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민현정 한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966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cculturation, acculturation stress, social distanc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and adaptations impact of policy suggestions for Korea's foreign students in adjusting to Korean university life, A questionnaire in Korean and Chinese was used to survey the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of one university in Chungcheongnam-do, Korea about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acculturation, acculturative stress, social distanc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and adaptations to university lif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by using SPSSPC+Win. 18.0,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obel’s test, etc.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Differences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First, for separation of acculturation, men scored higher than women. For marginalization, it increased according to length of stay. For separation, it was higher when the period was shorter. Second, higher age was related to more acculturation stress. A greater sense of discrimination was related to a longer period of stay. The highest levels of homesickness were related to a stay of less than two years. Feelings of discrimination increased along with length of stay. Hostility was related to a shorter length of stay. Fear and culture shock were related to longer lengths of stay. Movement of the group was higher with a stay of longer than six months. Third, social distance increased with length of stay. Fourth, Korean language proficiency was higher with a longer length of stay. 2) Differences in the process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studying abroad First, in the sub-areas of acculturation, while maintaining the motherland's culture, for those who accepted the new culture of the country and at the same time accepting language training, undergraduate students scored higher than graduate students. Also, for assimilation, which does not maintain the culture of their home country but only accepts the new culture, undergraduate, graduate, and exchange students were higher than the language training students; undergraduates scored higher than graduate students. Second, according to the sub-areas of acculturation stress, the ranks of exchange students, undergraduates and graduates were higher than those of language training students. Homesickness problems for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were higher than language training and exchange students. Also, for the hostility of the students, undergraduates and graduate students were higher than those of language training and exchange students. Graduate student fear was higher than that of the language training students. Cultural shock for the exchange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graduate students. The guilt of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exchange students, and that of exchange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language training students. Other factors of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were higher than the exchange student, and those of exchange students were higher than those of language training students. Movement of exchange and undergraduate students was higher than of language training students. Third, the social distance for language training and graduate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exchange students and undergraduates. Regarding Korean language proficiency, language training and graduate students scored higher than the exchange students and undergraduates. For academic adjustment and adaptations to university life, language training students ranked higher than undergraduates. For social adaptation, the language training, exchange students and graduate students scored higher than the undergraduates. 3) Correlation between the acculturation, acculturation stress, social distanc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and adaptations to university life First, acculturation and acculturative stress were related to a lower academic adjustment; higher academic adjustment was related to higher social distance and Korean ability. Second, higher marginalization of acculturation, discrimination, fear, culture shock, and other such factors were related to social distance and movement towards decreased social adaptation. A higher social adaptation was related to increased social distance and Korean ability. Third, acculturation, acculturative stress, social distance, and higher Korean ability were related to lowered personal adaptation. Fourth, an increase in the acculturation and acculturative stress decrease the satisfaction of university life. 4) The factors influencing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 adjusting to college life First, the sub-areas affected by variables influenc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cculturation, acculturation stress, social distanc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and adaptations impact of policy suggestions for Korea's foreign students in adjusting to Korean university life, A questionnaire in Korean and Chinese was used to survey the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of one university in Chungcheongnam-do, Korea about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acculturation, acculturative stress, social distanc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and adaptations to university lif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by using SPSSPC+Win. 18.0,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obel’s test, etc.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Differences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First, for separation of acculturation, men scored higher than women. For marginalization, it increased according to length of stay. For separation, it was higher when the period was shorter. Second, higher age was related to more acculturation stress. A greater sense of discrim 본 연구는 중국 유학생을 대상으로 문화적응, 문화적응 스트레스, 사회적 거리감 및 한국어 능력이 한국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외국 유학생의 한국 대학생활 적응을 위한 정책을 제언하는데 목적이 있다. 자료는 충청남도에 소재한 H대학에 재학 중인 중국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어 및 중국어 설문지를 통하여 수집하였으며, 설문지는 중국 유학생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문화적응, 문화적응 스트레스, 사회적 거리감, 한국어능력수준, 대학생활적응을 측정하는 문항들로 구성하였다. 자료는 SPSSPC+Win.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요인분석, 평균비교분석(t-test, ANOVA),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곡선추정 및 매개효과분석(Sobel’s test) 등의 통계적 기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중국 유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 첫째, 문화적응의 분리는 남자보다 여자가 높았으며, 동화와 주변화는 체류기간이 길어질수록 높았고, 분리는 기간이 짧을수록 높았다. 둘째,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연령이 높을수록 높았으며, 체류기간이 길수록 차별감을 더 많이 느끼고, 향수병은 체류기간 1년에서 2년 미만의 경우 가장 높았고, 차별감은 체류기간이 길어질수록 높았다. 그리고 적대감은 체류기간이 짧을수록 높았고, 두려움은 체류기간이 길수록 높았으며, 문화적 충격은 체류기간이 길수록 높았다. 그리고 이사는 6개월 이상의 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거리감은 체류기간이 길수록 높게 나타났다. 넷째, 한국어 능력은 체류기간이 길수록 높았다. 2) 중국 유학생의 유학과정에 따른 차이 첫째, 문화적응의 하위영역별로 보면, 모국의 문화를 유지하면서 이주한 국가의 새로운 문화를 동시에 받아들이는 통합은 어학연수와 교환학생 및 학부생이 대학원생 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모국 문화를 유지하지 않고 새로운 문화만을 수용하는 동화는 교환학생과 학부생 및 대학원생이 어학연수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분리는 어학연수가 학부생보다 높고 학부생이 대학원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차별감은 교환학생과 학부생 및 대학원생이 어학연수보다 높게 나타났고, 향수병은 학부생과 대학원생이 어학연수와 교환학생보다 높았다. 그리고 적대감은 교환학생과 학부생 및 대학원생이 어학연수보다 높게 나타났고, 두려움은 대학원생이 어학연수보다 높게, 문화적 충격은 교환학생이 대학원생 보다 높게 나타났다. 죄책감은 학부생과 대학원생이 교환학생보다 높았으며 교환학생이 어학연수보다 높게 나타났다. 기타는 학부생과 대학원생이 교환학생보다 높고 교환학생이 어학연수보다 높게 나타났고, 끝으로 이사는 교환학생과 학부생이 어학연수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거리감은 어학연수와 대학원생이 교환학생과 학부생보다 높았으며, 한국어 능력의 경우 어학연수와 대학원생이 교환학생과 학부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대학생활적응의 학업적응은 어학연수가 학부생보다 높고, 사회적 적응은 어학연수와 교환학생 및 대학원생이 학부생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대학만족도는 어학연수가 대학원생보다 높고 대학원생이 학부생보다 높았다. 3) 문화적응, 문화적응 스트레스, 사회적 거리감, 한국어 능력 및 대학생활 적응 간 상관관계 첫째, 문화적응,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높아지면 학업적응은 낮아지고, 사회적 거리감, 한국어 능력이 높아지면 학업적응은 높아졌다. 둘째, 문화적응에서 주변화, 문화적응 스트레스에서 차별감, 적대감, 두려움, 문화적 충격, 기타, 사회적 거리감, 그리고 이사가 높아지면 사회적 적응은 낮아지고, 사회적 거리감과 한국어능력이 높아지면 사회적 적응은 높아졌다. 셋째, 문화적응, 문화적응 스트레스, 사회적 거리감 그리고 한국어 능력이 높아지면 개인적응은 낮아졌다. 넷째, 문화적응 및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대학만족도는 낮아지고 사회적 거리감, 한국어 능력이 높아지면 대학만족도가 높아졌다. 4) 중국 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변인 첫째, 중국 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은 사회적 거리감, 한국어 능력, 그리고 문화적응의 동화, 분리, 통합, 주변화의 모든 하위영역들이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활 적응은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영향이 사회적 거리감이나 한국어 능력과 같이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하였다. 5) 중국 유학생의 체류기간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의 변화 학업적응, 사회적 적응, 대학생활 만족도는 체류기간의 증가에 따라 다소 곡선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 중국 유학생의 문화적응과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에서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중국 유학생의 문화적응의 통합과 대학생활 적응의 개인적응과의 관계에서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완전 매개하였고, 분리와 학업적응과의 관계에서 문화적응 스트레스 또한 완전 매개하였으며, 동화와 대학만족도와의 관계에서도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완전 매개함을 증명하였다.

