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선교현장 이해를 위한 민족지 고찰

        이현주 ( Lee Hyun Joo )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17 복음과 선교 Vol.38 No.-

        본 연구는 문화인류학의 한 분야인 `민족지(民族誌, ethnog-raphy)`가 선교현장의 문화를 이해하는데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감당하는지 고찰하였다. 민족지는 그 민족이 유지해온 사회의 문화와 전통, 언어 등을 현장에서 직접 조사, 연구하는 질적 연구방법론 중 하나다. 선교에서 민족지의 활용이 중요한 것은 선교사들에게 선교현장의 문화이해가 필수적이고, 철저한 사전조사는 문화 충돌을 예방하는 역할을 감당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문화변혁 속도가 빠른 21세기 사이버 시대에는 4차 산업혁명에 발맞춘 민족지 연구 영역의 확대와 변화를 통해 미래의 선교전략을 수립해야 할 과제를 안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안타깝게도 역사의 한 시기에 기독교는 서구 제국주의 식민정책을 토대로 복음을 전파한 바 있다. 선교현장에 대한 전 이해가 부 재한 상태에서 진행된 선교 사역에서는 선교지 문화를 미개한 것으로 치부한 서구 선교사들의 오만으로 인해 복음의 정착을 가로막았으며, 토착화에 따른 신앙의 변질 등 부작용을 초래했다. 또한 선교 현장의 문화를 지나치게 존중한 무비판적 `수용`은 혼합주의와 다원주의라는 선교신학적 문제를 야기하고 말았다. 이런 현상에 대해 문화인류학자 폴 히버트(Paul G. Hiebert)는 `비판적 상황화`를 통하여 선교현장의 전통과 기독교 전통을 지혜 롭게 접목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조언하고 있으며, 이후 많은 선교사들은 선교현장에 대한 이해를 통해 기독교 전통을 현지 문 화에 적용하는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 오늘날 선교사 파송 2위의 선교대국인 한국교회가 파송 선교사 숫자에 비해 큰 결실을 맺지 못하는 이유 중 하나로 민족지 연구의 부족을 꼽을 수 있다. 한국교회 선교사들은 선교지를 결정할 때 기도와 계시에 의존하거나, 단기선교의 짧은 경험에 기대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미 서구 선교단체들은 전략적으로 선교지를 정하고 그곳에 리서치 전문가를 우선적으로 파송하여, 1년 정도 현지인들과 함께 생활하면서 그들의 문화와 전통을 이해하는 민족지 연구를 통해 선교 전략을 수립한 후에 선교사를 파송한다. 이러한 차원에서 민족지 연구를 한국교회의 선교사 파송 시스템에 적극 적용할 필요가 있으며 민족지 연구가 선교사들의 시행착오를 줄여나 갈 수 있다는 점에서 추천할 만하다. 본 연구는 선교에 있어 타문화 이해의 중요성과 민족지 연구 사례, 민족지를 활용한 선교 모델에 대해 살핀 후, 민족지 연구를 통한 선교전략을 고찰하였다. 선교는 `전략`이 중요하다. 복음이 닿지 않은 미전도 종족들은 물론 복음을 거부하는 21세기의 인류까지 선교의 대상은 포괄적이고 방대하다. 한국교회의 선교가 민족지 연구를 통해 더욱 체계적이고 풍성해질 때, 선교의 효율성도 증대한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consider the importance of the ethnography, a branch of the cultural anthropology, to understand cultures of mission fields. Ethnography is one of the qualitative methods to survey and research directly in the field the cultures, traditions, and languages etc. which a people has kept throughout the history. Applicating ethnography to mission is important because understanding cultures of mission fields is necessary to the missionaries and thorough preliminary investigation would prevent cultural clash. Moreover,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in the cyber age of 21<sup>st</sup> century with radical cultural transformation we are facing a call to establish mission strategies for the future by enlarging and changing the range of the study of ethnography in accordance wit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Regrettably, Christianity in the past has transmitted the gospel with Western imperialistic colonialism. But in the process of missionary works done without any preunderstanding of mission fields, the arrogance of Western missionaries regarding cultures of the fields as to be uncivilized not only blocked settlement of the gospel but also resulted in spoiling the Christian faith on the one hand. On the other hand, uncritical `acceptance` respecting the cultures immoderately has brought about Missiological issues such as syncretism and pluralism. For these trends cultural anthropologist Paul G. Hiebert has advised there should be an effort to combine wisely traditions of the fields and the christian ones by `critical contextualization`. And then many christian missionaries have attempted constantly to applicate christian traditions as well as traditions of the fields through understandings of the fields. Whereas Korean church send secondly largest number of missionaries overseas today, their works do not bear contentable fruits compared to the number. This may be ascribed mainly to the lack of the study of ethnography. Korean missionaries tend to choose their fields either referring to prayer and so called revelation arbitrarily, or depending on poor experience of short term vision trips. Western mission agencies, however, usually select tactic field and dispatch a specialist in research at first, who try to understand cultural traditions and find best mission strategies for the field living there with natives about a year, and then send a missionary. In this sense, the study of ethnography shall be applied actively to the missionary sending system of the Korean church, and suggested to reduce trial and errors of missionaries. This study examines at first hand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other cultures, examples of the study of ethnography, and missionaries applying it, and then seek to find out mission strategies which can be established through ethnographical researches. Mission demands suitable `strategy`. From non-evangelized people who has nver heard the good news to human race of 21<sup>st</sup> century who would refuse gospel including the non-evangelized, the target of our mission is not only comprehensive but vast. Korean church has to remind that while her mission would be more systematic and rich with the study of ethnography its efficiency maybe increased accordingly.

