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물고기의 이미지를 통한 陶磁造形 硏究

        강은정 誠信女子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강이나 바다 속에서 살고 있는 물고기는 수많은 종류가 있으며 외형상으로도 다양한 형태와 색깔을 띠고 있다. 특히 우리 역사 속에 존재하는 물고기의 형상은 풍요를 기원하는 주술적 의미와 다산과 출세, 부귀, 행운을 상징하는 길상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렇듯 경외(敬畏)의 대상이었던 물고기가 오늘날 지구 환경오염으로 하여금 점차 그 서식 장소를 잃어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간의 밝은 미래를 기원하는 삶의 터전을 확보하고 물고기를 관념적으로 해석하여 환경수호의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하였다. 제작방법으로는 물고기가 가지고 있는 형태의 특징을 인식하고 단순화하거나 과장하여 해학적으로 표현하였으며, 외적인 형태 특징뿐 아니라 해부학적 의미를 조화롭게 연관시켜 보았다. 물고기는 바다를 대표하는 생물이므로 깊은 바다의 신비로움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녹색의 동유와 망간골드유, 흑유를 덤벙시유 하였고 물고기 표면 특징 중 비늘의 표현에는 흑유 시유 후 테라시질레타(Terra Sigillata)를 이용하였다. 1차소성은 800℃, 2차 소성은 1230℃로 산화소성 하였고 3차 소성은 1000℃내외로 소성하였다. 자연의 일부이며, 오염되지 않은 깨끗한 물의 척도인 물고기를 통해 자연의 소중함을 인식하고 인간과 자연의 상호관계를 표현하고자 하였다. As for the fishes which live in river or sea, there are numerous kinds, and they are showing diverse forms and colors outwardly also. Especially, fish to exist in our history has incantational meaning to pray for abundance and the meaning of good omen to symbolize fecundity, promotion, richness and honors, and happiness. Like this, fish which was the subject of awe are losing inhabitation place gradually due to global environment pollution today. So, in this study, this researcher tried to secure the site of life to pray for the bright future of human beings and make the meaning of fish into molding through the conversion of recognition. As for manufacture method, this researcher expressed the feature of form that fish has humorously by recognizing, and simplifying or exaggerating it and tried to connect anatomical meaning as well as outer form feature harmoniously. As fish is the organism to represent sea, this researcher glaze green copper glaze, Manganese gold glaze, and black glaze brimfully so as to express the mysteriousness of deep sea effectively, and used Terra Sigillata after glazing black glaze in the expression of scale out of the surface features of fish. This research calcined at 800℃ in primary calcination, at 1230℃ in secondary calcination, and at 1000℃ or so. in tertiary calcination. This research trie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nature and express the correlation between human beings and nature through the image of fish which is a part of nature and the measure of unpolluted clean water.

      • 인사관리시스템에 대한 공정성인식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 비서직 종사자와 일반사무직 종사자의 비교를 중심으로

