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근현대 불교와 유학의 논쟁 - 印順과 熊十力 의 논쟁을 중심으로

        김제란 한국선학회 2009 한국선학 Vol.23 No.-

        이 글에서는 중국 근현대철학에서 각각 불교와 유학을 대표하는 인순과 웅십력 사이에 오간 논쟁을 살펴봄으로써, 불교와 유학, 유식 불교와 중관 불교의 근본적인 입장 차이를 따져보고자 하였다. 그를 통해 중국근현대 철학에서 불교와 유학, 유식 불교와 중관 불교의 공존 가능성을 모색해보았다. 인순과 웅십력 사이의 논쟁은 다음과 같은 주제들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첫째, 불교와 형이상학에 관한 논쟁이다. 인순은 웅십력 철학이 형이상학일 뿐 불교라고 보기에 타당하지 않다고 비판하였다. 인순은 ‘연기공’만을 인정하여 본체의 존재를 부정하고, 웅십력 철학은 물론 중국 불교 모두 본체론이자 형이상학이라고 비판하였다. 둘째, 입세와 출세에 관한 논쟁이다. 인순은 웅십력 철학이 유학∙ 도가 사상과 혼융되어 있으며, 이 때 유학은 출세간 사상이 결핍되어 천박한 현실에 제한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이는 웅십력 철학에 대한 진상유심론 계열의 영향 때문이며, 궁극적으로 웅십력 철학이 본체의 생기론 입장에 속하기 때문이다. 셋째, 공종∙ 유종에 대한 논쟁이다. 인순은 웅십력이 공종을 표전의 방식으로 ‘파상현성’한다고 파악한 것이 근본적으로 공종에 대한 오해라고 본다. 인순은 이러한 파상현성은 공종이 아니라, 오히려 유종에 속하는 논의라고 주장하였다. 이에 대해 웅십력은 불교를 ‘본체가 없는 논의’로 파악하는 인순이 오히려 불교 원래의 진리를 위배하였다고 재비판하였다. 넷째, 성상(性相)∙ 체용(體用)에 관한 논쟁이다. 인순은 웅십력이 불교의 법성을 체라고 하고 법상을 용이라고 보는 방식을 비판한다. 이에 대해 웅십력은 본체의 생기론적 입장으로 불교를 개조하고, 불교 원래의 연기론적 존재방식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다섯째, 심, 물, 체증에 대한 논쟁이다. 인순은 불교에서 보는 심과 물은 무자성이지만 서로 의존하고 각각 특성이 있는 평등한 연기법이라고 보는 반면에, 웅십력 철학은 신비적인 유심론의 경향이 있어 불교 본의와는 다르다고 비판하였다. 결론적으로 중국 근현대 시기 인순과 웅십력의 논쟁은 불교와 유학의 논쟁인 동시에, 인순은 성공유심론의 관점에서 불교를 통섭하고 웅십력은 진상유심론의 입장에서 불교를 통섭하였던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중국 근현대 시기 중국 민족을 이끌 정신적 동력을 인도 불교, 즉 중관 불교라는 불교 본래의 정신에서 찾을 것인가, 아니면 중국 불교의 독자적인 현실 긍정의 정신에서 찾을 것인가 하는 견해 차이와 연관된 것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to observe the Dispute of Buddhism and Confucianism in Modern China. Through the discourse I am going to examine the relation of Buddhism and Confucianism, and the fundamental differences of Consciousness Only School(唯識學) and Middle Way School(中觀學). The dispute of Yin Shun and Xiong Xhi-Li was advanced as the next. First, the dispute on Buddhism and Metaphysics. Yin Shun insisted that the philosophy of Xiong Xhi-Li was not Buddhism, but Metaphysics. He admitted only 'the doctrine of dependent origination'(緣起論), and denied the presence of Substance(本體). He considered that all Chinese Buddhism including the philosophy of Xiong Xhi-Li were the Substance-view, so Metaphysics. Second, the dispute on Supramundane(出世間) and Entrance into the world(入世間). Yin Shun emphasized that the philosophy of Xiong Xhi-Li was mixed with Confucianism, Taoism, and it was limited in superficial realility for lack of the idea of supramundane. Third, the dispute of Consciousness Only School and Middle Way School. Yin Shun argued that Xiong Xhi-Li's understanding on Middle Way School was wrong, and that view was on Consciousness Only School. Xiong Xhi-Li opposed to that, and thought of Yin Shun's theory as lacking of the idea of supramundane, so it disobeyed Buddhism. The fourth, the dispute on ‘Xing Xiang(性相)’ and 'Ti Yong(體用)'. Yin Shun passed judgment on the Xiong Xhi-Li's theory was not proper, because he thought Xing Xiang(性相) was not accorded with Ti Yong(體用). Against that, Xiong Xhi-Li didn't accept the doctrine of dependent origination by reconstructing Buddhism into 'the theory of Rising Substance(本體生起論)'. The fifth, the dispute on mind, material, enlightment. Yin Shun persisted that mind and material were respectively own-being empty, dependent, but equal. In that base, he criticied Xiong Xhi-Li's theory as mystical idealsm. In conclusion, the dispute of Yin Shun and Xiong Xhi-Li in Modern China was the controversy about Buddhism and Confucianism. At the same time, Yin Shun integrated Buddhism at the view of 'Own-being Empty Idealism(性空唯心論), but Xiong Xhi-Li unified Buddhism as 'True Etermity Idealism(眞常唯心論)'. I insisted that it was connected with the differences of the opinions, that the motive power leading Chinese in modern times was the original Buddhism, or the spirit of affirming actuality.

