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어 교육실습의 실태 분석 :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한국어교육 전공의 교육실습을 중심으로

        이지영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95

        본 연구는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한국어교육 전공의 교육실습을 중심 으로 한국어 교육실습의 실태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교육대학원 한국어 교육실습생의 실습 전․후와 실습 대상인 외 국인 학습자의 실습 받은 후의 인식변화를 묻는 설문, 면담, 관찰을 통하여 기 술하였다. 아울러 같은 대학의 평생교육원에서 진행하는 비학위 한국어교원 양 성과정 교육실습생의 설문 조사와 관찰 기술도 보완적으로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 교육실습생에 대해 실습기관과 학습자들은 교육실습 전․후 대 체로 호의적으로 대해 주었다. 교육실습 방법으로는 강의실습, 모의수업, 강의 참관 등의 형태로 이루어졌으며 모든 교육실습 방법을 거쳤음을 알 수 있었다.교육실습생은 교육내용의 설계 기준으로 해당 수업내용의 이해를 중요하게 생 각했다. 교수법에 대한 이해 부족과 학습자와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않은 부분 들을 힘들어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한국어 교육실습 기관과 한국어 지도교사의 협력과 호의에 따라 한국 어 교육실습이 영향받는 것을 알 수 있었고, 한국어 지도교사의 역할이 크므로 전문성 제고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실습생들은 이수한 교육과정을 통해 전문성 신장에 긍정적인 인식 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비학위 과정의 한국어교원 양성과정 교육실습생들의 교육실습에 대한 인식과 실태도 교육대학원 한국어 교육실습생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섯째, 한국어 학습자들은 교육실습생의 수업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의사소통과 한국어 학습뿐 아니라 흥미와 태도 또한 긍정적으로 향상된 것으 로 분석되었다. 한국어교원이 학습자의 언어를 조금 배우거나 영어를 적절히 활용한다면 학 습자와의 원활한 의사소통과 이해에 도움이 될 것이다. 해외실습이나 방학 중 실습 또는 봉사활동을 이용한 수업실습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이 된 진주교육대학 교육대학원 한국어교육 전공의 교육과정 과 교육실습은 한국어교원 양성과정의 형태에 따라 교육과정과 교육실습에 차 이가 있다. 그러나 석사학위 과정 이외에 학사학위 과정, 비학위 한국어교원 양성과정 등의 교육실습 개선에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중심어: 한국어 교육실습, 한국어교육 전공, 한국어교원 양성과정, 사회통합 프로그램(KIIP)