        강은정 이화여자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조직 내 수많은 구성원들을 관리하는 데는 다양한 종류의 갈등과 문제들이 야기되기 마련이다. 이러한 제반 갈등과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조직구성원들이 인사관리시스템에 대하여 인식하고 있는 공정성을 제고하려는 노력이 선행되어야 한다. 지금까지 일반 조직원들의 인사관리시스템에 대한 공정성 인식을 다룬 기존 연구는 많았으나, 비서직 종사자의 인사관리시스템 및 공정성 인식에 대한 연구는 미진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사대상을 비서직과 일반사무직으로 나누어 비서직과 일반사무직 종사자의 개인특성변수에 따라 인사관리시스템에 대한 공정성 인식의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공정성 인식이 개인의 직무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해봄으로써 조직구성원의 공정성 인식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인사관리시스템의 여러 가지 쟁점사항 중 특히 승진관리, 보상관리, 평가관리(인사고과)에 초점을 두고 비서직과 일반사무직의 공정성 인식에 대한 차이를 알아볼 것이다. 또한 공정성 인식이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서도 분석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서울소재 기업의 비서직 108명, 일반사무직 1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특성변수에 따른 공정성 인식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 비서직과 일반사무직 종사자 모두 연령과 학력에 따라 공정성 인식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비서직 종사자의 경우는 연령에 따라 절차공정성의 인식에 차이를 보였으며, 학력에 따라 승진 및 인사고과에 대한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의 인식에 차이를 보였다. 한편 일반사무직 종사자는, 연령에 따라 인사고과에 대한 분배공정성의 인식에 차이를 보였으며, 학력에 따라서는 승진에 관한 분배공정성의 인식에 차이를 보였다. 둘째, 공정성의 인식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인사관리시스템에 대한 분배공정성의 인식은 비서직과 일반사무직의 직무태도에 영향을 준다는 가설은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비서직의 경우, 인사고과에 대한 분배공정성의 인식이 내적·외적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조직몰입에 대해서는 유의한 영향력이 나타나지 않았다. 일반사무직의 경우는 승진과 임금에 대한 분배공정성의 인식이 내적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인사고과에 대한 분배공정성의 인식은 외적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임금에 대한 일반 사무직 종사자의 분배공정성 인식은 조직몰입의 4가지 요인에 모두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사관리시스템에 대한 절차공정성의 인식은 비서직과 일반사무직의 직무태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절차공정성에 대한 인식은 비서직과 일반사무직의 내적·외적 직무만족에 모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조직몰입과 관련해서는, 일반사무직 종사자의 절차공정성 인식이 조직몰입의 4가지 요인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데 반해, 비서직 종사자의 절차공정성 인식은 조직에 대한 충성도를 제외한 나머지 3가지 요인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분석결과, 비서직과 일반사무직 종사자의 직무태도에 영향을 주는 공정성 요인은 상이한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비서직과 일반사무직 종사자에게 구별된 인사관리시스템이 시행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이 연구는 비서직 종사자들의 인사관리시스템에 대한 공정성 인식에 관하여 알아본 최초의 논문이라는 점에서도 그 의의를 찾아볼 수 있으며, 연구의 결과는 추후 비서직 종사자에게 적합한 인사관리시스템 모델을 개발하는데 있어 방향을 제시함은 물론이고 기본 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Managing human resources in organization may have lots of complicated problems. For solving these problems, we'd better understand about employees' perceived organizational justice in human resources management (HRM) system. Furthermore, we need either theoretical or empirical studies on organizational justice between job clusters, especially secretaries and general office workers. This study aims at (1) identifying difference between secretaries and general office workers in perceiving the justice of HRM system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variables and (2) searching the probable effect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justice on individual job attitude: job satisfaction (J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C). A distinctive feature in this research model includes two aspects of organizational justice, i.e., distributive justice (DJ) and procedural justice (PJ). Early research on organizational justice has been focused on the consequences of perceived DJ regarding to outcomes which is provided by the organization. The findings of these studies were mostly mixed and contradictory, so the implications were limited. In order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recent researchers have more focused on PJ which organizational members perceive in the process of HRM system. Both research streams are incorporated in this study for explaining the probable effects of organizational justice on individuals' attitudes toward their jobs and organizations. In this study, variables are divided into several factors such as: (1) DJ : DJ of promotion, DJ of compensation, and DJ of evaluation (2) JS : internal JS and external JS (3) OC : commitment, strong attachment, positive feeling, and identification A questionnaire survey method was adopted for this study, and it has been answered by 108 of secretaries and 110 of general office workers from companies in Seou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oth secretaries' and general office workers' perception in justice of HRM system were found to be different with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age and education level. For secretaries, perception in PJ changes with age and educational level. Educational level also made different perception in DJ of promotion and evaluation. On the other hand, general office workers showed different perception in DJ of evaluation according to their age and their perception in DJ of promotion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ir education level. These results show that there is difference for age and education level in HRM system even though it had been changed into incentive system based on individual's performance ability. Second, it was found that employees' perception in DJ affected to both secretaries' and general office workers' job attitude partially. General office workers' perception in DJ influenced on their JS and OC. On the other hand, secretaries' perception in DJ didn't have influence on OC at all. These findings show that, for secretaries, the relationship with their bosses is stronger than the relationship with the organization. Third, employees' perception in PJ was shown to have an influence on both JS and OC alike the previous studies. The only difference is that secretaries' perception in PJ showed significant influence on three OC factors except the commitment factor. Building upon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three major implications are suggested as follows: (1) company and organization should apply different HRM system to secretaries and general office workers, (2) HRM managers could make a proper system for secretaries with results of this study, and (3) company could change their HRM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ir organizational goal.

