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의료기사 초기노동시장 이행 유형에 관한 연구

        김시현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산업의 경계가 견고했던 다양한 보건의료산업 영역은 4차 산업혁명의 기술적 변화에 따라 다양한 노동시장으로 확장되고 있다. 또한, COVID-19와 같은 감염병 대유행 상황에서 국가 보건의료자원으로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보건의료인의 필요성은 이전보다 더욱 두드러지게 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보건의료분야의 직군별 국가자격에 대한 활용실태 및 고용구조 연구는 매우 필요한데 반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의료기사의 초기노동시장 이행 과정에서 경험하는노동시장 유형을 분류하고 그에 따른 특성을 분석한 후, 의료기사 노동환경 정책과 직군별 노동시장 연구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2019년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 자료에서 의료기사 6개 직종의 졸업생, 총 439명을 대상으로 임금(pay; p)·사회보장정도(social insurance; s)·고용안정성(full time job; f) 3가지 변수를 활용하여 총 8개의 초기노동시장 이념형을 구축하였다. 이후 SPSS 18.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t-test, 카이제곱 분석을 하였으며, 초기노동시장 유형화를 분석함에 있어 빈도분석의 절대적 비교 보완을 위하여 fs/QCA 3.0프로그램을 이용한 퍼지셋 이념형 분석(fuzzy-set ideal type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의료기사 직군에 따른 초기노동시장 이행 유형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초기노동시장 이행에 있어 임상병리사, 방사선사, 물리치료사는 높은 임금, 작업치료사, 치과기공사, 치과위생사는 상대적으로 낮은 임금 속성이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빈도분석을 통한 초기노동시장 이행 유형은 의료기사 직군 모두 변화가 없었다. 반면에, 퍼지셋 이념형 분석에서는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 치과기공사, 치과위생사 4개 직군에서 초기노동시장 이행 유형이 변화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의료기사 직군별 성별에 따른 이행 유형 변화(임상병리사 여, 방사선사 여, 물리치료사 남·여, 작업치료사 남·여, 치과기공사 여, 치과위생사 남)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퍼지셋 이념형 분석을 통해 의료기사 초기노동시장 이행 유형에 대한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의료기사 전체 및 직군별 특성에 따른 노동환경 정책과 직군별 노동시장 연구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의료기사 직군 및 성별에 따른 연구, 관리, 운영을 할 수 있는 행정적 시스템을 국가차원에서 마련해야 할 것이다. Various areas of the health care industry, where the boundaries of the industry were strong, are expanding on various labor market in according to the technological chang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addition, in a pandemic such as COVID-19, the need for health care workers who play the most important role as national health care resources has emerged more prominently than before. For this reason, it can be seen that the research on the utilization status and employment structures of national qualifications by occupational group of the health care field is significantly limited compared to the neces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types experienced by medical service technologists in the early labor market transition process, analyze each character, and to present basic data on labor environment policy recommendations and needs for research of occupational group based in this. The research used data from the 2018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and a total of 439 graduates from 6 technologists were targeted. After constructing a total of 8 early labor market ideal types using 3 variables; wage(Pay : P)·social security(Social insurance : S)·employment stability(Full time job : F). SPSS 18.0 was used to frequency analysis, t-test, chi-square analysis. In order to supplement the absolute comparison through frequency analysis, the early labor market typology and type properties were conformed with fuzzy-set ideal type analysis using the fs/QCA 3.0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arly labor market types of medical service technologists occupational group. In particular, clinical pathologists, radiologists, and physical therapists were found to have high wages(P), and occupational therapists, dental technicians, and dental hygienists were found to have relatively low wages(p). early labor market transition trough frequency analysis did not change into all medical technologist occupations. On the other hand, in the Fuzzy-set ideal typ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early labor market transition was changed in the four occupational groups: physical therapist, occupational therapist, dental technician, dental hygienist. And, changes in the type of transition according to gender by occupational group were also confirmed: female clinical pathologist, female radiologist, male/female physical therapist, male/female occupational therapist, female dental technician, and male dental hygienist. This study confirm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arly labor market transition type of medical service technologists through fuzzy set ideal type analysis, and presented a basic data onto the necessity of policy suggestion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ntire medical service technologists and each group. Furthermore, at the national level, it should prepare an administrative system that can research, plan, manage, and operate according to the occupational group and gender of medical service technologists.

