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生命權의 憲法的考察

        류성기 경상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7

        human has instinct of survival and preservation of their tribe as all other creatures. These instinct is recognized as a absolute thing to human that human can not give up this instinct for his(her) own family and him(her)self narrowly and for mankind or the nation extensively. Because human has dignity and value, human is considered to be different fundamentally compared to other creatures. As human, dignity and value are adding strict punishment to human by killing a person or infringe a person's body on the one hand, and on the other hand human has duty to act as what society requires for social survival and duty to act suitable with his(her) ability. Human is a rational who that has this double duty and can be subject of his (her) personality so there is a dignified value that must be protected. But, material omnipotence and mammonism according to modern high industry makes human contempt tendency worse and worse, and rapidly increasing crime and indiscreet abortion action etc. are wabbling human's dignity or value which must enjoy basically as human. Phenomenon that despise this human life is becoming serious obstacle factor to embody latent possibility of human and human dignity in all fields of human activity. Respect for human life and recovery of existence of human nature for all makind is moral will be the fundamental solution of these situation. If consciousness of respect for human life is not gone ahead, it means we resign our rights for life right that is the best value that one must have as human. The most important things among all right are the right of life. In this way, that right of life supports life in reality and if these rights are not guaranteed, one keeping his(her) basic dignity of human is impossible. Right of life and human dignity are the most important thing among human's right, it is worth than other any right. Although our constitution is no of expressed provision about life right guarantee, to our current constitution article 10, human dignity and value is prescribed as the best value and on article 10 back gate, the country confirms that the country takes duty to guarantee individual inviolable fundamental human rights and life right which is essential point of dignity and value and it must be guaranteed not negatively but positively. Today social problem by infringement about life right is rising, and seeing that the law order collapses in the world, and within social phenomenon that change rapidly, I realize that effectiveness of law and human's dignity can be achieved finally and ultimately only by voluntary law consciousness of each individual even though law order controls human's action. Therefore, this treatise from these vantage point wishes to present one direction to reilluminate the right about life which is best value of human's dignity by investigating constitutionally about right of human life and life and to cope the present limited situation problem.

      • 生命權과 國家의 生命保護義務 : 落胎와 落胎罪를 中心으로

        김영태 高麗大學校 法務大學院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낙태는 그동안 우리에게 잊혀진 쟁점이었다. 국가는 태아의 생명을 보호하기 위하여 낙태죄를 규정하였지만, 별 죄의식 없이 낙태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사실상 낙태죄는 사문화 되었다. 그동안 낙태죄에 대한 논의가 간간히 있었지만, 국회에서의 개정논의 및 헌법재판소의 공개변론 등으로 인하여 중요한 쟁점이 되었다. 생명권은 인간의 생명에 대한 포괄적인 권리로서 모든 종류의 기본권을 행사하는데 전제가 되는 권리이다. 헌법상 생명권에 대한 명문의 규정이 없지만, 통설과 판례 모두 생명권의 존재를 인정하고 있다. 생명권의 주체는 인간으로서 태아도 생명권의 주체이다, 다만, 배아에 대하여는 견해가 나뉜다. 생명권은 절대적인 기본권이 아니라 제한가능한 권리이다. 고대에서부터 낙태는 범죄가 아니었지만, 중세 기독교시대부터 낙태에 대한 규제가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오늘날 모든 나라는 그 정도의 차이가 있지만 대부분 낙태를 규제하고 있다. 낙태죄는 태아의 생명보호를 법익으로 한다. 낙태죄의 보호법익과 관련하여 임부의 자기결정권과의 충돌이 문제된다. 태아의 생명권과 임부의 자기결정권과의 관계에 관하여 독일에서는 태아의 생명보호를 우선으로 하는 방향으로, 미국에서는 임부의 자기결정권을 우선으로 하는 방향으로 논의가 전개되었다. 낙태의 정당화사유를 결정하는 방식에는 기한방식, 적응방식 및 절충방식이 있다. 우리나라는 형법에 낙태죄를 규정하여 원칙적으로 낙태를 금지하고 있지만, 모자보건법에 인공임신중절수술의 허용한계를 규정하여 낙태죄의 위법성조각사유를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낙태규정과 현실의 괴리 등으로 인하여 사실상 낙태가 만연하게 되었으며, 태아의 생명보호가 제대로 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태아의 생명보호를 위하여 국가는 낙태관련 법규를 정비하고 불법낙태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제반 노력을 다하여야 할 것이다.