      • 운항승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관계에서 성취욕구, 조직공정성과 보상만족의 매개효과

        박헌회 한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9647

        Today, the aviation industry is growing and developing around the world due to the increase in trade between countries and the improvement of individual living standards. Before the COVID-19 pandemic, the aviation industry was at its best. Due to this influence, flight attendants worked for flight hours close to the limit suggested by the Aviation Act. This caused excessive work stress both physically and mentally. Excessive work, insufficient wages for labor, and unfair operation of the organization led to conflicts with the organization, which in turn led to a decrease in loyalty to the organization. In order to resolve the conflict between these organizations and the flight crew, continuous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However, due to the impact of COVID-19, which started in 2019, the air transportation industry has gone through a period of downturn. In order to prevent the spread of the global COVID-19 epidemic, all countries have attempted to contain the epidemic through shutdown. Curr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various COVID-19 vaccines and therapeutics, the aviation industry is coming out of a recession and passing the time of WITH COVID-19. We are now preparing for the end of the pandemic and post-pandemic. However, during the time with the pandemic, the number of flights operated by airlines decreased rapidly, and the flight hours of flight attendants also decreased rapidly. The decrease in the number of aircraft operated caused the airline's bankruptcy and survival crisis. For airline workers, it caused new stresses such as reduced wages and uncertain working conditions, and created a different kind of stress from the excessive flight work before the pandemic. In the end, the job stress of flight crews is always present for various reasons, not just due to flight working hours. Various efforts must be made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by reducing job stress by solving the root cause. As described above, based on the problem awareness related to the flight crew's job stress, this thesis studied the effect of job stress on the job satisfaction of flight crews using achievement desire, compensation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fairness as parameters. And by comparing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average of each variable, it was investigated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variabl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oup.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tudy, questionnaire responses were collected from 250 flight attendants of domestic private airlines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IBM SPSS Statistics 23.0 program.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Job stress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reward satisfaction, achievement need, and organizational fairness. Job satisfaction was confirme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reward satisfaction, achievement need, and organizational fairness. However, although the correl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reward satisfaction was significant, the correlation was low compared to other variables. It was confirmed that reward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chievement need and organizational fairness. Achievement need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organizational fairness. By comparing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mean of each variable, it was found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variables according to the group characteristics. There was no difference according to origin in reward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compensation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 co-pilot's compensation satisfaction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aptain. Also,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compensation satisfaction according to marital status. Compensation satisfaction was higher for singles than for married ones. There was no difference in job stress according to origin. There was no difference in job stress by job position. There was no difference in job stress according to marital status. There was no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origin. There was no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in terms of job title and marital status. As a result of analyzing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job stress by age, the average difference in job stress between those in their 40's and 50's was significant.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people in their 40's receive more job stress than those in their 50s. In terms of job stress by company, there were differences by company. In particular, the job stress of Korean Air showed the greatest difference compared with that of Jin Air.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job stress by university or age group. Regarding job satisfaction, there were no average differences by company or university. However, there were differences by age group regarding reward satisfaction. In the difference between reward satisfaction in their 40s and 20s, it was found that those in their 40s had a greater sense of reward satisfaction.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compensation satisfaction by company. However, there was a difference in reward satisfaction by university. It was confirmed that Hanseo University had higher reward satisfaction than general 4-year universitie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achievement needs by age group, company, or university. There were no differences by age group or company regarding organizational fairness. The average difference was confirmed by university of origin.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ose who graduated from Hanseo University had higher organizational fairness than the Air Force Academy, Korea Aerospace University, general four-year universities, and other universities. Through the analysis of mediating effects b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job stress showed a negative causal relationship to job satisfaction, reward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fairness. Also, organizational fairness showed a positive causal relationship with job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no significant causal relationship was confirmed for reward satisfaction with job satisfaction. In particular, with respect to the mediating effect of compensation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fairness,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was confirmed. However, when compensation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fairness mediate in the middle, there was no causal relationship leading to job satisfaction. Also, due to the indirect effect of reward satisfaction, organizational fairness did not show any mediating effect on the path to job satisfaction. Next, job stress showed a negative causal relationship to job satisfaction, achievement need, and organizational fairness. Organizational fairness did not show a significant causal relationship with job satisfaction. Achievement needs showed a very high positive causal relationship with job satisfaction. As a result, the results of the study related to the mediating effect of achievement needs and organizational fairness are as follows.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was confirmed. However, when achievement needs and organizational fairness were input as mediating variables, it was confirmed that only achievement needs played a mediating role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nd there was no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fairness. In other words, it was confirmed through this study that the achievement need has a very strong effect as a mediating factor that lowers job stress and leads to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summary of the major research results so far, the compensation system and organizational fairness of a company do not significantly affect job satisfaction by lowering job stress.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when individual achievement need increased, job stress decreased and job satisfaction increased. Through these research result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loyalty are increased by developing a program to satisfy achievement need to reduce the job stress of flight crew members. As a result, it is expected that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crew human resource management for stable flight operations. 오늘날 국가 간의 무역 증대와 개인 생활수준 향상으로 항공운송산업은 세계적으로 성장 및 발달하고 있다. COVID-19 팬데믹(pandemic) 이전 항공업계는 최고의 호황을 누렸으며, 이러한 영향으로 운항승무원들은 항공법에서 제시하는 한계치에 가까운 비행시간을 근무하였다. 이는 신체적, 정신적으로 과도한 직무스트레스를 유발하였고, 과도한 업무와 노동대비 부족한 임금, 공정하지 못한 조직의 운영은 조직과의 갈등으로 이어졌으며 이는 곧 조직에 대한 충성도의 감소로 이어져, 이러한 조직과 운항승무원의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그동안 이와 관련된 계속된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2019년부터 시작된 COVID-19의 영향으로 항공운송산업은 침체기를 겪게 되었고, 전 세계적인 COVID-19 유행의 전파를 막기 위하여 모든 국가가 셧다운(Shutdown)을 통한 전염병의 차단을 시도하였다. 현재 다양한 COVID-19 백신의 개발과 치료제의 개발로 항공운송산업은 침체기를 벗어나고 있으며 WITH COVID-19의 시간을 지나, 이제는 팬데믹 상황의 종료와 이후(Post-pandemic)를 준비하고 있다. 그러나 팬데믹과 함께하는 시간동안 항공사들의 운항편수가 급속히 감소하며 운항승무원들의 비행근무 시간 역시 함께 급속히 감소하였다. 항공기 운항편수의 감소는 항공사의 파산 및 존립의 위기를 초래하였고, 항공사 근로자에게는 임금의 감소 그리고 업무 여건의 불확실성 같은 새로운 스트레스를 유발하며 팬데믹 이전의 과도한 비행근무로 겪었던 것과는 또 다른 종류의 스트레스를 생성하였다. 결국 운항승무원의 직무스트레스는 비행 근무시간으로 인한 원인뿐만이 아니라 다양한 원인으로 항상 존재를 하며, 근본적인 원인 해결을 통하여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켜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 져야만 한다. 이와 같이, 운항승무원의 직무스트레스에 관련한 문제의식을 토대로, 본 연구는 운항승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성취욕구, 보상만족, 조직공정성을 매개변수로 하여 파악하고,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각 변인에 대한 평균 비교를 통해 집단의 특성에 따른 변인의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목적에 따라 국내 및 국제공항을 운항하는 국내 국적 민간 항공사의 운항승무원 250을 대상으로 설문 응답을 수집하고 IBM SPSS Statistic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만족, 보상만족, 성취욕구, 조직공정성과 유의한 부적 상관이 존재하였다. 직무만족은 보상만족, 성취욕구, 조직공정성에 대하여 유의한 정적 상관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직무만족과 보상만족의 상관관계는 유의하였으나 다른 변인들에 비해 상관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상만족은 성취욕구, 조직공정성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성취욕구는 조직공정성에 대하여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각 변인에 대한 평균 비교를 통해 집단의 특성에 따른 변인의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알아본 결과 보상만족에 대하여 출신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에, 직급에 따라서는 보상만족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기장보다는 부기장이 보상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결혼 여부에 따라 보상만족에 차이가 있는 것이 확인되었는데 기혼보다는 미혼일 경우 보상만족이 더 높았다. 직무스트레스는 출신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직급에 대해서도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혼 여부에 의해서도 직무스트레스의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다. 직무만족 역시 출신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직급과 결혼 여부에 대해서도 직무만족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직무스트레스가 연령대별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에서, 40대와 50대의 직무스트레스 평균차이가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으며 특히 40대가 50대보다 직무스트레스를 더 크게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공사별 직무스트레스에서는 항공사별로 차이가 나타났으며, 대한항공의 직무스트레스와 진에어의 직무스트레스가 비교하여 다소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출신대학별, 연령대별로 직무스트레스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직무만족에 대하여 항공사별, 출신대학별 평균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보상만족에 대해서는 연령대별로 차이를 보였는데 40대와 20대의 보상만족의 차이에서 40대의 보상만족감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항공사별 보상만족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출신대학별로는 보상만족의 차이가 나타났다. 출신대학 중 한서대학교가 일반4년제 대학교보다 보상만족이 더 높은 것이 확인되었다. 성취욕구에 대한 연령대별, 항공사별, 출신대학별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조직공정성에 대하여 연령대별, 항공사별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출신대학별로는 평균차이가 확인되었는데, 특히 한서대학교 출신이 공군사관학교, 한국항공대학교, 일반4년제 대학교, 기타 대학교보다 조직공정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방정식 모형에 의한 매개효과 분석을 통해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만족, 보상만족, 조직공정성에 부적인 인과관계를 보였고, 또한 조직공정성은 직무만족에 대하여 정적인 인과관계를 보였다. 반면에 보상만족은 직무만족에 대하여 유의미한 인과관계가 확인되지 않았다. 특히 보상만족과 조직공정성의 매개효과와 관련하여,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으로 향하는 관계의 인과관계는 확인되었으나 보상만족과 조직공정성이 중간에 매개할 경우 직무만족에 도달하는 인과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보상만족의 간접 영향에 의해 조직공정성 역시 직무만족으로 가는 경로에서 매개효과를 보이지 못했다. 다음으로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만족, 성취욕구, 조직공정성에 부적인 인과관계를 보였고, 조직공정성이 직무만족에 대하여 유의미한 인과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성취욕구는 직무만족에 매우 높은 정적 인과관계를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성취욕구와 조직공정성의 매개효과와 관련하여,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으로 향하는 인과관계는 확인되었으나 성취욕구와 조직공정성이 매개변인으로 투입될 경우, 성취욕구만이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사이에서 중간 매개 역할을 하며 조직공정성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직무스트레스를 낮추어 직무만족에 도달하게 하는 중간 매개요인으로서 성취욕구는 매우 강력한 효과를 지니고 있음이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되었다. 지금까지 주요 연구 결과 요약내용에 따르면, 직무스트레스를 낮추어 직무만족을 높이는 데 항공사의 보상체계 및 조직공정성은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하지만, 개인의 성취욕구가 올라가면 직무스트레스가 낮아지고 직무만족도가 높아지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운항승무원의 직무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한 성취욕구 충족 프로그램의 개발로 직무만족도를 높임으로써, 조직의 충성도를 높임은 물론 안정적인 항공 운항을 위한 승무원 인적자원관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치과감염관리에 관한 환자의 인식도와 만족도에 따른 재이용 의사