      • KCI등재후보

        道詵의 생애와 唯心論的 禪思想

        한태일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8 한국학논총 Vol.30 No.-

        This is a study on idealistic zen thought of Doseon who was a zen master of Dongnisanmun(桐裏山門) in the late Silla related to his theory of divination based on topography. Doseon studied zen buddhism being under Hyecheol(慧徹)'s instruction. After receiving the commandments of buddhism, he established many temples making an extensive tour of here and there. However, his activities of the establishment got changed the whole appearance before and after domiciling himself at Oknyongsa(玉龍寺). He had showed activities under Hyecheol's influence before the time, but he would set up a zen buddhist school(禪門) by himself with Hyecheol's death. Doseon settled down at Oknyongsa and then founded Woonamsa(雲岩寺) after the death of his master. A chain of activities like this were accomplished with influence expansion of the temple power of Doseon group centering around Oknyongsa. As a result, they extended their power in Gwangyang, Gurye and even Damyang during Doseon's lifetime. Doseon's philosophy was Dharmalaksana school in zen. His thought showed under a bias towards idealism, and also it would be related to the morale of Dongnisanmun. The theory of divination based on topography was the main thought of Doseon, and it was possible for his philosophy that attached importance to Dharmalaksana school. Also, idealistic zen thought of Doseon was moved on interest in topography naturally, consequently, he could be a man of broad view and understanding of the theory of divination based on topography. On the one hand, Doseon brought up Bibo(裨補) as a rational management way of a whole country. After Bibo, his theory had been changed in quality into Docham(圖讖). Idealistic zen thought made much of Dharmalaksana school so that it could set up the theory of divination based on topography, but there were some obvious contradictions between zen buddhism and Dharmalaksana school. The theory of Doseon got deteriorated Docham from Bibo eventually because it was not able to overcome the contradictions like that. 이 글에서는 신라 하대 桐裏山門의 禪僧인 道詵의 선사상을 그의 풍수지리사상과 관련지어 검토하였다. 그럼으로써 그의 사상경향을 밝혀 풍수지리사상을 형성하는 데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를 살피려고 하였다. 도선은 출가하여 처음에 화엄을 배우다가 동리산문의 慧徹에게 나아가 다시 선종불교를 익혔다. 受戒 후 그는 각처를 유력하면서 다수의 사찰을 창건하였다. 그런데 도선의 사찰 창건활동은 옥룡사에 주석하는 시기를 전후하여 양상을 달리하였다. 그 이전까지는 혜철의 영향 아래에서 활동하였다면, 혜철의 입적을 계기로 스스로 禪門을 세우려 하였다. 혜철의 입적 후 도선은 옥룡사에 주석하고 다시 운암사를 창건하였는데, 이러한 일련의 활동은 옥룡사를 중심으로 한 도선계 세력의 확대과정에서 이루어졌다. 그리하여 도선의 생존시에 도선계는 광양과 구례지역뿐 아니라 담양지역에까지 그 세력을 확대하였다. 도선의 사상경향은 ‘眞空不空’으로 나타났는데, 그것은 禪的인 유식사상이라 할 수 있다. 말하자면 그의 선사상은 선종사상 안에 유식, 즉 법상종을 포용하는 唯心論的인 경향으로 성립되었으며, 이는 유식사상을 중시하는 동리산문의 선풍과 무관하지 않다. 풍수지리설이 도선의 핵심사상으로 성립할 수 있었음은 유식사상을 중시하는 그의 사상경향을 바탕으로 가능하였다. 도선의 풍수지리설은 전국 山水의 順逆형세를 살펴 정해진 明堂을 중심으로 재편하려는 것이다. 유식을 중시하는 유심론적인 선사상은 자연스럽게 지세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져, 도선은 풍수지리에 해박한 식견을 갖추었다. 한편 도선은 국토의 합리적인 운영방안으로 裨補를 내세웠다. 그의 풍수지리설은 비보를 내세우기까지 합리적으로 발전하였지만, 비보 이후 그것은 圖讖으로 변질되어 더 이상의 발전을 이루지 못하였다. 유심론적인 선사상은 유식사상을 중시했기 때문에 풍수지리설을 형성시킬 수 있었지만, 근본적으로 선종과 유식사상은 서로 입장이 모순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모순을 극복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도선의 풍수지리설은 비보에서 도참으로 흐르고 말았다.

