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충남 보령시 대천해수욕장 관광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흡인요인 파악에 관한 연구

        이용열 배재대학교 관광축제호텔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671

        충남 보령시 대천해수욕장 관광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흡인요인 파악에 관한 연구 이 용 열 지도교수 정 강 환 배재대학교 관광축제호텔대학원 이벤트축제경영학과 이벤트축제경영학전공 본 연구 대상지인 대천해수욕장은 1932년에 최초 개장하여 1969년 국민관광지로 선정되었으며 1997년 관광특구로 지정이 되었다. 우리나라 서해안 제일의 해수욕장으로 길이 3.5km, 폭 100m에 달하는 백사장은 단연 일품이며 특히 모래질은 조개껍질이 오랜 세월을 지나는 동안 잘게 부서진 패각(貝殼) 성분의 모래를 갖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1970~80년대를 거쳐 1990년대로 오면서 서해안을 대표하는 국민휴양지로 널리 인식 돼 왔으나 한편으로는 바가지요금이 심하고 진흙 때문에 지저분한 바닷물로 오해되어 국민들에게 매우 부정적인 위기의 해수욕장으로 인식 되었다. 이에 1995년 보령시에서는 외부관광객유치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대천해수욕장을 중심으로 하는 관광개발 사업을 본격 추진하게 되었는데 먼저 보령머드사업을 착안하여 머드화장품사업을 시작하게 되었고 이어서 1998년 보령머드축제를 개최하게 되었다. 그리고 비약적인 성장과 발전을 거듭해온 보령머드축제와 함께 대천해수욕장의 이미지도 매우 긍정적으로 변화한 가운데 한국관광공사에서 선정하는 한국관광100선에 연이어 선정 되었다. 한편 2021년 12월 1일부로 보령-태안간 국도 77호가 완전 개통되면서 국내 최장거리의 보령해저터널도 준공이 되고 2022보령해양머드박람회 개최와 보령머드테마파크 건립, 보령스포츠파크 조성, 마리나항만 건설 등 대천해수욕장 인근에서의 메가이벤트(Mega-event)와 관광개발 사업들이 추진되고 있는데 이는 대천해수욕장의 관광 활성화를 위한 좋은 기회이자 새로운 변화와 전환의 시기를 맞이하고 있다. 이에 충청남도 보령시 차원에서 대표적인 해양관광 거점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대천해수욕장을 대상으로 중기적(5년 이내) 관점에서 대천해수욕장 관광 활성화에 미치는 핵심 흡인요인들을 파악하고 시사점과 발전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위해 보령시 대천해수욕장의 중장기 관광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관광 흡인요인을 ‘해수욕장 관광기반조성’, ‘해수욕장 접근성’, ‘해수욕장 체류확대’, ‘해수욕장 주변지 외연 확장’이라는 4개의 요인으로 구분하고 분류하여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비교를 중심으로 분석결과를 도출하였으며 도출된 영향 요인을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통계의 분석결과 대천해수욕장의 중장기 관광활성화를 위해서는 체류형 관광이 확보되는 야간형 콘텐츠 개발과 확대로 야간경제관광(Night-time economy tourism)의 중요성이 필요하다고 나타났다. 둘째, 연구 통계의 분석결과 대천해수욕장의 중장기 관광활성화를 위해서는 지속적인 접근성 확보전략이 필요하다고 나타났다. 셋째, 연구 통계의 분석 결과 보령머드축제가 개최되는 대천해수욕장이 상시 관광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대천해수욕장 주변에 매력적이고 다양한 체험, 놀이, 교통, 편의 시설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 통계의 분석결과 대천해수욕장 관광기반 조성 요인에서는 야간형축제 개최, 상시 머드체험과 다목적 컨벤션 기능이 가능한 머드테마파크 운영, 보령해양머드박람회 개최, 해수욕장 개장기간동안 머드체험존 연장 운영이 대천해수욕장 관광활성화에 중요한 흡인요인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연구 통계의 분석결과 대천해수욕장 접근성 요인에서는 장항선 복선전철과 서해선KTX 준공, 보령해저터널 준공, 보령-부여간 확장공사 준공, 요트 마리나항 건립 등 대천해수욕장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기반조성사업이 대천해수욕장 관광활성화에 중요한 흡인요인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연구 통계의 분석결과 대천해수욕장 체류확대 요인에서는 문화예술을 접목한 관광객 거리조성, 깨끗한 해수욕장 운영, 관광객 편의시설, 다양한 개별 관광객에 맞춘 숙박시설 운영이 대천해수욕장 중장기 관광활성화에 도움이 되는 흡인요인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해수욕장 주변지 외연확장 요인에서는 성주산 지역 관광개발 사업 완공, 9홀 골프장의 18홀 정규홀로 확장 운영이 대천해수욕장 관광활성화에 직간접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흡인요인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대천해수욕장의 중장기 관광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관광흡인요인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 성별에 따른 차이분석에서 여성보다 남성이 대천해수욕장 관광기반조성, 접근성, 체류확대, 주변지 외연 확장 요인에 대한 평가가 높게 나타났다. 아홉째, 대천해수욕장의 중장기 관광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관광흡인요인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 연령에 따른 차이분석에서 휴가철을 맞이하여 가족을 동반하는 가족단위 관광객이 많아 주로 40대와 50대 중심의 응답자가 해수욕장 관광기반 조성, 접근성, 체류확대, 주변지 외연 확장에 대한 의견이 대천해수욕장 중장기 관광활성화에 영향을 미친다고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째, 대천해수욕장의 중장기 관광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관광흡인요인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 학력에 따른 차이분석에서는 대다수가 해수욕장 관광기반조성, 접근성, 체류확대, 주변지 외연 확장 요인에 대한 평가가 고르게 높게 나타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열한째, 대천해수욕장의 중장기 관광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관광흡인요인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 직업에 따른 차이분석에서는 대다수의 항목에서 해수욕장내 거주하고 있는 자영업 상인그룹, 사회단체장 등이 해수욕장 관광기반조성, 접근성, 체류확대, 주변지 외연확장 요인에 높게 평가하고 있어 향후 대천해수욕장의 중장기 관광활성화에 대해 지역민의 기대감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된다. 열둘째, 대천해수욕장의 중장기 관광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관광흡인요인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 대천해수욕장과 연관성에 따른 차이분석에서는 친환경 탄소중립을 실천하는 클린 해수욕장 조성, 원산도 해양치유센터 건립, 시내권 전통시장과 연계 요인에서 오히려 대천해수욕장과 연관이 없는 외지인 중심으로 평가를 높게 하고 있어 대천해수욕장에서 외지인이 시내 중심상권과 연계 이용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 내는 것이 중장기 관광활성화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해석된다. 열셋쩨, 대천해수욕장과 다소 원거리에 건립되는 외연 확장성 사업은 중장기적 관광활성화에 큰 도움은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연구대상지가 대천해수욕장에 국한되어 있어 타 지역과 비교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아 타 지역의 해수욕장의 중장기적 발전방향을 매칭 할 수 있는 연구결과와 시사점이 도출되지 못한 한계가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지역에서 존재하는 해양관광과 관련된 주요 거점인 해수욕장을 타 지역과 비교를 해 보는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 주요어: 해양관광(Marine tourism), 해양관광 콘텐츠(Marine tourism contents), 보령시 중장기 해양관광 개발(Mid to long term marine tourism development in Boryeong), 대천해수욕장(Daecheon Beach) ABSTRACT A Study on the Identification of Key Pull Factor influencing the Promotion of Daecheon Beach Tourism in The City of Boryeong, The Southern Province of Chungcheong. Yong Yeol, Lee Department of Tourism Management, Graduate School of Paichai University Daejeon,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Gang-Hoan Jeong) Daecheon Beach, the target site of this study, first opened in 1932, was selected as a national tourist destination in 1969, and was designated as a special tourist zone in 1997. As Korea's best beach on the west coast, the sandy beach with a length of 3.5km and a width of 100m is by far excellent, and the sand quality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the shells have been crushed into small pieces over the years. From the 1970s to the 1980s to the 1990s, it has been widely recognized as a representative national resort on the west coast, but on the other hand, it has also made the public very negative about rip-off rates and dirty seawater environment. In 1995, the city began a tourism development project centered on Daecheon Beach to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by attracting external tourists, and first started the mud cosmetics project with the idea of the Boryeong Mud Project, followed by the Boryeong Mud Festival in 1998. In addition, the image of Daecheon Beach has changed very positively along with the Boryeong Mud Festival, which has continued to grow and develop rapidly, and it has been selected as one of the top 100 Korean tourism companies. Meanwhile, as of December 1st, 2021, Boryeong!With the full opening of National Route 77 between Taean, Boryeong Undersea Tunnel, the longest distance in Korea, is also completing, and mega-events and tourism development projects near Daecheon Beach, including the 2022 Boryeong Marine Mud Fair, Boryeong Mud Theme Park, and Marina Port construction. Therefore, it was intended to identify the key attraction factors affecting the revitalization of Daecheon Beach tourism from a medium-term (within 5 years) perspective and present implications and development strategies for Daecheon Beach, which has become a representative marine tourism hub at the Boryeong-si level in Chungcheongnam-do. For this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derived and classified into four factors that influence the revitalization of mid- to long-term tourism at Daecheon Beach in Boryeong-si: beach tourism infrastructure, beach accessibility, beach stay expansion,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summary of the results is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revitalize mid- to long-term tourism at Boryeong Daecheon Beach, night-type content to increase accessibility to the beach and secure stay is needed, and a strategy to increase attractiveness to tourist destinations is needed through various experience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external expansion project, which is built somewhat far from Daecheon Beach, does not greatly help revitalize tourism in the mid to long term. Third, it was found that Daecheon Beach, where the Boryeong Mud Festival is held, needs attractive and diverse experiences, play, transportation, and convenience facilities around Daecheon Beach in order to develop into regular tourism. Fourth, the factors to create a beach tourism base were the night festival, the operation of a theme park with full-time mud experience and multi-purpose convention functions, the holding of the Boryeong Marine Mud Industry Fair, and the extension of the beach's opening period. Fifth, beach accessibility factors were found to be important factors in revitalizing tourism at Daecheon Beach, such as the completion of the West Sea Line double track train, the completion of the Boryeong Undersea Tunnel, the completion of the national highway expansion work between Boryeong and Buyeo, and the construction of a yacht port Marina Port. Sixth, in terms of expanding beach stay, the creation of tourist streets incorporating culture and arts, clean beach operation, tourist convenience facilities, and accommodation facilities tailored to various individual tourists were found to be inhalation factors to revitalizing mid- to long-term tourism at Daecheon Beach. Seventh, in terms of external expansion around the beach, the completion of the tourism development project in Seongjusan Mountain and the expansion of the 9-hole golf course into an 18-hole regular hall were found to be inhalation factors that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 tourism activation at Daecheon Beach. Eighth, among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Daecheon Beach's mid- to long-term tourism activation, gender difference analysis showed that men evaluated Daecheon Beach's tourism infrastructure, accessibility, stay expansion, and surrounding extrapolation. Ninth, among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Daecheon Beach's mid- to long-term tourism activation, many family tourists accompany their families during the holiday season, and respondents mainly in their 40s and 50s evaluate Daecheon Beach's mid- to long-term tourism activation. Tenth, among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Daecheon Beach's mid- to long-term tourism activation, most of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education were evenly evaluated on beach tourism foundation creation, accessibility, expansion of stay, and expansion of surrounding areas. Eleven, among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Daecheon Beach's mid- to long-term tourism revitalization, most of the items are highly evaluated by self-employed people (merchants) and social group heads living in the beach, accessibility, stay expansion, and expectations for mid- to long-term tourism activation. Twelfth, among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Daecheon Beach's mid- to long-term tourism activation, the creation of a clean beach that practices eco-friendly carbon neutrality, the establishment of a Wonsando Marine Healing Center, and the connection to the city's traditional market. However, since the research target site is limited to Daecheon Beach,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research results and implications that can match the mid- to long-term development direction of beaches in other regions have not been derived. Therefore, in future studies, it seems necessary to compare beaches, which are major bases related to marine tourism in various regions, with other regions. Key word : Marine tourism, Marine tourism contents, Mid to long term marine tourism development in Boryeong, Daecheon Beach

