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과 일본의 유학생정책 비교연구

        스에요시, 카요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Nowadays, Korea and Japan, both countries are active in attracting the international students who are expected to be working as excellent foreign human resources in their own countries in the future. This study was intended to draw policy implications for each other, finding their common features and differences by analyzing the international students policies of the both countries comparatively. The research methods proceeded with are the literature research through the data and home pages built by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local government, and interviews for 23 personnel in charge of policy. As a study model, with regard to the international students policy in Korea and Japan, the support policy and the management policy for each level, the international student attraction stage, the mid-study stage and the post-graduation stage. As a result, Korea and Japan both countries have more support policies than management policies, and the management policy at the local government was not found. Also, with regard to the international students support policy, there are more of the mid-study stage policies, among them, there were more of the exchange and cultural understanding policies. From the closer look, Korea and Japan are implementing the support policies such as international study publicity, scholarships, dormitories, health insurances, language educations, policy participation, counseling and life information provision, permission to engage in activities other than that permitted under the status of residence previously granted, permission to accompany families, job search support and the management policy such as exit and entry to the country, the management of the stay and the academic management. The difference between Korea and Japan can be found in the better environment for language education, housing and policy participation in Korea, and the existence of the policy incentive for the excellent human resource. On the other hand, Japan is implementing the international students coordinator, on-line information paper sending for the network building with the post-graduation international students, following-up research fellowship and guidance for the international students who have returned to their countries, comprehensive renters’ insurance for foreign students studying in Japan and Support for universities leasing accommodations for international students for the smooth private housing. In terms of the management policy, Korea has a well established policy of managing international students and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 attracting international students and Japan is implementing a examination for the Japanese university admission for the international students(EJU). As a policy implication drawn from the research result, after-management of the post graduation students and the effort of the network building for the Korean international students policy are needed. For the Japanese international student policy, it will be needed to make the strict establishment standard of the Japanese language institutes and to expand the Japanese language education affiliated with the universities. Also, for the both countries, the effective policy making is needed for post-graduation international students' participation in the labor market. 오늘날 한국 및 일본 사회에서는 저출산으로 인한 노동인구감소와 국가경쟁력의 저하가 공통적으로 우려되고 있어, 장래 국내에서 우수 외국인재로 활약할 것으로 기대되는 유학생 유치에 적극적이다. 본 연구는 양 국가의 유학생정책을 비교분석해서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내어, 서로에게 줄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양국의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작성한 유학생정책 관련 자료 및 홈페이지를 통한 문헌연구 그리고 정책 담당자 총 23명을 대상으로 한 인터뷰로 진행하였다. 연구 모형으로 한국과 일본의 유학생정책에 대해 유학생 유치·재학·졸업 단계별로 지원정책과 관리정책으로 나누어 비교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 일본 공통으로 관리정책 보다 지원정책이 많고, 지자체 차원의 관리정책은 찾을 수 없었다. 또한 유학생 지원정책에 대해 재학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정책이 많고, 그 중에서도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실시되는 교류·문화이해 분야의 지원정책이 많았다. 더 자세히 들여다보면 한국과 일본이 공통적으로 유학 홍보, 장학금, 기숙사, 건강보험, 언어학습, 정책 참여, 상담과 생활정보 제공, 자격외활동 허가, 가족동반 허가, 취업지원 등의 지원정책과 출입국·체류관리 및 학사 관리 등의 관리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한국과 일본의 차이점은 지원정책에 대해서는 한국에서 언어교육·주거·정책참여의 환경이 더 잘 마련되어 있으며, 또한 우수인재 유치를 위한 비자 정책상의 인센티브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일본은 해외 유학 코디네이터의 설치, 졸업 유학생과의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온라인 정보지 송부와 귀국외국인유학생 단기연구제도 및 연구지원사업의 실시, 유학생의 원활한 민간 숙소 입주를 위한 유학생주택총합보상 및 임차숙사지원사업 등을 실시하고 있다. 관리정책에 대해서 한국은 유학생 뿐만 아니라 유학생을 유치하는 고등교육기관을 관리하는 규정이 잘 확립되어 있으며, 일본은 유학생이 고등교육기관에 입학하기 전에 일본유학시험을 실시하고 있다. 연구 결과에서 도출된 정책적 시사점으로 한국의 유학생정책에 대해서는 유학 종료자에 대한 사후 관리 및 네트워크 형성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일본의 유학생정책에 대해서는 일본어교육기관의 설립기준 엄격화 및 대학부설 일본어교육과의 확충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그리고 한국 일본 양 국가에 대해 졸업 유학생의 노동시장 이행을 위한 효과성 있는 정책 마련도 필요하다고 하겠다.

