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손교교 한남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2

        오늘날 국제사회에 있어서 인적교류의 필요성은 세계화로 인해 점점 증가되고 있다. 전 세계의 글로벌화의 추세에 따라서 한국에는 많은 외국인 유학생이 와있으며, 특히 중국인 유학생의 한국 유학이 해마다 급증하고 있다. 본 연구는 현재 한국에서 외국인 유학생 가운데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는 중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실태를 파악하는데 그 연구목적을 두었다. 연구내용은 언어적응과 대학생활적응 양방면으로 나누었으며 중국인 유학생의 적응실태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대전 · 충청 지역에 위치한 H대학교에 재학 중인 중국인 어학연수생, 학부생 및 대학원생 93명을 대상으로 언어적응 설문과 대학생활적응 설문(SACQ)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조사대상의 일반적인 특성, 언어적응의 정도 및 대학생활적응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 평균, 표준편차, 신뢰도분석, 일원분산분석을 적용하여 실시하였으며, 언어적응과 대학생활적응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하여 도출해 낸 구체적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재한 중국인 유학생은 언어적응에 있어서 한국어수업 듣기 측면이 가장 강하고 한국어문장 쓰기가 가장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언어적응도의 차이는 성별, 연령, 학습과정, 체류기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여학생은 남학생보다 언어적응에 더 잘 하고, 연령이 많을수록, 학습과정이 높을수록, 체류기간이 길수록 한국어를 더 유창하게 구사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경제수준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의 하위요인 중 대학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대학생활적응도의 차이는 성별, 연령, 학습과정, 체류기간, 경제수준에 따라 각 집단 간에 약간 차이가 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언어적응도와 대학생활적응도에 대한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언어적응과 학업적 적응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언어적응도가 높을수록 학업적 적응을 더 잘 한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대학생활 적응은 언어적응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중국인 유학생들의 대학생활에 잘 적응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법을 통한 한국어능력 향상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중국인 유학생들의 적응을 돕기 위해 언어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적응을 위한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 다문화청소년 언어적응의 결정요인과 학교생활에 미치는 영향 : 학교생활적응과 학교성적을 중심으로

        최인지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2

        Since the low school enrollment rate and high dropout rate of ‘multicultural youth’ in Korea may be related to their language adaptation problems,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linguistic acculturation patterns on their school life and the factors that lead to different linguistic acculturation patterns. Based on data from the 5th wave of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1(MAPS 1) conducted by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1,020 second-year middle school students born to immigrant mothers and Korean fathers were sampled. The linguistic acculturation pattern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by combining both their Korean language and mother country language proficiencies based on Berry's acculturation model: ‘bilinguals(integration)’, ‘Korean monolinguals (assimilation)’, ‘foreign language monolinguals(separation)’, and ‘limited language users(marginaliza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limited language users’ showed the most negative outcomes in all variables, while ‘bilinguals’ showed the most positive consequences. Second, the impact of linguistic acculturation patterns on school adjustment emphasized bilingualism, while the impact on academic achievement emphasized the use of Korean. Third, family factors such as mothers' Korean language proficiency, communication language with parents, interest in the mothers' country, parenting attitude, and mothers' acculturative stres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linguistic acculturation pattern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vides practical policy suggestions for the desirable linguistic acculturat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 탈북 청소년의 남한 사회 적응을 위한 화법 교육 연구

