity and discrimination experience affect on the social integration. The utilized data is the disabled people’s discrimination and experience survey(Lee Ick-Seop, et al., 2009) to analyze 531 disabled adults. The analytical result, social support and disability identity acted as the partial mediator in the process between their participating in the economic activities and social integration. The discrimination experience is shown to have the moderating effect in the process between their participating in the economic activities and social integration. Therefore, the social effort that is the basic premise of the disabled people’s independent living should be given in various levels. In the macroscopic level, the active employment policy of the disabled people and the Disability Discrimination Act should be thoroughly fulfilled and monitored. It is necessary to induce the understanding and discrimination change of the disabled people in the community level, and promote the member of community to be the social support resource. The disability service provider or disabled group should be interested in the disabled people’s intensifying disability identity.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회복에 대한 정신보건 전문요원들의 태도를 살펴보고, 정신보건전문요원들의 특성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정신보건전문요원들의 정신장애인의 회복에 대한 태도는 매우 긍정적이었고, 정신보건사회복지사와 정신보건간호사간의 회복태도에도 차이가 없었다. 정신보건전문요원들의 연령, 학력, 근무기관, 근무연수는 정신장애인의 회복에 대한 태도에 차이를 보이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기관소재, 기관장배경, 기관운영 연수, 기관주체 변인들은 정신보건전문요원들의 정신장애인 회복에 대한 태도에 차이를 나타냈다. 직원구성에 있어서 정신보건전문요원인 정신보건간호사, 정신보건임상심리사, 정신보건사회복지사가 모두 상주해 있는 시설의 정신보건전문요원들의 정신장애인에 대한 회복태도가 비상주 시설보다 더 긍정적이었다.

      •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의 현황과 전망

        황태연(Tae-Yeon Hwang),이주훈(Joo-Hoon Lee)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01 사회정신의학 Vol.6 No.1

        1995년 정신보건법 제정과 함께 시작된 지역사회 정신보건 사업은 공공부문의 취약한 정신보건체계로 인하여 민관협력으로 설립된 정신보건센터를 중심으로 전개되어 왔다. 지난 6년간 정신보건센터는 1개소에서 46개소로 증가되었으나, 이중 서울 경기지역에 26개가 편중되어 지역간 격차를 보이고 있다. 정신보건사업 예산은 전국적으로 1997년 12억에서 2001년 50억으로 증액되었고, 센터의 인력은 간호사가 55%, 사회복지사가 40%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이들의 업무중 사례관리가 27%, 주간재활이 22%, 행정 21%를 차지하여 행정업무가 과다하였다. 센터의 프로그램은 환자의 재입원을 줄이고, 증상 및 기능의 호전을 가져왔고, 직업재활 및 거주프로그램이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같은 기간 사회복귀시설은 센터보다 더 빠른 속도로 늘어나, 97년 6개소 였던 것이 2001년에는 60개소였고 종합훈련시설이 52%, 주거시설이 25%, 생활훈련시설이 20% 순이었다. 향후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정신보건법을 개정하여 정신보건센터를 명문화하고, 재원을 안정적으로 확보하여 인력 및 서비스 수준을 향상시키고, 공공부문과 민간부문, 보건의료와 복지부문의 역할의 정립과 상호협력이 필요하다.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s in Korea were provided mainly through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CMHC) by the collaboration and contract between public and private sectors after establishment of Mental Health Law in 1995. During past 6 years, the number of CMHCs has increased from one in 1995 to 46 in 2001. Among them, 26 CMHCs are concentrated in Seoul and Kyonggi Province compared with 1 in Cheju and 2 in Chungcheong Province. The budget for the CMHC were 1.2 billion won in 1997 and increased to 5 billion won in 2001. Mental health workers in CMHCs are mainly composed of psychiatric nurses(55%) and social workers(40%). They spent their time on case management(27%), rehabilitation program in CMHC(22%), and administration(21%) Most of the mental health workers complained of over-loaded administrative job and wanted to spend their time on direct services and community resources development. CMHC’s programs reduced rehospitalization rates and effected positively on the symptoms and functions of the members. Among the rehabilitation program, vocational and residential programs contributed to the better outcomes of the members. Rehabilitation facilities increased rapidly from six in 1997 to 60 in early 2001. For the development of community mental health, the government should do amendment of Mental Health Law to define CMHC’s role and function. Also the government must allocate more budgets for the provision of better services and recruitment of qualified mental health workers. Better outcomes in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s for the patients and their families, collaboration between department of public health, private mental health facilities, and social welfare facilities are mandatory.

