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정보화 시대의 복합 문화 시설 계획안 : 인사동 미디어 아트센터

        김지연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우리는 지금 정보화 시대에 살고 있다. 정보사회는 1940년대부터 미래학자들의 입에 오르내리기 시작하였고, 마이크로 컴퓨터와 정보통신기술이 급격하게 발전하면서 현실화되기 시작하였다. 미래 학자에 따라 정보화 사회는 후기산업사회, 고도 지식사회로도 불리기도하며 다양하게 정의되어 지고 있다. 20세기 중반이후 컴퓨터의 발달은 아날로그에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하이퍼미디어로 정보매체의 변화를 가져왔다. 특히,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은 기존의 문화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면서 새로운 정보문화를 형성하게 되었다. 정보문화란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새로운 정보기기의 보급이 인간생활 전반에 영향을 미치면서 정보의 중요성에 대한 사회구성원들의 인식과 활용의지를 나타내는 가치관과 규범 그리고 이들 요소들의 상호작용을 포함하는 체계"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정보문화와 관련된 용어가 다양하게 표현되고 있다. 정보화시대의 이러한 정보문화의 형성은 건축공간에도 커다란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다. 정보화시대에는 새로운 도시의 틀이 형성되어 가고 있다. 다양한 형태의 영역들이 그 복합성 속에서 연결되는 방식과 거기에서 이루어지는 물질, 사람, 정보의 흐름을 도시의 주요 구성 인자로 보는 관점이 중요하게 되었다. 그리고 현대 건축의 프로그램에는 연결의 중요성으로 인해 현대 도시의 밀집성과 복합성 그리고 네트워크 상의 흐름과 연속성이 반영되어진다. 즉, 흐름과 연결이 중요해진 정보화시대에는 도시의 프로그램을 건축이 수용하여 도시를 더욱 활기차게 해야 한다. 그래서, 정보화시대에 새롭게 형성되어진 정보문화로 인해 필요하게 된 문화시설을 계획하게 되었다. 대지의 선정은 서울시 도시중심부이면서도 전통문화자원이 풍부하고 이벤트가 많은 도시적 환경을 가지고 있는 인사동지역을 선정하였다. 계획대지의 특징은 전통문화자원이 풍부한 인사동지역에 산업화 사회의 이질적인 요소를 담고 정체성 잃은 상태로 존재하고 있다. 연결과 흐름이 중요한 정보화 사회에서 이러한 대지를 주변 상황과 연계를 가지도록 도시적 요소들을 적용하여 연결하는 측면에서 해석하여 적절한 문화시설을 계획하고자 했다. 먼저, 기존 사례분석을 통해 구성하고 있는 복합 프로그램을 조사하고, 인사동의 도시적 공간구조와 사람들의 움직임을 자연스럽게 하는 요소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인사동이 가진 일부 기능을 수용하여 인사동과 연계를 가져 사람들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하는 프로그램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정보화시대에 필요한 디지털로 저장된 문화예술정보와 정보통신네트워크를 통해 인사동 안내 서비스 받을 수 있도록 정보검색공간과 인사동 홍보전시관 기능을 삽입하였다. 왜냐하면, 특정지역의 정보화는 전통문화산업의 쇠퇴나 산업구조의 변화에 유효하게 대처하며, 또한 지역의 개성이나 독자성을 새롭게 형성하는데 기여할 것이기 때문이다. 건축 계획적 측면에 있어서는 사례조사에서 나타나고 있는 공간적 구현 요소인 연속성, 소통성, 투명성을 수용하고자 하였다. 본 작품에서는 크게 두 가지에 대한 제안을 하고 있다. 첫 번째는, 정보화로 인해 형성되고 있는 정보문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문화시설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것은 정보통신네트워크의 접근과 활용이 적극적으로 가능한 문화시설로 제안하였다. 두 번째는, 정보화 시대에는 급격한 산업화로 인해 미처 대처하지 못한 정체성을 잃은 대지를 재해석해야 한다. 정보화 도시의 성격변화를 수용하고 거기에 대응해야 하기 때문이다. 건축에서 단순히 도시의 다양한 요소를 놓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요소들을 연결하는 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We are now living in the information age. Information society started to be talked about by futurologist ever since the 1940s and it became actualized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micro-computers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s technology. The information age society is also called post-industrial society and high-knowledge society, and also defined diversely, according to futurologists. After the mid-20th century, the development of computer from analog to digital, multimedia and hypermedia have brought about changes in information media. In particular,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s technology formed a new information culture while having a great effect on the existing culture greatly. Information culture could called "the sense of value and norm of the members of the society that show their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and the will to use information, while the supply of new information machineries and tools, and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s technology influence human life on the whole; it is also the system that includes the interaction of all these factors". Also, the terms pertaining to information culture are being expressed diversely. A new city frame is being formed in the information age. The process of various forms of fields linking in its complexity, and looking at the flow of information, people and materials that are formed as the main constituent factors of city has become an important viewpoint. In addition, the closeness and complexity of the modern city, the flow of network and continuation are being reflected in the program of modern construction, due to the importance of linking. In other words, construction has to accommodate the program of the city and make the city more vigorous, in this information age where flow and linking have become important. Therefore, culture facilities that became necessary due to the newly formed information culture in the information age have been planned. Insa-dong area, which has an urban environment, abundant traditional culture resources, and where many events are held, while being in the center of Seoul, was chosen for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 of the planning site is that the Insa-dong area, which is abundant with traditional culture resources, exists in a state without identity, with incorporated heterogeneous factor of industrialized societ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lan a appropriate culture facility, by interpreting in the aspect of applying and linking urban factors so that such site can be linked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 this information society where linking and flow are important. Firstly, the complex program that is formed through the analysis of existing cases was researched, and the factors that naturalized the urban spatial structure and the movement of people in Insa-dong were investigated. A program that naturalizes the flow of people with linkage with Insa-dong, by accommodating a part of the functions of Insa-dong, was formed based on the results. Next, the functions of Insa-dong publicizing exhibition hall and information searching space were inserted, so that cultural arts information and information on Insa-dong that are saved digitally, can be in service through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s network. this is because the information-orientation of a specific area is dealt with to be effective in the change of industrial structure or decline of traditional culture industry, and also, it will contribute to the new formation of individuality or originality of an area. I tried to accommodate continuation, communication and transparency, the spatial materialization factor that are shown in case studies in the aspect of construction planning. There are two proposals for this work. Firstly, the culture facility that can actively correspond to information culture formed through information-orientation was proposed. This was proposed as a culture facility where active utilization and approach of information communications network are possible. Secondly, sites that have lost its identity by not being able to cope with rapid industrialization in the information age have to be reconstructed. The change in characteristic of the information city has to be accommodated, and corresponded according to it. A program that links each factor, not just simply placing the various factors of city together, was proposed for the construction.

      • 정보화시대의 사회 환경 변화가 제품의 조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휴대용 정보통신기기를 중심으로

        김재훈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현재 우리가 살고 잇는 21세기는 분명 디지털 기술의 혁신에 의한 사회 환경 변화로 나타난 새로운 시대이며, 정보통신과 관련된 분야에서 일어나는 기술혁신이 자아내는 정보화라는 변화의 산물이다. 그와 동시에 정보화 사회는 새로운 기술혁신을 자극하고 촉진 하면서 스스로 계속 변모하고 있으며, 그러한 변화과정에서 사회 구조와 조직원리 및 삶의 세계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사회 환경을 디자인의 기대가치에 영향을 미치며 디자인 대상인 제품의 의미, 조형, 사용자와의 관계에 있어 변화의 원인이 되고 있다. 사회적 동물인 인간은 주어진 환경을 극복하고 생존하기 위해 도구를 만들고 사회를 이루어 살아왔다. 또한 그 시대의 문화는 사회적 환경 속에서 표출되는 인간의 의지와 행위의 결과로서 사회와는 서로 뗄 수 없는 관계이다. 이러한 사회 환경 속에서 인간의 삶을 위한 도구와 기호의 제작과 더불어 조형활동이 이루어 졌는데 이를 다자인 행위라고 할 수 있다. 디자인은 인간 사회에서 생존을 위한 도구의 창조이며, 삶의 방식의 표출이며 문화적 결과물이다. 디자인 행위에 의한 결과물인 디자인물은 형태형성 전반을 칭하는 개념인 조형(造形)이라 할 수 있다. 이처럼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 환경은 디자인과 디자인물인 조형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인간이 살고 있는 사회 환경은 그 안에 존재하는 모든 제품은 서로 복잡하고 다양한 관계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실제로 사용자의 요구를 파악하고 이를 제품에 구현시키기 위해서는 제품디자인에 나타난 조형 특성에 대하여 사회 환경 변화와 관련하여 구체적으로 모색하는 것이 요구되어 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21세기의 새로운 환경인 정보화시대의 사회 환경변화와 휴대용 정보통신기기를 중심으로 한 제품 조형의 상호 인과 관계에 관하여 밝히고, 휴대용 정보통신기기의 디자인 방향과 조형의 특성의 예축에 그 목정이 있다. 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과 목적, 그리고 연구의 방법과 범위, 체계에 대하여 서술 하였으며, 2장에서는 사회 환경과 디자인, 조형의 개념과 사회 환경변화와 디자인의 관계에 대한 특성과 일반적인 개념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정보화와 정보화 사회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정보화 시대의 사회 환경 변화에 대하여 기술환경, 경제 정책환경, 사회 문화환경을 중심으로 분석 하였다. 사회 환경 변화에 대하여서는 산업시대부터 정보화시대에 이르는 시기에 걸쳐 정보화시대를 주심으로 기술 환경, 정치 경제환경, 사회 문화 환경으로 구분하여 사회 환경 변화 요인을 도출하고 이에 따른 사회 환경의 변화에 대해 시대분석법과 로드맵 기법을 통해 분석 하였다. 5장에서는 4장의 연구를 바탕으로 먼저 정보화 시대를 중심으로 시대별로 정보통신기기의 조형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리고 3장의 연구를 바탕으로 정보화시대의 사회 환경과 제품 조형의 관계에 대한 상호 인과 관계에 대하여 로드맵 분석을 중심으로 시대별로 분석표를 작성하여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결과를 종합 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향후 휴대용 정보 통신기기의 조형 특성에 대하여 전망 하였다. 결론에서는 본 논문의 전체적인 내용의 정리와 연구의 분석 결과를 요약 하였으며 앞으로의 휴대용 정보통신기기의 조형 특성에 따른 연구 방향에 대하여 전망하였다. 21^(st) century, which we are living at the moment, is a new age caused by renovation of digital technology produced by information oriented, which renovation in technology connected to informative-communication related field. At the same, the information-oriented social stimulates new technology renovation and also keeps self-transfigurate. And in the changes, it affects big amount in social structure and its member; -us and world of living. These social environment effect expectation value of design and it is the reason of change in meaning, form and users relationship in designed product. Human- the social animal created tools and a social to w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o live there. As defining human as social animal, humans behavior and thought has a close connection in social environment of the age. Also the culture of the age is result of humans thought and behavior expressed in social environment, which cannot be separated. In these social environment artwork has been created with tools for human life and symbols and this can be called design act. Design is creating living tools in human world, expressing the way of life and result of the culture. Thus our living social environment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design. Products in Social environment in which human live has complex and varied relationship to each other. Therefore to understand the needs of user and embodiment it on the product, there is need of definite search in characteristics on form of product design connected to social environment change. Therefore, this study define the new environment of 21st century called the information oriented age and social changes of it and inter-retribution in changes of product design based on carry able informative-communication product. Also it has the aim to predict future design of carry able informative-communication product and characteristic in form. AT page 1, writings of background of study, the aim, studys method, range and system. At page 2. A close look on general terms such as general idea of social environment, design and form also characteristic and general meaning on relationship in social environment and design. AT page 3, analyzed changes in social environment of information oriented age based on social environment, focused in environments in technology, marketing planning, social cultural and design, based on the analysis of study in information oriented and information oriented age. On the changes in social environment, it has been device in technology environment, political and economical environment and social and culture environment based on information oriented age from industrial age to abstract the factor of change in social environment and It is analyzed by era analysis and planning road map technique. At page 5, Study in page 4 has been used to analyze the form informative communication product in each era, based on information oriented age. And based on study in page 3, inter-retribution in the relationship of product form and social environment of information oriented age have been analyzed generally and result has been developed altogether based on road map analysis and by drawing analysis graph of era. With this, predicted future form of carry able informative communication product. In Summery, arranged general points and result of analysis in the study and predicted direction of study in the future characteristic in form of carry able informative communication product

