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진로단절여성의 ‘괜찮은 일자리’ 인식에 관한 연구

        최혜경 경기대학교 행정·사회복지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onditions of 'decent jobs' as perceived by career interrupted women who seek an employment, and to analyze both personal and career-interrupted specific factors which would influence the perception of 'decent job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topics were selected in this study: First, what are the conditions of 'decent jobs' that career interrupted women would perceive? Second, what are the factors which would have an influence on the career interrupted women's perception of 'decent job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steps: Research hypothesis of the criteria of decent jobs was established by the primary research of the relevant subjects and theories; the dependent and independent variables were determined accordingly; variables measurement tools were set up; and a questionnaire (measuring instrument) for the survey was developed. 300 copies of the survey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to career interrupted women in the ages of between twenties and fifties who have been actively seeking an employment. 279 copies in total of the questionnaire were returned to be used for analysis. This survey was administered at an employment support agency for women in Gyeonggi Province. Data collected through the survey was analyzed by using SAS 9.4.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ose surveyed said that they consider wage level the most important followed by distance between workplace and home, work hours, working environment, observance of work hours, job satisfaction, smooth communication and human relations and personal development through job. Those surveyed said that they consider a monthly pay of 1500 to 2000 thousand won, 40 to 50 hour work per week and office job or administrative position good. Those surveyed said that when it comes to a job in medium sized business(10 to 99 employees), they consider permanent position as type of a job good and part time employment as type of work hours good.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sideration of a good job (employment security, economic aspect, social aspect, business, possibility of development, work hours, working environment etc.)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 of career discontinued women (age, educational background, marital status, number of children, age of the youngest child, family income). Those who are in their twenties considered employment security the most importan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ose in their twenties and those in their fifties or older. Those in their twenties considered economic aspect the most important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ose aged the twenties and those aged thirties to forties bu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ose aged the twenties and those aged fifties or higher. Those aged twenties considered social aspect the most important. Those aged twenties considered business, possibility of development and work hours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ose aged twenties and those aged forties to fifties or high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sideration of decent jobs according to educational background. Those who have a high school diploma showed the lowest consideration in employment security, economic aspect, social aspect, business, possibility of development and work hours and the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those who had a degree of associate, bachelor, or graduate level. The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 was, the higher consideration of a decent job was. Those who have an advanced level of education considered economic aspect the most important. Those who have a graduate degree considered social aspect, business, possibility of development, work hours and working environment.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ype of occupation that they engaged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ason for career discontinuity and duration of career discontinuity when analyzing a difference in consideration of a good job according to career discontinuity characteristics factors (type of occupation that they engaged, reason for career discontinuity and duration of career discontinuity). Business, work hours and working environmen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When conducting a multiple comparison for business, kit was found that women whose career was discontinued due to housework considered it the highest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sideration between women whose career was discontinued due to housework and women whose career was discontinued due to marriage, childbirth, infant care, working environment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sideration between women whose career was discontinued due to housework and women whose