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韓日学術論文の序論のテキスト内容分析 -語学系学術論文を中心に-

        林貞我(임정아) 한국일본어학회 2020 日本語學硏究 Vol.0 No.66

        본 연구는 한국의 학술 논문 서론과 일본의 학술 논문 서론 내용을 비교하여 한국어모어화자와 일본어모어화자의 서론 텍스트 구성을 분석,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분석 틀로는 Swales(1990)의 CARS모형을 수정한 틀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고찰의 결과 밝혀진 주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서론에서 다루는 내용은 한국과 일본의 학술 논문 서론 모두 ‘연구에 관한 언급’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연구 대상 제시’, ‘선행연구와 그에 대한 의견’ 순으로 많이 나타났다. 또한, 15개의 구성 요소 중 ‘연구 목적 제시’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2. 연구의 목적이나 주요 내용을 제시하는 ‘연구의 목적 제시’는 일본은 대부분 서론 전체에서 1회 나타나는 데에 반해 한국 논문 서론의 경우 2회 이상에 걸쳐 반복적으로 언급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경향을 통해 한국 논문 서론이 일본 논문 서론에 비해 연구 목적을 보다 강하고, 독자에게 주지시키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 한국 논문 서론을 구성하는 내용들이 일본 논문 서론을 구성하는 내용에 비해 주관성을 더 강하게 띄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the contents of the introduction of Korean academic articles and Japanese academic articles, and to analyze and consider the text structure of the introductions of Korean native speakers and Japanese native speakers. Th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a modified version of the CARS model of Swales (1990) as the framework of the analysis. As a result of analysis and consideration, the main results of the analysis and review are as follows. 1. As for the contents to be dealt with in the introduction, "reference to research" is most often used in the introduction of Korean academic articles and the introduction of Japanese academic articles, followed by "presentation of research objects" and "previous research and opinions on it". Many appeared. In addition, among the 15 components, the percentage of articles adopted in the introduction by "Presentation of research objectives" was the highest. 2. It can be seen that the "presentation of research purpose" that presents the research purpose appears only once in the entire introduction in Japanese articles, whereas it is repeatedly mentioned more than once in the case of Korean articles. Through this tendency, it can be seen that the introduction of Korean articles is stronger than the introduction of Japanese articles and is trying to inform readers. 3. It was found that the content that constitutes the introduction of Korean articles is more subjective than the content that constitutes the introduction of Japanese articles.

