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관광관련전공 중국대학원생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LUO WEI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관광관련전공에 중국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문화적응스트레스가 학교생활만족도에 영향을 어떻게 미치는지 알아보고, 문화적응스트레스와 학교생활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이 조절효과를 어떻게 나타내는지 살펴봄으로써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학교생활만족도에 대해 지속적인 연구를 하는 연구자들에게 학문적 자료와 정보를 유용하게 제공하고자 한다. 실증연구를 위한 조사 대상을 서울지역과 충남지역에 있는 관광관련전공이 공부하는 중국대학원생을 대상으로 240명 선정하였으며, 총 240부를 배포하였고 203부를 회수하고 응답이 불성실 판단되는 3부를 제외한 200부를 사용하였다. 조사 자료에 대한 분석방법은 SPSS 20.0통계 패키지를 이용하고 빈도분석,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변수 간 상관관계를 파악하였고 구성개념간의 영향관계에 대해 가설검증을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문화적응스트레스는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향수병을 삭제하고 나머지 2가지 요인을 지각된 편견, 지각된 비우호감이라 도출되었다. 회귀분석을 통하여 측정변수들에 대한 영향관계는 아래와 같은 결론을 도출 하였다. 첫째, 문화적응스트레스에 대한 3개의 하위요인 중 지각된 편견과 자각된 비우호감 만이 학교생활만족도에 부(-)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수병의 영향력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둘째, 문화적응스트레스에 대한 자아탄력성에 따라 지각된 편견과 자각된 비우호감 만이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다문화가족 자녀가 지각한 가족건강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사회적 자본을 조절변수로

