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일반학교와 대안학교의 학습 환경 차이가 교육만족에 미치는 영향 연구

        김광열 명지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9663

        최근, 국가적으로 청소년의 학교 부적응 문제를 심도 깊게 논의하고 있다. 그 원인은 개인적 차원, 가정배경 차원, 학습적 차원 등에서 접근하고 있는데, 많은 연구자들은 청소년의 학교 부적응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수요자 중심의 학습적 차원 접근이 필요함을 공론화하고 있다. 이것은 학교교육이 단순히 학력 취득을 위한 형식적인 프로그램을 넘어서, 학생들의 자아탐색과 꿈과 끼를 신장시킬 수 있는 접근이 필요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일반학교와 대안학교 교육환경의 개선 방안 마련이 선결되어질 필요성이 제기된다. 일반학교와 대안학교 교육환경의 개선 방안 마련을 위한 기존 연구는 일반학교에 초점을 두고 있었다. 상대적으로 학습 환경에 대한 대안학교의 학생만족도에 관한 연구는 아직 구체화, 혹은 체계화되어 있지 않다. 특히, 일반학교와 대안학교의 학습 환경 영역을 구체화하여 학생의 만족도를 제시해 주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습 환경 영역을 구체화하여 대안학교와 일반학교 학생들의 인지하고 있는 학습 환경 차이가 교육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살펴보았다. 즉 학습 환경에 대한 각 학교의 학생들이 갖고 있는 인식을 파악하며, 이를 운영하는데 있어서의 문제점 등을 살펴봄으로서 향후 일반학교와 대안학교의 학습 환경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수준의 일반학교와 대안학교를 대상으로 이들 학교가 현재 운영하고 있는 학습 환경 현황 및 실태를 분석하여, 각 학교에서의 학습 환경에 대한 정확한 이해 도모와 이의 효율적 운영에 대한 향후 방향제시, 그리고 문제점을 확인함으로서 학습 환경의 개선방안 및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반학교와 대안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영역을 분석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일반학교와 대안학교 학생의 사회 심리적 환경(교사의 학생에 대한 태도, 교우관계, 교사의 자질, 교내·외 안전)의 만족도 차이를 분석한다. 2. 일반학교와 대안학교 학생의 교수학습 활동(수업분위기, 교수활동의 적절성, 학생평가의 적절성, 동기유발)의 만족도 차이를 분석한다. 3. 일반학교와 대안학교 학생의 교과 외 활동(교과 외 교육활동 및 인성교육의 충실성, 학업 및 진로지도)의 만족도 차이를 분석한다. 4. 일반학교와 대안학교 학생의 학교운영(학생 복지 및 시설의 질, 학생의사 결정 참여, 징계 및 규율의 적절성)의 만족도 차이를 분석한다. 5. 일반학교와 대안학교 학생의 교육결과(기본능력 및 생애능력 개발)의 만족도 차이를 분석한다. 6. 일반학교와 대안학교의 학습 환경이 교육결과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의 정도를 알아본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사회 심리적 환경(교사의 학생에 대한 태도, 교우관계, 교사의 자질, 교내·외 안전), 교수·학습활동(수업분위기, 교수활동의 적절성, 학생평가의 적절성, 동기유발), 교과 외 활동, 학업 및 진로지도, 학교운영(학생 복지 및 시설의 질, 학생의사 결정 참여, 징계 및 규율의 적절성), 교육결과를 독립변수로 하고 각 영역에 대한 일반학교와 대안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의 교육만족을 종속변수로 한다. 연구 범위는 일반학교 고등학교 15개교와 대안교육시설 고등학교 15개교를 선정 및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통계적 자료처리를 위해 SAS 9.3 프로그램을 사용 하였으며, 우선 표본으로 선정된 집단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서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및 기술 분석(Descriptive Analysis)을 사용하였다. 또한 설문항목의 내적 일치도를 측정하기 위한 신뢰도 분석으로 Cronbach's Alpha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일반학교와 대안학교의 학습 환경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서 기술 통계분석 및 집단 간의 비교를 위하여 분산분석의 t, F검정을 실시하고, 학생들이 인식하는 교육결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가 학생의 인격을 존중하며, 학생의 입장에서 이해하고 도움을 주는 정도의 교사의 학생에 대한 태도에 관한 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만족도가 일반학교 대비 대안학교가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학생들 간에 서로 도움을 주고 배려하며 존중하는 관계가 조성되어 있는 정도의 교우관계에 관한 본 연구결과는 전반적으로 일반학교 대비 대안학교 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교과 지식, 열의, 인격 등 교사로서의 자질을 갖춘 정도의 교사의 자질에 관한 본 연구 결과는 전반적으로 일반학교 대비 대안학교 학생들이 인지하고 있는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교내·외 안전에 관한 변인에 있어서는 일반학교의 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정도가 대안학교 대비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둘째, 수업 중 학업 분위기가 긍정적으로 조성되어 있는 정도의 수업분위기에 관한 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만족도, 교사가 학생들의 학업 수준 향상을 위해 다양한 학습 자료를 사용하고, 적절한 수업 전개 및 평가 활동을 수행하는 정도의 교수활동의 적절성, 학습에 대한 동기를 유발하게 하는 교사의 교육활동 정도의 동기유발에 관한 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만족도는 일반학교 대비 대안학교가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수행평가가 공정하고 신뢰롭게 이루어지며, 이를 통하여 학생들이 학업 수준 향상에 도움을 얻는 정도의 학생평가의 적절성에 관한 본 연구결과는 대안학교 학생에 비하여 일반학교 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교과 외 활동 관련 영역별 일반학교 대비 대안학교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영역을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대안학교가 일반학교에 비해서 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교과 외 활동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학업 및 진로지도는 전반적으로 대안학교가 일반학교에 비해서 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전반적으로 대안학교가 일반학교에 비해서 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학생 복지 및 시설의 질에 대한 만족도, 학생의사 결정 참여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안학교 학생들의 특성은 매우 다양하다. 따라서 개별 학생에게 적합한 학습 환경 설정 및 컨설팅 시스템이 필요하다. 즉 개별 학생의 학습 상태나 수준 및 학생 개개인이 선호하는 학습형식에 따라 다차원적인 접근 및 처치가 필요하다. 둘째, 보편적인 대안학교에서는 학생의 재능과 흥미를 기반으로 학생 적성을 도모할 수 있는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하고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학습 환경의 주요한 토대는 학생들이 가지는 ‘자기 주도적 학습방법론’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대안학교 학생들에게 자기 주도적 학습 태도가 충분하다고 보기 어렵다. 따라서 단위학교 차원에서는 학생들 스스로가 학습계획을 세우고, 실행과정을 상세히 기록하고, 결과를 통해 자기 의미화 할 수 있는 일련의 과정에 대한 섬세한 안내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셋째, 대부분의 일반학교 학생들은 학교현장에서 구체적인 진로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대안학교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만족도가 낮음을 알 수 있다. 다양한 진로지도 프로그램을 통하여 학생들에게 다양한 정보를 알려줌으로 좁은 시야에서 벗어나 자신의 능력에 적합한 직업을 선정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 필요성이 제기된다. 넷째, 일반학교와 대안학교 모두 학생 개개인의 꿈과 끼를 키워줄 수 있는 실질적인 학습 환경 시스템 부재를 발견할 수 있었다. 무엇보다 학생 개개인의 특성을 고려하는 지원체제가 부족하고, 학교운영진과의 소통에는 문제가 있다. 능력과 태도와 관련해서 보면, 대안학교 학생들은 일반학교에 비하여 교육활동 과정에서 창의적 표현력이 신장되고, 모둠활동이나 단체 체험활동, 각종 프로젝트 수업을 통해 협동심이 향상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일반학교는 이런 부분의 보완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다섯째, 대안학교는 교육수요자의 학생 입장에서 전반적인 학습활동에 있어서 만족도가 일반학교에 비하여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준거는 앞으로 대안학교가 더욱 심도 깊게 나아가야 할 방향과 관점을 명확히 제시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살펴보면 공교육 현장과 마찬가지로 대안학교도 공공재정 지원의 의무화, 사회적 통제 주체의 구성, 학교운영의 안정성을 담보할 수 있는 물적 조건의 지원 등이 명확히 설정되어져야 한다. 여섯째, 대안학교에 오는 대부분의 학생들이 현재까지는 자신의 진로에 대해 명확하게 결정하고 왔다기보다는 학교부적응, 정서적인 문제, 무기력 등에 의해 오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학생들에게 막연한 주입식 직업교육 보다는 다양한 단계를 통한 교육을 할 수 있다는 것이 현재의 대안교육이 가진 장점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러한 점들을 발전시켜서 각 대안교육을 하는 현장들마다 특성화된 진로교육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이다. Recently, there has been a nation-wide debate over maladjustment issues of the adolescents in schools. The approaches to the issue range from personal level to the students’ family backgrounds as well as their learning viewpoints, although to solve maladjustment issue of the adolescents, many researchers feel the necessity to call for a user-centered education approach. This signifies that the school education should go beyond the perfunctory programs only to acquire an academic degree, and further should promote self-search of the students and meet their goals and talents. For this reason, there is a necessity of developing measures for the betterment of regular and alternative schools. There have been existing researches which had solely focused on the regular schools’ measures of improving the learning environment. However, relatively, the research on the students’ satisfaction of the learning environment of the alternative schools is neither specific nor systematic. Especially, the state of the students’ level of satisfaction on learning environment in regular and alternative schools are not presented with enough specificity.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difference of specific learning environments in the regular school as well as the alternative school and satisfaction of education among students. Thu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erception of the students about their learning environments and closely looks at the problems of such environments to revitalize the future learning experience of the regular and alternative school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present and actual condition of the high school-level of both regular and alternative schools, measuring precise understanding of the students’ current learning environments, management systems and their limitation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research questions regarding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students in the regular school and the alternative school are as follows: 1. How does the psychosocial environment (attitudes of the teachers, friendships, qualifications of the teachers, and safety of both in and out of schools) differ between the regular and alternative schools? 2. How do the activities of teaching and learning (ambience of the class, adequacy of the activities, adequacy of the student evaluation, and motivation) differ between the regular and the alternative schools? 3. How do the extracurricular activities (both academic and personal activities outside of the class, career guide) differ between the regular and the alternative schools? 4. How does the management system (students’ welfare and quality of the facilities, including students in decision making process, adequacy of disciplinary action and rules) differ between the regular and the alternative schools? 5. How do the academic results (basic skills and developing life skills) differ between the regular and the alternative schools? 6. How do the learning environment of the regular and the alternative schools affect academic results? To identify such questions, this study selects the psychosocial environment (attitudes of the teachers, friendships, qualifications of the teachers, and safety of both in and out of schools), the activities of teaching and learning (ambience of the class, adequacy of the activities, adequacy of the student evaluation, and promoting motivation), the extracurricular activities, career guide, management system (students’ welfare and quality of the facilities, including students in decision making process, adequacy of disciplinary action and rules)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selects students’ level of satisfaction on education as an dependent variable.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15 regular high schools and 15 alternative high schools. To process the statistics, SAS 9.3 program was used, while using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Analysi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 group. Also, Cronbach’s Alpha was used to measure the conformity of the degree of the survey questions for reliability analysis. Further, T/F examination was used for variance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is to be used to analyze the influence factor of the satisfaction of the education. Summarization of the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students from alternative school is greater than that of the regular school in terms of the students’ respect, understanding and support for the teachers’. In terms of the satisfaction of the friendship, alternative school students score higher than the regular school students. In addition, the satisfaction regarding the qualifications of the teachers was greater among alternative school students. However, regular school students are more satisfied with the school security system than the alternative school students. Second,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students from alternative school is much higher than that of the regular school in terms of ambience of the class, adequacy of the activities, adequacy of the student evaluation, and promoting motivation. However, the satisfaction of fairness and reliability on the performance assessment in schools is greater among regular school students. Third, the overall satisfaction of the extracurricular activities is greater among the alternative school students. Fourth, academic and career guide receive more satisfaction among alternative school students than that of regular school students. Fifth, the welfare, quality of facilities and participation of students in decision-making process are higher in satisfaction level among alternative school students than the regular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research, policy proposals are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alternative school students vary. Therefore, individual student is in need of appropriate learning environment as well as consulting systems. Thus, there should be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one’s learning experience. Second, general alternative schools have educational programs based on students’ individual interest and talent. To achieve their goals, the theory of self-learning method should be emphasized to promote such learning environment. However, for alternative school students, the attitude for self-learning is rarely adequate. Consequently, each school should develop its own program in which the students make their own academic plans and record their learning processes. Third, as seen in the results, regular school students are less satisfied with the career guide that the school is providing than alternative school students. A variety of different career guide programs should be presented to students so that they can broaden their perspectives in choosing their careers. Fourth, the systems which promote each student’s goals and talent were equally absent in both regular and alternative schools. Above all, there is a lack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student and the administrative staffs as well as each student’s support system, although alternative school students tend to augment their creative expressiveness along with team work skills through a variety of different projects. Fifth, it is perfectly clear that alternative school students’ satisfaction level suggests the direction and the point of view for the future: there should be the support of public finances, material support for safety issues as well as the organization of the social control for the alternative schools. Sixth, alternative school students enroll in school without their clear vision for the future due to various reasons such as maladjustment in schools and mental issues. Rather than the cramming method of teaching, alternative education has a significant benefit of educating students with different methods. It is a great task for alternative schools to develop both academic and career models that fit each student’s needs and potentials.