      • 만4세 하늘반의 음악교육의 양상과 교수방법에 관한 질적 연구

        강은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하늘반에서 이루어지는 음악교육의 양상과 교사의 교수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유아교육 기관에서의 하루일과라는 맥락 안에서 유아들이 경험하는 음악교육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실시하는 과정에서 교사는 어떠한 교수방법을 사용하고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알아보기 위해 질적연구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만 4세 하늘반의 음악교육의 양상은 어떠한가? 2. 만 4세 하늘반의 음악교육에서 교사의 교수방법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시에 위치하고 있는 세영 유치원의 만 4세반인 하늘반에서 이루어졌다. 연구대상은 이 학급의 교사 2명과 유아 3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08년 9월 5일부터 2008년 10월 14일까지 총 18회의 참여관찰을 하였다. 교사면담은 형식적인 면담이 1회이며, 전화를 사용한 비형식적 면담이 주로 이루어졌다. 연구자는 하늘반의 하루일과를 관찰하면서 현장약기와 비디오 녹화, 사진촬영을 하여 전사본을 작성하였으며 이를 Bogdan 과 Biklen(2007)의 방법대로 부호화 하고 범주화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만 4세 하늘반의 음악교육 양상을 살펴 본 결과 하늘반에서는 유아들이 등원하면서부터 줄서기, 대집단으로 모이기, 대집단 활동, 정리, 교실 외의 다른 곳으로 이동하기, 귀가 시간 등 하루일과를 통해 유아들의 일상 속에서 음악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하늘반 유아들이 하루 일과를 통해서 경험하는 음악교육을 탐색하기, 표현하기, 감상하기로 나누어서 살펴 볼 수 있었다. 하늘반에서의 탐색은 주로 생활주제인 ‘우리나라’와 관련하여 유아들이 처음 경험하게 되는 우리나라 악기를 다루면서 많이 이루어졌다. 대집단 활동을 통해 전체 탐색이 이루어진 후 자유선택활동 시간을 통해 악기마다 다른 소리, 힘의 조절과 연주법에 따라 다르게 나는 악기 소리를 통하여 음색, 소리의 세기, 리듬과 같은 음악적 요소를 경험을 통해 습득 하고 있었다. 표현은 유아교육기관의 음악교육의 실태를 연구한 많은 연구들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노래부르기’를 통해 가장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를 통해 ‘새노래부르기’ 활동 안에는 표현하기 외에도 많은 음악적 요소들과 활동들이 담겨져 있음을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하늘반 유아들에게 새노래는 함께 부르고 이를 하루 일과를 통해 반복적으로 부르며 익혀 자유선택 활동 시간에 악기연주나 율동 등으로 확장시켜 놀이 하는 데 필수적인 요건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유아들에게 적합한 노래를 선택하여 함께 부르는 경험은 노래부르기 외의 악기연주나 율동 등의 다른 표현활동으로 확장 시켜 풍부한 표현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둘째, 하늘반의 음악교육에서의 교사의 교수방법을 살펴본 결과 하늘반 교사는 일상적 음악교육과 대집단 활동을 통한 음악교육을 진행함에 있어서 교수방법에의 차이를 두고 있었다. 일상적 음악교육은 주로 하루 중 배운 노래를 수시로 부르며 이루어지고 있었다. 전이시간이나 줄을 서서 이동할 때는 주로 배운 노래를 수시로 부르고 있었고 정리시간이나 귀가시간에는 특정 노래를 개사하여 교사가 유아의 이름을 넣어 불러주는 등의 방법을 사용하고 있었다. 자유선택활동 시간을 통하여서는 생활주제에 맞는 악기와 노래를 선택하여 음률 영역에서 노래부르며 악기연주를 하였는데, 이 때에 교사는 대집단 활동 때보다 더 유아의 자유로운 표현을 존중 해 주는 등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유아와 상호작용 하였다. 대집단활동을 통한 음악교육 역시 새노래부르기 활동이 가장 많이 관찰되었다. 특히 하늘반에서는 새노래부르기 시간에 도입부분의 활동에서 노래와 관련된 이야기나누기 시간을 길게 가짐으로서 다른 영역과의 통합을 시도하고 있었다. 활동의 유형에서는 일상적 음악교육과 대집단 활동을 통한 음악교육에서 교수방법에의 차이를 보이고 있었지만 하늘반 교사는 표현생활 영역의 내용간 통합 생활주제 안에서의 통합 등 음악교육을 통합적으로 운영하고 있었다. 이 밖에도 음악교육을 실시하면서 음악적 요소를 소개하도록 노력하고 있었고 유아들의 표현에 민감한 반응을 보였으며 교사 자신도 음악교육에 적극적 참여하는 모습을 보였다. This study focuses on aspects of music education and teachers' instruction taken place in Ha-neul cla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about music education that children experience in the context of a daily lesson in child education organization, and to analyze what instruction was used during the progress. To achieve this goal, a qualitative study was used and the following are there search problems. 1. What are the aspects of music education in Ha-neul class for 4-year-old children? 2. What is the instruction for music education in Ha-neul class for4-year-old children? This study took place in Ha-neul class for 4-year-old children in Se-young kindergarten in Seoul. The objects of this study are 2 teachers and thirty children, and I observed them for eighteen times from September 5, 2008 to October 14, 2008. A teacher interview includes the content of a formal interview once, and the most part of the teacher interview was done by informal conversations using a phone. I observed all-day-long schedules and prepared all the copies for video clips and photographing, and then encoded and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method by Bogdan and Biklen(2007).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as a result of observing the aspects of music education in Ha-neul class, the children were participating in music education in daily schedules such as being in a line, gathering as a group, group activities, arrangement, moving to another place, and going back home. Likethis, the children can have music education in ordinary schedule. Music education which was taken by the children in Ha-neul class could be separated into exploration, expression, and appreciation. Exploration progress in Ha-neul class was done by the children experiencing new instruments with regard to 'our own nation', a life topic. After generally exploring in group activities, the children could experience musical elements such as tone, volume of sounds, and rhythm with different sounds from various musical instruments. 'Singing together' was expressed the most as a type of expression, as many experts pointed out in studyes about the actual condition of music education in a child education organization. However, I could confirm that not only expression but also many musical elements and activities are included in the progress 'Singing a new song'. The children in Ha-neul class took new songs as a necessary condition as they could do something together repeated ly in daily life, which in the end expanded to playing musical instruments and dancing. The experience that the children choose proper songs and sing together is very important in that they can apply to other expression activities such as playing musical instruments and dancing. Secondly, as a result of observing the teaching method by a music teacher in Ha-neul class, the teachers possess distinction in progressing music education through everyday-life music education and group activities. Everyday-life music education was done by songs that the children already learned during the day. When the children moved to othe rplaces or were in alive, they were singing songs that they learned on occasion. When the children cleaned and prepared for returning home, teachers were singing songs that they altered by putting every infant's name in the lyrics. By having free play activity time, the children chose musical instrument s and songs related to life topics. The teachers had mo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children in a free mood, understanding and respecting their expression more than when it was a group activity. 'Singing new songs' was also observed the most to be included in music education by group activities. Especially in Ha-neul class, the teachers tried to teach the children to combine various fields together by having long conversations related to songs in beginning activities of 'singing-new-songs' time. Although there is difference between the instruction of music education by group activities and ordinary music education, the teachers in Ha-neul class managed music education unitedly with combination of contents and combination of life topics. Besides, they tried to introduce musical elements by executing music education, concerned the children 'expression significantly, and actively participated in music education themselves.