      • 대학병원직원 의료기사의 직무환경 및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 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강희정 대전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21세기는 정보화로는 IT의 급속한 발전이 이루어지고 생명과학적으로는 유전공학적 학문이 심도있게 발전 되고 있으며, 금세기 증에 이것들을 통합시킬수 있는 nano(10^-9)시대가 이미 예고 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요청에 따른 의료기술이 첨단화를 달린다. 우리나라도 의료 기술이 첨단화 되고 의료기사의 검사 기술도 다양화, 자동화 되면서 깊은 전문성을 요구하고 직무의 다변화를 체험하면서 의료기사들의 직업의식이 많은 변화가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다양한 직업구조를 가진 보건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업무는 새로운 절차를 요구하는 의학기술의 확대등으로 인해 빠르게 변하고 있으며, 이런 급격한 변화는 직업에 대한 만족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병원 의료기사의 직무만족도를 조사 분석하여 그들의 직무에 대한 능률과 권익신장, 보다 발전적인 의료기사의 직무 환경을 위해 의료기사의 직무 및 환경을 위해 의료기사의 직무 환경 및 직무 만족도에 관한 연구라는 주제를 가지고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5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의료기사를 대상으로 본 연구자가 직접 작성한 설문지를 가지고 조사하였다. 이렇게 구성된 설문지는 2001년 9월 초에 배부, 회수하였으며 수집된 설문지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설문지의 신뢰도 검증은 Cronbach's Alpha를 이용하여 검토하였으며, 인구 특성문항에 대해서는 빈도분석, 집단간 차이 검증은 두 집단의 경우 T-test, 세집단 이상은 ANOVA를 실시하였다. 직무환경과 직무 만족도간의 관련성은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배경변수별 직무 만족도의 수준은 남자, 여자의 직무 만족도는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지만 대체적으로 불만족하고 부서별 만족도는 대체로 불만족 하며 이러한 부분은 근무연수별에서도 마찬가지로 불만족스럽게 나타나고 있다. 병원별 만족도는 A 병원에서 근무하는 직원들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C 병원 직원들이 가장 불만족스럽게 나타났다. 둘째, 배경변수별 직무환경의 차이를 보면 성별에 따라 직무환경에서는 전반적으로 만족하는 경향이나 업무, 설비에서 부정적인 경향이 보이며 부서별로도 전체적으로 직무환경에 만족하는 경향이 있으나, 업무에서는 부정적이며 특히 설비에서 가장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별 직무환경에서는 전반적인 환경에서 대체로 만족하나 승진에서는 불만족하는 것으로 보아 학력이 높을수록 상대적으로 불만족하는 것으로 보인다. 병원별로 본 직무환경은 전체적인 병원 환경에 대해 불만족하는 경향을 보였다. 대전시내 종합병원들이 전체적으로 불만들이 산재해 있어 이 부분들이 충족되지 않으면 자연히 직무에 대해 책임감과 검사기술의 다양화로 창의력도 저하되어 병원 발전에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이나 의료기사의 책임성을 가지고 자신들이 스스로의 능력 개발과 소속병원에서 부서별로 자부심을 갖고 적극적인 사고 방식을 발휘하여 21세기의 이상적인 병원 의료기사 상을 정립하여야 할 것으로 본다. 21세기는 정보화로는 IT의 급속한 발전이 이루어지고 생명과학적으로는 유전공학적 학문이 심도있게 발전 되고 있으며, 금세기 증에 이것들을 통합시킬수 있는 nano(10^-9)시대가 이미 예고 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요청에 따른 의료기술이 첨단화를 달린다. 우리나라도 의료 기술이 첨단화 되고 의료기사의 검사 기술도 다양화, 자동화 되면서 깊은 전문성을 요구하고 직무의 다변화를 체험하면서 의료기사들의 직업의식이 많은 변화가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다양한 직업구조를 가진 보건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업무는 새로운 절차를 요구하는 의학기술의 확대등으로 인해 빠르게 변하고 있으며, 이런 급격한 변화는 직업에 대한 만족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병원 의료기사의 직무만족도를 조사 분석하여 그들의 직무에 대한 능률과 권익신장, 보다 발전적인 의료기사의 직무 환경을 위해 의료기사의 직무 및 환경을 위해 의료기사의 직무 환경 및 직무 만족도에 관한 연구라는 주제를 가지고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5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의료기사를 대상으로 본 연구자가 직접 작성한 설문지를 가지고 조사하였다. 이렇게 구성된 설문지는 2001년 9월 초에 배부, 회수하였으며 수집된 설문지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설문지의 신뢰도 검증은 Cronbach's Alpha를 이용하여 검토하였으며, 인구 특성문항에 대해서는 빈도분석, 집단간 차이 검증은 두 집단의 경우 T-test, 세집단 이상은 ANOVA를 실시하였다. 직무환경과 직무 만족도간의 관련성은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배경변수별 직무 만족도의 수준은 남자, 여자의 직무 만족도는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지만 대체적으로 불만족하고 부서별 만족도는 대체로 불만족 하며 이러한 부분은 근무연수별에서도 마찬가지로 불만족스럽게 나타나고 있다. 병원별 만족도는 A 병원에서 근무하는 직원들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C 병원 직원들이 가장 불만족스럽게 나타났다. 둘째, 배경변수별 직무환경의 차이를 보면 성별에 따라 직무환경에서는 전반적으로 만족하는 경향이나 업무, 설비에서 부정적인 경향이 보이며 부서별로도 전체적으로 직무환경에 만족하는 경향이 있으나, 업무에서는 부정적이며 특히 설비에서 가장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별 직무환경에서는 전반적인 환경에서 대체로 만족하나 승진에서는 불만족하는 것으로 보아 학력이 높을수록 상대적으로 불만족하는 것으로 보인다. 병원별로 본 직무환경은 전체적인 병원 환경에 대해 불만족하는 경향을 보였다. 대전시내 종합병원들이 전체적으로 불만들이 산재해 있어 이 부분들이 충족되지 않으면 자연히 직무에 대해 책임감과 검사기술의 다양화로 창의력도 저하되어 병원 발전에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이나 의료기사의 책임성을 가지고 자신들이 스스로의 능력 개발과 소속병원에서 부서별로 자부심을 갖고 적극적인 사고 방식을 발휘하여 21세기의 이상적인 병원 의료기사 상을 정립하여야 할 것으로 본다.

