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기성인기 남녀의 관계성 욕구 및 거부민감성이 커플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 자기개방과 지각된 반응성의 매개효과

        이미희 명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친밀감 대인관계 과정 모델 이론을 바탕으로 설정한 초기성인기 남녀의 관계성 욕구와 거부민감성, 자기개방, 지각된 반응성, 커플친밀감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 초기성인기 남녀의 관계성 욕구와 거부민감성이 커플친밀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기개방과 지각된 반응성의 이중매개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커플친밀감이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기성인기 남녀의 성별 및 교제기간에 따라 주요변인은 각각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친밀감 대인관계 과정 모델 이론을 바탕으로 설정한 관계성 욕구, 거부민감성, 자기개방, 지각된 반응성, 커플친밀감의 연구모델 경로는 어떠한가? 셋째, 초기성인기 남녀의 관계성 욕구와 거부민감성이 커플친밀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기개방과 지각된 반응성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넷째, 초기성인기 남녀의 커플친밀감은 결혼의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러한 연구 목적으로 수도권에 거주하는 만 18세에서 만 39세의 초기성인기 남여 492명을 대상으로 관계성 욕구, 거부민감성, 자기개방, 지각된 반응성, 커플친밀감에 관한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질문지들 중 연구대상에 포함되지 않거나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를 제외한 421부를 본 연구의 분석 자료로 사용하여 SPSS 21.0을 이용한 빈도분석, 교차분석, 독립표본 t-검증,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하였고, AMOS 24.0을 통해 확인적 요인분석 및 측정모델 분석, 측정모델 타당성 검증, 구조방정식 모델 분석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기성인기 남녀의 관계성 욕구와 거부민감성, 커플친밀감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자기개방과 지각된 반응성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제기간에 따라 자기개방은 자기개방 전체와 하위요인인 지각된 관심폭 요인, 관계깊이 요인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보였으며 커플친밀감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모델은 만족할 만한 적합도를 보여 주었으며, 9개의 가설 중 8개의 가설이 채택되고 1개의 가설은 기각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관계성욕구는 자기개방, 커플친밀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거부민감성은 자기개방, 지각된 반응성, 커플친밀감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개방은 지각된 반응성과커플친밀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지각된 반응성은 커플친밀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관계성 욕구 및 거부민감성이 커플친밀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기개방과 지각된 반응성의 이중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초기성인기 남녀의 커플친밀감은 결혼의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커플친밀감의 단위가 증가할수록 결혼의향이 9.3%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초기성인기 남녀의 개인적인 관계성 욕구와 거부민감성이 자기개방, 지각된 반응성, 커플친밀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종합적이고 심층적으로 탐색함으로써 커플친밀감과 관련된 연구를 보다 확장시켰다. 또한 친밀감을 형성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커플들을 위한 심리치료·상담 과정에서 내담자들의 개인적인 욕구나 두려움을 이해하고, 자신의 경험·생각·감정을 나누고 적절하게 파트너의 반응을 지각하도록 돕는 커플 상담 프로그램(친밀감 향상 프로그램, 자기개방 프로그램, 의사소통 프로그램 등)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라 기대된다. This study was aimed to see the structure relation on early adulthood men and women’s Relatedness Need and Rejection Sensitivity, Self-Disclose, Perceived Partner Response, Couple Intimacy based on The Model of The Intimacy Process and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disclose and perceived partner response in the relation between Relatedness Need, rejection sensitivity and couple intimacy. Furthermore, the effect of couple intimacy on attitude towards marriage was explo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first, if the main variables would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gender of people in early adulthood, second, the paths of needs for relatedness, rejection sensitivity, self-disclosure, perceived partner response, and couple intimacy based on The Model of the Intimacy Process, thir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disclosure and perceived partner response on the influences of needs for relatedness and rejection sensitivity of men and women in early adulthood on couple intimacy, and fourth, if couple intimacy of men and women in early adulthood would have significant influences on attitude towards marriage.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in relation to needs for relatedness, rejection sensitivity, self-disclosure, perceived partner response, and couple intimacy targeting 492 men and women in early adulthood aged in 18-39 living in the capital area. Of collected questionnaires, a total of 421 excluding those containing unrelated or negligent responses were used for research data. In addition, frequency analysis, cross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with SPSS 21.0,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easurement model analysis, verification of measurement model validity,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ere conducted with AMOS 24.0. The stud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needs for relatedness, rejection sensitivity, and couple intimacy of men and women in early adulthoo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gender, while self-disclosure and perceived partner response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ddition, self-disclosure, perceived width of concern, depth of relationship, and couple intimac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courtship. Second, the research model of this study showed an appropriate fit, and of 9 hypotheses, 8 were adopted and only one was rejected. Specifically, needs for relatedness had positive (+) effects on self-disclosure and couple intimacy, while rejection sensitivity had negative (-) effects on self-disclosure, perceived partner response, and couple intimacy. In addition, self-disclosure had positive (+) effects on perceived partner response and couple intimacy, while perceived partner response had positive (+) effects on couple intimacy. Thir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disclosure and perceived partner response on the influences of needs for relatedness and rejection sensitivity on couple intimacy turned out to be significant. Fourth, couple intimacy of men and women in early adulthood had significant effects on attitude towards marriage, and when a unit of couple intimacy increased, attitude towards marriage increased by 9.3%. This study expanded the research on couple intimacy by comprehensively and deeply exploring the effects of needs for relatedness and rejection sensitivity of men and women in early adulthood on self-disclosure, perceived partner response, and couple intimacy. The study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eline data for couple consultation programs (intimacy improvement programs, self-disclosure programs, communication programs, etc.) to not only understand clients’ individual needs and fears during the psychotherapy and consultation processes needed for couples with difficulties in forming intimacy, but also help them share their experiences, thoughts, and emotions and perceive partner response adequately.