      • 디지털정보화시대의 공간디자인 형태특성에 관한 연구 : 모던 포스트 모던 시대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강은정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사회적인 큰 변혁과 공간디자인 패러다임의 변화는 항상 긴밀한 연관성을 보여왔다. 산업혁명은 기능적이고 간결한 모더니즘 디자인을, 세계대전 이후 대중화 시대로 접어든 1960년대의 사회적 배경은 상징성과 역사적 특징을 살린 포스트 모더니즘을 탄생시켰다. 최근에 나타나고 있는 디지털 혁명 또한 공간디자인에 큰 변화를 가져오고 있으며 많은 건축가들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새로운 형태적 시도를 선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이 시대흐름과 긴밀한 관계를 보이며 발달하는 공간디자인 패러다임의 변화를 살펴보고, 공간디자인에 있어 새 시대에는 과거시대의 어떤 개념들이 거부되어 왔으며, 어떤 새로운 개념들이 부상되어 왔는지에 대한 파악을 통해 시대 사조적인 큰 흐름 속에서 오늘날의 공간디자인의 특성을 조망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고찰을 통해 디지털정보화시대의 시대적, 문화적, 공간적 특성을 파악한 후, 실제로 이러한 특성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오늘날 대표적인 건축가로 손꼽히는 건축가들의 작품사례를 내용분석하였다. 분석대상선정을 위해 건축 및 실내디자인 관련 저널과 언론에 가장 많이 소개가 되고 있는 건축가들을 일차적으로 선정하였고, 대상선정의 타당성을 위해 앞에서 선정한 건축가들 중 다시 전문가들의 추천을 받았다. 그 결과 피터 아이젠만, 프랭크 게리, 그랙 린, 렘 쿨하스, 다니엘 리벤스킨드의 90년대 이후 작품 20사례를 분석하였으며, 분석의 기준으로는 첫째, 디자인 개념 둘째, 디자인 형태특성 셋째, 디자인 표현방법의 상위개념을 설정한 후 이에 따라 최근의 디자인 관련 연구와 문헌들이 오늘날 공간디자인의 특성으로 도출한 하위 개념들을 상위개념에 맞추어 분류한 분석 표를 만들었다. 실제 사례분석에서는 건축가들마다 이러한 하위개념 특성들이 어떠한 측면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그 형태적 특성은 무엇인지 또 건축가별 디자인 개념과 표현방법의 차이점은 무엇인지를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문헌분석과 사례분석을 통해 나타난 디지털정보화시대 공간디자인 특성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990년대 들어서면서 급속히 발달하기 시작한 디지털기술은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사회와 경제로의 변화를 가져왔으며, 이와 더불어 인터넷을 통한 생활패턴의 변화 또한 야기되고 있다. 개인의 가치관과 가족개념의 변화에서부터 교실환경, 주거환경, 그리고 여가문화에 이르기까지 우리생활의 모든 부분이 디지털기술의 영향을 받아 급속히 변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디지털의 영향력은 공간디자인 분야에까지 확대되고 있다. 디지털기술의 영향을 받은 오늘날의 건축가들은 이전시대의 공간디자인사조와 확연히 구분되는 새로운 공간형태의 가능성을 시도하고 있으며 그 결과 프랙탈 기하학, 유기성이론, 카오스 이론등과 접목된 유기적이고 비선형적인 독특한 양식의 공간디자인을 창조해 내고 있다. 이렇게 나타난 디지털정보화시대의 공간디자인 경향은 크게 모더니즘·포스트모더니즘의 전통적 디자인을 계승한 스타일과 이와 반대로 이전시대의 공간디자인과 확연히 구분되는 새로운 스타일의 공간형태를 창조하는 경향인 소위 뉴모던(New- Modern)혹은 해체(Deconstruction)주의 경향의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두 번째 해체적인 공간디자인 스타일이 추구하는 오늘날 새로운 공간디자인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디자인 개념적 특성으로, 우연적 요소와 기존 건축양식의 해체, 고정적 공간의 위계거부, 방향성의 혼재, 불확정성, 흔적의 발굴 등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둘째, 공간디자인의 형태특성으로, 유기적, 비선형적, 추상적, 부정형적, 탈의미적인 성격과 불연속의 조각적 형태나 기울어진 바닥의 활용 그리고 기능 없이 나열한 기둥등이 자주 보여지고 있다. 셋째, 공간디자인 표현방법의 특성으로, 형태의 반복, 뒤틀림, 회전, 교차, 결합, 왜곡, 분리, 회화적 파괴, 축의 혼합, 접기와 펴기 등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위와 같은 오늘날의 공간디자인 개념과, 표현방법 그리고 형태특성이 실제 피터아이젠만, 프랭크 게리, 그랙 린, 다니엘 리베스킨드, 렘 쿨하스의 디자인작품 사례에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이들의 작품은 공통적으로 ‘기존 양식의 해체’를 강하게 추구하고 있으며, 기능보다는 형태에 중점을 둔 건축작품이 많이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의 분석에 따른 이들의 건축형태의 특징은 우선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것을 ‘유기적 해체’와 ‘직선적 해체’로 명칭을 붙여 구분하였다. 전자의 그룹으로는 피터 아이젠만, 그랙 린, 프랭크 게리가 있으며 이들은 그래픽을 통해서 가능해진 유기적이고 비선형적인 디자인을 개성적으로 선보이고 있는데, 이러한 ‘유기성’은 그들의 작품을 대표하는 특징이 되고 있다. 또한, 이들과 대조적으로 렘 쿨하스와 다니엘 리베스킨드의 경우 유기적인 선을 거의 배제한 직선적인 형태를 통해 해체를 추구하고 있으며 같은 유기적 형태 혹은 직선적 형태를 추구하는 건축가라 하더라도 디자인 표현방법에 따라 그 형태적 특성이 확연히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디지털정보화시대 공간디자인의 특성과 그 정체성을 명확히 하기 위해 시대 비교적 관점에서 분석을 하고자, 이전시대 디자인 사조인 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과의 비교를 통해 오늘날 공간디자인의 특성을 종합적으로 그려보았다. 시대적 특성과 공간디자인 특성 그리고 이전시대 디자인과의 비교를 상위 분석 기준으로 하여 시대적 특성으로는 사회적이슈, 사상적 특성, 문화적 특성 그리고 시대적 영향에 따른 새로운 공간디자인 이슈에 대한 분석을, 공간디자인 특성으로는 디자인 운동, 디자인 개념, 형태특성, 디자인 표현방법을, 마지막으로 전시대 디자인과의 비교에 있어서는 이전시대로부터 계승된 디자인 요소와 거부된 디자인 요소가 무엇인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모더니즘 시대에 발달했던 기계미학이 물리적 기계를 의미했다면 오늘날에는 생물학, 의학등과 접목된 전자적 기계의 성격으로 발전했고, 모더니즘시대의 기능주의는 포스트모던시대의 다원주의로 그리고 오늘날에는 해체주의로 변화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모더니즘시대의 기계적인 추상형태는 포스트모더니즘시대에 이르러 구성적이고 상징적인 형태로 그리고 디지털정보화시대에는 구성적형태의 해체를 통한 탈의미적 형태로 변해왔으며, 또한 모더니즘 시대의 공간디자인이 진지함을 추구했다면, 오늘날의 디자인은 훨씬 표피화, 이미지화 되었고, 포스트모던시대의 맥락주의는 오늘날 상호 텍스트적인 성격으로 이어져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고 있다. 