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김영태 시의 공간의식 연구

        이원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775

        이 논문은 김영태 시의 공간 의식을 분석함으로써, 그의 시를 세 가지의 경향으로 분류하고 이에 내재된 시의식과 미적 지향점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김영태는 음악을 시각적으로 표상하고, 사물의 움직임을 신체적으로 은유하며, 풍경을 순간적인 회화처럼 묘사하는 등 다양한 예술 양식들의 미감을 언어로써 표현하고자 한 시인이었다. 이 논문은 현상학적인 공간 연구 방법론을 토대로 그의 시에서 드러나는 감각적인 특질들을 분석하고자 했다. 기존의 공간 연구나 공간의식 연구가 지닌 개인으로서의 자아와 세계로서의 공간 사이의 비대칭적 관계는 자의식 자체가 세계를 구성하는 시 텍스트에서는 보다 현상학적으로 논의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언명된 공간에만 주목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시적 대상들과 시적 자아 간에 일어나는 긴장, 대립, 조화, 지향 등을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세 가지 유형을 설정하고자 했다. 그의 시에서의 화자들은 각각 현실 공간을 변형하고 새로운 미적 공간을 모색하는 방법론을 보여준다. 자연 공간에서 화자는 풍경의 세목을 관조해서 감각적이고 환상성이 강한 이미지들을 감정적 개입을 최소화하여 기술한다. 이때 화자는 여러 대상들이 놓인 풍경과 관계 맺으며 다수성의 세계를 전람하는 소묘자이다. 도시 공간에서 화자는 도시의 억압과 폭력에 대해 자기 자신을 보잘것없는 인물로 희화화함으로써 가식적인 세계의 실상을 연극으로 치환한다. 이때 화자는 주로 억압적인 한 인물과 1대1로 대립하지만 그로부터 일방적으로 사회적인 질서를 강요받고 적극적으로 저항하지 못하는 주변인이다. 마지막으로 개인 공간에서는 육체성을 지닌 ‘너’를 인물이자 사물이자 공간으로써 인식한다. 이때 화자는 ‘너’라는 세계와 1대1로 대면하면서도 상호간에 영향을 주고받으며 미적‧감정적으로 교류하는 실존적 자아이다. 그런데 김영태 시에서의 독특한 미학은 소묘자일 때나 주변인일 때나 실존적 자아일 때나 항상 더 작고 아늑한 장소를 향하는 데에 있다. 그의 미학은 이러한 장소애착을 바탕으로 심화되어 내밀한 ‘깊이’를 지닌 순수한 공간을 지향한다. 이러한 지향을 통해 그는 자신이 처한 공간을 감각적으로 확장하거나, 풍자적으로 비꼬거나, 실존적으로 직면하는 것이다. 2장에서는 넓고 광활한 풍경 속에서 시적 화자가 자그마한 틈, 떨림, 진동, 얼룩 등을 발견하고 이를 통해 이미지의 청각적, 촉각적, 시각적인 확장을 시도한다는 점을 논할 것이다. 음악․무용․회화 등의 다양한 예술분야에 대한 조예를 바탕으로 김영태는 ‘틈’에 대한 감각적인 사유를 전개했다. 2장의 1절에서는 화자가 초현실적 이미지들을 관찰자적 시선으로 소묘한다는 점, 그러한 시선에는 풍경 전체에 걸친 시적 상상력이 개진된다는 점을 확인하고, 2절에서는 ‘틈’에 대한 사유를 통해 풍경이 화자에게 초현실적인 동시에 감각적인 존재로서 인식되고 있음을 논하고자 한다. 3장에서는 강압적이고 폭력적인 현실 속에서 시적 화자가 허위, 위선, 가식 등을 발견하고 이를 통해 화자가 현실에 대한 인식을 연극적으로 치환하고자 한다는 점을 논할 것이다. 화자는 스스로를 현실로부터 도외시되는 주변인으로 여긴다. 사회적인 삶 속에서 화자는 다양한 폭력과 억압을 경험하는데, 3장의 1절에서는 그러한 폭력과 억압 속에 숨겨진 가식, 비아냥거림, 허위 등을 확인하고, 2절에서는 부조리한 현실에 대한 풍자적인 비웃음과 화자 자신에 대한 자학적인 비웃음을 통해 사회 공간이 화자에게는 극적 상상을 통해 극복되어야 하는 공간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논하고자 한다. 4장에서는 내밀함을 주는 대상과 대면할 때 시적 화자가 대상이나 화자 자신의 ‘몸’을 발견하고, 그곳에 자기 자신이나 대상을 틈입하고자 한다는 점을 논할 것이다. 4장의 1절에서는 화자가 ‘너’를 한 사람이자 절대적인 존재이자 행복한 공간 전체로 여김을 확인하고, 4장의 2절에서는 김영태의 화자가 자기 자신을 섬약하고 작은 존재로 인식하며, 이로 인해 화자가 이상적인 대상과의 대면에서 그치지 않고 그의 ‘몸’으로 자꾸만 자신을 밀어 넣고 더 내밀하게 결합하려는 합일의 의지를 보여주고 있음을 논하고자 한다. 공간에 따른 서로 다른 의식의 발현은 ‘자기 축소’와 ‘내부지향성’이라는 일관된 시 의식을 중심으로 하고 있다. 그것은 ‘공간’에서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공간’으로서의 내면을 발견하고 다시 그 내부를 끊임없이 천착하는 시 의식으로 연결된다. ‘관찰자’이자 ‘주변인’으로서의 태도를 견지하는 김영태의 화자가 공간을 사유하는 방식은 ‘공간 내부의 공간’에 대한 사유로 일관된다. 풍경 속에서 김영태의 화자는 감각적으로 확장하는 미세한 ‘틈’을 포착하고, 현실 속에서는 부질없고 세속적인 세상의 ‘허위’를 감지하며, 예찬적인 ‘몸’과의 만남 속에서조차 그 ‘내부’를 파고드는 극단적인 내부지향을 보여주었다.