      • 디지털정보화시대의 공간디자인 형태특성에 관한 연구 : 모던 포스트 모던 시대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강은정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사회적인 큰 변혁과 공간디자인 패러다임의 변화는 항상 긴밀한 연관성을 보여왔다. 산업혁명은 기능적이고 간결한 모더니즘 디자인을, 세계대전 이후 대중화 시대로 접어든 1960년대의 사회적 배경은 상징성과 역사적 특징을 살린 포스트 모더니즘을 탄생시켰다. 최근에 나타나고 있는 디지털 혁명 또한 공간디자인에 큰 변화를 가져오고 있으며 많은 건축가들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새로운 형태적 시도를 선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이 시대흐름과 긴밀한 관계를 보이며 발달하는 공간디자인 패러다임의 변화를 살펴보고, 공간디자인에 있어 새 시대에는 과거시대의 어떤 개념들이 거부되어 왔으며, 어떤 새로운 개념들이 부상되어 왔는지에 대한 파악을 통해 시대 사조적인 큰 흐름 속에서 오늘날의 공간디자인의 특성을 조망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고찰을 통해 디지털정보화시대의 시대적, 문화적, 공간적 특성을 파악한 후, 실제로 이러한 특성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오늘날 대표적인 건축가로 손꼽히는 건축가들의 작품사례를 내용분석하였다. 분석대상선정을 위해 건축 및 실내디자인 관련 저널과 언론에 가장 많이 소개가 되고 있는 건축가들을 일차적으로 선정하였고, 대상선정의 타당성을 위해 앞에서 선정한 건축가들 중 다시 전문가들의 추천을 받았다. 그 결과 피터 아이젠만, 프랭크 게리, 그랙 린, 렘 쿨하스, 다니엘 리벤스킨드의 90년대 이후 작품 20사례를 분석하였으며, 분석의 기준으로는 첫째, 디자인 개념 둘째, 디자인 형태특성 셋째, 디자인 표현방법의 상위개념을 설정한 후 이에 따라 최근의 디자인 관련 연구와 문헌들이 오늘날 공간디자인의 특성으로 도출한 하위 개념들을 상위개념에 맞추어 분류한 분석 표를 만들었다. 실제 사례분석에서는 건축가들마다 이러한 하위개념 특성들이 어떠한 측면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그 형태적 특성은 무엇인지 또 건축가별 디자인 개념과 표현방법의 차이점은 무엇인지를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문헌분석과 사례분석을 통해 나타난 디지털정보화시대 공간디자인 특성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990년대 들어서면서 급속히 발달하기 시작한 디지털기술은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사회와 경제로의 변화를 가져왔으며, 이와 더불어 인터넷을 통한 생활패턴의 변화 또한 야기되고 있다. 개인의 가치관과 가족개념의 변화에서부터 교실환경, 주거환경, 그리고 여가문화에 이르기까지 우리생활의 모든 부분이 디지털기술의 영향을 받아 급속히 변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디지털의 영향력은 공간디자인 분야에까지 확대되고 있다. 디지털기술의 영향을 받은 오늘날의 건축가들은 이전시대의 공간디자인사조와 확연히 구분되는 새로운 공간형태의 가능성을 시도하고 있으며 그 결과 프랙탈 기하학, 유기성이론, 카오스 이론등과 접목된 유기적이고 비선형적인 독특한 양식의 공간디자인을 창조해 내고 있다. 이렇게 나타난 디지털정보화시대의 공간디자인 경향은 크게 모더니즘·포스트모더니즘의 전통적 디자인을 계승한 스타일과 이와 반대로 이전시대의 공간디자인과 확연히 구분되는 새로운 스타일의 공간형태를 창조하는 경향인 소위 뉴모던(New- Modern)혹은 해체(Deconstruction)주의 경향의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두 번째 해체적인 공간디자인 스타일이 추구하는 오늘날 새로운 공간디자인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디자인 개념적 특성으로, 우연적 요소와 기존 건축양식의 해체, 고정적 공간의 위계거부, 방향성의 혼재, 불확정성, 흔적의 발굴 등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둘째, 공간디자인의 형태특성으로, 유기적, 비선형적, 추상적, 부정형적, 탈의미적인 성격과 불연속의 조각적 형태나 기울어진 바닥의 활용 그리고 기능 없이 나열한 기둥등이 자주 보여지고 있다. 셋째, 공간디자인 표현방법의 특성으로, 형태의 반복, 뒤틀림, 회전, 교차, 결합, 왜곡, 분리, 회화적 파괴, 축의 혼합, 접기와 펴기 등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위와 같은 오늘날의 공간디자인 개념과, 표현방법 그리고 형태특성이 실제 피터아이젠만, 프랭크 게리, 그랙 린, 다니엘 리베스킨드, 렘 쿨하스의 디자인작품 사례에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이들의 작품은 공통적으로 ‘기존 양식의 해체’를 강하게 추구하고 있으며, 기능보다는 형태에 중점을 둔 건축작품이 많이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의 분석에 따른 이들의 건축형태의 특징은 우선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것을 ‘유기적 해체’와 ‘직선적 해체’로 명칭을 붙여 구분하였다. 전자의 그룹으로는 피터 아이젠만, 그랙 린, 프랭크 게리가 있으며 이들은 그래픽을 통해서 가능해진 유기적이고 비선형적인 디자인을 개성적으로 선보이고 있는데, 이러한 ‘유기성’은 그들의 작품을 대표하는 특징이 되고 있다. 또한, 이들과 대조적으로 렘 쿨하스와 다니엘 리베스킨드의 경우 유기적인 선을 거의 배제한 직선적인 형태를 통해 해체를 추구하고 있으며 같은 유기적 형태 혹은 직선적 형태를 추구하는 건축가라 하더라도 디자인 표현방법에 따라 그 형태적 특성이 확연히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디지털정보화시대 공간디자인의 특성과 그 정체성을 명확히 하기 위해 시대 비교적 관점에서 분석을 하고자, 이전시대 디자인 사조인 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과의 비교를 통해 오늘날 공간디자인의 특성을 종합적으로 그려보았다. 시대적 특성과 공간디자인 특성 그리고 이전시대 디자인과의 비교를 상위 분석 기준으로 하여 시대적 특성으로는 사회적이슈, 사상적 특성, 문화적 특성 그리고 시대적 영향에 따른 새로운 공간디자인 이슈에 대한 분석을, 공간디자인 특성으로는 디자인 운동, 디자인 개념, 형태특성, 디자인 표현방법을, 마지막으로 전시대 디자인과의 비교에 있어서는 이전시대로부터 계승된 디자인 요소와 거부된 디자인 요소가 무엇인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모더니즘 시대에 발달했던 기계미학이 물리적 기계를 의미했다면 오늘날에는 생물학, 의학등과 접목된 전자적 기계의 성격으로 발전했고, 모더니즘시대의 기능주의는 포스트모던시대의 다원주의로 그리고 오늘날에는 해체주의로 변화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모더니즘시대의 기계적인 추상형태는 포스트모더니즘시대에 이르러 구성적이고 상징적인 형태로 그리고 디지털정보화시대에는 구성적형태의 해체를 통한 탈의미적 형태로 변해왔으며, 또한 모더니즘 시대의 공간디자인이 진지함을 추구했다면, 오늘날의 디자인은 훨씬 표피화, 이미지화 되었고, 포스트모던시대의 맥락주의는 오늘날 상호 텍스트적인 성격으로 이어져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고 있다. 본 연구는 최근 공간디자인의 특징에 관한 산재한 정보들을 시대적인 배경과 사회적 변화 그리고 디자인 특성에 대한 비교를 포함하는 체계적인 분석기준에 맞추어 건축사조의 한 흐름으로 종합, 정리하여 판단할 수 있는 정보형태로 제공하였으며, 특히 최신 공간디자인 분석을 통해 해체주의로만 알려진 오늘날의 건축적 경향이 발달하게 된 배경과 원인을 파악하고, 건축가별 형태 표현 특성에 따라 ‘유기적 해체’와 ‘직선적 해체’로 명칭을 붙여 구분을 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더불어,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디자인 특성과 오늘날 디지털정보화시대 공간디자인 특성과의 비교를 통해 이전 시대의 디자인 요소의 성격이 오늘날까지 어떻게 변화하여 이어져왔고, 어떠한 디자인 요소가 거부되어 왔는지를 체계적으로 파악함으로써, 모더니즘·포스트모더니즘·디지털정보화시대에 이르기 까지 각 시대 공간디자인의 정체성을 좀더 명확하고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Different social revolutions and movements have a paradigmatic effect on spatial design. For example, the functional and theoretical properties of modernism were affected by the industrial revolution, and consequently post modernism which has a symbolic and historical style affected by the mass media of the 1960s. In recent times the digital revolution has had a large impact on spatial desig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hange and the paradigm of space design, focusing on which design concepts have been favored or maligned in a contemporary and historical set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tial design of today has been viewed using the method of analyzing references from relevant literature, as well as 20 example works from representative architects in the post 1990 period such as Peter Eisenman, Greg Lynn, Frank Gehry, Lem Koolhaas, and Daniel Libeskind. The criteria for analysis were design concepts,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al shape, and design method. The result obtained by analysis of those architect's works shows 'deconstruction' as a fundamental idea, and a focus upon configuration rather than functionality. However, two big differences in the characteristics of this period of architecture were found in their configuration, namely 'Organic-deconstruction' and 'Linear-deconstruction'. Peter Eisenman, Greg Lynn, Frank Gehry show organic and nonlinear properties, which are made possible through computer graphic utilisation in their design. In contrast, Lem Koolhaas, and Daniel Libeskind pursue deconstruction through linear configuration without any organic lines. Even when they are pursuing the same design concept, (organic or linear format),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work shows a great degree of variance according to the design method each architect adopts. To clearly see the properties of space design in the era of digital information, a comparison was made between modernism and post-modernism. As a result we can see that modernism entirely denies the design styles of previous eras such as bad quality materials, the unplanned configuration of furniture, disordered decoration of walls, and an atmosphere of romanticism. Whilst post-modernism accepted the functional design and incorporated regional nuances and peculiarities, it abandoned the unified design style of modernism. As digital technology has rapidly developed, the flexible application of computers are now used in the process of design. This means many new applications for architects. These new modes and methods result in de-constructive, organic, and non-functional style patterns in spatial design. Many architects have strongly pursued geometrically amorphous style formats in their work. The format of spatial design in the digital era shows much variance when compared with the functional and symmetrical use of space in modernism, and the meaningful configuration of postmodernism. Modern spatial design in the digital era makes a compromise between the mechanical sensualism of the modern age, and the contextualism of the post-modern age. This study hopes to offer information to enable th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characteristics of space design in the digital information age, as well as providing a comprehensive comparison between modernism, post-modernism and digital-information age concepts of design.