      • 초등교사의 교직 헌신도를 저하시키는 요인 분석

        김원형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79

        이 연구는 경상남도의 각 시·군 초등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 로 ‘초등교사의 교직 헌신도를 저하시키는 요인 분석’을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서, 궁극적으로는 초등교사의 교직 헌신도를 높이는 현실적인 방안을 탐색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수행을 위해, 교사의 교직 헌신도를 저하시키는 ‘개인(내부) 요인’을 ①성별, ②연령별, ③근무지역별, ④학교규모별, ⑤직위별, ⑥승진노력별, ⑦승진 가능별 변인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교사의 교직 헌신도를 저하시키는 ‘환경 (외부) 요인’을 ①인간관계, ②업무관계, ③국가교육정책·제도, ④경남교육정책·제도, ⑤사회인식 변인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요인들이 초등교사의 교직 헌신도 를 저하시키는 데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의 진행을 위해 설문지를 제작·배포하여 최종 570부의 설문지를 SPSS 18.0 버전 통계처리 프로그램을 통해 비모수 순위 분석, 평균 차이 분석의 방법 으로 통계처리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통해 얻은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교사의 교직 헌신도를 저하시키는 환경(외부) 요인별 영향력 에 대한 비중(순위)에 대해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응답 결과를 보여주었다. 각 영역에서 가장 중요도가 큰 요인으로 생각하는 것은, ①인간관계 요인에서는 ‘학생’, ②업무관계 요인에서는 ‘학생생활지도’, ③국가교육정책·제도 요인에서는 ‘교육공무원 승진체계’, ④경남교육정책·제도 요인에서는 ‘배움중심수업 장려’, ⑤사회인식 요인에서는 ‘학부모가 교사를 보는 인식’이었다. 둘째, 교사의 개인(내부) 요인별 차이에 따라, 교직 헌신도를 저하시키는 환 경(외부) 요인에 대한 인식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가장 두드러 진 인식의 차이로는 국가교육정책·제도 요인에 대한 인식의 차이였다. 그리고 ①성별에 따라 국가교육정책·제도, 사회인식 요인에 대한 인식, ②연령별에 따 라 인간관계 요인에 대한 인식, ③근무지역별에 따라 국가교육정책·제도 요인 에 대한 인식, ④학교규모별에 따라 국가교육정책·제도, 업무관계 요인에 대한 인식, ⑤직위별에 따라 인간관계 요인에 대한 인식, ⑥승진노력별에 따라 인간 관계, 국가교육정책·제도 요인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개인(내부) 요인 각각의 집단별로 교직 헌신도를 저하시키는 환 경(외부) 요인에 대한 인식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각 환경(외부) 요인에 대해, 성별에 따른 남교사와 여교사 간의 인식 차이가 가장 두드러졌으며, 그 외에 연령별에 따른 차이, 근무지역에 따른 차이, 학교규모에 따른 차이, 승진노력별에 따른 차이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이 연구의 결론 및 제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개인(내부) 요인에 따라서 교직 헌신도를 저하시키는 환경(외 부) 요인에 대한 인식 수준이 각각 다르다는 것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 서 확인되었다. 따라서 교사의 교직 헌신도를 높일 수 있는 효율적인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교사의 개인별 변인 특성과 환경적 요인을 고려한 차별화된 제 도적 장치 마련과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학교 현 장에서 교사들이 겪는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대책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며, 정부와 사회,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은 교사의 교직 헌신도 제고를 위한 방안 마 련을 위해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경상남도의 초등교원 양성기관인 진주교육대학교와 임용기관인 경상남 도교육청이 교사의 교직 헌신도 제고를 위한 협력적 관계를 유지할 필요가 있 다. 두 기관이 예비 교사와 현직 교사에 대해 교직에서의 갈등 요소와 그에 따 른 해결방안 모색과 정책 수립에 함께 할 수 있는 협의체를 구성하고, 관련 논 의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진주교육대학교에서는 교원양성 본연의 목표 구현과 함께 교육현장에 대한 괴리감을 감소시켜줄 수 있는 예비 교원 양성교육을 위해서, 교직 실무와 함께 교사의 교직 헌신도와 관련한 내용으로 강좌를 개설하는 등 이와 관련된 교육 기회를 학생들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넷째, 경상남도교육청은 교사들의 개인(내부) 요인과 교사를 둘러싼 환경(외 부) 요인들에 의해서 교사들이 각각 다른 유형의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점 을 인식하고, 이 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깊이 있는 고민과 연 구를 통해 일련의 내용을 프로파일링(profiling)1) 하여, 현장 교사들이 서로 다 른 다양한 환경에서 겪는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나 맞춤형 연수를 설계해서 교사들에게 제공할 필요가 있다.

      • 진주시 다문화 학생 한국어 교육 실태와 개선 방안

        손지미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79

        이 연구의 목적은 경상남도 진주시에서 다문화 학생들을 위한 한국어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교사와 학생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그 실태를 파악한 후, 한국어 교육을 위한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 교육청과 진주시 교육청의 다문화 교육정책을 살펴보았고,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진주시 초등학교와 중학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고 면담을 실시하였다. 진주지역에서 시행 중인 다문화 학생 지원정책 중에서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은 ‘거점형 다문화교육센터’, ‘찾아가는 한국어 교육’, ‘다문화 학생 맞춤형 교육’이 있다. 또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진주다문화가정 한국어교실’과 다문화 학생을 대상으로 이중언어 교육을 하는 ‘토요 무지개교실’이 있다.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은 예산과 운영방식에 차이가 있었다. 거점형 다문화교육센터는 서부경남 전체 다문화 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어 교육을 하는 데에 비해 찾아가는 한국어 교육과 다문화 학생 맞춤형 교육은 학교 단위의 한국어 교육을 하였다. 거점형 다문화교육센터와 찾아가는 한국어 교육은 외부 한국어 교사가 수업을 하고, 다문화 학생 맞춤형 교육은 담임 또는 국어 교사가 한국어 수업을 맡고 있었다. 다문화 학생의 유형과 한국어 수준에 따라 수업 내용도 차이가 있었다. 국내출생 다문화 학생을 대상으로 기초학력 보충을 위한 학습한국어 중심의 한국어 교육이 이루어졌다. 한국어로 의사소통이 어려운 중도 입국과 외국인 가정 학생의 경우, 담당 한국어 교사는 전문성과 경험 부족으로 부담감을 가지고 있었다. 주당 한국어 수업의 시수가 가장 높은 프로그램은 찾아가는 한국어 교육이었고, 다문화 학생 맞춤형 교육은 예산 부족 때문에 충분한 한국어 수업을 하고 있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다문화 학생들은 한국어 교육이 교우관계와 학업성취도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였으며, 말하기를 가장 좋아하고 쓰기를 가장 어렵다고 하였다. 진주지역 다문화 학생을 위한 효율적인 한국어 교육 개선 방안으로, 한국어 교사의 전문성 지원, 한국어 교재에 대한 지원, 다문화 학생에 대한 체계적인 지원체계 확보, 교육기관 간의 연대와 협조 등을 제안하였다.