본 연구는 최근 공간디자인의 특징에 관한 산재한 정보들을 시대적인 배경과 사회적 변화 그리고 디자인 특성에 대한 비교를 포함하는 체계적인 분석기준에 맞추어 건축사조의 한 흐름으로 종합, 정리하여 판단할 수 있는 정보형태로 제공하였으며, 특히 최신 공간디자인 분석을 통해 해체주의로만 알려진 오늘날의 건축적 경향이 발달하게 된 배경과 원인을 파악하고, 건축가별 형태 표현 특성에 따라 ‘유기적 해체’와 ‘직선적 해체’로 명칭을 붙여 구분을 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더불어,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디자인 특성과 오늘날 디지털정보화시대 공간디자인 특성과의 비교를 통해 이전 시대의 디자인 요소의 성격이 오늘날까지 어떻게 변화하여 이어져왔고, 어떠한 디자인 요소가 거부되어 왔는지를 체계적으로 파악함으로써, 모더니즘·포스트모더니즘·디지털정보화시대에 이르기 까지 각 시대 공간디자인의 정체성을 좀더 명확하고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Different social revolutions and movements have a paradigmatic effect on spatial design. For example, the functional and theoretical properties of modernism were affected by the industrial revolution, and consequently post modernism which has a symbolic and historical style affected by the mass media of the 1960s. In recent times the digital revolution has had a large impact on spatial desig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hange and the paradigm of space design, focusing on which design concepts have been favored or maligned in a contemporary and historical set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tial design of today has been viewed using the method of analyzing references from relevant literature, as well as 20 example works from representative architects in the post 1990 period such as Peter Eisenman, Greg Lynn, Frank Gehry, Lem Koolhaas, and Daniel Libeskind. The criteria for analysis were design concepts,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al shape, and design method. The result obtained by analysis of those architect's works shows 'deconstruction' as a fundamental idea, and a focus upon configuration rather than functionality. However, two big differences in the characteristics of this period of architecture were found in their configuration, namely 'Organic-deconstruction' and 'Linear-deconstruction'. Peter Eisenman, Greg Lynn, Frank Gehry show organic and nonlinear properties, which are made possible through computer graphic utilisation in their design. In contrast, Lem Koolhaas, and Daniel Libeskind pursue deconstruction through linear configuration without any organic lines. Even when they are pursuing the same design concept, (organic or linear format),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work shows a great degree of variance according to the design method each architect adopts. To clearly see the properties of space design in the era of digital information, a comparison was made between modernism and post-modernism. As a result we can see that modernism entirely denies the design styles of previous eras such as bad quality materials, the unplanned configuration of furniture, disordered decoration of walls, and an atmosphere of romanticism. Whilst post-modernism accepted the functional design and incorporated regional nuances and peculiarities, it abandoned the unified design style of modernism. As digital technology has rapidly developed, the flexible application of computers are now used in the process of design. This means many new applications for architects. These new modes and methods result in de-constructive, organic, and non-functional style patterns in spatial design. Many architects have strongly pursued geometrically amorphous style formats in their work. The format of spatial design in the digital era shows much variance when compared with the functional and symmetrical use of space in modernism, and the meaningful configuration of postmodernism. Modern spatial design in the digital era makes a compromise between the mechanical sensualism of the modern age, and the contextualism of the post-modern age. This study hopes to offer information to enable th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characteristics of space design in the digital information age, as well as providing a comprehensive comparison between modernism, post-modernism and digital-information age concepts of design.