      • 안락사에 관한 헌법적 연구 : 적극적 안락사를 중심으로

        최다혜 성균관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4

        Euthanasia is called active euthanasia, referring to moving up the time of a patient's death by a person besides a patient him/herself in an artificial, active method, such as the administration of a substance incurring death to a patient according to a patient's explicit request for the purpose of removing pain which is impossible for a patient to bear anymore, and whose treatment and control is almost impossible even through medical aids. The person besides a patient him/herself mentioned here is a doctor who has the obligation to protect and treat a patient. This paper is addressing the category of euthanasia by a patient's own will which connotes a problem of the so-called assisted suicide. Up to the present, the country which allows the mercy killing of patients includes the Netherlands, Belgium, Luxemburg, and Switzerland. In case of the USA, as of 2015, euthanasia is allowed only in the State of Oregon, Washington, Vermont, New Mexico, and Montana. In case of Germany, active euthanasia is not allowed in principle, but there exist no rules of punishment separately for aiding and abetting suicide. Recently, Canada becomes a country which allows euthanasia as the Canadian Supreme Court ruled that the existing law punishing active euthanasia is against the Canadian spirit of constitution, and that euthanasia is constitutional, on February 6, 2015. In addition, in case of France, the National Assembly of France passed the so-called 'Deep Sleep Bill' actually allowing euthanasia, on March 18, 2015. Countless numbers of precedents related to euthanasia are based on human dignity and life values. 'Life' to humans is the essence for realizing the value which they aim to defend in their own life other than just physically living. Human dignity premises maintenance of life and living; further, human dignity has a vital significance in that individuals live their life of realizing their personality and character to the maximum on the basis of maintenance of healthy mind and body. Accordingly, living in the way they want while maintaining healthy body and mind can be a part of the right to life based on the value of human dignity. In other words, dying with dignity in the way they want means living in the way they want. Protection of the right to life is based on the protection of such a human value, and active euthanasia for realizing such a life value is the active realization of the right to life. Traditionally, the right to life has been perceived as the passive right that is protected from its infringement, but it's necessary to extend the meaning of the right to life by interpreting that the right to life in conformity with the principle of the constitution that the right to life is the human dignity & value. If that is the case, protection of the right to life should be also newly re-constituted in line with the normative meaning of the right to life. In relation to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of death, it's possible to draw the individual basic rights, which are not listed in Clause 1, Article 37 of the Constitution, as a direct basis indirectly under the basic rights on human dignity and value. Active euthanasia is the self-determination of living in one's way and the way of facing death, as well as a private area. A nation is not allowed to encroach on an individual area, and unless it is allowed according to general values, it can be pointed out as community violence on one individual. The public interest, and benefit & protection of the law, which should be pursued by a nation, lie in allowing an individual facing death to exercise his/her right to personally decide whether to continue his/her life or not. A nation's social responsibility is to arrange juridically reasonable procedures lest there should be abuse of homicide, or should be against legal sentiment by suggesting strict requirements in exercising such a right. 안락사는 적극적 안락사를 지칭하는 것으로 환자가 감내할 수 없고 치료와 조절이 불가능한 고통을 없애기 위한 목적으로 환자 본인 이외의 사람이 환자의 명시적인 요청에 따라 환자에게 죽음을 초래할 물질을 투여하는 등의 인위적·적극적인 방법으로 사기를 앞당기는 것을 말한다. 여기서 말하는 본인 이외의 사람이란 환자의 보호·치료 의무가 있는 의사에 의한 경우이다. 본 논문에서는 소위 조력자살의 문제를 포함하고 있는 자의에 의한 안락사의 범주를 다루고 있다. 현재까지 적극적 안락사를 허용하고 있는 나라는 네덜란드, 벨기에, 룩셈부르크, 스위스이다. 미국의 경우 2015년 현재 오리건, 워싱턴, 버몬트, 뉴멕시코, 몬태나주에서만 인정된다. 독일의 경우는 적극적 안락사를 원칙적으로 허용하고 있지 않지만 자살교사방조에 대해서는 따로 처벌규정이 존재하지 않는다. 최근에 캐나다 대법원은 2015년 2월 6일 적극적 안락사를 처벌하고 있는 현행법이 캐나다 헌법 정신에 위배되며 안락사는 합헌이라는 판결을 하여 적극적 안락사를 허용하는 국가가 되었다. 프랑스 역시 2015년 3월 18일 프랑스 하원은 사실상 안락사를 허용하는 이른바 ‘깊은 잠(Deep Sleep Bill)’ 법안을 통과시켰다. 안락사와 관련한 수많은 판례들은 인간의 존엄성과 삶의 가치에 근거하고 있다. 인간에게 있어 ‘생명’이란 단지 물리적으로 살아있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자신의 삶에서 지키고자 하는 가치를 실현하기 위한 본질이다. 인간의 존엄성은 생명을 유지하고 살아 있음을 전제한다. 더 나아가 건강한 정신과 신체를 유지함을 바탕으로 개인이 자신의 개성과 인격을 최대한으로 실현하는 삶을 산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건강한 신체와 정신을 유지하고 자신이 원하는 방식으로 살아있음은 인간 존엄성의 가치에 근거한 생명권의 일부라고 할 수 있다. 즉, 원하는 방식으로 존엄하게 죽는 것은 원하는 방식으로 살아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생명권의 보호는 이러한 인간의 가치를 보호하는 것을 토대로 하며, 이러한 삶의 가치를 실현하기 위한 적극적 안락사는 생명권의 적극적 실현이다. 전통적으로 생명권은 침해로부터 보호되는 소극적 권리로 인식되어 왔지만, 생명권은 인간의 존엄과 가치라는 헌법의 원칙에 부합하게 해석하여 그 의미를 확장해야 한다. 그렇다면 생명권의 보호 또한 생명권의 규범적 의미에 맞도록 새롭게 재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죽음에 관한 자기결정권은 인간의 존엄과 가치에 관한 기본권에 간접적으로 근거하여 헌법 제37조 제1항의 열거되지 않은 개별적 기본권을 직접적 근거로 도출할 수 있다. 적극적 안락사는 자신의 방식으로 살아있음, 그리고 죽음을 대하는 방식에 대한 자기결정으로 사적인 영역이다. 국가는 개인의 사적인 영역을 침해할 수 없으며, 일반적인 가치관에 따라 이를 허용하지 않는 다면 이는 한 개인에 대한 공동체의 폭력이다. 국가가 추구해야 할 공익과 법익은 죽음 앞에 있는 한 개인이 자기 생명의 지속여부에 대한 결정권을 스스로 내리도록 허용하는 것이다. 다만, 환자에 대한 의사의 행위에 대한 법적인 문제가 있을 수 있는데 의사에 의한 적극적 안락사는 환자 본인의 의사결정이 있었기 때문에 엄격한 요건 하에서는 환자의 생명권 침해로 볼 수 없도록 해야 한다. 즉, 국가의 사회적 책임은 이러한 권리를 행사함에 있어 엄격한 요건을 제시해 살인의 남용이나 법적 감정에 위배되지 않을 수 있도록 법리적으로 합리적인 절차를 마련하는 것이다.