      • 축제경쟁력 강화를 위한 야간프로그램 도입에 관한 연구 : 보령머드축제를 중심으로

        유효상 배재대학교 관광축제호텔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671

        2019년 기준 전국에서 개최되고 있는 800개가 넘는 지역축제들은 각자의 목적과 기능을 수반하고 있으나 지역경제활성화를 도모하는 지역개발형축제의 수는 많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방문객들의 소비촉진을 통해 지역에 경제적·문화적 부가가치가 창출되고 있는 지역개발형축제로 성공하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과 관심이 필요하여 특히 야간이라는 부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보령머드축제의 경우 공연프로그램을 포함하여 일부 야간프로그램 강화를 위한 시도는 하고 있으나 야간프로그램으로 인한 실질적인 효과는 미약한 실정이다. 또한 지구온난화로 인한 여름철 기온상승에 따른 기후적요인, 보령머드축제와 유사한 형태의 축제가 생겨남에 따른 경쟁력 저하, 축제공간의 한계성, 축제를 주관하는 보령축제관광재단의 규모 및 업무확대에 따른 자생력 확대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그동안 시도하지 않았던 보령머드축제에 도입 가능한 야간프로그램을 발굴하여 보령머드축제의 지속적인 발전과 축제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보고자 함에 있으며 이를 위해 먼저 선행연구를 통해 야간프로그램의 특징과 기능을 분석하고 보령머드축제를 대상으로 도입 가능한 야간프로그램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선호도와 중요도를 조사하여 축제이해관계자 간 인식 차이가 있는지 분석함으로써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제시하여 보령머드축제의 경력을 확보할 수 있는 야간프로그램에 대한 도입과 전략을 수립함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에서는 연구의 범위에서 제시된 지역축제와 문화관광축제, 야간프로그램과 야간관광 및 야간형축제에 대한 이론적 접근을 수행하고 보령머드축제의 현황과 발전과정을 파악하였다. 실증연구에서는 문헌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중심으로 야간프로그램에 대한 항목을 설정하고 제22회 보령머드축제를 방문한 축제방문객과 공무원, 축제주관재단, 축제참여단체 등이 포함된 축제공급자 및 축제가 개최되는 대천해수욕장 주변 상가 및 숙박업소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자료를 토대로 하여 기술통계와 교차분석, 요인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alysis Of Variance;ANOVA)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보령머드축제의 야간연장 운영에 대한 31개 항목 중 축제안전관련 항목과 상설서비스시설 관리 등이 우선적용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야간연장 운영의 요인별 분석에서 대부분에서 이해관계자 그룹별 유의한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대부분 축제방문객들보다 공급자 및 상인들이 야간연장운영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야간프로그램 도입에 따른 개선사항에서는 축제 조명시설 보강부문이 높게 나타났으며 요인별 분석에서 조명시설 관련 항목을 제외한 대부분의 항목에서 이해관계자 그룹별 유의한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활용하여 보령머드축제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야간프로그램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먼저 중앙 및 광역정부차원의 야간콘텐츠에 대한 지원 및 관심이 요구되며 민과 관의 효율적 업무 배분 및 역할에 따라 야간전문 운영인력에 대한 준비와 전략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공급자 및 상인을 대상으로 한 교육을 통해 야간프로그램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키는 것도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세부적으로는 축제의 야간안전 및 프로그램 운영매뉴얼을 수립하고 매뉴얼을 중심으로 축제방문객을 대상으로 한 야간콘텐츠를 개발하고 구성하여야 할 것이다. More than 800 regional festivals held in the whole country based on 2019 have purposes and functions respectively, but it’s actually that there are not many festivals of regional development, promoting activation of regional economy. To be successful as the festival of regional development creating economic and cultural additive value of the region through promotion of visitors’ consumption, lots of efforts and interests are necessary and it’s particularly necessary to concentrate on the part of night. In case of Boryeong Mud Festival, they try to strengthen some night programs including performance program, but actual effects caused by night program are weak. In addition, it currently shows climatic factor by temperature rising in summer due to global warming, reduction of competitiveness caused by similar forms of Boryeong Mud Festival, limits of festival space, and necessity to expand scale of Boryeong festival sightseeing foundation supervising the festival and autogenic power by work expansion. Therefore,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discover night program that can be introduced to Boryeong Mud Festival that were not tried before and find measures to grasp continuous development and festival competitiveness of Boryeong Mud Festival. To achieve them, it analyzes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night program through precedent studies, investigates preference and importance through survey on night program that can be introduced for Boryeong Mud Festival, analyzes if there is any difference of the awareness among the persons interested in the festival, suggests implication based on drawn results, and utilize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introduction and strategy for night program that can grasp competitiveness of Boryeong Mud Festival. To achieve them, in literary research, theoretical approaches for regional festival, cultural sightseeing festival, night program, night sightseeing, and night festival suggested in the range of this research were performed and current situation and developmental process of Boryeong Mud Festival were grasped. In positive study, by focusing on the results drawn by literary research, items of night program were set, survey was conducted for festival suppliers visiting 22th Boryeong Mud Festival, such as visitors, public servants, festival supervision foundation, festival participation group, etc. and commercial complexes and lodging facilities around Daecheon beach holding the festival, based on the data of survey, descriptive statistics, crossed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ANOVA)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analysis, among 31 items for night expanded management of Boryeong Mud Festival, festival safety related item, permanent service facility management, etc. should be firstly applied and in factor analysis of night expanded management, most of persons intereste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y group. Especially, supplies and merchants showed lower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night expanded management than festival visitors. In improvements by introduction of night program, festival light reinforcement was hight and in factor analysis, most of items other than lighting facility related item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y group of interested persons. To introduce night program for strengthening competitiveness of Boryeong Mud Festival with the results of the research, it’s firstly required to support and be interested in night contents of central and metropolitan government and prepare strategies for night managers by efficient work distribution and roles between private and government. Especially, it’s an important assignment to change the awareness of night program’s importance through the education for supplies and merchants. In detail, it’s necessary to establish festival’s night safety and program management manual and develop and organize night contents for festival visitors by focusing on the manual.