      • KCI등재

        ‘재일조선인 1세 여성’ 라이프 스토리와 자기/민족지적 욕망 - 다큐멘터리 영화 <해녀 량상>과 <하루코>를 중심으로 -

        조은애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18 사이 Vol.25 No.-

        This paper analyzes the documentary films Haruko and A Diver Ms. Ryang through the term “auto/ethnography”. Both films, released in Japan in 2004, utilize the images of “the first-generation Korean woman in Japan” recorded by “the second-generation man” in the 1950s and 1960s retrospectively. In both films, ethnography (in the sense of Japanese producer’s description about Koreans in Japan) and autoethnography (in the sense of describing Koreans’ own culture) do not exist independently or individually, and the perspective of the describer is also not clearly distinguished. This phenomenon is caused by the fact that both films constitute a hierarchical narrative with various ethnographic descriptions in common. In this paper, I appropriate that kind of narrative as “auto/ethnography”, paying attention to relations between various textual activities. The subjective origins of ethnography are revealed by autoethnography in which people who were formerly the subjects of ethnography undertake to describe themselves ethnographically in the postcolonial situation. The black-and-white images of both films taken by a cameraman from the League of Artists of Koreans in Japan (Munyedong) from the late 1950s to the mid-1960s, on the one hand, are tied to the context of the collective practice of visual culture of the league. On the other hand, however, they are an attempt to separate themselves from that context. In this paper, I trace the process in which the facial images of two female characters, highlighted in sequences of the “return to North Korea” (Kuiguk or Puksong) of the films, are (de)semantized, in order to illustrate how these images appropriate the subjective origins of ethnography and how they are re-appropriated in the perspective of contemporary Japanese society. Next, in order to examine the ways in which the “past” and the “present” are structured in A Diver Ms. Ryang and Haruko, I try to read them focusing on the “movement of translation” and the “auto/ethnographic desire”, respectively. Finally, by not overlooking their own desire for narration associated with their familiar sense in the voices of the female characters, regardless of narrative completeness or intention, we can see the potential of “counter narratives” that work in the blind spots of the chain of “auto/ethnography”, or of the “memorial project” that regards the “first-generation Korean (women) in Japan” as the subject of “self-anatomy” of the second generation or the “category” of Japanese society. 이 글은 1950-60년대에 ‘재일조선인 2세 남성’에 의해 촬영된 ‘재일조선인 1세여성’의 이미지를 ‘현재’ 일본사회의 관점에서 회고적으로 활용하는 두 편의 다큐멘터리 <해녀 량상>(2004)과 <하루코>(2004)를 ‘자기/민족지’라는 용어로 분석하고 있다. 두 영화에서 (재일조선인에 관한 일본인의 기술이라는 의미에서의) 민족지와 (재일조선인이 스스로 자신의 문화를 기술한다는 의미에서의) 자기민족지는독립적이고 개별적으로 존재하지 않으며 그것을 기술하는 관점 또한 명확히 구분되어 있지 않다. 그것은 두 영화가 공통적으로 복수의 민족지적 기술에 의한 중층적 서사를 이룬다는 데서 유래한다. 이 글에서는 그러한 두 영화들에서 간과될 수있는 다양한 텍스트적 행위들의 관계와 결절에 주의를 기울이며, 그러한 중층적서사를 ‘자기/민족지’라는 용어로 전유한다. 민족지의 주관적 기원이 자기민족지에의해서야 드러나며 그것은 과거 민족지의 대상이었으나 포스트콜로니얼 상황에서자신의 문화를 민족지적으로 기술하려는 사람들의 실천 속에 있다는 점에서, 두영화에 삽입된 다양한 ‘과거’의 이미지들은 주목을 요한다. 재일본문학예술가동맹출신의 카메라맨이자 영화 <하루코>에 등장하는 ‘재일조선인 1세 여성’의 아들이기도 한 인물이 1950년대 후반에서 60년대 중반에 걸쳐 촬영한 두 영화 속의 흑백이미지들은, 포스트콜로니얼 상황에서 재일조선인들이 보여준 집단적인 시각문화의 실천이라는 맥락과 결부되어 있지만, 한편으로는 그러한 맥락으로부터의 분리를 시도한다. 이 글은 우선 두 영화에 편입된 회고적 필름이 그러한 민족지의 시각적․주관적 기원을 어떻게 전유하며, 그것이 현대 일본 사회의 관점 안에서 어떻게 재전유되는지 살피기 위해, 두 영화의 ‘귀국’ 관련 시퀀스에 강조된 두 여성의 ‘얼굴’ 이미지가 (탈)의미화되는 맥락을 추적한다. 그리고 <해녀 량상>과 <하루코>에서 ‘과거’와 ‘현재’가 구조화되는 방식을 살피기 위해, 각각 ‘번역의 운동’과‘자기/민족지적 욕망’에 중점을 둔 독해를 시도한다. 결론을 대신하면, 두 영화의서사적 완결성이나 의도와 어긋나 있는 두 여성의 말에서 ‘친숙함’과 관계있는 ‘서사적 욕망’을 간과하지 않을 때, ‘자기/민족지’적 표상 체계의 복잡한 연쇄, 혹은‘재일 1세’를 각각 ‘자기해부’와 ‘카테고리’의 대상으로 삼는 ‘재일 2세’와 ‘일본 사회(학)’의 기억 프로젝트 틈새/너머에서 작동하는 대항 서사(counter narrative)의가능성을 엿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문학인류학적 관점에서 고찰하는 상하이 민족지(1)