      • KCI등재

        1920년대 후반 포교승 김태흡의 서양철학사조 수용 양상

        김영진 대각사상연구원 2023 大覺思想 Vol.40 No.-

        김태흡(金泰洽)은 일제강점기 주로 포교승으로 활동했다. 그는 1920년대 장기간 일본에서 유학했고, 그곳에서 보편 종교로서 불교를 학습했다. 1920 년대 후반 귀국 후 강연뿐만 아니라 신문과 라디오 방송과 같은 매체로 불교 를 선전했다. 김태흡은 불교를 선전하는 과정에서 불교를 재해석하였고, 불 교에 근대적 보편 가치를 부여했다. 특히 그는 1920년대 후반 적극적으로 서양의 철학 사조나 사회 사조를 소개하면서 그것을 불교와 비교하는 방식 으로 불교에서 보편 가치나 보편 관념을 찾아냈다. 그는 칸트, 쇼펜하우어, 니체 등 서양 철학자뿐만 아니라 유물·유심 논쟁 등 철학의 개별 주제와 개 인주의, 공리주의 등 사회 사조를 불교의 시선에서 평가했다. 김태흡은 칸트윤리학의 ‘자유의지’와 ‘선의지’ 개념을 소개하면서, 여기에 상당하는 개념으로 ‘칠불통계게(七佛通戒偈)’에 등장하는 ‘자정기의(自淨其 意)’란 표현을 거론했다. 그는 ‘윤리 주체’로서 근대적 개인을 불교의 원리로 양성하고자 한다. 또한 그는 당시 불교와 유사성이 강조된 쇼펜하우어 철학 을 염세주의로 소개하고, 대승불교는 오히려 구세론임을 주장하여 불교의 ‘입세’ 성격을 강조했다. 김태흡은 유물론과 유심론을 거론하면서 자신의 사 회관을 직접 드러했다. 그는 유물·유심 논쟁을 세계의 근원이 물질이냐 정 신이냐 하는 차원으로 다루지 않는다. 그는 유물론은 배금주의를 초래하였다 고 비판하고, 유심론은 허무주의를 초래했다고 비판했다. 김태흡은 불교는 유심론도 아니고 유물론도 아니라고 주장하고, 특히 불교의 진여(眞如, tathātā)가 유물론적 실체론을 타파하고, 유심론적 허무주의를 극복하는 개 념임을 강조했다. In the late period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Kim Tae-heup, a missionary monk, primarily operated. He studied in Japan for an extended period in the 1920s, where he learned Buddhism as one of the universal religions. Upon his return to Korea in the late 1920s, he promoted Buddhism through various means, including lectures, newspapers, and radio broadcasts. During the process of promoting Buddhism, he reinterpreted Buddhism and, in the course of reinterpretation, infused modern universal concepts into Buddhism. Particularly in the late 1920s, he actively introduced Western philosophical and social trends, comparing them to Buddhism to discover universal values and concepts within Buddhism. He evaluated individual philosophical themes and social doctrines from a Buddhist perspective, including Western philosophers like Kant, Schopenhauer, Nietzsche, as well as epistemological and ontological debates, individualism, and utilitarianism. Kim Tae-heup introduced the concepts of “free will” and “good will” from Kant’s ethics, associating them with the expression “Zijingqiyi (自 淨其意)” found in the “Qifotongjieji (七佛通戒偈, The Verse of the Common Teaching of the Seven Ancient Buddhas).” He aimed to cultivate the modern individual as an “ethical subject” in line with Buddhist principles. Furthermore, he introduced Schopenhauer’s philosophy, emphasizing its resemblance to Buddhism, and argued that the Great Vehicle Buddhism was actually the “salvation teaching” while highlighting the “esoteric” nature of Buddhism. Kim