      • 초등학교 통일교육 활성화를 위한 효율적인 교수-학습지도 방안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도덕과를 중심으로

        이상백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79

        교육은 한 민족의 동질성을 통합하고 또한 결속시키는 가장 확실한 수단이다. 그러나 지난 50년간의 남북한 교육은 오히려 민족의 적대감과 이질성을 심화시키고 분단을 고착화하는 역기능의 역할을 하였다. 복합적 민주사회의 다원성에 부응할 수 있는 교육 방식의 다양화를 꾀하고, 피교육자의 대상에 맞는 방법과 자료 기법을 동원해야 한다. 통일은 각 사회 부문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는 문제이며, 이는 제도적 통일, 사회적 통합, 문화적 공존의 차이와 다름의 인정에서 출발해야 한다. 따라서 앞으로 통일 한국의 주인이 될 새 세대에게는 한반도 통일과정과 통일 후에 발생 될 수도 있는 갈등 및 혼란을 극복할 수 있는 성숙되고 책임감 있는 인식의 틀을 지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서 급변하는 통일환경의 변화에 적응하고 통일 세대의 주역이 될 초등학생들에게 통일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심어주는 한편, 통일문제에 관한 긍정적인 자세와 건전한 통일관을 형성하여 통일 이후에 예상되는 사회적인 혼란과 갈등을 최소화하고 초등학교 통일교육의 효율적인 목표 달성을 위한 방법으로 초등학교 통일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이론 중심의 강의식 및 주입식 통일교육 방법이 아니고 학생의 수업의 참여를 적극 유도하는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초등학교 통일교육에 적합한 교수-학습 지도방안을 모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통일원과 교육부 및 기타 관련단체 등에서 발행하는 정기 간행물 및 연구논문과 일반 대학원과 교육대학원의 학위논문, 통일정책과 통일교육의 내용을 다룬 책자와 자료들을 참고하여 문헌 연구 중심의 연구 방법에 역점을 두고 초등학교 통일교육 수업에 적합한 교수-학습 모형을 탐색해 보고 이를 토대로 각 학년별 도덕과 통일교육 관련 단원의 특성에 맞는 통일교육 교수-학습모형을 선정하였다. 통일교육 실시에 있어 어떠한 모형을 선택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가르쳐야 할 내용, 학생들의 특성이나 환경적인 여건 등을 고려한 적절한 수업모형의 선택은 수업의 효과를 결정짓는데 커다란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사회 문제나 가치 문제를 다루는 수업을 위한 모형들은 모두 통일교육을 위한 수업모형에 포함 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수업 모형들은 지식, 가치관, 판단력, 의지나 동기, 행동 성향 등을 기르는데 적절한 것들이다. 이와 같은 수업 모형들은 크게 교사가 주도적으로 학습내용을 제시하고 수업을 이끄는 전통적인 ‘주입식 수업모형’ , 학생들의 사고를 촉진시키고 발표를 통해 학생들을 수업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시키는 ‘탐구식 수업모형’ 그리고 학생들의 직접 혹은 간접적인 경험을 통해 통일 문제를 절실하게 인식하고 실천하고자 하는 행동 성향을 기르려는 ‘체험식 수업 모형’의 세가지 유형으로 묶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 모형들을 다시 세분화하여 집단탐구 수업모형, 개념분석 수업모형, 비교분석 수업모형, 가치갈등 수업모형, 토의 수업모형, 시사자료 활용수업 모형, 등 총 10가지의 수업모형에 대해 탐색해 보았다. 이중에서 초등학교 도덕과 통일교육 관련 단원의 특성을 분석하여 가장 적합한 8개의 학습 모형을 선정하였으며, 학습모형에 따라 학년별 차시별 도덕과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 적용 하였다. 본 논문은 초등학교 통일교육 활성화를 위한 효율적인 교수-학습지도 방안을 구안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수업모형은 실혐연구를 거치지 않았지만 실험연구가 시행된다면 초등학교 통일교육의 일반화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앞으로도 통일교육을 위해서는 다양한 기법들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고 이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성화 된다면 통일교육의 교육적 효과도 배가 될 것이다. Education is the most secure means of unifying and strengthening the identity of a people. However, the education in the South and the North has deepened the hostility and disparateness between the two, thus it has played negative function to fix the partition of the peninsula. Various means of education should attempt to meet the variety of the complex democratic society, and new techniques and materials suitable should be employed for the educatees. The notion of reunification should be differently applied to each part of the society, which should start with the awareness of the fact that there are differences among the unification of systems, social unification, and cultural coexistence. Therefore, the new generations, who will be the owners of the reunified Korea, should possess the responsibility and maturity to overcome the possible discord or disorder which would occur during or after the process of reunification. Based on the awareness of the above questions, this study aims to seek for a new teaching-learning program effective for the education of reunification in elementary schools, which will lead the students to participate in the reunification education more actively with a little emphasis on theory in class and grinding. In this study a teaching-learning plan is attempted, which will make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et the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in reunification, and implement them with the correct awareness of reunification to be able to minimize the possible discord and disorder during or after the reunification. For this, the appropriate teaching-learning model was found for the reunification education at elementary schools putting emphasis on research method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by examining various documented materials, after consulting periodicals of Ministry of Unification, Ministry of Education and other related organizations, research papers, dissertations in graduate schools and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books and materials for the reunification policy and education of reunification. Based on the result, a teaching-learning model was selected for the reunification education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ethics and the reunification education subject of each grade. In performing the reunification education, the matter that which model we should choose is very important. Because selecting the most efficient lesson model with regard to the contents to teach, specialties of students and other conditions are the key to enhance the effect of education. Lesson models for education of general social problems or values can be combined with models for the reunification education and they will be good for developing knowledge, sense of values and judgement, will, motive, and behavior inclination. These models can be comprized broadly as three types, including traditional 'grinding type lesson model' in which teacher plays a leading part in presenting and leading lessons at class, 'inquiry type lesson model' with which considers students are to be furthered and they can actively participate in lesson process through making presentations, and 'empirical type lesson model' that intends to foster behavior inclination to be aware of and practice reunification matters through students' direct and/or indirect experience. In this study, the above mentioned models were divided in a more detailed way into ten lesson models such as 'group research lesson model,' 'concept analysis lesson model,' 'comparative analysis lesson model,' 'value conflict lesson model,' 'discussion lesson model,' and 'lesson model utilizing current event materials.' Among these ten models, the most pertinent eight lesson models were selected after careful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units of elementary school ethics subject related with the reunification education to develop and implement a design for teaching-learning curriculum of elementary ethics subject.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and suggest an effective teaching-learning plan for the activation of reunification education. No empirical studies have done yet, but if any experiment is carried out, it will greatly contribute to the generalization of the reunification education at elementary schools.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o develop and implement various techniques in the reunification education, and it is expected that if further researches are to be activated, there might be more educational effect for the reunification education.

