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헤겔의 세계의 밤과 사이버자아

        최일규(Choi, Ill-Guy)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2018 현대정신분석 Vol.20 No.2

        이 글의 목적은 제4차 산업혁명을 통해 한국 사회가 직면하게 되는 두 종류의 밤과 같은 세계를 분석함으로써 도래할 포스트 휴먼 시대에 인간의 위치와 주체성의 의미를 조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첫 번째 밤은 사이버공간에서 인공지능의 작동방식이 비가시적이어서 형성되는 세계이다. 두 번째 밤은 서양 사상사에서 세계의 밤으로 비유되던 인간 정신의 본질과 관련된 세계이다. 제4차 산업혁명은 지능형 디지털 기술에 기초해서 인간과 인간, 인간과 비인간, 비인간과 비인간이 총체적으로 상호 연결되어 제품의 생산 조건, 개발, 제조, 유통 및 유지보수가 자동화되고 지능화되는 경제 및 사회적 구조를 지향한다. 이러한 새로운 물리적 초연결 네트워크와 그것에 의해 형성된 사이버공간에서 인간은 빅데이터를 유일하게 처리하며 어떤 판단과 선택을 할 수 있는 인공지능과 관계를 맺으며 주체로서 스스로를 정립할 수 있을까? 필자는 이 글에서 헤겔의 인간학에서 생명과 몸이 단순한 보편성인 혼에 의해서 규정되는 방식을 살펴봄으로써 사이버자아의 정체성을 규정하고 본래 자아와 반영적 대리자로서 사이버자아의 올바른 관계 설정을 시도하였다. 사이버 자아의 정체성과 관련하여 필자는 주체성을 가지고 있는 것은 생명을 가지고 있다는 헤겔의 입장에 따라 사이버 행위자들은 적어도 생명체가 행하는 자기 부정적 자기 관계를 가질 수 없기에 주체로서 인정될 수 없다는 것을 명료히 하였다. 둘째로 본래적 자아와 사이버자아의 올바른 관계와 관련하여 성숙한 헤겔이 수동적 이성 또는 정신의 숙면으로 파악한 것을 사이버자아로 확대 적용하였다. 즉 헤겔이 자연적 혼을 정신의 소질(Anlage)로서 그리고 정신을 혼의 발전형식(Entwicklungsform)으로서 간주한 것처럼 사이버자아를 인간이 가지고 있는 자연적 소질의 발전형태 중 하나로 간주할 것을 제안한다. This paper aims to clarify the meaning of human position and identity by analyzing two kinds of night of the world facing Korean society throug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first night of the world is a world formed in cyberspace because the way artificial intelligence operates is hidden. The second night is a world related to the nature of the human spirit, which was compared to the Night of the World in Hegel’s philosophy. The night of the world in Hegel’s anthropology means the sleep of the mind or a state of the soul, which is possibly everything. This paper examined with Hegel’s concept of the Night of the World the causes of the loss of identity and isolation of human in the physical hyper-connected network and the cyberspace formed by it. It is methodically asked whether the night of the world as the soul can become a cyber self acting in cyberspace, if it is possibly everything. This paper discusses and demonstrates that the night of the world as the soul can be interpreted as cyber self acting in cyberspace, if the duality of the soul is here highlighted. It is the soul that has an internal connection with nature as a form of universality. The animal soul can be regarded as anlage and the mind as an Entwicklungsform of the soul. It is shown that cyber self acting in cyberspace can be understood as an Entwicklungsform of mind.