      • 일본의 외국인유학생 정책 : 활용과 개선 방안을 중심으로

        약산훈리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2

        本論文は、日本の外国人留学生受け入れ状況および留学生の活用状況に係る分析を通して、日本の外国人留学生政策の改善方策を探ることを目的としている。特に、留学生の誘致のみならず留学生の国内活用を促進するために政府レベルでどのような政策の改善が必要であるかについて検討するのが、本研究の中心的課題である。 日本の留学生政策は、第二次世界大戦後、戦争で失われた国際社会の信頼を回復するための国際教育協力の一環として開始され、発展途上国の人材育成など、国際貢献の理念を基盤とするものであった。1983年に導入された留学生10万人受け入れ政策もまた 国際貢献の理念が強く反映されたものであったが、この計画においては、“留学生10万人”誘致という数値目標を達成するため私費留学生の量的拡大が図られた。 留学生10万人誘致が達成された後、日本の留学生政策は国際貢献に中心的価値を置く政策から、国益を追求する戦略的な政策に転換した。経済界を中心として外国人高度人材受け入れ促進に係る議論が活発化する中、高度人材予備軍としての留学生の重要性が認識され始めたためである。経済界から始まった留学生活用に向けた議論は、2008年留学生30万人受け入れ計画として具体化され、現在、この計画に基づき留学生政策が進められている。 現行の留学生政策には、次の2つの特徴がある。第一に、現行の留学生30万人計画は、高度人材誘致をめぐる議論の中で策定されたにも関わらず、実際に実施されている施策においては、日本の大学が世界最高レベルの大学として成長していくための“大学の国際化施策”が重点的に進められている点である。もう1つの特徴は、日本の留学生政策は、政府主導というより、大学を中心に推進されている点である。“大学の構造改革”により大学間の競争が奨励された結果、大学の国際化を牽引する一部大学が政策を主導するようになった。 こうした特徴により、大学、自治体レベルでは次のような問題が発生している。まず大学レベルでは、留学生の進路に関する支援がいまだに不十分である点が挙げられる。留学生30万人を確保するという政府目標により、各大学においては、留学生の受け入れ拡大に焦点を当てた施策を推進せざるを得ない状況である。2つ目には、各大学が独自に施策を実施しており、大学間の連携が存在しない点である。大学の構造改革のもとで導入された“競争原理”は大学間の協力を難しくしている。自治体の問題点としては、同一地域内で各種留学生支援が重複して実施されている点、留学生の就職支援に関して、県を超えるネットワークが構築されていない点が挙げられる。留学生の大部分は出身大学が所在する県を超え、全国的に就職活動を行うため、県内企業と県内留学生をマッチングさせる支援だけでは不十分であると言える。 今後、留学生活用を促進するためには、国家として必要な人材を質的、量的に把握し、それに該当する留学生を選別的に誘致させる戦略的視野が必要である。また、誘致した留学生を効果的に活用するためには、留学生と企業を結ぶ全国規模のデータベース等、情報システムの構築が不可欠である。また、こうした制度的な改善とともに日本企業、ひいては日本社会の国際化が早急に実現されなくてはならない。日本の閉鎖的な企業文化、言語面での制約などが外国人留学生の就職を阻害する障壁となっているためである。日本社会の国際化が進む中で“大学の国際化”も達成されるであろう。 This thesis focuses on three points on the Japan’s policy towards international students from foreign countries. First, historical outline of the policy will be illustrated. Second, figures and characteristics of international students who came to study will be discussed. Finally, how to engage international students to settle down in Japan as brains for Japanese society will be addressed. In particular, Japanese government’s initiative for attracting international students to settle down after the graduation of the Japanese universities will be proposed. Historically, Japan’s policy towards international students can be divided into three periods; International contribution, National interest, and Brain gain in a global world. After the Second World War, Japan tried to regain international trust. So, policy towards international students was no exception. For the developing countries, educational cooperation was emphasized, and finally resulted “One Hundred Thousand International Students Initiative” in 1983. Quantitative rather than qualitative goals were important. However, Japan twisted the policy towards international students to a strategic policy based on national interest. Importing high level of international brains was widely discussed in the society, mainly in the business sectors. However, it was not formed as an immigration policy, but considered as an educational cooperation. Finally, however, “Three Hundred Thousand International Students Initiative” was formed in 2008, and Japan entered a new phase of policy arena towards international students. That is a brain gain policy widely accepted by many developed countries in a more globalized world. The initiative still goes on, but now it is the time to discuss the outcome of the initiative. Now, however, the initiative seems to be on some university hands. For making a more globalized university, universities do their best to attract international students. “Restructuring” universities makes universities more sensitive to induce international students. Some universities lead the trend. This results some problems. Universities focus on inducing