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Involvement of calmodulin in voltage dependent L-type Ca^(2+) channel in guinea-pog intestinal smooth muscle : 기니 픽 장관평활근에서 막전압의존성 L-type 칼슘전류에 대한 칼모듈린의 영향 : 최혜영

        최혜영 관동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칼모듈린은 다수의 표적효소의 활성을 Ca^(2+) 의존성으로 조절하지만 최근의 연구에서 칼모듈린은 Ca^(2+) 비의존성으로 일부 세포의 생리기능을 조절하는 사실이 알려졌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칼모듈린 분자가 막전압의존성 칼슘이온통로의 기능을 조절하는데 관여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해면으로부터 추출한 칼모듈린 억제제인 stellettamide-A (ST-A)을 사용하여 칼모듈린의 작용기전을 알아보았다. 기존에 알려진 칼모듈린억제제와는 달리, ST-A는 막전압의존성 칼슘이온전류 (I_(Ba))를 농도의존성 및 시간경과-의존성으로 억제하였다. 칼모듈린 (1 μM)을 patch pipette 내부에 첨가하면 ST-A에 의해 나타나는 I_(Ba)의 억제현상이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Patch pipette 내부의 EGTA농도를 0.05 mM로부터 10 mM로 바꾸어 주면, ST-A에 의한 억제효과는 전혀 영향울 받지않았다. CaM-II의 억제제인 KN-62 (1 μM) 존재하에서도 ST-A에 의한 I_(Ba)의 억제효과는 전혀 영향을 받지 않았다. ST-A는 farnesol moiety를 갖고 있으며, farnesol도 막전압의존성 칼슘이온전류를 억제시키는 알려져 있다. ST-A에 의한 I_(Ba)의 억제효과와 비교하였을 때, farnesol에 의한 I_(Ba)의 억제효과는 patch pipette 내부로 칼모듈린을 첨가하였을 때에도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았다. 이들 결과를 종합하면, 칼모듈린은 L-type 칼슘이온통로의 α1C subunit에 결합하여 세포막탈분극 자극에 의해 시작되는 칼슘이온통로의 활성을 정상적으로 유지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Calmodulin (CaM) regulates various target enzymes in a Ca^(2+) dependent manner, but recent findings suggest that CaM also regulates some cell functions independently of the presence of Ca^(2+). I here attempted to analyze whether CaM molecule regulates voltage dependent Ca^(2+) channel as constitutively necessary molecule in single guinea-pig ileal smooth muscle cells using a novel, marine sponge derived CaM inhibitor, stellettamide-A (ST-A). ST-A inhibited I_(Ba) in a concentration-and time- dependent manner. Addition of CaM (1 μM) to the patch pipette significantly reversed the ST-A-induced inhibition of I_(Ba) and also delayed the time course of ST-A-induced inhibition. Increasing the EGTA concentration in the pipette solution form 0.05 mM to 10 mM did not modify the inhibitory effect of ST-A. Incubation with KN-62 (1 μM), a CaM kinaseⅡ inhibitor, had little effect on I_(Ba) and did not modify the inhibitory action of ST-A. ST-A contains farnesol (FNS) moiety and FNS has been reported to inhibit L-type Ca^(2+) channels. In contract to the effect of ST-A, the inhibition of I_(Ba) by FNS was not reversed by CaM. These results suggest that CaM constitutively binds to α_(1C) subunit of the L-type Ca^(2+) channel as a construction molecule, and that CaM is involved to keep normal channel activity elicited by membrane depolarization.

      • 저산소성-허혈성 뇌증의 확산강조영상 소견

        최혜영 경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diffusion-weighted imaging (DWI) characteristics of hypoxic-ischemic encephalopathy (HIE) and the role of DWI for the diagnosis of HIE. Materials and Methods: Six patients with HIEunderwent MRI including DWI. MR examinations were performed within 4 - 32 days (mean, 11.8 days) after hypoxic brain insult. The distribution and signal intensity of the lesions were assessed. Conspicuity of the lesions on DWI was also compared with those on T2 and FLAIR images. Results: In all patients, symmetric hyperintense lesions were demonstrated in the bilateral basal ganglia on T2, FLAIR, and DWI. On ADC map image, the lesions showed hypointensity in four of six patients and isointensity in other two patients. The lesion conspicuity was better on DWI than on T2 and FLAIR images in four of six patients and similar in other two patients. For the involvement of the cortex and subcortical white matter, in five of six patients, bilateral symmetric hyperintense lesions were seen on T2, FLAIR, and DWI. The lesion conspicuity was better on DWI than on T2 and FLAIR images in three of them and similar in other two patients. On ADC map image, the lesions showed hypointensity in three of five patients and isointensity in other two patients. For the involvement of the deep cerebral white matter, T2, FLAIR, and DWI showed bilateral symmetric hyperintense lesions in four of six patients. Among them, the lesion conspicuity was better on DWI than on T2 and FLAIR images in only one patient Conclusion: HIE is characterized by symmetric hyperintense lesions in the bilateral basal ganglia, cerebral cortex, and white matter on DWI and the lesions are more conspicuously demonstrated on DWI than on T2 and FLAIR images.

