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용전공 여고생이 지각하는 스트레스 강인성과 무용 스트레스

        한미경 ( Mi Kyung Han ),유정인 ( Jung In Yoo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11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22 No.3

        이 연구는 무용 전공 고등학생들이 무용 학습 상황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 강인성과 무용 스트레스의 차이를 한국, 현대, 발레 등 무용 전공에 따라 알아보고 스트레스 강인성과 무용 스트레스 간 관계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에 예술 및 무용 전공 학교에 재학 중인 고등학생 184명을 연구대상자로 표집 하여 연구절차와 자료 분석에 기준한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전공에 따른무용 스트레스의 차이검증에서는 한국무용을 전공하는 학생들이 현대무용을 전공하는 학생들에 비하여 다소 높은 무용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었으며, 이에 따른 강인성 차이검증에서도 한국무용 학생들이 스트레스에 대한 강인성 수준을 높게 지각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스트레스 강인성과 무용 스트레스의 관계를 정준상관분석을 통해 알아본 결과 학업 유능성 및 운동실천의 스트레스 강인성 요인과 지도자 불만 및 무용성취 결여, 체형불만의 무용 스트레스 요인의 다차원적 관련성이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스트레스 강인성과 무용 스트레스의 선행연구를 참고로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searching differences of stress hardness and dancing stress in accordance with korean dance, modern dance, ballet that high school students major in dance experience in situation of learning dance, verifying relationship between stress hardness and dancing stress. thus, we collected subjects with 184 enrolled high school students in art and dance school, analysing data based on study procedure and standard of data analysis. according to analysis, in verification for difference of dancing stress along with their major, students who major in Korean Dance have experienced a bit higher dancing stress than students majoring in modern dance, highly have perceiving level of hardness about stress than students of modern dance following test for difference of stress hardness. finally, as a result of relationship between stress hardness and dancing stress via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it appeared in multiple relation to coach dissatisfaction and lack of dancing achievement, stress factor of physique dissatisfaction, academic competence and promoting of exercise. therefore, we discussed these results referring to previous studies of stress hardness and dancing stress.

      • KCI등재

        한국과 미국 초등학교 아동의 신체활동에 따른 스트레스요인 비교

        김인수 ( In Soo Kim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09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20 No.1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 초등학교 아동의 스트레스 요인을 비교함으로써 한국 초등학교 아동의 스트레스 요인이 문화적으로 독특성을 갖는가와 양국 아동의 신체활동 참여가 그들의 스트레스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파악 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한국의 G시와 C도에 거주하고 있는 초등학교 5학년 414명과 미국의 North Carolina 주의 G 시에 거주하고 있는 초등학교 아동 282명 총 696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스요인과 신체활동에 따른 스트레스를 비교한 결과 한국 초등학교 아동의 스트레스 요인은 `공부관련 스트레스`, `놀이관련 스트레스`, `친구관련 스트레스`, `운동관련 스트레스`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미국 아동의 경우 `놀이관련 스트레스`, `친구관련 스트레스`, `공부관련 스트레스` 순으로 나타나 한국아동과는 다른 순을 보였으며 이는 확인적 요인분석에서도 양호하게 확인되었다. 신체활동과 관련하여서는 한국 아동의 경우 신체활동참여 시간이 스트레스 수준의 완화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미국 아동은 모두 신체활동참여 빈도와 시간 및 기간이 아동의 스트레스 수준을 완화시키는데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to define difference of Korea and America elementary school children`s stress according to their physical activities. The subjects are 414 korea elementary school children who have lived in Gwangju city in Korea and they are 5th grade, 282 America children who have lived in Greensboro city NC state in USA 2007. The scale is used in this study stress survey scale which is made for korean children. America children are measured this scale which is translated english and it contains 22 questions about their stressors. The results as follows; First, In factor analysis, Korea children`s stress, first factor is `related study`, the second factor is `related their play`, third factor is `related friends`, 4th factor is `related sports`. In factor analysis of America children`s stress, first factor is `related their play`, the second factor is `related friends`, third factor is `related study`. Second In analysis stress factor according to children`s sports participation, Sports participation time affect to reduce children`s stress in Korea. frequency of Sports participation, participation time, and participation periods affect to reduce children`s stress in America elementary school children.