        임춘성(Yim, Choonsung)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4 외국문학연구 Vol.- No.56

        이 글은 흔히 허구라고 인식된 소설 텍스트를 민족지 텍스트로 설정했다. 민족지학자가 현지에 들어가 일정 기간 참여관찰을 통해 조사하고 핵심인물을 인터뷰해서 민족지를 기록하듯이, 작가 또한 현지조사와 참여관찰 그리고 인터뷰를 하는데, 이런 과정을 거친 작품을 민족지로 설정한 것이다. 이를 위해 민족지와 문학 텍스트의 유사성을 이론적으로 점검해보았다. 이 연구의 기본적인 전제는 다음과 같다. 흔히 허구라고 인식된 근현대소설 텍스트를 인류학적 텍스트로 설정해보자는 것이다. 그리고 인류학자가 현지에 들어가 일정 기간 참여관찰을 통해 조사하고 핵심인물을 인터뷰해서 민족지를 기록하듯이, 작가 또한 현지조사와 참여관찰 그리고 인터뷰를 하는데, 이런 과정을 거친 작품을 민족지로 설정해 보자는 것이다. 전기를 생애사로, 소설가를 현지 조사하는 인류학자로, 소설 텍스트를 민족지로, 작중 인물을 정보제공자로 설정하는 것이다. 물론 모든 텍스트와 작가를 민족지와 인류학자로 볼 수는 없다. 가장 중요한 것은 ‘참여 관찰 participant observation’의 자세를 취하는 관찰자 화자와 시점이라 할 수 있다. 이 글은 최근 중국 근현대문학의 효시로 각광받고 있는 『해상화열전(海上花列傳)』을 상하이 민족지로 가정하고, 19세기 말 상하이 조계와 기루, 상하이의 새로운 주체 상인과 기녀에 대한 분석을 통해 『해상화열전』의 민족지 성격을 고찰했다. 그리고 『해상화열전』을 성찰과 개탄의 다성적 텍스트로 파악하는 동시에 그것을 잘 구현하고 있는 천삽(穿揷)과 장섬(藏閃)의 문학 장치의 효용성을 점검했다. This article take a novel text which have been recognized as a fiction as a ethnography text. As an ethnographist went into the field, investigated it for a definite period of time through the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terviewing key persons, lastly wrote a ethnography, an author did a field work,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terview. In order to first examine the possibility of considering a literary work as an ethnography, the research looks into the role of imagination and the mechanism of fictionalization. History of Shanghai literature is in fact a significant part of China’s modern and contemporary literary history, so much that it is difficult to consider it as an independent realm. On the other hand, ‘literary Shanghai,’ a term designating Shanghai found within the literature and also the literal text which represents Shanghai, is an approach similar to the notion of ‘Shanghai ethnography,’ which is why the research has reviewed several related texts. After theoretically examining the similarity between the ethnography and the literature text, this article analyzed Shanghai Flowers(海上花列傳) by HAN Bangqing(韓邦慶) which was spotlighted as the beginning of Chinese modern literature. This study supposed that Shanghai Flowers is a good Shanghai ethnography and analyzed its ethnographic aspect from the concession and the geisha house, the merchant and the geisha of Shanghai in nineteenth century. Finally this article took Shanghai Flowers as a polyphonic text and made an inspection of the virtue of its literature apparatus, which HAN called it ‘chuancha(穿揷)’ and ‘cangshan(藏閃)’. 이 글은 흔히 허구라고 인식된 소설 텍스트를 민족지 텍스트로 설정했다. 민족지학자가 현지에 들어가 일정 기간 참여관찰을 통해 조사하고 핵심인물을 인터뷰해서 민족지를 기록하듯이, 작가 또한 현지조사와 참여관찰 그리고 인터뷰를 하는데, 이런 과정을 거친 작품을 민족지로 설정한 것이다. 이를 위해 민족지와 문학 텍스트의 유사성을 이론적으로 점검해보았다. 이 연구의 기본적인 전제는 다음과 같다. 흔히 허구라고 인식된 근현대소설 텍스트를 인류학적 텍스트로 설정해보자는 것이다. 그리고 인류학자가 현지에 들어가 일정 기간 참여관찰을 통해 조사하고 핵심인물을 인터뷰해서 민족지를 기록하듯이, 작가 또한 현지조사와 참여관찰 그리고 인터뷰를 하는데, 이런 과정을 거친 작품을 민족지로 설정해 보자는 것이다. 전기를 생애사로, 소설가를 현지 조사하는 인류학자로, 소설 텍스트를 민족지로, 작중 인물을 정보제공자로 설정하는 것이다. 물론 모든 텍스트와 작가를 민족지와 인류학자로 볼 수는 없다. 가장 중요한 것은 ‘참여 관찰 participant observation’의 자세를 취하는 관찰자 화자와 시점이라 할 수 있다. 이 글은 최근 중국 근현대문학의 효시로 각광받고 있는 『해상화열전(海上花列傳)』을 상하이 민족지로 가정하고, 19세기 말 상하이 조계와 기루, 상하이의 새로운 주체 상인과 기녀에 대한 분석을 통해 『해상화열전』의 민족지 성격을 고찰했다. 그리고 『해상화열전』을 성찰과 개탄의 다성적 텍스트로 파악하는 동시에 그것을 잘 구현하고 있는 천삽(穿揷)과 장섬(藏閃)의 문학 장치의 효용성을 점검했다. This article take a novel text which have been recognized as a fiction as a ethnography text. As an ethnographist went into the field, investigated it for a definite period of time through the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terviewing key persons, lastly wrote a ethnography, an author did a field work,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terview. In order to first examine the possibility of considering a literary work as an ethnography, the research looks into the role of imagination and the mechanism of fictionalization. History of Shanghai literature is in fact a significant part of China’s modern and contemporary literary history, so much that it is difficult to consider it as an independent realm. On the other hand, ‘literary Shanghai,’ a term designating Shanghai found within the literature and also the literal text which represents Shanghai, is an approach similar to the notion of ‘Shanghai ethnography,’ which is why the research has reviewed several related texts. After theoretically examining the similarity between the ethnography and the literature text, this article analyzed Shanghai Flowers(海上花列傳) by HAN Bangqing(韓邦慶) which was spotlighted as the beginning of Chinese modern literature. This study supposed that Shanghai Flowers is a good Shanghai ethnography and analyzed its ethnographic aspect from the concession and the geisha house, the merchant and the geisha of Shanghai in nineteenth century. Finally this article took Shanghai Flowers as a polyphonic text and made an inspection of the virtue of its literature apparatus, which HAN called it ‘chuancha(穿揷)’ and ‘cangshan(藏閃)’.