Tae-heup discussed epistemology and ontology, revealing his own social perspectives. Notably, he criticized materialism for leading to greed, and idealism for leading to nihilism. He argued that Buddhism was neither materialism nor idealism, emphasizing that the Buddhist concept of “Zhenru (眞如, tathātā)” transcended materialistic substantialism and overcame idealistic nihilism.

      • KCI등재

        애니메이션 영화 <강자아(姜子牙)> 속 유심론의 철학적 연구

        곽여니(Guo-Ru Ni),김세훈(Sae-Hoon Kim)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21 애니메이션연구 Vol.17 No.3

        신화를 소재로 한 대부분의 애니메이션 영화의 중심 사상은 ‘신성’과 ‘인성’의 대립에서 나타난다. 신화적 인물 캐릭터의 창조는 단순하지 않으며, 절대적인 선과 악은 상대적이고 모순적인 경우가 훨씬 많다. 신화 애니메이션 영화가 구현하는 더 많은 것은 ‘신’의 추상화된 유물주의 정신이다. 신화 애니메이션 영화의 세계관에서 중생은 모두 자기의 독립적인 세계를 형성하는데, 이러한 세계는 서로 영향을 끼치면서 함께 발전한다. 애니메이션 영화 <강자아> 속 모든 등장인물은 자아의 주관적 의식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주관적 의식이 형성된 세계를 우리는 유심론 사상이라고 부른다. 본고에서는 <강자아> 속 모든 등장인물이 처해 있는 서로 다른 입장, 서로 다른 사유의 관점 및 등장인물들 사이에 생겨난 여러 가지 주관적 의식 사이의 갈등을 통해 신화 영화 속에 반영된 유심론적 철학사상을 이해해 보고자 한다. <강자아>는 주인공 강자아의 시각을 통해 전체 스토리를 전개하고 있고, 애니메이션 영화 속 각각의 등장인물들은 모두 각자의 스토리를 가지고 있어 각자의 ‘정신 본체’를 파생시켜 나간다. 그것은 곧 자신의 객관적 세계에 의지하며 또한 이러한 ‘정신 본체’ 자신의 발전 규율에도 부합된다. The driving theme of many mythological animation films is that of the confrontation between “divinity” and “human nature”. Mythological characters in animation film do not tend to be singularly good or bad, more often time is relative and contradictory. Currently, mythical animation films embody more of the abstract materialistic spirit of “God”. In essence, all living beings can form their own independent world in which they can influence and develop each other. Each character in the animation film Jiang Ziya has a subjective consciousness of self and the world of subjective consciousness being formed, which we call idealistic thought. This paper identifies the idealistic philosophy that this myth conveys to us by analyzing the position of each character in Jiang Ziya, their different thinking angles, and the contradictions that exist between the multiple subjective consciousness produced by the characters. The animation movie “Jiang Ziya” promotes the development of the entire storyline through the perspective of the protagonist Jiang Ziya. Each character in the animation film has their own story, from which they derive their own “spiritual body”, which is attached to their own objective world and conforms to the law of development of this “spiritual body”.

