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문화자원봉사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김지현 檀國大學校 經營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9727

        이 연구는 문화시설에서 자원봉사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문화시설에서 운영하는 자원봉사의 실태를 파악한 결과 문화시설 중 64.4%가 자원봉사자를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목적으로는 부족한 인력의 보충, 전문분야 서비스 제공, 기관의 프로그램 홍보 등을 지적하였다. 자원봉사자의 모집은 대부분의 문화시설에 자원봉사자가 스스로 찾아오는 경우와 문화시설이 학교에 의뢰해서 자원봉사자를 모집하는 경우가 많았다. 문화시설 자원봉사자들이 주로 담당하고 있는 활동 분야는 주로 단순안내와 청소 등 노력봉사 분야였으며, 행사진행 보조와 사무/행정 보조 등과 같이 특별한 기술이나 지식 없이 참여할 수 있는 봉사활동이 그 다음을 차지하였다. 이에 비해 전문기술, 기능활동이나 프로그램기획·홍보, 조사 연구 등은 매우 적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자원봉사자를 도와주고 지도 감독하는 직원이 있는 경우는 81.6%로 나타났는데, 이들은 주로 다른 업무와 함께 자원봉사자를 지도, 감독하는 일을 겸임하고 있거나, 정해진 직원 없이 형편에 따라 아무나 담당하는 경우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자원봉사자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으로는 기초교육인 업무 오리엔테이션, 자원봉사자의 역할 및 자세에 관한 교육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자원활동 업무에 관한 기초 실무교육이나, 1개월 이상의 전문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기관은 매우 적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자원봉사자에 대한 포상은 자원봉사를 하고 있는 기관의 행사에 초대하거나 입장료, 수강료 등을 할인하는 혜택을 주는 형태가 가장 많았고, 회식 형태로 이루어지는 자원봉사자들간의 친목행사에 대한 경비 지원이 그 다음을 차지하였다. 문화시설에서 자원봉사자를 활용하면서 자원봉사자가 가진 문제점으로 가장 심각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책임의식 결여와 자원봉사자의 중간탈락, 전문지식과 기술부족 등이 지적되었다. 자원봉사자를 활용한 문화시설에서는 대체로 만족한다고 응답하였으며, 그 이유로는 인력보완의 효과가 있다와 자원봉사를 통해 기관이 홍보된다라는 사실을 들었다. 문화자원봉사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자원봉사를 활용하는 시설이나 기관에서 자원봉사를 전담하여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모집, 교육, 배치, 평가를 전담하는 자원봉사관리자를 배치하는 일이 중요하다. 문화자원봉사자에 대한 교육은 각각의 문화시설에서 특성에 맞게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현실적인 여건이 부족할 경우 협회 차원에서 교육을 실시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wo folds: to discover the state of current volunteer activity in Korean cultural facilities and to determine different methods of encouraging volunteerism. A survey of cultural facilities revealed that 64.4% of the facilities utilize volunteers. However, a closer look at the statistics shows that most volunteer activities are not by performed experts specializing in professional services. Instead, most volunteers in cultural facilities engage in manual and custodial activities such as ushering and cleaning. Only a small number of volunteers provide highly skilled, professional services such as Program Development, Public Relations or Research & Development. Most cultural facilities cited three reasons for employing volunteers. The volunteer program help facilities compensate for the lack of manpower assist in providing professional services help to develop public relations. Recruitment of volunteers is composed of two main avenues. One is a walk-on volunteer who actively seek out opportunities to help cultural facilities. The other is recruiting on college campuses. It is essential for an efficient volunteer operation to have a competent coordinator who can help and supervise volunteers. Even though 81.6% of facilities has a "volunteer coordinator", most of them are not exclusively devoted to run the volunteer programs. They usually supervise volunteers while fulfilling other roles in the facility. Also, in many instance facilities often randomly select someone to just hold the title "volunteer coordinator". Volunteer training is mainly composed of basic courses pertaining to job description and ethics. It was very uncommon to find programs involving in-depth training or professional training lasting for more than a month. The main characteristic of volunteerism is that it is "voluntary" and "without pay". However, moderate benefit and compensation can enhance the enthusiasm and morale of volunteers. Compensation for volunteers at cultural facilities are given mainly in the form of invitation to certain events, discount on admission fees or tuition, and paid banquets for volunteers. To encourage volunteer activities in cultural facilities, the facilities themselves should be reorganized and diversified systematically. In this way, classified volunteer can be properly placed and performed professionally. Continuing education can be required to enhance professionalism. Properly educated volunteer will be specialized in its professional activity. Also, broad range of government assistance that will allow volunteer to take an advantage in career should be essential on the encouragement of volunteer activity in cultural facilities.

      • 문화자원봉사자의 봉사활동 실태와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경주지역 문화해설사를 중심으로