      • 초등학생의 흡연지식·흡연태도와 흡연행동에 관한 연구

        최혜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전 세계적으로 흡연으로 인한 건강 피해가 심각한 가운데 더욱 문제가 되고있는 것은 흡연을 시작하는 연령이 계속 연소화되고 있으며 초등학생의 흡연률 및 흡연경험률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렇게 어린 나이에 흡연을 시작하게 되면 세포의 미성숙과 장기간의 니코틴 중독이 발생하게되어 그 건강 피해는 더욱 더 심각해 지게 된다. 따라서 미국은 이미 초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흡연에 관한 다양하고 체계적인 많은 연구를 진행해 왔으며 CDC는 초등학생의 흡연지식과 태도를 주요 개념으로 한 흡연예방교육 프로그램 시안인 Guidlines for School Health Program to Prevent Tobacco Use and Addiction(CDC 1994)을 제시함으로써 이를 토대로 한 중재 및 결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 나라의 경우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흡연에 관한 연구가 많지 않으며 더우기 흡연예방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 중 흡연지식, 태도 및 행동에 관한 구체적이고도 신뢰할 수 있는 자료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에게 바람직한 건강실천행위 및 기술을 고취시키기 위한 흡연예방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전 단계로서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흡연에 대한 지식과 태도 및 흡연행동을 조사하고 이들의 상관관계와 인과관계를 밝히고자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초등학교 3개교에 재학중인 6학년학생으로 설문지 응답에 동의한 학생 중 임의추출에 의해 605명을 선정하였으며 본 연구자가 학교를 방문하여 학생들에게 직접 목적을 설명하거나 담임선생님께서 학생들에게 설명을 한 후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조사 방법에 따라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의 도구는 총 66 문항으로 사회 인구학적 특성을 묻는 10 문항과 흡연 환경적 상황을 묻는 4 문항, 흡연에 대한 지식을 묻는 20 문항, 흡연에 대한태도를 묻는 20 문항, 흡연행동을 묻는 12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초등학생의 흡연지식과 태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WHO (1982)의 흡연에 대한 조사 방법회의에서 발간된 Guidelines for the content of tabacco smoking surveys ofthe general population의 설문지를 박영규, 강윤주(1996)가 수정·보완한 도구를 여러 전문가들에게 물어 내용타당도를 측정하고 예비조사를 함으로써 도구를 수정, 보완하였으며 본 연구에서의 Cronbach's Alpha는 흡연지식 측정도구가 .8093, 흡연태도 측정도구는 .8144로 나타났다. 자료분석방법은 빈도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와 DMRT(Duncan Multiple Range Test),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Pearson 상관계수, 로지스틱 회귀분석, 경로분석을 SAS와 Lisrel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학생의 흡연행동을 살펴보면, 현재흡연자는 4.15%(남자 5.07%, 여자3.28%), 흡연경험자는 18.23%(남자 23.65%, 여자 14.10%)로 나타났다. 2. 흡연지식과 흡연경험 여부와의 관계를 살펴보면, 흡연경험군(11.10±3.66점)이 비흡연경험군(12.17±3.95점)보다 흡연지식 수준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나(t=3.23, p=.001) 흡연지식과 흡연경험 여부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3. 흡연태도와 흡연경험 여부와의 관계를 살펴보면, 흡연경험군(28.12±8.51점)이 비흡연경험군(34.93±4.59점)에 비해 흡연태도가 바람직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나(t=8.24, p=.000) 흡연태도와 흡연경험 여부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4. 흡연지식과 흡연태도의 관계를 살펴보면 흡연지식이 높을수록 흡연에 대한태도도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나 흡연지식과 흡연태도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r=.17, p=.000). 5. 대상자의 흡연경험 여부와 상관관계가 있는 사회 인구학적인 특성으로는 가정의분위기(X^2=16.49, p=.001), 학교생활(X^2=11.58, p=.003), 학교성적(X^2=11.89, p=.003), 성별(X^2=8.97, p=.003), 친구와 만나는 장소(X^2=13.19,p=.022), 부모의 결혼상태(p*=.025), 가정형편(X^2=6.71, p=.035)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상자의 흡연경험 여부와 상관관계가 있는 흡연 환경적 상황으로는 흡연하는 친구의수(X^2=76.01, p=.001), 흡연의 정보출처(X^2=48.03, p=.001), 형제나 자매의 흡연여부(X^2=26.07, p=.001), 여자친척의 흡연여부(X^2= 15.65, p=.001), 아버지의 흡연여부(X^2=12.10, p=.007), 담배심부름 빈도(X^2=9.18,p=.010), 남자친척의 흡연여부(X^2=8.82, p=.032)로 나타났다. 6 흡연경험 여부와 관련이 있는 요인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보면, 흡연태도 점수가 1점씩 낮아질수록 흡연경험은 25.39배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흡연하는 친구가 1명씩 줄어들수록 흡연경험은 .66배로 낮아지게 되며, 아버지가 담배를 피지 않는 그룹보다 피다가 끊은 그룹이, 또 피다가 끊은 그룹보다는 담배를 피는 그룹에서 흡연경험이 1.40배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7. 흡연경험 여부와 관련변수들의 총인과 관계를 살펴본 결과, 흡연태도가 -.43, 친구흡연이 .12, 부모의 결혼상태가 .05, 그리고 학교생활, 성별, 아버지의 흡연은 각각 .04, -.03, -.02의 인과효과를 미쳤으며 흡연지식(t=-1.67)은 흡연경험 여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초등학생의 현재흡연률 및 흡연경험률은 몇 년 전 선행연구의 결과에 비추어 보았을 때 급격히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으며, 따라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흡연예방 프로그램이 절실히 요구되는 가운데 흡연지식이 흡연을 경험하도록 하는데 있어 결정적인 요인은 아니라는 점을 감안하여 이제는 지식에 초점을 둔 전통적인 교육 방법에서 탈피하여 최근 그 효과성을 인정받고 있는 정신 사회적 접근을 통한 흡연예방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시급히 계획되고 제공되어야 할 것을 제언한다. Effects of smoking by elementary-school-age children are very serious. Nevertheless, the age when people start smoking is getting lower and the percentage of elementary-school-age children's ever smoking is increasing. Hence, many studies have already been done in the United States, with the elementary-school-age children as focus group. One illustration of such studies is the CDC Guidelines for School Health Program to Prevent Tobacco Use and Addiction(CDC 1994), based on children's knowledge and attitude about smoking. Many studies have been done since, based on the CDC Guidelines. However, in Korea, there have not been many studies on the children's smoking, and, especially the area of children's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regarding smoking severely lacks