      • KCI등재

        王羲之「自論書」의 형성과정 고찰

        박재복(朴載福) 한국서예학회 2013 서예학연구 Vol.23 No.-

        東晉시기의 王羲之(303-361)는 당시에도 이미 명성이 자자하였지만, 唐 太宗이 그를‘書聖’으로 추존한 이후에 그 명성은 역대서가들을 뛰어넘어 독보적인 인물로 추앙받게 되었다. 현재 전해지는 王羲之의 작품은 모두 臨摹本으로 그의 진적은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王羲之의 서론은「題衛夫人‘筆陣圖’後」,「書論」,「筆勢論十二章幷書」,「用筆賦」,「自論書」,「記白雲先生書訣」등 6편인데, 이 중에「自論書」를 제외한 5편은 王羲之의 저술이 아니라고 인식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새로운 연구 시각과 다양한 문헌 자료의 검증을 통해 유일하게 王羲之의 저작으로 인식되고 있는「自論書」의 成書年代와 저작자, 형성과정 등을 새롭게 고증하고자 한다. 먼저, 晩唐시기에 편찬된 張彦遠의 法書要錄「晉王右軍‘自論書’」(847전후)를 중심으로「自論書」의 형성과정과 원문내용을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기존의 학설과는 달리「自論書」는 王羲之 한 사람의 저작이라기보다는 初唐시기 이후에 재구성한 문장임을 추정할 수 있었다. 둘째,「法書要錄」에 수록된「自論書」의 내용은 모두 123자로, 본고에서는 편의상 7개 단락으로 나누어 그 내용과 출전의 전고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내용 중 일부는「晉書」「王羲之列傳」(648), 孫過庭의「書譜」(687), <敦煌遺書斯3287>(9세기전반), 歐陽詢의 藝文類聚「水部下」(624),「晉書」「衛恒傳」(648), 張懷瓘의「書斷」(727) 등에서 그 연원을 찾을 수 있다. 셋째, 初唐과 中唐시기에 王羲之와 관련된 고사와 서론내용들이 상당히 유행하였다. 이러한 풍토에서 王羲之의 학통을 이은 사람들에 의해 그 당시에 전해지던 王羲之의 서론관련 내용을 여러 문헌기록에서 발취하고 일부내용을 보완하여 점차적으로「自論書」를 완성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따라서 晩唐시기 張彦遠은 이렇게 재구성된 王羲之 서론을 「法書要錄」에 수록하고「晉王右軍‘自論書’」라 명명하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실증적 학문자세로 眞僞여부와 형성과정을 고증함으로써 王羲之 계통의 서론을 연구하는데 새로운 시각과 이해의 전환점을 마련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王羲之(303-361)在東晉時期已經算是名聲顯赫,但在唐太宗將其推尊爲“書聖”之後,他的名聲超越歷代書法家們,位於最高的地位並受到推崇。 現在流傳的王羲之作品全部是臨摹本,他的眞跡已不存在了。以王羲之的著作流傳而來的書論有≪題衛夫人筆陣圖後≫、≪書論≫、≪筆勢論十二章幷書≫、≪用筆賦≫、≪自論書≫、≪記白雲先生書訣≫等6篇。大部分的學者們認爲≪自論書≫出自王羲之,其餘5篇不是王羲之所作的。因此本文以目前認爲王羲之唯一的書論著作≪自論書≫爲對象,將成書年代、作家考證以及其內容的形成過程等展開新的論點。 首先,以晩唐時期編纂的張彥遠≪法書要錄ㆍ晉王右軍自論書≫(847年前後)爲中心,分析了≪自論書≫的形成過程和原文內容。結果發現其中與前輩學者所說的≪自論書≫爲王羲之一個人的著作不同,是把初唐至中唐時期與王羲之書論相關的內容集合到一處,並補充一部分內容,來重新完成的文章。 第二,≪法書要錄≫收錄的≪自論書≫共有123字,在本文中爲了方便分爲7個階段,深度地探討了其內容與典故的出處。與其關聯的內容主要來源於≪晉書ㆍ王羲之列傳≫(648)、孫過庭的≪書譜≫(687)和<敦煌遺書斯3287>(9世紀前半)。而且在歐陽詢的≪藝文類聚ㆍ水部下≫(624)、≪晉書ㆍ衛恒傳≫(648)、張懷瓘的≪書斷≫(727)中也可以找到與其相關的內容。在初唐和中唐時期非常流行與王羲之相關的故事和書論內容,因此可推斷繼承王羲之學風的人依照當時流傳的與王羲之相關的文獻,再加入部分內容並修改而完成了≪自論書≫。此後,張彥遠在≪法書要錄≫中收錄其並命名爲≪晉王右軍自論書≫。 第三,在≪法書要錄ㆍ晉王右軍自論書≫的內容中盡管也有以前文獻中看不到的內容,但是基本繼承了≪書譜≫的內容,並且宋代-淸代的著錄基本與≪法書要錄≫的內容一致。

      • KCI등재

        蒼巖 李三晩의『書訣』에 대한 고찰 - 歷代 書論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朴載福 동양고전학회 2010 東洋古典硏究 Vol.38 No.-