career was discontinued due to education of their children, expiration of contract and circumstances of company. When conducting a multiple comparison for work hours and working environment, it was found that women whose career was discontinued due to circumstances of company considered it the lowest. All factors in consideration of a good job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when analyzing consideration of a good job in terms of duration of career discontinuity. It was found that for women whose duration of career discontinuity was one year or under, women whose duration of career discontinuity was 2 to 3 years and women whose duration of career discontinuity was 4 to 5 year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 consideration of a good job except working environment but for women whose duration of career discontinuity was 6 to 10 years and women whose duration of career discontinuity was 10 years or mor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data that can be used for job counseling or developing a program and presents criteria for judging a decent job which is suitable for a woman whose career has been interrupted. 본 연구는 취업욕구가 있는 진로단절여성들을 대상으로 진로단절여성이 인식하는 ‘괜찮은 일자리’에 대한 조건을 파악하고, 개인적 특성요인과 진로단절 특성요인 중 ‘괜찮은 일자리’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진로단절여성이 인식하는 ‘괜찮은 일자리’의 조건은 무엇인가? 둘째, 진로단절여성이 ‘괜찮은 일자리’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가?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절차와 방법으로 연구가 수행되었다. 먼저 이론적 고찰 및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괜찮은 일자리에 대한 개념 및 대상에 따른 괜찮을 일자리에 대한 기준을 정리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종속변수와 독립변수를 설정, 연구가설을 구성하였다. 또한 변수를 측정하기 위해서 변수를 조작적으로 정의 하였으며 이어 설문조사를 위한 설문(측정도구)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는 취업을 희망하나 진로단절로 미취업상태에 여성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연령대는 20대에서 50대까지, 취업을 희망하는 여성들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중 조사대상자가 아니거나 무응답이 많은 경우를 제외한 279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표집을 위해서 경기도 지역의 진로단절여성 중 취업을 희망하는 미취업여성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경기도 소재 여성인력개발센터를 조사기관 선정하여 각 기관을 이용하는 진로단절여성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SAS 9.4을 활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을 희망하는 진로단절여성이 인식하는 괜찮은 일자리의 조건으로 임금수준을 가장 중요한 우선순위로 꼽았으며, 근무처와의 접근성, 근무시간의 적정성, 쾌적하고 안전한 근로환경, 근무시간 준수여부, 직무의 높은 자율성 및 만족도, 원활한 의사소통과 친밀한 인간관계, 일을 통한 개인의 높은 발전가능성 순으로 응답하였다. 또한 월 150~200만 원 선의 급여, 주당 40~50 미만의 근무, 사무 및 관리직을 괜찮은 일자리의 조건으로 응답하였다. 중규모 사업체(10~99인), 일자리 형태로는 정규직, 근로시간 형태로는 시간제가 가장 높은 응답비율을 보였지만 동시에 상관없다는 응답의 비율도 매우 높게 나타났다. 둘째, 진로단절여성의 개인특성(연령, 학력, 혼인상태, 자녀수, 막내자녀연령, 가구소득)에 따라 괜찮은 일자리 인식(고용안정성, 경제적 측면, 사회적 측면, 업무, 발전가능성, 근로시간, 근무환경 등)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괜찮은 일자리 인식 중 고용안정성에 대한 결과는 20대의 인식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50세 이상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경제적 측면에 에서도 20대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30대, 40대와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50세 이상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사회적 측면에서도 20대의 인식이 가장 높았으며, 업무, 발전가능성, 근로시간 요인에 대한 결과도 20대의 인식도가 가장 높았으며 40대, 50세 이상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학력에 따른 괜찮은 일자리 인식에 대해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고용안정성, 경제적 측면, 사회적 측면, 업무, 발전가능성, 근로기간에 대해 고졸이하의 경우 가장 낮은 인식도를 보였으며, 전문대졸, 대졸, 대학원 졸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학력이 높을수록 괜찮은 일자리에 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나며 특히 고용안정성과 경제적 측면 부분에서는 전문대졸 여성이 가장 높은 인식을 보이고 사회적 측면, 업무, 발전가능성, 근로시간, 근무환경 부분에서는 대학원졸 이상의 여성이 높은 인식도를 보였다. 셋째, 진로단절여성의 진로단절 특성요인(과거 종사 직종, 진로단절이유, 진로단절 기간)에 따라 괜찮은 일자리인식 차이를 분석한 과거종사 직종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인식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진로단절 이유와 진로단절 기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진로단절 이유에 따른 괜찮은 일자리 인식 중 업무, 근로시간, 근무환경에 대한 요인 등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업무에 대한 다중비교를 실시한 결과 가사로 인해 진로 단절된 여성의 인식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결혼, 출산, 육아, 근무환경, 기타 이유로 단절된 여성의 인식도와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자녀교육, 계약기간만료, 회사사정으로 진로가 단절된 여성의 인식도와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근로시간과 근무환경에 대한 다중비교를 실시한 결과 회사사정으로 진로가 단절된 여성의 인식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진로단절여성의 진로단절 기간에 따라 괜찮은 일자리 인식에 대한 검정은 분석결과 괜찮은 일자리 인식 중 모든 요인들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진로단절 기간이 1년 이하, 2년~3년 이하, 4년~5년 이하의 경우 근무환경 요인을 제외한 괜찮은 일자리에 대한 인식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6년~10년 이하, 10년 이상인 진로단절여성과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 연구는 진로단절여성의 특성에 맞는 괜찮은 일자리 판별기준을 제시하고 진로단절여성의 취업지원시 도움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나 직업상담의 기초자료로 활용 및 도움을 주는데 의의가 있다.

      • 직장 내 성희롱으로 인한 여성의 경력단절에 대한 연구