      • 生命工學에 관한 憲法學的 考察

        김명수 弘益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773

        1997년, 영국의 로슬린 연구소에서 체세포 복제기술로 태어난 '돌리'가 몰고 온 생명공학기술은, 지금까지의 과학적 상식을 뒤집어 놓으면서 인간개체복제까지 가능할 것이라는 예측을 일으켰다. 이른바 '판도라의 상자'라고 일컬어지는 인간복제에 대해서는 모든 국��반대하고 있지만, 유전자치료나 인간배아연구에 대해서는 각 나라의 이해관계에 따라 그 입법이 다른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현실이 이 논문의 계기가 되었다. 난치병 치료를 위해서 인간배아를 연구해야 한다는 견해는 현법 제10조에서 보장하고 있는 행복추구권을 근거로 하여 주장되고 있다. 즉, 배아줄기세포의 연구로 인하여 고통에 신음하고 있는 인류를 위해 의약품을 개발할 수 있으므로 이것이야말로 진정한 행복추구권의 보장이라고 보는 것이다. 하지만, 반대 논거 역시 우리 헌법 제10조에서 규정하고 있는 인간의 존엄성을 그 근거로 한다. 즉, 생명은 어느 것과도 비교형량 할 수 없는 것이고, 배아 역시 생명체 혹은 이와 유사한 것으로 볼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인간배아에 대한 연구는 인간의 존엄성의 근본 을 침해한다는 결론에 이르는 것이다. 이와 같이 헌법 제10조를 각기 다른 입장에서 해석하다보니, 자연히 논쟁은 끊이지가 않는다. 그 동안 생명공학에 대한 논쟁은 주로 과학계와 윤리계(혹은 철학계)의 과제로 여겨졌었고, 법적 논의는 미흡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헌법 규정에 대한 해석은 당연히 법조계에서 행하여야 마땅하며, 특히 헌법의 장에서 공론화 되어야 할 것이다. 이제 생명공학에 대한 법의 개입이 필요한 시점이 되었다는 것에 이론의 여지가 없다. 이 논문에서는 인공임신중절, 안락사, 인간배아연구, 유전자치료 등 지금껏 진행 되어 왔거나 진행중인 생명공학에 관한 인간의 존엄에 대한 논쟁을 두루 살펴보면서 위 논의의 답을 찾고자 한다. 헌법 제10조는 기본적으로, 인간의 존엄성 보장 과 행복추구권을 보장하고 있다. 또한 본 조는 이에 대한 국가의 책무를 규정하고 있는 것이며, 이는 현재 일어나고 있는 일련의 생명공학의 진보가 단순히 과학적 문제일 수 없다는 것을 말해주논 것이다. 요컨대, 이미 생명공학은 전 학문적 논의의 대상이 되었으며, 법학이 단순히 과학의 족쇄로서의 기능만을 할 때는 지났다. 이에, '인간의 존엄성'이 과연 절대적인 것인가에 대한 근본적인 해석이 우선적으로 내려져야 할 것이며, 이 테두리 안에서 인간배아연구의 가능성이 열리게 될 것이다. 특히, 인공임신중절에 대해서는 종전의 논의에서 나아가 여성의 건강권적인 측면을 고려하였으며, 인간배아연구의 찬·반 주장보다는 인간의 존업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생명공학연구는 헌법상 기본권의 본질적인 부분을 침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한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은 이론의 여지가 없다. 결국, 이 논문에서 중점 을 두어야 할 것은, 구체적으로 그 범위를 설정해 주는 작업일 것이다. 이를 위해 관련입법을 비교법적으로 살펴보고, 우리 법제의 나아갈 방향에 대해 고찰을 해 봄으로써 이 논문을 정리하고자 한다. In 1997, The Biotechnology that came from Dolly born by a somatic copy in roslin institute in london, give us the thinking that we can make a clon. about human clon, so called "the box of pandora", are banned from all of states. but, in substantial, each country has different direction of legalization about study of human embryo. The basis of the positive argument -we should permit embryo to study for healing an incurable disease- are supported the constitution, article 10, named The Right to Persue Happiness. what they mean by that is, it'S real security of the right to persue happiness because we can make medical supplies and provide it for the world in pain as studying embryo-stem-cell. On the other side, the negative opinion is also based on the constitution, article 10. there can be no comparison between life and life. and the embryo resembles that life in worth. and the study of human embryo is infringe the human dignity. As you see, the argument doesn't stop because each group is interpreting article 10, in constitution, with their own point of view, It had been told, mainly, the discussion about bi0technology is the part of scientific and ethic. however, the interpret of article 10 is the part of public law, for granted, Now it's the time to take Dart with legal intervention in. In this study, we want to find an answer for this discussion through looking a death oenalty, an artificial abortion, a euthanasia, a study of human embryo, a gene treatment etc. The rules that guarantee of human dignity and the right to persue happiness provided in the constitution article 10, and it is the duty of the state. For the first, we might have to judge that Human Dignity is really absolute, and then we get thinking of the positive possibility in the study of human embryo. On an artificial abortion, I concern about the right of woman health more than old discussion, and this research based on the Human Dignity more than approval or opposite about the biotechnology. Finally, the biotechno]ogy has to be studied limitedly in constitution which not to infringe the basic human right.