      • KCI등재

        사이버공간의 지배원리와 인간행위

        박창호(Chang Ho Park) 한국사회이론학회 2007 사회이론 Vol.- No.31

        이 글은 사이버공간의 지배논리와 인간행위에 대한 해석을 목표로 하고 있다. 베버에 따르면 인간행위는 근대사회에서 점진적으로 합리적 행위로 된다고 보았다. 아주 포괄적인 의미에서 인간행위는 맹목적으로 전통적이거나 감정적이라기보다 사려있고 의식적인 경향을 보이는 경우가 더 많아지고 있다. 그러나 사회적 행위가 점증적으로 합리적이라고 하더라고 사이버공간에서 합리적이라고 보긴 어려운 부분이 있다. 개별 행위자들의 주체적 합리성은 전형적으로 새로운 인간관계의 출현과 더불어 발전하지 않고 있다. 고도로 분절된 사이버공간의 사회질서에서 대부분 인간행위는 명료하지 않은 반의식적이거나 전혀 의식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행해지고 있으며 충동과 습관에 의해 지배되고 있다. 인간행위가 근대사회에서는 국가에 의해 통제되어졌다. 그러나 사이버공간에서는 인간자유의 한계를 깨어버리는 보다 자유로운 공간이 될 개연성을 가지고 있다. 그 이유는 개별 행위자들의 사고와 행위 방식을 드러냄에 있어서 열려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과연 사이버공간은 자유로운 공간인가 혹은 합리적인 공간인가 하는 것에 대해서는 의문을 가지게 되는데, 그것은 여전히 폭력적인 부분이 있기 때문이다. 폭력은 타인의 자유를 제한할 수 있다. 그렇지만 그것을 지배원리로 보았을 때 지배 피지배의 관계로 본 부르디외의 시각과는 다른 것이다. 그저 사이버공간에서의 취향 차이이긴 하지만, 부르디외식의 계급화로 보아서는 안 된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이글은 사이버공간의 지배원리와 인간행위가 현실공간에서의 그것과 같을 수 없음을 보여주고자 한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interpret the logic of dominance and human action in cyberspace. According to Weber, human action is becoming increasingly rational in a inclusive sense of the modern society. In a growing range of situations, human action tends to be deliberate and self-conscious rather than unquestioningly traditional or blindly emotional. However, even though social action is increasingly rational, it is not predominantly rational in cyberspace. The subjective rationality of individual action in cyberspace does not typically progress along with the appearance of new human relations. In a highly fragmented social order of cyberspace, most action happens to take place in a state of inarticulate half-consciousness or actual unconsciousness of its subjective meaning and is governed by impulse or habit. Some such actions are concerned with the expansion of human freedom. Human`s freedom was controlled by the state in modern society. In a sense, cyberspace has helped to break down some of the limitation of human`s freedom, because cyberspace is a kind of free space for individual subjects to express their way of thinking and acting. In spite of that, it is wondered if cyberspace is a free space or not. Some human actions in cyberspace cause violence to individual subjects of human action in the name of anonymity. However that violence is different from that of modernity because it cannot produce both the ruled and the ruling. The causes of violence in cyberspace may be attributed to the different tastes of collective actors. Therefore it should not be considered that a kind of class distinctions.