      • 성경적 관점에서 바라 본 성인초기 불안문제에 대한 연구

        신하나 총신대학교 상담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성인초기에 경험하는 불안 문제에 대해 보다 근본적인 변화와 회복을 위하여, 그들의 마음의 동기를 살피고 사랑으로 진리를 말하는 성경적인 접근을 통하여 전인적인 변화로 이끄는데 목적이 있다. 불안이라는 감정은 전 생애에 걸쳐서 흔하게 경험한다. 시험이나 면접 상황과 같은 일상적인 상황에서도 불안을 경험하며 방송 매체를 통해 알려지고 있는 다수의 방송인들이 겪고 있다는 공황장애와 같은 병리적인 관점에서의 불안까지 그 범위는 굉장히 넓다. 선행 연구와 문헌 연구를 통해서 불안을 통해 나타나는 증상과 불안에 대한 각 심리학적인 입장은 어떠한지에 대해 이해하고 심리학을 기반으로 하는 심리 치료의 한계에 대해 알아보았다. 각각의 심리학과 심리치료에서는 병리적인 불안에만 많은 관심을 두고 그 증상을 치료하고 완화 및 해소하는 것에 목적이 있었다. 성인초기에는 대부분이 학업을 끝내고 구직과 결혼이라는 발달 과업을 이루기 위해 노력하는 시기이다. 이때는 부모로부터 독립하여 자신의 삶을 개척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많은 이들이 자신이 원하는 바와 목표하는 삶을 지향점으로 두고 그것을 이루기 위해 고군분투한다. 하지만 현실은 너무나 낮은 취업률과 거기서 파생되어지는 인간관계와 독립, 결혼, 육아와 같은 현실적인 문제들이 산재되어 있다. 따라서 병리적인 수준에서의 불안이 아닌 성인초기에 있는 이들이 일상적으로 경험하는 상황 속에서 느끼는 불안을 연구하였으며 더 나아가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 성경이 말하는 불안에 대해 성경 본문과 문헌 연구 등을 통해 연구하였다. 성경은 인간은 죄로 인해 타락한 존재이며 그 인간관을 바탕으로 성경적 상담은 모든 문제는 죄로 인하여 하나님과의 관계가 단절되었으며 죄악 된 마음에서 비롯된다고 이해한다. 이것을 바탕으로 성인초기에 경험하는 불안문제를 불안의 기저에 깔려 있는 마음의 동기를 살펴보아 “그리스도 안에서 완전한 자”(골 1:28)로 세우고 근본적인 해결을 위한 성경적인 관점을 제시하고 연구하였다.

      • 성인초기 미혼여성의 자기분화가 결혼에 대한 양가태도에 미치는 영향 :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

        박지수 명지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 self-differentiation of unmarried women in early adulthood on the ambivalent attitudes toward marriage, and to verify the mediator effect of the fear of intimacy of unmarried wome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ear of intimacy and ambivalent attitudes toward marriage. The following are the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self-differentiation, fear of intimacy, and ambivalent attitudes toward marriage of unmarried women in early adulthood? Second, what is the mediator effect of the fear of intimacy of unmarried women in early adulthood in the effect of the self-differentiation on the ambivalent attitudes toward marriage? This study surveyed 320 unmarried woemn in eartly adulthood in Seoul and Gyeonggi-do with questionnaire on self-differentiation, fear of intimacy, and ambivalent attitudes toward marriage. Of the 320 parts, 296 were used as the final analysis data for this study, with the exception of the missing questionnaires and 24 unresponsive questionnaires. And this data was analyzed Frequency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simple regress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rough SPSS 21.0 for statistic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looking at the correlations between self-differentiation, fear of intimacy and ambivalent attitudes toward marriage of unmarried women in early adulthoo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whole variables was found. Ambivalent attitudes toward marriage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differentiation, but it showed a static correlation with the fear of intimacy. And self-differentiation also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fear of intimacy. Second, we looked at the mediating effects of fear of intimacy on the effect of the self-differentiation of unmarried women in early adulthood on the ambivalent attitudes toward marriage. As a result, it confirmed the mediated effect of the fear of intimacy in the effect of the self-differentiation on the ambivalent attitudes toward marriage.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self-differentiation and the fear of intimacy of unmarried women in early adulthood affect the ambivalent attitudes toward marriage, and verified the mediated effect of fear of intimacy in the effect of the ear of intimacy on the ambivalent attitudes toward marriage. This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expanded the understanding of the declining marriage motivation and marriage rate of unmarried women. It is also expected to provide basic for education for prospective couples and contribute to understanding and helping those who complain of related problems at the counseling and psychological treatment sites.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초기 미혼여성의 자기분화가 결혼에 대한 양가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성인초기 미혼여성의 자기분화와 결혼에 대한 양가태도의 관계에서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초기 미혼여성의 자기분화,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 결혼에 대한 양가태도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성인초기 미혼여성의 자기분화와 결혼에 대한 양가태도의 관계에서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하는 만 19~34세 미혼여성 320명을 대상으로 자기분화, 결혼에 대한 양가태도,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에 관한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320개의 질문지 중 누락된 문항이 있거나 무성의하게 응답한 질문지 24부를 제외하여 총 296부를 본 연구의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이 분석 자료는 SPSS 21.0을 통하여 빈도분석, Pearson의 상관관계, 단순회귀분석, 중다회귀분석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초기 미혼여성의 자기분화,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 결혼에 대한 양가태도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전체 변인들 간의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결혼에 대한 양가태도는 자기분화와 부적 상관을 보였고,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과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자기분화와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의 관계는 부적 상관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인초기 미혼여성의 자기분화가 결혼에 대한 양가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성인초기 미혼여성의 자기분화가 결혼에 대한 양가태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이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성인초기 미혼여성의 자기분화와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이 결혼에 대한 양가태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자기분화가 결혼에 대한 양가태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감소하고 있는 미혼여성의 결혼 동기 및 혼인율 대한 이해를 확장시켰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또한 예비부부를 위한 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며, 상담 및 심리치료 현장에서 관련 문제를 호소하는 내담자를 이해하고 도움을 주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성인초기의 스마트폰 의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메타분석 : -개인, 가족, 사회 요인을 중심으로-

