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섬사람들의 민속지식과 생활공동체의 구비전승 : -소금을 중심으로-

        홍순일 ( Hong Soon-il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인문학연구 Vol.59 No.1

        이 논문은 섬사람들의 소금을 지식의 비교와 전승의 활용이라는 민속적 관점에서 논의되었다. 이 논문에 섬의 소금 생산과 이에 따른 민속의 유무라는 구분의 방법이 사용되었다. 또한 이 논문에는 초점이 민요, 설화, 관용어(속담)등 생활공동체의 구비전승 속에 있는 민속지식의 형성과 유통에 두어졌다. 동시에 현 사회에서 도서해양문화의 위상이 살펴졌다. 첫째, 하의도·신의도, 비금도·도초도, 증도·지도, 임자도 등 소금이 생산된 섬의 섬사람들은 소금으로 미역 등 생활필수품을 구하기도 했다. 반면에 소금 대신 미역이 생산된 가거도, 흑산도 등 섬의 섬사람들은 미역으로 소금 등 생활필수품을 구하기도 했다. 즉 섬사람들은 생산물의 교역인 도붓장사를 했다. 특히 섬사람들은 섬에서 생산되는 소금의 유무에 따라 있는 것과 없는 것을 맞교환했다. 그리하여 섬사람들은 소금, 미역 등 생활필수품을 유통시켰다. 그리고 섬사람들은 이에 대한 전승지식을 역사·지리·사회적으로 교차시켰다. 둘째, 섬의 역사에 의하면 섬사람들은 도서 중심의 해양·연안과 들중심의 강·산 사이에서 교류·협력했고, 섬의 지리에 의하면 섬사람들은 섬과 관련된 소금 생산에서 교역의 가능성과 불가능성을 찾았다. 그리고 섬의 사회에 의하면 생활공동체의 구비전승에서 소금 자체, 학, 비교, 미학, 운동과 관련된 동질성과, 섬사람들의 민속지식에서 인식태도, 표현지식, 대상기술과 관련된 이질성이 있다. 셋째, 섬사람들의 민속지식은 소금을 매개로 하는 민요, 이야기 등 생활공동체 구비전승의 마중물이다. 소금은 섬에서 나는 자원이거나 섬사람이 얻어 와야 하는 자원으로써 섬사람들의 생명이다. 그러므로 섬사람들의 생명과 같은 소금은 한반도의 소비물과는 달리, 섬의 생산물인 동시에 섬사람들의 교역물의 대상이라는 가치가 있다. This study discussed 'salt of island residents' in viewpoint of folklore, which includes knowledge comparison and application of transmission, in a way of classification of salt production and the existence of folklore, focusing on the formation and circulation of folk knowledge in the oral performance of a folk song community, such as folk songs, folk tales, idioms (proverbs), etc., and evaluating the status in the modern society as well. First, The islanders got daily necessaries including seaweeds by exchanging their salt, and in return, the other islanders got daily articles including salt by exchanging their seaweeds. In short, they were peddlers who traded their own products with each other for life. In particular, they circulated daily articles including salt and seaweed by exchanging each products for each one's necessity based on the existence of salt, and at the same time, the islanders exchanged their transmission knowledges in terms of history, geography and sociology. Second, The history of an island shows the exchange and cooperation among the ocean, the island, the shore, the river and the mountain, and the geography displays possibility and impossibility of salt production in regard to islanders and islands. In addition, society contains homogeneity regarding salt itself, study, comparison, aesthetics, sports, etc. in the process of oral performance of the folk song community, and also keeps heterogeneity regarding recognition attitude, expression knowledge, description, etc. in the settler's view of values. Last, In consideration of the folk knowledge of islanders, salt itself, study, comparison, aesthetics, sports, etc. can be discussed in terms of comparison in island and ocean culture, as shown in the oral performance of a folk song community, such as folk song, history, etc regarding salt. Moreover, object, recognition and expression, which are conceived in oral heritages of a folk song community, can intensively be discussed in terms of application. Salt is a life itself for islanders as it is or is produced by them, so the salt is not only a product, but also an exchange article of islanders, unlike normal consuming goods in the Korean Peninsula, featuring its own equivalence.