international students rather than providing some information on career building for the international students after graduation. Also, the business is very competitive among universities, so that there is no cooperation or networks. Even on the level of prefectures, there is no national or inter-prefecture policy measures for international students’ career building. Because international students try to seek jobs in national level, information or networks across the prefectures should be necessary. It is not enough that international students are introduced to only local companies. Therefore, in conclusion, national level policies should be provid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for a better policy towards international students’ settlement in Japan. National database and information system should be introduced. Also, the system should be connected with companies, prefectures and universities. The most important thing, however, is to change Japanese culture on globalization. Globalization is a namely global trend. Isolated corporate culture, language barrier of Japanese and other societal barriers prohibit competitive international students from settling down in Japan. “Globalization of Japanese universities” is essential for a more globalized Japan. 본 논문은 일본의 외국인 유학생 정책과 외국인 유학생 유치 및 국내 활용 현황을 분석하고 일본 유학생정책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특히 유학생의 유치뿐만 아니라 유학생의 졸업 후 국내 활용을 촉진하기 위해서 정부 차원에서 어떠한 정책 개선이 필요한가에 대해 검토해보는 것이 이 논문의 핵심이다. 제2차세계대전 이후 일본의 유학생정책은 전쟁에서 잃어버린 국제사회의 신뢰를 되찾기 위한 국제교육협력의 일환으로 시작되었으며 개발도상국의 인재육성 등 국제공헌 차원에서 진행되었다. 1983년에 도입된 유학생 10만 명 유치 계획 역시 국제공헌의 이념이 강조되었는데 이 계획에서는 “유학생 10만 명 유치”라는 수치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자비유학생의 양적 확대가 도모되었다. 유학생 10만 명 유치가 달성된 후, 일본의 유학생 정책은 국제공헌에 중심적 가치를 둔 시혜적인 정책에서 국익을 추구한 전략적인 정책으로 전환을 겪었다. 경제계를 중심으로 외국인 고도인재 수용촉진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면서 유학생을 미래의 고도인재로 간주하여 그들의 국내 활용을 시야에 둔 전략적 정책의 필요성이 제기되었기 때문이다. 경제계에서 제기된 이와 같은 논의는 2008년 유학생 30만 명 계획으로 구체화되었고 현재 이 계획에 기초하여 유학생정책이 추진되고 있다. 현재 일본정부의 유학생 정책은 다음 두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째 현행 유학생 30만 명 계획은 고도인재 유치를 둘러싼 논의 속에서 책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실시되어 있는 시책은 일본 대학이 세계 최고 수준의 대학으로 성장해 나가기 위한 “대학의 국제화 시책”이 주를 이루고 있는 점이다.또 한가지 특징은, 일본의 유학생 정책은정부 주도라기 보다 대학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는 점이다. “대학의 구조개혁”으로 인해 대학 간의 경쟁적 환경이 조성된 결과 대학의 국제화를 견인하는 일부 대학들이 정책을 주도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정책 특징으로 인해 대학,지자체 차원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첫째, 대학 차원에서는 유학생의 진로에 대한 지원이 여전히 미흡하다고 볼 수 있다.유학생 30만 명을 유치하려는 정부목표로 인해 대학들은 유학생의 유치 확대에 초점을 둔 시책을 추진 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둘째,대학마다 개별적으로 시책을 실시하고 있고 대학간의 연계가 부재하는 점이다.대학의 구조개혁하에서 도입된 “경쟁원리”로 인해 대학 간의 협력은 이루어지기 어렵다.지자체의 문제점으로써는 같은 지역 내에서 각종 지원이 중복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점,유학생의 취업지원에 대해 현을 넘는 지원체제가 없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유학생의 대부분이 출신대학이 소재하는 현을 넘어 전국적으로 취업준비를 하기 때문에현내 기업과 현내 유학생을 매칭시키는 지원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앞으로 유학생 활용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국가로써 필요한 인재를 질적・양적 측면에서 파악하고 그에 해당되는 유학생을 선별적으로 유치시키는 전략적 시각이 필요할 것이고 유치한 유학생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유학생과 기업을 연결시키는 전국규모의 데이터베이스 등 정보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제도적인 개선과 함께 일본 기업, 나아가서는 일본사회의 국제화가 시급히 이루어져야 한다. 일본의 폐쇄적인 기업문화, 언어적 제약 등이 외국인의 취업을 억제하는 장벽이 되어있기 때문이다. 일본 사회의 국제화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대학의 국제화”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 한국의 외국인 유학생 유치정책에 대한 비판적 검토 : <Study Korea 2020 추진계획>에 나타난 생활지원정책을 중심으로