      • 내러티브 접근을 통한 협동심 함양 : 6학년 창의적 체험활동을 중심으로

        정영아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79

        요즘은 지식의 홍수라고 할 만큼 지식과 정보를 접할 기회가 많다. 그 러나 이렇게 많은 정보를 한 사람이 모두 다 습득할 수는 없다. 협업을 통해 각자가 가진 정보나 기술, 지식을 공유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야 한다. 이런 시대 상황을 반영하여 2009 개정교육과정에서도 협동을 강조 함에 따라 본 프로그램을 개발하게 되었다. 학생 스스로의 목소리인 내러 티브를 활용한 이야기나 대화를 이용하여 자기주도적으로 협동심을 함양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도덕교육 방법으로써 내러티브 접근의 특징과 필 요성을 알아보고 둘째, 왜 협동심 함양을 내러티브적 접근으로 할 것인지 에 대하여 공동체주의자의 입장에서 접근해보고자 한다. 셋째, 창의적 체 험활동에 드러난 ‘협동’과 도덕 교과의 통합 가능성을 알아본다. 마지막으 로 교과서 분석을 통해 ‘협동’ 가치를 결합할 단원을 알아보고 적합한 프 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6학년을 대상으로 하였다. 교육과정에서 제시되는 창의적 체험활동의 개괄적인 형태를 지켜 학교에서 활용하는데 무리가 없도록 하였다. 프로그램 곳곳에 학생들 스스로의 이야기를 활용하였다. 내용 뿐 아니라 내러티브 수업 모형도 사용하여 수업 내용이나 구성 모두 내러티 브 접근을 활용하였다. 이 연구를 진행하면서 도덕 교과와 창의적 체험활동을 연계하는 선행 연구가 아직 많이 부족함을 알게 되었다. 프로그램을 실제로 적용해보지 못했으나 본 연구를 통해 사회에서 요구하는 인성과 덕성을 갖춘 인재를 육성할 수 있는 작은 기회가 되었으면 한다. 주요어: 창의적 체험활동, 내러티브 접근, 협동심, 도덕과 교육, 통합적 방 법, 교수학습 방법 * 본 논문은 2016년 7월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지역문화를 활용한 초등학교 미술 지도 방안 : 진주 지역의 문화재,축제를 중심으로