      • KCI등재

        사이버 공간의 놀이에 대한 윤리적 고찰

        김대군 ( Dae Gun Kim ) 한국윤리교육학회 2007 윤리교육연구 Vol.0 No.12

        본 논문은 사이버 공간이 갖는 놀이적 성격에 대해 분석을 했다. 오늘날 사이버 공간은 일의 공간이기도 하고 놀이의 공간이기도 하다. 현실공간에서의 일을 사이버 공간에 들어가서 하기고 하고, 사이버공간의 일을 현실로 연장시켜 이루어나가기도 한다. 현실공간에서 놀이가 사이버 공간에서 고스란히 펼쳐지기도 하고, 사이버 공간의 놀이가 현실로 연장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사이버 공간은 일과 놀이의 공간이기는 하지만 본 논문에서는 놀이공간으로서 사이 버 공간에 대한 분석에 초점을 맞추었다. 사이버 공간을 새로운 놀이판으로 보고, 사이버 공간에서 놀이하는 존재를 ``가상놀이 하는 인간``으로 규정지었다. 가상놀이 하는 인간의 본질을 규명하고, 사이버 놀이공간의 성격을 분석했다. 놀이판으로서 사이버 놀이공간은 놀이하는 인간들에게 쾌락을 제공함으로써 유인한다. 가상놀 이 하는 인간이 됨으로써 결국 잉여쾌락에 몰두함으로써 비극을 초래한다. 본 논문에서는 가상공간의 쾌락성과 비극성을 놀이와 관련시켜 조망했다. 다음으로 사이버공간에서의 놀이가 갖는 비윤리성을 기존의 윤리원칙으로 진단하고, 새로운 가상 놀이판의 윤리성 추구는 무엇보다 개인의 예의 갖춤이 바탕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했다. 혼자 있을 때에도 흐트러지지 않는 자세를 갖는 것이 예의 기본임을 결론적으로 주장했다. 사이버공간의 놀이적 성격으로 볼 때, 예와 악의 조화가 가상놀이 하는 인간의 삶을 윤택하게 할 것이며, 이것이 무너질 때 가상공간은 새로운 해악을 가져다주는 적대적인 공간이 될 것임을 본 논문에서 살펴보았다. 사이버 공간에서 놀이가 윤리적이기 위해서는 기존의 윤리원칙들에 부합되지 않는 놀이들에는 제도적 제한을 가해야 하겠지만, 근본적인 대책은 가상놀이 하는 인간들의 자기절제력을 길러주는 것이 되어야 한다고 봤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mo Ludens`` in cyber space. In this paper, cyber space presumably refers to the space where netizens play. Cyber space provides us various opportunities to enjoy the games. The Homo Ludens in cyber space act in two ways. First, they do ``role play`` in the cyber space. While participating in the play, the players experience virtual reality. They can change freely their identity. Second, they are disposed towards jouissance(surplus pleasure). They spend too much time on-line just to get pleasure from cyber sex and so on. Excessive play on the cyber space may be problematic in most cases. The players are addicted to cyber play. The core components of addiction are salience, mood modification, tolerance, withdrawal, conflict and relapse. Therefore, establishing an ethical standard on cyber play is very important. I tried to present ethical standards on cyber space play. I reviewed cyber play from applied Beauchamp`s principle. After then, I suggested some play ethics based on Confucianism. I think self- regulation is more important than external regulation. We have to recover the spirit of Confucian Li in the cyber play space. The spirit of Confucian Li can be a touchstone in establishing cyber ethics.

      • KCI등재후보

        사이버 문화와 인간 개념의 변화

        신순철 한국소통학회 2007 한국소통학보 Vol.7 No.-

        전통적으로 인간커뮤니케이션학(學)은 인간의 커뮤니케이션 행위나 현상에 많은 관심을 두었으나 그에 비해 인간 자체의 의미에 대해서는 심도 있는 관심을 두지 않았다. 그러나 점차 과학과 기술이 발달하면서 인간의 실존적 조건과 인간에 대한 이해에 큰 변화가 생겼다. 이러한 사이버시대에 인간에 대한 본질적인 의문은 인간커뮤니케이션 학이 심도 있게 다뤄야 할 과제라 하겠다. 본 연구는 인간을 정의함에 있어 자아의식과 인격을 지닌 인간종으로 정의한 맥콜의 학설을 수용하면서 부가적으로 사이버시대에는 기억-신체동일성 원칙과 출생-성장 경험 원칙을 제시한다. 그러한 기준에서 복제인간, 사이보그 등도 인간커뮤니케이션의 주체로서의 인간으로 인정해야 할 것인지를 사고 실험해 보았다. Human communication studies, traditionally, put more emphasis on communication as human behavior or phenomenon rather than on human per se. It is somehow natural consequence of comparatively simple communication environment and the meaning of human of past era. However,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s no longer justify the simple understanding on communication as well as human per se. This study basically defines human as human being with self-consciousness and person, in addition, proposes the principle of coherent memory. Based on these, thought experiments have been conducted to answer if cloned human and cyborgs are human as the subject of human communication.

