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인 방문객의 신기성 지각과 관광만족에 관한 연구 : 방문집중 제주관광자원 중심으로

        이미란 제주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With the expanding Chinese outbound market and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Chinese overseas tourists, the number of Chinese visitors to Jeju Island is also on the constant increase, and the Chinese market is the key target market for a take-off of tourism in Jeju Island; for this reason,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and research the Chinese. In this context, this study was motivated by the need to research Chinese tourists. This study investigated Chinese tourists' expectation of novelty prior to tourism in Jeju Island and perception of novelty following tourism experience to determine their requirements of novelty and general tourism satisfaction. This study focused on novelty among numerous tourism motivations, conducting a survey with 320 Chinese tourists. Of them, a valid sample of 283 was analyzed by using an SPSS Windows 12.0 statistical program. Frequency analysis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visit types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factor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t-test, and ANOVA was performed to test hypotheses. According to the results, Chinese tourists who visited the island during the May Day holidays were found to have a good academic background, have the average monthly income stand generally high at the mid- or high level, and stay relatively long. The younger, the higher expectation of novelty for tourism in Jeju Island; the better academic background and the more monthly income on the average led to failure of novelty perception to meet the expectation. As they stayed one more day, novelty perception became relatively higher, which can imply that the shorter stay for tourism in Jeju Island, the less correct understanding of tourism in Jeju Island. In terms of information acquisition channels, particularly, the novelty acquiring information via mass media showed high expectation of novelty for tourism in Jeju Island, which demonstrates that public relations of tourism in Jeju Island via mass media can appeal to the Chinese;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actively perform constant PR activities via mass media in the future. Chinese tourists visited Jeju Island with some expectation of novelty; however, their perception failed to meet their expectation. That is, it can be said that sightseeing places in Jeju Island have insufficient attraction related to novelty to meet their expectation. This implies that Chinese tourists couldn't find out particular novelty-related attraction in sightseeing places they primarily visited as compared with those in China or in other countries they had experienced. Chinese tourists who visit Jeju Island mainly via a full-charge travel agency cannot but go on a tour as designated by the agency and most of the full-charge travel agencies necessarily contain a free-of-charge sightseeing place in the schedule, which is presumed to be one of those factors that prevent Chinese tourists from feeling satisfied. If Chinese tourists fail to feel satisfied after visit to Jeju Island, then the Chinese will avoid tourism in Jeju Island and the demand for tourism can possibly be transferred to other domestic sightseeing places or overseas ones. To make Jeju Island perceived as an attractive sightseeing place, it is necessary to perform active PRs via mass media and develop tourist goods in other patterns than by now. This study tried to examine Chinese tourists' expectation and perception of novelty for tourism in Jeju Island and general satisfaction to understand them and to find out what to improve about tourism in Jeju Island. It is therefore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able to be used as basic data to develop tourist goods to meet Chinese tourists' requirements and attract them in the future.