        고은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women’s career interruptions in terms of working conditions, specifically sexual harassment in the workplace. Women’s career interruptions have been studied in regard to women’s life events such as marriage, childbirth, and caregiving. This qualitative study is based on an analysis of interviews with 10 women who have experienced sexual harassment in the workplace. Most of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involuntary resignation or dismissal after sexual harassment happened. A number of the participants are at their early stage of careers, and it shows young female workers are in danger of involuntary career interruptions. Masculinity performative culture was prevalent among the organizations where the participants worked for, and so sexual harassment repeatedly happened. The organizations also ignored, and tried to solve the incident on the behalf of the organizations or perpetrators in an irresponsible way. This shows that sexual harassment in the workplace occurs not only because of individuals' misbehavior but also because of gender hierarchy and labor structure that is discriminative against women. After sexual harassment happens, the victims struggled to find ways to protect themselves from the harm caused by the incident such as communicating with other female workers and consulting with attorneys. However, most victims struggle with reporting sexual harassment due to the difficulties of collecting the evidence, and the anxiety of losing their job. This shows that the current system cannot protect women from experiencing career interruptions. It is mainly because sexual harassment is not considered a serious matter and the organization does not take responsibility for the incident. Bringing women who have been pushed out to the labor market is important, but the point is bringing them back to where they used to be. The current system often focuses on only the quantitative data of women who re-enter the labor market. However, the quality of the jobs they work in is more significant. Notwithstanding the circumstances, the victims continue to resist in order to protect other potential victims from sexual harassment. The women who experience sexual harassment often are pushed out of not only the organization they worked for but also from the labor market. With the experience, women often get frustrated and have psychological trauma from the incident. What’s more, some of the victims move on to unstable jobs or even to other professions and start off their careers from the bottom. This suggests that policies regarding women’s career interruptions have to concentrate on bringing women back to their previous status in the workplace. 이 연구는 지금까지 여성의 결혼, 출산 및 돌봄과 같은 생애사건과 연관지어 고려되어왔던 여성의 경력단절 문제의 원인에 대하여 직장 내 성희롱이라는 근로조건에서 재접근하고자 한다. 직장 내 성희롱 피해를 경험한 10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진행한 결과, 대부분의 연구참여자들이 직장 내 성희롱 발생 이후 자발적 퇴사를 가장한 비자발적 퇴사와 해고를 경험했다. 대부분의 연구참여자들은 일자리 진입기에 있는 청년 여성들로, 청년여성 경력단절 문제의 심각성을 보여준다. 연구참여자들이 직장 내 성희롱을 경험했던 조직에는 젠더 수행적 남성 중심 조직문화가 만연했으며, 직장 내 성희롱이 반복해서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여성근로자가 성희롱 피해 사실을 신고할 경우 조직들은 신고 사실을 무시하거나 가해자 및 조직 위주로 해결 하는 등의 무책임한 태도를 보였다. 이를 통해 직장 내 성희롱은 가해자 개인의 문제가 아닌, 여성에게 차별적인 노동구조, 직장 내 젠더위계 문화로 인해 발생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여성들은 직장 내 성희롱 피해가 발생한 이후 자신과 비슷한 위치에 있는 직장생활을 하는 여성들 그리고 전문가와의 상담을 통해 성희롱 피해에 대한 저항 방식을 계획한다. 하지만 많은 경우 피해 여성들은 증거 수집의 어려움이나, 현재 일자리를 잃을지 모른다는 두려움과 불안함 때문에 신고를 하기 어려워한다. 이는 현행 제도들이 직장 내 성희롱으로 인해 여성들이 노동시장을 이탈하는, 불연속적 노동을 경험하는 것을 예방하는 데 큰 효과가 없는 것을 보여준다. 그 이유로는 직장 내 성희롱이 충분히 심각한 문제로 고려되지 않고, 조직과 사용자 및 기관장에게 그 책임을 묻지 않은 것과 더불어 여성의 경력단절이 질적인 측면 보다는 양적인 측면에서만 제도가 설계되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여성들은 제2의, 제3의 피해자를 막겠다는 책임감과 가해자와 조직에게 그 책임을 물어 노동구조와 조직문화를 바꾸겠다는 일념으로 저항을 이어간다. 직장 내 성희롱 피해를 경험한 여성들은 성희롱이 발생한 조직에서뿐만 아니라 노동시장 밖으로 이탈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 과정에서 대부분의 여성들은 직장생활에 대한 두려움과 무력감을 느끼는 심리적 상흔 경험한다. 또한, 몇몇 여성들은 이전에 재직했던 직장보다 불안정한 근로조건으로 이동하기도 했다. 특히 자신이 재직했던 직종이 아닌 새로운 직종으로 이동할 경우, 여성근로자는 자신이 여태 쌓았던 경력과는 무관하게 다시 처음부터 경력을 쌓아야 하는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이것은 여성경력단절 제도가 여성들이 단순히 노동시장으로 재진입하는 것이 아닌 원래의 지위와 직종으로 안전하게 재진입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 미야자키 하야오 영화에 나타난 주체적 여성 이미지 연구 : 1984년~2008년 작품을 중심으로

        장구티엔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807

        Animation is one of the main means of spreading video culture, and not only plays an important role in child enlightenment education, but it also affects the formation of values and worldviews of various ages. Therefore,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actively developing the animation industry, and the United States and Japan are overwhelming at the moment. Meanwhile, Japan, an animation powerhouse in Asia, is continuously enjoying interest and popularity in the animation industry around the world. Among them, Hayao Miyazaki is a representative figure in Japanese animation. For about half a century, Japanese animation master Hayao Miyazaki's work has continued to expand its influence. From sophisticated and beautiful video screens to rich and diverse characters, and the in-depth implications of