      •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국내 축제운영조직의 업그레이드 전략 방안에 관한 연구

        원세연 배재대학교 관광축제호텔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671

        지방자치제 출범 이후 지역의 문화관광 콘텐츠를 기반으로 한 축제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규모가 커져감에 따라 이를 실행하는 축제 조직에 대한 관심과 연구의 필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특히 국가의 재정 한계로 축제 보조금이 줄어들고, 중앙정부로부터 축제의 자생력을 요구받는 상황에서 지방자치단체들은 축제의 경쟁력을 키울 수 있는 조직으로의 전환을 과제로 안게 되었다. 축제의 성장과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재정 및 행정적인 여건 등을 고려한 다양한 조직형태의 모델이 필요하며, 이에 대한 효과적인 운영 방안들이 연구되고 개발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축제운영조직이 나아갈 방향에 대한 중요도를 순위별로 분석하였는데 기술 분석 결과, 축제운영조직 구성원들은 1년 내내 축제를 준비하는 축제전문 상설조직을 원하며, 축제인력은 학위나 자격증 등을 갖춘 전문 인력을 선호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다만 축제경영 마인드는 아직까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내축제운영조직이 나아갈 방향을 항목별로 파악한 뒤 운영안정성, 조직독립성, 직무전문성, 잠재적 역량 요인 등 4개 요인을 도출하여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국내축제운영조직의 업그레이드 전략 방안을 모색하였다. 요인 분석 결과 축제운영조직 구성원들은 조직에서 전문성을 가장 중요하게 여기고 있으며, 지방자치단체의 지나친 행정, 인사 개입으로부터 벗어나 독립성을 보장받고 싶어하는 욕구가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 축제운영조직 구성원들의 축제홍보 마인드는 크지 않으며, 축제담당 공무원들은 수익구조 다각화를 위한 축제경영 보다 조직안정을 선호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축제운영조직에 관한 만족도와 축제전문조직 설립 의사, 도입 가능한 축제조직 유형 등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기술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축제운영조직 구성원들은 현 조직에 대한 만족도는 보통수준으로, 대안으로 자생력을 갖춘 상설형 축제전문재단 설립을 원하고 있으며, 도입 가능한 국내 축제조직 유형으로는 축제·관광·문화사업을 아우르는 종합문화관광형 형태를 선호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본 연구에서는 실무적인 측면에서 관 주도형 축제의 추진위원회, 제전위원회의 인적 구성에 변화를 줄 필요가 있으며, 축제전문가를 양성할 수 있는 프로그램 운영과 중앙정부 차원의 축제조직 자격증 도입 등을 제안하였다. 또한 축제운영조직 구성원들의 경영 마인드 전환과 차별화 된 홍보방식 모색의 중요성, 축제 임의단체(추진위원회, 제전위원회 등)의 축제재단 설립 시 활용할 수 있는 4가지 조직 유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축제의 주최, 주관 주체인 지방자치단체와 축제를 기획, 운영하는 축제전문가 그룹을 중심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국내 축제운영조직의 경쟁력 강화 방안에 대해 이론적 연구와 실증적인 접근을 시도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최근 중앙정부가 문화관광축제의 평가시스템 개선을 예고하여 국내 축제운영조직에도 변화가 필요한 시점에 축제운영조직을 진단하고, 그 대안으로 축제재단 설립의 필요성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도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국내축제운영 조직이 관으로부터 보조금을 받고 있는 시스템적 한계로, 조직의 형태를 명확하게 구분 지은 문헌연구나 현황자료가 부족하여 연구방법이나 흐름 전개에 있어 상이한 의견이 제기 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특히 대안으로 제시한 축제재단이 완성형 이라기보다는 여물어 가는 단계라고 볼 때 4가지 조직 유형에 국한하여 적용시키는 것은 다소 무리가 따를 수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자가 미처 발견하지 못한 새로운 형태의 축제재단에 대한 후속 연구가 이어지고, 축제재단에서 의미 있는 성과가 도출되면 관주도형 축제와 축제재단간의 비교를 통하여 한국형에 걸맞은 축제운영조직 모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Since the launch of the autonomous local government system in Korea, interests and needs of research about local festival organizations have been getting bigger as festivals based on cultural contents have also been more various and greater in the scale. Especially, due to the present situation where the local government subsidies for festivals has been reduced for the limited budget of the state and the demand for greater autonomy to operate local festivals from the centr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inevitably need to transform themselves into the organizations nurturing the ability to organize competitive festivals. For successful growth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festivals, various types of organizational models based on financial and administrative conditions are required, and in addition to this, efficient management plans for them should be researched and developed. This study shows an analysis about ranking of desirable directions of local festival organizations. From the analysis, it is found that members of festival organizations expect to have a specialized group dedicated to prepare festivals all- year-around, and they prefer to have festival experts in the group whose degrees or certificates are related. However, they do not have reasonable levels of philosophy for festival management. In addition, this study has examined four factors: management stability, independence of organizations, work profession, potential factors of competence after figuring out desirable directions of local festival organizations by categories, in order to find upgrade strategies of national festival organizations for competitiveness reinforcement. From the results, it presents that members from local festival organizations tend to give priority to professionalism for the organization, and they require independence from local governments in aspects of administration, authority over human resources. Furthermore, this analysis has discovered that local festival organizers do not show much public relation skills and local festival officers are in favor of organizational stability to festival management for diverse profitable ways. This study illustrates an analysis about satisfaction levels of local festival organization, views about establishing professional festival organizations and adoptable types of festival organization. The results has found that members' level of satisfaction of festival organizations was average and alternatively, they hope to establish autonomous and ongoing professional festival organizations, and they prefer comprehensive culture and tourism types as adoptable local festival organizations. From tho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ways of forming members of local government-initiated festival promotion committees need to be changed, and also operating of special festival educational programs for cultivating festival experts and adopting certificate system from the central government are required. In addition, this research presents the importance of boosting business mindset of local festival organizers, values of seeking differentiated public relations methods and four adoptable types for establishing a new local festival organization. This study has some scholarly significance as it deduces implications from both literature reviews and empirical approach to solutions for competitiveness reinforcement which have been raised between local festival organizations who are the festival hosts and festival experts who plan and operate them. In addition, this study has a meaningful approach in terms of that it examines the aspects of local festival organizations when the local festival organization system need to be changed, recently given the notice of improvement of the cultural tourism festivals' evaluation system from the central government, and as an alternative, i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some professional festival organizations. Nevertheless,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At the moment, local festival organizations need to have subsidies from local governments, which leads to insufficient literature and research data to define types of festival organizations, and as a result, a series of controversies might be raised to the result from this study. Especially, it would be difficult to adopt four different types of festival organizations being suggested from this study considering that setting up local festival organizations is still on progress. In further studies, the approaches about new types of festival organizations which are not presented in this study should be followed, and the suggestions of new models are expected when the organizations present desirable types of festival organizations suitable for Korean circumstance with comparison between local government-initiated festival organizations and professional festival organizations.