        송순옥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79

        Some argue that art education needs to focus on helping figure identity of Korean culture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other cultures in ‘multi-cultural art education’, one of the latest trends in art education. In addition, the 7th Education Course requests teaching regional culture that can help figure identity of Korean art culture through appropriate education programs befitting each and every region, and revis ededucational course in 2007 also emphasizes it. If cultural resources located in Jinju area are used in art classes, their educational value would be great and educational methods would be diversified, However, it has been hardly applied to the educational field. In this regard, the study suggested how to apply art education methods based on the use of culture in Jinju. It aims to provide education through integration of subjects, use websites and festivals, induce a visit to museums, apply appreciative work sheets and make the most of NIE so that students better understand art culture in their own areas and have more interest in them helping them have pride in their own community. The study aimed to restore traditional values by using regional cultural assets and festivals in an effort to localize elementary art education courses and help students who are members of local community figure their root and identity. Chapter 2 dealt with concept, characteristics, necessity and educational values. Chapter 3 contained main regional cultural materials in Jinju and examined how to include them into art text books. Questionnaire research was conducted to figure the contents, standard and methods of education befitt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Chapter 4 aimed to figure art education methods based on the use of culture in Jinju and apply them in the educational field, and questionnaire research produced following research. First, students were able to better understand regional society and realize the importance of the value of regional culture. Second, students were able to better understand art culture in their own community and developed interest in it. Third, students were able to develop appreciative ability and aesthetic expression ability that are required to figure historical facts, formative beauty and spiritual value in local culture. Fourth, students were able to have pride in local community. Fifth, students were able to enhance identity and creativity with regard to local culture. Sixth, students were able to better appreciate and understand traditional arts. Those who had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traditional arts were able to approach them with interest by using local culture. In addition, students were able to have a chance to enjoy local culture through activities in the field and appreciation of cultural assets. 최근 미술교육의 한 흐름인 ‘다문화 미술교육’에서 다른 문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우리 문화에 대한 정체성을 확립시킬 수 있는 미술교육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제7차 교육과정에서도 이러한 시대적 요청에 따라 우리 미술 문화에 대한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도록 지역문화를 그 지역 실정에 적합한 교육과정으로 재구성하여 가르칠 수 있도록 요구하고 있으며,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문화적 가치 부분을 강조하고 있다. 진주지역에 소재한 문화 자원을 미술과 수업에 활용할 경우 교육적 가치가 크고 방법은 다양하지만, 아직 교육 현장에서의 활용도는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진주의 문화를 활용한 미술 지도 방안을 모색하여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교과간 통합에 의한 지도, 둘째 Web을 활용한 지도, 셋째 축제를 활용한 지도, 넷째 박물관 관람을 통한 지도, 다섯째 감상용 Work Sheet에 의한 지도, 여섯째 NIE를 활용한 지도를 통해 학생들이 우리 고장의 미술문화를 올바르고 쉽게 이해하고 흥미롭게 접근할 수 있게 하며, 지역 사회에 대한 애착심과 자긍심을 갖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의 문화재와 축제를 미술교과 교육과정의 지역화의 방안으로 활용하여 전통적인 가치들을 되살리며, 지역의 구성원인 학생 자신들이 문화의 뿌리를 알게 하며, 지역의 문화주체로서 주체성과 정체성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진행에 앞서 Ⅱ장에서는 지역문화의 개념·특성·필요성·교육적 가치를 다루었다. Ⅲ장에서는 진주의 주요 지역문화자료를 살펴보고 진주의 문화 자료의 미술 교재화 방안을 다루었다. 여기서는 학생들의 설문에 의해 조사된 내용과 초등학생들에게 적용하기에 무리가 없는 내용을 중심으로 수업의 내용, 수준, 방법 등의 교육과정을 설정하는데 주요한 준거로 활용하였다. Ⅳ장에서는 진주의 문화를 활용한 미술지도 방안을 모색하고 이를 수업에 적용한 수업을 실시하고 학생들의 설문을 통한 결과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지역사회를 바르게 이해하고, 지역문화에 대한 가치와 중요성을 새롭게 인식하게 되었다. 둘째, 우리 고장의 미술문화를 쉽게 이해하고, 더욱 흥미롭게 접근하게 되었다. 셋째, 지역문화 속에 담긴 역사적 사실, 조형적인 아름다움, 정신적인 가치를 찾아낼 수 있는 감상능력과 미적 표현력이 길러지게 되었다. 넷째, 지역 사회에 대한 애착심과 자긍심을 가지게 되었다. 다섯째, 지역문화에 대한 정체성과 창조성 확립에 기여하게 되었다. 여섯째, 전통미술에 대한 감상과 이해에 도움이 되었다. 이전에는 어렵고 지루하게 생각했던 전통미술을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지역문화를 활용함으로써 친근감을 가지고 즐겁게 참여하게 되었다. 또한 현장체험 활동, 문화재 감상활동 등을 통하여 지역 문화에 대하여 더욱 재미있고 흥미롭게 접근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게 되었다.