the work, his work has been recognized worldwide and popularly. Even now, when 3D video technology is rapidly developing, director Hayao Miyazaki continues to create hand-painting, and this is why director Hayao Miyazaki's unique screen style is also derived. In addition, director Hayao Miyazaki shows a difference from other directors with his own creative reasons and artistic methods in building characters. In traditional animation works, the status and weight of female characters were insignificant compared to men, and it was common to be expressed in the same image as male accessories. Director Hayao Miyazaki has introduced female characters with distinct personalities in his work with his creative ideology. The female characters he highlighted are given a specific role, as well as breaking away from the female image in traditional animation works and transforming them into independent, strong, good, and pure images. These female characters often show irreplaceable uniqueness,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nature or humanity, and inheriting and developing virtues. This paper uses the female image constructed by Hayao Miyazaki in animation as a subject of study, so we will compare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female characters, female themes, female narratives, and women's aesthetic values among the works. Furthermore, it aims to analyze the cultural background implied in the female image and comprehensively and accurately grasp the female image in the work. This paper consists of each chapter as follows. First of all, in the introduction, the purpose and background of the study, the research method, and scope were introduced, 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study and previous studies were reviewed. Chapter 2 of the paper consists of theoretical discussions on the concept of animation and animation films, the development process and achievements of Miyazaki Hayao's animation and studio Ghibli, and the subjective female image. In Chapter 3, the independent female narrative appearing in Hayao Miyazaki's work was analyzed in three aspects: narrative structure, narrative space, and narrative method. In Chapter 4, the women's themes in Hayao Miyazaki's work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and in Chapter 5, the discussion was conducted by categorizing them into female hero characters, female villains, and female characters to help the main character. Chapter 6 of the paper analyzed the aesthetic female value of the work in three aspects: video screen, music, and culture, and the last 7 summarized the study, presented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concluded the discussion with some suggestions for subsequent research. 애니메이션은 영상문화 전파의 주요 수단 중 하나로 아동 계몽 교육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연령대의 가치관과 세계관 형성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세계 각국은 애니메이션 산업을 적극적으로 발전시키고 있는데 현재로서는 미국과 일본이 압도적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아시아의 애니메이션 대국인 일본은 전 세계 애니메이션 업계에서도 지속적인 관심과 인기를 누리고 있다. 그중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은 일본 애니메이션의 대표적 인물이다. 약 반세기 동안, 일본 애니메이션의 거장인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작품은 지속적으로 영향력을 확대하여 왔다. 정교하고 아름다운 영상화면부터 풍부하고 다양한 캐릭터, 그리고 작품이 가지는 심층적 함축까지, 그의 작품은 세계적으로, 대중적으로 인정을 받았다. 3D 영상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는 현재에 이르러서도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은 손그림 창작을 계속하고 있는데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 특유의 화면 스타일 또한 이에서 비롯된 것이다. 또한 캐릭터 구축에 있어서도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은 독자적인 창작 사유와 예술적 수법으로 기타 감독과의 차이성을 보이고 있다. 전통적인 애니메이션 작품에서 여성 캐릭터의 위상과 비중은 남성에 비해 미미하였고, 남성의 부속품과 같은 이미지로 표현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은 이에 반한 창작 이념으로 작품에 개성이 뚜렷한 여성 캐릭터를 등장시켰다. 그가 부각한 여성 캐릭터들은 전통적인 애니메이션 작품에서의 여성 이미지를 탈피하고 독립적이고 강인하며 선하고 순박한 이미지로 탈바꿈할 뿐만 아니라, 특정한 역할을 부여 받고 있다. 이러한 여성 캐릭터들은 종종 대체할 수 없는 독특함을 보이며 자연이나 인류의 발전에 기여하면서 미덕을 계승, 발전시키고 있다. 본고는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이 애니메이션에서 구축한 여성 이미지를 연구 대상으로 삼으므로 작품 중 여성 캐릭터의 특징, 여성 주제, 여성 서사, 여성의 미학적 가치 등을 비교 분석하도록 한다. 나아가 여성 이미지에 함축된 문화적 배경을 분석하고 작품 속 여성 이미지를 포괄적이고 정확하게 파악하고자 한다. 본고는 다음과 같이 각 장을 구성하였다. 우선 서론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배경, 연구 방법 및 범위를 소개하고 연구 현황 및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논문의 2장은 이론적 배경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애니메이션 및 애니메이션 영화의 개념,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애니메이션 및 스튜디오 지브리의 발전 과정과 성과, 주체적인 여성 이미지에 대한 이론적 논의로 내용을 구성하였다. 논문 3장에서는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작품에 나타난 독립적 여성 서사를 서사 구조, 서사 공간, 서사 방법 세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이어서 4장에서는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작품에 나타난 여성 주제를 여성 인문 주제, 자연 주제, 성찰 주제로 분류하여 분석하였고 5장에서는 여성 캐릭터의 특징을 분석하기 위하여 여성 영웅 캐릭터, 여성 악역, 주인공을 돕는 여성 캐릭터로 유형화하여 논의를 전개하였다. 논문의 6장에서는 작품의 미학적 여성 가치를 영상화면, 음악, 문화 세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였고 마지막  7장에서는 연구를 요약하고, 연구의 의의 및 한계점을 제시하며, 후속 연구에 대한 몇 가지 제언으로 논의를 마무리하였다.