        오나경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03

        성인초기의 스마트폰 의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메타분석 –개인, 가족, 사회 요인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성인초기 대상의 스마트폰 의존와 관련된 요인들을 메타분석하 기 위해 2010년부터 2023년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석·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을 총 117편을 수집하였고 376개의 효과크기가 산출되었다. 성인초기의 스마트폰 의존을 살펴보기 위해서 수집한 데이터를 개인 요인, 가족 요인, 사 회 요인으로 나눈 뒤 각각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으로 재분류하여 각 요인의 전 체 효과크기 및 세부요인들의 효과크기를 확인하였다. 자료의 코딩과 분석은 Excel과 CMA 4.0을 활용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에 따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초기의 스마트폰 의존과 관련된 개인의 보호요인 전체 효과크 기는 ESr=-0.296으로 나타나 작은 효과크기로 나타났다. 개인 보호 세부요인 들의 효과크기는 자기조절 (ESr=-0.363), 심리적 적응(ESr=-0.320), 긍정적 자 기인식(ESr=-0.299), 긍정적 정서 기능 (ESr=-0.236), 자기결정성 (ESr=-0.23 6)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의 위험요인 전체 효과크기는 ESr=0.310으로 중 간 효과크기를 보였다. 개인 위험 세부요인들의 효과크기는 스트레스(ESr=.35 6), 불안정 성인애착(ESr=.313), 기질(ESr=.319) 부정적 정서 기능(ESr=.292), 외현화 문제(ESr=.286), 내현화 문제(ESr=.280)의 순으로 효과크기가 나타났 다. 둘째, 성인초기의 스마트폰 의존과 관련된 가족의 보호요인 전체 효과크기 는 ESr=-0.200로 작은 효과크기로 나타났다. 가족 보호 세부요인들의 효과크기 는 다음과 같다. 긍정적 부모자녀 의사소통 (ESr=-0.267), 가족유대감 (ESr=- 0.185) 긍정적 양육환경 (ESr=-0.144)은 순서대로 작은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그러나 가족기능은 이질성이 0으로 나타나 성인초기의 스마트폰 의존에 유의 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는다고 나타났다. 가족 위험요인의 전체 효과크기는 ES r=0.225으로 작은 효과크기로 나타났으며 가족 위험 세부요인들의 효과크기는 부정적 부모자녀 의사소통 (ESr=0.343), 부정적 양육환경 (ESr=0.195) 의 순으 로 나타났다. 셋째, 성인초기의 스마트폰 의존과 관련된 사회의 보호요인 전체 효과크기 는 ESr=-0.145로 작은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사회의 보호 세부요인들은 긍정적 대학 경험 (ESr=-0.191), 사회적 지지 (ESr=-0.144), 대인관계 긍정적 경험 E Sr=-0.135)의 순으로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사회의 위험요인 전체 효과크기는 ESr=0.273으로 작은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사회 위험 요인의 세부요인들의 효 과크기는 대인관계 부정적 경험 (ESr=0.277), 부정적 대학 경험 (ESr=0.264)의 순으로 나타났다. 성인초기의 스마트폰 의존와 관련한 요인별 효과크기를 비교한 결과, 개 인 위험 요인(ESr=.310)이 가장 큰 효과크기를 보였고 그 다음 사회 위험 요인 (ESr=.273), 개인 보호 요인 (ESr=-.296), 가족 위험 요인 (ESr=.225), 가족 보호 요인 (ESr=-.200), 사회 보호 요인 (ESr=-.145)순으로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성인초기의 스마트폰 의존에 대해 진행 되어온 기존의 개별연구물을 종합하여 개인 대상으로 연구가 한정되었던 것을 개인이 속한 가족에서 더 나아가 사회로 구분짓고 세부영향도를 구체화시킨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불어 다양한 요인들 중 성인초기의 스마트폰 의존와 관련하여 보다 의미 있는 요인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였으므로 의존에 대한 총체적 이해를 도왔다. 또한 청소년 대상으로 진행된 기존 스마트폰 의존 메 타분석 결과와 비교하여 대상의 연령에 따라 스마트폰 의존에 있어 다른 접근 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의 연구방향을 안내하며 성인 초기를 대상으로 한 스마트폰 의존에 따른 심리적 지원이나 예방프로그램, 의 존에 빠지기 쉬운 대상군의 선제적인 선별 등 적절한 개입의 필요한 심리적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었다.