        蒼巖 李三晩은 조선후기 대표적인 서예가 중의 한 사람으로, 그는 환경적인 여러 제약에도 불구하고 서도연마에 정진하여 독자적인 경지를 이룩한 선각자로 평가된다. 특히 그의 초서는 ‘行雲流水體’라 하여 ‘용이 승천하고 뱀이 굴속으로 들어가는 것 같으며, 하늘의 구름이 가는 것 같고 물이 흐르는 기상을 가진 초서’로 평가된다. 기존 논의에서 창암의 서론과 서예술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기는 했으나 아직은 본격화되지 않았고, 특히 창암의 서론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본고에서는 창암이 71세(1840년)에 쓴 書訣에 대해 집중적으로 분석하려고 한다. 이를 위해 그의 서론에 영향을 끼쳤거나 배경이 되는 중국과 한국의 역대 서가의 서론들과 비교를 통해 창암 서론의 원류를 밝혀 보고자 한다. 서결의 내용은 크게 총론, 본문, 결어 그리고 종이와 붓에 대한 설명으로 구분할 수 있다. 총론에서는 채옹, 왕희지, 왕헌지, 소식 그리고 이광사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다. 본문에서는 영자팔법, 늑법, 운필법 등으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는데, 주로 위부인, 왕희지, 구양순, 이양빙, 장회관, 이광사 그리고 여러 저본의 「영자팔법」 등을 광범위하게 참고하여 정리하였다. 특히, 왕희지, 이양빙, 이광사의 서론 내용을 많이 수용하여 설명하고 있으며 일부내용에서는 당시의 상황을 고려하여 자신의 생각을 토로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창암의 서결은 孔子의 “述而不作”의 정신에 입각하여 역대 서가들의 이론을 충실히 기술하고, 새로운 일부 내용을 첨가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까닭에 서결은 초학자들을 위한 종합적인 서예 이론서이면서 동시에 자연에서 얻은 창암 자신의 체험을 바탕으로 자연주의적이고 형이상학적인 독특한 서론을 전개하여 초학자들에게 알기 쉽게 설명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과학영재학생의 논문에 나타난 서론 서술의 특징

        조광희(Jo, Kwanghee)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2020 과학영재교육 Vol.12 No.2

        이 연구에서는 과학영재학생이 작성한 연구 논문의 서론 부분을 분석하고, 특징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과학영재교육’ 학술지에 2009년부터 2019년 사이에 게재된 총 48편의 과학 분야 논문을 시기별로 조사하고, 그 중 서론 형식이 유사한 23편을 대상으로 장르 분석 방식으로 서술 단계를 살펴보았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과학영재학생들이 작성한 논문의 서론 서술 방식은 시기별로 다른 특징을 보였다. 초기에는 대부분 서론 단독으로 도입부를 구성하였으나, 최근에는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과 이론적 배경을 분리하여 서술하는 경향이 있었다. 또 전반적으로 서론을 서술하는 문장 수가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서론 서술 단계 분석을 통해, 과학영재학생이 작성한 서론은 전반적으로 전문 연구자 집단의 연구 논문과 유사하게, 기본적인 서술 단계를 포함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선행연구 및 관련 자료의 유기적 제시, 타당하고 적절한 논리 전개, 연구 목적의 도출 등에 있어 일부 미흡한 측면이 있었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교육적 시사점 및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In this study, the introductory part of research papers written by science-gifted students was analyzed and the characteristics were explored. To this end, a total of 48 scientific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for the Gifted’ from 2009 to 2019 were surveyed by period, and among them, 23 articles with similar introductory formats were examined in a genre analysis metho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urvey, the types of introductions written by science gifted students showed different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period. In the early period, introductory parts were composed mostly of introduction alone, but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tendency to delineate research goal and theoretical background separately. In addition, overall, the number of sentences describing the introduction has been on the ris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introduction narrative stage, it was also found that the introduction prepared by the science-gifted students generally contained the basic narrative stage, similar to the research paper of a group of professional researchers. However, there were some inadequate aspects in the presentation of previous researches and related data, development of valid and appropriate logic, and derivation of research purposes. In view of these points,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follow-up research were proposed.