      • KCI등재

        무용수업이 섬 지역 초등학교 저학년 감성지능과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공진희 한국도서(섬)학회 2020 韓國島嶼硏究 Vol.32 No.3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 of dance classes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of lower graders of island area elementary school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art education that is balanced and universal to both urban and rural areas. The research questions are: 1. Dance classes will result in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lower graders of elementary schools in the island area. 2. Dance classes will result in significant differences in school life satisfaction in lower graders of elementary schools in the island area. This study selected 86, 3rd graders of A, B, C, and D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an island area near Mokpo-si, Jeollanam-do, where dance classes are given for 40 minutes once per week as subjects i.e. as part of the curriculum. Pre-tests were performed with questionnaires prior to dance classes of the semester, and a post-test was likewise administered with questionnaires after the dance classes of the semester. As the emotional intelligence test instrument, a scale developed by Moon Yong-rin (1997) and used by Shin Eon-sook (2009) and Bahn Min-joo (2010) was implemented. For the school life satisfaction assessment, a questionnaire adapted from Jang Hyun-ji (2009) and Oh Eun-jeong (2012) to suit lower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was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sub-factors of the two tests,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n 86 elementary students in the island area was conducted, and the collected data was placed under an independent t-test with SPSS 21.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ance classes conducted in the island area had a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intelligence of lower graders of elementary schools. Among the sub-factors, although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emotion regulation and emotion recognition, no such difference was found in emotion expression. Second, dance classes conducted in the island area had a positive effect on school life satisfaction of lower graders of elementary schools. Among the sub-factors, although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formation of relationships with schoolmates and teachers, no such difference was found in compliance with rules. Therefore, dance classes were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of the students in the island area. In summary, dance classes were revealed to impact elementary students in a positive manner in term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This suggests that dance education affects emotion of each student and leads to positive changes in school life satisfaction.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universal dance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systematically in order for more students in urban and island (rural) areas to experience a variety of dance classes. 본 연구의 목적은 무용수업이 섬 지역 초등학교 저학년 감성지능과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여 도시지역과 도서지역에 보편적이며 균형 있는 예술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무용수업이 섬지역 초등학교 저학년의 감성지능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낼 것 이다. 2. 무용수업이 섬지역 초등학교 저학년의 학교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낼 것 이다. 연구대상은 전라남도 목포시 보성군 근교의 섬지역에 위치하고, 주 1회 40분씩 무용수업이 진행되는 A. B. C. D초등학교 3학년 86명으로 선정하였다. 질문지는 한학기의 무용수업 일정이 시작하기 전과 후, 각각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를 설문조사로 실시하였다. 검사도구로 감성지능검사는 문용린(1997)이 개발하고, 신언숙(2009), 반민주(2010)가 사용한 척도로 사용하였고, 학교생활만족도 검사는 장현지(2009), 오은정(2012)이 초등학교 저학년에 맞도록 구성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두가지 검사의 하위요인 분석은 섬지역 초등학생들 86명에 따른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1 통계 프로그램으로 독립 t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분석결과는 첫째, 섬 지역 무용수업은 초등학교 저학년의 감성지능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으며, 하위영역 중 정서조절과 정서인식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정서표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섬 지역 무용수업은 초등학교 저학년의 학교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으며, 하위영역 중 교우 및 교사와의 관계형성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규칙준수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무용수업은 섬지역의 학생들에게 감성지능과 학교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분석결과를 종합하면 무용교육은 초등학생의 감성지능과 학교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무용교육이 학생 개개인의 감성에 영향을 미치며, 학교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변화를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도시지역과 섬 지역(도서지역), 모두 보다 많은 학생들이 다양한 방식의 무용수업을 경험할 수 있도록 보편적인 무용교육이 제도적으로 이루어져야 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국제법상 해양관할수역을 갖는 독도의 법적 지위에 관한 연구