        신현미 동국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9727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search for the measures to vitalize cultural volunteer activity by examining the overall realities of the cultural resources volunteer activity in an in-depth manner. This research targeted 224 culture commentators among the volunteers who are registered with the General Volunteer Activity Center in Gyeongju City and Gyeongju City. This research used structured survey questionnaire, drafted directly by the researcher. Data collected in this research was analyzed using SPSS(PASW) program and base theory among qualitative research, and data was processed as follows. First,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using frequency analysis to identify research subjec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cond, Crosstabu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the cultural resources volunteer activity and cultural welfare following research subjec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ird, t-test and ANOVA analysis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difficulty concerning the difficulty in carrying out cultural resources volunteer activity following research subjec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ourth, Crosstabu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measures to vitalize cultural resources volunteer activity. Fifth, categorization was conducted which entails grouping together similar concepts with the open coding, which is data coding method concerning base theory to identify the realities on the perception of the cultural volunteer activity concept. The conclusion reached with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when cultural voluntee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re examined, most of the subjects are women, in their 60’s and Buddhists. Majority of the respondents are house wives and retired people with no income when it comes to occupation. Most of the respondents are from the middle class. Second, when perception of cultural welfare is examined, most perceived it as cultural welfare as defined by Hyun Taek-su(2006) as ‘government and civilian level activity to increase the general public’s cultural sensitivity.’ Moreover, categorization into seven domains was completed through the open coding of the qualitative research when it comes to the open type of questions, posed to identify how cultural volunteer activity is perceived. Third, when current status of the cultural resources volunteer activity is examined,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cited included ‘for self-development, sense of fulfillment and sense of achievement.’ As for the channel for participation, it included, ‘through the cultural volunteers, friends or acquaintances that are active.’ Meanwhile, participation period ranges from five to seven years. As for the participation frequency, most participate once per week while at least majority serves for at least seven hours per day. They serve mostly regular tourists. Moreover, most of the respondents perceive that the family’s acceptance of their activity plays an important role in carrying out cultural resources volunteer activity. Most cited that they are satisfied with cultural resources volunteer activity because they think that ‘their activity helps others and neighbors.’ As for the reason for dissatisfaction, it is ‘unsatisfactory recognition and compensation.' When the way expenses are paid for is examined, subjects with these characteristics tended to pay for the expenses on their own; women more than men, people in 50’s or below compared to people in their 60’s or older, group with income than group with no income and those with higher economic level. When the realities of the support are examined, subjects receive mostly the support for resource voluntary activity training. When cultural resources volunteer activity related compensation is examined, at least a vast majority said that ‘additional support concerning economic compensation’ is needed. Fourth, when the difficulties faced while carrying out cultural resources volunteer activity are examined, most cited ‘lack of accommodation and acceptance of the opinion presented to institution or group.’ Fifth, when measures to vitalize cultural resources volunteer activity are examined by classifying into improvement measures and into requirements of autonomous regional entities or related institutions, most cited ‘the need to increase policy and financial level support for cultural resources volunteer activity’ as the improvement area. As for the requirements, most cited ‘factoring in the opinion of the cultural volunteers.’ Accordingly, these measures are needed to establish cultural welfare as a domain of the social welfare department; establishment of the system for the paid or non-paid standard and pursuit of the support appropriate for activity domains, presentation of the cultural welfare related policy that suits the Korean situation, mandatory placement of the cultural volunteer activity manager or coordinator, vitalization from the ‘Ethnographic Approach’ and so forth.