        조주희 한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치과의료소비자를 대상으로 치과감염관리의 인식도와 만족도를 알아보고, 인식도와 만족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며, 그에 따른 재이용 의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2020년 10월 1일부터 20일까지 치과에 내원한 경험이 있는 의료소비자 24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문항은 일반적 특성 5문항, 치과 방문 경험에 관한 문항 4문항, 치과감염관리에 관한 인식도 문항 7문항, 만족도 문항 10문항, 재이용 의사 문항 6문항으로 총 32문항으로 구성하였다. SPSS Window Program 21.0 version IBM, United states)을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빈도분석,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치과감염관리 인식도의 현황은 ‘환자를 치료할 때 치과 의료진은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 꼭 필요하다’가 4.70±0.65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만족도의 현황에서는 ‘진료 시 마스크를 사용하였다’가 4.27±0.67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재이용 의사의 현황에서는 ‘다음에 이 병원을 다시 이용하겠다’와 ‘전반적인 서비스 질에 대체로 만족한다’가 3.58±0.91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치과감염관리 인식도는 성별에서는 ‘여성’이 4.06±0.53점, 연령에서는 ‘20대’가 4.10±0.56점, 거주지에서는 ‘특별시, 광역시’에서 3.99±0.63점, 최종학력에서는 ‘대학교졸업이상’이 4.07±0.57점, 직업에서는 ‘전문직 및 기술직’이 4.20±0.55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치과감염관리의 만족도는 연령에서는 ‘20대 이하’가 4.24±0.83점, 최종학력에서는 ‘대학교졸업이상’이 3.90±0.71점, 직업에서는 ‘학생’이 4.16±0.64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치과 방문 경험에 따른 치과감염관리 인식도는 ‘최근 1년간 치과 의료기관을 방문한 적이 없다’가 4.07±0.55점, ‘마지막으로 치과 의료기관을 방문한 이유가 비관헐적 치료일 때’가 3.97±0.59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치과 방문 경험에 따른 만족도에서는 마지막으로 내원한 치과의료기관 형태가 ‘치과병원 및 대학병원’이 4.09±0.67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치과감염관리의 인식도 및 만족도, 재이용 의사 간의 관련성은 인식도와 만족도(r=0.542, p=0.000), 인식도와 재이용 의사(r=0.354, p=0.000), 만족도와 재이용 의사(r=0.489, p=0.000)간에 유의한 양의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과감염관리 인식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은 성별, 연령, 최종학력으로 나타났으며, 이 모형에 대한 수정된 설명력은 16.2%, 치과감염관리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은 연령, 거주지로 나타났으며, 이 모형에 대한 수정된 설명력은 11.4%, 재이용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은 성별, 인식도, 만족도로 나타났으며, 이 모형에 대한 수정된 설명력은 26.5%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 치과감염관리의 인식도와 만족도, 재이용 의사간에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치과의료소비자의 재이용 의사를 높이기 위해서는 인식도와 만족도를 충족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치과의료소비자의 입장에서 치과감염관리에 대한 실태나 인식에 대해 꾸준한 연구가 필요하며, 치과의료진은 치과의료소비자의 인식도와 만족도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dental infection management targeting dental health consumers, to fin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perception and satisfaction, and to find out the impact on the intention to reuse it. From October 1st to 20th, 2020, a survey was conducted of 243 medical consumers with experience visiting dentists.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a total of 32 questions, consisting of 5 general characteristics, 4 questions about dental visitation experience, 7 questions on perception of dental infection management, 10 questions on satisfaction, and 6 questions on intention to reuse. SPSS Window Program 21.0 version IBM, United states) was used to perform statistical analysis, an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by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Got it. As for the status of awareness of dental infection management, the highest point was 4.70±0.65 points of ‘It is absolutely necessary for dental staff to wear a mask when treating patients’. In the status of satisfaction, ’I used a mask at the time of treatment' is the most common with 4.27±0.67 points. In the state of intention to reuse, 'I will use this hospital again next time' and 'I am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quality of service' received the highest score with 3.58±0.91 point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 perception of dental infection management was 4.06±0.53 points for ‘female’ by gender, In terms of age, '20s' is 4.10±0.56 points, In residence, 3.99±0.63 points in 'Seoul Special City, Metropolitan City', In the final academic background, ‘university graduation or higher’ is 4.07±0.57 points, In terms of occupation, 'professional and technical occupation' was the highest with 4.20±055 points. In terms of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dental visit experience, the last type of dental institution visited was the highest at 4.09±0.67 points for 'dental hospitals and university hospital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dental infection management, and the intention to re-use is the relevance between the perception and satisfaction(r=0.542, p=0.000), the perception and intention to reuse(r=0.354, p=0.000), and the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use(r=0.489, p=0.000)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Related factors affecting the degree of awareness of dental infection management were sex, age, and final education, and the revised explanatory power for this model was 16.2%, and related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dental infection management were age and residence The revised explanatory power for this model was 11.4%, and the related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reuse were sex, perception, and satisfaction, and the revised explanatory power for this model was 26.5%. As a result of the above study,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use dental infection management.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intention to reuse dental care consumers, it is necessary to satisfy the level of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To this end, continuous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and perception of dental infection manag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dental medical consumers is required, and dental staff need to grasp the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dental medical consumers.