      • 정보화시대 새로운 통일외교 방안 : 동북아 평화번영과 한반도 통일을 위한 인식공동체의 역할

        허효선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role of epistemic community in conducting a new diplomacy for the Korean unification as well as the peace and prosperity in Northeast Asia in the information age. This study is based on three premises for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a new diplomacy under the rapidly changing international and Northeast Asian situations: 1) The new international environments strongly suggest that we need a new approach to promoting the Korean unification; 2)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etwork of transnational experts across national borders for solving problems related to the Korean unification and promoting peace and prosperity in Northeast Asia in the highly globalized world; 3) The peaceful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could not be achieved without consolidating the peace and prosperity in Northeast Asia. In a way to demonstrate the necessity of a new diplomacy for the Korean unification, this study made a critical review on the ROK government's unification diplomacy from historical perspective. The government's current unification diplomacy which has been focused on only the state-to-state relationship doesn't reflect some significant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Since the rapid developments of globaliz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y have been changing the international environments, the actors, contents, counterparts of diplomacy have been changed and diversified, even though states or governments still play the predominant role, functioning as the most important official channels for the Korean unification. Therefore, we need to develop epistemic community as a new actor of unification diplomacy. An epistemic community is a transnational network of top experts who are working in the academia, mass media, NGOs, as well as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with extensive knowledge and strong influence on the policy-making process in their related fields. It must be emphasized that Northeast Asia Epistemic Community would share the vision of the Korean unification as well as peace and prosperity in Northeast Asia, find out new agenda, make some joint efforts to seek some solutions, and finally draw national and international society's attentions for domestic and regional cooperation. The epistemic community's ultimate goal is to institutionalize the mechanism of the peace and prosperity in Northeast Asia including the Korean peninsula. As a new actor of unification diplomacy in the information age, ‘Northeast Asia Epistemic Community’ is effectively going to play a role at the international, domestic, and inter-Korean levels. At the international level, Northeast Asia Epistemic Community would serve as a channel for the ROK government's unification diplomacy and promoting peace and prosperity in Northeast Asia by making neighboring states understand the unification benefits and contributing to build the regional identity of Northeast Asian states. At the domestic level, the epistemic community would form and lead public opinions in favor of consolidating the South Korean people's strong will toward Korean unification as well as offer some policy advices for the government decision-makers. Furthermore, the members of Northeast Asia Epistemic Community at the inter-Korean level will share the vision of peaceful unification, and establish a high level of trust between the actors who are involved in and implement the process of gradual unification in the future. In a way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Northeast Asia Epistemic Community’, this study analyzed the role of epistemic community in the process of European integration and the unification of Germany. The successful case of German unification strongly implies that the epistemic community in Europe greatly contributed to the German unification, although the inter-German epistemic community was yet to develop in the process of the German unification, which brought out some negative consequences in the post-Unification Germa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ek the Korean unification in the context of promoting peace and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in which epistemic community would certainly play an important role. When we analyzed and evaluated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Northeast Asia Epistemic Community, most of the cases are just platforms for the simple dialogue across countries in this region without an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national and regional policy making. Nevertheless, we can find some facilitating factors to develop the epistemic community in the future. For example, Track 2 or Track 1.5 diplomacy conducted by government and non-government experts are recently becoming more and more activated. Compared to the past, the number of collaborative research and international conference has been increasing, and the field of cooperation has been diversified as well. Meanwhile, there are some obstacles, such as Epistemic Community’s weak political influence at the domestic level, lack of continuity and effectiveness of organizing international conferences and joint projects across countries in the region, as well as exerting political influence at the regional level. In addition, it is yet to build up a network of experts in North Korea who share the vision of peaceful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s well as peace and cooperation in this region with the mind of openness and reforms.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화시대에 새로운 외교방안으로서 동북아 평화번영과 한반도 통일을 위한 인식공동체(epistemic community)의 강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주로 현실주의 국제정치이론에 기반을 두고 있는 기존의 통일외교방안으로는 정보화 및 세계화 시대에 통일을 달성하기 어렵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고 있다. 구성주의적 시각을 바탕으로 새로운 통일외교로서 본 연구가 제시하는 인식공동체(epistemic community) 방안은 다음과 같은 3가지 전제에서 출발한다: 1) 정보화시대에는 새로운 통일외교 방안이 필요하다; 2) 정보화시대 외교는 국경을 초월한 전문가 네트워크가 필수적이다; 3) 한반도 통일과 동북아의 신질서 구축을 동시에 추구할 때 한반도 통일이 용이하다. 이러한 전제에 따라 본 연구는 첫 번째, 시대적 변화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기존 통일외교를 비판하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인식공동체’(epistemic community)의 역할을 소개하였다. 우리나라 통일외교의 역사적 전개과정을 국제체제의 역사적 변화의 관점에서 살펴본 결과 기존의 통일외교가 여전히 국가에만 매달려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세계화와 정보화를 비롯한 국제체제의 변화로 인해 외교의 행위자, 대상, 내용이 다원화·다양화․다변화·다층적으로 전개되고 있는 점을 고려할 때 현행 통일외교가 새로운 외교환경의 흐름에 지체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제 세계화와 정보화시대에 걸맞게 국가 중심의 통일외교를 다원화, 다양화, 다변화, 다층적으로 확대하기 위해 동북아를 중심으로 인식공동체를 형성․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의 일차적인 목적과 관심은 정보화 시대의 통일외교의 새로운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지만, 한반도 통일은 필수적으로 동북아 신질서의 태동을 의미하는 것이기 때문에 한반도를 포함한 동북아 전체의 평화와 번영을 함께 고려하지 않으면 주변국들의 지지와 협조를 없어낼 수 없을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통일외교의 범주를 한반도를 넘어 동북아 평화번영으로 확대하고, 이러한 외교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인식공동체를 가리켜 ‘동북아 인식공동체’라고 명명하였다. 동북아 인식공동체는 한반도 통일을 포함한 동북아 지역의 평화와 번영을 위한 비전을 공유한 가운데 각 분야에서 전문성과 능력을 인정받아 국내외적 정책결정 과정에서 영향력을 행사하는 전문가 집단의 네트워크를 일컫는다. 동북아 인식공동체는 국경을 초월하여 한반도 통일을 비롯한 동북아의 평화 번영과 관련된 이슈를 개발한 후 각 나라와 국제사회의 주요 정책 어젠다로 채택하도록 하며 이에 대한 효율적인 해결책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정보화시대에는 국경을 초월한 정보 및 지식의 교류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기술적․물리적 여건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인식공동체를 활용할 때, 현행 통일외교가 지닌 정부 대 정부 위주의 외교행태를 다변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두 번째, 앞으로 ‘동북아 인식공동체’가 국제적 차원, 국내적 차원, 남북 차원에서 각각 어떤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지를 구체적으로 논의하였다. 동북아 인식공동체는 주변 4국에게 통일편익을 이해시키고 동북아 정체성 정립의 토대를 제공함으로써 동북아 협력에 기초를 마련할 수 있다. 국내적 차원에서는 정책결정자들에게 정책조언을 제공하고 통일에 순기능적인 여론을 형성 및 주도하며 국민들의 통일의지와 역량을 고취시킴으로써 통일외교를 뒷받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남북 간 민족 평화통일의 비전을 공유하면서 남북통일의 당사자들 간 신뢰를 구축하여 점진적인 통일 프로세스를 이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특히 동북아 인식공동체는 경제적 상호의존과 정치·군사적 갈등이 병렬적으로 나타나는 동북아 역내 국가들 간의 행위에서 협력 가능한 공동의 이익을 도출해냄으로써 평화구축 및 제도화 과정에서 촉매제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 세 번째, 동북아 인식공동체의 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해 유럽통합 과정과 독일통일 과정에서 인식공동체가 어떤 역할을 했는지를 분석한 결과, 동북아 인식공동체가 동북아 평화번영과 한반도 통일을 동시에 추구할 때 두 가지 과제가 서로 상승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는 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또한 최근 동북아 인식공동체의 실태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경우가 지속성과 실효성이 부족한 단순한 전문가들 간 대화의 장(場)에 더 가까웠다. 그럼에도 정부 간 합의의 결과로 트랙2 또는 트랙1.5 차원의 회의가 활성화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과거에 비해 동북아 전문가들 간 공동연구 및 국제회의가 증가하고 있으며 그 협력분야 또한 다양해지고 있다는 점에서 동북아 인식공동체의 발전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하였다. 한편, 국내 인식공동체의 정책영향력의 미흡, 동북아 전문가 네트워크의 편중 및 집중 현상, 남북 인식공동체 형성의 제약 등은 장애요인으로서 이를 극복하여 동북아 인식공동체로 발전 및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정보화시대 여성을 위한 디지털 정보기기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유니버설 디자인(Universal Design)을 적용한 정보기기 중심으로