        김임향(Im-Hyang Kim) 한국해사법학회 2018 해사법연구 Vol.30 No.2

        섬의 법적 지위와 관련하여 국제법은 섬과 암석을 구분하여 그 해양 지형이 창출할 수 있는 해양관할수역을 달리 규정하고 있다. 4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는 해양 지형이 국제법상 섬으로서 법적 지위를 인정받게 된다면 동 섬은 자체의 영해, 접속수역, 배타적 경제수역 , 대륙붕과 같은 관할수역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비해 암석은 배타적 경제수역과 대륙붕과 같은 확대된 해양관할수역 을 창설할 수 없고 다만 영해 및 접속수역만을 가진다. 따라서 국제법상 해양관할수역을 가질 수 있는 섬이 되기 위한 법적 요건들에 관해서 구체적으로 고찰해 볼 필요가 있다. 이에 관하여 UN 해양법협약은 제 121조에 섬에 관한 통상 적인 규정으로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다. 즉, 인간의 거주 혹은 독자적인 경제활동을 영위할 수 없는 암석을 제외한 모든 섬은 영해, 접속수역, 배타적 경제수역 및 대륙붕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해양관할수역을 가질 수 있는 국제법상 섬의 지위에 대하여는 추상적이고 불명확하게 규정하고 있기 때문 에 해석상 논란의 여지를 남겨두고 있다. 이에 따라 국가들은 자국의 해양관할권을 확대하기 위해 “섬” 과 “암석”을 구분함이 없이 동일하게 광대한 배타적 경제수역과 대륙붕을 주장하고 있으므로 더욱더 섬의 국제법상 지위를 규명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필요에 따라 ‘법적인 섬’에 대한 논의는 해양에 고립 되어 있는 섬이 어떤 지형과 형태를 갖추고 있어야 그 섬 주위에 영해 및 영해 이원의 해양관할수역이 인정될 수 있는 것인가의 문제이다. 이 논문에서는 ‘법적인 섬’의 정의가 이루어진 과정을 보면서 섬을 구성하는 요소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그리고 국제공동체가 역사적 관행으로 인정하고 있는 섬은 어떠한 형태를 갖추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그리고 UN 해양법협약 제 121조 3항, 국제관행, 학자들의 주장 및 국제중재재판소의 남중국해 사건 판결 등을 중심으로 섬의 해양관할수역에 관한 논의를 국제법적 시각에서 고찰한 후, 이를 바탕으로 독도가 국제법상 섬으로서 영해, 접속수역, 배타적 경제수역 및 대륙붕과 같은 해양관할수역을 창출할 수 있는지에 대한 검토를 하고자 한다. In relation to the legal status of the island, international law determines capability of possessing maritime jurisdiction waters depending on whether it is an island or a rock. If an island which is surrounded by water is recognized as islands in the international law, coastal states will be able to enjoy their own maritime zones such as territorial seas, contiguous zones, exclusive economic zones(EEZ), and continental shelves. On the contrary, rocks are capable of having only territorial seas and contiguous zone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what requirements must be met for becoming islands with maritime zones. In this connection, UN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UNCLOS) provides provisions about island in article 121 that islands shall have territorial sea, contiguous zone, EEZ and continental shelf but rocks which cannot sustain human habitation or economic life of their own shall not have them. This provision defines island just generally, the legal status of an island is defined abstractly and unclearly. For this reason, coastal states claim that islands shall have maritime jurisdiction zones including EEZ and continental shelf without distinction between “islands” and “rocks” in order to expand their own maritime jurisdiction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identify the status of the island in the international law. According to this need, the purpose of the discussion on the legal status of islands is to determine whether the islands isolated in the ocean have any terrain and form to be able to recognize the territorial waters around the islands and beyond the maritime zones. In this paper, I study what is elements that constitute islands and what kind of island recognizes as a practice through the process defining legal island. And then, in the light of the international law, I research the discussions on the maritime jurisdiction zones of the island focused on the UNCLOS article 121(3), international practices, scholars claims and the International Arbitration Tribunal s ruling on the South China Sea. On this basis, I would like to examine whether Dokdo is possible to have the maritime jurisdiction of the territorial sea, EEZ and continental shelf as an island in the international law.

