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정서 지능, 학습몰입, 대학생활적응간의 관계 연구

        노수림(Noh, Soo Rim),배성아(Bae, Sung Ah)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정서지능, 학습몰입, 대학생활적응 사이의 관계를 규명하고 학습몰입이 정서지능과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매개요인으로 작용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A시, C시, S시 소재 대학교 각각 한곳에 재학 중인 284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고 각 변인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변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정서지능, 학습몰입, 대학생활적응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정서지능의 하위요인 인 정서활용과 학습몰입의 하위요인인 구체적 피드백은 대학생활적응의 하위요인중 학업적응과 가장 큰 상관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지능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정서지능은 학습몰입을 매개로 대학생 활적응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검증결과, 여학생 집단과 고학년 집단은 전체집단과 동일하게 정서지능이 학습몰입을 매개로 대학생활적응 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즉, 정서지능은 학습몰입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도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효과는 성별과 학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정서지능은 대학생들의 학교생활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학습몰입은 정서지능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를 매개하는 유의한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대학생의 학교생활적응을 높이기 위해 정서지능을 계발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또한 학습에 몰입할 수 있는 환경과 학교의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1) the relations among emotional intelligence, learning flow, and college adaptation, and 2)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flow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llege adaptation. 284 undergraduate students (103 males, 181 female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main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as follows. Firs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learning flow,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llege adaptation, and learning flow and college adaptation. Moreover, among the sub-scales, use of emotion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unambiguous feedback of learning flow had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academic adjustment of college adaptation. Second, the results of the mediation analysis revealed that learning flow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college adaptation. Comparing by gender, learning flow was a mediator in the link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llege adaptation in the case of female. Comparing by grade, leaning flow showed the mediating effect between motional intelligence and college adaptation in the case of junior college students. Thus, emotional intelligence not only directly influenced college adaptation, but also had an indirect effect through learning flow.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within universities for programs that improve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at administrators and faculties should focus on creating an environment that facilitates learning flow.

      • KCI등재

        대학신입생의 성격특성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진로결정효능감의 매개효과

        이귀숙,도수정,송현아 한국청소년학회 2016 청소년학연구 Vol.2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n the relation between personality trait and university adjustment of freshm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13 freshmen of 3 universities in Busan and Kyungsangnamdo, Korea. Measure included personality trait,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university adjustment. For data analysis, Pearson 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by SPSS 21.0 program were applied.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tability, extroversion, sense of responsibility, and self-confidence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elation with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university adjustment. Seco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 between stability and self-confidence and university adjustment. However,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showed complete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 between stability and self-confidence and university adjustment. 본 연구는 대학신입생의 성격특성이 진로결정효능감을 매개로 대학생활적응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우선, 성격특성, 진로결정효능감, 대학생활적응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다음으로 대학신입생의 성격특성과 진로결정효능감의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설명력과, 성격특성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결정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부산시 및 경상남도에 소재한 3개 대학교 신입생 413명을 대상으로 표준화성격진단검사, 진로결정효능감척도, 대학생활적응척도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Pearson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및 sobel 검증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신입생의 성격특성 가운데 안정성, 외향성, 책임감, 자신감은 대학생활적응 및 진로결정효능감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또한 진로결정효능감은 대학생활적응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진로결정효능감은 안정성 및 자신감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를 부분매개하였으며, 외향성 및 책임감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대학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개입할 때 개인의 성격특성에 따라 개입요소를 달리 해야 함을 시사해 준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대학생의 우울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만족도의 매개효과

        현혜순,김윤영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6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우울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파악함으로써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본 연구는 2022년 06월부터 2022년 08월까지 A시와 D시에 위치한 지역의 대학생 21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 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변수 간 차이는 t-test, ANOVA로 분석하였고, 변수 간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으며, 대상자의 우울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 방법을 이용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대학생의 우울 점수는 평균 0.45점, 대인관계 만족도는 3.73점, 대학생활적응은 평균 3.34점이었다. 대상자의 우울은 학년(F=5.252, p=.006), 주관적 건강상태(t=-3.664, p<.001), 거주형태(F=3.171, p=.025)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대인관계 만족도는 연령(t=2.755, p=.006), 주관적 건강상태(t=3.953, p<.001), 거주형태(F=7.640, p<.001)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대학생활적응 정도는 연령(t=3.362, p=.001), 주관적 건강상태(t=4.080, p<.001), 학업 성적(F=9.642, p<.001), 흡연(t= 2.384, p=.018)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대학생활적응은 우울(r=-0.314, p<.001), 대인관계 만족도(r=-0.447, p< .001)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우울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만족은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증진하기 위해 대학생활 요소 중 우울 감소와 대인관계 만족도 향상을 위한 전략을 우선적으로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여겨진다.