      • 민족지 애니메이션의 문제지향, 과학적 표현과 윤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홍촨(Hong Chuan),이현석(Lee Hyun-seok)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 한국정보통신학회 여성 ICT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8

        지난 1960년대 이래로 포스트모더니즘 운동의 부상으로 민족지식은 여러 가지 새로운 형태로 쓰여졌다. 새로운 미디어 기술의 발전에 따라 애니메이션 예술은 전통적인 인류학 연구의 학문 패러다임을 타파하고 민족지 쓰기에 참여하기 시작했으며 점차 새로운 민족지 애니메이션 패러다임으로 규모화되었다. 본문은 영상 인류학의 이론적 프레임워크와 방법체계에 기초한다. 먼저 민족지의 개념, 전통 민족지와 자아 민족지의 구별, 민족지 애니메이션의 “논픽션” 특징을 서술한다. ‘문제 지향’, ‘과학적 표현’ 및 ‘윤리적 특성’의 세 가지 관점에서 《페르세폴리스》(persepolis, 2007)의 창작과정을 다시 한 번 심층적으로 분석한다. 마지막에 민족지 애니메이션의 사상성, 과학성과 인민성이 상부상생을 이루는, 일종의 시간과 공간상의 역동성의 과학연구실천으로 “경계를 넘나드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도출한다. 민족지 애니메이션은 일종의 지식 생산이며, 렌즈 안, 렌즈 밖의 주체가 공동으로 완성하는 것이며. Since the 1960s, ethnographic writing has seen many new forms, due to the rise of the postmodernist movement. As new media technology developed, animation art gradually became a new paradigm of ethnographic animation. Based on the theories and methods of visual anthropology, this research, first, explains the concept of ethnography, the differences between traditional ethnography and self-ethnography, and also the “non-fiction” characteristics of ethnography animation. Then it analyses the creation process of Persepolis(2007) from the perspectives of “problem-based orientation”, “scientific expression” and “ethical characteristics”. Last but not least, this research comes to the conclusion that ethnographic animation is a kind of knowledge production that is complemented by the subjects inside and outside the camera lens, and its thoughtfulness, scientificity and affinity to people are complementary. This public pursuit of knowledge is one of the important missions of ethnographic animation.