trustworthy information. Therefore, I began the study to identify the issues related to knowledge,attitude and behavior regarding smoking by sixth graders, which will ultimately lead to the development of a smoking prevention program that will not only help deter school-age children from smoking, but also make them aware of the more desirable behaviors and techniques for healthier life. The focus group in my study consists of 605 sixth grade students chosen by accidental sampling from three elementary schools in Seoul. I collected the data with self-completing questionnaire from the students with their consent. The questionnaire consists of 66 questions in the following substantive areas: 10 questions for socio-anthropological characteristics; 4 questions for smoking-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20 questions for knowledge about smoking; 20 questions for attitude toward smoking; 12 questions for smoking behavior. In order to assess the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smoking by children, I assessed the substantive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 by consulting with various experts regarding the questionnaire published by WHO in 1982, Guidelines for the Content of Tobacco Smoking Surveys of the General Population, revised and enhanced by Young Kyu Park and Yoon Joo Kang(1996). I further revised and enhanced the questionnaire by conducting a pretest. As a result, the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for Cronbach's Alpha for smoking knowledge test was .8093; and for smoking attitude, .8144. The data collected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o produce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analysis, DMRT,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ce, Logistic analysis, Path analysis with SAS and Lisrel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Smoking Behavior: Of the focus group, 4.15% are current smokers and 18.23% are ever smokers. 2. Correlation between smoking knowledge and ever smoking: Ever smoking sample(11.10±3.66) is less knowledge able than the never-smoking sample(12.17±3.95), (t=3.23, p=.001). 3. Correlation between smoking attitude and ever smoking: Ever smoking sample(28.12±8.51) was less desirable than the never-smoking sample(12.17±3.95), (t=8.24, p=.000). 4. Correlation between smoking Knowledge and smoking attitude: knowledge about smoking and attitude toward smoking are quantitatively correlated in such way that the more knowledgeable the child is about smoking, the more desirable the attitude toward smoking is(r=.17, p=.000). 5. Correlation between socio-anthropological characteristics and ever smoking: family atmosphere(x²=16.49, p=.001), school life(x²=11.58, p=.003), grades in school(x²=11.89, p=.003), gender(x²=8.97, p=.003), friends' gathering place(x²=13.19, p=.02), marital status of parents(p=.03), and family's financial status(x²=6.71, p=.035). In addition, Correlation between somking-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ever smoking: number of friends who smoke(x²=76.01, p=.001), information source for smoking(x²=48.03, p=.001), whether or not siblings smoke(x²=26.07, p=.001), whether or not female relatives smoke(x²=15.65, p=.001), whether or not father smokes(x²=12.10, p=.007), errands to buy cigarettes for someone(x²=9.18, p=.010), and whether or not male relatives smoke(x²=8.82, p=.35) 6. Results of the logistic analysis performed to identify the factors correlated to ever smoking show that: one point decrease in attitude score translates to 25.39 times' increase in ever smoking; one person decrease in the number of friends who smoke translates to 0.66 times' decrease in ever smoking; the group where the father has quit smoking has 1.40 times more ever smoking than the group where the father does not smoke at all; and likewise, the group where the father currently smokes has 1.40 times more ever smoking than the group where the father has quit smoking. 7. The overall cause-and-effect relationship between the ever smoking and the related facors: attitude toward smoking caused ever smoking by -.43, smoking by friends, by .12, marital status of arents, by .05, school life, by .04, gender, by -.03, and smoking by father, by -.02. Knowledge about smoking(t=-1.67) did not cause significant effects on ever smok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smoking by elementary-school-age children has drastically increased in percentage from the previous study done a few years ago and that the knowledge about smoking is not a deciding correlative factor on ever smoking. Taking that into consideration, I suggest that we need to steer away from the traditional education method based on knowledge. Instead, there is an immediate need to provide for an educational program with the focus on socio-psychological approach to prevention of smoking, which, recently, has been receiving a lot of credit for its effectiveness.