        김효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1

        많은 탈북 청소년들이 학교 교육 현장에서 학습부진과 부적응을 겪고 있다. 이러한 언어 부적응의 원인을 단순한 남북한 어휘의 차이로 보는 경향이 있었으며, 탈북 청소년들의 학교 교실이나 사회에서의 실제적인 의사소통 상황에서의 어려움을 간과하고 있었다. 이에 본고는 사회문화적인 소통의 언어적 기능인 화법에 중점을 두고 살펴보았다. 실제로 어휘를 몰라서 겪는 어려움보다 사회적 맥락과 상황의 차이로 인한 소통의 오해와 갈등이 더 문제가 크다고 보기 때문이다. 2장에서는 탈북 청소년을 위한 화법교육의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탈북 청소년의 언어적응 실태를 제시하였다. 현재 탈북 청소년들은 일반학교에 적응하지 못하고 중도 탈락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들의 부적응의 원인으로 언어 부적응이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탈북 청소년들은 언어 차이로 인해 언어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러한 언어 부적응은 사회 부적응으로 이어진다. 실제 탈북 청소년 설문조사를 통해, 탈북 청소년이 느끼는 남북한 언어의 가장 큰 차이점은 ‘어휘>발음 및 억양>한자어>언어 예절’의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담화 상황에서 적절한 화용 표현을 사용하여 의사소통을 하는 문제는 어휘문제보다 더 큰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해야 한다. 탈북 청소년들의 언어 적응은 단순한 언어의 차이 때문이 아니라 문화의 차이에 의한 어려움을 극복하는 것이다. 이러한 탈북 청소년들의 특수성을 고려할 때 그들의 언어적응을 도우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 지 분명해진다. 탈북 청소년들의 언어적응은 곧 사회문화적 적응을 의미하며 언어교육에 있어서 탈북 청소년을 위한 화법 교육이 필요하다. 3장에서는 남북한 화법교육을 분석하고 그 차이를 비교하여 탈북 청소년들을 위한 화법교육의 내용을 설정하는 바탕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특히 남북한의 화법의 차이를 구체적으로 분석한 결과, 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목표로 하는 남한의 화법교육과 달리, 북한의 화법교육은 주체사상의 선전 선동을 목표로 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특히 남북한의 언어 예절에서 ‘호칭어․지칭어’ 양상이 다르고, 탈북 청소년이 느끼는 화법의 차이에서는 ‘간접화법’과 같은 담화 상황에 따른 의사소통의 어려움이 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4장에서는 탈북 청소년을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화법교육과정을 살펴보고 탈북 청소년에게 필요한 화법의 방안을 마련해 보았다. 특히 하나원 소재 하나둘 학교의 국어 교과서와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초기 입국한 탈북 청소년들의 언어적응 교육 중 화법교육과 관련된 부분을 중심으로 분석해 보았다. 하나둘학교 국어 교육은 실제적인 상황과 맥락 중심으로 담화 텍스트를 제공하는 활동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탈북 청소년을 위한 화법교육의 지도 방안을 마련해 보았다. 앞에서 고찰한 남북한 화법의 차이와 실제 탈북 청소년들의 화법교육 요소를 바탕으로 내용을 선정하였다. 화법교육 내용으로 ‘호칭․지칭어, 간접화법, 화용 표현’ 을 중심으로 설계하였다. 그리고 실제 교수 학습모형은 학습활동을 중심으로 하는 과제 수행 모형을 제시하였다. 교사의 직접교수와 함께 여러 담화 상황을 경험할 수 있는 학생활동 중심 학습모형을 구안해 보았다. 탈북 청소년을 위한 화법교육의 지향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법적 능력을 기를 수 있어야 한다. 문법적 능력이란 문법이라기보다는 발화에서 사용되는 어법의 개념이다. 탈북 청소년의 언어 적응을 위해 부적절한 문장이나 경어법, 잘못 사용되거나 부자연스러운 단어들과 호칭 및 지칭어 등과 같은 내용이 포함될 필요가 있다. 특히 호칭과 지칭은 대상 인물과의 관계를 직접 규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탈북 청소년을 위한 화법교육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둘째, 사회언어학적 능력을 기를 수 있어야 한다. 특히 탈북 청소년의 화법 교육에서는 문화적 차이에 따른 화법 교육이 필요하다. 특히 탈북 청소년들에게 남한 사회의 다양한 화법 상황은 이질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경우이다. 따라서 탈북 청소년에게 사회언어학적 능력을 기를 수 있는 화법 교육은 필수적이다. 셋째, 담화 능력을 기를 수 있어야 한다. 담화능력은 대화의 규칙들을 준수할 수 있는 능력이다. 탈북 청소년들에게 다양한 담화 상황을 제시해 주고 의사소통 학습의 기회를 제공해 주어야 할 것이다. 넷째, 전략적 능력을 기를 수 있어야 한다. 전략적 능력은 어떤 언어 행위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실행과정을 말한다. 즉 대화의 목적에 따라 의사소통 기술을 다르게 발휘해야 하는 것이다. 탈북 청소년에게는 칭찬, 사과, 거절, 감사 등이 가지는 기능과 함께 이런 대화를 하는 전략이 화법 교육에 포함되어야 이런 유형의 대화를 하는 전략이 화법교육에 포함되어야 한다.