      • 농협 다문화 여성대학의 한국어 교육 실태분석 및 시사점

        김채순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족의 언어, 문화, 소득안정을 위해 농협중앙회에서 예산을 지원하고 지역농협에서 운영하는 농협 다문화여성대학의 한국어 교육 실태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연구문제를 언급하며 용의를 정의했다. 결혼이민여성의 현황과 한국어교육과 관련된 앞선 연구를 검토했다. Ⅱ장에서는 다문화사회 관련법령 및 제도의 변천을 시대별로 정리하였다. 또한 이주민 대상 한국어 교육정책을 정부 부처별로 정리하였다. 농협의 한국어교육 프로그램인 다문화여성대학과 사회통합프로그램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한국어교육 현황을 정리하였다. Ⅲ장에서는 연구의 대상을 밝히고 연구의 기간 및 절차,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등 연구방법에 대해 언급하였다. Ⅳ장에서는 농협 다문화여성대학 운영담당자, 한국어교사에게 설문을 통해 조사하였다. 학습자 만족도는 지역농협의 자료를 중앙회서 취합한 자료를 이용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찾아보았다. Ⅴ장에서는 연구의 결과를 도출했다. 실태를 분석한 결과 시사점은 아래와 같다. 첫째, 다문화 여성 대학을 확대하여 운영할 필요가 있다. 둘째, 수업참여와 학습효과 증진 방안이 필요하다. 셋째, 한국어 교육 후 지원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본 연구가 다문화여성대학 운영이 활성화되는 기반이 되길 바란다.