      • KCI등재

        서론의 구조 및 유형 체계화 연구

        원보라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5 한국초등국어교육 Vol.58 No.-

        본 연구는 서론의 구조와 유형을 체계화함으로써 서론에 대한 이해 및 표현에도움을 주고자 하는 연구이다. 서론은 ‘기존의 정보와 새 정보를 연결하기 위해 배경과 방향의 관계에 따라필요한 내용 요소를 선택하여 조합한 것’으로 본론 및 결론과는 다른 특징적인기능이 있는 개념이다. 여기에서의 배경은 기존의 정보를 뜻하며 방향은 필자가새롭게 제시하는 정보를 뜻한다. 서론의 형식 구조는 배경과 방향 요소의 사용 여부와 조합방식에 따라 다르게나타난다. 서론의 내용 구조는 배경과 방향의 진술방식을 토대로 관점(수용적, 거부적)에 따라 기본형이 만들어진다. 기본형은, 배경과 방향이 맺고 있는 의미관계(문제와 해결, 근거와 의견, 부가와 핵심)에 따라 수정 및 변형되어 여러 유형으로만들어진다. 본 연구는 서론의 개념을 다양한 방법으로 모색하고 구성 요소를 밝혀 구조를체계화하였으며 다양한 의미관계에 따라 그 구조가 어떻게 적용되는지 제시함으로써 서론의 이해 및 표현과 관련된 학습에 도움을 줄 수 있다. This study attempts to systematize the structure and type of introduction to assist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of introduction. Introduction means ‘choosing and combining necessary contents elements according to the relations between background and direction in order to connect between the previous information and new information’. The concept has a characteristic function different from the main body and conclusion. Here, the background refers to the previous information, while direction means information newly suggested by the writer. The type structure of introduction differs by the usage of background and direction element as well as the way of their combination. As for the content structure of the introduction, basic type is created according to the viewpoints (receptive or rejective) based on the way of statement of background and direction. The basic type is modified and changed according to the semantic relations between background and direction (problem and solution, evidence and opinion, options and core) to be transformed into diverse types. This study systematized the structure by examining the concept of introduction in diverse ways and verifying its component. It can be helpful to the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of introduction and the related learning by suggesting how the structure is applied according to various semantic relations.

      • KCI등재

        蒼巖書論의 예술사적 의의

        김남형(Kim, Nam-hyeong) 한국서예학회 2013 서예학연구 Vol.22 No.-

        이 논문은 조선 후기의 저명한 서예가이자 서예비평가였던 蒼巖 李三晩(1770-1847)의 書論이 형성된 예술사적 배경과 그 의의를 해명하기 위하여 집필되었다. 창암의 서론은 ‘自然에서 출발하여 自然으로 돌아가야 한다’로 정리된다. 작가를 둘러싸고 있는 자연물과 자연 현상에 卽하여 그 특성을 정감적으로 체득하고 그것을 생동감있는 추상형식으로 상징화하여 필획을 통해 구현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창암의 書論은 조선후기 예술사의 문맥에서 보면 당시 문학ㆍ회화ㆍ음악 등 여러 예술 장르에서 제기된 문제의식, 즉 중국의 고전적 모델을 모방하는 풍조를 배격하고 작품창작의 動因이자 배경이 되는 자연을 강조함으로써 개인과 민족의 차원에서 개성과 독자성을 추구하려한 움직임과 괘를 같이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 점은 창암의 書論이 중국의 역대 書論과 확연히 다르며, 그가 조선인의 審美情緖에 합치하는 書風을 창출해낸 사실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시각에서 볼 때 ‘自然’을 강조한 창암의 書論과 ‘行雲流水體’로 일컬어지는 그의 書風은 서예로 하여금 조선후기예술사에서 시대정신을 대변하고 先導하는 중요한 예술 장르의 하나로 자리잡게 하는데 크게 기여하였다는 점에서 예술사적 의의를 부여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rt history backgrounds and meanings of the calligraphic theory of Changam Lee Sam-man, a renowned calligrapher and calligraphic critic in the latter half of Joseon. His calligraphic theory can be summed up in "To start in nature and return back to it." He argued that artists should experience and learn the characteristics of surrounding natural objects and phenomena emotionally, symbolize them in lively abstract forms, and implement them through brush strokes. His calligraphic theory seems to be in line with the problematic consciousness raised in various genres of art including literature, paintings, and music in the context of art history in the latter of Joseon or the movement of rejecting the trend of mimicking the classical model of China and pursuing personality and individuality in the aspect of individuals and the people. It is also confirmed by the facts that Changam's calligraphic theory was clearly different from the previous calligraphic theories of China and that he created a calligraphic style that matched the aesthetic sentiment of Joseon people. In those aspects, his calligraphic theory emphasizing "nature" and his calligraphic style called "Haengwoonryusuche(行雲流水體)" made a huge contribution to calligraphy settling down as an important genre of art to represent and lead the spirit of the times in the art history of the latter of Joseon, which grants the meanings of art history to them.