      • 배아연구에 관한 법·윤리적 고찰

        김향미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742

        최근 생명공학기술은 눈부시게 발전해 왔으며, 그중에서 생식과 관련된 인공수태시술을 통해서 체외에서 착상전의 배아를 확인하고 다루게 됨에 따라 복잡한 문제를 야기하게 되었다. 즉 임신을 시도하고 남은 잔여배아문제, 배아의 이용 및 폐기 문제와 더불어 최근 체세포복제술 통해서 인간의 체세포복제제배아를 만들어서 이로부터 줄기세포를 추출하여 불치의 병에 대한 치료에 관한 연구 등 배아를 이용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이 되고 있다. 체세포복제배아의 연구를 포함하는 배아의 연구는 인간복제에 대한 가능성으로 이어 질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으며 이로 인해 인류에게 커다란 위협을 주고 있는 실정이다. 배아의 연구와 관련되는 제반의 문제와 그의 해결책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그에 앞서서 과연 배아는 도덕적으로, 법적으로 어떠한 지위를 점하고 있는지를 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논의를 통해서 착상전배아의 지위는 유일한 존재이며 인간으로의 잠재적인 발달가능성을 가진 존재이이지만 배아는 생명의 연속성과 잠재성을 가진 존재로서, 완전한 인간은 아니며, 발달과정 중에 있는 하나의 존재이다. 생존에 관련되는 부분에 있어서는 기본권적인 침범할 수 없는 권리를 가지는 존재로서 인정하여야 할 것이다. 배아를 생성하는 목적은 임신에 성공하기 위함이므로, 임신을 유도함으로써 생명에 대한 존중과 생명권보호를 위한 기회부여가 반드시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배아의 생성 및 존재 이유에 대한 목적을 이루고 난 이후에 그의 이용에 대해서는 다음단계의 과정으로써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 생명과학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세계 각국은 생명공학관련 연구 특히 줄기세포연구에 집중적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시점에 있다. 공리주의적인 사고로부터 출발해서 이르게 된 발전과 더불어서 이로부터의 혜택을 받는 것으로부터 배제된 사회구성원의 가치 또한 보호할 필요가 있다. 근본적으로 문제점들에 대해서는 인식을 하면서 우려되는 문제점의 발생을 최소한으로 하기 위해서는 사회 내에서 여러 계층의 구성원들의 의사소통의 장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서 도출되는 합의가 필요하다. 실질적인 업무에 대한 관리를 하는 기구와는 별도로 합의체를 통해 사회내의 생명윤리와 관련하여 다양한 의견을 조정하고 윤리 및 안전에 관한 문제에 대하여 합의점을 찾고 이를 정책에 반영이 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협의체를 통해 얻어지는 의견을 바탕으로 해서 만들어지는 법의 운용은 이를 철저히 관리・감독할 수 있는 관리체계 또는 구체적인 기구를 두어서 운영을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생명과 관련되는 문제는 모든 관련분야의 학제간, 다학제적, 통합학문적 연구를 통해 함께 논의하고 해결 방법을 모색해야 할 분야이다. 배아는 하나의 생명으로서 태어날 권리를 비롯한 모든 권리가 지켜지는 것 등 배아나 하나의 인간의 생명을 지키는 것은 중요하고 가치가 있음은 당연하다. 그러나 하나의 인간의 생명의 차원을 넘어서 생명이라는 관점은 사회적, 인류적 생명으로 바라보아야 하며, 사회적 생명으로서 보호되어야 할 통합적인 생명관의 확립이 필요할 것이다 In the recent time, Biotechnology has progressed remarkably. It causes the marked improvement of human life style with the rapid changes of society. The remarkable progress of biotechnology directly connected with human birth, life and death contributes to a lot of benefits to people, medically and economically, and human well-being. But it happens occasionally the burden to society due to the risk or abuse of biotechnology, and there are many concerns that one life can be treated like the objectives used for another life or publics. So the need in argument for the regulation is raised. It is time to prepare the process for preventing the impairment of the dignity and the value of human. Embryos can be managed in vitro with Artificial Reproductive Technology(ART) among the field of biotechnology. It cause the many kinds of social problems. The remained embryos after attempting pregnancy is usually stored by cryopreservation. In the future, it can be attempted to be used for another pregnancy. After a definite period of time, if the embryo's parents do not want to be pregnant, it would be discarded. Many people naturally thought that the remained embryos destined to be discarded could be used at the researches. So there have been a lot of ethical debates to permit using the embryos to the researches. In Korea, the process of law was prepared for using the remaining embryos for the researches with the limited condition. Recently through human somatic cell transfer, somatic cell transfer embryos were made. The stem cell which is used to the research for incurable disease is extracted from the somatic cell transfer embryos. As being able to manage preimplantation embryos in vitro by the development of ART, the problem to decide to the period to be prevented from fetus which had been prevented by the previous law changes to the deliberate and complex problem. The problems are what is human life, when starts human life, and which the cloned embryos should be treated as human, or not. To find the solution to the problem of the researches using embryos, it is necessary to decide the position which the embryo has morally and legally. As the position of embryo, the degree and limitation for the prevention of embryo will be decided and should be prevented. The embryo is not a complete human being but a developing and potential human being. I think that the embryo is not a human being but must be regarded as a human being at the level of the right. The constitutional fundamental right to live of embryo must be kept. As the human being is prevented because of human itself, embryo must be prevented as the same reason. But the embryo has the limitation that the opportunity to be born depends on the other people. Because the purpose to make embryos is to achieve pregnancy, embryo must be given the prior opportunity to be born, and life dignity and the right to live must be prevented. First of all, after gaining for the purpose of pregnancy, the next step to use the embryos for researches could be considered if it would be accept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mparison with many other's benefits in the society. The law and regulations must be prepared for protecting the embryo's opportunity to be born as the potential human being. The important problem of using the embryo for research is that the embryos must be destroyed before. This is ethical and legal problem. The global nations have proceeded actively the stem cell research, especially with embryonal stem cell including embryos from somatic cell transfer. It can not be prevented or opposed because of the many benefits for the economical growth and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With the development from the thinking of utilitarianism, it must be preserved and it should be discussed at the point of the value of the excluded social member's rights. The basic problem must be recognized and the occurrence of the concerning problem must be minimized. The law prepared for the regulation is not enough because of the rapid changes of biotechnology. For this, it should be necessary to prepare the field for the active communication among social members. It will be achieved possibly from the consensus by the communication. Actually the community in society need to be composed. It can be maintained and progressed by open mind and open space of many kinds of social members at the same level and conditions with the active communication. Besides this, it is necessary to prepare for the open discussion and debate with interdisciplinary and multidisciplinary approaches. As a result, the research using embryos can be permitted minimally at a definite condition in the comparison of benefits among the society. But it must be controlled strictly by laws and regulations for the protection of embryo. The most important methods for keeping the constant and fare society including the embryo protection is the preparation for the community to achieve the consensus by the active communication with society members. And the practical regulating system needs to be established for strictly controlling and managing the ART program and the researches using embryos.