      • KCI등재

        호흡 순환기 질환자의 지각된 스트레스, 미세먼지 위험 인식, 극복력이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영향

        박진희(Jin-Hee Park),한금선(Kuem-Sun Han) 대한스트레스학회 2021 스트레스硏究 Vol.29 No.1

        본 연구는 호흡 순환기 질환자의 지각된 스트레스, 미세먼지 위험 인식, 극복력의 정도를 확인하고 이들 변수 간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지각된 스트레스, 미세먼지 위험인식, 극복력이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만 20세 이상의 호흡기 및 순환기 질환자 18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호흡 순환기 질환자의 스트레스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지각된 스트레스, 극복력, 가족관계, 질환의 종류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한 호흡 순환기 질환자의 지각된 스트레스, 극복력, 가족관계, 질환의 종류 파악은 스트레스 반응을 예방하는데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되어 호흡 순환기 질환자의 스트레스 간호에 기여하리라 사료된다.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degree of perceived stress, fine dust risk perception, and resilience in patients with respiratory and circulatory disorders, and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Method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184 patients with respiratory and circulatory diseases over the age of 20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program. Results: The study found perceived stress, resilience, family relationship, and type of disease to be factors affecting the stress response of people with respiratory and circulatory disorders. Conclusions: Understanding the perceived stress, resilience, family relationship, and type of respiratory and circulatory disorder prevents stress response and contributes to stress nursing.

      • KCI등재

        청소년의 스트레스 유형에 따른 자아의식과 외모관리행동

        박은희 ( Eun Hee Park )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2015 패션 비즈니스 Vol.19 No.4