      • 중국계 중도입국청소년의 방과후 영어수업 참여경험에 나타난 정체성 협상

        조진경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8684

        중국계 중도입국청소년의 방과후 영어수업 참여경험에 나타난 정체성 협상 이 연구는 중국계 중도입국학생들이 방과후 영어수업에 참여하면서 나타낸 경험의 양상과 그 경험을 통해 도출된 정체성 협상의 의미를 문화기술지 연구방법으로 탐색한 질적 연구이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도입국청소년의 영어수업 참여경험은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는가? 둘째, 중도입국청소년의 영어수업 참여경험에 나타난 정체성 협상의 의미는 무엇인가? 중도입국청소년의 발생 배경으로 디아스포라와 다문화사회, 결혼이주와 중도입국청소년 그리고 정체성 협상의 의미 분석을 위해 정체성 협상, 언어문화 적응, 그리고 그 양자 간의 관계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구는 우리사회의 새로운 유형의 이주민인 중도입국청소년을 모국을 떠나 정주국에 살면서도 자신의 정체성을 유지하고 동족과의 국제적 유대관계도 지속하는 디아스포라적 특성을 지닌 집단으로 인식하였다. 그리고 인간은 타자와의 상호작용 속에서 끊임없이 자신의 정체성을 협상하고 성찰함으로써 재구성하는 존재로, 정체성은 언어 태도를 통해 나타난다고 보았다. 마지막으로 중도입국청소년들은 이중언어․문화적이기도 한데 이런 점이 그들을 사회에서 특별하거나 독특한 존재로 만든다고 논의하였다. 이 연구의 연구참여자는 중국계 중도입국청소년 6명과 교사 4명으로 총10명이다. 연구를 위한 자료는 2015년 4월부터 2016년 1월 기간 중 참여관찰, 심층면담, 영어저널을 통해 수집하였다. 참여관찰은 2015년 4월13일부터 6월 29일 기간 중 총 10회 실시하고 관찰일지를 작성하였다. 심층면담은 자료수집 기간 중 총 46회의 형식적 및 비형식적 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영어저널은 1년여에 걸쳐 작성된 것으로 연구참여자 중 1인의 것이다. 중도입국청소년들의 참여경험을 살펴본 바에 따르면, 그들의 교사와의 상호작용은 언어태도에 따라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났다. 언어태도의 인지 측면에서 영어를 필요하거나 중요한 교과로 대부분 인식하지만, 정서 및 행위 측면에서 적극적이거나 소극적으로 혹은 우호적이거나 비우호적으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영어수업 참여경험을 통해 나타난 중국계 중도입국청소년들의 양상과 정체성 협상의 의미를 도출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도입국청소년들은 정체성 혼란을 개인별로 다양하게 자각하고 있었다. 즉 국제이주로 인한 현실의 혼란스러움에 대해 자기방어나 무기력함 등으로 협상적(Goffman,1983) 대처를 하고 있었다. 둘째, 중도입국청소년들은 정체성 시도(Campbell,2010)를 하고 있다. 즉 정체성 혼란의 와중에 자신들의 현실을 자각하고, 여러 개의 정체성을 거치면서 새롭게 정체성을 재구성하고 있었다. 이는 자신들의 갈등이나 문제를 제3자의 도움 없이 스스로 해결하려는 일종의 협상(Cohen,1980;강문희,2001)으로 편견과 차별적 대우에 의도적 무반응을 나타내거나, 한국어 습득을 위해 또는 자신의 부적응을 감추기 위해 중국 친구들과 거리를 두기도 했다. 셋째, 중도입국청소년들은 동일시를 통해 집단 소속감을 느끼고 있었다. 자신의 소속을 선택하고 자신의 능력이나 현실적 필요의 희생, 집단 내 구성원에 대한 연민이나 애착 형성, 책임의식 등의 강조, 혹은 일종의 망설임, 주저 등 고려의 입장을 통해 동일시와 소속감의 유형을 나타냈다. 넷째, 중도입국청소년들은 정체성 재구성을 통해 다양한 정체성을 형성해 가고 있었다. 한국행은 가용자원 사이의 협상의 산물로써 한국으로의 이주는 더 나은 삶을 위한 선택인 동시에 ‛더 나은 삶에 대한 열망'으로 동기 부여되고, 지속되는 양상을 보였다. 연구 결과에 따른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도입국청소년들의 독특한 특성을 고려한 언어문화 적응 교육이 시급하다. 이주 후 이중언어 교육과 더불어 모국어를 통한 학습지원을 통해 배움이 단절되지 않도록 지원해야 한다. 세계어인 영어교육에도 이들의 학습보조어로 한국어 외에 모국어를 고려해 볼 만하다. 둘째, 중도입국청소년의 다양성에 대한 이해와 교육적 고려가 필요하다. 정체성 차원의 다양성과 역동성에 대한 이해를 통해 이들의 독특성과 특이점이 교육의 장애로 작용하지 않도록 배려해야 한다. 또한 이들의 삶이 주변화되지 않도록 진로와 진학 등에서 주류사회로의 진입 기회가 제공되어야 한다. 셋째, 우리사회의 다문화 수용성을 제고해야 한다. 이들의 정체성 혼란의 가중과 공동체에 대한 소극적 책임의식에는 우리사회의 차별과 편견적 태도가 크게 작용하고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학교교육과정에서 포괄적 추상적 개념으로 다루어지는 다문화 교육이 좀 더 실제적이고 구체화된 교과내용과 방법으로 적용되어야 한다. 또한 모든 학생, 학부모, 교사에 대한 다문화 수용성 교육이 좀 더 구체적으로 내실 있게 진행되어야 한다. 세계화의 영향으로 한국사회가 빠른 속도로 다문화화하고 있고 이런 변화 속에 학교 구성원들은 문화적으로도 매우 다양해지고 있다. 특히 중․고등학교에서 해마다 늘어나고 있는 중국계 중도입국청소년의 한국사회 적응은 다문화 교육의 주요 과제 중 하나이다. 이들이 우리 사회 다수 청소년과 더불어 미래 다문화사회의 건강한 구성원으로서 자리매김하도록 도와야 한다. 따라서 이들의 재사회화 과정에 한국사회에서 한국어와 더불어 의사소통의 주요한 수단인 영어라는 언어를 통해 이들의 언어문화 적응과 정체성 협상을 탐색한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었다. 이와 관련하여 학교 급별, 교과별 다양한 연구가 이어지길 바란다.