      • 성인초기 미혼남녀의 유기불안이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 : 자아분화와 고통감내력의 매개효과

        배진영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타인과의 친밀감을 형성하는 시기인 성인초기에 대인관계 및 이성관계를 맺고 유지하는 데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특히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집착적인 행동을 보일 수 있는데, 이는 스토킹, 데이트 폭력, 살인 등의 사회적인 문제로도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성인초기에 부적응적인 패턴으로 관계를 유지하는 요인을 알아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초기의 미혼남녀의 유기불안이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분화와 고통감내력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혼남녀의 유기불안과 자아분화, 고통감내력이 관계중독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둘째, 유기불안이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아분화와 고통감내력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 수도권(서울, 경기도, 인천)에 거주하고 있으며, 연애경험이 한 번 이상 있는 20-35세 미혼남녀 452명을 대상으로 유기불안, 관계중독, 자아분화, 고통감내력에 관한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452부 중 누락된 문항이 있거나 무성의하게 응답한 설문지 37부를 제외하고 415부를 본 연구의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이 분석 자료는 SPSS 21.0을 통하여 빈도분석, 일원변량분석, Pearson의 상관관계, 단순회귀분석, 중다회귀분석, 단계적 회귀분석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초기 미혼남녀의 사회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유기불안, 자아분화, 고통감내력, 관계중독에서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미혼남성은 교제 기간이 길어질수록 유기불안은 낮아지고 고통감내력은 높아졌다. 또 일주일 간 만남 횟수가 많을수록 관계중독이 높아졌다. 미혼여성의 경우 교제 기간이 길어질수록 고통감내력이 높았으며, 일주일 간 만남 횟수가 많을수록 유기불안과 관계중독은 높아지고, 자아분화와 고통감내력은 낮아졌다. 둘째, 성인초기 미혼남녀의 유기불안, 자아분화, 고통감내력과 관계중독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상관분석에서 전체변인들 간의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관계중독은 유기불안과 정적 상관을 보였고, 자아분화, 고통감내력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유기불안과 자아분화, 고통감내력 또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성인초기 미혼남녀의 유기불안, 자아분화, 고통감내력이 관계중독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남성의 경우 고통감내력이 낮을 때 특히 관계중독에 영향을 미쳤으며, 여성의 경우 유기불안이 높을 때 특히 관계중독에 영향을 미쳤다. 넷째, 성인초기 미혼남녀의 유기불안이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자아분화와 고통감내력의 매개효과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남성과 여성 모두 자아분화 수준에 따라 유기불안이 커질 때 관계중독 성향을 강화시키는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남성과 여성 모두 고통감내력의 정도에 따라 유기불안이 커질 때 관계중독적 성향을 강화시키는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성인초기 미혼남녀를 대상으로 연애관계에서의 행동패턴을 연구하였고, 특히 연구가 부족했던 유기불안과 관계중독에 대한 직접적인 관계를 규명하려고 하였다. 또한 이성관계의 어려움을 호소하는 내담자들이 부적응적인 대인관계 패턴을 유지하는 이유에 대하여 이해의 폭을 확장시켰다. 이 결과는 상담자가 상담 현장에서 부적응적인 대인관계 패턴을 보이는 내담자에 대한 통합적인 이해를 도우며 이성관계와 더불어 대인관계의 문제개선을 위한 심리치료, 상담 과정에서 이성관계 갈등 및 불만족으로 인한 심리적 어려움을 호소하는 내담자들의 갈등의 요인들을 이해하고,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데 도움을 주는 경험적 기초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re are growing number of people who experience difficulties in establishing and maintaining interpersonal and emotional relationships in the early years of adulthood, which is the period to form intimacy with others. Especially, they might show the obsessive behavior in order to maintain the relationship, resulting the social problems such as stalking, dating violence, and murde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search the factors which maintain relationships in a maladaptive pattern in the early period of adultho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mediating effect of self differentiation and distress tolerance in terms of abandonment anxiety about relationship addiction of unmarried men and women in the early adult period. Accordingly, we have following research issues. First, what is the relative influence on abandonment anxiety, self-differentiation and distress tolerance about relation addiction of single men and women? Second, what is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ifferentiation and distress tolerance on the effect of abandonment anxiety on relationship addiction? This study conducted the survey with questionnaire on abandonment anxiety, Relationship addiction, Self-Differentiation, Distress Tolerance for 452 single men and women in age of 20-35 who have experienced in love affair once or more, residing metropolitan area (Seoul, Gyeonggi-do and Incheon). Among 452 questionnaires, 415 questionnaires were used the final analysis data of this study excluding 37 with missing questions or careless questions. This data was analyzed Frequency analysis,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simple regress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through SPSS 21.0 for statistic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when analyzing the difference in abandonment anxiety, Self-Differentiation, Distress Tolerance, Relationship addiction depending on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of single men and women in the early of adulthood, the single men show the result that the more longer the duration of dating, the lower the abandonment anxiety and the higher the Distress Tolerance, and the more frequently they meet for a week, the higher the relationship addiction. The single women show the result that the longer the duration of dating, the higher the Distress Tolerance, and the more frequently they meet for a week, the higher the abandonment anxiety and the relationship addition, the lower the self-differentiation and the distress tolerance. Second, this study examines the correlation of abandonment anxiety, Self-Differentiation, Distress Tolerance and Relationship addiction of single men and women in the early of adulthood.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s th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all variables. Relationship additions shows the positive relation with abandonment anxiety, shows the negative relation with Self-Differentiation, Distress Tolerance. In addition the abandonment anxiety shows the negative relation with abandonment anxiety, Self-Differentiation and Distress Tolerance. Third, when reviewing the relative influence on the relationship addiction of abandonment anxiety, Self-Differentiation, Distress Tolerance of single men and women in the early of adulthood, Men had a high influence in relationship addiction when the distress tolerance is especially low, and Women had a higher influence in relationship addiction especially when abandonment anxiety is especially high. Fourth, this study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ifferentiation and Distress Tolerance of single men and women in the early of adulthoo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both men and women have the mediating role which strengthens the tendency of relationship addiction when the abandonment anxiety gets bigger depending on the level of self-differentiation.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both men and women have the mediating role which strengthens the tendency of relationship addiction when the abandonment anxiety gets bigger depending on the level of distress tolerance. This study researched the behavior pattern of relationship of single men and women in the early of adulthood, especially tried to identify the direct relation about abandonment anxiety and Relationship addiction of which research has been insufficient so far. In addition, this study expanded our understanding of why clients who complain of relationships but maintain a maladaptive interpersonal pattern. We expect that this result allows the consultant to help th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about clients who show maladaptive pattern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will provide the empirical basis which understands the factors of conflicts of clients who appeal the psychological difficulties due to the conflicts and dissatisfaction in relationship and increases the life satisfaction during the process of counselling.