        본 연구는 여자청소년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유형을 파악하여 그에 따른 자아의식과 외모관리행동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런 결과를 통해 스트레스의 원인을 파악하고 일상생활에서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첫째, 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은 친구스트레스, 시험스트레스, 경제스트레스, 가족스트레스, 수업스트레스로 나타났고 스트레스 요인을 집단별로 분류한 결과, 사회관련 스트레스 중간집단(26.4%), 시험관련 스트레스 고집단(30.3%), 사회관련 스트레스 고집단(43.3%)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자아의식의 하위요인은 공적자아의식, 대인불안, 사적자아의식으로 나타났고 외모관리행동의 하위요인은 미용성형, 의복조화, 체중관리, 헤어관리, 건강관리, 피부관리, 식사관리로 나타났다. 둘째, 여자청소년들은 시험에 대한 부담감으로 스트레스가 높았고 그 다음이 친구로 인한 스트레스가 높았다. 이때 원만한 친구관계의 형성이 사회성 발 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학교 안과 밖에서 관심을 가지고 이들을 이해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셋째, 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은 자아의식의 하위요인 및 외모관리행동의 하위요인에서 의미있는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넷째, 여자청소년의 스트레스 유형에 따른 자아의식 중 공적자아의식, 대인불안, 사적자아의식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사후검증 결과 사회관련 스트레스 고집단이 사회관련 스트레스 중간집단보다 공적자아의식에서 높았고 사회관련 스트레스 고집단이 시험관련 스트레스 고집단보다 대인불안에서 높았다. 또한 스트레스 유형에 따른 외모관리행동 중미용성형, 의복조화, 체중관리, 헤어관리에서 유의한차이를 보였다. 사후검증 결과 사회관련 스트레스 고집단이 사회관련 스트레스 중간집단보다 미용성형, 의복조화, 체중관리에서 높았다. 또한 사회관련 스트레스 고집단이 시험관련 스트레스 고집단보다 헤어관리에서 높았다. 다섯째, 여중생과 여고생에 따른 스트레스, 자아의식 및 외모관리행동에서 차이를 보였다. 여중생은 친구스트레스, 공적자아의식, 의복조화, 헤어관리, 피부관리에서 여고생보다 높았고 여고생은 수업스트레스, 미용성형, 체중관리에서 높았다. 본 연구에서는 여자청소년의 일상생활 속에서 느껴지는 스트레스의 차원이 다름을 알 수 있었다. 이들이 지각하는 스트레스가 친구스트레스, 시험스트레스, 경제스트레스, 가족스트레스, 수업스트레스라는 차원을 분석을 통해 도출함으로써 선행연구들과 비교 분석 할 수 있었다. 여자청소년들의 스트레스 유형에 따라 자신에 대한 관심의 방향이 내부로 향하는지 외부로 향하는지에 따라 차이를 보였고 외모 관리행동과도 차이를 나타낸 것을 입증하였다. 인간은 살아가는데 적절한 스트레스를 가지고 그 스트레스를 해결하려는 과정에서 조금씩 감소하고 또 다른 문제로 인해 스트레스를 가지게 되어 연속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이런 과정에서 감소됨으로 인해 만족감을 느낄 수 있지만 스트레스가 연속적으로 되면 심각한 문제를 유발하게 된다. 그러므로 청소년이 경험하고 있는 스트레스를 파악하여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활용하고자 한다. 여자청소년들은 시험에 대한 부담감으로 스트레스가 높았고 그 다음이 친구로 인한 스트레스가 높았다. 학교에서는 방과 후 수업으로 친구와 협업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친구와 잘 지낼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한다. 즉 학교생활은 사회의 기초적 역할을 하는 작은 영역으로 미래 사회생활을 하는데 중요한 밑바탕이 된다. 따라서 본 연구를 근거로 하여 학교에서 원만한 인간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청소년들을 지도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한다. 예를 들면, 친구 생각하고 이야기 들어주기, 친구에게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알기, 친구와 나눌 수 있는 것이 무엇이 있을까 생각하고 실천하기, 선생님이나 부모님께서는 나에게 왜 이런 행동을 하도록 할까, 왜 학교에서는 우리를 규칙에 맞게 지내도록 할까 등을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여 자신의 존재적 가치를 느끼고 자신의 역할에 대한 필요성을 일깨울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이로 인해 이들은 자아정체감이 발달되고 사회 한 구성원으로서 역할을 인지하게 되므로 학습에 대한 필요성, 진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질 것이다. 또한 매스컴의 발달로 인해 다양한 매체를 통해 성형미인이 아름답다고 청소년들은 인지하고 있다. 인간의 외모는 모두 다르므로 자신의 개성을 살린 좋은 이미지를 만들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기 위해서 학교에서는 청소년들에게 아름다움의 의미를 다양한 측면에서 볼 수 있도록 하고 외모는 가꾸고 관리함으로써 더욱 멋진 모습으로 변해진다는 것을 인지시킨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소년의 스트레스 유형에 따라 외모에 대한 관심이 다르므로 외모관리행동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개인이 모여 사회를 이루므로 주변을 의식한다는 것은 자신을 의식한다는 것이다. 자신 안에 타인이 바라보는 나가 존재하므로 주변상황에 적절한 나를 만들기 위해 겉모습에 관심을 가지고 주변과 어울릴 수 있는 행동을 하게 된다. 이때 여자청소년의 일상생활 속에서 느끼게 되는 스트레스 유형에 따라 자아의식과 외모관리행동이 다름을 본 연구에서 밝힌 것에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는 대구지역의 여자청소년으로 한정하여 실증조사를 한 것으로 연구결과를 전체 청소년으로 확대 해석함에는 신중을 기해야 할 것이다. 추후연구에서는 남자청소년의 특성을 파악하여 스트레스 유형을 분류한 후 유형에 따른 심리적 변인과 관련하여 알아볼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stress into groups and analyze their differences in self-consciousness,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377 middle and high school girls living in Deagu metropolitan City. Frequenc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luster analysis, ANOVA, Duncant-test, and t-test are all used for data analysis. Our findings show that stress developed due to several reasons: the categories are as follows into grades-related low stress, exam-related high stress, and society-related high stress. For the purposes of our study, we labeled self-consciousness as a combination of being socially and privately self-consciousness and showing signs of social anxiety.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deals with esthetic plastic surgery, clothing harmony, weight management, hair management, health care, skin care, and meal management. Stress shows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sub-variable self-consciousness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The groups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lf-consciousness,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There i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stress, self-consciousness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by grade. The students in seemed to recognize that their appearance can be improved by dressing up and managing their outwardly appearance. Teachers should educate students to have the variety of views on the meaning of beauty. In addition, schools need to develop programs to educate student about appearances, as the student’s interests differ due to the stress type of the adolescent.