      • 소그룹 牧會 시스템을 通한 敎會成長 活性化 方案

        김영태 總神大學校 2010 국내박사

        RANK : 247647

        【국문 초록】 소그룹 牧會 시스템을 通한 敎會成長 活性化 方案 김영태 본 연구의 동기와 목적은, 급변하는 현대사회는 모든 가치변화로 인한 시대정신의 혼란과 개인주의로 인한 공동체성 해체와 소외현상 그리고 전통적 가치의 붕괴가 심각하게 일어나고 있다는데 있다. 이러한 시대적 도전 앞에 교회는 더 이상 주님의 위임명령을 능동적으로 수행하며 이 시대를 이끌어 가지 못하고 있다. 오히려 교회는 쇠퇴하고 있고 교회 안․밖에서는 교회변혁을 요구 받고 있는 위기상황에 놓여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전통적 교회들이 다시금 교회본질을 회복하고 건강한 교회로 서 나가기 위한 도전으로 소그룹 목회로의 전환이 그 대안임을 확신하며 시작하게 되었다. 따라서 전통적 교회가 성공적으로 소그룹 목회로의 전환을 통해 건강한 목회 시스템을 구축하고 다시금 시대적 사명을 감당해 나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그 전환전략들이 무엇이며 실제적인 목회방안들이 무엇인지 또한 소그룹 중심의 목회에서 양육과정을 어떻게 세워가야 하는지, 그 방안들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첫째, 개혁주의적 성경관에 근거한 교회성장의 바른 이해와 교회본질 회복을 위한 소그룹 목회관을 정립하는 것이다. 둘째, 한국교회의 상황에 맞는 소그룹 목회로의 목회시스템 전환 전략을 세우는 것이다. 셋째, 소그룹 목회를 위한 효과적인 양육 시스템을 제시하여 그리스도의 책임 있는 제자를 세워 건강한 교회성장을 이루어 가는데 그 의의가 있다. 본 논문의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경적이며 교회론적인 건강한 교회는 어떤 교회인가? 둘째, 전통적 교회의 문제점들은 무엇이며, 그 대안으로 소그룹 목회는 과연 필요한 것인가? 셋째, 신학적․성경적․역사적 관점에서의 소그룹 목회란 무엇이며, 소그룹과 교회성장과의 상관성은 무엇인가? 넷째, 소그룹 목회를 위한 목회 시스템 전략방안과 소그룹 목회에 적합한 양육 시스템 방안은 무엇인가? 이다. 본 논문은 총 6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장의 주제는 다음과 같다. 제1장 서론, 제2장 소그룹 목회를 위한 교회의 이론적 기초, 제3장 전통적 교회의 문제점과 소그룹 목회의 필요성, 제4장 소그룹 목회에 대한 이해와 교회성장과의 상관성, 제5장 소그룹 목회로의 System 전환과 적용방안, 제6장 결론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주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로서 교회에 대한 성경적 이해와 교회의 교회론적 본질 그리고 교회성장의 이론적 고찰과 건강한 교회의 기능적 요소는 무엇인지를 고찰하였다. 둘째, 전통적 교회의 특징, 전통적 교회의 현상적 도전들, 전통적 교회의 문제점, 전통적 교회의 새로운 Paradigm 요구와 Cell Ministry의 시대적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셋째, 소그룹 목회의 이론적 이해와 소그룹 목회의 성경적, 역사적, 신학적 증거 그리고 소그룹 목회와 교회성장과의 관계 및 영향이 무엇인지를 고찰하였다. 넷째, 소그룹 목회의 Paradigm 전환방안, 소그룹 목회를 위한 전략방안, 소그룹 목회를 위한 실제적인 System 적용방안, 신앙단계에 따른 소그룹 목회의 적용원리, 소그룹 목회를 위한 Curriculum 적용방안과 소그룹 목회 적용사례로 화평교회를 연구하였다. 그 구체적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1장은 서론적 연구로써 본 연구를 위한 문제제기, 선행연구, 연구의 의의와 목적, 연구의 방법과 범위, 연구의 질문과 용어정의, 연구의 가정과 한계를 설명함으로써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제2장에서는 소그룹 목회를 위한 교회에 대한 선행연구로써 교회의 성경적 이해를 고찰하였다. 그 내용은 교회의 정의, 공동체로서의 교회, 하나님의 택한 백성으로서의 교회, 그리스도의 몸으로서의 교회, 성령의 전으로서의 교회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그리고 교회의 교회론적 본질을 고찰하였다. 교회의 본질은 첫째, 예배로서의 λειτουργία, 둘째, 복음선포로서의 κήρυγμα, 교제로서의 κοινωνία, 가르침으로서의 διδαχή, 봉사로서의 διακονία를 연구하였다. 그 다음으로 교회성장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교회성장의 개념, 교회성장의 원리, 교회성장의 요인, 교회성장의 종류를 연구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건강한 교회의 기능적 요소를 고찰하였다. 첫째, 필요중심적인 관계전도, 둘째, 평신도 지도자 양성, 셋째, 소그룹 활성화, 넷째, 영적성숙을 위한 프로그램, 다섯째, 은사확인과 배치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제3장에서는 전통적 교회의 문제점과 소그룹 목회의 필요성을 고찰하였다. 먼저 전통적 교회의 특징을 연구하였다. 그리고 전통적 교회의 구조, 전통적 교회의 대그룹 한계를 살펴본 후에 그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Cell Paradigm을 제시하였다. 그 다음으로 전통적 교회의 현상적 도전들이 무엇인지를 고찰하였다. 첫째, 종교인구의 변화, 둘째, 교인감소 및 수평이동, 셋째, 한국교회의 성장둔화, 넷째, 한국교회의 본질적 문제, 다섯째, 현대사회와 교회의 도전을 연구하였다. 그리고 전통적 교회의