      • 문화자원봉사의 역할 및 활성화방안 연구

        안창희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727

        Local governments are finding their spots and big scale public cultural facilities are also finding spots to relieve the cultural thirst of citizens. They are in the position to gradually and specifically discuss about its proper function. Big scale cultural facilities are pledging high quality life to each small and medium cities and are taking active interest to host various cultural events, festivals and pop culture icons in their districts. To this, we propose a method to enjoy more systematic and efficient culture in the aspect of a cultural management specialist. As a part, the main agent of local government participation should deviate from the dichotomous role as a citizen and focus on the mediator role as a volunteer. (I think the smooth role of the study area of arts management or arts and management is the role of an arts management scholar.) Most cultural volunteer workers mainly show active attitude of event participation organized by local citizens. This study aims to search the role of managers maximizing the financial support of cultural organizations and influence of cultural volunteer work, enlarging the range of volunteer work, and helping volunteer work to be actively conducted throughout the overall culture in the local society. based on various data. For this,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 of volunteer work was organized and theory of activity area and its necessity was searched. In chapter 3, cultural volunteer work using cases were looked into by the docent training program and life-long education of libraries, and the range, subject of Samsung Leeum Art Museum was studied to look into the current situation of domestic cultural volunteer work. Operation of programs related to internship grade exchange subject to cultural arts graduate students nowadays was also looked into. The characteristic of cultural volunteer work still being a one-time participation, library cultural volunteer work cases becoming local attachment types of conservative society, and education programs connected to libraries being used were also referred. By the characteristic of 'sacrifice,' range of cultural volunteer work at that local volunteer work center conducts the function as the role of the middle of a consumer and supplier. Ultimately, effort to gain the goal of 'leisure use' and 'culture enjoying‘ is also starting. Looking into the awareness and current participation status of cultural volunteer work researched by the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in 2010, it could be reconfirmed that the ultimate potential is infinite. Through this, chapter 4 carefully proposes cultural volunteer work revitalization plans and looks into the role of cultural volunteer work education which was originally formal. Specific and detailed understanding of potential manpower participating in cultural volunteer work programs and active searching of markets needed by cultural volunteer work is inevitably needed and role reestablishment of volunteer work managers to conduct this is essential. Active role establishment securing local infrastructure and resource data should be promoted in the original manager role as a mediator role and searching cultural volunteer work programs should be active too. For this, looking into the policies of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 Tourism shouldn't be neglected either. This can be called as a plan finding the connection of cultural policies in progress to activate cultural volunteer work by establishing cultural volunteer work programs starting from the start of business. The original characteristic of volunteer work of self-activity and non-profit should be conserved and more specific benefits should also be studied to more socially inspire the capability of cultural volunteer workers. For instance, introductionof Time Bank and volunteer work credit policy can be considered. To conduct all of these things, it is suitable to reestablish the role of a cultural volunteer manager. Position, talent, and condition of cultural volunteer work managers is no different from leaders of groups and as a local counselor, everlasting open attitude and mind is essential to fulfill the ultimate objective of cultural volunteer work, voluntary 'culture enjoying.' 지방 자치제가 자리를 잡아가고 각 시도에서 주민들의 문화적 갈증을 해결하기 위한 일환으로 공공 문화시설이 대규모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고 이제 서서히 그 순기능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논의를 요하는 시점에 와 있다. 어찌 보면 대한민국은 문화자치제의 물리적 르네상스를 맞이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지 싶다. 대규모의 문화시설은 각 중소 도시의 품격 높은 삶에 공약을 내걸어 각 종 문화행사와 축제, 대중문화의 아이콘을 자신들의 자치구에 유치하고자 동분서주하고 있다. 이에 우리는 문화경영전문가의 입장에서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 높은 문화 향유를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 일환으로 주체는 지자체 참여는 주민이라는 이분법적인 역할에서 벗어나 자원봉사자라는 중간자적인 역할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예술경영이라는 학문의 영역 또한 예술과 경영의 원활한 윤활유 역할이 예술경영 학도로서의 역할이라 생각한다.) 대부분 문화자원봉사자는 주로 그 지역 주민들로 구성되어 있고 행사의 참여도가 적극적이 태도의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즉, 참여자이자 주체자로서 그 역할을 확대하고 이로 인해 문화잔체기관의 재정적 도움은 물론 문화자원봉사의 영향력을 최대화 하며, 자원봉사의 영역을 넓히고, 지역 사회에서 자원봉사활동이 문화전반에 걸쳐 활발히 전개되도록 돕는 관리자의 역할을 모색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자 한다. 본 논문의 연구 방법은 각종 자료를 중심으로 한 문헌 연구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하여 문화자원봉사의 개념 및 특성을 정리하였고, 그 활동 영역과 필요성에 관한 이론을 모색하였다. 3장에서는 본격적으로 선진국가의 문화자원봉사 활용 사례를 도슨트 양성 프로그램과 도서관의 평생교육관련 프로그램을 살펴보았고, 이어 국내 문화자원봉사 현황을 알아보기 위하여 삼성 리움 미술관의 자원봉사제도의 영역과 대상을 조사하였다. 최근 문화예술관련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인턴십 학점 교류 관련 프로그램의 운영도 살펴보았다. 아직은 일회성의 참여로 소비되고 있는 문화자원봉사의 성격을 보수적 사회의 지역 밀착형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는 도서관 문화자원봉사 활용사례와 도서관과 연계한 교육프로그램의 활용 여부도 언급하였다. ‘희생’ 이라는 성격에서 그 지역 자원봉사센터에서의 문화자원봉사의 영역은 수요자와 공급자의 중간자적인 역할로 그 기능을 수행하고, 궁극적으로는 ‘여가활용’ ‘문화향유’의 목표가 되기 위한 노력도 시작되고 있다. 2010년 문화예술진흥원에서 조사 연구한 문화자원봉사의 인지도 및 참여 실태를 살펴보면 그 긍적적인 가능성은 무한대임을 재확인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조심스레 문화자원봉사 활성화방안을 제시하는 4장에서는 기존의 형식적 이기만한 문화자원봉사자 교육의 역할을 짚어보고자 한다. 문화자원봉사 프로그램에 참여하고자 하는 잠재인력의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수요 파악과 문화자원봉사가 필요한 수요처의 적극적인 발굴이 반드시 있어야 하며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자원봉사 관리자의 역할 재정립도 필수적이다. 중간자 적인 역할에 지나지 않았던 기존의 관리자의 역할에서 지역 인프라 및 자원의 데이터도 확충해야하는 적극적인 역할 정립을 도모해야 하며 문화자원봉사 프로그램 발굴에도 적극적이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문화체육관광부의 정책을 살펴보는 일 또한 간과되어서는 안 된다. 2012년까지 추진되는 문화정책의 연관성을 찾아내어 사업 실행 초기에서부터 문화자원봉사 프로그램을 함께 수립할 수 있도록 발 빠르게 움직여야 하는 것 또한 문화자원봉사를 활성화하는 방안이라 하겠다. 자원봉사의 기존의 성격인 자발성과 무보수성이 보존되고 더불어 문화자원봉사자들의 역량을 사회적으로 더욱 고취시키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혜택 또한 연구되어야 한다. 일테면 타임뱅크와 자원봉사 크레딧 제도의 도입도 고려해볼 만하다. 이 모든 일들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다시 한번 문화자원봉사관리자의 역할을 재정립하여야함이 마땅하다. 문화자원봉사 관리자의 위치와 자질, 조건은 여는 단체의 리더와 다름이 없으며 지역 상담가로서 자발적 ‘문화 향유’라는 문화자원봉사의 궁극적인 목적을 수행하기에 모자람이 없도록 열린 자세와 마음가짐이 필수적이다.