        이문우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우리는 지금 인류문명의 대전환점으로 일컬어지는 21세기에 살고 있다. 오늘날 우리가 사는 시대는 세계화시대, 징보화시대, 탈산업화시대, 다원주의시대, 지적자본 우월주의 시대, 그리고 예술 문화 전성시대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워지고 있다. 산업사회와 비교되는 21세기는 성격을 가늠해 볼 수 있는 명칭의 다양성 외에도 사회변화의 속도와 변화에 따른 개인과 사회, 인류에 미치는 영향력은 상상을 초월할 만큼 크다. 이러한 변화는 생산양식과 사회관계의 변화에서 시작하여 일상생활과 가치관 전반에 걸쳐 영향을 주고, 변화에 적응하는 개인의 적응정도에 따라 새로운 격차를 만든다. 지난 19세기부터 시작된 통신과 정보기술의 급속한 발달은 20세기 말에 이르러 인터넷과 전자상거래의 출현 그리고 IT 산업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사회·경제·문화 전반에 일대 혁명적 변화를 가져오면서 기존 산업시대는 디지털시대로 변화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디지털화로 인한 변화는 인류역사상 농업혁명과 산업혁명에 이은 제3의 혁명으로 불리울 만큼 그 변화의 폭과 속도가 엄청나다. 이런 상황에서 디지털화는 이제 선택의 문제가 아니리 생존의 문제(Digital or Die)로서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디지털은 과거의 산업 사회의 패러다임인 일방적E 커뮤니케이션을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의 방식으로 변화시켰으며, 개인용 컴퓨터의 보급은 컴퓨터를 이제 업무 뿐만 아니라 오락·통신· 쇼핑에 이르는 광범위한 영역에서 사용하도록 만들었다. 이는 컴퓨터의 사용이 소수 전문가들의 전유물이 아닌 보편적이고 일상적인 도구가 되어가고 있음을 의미한다. 즉, 발신자와 수신자를 매개로 한 전통적인 방식으로부터 1인 미디어의 시대로 진화되고 있는 것이다. 인류는 농업사회, 공업사회라는 패러다임을 경험하면서 새로운 문명을 탄생시켜 왔고, 최근에는 정보화 사회라는 또 다른 패러다임을 깨닫기 시작했다 급격한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 덕분에 정보화 시대는 태동하자 마자 그 발전의 속도를 더욱 가속화하고 있다. 그로 인하여 사회전반의 모든 활동이 신속하게 변화해 가고, 일상생활에서의 모든 흐름이 빨라짐에 따라 현대인은 자연히 가속화된 시간 감각을 갖게 되었다. 현대사회를 일컬어 ‘정보화 사회’ 라고 한다. 이는 마치 산업사회에서 자본과 동력이 전략상 중요시 되고 자원으로 변모해 왔던 것처럼 후기 산업사회 즉 정보화 사회에서는 지식과 정보가 전략적으로 중요시 되고 한 사회의 자원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말한다. 이렇게 정보의 중요성이 높아져 가고 있는 가운데 이러한 정보들을 수집·분석·처리·전송해야 하는 필요성도 높아지고 있다. 정보화란 정보를 생산, 관리, 전달. 활용하는 인간활동을 의미하며, 정보사회는 정보화가 사회 전체적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상태로서 정의된다. 정보 사회란 첨단 정보기술을 이용한 정보의 창조나 개발이 일반기계나 자연에너지를 이용한 물재(物財)나 서비스의 산출보다 부가가치나 인력분포의 면에서 보다 큰 비중을 차지함으로써 전체 사회가 정보가치의 창출에 주력하는 상태로서 규정된다. 정보 사회의 특징을 보면 첫째, 창의력과 감성적 능력이 힘을 발휘하는 사회이며, Hard Society에서 Soft Society로 성격이 바뀜에 따라 여성들이 능력을 발휘하기에 적합한 환경이다. 둘째, 쌍방향적 커뮤니케이션이 새로운 대화방식으로 등장함에 따라 정보사회는 수직적·직선적 관계에서 수평적 연결망적 특징을 갖는 사회가 된다. 하지만 이러한 특징을 갖는 정보사회의 미래는 낙관적인 전망만으로 이어지지 않는다. 정보사회는 새로운 생산 요소만 정보의 소유 및 활용 여부에 따른 정보격차(Digital Divide)를 야기한다. 산업사회에서 부의 불평등이 정보 불평등으로 이어진다면 이는 우리에게 정보 활용도의 제고를 통한 생활의 질 향상이라는 새로운 과제를 남긴다. 정보화 사회에서 디지털 정보의 활용은 경제적으로 부가가치를 생산할 뿐만 아니라, 개인 및 가족의 오락 그리고 여가생활, 의료 시스템, 문화생활 등 생활전반에 영항을 미치게 된다. 즉 정보에의 접근성이나 활용도가 떨어진다는 것은 개인 및 가족의 전반적인 생활의 질이 낮아짐을 의미한다. 또한 정보화 시대 가정의 기능이 생산적 기능에서 소비적 기능으로 이전되므로 이제는 정보자원을 중심으로 가징 내에서의 정보생산 활동이 활발해지고 있다. 가정체계의 생산적 역할이 약화되고 가족원들의 욕구충족을 위해 점점 더 시장의 재화와 서비스에 대한 의존성이 높아지면서 소비자로서의 가계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정보기술의 발전과 인터넷의 보급은 의사소통의 방식을 쌍방향의 네트워크형으로 전환시켰고 이는 정보사회에서의 가정체계를 더 이상 정보의 수용자로서 머물지 않고 능동적인 정보의 생산자로 기능 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정보는 빠른 발전속도로 발전하고 있으며 정보를 검색·창출·활용할 수 있는 가정과 그렇지 못한 가정과의 괴리를 생성하게 되었고, 이것은 산업사회에서의 빈부격차 보다도 훨씬 심각한 문제로 대두될 수 있다. 즉 정보사용 능력이 없는 사람은 정보사회에서 낙오되어 새로운 소외계층으로 등장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정보사회에서는 컴퓨터의 사용능력과 정보사용능력, 지식과 정보의 가공 및 창출능력이 생산활동의 원천이 되므로, 이러한 정보격차가 세대간에 일어날 경우에는 가족원간의 소외감이 야기되고 정보를 많이 가진 자와 적게 가진 자간의 차이로 인해 생활의 질 또한 달라질 것이다. 정보화시대 가정의 역할 변화로 인하여 과거의 주부 역할만을 가지고는 현대의 주부 역할을 수행하는데 큰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고 본다. 이는 주부에게 예전과는 다른 능력을 요구하는 시대로 변화되었음을 의미한다. 단순히 어머니, 아내로써의 역할(Housewife)이 아닌 전문적으로 주부’ 의 역할을 수행하는 가정관리자(Homemaker)로서의 여성의 역할이 중요하게 지적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현대적인 지식과 경험을 필요로 한다. 남편과의 다양한 대화와 폭 넓은 사물에 대한 이해로 자녀를 양육하고 교육시키는 교육자로써의 주부, 그리고 풍요로운 문화생활과 풍족한 경제생활을 위한 주부의 가정경제 분담 역할은 전통적인 여성의 역할과는 그 차이가 있다. 가정을 돌보면서도 자신만의 독특한 지식과 기술로 주부의 전문화, 차별화 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이 요구되고 있다. 산업사회와는 달리 정보화 시대는 많은 양의 정보를 선별하여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이러한 정보의 습득과 활용은 기존의 학습 방법으로는 정보의 발전속도를 맞추기 불가능하며. 따리서 정보기기 활용의 필요성은 더욱 증대되고 있다. 이렇게 정보화 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정보활용 능력의 부재는 새로운 장애로 확대 해석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장애의 극복을 위해 유니버설 디자인의 개념을 접목하여 기기에 누구나 손쉬운 접근과 활용을 이룰 수 있게하여 인간과 인간사이의 원활한 정보 공유로 발전하여 인간중심의 사회에 초석이 되었으면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변화에 대비한 문화교류 및 정보교환과 처리를 합리화 하기위한 정보화시대 여성을 위한 정보기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1장에서는 본 연구의 방향 설정을 위한 연구 배경과 목적을 제시하고 연구 범위 및 방법에 대해 서술하였다. 2장에서는 디지털 시대에 대한 핵심적인 개념 설명과 디지털 환경이 파급되어 발생할 현상들에 대해 서술하였다. 3장에서는 정보화 사회의 개념과 특징 등을 토대로 앞으로 전개될 정보화의 변화 양상과 그에 따른 부작용 등을 문헌과 자료를 중심으로 다루었다. 4장에서는 차후 제시될 디자인 컨셉 설정의 토대로서 3장에서 분석되어진 내용을 근거한 정보화 시대의 파급효과를 분석하고 새롭게 야기되는 가정의 정보화 도래와 이로 인한 여성 정보화의 현황과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5장에서는 앞서 분석되었던 내용과 유니버설 디자인의 분석적 결과를 접목하여 유니버설 디자인과 여성을 위한 제품디자인의 합목적성 및 유효 적절성의 당위성을 기술하였다. 6장 결론 부분으로 본 연구로 인하여 적용될 수 있는 여성을 위한 정보기기 디자인의 제시와 아울러 향후 전개되어질 제품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본 논문에서는 정보화 사회의 도래와 발전으로 인한 환경의 변화를 인식해 보고, 정보화의 진행으로 인한 가정의 변화모습을 통해 가정 내에서의 여성의 역할의 변화를 도출하여 정보의 중요성이 날로 더해가는 요즈음 여성의 정보화가 왜 필요한가를 중심으로 그에 따른 효율적 이용 방법과 대응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We are living in the 21s' century, which is a great turning point for the human race. The age, we are living in right now, is called in many different names, like the age of globalization, information, de-industrialization, pluralism, superiority of intellectual capital, and the age of prosperity for art and culture. In addition to the diverse names that tell us a lot about the 21St century, which is different from the industrial society, speed of social change is enormously great, and also the affect on individual, society, and mankind. These changes start from the production pattern and social relationship, and widely affect the everyday-life and one' s sense of value. It also forms a gap between the ones that have adapted the change and the ones that haven' t.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y that started in the 19th century, Internet and electronic commerce has arisen, and the information technology has grown remarkably. These evolutions brought revolutionary changes through out society, economy, and culture, which started to turn the industrial age into the digital age. The speed and the diversity of changes, which result from such digitalization, is so tremendous that it can be call the third revolution, following the agriculture revolution and the industrial revolution. Considering these circumstances, digitalization, nowadays, is not a matter of choice, but a matter of Digital or Death. Digitalization has changed one-way communication, which is the paradigm of the industrial society, into a bilateral communication. And also the spreading of PCs (personal computers) has made computers into necessities that are, now. being used in various areas. In other words, the traditional way of communication. which has a sender and a receiver, is evolving into a personal-media era. Mankind has brought forth new civilizations through agriculture and industrial society, and recently they have started to perceive a now paradigm called the information society. Due to a rapid growth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y. the information society is greatly accelerating its speed of changes, following its birth. As a result, all the activities through out society are changing promptly. And these speeding-ups of all flows of everyday-life has given up-speeded sense of time to the modern people. Modern society is called the 'information society'. Knowledge and information are becoming an important resource of the information society, like capital and power was considered important and has become the main resource for the industrial society. Thus,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is increasing, also the needs for gathering, analyzing, processing, and transferring these information are becoming higher. Informationalize is production, management, transfer. and use of information, and information society is defined as a state where informationalize is spread through out the society. Information society is also defined as a state where the entire society concentrate on creating information values, for creating and developing information through high-information technology is considered more important in added value or distribution of manpower aspect compared to the production of services or goods using machines and energy. If you look at the distinctive features of information society, first, it' s a society where creativity and sensitivity is considered important, and character of the society has changed from Hard to Soft, which is a adequate for women to show their ability. Second, the information society became a lateral and interconnecting society from a vertical and straight society, due to the appearance of bilateral communication. But the future of information society with such distinctive features is not as bright as it seems. The information society causes Digital Divide, which is due to possession and application of information, which is a new production element. If inequality of wealth of industrial society continues on to inequality of information, we are confronted with increasing the quality of life through reconsidering the use of information. The use of Digital information in information society not only produces economic added value, but also affect the everyday-life such as amusement of individual and family, leisure, medical facility, and culture. The function of families of information era has changed from productive to consumption, and the production of information inside families, nowadays, is growing fast around information resources. The consuming role of families are becoming stronger due to the weakening of productive role of families. and the increasing dependence of services and goods of the market to satisfy the needs of family members. But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spreading of internet have changed the way of communication to bilateral network, and this made it possible for families to not only receive but also produce information. Among these changes information is changing rapidly, and the families that can search, create, and use the information are being separated from the one that can' t. And this can become much worse of a problem than the separation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of the industrial society. In other words, the possibilities of the ones that don' t have the ability to use information are to fall behind in the information society and form a new type of alienated stratum is growing higher. In the information society the ability to use computers and information, along with creating and process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are the source of production, so if the separation of information appears between generations, sense of alienation will occur between family members, and the quality of life between the ones possessing more information and the ones that doesn' t will be different. Due to the change of roles of families in the information age, housewives of the past will have many difficulties if they keep to their roles of the past. This means the society have changed where abilities that are different from the past are required for housewives. Simply not just a role as a housewife but also a role as a housemaker, who carries of the role of a housewife in a professional way, is becoming important. This requires modern knowledge and experience. A housewife who raises and teaches her child with overall understanding of things and various conversations with her husband, and a housewife who shares the family finance for an abundant life. are different from traditional housewives. The ability to specialize and differentiate the role of housewives with distinctive knowledge and technique while taking care of the family is being required. Different from the industrial society. in the information society, the ability to select and use a lot of amount of information is required. It is impossible to keep up with such learning and using of information through existing learning method, so the necessity of information equipment is growing higher. Due to such change in the information environment, absence of ability to use information are being over looked as a new handicap. To over come these handicaps we have combined the concept of universal design, so anyone can easily access and use equipment. And we hope this will develop into smooth sharing of information between mankind, and become the foundation of a society where mankind is considered most important. This study would like to propose a information equipment for women of the information society to rationalize the cultural and information exchange and process preparing such changes. In the First Chapter, the background for setting the direction of this study and the object of the study are presented, and the range and method of the study are described. In the Second Chapter. explanation of main concept about digital era and phenomena that might occur due to the spreading of digital environment are described. In the Third Chapter, aspects of information change of the future and its side effects based on distinctive features and concepts of information society, following documents and data. In the Forth Chapter, we analyzed the effecting of spreading of information era. which will be the base for setting the design concept that will be presented later, based on the 3^'d chapter. and also deducted the present condition and necessity of informationalize of women due to the informationalize of families. In the Fifth Chapter. through combining the analyzed contents of the ones before and the ones of the Universal design, we described the reason why the Universal design is appropriate for product design for women. In the Sixth Chapter, designs of information equipment for women that can be applied through this study. are presented, and also the direction of designs of the future. Thus, in this essay we would like to go over the change of environment due to the arrival and development of information society, and deduct the change of roles of women in a family through change of family due to progressing of informationalize. Finally, we would like to think about effective ways and correspondences of using the fact that the informationalize of women is important.