      • KCI등재

        일반논문 : 동아시아 변경 섬의 지정학과 냉전체제 성립기 국가폭력 발생의 구조

        김민환 ( Min Hwan Kim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4 탐라문화 Vol.0 No.46

        이 논문에서는 1945년 일본제국의 해체 이후 동아시아의 여러 변경 섬에서 발생한 국가폭력의 원인을 섬 자체의 지정학과 연관해서 찾아보려고 시도한다. 제주도에서 류큐열도를 거쳐 대만본섬과 금문도까지 연결되는 선상의 섬들은 동아시아의 지역체제가 변화될 때마다 독특한 지정학적 위치 때문에 섬의 운명이 변화하곤 하였다. 특히 동아시아에서 냉전체제가 성립될 무렵에는 이들 섬 모두에서는 혹독한 폭력이 발생하였다. 기본적으로 이 섬에서 발생한 폭력은 국민국가의 국경선 확정에 따른 생활권(圈)의 분리에 기반하고 있다. 이 섬들은 일본제국에 의해 통합되어 있었을 때는 변방이 아니었고 교류와 소통의 작은 중심지였다. 그러나, 일본제국의 해체 후 개별 국민국가가 형성될 때 이 섬들은 모두 변방이 되었으며, 이전의 교류와 소통은 국민국가의 경계선 형성에 의해 중단되게 되었다. 생활권의 분리라는 상황적 폭력은 국민국가의 강도 높은 내적평정(internal pacification) 작업이 진행되면 현실적이고 물리적인 폭력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진다. 이 섬들에서 내적평정 작업은 냉전과 관련되어 매우 강도 높게 진행되었다. 또한, 냉전체제 형성기에 공산주의 세력의 봉쇄(containment)와 관련된 이 섬들의 지정학적 위치는 내적평정 작업 관련된 폭력들을 더더욱 증폭시켰다. 만약 이 섬들 중 한 곳이라도 잃게 되면, 아시아에서의 봉쇄는 실패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었다. 미국과 동맹국들에게 이 섬들은 그 어떤 대가를 치루더라도 지켜야하는 곳이었다. 이 세 가지 모두가 겹쳐진 제주와 대만본섬은 이루 말할 수 없이 처참한 국가폭력을 겪었다. This article aims to explain the cause of state violence in the border islands of East Asia after the fall of the Japanese Empire in 1945 through a geopolitical understanding of these islands. Forming an axis that runs through Jeju, the Ryukyu islands, Taiwan, and Jinmen, these islands underwent rapid abrupt changes in their fate, especially in times of power transitions in the East Asia region. Most notable is the terrible violence that these islands suffered during the establishment phases of the Cold War. The basic idea behind the violence is the division of the living community. When these islands were integrated into the Japanese Empire, they functioned as robust local centers of exchange and communication. After the collapse of the Japanese Empire and the formation of individual nation-states, however, these islands were relegated to the margins, and the exchange and communication of the past were put to an end by the formation of boundaries between nation-states. The situational violence that arises from the division of these living communities is very likely to convert into physical violence; indeed, the process of internal pacification played out in a particularly harsh and abrupt manner on these islands. To exacerbate the situation, during the formation of the Cold War system, the geopolitical situation of these islands and their perceived function for the containment of the Communist sphere further amplified the violence associated with internal pacification. For the U.S. and its allies, these islands were outposts that needed to be secured at all at all costs; the loss of any one of them would amount tofailure in the containment of the Asia-Pacific. This article concludes that it was due to the fatal combination of all three of these factors - the division of the living community, internal pacification, and violence for containment - that Jeju and Taiwan suffered terrible state violence.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고즈시마 섬(神津島)의 사회·공간 구조에 관한 연구