      • 뇌 체조가 스마트폰 중독 해소에 미치는 영향

        이미란 군산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smartphone by the poisoning elimination of juvenile of brain gymnastics. This paper analyzes especially for smart phones and their impact o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reasons, and for the impact of brain exercises to alleviate these problems by applying their effectiveness was verified on actual learning environment. Target groups were defined as the elementary school 25 people, North Jeolla Province. During 16 weeks carried out brain gymnastics, before and after brain gymnastics in the morning and lunch time during the week. Brain Gym is six in the morning to 12 stocks selected stocks, were divided into six categories at lunchtime. After the 16 weeks to carry out self-diagnosis were analyzed smartphone addiction brain gymnastics performed before and after the results were analyzed to recognize varying degrees for smartphon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concentration was increased after brain gymnastics performed, eoteumyeo less time using smartphones, and smartphones should refrain from using the brain gymnastics. Second, confident and in the school of increase life through the celebral gymanstics and talk time friends because of increases was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smartphone addition resolved. 이 연구의 목적은 뇌 체조를 통하여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해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특히 스마트폰이 교육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 문제점들을 경감시키기 위해 뇌 체조가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실제 교육환경에 적용함으로써 그 효용성을 검증 하였다. 대상 그룹은 전라북도 전주시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6학년 25명으로 정하여 16주 동안 뇌 체조를 아침 시간과 점심시간에 10분씩 실시하였다. 뇌 체조는 12종목을 선정하여, 아침에 6종목, 점심시간에 6종목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16주 후 스마트폰 자가진단을 실시하여 뇌 체조 전과 후의 결과를 분석하였고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인식변화 정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뇌 체조 실시 후 집중력이 높아졌고,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줄어들었으며, 뇌 체조를 통해 스마트폰 사용을 자제한다고 하였다. 둘째, 뇌 체조를 통해 학교생활에 자신감이 생기고 친구들과 대화시간이 늘어남으로 인해 스마트폰 중독 해소에 많은 영향을 끼친 것으로 나타났다.

      • 워크숍 모형을 활용한 읽기·쓰기 과정 평가 방안 연구

        이미란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학생의 교육적인 성장과 발전을 위해 다양한 평가 방법을 활용하여 과제 수행 과정에 초점을 맞추는 평가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서, 읽기·쓰기 통합 과정 평가 방안을 마련하여 교수-학습의 실제를 구안해 봄으로써 의미 있는 평가의 방안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현행 시험 제도는 암기를 통해 정답을 찾는 이른바 결과 중심 평가의 형태가 많다. 따라서 이러한 평가 방법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최근 강조되고 있는 과정 중심 평가 방안을 제시하였다. 읽기·쓰기 과정 평가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 워크숍 모형을 활용하였다. 워크숍 모형은 공동 독서와 공동 작문을 통해 협동적인 평가와 피드백이 이루어지기에 적합하고, 학생들이 실제 작가가 되어 글쓰기를 한다는 점에서 실제 독자에게 피드백을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워크숍 모형이 읽기·쓰기 통합 수업과 과정 중심 평가에도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워크숍 모형을 활용한 과정 중심 읽기·쓰기 평가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여 실제 수업의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평가 절차를 개발하였다. 교실에서 워크숍 모형을 활용한 읽기·쓰기 과정 평가를 진행할 때 적용 가능한 평가 절차 구안을 위해 평가의 주체에 관한 원리, 평가의 내용에 관한 원리, 평가의 방법에 관한 원리, 평가 결과의 활용에 관한 원리로 나누어 평가의 원리를 설정하였고, 평가 방법은 평가의 주체에 따라 자기 평가와 동료 평가, 교사 평가로 나누어 마련하였다. 평가의 원리를 바탕으로, 워크숍 모형을 활용한 읽기·쓰기 과정 평가 절차를 구안하였다. 읽기 워크숍 모형과 쓰기 워크숍 모형을 통합하여 읽기·쓰기 통합 워크숍 모형을 마련하였고, 각 교수-학습 단계에서 읽기 활동과 쓰기 활동의 과정 평가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때 평가의 단계는 자율적 독서와 협력적 독서가 이루어지는 읽기 단계, 내용 생성 및 내용 조직, 초고쓰기와 협의하기, 고쳐 쓰기가 이루어지는 쓰기 단계, 정리 및 출판하기가 이루어지는 정리 단계의 3단계로 설정하였다. 각 단계별로 평가 목표와 평가의 방법, 전략적인 측면들을 서술하였으며, 평가의 준거를 설정하고 평가 주체에 따라 평가 방법을 달리하여 제시하였다. 각 활동을 시작하기 전에 학생들에게 해당 단계의 평가 준거를 제시하여 이를 학습 목표로 삼도록 하고, 평가 후에는 즉시 피드백을 하여 평가의 결과와 함께 평가에 대한 조언을 제공하여 다음 단계의 활동에 도움이 될 수 있게 하였다. 교수-학습 활동의 과정에서 함께 실시되는 평가 활동을 구체적으로 마련하기 위해 실제 수업 상황을 설정하였고, 이를 워크숍 모형을 활용한 읽기·쓰기 과정 평가의 실제로 제시하였다. 중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읽기와 쓰기 과제의 제시를 위해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을 끌 수 있고, 학생들에게 동기 부여를 할 수 있는 주제를 설정하고자 ‘직업에 대한 소개와 자아실현에 도움을 주는 도서’를 자율적 독서 과제로 선정하였으며, 이에 대한 쓰기 과제로 자기 소개서 쓰기를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교수-학습 과정과 평가가 함께 이루어지는 방안을 구안하였다. 