      • 안락사의 헌법적 근거와 한계 : 죽음에 관한 자기결정권을 중심으로

        이상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738

        오늘날 말기 환자가 자신의 존엄한 죽음을 요구하는 상황이 일상화되면서, 금기의 영역에 머물러 있던 이른바 ‘죽을 권리’에 대한 근본적인 재검토가 요구되기에 이르렀다. 죽음에 관한 자기결정권이 헌법상의 기본권으로 인정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이러한 권리가 헌법 제10조 제1문 전단에서 규정한 인간존엄의 실질적 의미에 부합하는지에 여부에 달려있다. 개인의 자기생명에 대한 처분가능성을 원천적으로 봉쇄함으로써 인간의 존엄이 실현될 수 있다고 여기는 것은, 보편성을 가지고 있다고 보기 어려운 종교적·윤리적 가치관의 강제로 판단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그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자신의 죽음에 관한 선택의 자율성이 죽음의 영역이라 하여 원칙적으로 달리 해석되어야 할 이유는 없으며, 생명에 대한 권리이든 죽음에 대한 권리이든 인간의 존엄을 반증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다만, 생명이 가지는 유일회성이나 이러한 결정이 미치는 사회적 파급효과 등을 고려한다면 여타의 기본권에 비해 보다 엄격한 요건 하에서 그 행사가 가능할 것이다. 이를 안락사와 관련지어 생각해 볼 때, 자발적 안락사의 경우 환자 자신의 죽음에 관한 자기결정권 실현의 측면에서 그 헌법적 정당성이 검증될 수 있다. 반면, 비자발적 안락사의 경우 환자의 죽음에 대한 결정이 환자 스스로에 의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점에서, 이는 정당화될 수 없는 ‘살인’의 범주에 속한다고 판단된다.