      • 의료기사의 근무환경 위해성이 근골격계 문제·피로·불안 및 수면장애에 미치는 영향

        이미란 건양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87

        COVID-19 이후에 병원 내 종사자들의 근무환경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의료기사는 다양한 위험요인들에 노출되어 있으나 타 직군에 비해 근무환경에 따른 건강문제 관련 연구가 많지 않아 그에 따른 기초자료를 만들기 위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제6차 근로환경조사(KWCS)에 참여한 의료기사 25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고, 일반적 특성은 빈도분석, 근무환경과 건강문제 비교를 위해 카이제곱 검정을 진행하고, 근무환경이 건강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다중 회귀분석을 진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의료기사의 건강문제는 피로 93명(37.2%), 근골격계 문제 90명(36.0%), 수면장애 65명(26.0%), 불안감 17명(6.8%) 순이었다. 2. 의료기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문제는 불안감은 교육 수준(p=0.007)과 수입(p=0.048)에, 수면장애는 고용 형태(p<0.001)에, 근골격계 문제는 근무지역(p=0.019)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의료기사의 근무환경이 건강문제에 미치는 영향은 심리·사회적 근무환경(p<0.001)이 가장 높았고, 생물학적 근무환경(p<0.001), 물리적 근무환경(p<0.05) 순으로 모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의료기사의 근무환경과 건강문제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자료로 근무환경의 개선을 위해 기초자료로 활용한다면, 이는 의료기사의 건강문제를 최소화하여 질 높은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키워드: 의료기사, 근무환경, 건강문제, 근로환경조사 Background: After COVID-19, interest in the working condition of workers in hospitals is increasing. medical technologists are exposed to various risk factors, but there are not many studies related to health problems according to the working condition compared to other occupational groups, so research was conducted to create basic data accordingly. Method: The 6th Working Condition Survey (KWCS) was conducted on 250 medical technologists, 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frequency analysis, chi-square test to compare working condition and health problem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effect of working condition on health problems. Result: The health problems of medical technologists were 93 fatigue (37.2%), 90 musculoskeletal problems (36.0%), 65 sleep disorders (26.0%), and 17 anxiety (6.8%).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medical technologists, anxiety differed significantly in education level (p=0.007) and income (p=0.048), sleep disorders in employment type (p<0.001), and musculoskeletal problems in work area (p=0.019). The psychological and social working condition (p<0.001) had the highest impact on health problems of medical technologist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biological working condition (p<0.001) and the physical working condition(p<0.05) all had a positive (+) effect. Conclusion: This study is a research data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king condition and health problems of medical technologists, and if used as basic data to improve the working condition, it is believed that it will help provide high-quality medical services by minimizing the health problems of medical technologists. Key words: medical technologists, working condition, health problems, KWCS