학생들은 평가를 통해 자신의 읽기·쓰기 활동을 점검하고 이를 수정하여 다음 활동에 반영하는, 학습에 도움이 되는 평가를 지향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평가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이루어져 점차적으로 현장의 교수-학습 상황이 개선되고, 궁극적으로 학생들의 국어 능력을 신장시키는 일에 긍정적으로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For the educational growth and development of students, it is necessary to find methods of evaluating their perform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eaningful evaluation method for practical teaching and learning through integrating the process of reading and writing. The current test system has many forms of evaluation based on results, where the students achieve the correct answers through memorization. Now,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se evaluation methods, this study proposes a process-oriented evaluation method. This study used a workshop model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reading and writing evaluation process. The workshop model is ideal for collaborative evaluations and feedback through collaborative reading and writing, and also has the advantage of enabling feedback to be collected from actual readers in the sense that students write as writers in real life. This suggests that the workshop model can be used effectively in integrated reading and writing lessons and for process-based assessment. We prepared a detailed measure of the evaluation of reading and writing through the workshop model, and developed evaluation procedures that can be applied in the actual classroom. To facilitate the evaluation of applicable assessment procedures for reading and writing process evaluation using the workshop model in a classroom, this study established a principle of evaluation that was divided into subject of evaluation, content of evaluation, method of evaluation, and utilization of evaluation results. The evaluation method is then divided into self-evaluation, peer evaluation, and teacher evaluation according to the subject of the evaluation. Based on the evaluation principle, we developed the evaluation process for the reading and writing process by using the workshop model. The integrated workshop model for reading and writing was prepared by combining the reading workshop model and the writing workshop model; the evaluation method for the reading and the writing activities was suggested at each teaching–learning stage. At this point, the evaluation process is composed of three stages: the reading stage, in which autonomous reading and collaborative reading are performed; the writing stage, in which content creation, pre-writing, negotiation and rewriting are done; and final the publishing stage. We described the objectives and methods of evaluation as well as the strategic aspects for each stage and set the criterion for evaluation, then finally suggested different evaluation methods according to the evaluation subjects. Before starting each activity, students should be presented with the evaluation criteria of the step and use it as a learning goal. After evaluation, it gave immediate feedback and advice on the evaluation along with the results. In order to provide concrete evaluation activities to be carried out in the course of teaching–learning activities, an actual class situation was set up and the reading and writing process evaluation using the workshop model was carried out. To set up a topic that would interest students and motivate them, we selected a book entitled ‘Introduction to Jobs and a Book for Self-Realization’as an autonomous reading task and presented self-introduction writing as a writing task. Through this study, we have devised a way to combine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and evaluation. Students pursued an evaluation that helps their learning, in which they examined and revised their own reading and writing activities and then reflected on them in the following activities. In conclusion, we expect that the recognition of evaluation will change, and the teaching–learning situation of the field will gradually improve. Eventually, it will contribute positively to the enhancement of the Korean language ability of students.