      • 어린이 소방안전교육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영태 전북대학교 행정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about safety education that set much value on child put in operation and to suggest the improvement plans that enhance the child education for safety and fire fighting. In these days safety accidents are increase because of manhattanization of buildings and diversification of industrial structure. In such conditions, korea's study of prevention and extinction of fires education is primary level, compared with advanced countries. And we overcome safety education for display. As a result, the treatise deduce new way about prevention and extinction of fires education system that set much value on users and suggest new type of safety education program. first of all, the safety education program is interesting for users. systematic education program for each user should come into wide use, and education infrastructure is important.

      • 행위자 연결망 이론을 적용한 농업생산기반시설 경관협의과정에 관한 연구

        김영태 전남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민에게 안정적 식량제공을 위해 조성한 농업생산기반시설은 그간 쌀 생산량 및 농가소득 향상, 영농시간 감소 기여 등 눈부신 성과를 이루었다. 농업생산기반시설은 가치중립적인 장치로 과거 모습 그대로이나 대중의 가치관 변화로 농촌경관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시의성에도 불구하고 농업생산기반시설 경관디자인에 관한 연구는 현재까지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연구필요성을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농업생산기반시설 경관디자인 실태를 조사·분석하고, 현실적으로 가능한 수단인 경관협의과정을 체계화하기 위해 행위자 연결망 이론을 적용함으로써 농업생산기반시설 경관검토 과정을 개선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문헌분석 및 관련 자료조사를 통해 농업생산기반시설 계획검토과정과 국내 경관관련 제도 속에서 농업기반시설 경관이 어떻게 다뤄지는지 그 위상을 중심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계획검토 과정 속에서 경관검토가 왜 어려운지에 대한 구조적 문제점과 현행 경관관련 법률, 심의, 계획이 가지고 있는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행위자 연결망 이론은 최근 인문사회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는 이론으로 하나의 사회현상이 발생한 과정을 참여한 행위자와 행위자간 연결 관계 위주로 이해한다. 경관디자인이 결정되는 과정은 다양한 이해관계를 맺는 관련 기관과 주체들의 역할이 크다. 경관협의에서 주체들은 합당하다고 여겨지는 경관디자인이 선정되도록 다른 주체들을 설득한다. 이러한 과정은 행위자들이 안정된 행위자 연결망의 다른 행위자들을 설득하고 최종 경관디자인이 선정되는 과정과 유사하다. 따라서 시설물 경관디자인이 검토되는 방식을 경관협의과정에 관련된 행위자간 관계를 분석하는 것으로 의미가 있을 것으로 보았다. 한국농어촌공사에서 진행한 2017년 경관협의과정을 행위자 연결망 이론에 적용하여 연구한 결과, 기존 계획검토과정이 가지고 있던 기능위주의 폐쇄적 협의구조에 경관부서가 참여하는 새로운 협의구조로의 연결망 변화로 시설물 경관개선의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다. 경관협의과정에서 경관디자인을 결정하는 행위자의 연결망 조정을 통해 행위자별 인식과 역할의 변화가 있었으며, 이는 시설물 경관디자인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 연구는 부족한 농업생산기반시설 경관분야 연구에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하고, 향후 다양한 방법의 시설물 경관개선 방안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The agricultural production infrastructures that have been established to provide stable food to the people have achieved remarkable achievements such as improvement of rice production, farm income, and contribution to reduction of farming time. Agricultural production infrastructures are value-neutral devices, but they are pointed out as a factor that hinders rural landscape by changing the values ​​of the past. Despite this timelessness, research on the landscape design of agricultural production infrastructures has not been conducted until now. Based on this research necessity,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process of reviewing the landscape of agricultural production infrastructures by analyzing the actual condition of landscape design of agricultural production infrastructures and applying the Actor Network Theory in order to systematize the process of landscape consultation,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the literature and the related data were carried out. This thesis presents the structural limitations of why landscape review is difficult in the process of reviewing plans and the limitations of current landscape laws, deliberations and plans. The process of reviewing the plan has formed a functionally oriented closed network, and the government policy does not properly control the landscape design of agricultural production infrastructure. Actor Network Theory is a theory that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in the field of humanities and sociology in recent years. It deal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actors and actors involved in the process of a social phenomenon. The process by which landscape design is determined has a large role to play in the various institutions and entities that have various interests. In landscape consultation, subjects persuade other subjects to select the landscape design that they consider appropriate. This process is similar to the process in which actors persuade other actors in the stable agent network and select the final landscape design.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tors involved in the landscape consultation process. As a result of applying the landscape consultation process of 2017 in the Korea Rural Community to Actor Network Theory, it was found that the change of the network to the new consultation structure in which the landscape department participates in the functional closed review process. As a result of the establishment of the landscape department, the issue of landscape design of the facilities was raised, and scenarios could be consultated through attaching the attention of the actors who had the main power. In the course of the landscape consultation, there was a change in the perception and role of the actors through the network adjustment of the actors who decide the landscape design, which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facility's landscape design. However, the process of change of the network can be dismantled at any time a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lan to strengthen the network. In viewpoint of the study results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the study of the lack of agricultural production infrastructure and landscape, and it will help to prepare various ways of improving the landscape of the facilities in the future.

      • Experimental Validation of Conductivity Contrast in Magnetic Resonance Electrical Impedance Tomography