      • KCI등재

        외국인 대학원생을 위한 한국어 학위논문 서론 담화표지 교육 연구

        정다운(Chung, Da-woon) 중앙어문학회 2016 語文論集 Vol.68 No.-

        본고는 외국인 대학원생을 위한 한국어 학위논문 쓰기 교육에서 담화표지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학습자들의 서론 담화표지 사용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담화표지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 결과들을 종합하여 서론 담화표지의 특징을 이해하고 학습자들이 서론 담화표지 사용에서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외국인 학습자들은 서론에서 전형적인 담화표지를 잘 사용하지 못했는데 특히 연구의 목적, 현황 분석, 연구의 필요성, 연구의 의의와 관련된 담화표지 교육이 좀 더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기초적인 학술 동사를 알고 있었지만 상황 맥락에 맞게 잘 사용하지 못하였으며 특히 연어 관계에 있는 어휘를 파악하지 못해서 생기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기본적으로 텍스트의 뜻을 이해하고 적절한 어휘를 선택한 후에도 맥락에 맞는 문법 표현을 사용하지 못하거나 상당히 제한적인 문법 표현만을 사용하고 있었다. 따라서 다양한 담화표지 연습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paper aims to emphasize the need for including discourse markers education as part of the Korean thesis/dissertation writing program for foreign graduate students and to investigate the implications of the discourse markers education by analyzing the use of discourse markers by students. In order to do so, we compiled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 studies conducted to gain an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discourse markers usage in Korean thesis/dissertation introductions, and analyzed the problems of students’ usage of discourse markers in thesis/dissertation introductions. Foreign students often face difficulties in using discourse markers in the introduction section of their thesis/dissertation. Specifically, a supplementary discourse markers education is needed with regard to the research purpose, analysis of a present condition, research necessity, and research significance in the introduction section of the thesis/dissertation. Foreign students were aware of basic academic vocabulary, but they could not use them appropriately in situational contexts. In particular, they encountered problems in using academic verbs due to having little grasp of collocation. In addition, even when they understood the basic meaning of a text and selected the appropriate wording, they could not use correct grammatical expressions within the context. In cases where grammatical expressions were used, the students’ usage was very limited. Therefore, the results suggest that further practice of using various discourse markers is required.

      • KCI등재후보

        蒼巖 李三晩의 書論 - 順自然의 양상을 중심으로

        김남형(Kim Nam-Hyeng)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6 동양한문학연구 Vol.23 No.-