      • 축제 경영 효율화를 위한 문화자원봉사 운영 전략 연구

        모영선 배재대학교 관광축제한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26

        축제는 지방자치제 출범에 따라 지역의 가치를 알리는데 발전을 거듭해왔다. 축제는 지역의 홍보와 더불어 관광객 유입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과 지역소비 활성화 등의 효과로 축제는 운영의 시대에서 축제 경영의 시대로 변화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 축제는 보조금으로 지원되는 예산의 한계와 축제 운영 조직의 한정된 인력만으로는 축제 개최가 불가능하다. 이에 대부분의 축제를 자원봉사자 운영으로 개최되는 실정으로, 축제 경영의 도입을 통해 축제 자원봉사자 운영방안 모색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로 축제 문화자원봉사 운영 전략의 축제 경영 효율화 영향에 미치는 중요한 요소를 파악하고, 축제 경영 효율화를 위한 축제 문화자원봉사 운영 전략을 제시한다. 당해 연구는 문헌조사와 기초통계 자료로 질적연구와 양적연구를 병행 활용했다. 연구결과 축제 문화자원봉사 운영에 대한 중요도를 순위별로 기술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원봉사자 운영 매뉴얼 구축 (2) 자원봉사 분야별로 각각 모집·선발하여 운영 (3) 자원봉사자에게 체험·행사·공연의 참여·관람 기회를 제공하는 것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문화자원봉사 활동을 위한 교육과정에 대한 중요도는 다음과 같다. (1) 안전교육 (2) 관광객(관람객)을 위한 응대교육 (3) 축제 안내를 위해 축제장 구성과 체험 프로그램 순으로 파악되었다. 축제 문화자원봉사 운영에 대한 중요도의 요인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업무 전문성 (2) 자원봉사자의 지속적 참여 (3) 자원봉사자의 이미지 강화 순으로 파악되었다. 축제 문화자원봉사 활동을 위한 교육과정의 요인분석 결과는 소양교육이 중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는 축제 문화자원봉사 운영 전략 방안에 관해 이론적 연구와 실증적 접근을 시도하여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이번 연구를 바탕으로 축제 현장에서 축제 문화자원봉사자 운영을 통해 축제의 경영 효율화에 도움 될 것이라고 기대한다. As the government started to become more localized, festivals have been constantly developing in order advocate the worth of the local area. As time passed by, the significance of festivals has grown because it not only advertises the area, it also stimulates the local economy. This pushes the trend to focusing more on efficiently managing festivals rather than just operating it. Unfortunately, majority of festivals are constrained by tight budgets earned from grants and limited manpower from organization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come up with ways to operate and manage festivals effectively by focusing on using volunteer as the main source of manpower. This research proposes to (1) layout strategies for effective festival management focused on incorporating cultural volunteers and (2) identify the main factors for utilizing cultural volunteers that influence the performance of the festival management. This year’s research is conducted mainly through literature reviews and statistical analysis for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The following paragraph layouts the strategies by significance for utilizing culture volunteers to bring up the efficiency of festivals. After careful analysis, the proposed strategies are (1) to create a manual for volunteer administration, (2) to recruit volunteers based on their task and field, and lastly (3) to give the volunteers opportunity to experience and attend the festival themselves. Additionally, educating the cultural volunteers are significant as well. The top priorities are given in the following order: (1) safety precautions, (2) how to great and converse with guests, and (3) learning the layout and the activities in the festival to guide the guests. Based on my research, I have concluded that these are the most crucial factors in festival management based on cultural volunteers. The most crucial factor is their expertise in the given task, second is their consistent participation, and lastly is the enhancement of the image of cultural volunteers. The most important factor when it comes to educating the cultural volunteers for effective festival management is to focus on basic skills, knowledge, and mental attitude. I conclude that this research needs further investigation through theoretical and empirical studies for any concrete takeaways for culture volunteer administration strategies for efficient festival management. I anticipate that there will be an improvement of the festival scene overall 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festival management through incorporating cultural volunteers into the administration.