      • 존 롤즈의 시민불복종론에 관한 비판적 고찰

        이미란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존 롤즈의 시민불복종론이 갖는 의의와 한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시민불복종은 다수자를 향한 소수자들의 정치적 청원으로 합법적이라 여겨지는 법률이나 정책이 정당성을 갖고 있는지 의문을 갖게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는 법률이나 정책의 부당함을 자신의 양심이나 종교적 신념 등에 비추어 판단하지 않고 공개적으로 정치적 다수자에게 호소한다는 점에서 양심적 거부와 다르다. 또한 체제의 근본적 변화를 목적으로 추구하지 않으며 폭력에 의존하지 않기 때문에 저항권과도 구분된다. 시민불복종은 간디의 비폭력 저항을 통한 독립운동이나 마틴 루터 킹의 민권운동과 같은 다양한 인류의 진보를 가져왔다. 시민불복종의 시작은 법을 위반하는 것에서 비롯되지만 다수의 호응과 지지를 받아 법이나 정책이 변화되면 부정의가 제거되고 사회의 안정성을 확보하게 된다. 롤즈의 시민불복종은 사회정의가 훼손되었을 때 위법 행위를 통해 다수의 정의감에 호소하여 정의로운 상태를 회복하고자 하는 정치적 행위이다. 롤즈는 시민불복종이 정당화 가능한 요건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정의의 원칙에 대한 중대하고 명백한 위반에 한해서 시민불복종이 가능하다. 둘째, 전체 법 질서에 대한 존중을 전제하고 있기에 시민불복종으로 인한 처벌을 감수해야 한다. 셋째, 합법적인 수단을 모두 사용한 후에 최후수단으로서 선택해야 하며 비폭력적인 방법으로 행해져야 한다. 롤즈의 시민불복종론은 이상적인 사회의 모습을 제시하여 사회가 이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이상을 향해 부단히 나아갈 수 있게 한다. 또한 시민불복종을 자연적 의무로서 간주하여 부정의의 제거라는 소극적 차원을 넘어 적극적으로 정의로운 제도를 설립하고 이를 유지시켜야 할 의무가 시민들에게 있음을 일깨운다. 그러나 롤즈의 시민불복종론은 몇 가지 한계를 갖는다. 그의 시민불복종론에서는 기존의 공유된 정의감에 대한 불복종은 허용되기 어렵다. 또한 차등원칙의 위배에 대한 불복종을 배제한다. 그리고 권리의 창출이나 참여의 확대를 요구하는 시민불복종은 포용되기 어렵다. 이러한 롤즈 이론의 한계들이 극복되기 위해서는 다양한 시민불복종을 폭넓게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 우선 기존의 정의관에 대한 변경이나 확대를 요구하는 불복종도 인정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심각한 경제적 불평등이 평등한 자유의 보장을 위협하고 있음이 명백하게 드러나고 있는 현실을 생각해 볼 때 차등원칙의 위배도 불복종의 사유로 고려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침해된 권리의 수호와 방어를 넘어 기존 권리의 새로운 해석이나 확대를 위한 불복종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자 하는 자세가 요구된다. 시민불복종을 개인의 양심적 판단이 아닌 시민들의 결사권의 행사로 평가한 아렌트의 논의나 민주적 정당성을 끊임없이 보완해 가기 위한 실천으로서 시민불복종을 평가하는 하버마스의 논의,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불의에 대한 저항을 강조한 진의 논의는 롤즈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이론들을 제시한다. 시민불복종의 순기능이 잘 작동되기 위해서는 보편적 권리와 권리 실현 과정에 요구되는 책임에 대한 이해가 전제되어야 한다. 또한 대안적 이상들과 그것을 추구하기 위해 사용되는 수단들을 비교하고 평가할 수 있는 비판적 사고 능력이 필요하다. 소통 능력의 향상과 참여기회의 확대를 통해 의사결정능력을 증진시키고 다른 의견의 존중과 책임의 중요성을 일깨우는 교육활동을 통해 건전한 민주시민의식을 갖춰 갈 때 시민불복종은 의미 있는 정치 행위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유방암 환자에서 TAC 항암치료에 의한 호중구감소증에 대한 트리페그필그라스팀의 예방효과 평가