        김영태 경희대학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임피던스단층 촬영 기법은 인체 내부의 기능 및 대사에 대한 전기 전도도의 변화를 영상화 하기 위해 연구가 진행 되어 왔다. 전기 전도성 물질 외부에서 전류를 주입하게 되면 물질 내부에는 전압과 전류 그리고 자속 밀도 분포가 만들어지게 된다. 이러한 요소들은 물질의 외형과 전극의 위치 그리고 전도도의 분포에 의해 결정 된다. Magnetic Resonance Electrical Impedance Tomography (MREIT)는 주입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전도성물질의 내부 자속 밀도 분포를 자기공명 영상장치 (Magnetic Resonance Imaging System)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고해상도의 전기 전도도 영상을 만들어 내기 위해 개발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MREIT 영상기법에서 잡음 요인을 분석하고 측정된 내부 자속밀도 분포에서 잡음을 줄이는 방법을 기술한다. 잡음을 줄이는 방법으로 광통신과 베터리 그리고 전자기적 차폐를 이용하여 주입 전류의 SNR은 약 10dB 개선되었고, MR 영상에서는 약 30% 의 SNR을 개선 시킨 저잡음 정전류원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MREIT에서 복원된 영상의 생체 전자기적 이해를 돕기 위해 전도도 팬텀을 제작하고 시물레이션 과 실험을 통해 결과를 비교해 보았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살아있는 실험 견에 종양 모델을 만들고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에서 복원된 대뇌 전도도영상은 정상 부위와 종양 부위의 전도도 차이를 명확히 구분해 내고 있다. 그리고 안락사를 시킨 실험 견의 흉부와 복부 그리고 골반에서 얻어진 전도도영상을 바탕으로 심장, 콩팥, 전립선 그리고 다른 장기들의 전도도 차이를 보여 주었다. 그리고 임상에서 사용될 수 있는 진단기법으로서의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인체 다리의 각 부위를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여 1.7mm의 화소 크기를 갖는 전도도 영상을 성공적으로 복원하였다. 복원된 영상에서는 피하 지방, 근조직, 근막, 근육내의 격막 그리고 뼈 등의 다리내부의 조직들의 전도도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MREIT영상기법의 응용분야를 알아보기 위해 적출한 소의 간 조직에 Radiofrequency (RF) ablation을 이용해 손상을 주고 팬텀을 제작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에서 복원된 영상에서는 손상된 부위와 정상 부위간의 확연한 전도도의 차이를 보여 주었고, MREIT영상기법의 응용분야로서의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이 논문에서는 다양한 실험대상을 이용해 MREIT실험을 실시하여 뚜렷한 전도도의 차이를 갖는 영상을 복원했고, 복원된 영상에서 MREIT영상기법의 임상에서 진단기법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In impedance imaging, cross-sectional imaging of an electrical conductivity distribution inside the human body has been an active research goal. Injection an external current to an electrically conducting object produces internal distributions of voltage, current density and magnetic flux density. These quantities are dependent on the geometry of the object, electrode configuration and conductivity distribution. Electrical impedance tomography (EIT) reconstruction cross-sectional conductivity images using measured current-voltage data on the surface. Unfortunately, there are technical difficulties in EIT. First, the internal conductivity distribution and the boundary current-voltage data produce nonlinearity and low sensitivity. Second, the inverse problem is sensitive to the boundary geometry, electrode position and modeling errors as well as measurement artifact and noise. Hence EIT images have poor spatial resolution. Magnetic resonance electrical impedance tomography (MREIT) has been developed to produce high-resolution conductivity images. Current injection into an electrically conducting object induces distribution of magnetic flux density. In MREIT, using an MRI scanner with its main magnetic field in z direction, we can measure the z component of induced magnetic flux density (Bz) inside the object. The current injection must be synchronized with a chosen MRI pulse sequence and current source needs to be programmable to accommodate various pulse sequences. We describe how to reduce noise in measured magnetic flux density data based on analyses of noise sources in MREIT. We designed a low noise programmable current source with optical links, batteries and electromagnetic shields. We found that the new current source improves the output current SNR by about 10 dB and the MR magnitude image SNR by about 30%. We propose use of this low noise current source for in vivo animal and human MREIT imaging studies. The understanding of bioelectromagnetism governing Bz generation and its relation with MRI magnetic fields is required to produce to reconstruct conductivity from measured Bz. To understand the bioelectromagnetism of MREIT conductivity imaging, we designed a conductivity phantom for MREIT experiments. We built a stable conductivity phantom including hollow cylinder with holes. Filling both inside and outside the hollow cylinder with the same saline, we controlled ion mobilities to create a conductivity contrast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ion diffusion process. From numerical simulations and imaging experiments, we found that slopes of induced magnetic flux densities change with hole diameters and therefore conductivity contrasts. We performed in vivo disease model animal experiments to validate the MREIT technique in terms of its capability to produce a conductivity contrast corresponding to brain ischemia and abscess. The results indicate that MREIT conductivity images provide meaningful diagnostic information that is not available from other imaging modalities. We have validated its feasibility by performing conductivity imaging experiments of postmortem canine bodies. Reconstructed conductivity images of heart, kidney, prostate, and other organs exhibited unique contrast information hardly observed in other imaging modalities. We present the in vivo cross-sectional conductivity image of the human leg with 1.7 mm pixel size using the magnetic resonance electrical impedance tomography (MREIT) technique. Scaled conductivity images reconstructed by using the single-step harmonic Bz algorithm well distinguished different parts of the subcutaneous adipose tissue, muscle, crural fascia, intermuscular septum and bone inside the leg. We evaluated the feasibility of MREIT conductivity imaging in terms of its capability in detecting ablated lesions and differentiating tissue conditions in the liver radiofrequency (RF) ablation. The relative conductivity contrast ratios (rCCR, %) showed significant changes in ablation lesions by the increase of exposure time. This in vitro feasibility study demonstrates that current MREIT conductivity imaging can detect liver RF ablation lesions without using any contrast media and additional MR scans. We address MREIT conductivity contrast using various experiments in this thesis. For reduce the noise in magnetic flux density (Bz) data, we develop the low noise current source. Using a stable conductivity phantom including hollow cylinder with holes, we try to explain about MREIT conductivity contrast mechanism. We experimentally validated the possibility of MREIT clinical application through in vivo canine brain, postmortem canine body and in vivo human leg experiments. We also propose the other application of MREIT using a liver radiofrequency ablation lesion detection experiment. In future research direction, we suggest to improve the conductivity image reconstruction algorithm to handle the MR signal void phenomenon and to investigate how much imaging current can be safely injected into the human subject.