      • KCI등재

        홀리스틱 교육의 관점에서 B전문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 적응을 위한 수업 탐색 : 전일성의 관계성을 중심으로

        강경리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17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21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홀리스틱 교육 관점에서 B전문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 적응을 위한 수업인 ‘대학생활과 적응’ 수업의 효과성을 탐색하고, 수업의 문제점을 토대로 효과적인 수업 운영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대학생활과 적응’ 수업은 대학생활 적응 요인을 기반으로 학과 지도교수와 대학본부의 연계를 통해 신입생의 대학생활 적응을 돕기 위해 개설한 수업이다. 연구 대상은 2016학년도 1학기 ‘대학생활과 적응’ 수업 수강생인 외국어학부 신입생 25명이다. 연구방법은 신입생 대상 심층면담을 통해 수업 참여과정에서 신입생들의 대학생활 적응과 관련된 경험을 질적으로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수업은 신입생들의 교육과정과의 관계성 형성을 통한 학업적 적응, 자기와 자아와의 관계성 형성을 통한 개인·정서적 적응, 다른 사람과의 관계성 형성을 통한 사회적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 수업은 교육과정과의 관계성에서 수업내용의 불균형, 자기와 자아와의 관계성에서 상담의 기회 부족, 다른 사람과의 관계성에서 소란스러운 수업 분위기 등의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점을 토대로 ‘대학생활과 적응’ 수업에 생태학적 패러다임의 학습공동체의 특징을 적용하여 삶과 전일성을 중심으로 한 수업내용의 구성, 격려자로서 교수자의 역할,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수업방법의 활용으로 이 수업의 개선 방안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the courses for supporting first-year students' adjustment to college in view of holistic education. Considering the factors of the students' adjustment to college, this courses was developed through linkage of the office of academic affair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25 students who attend the courses for supporting first-year students' adjustment to college in 2016 one semester.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first-year students, first-year students' experiences of the adjustment to college were explored in the class participation proces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courses for supporting first-year students' adjustment to college appeared to be a positive impact on academic adjustment through relation with education curriculum, personal-emotional adjustment through relation with self, social adjustment through relation with others. Second, this courses shows that there are problems such as imbalance of class contents in terms of relation with education curriculum, lack of counseling in terms of relation with self and loud class atmosphere in terms of relation with others. It suggested that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a learning community ecological paradigm, it should be needed to improve the structure of the course content around the life and holism, the role of instructor as an encourager and the use of teaching methods that promote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student.

      • KCI등재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과 사회적지지의 이중매개효과

        이재상(Lee, Jae sang),김상미(Kim, Sang Mi)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22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 No.83

        본 연구는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자기효능감과 사회적지지의 이중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제주도내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207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이용하여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대학생활적응은 행복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고,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는 대학생활적응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단일 매개효과 뿐만 아니라 이중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과 행복감을 높이기 위하여, 우리나라에 맞는 표준화된 대학생활적응척도를 개발하고, 정기적으로 대학생의 행복감을 측정할 필요성이 있다. 두 번째 대학생활적응이 행복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검증했듯이 코로나 19 이후 대학생의 대학생활부적응이 발생하고 결과적으로 대학생의 행복감의 상실을 예방하기 위한 대학생활적응 프로그램에 대한 의무화가 필요하다. 세 번째 본 연구에서 검증했듯이 대학생활적응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이중매개하는 내적인 요인인 자기효능감과 외적인 요인인 사회적 지지를 향상하기 위한 세분화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on happiness and to examine the doubl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used to analyze 207 college students attending universities in Jeju Island, and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collected dat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college life adaptation had a direct effect on happiness, and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were verified to have a single mediating effect as well as a double mediating effect on college life adaptation. The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tandardized college life adaptation scale suitable for Korea and measure the happiness of college students on a regular basis in order to increase college life adaptation and happiness. As we verified the path that the second college life adaptation directly affects the sense of happiness, it is necessary to make a college life adaptation program mandatory to prevent college life maladjustment among college students after COVID-19 and consequently, the loss of happiness among college students. Third, as verified in this study, a subdivided program is needed to improve self-efficacy, which is an internal factor that double-mediates the effect of college life adjustment on happiness, and social support, which is an external factor.