        나랑가라브 한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2318

        세계화에 따른 환경변화는 대학교육에 변화를 요구해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여 발생한 외국인 유학생 인구의 유치 정책들의 발전방안으로서 현행되는 정책들을 비판하고 더 나은 방향으로의 개선을 제안을 하고자한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선행연구를 비교․분석하여 2000년대 초에서부터 최근까지의 외국인 유학생 유치 정책들을 조사하고, 그러한 정책들이 가져온 성과 및 부작용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시기별로, 제1기: Study Korea Project(2005-2012), 제2기: Study Korea Project(2013-2020)로 구분한 후 정책들의 변천과정을 검토하여 유의미한 성과들을 파악하였고, 또한 그 정책들의 맹점을 분석하여 그러한 취약점을 극복할 수 있는 외국인 유학생 유치정책의 방향을 도출하였다. 이상의 연구절차를 통해 얻는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 교육 지원 측면의 확대이다. 한국어능력의 부족은 학습의 만족도와 질에 밀접한 연관을 가지므로, 보다 실질적인 한국어 실력의 제고를 위해 관련 수업의 의무화를 추진하는 정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적극적인 지원 센터 및 온라인 시스템의 활용이다. 오리엔테이션 시 대학의 온라인 시스템에 관한 교육을 함께 필수적으로 실시하고 학생들에게 온라인 시스템에 익숙해줄 수 있도록 하고 스스로 수강 신청 등의 학사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셋째, 대학은 고학년 동일 국가 출신의 유학생을 활용, 저학년 유학생들이 고학년 유학생에게 도움을 받는 방법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국내 대학에서 학업 적응이 안 되거나 수학 능력이 부족한 유학생을 위한 프로그램과 과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넷째, 외국인 유학생에게 편한 기숙사 시설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 문제는 외국인 유학생 유치의 극대화 정책을 추진한 이래 많은 대학에서 벌어진 문제로서 여전히 외국인 유학생 유치의 극대화를 제한하는 요소가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국내 대학들은 기숙사에 관한 고려를 추가로 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취업지원적 측면에서 인턴십, 기업과의 연계의 확대를 통한 지원을 확대해야한다. 유학생의 취업활동은 개인의 힘으로 이루어 내기는 어려운 실태이다. 또한 유학생들의 활발한 취업 활동을 위해 자국 대학생에 제시되는 것과 유사한 형태의 취업활동 교육도 지원되어야 할 것이다. 여섯째, 다양한 문화권의 학생들이 느끼는 한국문화에 대한 생소함과 문화적 차이에서 기인한 상대적 소외감을 줄일 수 있는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유학생의 한국문화 적응에서 오는 스트레스 상당부분 감소시킬 것으로 사료된다. Situational changes caused by the globalization demand changes of the university education. This study suggests improvement plans on the basis of critical thinking about policies of attracting foreign students. In order to achieve the set objectives, this research compares and analyzes preceding researches and examines the policy of attracting foreign students from early 2000s to present and critical review of the achievements and adverse effects of such policies. This study is divided into two periods – the first period: Study Korea Project(2005-2012) and the second period: Study Korea Project(2013-2020) to review the transition process of the policies and identify the significant achievements, also analyze the blind spot of such policies and derive new directions for the policies to attract foreign students to overcome such vulnerability. These are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The first suggestion is expanding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lack of Korean language using ability cause under-achievement of learning. Therefore, foreign students need obligatory cours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improve their linguistic ability. The second suggestion is actively using online support system. During orientation, foreign students should be given compulsory training to become familiar with the online system of the university helping them to manage their own student portal like registering for courses by themselves. The third suggestion is utilizing the upper grades students from same country to help the students in lower grades. It is necessary to create programs for the foreign students who are not being able to adapt to domestic university education or learning ability is very low. The fourth suggestion is providing comfortable dormitory facilities for foreign students. This issue is a limiting factor in policy to attract foreign students as seen in many universities. Domestic universities need to make furthermore consideration on dormitory issue to solve this problem. The fifth suggestion is supporting the foreign students to find employment such as internship and expand chaining to companies. Furthermore, foreign students should also be provided with necessary training needed for finding employment like Korean students. The sixth suggestion is establishing policies to overcome foreign students’ senses of alienation caused by different culture. Such programs helps to decrease the stress that comes from adaptation of foreign students in unfamiliar Korean culture.