      • 메조코즘(mesocosm)을 이용한 갯벌의 생지화학적 변화 연구

        김영태 群山大學校 大學院 2005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번 연구는 인공 갯벌 연구 시스템인 메조코즘(mesocosm)을 국내 최초로 조성하여, 갯벌의 생태적, 지화학적 변화를 관측하고, 이 때 얻은 결과를 현장 자료와 비교함으로써 메조코즘의 갯벌 환경 재현이 현실적으로 타당한 것인지를 검증하였으며 더 나아가 인위적인 환경 교란(e.g., 갯벌의 완전 담수화를 통한 인공 호수 조성)에 의한 갯벌 생태계의 변화를 예측하였다. 메조코즘이란 인위적으로 조성한 갯벌 모형에서 자연 조건과 거의 유사한 생태 환경으로 운영하면서 갯벌 내 물질의 물리적, 생지화학적 특성을 연구하기 위해 야외에 조성한 실험 시설이다. 2002년 5월부터 2003년 5월까지를 제 1차 실험 기간, 2004년을 2차 실험 기간으로 정하여 메조코즘 연구에 착수하였다. 1차 실험 기간 동안에는 조간대 갯벌의 가장 중요한 물리적 환경 변수인 조석 순환을 반복하면서 영양염과 Chl-α의 거동에 대해 중점적인 연구를 수행하여, 갯벌의 이들 물질에 대한 기능을 조사하였다. 조석 순환 반복을 통한 갯벌의 기능을 조사한 결과, DIP, DIN, Chl-α의 분포에 대해 유입수 내 초기 농도의 높고 낮음에 상관 없이 메조코즘 내 갯벌의 수층(overlying water column)에서 제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1차 실험 기간 동안 얻은 결과값을 현장 조사 자료와 비교함으로써 메조코즘이 실제 자연 갯벌 환경을 합리적으로 재현하고 있는지 그리고물질의 생지화학적 순환도 자연 갯벌에서와 비슷한 패턴을 보이는지를 검증하였다. 우선 메조코즘과 실제 갯벌(RSST, RSFST)에서의 저서 생물(macrobenthos)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 생물 조사 전 기간 동안 세사질 퇴적물에서는 이매패류(Bivalvia)인 갈색새알조개(Glauconome chinensis)가 우점하였고, 미사질 퇴적물에서는 다모류인 참갯지렁이(Neanthes japonica)가 우점종이었다. 이처럼 퇴적물 채취 지역에 따라 세사질, 미사질 각각의 퇴적물에서 같은 생물종이 우점하는 것은 두 환경 즉, 인공적으로 조성된 메조코즘과 실제 갯벌간의 생태적인 환경이 동일하게 유지되고 있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생태학적인 안정성을 나타내는 종의 다양도 지수(Diversity)와 풍부도(Richness)에 있어서 현장 갯벌보다 메조코즘에서 더 높은 수치를 보였다. 이는 메조코즘 환경이 생태학적으로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갯벌 환경을 잘 반영하고 있다는 증거가 되고 있다. 두 번째로 메조코즘 내 환경인자와 영양염의 생지화학적 분포가 실제 해수(RSWQ)와 어느 정도의 유사성을 갖고 있는지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그 결과 염분과 부유물질(SS)을 제외한 대부분의 환경 인자와 영양염 항목들(Temperature, Chl-α, DIN, DIP)에서 메조코즘과 현장 해수 내 분포에 있어서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세 번째로 메조코즘과 여러 연안 갯벌 간 영양염 수지(benthic flux)를 비교하였다. 메조코즘 갯벌에서 DIP는 대부분의 계절 동안 수중으로 용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여름부터 가을 사이(7월 ~ 10월)에 그 경향이 가장 뚜렷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다른 조간대 지역에서 실제 측정된 기존 자료와도 유사한 범위의 값을 나타냈다. NH_(4)^(+)은 수주로의 공급과 제거가 거의 평형을 이루었다. 이것은 퇴적물 내부, 또는 표면에서 저서 조류가 NH_(4)^(+)을 더 선택적으로 흡수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DIN(NO_(3)^(-) + NO_(2)^(-) + NH_(4)^(+))은 여름철 7월부터 8월까지 약간의 용출 현상이 발견되었고, 그 이외의 조사 기간 동안에는 수중에서 제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메조코즘에서의 NH_(4)^(+)과 DIN의 저층 유동량도 기존 자료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2차 실험 기간인 2004년에는 메조코즘을 이용하여 갯벌에 담수를 유입하는 과정 중에 그리고 완전 담수화 이후 갯벌에서의 생지화학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담수화 실험군(FW-M-T, FW-NM-T) 내 식물플랑크톤의 천이 과정을 보면 연안 해수종, 기수종, 담수종으로 즉각적인 천이가 일어남으로써 새로운 환경에 맞는 식물플랑크톤으로 대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전체 실험 기간 동안 식물플랑크톤의 총개체수는 담/기수성 사상형(絲狀形) 남조류인 Phormidium sp.의 대량 증식에 의한 일시적인 Bloom을 제외하고는 매우 낮은 수준을 보였다. 동물플랑크톤의 총개체수에 있어서 담수화 실험군에서는 실험 중반까지 불규칙적으로 대량 증식이 발생하다가 그 이후에는 낮은 개체수를 보이는데 반해, 해수 실험군에서는 전반적으로 낮은 개체수를 유지하고 있었다. 