      • 역사재현형 축제 관점에서 본 홍성역사인물축제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심영석 배재대학교 관광축제호텔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655

        Hongseong Hero Festival, which held in Hongseong and has changed as the name changed to Hongseong Naepo Love Big Festival, Hongseong Naepo Culture Festival, and Hongseong Hero Festival, has changed its appearance. During Hongseong Naepo Culture Festival, it is a local people-centered festival for residents, and it was held as a department store-style festival without a clear theme and differentiated programs. However, as the need for a festival change emerged, through the consultation of experts and opinions from local people, the theme of the festival is changed from the theme of “Naepo” to “Historical figure”, the local people changed the name of festival in to “Hongseong Hero Festival”. All the programs of the festival consisted of 6 members of Hongseong’s historical figure(Mumin Choi Yeong, Maejukheon Seong Sam-mun, Manhae Han Yong-un, Baekya Kim Jwa-jin, Myungosoo Han Seong-jun, Goam Lee Eung-no), and we developed a historical figure as characters so that people can approach the heavy subject of history, Various experience programs and performance programs that can experience, see, and enjoy directly were conducted in order to give visitors an educational effect on historical figure and history. As the result of this, the festival has been qualitatively grown such as being selected as a cultural tourism festival in 2015. Still it has not overcome the limitation as a festival based on historical figure, so far.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direction for the Hongseong Hero Festival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istorical reenactment festival and to establish a strategy to develop into a representative historical reenactment festival in the future. So through 26 questions targeting the local people, we grasped the importance of going to the shape of the historical reenactment festival and analyzed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perception through the group analysis of marital status, age, occupation, and participation in the survey subjects. The analysis result are as follow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the Hongseong Hero Festival to go to the historical reenactment festival is ‘The reflection of the times factor’, which creates the atmosphere of the festival hall reflecting the times, and I found that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 festival program using historical events experienced by historical figures. In addition, ‘Promotion relation factor’ representing historical facts such as the production of promotion video and poster design reflecting times were also analyzed as important factors. As a result of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according to marital status, the average value of married people was higher than of unmarried people in all questions. It is a characteristic of the material of a historical figure needing to include educational content through a history test to raise awareness of history and it can be seen as reflecting the influence of married people who have a lot of interest in their children’s education, according to the importance of married people, a plan is needed to maximize the educational effect through the program. On the other hand, the historical reenactment festival differed in the recognition of corporate sponsorship by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festival operation and those who participated as simple visitors in terms of raising funds. Those who participated directly in the festival operation seem to think it is important to feel the need for corporate sponsorship. Currently, The Hongseong Hero Festival Promotion Committee which is jointly organized arbitrarily by the private sector and governments prepares for the Hongseong Hero Festival. However, Since the chairman of committee is the head of a local government, it is difficult to finance the festival such as corporate sponsorship and profitability At the conclusion, it is considered that the Hongseong Hero Festival needs a foundation with expertise in situation that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mentions the importance of the organization dedicated to festivals, and is adding a need for a separate organization to the festival evaluation system to promote the establishment of a cultural foundation nationwide. In this study, The Hongseong Hero Festival has undergone changed in name and theme, achieving qualitative growth. Also, at the point where it was necessary to accurately set the direction to go to the shape of the historical reenactment festival with historical figure as the subjects, it figures out and analyzed the importance of the historical reenactment festival. But, in the future research, it is considered that various strategies to develop the Hongseong Hero Festival into a representative historical reenactment festival by grasping the importance of the historical reenactment festival from the perspective of foreign visitors who have experienced many other festivals. 홍성역사인물축제는 홍성에서 개최되는 축제로 홍주문화제를 시작으로 홍성내포사랑큰축제, 홍성내포문화축제, 홍성역사인물축제로 명칭이 변경되면서 축제의 모습도 변화해왔다. 홍성내포문화축제로 개최되는 동안에는 지역민 중심의 주민화합형 축제로 명확한 주제와 차별화된 프로그램 없는 백화점식의 축제로 개최되었다. 하지만, 지역민들이 축제의 변화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기 시작하면서, 전문가 자문과 지역민들의 의견 수렴을 통해 축제의 주제를 ‘내포’라는 주제에서 ‘역사인물’을 주제로 변화하며, 축제의 명칭을 홍성역사인물축제로 변경하여 개최하였다. 축제의 모든 프로그램은 홍성의 역사인물 6인(무민공 최영, 매죽헌 성삼문, 만해 한용운, 백야 김좌진, 명고수 한성준, 고암 이응노)을 중심으로 구성하였으며, 역사인물이라는 무거운 주제를 친근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역사인물을 캐릭터로 개발하였으며, 방문객들에게 역사인물과 역사에 대한 교육적인 효과를 주기위해 직접 체험하고, 보며 즐길 수 있도록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과 공연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2015년 문화관광축제로 선정되는 등 축제가 질적으로 성장을 이루었다. 그러나 아직까지 역사인물을 소재로 하는 축제로서의 한계를 극복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역사재현형 축제의 관점에서 홍성역사인물축제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 향후 대표적인 역사재현형 축제로 발전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지역민들을 대상으로 26개의 항목을 통해 역사재현형 축제의 모습으로 가기 위한 중요도를 파악하고, 조사 대상자들의 결혼여부와 연령, 직업, 참여분야에 따른 그룹별 분석을 통해 인식의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그에 따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홍성역사인물축제가 역사재현형 축제로 가기 위한 가장 중요한 요인은 ‘시대반영 요인’으로 시대를 반영한 축제장 분위기를 조성하며, 역사인물들이 겪은 역사적 사건을 활용하여 축제 프로그램을 구성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역사적 사실을 나타내는 홍보영상 제작, 시대를 반영한 포스터 디자인 등 ‘홍보 관련 요인’도 중요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결혼여부에 따른 독립표본 t검정 분석 결과, 기혼자들의 평균값이 미혼자들보다 모든 항목에서 높은 평균값으로 나타났다. 이는 역사에 대한 인식 고취를 위해 역사의 고증을 거쳐 교육적인 내용이 포함되어야 하는 역사인물 소재의 특성으로 자녀들의 교육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갖고 있는 기혼자들의 영향이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기혼자들이 생각하는 중요도에 따라 프로그램을 통해 교육적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한편, 역사재현형 축제는 재원을 마련하는데 있어, 기업의 협찬에 대한 인식에 대해 축제운영에 참여한 사람과 단순 방문객으로 참여한 사람의 인식에 차이가 났다. 축제운영에 직접 참여한 사람들은 기업 협찬의 필요성에 대해 몸소 느끼는 것으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 홍성역사인물축제는 임의단체인 홍성역사인물축제 추진위원회가 민·관 공동으로 구성되어 축제를 준비하고 있다. 그러나 위원장이 지자체장으로 기업의 협찬이나 수익성 등 축제의 재원을 마련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마지막으로 문화체육관광부가 축제 전담조직의 중요성을 언급하며 축제 평가 시스템에 별도의 전담조직 필요 사항을 추가하여 전국적으로 재단 설립을 추진하고 있는 상황에서 홍성역사인물축제도 전문성을 지닌 재단의 구성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번 연구에서는 홍성역사인물축제가 명칭과 주제의 변화를 겪어오며 질적 성장을 이루었고, 역사인물을 소재로 하는 역사재현형 축제의 모습으로 가기 위해 방향을 정확히 잡아야 하는 시점에서 지역민들이 생각하고 있는 역사재현형 축제의 중요도를 파악하고, 분석하였지만 향후 연구에서는 타 축제를 많이 경험했던 외지 방문객 입장에서 역사재현형 축제의 중요도를 파악하여 홍성역사인물축제가 대표적인 역사재현형 축제로 발전할 수 있는 다양한 전략들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기업의 축제스폰서십 참여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심재길 배재대학교 관광축제호텔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655