        이태희 대구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9727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vide social welfare practice plans for healthy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based on effective intervening strategies for helping them adjust themselves to school life, which are to be developed by investigating the effect of family strengths perceived by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can act as moderators. To achieve this purpose, a survey was carried out focusing on three hundred(300)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residing in ten(10) cities and thirteen(13) counties in Gyeongbuk province. Provided are the following conclusions drawn from the analysis of two hundred and seventy two(272) questionnaires collected but excluding some questionnaires not responded or responded unfaithfully. First, the family strengths of the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were revealed to have an average score in general. Among the sub-factors of the family strengths, the family tie was the most effective sub-factor, whereas the family-oriented problem solving ability, the communication skill within a family, and the family values in common were in order of effectiveness to the family strengths. Second, the acculturative stress of the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was revealed to possess in general a value smaller than the median, indicating that they perceived the acculturative stress somewhat less. In other words, they were found to be relatively less affected by the acculturative stress. Third, the social capital of the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was revealed to have a low score in general. Among the sub-factors of the social capital,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 and school was the most effective sub-factor, whil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school,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friends’ parents were in order of effectiveness to the social capital. The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were found to perceive the social capital less since all the sub-factors of the social capital showed low scores. Fourth, the school adjustment of the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was revealed to possess a value higher than the median, indicating a positive trend in the school adjustment. Among the sub-factors of the school adjustment, the school life was the most effective sub-factor, whereas the school study, the school friend and the school teacher were in order of effectiveness to the school adjustment. The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were found to adjust themselves positively to the school adjustment since all the sub-factors showed values higher than the median. In addition, the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residing in urban communities, perceiving the higher economic standard, having their mothers with the higher Korean language skill, and having the more experience in visiting their mothers’ countries were revealed to show the higher adjustment in school. Fifth, the higher family strengths were found to help the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adjust themselves to school life the easier. When all the sub-factors were taken into account, the family tie, the family-oriented problem solving ability, the communication skill within a family, and the family values in common were found to show positive correlations without exception. Sixth, the acculturative stress was revealed to have a significant moderation effect on the school adjustment when the effect of the family strengths of the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on it was taken into account. The independent variable family strength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chool adjustment, while the moderating variable acculturative stress had a negative effect on it. That is to say, the higher family strengths and the lower acculturative stress generated the higher school adjustment of the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The control variable residential area showing a significant influence was revealed to have a noticeably positive effect on the school adjustment.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skill within a family and the family-oriented problem solving ability, which are sub-factors of the independent variable family strengths, were reveale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school adjustment, while the moderating variable acculturative stress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it. In other words, the higher communication skill, the higher problem solving ability and the lower acculturative stress generated the higher school adjustment of the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One can say that the lower acculturative stress perceived by the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will generate the higher communication skill within a family and family-oriented problem solving ability, resulting in the higher school adjustment. Finally, it was found that the social capital had the moder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mily strengths and the school adjustment. The control variable mother’s Korean language skill showing a significant influence was revealed to have a noticeably positive effect on the school adjustment.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skill within a family and the family-oriented problem solving ability, which are sub-factors of the independent variable family strengths, as well as the moderating variable social capital were reveale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school adjustment. In other words, the higher communication skill, the higher problem solving ability and the larger social capital generated the higher school adjustment of the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One can say that the larger social capital will generate the higher communication skill within a family and family-oriented problem solving ability, resulting in the higher school adjustment. To sum up, it was found that the acculturative stress and social capital had the moder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mily strengths perceived by the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ir school adjustment. Just like the spillover theory as a key theory adopted in this study, the higher family strengths perceived by the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generated the higher school adjustment. In order to enhance their school adjustment, therefore, various programs that may increase the family strengths and exhibit the strong points of family are to be developed. Based on the aforementioned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detailed social welfare practice plans proposed are the following; - Family relationship improvement programs for building up social capital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are to be developed, - bicultural adjustment programs covering Korean and mother cultures for reducing cultural adjustment-induced stress experienced by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are to be developed, - family-school-community linked systems that can implement actual supporting programs for enhancing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are to be established, - multi-cultural education and family/individual counselling for family strength enhancement, parent education for supporting child-rearing, and life supporting service system for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are to be activated, - and individually customized Korean language education systems for improving Korean language skill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are to be developed. On the other hand, a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follow-up study is to be carried out continuously to supplement some limits of this study.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 자녀가 지각한 가족건강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과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사회적 자본이 조절역할을 하는지에 대한 조사로 다문화가족 자녀들의 학교생활적응을 돕기 위한 효과적인 개입전략을 마련하여 다문화가족 자녀들의 건강한 학교생활적응을 위한 사회 복지적 실천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상북도 10개시와 13개 군에 거주하는 다문화가족 자녀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 무응답 또는 응답이 부실한 설문지를 제외한 272부를 분석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족자녀의 가족건강성은 전체적으로 중간 수준을 보였고 가족건강성의 하위요인별로는 가족원과의 유대가 가장 높은 요인이었고, 다음으로 문제해결능력, 대화기술, 가족 간의 가치체계 공유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가족 자녀의 문화적응스트레스는 전체적으로 중앙값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이는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문화적응스트레스를 다소 낮게 지각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바꾸어 말하면 문화적응스트레스 영향을 상대적으로 덜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다문화가족 자녀의 사회적 자본은 전체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고, 하위요인별로는 자녀와 학교와의 관계가 가장 높은 사회적 자본의 요인으로 나타났고, 부모와 자녀와의 관계, 부모와 학교와의 관계, 부모와 친구부모의 관계 순으로 사회적 자본이 높았으며, 모든 하위변인이 낮은 수준으로 나타나 사회적 자본을 낮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다문화가족자녀의 학교생활적응은 중앙값보다 높게 나타나 긍정적인 경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생활적응의 하위요인별로는 학교생활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학교공부, 학교친구, 학교교사 순으로 학교생활적응을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하위변인이 중앙값 이상을 보여 학교생활적응에 긍정적인 경향을 가지는 변인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도시지역에 거주할수록, 경제수준을 높게 지각할수록, 어머니의 한국어 수준이 높을수록, 어머니의 나라방문 경험이 있을수록 다문화가족 자녀의 학교생활적응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가족건강성이 높을수록 학교생활적응을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변인들을 살펴보면 가족원간의 유대, 문제해결능력, 대화기술, 가족원간의 가치체계공유는 모두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여섯째, 다문화가족자녀의 가족건강성이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문화적응스트레스는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수인 가족건강성은 정(+)의 영향력을, 문화적응스트레스는 부(-)의 영향력을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족건강성이 높을수록, 문화적응스트레스가 낮을수록 다문화가족 자녀의 학교생활적응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의한 영향력을 보인 통제변수로서의 거주 지역은 정(+)유의한 영향을 보였고, 독립변수인 가족건강성의 요인은 대화기술과 문제해결능력에서 정(+)의 영향력을, 조절변수인 문화적응스트레스는 부(-)의 영향력을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족 간에 대화기술이 좋을수록, 문제해결능력이 뛰어날수록, 문화적응스트레스가 낮을수록 다문화가족 자녀의 학교생활적응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문화적응스트레스를 낮게 지각할수록 가족 간의 대화기술을 좋게 하고 문제해결능력을 뛰어나게 하여 결국 학교생활적응력을 높인다고 볼 수 있다. 일곱째, 다문화가족자녀의 가족건강성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 사회적자본의 조절효과는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의한 영향력을 보인 통제변수로서의 모(母) 한국어 수준은 정(+)유의한 영향을 보였고, 독립변수인 가족건강성의 요인인 문제해결능력과 대화기술은 정(+)의 영향력을, 조절변수인 사회적 자본은 정(+)의 영향력을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족 간에 문제해결능력이 뛰어날수록, 대화기술이 좋을수록, 사회적 자본이 높을수록 다문화가족 자녀의 학교생활적응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사회적자본이 가족 간의 문제해결능력을 높이고 대화기술도 좋게 하여 결국 학교생활적응력을 높인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서 다문화가족 자녀들이 인식하는 가족건강성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사회적자본이 학교생활적응에 조절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중심이론인 전이이론에서 말하는 것처럼 다문화가족 자녀가 지각한 가족건강성이 높을수록 학교생활적응이 높았다. 따라서 다문화가족 자녀의 학교생활적응을 높이기위해서는 가족건강성과 가족의 강점을 발휘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다문화가족 자녀의 학교생활적응을 돕는 사회 복지적 함의를 제시하였는데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다문화가족 자녀들의 사회적 자본을 강화할 수 있는 가족관계향상 프로그램 방안을 모색하고 다문화가족 자녀들의 문화적응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한국문화와 어머니문화의 이중문화적응 프로그램을 개발하며 학교생활적응력을 높이기 위한 실질적인 지원제도를 마련하여 가정‧학교 및 지역사회 연계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또한 다문화가족의 가족건강성 향상을 위하여 다문화교육 및 가족개인상담, 자녀양육지원을 위한 부모교육, 다문화가족 자녀를 위한 생활서비스지원 제도 등을 활성화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다문화가족 자녀들의 한국어능력 향상을 위한 개별화된 맞춤식 한국어교육 시스템을 개발 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 가지는 한계점을 보완 할 수 있는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후속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다문화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가족건강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임파워먼트를 매개변수로하여