      • 생활문화예술동호인 활동 만족도 분석 : 전라북도 익산을 중심으로

        장민희 배재대학교 관광축제호텔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Satisfaction Analysis of Regional Volunteer Culture & Art Clubs -Iksan city, North Jeolla Province- Min-Hee Jang Department of Tourism Management, The Graduate School of Pai Chai University, Daejeon,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Park, Juneyong) Most regional volunteer culture and art clubs are oriented to enhance community peoples gathering and performance. In this study, these clubs' members of Iksan, North Jeolla Province may be segmented by musics, dances, Korean traditional sings and paintings the others in order to examine members' service and characteristics. Then find out members' satisfactions and demographic differences between purposes and the others. This study made 5 hypothesis for clubs' members of Iksan, North Jeolla Province, general characteristics, satisfacti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demographic factors, purposes and loyalty. First, find out differences of visiting motivation between demographic factors and the others. Second, investigate differences of satisfaction amo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ird, examine differences of loyalty between gathering and general characteristics. Fourth, analyze differences of demographic factors between members and the others. Fifth, measure differences of characteristics between members and purposes. Sixth, there will be correlation between demographic factors and general characteristics. Key words: art clubs; satisfaction of club; motivation of club; cultural volunteer ; loyalty; Iksan city 최근 생활 속에서 비전문 분야의 문화예술을 향유하고자 하는 욕구가 많아지고 관련 동호회, 단체 등으로 다양한 형태를 가진 공동체가 형성․확산되고 있다. 따라서 생활문화예술에 대한 인식을 확대하고, 증가하는 생활문화예술 동호인에 대한 체계적인 지원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고 본다. 본 연구는 전라북도 익산에 있는 생활문화예술동호인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과 개별 동호회 활동을 분석하여 생활문화예술 관련 참여목적, 이용만족도, 향후 참여의사간의 관계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생활문화예술동호인들의 일반적 특성과 활동 유형, 사업만족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비교 분석하였고, 일반적 특성, 활동유형과 사업만족도에 관한 차이와 인과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상기 분석을 토대로 시사점을 도출하고, 생활문화예술동호회의 활성화를 위한 제언도 제시하였다. 실증 분석을 통해 본 연구에서 연구 문제를 검증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인 성별, 세대, 동호회 참여 분과에 따라 사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라 삶의 질 측면에서 여성이 높게 나타났고, 운영진 측면에서 남성의 만족도가 높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또한 세대에 따라 삶의 질과 개인의 능력성장 만족도 측면에서 중년층인 40대에서 높은 분포를 보였고, 많은 행사에 어려움 측면에서는 노년층에서 높은 분포를 보였다. 참여 동호회 분과에 따라 삶의 질 측면에서 음악, 무용 등에 참여할 때 만족도가 높았으며, 국악은 개인 능력성취도 면에서 만족이 높았다. 시설편의 측면에 있어 음악분과에서 높은 만족을 하고 있었으며, 국악분과는 낮게 나타났다. 타 동호회와의 교류 측면에서 국악분과가 교류에 대한 만족이 가장 높아 타 동호회 교류뿐만 아니라 타 지역의 행사에도 향후 참여의사에 대해 높게 나타났다. 또한 국악분과가 향후 참여 의사에 있어 가장 적극적인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개별 활동 요인인 정기모임 빈도, 만족한 참여 행사에 따라 사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전반적으로 삶의 질을 향상에 만족하고 있었고, 1주 3회 이상 모임을 갖는 동호인들이 개인의 능력을 향상시키고 자원봉사의 마음가짐에 가장 만족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1주 3회 이상 모임을 갖는 동호인들이 정보이용에 대한 만족이 높았고, 친목에 대한 의지가 높아 타 동호회와의 교류에 만족하고 있었으나, 많은 행사의 참여에는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만족한 참여 행사에 따른 사업만족도의 영향 분석결과, 지역 대표축제인 서동축제와 시민을 대상으로 하는 거리공연인 상설공연이 문화향유에 대한 만족이 높았고, 교육 및 교류사업을 통해 자원봉사에 만족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교육 및 교류사업은 운영진, 홍보의 측면에서 만족도가 높아 매개자로서 운영진의 역할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서동축제는 운영에 참여의사가 높아 동호인들이 지역 축제에 관심이 많은 경향을 보였고, 교류사업에 참여한 동호인들의 행사 재참여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 적극적인 동호인들의 충성도가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일반적 특성 성별에 따라 개별 활동요인인 정기모임 시간대에 차이가 있었다. 남성의 대부분은 퇴근 이후인 저녁시간대에 활동하고 있었고 여성의 대부분은 낮 시간대에 활동하고 있어, 지원전략 마련 시 이를 반영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정보수집 경로에 따라 행사에 참여하는 횟수에 차이가 있었는데, 사무실 전화연락이 가장 많은 경로로 활용되는 반면 사무실에 직접 방문을 한 경우 행사 참여에 가장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향후에는 동시 다발적인 정보가 전달될 수 있는 지역 언론 및 SNS 등을 활용한 매체 활용이 필요할 것이다. 넷째, 연령과 정기모임의 참석인원, 행사 참여 횟수 간에는 인과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연령이 높아질수록 정기모임 참석인원과 행사 참여 횟수가 많아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생활문화예술 동호인들이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급변하는 지역사회에 있어 사회성에 대한 만족이 요구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독거노인 등 노인층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생활문화예술이 정책적인 대안이 되리라 사료된다. 다섯째, 행사 참여 횟수와 사업만족도 간에 인과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정보이용에 대한 만족이 높을수록 행사 참여 횟수가 많았고, 시설편의에 대한 만족이 높을수록 행사 참여 횟수가 많았다. 또한 동호인들이 공연 및 전시 등을 통해 자아실현을 할 수 있어 성과발표에 대한 만족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고, 타 동호회와의 교류 기회가 많아져 이에 대해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행사 참여가 늘어남에 따라 많은 행사에 참여하는 것에 어려움이 따르는 것으로 분석되어 교통편의를 제공하는 등 행사 참여시 불편함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행사 참여 횟수가 많을수록 향후 적극적으로 다시 참여하고자 하는 의지가 높아져 타 지역 행사 참여, 운영 참