      • 전문계 고등학교 미용과 학생의 구직역량 분석 연구 : 헤어 미용 분야 실무자와의 인식 차이를 중심으로

        임현민 한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9647

        Career competency is a concept that includes overall competencies such as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required for job preparation. It is a concept that combines the concept of job search for finding a job and the concept of competency required to perform a certain task. Today's companies use the so-called specifications as the basis for recruitment, and job seekers spend most of their school days preparing the necessary competencies for employment. The hair beauty department of vocational high school also educates the basic practical knowledge and skills of the beauty job required in the field, and in addition to knowledge and skills, it is focusing on character education for attitude and adaptation required by the industry. However, many vocational high school cosmetologists still have difficulties finding employment, and schools play an important role in helping them find employment. In particular, when education in schools and the competencies required by industry are heterogeneous, time and cost of re-education are incurred even after hiring. Therefore, based on these problems,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career competency recognized by cosmetology students in vocational high school and the competency required by beauty-related industries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career competency required for successful employment, it is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help in career guidance for cosmetology students in vocational high school.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by distributing online and offline questionnaires for about one month from March 15, 2021 to April 15, 2021 by selecting students from the hair beauty department of vocational high school and hairdressing practitioners as research subjects. The data finally collected were 303 cosmetology students in vocational high school and 305 hair and beauty practitioners, which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Using the SPSS 21.0 program,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 way ANOVA, paired sample t-test, and IPA analysis were performed.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erception of career competency of cosmetology students in vocational high school, attitude wa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competency, and the importance of skill was analyzed as the relatively low competency. Also,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importance of knowledge competency according to gender. In terms of achievement, attitude was the highest and skill was perceived the lowest.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differences in achievement according to gender, region, and grad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importance and achievement, the difference in foreign language ability was the highest and the difference in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the lowest.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erception of career capabilities of practitioners in the hair and beauty field, attitude wa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competency, and knowledge was analyzed as the relatively least important competency.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as a difference in importance according to age, educational background, career, position, and type of hairdressing salon. In terms of achievement, adaptation was the highest and knowledge was perceived as the lowest.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differences were recognized according to age, educational background, career, region, and type of hairdressing sal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importance and achievement, it was analyzed that the difference in foreign language ability was the highest and the difference in writing resume and self-introduction was the lowest.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career competency between cosmetology students at vocational high schools and hair and beauty practitioners, vocational high school cosmetology students perceived the importance of knowledge relatively high and showed high achievement in attitude. It was found that the practitioners in the field of hair and beauty had relatively high achievement in skill. Fourth, as a result of IPA analysis on the perception of career competencies of cosmetology students in vocational high scholl and hairdressing practitioners , in the case of vocational high school cosmetology students, the competencies that need to be maintained and strengthened are self-understanding ability, ability to understand the field of employment, general knowledge, positive work attitude, challenge spirit, work ethic, field job performance ability, teamwork, problem solving ability, self-management and development ability were shown.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derived as a competency that showed high satisfaction compared to low importance. The items with low importance and satisfaction were analyzed as foreign language ability, decision-making ability, information search ability, human network usage ability, resume and self-introduction ability, global mind, and computer usage ability. Competencies that showed low achievement compared to high importance were analyzed as grades and certifications, and presentation ability during interviews. In the case of hair and beauty practitioners, the competencies with high importance and achievement are self-understanding ability, employment field understanding ability, decision-making ability, interview ability, positive work attitude, challenging spirit, professional ethic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field job performance ability, teamwork, problem-solving ability, self-management and development ability. Competencies that showed high achievement compared to low importance were information search ability, resume and self-introduction ability. Competencies that showed low importance and achievement were credits and certificates, foreign language skills, general knowledge, human network utilization, global mind, and computer utilization. It was analyzed that there were no items with high importance but low achievement.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priorities of cosmetology students' career competency, and according to the priorities of competencies required in the current job, intensive employment education is conducted at vocational high schools to strengthen the cosmetology students' career ability, and based on this, it will be needed to guide them to help them find a job in the beauty field. 구직역량은 취업 준비를 위해 요구되어지는 지식, 기술, 태도 등의 총체적인 능력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직업을 구하는 구직의 개념과 어떠한 과업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역량의 개념이 결합된 개념으로 직장을 구하고 그곳에서 적응하기 위해 구직자가 갖추어야 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오늘날 기업체에서는 소위 스펙이라는 지원자가 갖추어야 하는 역량을 채용의 기준으로 삼고 있으며 구직자들은 학교생활의 대부분을 취업에 필요한 역량을 준비하며 보내고 있는 실정이다. 전문계 고등학교 미용과 역시 현장에서 요구하는 미용 직무의 기본 실무지식과 기술을 교육하고 있으며 지식, 기술 이외에도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태도 및 적응을 위한 인성교육에 힘을 쏟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많은 전문계 고등학교 미용 전공자들은 취업에 대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학교는 이들의 취업지도를 돕기 위한 중대한 역할을 감당하고 있다. 특히 학교의 교육과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역량이 이질적인 경우, 채용 후에도 재교육이라는 시간과 비용이 발생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에 기반하여 전문계 고등학교 미용과 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구직역량과 미용 관련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역량을 비교 분석하여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성공적인 취업을 위해 요구되어지는 구직역량을 분석하여 전문계 고등학교 미용과 학생들의 진로지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문계 고등학교 미용과 학생과 헤어 미용 분야 실무자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2021년 3월 15일부터 4월 15일까지 약 한 달간 온라인과 오프라인 설문지를 배포하여 데이터 수집을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수집된 데이터는 전문계 고등학교 미용과 학생 303부, 헤어 미용 분야 실무자 305부이며 이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SPS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분석, 독립표본 t-test 및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 대응표본 t-test 및 IPA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계 고등학교 미용과 학생의 구직역량 인식을 분석한 결과, 태도가 가장 중요한 역량으로 나타났으며 기술의 중요도가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역량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일반적 특성에 따라서는 성별에 따라 지식 역량의 중요도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성취도에 있어서도 태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술이 가장 낮게 인식되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라서는 성별, 지역, 성적에 따라 성취도의 차이가 나타났다. 중요도와 성취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외국어 능력에 대한 차이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조직몰입에 대한 차이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헤어 미용 분야 실무자의 구직역량 인식을 분석한 결과, 태도가 가장 중요한 역량으로 나타났으며 지식의 중요도가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역량으로 분석되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라서는 연령, 학력, 경력, 직급, 미용실 형태에 따라 중요도의 차이가 나타났다. 성취도에 있어서는 적응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지식이 가장 낮게 인식되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라서는 연령, 학력, 경력, 지역, 미용실 형태에 따라 차이가 인식되었다. 중요도와 성취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외국어 능력에 대한 차이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력서 및 자기소개서 작성에 대한 차이가 가장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전문계고 미용과 학생과 헤어 미용 분야 실무자의 구직역량 인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전문계고 미용과 학생들은 상대적으로 지식에 대한 중요도를 높게 인식하였으며 태도에 대한 성취도가 높게 나타났다. 헤어 미용 분야 실무자는 상대적으로 기술에 대한 성취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문계고 미용과 학생과 헤어 미용 분야 실무자의 구직역량 인식에 대한 IPA 분석 결과, 전문계고 미용과 학생의 경우, 유지강화가 필요한 역량은 자기 이해능력, 취업 분야 이해능력, 일반상식, 긍정적인 업무태도, 도전정신, 직업윤리, 현장직무 수행능력, 팀워크, 문제해결 능력, 자기관리 및 개발 능력으로 나타났다. 낮은 중요도에 비해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는 역량으로는 조직몰입이 도출되었다. 중요도와 만족도가 모두 낮게 나타난 항목으로는 외국어 능력, 의사결정 능력, 정보탐색능력, 인적 네트워크 활용능력, 이력서 및 자기소개서 작성능력, 글로벌 마인드, 컴퓨터 활용능력으로 분석되었다. 높은 중요도에 비해 성취도가 낮게 나타난 역량으로는 학점 및 자격증, 면접 시 발표능력으로 분석되었다. 헤어 미용 분야 실무자의 경우, 중요도와 성취도가 모두 높은 역량은 자기 이해 능력, 취업 분야 이해능력, 의사결정 능력, 면접 시 발표능력, 긍정적인 업무태도, 도전정신, 직업윤리, 조직몰입, 현장직무 수행능력, 팀워크, 문제해결 능력, 자기관리 및 개발 능력으로 분석되었다. 낮은 중요도에 비해 성취도가 높게 나타난 역량은 정보탐색능력, 이력서 및 자기소개서 작성능력으로 나타났다. 중요도와 성취도가 모두 낮게 나타난 역량은 학점 및 자격증, 외국어 능력, 일반상식, 인적 네트워크 활용능력, 글로벌 마인드, 컴퓨터 활용능력으로 나타났다. 중요도가 높으나 성취도가 낮은 항목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미용과 학생의 구직역량 우선순위를 결정할 필요가 있으며 현직에서 요구되는 역량의 우선순위에 따라 전문계 고등학교에서 집중적으로 취업 교육을 실시하여 미용과 학생의 구직역량을 강화하고 이를 토대로 성공적인 미용 분야로의 구직활동을 도울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할 것이다.