        곽미정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972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1) the effects of acculturative stress and family health on quality of life among multicultural women and 2) the mediating effect of empowerment on quality of life among multicultural women. This study used the surveys conducted on multicultural women who used the daycare centers located in Guro-gu, Yeongdeungpo-gu, Yangcheon-gu, and Geumchun-gu, multicultural centers or catholic churches in Inchun.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two weeks from March 17, 2015 to April 1, 2015. 250 surveys were collected. Except for the questionnaires with mission and unfaithful responses, this study analyzed 213 surveys by using regress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The summary of findings is as follows. First, as the higher the acculturative stress of multicultural women including fear, hostility, homesickness, and culture shock is, the lower the quality of their lives. Second, as the healthy signs of their family, such as the bond of their family, time-sharing, and communication, increases, it is found that the quality of their lives increases. Third, the empowerment for multicultural women is found to be effective as a factor that influences the health of their family and the quality of their lives. In other words, the empowerment for multicultural women works as the factors that can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quality of life of multicultural women by relieving their acculturation stress and increasing the health of their family. The suggested policy and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improve the empowerment for multicultural women in this country, they need the support and education to meet their various needs with customized programs offered by public organizations. They also need to get more attention from their public and private supporters who need more discussions on this issue.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the effects of the support for multiculatural women, which is aimed at increasing their ability to cope with acculturative stress and enhancing their healthy family life, can dramatically decrease unless multicultural women are properly empowered. Thus, future multicultural policies should focus on the combination and implementation of various programs with more balanced and in-depth research on the empowerment of multicultural women and its implementation. Secondly, an important part of research on the related policy should focus on how the empowerment of multicultural women can be implemented by giving what kind of support for them. Third, various activities should be planned and implemented in order to help multicultural women to cope with the stress of acculturation. Fourth, various information and research of public organizations are need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multicultural women through their healthier home life. In other words, in order to assist a healthy life of the family of multicultural women, vigorous activities, such as counseling, providing information, and giving help, should be provided to meet the needs of multicultural women. Fifth, the importance of increasing the empowerment of multicultural women needs to be fully recognized through the implement of its programs in a real life. This study is designed to review the implication of empowerment in the life of multicultural women and understand the impact of the subfactors of family factors in the quality of life of multicultural wom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foster the empowerment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multicultural women and to assist the successful settlement of the multiculturalism of our country.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가족건강성이 다문화여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여 다문화여성의 삶의 질 함양요인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서울지역의 구로구와 영등포구, 금천구, 양천구 4개 구와 인천지역의 다문화센터나 성당 혹은 어린이 집을 이용하는 다문화여성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하였다. 설문조사기간은 2015년 3월 17일부터 2015년 4월 1일에 걸쳐 약 2 주간 실시되었다. 이에 총 250부의 설문이 수거되었고, 불성실 응답본과 누락본을 제외하고 총 213부에 대하여 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 중 두려움, 적대감, 향수병, 문화충격의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삶의 질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여성의 가족건강성에 대한 유대감, 시간공유, 의사소통의 가족건강성이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여성의 임파워먼트는 문화적응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과 가족건강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다문화여성의 임파워먼트는 문화적응스트레스를 완화하고 가족건강성을 함양하여 결과적으로 다문화여성의 삶의 질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대한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의 다문화여성에 대한 임파워먼트 함양을 위해 관련기관을 통하여 다문화여성의 다양한 욕구에 따른 맞춤형 임파워먼트 프로그램의 지원이 필요하며 이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현재 많은 기관에서 문화적응스트레스에 대한 대처와 가족건강을 위한 지원을 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다문화여성이 임파워되지 않는다면 이러한 효과가 반감될 수 있을 가능성이 있음을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다문화 관련정책은 다문화여성의 임파워먼트 함양이라는 주제에 대해서 보다 균형싰고 심도있는 연구개발과 함께 정책적인 수렴을 통한 다양한 사업들의 연계가 다문화여성의 임파워먼트 증진을 위해 도입되고 실시될 필요가 있다. 둘째, 정책적으로 어떠한 지원을 통하여 다문화여성의 임파워가 구현되어 나갈 것인가 하는 부분이 향후 중요한 정책적인 연구과제가 될 것이다. 셋째, 다문화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활동이 현장을 통해 기획되고 실천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우리나라 다문화여성들이 보다 건강한 가정을 통하여 삶의 질을 구현해 나가기 위해서는 관련기관의 다양한 정보제공과 연구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즉, 다문화여성의 건강한 가족건강성을 위해서는 지역사회 실천현장으로부터 각종 상담이나 정보제공자, 옹호자, 조력자 등의 활발한 활동이 다문화여성의 욕구에 맞게 제공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다문화여성의 임파워먼트 함양의 중요성이 정책 및 실천현장을 통해서 충분히 인식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다문화여성들의 삶의 질에 있어서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임파워먼트의 함의를 살펴보고 다문화여성의 삶의 질에 있어서 가족요인의 하위요인의 영향력을 함께 살펴보았다는 것에 연구의 특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가 다문화여성의 임파워먼트와 삶의 질 함양에 도움이 되고 다문화주의의 성공적인 정착에 중요한 토대가 되었으면 한다.