      •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사회적응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 몽골 결혼이주여성 중심으로

        엥흐타이왕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2022년 11월 15날 전세계 인구가 80억 명을 기록했다고 유엔이 밝혔다. 세계 인구 증가와 세계화로 인하여 인간은 지금보다 더 나은 곳에 살고 싶어한다.결혼이주생활, 유학생활, 이주노동생활 등 다양하게 다문화 경험을 직면한다. 본 연구는 몽골 사람들 이주를 선택한 나라중에서 제일 선호하고, 거주하는 한국 남편과 살고 있는 몽골결혼이주여성들의 한국사회 적응과 생활만족도에 대한 연구를 하자고 했다. 한국통계청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17년부터 2019년까지 매년 평균 7.2%로 증가했던 국내 체류외국인의 수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2020년부터 연속 감소했다(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연보, 2021). 2021년 말 기준 국내 체류외국인은 1,956,781명으로, 2020년 대비 3.9%(79294) 감소했으며, 특히 외국인관광객 등 단기체류외국인이 2020년 대비 9.11%(38,807)의 큰 감소폭을 보였다(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연보, 2021). 다문화 가구 수 또한 통계청이 다문화가구 수를 발표하기 시작한 2015년에는 29만 9천 가구였으나, 2020년에는 36만 8천 가구로 증가하였으며, 국내 전체 가구에서 차지하는 비중 또한 2015년 1.53%에서 2020년 1.71%로 늘어났다(통계청, 2017; 통계청, 2021 재인용). 논문은 주로 자료를 수집하여 문헌연구법을 사용하였다. 한국 사회 적응 개념 및 생활만족도 개념에 대한 이론적 체계 정립, 몽골 결혼이주여성의 직면한 사회적 적응이 생활만족도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국내외 문헌자료(1994년부터 2022년 사이에 발간된 “몽골 결혼 이주여성의 사회적응과 생활만족도”주제를 다룬 논문과 전문도서, 인터넷 기사, 각종 통계자료, 전국타문화 가족 실태 조사 2021년 자료 등)를 조사하였다.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주제와 연구방법 등 연구 설계에 활용하였으며, 전문기관의 자료를 활용하여 현재의 실제 수치를 도출하고, 주변 다문화경험을 통해 논의를 주장을 하였다. 본 연구는 몽골 결혼이주여성들이 직면하는 다양한 어려움들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와 관련된 연구문제는 첫째, 몽골여성들이 경험하는 개인적 어려움이 무엇일까? 둘째, 몽골여성들이 가족생활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이 무엇일까? 셋째, 몽골여성들이 사회적 환경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이 무엇일까? 하는 것이다. The world's population reached 8 billion on November 15, 2022, the United Nations said. Due to global population growth and globalization, humans want to live in a better place than now. They face various multicultural experiences such as marriage migration life, international student life, and migrant labor life. This study suggested that Mongolian marriage migrant women who live with their Korean husbands, who are most preferred among countries where Mongolians chose to migrate, will study the adapta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Korean societ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urvey by the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 number of foreigners staying in Korea, which increased to an average of 7.2% every year from 2017 to 2019, has decreased consecutively since 2020 due to the influence of COVID-19. As of the end of 2021, 1,956,781 foreigners stayed in Korea, down 3.9% (79294) from 2020, and in particular, short-term foreigners such as foreign tourists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of 9.11% (38,807) compared to 2020. The number of multicultural households also increased from 299,000 in 2015 when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began to announce the number of multicultural households, to 368,000 in 2020, and the share of all households in Korea also increased from 1.53% in 2015 to 1.71% in 2020. The paper mainly collected data and used literature research methods. In order to establish a theoretical system for Korean social adaptation and life satisfaction, and to analyze the impact of Mongolian marriage migrant women's social adaptation and life satisfaction, we investigated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published between 1994 and 2022. Through the review of previous studies, it was used for research design such as topics and research methods, and the current actual figures were derived using data from specialized institutions, and discussions were argued through surrounding multicultural experiences.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various difficulties faced by Mongolian marriage migrant women. The research question related to this is, first, what are the personal difficulties experienced by Mongolian women? Second, what are the difficulties Mongolian women experience in their family life? Third, what are the difficulties Mongolian women experience in the social environment?

      • 모바일 시대 여성게이머와 관련된게임 산업 변화 연구 : 디지털게임 <왕자영요>를 중심으로

        뤄나 호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With the advent of the digital era, the development of various industries has been promoted. The game industry has also developed rapidly, and with the advent of the 5G era, it has greatly driven the development of the mobile game industry, and women are constantly growing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the times. As women's social status improves and economic income increases, women are be coming the subject of intensive research in the consumer market. With the advent of the women's economic era, women gradually began to focus on their emotional senses, breaking away from the bondage of traditional ideas. Game developers have also discovered the great potential of the women's game market, and have begun to value the demand for the game market by female users. However, as men led the game market for a long time, male-oriented stereotypes about games were formed, and interest in the women's consumer market