      • (A) comparative study on both Chinese versions of moment in Peking : with reference to linguistic adaptation theory

        번미 부산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8654

        This study mainly tried to explore the cultural translation and the corresponding translation strategies from the perspective of Jef Verschueren’s pragmatic adaptation theory, and to conduct comprehensive research on the styles of both Zhang Zhenyu’s and Yu Fei’s Chinese versions of Mr. Lin Yutang’s world famous English novel Moment in Peking, using English-Chinese parallel corpus, Wordsmith 6.0 and Antconc. Mr. Lin is a world-renowned bilingual and double culture writer and translator, and his novel Moment in Peking was nominated for the Nobel Prize in Literature four times. In 1977, Zhang Zhenyu, an expert in the study of Lin Yutang, published his Chinese translation of Moment in Peking (《京华烟云》). In 1991, Yu Fei published his Chinese translation of Moment in Peking (《瞬息京华》). Few people made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comparisons between Yu Fei’s and Zhang Zhenyu’s transl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adaptation theory. In this dissertation,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employed. On the one hand, qualitative methods were employed to analyze how the two translators made adaption to achieve their translation purpose, and what cultural translation strategies they employed in the process of adaptation. Firstly, both versions have achieved faithfulness to the original text on the whole. Secondly, in terms of linguistic adaptation degree, there are both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application of translation methods and strategies in these two versions. Thirdly, Mr. Yu adopted a way of literal translation so as to maintain faithful to the original text, while in order to realize the same function as the original text, Zhang often used free translation, for example, converting parts of speech and regrouping syntactic structure, etc. On the other hand, the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with Wordsmith 6.0 and Antconc were employed to compare the different styles of the two versions. The major findings in this aspect are as follows. Firstly, in the lexical aspect, according to ranking of key words, the top ten key words in the two versions are nearly the same.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key words that are the same and those that are different with Chinese cultural characteristics in the two Chinese versions, most of the key words that are the same and those that are different can be seen as belonging to surface level culture. Secondly, at the syntactic level, the average length of the sentence fragments within Yu’s version is slightly larger than that of Zhang’s version. In the syntactic adaptation aspect, according to the Chinese mode of thinking and coherence, Mr. Zhang applied the translation strategies of changing prepositional phrases and nominal phrases into sentences, and reorganizing sentence, etc, in order to make the semantic expression more distinct and smooth, and description more exquisite, while most of Mr. Yu’s version abided by synthetic ordering of the source text, and used more concise expressions. Thirdly, under the guidance of the purpose of translation, in order to obtain Chinese readers’ acceptance, Mr. Zhang showed a higher degree of significance of adaptation, because he took into account the contextual relevance and syntactic structure, the intention of the original author and the acceptability of the target audience. Yu reduced the demanding of microscopic elements such as conversion of parts of speech, syntactic ordering, and discourse cohesion. Therefore, he showed a lower degree of significance of adaptation. Keywords: Moment in Peking; linguistic adaptation theory; cultural translation; contextual correlates; structural objects; Wordsmith 6.0; Antconc 본 연구는Jef Verschueren의 언어 적응설의 관점에서 张振玉和郁飞가 번역한 林语堂의 Moment in Peking의 중국어 번역본을 비교대조분석 하였다. 林语堂은 이중언어와 이중문화에 능숙한 세계적인 작가이자 번역가로서 소설 Moment in Peking은 1977년에 张振玉에 의해 《京华烟云》 중국어판이 출간되었고 1991년에는 郁飞에 의해 《瞬息京华》 중국어판이 출간되었다. 본 연구는 두 번역본을 출간한 작가가 언어 적응설을 번역작품에 어떻게 적용하였는지, 어떤 문화전략을 사용하였는지 관점에서 비교분석한 결과, 원작에 충실하기 위해 郁飞는 직역을 한 반면에 张振玉은 어휘를 대체하거나, 문장을 재구성하는 등 가독성번역에 충실하였다. 또한, 병렬말뭉치Wordsmith 6.0, Antconc를 통한 분석결과, 두 번역본의 검색어 나열순위는 거의 유사했으며, 중국문화 관련 검색어는 표면적인 것들이 대부분이었다. 통사적으로 郁飞의 번역본은 张振玉의 번역본에 비해 문장이 긴 편이었으며, 언어 적응설의 관점에서 张振玉은 중국어의 사고방식과 문장 연결법에 기반하여 세부적인 부분까지 고려하여 정확하고 자연스러운 언어를 사용하였다. 다른 특징으로는, 명사중심 문장으로 번역했으며, 문장 재구성 등 다양한 번역기법 사용이 밝혀졌다. 대조적으로, 郁飞는 원작의 어순을 그대로 따랐고, 보다 쉬운 표현기법을 취하였다. 张振玉은 문맥 사이의 연관성과 통사구조에 신경을 썼을 뿐만 아니라 원저자의 집필목적 그리고 독자들이 얼마나 받아들일 수 염두에 두고 최대한 중국 독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반해 郁飞는 어휘, 어순, 담화 등 미시적인 영향 요소에 대해 소홀했음이 밝혀졌다. 키워드: Moment in Peking; 언어 적응설;문화번역;문맥 적응;구조 적응;Wordsmith 6.0; Antconc