        지역문화보존, 문화향유, 관광활성화 등 축제 본연의 존재 이유와 역할을 넘어 축제가 기업의 마케팅 활동을 위한 스폰서십 대상으로 가치를 인정받고 축제스폰서십이 활성화 되는 것이 축제재정자립 및 지속가능한 축제발전을 위해 매우 시급하고 절실한 과제이다. 따라서 기업이 축제스폰서로 참여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가 무엇인지 파악하고 이에 대해 기업인, 주최자 그룹 간의 인식차이를 확인한 후 그 이유를 탐색하고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실증연구는 기업인과 주최자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두 그룹 간의 인식차이를 파악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본 연구 결과는 스폰서십 참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축제매력도 요인, 기업전략 부합성 요인, 브랜드노출도 요인, 이해당사자 영향력 요인, 혜택과 마케팅성과 요인으로 분류 하였으며 다섯 가지 요인 모두 기업인과 주최자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축제스폰서십의 효과 측정이 필요하다. 지속가능한 스폰서십은 투자대비 효과가 검증되었을 때 가능하므로 축제스폰서십만의 효과 측정 툴(Tool)을 개발하여 기업이 마케팅효과에 대한 확신을 갖고 축제스폰서십에 적극적이고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근거를 제시해야한다. 둘째, 스폰서십 활성화를 위해서는 축제주최자, 기업인 및 기업과 축제를 모두 이해하는 전문 스폰서십 에이전시(Sponsorship Agency)가 유기적으로 협력하는 스폰서십 유치 생태계를 조성해야 한다. 셋째, 축제담당 공무원, 축제조직위원회 등 주최자 그룹은 고객중심적인 축제경영과 마케팅 개념을 전면적으로 도입하고 실천해야 한다. 넷째, 기업입장에서 축제스폰서십 참여가 저비용 고효율의 마케팅 도구로 인식되고 활용되기 위해서는 스포츠경기, 메가 이벤트 등과 다른 축제만의 축제 고유의 특성과 개성을 살린 차별화된 축제스폰서십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스폰서 대상으로서 축제의 매력도를 높여야 한다. 주제어: 축제, 스폰서십, 참여결정요인, 스폰서십 활성화. Historically, a festival has served to meet a purpose to inform members of their community culture and tradition and to foster community involvement among members. It provides a community with celebration and entertainment as well. However, beyond these noted functions, it is urgent to acknowledge that a festival and its sponsorship are a useful tool with the value satisfying business marketing needs. Such recognition leads to attract and promote festival sponsorship, and eventually to secure financial viability and sustainability of a festival. Therefore, a study aims to understand better how a company decides to participate in festival sponsorship and what the most important element is. Also with this regard, it intends to figure out perception gap between business corporate and festival host groups if any. Data collecting and findings are obtained through work carried out a questionnaire survey of corporate marketers and festival organizers. The study set up a hypothesis that five factors including festival attraction, corporate strategy, brand exposure, influence of stakeholders, and benefits and marketing achievement have an effect on making a decision for participating in festival sponsorship.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estival hosts and companies. The implications of a study herein are as follows: The first, it is strongly suggested to develop a model of effectiveness measurement of festival sponsorship. Many companies have already thought smarter about how they execute festival sponsorship, i.e., if it helps to ensure long term relationship with target audiences they are eager to reach and to achieve their marketing goals. Under the circumstances, a model of effectiveness measurement of festival sponsorship as a powerful tool enables a company to take part in festival sponsorship without uncertainty or unpredictability. Secondly, it is required to build a system that attracts festival sponsorship. In the system three different stakeholders such as festival programmers, corporates and sponsorship-specialized agencies should be able to fulfill each vibrant role and to be engaged in sponsorship promotion and long term relationship. Thirdly, festival host group including government officials or festival organizing committee is highly recommended to create marketing concept and strategies and to utilize marketing activities accordingly, when a festival is planned or executed in the first place. It also induces more targeted audiences to come visit, and consequently increases to give a corporate sponsor an opportunity to expose its brands and to reach more consumers. Lastly, a festival needs to prove its worth by offering unique and differentiated sponsorship programs and experiences that mega event or sports event are unable to deliver. In doing so, a corporate would feel confidence in associating with a festival and sure of the value and also, understands better how festival sponsorship can form a core and budget efficient part of their marketing strategy. Keywords: festival, sponsorship, decision making factor, sponsorship promoting.

      • 관광자원해설과 현장체험학습이 교육적 효과와 관광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구로공단 노동자 생활체험관을 중심으로