      • 의사결정 취약자의 생명에 대한 자기결정권의 법적 연구 : '연명의료결정법'을 중심으로

        최혜영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727

        Everyone dies in the end. Death generally can be classified into 2 types: natural death caused by the termination of biological function, such as disease or aging, and unnatural death involving the intervention of humans in the period of death, the termination of biological function. Unnatural death, as well, can be subdivided into the unintentional death: an accident, a man-made catastrophe, or natural disaster and the intentional death: suicide, homicide, and the termination of life-sustaining treatment. This dissertation investigates the intended death of unnatural death, specifically, the termination of life-sustaining treatment, protecting the right to end the life with dignity, for terminal patients who are in end-of-life process or unrecoverable, which, as well, can be distinct from suicide that ends one’s own life, or from a homicide that violates the benefits and protections of the law which belongs to the others. This paper especially investigated the problems about the imperfection of legislation and the inadequacy of the Life-Sustaining Treatment Determination Act for those who are vulnerable in decision-making, such as the old, the minor, and the patient without family or friends. It is inevitable to have a mistake and an error and is inadequate in the beginning. ‘The Act on decisions on life-sustaining treatment for the patients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or in the end-of-life process’, the abbreviated name of Life-Sustaining Treatment Determination Act, triggered by the case of ‘grandmother Kim’ and ‘Boramae Hospital’ and legislated and implemented On February 4th, 2018, cannot be the exception for this. It is appreciative news for the terminal patients in the end-of-life process but continuing life-sustaining treatment. However, It also contains errors and mistakes as taking the first step of its journey. The purpose of this Act is to project value and dignity as human beings and to assure the best interest of patients with respect to self-determination by stopping meaningless life-sustaining treatment and having them end their lives. As it is directly associated with lives, one misjudged decision on the Act would cause an irreparable situation, which compels to treat the Act in the manner of protecting life. Therefore, the current mistakes and errors on the Act must be reviewed thoroughly and be reformed in terms of legislation and institution in a hurry. First, the dissertation, in chapter 2, explores grounded theories and constitutional basis of the right to life and self-determination for life, and the concept of determination to terminate, etc., life-sustaining treatment. Subsequently in chapter 3, it explores advanced researches and the precedent on ‘the interest of patient’ and ‘respect to autonomy’ covered in the purpose of legislation of Life-Sustaining Treatment Determination Act. In chapter 4, it concentrates on problems and alternatives on self-determination for life-sustaining treatment for the patients under vulnerability of decision-making, the right to life for the minor, and legislative inadequacy for the patients without family and friends who are on the blind spot of Life-Sustaining Treatment Determination Act and cannot be protected by upon its implementation. In chapter 5, the conclusion, it organizes the problems and the alternatives examined in chapter 4. Here are the main issues dealt with in this dissertation: 1. The right to life which is the fundamental object of the determination on life-sustaining treatment is the right to preserve the most precious value called ‘life’, the source of human beings, and the major premise of all humans safeguard for human rights. Life includes the most essential and fundamental value. The Constitutional Court recognized the right to life as a basic human right of human rights and had it stressed as the constitutional obligation for dignity and value that the nation must assure, although the right to life is not stipulated on the constitution. 