      • 외국인 유학생 유치 및 관리 정책에 대한 연구: : 포스트 코로나 시대 중국인 유학생의 정책 만족도를 중심으로

        강정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2318

        본 연구는 코로나19 발생 이후 외국인 유학생들이 겪고 있는 문제점들을 실증적으로 파악하고, 그에 대한 대책을 중심으로 외국유학생들의 유치 및 관리 정책의 개선점을 모색하고자 한다. 한국의 외국인 유학생 정책을 질적으로 개선하기 위해서 종합적인 시각으로 실효성 있는 유학생 정책을 구축하고자하며, 정부, 대학교, 유학생 모두의 입장을 고려하며 효율적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 전 지역 전문대 이상 재학 과정 있는 중국인 유학생을 설문조사 대상으로 했으며, 이들의 유학생 정책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 요인들이 작용하는지 파악하고자 했고, 질적 정책 개선방안을 제고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의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D-2 체류자격이 있는 중국인 유학생들을 조사하고, D-4 체류자격인 중국인 유학생들은 본 연구대상에서 제외하였다. 게다가 연구대상자들에게는 한국어와 중국어의 이중언어로 만든 설문지를 구성하여 자료를 확보하였고, 이후 계량적 통계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모형에서 독립변수들인 코로나 방역 대책, 장학금제도, 수업방식, 취업 지원제도, 한국어 교육 지원제도, 대학 생활 안내 및 지원제도가 중국인 유학생들에 대한 유학생 정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인과적 연관성을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코로나 방역 대책, 장학금제도, 한국어 교육 지원제도, 대학 생활 안내 및 지원제도와 같은 독립변수들이 중국인 유학생의 정책만족도에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학생 정책 만족도 중에 불만족한 정책들이 행정학 시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 거버넌스의 이념을 이용하여 학교와 정부 간, 학교와 유학생 간, 그리고 유학생들 간의 협력 등 3가지 차원에서 다루려고 한다. 첫째, 대학교와 정부 간의 협력 차원에서 보면 정책과 재정의 측면에서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대학교와 유학생회 간의 협력차원에서는 대학 시설이나 서비스 등이 개선되어야 한다. 셋째, 유학생들 간의 협력 차원에서는 자발적인 유학생 학생회 또는 연대 등의 조직이 설립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연구대상을 중국인 유학생에 한해서만 진행하였기 때문에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 어렵다고 볼 수 있으나. 향후 연구자들의 후속 연구를 위하여 의미가 있는 기초 연구자료 제공으로서의 의미를 가질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한국 정부와 대학교 정책에 대한 중국인 유학생의 평가 성향을 어느 정도 파악할 수 있고, 향후 관련 정책을 만들 때 유효한 정책 시사점들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This study will empirically grasp the problems experienced by foreign students after the occurrence of the new coronavirus and, with a focus on countermeasures, will improve and explore policies for attracting and managing foreign students. In order to qualitatively improve the foreign student policy in Korea, we will construct an effective foreign student policy from a comprehensive perspective and propose an effective improvement plan considering the positions of the government, universities, and foreign students.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what factors affect the satisfaction of foreign student policy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policy by conducting a questionnaire survey on Chinese students with college degree or higher in all regions of Korea. In order to ensure the objectivity of the study, Chinese students with D-2 status were surveyed, while Chinese students with D-4 status were excluded from the study. In addition, a bilingual questionnaire in both Korean and Chinese was used to obtain data for the study,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In the study model,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novel coronavirus prevention measures, scholarship system, teaching methods, employment support system, Korean language education support system, and university life introduction and support system were used to establish causalit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olicy satisfaction of Chinese studen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New Crown Pneumonia Prevention Measures, scholarship system, Korean language education support system, and introduction to university life and support system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policy satisfaction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 order to solve the unsatisfactory policies in the policy satisfaction of foreign students from the administrative point of view, the solution will be provided from three levels of cooperation between the university and the government, between the university and the foreign students, and between the foreign students by using the concept of governance. First, from the perspective of cooperation between universities and government, support should be provided in terms of policy and finance. Secondly, cooperation between universities and international student associations requires improvement of university facilities and services. Third, from the perspective of cooperation between international students, organizations such as international student associations or groups should be established on their own initiative.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is limited to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so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e study. However, it can be judged that it will provide meaningful basic research data for subsequent studies by future researchers, and it can provide an understanding of the tendency of Chinese students to evaluate the policies of the Korean government and universities, which can provide effective policy perspectives when formulating relevant policies in the future.

      • 중국 유학생의 한국유학 결정요인 연구 : 대구경북지역 중국유학생을 중심으로

        탕홍위 영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2287

        세계경제 일체화의 가속화에 따라, 고등교육의 국제화는 점차 세계적인 추세로 변화되었으며, 유학생 교육의 규모와 수준은 대학의 국제화 수준을 측정하는데 중요한 지표이 되며, 미국과 유럽 등 서방 선진국들은 세계 각국 유학생들의 유학 선호 국가가 되었다. 그러면서도 최근 10년 동안 한국에서 유학생 교육사업이 급속히 발전하고 있다. 특이 중국과 한국 양국의 문화 교류 증대와 양국 간의 지리적 접근성에 힘입어 많은 중국 유학생은 한국대학 입학 지원을 하게 되었다, 아시아 나라로서 중국과 한국의 고등교육 환경의 유사함으로써 과거 몇 년 동안, 한국의 중국 유학생 수는 신속히 증가하고 있고, 이와 동시에 한국의 유학생 교육제도 또한 끊임없이 개선되고 있다. 그런데 교육 자원, 환경, 정책, 취업 등 여러 문제로 각 지방 대학이 유학생 유치에 불리한 위치에 처한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는 정책 및 선행연구 분석, 통계자료 및 설문조사를 통해서 중국 유학생 한국 유학 결정에 있어서 각종요인 중 이들에게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제시하고 또한 이들 유학결정과정에 있어서 요인의 영향에 대한 응답자들의 특성에 따라 차이점을 분석한다. 이 연구를 통해서 한국대학교는 어떻게 지속적 중국 유학생들 한국으로 유학 올 수 있도록 정책방안을 개선하는데 도움을 될 수 있는 의미를 기대한다. 한국은 한·중 양국 지리적 일의대수(一衣帶水)의 우세를 이용하여 정부, 대학, 사회 등 차원에서 중국과의 문화 교류를 적극적으로 추진하여 한국 문화가 중국 젊은이들 사이에 널리 퍼지고 인식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미래에는 양국 간 문화, 경제 및 정치 등 여러 측면의 교류를 촉진하는 데 긍정적인 역할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것을 기대한다.