      • 상보적 교수·학습이 과학과 학업 성취도 및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최혜영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iprocal teaching helps the participants to be motivated and interested by encouraging conversation with one another to understand the meanings of the writing.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effects of reciprocal teaching·learning on academic achievements and behaviors towards science. Hypothesis established to accomplish the study purpose are as follows. Hypothesis Ⅰ. Significant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s in science will exis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pplied with reciprocal teaching·learning and control group applied with general teaching·learning. Hypothesis Ⅱ. Significant difference in behaviors towards science will exis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pplied with reciprocal teaching·learning and control group applied with general teaching·learning. Hypothesis Ⅲ. Within the experimental group applied with reciprocal teaching·learning, significant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s in science will exist by the academic ability of each subject. Hypothesis Ⅳ. Within the experimental group applied with reciprocal teaching·learning, significant difference in behaviors towards science will exist by the academic ability of each subject. Study subjects were 60 fifth grade students in two classes of K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Deokyanggu, Goyang City, Gyeonggi-do. One out of two classes was selected as experimental group and reciprocal teaching·learning was applied to chapter 5 through chapter 9 of first semester, fifth grade of science subject curriculum. The other class was selected as control group which was verified as homogeneous group after academic achievement test and behavioral test in science. Control group was applied with general teaching·learning methodology. Experimental treatment was conducted during 9 weeks from May 11th 2009 to July 8th 2009.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teacher demonstrated the methodology and procedures of reciprocal teaching·learning and the class was carried out by each group member performing the roles as student teachers. For statistic treatment, t-test was conducted for homogeneous verification before the experiment and effect verification after the experiment as well as difference of experimental group in academic achievements. Study results based on verification of hypothesis stated above are as follows. First, reciprocal teaching·learning had significant difference (p<.05) in academic achievements in science compared to general teaching·learning methodology. Second, reciprocal teaching·learning had significant difference (p<.05) in behaviors towards science compared to general teaching·learning methodology. In detail,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ference to science subject', 'Pleasure during science class', 'Satisfaction in class', 'Scientific behavior'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cales on 'Activities during science class', which requires following studies dealing with this issue. Thir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s within the experimental group applied with reciprocal teaching·learning by the academic ability of each subject. It implies that reciprocal teaching·learning can be used as an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ology to improve academic achievements regardless of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s. Fourth,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behaviors towards science within the experimental group applied with reciprocal teaching·learning by the academic ability of each subject. 'Activities during science clas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low-level students and 'Scientific behavior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high-level students. 상보적 교수(reciprocal teaching)는 글의 의미 파악을 목적으로 집단 구성원들 간에 대화를 통해 이루어지는 전략을 사용하여 학습자에게 참여 동기와 흥미를 부여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상보적 교수·학습이 학습자의 학업성취도 및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Ⅰ. 상보적 교수·학습 방법을 적용한 실험 집단과 일반적인 교사 중심의 교수·학습 방법을 적용한 비교 집단 간에는 과학과 학업 성취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Ⅱ. 상보적 교수·학습 방법을 적용한 실험 집단과 일반적인 교사 중심의 교수·학습 방법을 적용한 비교 집단 간에는 과학에 대한 태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Ⅲ. 상보적 교수·학습 방법을 적용한 실험 집단은 학업 성취 능력에 따라 과학과 학업 성취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Ⅳ. 상보적 교수·학습 방법을 적용한 실험 집단은 학업 성취 능력에 따라 과학에 대한 태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소재 K초등학교 5학년 2개 학급 60명을 선정하였다. 연구자의 학급을 실험 집단으로 하여 과학과 5학년 1학기 5단원부터 9단원에 대해 상보적 교수·학습을 적용하였다. 비교 집단은 사전 학업 성취도 검사와 과학에 대한 태도 검사 결과 동질 집단으로 검증된 한 개 반을 선정하여 일반적인 교사 중심의 교수·학습을 적용하였다. 실험 처치는 2009년 5월 11일부터 7월 8일까지 9주간 총 22차시에 걸쳐 진행되었다. 실험 집단은 상보적 교수·학습 전략을 사용하는 방법과 절차에 관한 학습을 교사가 명시적으로 보인 후 소집단별 구성원 모두가 학생 교사의 역할을 담당하며 수업을 진행하였다. 통계 처리는 실험 집단과 비교 집단의 사전 동질성 검증 및 사후 실험의 효과 검증과 실험 집단의 학업 성취 능력에 따른 사후 차이 검증을 위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가설을 검증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보적 교수·학습은 일반적인 교사 중심의 교수·학습에 비해 과학과 학업 성취도에서 (p<.05)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즉, 상보적 교수·학습이 일반적인 교사 중심의 교수·학습보다 학업 성취에 더 효과적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둘째, 상보적 교수·학습은 일반적인 교사 중심의 교수·학습에 비해 과학에 대한 태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과학에 대한 태도의 하위 영역으로 살펴보면, ‘과학 교과 선호’, ‘과학 시간의 즐거움’, ‘수업에 대한 만족’, ‘과학적 태도’ 척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과학 수업 활동’ 척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어 이 문제와 관련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상보적 교수·학습을 적용하여 학업 성취 능력에 따라 학업 성취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즉, 상보적 교수·학습은 과학과에서 학습자들의 학업 성취 수준에 관계없이 학업 성취도 향상에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말해 준다. 넷째, 상보적 교수·학습을 적용하여 학업 성취 능력에 따라 과학에 대한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 결과, 학업 성취 능력별 모든 집단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과학 수업 활동’은 하위 수준의 학습자에게서, ‘과학적 태도’에서는 상위 수준의 학습자에게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 경기 일부 지역 남녀 대학생의 식습관 특성과 영양 지식수준 연구