      • 지역사회 정신보건 사업의 모델

        황태연(Tae-yeon Hwang)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00 사회정신의학 Vol.5 No.2

        정신보건법 제정 이후 지역사회에 서울시 강남구와 경기도 수원시에 지역사회 정신보건센터가 설립되어 지역내 만성정신질환자를 위한 정신사회재활 서비스를 시작한 이래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에 의해서 많은 정신보건센터가 설치되어 이제 전국에 44개소를 헤아리게 되었다. 이와 동시에 인구수가 적거나, 예산배정이 어렵거나, 전문인력이 부족해 센터가 설치되지 않은 지역에서는 방문보건 요원들에 의해 정신보건 서비스가 시행되고 있고, 사회복귀시설 또한 설치되어 많은 정신장애인들에게 사회복귀와 지지를 제공하여 입원을 줄이고, 기능을 호전시키는데 기여하고 있다. 그러나 수년간 갑자기 많은 지역사회 정신보건 시설과 서비스가 제공되면서 어떻게 효과적으로 재원이 분배되고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논란이 있어왔다. 서비스의 공공성을 강조하는 견해를 가진 전문가 측에서는 보건소를 중심으로, 서비스의 접근성과 질을 강조하는 전문가 측에서는 민간참여형 센터를 중심으로, 또 기존 자원의 이용을 강조하는 쪽에서는 복지관을 중심으로 사업을 전개하자고 주장을 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한정된 재원과 인력을 효과적으로 이용하자는 의견과 환자들과 가족이 요구하는 정신보건 서비스는 현실과 거리감이 있으므로 더욱 새로운 재원과 인력을 투자하자는 의견 또한 대립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지역사회 정신보건 사업의 다양한 모델들을 검토하고, 향후 우리가 채택할 수 있는 모델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고자 한다. After opening of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CMHC) in Seoul and Kyonggi Province for psychosocial rehabilitation of the chronic mentally ills in the community, now there are 44 CMHCs nationwide established by the joint effort between central, local government and private sector. Because of small population, lack of budget, and lack of mental health professionals in the community, many public health offices(PHO) are providing mental health service primarily by the home visiting nurses. Residential facilities and vocational workshops are established to reduce recidivism and improve functioning of the chronic mentally ills. Rapid growing of these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 and programs called debate in the issues of financial resources distribution and service delivery system. Professionals who emphasized public aspect of these services advocate PHO-centered delivery of services. On the other hand, professionals who thought consumer-oriented mental health services accompanied with quality of care and easy accessibility urged CMHCs should be the center for community services for the integration of mental health services. Other professionals started services based on welfare facility to stress existing resource utilization in the community. Among these debates, an opinion that said utilization of limited financial and human resources is opposed to another that said new investment and reimbursement should be done. The author reviewed various models of community mental health delivery and suggest new model for the future.

      • 지역정신보건센터의 균형성과관리시스템 구축

        박수빈(Subin Park),홍진표(Jin Pyo Hong),용효중(Hyo Joong Yong),정희(Hee Jung),이은정(Eun Jung Lee),황윤정(Yun Jeong Hwang),박연옥(Yeon Ok Park),류진(Jin Ryu),이영(Young Lee)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09 사회정신의학 Vol.14 No.1

        연구목적: 최근 다양한 관점에서 성과를 설계하고, 조직전체의 성과를 강조하고, 성과에 의한 모니터링과 사후조치를 강화한 전략적 성과관리체계인 균형성과관리제(Balanced Scorecard, BSC)의 공공부문에 도입이 확대되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정신보건센터 중 최초로 BSC를 도입한 강동구 정신보건센터의 BSC구축과정을 소개하고자 한다. 방 법: 강동구 정신보건센터 는 2008년 8월 BSC를 도입하기로 결정한 후, 전문가의 자문을 받으면서 조직구성원 전체가 참여하여 2008년 12월 강동구 정신보건센터 BSC를 구축하였다. 결 과: 강동구 정신보건센터는 '안전하면서도 역동적인 정신건강 네트워크를 통해, 지역주민들의 니즈(욕구)에 맞춤화된 최적의 정신 건강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지역주민들이 정신장애에 대한 편견 없이 함께 어울려 사는 삶' 이라는 비전 아래, 시민, 프로세스, 학습 및 성장 관점에서 전략목표를 수립하고 전략지도를 도출하였으며, 각각의 전략목표에 대한 성과목표 및 성과지표를 개발하 였다. 강동구정신보건센터 BSC의 특징과 의미는 다음과 같이 함축된다. 첫째, 강동구 정신보건센터 BSC 구축은 지역정신보건 사업의 성과를 다양하고 균형적인 관점에서 평가하고 관리하고자 한 최초의 시도이다. 둘째, 강동구 정신보건센터의 BSC 구축은 정신보건센터가 행정기관에 의해 수동적으로 업무평가를 받는 대상으로 머물지 않고, 능동적인 사업의 주체가 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다. 셋째, 강동구정신보건센터의 BSC는 외부 용역에 의해 구축된 것이 아니라 조직구성원 전체의 참여에 의해 구축되 었다. 넷째, BSC구축 과정 동안 지속적으로 외부전문가의 자문을 받으면서 진행함으로써 내외부 시각의 균형을 담은 BSC체계를 구축할 수 있었다. 결 론: 본 연구는 지역정신보건센터에서 BSC를 도입한 최초의 연구로써, 정신보건센터나 관련시설에서 BSC를 도입하고자 할 때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