      • 치면착색제의 자가 사용이 구강 관리에 미치는 효과

        이은영 한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국내 거주하는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치면착색제를 배부하여 자가구강관리에 직접 적용하도록 하는 방법의 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한 비동등 통제집단 사전·사후 측정실험이다. 연구도구는 올리어리(O’Leary) 지수, 구강환경관리능력 지수(Personal Hygiene Performance (PHP) index), 구강보건행동 실천의지 및 구강관리만족도를 사용하였다. 2016년 9월 12일부터 10월 15일까지 3주 동안 한서대학교 교내의 건물마다 1층 게시판 공고문을 게시하여 국내 거주하는 20대~50대의 성인을 대상으로 공고를 내었다. G*Power 3.1.9.2 ver으로 산출한 Total sample size는 16명으로 산출되어 집단이탈률을 고려하여 총 20명을 연구대상으로 모집하여 치면착색지수와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조사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Ver 22.0을 사용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고려사항으로 공용기관생명윤리위원회에서 심의를 받았다(IRB No. P01-201608-11-001). 1. 구강보건행동 실천의지는 교육 후 점수가 향상되었으며 유의하였다. 23세 미만보다 24세 이상이 점수 향상 폭이 크게 나타났으며(집단 : p<0.001, 시점 : p=0.017), 여자보다 남자가 점수 향상 폭이 컸다(집단 : p<0.001, 시점 : p=0.015). 2. 구강관리만족도에서 이해도에서는 치면착색제만 교육한 집단이 가장 높았으나 전체적으로는 치면착색제와 회전법을 교육한 집단이 가장 점수가 높았고, 회전법만 교육한 집단, 치면착색제만 교육한 집단 순으로 나타났지만 유의하지 않았다. 3. O’Leary index는 사전조사부터 교육 후 3주 동안 집단(p<0.01)과 시간(p<0.01)에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치면착색제만 교육한 집단이 점수 감소폭이 가장 컸고, 치면착색제와 회전법을 교육한 집단, 회전법만 교육한 집단, 대조군 순으로 나타났다. 4. PHP index는 사전조사부터 교육 후 3주 동안 집단(p<0.01)과 시간(p<0.01), 집단*시간(p=0.039)에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치면착색제와 회전법을 교육한 집단이 점수 감소폭이 가장 컸고, 치면착색제만 교육한 집단, 회전법만 교육한 집단, 대조군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치면착색제의 자가 사용이 자가구강관리에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치면착색제의 자가 사용이 구강환경개선을 위한 효과적인 자가구강관리 방법으로 제안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This study i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measurement experiment in order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the method of distributing dental plaque disclosing to healthy adults living in South Korea and making them apply it to self oral care themselves. As research tools, O’Leary index, PHP (Personal Hygiene Performance) index, oral health behavior intention and oral care satisfaction were used. A notice was posted on the bulletin board on the first floor of each building on the campus of Hanseo University for three weeks from September 12 through October 15, 2016 to recruit adults in their 20s to 50s living in South Korea. The total sample size, calculated with G*Power Ver. 3.1.9.2 was 16 persons, and considering collective dropout rates, 20 persons in total were recruited as research subjects to carry out plaque index and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For data analysis, SPSS Ver 22.0 was used, and considerations for the research subjects were approved by the IRB (IRB No. P01-201608-11-001). 1. The score of oral health behavior intention was improved after the education, which was significant. The width of the score improvement was greater in persons aged over 24 than those aged under 23 (group : p<0.001, time : p=0.017), and the width of the score improvement was greater in men than in women (group : p<0.001, time : p=0.015). 2. In oral care satisfaction, the understanding was the highest in the group that had the education of dental plaque disclosing only, but overall, the score was the highest in the group that had the education of dental plaque disclosing and rolling method, followed by the group that had the education of rolling method only and the group that had the education of dental plaque disclosing only, but the result was not significant. 3. O’Leary index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group and time for three weeks after education from the preliminary investigation, and the width of the decrease was the greatest in the score of the group that had the education of dental plaque disclosing only, followed by the group that had the education of dental plaque disclosing and rolling method, the group that had the education of rolling method only and the control group. It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group (p<0.01) and time (p<0.01). 4. PHP index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group and time, and the group*time for three weeks after education from the preliminary investigation, and the width of the decrease was the greatest in the score of the group that had the education of dental plaque disclosing and rolling method, followed by the group that had the education of dental plaque disclosing only, the group that had the education of rolling method only and the control group. It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group (p<0.01) and time (p<0.01), the group*time (p=0.039). Based on the above findings, it turned out that the direct use of dental plaque disclosing had a great effect on self oral care. From the these results, for oral environment improvement, it is suggested that self application of dental plaque disclosing should be an effective self oral care method.