      • 청소년활동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변인에 관한 연구 : 일반청소년과 문제행동청소년의 비교를 중심으로

        반기완 명지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생태학적 체계 이론을 근거로 유기체인 청소년과 환경, 그리고 이 양자 간의 상호작용을 중심개념으로 다양한 환경체계 변인들이 일반청소년과 문제행동청소년들의 청소년활동역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지에 대한 연구 과제를 수행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일반청소년과 문제행동청소년들의 청소년활동역량과 생태체계변인의 차이를 규명해 보고, 일반청소년과 문제행동청소년들의 생태체계 변인들이 청소년활동역량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과제의 수행을 통하여 일반청소년과 문제행동청소년집단의 생태환경 특성을 고려하여 청소년활동역량 개발에 필요한 다차원적 개입방법을 찾아내고 일반청소년과 문제행동청소년 대상의 활동역량 개발을 위한 프로그램 기획 및 진행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정보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과제 수행을 위하여 경기도 안산지역의 일반청소년 317명과 문제행동청소년 275명을 대상으로 일반청소년과 문제행동청소년의 활동 역량과 생태체계 변인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독립표본 t 검정(t-test)을 실시하였고, 일반청소년과 문제행동청소년의 생태체계 변인이 청소년 활동 역량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서 위계적 다중회귀분석(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연구 분석을 위하여 사용된 변수로는 독립변수에는 유기체변인(외모만족, 건강만족, 내재화문제, 외현화문제), 미시체계변인(부모지지, 교사지지, 또래지지), 외체계변인(지역사회청소년환경), 거시체계변인(개인주의, 집단주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성별, 부모의 학력, 가정의경제수준, 학교성적, 부모와의 대화시간)으로 구성하였으며, 종속변수에는 청소년활동역량을 사용하였다. 청소년활동역량 변수는 자아역량, 신체건강역량, 갈등조절역량, 문제해결역량, 성취동기역량, 대인관계역량, 리더십역량, 시민성역량 등 8가지 하위변수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청소년과 문제행동청소년의 청소년활동역량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일반청소년의 활동역량 평균은 3.51, 문제행동청소년은 3.35로 유의수준 .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일반청소년들의 청소년활동역량은 문제행동청소년들의 활동역량보다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일반청소년들은 문제행동청소년 보다 자아역량, 갈등조절역량, 문제해결역량, 성취동기역량, 리더십역량, 시민성역량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일반청소년과 문제행동청소년의 생태체계 변인에 대한 차이를 분석한 결과 유기체 변인에서 내재화문제는 일반청소년 평균값 1.48, 문제행동청소년 평균값 1.69로 유의수준 .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현화문제에서는 일반청소년 평균값 1.39, 문제행동청소년 평균값 1.67로 유의수준 .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문제행동청소년들은 일반청소년에 비하여 내재화문제, 외현화문제가 높은 것이다. 미시체계 변인에서 부모의 사회적 지지는 일반청소년 평균값 3.83, 문제행동청소년 평균값 3.53으로 유의수준 .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문제행동청소년들은 일반청소년에 비하여 부모의 사회적 지지가 낮은 것이다. 외체계 변인인 지역사회 환경수준은 일반 청소년과 문제행동 청소년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거시체계 변인에서 개인주의는 일반청소년 평균값 3.27, 문제행동청소년 평균값 3.38로 유의수준 .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문제행동청소년들은 일반청소년에 비하여 개인주의적 성향이 높은 것이다. 셋째, 일반청소년과 문제행동청소년의 생태체계 변인이 청소년활동역량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청소년활동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각 생태체계 변인군의 상대적 영향력을 일반청소년과 문제제행동청소년으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청소년의 경우 청소년활동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생태체계변인의 설명력은 유기체(24.7%), 미시체계(13.5%), 인구사회학적 변인(10%), 거시체계변인(4.2%), 외체계변인(0.1%)순으로 나타났으며, 문제행동청소년의 경우에는 청소년활동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생태체계변인의 설명력은 유기체(24.2%), 인구사회학적 변인(14.2%), 미시체계(13.9%), 거시체계변인(3.1%), 외체계변인(0.2%)순으로 밝혀졌다. 즉 일반청소년과 문제행동청소년의 청소년활동역량에 지대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생태체계 변인은 유기체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볼 때 청소년활동역량 발달을 도모하기 위한 접근은 유기체인 청소년 개개인의 특성을 충분히 고려한 후 진행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청소년활동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변인들의 영향력을 일반청소년과 문제행동청소년으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청소년들의 경우 내재화문제가 적을수록, 집단주의 성향이 높을수록, 또래친구들로부터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을수록, 자신의 외모에 대하여 만족할수록, 학교성적이 높을수록 청소년활동역량을 높이는 긍정적인 요인으로 밝혀졌다. 문제행동청소년들의 경우 외현화문제가 적을수록, 부모로부터의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을수록, 자신의 외모에 대하여 만족할수록, 또래들로부터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을수록, 개인주의적 성향이 높을수록 청소년활동역량을 높이는 긍정적인 요인으로 밝혀졌다. 즉 일반청소년과 문제행동청소년집단 모두에서 청소년활동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공통적인 변인은 외모만족, 또래지지 변인으로 밝혀졌다. 또한 생태체계 변인들 중에서 내재화문제, 집단주의, 학교성적 변인은 일반청소년의 활동역량에 영향력이 있었고 외현화문제, 부모지지, 개인주의 변인은 문제행동청소년의 활동역량에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은 논의를 통한 실천적 방안이 요구된다. 첫째, 일반청소년과 문제행동청소년의 외모만족이 활동역량 및 하위변수인 자아역량, 성취동기역량, 신체건강역량 발달에 높은 영향력이 있었다는 연구결과는 대다수의 청소년들에게 있어 자신의 외모에 대한 평가는 청소년 발달과 관련하여 지대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중요 요인인 것이다. 따라서 청소년활동역량 교육과정에서 청소년들이 자신의 신체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와 건강한 신체상을 확립할 수 있도록 지도하여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둘째, 또래들로부터의 높은 사회적 지지는 일반청소년과 문제행동청소년의 활동역량 및 다양한 하위역량 발달에 긍정적인 요인이 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효과적인 활동역량 강화를 위한 지도 전략으로 긍정적인 또래관계 형성을 도모할 수 있는 지도과정이 필요할 것이다. 셋째, 교사의 사회적 지지는 일반청소년과 문제행동청소년 모두에게서 활동역량 발달에 미치는 영향력이 매우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문제행동청소년들의 경우 교사의 사회적 지지는 더욱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원인은 문제행동청소년들은 학교생활에 무관심하거나 참여하지 않는 행동을 보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문제행동 청소년들의 역량발달을 이끌어 낼 수 있는 교사의 역할확대가 더욱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문제행동청소년의 경우 부모의 사회적 지지와 개인주의 변인은 활동역량에 지대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문제행동청소년의 활동역량 개발을 위해 부모의 사회적지지 변인과 개인주의 변인을 적절하게 고려하는 방안이 모색되어야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의 문제행동청소년들은 일반청소년에 비하여 활동역량이 매우 미흡하고 내재화 문제와 외현화 문제 증상이 높을 뿐만 아니라 자신의 개성을 강조하는 높은 개인주의적 성향으로 인하여 타인과의 갈등을 더욱 촉발시킬 수 있어 비행청소년이라는 사회적 낙인을 더욱 유발시키고 있었다. 특히 문제행동청소년은 부모, 학교, 교사의 낮은 지원체계로 인하여 위기 상황을 더욱 심화시키고 있다. 따라서 문제행동청소년들의 활동역량 강화를 위하여 부모와의 긍정적인 관계형성을 도울 필요가 있으며 개인주의와 집단주의 성향의 적절한 조화와 균형 감각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방법이 바람직 할 것이다.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central concept of the interaction of various ecosystem factors that surrounds the normal adolescents and the adolescents with problematic behaviors based on the ecosystem theory. To be specific, the research investigates the activity competency and the ecosystem factors of the normal adolescent`s and the adolescents with problematic behaviors. It also compares and analyzes the difference of relative influence of the ecosystem factors of the normal adolescents and the problematic adolescents on youth activity competency. The research will be able to find multi-dimensional intervention methods in order to develop youth activity competency, considering the ecosystem factors. It will also provide basic information data about the development and the execution of activity competency for the normal adolescents and the adolescents with problematic behaviors. To conduct the research, 317 normal adolescent`s and 275 adolescents with problematic behaviors have participated, in order to prove the difference of the youth activity competency and the ecosystem factors of two groups through independent sample of t-test. To seek the relative influence of youth activity competency due to ecosystem factors of the two group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For the research analysis, the independent variables include; organic factor (satisfaction of appearance, satisfaction of health, inherence problem and externalization problem), microsystem factor (parent-support, teacher-support and peer-support), exosystem factor (local and sociological environment of adolescents), macrosystem factor (individualism, collectivism) and population-sociological variable (gender, parents’ academic ability, level of domestic economy, school records, amount of conversation time with parents). The dependent variable is youth activity competency. The variables for the youth activity competency consist of 8 lower-variables; ego-competence, physical health competence, conflict-control competence, achievement-motivation competence, personal relations competence, leadership competence and citizenship competence. The result of the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 in the activity competency of the normal adolescents is the average of 3.51 while the adolescents with problematic behavior show in average of 3.35. The level of significance is .001, which indicates the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In other words, the level of activity competency is higher among the normal adolescents than that of the adolescents with problematic behaviors. Also, normal adolescents display higher competency in; ego-competence, physical health competence, conflict-control competence, achievement-motivation competence, personal relations competence, leadership competence and citizenship competence than adolescents with problematic behaviors. Second, the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difference of the ecosystem factors of normal adolescents and adolescents with problematic behaviors indicate that in