        최혜영 수원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nvestigated general characteristics, eating habits, and nutritional knowledge levels of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 surveyed data, gender and female BMI were divided into underweight groups, normal weight groups, and overweight and obesity groups. The purpose was to help college students maintain a healthy body by practicing proper eating habits by examining the level of eating habits and nutritional knowledg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eating habits and nutritional knowledge, and presenting directions to nutrition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However,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limitations. First, the survey paper used in this study was not a nationwide standardized survey paper, but a partial modification of the survey paper used in previous studies. Second, since this study is a study of college students attending universities in some areas of Gyeonggi-do,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o all college students nationwide. Third, the survey period of this study is from June 9, 2021 to June 19, 2021, when the second stage of distanc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as implemented, and there may be differences from the general life of college students. This study used non-face-to-face channels to prevent the spread of COVID-19. For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in some areas of Gyeonggi-do, The usual eating habits evaluation (10 questions) and nutritional knowledge level (20 questions) were investigated. IBM SPSS Statistics (28.0.0.0) analyzed data processing and statistical analysis through recoding and error review.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from the nutritional knowledge score by dividing the eating habits scores of the survey subjects into three quartil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ating habits score group and the nutritional knowledge score, but among the nutrition knowledge items, "The heat and energy needed for activities are fat and vitamins," "Milk and bone-eating fish are the main sources of calcium," "Brown or whole grains are both better for preventive treatment." As a result of dividing the nutritional knowledge score into three quartiles and checking the difference in eating habits score and evaluation item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ating habits score by group, but p = 0.008 was found in the evaluation item of "eating foods high in animal oil or cholesterol every day." In the group with low nutritional knowledge, the practice score was 3.37 points, and in the group with high nutritional knowledge and the group with moderate nutritional knowledge, 3.64 points, indicating that the group with low nutritional knowledge had more food intake. Therefore, in this stud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nutritional knowledge, the evaluation of eating habits, and the lifestyle score could not be revealed, but the reason was that there were limitations mentioned earlier. Therefore, with this in mind, it is thought that a follow-up study will be needed to see what results will be shown when daily life is restored in the next study. And the reason why there is no correlation between nutritional knowledge level and eating habits was found in previous papers that even if they have nutritional knowledge, they can actually practice it, but the current situation conditions do not match. Therefore, when planning nutrition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if they plan to focus on ways that can be observed in real situations rather than theoretical methods like previous papers, college students will be able to practice to maintain a healthy body and lead a healthy life.