      • 치과위생사가 근무지에서 경험하는 무례함과 이직의도의 관련성

        손지량 한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31

        This research is a correlation cross-section study between dental hygienists' exposure to rudeness from doctors, bosses, colleagues, patients and their family and visitors, and their turnover intention. The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Nursing incivility Scale (NIS) by Guidroz, Burnfield, Clark, Schwetschenau & Jex (2007) and formulated survey designed by tools utilized in Kang Ok-hee's research (2004,) modified and supplemented from original tools by Seo Yung-jun (1995.) Between the period of September 10th and 20th, 2015, ten dental clinics and offices each from Seoul, Incheon, Gyeongi-do, and Chungcheog-do were were conveniently sampled by acquaintance, and 250 dental hygienists from the sampled clinics and offices were investigated by self-report, in according to Kline's method that minimum of twentyfold of observed variables suffice the total observed targets. The information analysis was conducted by SPSS 21.0, and as the researcher's consideration, the analysis was discussed by 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No. : P01-201508-23-001.) 1. The average exposure of dental hygienists to workplace rudeness rated 2.38. By sub-factor, patients and visitors scored the highest of 2.62, followed by doctors (2.52) and colleagues (2.06.) The average turnover intentioned rated 2.80. 2. By workplace type, the general exposure of dental hygienists to rudeness scored 2.46 in dentist's office, which is notable in that it is higher than dental clinic's 2.21 (P=0.004.) 3. The general exposure of dental hygienists to colleagues' rudeness scored 2.15 in dentist's office, which is notable in that it is higher than dental clinic's 1.87 (P=0.003.) 4. The general exposure of dental hygienists to doctors' rudeness scored 2.65 in dentist's office, which is notable in that it is higher than dental clinic's 2.25 (P=0.001.) 5. The general turnover intention of dental hygienists scored 2.86 in dentist's office, which is notable in that it is higher than dental clinic's 2.69 (P=0.029.) 6. The dental hygienists' exposure to rudeness and turnover intention showed correlation (P<0.01,) and its sub-factors, including the rudeness from colleagues, doctors, patients and visitors, also showed correlative to turnover intention (P<0.01). 7. The influential factor to dental hygienists' turnover intention showed highest in rudeness from doctors (β=0.279, P<0.001,) followed by colleagues (=0.168, P<0.029) and patients and visitors (β=0.148, P<0.026.) The modified explanation ability of this model is 24.9%. In conclusion, the dental hygienists' exposure in workplace highly correlates to turnover intention. A plan to educate positive mental attitude, communication skill to deal with rudeness, and stress reduction method to dental hygienists is therefore required in order to reduce their turnover intention.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들이 근무지에서 의사, 상사, 직장 동료, 환자 및 그 가족 또는 방문자 등에게서 겪는 무례함과 이직의도의 정도를 알아보고 상호 관련성이 있는지 파악하기 위한 상관성 횡단면조사연구이다. 2015년 9월 10일부터 10월 20일까지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충청도 4개 지역별로 치과병·의원 10곳씩 선정하여 직접방문에 의한 자가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선정된 치과병·의원에서 측정변수의 최소 20배면 만족한다는 Kline(2005)의 방법에 근거하여 약 260명을 선정하였고 최종 240부를 분석하였다. 무례함은 Guidroz, Burnfield, Clark, Schwetschenau, & Jex(2007)가 개발한 Nursing Incivility Scale (NIS)를 이용하였고, 이직의도는 서영준(1995)과 강옥희(2004)의 연구에서 사용하였던 도구를 이용하였다. 무례함과 이직의도는 신뢰도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타당성 검증을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1.0을 사용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고려사항으로 공용생명윤리위원회에서 심의를 받아 진행하였다(IRB No : P01-201508-23-001). 1. 치과위생사가 근무지에서 경험하는 무례함은 최고점수 5점 만점에서 평균이 2.38점으로 나타났고, 무례함의 하위요인 중 환자 및 방문자의 무례함이 2.62점으로 가장 높았다. 그 다음으로 의사의 무례함이 2.52점으로 높았고 직원들 간의 무례함이 2.06점으로 가장 낮았다. 이직의도는 최고점수 5점 만점에서 2.80점으로 나타났다. 2. 치과위생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무례함에서 병원 형태로는 치과의원이 2.46점으로 치과병원 2.21점보다 높아 유의하였다(P=0.004). 3. 치과위생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무례함 중 하위 요인인 직원들 간의 무례함은 병원형태에 따라 치과의원이 2.15점으로 치과병원 1.87점 보다 높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3). 4. 치과위생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무례함 중 하위 요인인 의사의 무례함은 병원형태에 따라 치과의원은 2.65점으로, 치과병원 2.25점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5. 치과위생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이직의도는 병원형태에 따라 치과의원 2.86점, 치과병원 2.69점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29). 6. 치과위생사가 근무지에서 경험하는 무례함은 이직의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P<0.01), 무례함의 하위 요인인 직원들 간의 무례함, 의사의 무례함, 환자 및 방문자 등의 무례함 또한 이직의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7. 치과위생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회귀분석결과, 의사의 무례함(β=0.279, P<0.001), 직원들 간의 무례함(β=0.168, P=0.029), 환자 및 방문자의 무례함(β=0.148, P=0.026) 순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이 모형의 수정된 설명력은 24.9%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치과위생사들이 근무지에서 경험하는 무례함은 이직의도와 관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치과위생사의 이직률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긍정적인 마음가짐과 무례에 대처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스킬을 기르고, 직무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중재전략을 개발하여 치과위생사 교육프로그램에 활용해야 한다고 제시된다.

      • A Comparative Study of College English Education between China Korea : Huangshan University and Hanseo University = 중한 지방 대학교 영어 교육 비교 연구 : 황산대학과 한서대학을 중심으로

        홍연 한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31

        중국이 세계 무역 기구에 가입 함으로서 경제, 문화의 국제화, 그리고 국제간의 거래가 갈수록 빈번해져 가고 있다. 이에 발 맞추어 전문적인 지식도 갖추고 있으며, 유창한 영어구사능력을 갖춘 대학생들이 사회의 인기를 갈수록 많이 받고 있다. 하지만 이와 동시에 전 세계에 금융위기가 발발하여 대학생들은 거대한 취업 압력에 직면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고등교육 또한 거대한 도전을 받고 있으며, 대학교 영어교육 역시 이와 같은 상황에 놓여있다. 이런 현실적인 시점에서 우리는 선진국들의 훌륭한 교육과정을 토대로 우리의 교육실정에 맞는 교육과정을 좀 더 세심하게 고려해야 할 것이다. 한국은 우리의 이웃 나라로써 문화배경은 우리나라와 아주 큰 연원이 있어 우선먼저 참고로 할 대상이다. 그러므로 양국 대학교 영어 교육의 발전 과정으로부터 출발하여 중•한 양국 두 나라 대학교 영어교육 현황을 비교, 연구하였다. 두 대학의 연구를 통하여 우수한 점과 우수하지 않은 점을 알게 되었으며, 또한 우리나라 대학 영어교육에 필요한 연구를 제언하며, 효율적인 영어지도방법에 대한 의미를 부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은 4가지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첫째, 본 연구의 서론 부분으로써 본 연구의 배경을 분석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효과적으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한국과 중국의 두 대학을 선정하였다. 둘째, 이론부분으로써 주요하게 중•한 대학교 영어 교육 현황을 설명하였고 아울러 영어전공 학생들의 영어학습에 대한 태도를 고찰하였다. 셋째, 본 논문의 중점 부분으로써 비교를 통해 중•한 지방 대학교의 영어 교육에 치중하여 분석하였고 학점, 방법, 내용, 교실교수품질 등 4가지 방면으로부터 분석, 설명하였으며 아울러 필자의 견해와 제안을 두었다. 또한 비교, 분석한 것에서 유익한 점들은 우리나라 대학 영어교육의 연구에 기여할 수 있으며, 본 연구의 주요 결론을 정리하였다. With the entry to WTO and the internationalization in economy and literature, the increasing international communication makes the students with both professional knowledge and good English communication ability more and more popular. Meanwhile, owing to the global financial crisis, the university students bear heavy pressure of employment, and our higher education, as well as university English education, is facing huge challenge. Under such condition, we should learn from the advanced experience from the countries with developed education. Korea, our neighboring country with various connects in cultural background, is our first choice to learn from. Therefore, it’s of high significance to push our country’s research and guide our university English education under the way of comparative study on the currency of Sino-Korea university English education to seek out the own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from the point of the development of Sino-Korea university English education. The study of this paper includes mainly four parts. The introduction, as the first part, mainly analyzes this paper’s research background, purpose, research range and methods. The second is theory part, mainly describing the currency of Sino-Korea university English education and investigating the students’ attitude to English learning. The third, key part of this paper, analyzes the English education in Sino-Korea local universities by comparison of credits, methods, contents and class teaching quality, and proposes the writer’s views and suggestions.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we can get some helpful inspirations and find out the points worth learning. The last is the brief conclusion.