organic factors, adolescents with problematic behaviors have greater inherence and externalization problem. In microsystem factor, adolescents with problematic behaviors receive less support from their parents than normal adolescents. In exosystem factor, the local-sociological environment show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normal adolescents and adolescents with problematic behaviors. In macrosystem factor, adolescents with problematic behaviors tend to have higher sense of individualism than normal adolescents. Third, the analysis of relative influence on the ecosystem factor of normal adolescents and adolescents with problematic behaviors is as follows: The major influential factor for youth activity competency in normal adolescents and adolescents with problematic behaviors is the organic factor. For these reasons, it is necessary to approach the development of youth activity competency, taking each individual character into full consideration. Especially, it is crucial to guide adolescents not to distort the view on their appearances, when they are susceptible to do so. The result of the ecosystem factor which influences on normal adolescents and adolescents with problematic behaviors is as follows: For normal adolescents who have less inherent problems, higher sense of collectivism, greater peer-support, higher satisfaction toward their appearances and better student records tend to have higher youth activity competency. For adolescents with problematic behaviors who have less externalization problem, less support from their parents and higher sense of individualism work as positive factors to increase youth activity competency. In other words, the common factors to achieve higher youth activity competency include satisfaction of their appearance, and peer-support. Also, the ecosystem factors of inherence problem, sense of collectivism and school-transcript factor have an impact on youth activity competency for normal adolescents while externalization problem, parental support, and individualism factor have an impact on youth activity competency for adolescents with problematic behaviors. In accordance with the result of th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have practical measures through discussions. First,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both normal and problematic adolescent’s’ assessment on their appearances show a significant influence regarding the youth activity competency, due to the fact that the satisfaction of appearance affect youth activity competency, along with the ego-competence, achievement-motivational competence, and physical-health competence. Hence, it is necessary to guide adolescents to have positive images for themselves as well as their bodies. Second, higher social support among peers plays a major role in developing low-rank competenc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have a guidance strategy which promotes a positive relationships among peers. Third, teacher’s social support has weak influence on both normal adolescents and adolescents with problematic behaviors. Especially, the teachers’ support has lower impact on adolescents with problematic behaviors. This is due to their behavior of ignoring, and not participating in school life. Therefore, there should be an expansion of role for the teachers who enable adolescents to have stronger activity competency. Lastly, parental support and individualism factor are the significant, influential factors for adolescents with problematic behaviors, which call for considering each factor adequately. Adolescents with problematic behaviors show poorer youth activity competency compared to normal adolescents. Not only do they display higher inherence and externalization problems, but also they tend to have more conflicts with other individuals due to the stronger sense of individualism. This furthers the social stigma of adolescents with problematic behaviors associating them with potential juvenile delinquency. Especially, those adolescents lack support from their parents and teachers which intensifies the crisis situation. Hence, it is necessary for adolescents to have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ir parents and to promote teaching methods which maintains an appropriate balance between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 일반병사의 사회적 지지,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군 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 유능감의 매개효과로

        한지희 명지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Social suppert and Stress Coping Style on the soldier's resilience to the military and the mediaring effect of competence on the same matter. Research probliem considering the issue are as follows: First, are their any significant relationship among the soldier's social support, stress coping style, competence, and their resilience to the military? Second, what is the relative impact of the soldier's social support, stress coping style, and competence on their resilience to the military? Third, does competence have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ldier's social supourt & stress coping styles and their resilience to the military? In order to resolve the problems, a survey on 445 soldiers who are currently serving their military duties in the bases lacated in Seoul and Kyeong Gui Province was conducted. There were 429 responses analyzed except those with invalid values among 445 returned. For more details about the research methods, we have conducted frequency, descriptive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by stages, and lastly Sobel test using SPSS Win 12.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firstly, the independent variables that affect the prediction of the soldier's resilience on their military lives came out to be their social support, competence, and stress coping measures in the order of the magnitude. Second, the individual soldier's competence has a complete mediating effect on the influence of evasive coping tactics to the resilience, while some partial mediating effects were discovered in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from fellow dfficers/noncoms, comrades, family/relatives, friends out side the military) along with active coping measures on the reilience to the military. This research has locked into the impact of soldier's social support, stress coping style on their resilience to the military along with the mediating effect of their sense of competence. It was a meaningful study for that the factors affecting the resilience of soldier, and their channel of influence were analyzed and discovered. I expect the findings from the research to give an assistance to the development of our soldier resilience program as well as the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of those who suffer from the maladjustment.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병사의 사회적 지지,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군 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영향과 이에 대한 유능감의 매개효과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병사의 사회적 지지, 스트레스 대처방식, 유능감 및 군 적응유연성 간의 유의한 상관이 있는가? 둘째, 일반병사의 사회적 지지,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유능감이 군 적응유연성에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셋째, 일반병사의 사회적 지지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군 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영향을 유능감이 매개하는가? 연구문제 해결을 위해 서울, 경기 소재의 군부대에서 복무하고 있는 총 445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중 회수된 질문지는 총 445부였으며, 불성실하게 응답하거나 응답이 누락된 경우를 제외한 429부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으로는 SPSS Win 12.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평균, 표준편차, Pearson의 상관분석, 단계적 중다회귀분석,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병사의 군 적응유연성을 예측하는 변인들은 사회적 지지, 유능감, 스트레스 대처방식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반병사의 유능감은 회피적 대처전략이 군 적응유연성이 미치는 영향을 완전매개 하지만, 사회적 지지(장교/부사관, 군 동료, 가족/친척, 사회친구 지지), 적극적-인지적 대처전략, 적극적-행동적 대처전략이 군 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일반병사의 사회적 지지,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유능감이 군 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일반병사의 사회적 지지,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군 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유능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일반병사의 군 적응유연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 그 경로를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가 일반병사의 군 생활 적응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상담·심리치료 장면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간접인용문 교육 방안 연구