      • 성인초기 지적장애인의 자기결정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가족기능의 조절효과 분석

        정상미 명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8703

        The Effects of Self-Determination on Quality of Life Among Young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An Analysis of Moderating Effect of Family Functioning JUNG SANG-MI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Myongj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KIM MIN A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ffects of self-determination on quality of lif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family functioning in this relationship among young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living in the community. This study will help them live a successful transition to adulthood and independent life.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obtained from 479 young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between 18 and 25 years of age residing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A total of 476 surveys were included in this analysis. The participants consist of 286 male (60.1%) and 190 female (39.9%). Of those, 403 (84.7%) were high school graduates. Their disability grade was 2nd class (n=268, 56.3%) and 3nd class (n=208, 43.7%). Most of them used community welfare center (n=232, 48.7%) and the others used job rehabilitation trading center (n=74, 15.5%) or sheltered workshops (n=158, 33.2%). In this study, an independent variable was self-determination; a dependable variable was quality of life; and moderating variable was family functioning. Using SPSS 23.0, the nalyses were made as follows using t-test, one-way-ANOVA, and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 First, the participants’ levels of self-determination, quality of life, and family functioning were identified. Second, differences in quality of life by thei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 were examined. Third, effects of self-determination is on the quality of life were examined. Fourth, the moderating effect of family functioning in this relation was examined. Main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quality of life was 3.45(SD=.66) on average using 5-point Likert scale (1-5). As a subscale of self-determination, autonomy was 1.60(SD=.65) using a 4-point Likert scale (0-3). psychological ability was 7.71(SD=1.96) using a 2-point Likert scale and self-realization was 5.78(SD=2.59) using a 2-point Likert scale. Family functioning, which was measured as the Ratio score using the calculation method of FACES Ⅳ scale, was 1.46(SD=.65) in family cohesion, and 1.46(SD=.67) in family flexibility, which were in a balanced level. For sub-factor of family cohesiveness, 'balanced cohesion' indicated 'normal cohesion' level, 'disengaged' indicated 'middle' level, and 'enmeshed' was close to 'low' level. For sub-factor of family adaptability, 'balanced flexibility' indicated 'normal flexibility' and 'rigid' indicated 'middle' level, 'chaotic' indicated the 'low' level. In total, the level of family functioning indicated 'balanced family'. Second, correlational analyses indicated that quality of life was correlated with self-determination, family functioning, and employment. Self-determination was correlated with family functioning, work condition, and disability grade. Gender was correlated with religion; Age was correlated with employment; and education was correlated with employment. Third,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life quality by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 of study subjects, independent sample t-tests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The result found that gender, age, religion and education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ant difference; buttheir quality of lif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employment.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 of family function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etermination and quality of life, the flexibility of family functioning (β=.103) significantly moderated that relationship. More specifically, a subscale of family functioning disengaged (β=-.109), enmeshed (β=-.102), rigid(β=-.120), and chaotic (β=-.105) significantly moderated the effects of self-determination on quality of life. That is, for those with greater levels of flexibility of family functioning or those with lower levels of disengaged, enmeshed, rigid and chaotic, the effects of self-determination on quality of life were greater. These study findings suggest that for improvement of their life