2. Self-determination for the life and the body should be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right in the self-determination. Although various points of view exist regarding the constitutional basis for self-determination on life in the case of the halt of life-sustaining treatment, Article 10 and Protocol 1 Article 37 states the basis of it. The ways of exercise for self-determination are generally classified into the explicit intention and presumptive one. 3. It examines the concept of determination to terminate, etc., life-sustaining treatment, the scope of implementation and the patients for determination to terminate, etc., life-sustaining treatment, and the acknowledgment of the patients’ intention in the Life-Sustaining Treatment Determination Act. 4. This paper brings up the issues of the decision of life-sustaining treatment made by family who are conscious of social attention, of the decision made by a family who can prioritize family’s interest rather than patient’s best interest, and acknowledgment of the termination of life-sustaining treatment when the old weakened physically and mentally, but with ability to make decision declare one’s intention to terminate life-sustaining treatment under the absence of autonomy. 5. It is a clear infringement of basic human rights to leave one’s life to a decision made by someone else for the minors who own the ability to perceive and the cognoscitive power. The age criteria for Life-Sustaining Treatment Plans and Advance Statements on Life-Sustaining Treatment are required to be amended. As well, It must be guaranteed for the minors to have self-determination for life. 6. The patients without family and friends are considered to be in a blind spot when life-sustaining treatment implemented. The current Life-Sustaining Treatment Determination Act grants a decision by others when it is not possible to confirm the patient’s, but not for the patient without family and friends. This inadequacy of legislation should be discussed urgently. Furthermore, It is required to examine alternatives to reflect an acknowledgment of the termination of life-sustaining treatment if objective material that helps guess the intention of the patient. Subject : right to life, self-determination, autonomy, best interest, the terminate of life-sustaining treatment, the vulnerable persons in decision-making, the old, the minor, the patient without family and friends 인간은 누구나 죽음을 맞이한다. 죽음의 유형에는 일반적으로 질병·노화 등으로 생물학적 기능이 정지하여 자연적으로 죽음에 이르는 ‘자연사’와 생물학적 기능의 정지에 따른 죽음의 시기에 인간이 개입하는 '비자연사'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비자연사는 사고, 재난, 재해 등 의도되지 않은 비의도적 죽음과 자살, 타살, 연명의료중단 등 의도적 죽음으로 다시 세분해 볼 수 있다. 본 논문의 연구 범위는 비자연사의 의도된 죽음의 영역 중 스스로의 생명을 종료하는 자살이나 타인의 법익을 침해하는 타살과 구별되는 말기 또는 임종과정에 진입한 회생불가능한 환자가 존엄하게 삶을 마감하기를 원하는 연명의료중단이다. 특히 의사결정에 있어서 취약한 계층에 있는 노인, 미성년자, 무연고 환자의 연명의료에 대한 자기결정권의 행사에 대해 연명의료결정법 상의 미흡한 부분과 입법의 불비에 대한 문제들을 연구하였다. 무엇이든 처음 시작하는 일은 미흡하며 오류와 실수가 존재할 수 밖에 없다. ‘보라매병원 사건’과 ‘김할머니 사건’이 도화선이 되어 2018년 2월 4일에 제정·시행된 「호스피스·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 (약칭 : 연명의료결정법) 」 도 예외일 수는 없다. 회복이 불가능한 임종과정에 있으면서 무의미한 연명의료만 계속되고 있는 환자에게 환영할만한 소식이나, 첫발을 내디딘 만큼 오류나 문제들 또한 내재해 있다. 동법은 환자에게 무의미한 연명의료를 중단함으로써 인간으로서 존엄하게 삶을 마감할 수 있도록 제도적 장치의 요청에 의해 환자의 최선의 이익을 보장하고 자기결정을 존중하여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제정되었다. 생명과 직결되는 생명을 다루는 법으로, 한 번의 잘못된 결정으로 돌이킬 수 없는 상황을 야기하기 때문에 생명을 보호하고자 하는 태도로 접근하여야 하며, 오류와 문제점들에 대해 진지한 검토 및 법적·제도적 재정비가 시급하다고 본다. 본 논문은 먼저 제2장에서 생명권과 생명의 자기결정권의 기초 이론 및 헌법상의 근거와, 연명의료중단등결정의 개념 등을 살펴보고, 이어 제3장에서는 연명의료결정법의 입법취지와 제정 목적에서 다루고 있는 ‘환자의 이익’과 ‘자율성 존중’에 대해 선행연구의 견해와 판례의 태도를 살펴보았으며, 제4장에서는 의사결정이 취약한 상태에 놓여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에 대한 자기결정권 및 미성년자의 생명권, 그리고 연명의료중단 이행 시 연명의료결정법상 보호받을 수 없는 연명의료결정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무연고자의 입법 미비에 대한 문제와 대안에 중점을 두었다. 마지막 제5장 결론에서는 제4장에서 살펴본 문제와 대안들을 정리하였다. 본 논문에서 다룬 주요 쟁점은 다음과 같다. 1. 연명의료중단의 객체가 되는 생명권은 ‘생명’이라는 최고의 가치를 보장하는 권리로서 인간존재의 근원이며, 모든 인권보장의 대전제가 된다. 생명은 가장 본질적이고 핵심적인 가치를 담고 있다. 생명권에 대해 헌법상 명문의 규정은 없으나 헌법재판소는 기본권 중의 기본권으로 인정하면서 국가가 존엄과 가치를 보장해야 하는 헌법적 의무임을 강조하였다. 2. 자기결정권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생명과 신체에 대한 자기결정권이라고 할 수 있다. 연명의료중단에서 생명에 대한 자기결정권의 헌법상 근거에 대해서는 여러 견해들이 있으나 헌법 제10조 및 제37조 제1항에서 그 근거를 찾아볼 수 있다고 본다. 자기결정권 행사방식에는 일반적으로 명시적 의사와 추정적 의사로 분류된다. 3. 연명의료결정법에서의 연명의료중단등결정의 개념과 이행 대상 환자 및 이행 범위, 환자의 의사 확인을 살펴보았다. 4. 의사결정능력은 있으나 정신적·육체적으로 허약해진 노인이 자율성이 결여된 상태에서 연명의료중단 결정의 의사표시를 하였을 경우 연명의료중단의 인정 여부, 환자의 최선의 이익보다는 가족의 이익이 우선 고려될 수 있는 가족의 의사결정, 사회적 시선을 의식한 가족의 무리한 연명의료결정에 대한 쟁점을 다루었다. 5. 인식능력과 동의능력이 있음에도 19세로 획일적 연령의 경계를 두어 미성년자를 구별하여 자신의 생명을 타인의 결정에 맡기는 것은 명백한 기본권 침해다. 연명의료계획서와 사전연명의료의향서의 작성 연령 기준의 조정이 필요하며, 미성년자도 생명에 대한 자기결정권이 최대한 보장되어야 한다. 6. 연명의료중단 이행 시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환자는 바로 무연고 환자다. 동법은 환자의 의사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 예외적으로 타인결정을 인정하고 있으나, 무연고 환자의 경우에는 타인결정도 불가능한 입법의 불비로 가장 시급하게 논의되어야 할 사안이다. 또한 환자 의사를 추정할 수 있는 객관적인 자료들이 존재한다면 연명의료중단 여부에 반영할 수 있는 방안의 검토도 필요하다. 주제어 : 생명권, 자기결정권, 자율성, 최선의 이익, 연명의료중단, 의사결정 취약자, 노인, 미성년자, 무연고자