        신순호(Shin, Soonho),박성현(Park, Sunghyun)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2012 島嶼文化 Vol.0 No.40

        본 연구는 임진왜란 당시 일본에 잡혀가 순교한 조선인 동정녀(童貞女)인 오타 줄리아(大田ジュリア)를 수호성인으로 섬기고 있는 도쿄도(東京都) 고즈시마 섬(神津島)지역을 대상으로 사회․공간구조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12년 1월 27일부터 31일까지 현지답사와 함께 관공서 방문과 주민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통한 실증적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도서지역이 갖는 특성적 요소 가운데 지역의 사회·공간구조로서 지역을 파악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인 자연적 환경, 인문적 환경, 인구, 교육, 종교, 사회조직, 생활환경, 산업부문에 중점을 두고 연구하였다. 고즈시마 섬은 후지(富士) 화산대에 속하는 이즈제도(伊豆諸島)의 부속 도서로 수려한 자연경관과 풍부한 수산자원을 보유하고 있는 도서이다. 다른 도서지역과 다르게 인구추이는 안정적인 형태를 띠는데, 그 이유는 경제적 소득원이 안정적인 형태로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그러나 인구구조적인 측면에서 빈약한 생산연령층과 여성 노년인구의 고령화가 문제시 되고 있다. 인구이동은 많지 않은 편이며, 같은 장소에 장기간 거주하는 보수적인 거주형태를 보이고 있다. 주민들은 주로 자가(自家), 단독주택, 저밀도 주택에 거주하고 있으며, 지역 내에서 생활용품 등의 소비활동과 기초 행정서비스의 수요를 충족하고 있다. 고즈시마 섬의 산업구조는 제1․2차 산업보다 제3차 산업의 의존도가 더 크게 나타나는 도시적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형태는 점차 확대되는 추세이다. 제3차 산업 중 관광업과 관련된 산업이 전체산업의 40%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관광산업은 계절적으로 여름에만 집중되는 수요구조이다. 고즈시마 섬은 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각 계절마다 다양한 마쓰리(まつり) 등의 이벤트를 개최하여 관광객들에게 선택의 폭을 넓게 제공하고 있다. 지금까지 고즈시마 섬지역의 사회․공간구조를 분석하기 위해 필자가 1987년부터 진행하여 온 분석틀을 토대로 조명해 보았다. 이를 통해 해당지역의 정밀한 파악과 더불어 여타 도서지역들과의 비교연구에 큰 유용성을 갖게 될 것이며, 앞으로 이 연구방법 역시 시사점을 주게 될 것으로 본다. The present study analyzed the social and spatial structure in Kozushima Tokyo where they serve the Virgin Ota Julia as a patron saint, who had been taken into Japan from Chosun during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before dying a martyr. For this empirical research, the investigator went on site surveys, visited public offices and interviewed residents from January 27th to 31st, 2012. Among the factors constituting insular characteristics, this study focused on identifying the most important components representing the area in terms of social and spatial structure, e.g. natural environment, humanistic environment, population, education, religion, social organization, living environment and industry. Annexed to the Izu Islands in the Fuji volcanic zone, Kozushima has beautiful natural landscapes and abundant marine resources. Unlike other insular regions, Kozushima’s population has been stable on account of steady sources of income. Demographically, however, scanty working force and ageing female population is a matter of concern. Without much movement of population, people show conservative tendencies to reside in the same place for a long time. Most residents live in their own houses, detached houses and low-density houses and fill up the needs for basic administrative services while consuming household items within the region. As for its industrial structure, Kozushima assumes urban characteristics of relying more on tertiary industries than primary and secondary ones, which aspect tends to increase gradually. Among tertiary industries, those sectors related to tourism take up 40% of all industries. To distribute tourist demand, which is usually concentrated in summer, they hold seasonal events such as Matsuri to provide wider choices for tourists. This study analyzed Kozushima’s social and spatial structure based on the analyses made by this author since 1987. The findings here will be significantly useful for comparative studies as well as precise understanding of the region. The method used here will provide implications as well.