      • KCI등재
      • KCI등재

        「사이버 펑크 2077」에 나타난 사회적 증상으로서의 ‘사이버 사이코시스’

        정치훈 ( Jeong Chihun ) 한국언어문화학회 2023 한국언어문화 Vol.- No.82

        사이버 펑크 장르는 과학 기술이 고도로 발달한 사회를 그리는 한편, 자본주의 체제의 극단을 담아낸다. 「사이버 펑크 2077」 역시 장르적 특성을 공유하면서 독특한 설정이 추가되는데 바로 ‘사이버 사이코시스’라는 가상의 정신병이다. 본고는 「사이버 펑크 2077」에 나타나는 ‘사이버 사이코시스’가 지닌 의미에 대해서 살펴본다. 사이버 웨어는 신체 강화와 다양한 기능을 활용할 수 있게 하지만 ‘인간성’소비가 뒤따른다. 과도한 장착은 인간성 상실로 이어지며 결국 ‘사이버 사이코시스’가 발병한다. 본고에서는 ‘사이버 사이코시스’와 ‘인간성’의 관계를 통해 상징적 질서 체제의 작동 원리를 파악하는 한편, ‘V’를 통해 ‘왜상(歪像)’의 지점을 살펴본다. The cyberpunk genre depicts a society with highly developed science and technology, while also capturing the extremes of the capitalist system. 「Cyberpunk 2077」 also shar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genre but adds a unique setting: a virtual mental illness called ‘cyber psychosis.’ This paper examines the meaning of ‘cyber psychosis’ that appears in 「Cyberpunk 2077」. Cyberware allows physical enhancement and various functions, but it comes with the consumption of ‘humanity’. Excessive installation leads to loss of humanity and eventually causes ‘cyber psychosis’. In this paper, we understand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symbolic order system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cyberpsychosis’ and ‘humanity’, while examining the point of ‘anamorphism’ through ‘V’.