      • KCI등재

        16미리 필름 프로덕션을 통한 민족지학 다큐멘터리 연구 - 작품 <소라지는 선율들> 제작 과정 중심으로

        이태호 한국영상학회 2019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7 No.4

        본 논문은 민족지학 다큐멘터리 <소라지는 선율들>의 학문적 위치와 의미를 연구한 것이다. 민족지학 다 큐멘터리라는 개념은 서구 이론가들에 의해 정의되고 성장했으며, 그로 인한 태생적 한계를 둘러싼 치열 한 비판과 초월의 가능성이 공존한다. 민족지학 다큐멘터리는 서양의 시선에서 낯선 대상인 동양을 비롯 한 여타 소수민족에 대한 호기심 혹은 동정어린 관심에 의존한 것으로 오인받기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 하고 장 루쉬가 아프리카에서 만든 다수의 다큐멘터리 작업들, 로버트 플래허티의 <북극의 나누크>를 비 롯한 민족지학 다큐멘터리 작품들은 영화세계에 다양성을 불어 넣어주었다는 자체로 의미가 있다. 필자 는 다양한 민족의 문화와 삶을 인류학의 시각에서 기록한다는 민족지학적 접근을 선택하여 본 논문이 해 설하는 <소라지는 선율들>을 제작하였다. 한국의 제주라는 섬이 관광도시로 급격하게 변모하는 시기에 몇 해를 제주에 머물며 토착민의 일상과 문화를 관찰 기록한 결과물이다. 전통적인 제주의 풍경들 중 사 라져 가는 것들을, 역시 사라져가는 매체인 16mm 아날로그 필름으로 촬영하였다. 직접적인 해설의 요소 는 최소화하면서 시적-관찰자적 양식을 활용하되 다양한 실험적 요소들과 변주하였다. 본 논문은 민족지 학 다큐멘터리로서의 본 작품이 동시에 예술성을 지닌 실험 영화로서 기능할 수 있는가에 대한 도전을 다룬다. 이를 위해 필자는 영화 형식을 실험하면서 작가의 미학적 선택을 드러내는 과정을 기술한다. 첫 째로 본 논문은 민족지학 다큐멘터리의 개념을 영화적 관점에서 살펴볼 것이다. 둘째로는 시적-관찰자적 양식의 이론적 토대를 가지고 작가가 어떻게 영화의 형식적 실험을 감행하였는지 논술할 것이다. 끝으로, 작품의 창작 배경, 촬영 방법론, 과정 등을 해설할 것이다. 이로써 본 연구는 인간의 삶에 혼재한 다양성 의 필요와 민족지학 다큐멘터리의 미래가 맞닿아 있다는 것을 제언하고자 한다. This paper is a study of the academic position and meaning of the author’s ethnographic documentary Ephemeral Melody. The concept of an ethnographic documentary has been defined and advanced by western theorists. There is not only keen criticism but also the transcendental possibility of the inherent limitations of the ethnographic documentary genre. An ethnographic documentary is often misunderstood as relying on curiosity or compassionate interests from western perspectives towards the East and other minorities who are strangers to the West. Nevertheless, ethnographic documentaries such as the films made by Jean Rouch in Africa and Robert Flaherty’s Nanook of the North are meaningful in themselves in that they have inspired diversity in the film world. Taking an ethnographic approach to documenting the cultures and lives of different peoples from the perspective of anthropology, I produced Ephemeral Melody, the subject of this paper. This is the result of years of living on Jeju Island to record the daily lives and culture of the indigenous people as the island was rapidly transformed into a tourist area. This work was filmed with 16mm analog film. I also pursued the production methodology of the poetic-observational method, but challenged the boundaries of a traditional documentary with various cinematic experimental factors. First, this paper examines the concept of an ethnographic documentary from a cinematic perspective. Second, it discusses how the author conducts the formal experiment of the film with the poetic-observational method. Finally, this paper describes the work’s background, production and overall process. By doing so,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future of the ethnographic documentary is connected to the need for diversity in human life.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의 경험쓰기 : 새로운 재현 방법으로서의 민족지적 이야기 생산