      • 해외자원봉사활동이 대학생의 세계시민의식과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강혜라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3343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look into how international volunteering affects the level of college students’ global citizenship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to provide the effective plan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ctivities through the international volunteering. The two research questions in the study are as follows: 1. Is there a difference in global citizenship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before and after international volunteering? 2. Is there a difference in global citizenship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international volunteering?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college students, who have completed international summer volunteering program, organized by university, which each participants are attending. The study used self-administered survey, convenience sampling(N=158) and one-group pretest-posttest research design. To analyze the effects of international volunteering, the study used Cronbach's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 frequencies, percentiles, means, standard deviations, paired t-test, Pearson's correlations, univariate analyses, bivariate correlation analyses,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regard to multicutural acceptability before and after the participation of international volunteering, wherea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 found in global citizenship. In other words, college students were found to have mor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fter the participation of international volunteering. Second, there were not any significant differences by volunteering program length, working hour of volunteering in global citizenship or muticultural acceptability.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y gender, grade, and major, but not by religion and income levels, in global citizenship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e implication of the study is that it has shown the empirical evidence of the effectiveness of college students' international volunteer work. The study’s findings could be used as a guide to a future international volunteering program. More empirical studies are need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effectiveness between long-term and short-term international volunteering. 최근 대학생의 해외자원봉사활동 참여가 급속도로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해외자원봉사활동에 대한 효과성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해외자원봉사활동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해외자원봉사활동의 발전방향을 논의하기 위하여 대학생들의 세계시민의식과 다문화수용성을 조사하여 이들의 해외자원봉사활동 특성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해외자원봉사활동 전과 후의 세계시민의식과 다문화수용성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해외자원봉사활동 특성에 따라 세계시민의식과 다문화수용성에 차이가 있는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서울소재 4개 대학교와 지방소재 2개 대학교를 선정하고, 민간단체를 통해 해외자원봉사활동 파견을 확정지은 2개의 팀도 포함하여 해외자원봉사활동 전과 후의 세계시민의식과 다문화수용성의식을 측정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설문조사 중 최종적으로 158부를 자료 분석에 사용하여 SPSS 21.0 프로그램을 통해 통계분석을 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은 연구문제에 따라 대응 표본 t-검정(Paired t-Test)과 다변량분산분석(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MANOVA)을 실시하였고, 이를 보충하기 위한 방법으로 각 종속변수 별로 일원분산분석(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해외자원봉사활동 전과 후의 세계시민의식은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다문화수용성의 경우에는 사전보다 사후가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다문화수용성의 하위변인 중에서 보편성차원과 관계성차원에서 해외자원봉사활동의 효과가 나타났으며, 다양성차원에서는 프로그램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해외자원봉사활동의 기간 및 시간에 따른 세계시민의식과 다문화수용성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개인 활동과 집단 활동에 따른 차이는 개인 활동으로 응답한 참가자가 1명에 그쳐 분석이 불가능 하였다. 한편, 현지인과의 교류 여부에 따라 다문화수용성 중 고정관념 및 차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봉사단체 내에서 교류한 그룹보다 현지인과 교류를 한 그룹이 다문화수용성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세계시민의식과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변인으로는 성별, 학년, 전공으로 나타났지만, 종교와 소득수준에 따른 영향력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실천적 함의를 갖는다. 첫째, 대학생 대한 해외자원봉사활동의 효과성에 관해 실증적 연구를 하였다는 것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세계화 시대를 이끌어갈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세계시민의식 및 다문화수용성에 관한 단기해외자원봉사의 효과를 알아봄으로써 추후 해외자원봉사활동의 발전방향을 제시해주고 있다. 둘째, 해외자원봉사활동 전후 세계시민의식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결과는 프로그램에 세계시민교육 내용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파견국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사전교육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셋쩨, 해외자원봉사활동이 다문화수용성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밝혀냈다. 이는 해외자원봉사활동의 효과성이 확보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대학생들이 다문화 사회에 건전한 세계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우리 사회의 책임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는 다음과 같은 한계를 가지며, 이를 토대로 한 제언은 아래와 같다. 첫째, 편의표집 사용으로 일반화의 한계가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대학이 아닌 민간기관이나 기업에 참여한 대학생들을 광범위하게 표집하여 연구결과를 전체 대학생 해외자원봉사 프로그램으로 적용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해외자원봉사활동의 기간을 장기와 단기로 나누지 않아 기간상의 차이점을 보다 명확하게 나타낼 수 없었다. 후속 연구에서는 짧은 시간에 많은 것을 경험하고자 하는 단기 해외자원봉사활동과 달리 생활적 요소가 함께 하는 장기 해외자원봉사의 연구가 동시에 이루어진다면 심도 있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해외자원봉사활동 내용을 8가지로 구분하였으나 실제 진행된 해외자원봉사활동의 복합적이고 중복적인 내용을 다루지 못하였다. 추후 명확한 분류체계를 제시하여 중복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도록 설문조사를 실시해야할 필요가 있다.

      • 대학생 해외자원봉사활동경험이 다문화 감수성과 다문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효길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3343

        본 연구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국내의 다문화적 상황에 대비하여, 미래사회의 주역이 될 대학생들의 다문화 감수성과 다문화 인식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방법들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최근 들어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경쟁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해외자원봉사활동이 그들에게 다문화 감수성과 다문화 인식의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다 줄 수 있는지 확인하고, 대학생을 포함한 시민들을 대상으로 하는 다문화 교육 방법의 방향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 주 목적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 해외자원봉사활동 프로그램이 다문화 감수성과 다문화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사)태평양아시아협회의 해외자원봉사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 110여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이전 사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해외자원봉사활동 프로그램 종료 후 사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의 인구사회학적 변수와 다문화 노출경험에 따라서 다문화 감수성과 다문화 인식의 변화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집단별 동질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셋째, 다문화 감수성과 다문화 인식에 대한 사전-사후검사결과를 실시하여 효과를 분석하였고, 자원봉사 활동보고서 검토를 통해 내면적인 변화를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확인한 해외자원봉사활동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다문화 감수성과 다문화 인식 변화 연구의 구체적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단일집단을 대상으로 한 사전-사후검사 결과 해외자원봉사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들은 다문화 감수성 영역과 다문화 인식 영역의 모든 분석 결과에서 유의미한 변화결과를 보여주었다. 둘째, 활동보고서와 소감문을 통하여 그들 내면의 변화가 자연스럽게 나타난 것이 확인 되었다. 그들을 변화시킨 원인이 단순히 남을 돕는 봉사에 의한 것이 아니라, 해외자원봉사활동이라는 특수한 프로그램을 통하여 다른 문화권의 사람들을 접촉하고 함께 호흡하면서 그들을 바라보는 내면적인 변화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론을 토대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해외자원봉사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둘째, 대학생을 포함한 일반시민들을 대상으로 하는 다문화 교육연구가 추가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셋째, 미래 한국사회를 위한 현직 교사와 예비교원에 대한 다문화 교육이 필요하다. 모두가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행복한 미래의 한국 사회를 위해 정부의 주도적인 노력과 더불어 민간단체와 종교단체 등이 함께 노력한다면, 미래 한국의 모습은 서로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존중하는 건강한 사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문화자원봉사관리자 인력양성 방안에 관한 연구