      • 외국인 유학생의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하호정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32286

        우리나라에서 좋은 유학경험을 한 유학생들은 한국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갖게 된다. 그들은 자국으로 돌아가서도 다양한 분야에서 우리나라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칠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의 교육만족도 실태를 조사하고 교육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그 영향력 분석을 통해 이들의 교육만족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한국개발연구원(KDI)국제정책대학원에 2012년 재학 중인 60개국의 외국인 유학생 1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124명을 최종 분석하였다. 국내외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4개요인(교수, 수업, 시설, 행정지원)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였다. 기술통계분석, 응답자 개인변인에 따른 교육만족도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한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Sample T-test) 및 분산분석(ANOVA), 각 요인 간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정도를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을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인 유학생의 교육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4.26점/5점 만점)이며, 외국인 유학생의 출신지역, 연령, 결혼여부, 전공 등 개인적 배경이 교육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유럽&#65381;아메리카 출신 학생들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으며 아프리카 학생들의 교육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또한, 30세 이상 40세 미만 연령대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기혼이 미혼보다 만족도가 높았으며 신규 개설된 개발정책학 전공자들의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더 높은 수준이었다. 둘째, 수업요인, 시설요인, 행정지원요인이 외국인 유학생의 교육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그 영향력은 시설>수업>행정지원의 순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외국인 유학생들은 교육기간의 적정성, 보충학습 지원, 기숙사 시설 개선 등 교육환경 및 교육프로그램 개선에 대한 다양한 니즈를 갖고 있었다. 따라서 외국인 유학생을 유치하는 과정에서 정부와 대학들은 유학생들의 경제적 상황, 제공프로그램, 인종, 지역 등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 즉, 유학생의 수를 증대시키는 양적 측면과 동시에 우수 유학생 유치,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을 위한 교육행정의 전향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외국인 유학생들에 대한 우리 사회&#65381;문화의 차별적인 시선을 없애야한다. 본 연구에서 아프리카 유학생들의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아프리카 출신의 외국인 유학생들이 겪을 수 있는 우리 사회의 차별적 대우가 역설적으로 학교에 대한 불만이나 교육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수 있을 것이다. 다문화에 대한 상대주의적 관점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정부와 대학에서 외국인 유학생과 다문화정책을 연계한 적극적인 지원책 마련이 필요한 때이다. 둘째, 획일적으로 제공되는 한국어 의무수업&#65381;교육에 대한 전향적 태도가 요구된다. 한국어 사용과 수업을 일괄적으로 추진할 때, 외국인 유학생들의 스트레스가 커지고 만족도가 저하된다. 따라서 학교의 여건과 교육프로그램의 유형에 맞는 언어학습 커리큘럼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셋째, 외국인 유학생들을 위한 교육환경과 수준 높은 교육프로그램, 동시에 그들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 시설투자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외국인 유학생들은 다양한 개인적 배경만큼 다양한 교육니즈를 갖고 있기 때문에 이들이 빠른 시간안에 유학생활에 적응하고 학업능률을 높이기 위해서 안정적인 교육환경과 정보화시스템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출신지역별 유학생의 특성, 연령, 경제적 상황, 전공 등 외국인 유학생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들을 지속적으로 조사&#65381;분석하고 대학의 상황에 적합한 유학생 만족도 제고 방안들을 다양하게 고민해야 할 것이다.

      • 중국인 유학생의 한국 유학 결정요인 분석 : Push-pull이론에 근거한 한국의 유인(pull)요인을 중심으로

        강유린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2270

        고등교육 국제화는 국경과 문화를 초월한 대학교육이념과 학교 경영을 자국의 교육업무, 과학연구, 사회복지 등과 결합한 과정이고, 한 나라가 세계에 지향하여 자국의 고등교육을 발전시키는 기본형식이며, 고등교육 현대화 과정을 추진하고 국제교류와 협력을 추진하는 과정이다. 한국은 유학생 시장을 개척하는데 있어서 시작은 늦었지만 풍부한 경험을 가지고 있는 나라로서 교육에 대한 중시도가 높고, 선진적인 교육체계를 보유하고 있다. 중국은 세계 최대의 유학생 송출국이자 한국 유학생교육시장의 최대 소비자이기도 하며 해외 유학을 선택하는 학생 수가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대해 한국에서는 어떻게 지속적으로 중국인 유학생들이 한국으로 유학 오도록 이들의 유학수요를 충족시켜 주어야 하는가에 대한 연구는 상당한 정책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된다. 이에 따라 최근 한국의 중국인 유학생들에 관한 연구들을 검토해보면 대부분 유학생들의 대학생활 실태에 대한 조사를 통하여 유학생교육서비스 품질의 개선방안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었지 중국인 유학생들이 한국으로 유학을 오게 되는 이유와, 이들의 한국 유학 의사결정과정에 고려하는 사항들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상태였다. 본 연구는 중국인 유학생 한국 유학결정에 있어서 한국의 주도적 요인에 입각하여 이들에게 중요하다고 인식되고 있는 유인요인들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중국인 유학생들의 유학 결정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한국의유인(pull)요인들은 무엇이고, 어떤 요인이 가장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는가?”와 “유학 결정과정에 있어서 유인요인의 영향에 대한 응답자들의 특성(성별, 가정연소득별, 유학과정별, 전공계열별, 한국어수준별, 유학정보획득경로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가?”에 대한 답을 찾는 것에 따라 한국이 중국인 유학생에 대한 유치와 관리를 개선하는데 도움이 되고 중국의 외국인 유학생 교육에도 제언하고자 하며 한·중 양국 간의 교육협력을 촉진시키는데 조금이라도 기여를 하려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지리적 접근성, 대학 홍보, 국가 인지도 등이 한국 유학을 결정하게 되는 중국인유학생들이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유인요인으로 한국은 지리적 접근성에 대한 우세를 충분히 개발하여 유지 해나갈 것; 국가의 경제, 문화 환경을 진일보 발전시켜 국제화시장에서 더욱 높은 국가인지도를 얻는 것에 도약할 것; 대학의 명성이나 교수진의 능력, 유학 정보에 대한 홍보 내용을 개선 할 것에 계속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또한, 한국 유학 유인요인에 대한 중국인 유학생들의 특성에 따른 집단별 차이 분석결과에서 성별, 재학 과정별, 전공계열별, 한국어 수준별, 유학정보 획득경로별로 모두 차이를 보였는데, 이중에서 전공계열과 유학정보 획득경로의 분류에 따른 집단별 차이가 제일 크게 나타났다. 이런 차이는 우리에게 외국인 유학생 교육사업에 있어서 유학생들의 차별화된 수요에 부합하는 정책내용을 파악하는데 주목을 돌려야 한다는 점을 제시해주고 있다.