      • 역분화줄기세포주 수립 및 세포치료제 품질관리 시험항목 설정 가이드라인에 따른 시험방법 밸리데이션

        최혜영 충북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2006년 야마나카 신야 교수가 OCT3/4, Sox2, c-Myc, Klf4 4가지 전사인자 유전자를 생쥐의 피부섬유아세포에 도입시켜 역분화줄기세포를 만들어 내었다. 그 이후로 피부섬유아세포, 혈액 세포 유래의 역분화줄기세포주를 수립하여 질병모델, 약물 스크리닝, 분화법을 이용한 세포치료제 개발 등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전 연구들에서 역분화를 유도하는 체세포의 유래에 따라 in vitro 분화능력이 다르다고 보고되어 있다. 다양한 체세포 유래의 역분화줄기세포를 확보하고자 지방유래 중간엽줄기세포를 활용하였다. OCT3/4, Sox2, c-Myc, Klf4 4가지 전사인자를 Sendai virus를 이용하여 도입하여 지방유래 중간엽줄기세포로부터 역분화줄기세포주를 수립하였다. 연구용 역분화줄기세포주 자원을 확보하고 전세계에서 수립한 역분화줄기세포주 정보를 공유하는 hESreg에 등록하였다. 또한 국가줄기세포은행에 분양가능한 자원으로 기탁 등록 되어있다. GMP 기준에 적합한 역분화줄기세포주 생산을 위해 제조시설, 생산공정, 시험방법, 보관관리 등 다양한 측면에서 GMP 기준에 적합한 시스템의 구축이 필수적이다. 국립줄기세포재생센터에 GMP 제조시설이 구축되어 있고, 이 논문에서는 GMP 기준에 적합한 역분화줄기세포주 생산을 위한 시험방법 밸리데이션을 실시하여 역분화줄기세포주를 평가할 수 있는 기준 및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식약처에서 고시한 세포치료제 시험항목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성상, 총세포수, 세포생존율, 확인, 순도, 역가, 무균, 엔도톡신, 마이코플라즈마 부정시험, 외래성 바이러스 부정시험을 실시하도록 되어있다. 그 중 6종(총세포수, 세포생존율, 확인, 역가, 엔도톡신, 마이코플라즈마 부정시험)의 시험방법을 밸리데이션 하였고, 특이성, 정확성, 반복성, 완건성, 검출한계, 정량한계, 직선성, 측정범위 등 다양한 항목을 확인함으로써 시험방법의 적합성을 밸리데이션 하였다. 다양한 목적의 세포치료제의 원료로써 활용될 수 있는 GMP 기준에 적합한 역분화줄기세포주 생산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In 2006, professor Shinya Yamanaka introduced four transcription factor genes, OCT3/4, Sox2, c-Myc, and Klf4, into dermal fibroblasts of mice to create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Since then, dermal fibroblasts and blood cell-derived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lines have been established. Studies such as disease models, drug screening, and cell therapy development using differentiation method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In previous studies,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in vitro differentiation capacity differs depending on the origin of somatic cells that induce pluripotency. Adipose-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were used to secure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derived from various somatic cells. Four transcription factors OCT3/4, Sox2, c-Myc, and Klf4 were introduced using Sendai virus to establish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line from adipose-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I secured stem cell line resources for research and registered it with hESreg, which shares information on pluripotent stem cell lines established around the world. It is also registered as a resource available for distribution at the Korea National Stem Cell Bank.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a system suitable for GMP standards in various aspects such as manufacturing facilities, production processes, test methods, and storage management for producing GMP-compliant stem cell line. A GMP manufacturing facility has been established at the National Stem Cell Regeneration Center. In this paper, I tried to validate the test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lines for clinical use and to present the criteria and basis for evaluating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lines suitable for GMP standards. According to the guidelines for cell therapy products announced by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tests for appearance, total cell number, cell viability, identification, purity, potency, sterility, endotoxin, mycoplasma, and adventitious virus are to be conducted. Among them, the test methods of 6 types (total cell number, cell viability, identification, potency, endotoxin, mycoplasma test) were validated, and specificity, accuracy, repeatability, robustness, limit of detection, limit of quantitation, linearity, and measurement range were validated. A GMP-compliant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line production system was established. The produced GMP-compliant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lines will can be used as a raw materials for cell therapy products.