      • 진주지역 이주노동자의 한국어교육 실태분석 및 지도방안

        최남선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79

        이 논문은 진주지역 이주노동자를 대상으로 한국어교육 실태를 분석하고 지 도방안을 연구한 것이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으로 진주지역 이주노동자들에게 좀 더 효과적이며 효율적인 한국어교육의 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또한 선행된 연구를 검토해 봄 으로 수도권(61.9%) 다음으로 이주노동자 분포가 많은 영남지역(19.7%), 특히 진주시의 이주노동자 한국어교육 실태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이 논문의 의의를 찾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외국인이 한국에 들어와 급여를 받고 일하는 인력 모두를 ‘이주 노동자’라고 정하였다. 이주노동자 정책은 산업연수제도에서 고용허가제 또 방문취업제로 변화를 겪어왔음을 밝혔다. 또한 일본과 독일의 이주노동자 정책을 살펴보고 각 나라의 자국어 교육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진주지역 이주노동자와 교사, 교육기관 센터장을 연구의 대상으 로 하여 인터뷰와 설문지법으로 요구조사를 하였다. Ⅳ장에서는 자료의 분석을 모두 여섯 가지로 하였다. 첫째, 사회 인구학적 특 성으로 이주노동자들은 주로 남자이며, E7이나 E9의 합법체류자들이 많았고, 고등학교 이상의 고학력자가 많았다. 둘째, 목적과 목표의 적합성으로 센터장, 교사, 이주노동자가 한국에서 보다 나은 삶을 위해 한국어교육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교사의 전문성으로 교사 전원이 한국어교육이나 국어국문 학을 전공하였다. 넷째, 한국어교육의 효율성으로 이주노동자들이 입국 전 한국 어교육이 입국 후 한국에서 생활하는데 상당히 도움이 되며, 한국어교육 중 쓰 기와 문법부분이 취약한 것으로 나왔다. 다섯째, 학습 내용의 적합성으로 학습 시간이나 요일은 이주노동자의 상황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왔다. 그러나 교 재의 부분은 모국어 설명이라든지 작업장 어휘가 부족하다는 요구가 나왔다. 여섯째, 일반적 상황으로 교사들의 힘들거나 보람을 느낄 때를 알아보았다. 또 한 이주노동자 상황으로 교사에게 바라는 점이라든가, 한국어교육을 통한 개인 적인 목표를 알아보았다. Ⅴ장에서는 분석된 자료를 가지고 다음과 같이 한국어교육 지도방안을 제시 하였다. 첫째, 한국어 학습 방안이다. 교재의 발음기호 표시와 발음지도가 필요하며, 쓰기지도가 필요하다. 이주노동자들이 입국 전․후 상황에 따른 한국어 교재가 필요하다. 한국어교육 초급자들에게 매개 언어를 사용해야 한다. 기관에서는 학 습 의욕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 진주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지역어를 함께 지도해야 한다. 둘째, 한국어교육 환경 방안이다. 쾌적한 학습 환경을 제공해야 한다. 원거리 학습자들에게 다양한 매체를 이용하여 학습하도록 도와야 한다. 지속적인 교사 교육이 있어야 한다. 두 센터의 연대의식이 필요하다. Ⅵ장에서는 지금까지의 연구 분석 요약과 함께 연구의 한계점을 말하였다. 이 논문이 진주지역 이주노동자들에게 한국어교육을 좀 더 효과적이며 효율 적인 방법으로 교육하는데 사용되어지길 바란다. 또한 다양한 지역의 이주노동 자를 대상으로 한 또 다른 연구의 초석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경상남도 초등 국악교육의 새로운 방향 모색