        김현자 배재대학교 관광축제호텔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연구는 관광자원해설과 현장체험학습의 주요 특성들을 알아본 뒤, 둘 사이의 관련성을 도출하여 교육적 효과와 관광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선행 연구를 토대로 현장체험학습과 관광자원해설이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었음을 파악할 수 있었으나, 관광학 분야에서는 현장체험학습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시행되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를 통해 얻은 각 개념 간의 관련성을 통해, 관광학에 해당하는 개념들 중 현장체험학습을 접목할 수 있는 요소들을 분석하여 이론적 토대를 마련한 뒤 현장체험학습을 하고 있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실증 연구를 시행하였다. 조사 장소는 구로공단 노동자 생활체험관으로 선정하였다. 실증 연구는 구로공단 노동자 생활체험관에서 현장체험학습을 마친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진행하였다. 설문 조사는 2015년 9월 1일부터 30일까지 진행하였고, 설문지는 총 335부 배포하여 연구에 적합하지 않은 4부를 제외한 331부를 연구에 반영하였다. 각 요인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분석 결과, 학생들은 현장체험학습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특히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현장체험학습을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또한 고등학생보다 중학생, 특히 1학년과 2학년 학생들이 현장체험학습을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관광자원해설의 경우에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결과가 도출되었으나, 중학생보다는 고등학생들의 인식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적 효과와 관광 만족도에 대한 인식 역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검증 결과, 관광자원해설과 현장체험학습은 각각 교육적 효과와 관광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적 효과는 관광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가설이 채택됨에 따라 현장체험학습은 교육뿐만 아니라 관광과 관련된 특징도 보유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학생들이 현장체험학습을 통해 느끼는 교육적 효과 및 관광 만족도를 분석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현장체험학습은 학생들의 기억에 남는 유의미한 활동이 되어야 한다. 학생들이 원하는 현장체험학습은 친구들과 함께 다양한 활동을 하면서 추억을 쌓는 것이다. 따라서 현장체험학습의 유희적 특징을 더욱 살릴 수 있어야 한다. 둘째, 현장체험학습은 교육적 흥미 유발의 장이 되어야 한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현장체험학습 과정에서 시행된 관광자원해설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즉, 관광자원해설의 교육적 특성이 현장체험학습의 본래 목표인 교육적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셋째, 관광 만족도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기능하며, 교육적 효과 역시 관광 만족도의 주요 요소가 될 수 있다. 관광 만족도는 단순히 재미만으로 결정되는 요인이 아닌, 관광을 통해 얻은 모든 가치가 총체적으로 작용하여 얻을 수 있는 감정이다. 따라서 현장체험학습의 관광 만족도에는 유희적 요소뿐 아니라 관광자원해설과 같은 교육적 요소 역시 크게 작용함을 알 수 있다. 넷째, 다양한 컨텐츠를 활용한 현장체험학습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 실질적으로 교육 현장에서 진행되는 현장체험학습에서는 학과 교육과 관련되지는 않지만 다양한 컨텐츠를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컨텐츠들은 관광과도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학생들의 전인 교육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다섯째, 역사 현장체험학습의 경우, 관광자원해설이 필수적이다. 학생들은 구로공단 노동자 생활체험관에 마련된 자료와 전시물 체험과 동반된 관광자원해설을 통해 생활체험관과 더욱 활발한 상호 작용을 할 수 있었다. 따라서 관광자원해설은 역사 학습에 있어서 학생들의 창의력과 응용력을 키울 수 있는 올바른 가이드라인이 되어야 한다. 주제어: 관광자원해설, 현장체험학습, 교육적 효과, 관광 만족도, 구로공단 노동자 생활체험관 This study intended to identify the effect of tourism resources interpretation and students’ field study on educational effect and tour satisfac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performed b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tourism resources interpretation and students’ field study based on major characteristics of them. Based on preceding research, it was clearly identified that tourism resources interpretation and students’ field study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However, the specific research is not enough in the field of tourism. Therefore, the study analyzed tourism’s factors and concepts to understand with students’ field study based on the close relationship mentioned above and settled theoretical foundation. After that, empirical study targeting teenagers who frequently experiences field study was performed. Laborhouse of Gurogongdan was selected as an investigation place. Empirical study was proceeded by utilizing survey method focusing on the middle s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just completed field study in Laborhouse. Surveying period was from September 1st 2015 to September 30th 2015. Total amount of distributed questionnaires were 335. Except 4 questionnaires which were inappropriate for this study, 331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utilized as data. As a result of students’ recognition analysis towards each factor, it was obvious that students possess positive impression about field study. Boys’ recognitions were more positive than girls’. Also, middle school students, especially first and second year students, had more positive thinking than high school students. These results were also similar to the case of tourism resources interpretation, educational effect and tour satisfaction. However, in case of tourism resources interpretation, high school students’ level of recognition was higher than middle school students’. As a result of hypothesis verification, tourism resources interpretation and students’ field study affected on educational effect and tour satisfaction respectively. Also, educational effect itself affected on tour satisfaction. As all hypotheses are selected, it could be concluded that students’ field study has not only educational characteristics but also factors related to tourism. Students’ educational effect and tour satisfaction were also available as research results. Based on the investigation, this study concluded following opinions. First, students’ field study should be meaningful activity that can be embedded in students’ memory. The type of field study that students want is doing various activitis with friends and collecting precious memories. So, it is needed for students’ field study to be peformed by activating enjoyable factors. Second, students’ field study should be the ground of triggering educational interest for student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lear that students have positive recognition towards tourism resources interpretation which was performed during field study. That is, the educational characteristics of tourism resources interpretation can be the driving factors to elevate educational effect, which is a primary goal of students’ field study. Third, tour satisfaction performs as a comprehensive concept, and educational effect can be one of the major factors of it. Tour satisfaction is very integrated feeling, which can be obtained by the overall interaction of every value after tour. So, not only emotional factors, but also educational factors like tourism resources interpretation can play a major role in the tour satisfaction of students’ field study. Fourth, students’ field study program should be planned by utilizing various contents. Field studies which are generally performed to the students tend to exercise diverse contents which are not directly related to school curriculum. These contents are in close relationship with tourism, and may be helpful for whole-person education of students. Lastly, tourism resources interpretation is essential for historical field study. It was clearly identified that students could actively interact with Laborhouse by experiencing the materials and exhibits in it. In conclusion, tourism resources interpretation should be applied as a proper guideline for students to advance their creativity and application ability in history studying. Keywords: Tourism Resources Interpretation, Students’ Field study, Educational Effect, Tour Satisfaction, Laborhouse of Gurogongdan

      • 지역축제 스폰서십에 대한 기업의 참여의사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에 관한 연구 : 대전지역 기업을 중심으로

        김숙경 배재대학교 관광축제호텔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655

        최근 축제는 유희,일탈,체험 등 놀이 문화적 관점뿐만 아니라 지역 기반 문화산업으로 인식되면서 경제적 관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이렇게 축제를 통한 관광객 유입과 일자리 창출, 지역 소비가 활성화되자 지자체는 앞다투어 축제를 개최하고 있지만, 우리나라의 약 85%의 축제가 정부지원금에 의존해 치러지고 있다. 하지만 축제 지원예산 축소와 질적 성장을 도모하는 정부 정책 변화로 지역축제 재정자립도를 높이기 위해 스폰서십 유치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축제스폰서십 분야는 가야 할 길이 멀다. 우선 축제 주최자들의 축제스폰서십 유치에 있어 전문성과 적극성이 부족하고 ‘기부금품 모집 및 사용에 관한 법률’로 축제스폰서십 유치에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이에 줄어드는 정부 예산에만 의존하지 않고 축제가 재정 자립도를 높여 축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기업의 스폰서십 참여결정 요인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기업별 맞춤형 스폰서십을 제안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축제 경쟁력에 있어서 최하위권이라 할 수 있는 대전지역에서 활동하는 기업들을 대상으로 축제스폰서십에 대한 인식과 참여의사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기업들은 대학교, 공공기관 및 공기업, 전문연구기관과 같은 공익추구형 기업과 금융업, 토목·건설업, 주류·음료업, 언론사와 같은 수익추구형 기업으로 분류하여 스폰서십 참여의사에 대한 두 그룹간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러한‘비교분석’을 위해 축제스폰서십 참여의사에 결정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측정요인을 ‘마케팅전략확대’ , ‘축제유형일치’ , ‘기업수익창출’ ,‘축제비전확대’ , ‘참여기업혜택’이라는 5개의 요인으로 구분하여 공익추구형 기업과 수익추구형 기업 간의 차이가 나는 영향요인 비교를 중심으로 분석 결과를 도출하였다. 먼저 총 33개로 이루어진 기업의 축제 스폰서십 참여의사 결정 요인의 항목별 기술분석 결과, ‘지역축제를 통해 기업 매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면’ , ‘축제장 방문객이 우리 상품을 소비하는 고객으로 바뀐다면’ , ‘축제 스폰서로 참여함으로써 지역사회의 공익적인 활동에 적극 참여한다는 이미지를 준다면’ , ‘지역축제가 지역이미지와 잘 맞다면’ , ‘축제명에 기업명을 함께 사용한다면’ 항목 순으로 나타나 기업들이 스폰서십 참여의사 결정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것은 기업의 직접적인 매출과 수익, 축제 방문객이 기업의 소비자로 바뀌는 것을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기업의 축제 스폰서십 참여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으로는 ‘마케팅전략확대’요인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기업 이미지와 브랜드, 상품 홍보에 얼마나 관심이 큰 지를 보여주는 결과이다. 요인 중에서도 ‘축제장 방문객이 우리 상품을 소비하는 고객으로 바뀐다면’과 ‘축제스폰서로 참여함으로써 지역사회의 공익적인 활동에 적극 참여한다는 이미지를 준다면’ 항목은 중요한 결정요인으로 분석되어 공익추구형 기업과 수익추구형 기업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축제 스폰서십 참여의사 결정에 있어 기업의 이익과 이미지 홍보가 가장 영향을 미친다고 분석할 수 있다. 다음으로 기업의 그룹별(성별, 연령, 기업 주소지, 학력, 업종, 업무부서, 업무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축제 스폰서십 유치를 위한 실무적인 측면에서 기업의 특성에 따라 맞춤형 스폰서십을 제안할 필요가 있으며 축제 스폰서십 유치에 걸림돌이 되는 행정적인 절차를 간소화하거나 규정을 완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 축제스폰서십 유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어떻게 더 많은 기업을 스폰서로 유치할 수 있는지 대한 각 기업별 특성을 도출하는 성과를 마련하였다. 하지만 대전지역의 기업들을 대상으로한 연구조사에서 대학교, 공공기관, 금융업, 전문연구기관, 건설·토목업, 주류·음료업, 언론사 등 8개 업종의 기업들만 설문에 반영하여 기업들의 축제스폰서십 참여의사 결정을 도출한 것은 무리와 한계가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각 업종별로 축제스폰서십의 참여의사는 어떠한지 살펴보고 세분화하여 심도있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여러 축제 담당자들과 다양한 업종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각 기업의 특징과 의견을 고려한 더 실질적이고 가치있는 연구가 필요하겠다. 또한 논문에 제시된 시사점들을 축제스폰십을 유치하는데 적용하여 어떤 결과가 도출되는지도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 주요어: 축제스폰서십, 지역축제, 지역기업, 참여의사 결정, 기업 이미지, 마케팅 전략