      • 유학생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조미경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727

        Since the initiation of the Study Korea Project in 2005, South Korea has consistently pursued policies to attract and manage international students, aiming to achieve the targeted increase in their numbers. Over the past 20 years, the student population has grown by more than 9.5 times, indicating significant quantitative growth. However, systematic support related to the cultural adaptation of international students has been inadequate. Particularly, there has been a lack of university-level systematic support in areas such as long-term plans for attracting international students, providing accurate information about study opportunities at various universities, standardizing and simplifying application documents to reduce the burden on students, supporting mentorship for international students, providing academic and life support, career and employment assistance, improving awareness and developing quality management in relation to international students. In this study, we aim to typify the cultural adaptation stress experienced by the rapidly increasing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South Korea and empirically examine its impact on their academic performance. Specifically, we will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academic performance. To analyze the data, we performe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o validate the measurement instrument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Additionally, path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employ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independent variables, mediating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 Bootstrapping was us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dicat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negative relationships between cultural adaptation stress sub-factors such as cultural shock, nostalgia, fear, and perceived discrimina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and resilience. However, economic concerns were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academic self-efficacy and resilience. Furthermore, both academic self-efficacy and resilienc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positive relationships with sub-factors of academic performance, namely academic engagement and learning transfer.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ub-factors of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academic performance, cultural shock, nostalgia, fear, and perceived discrimination were foun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negative effects on academic engagement and learning transfer. However, economic concerns were not found to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either academic engagement or learning transfer. Additionally, academic self-efficacy and resilience were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adaptation stress sub-factors and sub-factors of academic performance. However, the mediating effects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resilience were rejec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concerns and academic engagement or learning transfer.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its interdisciplinary approach, incorporating both educational and management perspective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adaptation stress among international students and their academic performance. Moreover, this study conducted empirical analyses of the structural causal relationships among cultural adaptation stress, academic self-efficacy, resilience, and academic performance, which have not been fully explored in previous studies. Furthermore,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various sub-factors of cultural adaptation stress, primarily negative ones such as cultural shock, nostalgia, fear, perceived discrimination, and economic concerns, on the effectiveness of international students' pursuit of academic performance.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it is suggested that a study be conducted to typify stress factors based on in-depth interviews with international students, which would further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specific factors contributing to cultural adaptation stress. Additionally, research is need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academic performance based on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international students' home countries, as there is a strong association between them. Furthermore, considering the longitudinal changes in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and internalizing Korean culture by international students, it would be necessary. 우리나라는 2005년 Study Korea Project를 시작으로 유학생 정책을 지속해 외국인 유학생의 체계적인 관리와 운영에는 변화 없이, 목표한 외국인 유학생 수 유치를 위해 정부 주도적으로 정책을 추진하였고, 지난 20년간 학생 수는 약 9.5배 이상 급증하여 양적 성장을 이루었다. 그러나, 외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과 관련된 체계적인 대응은 미흡하였고, 특히, 중장기적인 외국인 유학생의 유치계획, 대학별 유학관련 정확한 정보의 제공, 유학생의 입학준비 부담 경감을 위한 서류 표준화, 간소화, 외국인 유학생에 지도교수에 대한 지원, 외국인 유학생의 학업 및 생활 지원, 외국인 유학생의 진로 및 취업지원,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인식 개선 및 교육과정 개발 및 질 관리 구축 등 대학차원의 체계적인 지원이 부족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급격히 증가하는 외국인 유학생이 한국에서 느끼는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유형화하고, 이러한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학습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하고자 한다. 특히,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학습성과와의 관계에서 외국인 유학생이 보유하고 있는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아 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분석방법으로 표본의 특성과 정규성을 확인하고, 타당성 및 신뢰성 검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변인간의 관련성을 검토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독립변인과 매개변인, 종속변인 간의 영향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구조모형방정식의 경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Bootstrap를 활용하여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 하였다. 분석결과로서 문화 적응 스트레스의 하위변인인 문화적 충격, 향수병, 두려움, 지각된 차별감은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아 탄력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고 부적인 영향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경제적 고민의 경우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아 탄력성 모두 기각되었다. 또한,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아 탄력성은 학습성과의 하위변인인 학습몰입과 학습전이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고 정적인 영향관계 나타났다. 또한,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하위변인과 학습성과의 하위변인간의 관계에서는 문화적 충격, 향수병, 두려움, 지각된 차별감은 학습몰입과 학습 전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고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경제적 고민의 경우 학습몰입과 학습 전이와의 관계는 모두 기각되었다. 또한,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하위변인인 문화적 충격, 향수병, 두려움, 지각된 차별감이 학습성과의 하위변인인 학습몰입과 학습 전이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아 탄력성은 부분매개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경제적 고민은 학습몰입과 학습 전이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아 탄력성은 기각되었다. 본 논문의 기여는 그동안 외국인 학생의 특성과 학습성과 등의 연구는 교육학적 관점으로 접근하였다면, 본 연구는 교육학적 관점과 경영학적 관점을 복합적으로 한 새로운 접근으로 외국인 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학습성과와의 관계를 연구하는 영역으로 확장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최초로 외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아 탄력성, 학습성과 간 구조적 인과관계에 대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는 점이다. 또한, 본 연구는 기존의 선행연구들에서 다소 간과해왔던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영역 중 문화적 충격, 향수병, 두려움, 지각된 차별감, 경제적 어려움 등 주로 부정적인 하위변인을 세분화하여 외국인 유학생이 궁극적으로 추구하고자 하는 학습성과에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향후 연구 방향으로는 외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요인을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해 외국인 유학생과의 심층인터뷰를 기반으로 스트레스의 요인을 유형화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외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경우 외국인 유학생의 출신 국가의 문화적 특징과 연관성이 많아, 외국인 유학생의 출신에 따른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학습성과의 관계를 확인할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외국인 유학생이 한국의 문화를 이해하고 내재화되어 가는 일련의 과정의 시계열적인 변화를 고려하여야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현재 시점에서의 횡단면적 분석을 하고 연구를 진행함으로 인해 문화적응 스트레스,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아 탄력성의 높음, 낮음에 따른 학습성과의 관계를 동적으로 종단면적 분석하는 부분은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집단미술치료가 이중문화 적응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다문화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한 질적 연구