      • 21세기 정보화시대의 리더십에 관한 연구

        이기용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703

        아리스토텔레스가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라고 지적했듯이 인간은 본의이건, 아니건 간에 사회집단 또는 조직을 떠나서는 생활할 수가 없다. 우리의 일상사는 많은 사회집단의 관계속에서 이루어지며 또한 인간은 그들이 맺고 있는 다양한 사회적 상호작용(Social Interaction)을 통하여 생활하는데 여기서 나타나는 대부분의 인간관계는 指導와 被導의 관계로 형성된다. 따라서 원만한 사회생활의 당위성을 위해서는 인간관계를 원활하게 해주며 이들이 속한 집단이나 조직의 목표달성을 효과적으로 수행해 나가는데 절실히 요구되는 것이 지도자(Leader)의 지도성(Leadership)이다. 그리고 지난 1세기동안 유지되어온 계층제 조직구조와 명령통일의 원칙이 근간이된 조직구조가 한계를 드러내며 개혁의 대상이 되고 있는 이유는 바로 정보흐름의 병목현상을 초래했기 때문이다. 정보흐름 이라는 혁명은 새로운 생존논리를 요구하고 있다. 이 흐름은 거대한 블랙홀처럼 기존의 모든 것을 삼켜 새로운 것을 토해내고 있다. 그리고 개인이나 기업이나 국가에 대해 같은 속도로 같은 규모로 진화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같은 흐름이 요구하고 있는 것은 사회진화 때문이다. 흐름이라는 진화속에서 새로운 리더가 급부상하기도 하고 유능한 리더가 뒤안길로 물러나기도 한다. 이제 정보흐름에의 순응은 생존의 필요조건이 되어버렸다. 오늘날은 정보흐름이 너무도 급속하게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관리환경에 불확실성 및 복잡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로 인해 리더에게는 고도의 정보창출 및 정보유통능력이 요구되지만 수직·수평으로 지나치게 세분화된 계층형 구조에서는 정보흐름의 병목현상이 나타날 수밖에 없으며 의사결정의 지연현상을 유발하기 쉽다. 시간중심의 경쟁상황에 민첩하게 대응하기 위해서는 의사결정이 신속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그때문 예전이나 지금이나 조직의 성패는 리더에게 달려있다고 한다. 지금까지 비대한 피라미드식 계층구조로는 리더가 정보화 사회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가 없으며 리더가 조직의 정보유통을 신속하게 하고 핵심업무의 유가적 협조를 통하여 조직의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해 대두되는 형태가 수평적조직, 단순한 조직, 네트워크조직으로 변화시키는 것이다. 과거 산업사회에서는 공사조직을 막론하고 훌륭한 리더는 양의 산출에 의하여 그 역량이 평가되었다. 그러나 정보화사회가 도래되면서 공사조직을 막론하고 고부가 가치를 창출하는 능력이 리더십을 평가하는 기준이 되고 있다. 정보화 사회에서는 눈에 보이지 않는 소프트(Soft)한 것들이 더 결정적인 경쟁력의 원천이 되고 있으며 기술과 같이 눈에 보이지 않는 지적인 것이 부의 원천이요, 생산과 소비의 주체로 등장했기 때문이다. 정보화시대의 리더십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가장 핵심적인 결론을 얻었다면 이제 리더는 지시통제자가 아니라 하급자의 성실한 조언자요 동료가 되어야겠다는 것과 하급자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자극을 주고 스스로 모범을 보이며 궁극적으로는 관리가 필요없는 수준까지 조직의 힘을 배가 시키는 것이 리더의 능력이다. 과거의 리더십은 권위와 힘, 관리방법, 복종과 이행 등이 중요한 가치로 강조되었지만 이제는 개개인의 능력에 대한 의존도가 조직의 성패에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다. 성공적인 리더십은 자질, 상황, 공식적교육과 훈련, 경험 등에 의하여 성취될 수 있는 복합적인 실체이다. 이것은 리더십의 발전에 이들 요소가 개별적으로 작용하기 보다 전체적으로 효과를 미친다는 의미이며 리더의 자질은 개인적 경험이나 공식적 교육과 훈련을 통하여 향상될 수 있다. 리더십 훈련프로그램 내용으로는 주로 강의방법이 이용되고 있으나 병행하여 환류, 사례연구, 역할연습, 시뮬레이션, 게임 등의 방법이 대상에 따라 효과성을 높일 수 있다. 체계적인 리더십 훈련프로그램의 내용은 학습할 내용을 결정해야하고 훈련의 목적을 결정해야 되며 학습방법과 매체를 결정하고 훈련결과를 평가하여 프로그램의 성공 또는 효과성을 반드시 평가해야 한다. 정보화시대는 정보가 가장 중요한 가치를 갖고 있는 사회인데 정보는 소유자의 가치부여를 통해 의사결정에 유용하게 활용되는 자료이다. 컴퓨터사용이 보편화되면서 사회는 다양성과 통일성이 공존하는 복잡한 가치관을 갖게 되었다. 정보화시대의 리더십에서 가장 중요시 되는 덕목은 다양한 가치가 혼재하고 빠르게 변화하는 환경속에서 조직원들에게 비전을 제시하는 미래지향적 태도를 갖추는 일이다. 정보화시대는 전자정보의 중요성으로 말미암아 그전에는 경험하지 못했던 새로운 쟁점들을 낳았는데 이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정보화 시대의 리더는 조직원의 동기유발을 통하여 조직목표가 달성되어야 하며 조직원의 정보공유를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되고 정보의 흐름에 대한 개방적 태도를 가져야 하며 전산지식을 보유하며 자기혁신을 해야되고 미래 지식사회에 대비한 학습능력을 보유할 수 있도록 항시 노력해야 하며 조직내에 협력과 상호신뢰하는 분위기 조성을 위하여 최선을 다하며 미래에 대한 비젼을 제시하여 조직원에 희망을 주는등 리더는 계속적으로 능력향상을 기울여 변화에 대응하여야 한다. 21세기 정보화시대는 사회구성원의 창의성과 경쟁력으로 삶의 질을 올리는 역동적인 사회인데 리더십은 과거와 같이 힘들여 노를 젓는것(rowing)보다는 방향을 제시하며 키를 잡는것(steering)이 되어야 하며 리더십 분산이 지식창출의 원동력이며 위기 상황일수록 지식공유가 중요하다고한 노나카이쿠지로 교수의 주장은 21세기 정보화시대에 리더들의 행동에 좌표가 될 것이다. Just as Aristotle said, 'Man is a social animal,' a human being cannot live apart from social groups or organizations, irrespective of whether he wants it or not. Our lives are composed of relationships with many social groups and human beings. We lead our lives through various social interactions. And we can find the most of the human relations are composed of the relationship of leading and being led. For the all-round social life, what we need desperately is the leadership of a leader, which keeps the machine of human relationship running fast and helps us accomplish the goals of our groups or organizations effectively. The reason why hierarchial structure of organization and order-unity based structure showed their limits and became the object of reformation is that they resulted in th phenomenon of bottle neck of information flow. The revolution of information flow is now asking for a new theory of existence. This flow is now coming up with new things, like a gigantic Black Hole which have gulped everything. And it is now requesting an individual or a company that it would evolve at the same speed and scale with the country. This flow is needed because of the evolution of society. While the evolution of flow is continuing, a new leader may suddenly appear or a competent leader may stand back for good. Now the adaptation to information flow has become a necessary condition of survival. Nowadays information flow is so rapid that the uncertainty and complexity of management environment are increasing. For this reason, leaders are being asked to have high level of information production and information circulation competency. But we couldn't avoid facing the phenomenon of bottle neck of information flow, especially in too much subdivided hierarchical structure vertically and horizontally, and the delay of idea settlement is easily expected. To cope with time-centered competitive situation promptly, idea settlement should be made as soon as possible. So it can be said that the success or failure of an organization is up to a leader in the past or now. Until now, we saw, in an enlarged pyramidical hierarchical structure, that no leader could cope with the information society flexibly. So changes into horizontal organizations, simple organizations, and network organizations are necessary for the achievement of a flexibility of an organization through leader's speedy information circulation in an organization and valuable co-operation about an essential tasks. In the past industrial society, whether it was a public or private organization, the ability of a good leader was judged by the quantity of production. But with the introduction of information age, the ability to create high added value has become the criterion of an evaluation of a leadership. It is because in an information age the invisible soft things have become the source of more decisive competitive power, and the intellectual wealth which is invisible such as technology has become the source of wealth, and appeared as a subject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One of the essential conclusions gained through study on leadership of an information age is that what is needed for a leader is he should not be a dictator or a controller, but he should be a sincere advisor of a subordinate or fellow worker, and that he should stimulate his subordinate to act to the best of his potentials and himself set a fine example, and, ultimately, double the capacity of an organization to the level of no need of administration. The leadership of the past put great emphasis on authority and power, management method, obedience and fulfillment, etc., as important values, but these days the success or failure of an organization does largely depend on the individuals' abilities. Successful leadership is a complex subject which can be achieved through quality, situation, official education and training, experience, and so on. This means that these factors have an great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leadership, not separately, but generally, and the quality of a leadership can be accomplished through private experience or official education and training. In general for the contents of leadership program, lecture method is usually used, but, at the same time, the methods of feedback, case study, role-playing, simulation, games, etc. can be sometimes more effective. For the contents of systematic leadership program, teaching materials should be properly selected, goals of training should be clear, teaching methods and media should be chosen, and the results of training should be evaluated, and, simultaneously, the success or effectivity of the program should be evaluated, too. Information age is the era in which information has the most important value. Information is a kind of materials which is usefully utilized in idea settlement through information owner's value allowance. With the generalization of computer, we have got complex view of values where diversity and unity are co-existent. The most important virtue of leadership in an information age of 21st century is to have future-oriented attitude. In the circumstances of various values exist and great changes are so rapid, a leader can show vision to the group members with it. The importance of electronic information in an information age has resulted in new arguments that we have never experienced before. And to cope with this situation effectively, leaders should achieve the objects of the organization through the members' self-motivation, prepare a systematic device to share the information in the organization, have their minds open to the flow of information, acquire good level of electronic computing knowledge to innovate himself to keep up with the impending knowledge-based society, and heighten the equity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the alienated class. In other words, leaders should make constant efforts to innovate themselves and adapt to rapid changes. The information age of the 21st century will be a dynamic society where we heighten our quality of life through the creativity and competition power of social members. And the leadership should mean showing directions or steering rather than rowing with all might. The decentralization of leadership is the source of knowledge production, as Japanese professor Nona Kaykeziro insisted. The more dangerous situations are, the more important the common share of knowledge is. The common share of knowledge will be a co-ordinates in the behavior of a leader of information age of the 21st century.