      • 대구지역 새터민의 언어적응 양상 연구 : 음운을 중심으로

        배준영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54

        This study focuses on the language adaptation of the Saeteomin (North Koreans in South Korea) in Daegu a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xamining the pronunciations of the Saeteomins residing in Daegu area and see how they change over time in their settlement periods. For thi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onunciation of 28 Saeteomins residing in Daegu area by classifying them into phoneme systems, phoneme phenomena, and layers of the tones. The pronunciations investigated were compared to the pronunciation of the Daegu dialect speakers that are selected as the control group dialect and a point was given if the pronunciation of the Saeteomins were the same was the control group dialect and no point if they are not the same. Through this study, whether the pronunciation of the Saeteomins is any similar to their settlement area of Daegu. Chapter 3 specifically presen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main points of each chapter are as follows: 3.1. Examines the adaptation trends by classifying them into a single vowel, diphthong, and consonants. 3.1.1. Investigates the pronunciation of the Saeteomins in the different /ㅓ/ and /ㅗ/, /ㅓ/ and /ㅡ/, and /ㅡ/ and /ㅜ/. In the case of /ㅗ/, the speakers with less than 2 years in the settlement among the Saeteomins in their 20s and 30s often showed [ɔ] and the speakers in their 40s and 50s often showed the pronunciation of /uh/ with [ɔ] or [ɨ]. 3.1.2. The application of the diphthong examined the pronunciations of the Saeteomins in omitting ‘j and ‘w’ as well as the ‘ㅢ’ pronunciation. The speakers in their 20s and 30s showed an increase of the adaptation rates as their settlement time increased, but the speakers in their 40s and 50s showed a lower adaptation rate as their settlement time increases. 3.1.3. The adaptation of the consonants examined the pronunciation of the Saeteomins in the /ㆁ(ng)/ between the consonants of /ㅈ(z),ㅉ(zz),ㅊ(ch)/ and /ㅅ(s),ㅆ(s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nunciation of /ㅅ(s), ㅆ(ss)/ in front of the vowel /ㅣ(ee)/ often showed the alveolar consonants of [s, sʹ]. In addition, the pronunciation of /ㆁ(ng)/ between vowels often showed the pronunciation of [ŋŋ], rather than [ŋ], but it is hard to see it as an overcorrection. 3.2 Examines the pronunciation adaptation tendency of the Saeteomin in the 9 phoneme phenomena. 3.2.1. The initial sounds of the syllable showed that the adaptation rate is different depending n the age and the settlement period of the Saeteomins. In addition, the types of the nouns and the frequency of the vocabulary use, the adaptation of the initial sound of the syllable is different. 3.2.2. The palatal sound showed that the adaptation tendencies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dialects of the Saeteomins’ origin and the realization tendency also differs depending on the grammatical functions of /이(ee)/. 3.2.3. The retrograde assimilation of ‘이(ee)’ examined the differences in pronunciation of the Saeteomins from the different literary regulation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in “지팡이(jipangi)” and “곰팡이(gompangi).” 3.2.4. The addition of ㄴ- often showed the cases where the control group dialects were not uniform and calculating the adaptation scores was difficult. However, the Saeteomins in their 40s and 50s showed an active ㄴ-addition in the Chinese character languages. 3.2.5. the simplification of the double final consonants showed that the double final consonants of ‘ㄼ(lb)’ and ㄺ(lg)’ stayed in their original pronunciation often regardless of the settlement period or their age. Therefore, adapting the double final consonants may be quite difficult. 3.2.6. Aspiration and 3.2.7. fortis could confirm the differences in the pronunciation from the speech techniques from the advertisements and motivations of North Korea as well as the education of the speech and speaking in a few items in the questionnaire. However, the investigative items were not enough to discover a confirmative difference. 3.2.8.The prolonged sound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hanges that can be us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control group dialects and the pronunciations of the North Koreans in South Korea. However, the case of “끝을(ggeuteul),” the Saeteomin in their 20s and 30s changed their pronunciation from [끄틀(ggeuteul)] to [끄츨(ggeucheul)] to adapt to the dialects in the Daegu area as their settlement time become longer. 3.2.9. The vowel assimilations showed that the majority pronounce the same way as the control group dialect. However, a few of the Saeteomin volunteers pronounced ‘이거 받아(eegeo bateo)’ and ’이거 알아(eegeo ara)’ as [이거 바더(eegeo badeo)] and [이거 아러(eegeo areo)], which can be presumed as the female speakers in their 20s and 30s to imitate the Seoul dialect. 3.2.10 Analyzed the adaptation scores and the adaptation rates for each phoneme phenomen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peakers in their 20s and 30s increased the adaptability of the phoneme phenomena as they settled for longer period of time, but the speakers in their 40s and 50s either show a lower adaptation rate or maintain the same rate. 3.3. Examined the tones of the Saeteomin in the 2, 3, or 4 syllable words in comparison to the control group dialect. 3.3.1 Analyzed the tones of the Saeteomin on the 2 to-syllable tones in the control group dialect. HH and RH is often pronounced as LH in the early settlement and goes through HL to adapt to HH and RH and in the case of HL, it was often pronounced as LH and went through HH to become HL while the case of LH showed that the Saeteomins usually pronounce them as LH originally, but the speakers who have been settled for more than 4 years paradoxically showed HH or HL than LH, which may be the overcorrection of the accent. 3.3.2 Analyzed the tones of Saeteomin on the tone types in 6 of the 3-syllable words. In the case of LHL, the tone of the Saeteomin often showed LLH or HHL in the beginning, but adapts to LHL or maintains HHL. In the case of HHL, the LLH or LHL tones appear in the beginning, but adapts to HHL in the intermediate settlement period while the LHL shows in the speakers who have been settled for more than 4 years. Other HLL or RHL often show as LLH in the beginning, but adapt to LHL or RHL and the case of LLH adapts to LHL or HHL, not LLH similar to the 2-syllable LH, which may be the overcorrection of the accent. 3.3.3 Examined the LLHL as the 4-syllable tone in the control group dialect in the Saeteomin population. As the result, in the early settlement, it is often pronounced as LLLH, LHLL, or LLHL but undergoes many transitional tones to adapt to LLHL. 3.4 Compared the overall language adaptability suggested in 3.1, 3.2, and 3.3.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honeme systems and the phoneme phenomena showed above the average adaptability regardless of the ages and the tones showed lower than average adaptability. In addition, the comparison graph of the overall language adaptability by age, the adaptability according to the settlement period is much steeper in the speakers in the 20s an 30s than the Saeteomin population in their 40s and 50s, which showed that the language adaptation of the Saeteomin also differs by age.