        하애실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727

        오늘날 다문화가정의 아동들은 일반가정의 아동들과 ‘다름’을 경험하며 특수한 문화적 배경에 따른 다양한 어려움을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다양한 어려움은 다문화가정 아동들에게 위축, 불안, 소외감 등의 정서적 문제를 야기하게 되고 이는 이중문화 적응스트레스를 가중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여 아동들이 경험하는 이중문화 적응스트레스로 인한 어려움은 무엇이며, 집단미술치료는 어떤 치료적 개입을 통해 이중문화 적응스트레스의 변화를 주었는지를 탐색하고자 한다. 연구의 절차는, 초등학교 3학년에서 6학년 사이의 다문화가정 아동 6명을 대상으로 2013년 7월부터 9월까지 1회기 당 1시간씩 매주 2회기로 총 16회기의 집단미술치료과정을 진행하였다.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경험된 자료들은 지속적인 비교 분석방법을 통해 주제와 주제모음, 핵심범주를 도출하였다. 또한 미술치료의 진단기법인 물고기 가족화를 초기·종결단계로 나누어 두 차례 진행하여 이중문화 스트레스가 가정에 미치는 요인에 대해 비교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본 연구의 자료들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집한 자료를 지속적 비교분석 방법에 의해 분석한 결과, 가장 상위범주로써 모든 범주를 아우르는 핵심범주아래 4개의 주제묶음과 10개의 주제로 분석되었다. 먼저, 다문화가정 아동이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이중문화 적응스트레스에 어떤 변화를 경험하는지를 통합적으로 설명하는 핵심범주는 ‘긍정적인 자기개념 확립하기’, ‘가족 안에서의 의사소통 향상하기’, ‘또래관계에서의 편견과 차별 극복하기’, ‘다문화 수용하기’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자기 모습에 대한 인식과 수용이 이루어짐으로써 자신의 능력을 발견하게 되었고 이는 나 스스로에 대한 자부심을 갖게 되고 긍정적인 자기개념을 확립하게 되었다. 둘째, 가족 안에서의 존재감을 찾고 자신의 솔직한 감정을 표현하게 되며 가족 간 소통을 위한 역할을 발견하게 됨으로써 가족 안에서의 의사소통이 향상되었다. 셋째, 또래관계에서 자신의 감정을 정확히 인식하게 되고 친구들로부터 편견과 차별의 말을 들었을 때 대처할 수 있는 행동적 변화를 통해 문제해결능력이 향상되었으며 이는 또래관계에서의 편견과 차별을 극복할 수 있는 힘이 되었다. 넷째, 엄마와 엄마나라에 대한 관점의 변화를 통해 다문화가정 자녀로서의 자긍심이 형성되었고 나아가 타문화에 대한 긍정적 자각이 선행됨으로써 다문화를 수용하고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다음으로 물고기 가족화에서 나타난 공통적 변화과정을 살펴보면, 첫째, 물고기가 사는 집을 표현함에 있어 어딘가 깨져 보이는 듯 불안했던 집의 형태가 튼튼하고 안정된 모습으로 묘사되었으며 가족 내에서의 나를 나타내는 물고기가 없거나 아주 작게 표현되었던 것이 나를 가장 먼저 그리거나 크게 그리는 등 가족 내에서의 중요한 존재로 나를 인식하게 되었다. 둘째, 전체적인 물고기의 크기와 물의 높이가 안정적으로 변했으며 물고기의 표정이 그림에 나타나고 색이 칠해지면서 따뜻하고 편안한 분위기가 되었다. 셋째, 가족 구성원 모두가 각자 자신의 일을 하는 분리된 모습에서 전체로서 융화되어 하나의 공통된 일을 하는 모습으로 변화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집단미술치료가 다문화가정 아동의 이중문화 적응스트레스 완화에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다.