        왕정 명지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63

        국문초록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간접인용문 교육 방안 연구 왕 정 명지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지도 교수 윤용선 중국과 한국은 지정학적으로 가까운 이웃이기도 하고 역사적으로도 순치지국이라도 할 수 있을 정도이다. 수천 년의 역사에서 정치 경제 문화, 사회적으로도 얼마나 밀접한 교류를 거듭해 왔는지는 이미 상식으로 알려져 있는 것이다. 하지만 우방국에 대한 이해와 커뮤니케이션을 제대로 유지하지 않는다면 상호의 밀접한 교류를 실현하기는커녕 ‘가깝고도 먼 나라’ 아니면 ‘친숙하면서도 어색한 사이’ 같은 거리를 좁히기는 힘들 것이다. 그러므로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위하여 한국과 중국은 상대국의 언어를 적극적으로 학습하거나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이러한 행동은 시대적 흐름에 호응하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중국인 학습자들은 한국어 문법을 이수했을 때 인용문에 대해서 곤혹스럽게 느끼는 학생이 많다. 특히 간접화법을 가장 힘든 애로점으로 삼는 중국 학생이 많다. 간접화법과 직접화법을 구분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간접인용문이라고 하면 ‘-다고 하다’를 떠올리는 학생이 제일 많기는 하지만 간접인용문의 피인용문의 문장유형에 따른 표현방식에 대해서 혼동하기도 쉽다. 그리고 ‘-다고 하다’에 대해서 ‘-다’가 무엇인지, 그 앞에 시제어미와 경어법이 어떻게 표현되어 있는지, ‘-고’가 어떤 것이지, 그 뒤에 ‘-하다’가 어떤 것인지, ‘-하다’ 뒤에 어떤 어미를 붙일 수 있는지, 간접인용문은 유형과 일반형식이 도대체 어떻게 되어 있는지 무궁무진해 보이는 인용문의 표현방식에 도대체 어떤 규칙적인 것이 들어 있는지 안개에 빠지는 것처럼 막막하게 느끼는 중국인 학습자가 많이 있다. 본 연구는 한국어 간접인용문과 중국어 간접인용문의 구조와 표현방식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한.중 간접인용문의 구조와 표현 방식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탐구함으로써 한국어를 학습하려는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가장 효과적인 한국어 교육방법을 도출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는 한.중 간접인용문의 기본구조와 표현방식을 각각 설명한 다음에 한.중 간접인용문의 기본구조와 표현방식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탐구할 것이다. 이러한 공통점과 차이점을 제대로 탐구하기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할 것이다. 첫째, 제1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명확하게 제시하고 나서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도 구체적으로 살펴보려고 한다. 둘째, 제2장에서는 먼저 한국어문법에 관한 어법연구서와 석사논문을 통해서 한국어 간접인용문의 표현방식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할 것이다. 한국어 간접인용문과 중국어 간접인용문의 기본구조를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려고 한다. 본고에서는 간접인용문의 일반형식, 인용조사, 인용동사, 피인용문의 문장유형, 피인용문의 서법(시제법과 대우법)을 중심으로 하고자 한다. 셋째, 제3장에서는 제2장을 바탕으로 한국어 간접인용문의 피인용문의 표현 방식을 연구하려고 한다. 먼저 한국어 평서문, 의문문, 명령문, 청유문, 감탄문, 약속문, 허락문은 간접인용문의 피인용문이라면 피인용문의 시제가 같은 경우에 대우법이 어떻게 실현되는가 대우법이 같은 경우에 시제가 나타나는 선어말어미가 어떻게 실현되는가에 대해서 논의를 하고자 한다. 그리고 피인용문의 서술어가 일반동사, 일반형용사 , ‘-이다’, ‘-아니다’, ‘-있다’, ‘-없다’인 경우에 6 가지 문장유형에 따라서 간접인용문의 피인용문의 표현 방식이 어떻게 실현되는가에 대해서 논의를 하고자 한다. 이 밖에도 중국어의 피인용문의 표현 방식의 대응 양상도 정리하고자 한다. 넷 째, 제4장에서는 한국어 간접인용문에 있어서는 인용동사 ‘-하다’뒤에 어떤 어미를 취할 수 있는가 축약 형태가 어떻게 되는가에 대해서 논의하고자 한다. 이 부분은 한국어 간접인용문에만 있는 현상이다. 다섯 째, 제5장에서는 한국어 간접인용문의 표현방식에 대해서 초급 중급 고급 단계의 교육 방안을 제시하려고 한다. 마지막으로 한국어 간접인용문과 중국어 간접인용문의 표현방식을 중심으로 결론을 내린다. the study of Korean indirect quotations education plan for Chinese students WANG ZHENG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Graduate School, Myongj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Yoon Yongseon As we have known, China and Korea are the geographically closest neighbor in geopolitics. In thousands of years of history, we have known how intimate China and Korea are in social, political and economic culture already as common sense. But if we can’t keep the communication each other, we will not understand each other properly, so it is necessary to study or research language each other. When Chinese students stdy Korean, most of students think that the most difficult part of Korea language grammar is Korean indirect quotations. And when called indirect quotations ‘-다고 하다’ that is, to think of the best students, but many are easy to be confused about the representation of the type of sentence avoid citation of indirect quotations. And if we talk about the ‘-다고 하다’. what is the ‘-고? what is the ‘-하다’ behind the ‘-고’? what if you can put a mother behind the ‘-하다’, indirect quotations is a common format type and a seemingly endless hell that is what the heck is that it contains some of the rules on representation of citation many Chinese students feel that just like being in a fog. In this study we will discover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 indirect quotations and Chinese indirect quotations to find out Korean indirect quotations education plan for Chinese students. This is the important purpose of this study. In this study, after explain what Korean indirect quotations and Chinese indirect quotations is, we will find the common ground and differences of Korean indirect quotations and Chinese indirect quotations. To properly research the common ground and differences of Korean indirect quotations and Chinese indirect quotations, we will proceed the study to the following methodology. First of all, in chapter 1, we will pres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the object of the study clearly . The second, in chapter 2, we will research the basic features and element of Korean indirect quotations. We will talk about the image of Korean indirect quotations‘-다고 하다’. And in ‘-다고 하다’, what is the ‘-고? What is the ‘-하다’ behind the ‘-고’? What is the type of sentence of Korean indirect quotations. And then we will research the basic features and element of Korean indirect quotations. in chapter 3, we will research the expression mode of tense in Korean indirect quotations. And we will research the expression mode of special vocabulary such as ‘-이다’, ‘-아니다’, ‘-있다’, and‘-없다’in Korean indirect quotations. in chapter 4, we will research the expression mode of abbreviation in Korean indirect quotations. In other words, What is the expression mode behind‘-하다’? What is the abbreviation of this expression mode. in chapter 5, we will find out Korean indirect quotations education plan for Chinese students . Last but not least, we will make conclusion of the study of Korean indirect quotations education plan for Chinese students.