quality than young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mprovement of self-determination is the most important and strengthening of family function playing a key role of young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s important. Therefore, this study provides a practical implication of the related organizations to strengthen self–determination ability, to suggest the theoretical implication through a new understanding of the family function among thos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o provide the policy implica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Key words : young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quality of life, self-determination, family functioning 성인초기 지적장애인의 자기결정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가족기능의 조절효과 분석 정 상 미 명지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학과간협동과정 지도교수 김 민 아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성인초기 지적장애인의 자기결정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 가족기능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여 이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론적·실천적·정책적 함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은 성인초기 지적장애인을 이해하고 그들이 성공적인 성인기 삶을 잘 살아갈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필요성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모형의 검증을 위하여 서울·경기·인천지역에 거주고 있는 만 18세 이상 만 25세 이하의 성인초기 지적장애인 47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중 분석 가능한 476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남성이 286명(60.1%), 여성이 190명(39.9%)이었고, 그 중 403명(84.7%)이 고등학교를 졸업한 대상자들이었다. 장애등급은 2급이 268명(56.3%)이고, 3급이 208명(43.7%)이었으며, 연구참여자들의 이용기관 유형은 복지관을 이용하거나(232명, 48.7%), 직업재활훈련기관(74명, 15.5%) 및 보호작업장(158명, 33.2%)을 이용하는 지적장애인들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독립변수가 자기결정이고, 종속변수는 삶의 질이며, 조절변수는 가족기능이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 476명의 설문지를 SPSS 23.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과 독립표본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의 방법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자기결정 수준, 삶의 질 수준, 가족기능 수준을 파악하였다. 둘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 수준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셋째, 연구대상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검증하였다. 넷째, 자기결정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가족기능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의 내용과 같다. 첫째, 본 연구대상자의 삶의 질 수준은 5점 만점에 평균 3.45(SD=.66)이며, 자기결정은 자율성이 0점에서 3점까지의 4점 Likert척도로 측정한 결과 1.60(SD=.65)으로 나타났고, 심리적 역량은 평균이 16점 만점 기준으로 7.71(SD=1.96)이며, 자아실현은 평균이 15점 만점에 5.78(SD=2.59)로 나타났다. 가족기능은 FACES Ⅳ척도 메뉴얼의 계산법을 활용하여 알아본 가족응집력 수준은 비율(Ratio)점수로서 1점을 기준으로 하여 평균 1.46(SD=.65)이며, 가족적응력은 1.46(SD=.67)으로 균형의 방향으로 나타났다. 각 하위요인별로는 가족기능 응집력의 ‘연결’은 ‘보통 연결’ 수준에 포함되었고, 분리’는 ‘중간’ 수준을 나타내고 있으며, ‘밀착’은 ‘낮음’ 수준에 가까운 범위에 포함되어 있다. 가족기능 적응력의 ‘융통’은 ‘보통 유연’에 포함되었고, ‘경직’은 ‘중간’ 수준에 포함되었으며, ‘혼돈’은 ‘낮음’ 수준에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나 전체적인 연구대상자의 가족기능 수준은 ‘균형을 이루는 가족’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요변인 간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삶의 질은 자기결정, 가족기능, 근로상태와 상관관계를 가졌으며, 자기결정은 가족기능, 근로상태, 장애등급과 상관관계를 가졌다. 통제변수인 성별은 종교와 연령은 근로상태와 상관관계를 가졌으며, 학력은 근로상태와 상관관계를 가졌다. 셋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삶이 질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성별, 연령, 종교, 학력, 장애등급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평균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근로상태의 경우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평균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본 연구모형의 최종단계인 자기결정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가족기능의 조절효과를 분석해 본 결과, 가족기능의 적응력(β=.103)이 정(+)적인 조절효과로 검증되었고, 응집력은 유의한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위요인에 대한 조절효과 분석결과, 응집력의 하위요인인 분리(β=-.109), 밀착(β=-.102)과 적응력의 하위요인인 경직(β=-.120), 혼돈(β=-.105)이 부(-)적인 조절효과로 검증되었다. 즉, 성인초기 지적장애인 가족기능의 적응력이 높을수록 자기결정으로 인한 삶의 질의 향상 정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하위요인별로는 응집력을 구성하는 분리와 밀착, 적응력을 구성하는 경직과 혼돈이 낮을수록 자기결정으로 인한 삶의 질의 향상 정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성인초기 지적장애인의 보다 높은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자기결정력 향상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지적장애인의 평생의 삶 속에서 가장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가족기능 강화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성인초기 지적장애인의 당사자 입장에서 살펴본 실질적인 연구로서 자기결정력 강화를 위해 관련 기관에서 실천해야하는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고, 지적장애인의 가족기능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통해 이론적 함의를 제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는데 있어 기초적인 근거자료가 될 것이다. 주제어(키워드) : 성인초기 지적장애인, 삶의 질, 자기결정, 가족기능