      • 다문화청소년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제렌람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727

        This study focused on the effect of acculturative stres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on school adaptation and the moderate effect on social support were investigated. This study based on the Panel Research(MAPS) data cond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icy Institute for sith year(2016) data. Survey respond of 1,283 adolesc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 Multicultural adolescents. Using SPSS 22.0 as the basic procedure to analyze the research model. And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shows that acculturative stress had a negative (-) effect on school adaptation. Second, this study shows that the social support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had a moderating effect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school adaptation. The practical proposal of social welfare are as follows: First, it seems multicultural youth with high acculturative stress necessary to attend cultural events like "World Village Festival". Thus, they can experience different cultures in their parent’s hometown. Attending such festivals will help you understand and positively accept the culture of the country of foreign parents, and improve awareness. Second, comparing the adolescents who have lower stress would likely to adapt fast rather then students who have high stess level. I would like to improve the practical support to lower the acculturative stres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As a policy plan, first, I believe it would be better if multicultural youth families can be settled in Korean society. Policy support that needed is helping foreign mothers continuously to merge into Korean society, culture and language, and also support to treat them like Korean ordinary families. Moreover, there is a need for policy measures against the economic difficulties of multicultural families. When it comes to their financial crisis, we need to increase the social activities than can help them to provide jobs. Finally, I think these things can help to change their social positions and stereotype that they receive from Korean society.

      • 다문화청소년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성취동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진현 대구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727

        This study attempted to confirm the effect of cultural adaptation stress on school life adaptat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achievement motivation in the effect of cultural adaptation stress on school life adaptation.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use it as a basis for preparing social welfare practical intervention measures through the encouragement of achievement motivation to encourage multicultural adolescents to adapt to school life. In order to prove this research purpose, the results of the sixth year of the Multicultural Youth Panel Survey (MAPS)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Children and Youth Policy (NYPI) were studied. To verify the research problem, a t-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difference in cultural adaptation stress, school life adaptation, and achievement motiva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relative influence between major variables. In addition, for hypothesis verification,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Baron & Kenny were conducted to reveal the mediating effect of achievement motivation on the effect of cultural adaptation stress on school life. The final result was the Sobel Test proposed by MacKinnon et al., and the results of the survey analysis are as follows. Cultural adaptation stres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directl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school life adaptation, and cultural adaptation stress induces achievement motivation and has a significant effect on school life adaptation through this, confirming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is study,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of the study were presented through these results. 본 연구는 문화적응스트레스가 다문화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과 문화적응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성취동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문화적응스트레스를 경험하는 다문화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 독려를 위해 성취동기의 격려를 통한 사회복지적 실천적 개입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반으로 활용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의 입증을 위하여 한국아동ㆍ청소년정책연구원(NYPI)에서 실시한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MAPS)의 6차년도 조사결과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문제의 검증을 위하여 다문화청소년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문화적응스트레스, 학교생활적응, 성취동기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t-test를 실시하였고, 주요변수 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해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가설검증을 위해 문화적응스트레스가 학교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성취동기의 매개효과를 밝히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과 Baron & Kenny의 검증을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Sobel Test와 부트스트랩(Bootstrap)을 실시하였으며, 조사 분석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다문화청소년의 문화적응스트레스는 학교생활적응에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문화적응스트레스가 성취동기를 유발하고 이를 매개로 학교생활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부분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통해 연구의 함의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 다문화가정 자녀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정석주 성결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727