      • 한국 물리치료사 면허 제도에 대한 고찰

        박주현 용인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71

        한국 물리치료사는 의료기사법에 의하여 의료기사로 분류되어 국가에서 면허가 발급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고 있으며 복지국가건설이란 국가시책을 달성하기 위하여 보건 의료 인력의 체계적인 관리가 필수적이다. 최근 몇 년 사이 물리치료학과는 급속히 증가하였으며 이에 따라 물리치료사의 수도 급증하였다. 그러나 그동안 물리치료분야에 대한 교육과 의료산업부분의 제도적, 사회적 변화는 정체되어 왔다. 물리치료 취업기관은 정체되어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으로 취업환경이 열악한 것이 현 실정이다. 물리치료사의 발전이 저해된 원인 중 하나는,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1963년 제정)에 의해 의사의 지시를 받아야하기 때문에 의사와의 관계에 있어 상호보완적인 관계가 아닌 수동적이고 종속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는 점이다. 우리나라와 달리 현재 많은 국가에서 물리치료사의 단독개원을 허용하고 있거나 물리치료사 단독법률을 제정하여 실행하고 있으며, 물리치료사의 독립적인 업무수행을 인정해주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에 의해 물리치료사의 개업권이나 영업권을 인정하고 있지 않고 있으며, 급변하고 있는 의료 환경과 세계적 동향의 파악을 소홀히 하고, 여타 제반 여건에 대한 개선의 의지를 보이지 않고 있다. 따라서 환자들의 수요증가에 발맞추면서 치료사로서의 자질과 서비스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 필요할 때라 생각된다. 21세기 물리치료의 발전과 세계적 추세에 발맞추어 이제 우리나라도 현행의료기사법을 개정하고, 독립된 물리치료사법을 제정하여야 한다. 일정자격의 물리치료사에 한해 영업권을 허용하고, 환자가 원하는 물리치료사에게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선택권을 부여해야 할 것이다. 물리치료사의 질적 향상을 위해 전문 물리치료사 제도를 도입하거나, 서비스의 향상을 위해 가정물리치료사 제도의 도입도 고려해볼 만하다. In Korea, the physical therapist is classified as a medicine technician under the Law of Medicine Technician, state issues licenses. It is imperative to manage human resources in the health and welfare area systematically to accomplish the national policy of constructing a health and welfare state. Recently, the number of university physical therapist departments has increased enough employment organizations for these professional, the employment environment for physical therapists has become very poor.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Korean physical therapists will be able to benefit to the clients in maintaining autonomy at their workplace. I investigated the systems, laws & rules related to physical therapist in foreign country worldwide and compared law & rules, systems about physical therapist in Korea to that in foreign country. "Physical therapy as the figured texture before the hygienic medical treatment which it lives the gun the intense enemy it provides a medical treatment technique and health control of the place where it increases accomplishes the business which is necessary as" the world-wide physical therapy company union is defining. After the physical therapy is introduced in our country, for the citizen healthy increase and a hygiene improvement the before the now when 42 years flow when the physical therapy must be developed trying to think with the abnormal expectation, under the map of the our country current medical treatment article law 1st signature 'doctor' elk the fact that it hinders the development of every a physical therapy is fact in the complaint which is. Already the world-wide each countries which except Korea, Taiwan to citizen medical treatment increase permit independent practice of physical therapy and company one walking they are going first, it soaks but remain pulling up of the doctor universal attention. To provide physical therapy service of good quality keeping people healthy and structural reformation coping with the demands of opening medical service market to foreign intercourse on 21C, we should make legal system for the physical therapy practice. Exclude the provision of physical therapist from the classification of medical technician on the Medical Technician Law Article and establish the independent Physical Therapist Law.