      • 스포츠 이벤트 스폰서십 전략과 기업 이미지와의 관계연구 : KB 국민은행 사례를 중심으로

        강은정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스포츠 마케팅의 핵심인 스포츠 이벤트 스폰서십은 기업의 통합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활용 되고 있다. 스포츠 이벤트 스폰서십을 기업의 목적에 맞는 광고 PR, SP등의 다양한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수단과 통합되어 실행될 때 시너지 효과가 일어난다. 최근 국내외의 스포츠 시장이 급속히 발전하면서 스포츠에 대한 소비자의 욕구가 다양해지고 있다. 또한 선수들, 팀들, 이벤트들에 의해 스포츠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추세에 부응하고자 기업들은 스포츠를 이용하여 기업홍보, 기업이미지 제고, 매출액 증대를 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스포츠 마케팅이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부분을 KB 국민은행 사례중심으로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기업광고가 제품태도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과 공식스폰서의 인지, 공식후원이 기업호감도 및 제품태도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KB국민은행 사례중심으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이론 및 실증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스포츠 이벤트 스폰서십이 기업이미지 제고 및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효과적인 마케팅 촉진수단임을 알 수 있으며, 기업이 스포츠 이벤트 스폰서십의 활동으로 소비자 태도와 기업 이미지를 더욱 바람직한 결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전략적 고려 사항을 제안해 주고 있다. The sports event sponsorship, which is the core of sports marketing today, is being utilized as the IMC(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 means of enterprise. When the sports event sponsorship is carried out by being integrated with diverse marketing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advertising PR and SP in line with the corporate goal, the synergy effect takes place. As the sports markets at home and abroad are developing rapidly these days, the consumers' needs for sports are getting diverse. Also, an interest in sports is in the real situation of being amplified by players, teams, and events. To satisfy this trend, the enterprises are devising the corporate publicity, the intensification in corporate image, and the increase in sales by using spor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into a part that the sports marketing has influence upon corporate image, centering on a case of KB(Kookmin Bank). And, to propose implication centering on a case of KB as for the positive influence of corporate advertisement upon product attitude and the positive influence in the awareness of official sponsor and in the official sponsorship upon a good feeling about enterprise and upon the product attitude, based on this, it carried out theoretical and empirical research. As for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ports event sponsorship can be known to be the effective marketing promotion means in order for the corporate-image intensification and the marketing communication. It is suggesting the strategic considerations that enterprise can change consumer attitude and corporate image into the more desirable result with the sports event sponsorship activity.

      • 병원 근무 간병인의 직업의식과 업무 만족

        강은정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일반병원과 노인병원에서 근무하는 간병인들을 대상으로 간병인들의 일반적, 건강, 직무, 직업 관련 특성에 따른 직업의식과 업무만족도를 비교하고, 이들의 직업의식 및 업무만족도와 관련된 변수를 규명하여 간병인의 근무환경 개선 및 효과적인 간병인 관리를 통한 양질의 간병문화 정착에 기여하고자 한다. 2006년 3월 20일부터 4월 23일까지 총 34일간 부산시내 위치한 5개 종합병원과 4개의 노인전문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유료 간병인 285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2.0K Window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분산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 국립부산과학관 전시물 특성 분석 및 교육과정 연계성에 대한 연구