        이영옥 추계예술대학교 예술경영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33343

        이 연구는 자원봉사의 영역 중 문화자원봉사가 차지하는 비중이 점점 커지고 있는 현실에서 문화자원봉사 활성화를 위한 주요한 방법으로 문화자원봉사관리자 인력을 양성하여야 하는 당위성을 제시하고 그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직까지 우리 나라는 자원봉사영역에서 문화자원봉사라는 부분에 대한 전문성을 확보하고 있지 못하며 일반자원봉사자들이 자원봉사센터를 통하여 문화자원봉사활동을 겸하고 있는 실정이다. 자원봉사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사회복지에서 말하는 자원봉사만을 생각하므로 "문화자원봉사"(Volunteer Coordinator)라는 말은 생소하게 들리는 것이 사실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자원봉사자(volunteer)라는 개념에 봉사자의 활동영역을 문화부문으로 옮겨 놓은 것이 바로 문화자원봉사이다. 이러한 문화자원봉사활동을 하는 봉사자를 문화자원봉사자라고 하며 문화자원봉사자는 문화촉매의 기능을 하는 봉사자로 활동하는 자를 말한다. 문화자원봉사활동은 활동 목적에 따라 문화재 보존분야, 문화생활 향상분야, 문화복지 서비스분야로 나눈다. 그러나 문화자원봉사활동의 장소에 따라 자원봉사의 내용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이 문화자원봉사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박물관과 미술관, 공연장, 축제 행사에서 나타나는 자원봉사의 활동이 행사안내, 사무보조, 청소 등의 단순보조업무만을 취급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미국 오클랜드 박물관의 경우 자원봉사 자격 요건이 매우 까다로우며 상당기간의 교육을 이수한 사람에 한하여 자원봉사활동에 참가할 수 있다. 우리의 경우 문화자원봉사자들이 대부분 학점을 획득하기 위해 방문하는 학생들로 채워져 있지만, 앞으로 주5일제 근무라든가 은퇴자와 노인인구의 증가로 문화자원봉사활동의 수요자는 증가될 환경에 놓여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문화시설이나 기관에서 자원봉사를 전담하여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모집, 교육, 배치, 평가를 하는 전문 인력으로서 문화자원 봉사관리자(volunteer coordinator)를 양성해야 한다. 문화자원봉사자란(volunteer coordinator) 문화자원봉사를 활성화시키고 나아가 문화촉매자로서의 역할을 다하는 문화자원봉사의 관리자요 지도자이다. 우리 나라에서는 문화시설들에서 직원들이 주로 문화관리자의 업무를 담당하고 있으며 전문화된 문화자원봉사관리자가 없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문화자원봉사관리자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서는 크게 두 가지로 인력개발과 제도적 장치 구축을 제안한다. 첫째, 인력개발을 위해서는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인턴제도를 활용하자는 것이다. 교육 프로그램의 운영 주체는 문화관광부나 교육인적자원부에서 담당할 수 있으나 문화자원봉사 중앙센터가 설립되어 함께 연계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어야 한다. 이는 문화창작에 대한 수용이 기관마다 다르므로 균형을 맞추어 연구된 프로그램이어야 하기 때문이다. 인턴제도는 문화예술분야에서는 아직 정착되지 않은 프로그램이지만 이 제도가 도입되어 이와 관련된 학과의 학생들에게 현장실습과 취업의 연장으로 연결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제도적 장치로는 사회적 시스템인 네트워크 시스템과 문화자원 봉사 자격증(qualification)군을 제도화하자는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은 문화시설 및 기관, 지역의 자원봉사센터와 중앙센터와의 연계(network)를 말하는 것으로, 문화예술의 인적자원, 물적자원, 정보자원(기술, 노하우 및 정보)등을 상호 교환하는 것이다. 또한 자격증 (qualification) 제도는 문화자원봉사관리자의 기능분야를 선정하여 관리자의 역할에 최선을 다할 수 있는 표준을 설정하여 자격증을 주자는 것이다. 자격획득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자격획득 후에도 지속적으로 교육될 수 있는 관리 시스템이 운영되어, 관리자로서 지도자로서 자신의 임무에 최선을 다하는 봉사자가 되기를 바란다. Among voluntary sec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suggestions on cultivating Volunteer Coordinators and necessity of educating them as major method for voluntary activation in condition that Volunteer Coordinators are gradually given more weight on. In Korea, there are not many expert Volunteer Coordinators involuntary support sectors as of yet. In fact, general volunteers from the Volunteer Center serve as Volunteer Coordinators. Generally"voluntary support" is regarded as that for social welfare facilities. Though the term "Volunteer Coordinator'' may sound new to the public. Volunteer Coordinator stands for "a volunteer serving for activities in cultural facilities." In other words, the volunteers that participate in such activities are called Volunteer Coordinators. They also function as catalysts for cultural development. The activities of Volunteer coordinators are classified by the purpose of their services such as preservation of cultural properties, improvement of cultural life, and culture orientated services. One of the most characteristic features of volunteer coordination activities is that the voluntary service varies according to where it takes place. Voluntary activities at museums, art galleries, performance venues and festivals, however, are comprised of simple and assistant work such as providing information, doing clerical work and cleaning. In case of the Oakland Museum in the United States, the qualification for the volunteer is very challenging and only those who have completed training programs over an extended period can participate in the voluntary activities. In Korea, most voluntary support comes from college students who hope to earn credits. Voluntary support, however, is expected to increase with the up-coming five-day work system along with the need of volunteers for the increasing number of retirees and the elderly. Therefore, we need cultural facilities or organizations to assume full charge of training Volunteer Coordinators on how to plan, recruit, train, place and evaluate volunteers. The Volunteer Coordinator refers to the managers or leaders at a volunteer group who work to encourage volunteers to join and participate in providing services in cultural sectors as well as working as cultural animateurs. In Korea, staff members at cultural facilities are mostly in charge of cultural management; therefore there is a lack of specialized Volunteer Coordinators. I would like to make two proposals with regard to human resources and systems to cultivate Volunteer Coordinators: Firstly, in order to develop human resources, training programs and internships must be created. The Center of Cultural Voluntary Support should be established and a Volunteer Coordinator training program, which can be created by either the Ministry of Culture &Tourism or by the Ministry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hould be coordinated with the strategies of the center. In the fields of culture and arts internships have yet to be established, but once they are introduced, they may provide students a chance of study related subjects with hands-on training and job-experience. Secondly, I suggest a network, a form of system, be created as away to and institutionalize the qualification of Volunteer Coordinators. The network system refers to the interaction among cultural facilities or organizations and human or physical resources and information(including skills and know-how). As for institutionalizing qualification, skills that are required from a Volunteer Coordinator should be decided to provide the certificate of qualification. Also, the system should provide opportunities for people to continue training even after they have acquired the certificate in order to help them do their best as Volunteer Coordinators.