      • KCI등재

        섬, 소통의 공간

        정진영(Jung, Jin-Young) 부산경남사학회 2013 역사와 경계 Vol.88 No.-

        1862~3년에 걸쳐 꼭 1년간 전라도 임자도에서 유배생활을 했던 金?(1805~1866)은 ?艱貞日錄?을 남겼다. 당시 임자도와 그 인근에는 유배객도 많았고, 외부에서 찾아드는 사람들도 많았다. 그리고 섬사람들과의 접촉도 빈번했다. 김령은 이를 ?艱貞日錄?에 비교적 충실하게 기록했다. 이 논문은 비록 김령의 유배생활 가운데 만난 사람들을 검토한 것이지만, 그렇다고 하여 현상적인 상호간의 관계만을 파악하고자 한 것은 아니었다. 그보다는 도리어 섬이라는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그들 개별적인 삶과 행위에 대해 보다 큰 관심을 두고자 했다. 이러한 입장에 설 때, 그것은 한 유배객의 단순한 유배생활이 아니라 섬에 대한 사회사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19세기 중반의 임자도와 그 인근의 지역은 더 이상 절해고도나 궁벽한 섬으로서 소외되고 고립된 공간이 아니었다. 그것은 삶이 경제적으로 뿐만 아니라 문화적ㆍ학문적으로도 그 나름대로 풍요로웠고, 외부세계와의 소통도 원활하고 신속했기 때문이다. Kim-Ryung(1805~1866) who had exile experience at Imjado island for a year from 1862 until 1863 left Ganjung-ilrok. At that time, there were many exiles at Imjado Island and its neighborhood, and also the number of the people visited there from outside were legion as well; consequently, outsiders came in frequent contact with local islanders. Kim-Ryung recorded such an aspect in his diary comparatively faithfully. This paper intended to look into the people whom Ryung Kim met in the course of his life of exile, nevertheless, which doesn’t mean this paper tried to understand only the phenomenal mutual relations. Rather, this paper tried to have bigger interest in their individual life and behavior done in the space of an island. From this point of view, it’s because this paper-intended approach to a person’s exile in an island not just mention an exile’s simple life of exile but it could ultimately serve to manifest a person’s being a social worker for an island. Imjado Island and its neighborhood in the middle of the 19th century were not an alienated and isolated space as a mid-oceanic or secluded island anymore. It’s because the life in the island was rich not only economically but also culturally as well as academically in its way, and even their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world was smooth and prompt.

      • KCI등재후보

        UN 해양법협약상 섬의 법적 지위와 독도

        이환규(Lee Hwan-Gyu)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09 東亞法學 Vol.- No.43

        Paragraph 3 of Article 121 of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LOS Convention) limits the legal entitlement of islands to maritime spaces by providing that : ‘Rocks which cannot sustain human habitation or economic life of their own shall have no exclusive economic zone or continental shelf’. but the meaning of ‘rocks’ and the qualifying phrase that they cannot sustain human habitation or economic life of their own is not further defined in the LOS Convention. The inability to precisely define them raises additional questions. The following questions should be considered : What constitutes a ‘rock’ as a form of an island? ; and, what is meant by cannot sustain human habitation or economic life of their own? This paper will keek to give an overview of islands and the capacity of islands to generate maritime zones. Then, this paper suggest what ‘economic life of their own’ and ‘human habitation’ mean. Finally on the basis of discussion above, it is demonstrated that Dok-do is rocks which shall have exclusive economic zone or continental shelf.