      • 치과위생사와타의료기사간 직무만족도비교

        이가령 경산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71

        이 연구의 목적은 치과위생사와 타 의료기사간의 직무만족도에 대한 차이를 파악하여 병원행정의 제도적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더 나아가 치과위생사와 타 의료기사의 전문직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울산, 대구 등 경남, 경북 지역에 소재한 종합병원 및 개인병원의 의료기사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에 이용된 자료는 148명이었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만족도 차이에서 연령별로는 관리효율, 상사관계, 원가분석, 동료관계등은 치과위생사와 타의료기사 모두 30대이상이 20대보다 만족도가 높았으나, 차별대우요인에서는 치과위생사의 경우 20대가 30대이상보다 높은 반면, 타의료기사는 30대이상이 20대보다 높았고, 결혼상태별로는 관리효율, 상사관계, 원가분석, 차별대우에 있어서는 치과위생사와 타의료기사 모두 유배우자가 미혼보다 높았으나, 자긍심요인에서 치과위생사의 경우 미혼이 유배우자보다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근무지별로는 관리효율과 상사관계, 자긍심의 경우 대도시가 중소도시보다 만족도가 높았으며, 차별대우에 있어서는 치과위생사의 경우 중소도시가 대도시보다, 타의료기사의 경우에는 대도시가 중소도시보다 높았다. 병원규모별로는 자긍심에 있어서 치과위생사의 경우 대학병원, 병의원급, 종합병원 순이었으나 타의료기사의 경우에는 종합병원, 병의원급, 대학병원 순이었다. 직급별로는 관리효율, 상사관계, 원가분석, 차별대우, 동료관계에 있어서는 치과위생사, 타의료기사 모두 팀·실장급이 평직원보다 만족도가 높았으나 자긍심의 경우에는 치과위생사의 경우 평직원이 팀·실장급보다 높았고, 타의료기사의 경우에는 팀·실장급이 평직원보다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둘째, 일반적 및 근무관련 특성별 보수만족도 차이에서 근무지별로는 치과위생사는 대도시가 중소도시보다 높았고, 타의료기사에서도 대도시가 중소도시보다 높았다. 셋째, 요인간 상관분석 관리효율과 상사관계의 상관계수 .550, 동료관계와는 .537, 자긍심과는 .617이었으며, 상사관계와 동료관계요인간의 상관계수는 .535, 동료관계와 자긍심요인간의 상관계수는 .654로 비교적 계수가 높았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um for improvement of system in hospital administration and furthermore to contribute to the technical development of the dental hygienists and other medical engineers by grasping the difference in a degree of job satisfaction between them. I conducted the survey of 300 medical engineers working for general hospitals and private hospitals in Kyungnam and Kyungbuk province like Ulsan, Daegu. The number of data used for the analysis was 148 and the result is as follows ; First, the dental hygienists and other medical engineers over in their thirties are more satisfied with their jobs than those in their twenties by age in terms of administrative efficiency, relationship with the superior, cost analysis, and college relations in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However, in the factor of discrimination, the dental hygienists more than 20s show the higher degree of job satisfaction than 30s while in the case of other medical engineers, more than 30s is higher than 20s. By nuptial state, in terms of administrative efficiency, relationship with the superior, cost analysis, and discrimination both the hygienists and the medical engineers are more contented in the case of 'married' state than unmarried, but in the factor or pride, singles show more satisfied for the dental hygienists. It is not meaningful in the statistics, though. By workplace in the case of the administrative efficiency, the relationship with the superior and the pride, the degree of satisfaction in the metropolis is higher than that in the medium and small-sized cities. And for discrimination in the case of dental hygienists, the medium and small-sized cities are higher, in the case of medical engineers the big cities are higher. By the size of hospital for the pride, the degree of satisfaction in dental hygienists follows the order like this ; university hospital, private hospital or clinic, general hospital. While in the case of medical engineers, like this ; general hospital, private hospital or clinic, university hospital. By position in the administrative efficiency, the relationship with the superior, the cost analysis, the discrimination and the college relations, the teamleaders and the head of an office show higher degree of satisfaction than the general staff members in the case of both the hygienists and the medical engineers. But in the case of pride for the dental hygienists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the general staff members is higher than that of the temaleaders and the head of an office while in the case of other medical engineers, the temaleaders and the head of an office are more satisfied. But it's not statistically meaningful. Secondly, by general and work-related characteristics in the difference of the degree of satisfaction in pay the dental hygienists in metropolis are more satisfied than those in medium and small-sized cities, so are other medical engineers. Thirdly, a coefficient of correlation in the administrative efficiency of the mutual analysis between the factors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superior is .550. A coefficient of correlation in the administrative efficiency of the mutual analysis between the factors and the college relations is .537. A coefficient of correlation in the administrative efficiency of the mutual analysis between the factors and the pride is .617. A coefficient of correlation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superior and the college relations is .535. Lastly, A coefficient of correlation in the college relations and the pride is .654, it's relatively higher.

      • 의료기사들의 직업전문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지훈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71

        의료기사들의 직업전문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 지 훈 (지도교수 : 문 덕 환)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관리학과 목적: 본 연구는 의료서비스의 큰 축을 담당하고 있는 의료기사의 직업전문성과 직무만족도 수준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직종별로 직업전문성과 직무만족도 인식에 대한 차이를 확인하여 더 나은 의료서비스 향상을 위한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추후 이들 분야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방법: 2018년 3월부터 4월까지 부산광역시 소재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의료기사(임상병리사, 방사선사,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총 300부의 설문지 배포하여 270부를 회수, 258부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직업전문성은 이익 단체 활동에 대한 5문항, 사회적 중요성 5문항, 동료상호평가 5문항, 직업적소명감 5문항, 업무자율성 5문항 등으로 총 25문항을 5개 척도로 구분하여 조사하였고, 직무만족도는 직무자체 만족 5문항, 조직의 제도 만족 5문항, 보상만족 5문항, 3개 척도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 설정된 가설들을 검정하기 위해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21.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의료기사들의 직업전문성과 직무만족도 간의 상관계수 .652로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직업전문성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도 높았으며, 직업전문성 5개 하위 변수 중 직업적 소명감과 업무자율성이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쳤다. 결론: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직업전문성의 하위 변수 중 직업적 소명감과 업무자율성이 직무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의료기사들은 직업적 소명감을 높이기 위하여 사회에 도덕적으로 모범적인 태도를 유지해야하고, 자신의 직업에 헌신하는 것이 보람된 일이라고 생각하여야 할 것 이다. 또한, 업무의 중요도를 스스로 결정하고, 업무와 고객 응대를 자율적으로 판단해 업무자율성이 높아질 때, 직무만족도가 높아질 것이라 판단되며, 이들의 직무만족이 향상될 때 더 나은 의료서비스를 제공