      • 외국인 유학생 '시간제근로제도'에 대한 비판적 연구 : '사전허가제도'를 중심으로

        장한정 한서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2270

        본 논문은 한국의 외국인 유학생 시간제근로제도에 대해 알아보고 특히 그 중에서 가장 문제시되는 사전허가제도를 검토할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수집된 자료를 분석함으로써 사전허가제도의 문제점을 제시할 것이다. 사전허가제도란 현행법상 유학 비자(D-2)를 소지한 외국인 유학생이 시간제근로를 위해 미리 관할출입국관리사무소에 신청서와 여권, 재학증명서, 추천서 등 복잡한 서류를 제출한 뒤 허가를 받아야 하는 제도이다. 그러나 설문조사 결과 외국인 유학생의 시간제근로를 위한 사전허가제도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첫째, 사전허가제도에 대한 홍보가 부족하다. 둘째, 사전허가를 위한 신청절차가 복잡하고 증빙서류가 과도하다. 셋째, 사전허가제도에 규정된 취업시간이 제한적이다. 넷째, 사전허가를 신청할 수 있는 외국인 유학생의 자격이 제한적이다. 다섯째, 사전허가를 위한 접수창구가 제한적이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할 때, 한국의 외국인 유학생 시간제근로제도는 해외의 다른 국가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복잡하고 불편하며, 따라서 보다 현실적인 방향으로의 개정이 요청된다. This thesis focuses on the investigation of foreign students’ Hourly Labor System in South Korea, especially for the Prior Permission System. By analyzing the data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targeted at the foreign students, this paper discusses some disadvantages of the Prior Permission System. Under the Prior Permission System, according to current laws, foreign student with study visa can only be engaged in hourly labor after they submit applications to Exit-Entry Administration Bureau in advance, with required materials such as passport, letter of recommendation, proof of school attendance, etc. However, the collected data revealed the disadvantages as follows. Firstly, the promotion of Prior Permission System is not effective enough. Secondly, the procedure of applying Prior Permission System is too complicated and requires too many materials. Thirdly, the regulations of Prior Permission System are very strict with foreign students’ working hours. What's more, the regulations are very strict with foreign students' working qualifications as well. Last but not least, the intake of applications is not accessible enough. Base on the results, Foreign Students Hour Labor System in South Korea is more complicated and more inconvenient than that in other countries. Therefore, this system needs to be reformed according to the reality.