      • KCI등재후보

        여대생의 자기애 및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 스트레스 및 심리적 스트레스

        서경현(Kyung-Hyun Suh),양승애(Seung-Ae Yang) 대한스트레스학회 2010 스트레스硏究 Vol.18 No.4

        본 연구에서는 여성의 자기애 성향과 자아존중감이 대인관계에서의 스트레스 및 심리적 스트레스와 어떻게 관계하고 있는지를 검증하였고,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심리적 스트레스에 대한 자아존중감과 자기애의 상호작용효과도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여대생 454명이었으며, 연령 분포는 만 18세에서 31세 사이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심리검사는 자기애성 성격질문지, Rosenberg의 자아존중감 척도, 대학생용 생활스트레스척도 그리고 스트레스반응척도이다. 분석 결과, 여성의 자기애는 자아존중감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상관분석에서 여성의 자기애는 대인관계 스트레스나 심리적 스트레스 요인 중에 공격성 및 분노와는 관계가 없었으나 우울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그런데 위계적 회귀분석에서는 자아존중감에 더해 여성의 자기애가 추가적으로 대인관계 스트레스나 심리적 스트레스 요인들 모두를 유의하게 정적으로 설명하고 있었다. 이는 자아존중감의 긍정적 영향을 보정할 경우 여성의 자기애가 스트레스를 조장할 수 있다는 결과이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여성의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심리적 스트레스에 대한 자아존중감과 자기애의 상호작용효과는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여성의 자기애와 자아존중감의 특성과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how narcissism and self-esteem are related to interpersonal stresses and psychological stresses of female college students, and investigated the interaction effects of self-esteem and narcissism in interpersonal stresses and psychological stresses. The participants were 454 female college students, whose ages ranged from 18 to 31. The psychological tests used in this research included the following: Narcissistic Personality Inventory, Rosenberg"s Self-Esteem Scale, Life Stress Scale for college students, and Stress Response Inventory. Results indicated that women"s narcissistic trait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lf-esteem. Women"s narcissism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interpersonal stresses and some of the psychological stresses, such as aggressiveness and anger in correlational analysis, while it was negatively related to depression. However, if it was adjusted by self-esteem in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es, women"s narcissism accounted variance of interpersonal stresses and all of the psychological stresses, positively. This means women"s narcissism may aggravate some stresses if adjusted the positive effect of self-esteem factors. There were no interaction effects of self-esteem and narcissism in women"s interpersonal stresses and psychological stresses. It was discussed roles of women"s narcissism and self-esteem with previous studies. (Korean J Str Res 2010;18:371∼378)