      •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적응 실태 :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적응을 중심으로

        리 통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7

        现今社会,国家经济迅速发展,移动的情报和资本以及人们之间的相互作用,已经成为一个研究话题。这种现象被叫做全球化,特别是在全球化的过程中,国际间的移民主体所构成的国际人口移动已经成为非常引人注目的现象。 移居的主体者们,以不同的动机,在全球化的脉络下,为了自己现实的目标,实现了自己时间和空间的转移。所以一般情况下,在向一个国家流入的过程中,移居民的流入性格、背景、资本(经济、社会、文化等)的融合,资本的转换,以及在此过程中的适应与定着,具有很大的共同点。等陆的目的、时间以及是否回归本国,合法地位等方面有着不同。 移民在融入主流社会的过程中,期望利用自己的资源实现自身价值,同时对社会经济做出贡献。移民资本主要由其经济资本和非经济资本构成。非经济资本包括文化资本(即移民的教育和职业技术专长)和社会资本(即移民的社会关系网)。移民原拥有的各种各种资本的量和质不一,其转换的潜力也不同,他们并不能保障自己所拥有的资本能够得到充分利用或是再生。 布迪厄尔将资本分为经济资本、文化资本和社会资本。经济资本就像我们所理解的那样,其意义就是实物资本和金钱资本。社会资本就是社会成员个人,在所属集团中所形成的潜在的连接网(network)资源。文化资本是文化和知识市场下,对于我们认识社会、解析社会、如何对社会中的人进行选择或排斥,以及揭露某些人通过借此操纵社会运作和所形成的不平等现象,具有普遍意义。 移居者的经济融合,不仅仅是移居者个人努力的结果,在他们融合的过程中也需要社会的努力。为了实现这些努力,移居者之前的学历或者职业经历的认证,也被认为是一种好的方法。语言资本的社会功能和社会效力从社会学的角度通过对社会关系的分析来认识,因为社会关系的形成和发展依赖于人与人之间的沟通和交流。不仅语言的使用反映出一种社会关系,语言所表达的概念也以各种形式又对社会科学起着支配作用。因此,语言不但是社会研究的工具,也是社会研究的对象。语言能力要成为语言资本有赖于与相关市场的关系,即持该语言的人的习性与该社会情形之间的关系,这种关系揭示了话语人在特定的社会体系和种族构成中的社会经济地位。习性产生于构成特别环境的复杂社会结构之中,它稳定持久却又可置换。 外国留学生移民到韩国不仅仅是人才这种文化资源的移动,作为人的移动也伴随着经济的、社会资源的移动。中国留学生在韩国,利用其特殊的身份,不仅受到韩国社会的包容,同时也受到韩国社会的排挤,也就是说,他们受到经济的贫困、社会的排挤、文化的混乱等问题。这种现象在韩国叫做文化排他主义。韩国人对同族的关爱,和对他民族的排他性是有差别的。韩国人的自我意识的概念完全区别于两方的个人主义意识,它具有包括主义的集团意识。 如果要研究留学生在没有经济资源的情况下,当然首先我们最关注的是经济问题,中国留学生在韩国学校和地区社会的适应生活中,经济问题应该是比较严重的话题,他们在韩国社会和韩国人一起学习,在不同形态的作用下生活,这包括他们的经济活动和个人的生活,也就是说中国留学生在韩国社会生活费不足的、学费不足、打工、奖学金、居住等问题。如果要谈留学生经济问题,也免不了要谈其家庭情况。因为家庭情况对他们来说是很重要的。比如父母的职业、经济地位等都对其产生很大的影响。 在韩国中国留学生的经济适应、社会适应、文化适应等多方面的领域的作用下,虽然经历着很多困难,但这其中对他人的关系问题是非常重要的。`关系`是指人与人的关系,特别是私人的人脉,`关系`这个词在中国社会很重要。中国留学生在韩国形成了社会空间的关系网,可以分析成大规模的资源(个人的、地区社会等),所以这种社会空间的关系网形成的原应是指的分析的。 在韩中国留学生非常困难的部分是对人关系,他们在韩国社会适应的同时形成了能够得到帮助的社会支持,这便是社会的关系网。所以在他地生活的留学生们,赋予了更多的意义--文化适应过程和与之关联的适应。中国留学生在韩国适应的过程中形成了新的关系网。也就是学校外的关系网和学校内的关系网。对于留学生来说,他们的生活和学习与学校密不可分,所以学校内的关系网尤为重要。所谓学校内的关系网就是在学校生活的过程中,所接触的教育环境即课程和学校内朋友的关系,教师之间的关系等。为了生硬个人的要求,学校生活所有的情况都在根据他们所希望的在变化。 中国留学生的整体性分为民族的整体性、文化的整体性和国家的整体性三部分。同时,这种整体性受到个体性和心理构造的影响,也受到集团概念构造的局限。中国留学生的整体形是指学习毕业后他们的生活和现实反映的结果。他们为了适应韩国的文化,很大程度上改变了原有文化。比如,中国人之间自然而然的说韩国语,对韩国人的印象不断变化,观看韩国的电影和电视剧等多种整体性的变化。不仅如此,他们在韩国生活也产生了特殊的感情。 在文化资本的利用和转换过程中,社会资本所起的作用非常大。因此,社会关系网是留学生移居和适应过程中比较重要的环节,社会关系网理论在本论文中是非常需要介绍的。从社会关系网的概念中引申出了“网(network)”的用语,它是从人类学的领域中最先使用的。 中国留学生在移居和适应的过程中,经历着经济的贫困,社会的排挤,文化的混乱。在此过程中不仅不停的进行着资本转换而且进行着移民融合。