        김영옥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14 여성학논집 Vol.31 No.1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들의 경험을 어떻게 하면 왜곡이나 일반화를 피하면서 맥락적이면서도 감성적․공감적 이해가 가능한 텍스트로 담아낼 수 있는가에 대한 질문에서 출발한다. 한국사회가 다문화 사회로 진입한 이래로 특히 1990년대 중반 이후부터 다문화에 대한 이해의 확산은 크게 두 개의 방향에서 이루어졌다. 하나는 이론에 기반을 두고 분석적인 연구를 수행하는 것이고, 또 다른 하나는 문학이나 영화 등 문화예술의 언어를 통해 감성적 이해를 도모하는 것이다. 그런데 전자는 당사자 개인의 특수한 경험들이 이론적 분석 속에서 삭제된다는 점에서, 그리고 후자는 충분한 현장 연구가 보장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각각 일정한 한계를 지닌다. 이러한 상황에서 구술사의 왜곡되지 않은 목소리와 학문적 분석을 동시에 간직하면서 감성적 표현의 언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재현 형식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민족지 이야기(ethnographic tale)를 이러한 재현의 형식으로 제안한다. 민족지 이야기는 객관적 탐색과 주관적 상상력이 결합된 언어를 사용함으로써 이주민의 경험을 느끼면서 이해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다. 또한 민족지 이야기 는 텍스트를 구성하는 세 개의 꼭짓점, 즉 연구자와 민족지 기술의 행위자들, 그리고 독자에 대한 성찰을 텍스트 생산 과정에 포함시킨다. 이 세 주체들 간의 상호주관성은 종족적․문화적 낯섦이 타자화가 아닌 역동적인 상호이해와 인정으로 전환하는데 토대가 될 것이다. This paper is proposing a expressive narration form, 'ethnographic tales' for the communication between immigrants and other Koreans. One of the main aims (and ways) of integration of immigrants into the Korean multicultural society should be transformation of their experiences to socio-cultural knowledge which could be understood and circulated not only on the basis of mind but also of emotion. For that purpose is a representation form, a expressive language needed which contains oral stories of immigrants undistorted conveyed with analytical values. This paper suggests 'ethnographic tales' as that kind of 'expressive language'. Ethnographic tale is a narrative form first of all, which includes researcher, interviewees as actors of ethnographic description and readers all together. Expressed in ethnographic tale, marriage migrant women and other immigrants whose experiences generally 'represented' by so called expertises or activists, could be 'present' by themselves more authentically and directly.

      • KCI등재

        존 포스틸의 오프라인과 온라인 민족지를 이용한 현지 조사 연구 방법 고찰

        조관연 ( Gwanyeon Cho )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1

        연구 목적: 이 연구는 디지털 민족지 연구 방법을 활용해 온라인과 오프라인 현지들을 조사한 연구 사례들을 방법론적 측면에서 분석하고, 재구성해서 이것이 가진 함의를 살펴보는데 있다. 연구 방법: 디지털 민족지 연구 방법에 커다란 방향성을 제시한 디지털 민족지 연구자인 존 포스틸의 현지 조사 문헌들을 연구 상황과 맥락을 고려해 재구성하고, 여기서 나타나는 디지털 민족지 방법론의 구체적인 과정과 내용을 살펴본다. 연구 내용: 존 포스틸이 오프라인 시대에 만들어진 기존 현지조사방법론을 어떻게 확대해서 온라인 시대의 현지조사에 적용하고, 구체적으로 수행하였는지 살펴보고, 이것이 가진 가능성과 함의를 살펴본다. 결론 및 제언: 민족지 연구 방법은 장소와 문화를 이해하고, 다양한 행위자들의 감정과 감각 그리고 지식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오프라인 시절에 만들어진 민족지 연구방법론은 디지털 시대에 접어들면서 현지와 행위자를 연구하기 위해 새롭게 확대 개편할 필요가 있다. 연구자마다 상황과 환경 그리고 주제 등에 따라 민족지 방법론을 다양하게 활용하고 있는데, 이들이 제시한 주요 사례들의 방법론을 분석함으로써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민족지 조사 방법론을 체계화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reconstruct ethnographic research cases that investigated online and offline sites, and to examine the implications of digital ethnography from a methodological perspective. Two leading ethnographic researchers suggested a new ways and direction in this area. This paper reconstructs John Postill’s field research methodologies in consideration of the situation and context, and analyzes its specific process and content. This paper examines how these researchers modified and expanded the existing field survey methodology and applied it to field research, and the possibilities and implications that this presents to local research. Digital ethnography plays an important role in understanding not only places and cultures, but also the emotions, senses, and knowledge of various actors. The research methodology of ethnography created in the offline era needs to be newly modified and expanded to study local and actors as it enters the digital era. Each researcher uses various ethnographic methodologies according to the situation, environment, and subject. By analyzing the methodologies of the main ethnographic cases they presented, it is possible to lay the foundation for systematizing the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ethnographic survey methodology.