      • KCI등재

        공공의 적(敵)과 불편한 동반자

        정주아(Joung, Ju-a) 한국현대문학회 2013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40

        이 논문은 일본이라는 ‘공공의 적’을 염두에 둘 때 결코 적대해서는 안 될 상대로 상정된 사회주의 진영이 춘원에게 있어 사실상 국내 민족운동의 헤게모니를 놓고 다투어야 하는 ‘불편한 동반자’였다는 상황을 전제하고 있다. 본문에서는 해외 망명지사가 주축이 되었던 사회주의 일 세대와 춘원이 공유했던 유대감, 사회주의 진영의 세대교체 및 1930년대 계급적 모순의 심화속에서 제기된 춘원류 민족주의 운동의 위기론, 민족주의 운동의 방법론적 차원에서 동원된 파시즘의 수사와 유심론으로의 전회 현상 등 세 가지의 논점을 다루었다. 분석대상은 1930년대에 발표된 『群像』 연작과 동우회 기관지 『동광』 및 『동광총서』에 실린 산문들이다. 춘원의 민족주의 운동을 일본과의 구도 이외에 사회주의 진영과의 갈등 관계 속에 조망한다는 것은 첫째, 동우회 운동으로 대변되는 춘원의 민족주의 운동 노선의 위기의식이 내적으로 도출되는 과정을 살핀다는 점, 둘째, 1930년대 중후반 춘원의 파시즘으로의 경사 및 불교로의 침잠을 반유물론적 대응으로 논의할 여지를 만들어준다는 점, 셋째 민족주의 진영의 반일감정이 해방 후 반공주의로 직결되는 내적 타자화 현상의 편린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is is written to discuss how socialism influenced Kwang-soo Lee’s works in the colonial period. He had been considered as a traitor or a disguised-convert in the bilateral relationship between nationalist camp and Japan. In this paper, there is the third factor added, and that can be referred to socialism. To some extent, socialism was represented by a strong resistance against both Imperialism of Japan and nationalism Lee treated socialists as colleagues when dealing with Japan since Japan was their common enemy. But he couldn’t continue cooperating with them as he was competing with them for political hegemony in Korea. After the 1919 Independence Movement, Lee came to Shanghai as an exile and learned Marxism arousing young people to enthusiasm. At that times Lee worked with socialists and felt sympathy with their passion for revolution. But He didn’t agree to materialism. I was focused on 1930s, it was a transient period from an utopian socialism to a scientific socialism In 1930s, Lee wrote several critics and novels which seemed like the propagation of Fascism and the explanation about spiritualism of Buddhism These creative changeover has been evaluated as a result of radical nationalism or flight from reality. In this paper I analyzed this change as a strategic writing that stopped to spreading of socialism in Korea.