      • 부모의 언어적 학대와 아동의 정서적 부적응행동과의 관계

        김혜련 숙명여자대학교 1994 국내석사

        RANK : 232318

        아동학대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는 주로 외형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범주의 신체적 학대에 국한된 것으로서 정서적 학대의 영역을 다루지 못한 것이거나 정서적 학대 및 신체적 학대를 구분하지 못하고 아동학대의 포괄적인 범주안에 넣어 중복되는 혼동을 통제하지 못한 채 그 영향력을 분석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뿐만 아니라 학대가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에 관해서도 요보호 아동이나 가출아동 및 이미 문제아동으로 취급된 아동만을 대상으로한 연구가 주류를 이루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반아동을 대상으로 비신체적 학대 즉, 정서적 학대 영역에 포함되는 언어적 학대의 부정적인 영향력을 파악하는데 일차적인 목적을 두었다. 연구문제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아동이 경험하는 부모에 의한 언어적 학대 및 신체적 학대의 실태는 어떠한가. 2. 아동이 경험하는 부모에 의한 언어적 학대와 관련변인(신체적 학대, 아동의 성, 연령, 가족의 사회경제적 지위(SES))과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3. 부모에 의한 언어적 학대, 신체적 학대 및 제 변인(아동의 성, 연령, SES)과 아동의 정서적 부적응 행동과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또한, 아동의 정서적 부적응 행동과 가장 관련이 큰 변인은 무엇인가. 4. 아동의 정서적 부적응 행동과 관련된 부모의 언어적 학대와 신체적 학대는 상호 어떠한 관련이 있는가. 본 연구에서는 18세 미만의 일반 아동으로서 연령 및 성별, 계층간의 차이를 고려하여 서울시에 위치한 국민학교 4학년 남녀 아동 각각 120명, 6학년 남녀 아동 각각 120명, 중학교 2학년 남녀 아동 각각 120명, 총 720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측정도구는 대상 아동이 직접 응답하도록 하는 질문지로 구성되었다. 부모에 의한 언어적 학대 측정 도구와 신체적 학대 측정도구, 그리고 아동의 정서적 부적응 행동 및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의 총 4가지 척도가 본 연구에 사용되었다. 자료분석과 통계절차를 살펴보면, 먼저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언어적 학대 및 신체적 학대의 실태와 현황을 알아보기 위하여 평균, 백분율 등을 산출하였다. 언어적 학대와 제 변인과의 관계 및 그 영향력을 규명하기 위해 언어적 학대를 준거변인으로 하고 신체적 학대와 연령 성 그리고 사회경제적 지위(SES) 점수를 예측변인으로 하여 성(Sex)을 가변수(dummy variable)로 포함하는 중회귀 분석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또한 아동의 정서적 부적응 행동과 관련 변인들의 주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 (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정서적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신체적 학대의 3 수준에 따른 언어적 학대의 효과를 명확히 규명하기 위하여 로지스틱 곡선 (Logistic Curve)그래프를 이용하여 그림으로 표시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사회의 일반가정에서 발생하는 언어적 학대 및 신체적 학대의 발생 비율은 전반적으로 높지 않았으나, 언어적 학대의 경우 각각의 항목에 대해 응답자의 평균 20% 정도가 지난 한해 동안 언어적 학대의 희생자로서 적어도 한번의 경험을 했다고 보고하였다. 신체적 학대의 경우 가벼운 정도의 輕度학대는 문항별로 연구대상 아동의 평균 47%가 1년에 1번 이상의 신체적 학대를 경험하고 있었고, 상해의 위험이 큰 重度학대의 경우 평균 6%로서, 輕度학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아동이 경험하고 있었다. 또한, 언어적 학대 및 신체적 학대의 주 행위자는 어머니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신체적 학대가 많은 가정일수록 언어적 학대의 발생빈도 역시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이 높은 아동일수록 언어적 학대를 많이 받고 있음을 보였다. 사회 경제적 지위 및 아동의 성은 부모에 의한 언어적 학대와의 관련성을 찾아볼 수 없었다. 셋째, 아동의 정서적 부적응행동을 설명하는 제 변인들의 효과를 검증한 결과 아동의 위축행동, 과잉행동, 공격행동, 퇴행행동 및 강박행동 모두에 매우 유의미한 관련성을 보였으며, 가장 큰 주효과로 작용하는 변인이 언어적 학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신체적 학대는 위축행동과 퇴행, 강박행동을 설명하는 예측변인으로서 기여하지 못했다. 또한 여아보다 남아가 과잉행동에서, 남아보다 여아가 퇴행 행동과 강박행동에서 높은 발생가능성을 보였으며, 연령이 낮을수록 위축행동을 보일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을수록 위축행동이,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을수록 강박행동이 보다 높은 발생률을 보였으며, 과잉행동, 공격행동, 퇴행행동에서는 영향력을 갖지 못했다. 넷째, 위의 결과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신체적 학대 수준 별로 3집단 분류를 통해 각 집단 별로, 언어적 학대가 정서적 부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정서적 부적응행동의 모든 유형에서 언어적 학대와 정적인 관계를 보였다. 즉, 부모에 의한 언어적 학대가 심한 아동일수록 신체적 학대의 유무, 혹은 경중에 상관없이 모두 정서적 부적응행동의 발생 가능성이 증가하였다. 또한 정서적 부적응행동 유형에 따라 언어적 학대와 신체적 학대와의 관계 및 그 영향력은 다르게 나타났는데, 위축, 과잉, 강박에 있어서는 언어적 학대의 주효과 뿐만 아니라 신체적 학대와의 상호작용효과를 설명해주고 있다. 그외, 공격과 퇴행의 경우, 비학대아동 집단이 언어적 학대에 대한 민감한 효과를 보였는데, 이 부분에 대해서는 신체적 학대와 언어적 학대의 복합적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 between verbal abuse by parents and children's emotional maladjustment behavior, composed of several subfactors, which are withdrawal, hyperactivity, aggression, retreat and obsessive-compulsions. The sampling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628 children in total 16 classes out of every three elementary school and one middle school located in Seoul.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Verbal Abuse Measure, Parent-to-child violence items of the Conflict Tactics Scales, Emotional Maladjustment Behavior Scale, and Socioeconomic Status. Methods applied to data analysis were multiple regression, logistic regression and logistic curve graphic display.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 1. The majority of children from normal families do not seem to be seriously abused. Of all subjects, almost 20% experienced at least one instance in which they were victims of verbal abuse, during the year covered by this study. The results on physical abuse show that 47% of children experienced at least one instance in light physical abuse, 6% in case of heavy abuse. 2. As the amount of physical abuse by parents increases, the verbal abuse by parents increases. The older children more experienced verbal abuse than did the younger ones. Socioeconomic Status and children's sex were not related to verbal abuse by parents. 3. Among several independant variables, verbal abuse was the most significant main effect contributing to children's emotional maladjustment behavior. In addition, verbal abuse by parents is more highly related to emotional maladjustment behavior of the children than is physical abuse by parents.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buse and any of withdrawal, retreat and obsessive-compulsions. 4. Regardless of the physical violence by parents, verbal abuse by parents is associated with emotional maladjustment behavior of children in case of withdrawal, hyperactivity, and obsessive-compulsions. Children who were subjected to both verbal and physical abuse were more strongly related to several emotional maladjustment behaviors(withdrawal, hyperactivity, and obsessive-compulsions) than children experienced either by them.