담수화 이전인 3월 1일에 산출된 일차생산량은 담수화 실험군(FW- M-T, FW-NM-T)과 해수 실험군(SW-M-T) 등 세 실험군 간의 차이가 크지 않았다. 하지만 담수화가 진행되는 기간 동안, 담수 유입의 영향을 받은 실험군에서 일차생산량이 크게 감소하였다. 한편, 담수화가 완료된 이후 약 4달 동안의 일차 생산량을 산출한 결과 교반 담수화 실험군과 미교반 담수화 실험군에서 담수화 이전 상태로 회복되지 못하고 계속해서 낮은 일차생산량을 보였다. 이와 같은 시기에 해수 환경을 계속 유지한 실험군([SW- M-T])은 담수화 환경보다 2배 이상 높은 일차생산량을 보였다. 수주의 담수화 영향으로 공극수 내 염분이 10 psu 이하로 감소한 이후 5월 1일(담수 유입 63일 경과)과 5월 27일(91일 경과) 사이에 저서 동물 생체량의 급격한 감소가 발생하였고, 여름철(5월 29일과 7월 20일)에는 저서 동물의 구성 비율에도 변화가 생겼다. 늦봄과 여름 사이에 이매패류의 개체수는 최대 8분의 1 이하로 급감하였고, 다모류도 약 3분의 1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이로써 여름철 이매패류의 구성비는 겨울철에 비해 낮아졌고, 다모류의 구성비는 겨울 조사 때 보다 증가하였다. 담수화로 인한 수질 변화를 보면, 동절기에서 하절기로 계절이 바뀜에 따라 온도 상승에 의한 DO와 pH의 급격한 감소 현상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교반 담수 실험군(FW-M-T) 보다는, 특히 미교반 담수 실험군 (FW-NM-T)에서 매우 뚜렷하게 나타났다. 또한 DIP의 경우도 미교반 담수 실험군에서 훨씬 많은 양이 용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담수화 실험 기간 동안 갯벌 퇴적물이 NO_(3)^(-)에 대해서는 제거지(sink)로써, 그리고 DIP에 대해서 잠재적인 공급원(source)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를 통해 획득한 갯벌 환경에 대한 기초 자료는 인공 담수호의 수질을 회복 또는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연안 환경에서 야기되고 있는 여러 환경 문제(연안 해양 생물 폐사, 부영양화, 적조 발생 등)를 해결하거나 그 대책을 강구하는 데 있어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For the first time in Korea, an artificial tidal flat ecosystem, mesocosm, has been established to investigate natural tidal flat environment. A mesocosm was constructed outdoors to simulate in situ physical and chemical environmental conditions of natural tidal flat as much as possible. Biogeochemical behaviors of various substances of interest in the mesocosm, particularly nutrients, are intensively monitor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natural counterpart. Furthermore some environmental consequences by the human impacts on the tidal flat has been studied. The mesocosm experiment has been executed for two steps; 1st step (May 2002 to May 2003) and 2nd step (February to August 2004). The main theme of the first step was focused on the operation of the mesocosm with semi-diurnal tidal motions. The main topic of the second step was emphasized on the biogeochemical changes due to the freshwater introduction into tidal flat. Through the first step, the concentrations of DIP, NO_(3)^(-), NO_(2)^(-), NH_(4)^(+), and Chl-α decreased compared to initial concentrations of newly introduced seawater into the water column of the mesocosm. These results suggest a strong influence of tidal motion on the fates of nutrient. Simultaneously a promoted DIP out-flux from July to October 2002 was found. none the less any particular spikes for NH_(4)^(+) and DIN (mostly NO_(3)^(-)) were not present through the studied period. Intensively collected data of the first step were in general agreement with the