      • KCI등재

        위스망스의 『저 아래로Là-bas』에 나타난 유심론적 자연주의와“기이한 사람들”

        유진현 ( Ryu Jinhyun )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18 프랑스어문교육 Vol.60 No.-

        Là-bas de Joris Karl Huysmans marque une rupture tant dans sa carrière d'écrivain que dans l'histoire du roman français. En rejetant la tradition du roman réaliste et naturaliste du XIX<sup>e</sup> siècle, il propose une altérnative appelée « le naturalisme spiritualiste » consistant à montrer que le corps et l'âme sont plus ou moins soudés ou confondus. Dans cette étude, nous nous proposons de comprendre comment cet idéal du naturalisme spiritualiste se concrétise dans ce roman en fonction de la dualité, voire de la multiplicité des personnages. Peintre à la fois le plus réaliste et le plus idéaliste, Mathias Grünewald constitue un parfait archétype des « singulières gens », terme utilisé par Huysmans pour désigner les personnages caractérisés par leur dualisme. L'analyse de l'histoire de Gilles de Rais insérée dans le roman et de celle de Madame Chantelouve permet d'apercevoir que l'intérêt de ces personnages réside en leur personnalité ambiguë composée au moins trois parties distinctes. En dépit de leur différence évidente, ils font partie de la catégorie de personnage supranaturaliste en ce qu'ils ont un point commun d'avoir une identité incertaine et changeante. L'exemple de ces trois personnages conçus par le même principe permettra de mieux comprendre ce qu'entend Huysmans par le mot d'« exceptions rares » quand il répond à Jules Huret à propos de l'avenir du genre romanesque après le naturalisme. En fait, ce sont des marginaux qui vivent à l'écart dans la société. C'est ainsi que, dans Là-bas, le personnage principal est entouré par des êtres ambigus, tels que le docteur dénigrant la science et le progrès, le sonneur de l'Eglise Saint-Sulpice, l'astrologue mystique etc. Cependant, ce qui les rend exceptionnels, c'est la dualité de leur être qui provoque l'étonnement par des aspects bizarres et extraordinaires. L'enjeu des singulières gens huymansiennes se révèle manifestement quand on les situe dans le contexte de l'évolution du roman. En raison de la présence de ces personnages bizarres, le roman naturaliste qui se focalise sur les relations entre les gens déterminés par le milieu est remplacé par l'étude de la complexité de l'être humain déchiré par les éléments antithétiques. Une démarche qui semble indiquer la sortie de l'impasse où se trouvait le naturalisme, lorsque Huysmans écrivait Là-bas.

      • KCI등재

        Berkeleyan Influence on W. B. Yeats’s Poetry

        Joon Seog Ko 한국예이츠학회 2017 한국예이츠 저널 Vol.54 No.-

        예이츠는 버클리를 시의 이미지로 사용하여 아일랜드의 낭만적 전통을 부활시키고자 노력했다. 그는 “Blood and Moon”과 “The Seven Sages”에서 휘그주의에 탐닉하고 있는 아일랜드 사람들의 삶을 조롱하면서, 버클리의 유심론을 찬양하고 그를 아일랜드의 현자의 반열에 올려놓았다. 또한 탑은 현실과 꿈, 현실세계와 이상세계, 현재와 과거, 속인과 현자를 연결하는 교차로로 사용되어 아일랜드의 전통의 중요성을 부각시켰다. 이처럼, 그는 꿈과 현실이라는 이원론적 시야로 낭만적 아일랜드를 갈망했을지 모른다. W. B. Yeats tries to restore the Irish romantic tradition by relying on Berkeley. He mocks the life of Irish people addicted to Whiggery in “Blood and Moon” and “The Seven Sages” while admiring Berkeley’s immaterialism and raising Berkeley to the rank of the Irish sages. His imagery of the tower is a roundabout means to connect actuality and dreaming, this world and an ideal world, the present and the past, laymen and sages. Relying on Berkeleyan idealism and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the Irish traditions, he may have wished to restore the romantic Ireland with a dualistic view of a dream and actuality.