      • 3세 이하 영유아의 국가예방접종에 관한 연구

        김정희 한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9631

        The subjects for the National Immunization Program for Children are all children less than the age of 12, those who are born after 1st January 2002. The supported contents are full support for immunization fee for the supported vaccine, and subject vaccines for 2015 free immunization are 14 types, all of which are immunizations recommended by the government. Through Acts on prevention and appropriate management for infectious diseases, the immunization practice and methods will be settled, and these standards will be followed by the people and the healthcare provider. The objectives in this study is to improve perceptions of the guardians for an enhancement in immunization rate, and to reflect demands on National immunization programs or its enhancement and furthermore, to contribute to policy development. The research data was taken from a healthcare center in c-province, collecting information of a total of 20,589 under-3 children who were immunized and registered in the data. In T Administrative district, 360 guardians from 25 kindergartens with children under-3 (born from 1st Jan 2012 to 31st Dec) were conveniently sampled and they were all given survey papers certified by a Institutional Review Board and Research Ethics, a bioethics committee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SPSS win 22.0 program. In the c-province's birth month variations of children under the age of 3, January was the highest and December was the lowest. In gender variations, male were higher than females by 2.6%. The highest male birth rate was in J-city, and the lowest, N town. The highest female birth rate was in J-city, and the lowest, N town. The non-immunized children among the under-3 children in c-province were 8.8%, and the non-immunization status according to vaccines displayed, BCG and hepatitis B in M district, DTaP, IPV, DTaP-IPV, MMR. Pox in J- city, Hib and PVC in E city. Japanese encephalitis was the highest, and in all vaccines, G-District was the lowest. The non-immunization status of children under-3 in c-province was the highest in E-City and H-city was the lowest. It was ranked as the 13th place among 17 administrative districts and perfect immunization rate was 82.7%, which was 3.6% lower than the national average. The general perception of national immunization program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were higher in male guardians and statisticall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p=0.004). The perceptions were higher in those aged more than the 50s than the 20s, which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p=0.002). In relationship with children, perceptions of grandmothers were higher than fathers which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p<0.001). In the field educational level, the perceptions of guardians who graduated from middle school were higher than the graduates of high school and universities, which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p<0.001). According to the occupations of the guardians, the perceptions of those working in the fishing industry were higher than those working in the agricultural industry, which statisticall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p<0.001). The general demands for national immunization program of the guardians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were higher in guardians more than the age of 50, than those in their 30s. Thi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001). In relational person to the children, perceptions of grandmothers were higher than fathers which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001). As occupations of the guardians, demands of those working in the fishing industry were the highest, than office workers, which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001). The satisfaction rate of National Immunization Healthcare organization were higher in male guardians, which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14). In relation person to the children, the satisfaction rate of grandmothers were high, which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01). In educational levels, the satisfaction rate of guardians who graduated from middle school were higher than those who graduated from high school and university, which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p=0.018). In the occupations of the guardians, the satisfaction rate of guardians working in the fishing industry was the highest, than housewives or the guardians who work in the agricultural industry, which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p=0.021). Satisfaction rate on trusted healthcare center by the National Immunization program were higher in grandmothers related to children, which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p=0.002). The basic immunization processes that should be done before the age of 3 through National Immunization Program should be regarded importantly needed by the guardians of children under 3. By immunizing the children, they are protected from infectious diseases and they can grow as a healthy child. The high perceptions and satisfaction rate of the guardians of children under the age of 3 should be reflected and thus the National Immunization Program should be expanded, fully subsidized. The number of institutes that carry on the immunization should be increased and the trusted medical care institutions should be induced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program, to deliver correct information on the national immunization program, so that the range of immunization can be expanded. Through immunization, the infectious diseases within the administrative districts can be prevented and this can be used as reference to enhance the National Immunization program and to provide policies for immunization. 어린이 국가예방접종 지원 사업 대상은 만 12세 이하 모든 어린이로 2002년 1월 1일 이후 출생자이다. 지원내용은 국가예방접종 지원백신의 예방접종비용 전액 지원이며, 2015년 무료접종 대상 지원 백신은 14종으로 국가가 권장하는 예방접종으로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을 통해 예방접종 대상 감염병과 예방접종의 실시기준 및 방법을 정하고, 국민과 의료제공자에게 이를 준수토록 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예방접종률 향상을 위한 보호자의 인식제고와 요구도의 반영을 통한 국가예방접종사업의 개선방안과 나아가 정책발전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 연구는 C도의 보건소에서 예방접종을 실시한 만 3세 이하 영유아 총 20,589명으로 자료 수집은 보건소에서 예방접종을 실시하고 예방접종 등록 시 입력된 예방접종 현황을 파악하였다. 행정구역 T군의 만 3세 이하 영유아(2012년 1월 1일 ~ 12월 31일 출생아)가 등원하는 어린이집 25곳으로 보호자 대상자 수 360명을 편의표집하여 보건복지부 지정 공용기관 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C도의 만 3세 이하 영유아의 출생월별 현황에서 1월이 가장 높고, 12월이 가장 낮았고, 성별 현황은 남아가 여아보다 2.6%가 더 높았으며, 남아 출생아가 가장 높은 지역은 J시이고 가장 낮은 지역은 N군이며, 여아 출생이 가장 높은 지역은 J시였고, 가장 낮은 지역은 N군이였다. C도의 만 3세 이하 영유아 총 출생아의 미접종아는 8.8%였고, 백신별 미접종 현황은 M구에서 BCG와 B형 간염, J시에서 DTaP, IPV, DTaP-IPV, MMR. Pox, E시에서 Hib, PVC, 일본뇌염(사백신, 생백신)이 가장 높았고, 모든 백신에서 G군이 가장 낮았다. C도의 만 3세 이하 영유아의 미접종 현황은 E시가 가장 높았고, H시가 가장 낮았다. 행정구역 17개중 13위였으며, 완전접종률은 82.7%로 전국 평균보다 3.6%가 낮았다. 보호자의 일반적 특성별 국가예방접종 인식도는 남자 보호자가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4). 연령별로는 20대 보다 50대 이상에서 인식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2). 자녀와의 관계에서는 할머니의 인식도가 아버지보다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교육정도는 중졸 보호자의 인식도가 고졸, 대졸의 보호자보다 높게 나타나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보호자의 직업에서 농업보다 어업종사자의 인식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보호자의 일반적 특성별 국가예방접종 요구도는 50대 이상의 요구도가 30대의 보호자보다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자녀와의 관계에서 할머니의 요구도가 아버지보다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보호자의 직업으로 회사원보다 어업종사자의 요구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국가예방접종 보건기관에 대한 만족도는 남자 보호자가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4). 자녀와의 관계에서 할머니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교육정도는 중졸 보호자의 만족도가 고졸, 대졸의 보호자보다 높게 나타나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8). 보호자의 직업에서 주부, 농업보다 어업종사자의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나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21). 국가예방접종 위탁의료기관에 대한 만족도는 자녀와의 관계인 할머니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2). 국가예방접종사업을 통하여 만 3세 이전에 완료하여야 하는 기본예방접종들로 만3세 이하 영유아의 보호자들은 국가예방접종의 필요성을 인식하여야 하고, 예방접종을 실시함으로서 영유아의 감염병은 예방되며, 건강한 어린이로 성장하는 것을 인식하여야 한다. 만 3세 이하 영유아 보호자들의 높은 인식도와 요구도 및 만족도를 반영하여 전액 지원으로 국가예방접종사업을 확대 실시하여야 하며, 예방접종을 실시하는 기관의 수를 증원하고, 위탁의료기관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여 국가예방접종에 대한 올바른 정보 전달을 통해 국가예방접종 범위의 전면 확대 실시하여야 한다. 예방접종을 통해 행정구역 내 감염병을 예방하고, 국가예방접종사업의 개선과 해결방안과 예방접종의 정책을 마련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노인의 가족지지활동, 삶의 만족도, 사회참여간의 관계 : 경제활동의 조절된 매개효과