in situ field measurement; the annual cycles of nutrients and Chl-α in water column and benthic nutrients fluxes (DIP, DIN, NH_(4)^(+) etc.). Also identical distribution (dominant species, composition etc.) of benthic macrofauna were found. This suggests that mesocosm be able to successfully simulate the environmental situations of natural tidal flat. In the second step of the experiment from February to August 2004, the topic was focused on the biogeochemical variations of superficial water and porewater after introduction of freshwater into the mesocosm. Three experimental conditions of mesocosm were as follows; SW-M-T: maintaining constant salinity of approximately 20 psu; FW-M-T: full introduction of freshwater into the mesocosm with mixing of water column; FW-NM-T: full introduction of freshwater into the mesocosm without mixing of water column. Over 162 days of the experimental periods, diverse phenomena were observed; active succession of phyto- and zooplankton, decrease of primary production, mass extinction of macrobenthos, and up and down of water quality parameters (DO, pH, DIP, NH_(4)^(+), NO_(3)^(-)). After the freshwater introduction, successions of phytoplankton have been observed from neritic to freshwater via brackish species, but the total biomass of phytoplankton has been kept low. Only an algal bloom of filamentous blue green algae Phormidium sp. was observed. Very low biomass of zooplankton was present probably due to the severe grazing by benthos in SW-M-T, but much higher abundance was found in FW-M-T and FW-NM-T. For FW-M-T and FW-NM-T, primary production decreased to less than half of the seawater condition and such situation has been continued through the experiment. Mass extinction of benthic macrofauna appeared between the 63th and 91st day of freshwater introduction in FW-M-T and FW-NM-T. For this period, the key parameter was found drastic decrease of porewater salinity from 20 psu to less than 10 psu. Simultaneously species composition of benthos has been changed; 7/8 of bivalves and 2/3 of polychaete disappeared in the sediment. Evident decrease of DO and pH in water column of FW-NM-T was found as the temperature rises, as a consequences, active release of DIP was also observed. This study suggests that sediment function as a potential source of DIP, but a sink of NO3-, especially during spring and summer. From the result of this work, a traditional remedy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for a freshwater reservoir could be still effective for a future reservoir made from the freshwater storage on the top of a tidal flat. Also diverse, useful informations from this work will be widely applied to solve imminent environmental problems in coastal zones, such as frequent mass extinction of coastal living organisms, eutrophication, and red-tide explosions.