      • KCI등재

        대학 신입생의 지각된 스트레스, 우울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주원식,변은경,이경민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1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identity the influencing factors on adaptation to college life of college freshmen’s. Data were collected from 2088 college freshmen’s in B city and analyzed by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WIN 22.0. The degree of adaptation to college life in college freshman was 3.75±0.7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llege life adaptation with respect to gender(t=3.947, p<.001), age(F=3.445, p=.032), major(F=5.539, p=.001), family type(F=6.958, p<.001). There was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perceived stress(r=-.696, p<.001), depression(r=-.507, p<.001), positive correlation were found between perceived stress and depression(r=.567, p<.001). The factors affecting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of the study subjects were perceived stress, depression, age, major, family type with an explanatory power of 50.4%. In conclusion, to enhance adaptation to college life of college freshmen’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dopt various program of adaptation to college life. 본 연구는 대학 신입생을 대상으로 대학생활적응 정도와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참여자는 B시의 대학 신입생 208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피어슨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대학생활적응은 3.75±0.73점이었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학생활적응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t=3.947, p<.001), 연령(F=3.445, p=.032), 전공(F=5.539, p=.001), 가족형태(F=6.958, 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연구대상자의 대학생활적응은 지각된 스트레스(r=-.696, p<.001), 우울(r=-.507, p<.001)과는 부적상관관계, 지각된 스트레스와 우울(r=.567, p<.001)은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대상자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지각된 스트레스, 우울, 연령, 전공, 가족형태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50.4%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대학생활적응 능력을 함양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A Mediated Effect of Grit on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and Adaptations to College Life among Male Nursing Students

        Geum-Sook Oh,Min-Ja Baek,Hyo-Yeol Jang 중소기업융합학회 2022 융합정보논문지 Vol.12 No.4

        본 연구는 간호남학생의 생활스트레스, 그릿, 대학생활적응 정도를 파악하고, 그릿의 매개효과가 생활스트 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남자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을 촉진하기 위해 수행되 었다. 연구 대상자는 5개 도시의 간호학과 남자 간호대학생 209명으로 편의표집을 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SPSS/WIN 25.0으로 분석하였다. 생활스트레스는 대학생활적응과 그릿에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그릿 은 대학생활적응에 정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매개효과 검증결과 최종모델은 대학생활적응의 43.5%를 설명하였 다. 따라서 남자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생활 스트레스를 낮추고, 그릿과 대학생활 적응수 준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mote male nursing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by identifying life stress, grit, and degree of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the effect of gri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and college life adjustment. becam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9 male nursing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nursing departments in 5 major citi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WIN 25.0. Life stress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college life adaptation and grit, but grit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ollege life adaptation. As a result of mediating effect verification, the final model explained 43.5% of college life adaptation.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male nursing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it is required to develop a program that can lower life stress and increase grit and college life adaptation level.

      • KCI등재

        세대간 가족관계와 자아분화 및 자아존중감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이정희,정경연,유희정 한국청소년학회 2007 청소년학연구 Vol.14 No.5