          이 논문은 조선 후기의 빼어난 서예가이자 서예이론가였던 蒼巖李三晩(1770~1847)의 書論을 書藝觀, 學書論, 創作論으로 나누어 검토하고 그것이 지닌 서예사적 의의와 영향에 대하여 점검한 것이다.<BR>  조선시대 대부분의 지식인들과는 달리 이삼만은 ‘書는 자연에서 비롯된 것으로 작은 道가 아니다.’는 적극적인 서예관을 지니고 있었다. 이러한 서예관을 기반으로 창암은 ‘卽自然’을 바탕으로 한 구체적이고도 실제적인 ‘法自然’을 강조하였는데, 이는 인위적인 기교에 치중함으로써 자연스러운 生氣를 상실한 당대의 서풍에 대한 비판적 인식의 소산인 것으로 판단된다.<BR>  이삼만의 學書論에서 특별히 주목되는 점 또한 그것이 ‘法自然’을 이념적 기반으로 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예컨대 이삼만은 운필법을 위시한 구체적인 필법을 설명하면서 자연의 원리, 자연현상, 자연에 존재하는 사물의 특성 등을 援用하여 논리를 전재하고 있으며, 사물의 형상을 상징적으로 표현해내어야 함을 강조하였다.<BR>  창작론에서 이삼만은 전문적인 서예가의 작품이 갖추어야 할 가장 기본적인 조건으로 得筆과 逸韻을 지목하고, 한 걸음 더 나아가 ‘象自然’을 서예가 지향하여야 할 궁극적인 경지인 것으로 파악하였다.<BR>  이러한 이삼만의 서론은 ‘卽自然-法自然-象自然’으로 요약할 수 있으며 이는 서예에 있어서 자연성을 추구하는 심미의식의 발로로 그 기저에는 민족문화의 총체적 특성을 推動한 ‘順自然’의 이념이 자리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삼만의 서론과 ‘行雲流水體’로 지칭되는 그의 書風은 호남지역의 후배 서예가뿐만 아니라 대구를 중심으로 한 영남지역 서예가들에게까지 전해져서 조선 말기 한국 서단에 정채로운 한 봉우리를 형성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view of calligraphy of Changam Sam-man Lee(1770~1847) who was a remarkable calligrapher and calligraphy theorist in late Chosun focusing on his view of calligraphy, theory of Hakseo and theory of creation, and to review its meaning and influence on the history of the calligraphy.<BR>  Unlike most of intelligence in Chosun, Sam-man Lee had positive view of calligraphy such as ‘Calligraphy is from nature and it is not a small asceticism’. Based on his view of calligraphy, he emphasized concrete and practical ‘Beopjayeon’ based on ‘Jeukjayeon’, which seems to be the output of critical perception on the contemporary calligraphic style that lost natural vitality by emphasizing artificial techniques.<BR>  The most attracting characteristic of his theory of Hakseo is that it is based in the ideology of ‘Beopjayeon’. For example, he developed his logic borrow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things, theory of nature and natural phenomena when he explained the concrete calligraphic technique including ‘Wunpilbeop’ and he emphasized symbolical expression of the phenomena.<BR>  In his theory of Creation, he pointed ‘Deukpil’ and ‘Manwun’ as basic requirements that professional calligraphic works should have. Moreover, he proposed that ‘Sangjayeon’ would be the ultimate goal that the calligraphy should go for.<BR>  His theories can be summarized as ‘Jeeukjayoen-Beopjayeon- Sangjayeon’. It is judged that it is from his aestheticism of calligraphy under the which there seems to be the ideology of ‘Sunjayeon’ implied from our culture. His calligraphic style summarized as ‘Seoron’ and ‘Haengwunyusuche’ was descended to calligraphers in Yeongnam Area not to mention of his junior calligraphers in Honam Area and it made a vivid peak in calligraphy in late Chosun.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어교육 박사 학위 논문 서론 텍스트 구조 분석