      • CHARM, COSHH Essentials, 측정 자료를 이용한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공정 근로자들의 스티렌 노출 위험성 평가 비교

        김영태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Under the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Act in Korea, the regulation on the risk assessment came into effect in 2013. Recently, the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KOSHA) developed a new risk assessment tool, Chemical HAzard Risk Management (CHARM). CHARM is a web-based qualitative risk assessment tool similar to the Control of Substances Hazardous to Health (COSHH) Essentials model developed in UK. As CHARM has not been evaluated for its validity, this study compared CHARM with the COSHH essentials model and full shift exposure measurements of styrene in fiberglass reinforced plastics (FRP) processes. We analyzed a total of 155 personal sampling data of styrene from 21 workplaces with FRP laminating processes. Information of major parameters that may influence on the exposure level such as business type, usage amount of unsaturated polyester resins containing styrene, styrene content, operation status of ventilator and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wearing were also used.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Average airborne concentration of styrene in 21 workplaces ranged from 3.1 ppm to 38.38 ppm. There were 15 workplaces (71.4%) exceeding the occupational exposure limit of styrene. 2. Hazard band was B and the exposure predictor band (EPB) was 3 for all of 21 workplaces based on the COSHH essentials model. Predicted exposure range (PER) was 5-50 ppm and the control strategy (CS) was 2 in all cases. Average concentrations were within the PER except for 2 workplaces. 3. CHARM hazard results coincided with that of the COSHH essentials model as B. Nevertheless, exposure levels were different with 2 points in 6 workplaces that had a ventilation system. 4. Risk assessment results averaged 10.7 for CHARM without measurements and 11.4 for CHARM with measurements. 5. Risk assessment results from the COSHH essentials and CHARM without measurements tended to be lower than CHARM with measurements results. CHARM, Risk assess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