      • 그림책에 기반한 전통놀이가 유아의 전통놀이 인식 및 놀이성,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김형옥 명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그림책에 기반한 전통놀이와 일반전통놀이를 시행함으로서, 그림책의 유무에 따라 유아의 전통놀이 인식 및 놀이성,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가 어떠한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그림책에 기반한 전통놀이가 유아의 전통놀이 인식 및 놀이성, 창의성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가? 1-1. 그림책에 기반한 전통놀이가 유아의 전통놀이 인식에 효과가 있는가? 1-2. 그림책에 기반한 전통놀이가 유아의 놀이성에 효과가 있는가? 1-3. 그림책에 기반한 전통놀이가 유아의 창의성에 효과가 있는가? -ⅵ- 연구문제에 따라 그림책에 기반한 전통놀이가 유아의 전통놀이 인식 및 놀이성, 창의성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시에 위치한 M어린이집과 J어린이집의 만5세 유아 28명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구성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림책을 기반한 전통놀이를 경험하는 유아14명을 실험집단, 일반전통놀이를 경험하는 유아 14명을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 유아에게 8차시의 그림책에 기반한 전통놀이를 실시하였고 비교집단도 8차시에 걸쳐 일반전통놀이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절차는 예비연구,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 자료 분석의 순서로 이루어졌다. 검사도구로는 전통놀이 인식을 측정하기 위해 민행란(2001)이 전통놀이 경험이 전통놀이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제작한 도구의 일부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놀이성을 측정하기 위해 Barnett(1991)이 개발한 유아의 놀이성 척도(Children’s Playfulness Scsle)를 유애열(1994)이 번안하여 사용한 것을 김미숙(2001)이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유아의 창의성을 측정하기 위해 전경원(2006)의 유아용 창의적 특성검사(Korean Creativity Traits Checklist)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은 2017년 12월 04일부터 2018년 02월 14일까지 총 10주간 시행되었다. 실험집단에게는 그림책에 기반한 전통놀이를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은 일반전통놀이를 실시하였다. 그림책에 기반한 전통놀이와 일반전통놀이는 총 8차시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 2회 전통놀이를 소개하기, 평가하기를 대집단으로 활동하고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자유롭게 전통놀이 활동이 실시되었다.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는 동일한 도구를 활용하여 이루어졌으며, 자료 분석은 그림책에 기반한 전통놀이와 일반전통놀이가 각각 유아의 전통놀이 인식 및 놀이성,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과 집단의 차이는 어떠한지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에서 수집된 모든 양적인 자료를 SPSS for Window 21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전에 그림책에 기반한 전통놀이와 일반전통놀이를 적용한 비교집단에게 비모수검정의 맨 휘트니(Mann-Whithney-U) 검증을 실시하여 동질성 검사(Test of homogenity)를 하였다. 그리고 그림책에 기반한 전통놀이와 일반전통놀이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척도항목에 대한 사전, 사후 차이 점수에 대해 비모수검정의 윌콕슨(Wilcoxon) 부호 순위 검정을 실시하였다. 또 그림책에 기반한 전통놀이와 일반전통놀이를 실시한 유아집단간의 차이는 어떠한지 알아보기 위해 맨휘트니 검증을 실시하였다. 맨휘트니(Mann-Whitney)검증과 윌콕슨(Wilcoxon)검증은 비모수적 방법으로 표본의 크기가 작거나 자료의 산포도가 너무 큰 경우 사용되므로, 사례의 크기가 작은 본 연구의 분석방법으로 적합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책에 기반한 전통놀이를 실시한 실험집단 유아들은 일반전통놀이를 실시한 비교집단 유아들보다 전통놀이 인식, 놀이성, 창의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그림책을 기반한 전통놀이를 실시한 실험집단은 전통놀이 인식, 놀이성 창의성에서 프로그램 실시 전보다 긍정적인 향상이 있었고, 일반전통놀이를 실시한 비교집단은 전통놀이 인식, 놀이성에서 긍정적인 향상을, 창의성에서는 프로그램 실시 전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ⅶ-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연구는 그림책에 기반한 전통놀이를 실시한 실험집단과 일반전통놀이를 실행한 비교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나타났다. 이에 그림책에 기반한 전통놀이가 일반전통놀이보다 유아의 전통놀이 인식 및 놀이성, 창의성 향상에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를 밝힘으로 효과를 입증하였다. 주요어 : 그림책, 전통놀이, 전통놀이 인식, 놀이성, 창의성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young children’s traditional korean play perception, playfulness and creativity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picture-books by performing traditional play program.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in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 1] How traditional korean play program based on picture-books effect on young children’s traditional play perception, playfulness, and creativity? 1-1. How traditional korean play program based on picture-books effect on young children’s traditional play perception? 1-2. How traditional korean play program based on picture-books effect on young children’s playfulness? 1-3. How traditional korean play program based on picture-books effect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conducted an experiment with 28 children five years old selected from M and J child care center in Seoul, to investigate whether the traditional korean play based on picture-book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young children’s perception of play, playfulness and creativity. Among the 28 young children, 14 children were the experimental group experiencing traditional korean play program based on picture-books, and the other 14 children were comparison group experiencing normal traditional korean play for eight classes. This study consisted of preliminary research, preliminary examination, test procedure, post examination, and data analysis. Perception on the traditional play was measured by a part of the tool developed by Min Haenglan (2001). Children’s playfulness measurement was applied from Kim Meesook (2001) modified from Yu Eyeol(1994) translated Children’s Playfulness Scale developed by Barnett(1991). Children’s creativity was utilized by Korean Creativity Traits Checklist made by Jeon Kyungwon (2006).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ten weeks from December 4th in 2017 to February 14th in 2018. The experimental group was practiced traditional play program based on picture books, and the comparative group was practiced normal traditional play. Both traditional play program based on picture books and normal traditional play program was consist of 8 classes and have sessions to introduce and evaluate traditional play in the large group twice a week while providing traditional play activities during free choice activity time. The same tools were used in both preliminary and post examination. The collected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for Window 21 in order to figure out the effects of traditional play program based on picture books and normal traditional play on children’s traditional play perception, playfulness, and creativity,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Before the program is practiced, the study test the homogeneity on comparative group applied traditional play program based on picture books and normal traditional play by Mann-Whitney-U test. The study also conducted Wilcoxon signed ranks test on scale items of preliminary and post-examination scor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raditional play program based on picture books and normal traditional play. In addition, the study conducted Mann-Whitney-U test to examine how the differences are between two children’s group which were provided traditional play program based on picture books and normal traditional play. Since both Mann-Whitney-U test and Wilcoxon signed ranks test are utilized when the sample size is small, or the dispersion is too big, this study, which has a small sample size, properly used these analyzing meth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ing: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xperimental group practiced traditional korean play program based on picture-books, and comparative group practiced normal traditional play in the perception of traditional play, playfulness, and creativity. Second, in the experimental group provided traditional korean play program based on picture-books, there was the positive improvement in the perception of the traditional play, playfulness, and creativity comparing before the program is practiced. The comparative group provided normal traditional korean play achieved improvement in perception on traditional play and playfulness, but they did not show any difference in terms of creativity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practice. In conclusion, the study show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ative group. As a result, the study shows that traditional korean play program based on picture-books is more effective to improve young children’s perception of traditional play, playfulness, and creativity compared to normal traditional korean play. Keyword: picture-books, traditional korean play, a perception of traditional play, playfulness, creativity

      • 청소년지도자의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요인의 관계분석 : 안전의식, 안전교육, 직무스트레스 요인을 중심으로

        신태웅 명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청소년지도자의 안전의식, 안전교육, 직무스트레스가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관계성을 파악해 보는데 목적을 두고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청소년지도자의 안전의식, 안전교육, 직무스트레스, 안전행동의 수준, 변수들 간의 차이,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2. 청소년지도자가 지각하는 안전의식은 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데 안전교육, 직무 스트레스의 매개효과가 있는지, 있다면 각, 각, 매개하는지 또는 복합적으로 매개하 는가? 이를 확인하기 위해 청소년수련관, 청소년문화의집, 청소년상담복지센터 등 약 25개 청소년시설에 종사하는 487명의 청소년지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을 위해 대상자의 기초통계치를 분석하였고, 주축요인추출을 위해 Varimax를 실시하였으며, 요인의 적합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KMO & Bartlett’s 검사를 실시하였다. 신뢰도 분석은 내적 일관성 신뢰도 검증을 위해 도구의 Cronbach's α값을 확인하였으며,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주요변수의 차이 검증을 위해 t-test, ANOVA를 사용하였고, 유의성 검증은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이용하였다. 또한, 독립변수간의 다중공선성 검증을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안전의식, 안전교육, 직무스트레스가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지도자로서 안전관련 경험이 높을수록 안전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청소년들에게 직접적으로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하는 등의 역할을 하는 청소년지도자에게서 안전행동의 중요성이 더욱더 강조되고 있음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결과이다. 이러한 결과로 살펴볼 때 청소년시설에 종사하는 청소년지도자의 직무에 따라 체계적인 안전행동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둘째, 안전의식, 안전교육이 안전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의식(β=.196)보다 안전교육(β=.386)이 안전행동에 더 큰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때 안전교육에 대한 중요성을 밝힌 결과라 할 수 있다. 결국, 청소년지도자의 직무에 따라 개인 또는 단체 등의 안전교육을 맞춤형으로 그리고 체계적으로 실시하여야 그 교육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셋째, 소방안전과 재난안전의식이 안전점검하기 행동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안전교육이 사전 예방을 위한 안전점검의 중요성도 강조해야 하지만 청소년지도자의 안전의식 중 소방안전과 재난안전의식을 가질 수 있는 안전교육을 강조해야 함을 시사하는 부분이다. 넷째, 안전의식은 안전교육을 통해서만 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안전의식이 높을수록 안전교육의 중요성이 높아지게 되고, 안전교육이 결국 안전행동으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다섯째, 안전행동은 직무스트레스에 의한 영향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의식이 안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직무스트레스를 경로로 하는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직무스트레스 때문에 안전행동이 낮아진다는 주장과 상반되는 결과로 나타났다. 여섯째, 안전교육과 직무스트레스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였을 때도 안전의식이 안전교육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안전교육이 안전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안전교육을 통해서만 안전의식이 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안전의식이 안전행동으로 연결되기 위해서는 안전교육을 받는 것이 안전행동을 강화하기 위해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밝힌 연구의 의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지도자의 안전행동, 주관적 규범, 객관적 규범간의 관계를 밝히는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하게 되었다. 결국, 청소년지도자의 안전행동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안전교육을 통해서 객관적 규범을 습득한 후 이를 토대로 주관적 규범이 될 수 있도록 고려하여야 함을 밝히게 되었다. 둘째, 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개인 및 단체의 안전교육을 밝히는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청소년지도자의 평소 생활에서의 안전 행동이나 안전의식이 실제적 안전행동을 예측할 수 있는 주요한 요인이 될 수 있지만, 개인 및 단체의 맞춤형 안전교육을 통해서 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맞춤형 안전교육의 중요성을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셋째, 업무상 직무스트레스를 고려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관계를 밝힘으로서 안전행동을 높일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는데 바탕이 되는 결과를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의의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지도자의 안전의식, 안전교육 등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도구가 없어 타 분야의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청소년지도자의 환경과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한계점을 밝혀둔다. 둘째, 안전행동의 측정도구는 NCS 청소년지도 분야의 국가직무능력(NCS) 능력단위를 토대로 사용하였다. 청소년지도 분야에서 유일하게 안전행동과 관련된 측정도구이지만 학문적인 근거를 토대로 개발된 측정지표가 아닌 현장의 직무를 토대로 개발되었다. 이 때문에 이론적 근거와 타당도 신뢰도 등에서 한계점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밝혀둔다. 셋째, 청소년지도자의 분석 표본수가 418명으로 표본을 선정하여 분석에 사용하였고, 전국의 대표성 있는 집단의 청소년지도자가 아닌 수도권 중심의 청소년지도자를 중심으로 표본을 선정하였기 때문에 전국적으로 일반화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는 것을 밝혀둔다. 주제어: 안전의식, 안전교육, 직무스트레스, 안전행동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s and relations of youth leaders’ safety consciousness, safety education and job stress. 487 youth leaders from 25 centers including youth training center, youth culture house, youth counselling center answered the survey. KMO & Bartlett’s test was done for the sampling adequacy and the resulting value for Cronbach’s alpha for the most of the survey items was above 0.8. The collected data was processed by SPSS 22.0 AND Amos 22.0. Multicollinearity test for independent variables by correlation analysis was carreid out and safety consciousness, safety education and job stress was analyzed with regression analysis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 summary is as follows. First, the more safety-related experiences they have had as a youth leader, the more frequently they presented safety behavior. This result shows that it is better that youth leaders need to be exposed to safety-related experiences more. Second, safety consciousness and safety education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afety behaviour. Safety education being mo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afety behavior (β=.386) than safety consciousness (β=.196), the study proved the significance of safety education. Third, fire safety awareness and disaster safety awareness resulted in safety check behaviors. Fourth, safety consciousness affected safety behavior only with the aid of safety education. The more conscious of the safety the youth leaders were, the more importance and value they gave to safety education, which eventually led them to more safety behavior. Fifth, job stress did not affect safety behavior. Safety consciousness being a meaningful factor for safety behavior, job stress was not the case. This result disproves the argument that job stress reduces safety behavior. Sixth, even with safety education and job stress taken consideration together, only through safety education did safety consciousness affect safety behavior. The meaningfu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help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fety behaviors and norms of youth leaders. It is recommended that youth leaders be aware of objective rules at first and then internalize them as subjective norms. Second, this study shows the importance of safety education customized for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Third, this study help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fety behaviors and job stress of youth leaders. Keywords : Safety consciousness, Safety education, Job stress, Safety behavior