        이미란 조선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호중구감소증은 항암치료를 받는 환자에게 있어 흔히 일어나는 세포화학독성 항암제의 주요 부작용으로써 항암요법을 지연시키거나, 변경하거나, 용량을 감소하게 하거나, 중단시킴으로써 환자의 치료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 호중구감소증을 치료하기 위해서 재조합 메티오닐 인 과립구 콜로니자극인자(recombinant methionyl human granulocyte colony stimulating factor, r-metHuG-CSF)가 개발되었다. 최근에는 항암제로 인한 호중구감소증을 예방하는 목적으로 G-CSF를 pegylation하여 약효를 연장시킨 2세대 G-CSF (pegfilgrastim, tripegfilgrastim)가 개발되었다. 1세대 G-CSF인 Filgrastim에 branched PEG를 결합시킨 Tripegfilgrastim은 기존의 Pegylated filgrastim (Pegfilgrastim)보다 aggregation과 depegylation을 줄이기 위해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호중구감소증 고위험 항암화학요법인 유방암의 adjuvant TAC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예방 목적으로 2세대 G-CSF를 사용한 군(tripegfilgrastim, pegfilgrastim), 그리고 예방적인 G-CSF를 사용하지 않은 군에서 호중구감소증, 열성 호중구감소증의 발생빈도를 비교하고 그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 및 발생위험요인 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2세대 G-CSF 중 pegylation 형태가 다른 Tripegfilgrastim과 Pegfilgrastim에서 호중구감소증 및 열성 호중구감소증 발생률과 관련된 요인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2세대 G-CSF의 호중구감소증 예방 효과와 2세대 G-CSF 중 Tripegfilgrastim과 Pegfilgrastim의 약효를 비교 분석하였다. adjuvant TAC 치료를 받는 총 97명의 환자 중 예방적 목적으로 G-CSF를 사용한 환자는 Tripegfilgrastim군(PT군) 31명, Pegfilgrastim군(PP군) 33명, 예방적인 G-CSF를 사용하지 않은 환자(Non-PG군) 33명이었다. 호중구감소증 발생률(PT 22.58%, PT 39.39% non-PG 81.82% p<0.001), 열성 호중구감소증 발생률(PT 6.45%, PP 15.15% non-PG 42.42% p=0.001), 항암화학요법 후 측정한 ANC가 기저 ANC의 50% 이하로 감소한 환자수 (PT 19.35%, PP 48.48% non-PG 90.91% p<0.001), 평균재원일(PT 7.35±2.09 days, PT 10.82±11.68 non-PG 13.27±8.77 p=0.002)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호중구감소증의 가장 큰 위험인자는 Tripegfilgrastim과(HR 0.065 CI 0.02-0.22) Pegfilgrastim의(HR 0.144 CI 0.05-0.45)(p<0.001) 사용 유무였다. 열성호중구 감소증 발생률은 PT군과(HR 0.094 CI 0.02-0.46) PP군(HR 0.242 CI 0.07-0.78)에서 Non-PG group군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p=0.003). 예방적 2세대 G-CSF 사용군(PG군)은 호중구감소증 및 열성 호중구감소증의 예방뿐 아니라 재원일수의 감소 등 치료의 여러 측면에서 2세대 G-CSF를 사용하지 않은 군(Non-PG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호중구감소증 및 열성 호중구감소증의 발생 유무가 전체 항암화학요법의 성패와도 연관 있는 것을 고려해보았을 때 약가와 효용성을 잘 고려하여 보다 적극적으로 예방적 G-CSF의 사용이 권장되어야 할 것이다. Neutropenia, an adverse event of cytotoxic chemotherapeutic agent, is one of the major concerns in breast cancer patients. As a therapeutic agent for the neutropenia, recombinant human granulocyte-colony stimulating factor (G-CSF, filgrastim) is developed. Recently, pegylated G-CSF (pegfilgrastim, tripegfilgrastim) used to prevent neutropenia induced by chemotherapeutic agent has been introduced for thepurpose of longer duration of action. Tripegfilgastim, a filgrastim with branched pegylation, is developed for the better bioavailability with less aggregation and depegylation than those of pegylated filgrastim. In this study, breast cancer patients with TAC (docetaxel/doxorubicin/cyclophosphamide) regimen were collected. We analyzed prophylactic tripegfilgrastim (PT) group, prophylactic pegfilgrastim (PP) group and non-prophylactic