      • 외국인 인재 유치 및 활용을 위한 정책 모형 연구 : 고등교육기관을 중심으로

        박찬운 고려대학교 행정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32269

        A Study on the Policy Model for Securing Foreign Brains - focusing on the higher education - It is certain that the proper and timely suppliance of the labor force to the heavy chemical industry in 1970's and to the IT industry since 1980's took positive and major effect for Korea to achieve today's economic development out of its barren environment. The world economy, however, is being shifted to the knowledge-based society, hence, developing advanced brain with the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background which fits the new era remains to be urgent and crucial. Amid this circumstances, the number of professionals in the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s decreases all over the world. Especially in Korea, the declining rate of both the laborable and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aging of the population at the fastest level, and the declining birth rate make it tougher to secure the core brains of the future.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all conditions which emphasizes the needs and necessity of securing foreign brains, I examined the 'Study Korea project'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including a couple of related programs in Korea. For the international comparison, I examined the Fulbright program of USA, several programs inclusive of the ICF(international Communications Foundation) of Japan and the Endeavor Awards of Australia. After speculation of all programs above, some common factors have been derived and every program appeared to have the support for each level of inducing, caring, and utilizing. And the means of support could be categorized into the financial, legal, and social aspects. Consequently, I could afford the FLS Conditions out of these aspects and this was to present a universal framework of policy-making which could be used and applied easily and generally regarding this matter instead of being case-by-case. In other words, we can keep a guideline of policy-making by satiating these three conditions, ie. financial support, legal support, and social support, when we think about inducing and securing foreign brains. Furthermore, the Brain Internalization Process is introduced to find out a way of making foreign brains contributable to our economy and this is meaningful as such effort used to be passed by. The national strategy, securing the core brains of the future, must be successful by pursuing industrial demand-oriented foreign brains as pro-Koreans, Lastly, a logical tool called Systems Thinking has been applied to the FLS Conditions and the Brain Internalization Process to assure the efficacy and applicability of the models. This is to minimize any de facto side effects by analyzing all 'feedback loops' stemming from the models. And the 'causal loop diagrams' have been utilized to come with the complementary measures. Such series of verification could convince the virtue of the models. Governments and universities can make use of the FLS Conditions and the Brain Internalization Process so the policies or plans about the foreign brains can be built in a uniformized and consistent framework. I hope, as a result, the international competency of Korea to induce and utilize the foreign brains be raised with the constant and standardized formality. 척박한 자연환경 속에서도 우리나라가 오늘날의 경제발전을 이룩할 수 있었던 것은 1970년대의 중화학 인력양성과 1980년대 이후의 IT분야 인력양성의 성공적인 진행으로 적시에 핵심인력을 공급할 수 있었던 것이 주효했다. 그러나 21세기에 접어들면서 세계는 지식기반 사회로 전환되고 있으며, 바야흐로 새로운 시대에 부합하는 과학기술 기반의 고급두뇌 육성이 절실한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세계적으로 이공계 고급인력의 배출이 감소세이고,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생산가능 인구 증가율과 경제할동 인구 증가율이 모두 감소하는데다가 인구 고령화의 속도도 가장 빠를 뿐만 아니라 출산률은 오히려 하향하여 미래 핵심인재 확보가 더욱 어려운 현실이다. 이렇듯, 외국인 인재 유치의 필요성과 당위성이 부각되는 상황에서 교육과학기술부의 Study Korea 프로젝트를 위시로 한 국내 외국인 인재 유치 정책에 대하여 살펴봄과 동시에, 풀브라이트(Fulbright)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하는 미국의 외국인 인재 유치 정책, 문부과학성 장학금을 중심으로 하는 일본의 외국인 인재 유치 정책, 그리고 인디버(Endeavour)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하는 호주의 외국인 인재 유치정책을 해외 선진사례로서 실증분석해 보고, 국내외 외국인 인재 유치 정책에 있어 몇 가지 공통적인 전략 요소를 도출할 수 있었다. 국내외의 각 정책이나 프로그램은 모두 외국인 인재의 유치-생활지원-활용까지의 단계별 지원책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는 다시 재정지원, 법무지원, 사회&#8228;문화적 지원의 요소별로 분류하여 수렴해볼 수 있었다. 이에, 산발적으로 진행되는 국내 외국인 인재 유치 정책의 기준을 제시하고 보편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정책수립의 틀을 제시하기 위하여 세 가지 지원요소로 정리하여 FLS 조건을 제시하였다. 즉, 외국인 인재 유치 정책을 수립함에 있어 재정지원(Financial Support), 법무지원(Legal Support), 사회&#8228;문화적 지원(Social Support)의 세 조건을 충족시킴으로써 표준화된 정책 수립 모형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그간의 국내 외국인 인재 유치 정책에서 간과되기 쉬웠던 외국인 인재 활용을 위한 틀을 제시하기 위하여 Brain Internalization Process를 소개하였다. 국내 기업의 수요에 맞는 외국인 인재의 양성과 외국인 인재의 친한화(親韓化) 및 지한화(知韓化)를 지향함으로써 미래 핵심 인재 확보라는 국가 전략의 성공적인 추진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FLS조건과 Brain Internalization Process의 정책모형이 실효성(efficacy)과 활용성(applicability)을 확보할 수 있도록 시스템 사고법(Systems Thinking)을 적용하여 검증해 보았다. 정책모형을 둘러싼 모든 피드백 루프(feedback loop)를 인식함으로써 정책의 시행으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이를 위해 인과루프지도(causal loop diagram)를 활용하여 정책보완책을 모색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검증 작업으로 인해 정책 시행의 선순환 구조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본 FLS 조건과 Brain Internalization Process를 활용함으로써 정부나 각 대학의 외국인 인재 유치정책이 하나의 통일된 틀 안에서 체계적으로 수립 및 추진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우리나라의 외국인 인재 유치 정책이 일관되고 표준화된 형태를 형성함으로써 외국인 인재 유치 및 활용에 대한 국제 경쟁력을 제고 할 수 있기를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