      • 그림책을 활용한 자기표현 프로그램이 지적장애학생의 언어인지와 사회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

        장원영 신한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2318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자기표현 프로그램이 지적장애학생의 언어인지와 사회적응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실험의 연구 대상은 초등학교 2학년(만 7세 10개월)과 4학년(만 9세 10개월)에 재학 중인 2명의 지적장애학생이었다. 실험 시기 및 빈도는 2021년 6월 17일부터 7월 13일까지, 1회기 당 40분 수업을 주 1-2회 실시하였다. 실험 목표는 그림책을 활용한 자기표현 프로그램이 지적장애학생의 언어인지와 사회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사전-사후 검사를 통해 알아보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영향을 검정하기 위해 사전-사후 검사에서 지적장애학생의 한국웩슬러아동지능검사, 수용‧표현어휘력검사, 적응행동검사, 초등학생사회성검사를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지능검사와 수용‧표현어휘력검사에서 언어와 인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p<0.05)는 없었지만 언어이해와 지능지표점수, 수용‧표현어휘력의 사전-사후 차이가 있어 전반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적응행동검사와 초등학생사회성검사에서 자기표현, 타인인식, 대인관계, 협력성, 사교성과 사회적응행동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p<0.05)는 없었지만 사전-사후에 비교해 본 결과가 차이가 있어 전반적으로 개념적, 사회적, 실제적 기술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밝혀졌다. 그림책을 활용한 자기표현 프로그램은 회기를 거듭할수록 지적장애학생이 그림책 활동에 참여하는 태도와 자기표현에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난 것으로 보아, 자극을 반복할수록 지적장애학생의 언어인지와 사회적응행동에 적극적인 반응이 있음이 입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그림책을 활용한 자기표현 프로그램을 지적장애학생뿐만 아니라 자기표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장애학생들에게도 적용하면 언어인지와 사회적응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그림책, 사회적응행동, 언어인지, 자기표현, 지적장애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