      • 중국 프로기사의 생활 실태 조사 분석

        왕균기 명지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47

        This research aims at exploring the Chinese professional Baduk players’ living conditions by analyzing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their economical situation and working conditions.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the 578 Chinese Baduk professionals that were registered in the end of 2013 at the Chinese Baduk Association. The answers of 251 respondents were analyzed as follows. Firstly, the analysis of the educational background of Chinese professional players showed that 31.5% do not have a university degree, and 68.5% have graduated from university. 90.7% of the professionals live in big cities. Secondly, the analysis of age groups regarding the Baduk education has revealed that professionals in their teens had started about three years earlier than professionals who are 40 and older. To be more specific, professionals in their teens have started to learn Baduk at the average age of 6.1 years, while professionals in their 40s and older started at an average age of 9.5 years. Those in their teens started intensive education to become a professional at the average age of 9.7 years, while the group of 40s and older players started at the average age of 12.8. The teenagers became a Baduk professional at the average age of 14.4 years, while those 40 years and older became professionals at the average age of 17.2 years. Thirdly, the Chinese Baduk professionals’ average annual income is with 180.000 RMB higher than the average annual income of China. Regarding the age no difference was found in the average annual income, wheras the Chinese players’ ranking made a difference in the income, as follows. The top ranked players (rank 1 to 50) had an average yearly income of 407.000 RMB which was higher than those ranked below rank 50. On the contrast, the income satisfaction was of the middle ranked players (rank 151 to 200) was higher than income satisfaction of the top ranked players (rank 1 to 50) and high ranked players (rank 51 to 100). Fourthly, the top ranked players (rank 1 to 50 rank) earn their income mainly through prize money and monthly salary, while the high ranked players (rank 51 to 100) earned more money in the field of Baduk education. The players ranked lower than 100 earned their main income in the field of Baduk education. Fifthly, regarding the professional tournament participation it was revealed that the professionals at the age of 40 years and older almost don’t participate. The younger the professionals are, the more often they participate in tournaments. When it comes to the number of tournaments games, the participation rate increases with the ranking. Except the non-active professionals, the middle ranked players were more satisfied with the number of tournament games, while the top ranked players (rank 1 to 50) were the most unsatisfied. Sixthly, analyzing the professionals’ activity fields showed that there were almost no players at the age of 40 years and older who would spend time only on studying Baduk. The professionals in their teens were less active in the field of Baduk education and other fields than the professionals aged 20 years or older. On the contrast, the professionals in the 30s and 40 and older mainly work in the field of Baduk education and others. Seventhly, the current welfare situation has shown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the professionals in their teens and those at the age of 40 and older. The current professionals enjoy a better welfare conditions than older professionals. Eigthly, the younger professionals estimate their own social status higher than the social status of age-mate professionals. When comparing with general age-mates, the professionals evaluate their own social status lower. Ninthly, six causes of stress were analyzed, revealing that all professionals see their economical situation not difficult but rather see themselves as wealthy person. The tournament result, techniques, competition and room to develop are causes of stress that caused more stress the younger the professionals are and the higher the ranking is. There was no difference regarding the stress of be able to play in tournaments. Tenthly, job burnout was found the younger the age and the higher the Baduk strength showing that their passion for their professional work is lacking, whereas no difference could be found regarding the other job burnout situation. Eleventhly, when the professionals were asked whether they would like to change their current situation, many of the younger professionals and the high ranked players agreed, while the older professionals and non-active professionals disagreed. Twelvethly, the professional players spend about 4-5.5 hours leisure time, with no difference found compared to general public’s amount of leisure time. Thirteenthly, the amount of exercise hours is similar, about 3-4 times a week, about one hour each. 이 연구는 중국 프로기사들의 일반적 특성, 경제 상황, 직업상황을 조사 분석하여 프로기사의 생활 실태를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2013년 말까지 중국기원에 등록된 578명의 프로기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이 중 총 251명 프로기사로부터 회수한 응답 자료를 분석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프로기사의 학력은 대학교 졸업 이상이 31.5%, 전문대학교 졸업 이하가 68.5%로 나타났다. 프로기사의 90.7%가 성시(城市) 이상의 대도시에서 생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국 프로기사의 바둑에 대한 입문연령, 입단공부를 시작한 연령, 입단연령은 10대가 40대에 비해 3년 정도 일찍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10대와 40대의 입문연령은 6.1년과 9.5년, 입단공부 시작 연령은 9.7년과 12.8년, 입단연령은 14.4년과 17.2년으로 나타났다. 셋째, 프로기사의 연평균 수입은 18만 위안으로 사회적 연평균 수입에 비해 많았다. 연령대별로는 연평균 수입에 차이가 없었으나, 상위층(1위∼ 50위) 프로기사의 연평균 수입은 40.7만 위안으로 50위 이하 프로기사보다 더 많았다. 반면 프로기사의 수입 만족도는 중간층(150위 ∼ 200위)의 프로기사가 상위층(1위∼ 50위)과 차상위층(51위 ∼ 100위)보다 높게 나타났다. 넷째, 상위층(1위 ∼ 50위)의 프로기사는 주로 상금과 월급이 수입원으로 나타났으며, 차상위층(51위 ∼ 100위)의 프로기사는 상위층의 프로기사에 비해 바둑교육에서 얻는 수입이 더 많았다. 101위 이하의 프로기사는 주로 바둑교육 주요한 수입원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프로기사들의 대회 참가한 상황을 살펴보면, 40대 이상의 프로기사들은 거의 참가하지 않았으며 나이가 더 어릴수록 대회를 더 열심히 참가하였다. 프로기사의 대국 수는 랭킹이 높을수록 참가회수가 많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국 수 만족도는 불 활약 프로기사를 제외하고 중간층의 프로기사가 더 만족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위층(1위∼50위)의 프로기사가 가장 불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프로기사의 활동분야를 분석한 결과 40대 이상 프로기사들은 바둑만을 연구하는 경우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10대 프로기사들은 20대 이상 프로기사들에 비해 바둑교실 경영과 다른 일을 하는 경우가 적었다. 반면에 30대와 40대 이상 프로기사들은 바둑교실과 다른 일을 중시하는 경우가 많았다. 일곱째, 프로기사의 사회복지 현황은 40대 이상 프로기사와 10대 프로기사간의 차이가 가장 컸다. 현재보다 옛날 바둑프로기사의 사회복지가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프로기사들이 자신의 사회지위를 어떻게 생각하는가에 대한 조사를 한 결과, 나이가 적은 프로기사일수록 자신의 지위가 동료 프로기사에 비해 더 높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 사회인과 비교했을 때, 프로기사로서 자신의 지위가 일반 사회인의 지위보다 낮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홉째, 프로기사의 스트레스 원인을 6가지로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프로기사의 경제 상황은 곤란하지 않은 뿐만 아니라 오히려 부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적, 기술, 경쟁과 발전 공간의 스트레스는 나이가 더 적을수록, 랭킹이 더 높을수록 스트레스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자격 스트레스에 관해서는 차이가 없었다. 열째, 프로기사의 직무 탈진은 나이가 더 적은 프로기사일수록 실력이 높은 기사일수록 수행한 일에 대한 열정이 없는 경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른 직무 탈진 상황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한 번째, 프로기사에게 현재 상황을 바꾸고 싶으냐는 물음에 대해 조사한 결과, 나이가 적은 프로기사와 랭킹이 높은 프로기사들은 현 상황을 바꾸고 싶다는 생각들이 많았으며, 나이가 더 많은 프로기사와 불 활약 프로기사들은 바꾸고 싶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열두 번째, 프로기사들 중 여가시간은 매일 4 ∼ 5.5 시간으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 국민의 평균 여가시간과 비교해 보았을 때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열세 번째, 기사의 운동시간은 대부분 비슷하고, 보통 일주일에 3 ~ 4번, 한번에 1시간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 전북지역 바둑 수련생의 바둑교실 만족도 조사 연구