      • KCI등재후보

        21세기 과학기술법의 과제

        손경한,박진아 法務部 商事法務課 2007 선진상사법률연구 Vol.- No.37

        21세기 지식정보사회는 이미 인간사회와 생활의 중추적 요소로 자리 잡은 과학기술의 사회적 함의를 정확하게 이해함으로써 법제도와 과학기술간의 상관관계에 관한 끊임없는 성찰이 필요한 시대라 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발전하는 과학기술을 위축시키지 않으면서 어떻게 부작용 없이 법제도로 수용할 것인가를 검토하여 과학기술을 십이분 이용하는 법제의 연구가 필요하다하겠다. 본고에서는 먼저 과학기술과 사회 및 법 간의 관계와 과학기술법의 개념과 범위에 대하여 고찰한 후, 과학기술법이 해결하여야 할 과제로서 다음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첫째, 인간복제, 휴먼로봇, 사이버인간과 같이 인간의 존엄성에 도전하는 과학기술에 대응하여 인간의 존엄과 가치를 지키는 법제도로서 생명윤리에 관한 법제도, 휴먼로봇의 통제를 위한 법제도, 사이버인격에 관한 법제도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둘째,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개인정보와 프라이버시(privacy)가 침해되기 쉬운 상황이 도래하였는바 이에 대응하여 프라이버시권보호법제와 사적정보보호법제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특히 정보통신기술과 생명공학기술 등 여러 첨단기술들이 결합되면서 사적정보가 공유되어 발생하는 사적정보의 침해문제에 대한 법적 대응방안을 마련하는 것도 앞으로의 큰 과제임을 언급하였다. 셋째, 원자력에너지와 화학물질의 개발과 유전공학의 발달 등으로 인간의 건강과 안전에 대한 위협의 증가에 대응하여 인간의 건강과 안전을 지키는 법제도로서 위험기술이용을 통제하고 위험의 제거와 감소를 위한 법제도, 환경보호기술법제가 필요함을 들었다. 넷째, 과학기술사회에 진입하면서 전통적인 지적재산권제도가 커다란 위기에 직면하고 있는바 지적재산권을 적절히 보호하는 법제도를 마련하기 위한 과제를 고찰하였다. 그 밖에도 기술표준화와 독점의 통제, 과학기술법의 세계화에 관하여도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We live in the 'Society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of the 21st century. Such society requires we accurately understand the social import of the science and technology that became one of important factors of human society and life and then we deliberate on a correlation between the legal system and the science and technology continuativel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a correlation between the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law, to consider a definition and the scope of the law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to explore its challenges in the 21st century as follows: First, the authors carefully considered those legal problems for protecting the dignity and the value of human beings from the threats of science and technology with respect to the human cloning, the human-shaped robots, and the identity problem of human beings in the cyberspace, etc. These legal tasks are concerned with the life ethics, the control of human-shaped robots and the personality in the cyberspace. Secondly, we now live in an era when the Information Technology has so developed that one's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privacy rights can easily be infringed. Faced with those threats, the authors gave a careful consideration on the legislations to protect the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privacy rights. Thirdly, the developments of the nuclear power, new chemical compounds alien to humans, and the genetic engineering have been threats to the health and the safety of human beings. As an effort to find a solution to overcome such problems, the authors suggest, as a future task for all of us, to enact laws to control the use of dangerous technologies, thereby decreasing or hopefully, utterly removing such threats, and to develop environment-protective technologies. Fourthly, because as we are entering into the society of the new science and technology, the existing intellectual property laws are confronted with a crucial moment of challenges, the authors propose to establish a new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system, rather than merely amending the existing intellectual property system. Finally, the authors reviewed conceivable legal problems regarding the technology standardization, the regulation on the monopoly as well as the globalization of the law of science and technology.

      • KCI등재

        사이버시대의 인격과 도덕에 대한 철학적 접근

        신순철(Soon Chul Shin)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08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25 No.2

        사이버 시대에는 정보의 실체화로 인해 사회적 책임과 권리에 대한 문제가 빈발한다. 이에 대해 심신이원론을 부정하고, 인격을 사회적 권리와 책임의 주체로 보아야 한다는 김선희의 연구는 유의미하다. 그러나 김선희의 주장 가운데 인간의 몸과 두뇌를 구성하는 질료를 중요하게 판단하지 않는 점, 비인격체도 몸과 두뇌의 유기적 통합이 충족되면 인격체로 보는 점, 사이버 공간은 도덕 공동체가 되기 어렵다는 점은 그가 제시한 전제와 모순된다. 본 논문은 심신이원론을 부정한다는 것은 질료를 중요하게 판단할 수밖에 없다는 점, 비인격체는 어떠한 변화를 겪어도 인격체가 될 수 없다는 점, 사이버 공간도 물리 공간과 마찬가지로 도덕 공동체의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는 대안을 제시한다. One of the most distinguished characteristics in cyber era is incarnation of information which derives the issues on social responsibility and rights. Kim Sun-Hie rejects mind-body dualism, the uniqueness of material elements of human brain; proclaims that the organic unification of the body and the brain turns non-person into a person, and concludes that cyber space hardly can be a moral community. This paper interrogates Kim’s ideas; mind-body dualism can be rejected only when the uniqueness of the human brain is granted, non-person cannot be turned into a person no matter what happens, and finally, cyber space can be as moral as physical world.