        손다정(Son Dajung),정다운(Chung Dawoon) 중앙어문학회 2017 語文論集 Vol.70 No.-

        이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이 작성한 한국어교육 박사 학위 논문 서론 텍스트의 구조적 특징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논문은 장르적인 특징이 매우 뚜렷하기에 학문 목적의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에서 성공적으로 학업을 마치기 위해서는 한국어 학위 논문의 장르적 특징을 이해하고 이를 반영하여 논문을 작성하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본고는 이와 같은 인식을 바탕으로 최근 발표된 한국어교육 박사 학위 논문 중 외국인이 작성한 논문 서론의 내용을 중심으로 텍스트 구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외국인 유학생들은 박사 학위 논문 서론에서 연구의 목적을 처음에 제시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처음부터 바로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기보다 연구 주제와 관련한 배경을 먼저 소개하고 해당 분야의 선행 연구를 살피거나 교육 현장의 필요를 부각하면서 연구 주제의 필요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한편 문헌 연구보다 실험 연구 등의 논문이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연구 방법이나 가설을 설명하는 경우는 많이 나타나지 않았다. 외국인 유학생이 작성한 학위 논문 서론의 텍스트 구조에 대한 분석 결과를 통해서 앞으로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육에서 보다 체계적인 학위 논문 작성 교육 내용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focusses on analyzing dissertations, especially the characteristics of text structure in the introduction section, written by foreign graduate students for a doctoral degree in Korean Education. Currently in the Korean educational environment, several students are mastering Korean as part of their academic studies. They must learn to write dissertations, as it is a required genre of academic writing. As a form of academic writing, dissertations are a tool to communicate with members of the academic discourse community and, as a result, include typical genre characteristics that are agreed upon in the community. Therefore, students who are learning Korean for academic studies are requir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dissertation writing as a genre, and demonstrate the ability to write dissertations that reflect this understanding. Hence, we analyzed the introductions of research articles that were recently written by foreign doctoral students. We conducted a genre analysis on the structure of the introduction sections with an emphasis on content that produced a different result from previous researches. Systematic, genre-based instructions on writing the introduction section in Korean research articles are required, emphasizing the differences and gaps identified from previous researches on the characteristics of introductions in Korean doctoral dissertations as a genre.

      • KCI등재

        교과교육 학술지 논문의 서론 서술 단계 제안 및 활용 가능성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의 최근 과학교육 논문을 대상으로

        조광희(Jo, Kwang-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3

        본 연구에서는 교과교육과 관련있는 논문 작성법 전문 서적을 조사하여 학술지 논문의 서론 서술 단계를 제안하고, 이를 최근에 게재된 과학교육 논문의 서론 분석에 탐색적으로 적용하여 활용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국문으 로 쓰인 총 10종의 논문 작성법 서적을 조사하였다. 전문 서적들은 서론 작성을 위해 평균 8.0 단계의 서술 단계를 제안하였으며, 총 14가지 단계를 거론하였다. 특히 대부분의 서적에서 연구 목적, 선행 연구 분석, 필요성 등을 중요한 단계로 언급하였 다. 둘째, 앞서 도출한 서론 서술 단계를 토대로 2016년과 2017년에 “학습자중심교과 교육연구” 학술지에 게재된 과학교육 논문 10편을 탐색적으로 분석한 결과, 해당 논문들은 대체로 9단계를 거쳐 진술되었다. 평균적으로 주제 소개, 주제의 중요성, 이슈 제기, 사실 근거, 선행 연구 분석, 필요성, 방법, 목적, 문제의 순서로 서론 문장이 배치되었다. 선행 연구 분석이 전체 문장의 35.8 %으로 가장 비중이 컸으며, 이어서 주제 및 이슈에 관한 내용이 전체 문장의 25.6 %에 해당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하여 서론 서술 단계 모형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서론의 장르 분석 과정 및 결과가 초보 연구자에게 학술지 논문 작성에 관한 안내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genre analysis tool for the introduction part of academic papers on subject matter education by investigating the specialized books about how to write a paper and to explore the possiblilty for its application through analyzing the recent academic papers on science education in jour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For this, we, firstly, examined 10 kinds of related academic books written in Korean. According to the result, they suggested 8.0 steps generally and 14 steps totally for writing the introduction part. In particular, research purpose, previous research review, and necessity were treated as important steps, mentioned in most books. Secondly, it was discovered that 9 steps were used for composing the introduction part through analyzing 10 science education papers, written in 2016 and 2017 in jour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with the proposed tool. The previous research review had the majority portion with 8.8 sentences(35.8 %) among nine ones and introduction research topic and issues were the next, 25.6 %. In average, orders of introduction sentences were as follows: topic introduction, importance of the topic, issues, facts, previous research review, necessity, methods, purpose, and research question. Through this, we could see the possiblilty for its application. Based on these processes and findings, we added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hope that this genre analysis result will be a kind of guide information for beginner resear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