      • 醫療機器 事故의 民事責任에 관한 硏究 : 특히 身體附着裝置(Medical Device)를 中心으로

        김지숙 京畿大學校 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8671

        현대 과학기술의 발달은 의료분야의 발달에도 크게 영향을 미쳐 과거에는 불치의 병으로 치부되었던 질병들도 새로운 의료기기의 등장으로 점차 정복되고 있으며 질병의 진단과 치료에 각종 최첨단 의료기기의 사용은 필수 불가결한 요소의 하나가 되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의료기기는 그 자체의 결함이나 이를 사용하는 의료인의 과오로 인해 의료사고를 일으킬 수 있는 하나의 위험요인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의료기기사고 발생시 민사책임추급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의료기기를 "신체부착의료기기"와 "신체에 부착되지 않는 의료기기"로 분류하고 전자에는 "의료장치(Medical Device)", 후자에는 의료용구(Medical Instrument), 의료장비(Medical Equipment) 및 의료용품(Medical Supplies)이 포함되는 것으로 하였다. 이 중에서 신체부착의료기기인 의료장치는 환자가 병원에서 치료를 받은 후에 그것을 자신의 몸에 지니고 병원을 나간다는 점에서 의료사고 발생시에 책임주체등 민사책임관계가 다른 의료기기와는 다르게 된다. 의료기기로 인한 의료사고가 발생했을 때 피해자가 추급가능한 일반적인 민사책임구조는 계약책임과 불법행위책임이 있는데, 계약책임은 계약관계가 존재함을 요하고 불법행위책임은 고의. 과실에 대한 입증이 요구된다. 따라서 의료기기로 의한 의료사고 가운데 기기제조자와 피해자간에 직접적인 계약관계가 존재하지 않거나 제조자의 고의 · 과실을 입증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제조물책임으로의 책임추급이 불가피하게 된다. 제조물책임법상의 책임요건인 결함에 대하여는 그 개념을 어떤 단계에서 발생한 결함이라고 하더라도 동일한 가치로 인정하는 통일론과, 제작과정에 따라 1)설계상의 결함, 2)제조상의 결함, 3)표시상의 결함 등으로 유형화하는 유형론이 있다. 우리나라 제조물책임법(이하에서는 '제조물책임법'이라 한다.)은 결함을 위 세가지로 예시하면서 기타 "통상적으로 기대할 수 있는 안전성이 결여되어 있는 것"을 결함이라고 규정하여 통일론의 입장에서 세가지 유형외에 장차 출현할 수도 있는 새로운 결함의 유형에도 대처할 수 있게 하였다는 점에서 우수한 입법규정이라고 생각한다. 결함의 존재에 대한 판단기준 중에서 제조물책임법은 "제조물이 가지는 위험과 효용을 비교하여 위험이 효용을 넘는 경우에 결함이 있다"고 판단하는 위험효용기준을 채택한 것으로 생각된다. 의료기기사고로 손해가 발생했을 때 제조물책임법은 제조물 자체의 손해는 민법상의 하자담보책임과 채무불이행책임으로 해결하고, 결함의료기기로 인해 발생한 생명, 신체 또는 다른 재산상의 확대손해에 대해서만 배상한다고 규정하고 있지만, 법 해석상 정신적 손해와 사업용 손해도 배상된다고 생각된다. 손해의 발생시 손해배상을 청구할 상대방인 책임의 주체에는 제조업자, 판매업자, 수입업자, 임대업자 등이 있으나 판매업자와 임대업자는 제조업자의 不存在 또는 不明의 경우에 보충적인 책임을 지는 것으로 제조물책임법은 규정하고 있다. 의료기기의 판매와 의료행위를 동시에 제공하는 병원측은 판매와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는 복합거래(hybrid transactions)자 중의 하나 인데, 이러한 경우 미국의 일부 법원에서는 피해자인 환자를 보호하기 위해 병원측을 상인으로 인정하여 엄격책임을 부과하였다. 우리나라 제조물책임법도 판매자에게 제조물책임을 인정하여 병원측의 판매자 지위 인정 여부를 고려할 수 있도록 개정되었으면 한다. 제조물책임법에는 입증책임에 관한 규정은 명시적으로 되어 있지 않으므로 민사소송의 원칙에 따라 해결할 수 밖에 없으나 피해자의 입증부담의 경감을 위해 개연성이론, 사실상의 추정론, 일응의 추정론을 도입하여 법적용 하여야 한다고 생각된다. 면책사유중 개발위험의 항변은 인정기준을 완화시키면 제조물책임법의 취지와 달리 과실책임구조가 될 수도 있을 뿐 아니라 의료기기가 사람의 생명과 신체에 직접관련이 있는 제조물 이라는 점에서 이를 좁게 인정하여야 된다고 생각한다. 법령준수의 항변도 제조자보호에 치우친 규정이어서 피해자 보호를 목적으로 제정된 제조물책임법의 취지와는 어긋난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의료기기는 인간의 생명과 신체에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제조물이므로 우리나라도 "미국제3차 제조물책임 리스테이트먼트"와 같이 제조물책임법상에 특별규정을 두어 다른 제조물과는 달리 규정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The development of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has greatly influenced the health care field. Nowadays, highly developed Medical Instruments are inevitable to diagnose and treat every kind of disease. They have enabled the patients whose disease used to be uncurable to recover and have new lives. However, patients can be injured by deffective Medical Instruments or through the misuse of them by medical providers. To decide the civil liability in case of medical malpractice, the Medical Instruments need to be classified into two classes, (1) impalnted and (2) non-implanted. The first class includes only 'medical devices' and the other includes 'medical instruments, medical equipment and medical supplies'. The civil liability can be different if it is implated or not, as sugically implanted devices are placed in the patient's body after medical treatment. When medical problems caused by medical devices occur, the injured patient can sue the medical provider by reason of contractual liability or tort. To be covered by contractual liability, the contractual relation between the two parties is needed and in a tort, the patient should prove the intention or negligence of the other party. However, if there is no contractual relation and it's impossible to prove the provider's intention or negligence, the patient had better sue the medical provider or manufacturer for product liability. A defect, which is the conditions of product liability, has two thoeries. One is the uniformity theory, which recognizes any defect that occurred at any manufacturing stage for the same. The other is to classify the defect as a design defect, a manufacturing defect, and failure to warn. The Korean product liability law provides that there are three kinds of defects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also adding "unreasonably dangerous" which is to address the defect which may appear, but is not included in any of the other three kinds of defects. To decide what the defect is, the law has adopted the risk/utility test. It means that if the utility is more than the risk, the product has no defect. The law covers only the extended damage such as damage to person or property by the defective products. The damage to the product itself can be covered by civil law such as warranty or contract law. Though there is no explicit regulations, it is desirable to compensate for the psychological damage and business damage. When the patient is hurt by the defective medical products, he or she can sue the manufacturer, distributor, importer and lessor, but the distributor and lessor are liable only when the manufacturer does not exist or is not known. The hospital provides both service and parts, which is called hybrid transactions. The court of United States admitted strict liability for the supplied defective products in the hybrid transactions including some cases of hospitals. It would protect the patient more to admit the strict liability of the hospital in hybrid transactions. Therefore, Korean product liability law is also desirable to be revised to admit the strict liability on commercial seller to consider if the hospital can be one to be liable for the defected products it provides. As there is no explicit regulation about the proof, it should be solved by the Civil Proceedings Act. However courts are adopting some theories such as the theories of Probable Evidence, Presumption of Fact and res ipsa loquitur to relieve the plaintiff's burden of proof. Among exemptions, the defense of developing risk should not be widely adopted because it could return the system of product liability to negligence liability and it could hurt the policy of product liability. As most of all the Medical Instruments are closely related to human life and body, the defense of developing risk should be restricted. The defense of obeying the governmental regulations seems to protect the manufacturer much more than the consumer. It doesn't seem to be fair and should be abolished. In conclusion, as Medical Instruments are very important products, directly related to human bodies and life itself,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special regulations to control them.