      • KCI등재

        [중소기업/중견기업/소상공인/지역기업] : 정보시스템(IS) 사용자의 테크노스트레스가 IS 부담감과 성과기대에 미치는 영향

        정문효 ( Moon Hyo Jung ),노희옥 ( Hee Ock Rho ),유일 ( Il Ryu ) 한국중소기업학회 2013 中小企業硏究 Vol.35 No.4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광범위한 연결과 빠른 변화로 인해정보시스템 사용자들이 기술에 대한 다양한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1)조직 내 정보시스템 사용자의 테크노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변수는 무엇인가? 2) 테크노스트레스 결정요인과 테크노스트레스 요인 간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3) 테크노스트레스 요인은 결과요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4) 조직의 정보시스템 사용자들은 어느 정도 테크노스트레스를 지각하고 이는가? 정보시스템 사용자들은 테크노스트레스구성요인 중 어느 요인을 가장 높게 지각하는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상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테크노스트레스, 과업-기술적합성, 자기효능감 이론에 대한선행연구를 통해 도출된 과업-기술적합성, 컴퓨터 자기효능감, 변화의 속도, 테크노스트레스, IS 부담감(정보시스템에 대한 부담감), 성과기대 변수들의 관계를 실증연구를 통하여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총 260명의 기업정보시스템 사용자의 데이터가 분석에 상용되었고, SPSS 20과 LISREL 8.54가 통계패키지로 이용되었다. 분서결과, 컴퓨터 자기효능감과 변화의 속도가 테크노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테크노스트레스가 IS 부담감과 성과기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테크노스트레스와 영향요인, 테크노스트레스와 정보시스템 성과를 설명하는 변수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설명하고, 정보기술의 효과적 사용과 테크노스트레스의 역기능에 대한 운영상의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Although the steep growth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gives us tremendous freedom to do business, where people can potentially be reached anywhere and anytime and feel the need to be constantly connected, there is a great deal of concern about unpredictable outcome brought out from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While constant connectivity via new technologies might have benefits for some, it also come at the cost of blurring work-home boundaries by providing increased access to work and to individuals. Due to the constant connectivity and fast-changing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ies, IS(Information System) users experience stress related technologies and face the challenge of managing technostress. Based on the context stated above,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roused as follows : 1) What are the determinants of IS users` technostress in workplace? 2) What ar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determinants of technostress and technostress? 3) How technostress affect on IS strain and performance expectancy? 4) What are the perceived levels of technostress among IS users? What is the highest perceived techno-stressors among IS users? By providing answers to these questions, the study aimed at proposing basic principles for technostress management of IS users in workplace. Specific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ask-technology fit, computer self-efficacy, pace of change, technostress, IS strain and performance expectancy among IS users in workplace. Based on the previous literature on technostress, task-technology fit and self-efficacy theory, the research model and six hypotheses were proposed. Total of 260 IS users were empirically analyzed using IBM SPSS Statistics 20 and LISREL 8.54. The findings indicated that computer self-efficacy and pace of change had significant effects on technostress and technostress is influential to IS strain and performance expectancy. The results suggested the empirical model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he factors explaining technostress and performance expectancy. In the practical domain, the study proposed managerial implications for effective use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adverse effects of etchnostress.

      • KCI등재후보

        자기자비, 대학생활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전략 간 관계

        박지선(Jisun Park) 대한스트레스학회 2014 스트레스硏究 Vol.22 No.3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기자비와 대학생활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전략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부산 소재 대학에 재학 중인 232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자비척도, 대학생활스트레스척도, 대처전략척도를 실시한 후, 229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먼저 상관분석 결과, 자기자비는 대학생활스트레스와 회피중심의 스트레스대처 전략과 부적 상관이, 문제해결중심 스트레스 대처 전략과는 정적 상관이 있었다. 다음으로 대학생의 스트레스 대처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자비의 하위 요인을 알아본 결과, 생활스트레스와 문제해결중심 대처전략에는 인간 삶의 보편성에 대한 이해 요인이, 회피중심 대처전략에는 마음챙김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자기자비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을 대상으로 집단 간 차이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학생활스트레스, 문제해결중심과 회피중심 대처전략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의 스트레스에 대한 개입 방안을 제안하고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하였다.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self-compassion on university life stress and stress coping strategy. The researcher has performed questionnaire on the self-compassion, university life stress and coping strategy for 232 university students. Finally, resources of 228 university students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elf-compassion, university life stress, and avoidance focused coping strategy. Bu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compassion and problem solving focused coping strategy. Second, common humanity had a significant effect upon the problem solving stress coping strategy. Also, mindfulness of self-compassion had a significant effect upon the avoidance stress coping strategy. Finally, university students with high score of self-compassion was less university life stress and used less avoidance focused coping strategy, more problem focused coping strateg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for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 스트레스의 신경생물학적 이해

        유범희,우종민,Yu, Bum-Hee,Woo, Jong-Min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01 정신신체의학 Vol.9 No.1