        김유정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63

        개정된 제7차 음악과 교육과정에서는 과거 어떤 교육과정보다도 전통문화의 체험활동을 강조하고 있다. 이것은 국제사회에서 고유의 전통문화가 그 나라의 가장 핵심적인 경쟁력이 된다는 사실과도 그 맥락을 같이 한다. 특히 한국의 전통문화를 대표하는 국악은 그 유구한 역사나 예술성, 다양성에 있어서 서양음악의 그 무엇과도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훌륭하고 가치 있는 민족문화의 자산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음악과 교육과정은 그동안 전통음악에 초점을 두기보다는 서양음악 중심의 이론과 실기에 치중되어 왔기 때문에 서양식 국악교육, 예컨대 우리의 민요를 피아노 반주에 맞추어 노래하거나, 서양의 음 체계에 의해 부르게 함으로써 우리 민족문화의 정서와 소중함을 느끼게 하는데는 한계가 있었다. 서양중심의 음악교육을 받고 자라난 세대는 국악이 우리의 음악임에도 불구하고 서양음악보다도 더 어색하고 거부감을 느끼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어릴 때부터 국악을 경험하게 하여 우리 음악을 거부감 없이 느끼도록 하기 위해서는 초등학교에서의 국악교육은 매우 중요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국악교육과 관련한 여러 가지 여건을 고려해 볼 때, 경상남도의 국악교육상황은 다른 지역보다 열악한 실정이다. 예컨대, 대학교육기관에 국악 전공학과가 전무한 상태이며, 학교에서 국악을 전공한 음악교사나 교수도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또한 국악에 대한 관심도가 너무 낮아서 국악 공연단체도 부족한 실정이며, 국악 문화행사 조차도 우리의 생활과 거의 동떨어져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제7차 음악과 교육과정의 국악내용이 40.2% 확대되어 2002년까지 전학년에 단계적으로 적용된 현재의 시점에서 경상남도에 있는 초등학교 국악교육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 문제점에 대한 올바른 개선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경상남도 국악교육 실태를 조사하였는데, 여기에 나타난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이 국악에 대한 관심은 대체적으로 높아졌으나, 아직도 음악교과를 서양 음악교육에 편중하여 가르치고 있었다. 둘째, 교사들의 국악 전반적인 영역에 대한 실기 지도능력과 이론적인 지식이 부족하고, 제7차 교육과정의 국악교육 내용에 대한 분석과 준비가 미흡하였다. 셋째, 정책적 지원 부족으로 인해 연수가 활성화되지 못했고,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국악 연수 프로그램 운영이 부족했다. 넷째, 국악기나 국악실 등의 시설이 부족하고, CD나 인터넷에 지나치게 의존한 국악수업, 국악전담교사의 부제가 그 문제점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문제점은 앞서 연구되었거나 다른 지역에서 발표된 논문에서 지적한 내용과 크게 다르지 않으므로 본 연구자는 국악 재교육의 일환인 연수교육에 중점을 두고 이러한 부분에 대해 다음과 같은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가장 우선적으로 국악교육의 정상화를 위한 길은 국악연수를 통한 현직교사의 재교육이며, 최소한 120시간 이상의 연수를 통한 체계적이고 의무적인 교육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둘째, 정책적으로 국악교육에 대한 지속적인 연수체계의 지원과 홍보를 통해 ‘국악 심화과정 연수’를 통한 ‘1인 1국악기 연주’를 의무화해야 된다고 보았다. 우리의 국악기 종류가 서양악기보다 훨씬 다양한 만큼 교사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다양한 국악 실기 연수를 실시하여 학교 현장에서 ‘1인 1국악기 연주’를 통한 국악풍토를 조성한다. 셋째, 지역문화의 활성화와 동부 민요권의 지역화 교육과정 계발을 위한 시범학교 운영을 의무화하고 적극 지원해야 된다고 보았다. 넷째, 경상남도의 국악교육을 책임지고 국악 공연문화를 이끌어나갈 전문 국악연수원이 설립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The seventh revision of the curricula in music education puts greater emphasis on students' practical experiences of traditional culture than ever before. This reflects the fact that a nation's own traditional culture can be the most essential competitiveness in international societies. In particular, the Korean classical music, which represents the Korean traditional culture. This feature can not be compared with that of the Western classical music. Unfortunately, the curricula in music education have focused on not a variety of Korean classical music but the Western-centered theories and practices so far. For instance, we have sung Korean traditional songs to the accompaniment of Western musical instruments such as pianos. And we have used both the Western musical notes and systems. As a result, we could not appreciate the delicate emotions and feelings of our own traditional culture through the Korean classical music. It is true that young generations, who have been taught the Western-centered music education at schools, are not accustomed to the Korean classical music.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hat they should be made to experience opportunities to appreciate the Korean classical music as they are young. However, when it comes to educational circumstances concerning the Korean classical music education, our province, Kyeongsangnam-do, has still worse than any other region in Korea. In seventh-revised curricula in music education, all the activities related to the Korean classical music education contain more than 40 percent of the contents of it. On the basis of those conditions, this study has concentrated on the several important problems at elementary schools in Kyeongsangnam-do and tried to search for their solutions. This study has examined the realities of the Korean classical music education at elementary schools in this area by asking questions through various questionnaires to teachers who teach music at elementary schools. These are the problems that they have pointed out. 1. Almost all the teachers are now interested in the Korean classical music education. Nevertheless, they still tend to teach the Western-centered music too much. 2. Most teachers lack teaching capabilities and theoretical knowledge of the Korean classical music education on the whole. And they are not ready to prepare for the seventh-revised curricula in music education or to analyse the contents of it even now. 3. the authorities concerned have not helped teachers both politically and financially. As a result, they have not got continuous and systematic workshops for their effective Korean classical music training. 4. Many elementary schools don't have enough Korean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s or facilities. Audio-tapes or compact disks are the only materials for teachers to use during the Korean classical music classes. The above problems are almost the same as other studies have pointed to in other provinces or regions. As the writer of this thesis, I'd like to suggest several possible solutions to these problems. I'm convinced that they can be the easiest and the most efficient solutions to those problems 1. Every elementary school teacher should be given at least 120 hours to acquire the systematic and further knowledge on the Korean classical music. 2. It should be compulsory that every elementary teacher can play at least one Korean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 This can be called "one teacher for one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 3. It is recommendable that the authorities concerned should run the model schools, develop the new curriculum, and offer the financial support in order to activate the regional culture and localize the folk songs of the eastern part in Kyeongsangnam-do. 4. The training institute which can cultivate the Korean classical music and lead various local traditional performances should be set up as soon as possi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