began to increase, but the understanding of the demand for women's games was too fragmented. In the current market, games aimed at female users are mainly role-playing or romance interactive games. Although it can attract many female gamers in a short period of time, female game users tend to lose interest due to the lack of game content and the excessive single game mode. Through research and analysis of existing women's game in the market, this paper compares and analyzes the royal spirit of women's game, which is completely opposite to existing women's games, and solve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ames in five dimensions. The glory of the King game requires players to first choose their own game characters, and then form two five person teams to en gage in battles with the other party. After the game starts, players will enter the game map, which is divided into three main battle channels called "Up Road", "Middle Road", and "Down Road". Teammates will occupy these channels separately, and each person is responsible for patrolling and protecting their own channels. In addition, various neutral wild monsters and resources are distributed on the map, and players can gain experience and coins by defeating wild monsters to enhance their strength. In the game, players need to work closely with their teammates, develop strategies, and through team collaboration, they can attack enemy defense towers, kill enemy characters, seize resources, and ultimately destroy the opponent's main base. At the same time, players also need to protect their main base and prevent enemy attacks. Female game players can create unique character images based on their preferences and imagination. When creating a character, you can choose various appearance features such as hairstyle, clothing, makeup, as well as the character's personality traits and background story. Usually, players need to follow the game guidelines to complete various tasks and challenges. This may include solving puzzles, fighting monsters, collecting items, and having conversations with NPCs. By completing tasks, players can drive the story development of the game, unlock new content and locations, or enhance the character's level, skills, and equipment. Studies have found that the women's game market has enormous consumption potential, but the current women's game market has problems of unity and homogeneity of game content due to gender stereotypes. To solve these problems, you must first understand the changes and needs of game players. Technical updates should provide new ways of playing and experiences to the game, and add social interaction methods to the interaction between existing players and game NPCs, allowing players to interact within the game. By building a continuous emotional world in the game, the player's retention can be enhanced. Or understanding user changes has also helped social development. 디지털 시대의 도래로 각종 산업의 발전이 추진되었다. 게임산업도 함께 빠르게 발전했고 5G시대의 도래와 더불어 모바일 게임산업의 발전을 크게 추동했으며 여성도 시대의 발전을 따라 끊임없이 성장하고 있다. 여성의 사회적 지위가 향상되고 경제적 소득이 높아지면서 여성들은 소비시장에서 집중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여성 경제 시대의 도래와 함께 여성들은 점차 전통사상의 굴레에서 벗어나 자신의 정서 감각에 치중하기 시작했다. 게임 개발사들도 여성 게임 시장이 존재하는 큰 잠재력을 발견해 여성 이용자들의 게임 시장 수요를 중시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남성들이 장시간 게임 시장을 주도하다 보니 게임에 대한 남성위주의 고정관념이 형성됐고, 여성 소비시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기 시작했지만 여성 게임 수요에 대한 이해가 지나치게 단편적이었다. 현재 시장에서 여성 이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게임은 주로 위연이라는 역할극이나 연애 인터랙티브 게임이다. 짧은 시간 안에 많은 여성 게이머를 끌어모을 수 있지만 게임 콘텐츠가 너무 부족하고 게임 모드가 지나치게 단일하다 보니 여성 게임 이용자들은 흥미를 잃기 십상이다. 본 논문은 시장의 기존 여성사 게임에 대한 연구분석을 통해 기존 여성 게임과는 완전히 반대이지만 여성 게임 이용자의 비율이 높은 경기류 게임 왕자영요를 비교 분석하여 여성 게임 소비의 감성화, 다양화, 개성화, 자율화, 여가화 다섯 가지 차원으로 두 게임의 차이점을 풀고, 현재 여성 게임 시장은 존재하는 한계를 결합하여 미래에 여성 게임 시장 개발을 위한 레퍼런스를 제공한다. 왕자여요 게임은 플레이어는 먼저 자신이 좋아하는 영웅 캐릭터를선택해야 하며, 각 캐릭터는 독특한 기술과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어선수들은 5인제 두 팀을 이뤄 상대와 치열하게 싸운다. 게임이 시작되면 게이머들은 게임 필드에 진입하게 되는데 세 가지 주요한 전투노선은 상, 중, 하 각 노선으로 나뉘다. 팀원들은 단독으로 이 통로를점거하고 각자 순찰과 자신의 통로를 보호한다. 이밖에 지도에는 또 각종 중립적인 과물와 자원이 분포되어있다. 플레이어는 야생 몬스터를처치하여 경험치와 동전을 획득하여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임에서 게이머는 동료들과 밀접하게 협력하여 전략을 제정하고 전술을 실시해야 한다. 팀워크를 통해 플레이어는 적의 방어탑을 공격하여 적의 영웅을 죽이고 자원점을 탈취하며 최종적으로 상대방의 주요 기지를 파괴할 수 있다. 동시에 플레이어는 적의 공격을 막기 위해 자신의방어탑과 주요 기지를 보호해야 한다. 기존의 여성 게임의 플레이어들은 그들의 선호도와 상상력을 바탕으로 독특한 캐릭터 이미지를 만들 수 있다. 캐릭터를 만들 때 헤어스타일, 옷, 화장은 물론 캐릭터의 성격 특성과 배경 스토리 등 다양한 외모 특징을 선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플레이어는 다양한 작업과 도전을 완료하기 위해 게임 가이드라인을 따라야 한다. 여기에는 퍼즐 풀기, 괴물 퇴치, 아이템 수집, NPC와의 대화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작업을 완료함으로써 플레이어는 게임의 스토리 전개를 주도하고 새로운콘텐츠와 위치를 잠금 해제하거나 캐릭터의 레벨, 스킬 및 장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여성 게임 시장은 막대한 소비 잠재력이 있음을 연구를 통해 발견했지만, 현재 여성 게임 시장은 성별 고정관념의 영향으로 게임 콘텐츠의단일성과 동질성 문제가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먼저 게임 플레이어의 변화와 요구를 이해해야 한다. 기술적인 업데이트를 통해 게임에 새로운 플레이 방식과 경험을 제공하고, 기존의 플레이어와 게임 NPC의 상호작용에 사회적 상호작용 방식을 추가함으로써플레이어 간에도 게임 내에서 상호작용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지속적인 감정적 세계를 게임 안에서 구축함으로써 플레이어의 유지도를높일 수 있다. 또 사용자의 변화를 이해하는 것은 사회 발전에도 도움이 된다.