      • 보육교사의 육아 경험

        최혜영 아주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미취학 아동을 둔 기혼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직장과 가정에서의 반복된 육아가 자녀 육아에는 어떤 의미를 갖는지에 대해 심층적으로 탐구해 봄으로써 보육교사로서 육아를 하는 것이 근무환경과 전문성과는 어떤 연관이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보육교사가 경험하는 육아의 의미는 무엇인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알아보기 위해 연구자는 맞벌이 가정의 취업모로 현재 보육시설에서 담임을 하고 있는 보육교사 4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일정은 2012년 7월 29일 ~ 2012년 10월 9일 까지 연구 참여자와의 개별 심층면담으로 실시하였다. 면담 후에는 가능한 한 빠른 시간 내에 전사(transcribe)하여 오류를 줄이고 핵심을 파악하고자 노력하였다. 면담 내용 간에 유기적인 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공통적이거나 특정한 개념, 유형별 내용을 수차례 세분화 하거나 통합시켜 다양한 사례 중 각 범주를 명확하게 설명해 줄 수 있는 사례를 추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혼 보육교사는 타 교육기관의 교사들에 비해 보호와 교육이라는 통합된 보육서비스를 함으로 인해 더 많은 체력을 소모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기혼 보육교사는 직장이나 가정에서 모두 육아를 경험하고 있지만 교사일 때와 엄마일 때 달라지는 역할기대로 인해 육아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었다. 셋째, 기혼 보육교사의 경우 같은 교사 입장으로서 까다로운 엄마로 비춰지길 꺼려 자녀가 이용하는 보육시설과의 소통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그러나 같은 보육과정을 경험함으로 인해 자녀의 육아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는 점에서는 긍정적으로 해석되기도 하였다. 넷째, 기혼 보육교사는 육아에 어려움을 주는 근무환경 요인으로 업무과중에 의한 시간 연장 근무를 꼽았다. 다섯째, 기혼 보육교사는 대체인력부족으로 인해 자녀의 건강관리 및 돌발 상황에 대한 대처의 어려움으로 육아 스트레스를 느끼고 있었다. 여섯째, 기혼 보육교사는 자녀의 육아에 있어서 인적자원의 활용, 다양한 매체의 활용 등 교육 자원으로의 접근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일곱째, 기혼 보육교사는 육아와 보육의 순환으로 전문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육아정보 수집에 있어서도 각 분야의 전문가와 쉽게 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혼 보육교사는 보육시설에서 다른 영․유아를 교육 및 보호하느라 자신의 자녀는 뒷전이거나 소외당하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근무환경에서 오는 스트레스가 육아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필연적 결과에 따라 인격 형성과 성장발달이 매우 중요한 시기인 영․유아의 보육을 책임지는 보육교사 근무환경 개선은 매우 중요한 사회문제인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보육교사인 어머니도 맞벌이 가정 취업모 중의 한 가지 형태로 인식하여 보육시설 근무환경을 개선 할 필요가 있다.