      • KCI등재

        섬 지역 노인의 생활실태와 복지서비스 욕구 -여수시의 섬을 중심으로-

        김민희 ( Min Hee Kim ),김성희 ( Sung Hee Kim ) 한국도서(섬)학회 2012 韓國島嶼硏究 Vol.24 No.1

        Korea is rapidly becoming an aged society, and particularly the islands are more serious. The islands` elderly population exceeds 20 percent , which is regarded as a super-aged society. However, during the previous years the island elderly received only little attention and researches regarding them are rare. Thus,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nd to narrow regional dispariti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iving conditions and the needs of the elderly in Yeosu islands. Questionnaire from 128 elderly people have been collected and used as data. The data was analyzed using non-parametric statistics of SPSS 19.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Most of the elderly people were alone and few have care-givers. Transportation was regarded as the most inconvenient factor for the elderly living in the island. Residential environment was very poor and many houses lacked convenient facilities. Since islands are very isolate, domiciliary care is needed for the elderly. Thus, religious leaders who are natives should be fostered as care-givers and residential environment be improved. Welfare services such as health care, bathing and housekeeping service are so limited to the islands` elderly that the short or long term plans to secure domiciliary health care system should be arranged.

      • KCI등재

        인구소멸시대 문화관광을 통한 섬 재생방안에 관한 연구 - 일본 세토내예술제를 중심으로 -

        전영철 한국도서(섬)학회 2022 韓國島嶼硏究 Vol.34 No.2

        인구는 주로 지역과 섬에서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충남 도서지역, 전북과 전남의 도서지역, 경남의 도서지역은 타 지역에 비해 빠르게 인구가 감소하고 있어 행정안전부의 지역소멸지역에 등재되었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지속가능한 섬 재생의 방법으로 문화관광을 도입하기 위해 일본 세토 내에서 진행되었던 장소특정예술로서 시각예술축제의 사례를 한국의 도서지역 도입가능성에 대한 시론적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이론적 고찰, 현황분석 및 문제 분석. 공공장소에서 시민과 소통하는 창의적인 문화활동을 통해 지역활성화와 문화공간가치를 창출하거나 쇠퇴지역을 문화중심지로 재편하여 사회적 활력을 높이고 지역문화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현지 지역주민과 관광객이 융합하는 지역밀착형관광의 영역을 확장할 수 있는 예술축제는 창조적인 사고를 지닌 젊은 예술가들의 유입으로 지역의 활력을 동시에 가져올 수 있다. 시각예술제는 일시적인 것이 아니라 결과물이 축적되고 일시적인 이벤트가 아니라 겨울만 제외하고 봄, 여름, 가을로 시기를 확장하고 공간 또한 확장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살펴 본 인구소멸 시대의 세토예술제가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의 폐가, 폐교, 폐쇄된 공장, 창고 등의 유휴 공간을 활용한 지역재생에 문화예술을 활용한 성공적 사례이다. 둘째, 시대, 장소, 장르, 세대를 초월한 교류를 확대한다. 셋째, 인구소멸시대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가진 젊은이들을 유입하고 있다. 넷째, 지역주민과의 협력을 통해 지역활성화를 이끌고 있다. 다섯째, 농수산물, 숙박 등을 제공하고 다양한 인적·물적 서비스를 제공하여 지역주민의 소득을 증대시키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의 도입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술 프로젝트 및 지역과의 연대가 필요하다. 둘째, 지역 자원과의 연대이다. 셋째, 생활관광과의 연계가 필요하다. 넷째, 세계 관점의 시각이 필요하다. 다섯째, 자원봉사자의 육성과 강화를 핵심요소로 하는 제도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문화관광을 통한 도서지역 재생에 관한 시론적 연구이며, 앞으로도 다양한 주제와 접근방법을 통해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