        Recently, the number of international marriage increased rapidly as the marital migration of foreigners has increased. According to the Statistics Korea (2011), the number of marriage with foreigners was 11,305 which were 3.5% of the total marriage. In 2006, the number was 38,759 which were 11.7% of the total marriage and 8.2% increase compared to 2000. In 2010, the number was 34,235 which were 10.5% of the total marriage, which is a slight decrease compared to 2006 but 2.8% increase compared to 2009 where the total number of marriage to foreigner was 33,300. The number of increase was 935. As the international marriage increases, the number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is rapidly increasing each year; 25,000 in 2006, 44,000 in 2007, and 28,000 in 2008. Also, the number of students enrolled in secondary schools reached about 25,000, which is 40% increase compared to the year before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09). Many issues occurred due to such increase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us, the target of current study is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living in Gyeonggi-do district. The study analyzes which factors from the stress originating from cultural adaptation influence the issues that these children face when adapting to school lif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crease the level of school life adaptation by searching the appropriate measures. The research was conducted from November 1st, 2012 to November 30th, 2012, target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of A city, Gyeonggi-do.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of each factor was conducted using 122 valid surveys among the total of 400 survey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in order to verify the model based on theoretical foundation. By using the SPSS1 8.0, the result of the analysis is as below: First, there were 58 male students (47.5%) and 64 female students (52.5%) which shows the even distribution in gender when selecting samples. As for the grade, upper grade level students were more than others since there were 25 fourth graders (20.5%), 31 fifth graders (25.4%), and 48 sixth graders (39.3%). Second, 118 students (96.7%) lived in the city. Third, most of the parents had high school diploma as their highest educational level attained, which consisted of 73% of fathers and 69% of mothers. Fifth, 90.7% of the parents were foreigners. 53% of the students had mothers who are foreigners and 37.7% answered that both of the parents were foreigners. As for the national background of the parents, 71% of the students responded that their parents are from China. Philippines (20%) and Vietnam (16%) followed. Sixth, 74% of th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swered that their Korean fluency level is very good. Seventh, 70% of the children answered that their economic level is average. Considering the tendency of difference in detailed groups, the difference was not large enough except for the foreign status of the parents.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result using the post verification value. According to the variation analysis based on the foreign status of the parents, it showed significant result in perceived discrimination, perceived hostility, fear, cultural shock, guilt, and abiding to the rules. In case of perceived discrimination, they felt more discrimination when both of the parents were foreigners compared to when only the father was a foreigner. The same result applied to perceived hostility, fear, cultural shock, guilt, and abiding to the rules. That is, there were more negative influence when only mother was a foreigner and when both of the parents were foreigner compared to when only father was a foreigner. Lastly, the sample of the study was randomly selected amo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ho are enrolled in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yeonggi-do district which is the center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refore, there are limitations in generalizing the result of factors influencing the school life adaptation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due to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he area and limitations. It is because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focused only on students enrolled in a multicultural family centered school. The follow-up study should expand the subject school to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enrolled in regular elementary school and include characteristics of an area an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in sampling so that the result can be applied to general population. Based on the above study result and limitations, below proposal is suggested. In case of multicultural family centered school, the stress level in cultural adaptation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as low, which means that they adapted to school life well. Therefore, multicultural family centered school should expand more than now. 최근 외국인의 혼인이주가 이뤄지면서 국제결혼 건수가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통계청(2011)에 의하면 2000년에는 외국인과의 혼인이 11,305건으로 전체 혼인 건수의 3.5%, 2006년에는 38,759건으로 전체 혼인 건수의 11.7%로 나타나 2000년에 비해 8.2%나 증가하였다. 2010년에는 34,235건으로 10.5%로 나타나 2006년에 비해 다소 감소했지만 2009년의 33,300건보다 935건 증가함으로 2.8% 늘어났다. 또한 국제결혼이 증가함에 따라 그들의 자녀들도 증가하고 있는데, 다문화가정 자녀의 현황을 살펴보면 2006년 2만 5천명, 2007년 4만 4천명, 2008년 5만 8천명으로 매년 크게 늘어나고 있다. 또한 초․중․고교에 재학 중인 학생 수도 2만 5천명에 육박하는데, 이는 전년대비 40%이상 증가한 수치이다(교육인적자원부, 2009). 이렇게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증가하므로 인해 여러 가지 문제도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지역 초등학교에 다니고 있는 다문화가정 아동들을 대상으로 문화적응스트레스의 어떤 요인들이 학교생활적응 문제들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 학교생활적응을 높일 수 있는지 방안을 탐색하여 학교생활의 적응을 높이고자 하는데 의의가 있다. 본 논문를 진행하기 위해 경기도 A시에 위치한 초등학교의 다문화학생들을 대상으로 2012년 11월 1일부터 2012년 11월 30일까지 조사를 진행하였다. 총 설문지 400부에서 유효설문지 122부를 가지고 각 변인들의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고 이론적 토대에서 작성한 모형의 검증을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에는 통계프로그램 SPSS 18.0을 사용하였고 이로부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을 분석한 결과는 남자가 58명(47.5%), 여자가 64명(52.5%)으로 성별에 있어 비교적 고르게 표본이 선정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학년을 살펴보면 4학년 25명(20.5%), 5학년 31명(25.4%), 6학년 48명(39.3%)으로 대체적으로 고학년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거주지는 도시(시)가 118명으로 (96.7%) 절대적으로 도시가 많음을 알 수 있다. 셋째, 부모의 교육수준은 고등학교 졸업이 대부분으로 아버지는 73%, 어머니는 69%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의 외국인 여부는 90.7%가 외국인이며, 어머니가 외국인인 경우가 53%로 이며 부모 모두가 외국인인 경우가 37.7%로 나타났다. 부모의 출신 국을 살펴보면, 중국 출신의 부모를 둔 아동이 71%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필리핀 20%, 베트남 16% 순으로 분포를 이루었다. 다섯째, 다문화가정 아동의 한국어 능력 수준을 살펴보면, 매우 잘 하는 편이다가 74%로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여섯째, 경제수준 또한 70%가 보통수준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구체적인 집단들 간의 차이의 경향성을 살펴보았을 때 부모외국인여부를 제외하고는 차이가 크지 않아 사후검증값으로는 알 수 없었다. 지각된 차별감, 지각된 적대감, 두려움, 문화충격, 죄책감, 규칙준수에서 부모외국인 여부 분산분석결과 유의하다는 결과를 알 수 있었고, 지각된 차별 감의 경우, 엄마 아빠 모두 외국인일 경우 아빠만 외국인인 경우보다 차별 감을 더 느낀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엄마만 외국인일 경우 아빠만 외국인인 경우 보다 차별 감을 더 느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지각된 적대감, 두려움, 문화충격, 죄책감, 규칙준수에서 역시 마찬가지의 결과가 나왔다. 즉, 아빠가 외국인일 경우에 비해 엄마만 외국인인경우나 엄마, 아빠가 모두 외국인인 경우 악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경기도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다문화 거점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다문화가정 아동들만을 연구대상으로 임의 표집 하였다. 따라서 다문화거점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아동만을 대상으로 한 점, 지역적 특성과 한계성으로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대상자 학교를 일반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다문화 아동도 포함하여 확대시키며, 지역적 특성과 다문화가정 아동의 특성을 포함할 수 있는 표집을 통하여 일반화 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겠다. 이상의 연구 결과와 제한점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다문화거점 초등학교의 경우 학교의 특성상 다문화가정 아동은 문화적응스트레스의 정도 낮아 학교적응을 잘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여 다문화거점 학교가 지금보다 더 확대될 필요가 있다고 본다.