        강은정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립부산과학관은 2015년 12월 개관 이후 전시물에 대한 부분적인 리뉴얼을 매번 진행하고 있고 2021년 현재의 상설전시관 전시물은 개관 당시에 비해 5분의 3이 리뉴얼된 상태이다. 본 연구는 리뉴얼된 전시물의 특성을 전시주제와 전시형태에 따라 분석하였고 또 전시물의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연계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국립부산과학관 상설전시관 전시물 129개의 전시형태는 능동형 관람 전시물이 많이 전시되어 있었다. 자동차 주제관의 경우 72% 이상의 전시물이 능동형 전시물로서 일상생활과 연관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부분 체험형 전시물로 구성되어 있었다. 항공우주 주제관은 능동적 전시물이 많았으며 버튼 조작형의 작동 전시물이 자동차관에 비해 많이 구성되어 있었다. 선박관의 경우 항공우주 주제관과 유사하게 능동형 전시물의 구성이 많은데, 버튼, 조작 전시물의 비율이 높고 반면 신체 이용 체험형 전시물의 비율은 낮게 구성되어 있었다. 20년 신규 리뉴얼 오픈한 에너지 주제관은 기존 패널 모형 자동영상 구성의 수동형 전시물에서 조작, 신체 이용으로 능동형 전시물과 체험형 전시물의 구성이 많았다. 둘째, 국립부산과학관 상설전시관 전시물의 체험유형은 관람형 전시물(Eyes-on)이 43개로 33.35%, 체험형 전시물(Hands-on)이 71개로 55.04%, 탑승형 전시물(Boy-on)이 10개로 7.75%, 이해형 전시물(Minds-on)이 5개로 3.87%로 구성되어 있었다. 관람형 전시물 33.33%에 비해 작동 체험형 전시물이 62.79%로 2배 정도 높게 설치되어 있었다. 작동 체험형 전시물 설치 비율이 타 과학관에 비해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는 국립 부산과학관의 역할이 박물관의 일반 전시기능과 달리 과학적 요소에 대한 직접 체험기회를 제공하는 과학체험관의 역할을 수행하고자 하기 때문이다. 셋째, 상설전시관 전시물의 초등과학 교육과정 연계성 분석 결과 총 129점의 전시물 중 83(64.34%)점의 전시물이 초등과학 교육과정과 연계성이 있었다. 과학 과목의 영역별 전시물의 구성 비율은 물리 영역이 88(68.2%)점으로 가장 많았고, 지구과학영역은 10(7.7%)점, 생물영역과 화학 영역이 8(6.2%)점으로 같은 비율로 구성되어 있었다. 전시주제에 따라 살펴보면 에너지 주제관의 전시물이 23(76.67%)점으로 초등과학 교육과정과 연계성이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항공우주 주제관의 전시물이 12(75%)점, 의과학 주제관 전시물이 14(73.68%)점, 선박관 21(53.8%)점, 자동차 주제관이 13(52%)점으로 초등과학 교육과정과 연계성이 있었다. 중등 교육과정 연계성은 모든 전시물에 높게 반영되어 있는 것 같다. 에너지, 의과학관은 모두 연계되어 있었고, 선박관은 총 34점으로 87.17%, 항공우주관은 13점(81.25%), 자동차관은 7점(28%) 순으로 나타났다. 초등교육과정과 중등 교육과정이 중복으로 연계되어 있어서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초등 3-4학년 과정과 연계된 전시물은 24.81%, 초등 5-6학년 과정과 연계된 전시물은 64.34%, 중등과정과 연계된 전시물은 79.84%로 중등 교육과정과 연계성이 높게 나타났다. 과학관의 전시물의 교육과정 연계성의 분석이 과학관의 교육적인 의미를 최대한 활용하여 수준별 전시해설, 전시물 활용 교육, 과학관 교육프로그램과 체험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비 형식 교육기관으로서 과학관의 역할 수행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과학관의 전시물의 특성 분석은 향후 진행되는 과학관의 전시물 개선 및 제작에 대한 방향을 결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 ORE7 유전자 도입에 의한 노화지연 크리핑 벤트그라스 개발

        강은정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ORE7 gene has been known to delay the characteristics of leaf senescence in age-dependent manner in Arabidopsis thaliana. To develop the bentgrass with the extended longevity in its leaf organ, we introduced the ORE7 gene with ubiquitin promoter along with the herbicide resistance (bar) gene into the creeping bentgrass (Agrositis stolonifera L. cv. “Penncross”) using pCAMBIA3301 vector. The transgenic plants were selected on the media with 5 mg/L Phosphinothricin (PPT) and identified the insertion of gene by the PCR analysis. In the immunoassay of bar gene product from the selected lines, phosphinothricin acetyltransferase (PAT) protein was easily identified in all plants tested. Southern blotting was performed; clearly one mutant line (ORE7-1) with a single copy and the other mutant lines (ORE7-2 and ORE7-3) with two copies, respectively. We then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of leaf senescence using chlorophyll degradation pattern, chlorophyll content, photochemical efficiency (Fv/Fm) from the transgenic lines under dark treatment. During wild-type was under severe stress at 4-day and completely at 10-day in continuous dark treatment, the ORE7-1 (ORE7-ox) was comparably delayed in chlorophyll content. Photochemical efficiency further supported that the ORE7-1 (ORE7-ox) showed still a 90% activity in the same conditions. We also compared the phenotype of leaf senescence between the wild-type and the ORE7-1 (ORE7-ox) transgenic plants under the salt stress; wild-type plant completely was stressed more than 100 mM NaCl at 6-day treatment, whereas the ORE7-1 (ORE7-ox) was slightly affected.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transgenic bentgrass plants were extended the leaf longevity by the introduction of ORE7 gene and well tolerated both in dark and salt stresses.