      • KCI등재

        일제강점기 한국철학계의 '유물-유심 논쟁' 연구

        이태우(Lee, Tae-woo) 대한철학회 2009 哲學硏究 Vol.110 No.-

        이 논문의 목적은 그동안 한국철학계에 알려지지 않았던 일제강점기 신문에 나타난 ‘유물-유심 논쟁’이라고 부를 수 있는 철학논쟁의 전모를 소개하고, 이 논쟁의 성격과 논쟁이 지닌 의미를 평가해보려는 것이다. 그동안 한국철학사에서 중요한 ‘철학논쟁’이 많았지만, 이 논쟁은 한국근현대 철학사에서 아직 제대로 소개되지 않은 논쟁으로서, 1929년~1930년에 결쳐 배상하·이관용 등 5명의 필자들이 24회에 걸쳐 『조선일보』의 지상을 빌어 치열하게 펼친 것이다. 논쟁의 시발점인 배상하는 당시의 지배적인 철학관인 유물론적 철학관을 비판하면서 인간의 삶과 사상을 유물이나 유심 일원론으로 환원해서 설명할 수 없다고 한다. 그는 이 양자의 상호관계성을 인정하면서 이 상호관계를 가능케 하는 것은 ‘상호관계자체’, 즉 ‘힘’ ‘작용’ ‘흐름’ ‘정력’ 등으로 표현하고 있다. 이에 대한 반론과 비판이 유물변증법의 입장에서 이관용 등 4인에 의해서 이어진다. 이 논쟁은 외면적으로는 유물론과 유심론을 둘러싼 형이상학적 세계관의 대립이라는 성격을 띠고 있지만, 실제적으로는 현실 이해와 현실 극북의 방법론에 대한 이론 투쟁 또는 사상투쟁적 성격을 동시에 지니고 있다. 이 논쟁은 결과적으로 신문을 통한 ‘철학의 대중화’에 적지 않은 기여를 하였으며, 우리의 주어진 현실을 우리의 언어로 사유하고 표출했다는 점에서 한국철학사에서 그 논쟁사적 의미를 지닌 수 있다. 또한 이 논쟁은 논쟁에 참여한 철학자와 지식인들의 사상적 경향과 당시 한국 지성계 전체의 사상적 지형도를 파악하는데도 중요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In this paper I attempted to map out the various arguments on Materialism and Idealism during modernizing period of Korea, which was experienced the rapid change of modernization under the colonial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These philosophical arguments frequently appeared in the newspapers rather than in the professional periodical, which were yet published. I tried to make assessments of the meaning of this disputes in the socio-political contexts. Korean intellectual history witnesses abundant disputes in terms of philosophical arguments among the thinkers and conflicting ideas. However, this dispute has not been fully introduced or even explored yet in academic arenas. It seems to be one of the most heated arguments and lasted from 1929 to 1930. It was provoked by Bae Sang-ha and Lee Gwan-Yong counterposed against him as a primary debator and 3 other philosophers were seriously involved in it. The arguments appeared 24 times in all in Chosun-Ilbo Newspaper. Bae Sang-ha, who started this dispute, criticizes the Marxist materialism, which was dominant ideal of the time, and asserted that the life and thoughts of the human being could not simply reduced to materialism or idealism only. He recognized the correlation of materialism and idealism, and claimed that in order to make the correlation possible it is necessary to admit th 'correlation itself', namely 'force', 'actions', 'flowing' and 'energetic'. Lee raised objection and criticized Bae Sang-ha's idea. The critical debates of four representatives from the side of dialectical materialism were ensued. During this arguments not only revealed the metaphysical differences between materialism and Idealism externally. but demonstrated theoretical conflicts and ideological confrontations in understanding the historical reality of Korea and the methodology of how to overcome the socio-political reality, which Korea was faced under the imperialism. As a byproduct of this arguments, it also contributed to make 'popularization of philosophy' through the newspaper, and particularly made it possible to use common language of Hangul and apply philosophical ideas in daily languages.In conclusion this debates reveals the intellectual map of the time how much they are involved in philosophical issues and where their intellectual tendency was headed for.