        이경륜 명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47

        전북지역 바둑 수련생의 바둑교실 만족도 조사 연구 이 경 륜 명지대학교 일반대학원 바둑학과 본 연구는 바둑 수련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바둑교실 만족도의 차이에 관한 조사 연구로 성별, 학년, 수련 기간, 이동수단, 지역적 위치, 이동시간에 등의 변인들을 바둑교실에서 제공하는 시설, 지도자, 교육프로그램, 환경 여건, 교육비로 비교 분석하여 차후 바둑교실 경영의 환경개선 및 컨설팅 자료로 제공하고 바둑교실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밝혀낸 결론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련생의 일반적 특성과 만족도의 상관분석 결과 학년, 수련기간, 이동시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수련생의 성별과 만족도의 t-test검증 결과 지도자, 교육프로그램, 환경여건, 교육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련생의 일반적 특징과 바둑교실만족도의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검증 결과 학년은 ‘지도자’, ‘교육프로그램’, ‘환경여건’에서, 급수는 ‘지도자’에서, 수련기간은 ‘지도자’, ‘교육프로그램’, ‘환경여건’에서, 이동시간은 ‘교육프로그램’, ‘교육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수련생의 일반적 특성과 수련예상기간의 카이제곱()검증 결과 성별, 수련기간, 학년, 급수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nalysis on the Satisfaction Index of the Students in Jeonbukdo on baduk Educational services. Lee, Kyung Ryun graduate School of Baduk Myong ji University This study surveys the difference in satisfaction of the Baduk academy according to general feature of the student and then analyzes variational factors of the gender, scholar attainments, training period, transportation, regional location, movement time and so on with equipment, directors, educational program, surround condition, education cost. In days, there are final purpose to offer this study as surround improving and consulting data about Baduk academy management and to present activity device of the Baduk academy. There are the conclusions what we find. 1st, The consequence of the Correlation which is the general traits of the trainers and satisfaction, there are primary divergence in scholar attainments, training dates, movement time. 2nd, In the result of T-test grounded on gender and satisfaction, we can find the difference of director, educational program, surround, and expenditure of education. 3rd, One-way ANOVA shows that the comparison of the trainers general traits and Baduk academy satisfaction with the type is staple feature by following comparative study ; from director, educational program, surround condition, we can find scholar attainments and training dates. From director, we can find kyu. From director, educational program, surround condition, we can find training dates. From educational program, expenditure of education, we can find movement time. All that factors which can draw extraction attach importance. 4th, in the result of the Chi-square test that is according for trainers and expected training period, we can find outstanding factors which are the very conclusions ; gender, training dates, scholar attainments, kyu.

      • 뮤지컬 <댄싱 섀도우>와 뮤지컬 <산불> 제작과정 비교 연구 : 명지대학교 뮤지컬공연전공 제5회 졸업공연을 중심으로

        구태영 명지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명지대학교 뮤지컬전공 대학생들의 졸업공연으로 창작되어진 뮤지컬 <산불>과 그 원작에 해당하는 뮤지컬 <댄싱 섀도우>를 분석하고 비교 연구한 것이다. 뮤지컬 학문이 독립적으로 자리 잡고 국내 뮤지컬 관련 학과들은 점차 그 수가 늘어가는 추세이나 아직 대학 내 창작뮤지컬의 연구 및 교육에 대해선 많이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아직까지 많은 대학의 공연제작실습 과정은 라이선스 뮤지컬이 주를 이루며 이는 외부에서 오르는 공연의 모방에 머무르고 있다. 창작뮤지컬의 제작과정은 연기는 물론 연출 및 기획을 포함한 공연을 올리기 위한 모든 부분을 학생들 스스로 개척해 나가야 한다는 의미에서 교육적인 의의가 있다. 물론 대학의 공연제작실습이 한 학기 또는 1년이라는 시간으로 배정되어 있어 창작뮤지컬을 온전히 제작하기엔 부족한 시간이며 대부분이 배우와 연출, 이분화 된 전공인 경우가 많아 다양한 분야의 창작자들이 필요한 작업특성에 있어 다소 어려움이 따른다. 여러 가지 어려움 중 ‘극작의 미숙성’과 ‘음악의 완성도 부족’을 큰 문제로 볼 수 있겠는데 본 연구자는 뮤지컬 <댄싱 섀도우>를 통해 뮤지컬 <산불>을 재창작함으로서 학생들의 힘으로 창작 뮤지컬을 제작함에 따르는 어려움을 해소하며 그 해결점을 찾았다. 본 연구는 우선적으로 비교하려는 두 작품의 원작인 희곡 <산불>의 평가와 의의를 살펴본다. 희곡 <산불>을 원작으로 제작한 창작뮤지컬 <댄싱 섀도우>를 원작 <산불>과 비교하고 제작과정을 살펴본다. 끝으로 뮤지컬 <산불>을 공연 제작 과정 중에 쓰인 연습일지 및 배우노트를 바탕으로 진행 과정을 설명하고 공연된 결과물과 원작 뮤지컬 <댄싱 섀도우>를 알아보기 쉬운 도표를 통하여 비교 연구한다. 결론에서는 본론의 비교 연구를 통해서 대학 내 효과적인 창작뮤지컬 제작의 중요 점 두 가지를 제안한다. 우선 비단 창작뮤지컬뿐만이 아니라 모든 뮤지컬이 필요로 하듯 텍스트의 선택, 즉 작품의 기초가 되는 좋은 이야기 선택의 중요성이다. 이것은 일부 특수한 관객의 예술장르가 아닌 일반 대중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뮤지컬의 특성에 기반을 두어야 한다. 고전, 코미디, 로맨스를 비롯하여 장르를 불문하고 시대상과 윤리의식, 역사의식 등 보편적으로 관객들이 공감하고 즐길 수 있는 작품이여야 한다. 두 번째로 음악의 선택이다. 뮤지컬에 있어서 음악은 필수적인 요소이다. 뮤지컬에 있어서 음악은 중요한 표현요소이며 이것은 이야기와 함께 작품의 색깔을 결정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렇게 음악이 중요한 만큼 국내에서 좋은 뮤지컬 작곡가를 만나기란 어려운 일이다. 특히나 그것이 대학과 같은 교육기관의 연극 및 뮤지컬을 전공하는 학생들에게는 불가능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물론 음악 또는 작곡을 전공하는 타 학과와 협업하여 뮤지컬을 제작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지만 한 학기 또는 1년이라는 제한된 시간에 뮤지컬의 이해와 함께 장르의 차이를 극복하고 창작 작업을 협업하기엔 부족함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래서 본 연구자는 이것의 해결책으로 기존의 곡을 차용하는 것에서 찾았다. 선정한 이야기에 어울리는 음악을 찾고 그것을 작품에 맞게 편곡, 개사하는 작업은 뮤지컬 음악의 이해와 함께 교육적으로 도움이 된다. 실제로 이제는 뮤지컬의 한 장르로 자리 잡은 주크박스 뮤지컬의 성공에서도 이 작업의 가치와 가능성을 볼 수 있다. 뮤지컬 <댄싱 섀도우>와 뮤지컬 <산불>의 제작과정을 통한 비교 연구로 라이선스 작품의 제작과정과는 다른 교육적 지표와 신진창작자 개발에 도움을 주어 창작뮤지컬의 발전 가능성을 도모하였으면 한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and made a comparative study on Musical <Sanbul (Forest Fire)> created as graduation performance of Myongji university students who majored in Musical and Musical <Dancing Shadow> corresponding to its original. Musical study is independently establishing itself and the number of domestic musical related departments is growing but it is true that there is a lack of research and education on creative musicals of universities. Until now, the process of performance production practice of many universities is dominated by license musicals and is just the imitation of a performance staged from the outside. The production process of a creative musical has its educational significance in that students themselves should explore all parts for a performance including direction and planning as well as acting. It is true that there is not enough time to fully produce a creative musical because one semester or 1 year is assigned to performance production practice of universities and it is somewhat difficult in term of work characteristics requiring creators of various fields because most majors are divided into two parts of actors and direction. Of several difficulties, ‘Immaturity of playwriting’ and ‘Lack of completeness of music’ can be regarded as big problems and this researcher eliminated the difficulties accompanied when students produce a creative musical on their own by re-creating Musical <Sanbul> through Musical <Dancing Shadow> and found a solution. First, this study discusses assessment and significance of a drama <Sanbul>, the original of two works to be compared. We compare a creative musical <Dancing Shadow> created based on its original drama <Sanbul> with its original <Sanbul> and examine the production process. Finally, we explain the progress of Musical <Sanbul> based on practice journal and actor’s note written during the performance production process and make a comparative study on the performed result and original Musical <Dancing Shadow> through easy-to-read chart. In conclusion, we propose two important points of effective creative musical production in universities through the comparative study of the body. First, as with all musicals as well as creative musicals, it is important to select text, that is, a good story forming the basis of a work. This should b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musicals that can be easily accessed by the general public, not the genre of art of some special audience. Regardless of genre including classics, comedy, romance, it should be a work that can be universally sympathized and enjoyed by the audience such as the phases of the times and ethics, historical consciousness etc. Second is the choice of music. Music is an essential element of musicals. For musicals, music is the important element of expression and often determines the color of the work with the story. Since music is so important like this, however, it is difficult to meet a good musical composer in Korea. In particular, it can be seen as impossible for students majoring in drama and musical of educational institutions such as universities. Of course, it is one way to produce a musical through collaboration with other departments majoring in music or composition but it is true that it is not enough to overcome the difference of the genre in addition to understanding of musicals and cooperate for creation work within limited time of one semester or 1 year. So this researcher found its solution in borrowing existing songs. The work of finding music matching with the selected story and arranging, changing lyrics according to the work is educationally helpful with understanding of musical music. Actually, the value and possibility of this work can be seen in the success of Jukebox Musical positioned as one genre of musicals. We hope that a comparative study through the production process of Musical <Dancing Shadow> and Musical <Sanbul> can give help to develop educational indicators and young creators unlike the production process of license works and promote the development possibility of creative musicals.