      • 성인초기 여성의 월경관련 증상 및 관리 : DRSP와 월경일지를 중심으로

        김예지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성인초기 여성을 대상으로 월경특성과 PMS 유병률을 파악하고, PMS로 선별된 여성을 대상으로 월경주기 단계별 증상과 증상관리방법을 파악하여 우리나라 성인초기 여성의 PMS 실태 및 월경건강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한 후향적 횡단적 조사연구 및 전향적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서울시내 소재 일 종합대학교 간호대학 학생을 대상으로 모집하였으며, 총 151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모두 회수하여 151명을 최종 분석하였다. 연구도구는 1단계에서 월경특성질문지, PMS여성을 선별하기 위해 Endicott and Harrison (1990)이 개발한 일별증상기록지(DRSP), 인구사회학적 특성 질문지, 수정∙보완한 Higham(1990)의 월경량 그림평가도구(PBAC)를 사용하였다. 2단계에서는 월경일지, 일별증상기록지(DRSP)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규칙적 월경주기인 여성은 68.9%였으며, 연간 월경횟수는 규칙적 월경주기 여성이 11.97회, 불규칙적 월경주기 여성이 8.96회였다. 월경주기는 규칙적 월경주기 여성이 29.38일, 불규칙적 월경주기 여성은 23.67~63.25일이었으며, 월경기간은 규칙적 월경주기 여성이 5.72일, 불규칙적 월경주기 여성은 4.10~9.03일이었다. 월경량은 37.4%에서 월경과다로 나타났다. 2) 성인초기 여성의 PMS유병률은 42.4%로 나타났고, PMS여성일수록 월경량이 많았고(p=.0004), 월경증상은 더 일찍 발현되었으며(p=.001), 초경연령, 월경규칙성, 월경주기, 월경기간, 연간 월경횟수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PMS여성의 월경주기 단계에 따라 증상빈도 분석결과, 황체기와 월경기에 공통적으로 신체적 피로감, 관절통/근육통을 호소하였다. 황체기에는 부종, 염증반응증상, 질 분비물, 기분저하가 특징적으로 나타났으며, 월경기에는 골반/복부통증, 하체증상/요통, 두통, 식욕저하, 체온변화증상, 시림/저림, 예민하고 날카로움, 의욕저하, 감정조절 어려움이 특징적으로 나타났다. 4) PMS여성이 월경주기 증상 완화를 위해 가장 많이 시행한 관리방법은 휴식/수면, 운동/체위변경, 식이조절, 감정적 대처, 관심전환이었다. 5) 월경증상별 관리방법은 신체적 피로감을 완화하기 위한 휴식/수면 방법이 가장 많았다. 그 외에 하체증상/요통을 완화하기 위해 운동/체위변경, 마사지를, 기분저하를 완화하기 위해 감정적 대처 및 관심전환을 시도하였다. 결론적으로 PMS여성들이 다양한 증상들로 황체기와 월경기에 고통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이러한 결과는 PMS로 고통 받는 여성들이 개별화된 증상관리에 접근할 수 있도록 과정적 흐름을 제공하여, 효과적인 월경증상 관리에 활용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였고, 나아가 임상전문가와 여성들이 일상생활에서 효과적인 월경증상관리를 적용하도록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 Purpose: This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menstrual characteristics and prevalence of PMS in early adolescent women, and to identify menstrual symptoms and management patterns of menstrual cycles using the menstrual diary. Method: In the first stage, study participants were 151 students from the nursing college in the university located in Seoul.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20 to June 2, 2017 using the questionnaire, PBAC, and retrospective DRSP. In the second stage, study participants were 17 students who selected as PMS in the first stage. Data were collected from 29 May to 2 September 2017 using the menstrual diaries and prospective DRSP. Results: The prevalence of PMS in early adult women was 42.4%. PMS women had more menstrual volume (p = .0004), and menstrual symptoms appeared earlier (p = .001). According to the symptom frequency analysis according to menstrual cycle phase of PMS, physical fatigue and joint/muscle pain were common in luteal phase and menstrual phase. The luteal phase was characterized by edema, inflammatory reaction, vaginal discharge and feeling down. The menstrual phase was characterized by pelvic/abdominal pain, lower body symptoms/back pain, headache, loss of appetite, change in body temperature, cold/numbness, sensitivity and sharpness, decreased motivation, and difficulty in controlling emotions. The most common method of managing menstrual symptoms was resting/sleeping to relieve physical fatigue. Next was exercise/position change and massage method to relieve lower body symptom/back pain, and tried to change emotional coping and turning attention to something else to relieve feeling down. Conclusions: PMS women were found to be suffering from the luteal phase and menstrual period due to various symptoms. These results provided the procedural flow to allow access to individualized symptoms management for women suffering from PMS and provides the rationale that can be used to effectively manage menstrual symptoms. Furthermore, clinical experts and women provided basic data for effective menstrual symptom management in daily life.