      • 情報化 時代의 韓國軍 리더십 發展方案 硏究

        성상덕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오늘날 세계는 정보기술의 혁신적인 발전으로 전통적 산업사회로부터 지식 정보화 사회로의 급속한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는 변화와 혁신의 시대를 맞이하고 있으며, 이러한 정보화 시대로 향한 변화의 물결은 우리 군 조직에서도 예외일 수는 없다. 군대조직의 궁극적인 목표는 전쟁에서 승리하는 것이다. 전쟁이 인간 의지의 싸움이라고 할 때 전쟁의 승패를 결정하는 요소는 인간이며, 이러한 인간의 잠재능력을 극대화하여 군 조직의 목표에 지향시키는 리더십은 그 중요성을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맥락하에 본 연구는 현재 한국군 장교들의 리더십 환경을 분석하고 정보화시대에 부합되는 한국군 장교의 리더십 발전 방향을 제시한 연구이다. 장교는 군대의 기간이며, 그들의 리더십은 전평시 군의 전투력을 보장해주는 중요한 요소의 하나이다. 우리 군도 장교단의 리더십 증진에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고 있지만, 아직은 그 성과에 대해 자신있게 말할 수 있는 단계도 아니며, 특히 21세기 정보화 시대에 부합할 수 있는 리더십의 체계적인 연구도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정보화 시대에 부합되고 한국군의 현실에 적합한 리더십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리더십에 관한 외국의 여러 학자들의 연구를 기초로 하여 최근 연구추세와 개념의 발전방향에 대해 이론적 고찰을 하였으며, 군 조직의 특수성을 감안하여 이에 적용 또는 관련있는 이론위주로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황적합적 리더십, 카리스마적 리더십, 변혁적 리더십, 전략적 리더십, 수퍼 리더십, 윤리적 리더십, 팀 리더십, Followership, Empowerment 등에 관해 살펴보았다. 한국군 장교의 리더십 특성은 환경적, 이념 및 목표상, 구조적, 사회심리적 특성으로 나누어 보았다. 이는 군을 바라보는 시각과 군 자체 내에서의 여러 특성을 비교 분석한 것이다. 특히, 신세대 장병들의 군 유입에 따른 환경적, 구조적 문제는 급변하는 정보화 사회의 흐름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리더의 능력과 역할을 요구하고 있다. 한국군 장교의 리더십 개념과 특성은 육·해·공군 각 군별「지휘통솔」교범의 원칙적인 사항을 분석하고, 적용할 수 있는 미군의 리더십 교리체계, 한국군 장교의 계층별 역할과 리더십 중점에 대해서 분석해 보았다. 새로운 환경은 새로운 리더십을 요구한다. 이러한 조직의 내외적 환경은 리더의 행위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므로, 이에 대한 분석을 통해 미래 리더십을 전망해보고 이를 바탕으로 정보화 시대의 군 리더십 발전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변화하는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우리 군이 나아가야 할 리더십 방향은 리더십 환경변화에 부응한 리더의 의식전환이 필요하고, 리더십 업무체계의 발전과 전문 연구기관을 설치하고, 한국적인 교리를 연구하여 우리의 리더십 모델을 찾아야하는 것이다. 또한 모든 리더는 자기만의 독특한 리더십 철학을 확립하고 상황변화에 따라 적절히 보완 발전시켜 항상 최선의 지침이 되도록 해야 한다고 생각하면서 본 연구에서는 리더십 개발의 중요 요소로서 비전, 가치, 배려, 리더계발, 변화관리 등 5가지를 제시하였다. 첫째, 비전은 ‘지휘관 의도’라고 하는 육군의 개념과 가장 유사하다. 즉, 예하 조직체가 장차 무엇을 하고, 이를 어떻게 수행하며, 또한 그 최종상태는 어떠해야 하는가를 머릿속에 그려보도록 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둘째, 가치는 Covey의「원칙 중심의 리더십」에서 말한 신뢰성, 그리고 고도의 윤리성과 도덕성이 그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셋째, 배려는 신세대 장병의 자율을 보장해주고 구성원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창의력을 계발시키는 요소가 된다. 또한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면서도 부하와 그의 가족들에 대한 배려를 잘 조화시켜 나가야 하는 것이다. 넷째는 리더계발이다. 군대의 강약은 리더의 질에 좌우되므로 리더의 능력계발은 전투력 육성의 핵심과업이다. 더욱이 21세기에는 복잡해지는 군의 역할에 대한 새로운 도전과 요구에 선도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창조적 사고력, 자주적 행동력, 도덕적 실천력, 고지식·고기능’을 갖춘 미래 지향적인 정예 리더를 육성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변화관리이다. 사이버 공간을 동반한 정보화시대에 있어 살아가는 우리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변화를 수용할 수 있는 역동적인 리더십이다. 즉 지식, 정보화, 과학화 시대에는 수시로 이합집산이 가능한 다양성과 개방성에 그 바탕을 두고 있다. 그러므로 리더가 변화를 적극 수용하고 이를 유도하기 위해 리더 스스로가 자신의 신념과 비전에 대한 확신을 갖고 솔선수범해야 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과학화된 장차전 양상과 정보화 시대에 부응하고 신세대 의식성향을 고려해 볼 때, 리더와 부하, 리더와 예하 리더간의 상호신뢰를 바탕으로 하여 임무를 창의적으로 수행하는 ‘임무형 지휘’가 한국군 리더십 개발에 장점을 많이 제시해주는 모델이라고 생각한다. 이는 전·평시 모든 부대활동에서 부여된 임무를 효율적으로 완수하기 위해, 리더는 자신의 의도와 부하의 임무를 명확히 제시하고 임무수행에 필요한 자원과 수단을 제공하되 임무수행방법은 최대한 위임하며 부하는 리더의 의도와 부여된 임무를 기초하여 자율적이고 창의적으로 임무를 수행하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궁극적으로 지식 정보화 사회로의 급격한 변화는 우리 한국군의 새로운 도전의 대상이며, 동시에 우리 군이 하이테크 군으로 변모하는 절호의 기회이므로, 변화시대를 주도할 수 있는 우리 한국군 고유의 리더십 철학과 모델을 찾아야 할 것이다. Today the world is facing the transition moment of getting into information age from industrial society as out society obtains mor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Military organization is already in the process of going toward information age as well. The eventual goal of military organization would be victory in battle fields. And it is human resource that determines victory or failure. Leadership maximizes human potential capability to accomplish the mission, so its significance never can't be emphasized much enough. This research analyzes that the environment of leaderships and proposes that developing direction of leaderships for commissioned officers corresponding to information age. With this goal, this research considers leadership theoretically based on many studies, and suggests some theories that can be applied for particularities of military organizatio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commissioned officers' leadership are analyzed on terms of environment, idea and goal, structure and social psychology in this research. The principal of Field Manual in three forces(Army, Navy and Air Force), theological system of US-Military leadership and ROK-Military officer's role of each classes and leadership key point are also analyzed. Through these, I predict future leadership of ROK-Military officer that would be needed in upcoming information age. To make a best policy every leader needs to establish his own leadership philosophy and apply it properly as circumstance changes I suggest five elements-vision, value, reciprocity, leader development and managing change-which are essential to develop leadership and also research 'Mission Oriented Command' that can comply the wants of scientific warfare and information age and execute the mission autonomously and creatively with bilateral trust. As transition to "Knowledge and Information Age" is eventually a new challenge for ROK-Military to become "High-Tech Military", it is conclusively important to found peculiar "Leadership model and philosophy" of ROKA-Military with which Korean Military leads the way in "Era of Change".