        정연우 한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structural relations of productive activities of old age, and also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productive activities on life satisfaction, targeting the elderly in their 60 or up who can use the senior welfare center. The concret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how is the level of productive activities(family support activity, social participation, economic activity)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Second, are there differences in productive activities(family support activity, social participation, economic activity)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Third, are there differences in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Fourth, does the economic activity show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 of family support activity, social participa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n January-February 2022,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the elderly in their 60 or up who were participating in one or more social activity. After excluding the data with many non-responses or data from the elderly who did not perform family support activity, total 301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Using the SPSS Win 24.0 version, this study conducted the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mean difference analysis, cross-tabulation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Using the No.7 model of the SPSS PROCESS MACRO 4.0 version,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s were analyzed. The suggestions could be made as follows by summarizing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First, regarding the level of productive activities of the elderly, the family support activity and social participation activity were pretty low, and about half of the elderly were participating in economic activity. Concretely,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family support activity of the elderly in each object, the provision of support for spouse was the highest, which was followed by children and grandchildren in order. In each type, every subject showed the highest provision of emotional support while the in-kind support among the provision of economic support was the lowest. Regarding the actual status of social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there were relatively many elderly people participating in relation-oriented social activities such as friendship, religion, and hobby/leisure activity while there were relatively less elderly people participating in goal-oriented social activities such as learning activity, volunteer activity, and political/social organization. However, the elderly participating in friendship activity showed the high percentage, but the low frequency while the elderly participating in learning activity showed the low percentage(24.58%), but the frequency of weekly participation similar to religious activity. In other words, it must be because the learning activity and religious activity are activities that should be regularly participated in compared to other social activities. Lastly, in the actual status of economic activity of the elderly, they were participating in average 4.56 times of economic activity per week, and the monthly average income was 1.608 million won. As the reason for working, earning the living expenses was the highest while the satisfaction of work was pretty low(2.27). In other words, most of them were working in weekdays to earn the living expenses; the income was approximately 1.61 million won; and the satisfaction of work was pretty low. Second, when they belonged to a relatively younger group of the 60s, when the education level was high as graduation from university or higher, and when they had a spouse, moderate or higher health and economic status, and great family relationship, they performed lots of family support activity. Also, the elderly with high education level as graduation from university or higher showed high social participation. When they graduated from university or higher and had a spouse, great health status, and great family relationship, the percentage of participating in economic activity was high. Third, when they graduated from university or higher, had a spouse, great health & economic status, great family relationship, and lived in urban area, the life satisfaction was high. Fourth, the moderating effects of economic activity on the relation between family support activity and social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were significant only when they did not perform economic activity. Also, the economic activity showed the significant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 of family support activity, social participa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Such moderated mediating effects were significant only when they did not perform economic activity. Only in the elderly without economic activity, when the family support activity was higher, the social participation was increased, and the increased social participation raised their life satisfaction. This study revealed the structural relations of family support activity, social participation, and economic activity by expanding the productive activity to economic activity, family support activity, and social participation after getting out of the existing methods only focusing on economic activity as productivity or productive activity of the elderly. Also,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e aspect of presenting the measures for improving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ho perform and do not perform economic activity, by revealing that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economic activity on the relations of family support activity, social participa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are significant only when they do not perform economic activity. Nevertheless, the research subjects were selected in Chungnam region through the purposive sampling method, so it is limited to generalize the results in the nation-wide level. Thus,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to raise the generalizability of research through the nation-wide sampling in further researches. 본 연구에서는 노인복지관 이용가능 연령인 만 6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하여, 노년기 생산적 활동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고, 생산적 활동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로는 첫째, 노인의 생산적 활동(가족지지활동, 사회참여, 경제활동)과 삶의 만족도 수준은 어떠한가? 둘째, 노인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생산적 활동(가족지지활동, 사회참여, 경제활동)에는 차이가 있는가? 셋째, 노인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삶의 만족도에는 차이가 있는가? 넷째, 노인의 가족지지활동, 사회참여,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경제활동은 조절된 매개 효과를 가지는가? 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만 60세 이상의 노인이면서 사회활동에의 참여를 1가지 이상 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하여, 2022년 1월과 2월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조사된 설문지 중 무응답이 많거나 가족지지활동을 하지 않는 노인의 데이터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301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SPSS Win 24.0 version을 사용하여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빈도분석, 평균 차이 분석, 교차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고, SPSS PROCESS MACRO 4.0 version의 7번 모델을 이용하여 조절된 매개 효과 분석을 하였다. 주요결과를 중심으로 요약하면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생산적 활동 수준을 보면 가족지지활동과 사회참여 활동은 낮은 편이고, 절반 정도의 노인이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노인의 가족지지활동을 대상별로 분석해 보면, 배우자에 대한 지지 제공이 가장 높았고, 자녀, 그리고 손자녀 순이었다. 유형별로는 모든 대상에서 정서적 지지 제공이 가장 높았고, 반면 경제적 지원 제공 중 현물 지원이 가장 낮았다. 노인의 사회참여실태를 보면, 친목, 종교, 취미여가 활동 등 관계 지향적인 사회활동에 참여하는 노인은 상대적으로 높지만, 학습활동, 자원봉사활동, 정치사회단체 등 목적 지향적인 사회활동에 참여하는 노인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그런데, 친목 활동에 참여하는 노인의 비율은 높으나 빈도는 높지 않았지만, 학습활동에 참여하는 노인은 24.58%로 낮은 편이나 주당 참여 빈도는 종교활동과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습활동과 종교활동은 다른 사회활동에 비해 규칙적으로 참여하는 활동이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마지막으로 노인의 경제활동 실태를 보면, 주 평균 4.56회 경제활동을 하고 있으며, 월평균 소득은 160.80만원이었다. 일을 하는 이유로는 생계비 마련이 가장 높았고, 일에 대한 만족감은 2.27점으로 낮은 수준이었다. 즉 생계비를 마련하기 위해 주중에 대체로 일을 하고 있으며 여기서의 소득은 대략 161만원 선으로 일에 대한 만족감은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60대의 상대적으로 젊은 층에 속하는 경우, 대졸 이상의 교육수준이 높은 경우, 배우자가 있고, 건강 상태와 경제 상태가 보통 이상으로 좋고, 가족관계가 좋은 경우 가족지지활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졸 이상으로 교육수준이 높은 노인이 사회참여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졸 이상이고 배우자가 있으며, 건강 상태가 좋고, 가족관계가 높은 경우 경제활동을 하는 비율이 높았다. 셋째, 대졸 이상의 교육수준이 높은 경우, 배우자가 있고, 건강 상태, 경제 상태 및 가족관계가 좋은 경우, 그리고 도시 지역에 사는 노인의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노인의 가족지지활동과 사회참여 간의 관계에서의 경제활동 여부의 조절 효과는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경우에만 유의하였다. 또한, 노인의 가족지지활동, 사회참여,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경제활동 여부의 조절된 매개 효과가 유의하였는데, 이러한 조절된 매개 효과도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경우에만 유의하였다.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노인의 경우에만, 가족 지지 활동이 높을수록 사회참여가 증가하고, 증가된 사회참여가 삶의 만족도를 높였다.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노인의 생산성 혹은 생산적 활동을 경제적 활동에만 초점을 두었던 점에서 벗어나 생산적 활동을 경제활동만이 아니라 가족지지활동, 사회참여까지 확장시켜, 가족지지활동, 사회참여, 경제활동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혔다. 또한, 노인의 가족지지활동, 사회참여,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경제활동 여부의 조절된 매개 효과가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경우에만 유의함을 밝힘으로써, 경제활동을 하는 노인과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그럼에도 연구의 대상이 충남지역을 중심으로 유의 표집 함으로써 연구의 결과를 전국 단위로 일반화 하는데 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향후 연구에서는 전국 단위의 표집을 통한 연구의 일반화 가능성을 높일 필요가 있음을 제안한다.

      • 피부관리(얼굴축소)시 사용되는 화장품 중심으로 본 위해성과 선호도 연구

        이안나 한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31

        시대의 발전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우리의 아름다움은 얼굴에서 몸 전체로 확대되었고 화장품 종류도 다양해졌다. 화장품의 분류는 사용부위, 사용목적, 제품특성, 형상과 기능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한다, 대략적으로 기초화장품과 색조, 부분화장품, 헤어케어, 클렌징화장품, 방향화장품 등으로 분류한다. 기능성 화장품이란 구체적 효능·효과가 강조된 의약품 성격과 피부에 대한 안전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얼굴 피부 관리는 우리 자신의 얼굴이 크고 잘생기지 못했다고 생각하는데서 시작한다. 큰 얼굴이라고 해서 다 똑같은 상태가 아니다 여러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각자의 유형에 맞는 관리를 받아야 작고 아름다운 얼굴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얼굴을 다시 조명하고, 얼굴의 다양성을 알아보고 그를 위해 사용하는 제품의 안전성과 역할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대중적으로 피부관리실에서 많이 사용하는 제품을 실험분석 했으며, 중금속류 분석에 사용된 실험장비는 화장품 안전기준에 입각한 Pb, Cd, As, Sb, Ni는 ICP-MS Nexion2000(Perkinelmer), Hg는 자동수은 분석기 DMA-80(마일스톤), 화장품 안전기준 외 원소는 ICP-OES 5300DV PerkinElmer와 Microwave MARS6 CEM로 검사하고 그 외의 실험장비는 일반적인 분석기기를 사용해서 분석했다. 분석과정을 통해 국내 화장품 사용 기준에 만족 여부를 알아보고 안전성 강화를 위해 국내 화장품 사용 기준 외의 다른 중금속류도 검사하여 안전성 여부를 비교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