      • 밝은사회 사이버클럽의 활성화 방안

        이환호 慶熙大學校 밝은社會問題硏究所 2002 밝은社會硏究 Vol.23 No.1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of the 18th century, the rapid advance of science and technology has brought about all modern conveniences and benefits, but there are inevitable side effects that do harm to humankind. The excessive pursuit of pragmatism and materialism that followed the Industrial Revolution has caused the degradation of morality and humanity with a decrease in the sense of altruism and integrity of humankind, even to the extent as to cause human alienation. Contemporary society tends to be described as the era of self-effacement, uncertainty, materialism, Mammonism, egoistic individualism, dehumanization, and human alienation, which may stem from the uncertainty and unstable situation of our future society. such words are also intentionally used by some scholars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the establishment of new values that focus on the rediscovery of human dignity and morality. The GCS Movement aims at the establishment of Oughtopia as a means of the reconstruction of human society with a human-centered emphasis by reversing the phenomena of dehumanization caused by the side-effects of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 GCS Movement is carried out through a systematic club organization with its network of national or regional chapters and local clubs in over 40 countries. Today our society is called an information society as great progress is being made daily in the flow of information. Accordingly, on-line programs in cyber space through the internet have emerged as an important tool. In this respect, the vitalization of the GCS cyber-movement is as important as off-line GCS Club activities for the overall progress of the GCS Movement. Based on this idea, vitalization of the GCS cyber-club is emphasized as follows: Firstly, this paper focused on the necessity of GCS cyber-club activities in connection with democratization, internationalization, humanization, and welfarization as the principles of this era. In addition, this paper observed the direction of our life as it is influenced by a mass society and seeks for the possibility of building a human-centered society. Secondly, the statistics of GCS cyber-membership were observed. The significance of cyberspace and the implications of the GCS cyber-club were explained. With the statistics of the GCS cyber-membership, prospects for the GCS cyber-movement were analyzed. Thirdly, this paper examined the possible ways of vitalization of the GCs cyber-club activities. These were examined in two categories between adult cyber-club and youth cyber-club. As a means of management and maintenance of the GCS cyber-chatting corner, regular contact with cyber-members and the establishment of a cyber-working committee were developed. In addition, practical programs of on-line activities were introduced and some of them include the publication and distribution of a cyber-newsletter, practice of cyber-movements such as eliminating harmful websites and using decent and rpoper words in cyber space, enactment and practice of guiding principles in the cyber world, on-line joint projects through networking among like-minded NGOs, various on-line events and award presentations, the establishment of on-line bulletin boards for reporting, and the establishment of a cyber legal information center. Lastly, some suggestions were made to vitalized the GCS cyber-club as follows. One is to establish and manage an organizational structure in charge of the GCs cyber-movement. This organizational structure may include the department in charge of cyber-club oranization and its expansion, the department in charge of cyber-movement and projects. The vitalization of the GCS cyber-club can be expected in conjunction with the promotion of the off-line GCS Movement. In this sense, the GCS cyber-movement can be enhanced with more active off-line programs such as consoldation and expansion of GCS clubs, more active participation of club members in various GCS programs, and execution of various GCS projects. In addition, the GCS cyber-movement will gain momentum with increasing recognition of the status of existing GCS clubs. When the GCS Movement is promoted by mass media, in work places of club members and various organizations vitalization of the GCS cyber-movement will be influenced by these external factors. The vitalization of the GCS cyber-movement cannot be attained in a short time. When all parties concerned such as GCS Club members, cyber-members, and GCS secretariat cooperate together, there will be good results in the vitalization of the GCS cyber-movement. Therefore, both GCS Club members and cyber-members should do their utmost to promote the GCS cyber-movement with the lofty mission of the reconstruction of human society by overcoming all negative phenomena resulting from the negative side-effects of the material civiliz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With the active participation of both GCS members and cyber-members for this purpose, the expansion and consolidation of the GCS Movement both off-line and on-line will be actualized and the GCS Movement will spread around the world. With this achievement, we can expect the realization of a Global Common Society which GCS members are anticipating as a desirable society which is spiritually beautiful, materially affluent, and humanly reward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