      • 서울시 종합병원 의료기사의 직무인식 및 직무만족도 연구

        박지원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71

        본 연구는 서울 지역에 소재한 종합병원 의료기사를 대상으로 인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는데 연구 목적을 두었으며, 의료기사의 병원 업무의 작업성과에 많은 영향을 주는 요인을 살펴보고, 병원 발전의 계기가 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선행 연구와 문헌을 통해 가설과 모형을 도출하였으며, 서울시에 종합병원 종사자 36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총 290부가 회수되었고, 불성실한 답변의 설문을 제외한, 285개의 표본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요인은 전체적으로 평균 5점 만점에 3.32로 나타나 직무에 대한 만족이 보통 이상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요인 가운데 성취감(.709)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직무만족 요인 수준 및 관련성의 차이 분석 결과 중 인구학적 특성과 직무 만족 요인 들 간의 차이결과 인구학적 특성과 귀속감의 차이에서 근무 경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냈다. 셋째, 직무요인과 만족간의 유의성에 대한 분석결과 의료기사의 직무만족을 위한 주요 인자는 종합병원 근무에 대한 만족감이 높았으며 직업의 사회적 인식 및 평가에 대한 만족이 직무만족 영향에 유의함이 높은 인자로 나타냈다. 현재 의료기사의 직급체계는 미비하며, 병원 내 의료기사의 체계화된 경로를 통한 의견교환이 어려운 환경에 노출되어 있다. 병원에서 승진제도의 확립과 진료부를 통한경로가 아닌, 직종 간 의견수립을 위한 통로를 갖추어 승진에 대한 업무보상과 직종에 대한 이해가 필요할 것이다. 이는 더 발전되는 의료기사 직무환경의 발전이며 직무에 대한 보상으로 병원에 대한 충성도 및 소속감을 높일 것이다. 직무의 만족을 향상 시키며 발전 될 때 병원 및 의료계의 발전도 함께 가져올 것으로 보여 진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research is to find out about how the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human characteristics gives influence with the target of medical technicians of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the Seoul region, investigates factors having much influence on work results of hospital duty of medical technicians and aims to utilize as basic material that can become a momentum of hospital development. The present research deduced hypotheses and models through preceding researches and literature, carried out a questionnaire targeting 360 workers of general hospitals of Seoul city, recovered a total of 290 copies, and the empir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by targeting 285 samples excluding insincere answers.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the job factor appeared overall as an average of 3.32 in 5 full points, so their satisfaction on the job appeared as more than average. The achievements(.709) among each factors appeared the highest. Second, the difference betwee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job satisfaction factors among difference analysis results between a level of job satisfaction factors and relevanc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 sense of belonging and working career.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ignificance between job factors and satisfaction, the main factor for job satisfaction of medical technicians is satisfaction on working at a general hospital, and the satisfaction on social recognition and evaluation of the job appeare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Currently, the position system of medical technicians is insufficient, and the opinion exchange of medical technicians inside a hospital through a systematic path is exposed to a difficult environment. The hospital should establish a promotion system and equip a passage for opinion establishment between job types instead of a path through a medical department, and would need job compensation through promotion and understanding on job types. This is development of a more developing job environment of medical technicians and job compensation, and would enhance their royalty and a sense of belonging to the hospital. It is thought that when the job satisfaction of medical technicians is improved and developed, the development in the hospital and medical profession will together bring out.