G-CSF (non-PG) group with incidence of neutropenia, febrile neutropenia, events of absolute neutrophil count (ANC) below 50% of baseline, cycles of dose reduction of chemotherapeutic agent, hospitalization duration,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neutropenia and febrile neutropenia. Among the total 97 breast cancer patients with TAC regimen, prophylactic G-CSFs were treated in 31 patients (tripegfilgrastim) and 33 patients (pegfilgrastim). Non-PG group was 33 patients. Incidence of neutropenia (PT 22.58%, PT 39.39% non-PG 81.82% p<0.001), febrile neutropenia (PT 6.45%, PP 15.15% non-PG 42.42% p=0.001), events of ANC below 50% of baseline (PT 19.35%, PP 48.48% non-PG 90.91% p<0.001) hospitalization duration (PT 7.35±2.09 days, PT 10.82±11.68 non-PG 13.27±8.77 p=0.002) of prophylactic group (PT, PP) a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non-PG group. The risk factor associated with neutropenia was use of Tripegfilgrastim (HR 0.065 CI 0.02-0.22) and Pegfilgrastim (HR 0.144 CI 0.05-0.45)(p<0.001). And incidence of febrile neutropenia was lower in PT group (HR 0.094 CI 0.02-0.46) and PP group (HR 0.242 CI 0.07-0.78) than non-PG group (p=0.003). In conclusion, use of prophylactic G-CSF is beneficial to the breast cancer patients treated with TAC regimen. The study showed better outcome in PT groups than PP groups.

      • 한국과 인도의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도형 영역 비교 분석

        이미란 서울교육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한국의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와 인도의 NCERT에서 개발한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나타난 도형 영역의 내용을 교수단위라는 객관적 지표를 사용하여 비교 분석함으로써 초등수학교육의 발전에 도움이 될 만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두 나라의 교과서를 비교 분석하기 위한 도구로 쓰인 교수단위는 강완․나귀수․백석윤․이경화(2013)의 초등수학 교수단위 사전에 수록된 것을 바탕으로 하였고, 초등수학 교수단위 사전에 없는 내용은 새로운 교수단위를 만들어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가. 한국과 인도의 수학 교과서에서 도형 영역 내용 요소의 순서 및 지도 시기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나. 한국과 인도의 수학 교과서에 나타난 도형 영역 내용 요소별 학습 전개방식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한국과 인도의 초등 수학 교과서 분석 결과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두 교과서는 서로 다른 교육과정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도형 영역의 단원 구성 형식에서도 두드러진 차이를 보인다. 둘째, 두 교과서에서 도형 영역의 내용 요소와 제시 순서는 대체로 비슷하나, 지도시기와 심화 정도에는 차이가 있다. 셋째, 두 교과서의 도형 영역 학습 전개방식에서 직접적인 활동을 통한 도형의 직관적인 이해, 스토리의 활용, 실생활 및 타 교과와의 연계 추구, 수학적 의사소통 강조 등의 공통적인 요소를 찾을 수 있으나 용어 사용 및 표기 방법, 자료 제시 등 세부적인 구현 방식에 있어서는 다소 차이가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도형 영역 내용 구성과 교수․학습 방법 개선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