      • 情報化時代 情報提供者(I.P.)로서의 地域放送 硏究

        김석환 東亞大學校 言論弘報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change in the media environment with the advent of the multimedia age creates a new crisis for local broadcasting companies. About 700 satellite channels are made up form the satellites over the skies of the Korean peninsula, and it is inevitable that not only our domestic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market, but also our broadcasting market must open up abroad. In this situation, running the local broadcasting companies is recently getting more serious and rapidly growing from bad to worse, and their own producing and organizing of programs are decreasing. This serious crisis for local broadcasting companies will rise to the surface in the coming multimedia age of multi-channels. It is unavoidable that the local broadcasting companies will fiercely compete with several kinds of communication enterprises as well as with other satellite broadcasting services, cable broadcasting companies, and internet services. With respect to an audience ratings and advertising, the bitter competition comes into existence despite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media, because the economical capacity of the audience and their time to spare are limited. In this respect, the local broadcasting companies are subjected to pressure due to their lack of human resources and financial difficulties. In this situation, these problems are likely to endanger the existence of the local broadcasting companies unless the local broadcasting companies firmly establish their own identity. On the contrary, an ardent demand to obtain local information more economically through the familiar and existing local broadcasting will be continued for a considerably long time. From the viewpoint of local audience, the advent of new media from the promotion of information services may be regarded as additional or supplementary media for the local media for a long time, not as substitute media for the existing local media. However, in order to recognize the essential crisis in local broadcasting and to find a new way out of the difficulty, more active countermeasure must be taken in an information age so that local broadcasting can change its fuction and give up the role of transporting the programs from Seoul to the local areas. In an information age, the audience will be restricted by time and choose positively the necessary information rather than mass information due to their diverse and individual needs. As a result of this, they will have frequent and selective access to the local media which send needed information to them. In order to satisfy their wishes, the local broadcasting companies must develop and produce the programs in which the local residents can take part, so that their programming may serve as a base of local culture and information. When this happens, the local residents feel close to the local residents, the local broadcasting companies must not depend upon only a radio wave through which lower definition is televised compared to satellite broadcasting, digital TV broadcasting or cable TV broadcasting, but make the best of diverse transportation route. Local broadcasting cannot play the important role of a loyal supplier of local information until this is available. In this way, the local broadcasting companies must make continuous effort to approach their local audience closely. There are several transmission routes such as the internet, personal computer communication, satellite, and text transmission through the empty space of electric waves. New formatted programs must be developed so that the audience's demand can be researched and reflected upon endlessly, and the existing attitudes toward newscasting must be changed into a new attitude towards public journalism based largely on the local news. Here a department needs to be set up in order to reflect the audience's opinion in producing programs, and many good examples can be taken from a life journalism in the American local broadcasting companies and their Japanese counterparts. Local information must be supplied and supplemented by diversity and peculiarity through transmitting the particular programs to say nothing of the common programs. Standardization must be carried out and shared with other administrative organs, educational institution, research institutes and organs of public opinion in Pusan. Namely, the local broadcasting companies should be closely linked with other information transmitters. However, at present the local broadcasting companies barely manage to use the electric notice board through personal computer communication and are scarcely prepared for the coming information and multimedia age. In addition, the information industry and audience's consciousness of information in Pusan are undeveloped yet compared to other areas in Korea, and so all kinds of information continuously converge in Seoul and other areas nearby. Therefore this unbalancing of information is a matter of great anxiety. In this respect, local broadcasting must play the role of a transport for local information, because the local broadcasting network can be used as infrastructure for the function of communication, and the local news including all kinds of information can be used as database and closely connected with an information society through multiuse of computer software. The local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local broadcasting must not be confined to the same area, but be shared with other areas or countries by pursuing the delocalization of information. For this, the local broadcasting companies must have the ability to produce excellent programs, and the composition of united channels must be examined thoroughly and positively in the same way as ARD in Germany, Channel 3 in the United Kingdom or TVK/ch-YOKOHAMA in Japan. A crisis in the local broadcasting will occur unless it can play the role of an information supplier close to the local audience, without its various equipment, and catch up with the era of multimedia.

      • 정보화시대에 있어서 산업디자인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 직업전문학교 산업디자인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concentrated on product design in vocation school

        안병대 建國大學校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산업디자인은 사회가 발전하는 산업을 바탕으로 그 영역을 구축하여 왔고, 산업생산과 경제의 변화에 보조를 맞추어 발전해 왔다. 그래서 디자이너는 시대에 적합한 인재로 양성되기 위해 기술을 이해하고 생산과 공정에 전문적 지식을 습득하도록 교육을 받았다. 흔히 21세기를 '정보화의 시대'라고 이야기를 한다. 앞으로 다가올 사회가 무엇이라고 명명되어지든 그 특징들이 조금씩 드러나고 있으며, 또한 정보가치가 중심이 되어 형성되는 사회임이 확실시 되고 있다. 정보의 가치는 산업사회의 기술과 자본의 가치와 대체되리라 말하며, 이러한 가치의 전이는 미래사회를 이끌어 갈 주된 사고의 변화를 의미하는 것이다. 한편, 21세기는 디자인이 사회의 주된 이슈로 등장할 것이다. 그것은 과학과 산업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기본적 욕구가 충족됨에 따라 소비의 경향이 다변화되고 이러한 복잡한 소비의 해결과 보다 높은 품질의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탈출구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이에 미래 사회의 문제점을 창의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우수한 전문인력 육성의 필요성이 절실하게 요구된다. 그렇다면 정보화 사회에 도구를 창조하고 기획하는 디자이너를 양성하기 위해 교육은 어떻게 이루어져야 할 것인가? 산업디자인이 정보화 사회로의 변화에 의해 어떻게 평가받을지는 미래를 준비하는 산업디자인 교육이 미래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고 그에 적합한 체제를 갖추어 인재를 양성할 수 있는가에 달려있다. 이러한 흐름에 부응하기 위해 국내 직업전문학교에서도 산업디자인을 하나의 교과로 채택하여 교육하기에 이르렀지만 일반 학교와는 달리 기간도 짧고, 학생들의 연령·학력의 차이가 크며 산업 사회의 진출을 목적으로 하는 특수성을 지니고 있어 직업교육에 많은 어려움을 지니고 있고, 도약 단계의 상태에서 단조롭고 폐쇄적인 학교 교육체제와 교육 내용의 미흡, 교육 시설의 미비 등 해결해야 할 문제점 등 많은 개선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먼저 정보화 사회를 이해하고 처해있는 상황을 문헌자료를 통해 고찰하였으며 이러한 환경적 변화가 디자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디자인의 역할과 디자인 환경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 직업교육의 이해, 직업훈련기관의 직업교육현황, 외국의 직업교육의 실태 등 본질적인 내용을 명확히 하고 그 개념적 조건 하에서 산업디자인 교육의 개선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직업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직업전문학교의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정보화 시대에 산업사회와 연계될 수 있는 산업디자인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과편성, 실습기자재 구성, 학생현장실습 등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문제점을 중심으로 살펴볼 때 산업디자인 직종은 2D, 3D 컴퓨터 그래픽, 모델링 등을 포괄적으로 다루는 분야로 교육방향이 단기간 과정으로는 범위가 광범위하기 때문에 효율적인 산업디자인 교육훈련을 위하여 몇 가지 결론을 얻게 되었다. 첫째, 직종의 교육방향이 단기간(1년) 과정으로는 범위가 광범위하므로 직종을 세분화하여 정보화시대에 적응할 수 있는 전문화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둘째, 산업사회가 요구하는 교육과정에 반영되어야 하고 아울러 산업현장의 급속한 기술의 변화가 교과과정에 신속히 반영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정보화 시대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으로 이직률을 줄이기 위하여 평생교육의 장으로 활용해야 한다. 넷째, 사회 전반적인 인식을 변환하기 위해서는 창조적 종사자 양성을 위한 직업훈련교육이 필요하다. 정보화 사회에 대한 산업디자인의 적절한 대응은 산업디자인 교육의 전반에 걸쳐 변화가 이루어져야 하지만 현실적으로 산적한 많은 문제점을 한꺼번에 해결하기에는 많은 난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적 변화에 따른 직업전문학교의 산업디자인 교육의 방향을 전반적으로 제시함으로 정보화 사회의 직업전문학교의 교육과정 개선에 역점을 두었다. Industrial design has been created based on the idea that society is developing, and it has to keep step with the products of industry and the changes of the economy. Thus, a designer is educated to understand the skills needed and to acquire special knowledge in the production and the manufacturing and to be trained as a suitable, competent person in this modern age. It's commonly said that the 21 century is the "Information Age." The coming society whether it is named, individuality will be revealed little by little, also it is the making of a society that's central value is information. The value of information is replacing the skill of industrial society and the value of capital. The transition of these value means there must be a change of ideas to lead the future society. On the other hand, design will be one of the main issues in 21st century. As the fundamental desire is satisfied by developments in science and industry, and the trend of consumption will be diversified, I believe that it can take charge of the obligation of the extrication window to produce higher quality products and to solve these complex consumption issues. Hence, the necessity of bringing up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is required earnestly. Then, how to educate and train the designers who will be creating and planning the implementation of an information-oriented society? How can Industrial Design be appraised of change as Information-Oriented Society comes? It depends on the education of industrial designers that are preparing for the future, and it has to present a vision of the future and train talented people after a suitable system is prepared for that. To meet these challenges, domestic vocational schools adopted and taught Industrial Design as a subject, but there have been many difficulties. Because its period has been short, the discrepancy in age and scholarships is great, and it has particularly difficult to advance into the Industrial Society. Therefore, it is required to improve the monotonous and closed system in the take-off stage, the inadequacy of the quality of education, the imperfection of the educational facilities, etc. Accordingly, in this study, I understood and considered it through the literature data at first, and investigated the effects of how design is affected by these changes in the environment. And I tried to make clear the substantial qualities which are, the comprehension of vocational education, the present condition of it, the actual condition of the foreign vacational education, and the present improvement of industry design education under the conceptional condition. Also, by posing a question as an object of teachers and students of vocational schools, I try to present a compilation of the curriculum, composition of the practice materials, field practices, teacher's training, etc. To be achieved, Industrial Design Education closely connected with Industrial Society in Information- Oriented Society. I accordingly obtained some conclusions that the kinds of occupations of Industrial Designers are in the fields dealing with 2D and 3D computer graphics, modeling, etc. Inclusively it is important to train students in Industrial Design Education, because the realm of education direction is very wide in the short term. First, the kind of occupations have to be subdivided to be adaptable to the Information Age, because the realm of education direction is very wide in the short term(one year). Second, the course of study that Industrial Society requires is reflected in the rapid change of skills on the Industrial scene and is reflected in the curriculum quickly, too. Third, we must utilize it as part of lifelong education to cultivate the ability in coping with the Information Age and to reduce the separation rate in active support. Fourth, the research study's chance for teachers must be extended to elevate the abilities of teachers and to achieve expert and practical education suitable to the Information Age. Fifth, to change the general cognition of society, 'vocation training education' is required for the training of creative workers. Industrial Design in consideration with the Information Society has to be accomplished covering the whole field of education, but there are many problems to be solved. This study, accordingly laid emphasis on the curriculum improvement of vocational schools in the Information Society by presenting the direction of Industrial Design Education of vocational schools following the social change.