      • KCI등재

        떠나보낼 수 없는 세월에 나타난 역사의 번역

        김성원 ( Seung Won Kim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12 동화와 번역 Vol.23 No.-

        『떠나보낼 수 없는 세월』은 이차 대전 당시 한국에서 유년기를 보내며 다양한 시련들을 극복하는 열 살배기 주인공 박숙안의 성장이야기를 다룬 미국 아동 청소년 독자들을 위한 작품이다. 이 작품에서 작가 최숙렬은 자신의 자전적 경험들과 한국의 역사라는 사실을 소설이라는 허구화된 문학 양식의 소재로 사용하여 작품의 배경을 설정하고, 인물을 형성하고, 플롯을 전개시켜 나가며, 주제를 재현한다. 이러한 최숙렬의 자전적 글쓰기는 포스트모던 민족지학에서 활발하게 논의되는 문화 쓰기 논쟁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다. 왜냐하면 포스트모던 민족지학자들은 민족지를 기술할 때 대상이 되는 사회, 문화, 그리고 역사의 경계 안에 실재 거주하는 사람들의 목소리, 관점, 그리고 상황이 충분하게 반영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그들은 민족지가 단순히 외부자의 시각에서 대상물을 객관화하고 표준화하여 진공상태에서 기술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포스트모던 민족지학자들은 민족지가 기술자의 주관성과 창의성에 의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기술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며, 이러한 창작 과정을 문화 번역이라고 규정한다. 이와 같은 측면에서 한국계 미국 1세 작가 최숙렬의 『떠나보낼 수 없는 세월』은 단순히 아동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자전적 소설이 아닌 민족지의 한 형태로 분류 될 수 있으며, 문화 번역이라는 새로운 관점에서 재해석 될 수 있는 작품이다. 왜냐하면 최숙렬이 이차 대전 당시 한국의 역사에 대하여 잘 모르는 미국 아동 청소년 독자들에게 한국인들의 비극적인 삶과 역사를 바로 알리는 일환으로 소설적인 역사 쓰기(fictional history)를 하고 있기 때문이다. 흥미로운 점은, 최숙렬이 내부자의 시각에서 자신의 유년기와 한국의 역사를 회고할 뿐만 아니라 외부자인 미국 아동 청소년 독자들과 출판시장을 고려하여 그들이 이해할 수 있는 관점, 언어, 그리고 형식으로 변환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변환 과정에서 작가 최숙렬은 포스트모던 민족지학자들이 주장하는 작가 고유의 관점과 비전에 의거하여 기술 대상인 한국의 역사를 번역하고 있으며, 이러한 최숙렬의 문화 번역은 미국 공립학교와 공공도서관의 이차 대전 관련 참고도서로 선정되는 것으로 그 가치를 입증하였다. Year of Impossible Goodbyes is a coming of age story of a ten-year old Korean girl Sookan Bak who had to overcome various hardships originating from the swirl of the World War II. In this work, the author, Sook Nyul Choi uses both her autobiographical experiences and Korean history, converting facts into fictional materials in order to set the background, create characters, develop plot, and represent a theme. This writing style of Sook Nyul Choi is closely related to the debate of writing culture in "postmodern ethnography" because most postmodern ethnographers argue that ethnography should be fully reflected in the inhabitants` voices, perspectives, and real situations, which are located in the boundary of the same society, culture, and history. Furthermore, they propose that ethnography should be an outcome of sequence of cultural interpretation because ethnographers as outsiders should not give an account of their describing target culture under vacuum through standardizing and perceiving them objectively. Here, I use the notion of cultural interpretation in ethnography as a new way of examining Sook Nyul Choi`s Year of Impossible Goodbyes, and I observe that Year of Impossible Goodbyes as a fictional history, which was not only written by the first generation of Korean American writer but also dealt with the history of Korea. In this historical account, Choi fictionalizes various historical events in Korea in order to help young American reading publics better understand a tragic history of Korea during World War II, which still has remained unknown to most Americans. Interestingly, Choi reviews both her own childhood and Korean history from the insider`s view, first. And then, Choi converts them into fictional history using an outsider`s language and forms to satisfy both of the appetite of reading publics and the expectation of publishing markets in America. While conducting this conversion, Choi interprets Korean history found within the notion of postmodern ethnographer, and her interpretation of Korean culture is officially approved by American reading publics. The evidence is that Choi`s book is displayed as one of the reference books on World War II in both public and school libraries all over America.