      • 역사문화형 축제의 주제반영성 비교연구 : 2012년 공주부여 백제문화제와 한성백제문화제를 중심으로

        최혜영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축제의 주제는 그 축제를 함축적으로 표현한 상징적 개념으로 지역의 문화관광자원과 축제의 가치성을 높여주는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현재의 역사문화축제는 역사성이 고증되지 않은 연출, 프로그램 운영, 민간 사업체 참여 등으로 역사축제의 본질인 역사 주제반영성이 흐려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표 역사축제인 공주·부여백제문화제와 한성백제문화제의 방문객의 주제반영성 만족도를 비교하고, 각 축제의 방문객을 성별, 방문 여부, 거주민/방문객, 방문동기 그룹으로 분류하여 각 유형특성별 그룹의 백제문화제를 통한 주제반영성 항목에 대한 만족수준의 차이를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 된 자료는 공주·부여 백제문화제에서 총 544부의 유효표본이 수집되었으며, 한성백제문화제에서는 316부의 유효표본이 분석에 투입되었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 째, 공주·부여 백제문화제와 한성백제문화제 주제반영성 만족도를 비교한 결과, 공주·부여 백제문화제의 주제반영성 만족수준 평균이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공주·부여 백제문화제는 ‘축제장 분위기’, ‘주변시설물’, ‘박물관’, ‘프로그램’, ‘복장’, ‘기념품’, ‘식음료’의 순위로 만족수준이 조사되었다. 한성백제문화제는 ‘축제장 분위기’, ‘복장’, ‘박물관’, ‘주변시설물’, ‘프로그램’, ‘기념품’, ‘식음료’의 만족 수준으로 순위가 도출 되었다. 둘 째, 축제 방문객 그룹(성별, 신규/재방문객, 거주민/방문객, 방문동기) 간 주제반영성 7개 항목 만족도를 차이분석 하였다. 주제반영성 만족도 측정변수인 축제장 분위기를 차이검증 한 결과, 공주·부여 백제문화제와 한성백제문화제 모두 성별 그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주제반영성 만족도 측정변수 프로그램에서는 공주·부여 백제문화제에서 재방문객과 신규방문객의 축제 주제반영성 만족도를 인지하는데 통계적인 차이가 나타났으며, 한성백제문화제에서는 남성과 여성 그룹간에 차이가 있다고 나타났다. 주제반영 식음료에서는 한성백제문화제의 성별그룹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기념품을 차이검증 한 결과 공주·부여 백제문화제에서는 재방문객과 신규방문객 그룹간에서, 한성백제문화제에서는 성별그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복장에서는 한성백제문화제에서만 성별 그룹 간 주제반영성 만족도를 인지하는데 통계적인 차이가 있다고 나타났다. 공주·부여 백제문화제와 한성백제문화제 방문객의 방문동기 그룹별 주제반영성 만족도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공주·부여 백제문화제는 주변시설물, 프로그램, 식음료, 기념품, 복장에서 집단별 만족수준에서 큰 차이를 보이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한성백제문화제 방문객의 방문동기별 그룹 간에 주제반영성 만족도를 차이 검증한 결과, 박물관에서 방문객 동기 그룹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연구의 결론을 바탕으로 하여 공주·부여 백제문화제는 신규방문객과 재방문객을 위한 프로그램 보안 및 개발이 필요하며, 한성백제문화제는 여성방문객을 위한 프로그램 강화를 해야 한다. 또한 두 축제 모두 박물관의 훌륭하고 다양한 소재와의 연계를 통한 주제반영 프로그램을 강화하고, 주제반영과 연계되지 않은 프로그램이 운영되는 점은 개선해야 하며, 프로그램의 역사를 고증하는 절차를 강화해야 할 것이다.

      • 음악요법이 세기조절 방사선치료를 받는 암환자의 불안, 우울 및 피로에 미치는 효과

        최혜영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음악요법이 세기조절 방사선 치료를 받는 암환자의 불안과 우울 및 피로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여 간호중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위해 시행된 비동등성 대조군 전ㆍ후 시차설계(nonequivalent control pre test-post test design)를 이용한 유사실험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I 광역시에 소재한 C 대학병원에서 세기조절 방사선치료를 받는 암환자로써, 실험군 33명, 대조군 32명으로 총 65명이었고, 자료수집은 2012년 5월 16일부터 2013년 1월 10일까지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0.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그리고 χ²-test, Fisher's exact test, t-test, paired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음악요법을 적용한 실험군과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과의 처치 전후의 상태불안 점수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t=0.515, p=.609). 2) 음악요법을 적용한 실험군에서 처치 후 VAS 불안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처치 전후 실험군과 대조군과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t=1.507, p=.137). 3) 음악요법을 적용한 실험군의 우울점수가 처치 후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처치 전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우울점수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t=0.833, p=.408). 4) 음악요법을 시행한 실험군과 대조군의 피로도 점수의 처치 전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t=0.503, p=.617).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세기조절 방사선치료를 받는 암환자에게 적용한 음악요법은 불안과 우울, 피로 완화에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음악요법을 적용한 실험군의 처치 후 불안과 우울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감소한 것으로 볼 때, 대상자 수를 확대하거나 음악요법의 횟수를 방사선치료가 끝날 때까지 실시하는 등 연구 설계를 달리한다면, 음악요법은 추후 임상에서 방사선치료를 받는 암환자 뿐 아니라 다양한 질병의 대상자에게 적용하는 체계적이고 독자적인 프로그램으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또한 암환자의 피로를 감소하기 위해서는 음악요법 한 가지 단독중재보다는 다른 간호중재를 같이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