      • 미술관 자원봉사자의 참여와 문화적 성장에 관한 연구

        이상효 영남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3342

        본 사례 연구는 미술관에서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자원봉사자들의 참여 경험과 학습 경험을 평생학습의 과정으로 보았다. 미술관 자원봉사활동 경험을 탐구하며 봉사활동경험을 통해 자원봉사자 이전에 한 명의 사회구성원이자 시민으로서 문화적 성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미술관 자원봉사활동의 참여과정에서 어떠한 경험이 발생하며, 봉사활동을 통한 학습 경험이 연구 참여자들의 삶에 어떠한 성장과 변화로 이어지는지에 대하여 살펴보는 것을 연구 문제로 설정하였다. 이론적 배경은 문화예술활동과 문화예술교육, 미술관 자원봉사활동의 개념과 평생학습과 미술관 자원봉사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 참여자는 공립미술관에서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4명의 자원봉사자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통해 심층면담을 통해 확보한 자료를 전사하고 분류하여 실시하였으며, 연구 참여자의 동의를 얻어 관찰을 통한 현장노트, 활동일지, 책자, 전시 아카이브 자료를 확보하여 질적 연구의 진실성과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이 미술관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게 된 계기는 다양했지만, 미술과 예술에 대한 관심과 호기심이 연구 참여자들을 미술관으로 이어주는 매개체가 되었다. 또 봉사활동이 지속되면서 봉사활동영역이 확장되었고, 지역문화예술 행사에도 참여로 이어졌다. 둘째, 미술관 자원봉사자의 학습 유형을 살펴보았다. 미술관이라는 공간의 특수성과 ‘미술’이라는 전문 분야의 봉사활동을 위한 미술관 교육을 이수하는 과정에서 학습이 발생하였다. 또 봉사활동 경험이 배움으로 이어지면서 평생학습 과정으로 연계되고 있었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은 미술관 자원봉사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공공성 실천, 시민과 소통, 예술적 경험을 통한 주체적 생산자로 성장하게 된다. 또 작가의 고뇌와 사유, 노동과 작업, 행위의 총체적 집합체인 예술작품 감상은 세상을 더 깊이 읽고, 볼 수 있는 안목을 갖게 되는 문화적 성장으로 형성된 정체성은 그들의 삶에서 선진적 의식을 실천하는 시민으로 성장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is case study regards the participation experience and learning experience of volunteers participating in volunteer activities in the art museum as a process of lifelong learning.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hrough volunteer activities at art museum, to explore cultural growth as a member of society and citizen before volunteers through volunteer activitie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it was set as the subject of research to examine what experiences arise and how the experience of volunteering leads to the growth and change in the live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in the process of participating in volunteer work at art museum. The theoretical background was focused on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the concept of volunteering for art museums, and lifelong learning and volunteering for art museums. Four volunteers participating in volunteer activities at a public art museum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through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s, transcribed and classified the obtained data, and the veracity and validity of qualitative research were secured through field notes, activity journals, brochures, and exhibition archive materials obtained with the consent of research participa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lthough the reasons for the research participants to participate in volunteer activities at art museum were varied, interest and curiosity about art and art became a medium for research participants to lead them to art museum. In addition, while continuing volunteer work, the area of volunteer work expanded and led to participation in local cultural and artistic events. Second, the learning types of museum volunteers were examined. Learning took place from the specificity of the space of an art museum and in the process of completing art museum education for the specialized volunteer work of art. Besides, the experience of volunteer work led to learning, leading to a lifelong learning process. Third, the research participants actively participate in volunteer activities at art museum and grow into independent producers through the practice of publicity, communication with citizens, and artistic experience. Furthermore, appreciation of works of art, a collection of the artist's agony, thoughts, labor, work, and actions, leads to cultural growth in which one can read and see the world more deeply. And this form of identity indicates that they are growing into citizens who practice advanced rituals in their li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