        본 연구는 대학생의 심리적 요인인 자아분화와 자아존중감에 대해 알아보고 이러한 심리적 요인들이 개인의 환경적 요인인 부모-자녀의 세대간 가족관계와 어떠한 관련성이 있으며, 나아가 이 세 요인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부산지역의 3개 대학의 재학생 247명을 대상으로 대학생활 적응검사, 자아분화 검사, 세대간 가족관계 검사, 자아존중감 검사를 실시하였고, 결과 분석을 위해 상관분석과 단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세대간 가족관계 지각과 자아분화, 자아존중감 그리고 대학 생활 적응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내고 있어 대학생활 적응이 자아존중감, 자아분화, 가족관계와 관련이 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세대간 가족관계, 자아분화, 자아존중감의 대학생활 적응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자아존중감과 자아분화가 유의미하게 대학생활 적응을 예측했으며, 자아존중감, 자아분화의 순서로 의미 있는 영향력을 나타냈다. 둘째, 세대간 가족관계의 하위요인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세대간 융합-개별화, 세대간 친밀, 세대간 간섭이 유의미하게 대학생활 적응을 예측하고, 세대간 융합-개별화, 세대간 친밀, 세대간 간섭의 순서로 긍정적인 대학생활 적응을 예측한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자아분화의 하위요인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정서적 단절과 나-위치에 대한 지각이 유의미하게 대학생활 적응을 예측하였으며, 정서적 단절, 나-위치 순서로 대학생활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 몇 가지 논의와 제안이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Effect of The Intergenerational Family Relationship, Self-Differentiation and Self-esteem of College student on the College life adjustment. 247 college students in Busan were participants on research. Correlation analysis,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for analysis of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First, we found that the college life adjustment is related with the perception of intergenerational family relationship, the level of self-Differentiation and self-esteem ; Second, the level of self-esteem and self-Differentiation had effect on the college life adjustment in order; Third, emotional cut-off, I-position as subordinate facors of self-Differentiationon had effect on the college life adjustment in order ; Forth, intergenerational Fusion-Individuation, intergenerational Intimacy, Intergenerational Intimidation as subordinate facors of intergenerational family relationshipad effect on the college life adjustment in order. Discussions and suggestions were involved.

      • KCI등재

        대학생의 의사소통과 생활스트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민소영(So-Young Min)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5

        본 연구는 대학생의 의사소통과 생활스트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지방 소도시에 위치한 일 대학교에 다니는 대학생 240명이며, 자료 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학생활적응은 의사소통과 정적인 상관관계(r=.18, p=.005)가 있었으며, 생활스트레스와는 부적인 상관관계(r=-.58,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의사소통(β=.16, p=.002)과 생활스트레스(β=-.58, p<.001)는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유의한 예측인자로, 이들의 설명력은 35.9%였다(F=67.84, p<.001). 결론적으로 본 연구 결과는 대학생의 의사소통과 생활스트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의미 있는 영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대학생들이 효과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고 생활스트레스를 감소시켜 더 나는 대학생활적응을 이끌어 낼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개발되는데 본 연구결과가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was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and life stress on college life adjustment in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40 college students attending a university located in a local small city, and the data collection was based on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the SPSS/WIN 21 program. As a result, college life adjustment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communication(r=.18, p=.005)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life stress(r=-.58, p<.001). In addition, communication(β=.16, p=.002) and life stress(β=-.58, p<.001)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college life adjustment, and their explanatory power was 35.9%(F=67.84, p<.001).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that the communication and life stress of college student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ollege life adjustment.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tilized in the future, as college students develop effective communication skills and reduce life stress and develop programs that can lead to adaptation to college life.

      • 대학생의 배경변인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 연구

        이순덕(Soon Deok Lee),이미아(Mia Lee) The Research and Information Service 2012 남부대학교 논문집 Vol.12 No.-

        본 연구는 남부대학교 학생들의 여러 가지 배경변인에 따라 대학생활 적응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전체 826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학업적 적응, 사회적 적응, 개인-정서적 적응, 대학 환경적 적응을 포함한 대학생활적응 설문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학생에 비해 남학생의 대학생활 적응도가 높았는데, 특히 군대를 다녀온 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도가 매우 높았다. 둘째 저학년 학생보다는 고학년 학생들의 학업적 적응과 사회적 적응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기숙사생, 자취생, 하숙생들과 비교하여 부모님과 함께 거주하고 생활하는 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도, 특히 개인-정서적 적응이 높게 나타났다. 기숙사생은 자취생이나 하숙생에 비해 사회적 적응도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가정의 월평균 소득 수준이 높은 학생들은 대학생활 적응도, 특히 학업적 적응, 개인-정서적 적응이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직전 학기 성적이 높은 학생들의 학업적 적응도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자신의 장래 진로를 명확하게 결정하고 대학생활을 하는 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도가 모든 영역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학생들의 원만한 대학생활 적응을 돕기 위한 대학 차원의 제도나 정책 개발, 학생들에 대한 상담 및 지도와 관련된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등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해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