        스트레스는 여러 가지 정신질환의 병태생리와 관련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여러 가지 동물 모델이 제시되고 뇌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스트레스의 선경생물학적 기전에 대해 많은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 저자들은 동물과 사람을 대상으로 스트레스가 지각되고 대뇌에서 처리되고 신경내분비적 반응으로 전환되는 경로를 밝히고자 했던 최근의 연구들을 고찰하였다. 과거 변연계-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 축(LHPA axis)과 자율신경계가 스트레스반응의 신경생물학적 담당자로 가장 많이 연구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노르에피네프린(NE), 세로토닌, GABA/Glutamate, 도파민, 아세틸콜린 등의 신경전달물질과 부신피질자극호르몬방출인자(CRF), arginine vasopressin. glucocorticoid 등의 신경호르몬이 상호작용을 하면서 스트레스반응에 관계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러한 대뇌의 신경전달체계는 LHPA축과 유기적으로 연관되면서 스트레스반응을 매개하며, 구조적으로도 LHPA축은 해마, 편도 등 다양한 대뇌 부위와 연결된다. LHPA축은 이렇게 중층적으로 조절되는데, 여기에 생기는 이상은 만성 스트레스나 우울증 등 병적 상태와 관련된다. CRF는 LHPA축의 호르몬 역할 이외에 대뇌의 광범위한 부위에 분포하면서 신경전달물질로서 기능하며 다양한 스트레스반응을 매개한다. 스트레스를 주변 자율신경계가 활성화되는데, 청색반점에서 기시하는 NE계가 직접 자극되어 카테콜아민을 분비하기도 하지만, CRF나 다른 신경전달계가 먼저 자극되면서 간접적으로 활성화되기도 한다. 특히 CRF와 NE계는 서로 자극시키는 feed-forward 상호작용을 하며, 이것이 생체가 외부환경의 도전에 맞서 내분비계 뿐만 아니라 중추신경계를 동원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것으로 보인다. 또한 CRF-NE 상호작용은 불안이나 우울 등 비정상적 스트레스반응의 병태생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시사된다. 스트레스반응은 구조적, 신경화학적, 유전적 수준의 다양한 신경생물학적 작용을 통해 일어나며, 이에 대한 연구는 스트레스반응의 병태생리를 밝히고 불안장애, 기분장애 등 정신질환의 원인 규명과 치료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Stress has been linked to the pathophysiology and pathogenesis of various psychiatric illnesses. Over the past few years, our understanding of the brain and neuroendocrine systems that are linked to stress responses has increased enormously. This article reviews a series of animal and human studies to understand what are the central pathways by which stress is perceived, processed, and transduced into a neuroendocrine response. We focus on the limbic-hypothalamic-pituitary-adrenal(LHPA) axis and several neurotransmitter systems such as norepinephrine, CRF, serotonin, acetylcholine, and dopamine. LHPA stress circuit is a complex system with multiple control mechanisms which are altered in pathological states. CRF and related peptides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appear to enhance behavioral responses to stressors. Norepinephrine systems are also activated by stressors and cause the release of catecholamines from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CRF-norepinephrine interaction makes a feed-forward system which may be important for an organism to mobilize not only the pituitary system but also the central nervous system, in response to environmental challenges. The interactions among several neurotransmitters and endocrine systems appear to play key roles in mediating various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tress responses involving abnormal responses to stressors such as anxiety and affective disorders.

      • KCI등재후보

        생활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박경(Kyung Park) 대한스트레스학회 2009 스트레스硏究 Vol.17 No.4