      • 情報化 時代의 디자인 戰略과 디자인 매니저의 役割에 관한 硏究 : 기업내 디자인 매니저의 역할을 중심으로

        신아정 建國大學校 2003 국내석사

        RANK : 248687

        정보화시대(情報化 時代)의 기업전략(企業戰略)은 21세기 기업경영에 있어서 그 중요성이 강조(强調)되고 있는 "디자인 경쟁력"에 그 초점을 두고 있다. 오늘날의 디자인에는 기업에서 생산해 내는 단순한 제품으로서 차원뿐 아니라, 그 제품에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와 가치를 반영한 디자이너의 크리에이티브적인 능력과 적절한 전략 등 모든 디자인 프로세스가 포함 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기업들은 쏟아지는 정보와 제품의 홍수 속에서, 제품에 대한 기능적인 차별화가 어렵게 되자 디자인으로 가치가 부여된 제품만이 치열한 시장에서 생존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여러 경영전략(經營戰略) 중에 디자인을 중요전략 항목으로 포함 시키며 단순한 외형적 측면으로서 뿐아니라 마켓팅적 사고방식을 갖도록 요구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정보화 시대를 맞아 새로운 디자인 사상과 이념을 구축(構築)하고 그에 알맞는 디자인 개발방법을 새롭게 창출(創出)해 나가야 한다는 생각에서 논문의 주제를 효과적인 디자인 매니저의 역할 및 디자인 매니지먼트 전략(戰略)으로 설정하게 되었다. 디자인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효과적인 디자인 부서의 조직형태와 운영방식을 연구하고 기업핵심 역량으로서의 디자인이 갖는 기업내의 중요성을 재인식하며, 디자인 부서에 지식경영을 도입하여 앞으로 디자이너가 기업경영의 매니저로 나아갈 발전적 방향을 설정, 제안하고자 함에 연구목적이 있다고 하겠다. "디자인은 그 시대를 비추는 거울이다" 는 말이 있듯이 정보화 시대를 맞이한 디자인은 기업환경에 근거를 두며, 나아가 우리생활의 질(質)적 향상에 영향을 주며, 궁극적으로는 기업의 문화를 형성하는 의미로 그 범위가 확대 되어지고 있다. 지금까지 기업의 미래는 대부분 전략적인 역할을 맡은 최고 경영자가 담당해온 반면에 디자이너는 기업의 제품과 서비스를 생산하는 역할을 해왔을뿐 마켓팅과 생산의 부가가치를 높이는 데는 소극적이었다, 그러나 혁신(革新)과 크리에이티브가 불확실한 미래의 키워드로 부상하면서 디자이너는 고객의 요구를 구체화 하는 능력, 미래에 대한 예지력, 무한한 상상력, 첨단 정보기술의 활용능력, 정보를 선택하는 능력, 자신의 문화와 다른 문화를 존중하는 통합 능력을 가진 "기업 비전의 제안자" 로 새로운 역할을 부여받고 있다. 따라서 본론의 첫장은 디자인 환경의 변화에 대해서, 즉 정보화 시대로 진입하면서의 기업 환경과 디자인 환경의 변화에 대해서 알아 보았고, 두번째 장에서는 기업내 디자인 부서의 기능과 이해를 다루면서 디자인 부서의 활동과 디자인 조직의 유형(類型), 디자인 조직과 일반 조직의 차이점과 디자인 작업에 관한 디자인 부서의 전반적인 이해를 조사하였다. 세번째 장에서는, 기업내 디자인 매니저의 역할과 조건 (정의와 디자인 매니저의 필요성, 조건, 역할) 에 대해서 알아보았고, 네번째 장에서는 디자인 매니저의 역할에 따른 디자인 매니지먼트의 우수사례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우수사례 연구는, 올해 2회째를 맞는 대한민국 디자인 경영대상을 받은 회사를 중심으로 수상 이유와 디자인 철학을 살펴보고 기업디자인 담당자와의 직접 인터뷰를 통해 얻은 자료를 정리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이러한 사례와 이론을 바탕으로 21세기에 맞는 디자인 매니지먼트 전략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현재 디자인 매니지먼트가 당면하고 있는 문제점, 즉 디자인 매니지먼트에 대한 이해부족과 타 부서와의 인식차이등을 살펴보고 그것에 대한 대응 방법과 새롭게 변화하는 디자인 매니저의 역할 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제 기업은 디자인의 창의성으로 기업의 가치를 창출(創出)하고 경영자의 도전정신으로 기업의 미래를 만들어 가는 방안으로 디자인경영을 도입하여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할 수 있었다. 디자인 매니저 역시 고객의 요구를 구체화할 수 있는 능력, 정보를 선택할 수 있는 능력, 기업 비전의 제안자로서의 새로운 역할을 담당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본 논문은 연구자가 디자인 업계에서 10년 동안 몸담은 현장체험과 디자인센터에서 제공하는 자료, 그동안 발표된 논문과, 참고문헌을 토대로 연구하였다. 연구에서 보여지듯이 아직 디자인 매니지먼트에 대한 선행연구 부족과 정확한 인식과 개념의 확립 부족을 느낄 수 있었지만, 본격적인 정보화 시대를 맞아 새로운 인식의 등장과 시상제도, 또한 많은 노력과 투자들이 기울여지고 있으므로, 디자인 경영이라는 개념이 정착되어지고, 기업들의 디자인 매니저에 대한 인식변화 및 각부서간의 이해와 업무통합 노력에 있어서의 변화 등을 느낄 수 있었다. 세계적인 디자인을 창출해내고, 기업의 경쟁력을 위해 디자인 분야에 더 많은 노력과 투자가 선행되어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 기업내 디자인 매니저의 역할이 중요함을 다시 한번 인식하고, 더욱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길 희망한다. In this Information era, the corporate strategies are centered around the "competitiveness of designs," which in turn gains more and more importance in the corporate management in the 21st century. Designing in this age does not simply represent products made by companies. Rather, it contains all the processes, including creativity of a designer and usage of appropriate strategies, which reflect various demands and values of customers in the products. Corporations have realized that it is no longer easy to functionally differentiate their products with new information and products gushing out every day. They have found that only products armed with values bestowed by designing can survive in the market. Consequently, more and more companies, aware of the importance of designing, include it in various steps of the management, and demand that designs be made in consideration not only of the appearance, but also of marketability of the products. Therefore, this paper set its topic as "Role of Effective Design Manager and Strategies of Design Management," in an effort to contribute to developing a new designing paradigm and to creating initiative methods of design development suitable for this information era. This research aims at providing directions and suggestions, which might be useful for a designer who aspires to manage a corporation. In order to achieve that goal,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designing, of structuring and operating design divisions, of the role that designing carries out as one of the main forces behind a corporation's advancement, and of introduction of the knowledge-oriented management to design divisions. There is an old saying, "Designing is the mirror reflecting an age." Likewise, designing in the information era has been widening its role. Based on the corporate surroundings, it contributes to enhancing the quality of life and, ultimately, to forming the corporate culture. So far the future of a corporation has been determined by its CEO, while a designer has served only as a person who produces products and provides services to the corporation. As a result, the role of a designer in marketing and improving the value of the products has been "defensive," to say the least. We, however, live in a time when innovation and creativity are the two dominant words. In response to the change, a designer is required to assume the role of a prophet who can proffer a vision to a corporation. The new role, in turn, requires designers to have various abilities such as the ability to put customers' demands into concrete ideas, the ability to foretell the future, the ability to imagine something out of nothing, the ability to make the best use of information and technology, the ability to choose the right information, and the ability to respect different cultures. Therefore, the first chapter of this research deals with the change in the designing environment. In other words, it has looked into what changes might be brought about by the information era in terms of the corporate and the designing environment. In the second chapter, this researcher describes functions and roles of design divisions within a corporation. In the process, a comprehensiv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activities of design divisions, types of their structures, differences between design divisions and other divisions, and designing works. The third chapter probes into the roles and conditions (i.e. definition, qualifications of a good design manager, conditions, and roles). Finally, in the fourth chapter, this researcher explores the excellent cases of the design management and managers' influence thereon. For the case study in the fourth chapter, this researcher conducted a survey of the companies that have won the 2nd Korea Desing Management Awards. In addition, this researcher interviewed those companies' staff members in charge of design divisions. Based on the cases and theories, this paper makes suggestions as to the design management expected in the 21st century. Also made in this paper is the exploration of the problems the contemporary design management faces, namely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design management and comparison of perception of other divisions with that of the design division. Then, it is suggested herein how to cope with those problems and what new roles a design manager takes. As a result, this researcher comes to a conclusion that the design management should be introduced in such a way as to create the value of a corporation through the creativity of designing, and to create the future of it through entrepreneurship. This researcher believes that a design manager should also have the ability to put into concrete ideas what customers demand, the ability to choose the right information and the ability to assume the role of a prophet who can provide a vision for a company.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10-year on-the-job experience of this researcher in the design industry, on the data provided by the Design Center, on the literature, and on various references. As noticed through this research, there is still a lack of literature, understanding and conceptual establishment as to the design management. At the same time, however, this researcher could feel various ongoing improvements regarding the design management such as emergence of new perception in the wake of the information era, contests, various efforts and increasing investments. Consequently, the concept of "design management" seems taking roots in people's minds, and the change seems being made in the corporations' perception of the design management, and the inter-divisional 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More efforts and investments are necessary to create designs that could survive in the world market and boost competitiveness of corporation, which, in turn, stresses the importance of a design manager within a company. This researcher hopes more and more researches be made in this fie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