      • 피터 싱어의 공리주의적 인간관에 대한 기독교적 입장에서의 비판 : 낙태문제(Abortion)를 중심으로

        차영도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724

        낙태에 대한 싱어의 입장은 유용성의 원리에 따라 허용여부를 결정하는 것이다. 싱어는 어떤 행위에서 최대유용성을 얻게 되면 그 행위를 옳은 것으로 여긴다. 문제는 그것이 어떤 목적 달성에 유용한가? 하는 점이다. 싱어의 공리주의적 인간관에서는 인간의 지위를 동물과 다르게 놓지 않는다. 싱어는 자의식, 지능, 능력 등의 정도에 따라 비록 동물일지라도 인간의 삶보다 더 가치가 있을 수 있다고 말한다. 그래서 비록 인간이라 하더라도 심한 지적장애를 가진 아이보다는 지능이 높은 동물이 훨씬 높은 자의식 능력을 갖고 있다고 본다. 그런데 이 같이 싱어의 생각처럼 모든 존재를 평등하게 위치시키면, 전통적으로 존중되어 온 인간 고유의 존엄성은 완전히 상실돼 버리고 말게 된다. 싱어의 세계관에서는 인간이 인간이라는 이유 때문만으로 생명에 대한 신성불가침의 권리를 갖지 않는다. 그보다는 존재하는 모든 것은 그 나름의 가치를 가지므로, 모든 존재성은 동등한 차원에서 지위를 누릴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되고 있을 뿐이다. 이런 논리를 따라 싱어는 “이익 평등고려의 원칙”을 제시한다. 이 원리는 인간뿐만 아니라 모든 동물에까지 평등의 원칙을 적용해야 한다는 새로운 윤리적 기준이다. 그러나 기독교적 관점에서는 다른 차원에서 인간생명의 절대성과 존엄성을 강조한다. 모든 동물들이 나름의 가치를 지니는 것은 물론이지만, 인간은 여타의 동물들과 구별되는 특별한 지위를 지닌다. 기독교적 입장에서 보면 인간은 신의 형상을 따라 창조되었다. 그런 까닭에 인간에게는 다른 동물들에게는 허용되지 않는 인격체로서의 존엄성의 가치가 부여되어 있으며, 그에 따라 불가침의 권리가 주어져 있다. 따라서 인간을 여타의 동물과 동등한 위치에 놓고 생각할 수는 없다. 기독교에서는 인간생명은 바로 수태의 순간부터 시작하는 것으로 본다. 따라서 태아 역시 인간고유의 생명권을 향유한다. 그런데 인간의 생명에 대한 권리가 어떠한 경우에도 무고하게 침해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은 도덕적 상식에 속하는 일이다. 그렇다 할 때, 태아 역시도 생명권을 보장받아야 하는 것은 당연한 귀결이다. 현대사회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낙태문제는 태아의 생명권에 대한 침탈 여부의 논쟁을 비켜갈 수 없다. 낙태는 태아의 생명을 인간이 작위적으로 훼손시키는 행위이다. 이 경우 대두되는 문제가 태아의 존재론적 위상과 태아의 권리에 대한 도덕적 입장들에서 나타나는 견해의 대립이다. 싱어는 다양한 사회윤리적 문제들을 전반적으로 현실적인 유용성 창출과 맞물린 실천의 문제로 보고 있는 바, 낙태문제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낙태문제에 대한 이와 같은 싱어의 접근방식은 인간생명에 대한 경시풍조를 야기할 수밖에 없게 하는데, 이는 결과적으로 인간 존엄성에 대한 존중을 바탕으로 하는 전통적 윤리의 토대를 근본에서부터 흔드는 현상을 초래하게 만든다. 이와 같은 상황 아래서 인간생명존중에 대한 교훈을 담고 있는 종교적 이념은 결코 가벼이 여겨서는 안 될 중요한 규범이 될 수 있다. 태아의 존재론적 위상을 인간 고유의 존엄성을 지닌 인격체로 보고 있는 기독교적 관점에서는 태아의 생명을 빼앗는 낙태는 분명한 살인행위이다. 그러나 존엄성의 가치를 지니고 있는 인간생명을 무고하게 파괴할 수 있는 권한은 누구에게도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용성의 원리에 입각하여 태아의 생명에 대한 훼손을 허용할 수 있다고 하는 것은 비판의 여지가 많은 공리주의적 인간관에서 출발한 정당하지 못한 생각이다. 제한적이기는 하더라도, 사회적, 의학적, 우생학적 근거에서 낙태를 합법화하여 태아의 생명권의 박탈을 허용하는 것 역시도 마찬가지 맥락에서 결코 옳은 일이라 할 수 없다. 기독교윤리는 성경의 내용에 기초하여 개개 인간들이 성찰하고 사회적 관계망을 구축함으로써 현실사회에서 정당성을 확보할 것을 요구한다. 대체로 일반윤리에 있어서는 당위와 존재, 동기와 결과의 대립에 의해 그 특징이 드러나고 있다. 그러나 기독교윤리는 존재하는 것의 가치가 신의 세계질서에서 이탈한 바깥이 아니라, 오직 신 안에서 현실성을 갖는다고 함으로써 윤리의 토대를 다르게 확보한다. 모든 인간은 신 안에서 현존하는 존재로서 동일한 가치를 가진다. 그런가 하면 모든 인간은 신의 영역주권 아래 놓여 있다. 태아 역시도 신의 창조질서 안에서 수태되는 순간부터 인격적 권리를 지니는 인간존재인 까닭에 신의 영역주권 아래 놓인 것으로는 마찬가지이다. 그렇다 할 때, 태아의 생명권을 사람의 손으로 박탈하는 낙태행위는 신의 영역주권을 침해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기독교적 관점에서는 낙태는 결코 허용되어서는 안 되는 죄악으로 주장된다. 기독교적 시각에서 볼 때, 인간은 신의 형상을 입은 고귀한 존재이다. 따라서 태아를 포함하여 인간의 생명은 어떠한 경우에도 무고하게 침해되어서는 안 된다. 싱어는 이를 부정하고, 오로지 이익의 창출을 도모하는 유용성의 원리에 입각하여 낙태를 옹호하고 있는 바, 이 같은 공리주의적 인간관은 설득력을 지닌 것으로 생각할 수가 없다. 주요어 : 낙태, 생명의 신성성, 태아, 생명권, 기독교윤리, 공리주의, 공리주의적 인간관, 유용성의 원리 Peter Singer's views on abortion is that the decision to grant abortion should be based on the principle of utilitarian calculation. Singer considers that an action is right when it achieves the greatest usefulness. The focus is on its usefulness in achieving a particular goal. In Singer's utilitarian view of human nature, there is little difference in the status of humans and animals. Even though it is just an animal, depending on its level of self-consciousness, intelligence, and ability, its life may have a greater value than a human's life according to Singer. An animal with high intelligence is seen to have a higher self-consciousness ability compared to a human child with severe mental disability. But if all entities are equalized like Singer's thoughts, the traditionally respected unique dignity of human life becomes completely lost. In Singer's view of the world, just because someone is human does not give it a right of sacrosanct on life. Instead, he asserts that all existing entities should enjoy equal level of status since they all have some sort of value. Through this logic, Singer proposes "the principle of equal consideration of interests". This principle is a new ethical standard stating that equality should be applied across not only humans but also all animals as well. But from a Christianity perspective, absoluteness and dignity of human life are emphasized at a different level. Although all animals hold some kind of value, humans have a special status which be distinguished from other animals. From a Christian standpoint, humans have been created according to the image of God. Therefore, humans are granted dignity value as a person not allowed to other animals and given sacred rights accordingly. So humans cannot be thought of as holding an equal position as other animals. Christianity views that human life starts at the moment of conception. Therefore, even a human fetus possesses human's unique right to life. So it is considered as ethical common sense to protect human life from any violation in all cases. In that case, it naturally follows that human fetus should be guaranteed the right to life. The abortion problem which has become an issue in modern society cannot avoid the controversy of whether the rights to life by the fetus are violated. Abortion is an intentional act of destroying the life of a fetus by humans. The problem that emerges is the conflict between the status of existence by the fetus and views on ethics regarding the rights of the fetus. Singers views various social and ethical problems as practical issues in connected to the creation of usefulness and views abortion in the same light. Such approach by Singer regarding abortion downplay the importance of human life and as a result, it shakes the very foundation of traditional ethics that is based around respecting the dignity of human life. In such situation, religious ideology that contain lessons on respecting human life can be an important standard which cannot be taken lightly. From a Christianity perspective which views the status of existence by the fetus as a person which holds human's unique dignity of life, abortion is seen as act of murder against the life of a fetus. But no one has the right to destroy human life which has the value of dignity. Thus the assertion that states it is acceptable to destroy the life of a fetus according to utilitarian principles stemming from the disputable utilitarian view of human nature is unreasonable. In the same context, limited legalization of abortion through social, medical, and eugenic basis is wrong as well. Christian ethics asks that justness be secured in real society through self-examination of individuals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Bible and developing a social relational network. Generally, general ethics have the characteristics of confrontation between justification and existence and between motive and result. But Christian ethics secure ethical foundation in a different way by stating that the value of existence is realized from within the God and not outside the world order set by God. All humans exist within God and have equal value. In addition, all humans lie in the sovereign sphere of God. Since fetus is also human life with personal rights and upon its conception by the Divine order of Creation, it belongs to the sovereign sphere of God. Therefore, the act of humans in destroying fetus through abortion is violating the sovereign sphere of God. So from a Christianity perspective, abortion is considered a sin that cannot be allowed under any circumstances. From a Christianity standpoint, humans are noble entities shaped in the image of God. Therefore, all human life including fetuses cannot be violated in any case. Singer contradicts this by supporting abortion based on utilitarian principle which only seeks the creation of profit and such utilitarian view of human nature has very little persuasive force on this matter. Key words: Abortion, Sanctity of life, fetus, right to life, christian ethics, utilitarianism, utilitarian view of human nature, utilitarian princip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