        본 연구는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마음챙김과 낙관주의의 중재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자는 대학에 재학중인 남녀 대학생 426명(남자: 179명, 여자: 193명)을 대상으로 자기 보고식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부정적 생활스트레스질문지, 마음챙김척도, 성향적 낙관주의척도, 우울척도 등이다. 자료 분석은 각 변인들 간의 상관 분석 및 부정적 생활 스트레스와 우울 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과 낙관주의의 중재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부정적 생활 스트레스의 경우 대인관련 스트레스와, 성취관련 스트레스 모두 우울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5요인 마음챙김 척도의 경우 하위 요인 중 기술을 제외한 4개의 하위 요인이 우울과 상관관계가 유의하였다, 또한 성향적 낙관주의는 우울과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음챙김, 성향적 낙관주의의 중재효과를 살펴보기 위한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대인관련 스트레스와 성향적 낙관주의의 상호작용이 우울의 변량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성향적 낙관주의가 대인관련 스트레스와 우울간의 관계에서 중재변인으로 작용함을 반영한 결과이다. 한편 대인관련 스트레스와 마음챙김의 상호작용의 경우 우울에 대한 설명력은 낮은 수준이기는 하나 의미있는 결과로 볼 수 있으며 이는 대인관련 스트레스와 우울 간의 관계에서 중재변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그러나 성취관련 스트레스와 우울 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중재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d the moderating effect of mindfulness and dispositional optimism on the relation between stress of life and depression. For this, a sample of under-graduate students (179 male students, 193 female students) completed Negative Life stress questionnaire, Korean Version of Five-factor Mindfulness Questionnaire, Life Orienting Test,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ent Depression. Correlation analysis was tested to address the relation among negative stress of life, mindfulness, dispositional optimism, and depression. Hierarchical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was also implemented for addressing the moderating effect of mindfulness and optimism on the relation between negative stress of life and depression. In the results about stress of life, both of stress for personal relations and stress on achievement showed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In the test on the scale of five factor mindfulness, four factors except description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depression. Specifically interaction effect of stress of personal relations and dispositional optimism explains the variable depression with significance. This means that dispositional optimism acts as moderating variable on the relation between stress of personal relations and depression. Even though it was weak for interaction effect of stress of personal relations and mindfulness to interpret depression, the interaction effect was impressed as a role of moderating variable because of the high significance level of the effect. However, the moderating effect of mindfulness on the relation between stress of achievement and depression did not have significance. (Korean J Str Res 2009;17:369∼378)

      • KCI등재

        한국 기혼 여성의 명절 스트레스: 검진센터 방문여성을 중심으로

        강동수,김종성,김성수,정진규,박한주,정숙영,임철순,최상욱 대한가정의학회 2010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31 No.3

        Background: The Korean traditional national holidays commonly produce several physical symptoms related to stres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degree of the stress from the married women during their Korean traditional biggest holidays. Methods: The subjects were 99 married women who had visited the Health Promotion Center at a university hospital. For evaluating the stress of the Korean traditional biggest holidays, subjects were allowed to write in subjective stress score based on the Social Readjustment Rating Scal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stress were investigated. Results: The mean (± SD) score of the married women's stress of the Korean traditional biggest holidays was 38.7 (± 21.9). The score was widely distributed from the 0 to 100. The cases with hobbies to cope with stress showed significantly (P <0.05) lower stress score than those without hobby. The stress score was inversely correlated with family APGAR score (r =-0.346, P < 0.01). I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model, the stress score was related to family APGAR score and hobby to cope with stress (overall R2 = 0.171, P < 0.001). Conclusion: The stress score of the Korean traditional biggest holidays was widely distributed from 0 to 100 in Korean married wome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raditional biggest holidays act as a stressor for individual with a range of variable extent. 연구배경: 우리나라에서는 기혼 여성들이 명절 스트레스로인해 갖가지 신체 증상이 생기는 경우가 흔하다. 본 연구는 기혼 여성을 대상으로 명절이 주는 스트레스의 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6년 3월에서 7월까지 대전의 한 대학병원 종합건강증진센터를 방문한 99명의 기혼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Holmes와 Rahe의 사회 재적응 척도의 점수를 기준으로 대상자들이 명절로 인한 스트레스 점수를 주관식으로 기입하게하였다. 명절 스트레스에 관련되는 요인을 평가하기 위해 대상자들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 가족 상황 및 명절과 관련한 특성을 조사하였다. 결과: 기혼 여성의 명절 스트레스 점수는 평균(±SD) 38.7(±21.9)점이었고 점수의 범위는 0-100점으로 다양하였다. 명절스트레스 점수는 스트레스를 푸는 취미가 있는 경우가 없는경우에 비해 유의하게(P=0.029) 낮았고, family APGAR 점수와유의한(P=0.001) 음의 상관관계(r=-0.346)를 보였다. 다단계다중 회귀 분석 결과 family APGAR 점수와 스트레스를 푸는 취미 유무가 명절 스트레스 점수에 대해 17.1%의 설명력을 보였다. 결론: 기혼 여성이 명절 때 받는 스트레스 점수는 0점에서100점을 보여 명절은 기혼 여성에게 개개인에 따라 다양한 강도의 스트레스로 작용한다고 사료되며, family APGAR 점수와스트레스를 푸는 취미 유무가 스트레스 점수와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