      • 관광스토리텔링 구성요소와 관광지 매력속성, 관광객 만족도 관계 연구

        김혜림 배재대학교 관광축제호텔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655

        꿈의 사회, 경험경제시대가 화두가 되면서 2000년대 이후 새로운 마케팅 기법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바로 고객의 감성에 호소하는 이야기가 담긴 감성 마케팅, 스토리텔링이다. 관광산업에 있어서도 관광지 간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관광 상품에 대한 모방이 쉽게 이루어지면서 경쟁 우위 확보를 위한 방안의 하나로 스토리텔링이 이용되고 있다. 국내 지자체에서는 관광지 스토리텔링을 위해 전설, 설화, 드라마, 영화, 음악, 방송 등 다양한 방법으로 관광객들에게 관광목적지의 매력을 어필하고 있다. 학문적으로는 오래전부터 문화해설에 있어 스토리텔링에 대한 연구들이 이루어졌으며, 최근에 와서 관광스토리텔링의 중요성에 대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아직 관광스토리텔링에 대한 정확한 개념이나 일반화된 구성요소들이 없어 실제 관광기획 마케팅에 활용하기 어려운 상황이며 그에 대한 연구도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관광스토리텔링의 구성요소를 다시금 정리하고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집단별 관광스토리텔링 구성요소 차이와 관광스토리텔링 구성요소가 관광지의 매력속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관광지 매력속성이 관광객 만족과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규명하였다. 연구 결과 우선 관광스토리텔링의 구성요소로 이해용이성, 고유성, 교육성, 흥미성을 도출하였고 관광지 매력속성으로는 특이성, 시설성, 소비성, 서비스성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관광스토리텔링의 구성요소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집단별 차이를 보여 관광스토리텔링을 이용한 관광 마케팅 시 시장세분화별로 어떠한 요인에 집중하여야 하는지를 밝혔다. 또한 관광스토리텔링의 구성요소가 관광지 매력속성에 미치는 영향관계 연구를 통하여 관광지 매력성을 높이는 데에 관광스토리텔링의 어떠한 요인이 활용되어야 하는 가를 규명하였으며 관광지 매력속성은 관광객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며 재방문 및 추천의도를 높이기 위한 관광지 매력속성 중요 요인을 도출하였다. After the 21-century, ‘ideal society’ and ‘experience economic era’ have become the buzzword, and given birth to a new marketing technique. It is to appeal to the customer’s emotional story in emotional marketing(storytelling). Also in the tourism industry companies, so storytelling has been used to hold an advantage in the tourism industry. For local governments, narrative, drama, film, music, and broadcasting etc. have been used as a form of tourist storytelling, which appeals to the tourists. Storytelling has been a subject of study in the cultual academic field, and the importance of tourism storytelling has been recently discussed in heat. However the exact definition of tourism storytelling has not been existed and there are only few studies on the topic. Therefore it has been difficult to take the total advantage of tourism storytelling. Based on previous studies, we have concluded with four main points: the reorganization of components of tourism storytelling, how the effects of the attractiveness of the site is changed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specific tourist groups, how the story increases the site’s attractivenes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ttractiveness of the site and the satisfaction of the tourists. First, the main components of tourism storytelling are understandability, originality, educational characteristics, interest of tourism, uniqueness, good facilities and services. The components derived from tourism storytelling shows differences from each group according to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Thus, the marketing in this area needs to focus separately on each market sections. In addition from studies of how the components of tourism storytelling relates with the attractiveness of the tourism attraction, we found out what factors needs to be improved on attractiveness of tourist sites and how it affects the satisfaction of the tourists. We also found important factors to increase attractiveness of tourist attraction for future revisits and good feedback.

      • 호텔 조리사의 주방위생에 관한 중요도 인식이 위생관리에 미치는 영향

        황기성 배재대학교 관광축제호텔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655

        조리업장에서 생산하는 음식의 품질과 안전성은 식재료의 생산 단계에서의 엄격한 품질관리에 의해 좌우되며, 특히 식품을 다루는 조리 종사자들의 식품 안전성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와 위생적인 작업 습관은 식중독의 발생 위험을 줄이는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고, 조리종사자들의 위생지식 수준과 위생적으로 업무를 실천하는 정도는 식중독예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이들에 대한 체계적인 위생교육과 더불어 위생관리 시스템을 갖추는 것이 무엇보다 시급하다. 본 연구는 호텔 조리사의 위생관리 중요도 인식이 위생관리에 미치는 영향에서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한 체계적인 모니터링과 관리의 필요성을 부각시키고, 또한 조리종사자간의 위생관리 중요도 인식과 차이를 비교하여 적합한 위생관리 수행도를 제시하고 식중독사고를 미리 예방할 수 있는 개선방안과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속성 및 변수의 추출은 내용 타당성(content validity) 제고를 위하여 선행 연구들로부터 추출하였고, 조사한 자료에 대한 분석 방법은 SPSS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수행하고자 한다. 자료 분석에 활용될 분석 방법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표본의 인구통계적 사항 및 근무형태에 대해 빈도 분석(frequency analysis)을 수행하여 본 자료가 지니는 대표성, 규칙성, 신뢰성 등과 같은 특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둘째, 호텔 조리사들이 인식하는 주방위생 중요도와 위생관리에 대한 사항은 자료의 요약과 타당성 검증을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요인 추출 모델로서 최초의 정보를 가능한 최소의 요인으로 압축하는 주성분 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을 이용하고, 요인의 회전은 직각회전방법(orthogonal rotation)중 베리맥스(varimax)를 이용하였다.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변수들을 범주화한 후에 각각의 속성들에 대하여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여 크론바하 알파(Cronbach's alpha) 값을 제시하였다. 셋째, 호텔 조리사들이 인식하는 주방위생 중요도를 비교, 분석하기 위해 평균값을 활용한 순위 분석을 수행하였다. 넷째, 호텔 조리사들의 인구통계적 특성 및 근무형태적 특성에 따른 주방위생의 중요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차이분석을 수행하였다. 다섯째, 호텔 조리사들이 인식하는 주방위생에 대한 중요도가 위생관리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에서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요인분석을 통해 추출된 주방위생 중요도 요인에 대한 응답자의 평균에 대한 순위 분석 결과 개인위생, 식품보관, 식품취급, 주방위생환경 및 위생정책, 위생교육의 순으로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호텔 조리사들의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주방위생 중요도 인식의 차이는 발견하지 못하였고, 근무형태적 특성에 따른 주방위생 중요도 요인의 차이분석 결과, 고용형태와 현업무의 전공여부에 따른 주방위생 중요도 요인에 대한 유의적인 차이를 파악하였다. 셋째, 주방위생 중요도 인식이 위생관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위생관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주방위생 중요도 요인은 식품보관, 주방위생환경 및 위생정책, 개인위생, 위생교육의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호텔주방에서 행해지는 다양한 조리과정은 결국 고객에 대한 위생상의 위해를 방지하여 안전성을 보장하고 자신을 질병으로부터 정신적․신체적으로 건강유지, 그리고 쾌적한 주방공간을 확보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며, 주방에서 종사하는 조리사들은 식품을 모든 위해요인으로부터 안전하게 보존하고 정성껏 조리하여 위생적이고 안전하게 우리를 믿고 찾는 고객에게 공급해야 할 의무와 책임이 있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The foods quality and safety that made in the kitchen are depending on how strict the quality management on its production stage. The chef’s sanitation is an important factor to protect the food from poison infection. That is why the chef’s sanitary knowledge and procedures are directly affecting to food poisoning prevention. Nevertheless the systematic sanitation education and sanitry management system are urgently needed.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understand the necessity of systematic monitoring system and management; the appropriate sanitation management; the remedies to prevent from food poisoning and also to compare the difference of sanitary managements among chefs. To consider the contents of validity, attributes and factors are surveyed from previous studies which SPSS analysis has implemented. The methods used are following: First, this research analyzed the population statistic and chefs’ working conditions with the attributes such as representation, regularities, and reliability. Second, this research analyzed perceived importance of kitchen sanitation and its management by chefs in hotels in order to summarize and verifies the validity. This research used PC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o condense the first information as minimum factors and Varimax among orthogonal rotation that have been used for factor rotation. It has indicated Cronbach's Alpha Value through reliability analysis of factors, which come within the same category. Third, to compare and analyze the priority of kitchen sanitation based on chefs’ perceived importance in hotel restaurant, ranking analysis has implemented using mean value. Then,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kitchen sanitation chefs’ priority according to the statistics of population and working conditions, analysis of variance has implemented. Last, to understand how the priority of kitchen sanitation has impacts on chefs’ sanitary management in hotel restaura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as implemented as well on this research. The results are: First, as a result of the responses from kitchen sanitation priority factors, storing food, dealing food, environmental sanitation, sanitation policy, and sanitation education are considered important. Second, according to population statistics there are no differences in the chefs’ perception of kitchen sanitation. However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according to working conditions. Third, as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toring food, environmental sanitation, sanitation policy, personal sanitation, and sanitation education are important on sanitation management. This study indicates that various cooking process in the hotels’ kitchen has to emphasize the customer's safety by poor sanitation prevention, maintain the hygiene’s level, and improve the labor efficiency to make a comfortable surrounding. Lastly, the chefs in hotel restaurant are responsible for serving foods cordially and safely for customer.