      • 단편영화 <그냥 집에 가자>의 제작과정 연구 : 중국 여성을 소재로 한 영화를 중심으로

        장전위 대진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여성주의 운동의 시작과 함께 영화는 여성주의와 여성의식을 담는 중요한 매개체가 되었다. 1970년대 영화 산업은 여전히 남성 중심이었지만, 세계 각국에서 여성 영화 종사자들이 점점 등장하면서 독특한 여성 시각으로 영화 속 여성의 이미지를 창조하고 현대 여성의 생존 상황을 반영하며 당시 영화계와 사회문화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었다. 그러나 당시 사회는 여전히 남성 주도의 발언권에 지배되고 있었기 때문에 여성 소재 영화는 여성의식을 제대로 보여주지 못했다. 사회가 발전하고 사람들의 생각이 진보적으로 변함에 따라 21세기 초에 세계 각국은 점차 남녀 평등이라는 사회 모델을 형성했으며 여성 감독의 독특한 여성의식 표현을 더 포용하게 되었다. 21세기에 중국의 여성 소재 영화는 급속한 발전을 이루었다. 2013년부터 신세대의 중국 여성 감독들은 독특한 시각으로 여성과 관련된 사랑, 가족, 결혼 등의 주제를 깊이 탐구하여 여성의 사회 내 실존적 생활상과 내면을 밝히려고 노력하고 있다. 동시에 그들은 더 많은 유형 요소를 통합한 영상화 방법을 사용하여 개인의 감정과 경험을 보여주고 민감한 사회 문제에 대해 심층적으로 논의하였다. 이로 인해 여성주의 소재 영화가 보다 현실주의적인 형식을 띠게 되었고, 다양한 요소, 다양한 관점 및 다양한 주제가 서로 융합되고 개발되어 여성 감독이 연출하는 여성 소재 영화는 더 다양화되고 많은 관심을 받으며 새로운 힘을 갖게 되었다. 본인은 여성으로서 자연스럽게 ‘여성’이라는 이슈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단편영화 <그냥 집에 가자>를 기획할 때 여성 소재 영화로서 시대적인 여성상을 표현하는 영화로 제작하고자 했다. 이 영화의 주인공은 세 명의 여성이다. 여성 주인공을 통해 현대사회에서 열심히 살아가는 자립적인 여성의 생활상을 반영하고자 했다. 영화에는 여주인공 김하나(金哈娜)와 안월연(安月妍 서브여주)을 통해 서로 다른 자립 여성의 이미지를 그렸다. 김하나는 가족의 문제로 열심히 일한다. 그리고 안월연은 부모의 죽음으로 자기만의 가족을 형성하고 싶어한다. 이들은 각각의 성장 환경과 가족의 영향으로 ‘가족’에 대한 이해 차이를 갖고 함께 생활하면서 의심과 갈등을 유발하게 된다. 결국 그들은 서로의 우정을 통해 상처를 치유하고 함께 성장하게 된다. 본 논문은 단편영화 <그냥 집에 가자>를 연구대상으로 2013년 이후 중국 여성감독의 여성을 소재로 한 영화의 성공적 경험 사례를 바탕으로 <그냥 집에 가자>의 프리 프로덕션,  프로덕션,  포스트 프로덕션 의 3단계 과정을 시나리오 창작, 인물 이미지 창조, 촬영기법, 색 보정 등과 같이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여성감독의 관점에서 여성주의 소재 영화의 제작방법과 여성의식의 영상표현을 탐구하고자 한다. Since the germination of the feminist movement, film has become an important communication medium for feminism and female consciousness. In the 1970s, in the male-dominated film industry, a group of female film workers appeared one after another in various countries around the world. They shaped the female images in the film from their own female perspective, reflecting the living conditions of contemporary women, and gave the society at that time New blood has been injected into the film industry and social culture. However, because the society at that time was still in a male-dominated society where men had the right to speak, the female-themed movies at that time did not present female consciousness well. By the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 with the development of society and the progress of people's thinking, countries around the world have gradually formed a social model of "gender equality". At this time, the society is more inclusive of the unique female consciousness possessed by female directors. Chinese female-themed films have achieved rapid development in the 21st century. Since 2013, Chinese female directors in the new era have explored topics related to women such as love, family, and marriage from a unique perspective, trying to reveal the true living status and inner world of women in society. At the same time, they incorporate more genre elements, use film and television language, boldly show personal feelings and life experiences, and conduct in-depth discussions on sensitive social issues. This makes feminist-themed movies present a more realistic style, and the integration and innovation of multiple elements, multi-angles and multi-themes makes female-themed movies directed by female directors more diverse, full of warmth and strength. As a woman, I tend to be interested in women's issues. <Let's Go Home> established itself as a female genre film in the early stages of planning. The main characters of the film are three women, and the content focuses on the survival status of independent women who are working hard in today's society. Two different, independent female images were drawn in the film (Hana Kim and Wolyeon Ahn). Kim Hana worked hard for her original family problems, and Ahn Wol-yeon yearned to rebuild her family love after her parents' death. The two experienced a series of doubts and conflicts as their understanding of the house changed due to the environment they grew up in and the influence of their original family, and eventually healed each other and grew together. From the perspective of female directors, this thesis takes the short film <Let's Go Home> as the main analysis object, and examines the production process of female-type films. After 2013, referring to the successful experience of Chinese female directors shooting female genre films, I conducted a practical analysis of the three stages of <Let's Go Home> planning, mid-term shooting, and post-production. Through the research and practice of theme planning, script creation, shooting location selection, actor and prop selection, shooting skills and picture color,  the goal of conveying women's consciousness through the women's theme movie <Let's Go Home>.