      • 보건의료인관련 법적 규제에 관한 비교 연구

        박영태 차의과학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55

        보건의료인은 보건의료에 관한 전문지식을 갖추고 보건의료행위를 함으로써 사람들의 건강수준을 유지 및 증진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렇기 때문에 자율적인 통제장치나 규율체계를 갖추고 보건의료서비스를 제공하려는 경향이 강하다. 그러나 국가는 모든 국민의 건강과 안녕을 보장해야 할 책무가 있기 때문에 보건의료분야에 대한 통제를 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국가의 보건의료인에 대한 통제는 법률에 근거한 규제에 따를 때 정당성이 있다. 그러므로 여러 법률에서 보건의료인에 대한 규제 장치를 두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먼저, 보건의료 및 보건의료인에 관련된 논의와 그 범위, 규제에 관한 이론 그리고 일본법령에 따른 보건의료인에 대한 규제를 고찰하였다. 그 다음에 연구대상인 보건의료인을 「의료법」의 의료인,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의 응급구조사, 「의료기사등에 관한 법률」의 의료기사등으로 한정하여 이들에 대한 법적 규제를 위 3 개 법률의 현행 법령과 연혁 법률에 규정된 것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위 분석은 보건의료인별로 진입규제, 금지의무관련 규제 및 행정의무 확보를 위한 규제로 나누어 이루어졌고, 보건의료인별 법적 규제의 차이점과 공통점 그리고 개선할 점 등을 제시하였다. 동시에 1993년 문민정부 이후 연혁법령상 보건의료인에 대한 규제의 변화를 분석하여 각 정부별 보건의료인에 대한 규제 변화와 정부의 간여정도를 비교하였다. 보건의료인에 대한 법적규제를 현행법령, 연혁법령, 그리고 일본법령의 경우와 비교한 결과, 우리나라의 보건의료인에 대한 법적 규제는 보건의료인별로 규제 건수에 있어서 차이가 크고 유사한 제도임에도 불구하고 다르게 규정되어 있는 경우도 있으며, 보건의료인에 대한 정부의 개입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다른 연구에 비해 보건의료인에 대한 법적규제 현상을 다각도로 분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나, 문헌조사로 이루어져서 보건의료인들이 실제 체감하는 규제수준과는 다를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앞으로 보건의료인에 대한 법적 규제에 대한 연구가 보다 실증적이고 과학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Health and medical service personnel is doing an important role by maintaining and improving health of the people and by providing health and medical treatment for patients. Therefore, the health and medical service personnel prefers to render health service under the control system. However, the government tends to control tightly the area of health and medical treatment since it has responsible for the health and wellbeing of the people. As a result, there are many Acts which aim to control the health and medical service personnel. This study focuses on the content of health-medical treatment, the scope of health and medical service personnel, and the concerned regulations on the health and medical service personnel prescribed in the Acts, such as are Medical Service Act, Medical Technicians, edt. Act, and Emergency Medical Act. This Study also focuses on the changes of the regulations of the above Acts since 1993, and additionally makes a comparative study between Korean Acts and the Japanese's regulation in relevant Acts.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the numbers of the regulations are different between health and medical service personnel. Even if contents are same in Act, some regulations are applied differently according to health and medical service personnel. The result also shows that the government intervention of the state in the field of medical service personnel ie. M.D. is relatively high in comparison with other health-medical service personnel. Korean Acts in the field of health and medicine have much more regulations than Japanese relevant Acts. This study has done an in depth research on the legal regulations of the health and medical personnel in various ways compared with other study in the field of the health and medicine. But this study has limit of being researched only by the literature survey. I hope there will be a much more developed empirical and scientific study on this field of health and medical personnel. Key Words : Health and medicine, health and medical service personnel, regulation, Medical Service Act, Medical Technicians, edt. Act, Emergency Medical A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