      • KCI등재

        민족지적 세계와 법의 (재)구성 : 인류학적 방법론의 검토

        김현희 법과사회이론학회 2023 법과 사회 Vol.- No.74

        인류학적 법 연구는 민족지적 연구방법을 통해 ‘실천 속의 법’을 드러내고 분석한다. 여러 민족지적 사례에서 나타난 법의 모습은 형태와 기능, 실천방식의 면에서 다양하고 가변적이며, 다양한 법질서 간의 관계와 상호작용을 주요한 맥락으로 한다. 인류학자의 민족지적 기록은 법에 대한 현지인의 이해와 실천, 또 그 실천의 조건을 구성하는 비공식적, 공식적 사회체계들과 제도들을 드러내고 분석하는 데 기여한다. 이 글에서는 인류학적 법 연구에서 주된 의제였던 관습법과 법 다원주의의 문제를 민족지에서의 법의 재구성 문제라는 방향에서 검토하고, 현재 통용되는 법 및 법제도에 대한 근본적인 변화를 요구하고 있는 불법성에 대한 인류학적 관점을 소개한다. 관습법과 관련된 법 다원주의 현상에 관해서는 두 개의 민족지 사례를 통해 지역적 맥락에 따라 국가법과 관습법의 관계가 달라지는 점을 소개한다. 불법성 연구와 관련된 민족지 사례는 국가법과 대립하는 이주자들의 불법적 실천을 조명한다. 이 글은 관습법, 법 다원주의, 불법성에 관한 사례들을 통해 민족지적 기록이 법 연구에 기여할 수 있는 바를 생각해 보고 보다 포용적이고 유연한 법에 대한 사고를 촉진하고자 한다. Legal anthropology employs ethnographic research methods to investigate and analyze “law in practice”. Law described in different ethnographic cases emerges to be diverse and variable in terms of form, function, and practice, with the relationships and interactions between different legal orders as the primary context. The anthropologist's ethnographic accounts contribute to revealing and analyzing local understandings and practices of law, as well as the informal and formal social systems and institutions that constitute the conditions for such practices. This article examines the issues of customary law and legal pluralism, which have been at the center of anthropological legal study, from the perspective of law as ethnographic construction, and introduces an anthropological understanding of illegality that calls for fundamental changes to currently accepted laws and legal systems. As for the phenomenon of legal pluralism in relation to customary law, two ethnographic examples are used to illustrate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state law and customary law varies according to the local context. An ethnographic case related to the study of illegality sheds light on the illegal practices of migrants in conflict with state law. Through these examples of customary law, legal pluralism, and illegality, this article considers the contributions that ethnographic works can make to the study of law and facilitate more inclusive and flexible ways of thinking of law.

      • KCI등재

        한,중 민족지영화의서사양식 비교 연구: KBS < 차마고도 >와 YNTV < 차마고도 >를 중심으로

        신철호 ( Zhe Hao Shen ) 조선대학교 동북아연구소(구 통일문제연구소) 2015 동북아연구 Vol.30 No.2

        KBS에서 2007년에 제작한 6부작 < 차마고도 >와 YNTV**에서 2006년에 제작한 8부작 < 차마고도 >는 차마고도(茶馬古道)라는 중국의 역사·문화적 소재를 다룬 민족지영화이다. 그런데 인류학적 관점과 영상학적 관점에서 자기 나라 또는 다른 나라의 전통문화를 바라보는 시각이 다르고, 나라 간의 제작 이념이나 제작 목표, 제작진의 구성과 설비 투입 등이 다름에 따라 비록 동일한 소재를 다룬 민족지영화라 할지라도 접근방식이나 서사전략 등에서 다른 특성을 나타낼 수밖에 없다. 지금껏 한국과 중국의 민족지영화를 비교 연구한 결과가 거의 없는 실정에 비춰, 본 논문에서는 빌 니콜스가 분류한 다큐멘터리의 서사양식 가운데서 설명적 양식, 관찰자적 양식, 참여적 양식의 특점에 비추어, 동일한 제목으로 된 KBS < 차마고도 >와 YNTV < 차마고도 >를 중심으로, 한국과 중국의 민족지영화의 서사양식을 비교분석하는 것을 통하여 두 나라의 민족지영화가 제작에서 어떤 차이를 보이었고 나아가 KBS < 차마고도 >가 ‘구제인류학’에 입각한 민족지영화가 되고 YNTV < 차마고도 >가 ‘복원주의 인류학’에 입각한 민족지영화가 되었는지를 밝혀보고자 한다. The film named Asian Corridor in Heaven, which consists of 6 parts, was produced by KBS in 2007. The eight-part film, The Ancient Tea Route, ,was produced by YNTV in 2006. They are both ethnographic films about the historical culture of China. However, according to the view of anthropology and imaging, although their object and materials are the same, they are different in many aspects such as their methods of approach and description strategy. Because of the cinematography, the concept and the goal of production, the composition of the production staff and the instrument are all different. Up to now the comparative study between the ethnographic films of China and Korea has almost no result. In this paper, according to the feature of expository mode, observational mode, participatory mode, which are among the narrative modes of documentary that Bill Nichols classified, I`d like to clarify the difference in the production of ethnographic films between China and Korea by means of a comparative study about the narrative mode of two countries` ethnographic films focusing on the two films of the same name. Further more, the film named Asian Corridor in Heaven produced by KBS is classified into ethnographic films because it is based on salvage anthropology. While The ancient Tea Route produced by YNTV is also regarded as ethnographic film because of its restoration anthropology bas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