      • KCI등재후보

        Vitalité, normativité et milieu chez Canguilhem dans une filiation avec Bergson

        폴 앙투안 미켈 서양근대철학회 2020 근대철학 Vol.16 No.-

        Sur le plan méthodologique, ce travail a pour but de mettre en évidence un des liens qui lie Bergson et Canguilhem. Ils ont en effet une manière spécifique de poser les problèmes philosophiques, qui est propre à un courant de la pensée française. Ils refusent que la philosophie, en tant que discipline puisse trouver ses fondements en elle. Toute vérité philosophique devient conditionnée, limitée par le regard que la science, la clinique et la technique etc. portent sur elle. Ensuite, à un niveau plus ontologique, les notions de normes, de normalité et de normativité chez Canguilhem engagent une manière particulière d’étudier la vie héritée en partie de Bergson. Il est vrai que le vitalisme rationaliste de Canguilhem diffère du spiritualisme vitaliste de Bergson. Canguilhem commence par le vivant défini par un ensemble de contraintes physiologiques. Mais ce point de départ déterministe ne suffit pas à expliquer la vie. Le vivant engage une dynamique qui le fait déborder de ce qu’il est, comme Bergson l’a déjà suggéré. Ce qu’il fait dans la relation au milieu, fait aussi partie de la description de ce qu’il est. Il est donc défini par la relation de ce qu’il est à ce qu’il fait, en tant que cette relation est aussi une relation d’inadéquation permanente de lui avec lui-même.

      • KCI등재

        위스망스의 『저 아래로Là-bas』에 나타난 뒤르탈Durtal의 친구들

        유진현 한국불어불문학회 2019 불어불문학연구 Vol.0 No.117

        Le débat littéraire entre Durtal et des Hermies à propos du naturalisme donne une telle impression que le lecteur oublie souvent que l’enjeu de Là-bas réside en fait dans le refus de la modernité tout court. Enchâssées par la mise en abîme, l’histoire de Gilles de Rais et celle de Durtal permettent de comparer le Moyen Age avec l’époque moderne et de dénoncer les limites de celle-ci à la lumière des vertus jamais perdues de celui-là. Quel serait le rouage de “cette machine de guerre argumentative tournée contre la science”? La question est le point de départ de notre étude qui se propose d’examiner la particularité et la fonction de trois personnages susceptibles d’être définis comme les amis de Durtal : des Hermies, Carhaix et Gévingey. Vivant en marge de la société et incompatibles avec l’époque moderne, ils partagent la particularité d’être exceptionnel ; médecin anti-positiviste ne cessant d’invectiver contre la raison et la science, sonneur de l’Eglise Saint-Sulpice et astrologue condamnés à être les derniers dans leurs métiers faute de successeurs potentiels, telles sont les caractérisques de ces trois hommes qui constituent le microcosme formé autour du personnage principal. Pourtant, malgré leur marginalité, ou plutôt grâce à elle, les amis de Durtal assument le rôle de guider ce dernier dans sa quête sur le Satanisme. En dévoilant l’impuissance de la science face aux phénomènes surnaturels et en évoquant continuellement le Moyen Age, ils deviennent les collaborateurs très efficaces qui servent à démontrer la régression temporelle. D’ailleurs, s’agissant de la structure du récit, leur présence dans Là-bas exerce une influence significative. L’histoire de Durtal, déjà divisée en deux, se subdivise en de multiples micro-récits composés de conversations documentaires. C’est ainsi que ces personnages marginaux contribuent à éclater la linéarité conventionnelle du roman pour faire apparaître une somme de récits éparpillés sur plusieurs niveaux. Le caractère exceptionnel des amis de Durtal semble encore renforcé par le fait qu’ils sont des êtres éphémères. Dès que le personnage central arrive au terme de son voyage spirituel, l’auteur prépare le faire-part de décès de ces fidèles compagnons de route. Si Durtal peut s’assumer le rôle du héros de la tétralogie, c’est justement grâce à ce sacrifice des amis inti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