      • 베트남 이주 노동자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전혜정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727

        베트남 이주 노동자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cculturative Stresses on the Depression of Vietnamese Immigrant Workers 간호학과 전 혜 정 지도교수 이 가 언 본 연구는 국내 거주하는 베트남 이주 노동자들을 대상으로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우울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이주 노동자들의 건강증진 전략을 모색하는데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B시와 K시에 거주하는 베트남 이주 노동자 230명으로, 2014년 7월 12일부터 8월 3일에 걸쳐 자료수집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PASW statistic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문화적응스트레스 평균은 5점 만점에 2.91±0.41점이었으며, 요인별로는 향수병이 3.26±0.69로 점수가 가장 높았고, 의사소통 어려움은 3.10±0.66점, 직장에서의 어려움은 2.85±0.45점, 문화충격은 2.80±0.57점, 편견・차별은 2.79±0.75점, 대인관계 어려움은 2.66±0.50점이었다. 대상자의 문화적응스트레스는 종교(t=2.63, p=.009)와 모국인 친구수에서(t=2.38, p=.018)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 대상자의 우울 평균점수는 15.33±7.32점이었으며, 종교, 모국인 친구 수, 월급, 주 평균 근무 시간과 한국어 능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대상자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우울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487, p<.001), 한국어 능력과 문화적응스트레스(r=-.182, p<.006)는 음의 상관관계, 한국어 능력과 우울은 음의 상관관계(r=-.173, p<.009)를 보였다. 4.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1단계 분석한 결과 종교, 모국인 친구 수, 월 급여, 한국어 능력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우울을 12% 설명하였다(F=7.64, p<.001). 문화적응스트레스를 추가로 투입한 2단계 분석에서는 설명력이 16% 증가한 28%였으며 최종적으로 문화적응스트레스와 모국인 친구 수가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들 중 문화적응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력이(β=0.41) 가장 크게 나타났다(F=16.00, p<.001). 본 연구결과를 근거하여 이주 노동자들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줄여 이들의 우울을 감소시킬 수 있는 건강증진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주요어: 이주 노동자, 문화적응스트레스, 우울

      •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청소년자녀의 심리적 특성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일본인 어머니를 중심으로

        최예림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청소년자녀의 심리적 특성이 자녀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들에서는 주로 다문화가정의 아동을 대상으로 어머니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미치는 부정적 영향에 대해서 다루었다면,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의 청소년자녀를 대상으로 하여 청소년의 긍정적 개인특성이 행동에 주는 영향에 초점을 맞추고자 연구 모형을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에 지부를 두고 있는 다문화종합복지센터 중앙사무국의 협조를 얻어 일본인 어머니와 중고등학생인 자녀로 이루어진 다문화가정을 섭외하였다. 전국 다문화종합복지센터에 각각 동일한 양의 설문지를 배부했으며 최종적으로 134쌍의 설문지가 연구에 사용되었다. 설문지는 어머니의 문화적응스트레스를 측정하는 문항과 청소년 자녀의 낙관성, 자기조절능력, 내면화 문제행동(우울과 불안), 외현화 문제행동(공격성)을 측정하는 문항으로 이루어졌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우선 어머니의 인구사회학적특징에 따른 문화적응스트레스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한국어수준과 결혼기간에 따라서 문화적응스트레스의 차이가 있었다. 또한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따른 낙관성과 자기조절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학교생활의 만족도가 높고, 성적이 상위권이며 또래관계가 좋은 청소년의 낙관성과 자기조절의 수준이 높았다. 둘째, 어머니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청소년 자녀의 낙관성, 자기조절, 내면화적 문제행동과 외현화 문제행동 사이의 상관을 살펴보았다. 어머니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자녀의 낙관성 간에는 부적상관이 있었으며, 낙관성과 자기조절은 정적상관, 낙관성과 내면화, 외현화 문제행동 간에는 부적상관이 있었다. 셋째, 어머니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청소년자녀의 심리적 특성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어머니의 문화적응스트레는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청소년의 심리적 특성 중 낙관성만이 내면화, 외현화 문제행동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다문화가정의 청소년의 경우 어머니의 문화적응스트레스로 인한 영향은 받지 않고, 자신의 낙관성이 높으면 문제행동을 덜 나타내고 낙관성이 낮은 경우 문제행동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어머니의 문화적응스트레스에 따라 아동의 부적응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온 것과 비교해보면 상반된 결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의 이유로 아동과 청소년의 차이를 예상해 볼 수 있는데 청소년의 경우 부모님의 영향보다는 또래나 사회적지지 같은 변인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인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다문화가정의 어머니의 스트레스 수준이 높더라도 사회적인 차원에서 낙관성 훈련을 위한 프로그램이 지원된다면 다문화가정의 청소년들의 긍정적인 적응이 이루어 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