      •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자본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문화 간 감수성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이영설 금강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한국 사회의 다문화가정이 증가함에 따른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자본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들 간의 관계에서 문화 간 감수성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규명하여 삶의 질을 제고하는 결혼만족도 향상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20년 7월 1일부터 21일까지 수도권(서울, 경기)과 비수도권인 당진, 태안, 보령, 익산에 거주하는 결혼이주여성 중 한국인 남성과 혼인하여 동거하고 있는 외국 여성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의 국적은 중국, 베트남, 필리핀, 기타(태국, 일본)로 구분하였다. 결혼이주여성들의 한국어 이해 수준을 고려하여 설문 내용을 보다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베트남어와 영어로 번역한 설문을 마련하여 제공하였으며, 설문의 번역은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통역사의 도움을 받아 진행하였다. 조사를 위해 총 400명에게 설문을 배포하였으며, 317명의 결혼이주여성에게 설문지를 회수하고 분석하였다. 자료처리 및 분석은 SPS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수의 기술통계량은 사회적 자본의 경우 평균 3.43, 문화 간 감수성은 평균 3.41, 자기효능감은 평균 3.64, 결혼만족도는 평균 3.58로 통계수치보다는 보통(3) 수준 이상으로 나타났다. 자료 분포도 모두 정규분포에 가까운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주요 변수 간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사회적 자본은 문화 간 감수성, 자기효능감, 결혼만족도와 유의미한 정의 상관이 있었고, 문화 간 감수성은 자기효능감, 결혼만족도와 유의미한 정의 상관이 있었다. 자기효능감은 결혼만족도와 유의미한 정의 상관을 보였다. 셋째, 문화 간 감수성과 자기효능감은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자본과 결혼만족도 간의 관계에서는 사회적 자본은 결혼만족도에 유의미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문화 간 감수성은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자기효능감과 결혼만족도 간의 관계에서는 유의미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결혼이주여성이 인식하는 사회적 자본이 풍부하고 자기효능감이 높으면 결혼만족도는 높아진다. 부트스트랩 유의성 검증 결과, 사회적 자본은 결혼만족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자기효능감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문화 간 감수성만을 통해서는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사회적 자본이 문화 간 감수성을 향상시키고, 이는 다시 자기효능감을 향상시켜 결혼만족도가 증가하게 되는 이중매개 효과가 유의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를 위한 함의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자본과 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 간의 관계를 볼 때, 사회적 자본은 결혼만족도를 상승시키는 중요한 요인으로 예측되었다. 즉, 사회적 자본은 결혼이주여성이 한국 사회적응 및 정착을 돕는 핵심적 요소이며, 자신의 문화적 정체성을 원래 문화 배경에서 한국 문화 배경으로 옮기는 문화변용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가족, 이웃주민, 지역사회의 공동체, 나아가서는 한국 사회에 대해 신뢰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하고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여 적극적으로 사회구성원으로 참여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지원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사회적 자본과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문화 간 감수성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문화 간 감수성은 타 문화에 대한 질적 접촉 기회가 많을수록 타 문화를 접하며 느끼는 불안, 의심, 의문 등과 같은 부정적 측면의 충격들이 상대적으로 완화되기 쉽다. 결혼이주여성들도 한국문화에 대한 접촉 빈도를 높이고 학습하여 감수성을 증진하고, 결혼 후 한국에 정착하면서 한국문화를 자주 접한다면 감수성에 형성에 도움을 받을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문화 간 감수성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지 못한 이유는 조사참여자의 문화적 감수성 수준이 낮고, 낮은 문화적 감수성이 결혼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던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결혼이주여성이 타문화와 교류하는데 있어 자민족 중심에서 벗어나 문화 간의 장벽을 뛰어넘고 나아가 효율적이고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지지해 줄 때 결혼만족도는 증가되어 효과적인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문화 간 감수성과 자기효능감은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자본과 결혼만족도 간의 관계를 순차적으로 이중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결혼이주여성이 우리 사회에서 인식하는 사회적 자본은 결국 정부의 물적 지원이나 주변의 정서적지지를 의미한다는 점에서 한국 사회로부터 제공받고 혜택을 얻었다는 인식이 우리 문화를 또 다시 이해하고 수용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자기효능감은 다시 결혼 만족에 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자기효능감의 경우 자신의 삶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믿음을 통해 정서적 충족감이나 행복감 등을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결혼 만족에 있어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