      • 정보원천으로서 웨딩플래너의 신뢰도가 정보만족과 추천의도 및 예식만족에 미치는 영향

        정해숙 배재대학교 관광축제호텔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655

        Hotels had focused on their room sales as a lodging industry before, but food and beverage services are beginning to represent an increasing share of their total sales in today’s society. Actually most of hotels’ sales of food and beverage services are above those of room services. Especially Wedding services from hotel’s banquet department rushed into competition as resuming its’ sales for First-degree’s hotel from the Augustin 1999, and have consequently been emerged as an alchemy in sales of hotel business. One of the noticeable changes and characteristics in today’s wedding trends is the wedding service by experienced planners from the consulting company who perform instead of busy customers. It is not too much say that wedding planners came up in 1990’s changed whole marriage trends in Korea just in decade. Therefore we should not overlook the wedding planner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information sources to activate hotel's wedding service which takes primary part in today's hotel busines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how wedding planner's reliability affects satisfaction for the customers and intention of recommendation as an information resource. Furthermore, it is an ultimate purpose that how wedding planners' information affects satisfaction and what makes their reliability improved, and then find out hotel wedding services' competitiveness.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that, among the various kinds of reliabilities of wedding planners, the more professional and sensible the information is and also the higher objectivity of its fact is, both satisfaction of information and intention of recommendation about the wedding planner are becoming higher and the satisfaction of wedding itself is increasing at the end. Followings are verified hypotheses according to the results. It is found that wedding planner’s reliability is directly proportional to satisfaction of the information. Although planner’s objectivity of given information is important, but especially customers are highly affected by wedding planner’s professionalism. Therefore, the hypothesis 1, “Wedding planner’s reliability would b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atisfaction of information”, is verified. It is also found that customer’s satisfaction of wedding is directly proportional to intention of recommendation, and satisfaction of information about marriage follows positively with that of wedding at hotel. Therefore the hypothesis 2 and 3 are verified with this reason. As mentioned earlier, food and beverage service in hotel takes a large proportion of total sales, and gets more importance as time goes by. First, to strengthen this business, marketeers of the hotel can result both activation of wedding business and growing sales by exercising wedding planner’s experienced specialties. Second of all, wedding planners have to endeavor to do their duties to be more professional and sensible than customers. They also have to consult customer’s wedding sincerely instead of pursuing only their profits. Next, the company who employs planners should train and educate them as well as invest for wedding business. In addition, marketing managers for hotel wedding servcie should keep promoting their benefits and advantages to wedding planners so that they recommend customers for choosing hotel service rather than ordinary wedding company. They also collect opinions from unmarried couple and apply to their service to satisfy customers for increasing sales of wedding business. Hotels have to improve their facilities and keep web site convenient to attract potential customers. At last active marketing strategies such as ingenious wedding event satisfying young generation, weekday-wedding or evening-wedding, and service for second marriage are helpful for activation for hotel wedding service. 예전에는 호텔의 주력 분야가 숙박업으로써 객실이 주로 이루었지만 현대사회에서는 식음료 분야가 호텔 매출신장에 더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거의 대부분의 호텔들의 식음료 매출이 객실매출을 상회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호텔연회사업의 한 부분인 예식부분은 1999년 8월부터 특1급 호텔의 예식 영업이 재계됨에 따라 호텔예식연회가 새로운 경쟁시대로 돌입하게 되었으며 호텔 매출의 꽃으로 부각되고 있다. 최근 결혼문화에서 가장 큰 변화이자 특징은 바쁜 현대인들을 대신하여 직접 수행해 주고 대행해 주는 웨딩컨설팅 회사의 웨딩플래너의 도움으로 결혼 준비를 할 수 있다는 점이다. 90년대 후반부터 등장하기 시작한 웨딩플래너는 불과 10여년 만에 우리나라 결혼 문화를 크게 변화시켰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에 현대 호텔산업에서는 호텔연회매출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예식 활성화를 위해 예비신랑신부의 정보원천 중 하나인 웨딩플래너를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시대적인 흐름에 발맞추어 호텔예식이용자를 중심으로 웨딩플래너가 제공하는 정보원천의 신뢰도가 고객의 정보만족 및 웨딩플래너의 추천의도, 그리고 예식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웨딩플래너가 제공하는 정보원천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요인을 분석하고, 고객의 정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호텔예식의 경쟁력을 높이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행한 연구결과를 정리해 보면, 웨딩플래너의 신뢰성 중 웨딩플래너가 제공하는 정보가 보다 전문가적이고 감각적으로 표현할수록, 그리고 진실 객관성이 높을수록 정보만족도가 상승하며 그에 따라 웨딩플래너에 대한 추천의도가 높아지며, 결과적으로 예식만족도도 상승한다는 것을 알수 있었다.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가설의 검증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웨딩플래너의 신뢰도는 정보만족에 정(+)의 영향이 있음을 알수 있었고, 특히 웨딩플래너의 진실객관성도 중요하지만, 전문역동성이 더 많은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수 있었다. 그러므로 “웨딩플래너의 신뢰도는 정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1은 채택 되었다. 또한, 예식에 대한 정보만족은 추천의도에 정(+)의 영향이 있음을 알수 있었으며, 예식 정보만족은 그에 따른 예식만족에도 정(+)의 영향이 있다는 것을 알수 있었다. 이에 가설 2, 3도 채택 되었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현대 호텔산업에서 호텔연회매출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호텔예식매출의 증대를 위해서 호텔 마케팅 관계자들은 웨딩플래너라는 정보원천을 얼마나 잘 활용하는냐에 따라 호텔예식 활성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웨딩플래너는 일반인들보다 훨씬 전문가적이고 감각적인 능력을 갖추기 위한 노력을 하여야 할 것이며, 본인들의 이익도 중요하지만, 그것보다 예비신랑신부의 입장에서 진실성을 갖고 진심을 다해 컨설팅 하는 태도가 필요할 것이다. 그리고, 웨딩컨설팅업체는 이러한 인력을 양성하고 고용하며 또한 그들의 교육과 훈련에도 지속적인 투자를 해야 할 것이다. 호텔예식마케팅 담당자는 여러 웨딩플래너에게 일반예식장과는 다른 호텔예식만의 장점과 혜택을 지속적으로 홍보하여야 하며, 또한 젊은 예비신랑신부의 요구사항을 잘 파악하여 그들의 만족도를 최대한 높히는 것이 호텔예식 매출 증진에도 큰 도움을 주게 될 것이다. 또한, 호텔예식장의 시설적인 투자로 경쟁우위를 확보해야 하며, 웹사이트의 철저한 관리로 예비신랑신부를 유인할 수 있어야 하며, 마지막으로 기존의 틀에 박힌 획일적인 결혼식보다는 젊은 고객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이벤트예식의 개발 및 발전, 재혼이나 주중, 저녁예식 등의 적극적인 마케팅도 호텔 예식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