      • 성인교육으로서의 성찬예배 연구 : 성인초기(20~30세) 군인교회 신자들을 대상으로

        이석영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 종교교육 차원에서 성인초기 군인교회 신자들을 이해하고, 그들에게 실제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성찬예배 모델을 제시하는 것이다. 성인초기는 청년기와 성인기의 과도기이며, 한국적 상황에서는 군대라는 통과의례 과정을 거쳐야 하는 의미 있는 시기이다. 성인초기는 발달심리학적으로 독립성과 친밀감이 강하게 나타난다. 신앙 발달 면에서 볼 때 이 시기는 개인 대 공동체, 주관 대 객관, 자기 충족 대 이웃을 위한 봉사, 상대성 대 절대성 사이의 긴장과 직면하게 된다. 군에서 성인초기를 보내고 있는 병사들은 민간인과의 거리감을 더욱 느끼고 있으며, 신세대로 대표되는 이들의 순기능과 역기능은 위기를 극복하게도 하며 여전히 위기 가운데 더 큰 위험이 있게 한다. 기독교 성인교육의 원리는 다음과 같다. 성인이 학습자이기 때문에 주체자로서 비지시적, 문제 중심으로 학습해야 하며 집단적인 공유의 실천이라는 학습유형을 채택하는 것이 성서적 '앎'을 기독교적 '삶'에 보다 구체적으로 연결시키는데 효과적일 수 있다. 군인을 대상으로 한 성인교육이기에 그 삶의 정황에 맞추어야 한다. 비인격적 조직에서 오히려 인간화 교육과 예수 그리스도의 희생적 삶의 빛 안에서 역사형성의 주체자로서의 존재인식을 확신케 하는 것이 필요하다. 성인초기를 대상으로 한 예배는 친밀감을 느끼게 해주고 사랑, 우정을 고려하며 유대(紐帶)적인 예배로 조직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결과로 하나의 모델을 제시했는데 이는 연구자가 군인교회에서 성인교육 차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모델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arly adult believers in the military base in the sight of a adult religious education, to suggest an Eucharistic service model which can be adapted to the real. Early adulthood lies between the adolescence and the adulthood periods, also can be considerately dealt to be significant as rites of passage in this 'Korean' status. The aulthood reveal independency and familiarity in a view of developmental psychology. Development of faith shows us that it faces a conflict between person and community, subject and object, self-satisfaction and service for neighbors, and relativity and absoluteness. They, the military members who spend their early adulthood in the military base, feel more and more differences against the private citizens. Their normal and inverse functions(as so called 'new generations') let them overcome the crises, or still make them be in more dangerous cases. The principles of the Christian adult education are as follows: the adults should be learned as the subject, to focus in non-directional, problem-centered because the adults are target of leaning. It would be recommended to adapt the mass shared praxis form of learning to link biblical 'knowledge' into christian 'life'. We must focus on the sites of life, because its target is adult. Within the inhuman organizations we should make them convinced to their self-existence as history-making personality in the human education and the sacrificial light of Jesus Christ. That worship should be organized to comfort the worshippers, encourage love and friendship, and as a familiar worship. I suggest a model as a result of this study, this is one of really activated in the military church as a adult education.

      • 초기성인의 완벽주의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손세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초기성인의 완벽주의 성향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에 있어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만21~40세에 해당하는 초기성인 397명을 대상으로 2017년 1월 10일부터 2017년 1월 21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초기성인의 완벽주의가 자살생각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기성인의 완벽주의가 우울과 정적인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우울이 자살생각에 정적인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초기성인의 완벽주의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우울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초기성인의 완벽주의 경향이 심할수록 자신의 능력보다 더 높은 수준의 능력을 추구하게 되고 비현실적인 목표를 설정함으로써 그 목표가 좌절, 실패되었을 때 부정하고 싶은 무의식적인 욕구가 우울로 발생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경험을 반복적으로 하게 될 경우 우울을 느끼는 정도가 심각해짐으로써 결국 자살생각을 야기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사회복지적 함의로는 첫째, 정기적인 스크리닝 조사를 실시하여 자살문제를 예방,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둘째, 초기성인기의 고유한 특성을 고려한 지역사회 정신건강지원체계의 구축이 필요하다. 셋째, 초기성인의 정신건강 예방 및 관리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인식개선 프로그램을 실시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m and suicidal ideation in early adulthood. For achieving this study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397 early adults aged 21 to 40 from January 10th to 21st 2017. The major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erfectionism in early adulthood has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suicidal ideation. Second, perfectionism in early adulthood had a positive relation with depression. Third, depression ha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suicidal ideation. Fourth, depression played a partial mediating role in the effect of perfectionism on suicidal ideation in early adulthood. This result demonstrates that when perfectionism in early adulthood gets severe, they pursue a higher level of ability than their ability, and when unrealistic goals, they set, are frustrated and failed, the unconscious desire to deny causes depression. Moreover, when this experience is repeated, the level of depression worsens and it leads to suicidal ideation, in the end. Therefore, social welfar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regular screening should be implemented to prevent and manage suicide issues. Second, a community mental health support system considering the intrinsic characteristics of early adulthood should be developed. Third, a perception improvement program needs to be provided to prevent mental health in early adulthood and improve accessibility of manag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