      • 청소년이 지각하는 미래사회 변화와 청소년정책 요구도 조사 연구

        신홍기 명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청소년이 인식하는 미래사회의 변화를 각 영역(경제, 사회, 정치, 환경 등)과 준비도, 미래능력 그리고 청소년정책간의 관계성을 통하여 파악해 보는데 있다. 청소년에게 미래사회의 변화를 사회전반 영역에 까지 확장하여 인식도를 판단하게 한 이유는 청소년들의 미래사회 삶의 범위가 특정 영역에 국한되지 않을 것이며, 사회전반에 대한 인식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한 준비와 역량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자료의 수집은 청소년참여기구에 참여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설문조사를 통해 총 404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적용된 통계적 기법은 SPSS/WIN 23.0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비, 상관분석, 요인분석을 하였고, IBM AMOS 23.0 프로그램을 통하여 구조분석을 제시하였다. 설문자료의 검증을 위해 각 하위요인별로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KMO와 Bartlett의 구형성 검정을 하였고 신뢰도 검증을 한 결과 Cronbach' α는 .8이상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들이 지각하는 미래사회의 변화를 보면, 경제적 변화, 사회변화, 정치적 관점, 환경변화, 미래사회의 핵심기술 등과 같은 세부 요소에서도 급격한 변화가 나타나 적극 대응을 해야 할 필요가 크다는 점을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청소년 자신이 미래사회에 적응하기 위해서 갖추어야 할 능력으로는 독창적이고 창의적 능력, 협업능력, 실천능력, 윤리적‧도덕적 태도, 대인관계능력과 배려능력 등의 순으로 개인의 필요 역량을 제시하고 있었다. 셋째, 청소년들이 미래사회 적응을 위해 필요한 청소년정책으로 청소년 정책참여의 통로(청소년특별회의, 청소년운영위원회 등)와 같은 청소년의 참여여건 확대에 대한 자기 주도적 열망이 크다는 것이 잘 나타나고 있었다. 넷째, 청소년이 미래사회의 준비를 하고자 할 때 미래인식, 미래 청소년정책, 미래능력 등의 관계를 분석해 본 결과, 인식은 미래능력에 영향을 미치는데 미래 청소년정책이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식이 높은 경우에 미래능력과 미래 청소년정책의 중요도가 높게 되고, 미래능력의 중요도가 높은 경우에 미래 청소년정책의 중요도가 더욱 더 높아지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청소년들을 위한 미래 지향적 정책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최우선적으로 미래사회의 변화에 대한 인식이 매우 중요한 선제조건이 되어야 한다는 결과를 얻었다. 더 나아가 미래능력이 청소년정책의 방향에 매개역할을 함으로써 청소년정책은 청소년의 미래능력을 함양하는 차원으로 전개되어져야 함을 말하고 있었다. 즉 청소년의 미래 대응을 위해서는 단순히 빠른 미래사회 변화의 인식에 머물러서는 안 되며 청소년 스스로가 미래능력을 갖추도록 하는 적극적 행위가 필요함이 본 연구를 통해서 나타났다. 다만 청소년 스스로가 미래사회를 준비함에 있어서는 자신이 적극적으로 준비하는 것이 미래 청소년정책과 연결될 것이라는 과정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를 기반으로 향후 청소년들의 미래사회 적응에 도움을 주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청소년의 미래 대응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청소년과 미래학자의 관점을 혼용, 통합적인 연구를 진행하여 청소년 중심의 미래사회 예측의 방향성을 높이는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둘째, 미래사회의 예측과 청소년정책의 내용을 연계하여 대비시키는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는데, 이러한 결과는 향후 청소년정책의 효과성을 높이는데 크게 기여하게 될 것이다. 셋째, 청소년의 미래사회에 대한 예측 연구는 타 연구 분야에 비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에서 향후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미래예측 연구가 활성화 될 필요가 있다. 넷째, 청소년의 미래예측 연구 대상을 청소년활동진흥법상의 청소년참여기구인 청소년운영위윈회를 중심으로 하였지만, 앞으로는 일반청소년, 학교밖청소년, 보호청소년 등 전체 청소년을 대상으로 확대되어질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dentifies changes of the future society through relationships between each area (economy, society, politics, environment, and etc.), level of preparation, capabilities in future, and youth policy. The reason that this study had the youth judged the recognition level by expanding the changes of the future society to the society at large is ranges of youths’ lives in the future society will not be limited to particular areas, and it is reasonable to consider overall in an awareness of the society at large and the preparation and capabilities based on the awareness. Therefore, the data collection targeted the youths, who joined in youth participation organization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collected the data of the 404 youths thorough the survey. The applied statistical techniques were SPSS/WIN 23.0 which conducted frequency, percentage, correlation analysis, and factorial analysis and IBM AMOS 23.0 program which suggested structural analysis. In order to verify the survey data, this study executed sphericity assumption of KMO and Bartlett through the factorial analysis by each subfactor, and Cronbach’ ⍺ was more than .8 as a result of confidence test. The followings are the summary of results achieved the research: First, the youths have recognized the big necessity to actively take action against the drastic changes occurred in specific factors such as economic change, social change, political perspective, environmental change, and core technology in the future society through the changes of the future society perceived by youth. Second, the youths have presented the necessary capabilities of individuals to adapt themselves to the future society in orders: inventive and creative ability, collaborative ability, practice ability, ethical and moral attitude, ability of interpersonal relation, considerate ability, and etc. Third, the result has indicated that self-initiated desires for the expansion of the conditions for youth’s participation such as channels of youth policy participation (Youth Special Meeting, Youth Steering Committee, and etc.) as the necessary policy for youth to be adapted in the future society are substantial. Fourth,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or the relationships between future perception, future policy, future capability and etc. when the youth intends to prepare the future society, the perception influences on the future capability and the future policy mediates them partially. This means that in case the perception is high, the importance of the future capability and future youth policy would be higher, and in case the importance of the future capability is high, the future policy is more and more significant. Especially, in order to realize the future-oriented policy for the youth, this study obtained the result that the perception of the changes of the future society should be a very important prerequisite by priority. Furthermore, the result showed that the youth policy should pan out the way to develop the future capability of youth by the future capability plays a role as an intermediation for the direction of the youth policy. In other words, through this study, it is appeared that the positive act is necessary for the youth to prepare the future capability by themselves rather than simply staying at the recognition of the rapid changes of the future society. However, there was no meditated effect of process to connect what the youth prepares actively by itself and the future youth policy in case the youth prepares the future society by itself. Hence, based on the research, this paper suggests followings to help youth to adapt in the future society: First, people who hope to raise the youth’s adaptation capability for the future need to make efforts to enhance the directionality of prediction for the youth-centered future society through the integrated research by combining the perspectives of youths and futurologists. Second, there is necessary to perform the research that connects the prediction of the future society and the youth policy and contrasts them, and this result will contribute greatly to the enhancement of the effectiveness of the youth policy in the future. Third, there are needs to invigorate the research for the future prediction which aimed the youth in the future in the way that the research about the future society of the youth was scarcely conducted rather than other fields of studies. Fourth,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based on the Youth Steering Committee which is a youth participation organization under the Juvenile Activity Promotion Act, but the subjects of the future researches need to be expanded to the general youth, the outside youth of school, the youth in residential care, and et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