      • 일학습병행제 기업현장교사의 직원몰입과 직무성과 관계에서 조직지원인식과 임파워링 리더십의 직접효과 및 조절된 매개효과

        강은정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조직 전체의 지원 관점인 조직지원인식 모델과 부서내 지원 관점인 임파워링 리더십 모델이 일학습병행제 기업현장교사의 관점에서도 유의한지 확인하고 모집단을 더 잘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찾아 이들의 상호작용이 유의미한지 연구하여 일학습병행제 기업현장교사의 긍정적인 직원몰입을 형성하는데 HRD관점에서 실무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일학습병행제 기업현장교사 양성교육에 참여한 310명의 기업현장교사를 대상으로 조직지원인식, 임파워링 리더십, 직원몰입, 직무성과와 관련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기업현장교사 관점에서 조직지원인식은 직원몰입을 통해 직무성과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검정 되었고 기업현장교사 관점에서 임파워링 리더십은 직원몰입을 통해 직무성과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검정 되었다. 두 모델을 비교한 결과 기업현장교사 관점에서 조직 전체의 지원 모델이 부서내 지원인 임파워링 리더십 모델보다 기업현장교사 모집단을 더욱 잘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이라고 판단하였다. 조직지원인식이 직원몰입을 통해 직무성과에 미치는 매개효과에 있어서 임파워링 리더십에 따른 조절된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학문적 시사점과 실천점 시사점을 제시하고 향후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We want to see if it is significant that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model and empowering leadership model. find a model that can better predict the population, and study whether their interactions are significant, to provide implications that can be used practically from the HRD perspective to create positive employee engagement for in-complany trainers. To this end, 310 field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training of field teachers of the company were surveyed on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empowering leadership, employee engagement, and job performance to confirm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study,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from the perspective of corporate field teachers was certified to have a static impact on job performance through employee engagement, and from the perspective of in-company trainers, empowering leadership has a static impact on job performance through employee engagement. The comparison of the two models showed that from the perspective of in-company trainers,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model was more predictable than the empowering leadership model. in term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n job performance through employee engagement. moderated mediationg effects of empowering leadershi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is, they presented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suggested future research.

      • 65세 이상 노인에서 치매 검진 수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령집단별 비교

        강은정 전북대학교 보건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Objective: Korea is one of the world's fastest aging countries. As a result, dementia, a senile disease, is on the rise, and an upsurge in social costs associated with dementia puts a burden on the government. In order to effectively prevent dementia, it is necessary to take preventative measures and detect dementia early. However, the present rate of taking dementia screening in Korea is lower than the rate of health examin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the dementia screening test by age group by categorizing the elderly over the age of 65 into young-old, middle-old, and old-old in order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old age by age,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strategic measures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with dementia screening. Methods: This study selected 9,026 participants based on the 2020 Korean National Survey on Older Adults. The SPSS version 26.0 program was used for frequency analysis, chi-square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threshold was p<0.05. Results: In regard to this study, it was discovered that 4,228 (42.6%) of the elderly who underwent a dementia screening and 5,669 (57.4%) of the elderly who were not subjected to one were less than 77.7% of the elderly who undergo routine health checks. The young old has demonstrated a tendency to undergo more dementia testing than the middle old. In terms of the factors influencing dementia examination in all age groups, the elderly who used the elderly welfare center had a significantly higher possibility of dementia screening than the elderly who did not use the welfare center, the elderly who had undergone the medical examination in the previous two years, and the elderly who were assisted to perform their daily activities than the elderly who did not (p0.05, OR>1). The probability of dementia screening was considerably higher among senior people who did not use smartphones than among those who did (p 0.05, OR 1). The number of close friends, education level, engagement in political and social activities, BMI, drinking, prior experience applying for long-term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use of PCs, and challenges with daily necessities were variables that only affected the young ol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screening rate for the cognitive factors of the dementia early screening service among the young-old, but the association with the screening test was not significant; however, it was a significant variable in the middle-old and old-old. Both the middle-old and the old-old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case of the experience of using senior citizen facilities, but the odds ratio in the middle-aged was higher than 1 and the odds ratio in the elderly was lower than 1. This study has the restriction of being a secondary data study, but it can be argued that it represents the elderly individuals over 65 years old in Korea by weighted analysis in the state of correcting various confounding variables. Furthermore, it is beneficial to analyze the factors related to the dementia test by grouping them by subdividing the age. Based on this, it is anticipated that it will contribute to providing fundamental statistics for identifying and approaching high-risk individuals, as well as formulating strategies to increase dementia screening ra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