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송윤정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9727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ajor Selection Motivation, Major Satisfaction, and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on Their School Life Adjustment 교육학과 송 윤 정 지도교수 조 규 판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 교수-학생 상호작용,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전공선택동기 하위요인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전공만족도 하위요인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넷째, 교수-학생 상호작용 하위요인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다섯째,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를 위해 부산시에 소재하는 4개 대학교 학생 580명을 대상으로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 교수-학생 상호작용, 대학생활적응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566명의 자료가 분석에 포함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21.0을 이용하여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논의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 교수-학생 상호작용, 대학생활적응 간에는 정적 상관이 있다. 둘째, 전공선택동기의 하위요인 중 내재적 동기가 대학생활적응의 하위요인인 학업적 적응, 사회적 적응, 환경적 적응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전공만족도 하위요인 중 일반만족, 관계만족, 교과만족이 학업적 적응에, 관계만족과 인식만족은 사회적 적응에, 관계만족은 개인-정서적 적응에, 일반만족, 인식만족, 교과만족은 환경적 적응에 영향을 미친다. 넷째,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하위요인 중 친밀감과 신뢰감이 대학생활적응의 하위요인인 학업적 적응, 사회적 적응, 개인-정서적 적응, 환경적 적응에 영향을 미친다. 다섯째, 전공만족도, 교수-학생 상호작용은 대학생활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해 볼 때,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와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을 높이기 위하여 대학입학 시 전공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흥미나 적성에 맞춘 진로지도가 고등학교 과정에서 필요하다. 또한 전공만족도와 관련된 다양한 교육적 서비스 제공 및 교수와 학생이 정서적으로 유대관계를 지속할 수 있는 대학의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주요어 :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 교수-학생 상호작용, 대학생활적응

      • 장애대학생의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김현주 신라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2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much the social support,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the adjustment to university is important to provide the basic material and systematic support to students. For this, the social support level of disabled students can be specified to 4 sub levels; emotional support, informational support, material support, performance support The adjustment level of disabled students can be analyzed according to the 5 sub areas; academic adjustment, social adjustment, emotional adjustment, physical adjustment, university environmental adjustment. This research was conducted with 85 disabled students who have sight disorder, hearing disorder, language disorder and crippled disorder, etc and entered university through the disabled special entrance examination or normal entrance examination. SPSS 12.0 statistics program was used and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and analyzed information by choosing variables with stepwise's method. According to the research analysis the following has been suggested. Firs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emotional adjustment when disabled students has been entered university through normal entrance exam. Also, students involved in school clubs was better at social adjustment and students who have outdoor experience were better at physical adjustment and social adjustment. Students with crippled disorde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sub factors in terms of social support compared to students with other disorder. Especially, they were receiving more material support and students with temporary absence experience were receiving more informational support. Secon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university life adjustment, I implemente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except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formational, material support and academic adjustment, statistically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 It suggests that the academic adjustment which is one of sub level of university adjustment is only related to performance support. Third, to find out how the social support would affect the disabled students' campus life adaptation, I used stepwise method to choose variables fo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performance support was shown to have the most influential power on academic adjustment and emotional adjustment. Emotional support, one of sub factors of social support was shown to affect significantly physical adjustment. Informational support of social support affected significantly to the adaptation to university environment. Based on the result, I'd like to suggest followings. First, I found out that performance support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university adjustment of disabled stud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basic knowledge to friends, colleagues, professors and university staffs, and to develop various programs like the disabled cognition improvement program or disorder experience program. Second, to enhance the social network of disabled students, I suggest to promote and let them know club activities in university and to induce active participation. It can widen the chance to be with normal students and disabled students together. Third, the university life adjustment is a series of procedures to adapt new environment and to help them adapt well, university should provide ability enhance programs for students.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대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인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아, 향후 장애대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체계적인 지원을 제공하기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장애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의 수준은 장애대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 원천에 따라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지, 평가적 지지의 4개의 하위영역으로 구성하였으며, 장애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의 수준을 학업적 적응, 사회적 적응, 정서적 적응, 신체적 적응, 대학 환경적 적응의 5개의 하위영역에 따라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부산과 대구, 수도권 일대에 소재하는 대학에 장애인 특별전형제도나 일반전형제도에 의해 선발되어 시각장애, 청각장애, 언어장애, 지체장애 등의 장애를 가진 장애대학생 총 85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자료는 SPSS 1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빈도분석, t-test와 One-way ANOVA, 다중회귀분석시 변수선택방법 중 stepwise의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 분석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대학생의 입학방법 중 일반전형으로 대학에 입학한 경우에는 정서적 적응에 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 내 동아리에 가입되어 있는 장애대학생이 사회적 적응을, 학교 외 외부활동경험이 있는 장애대학생이 신체적 적응과 사회적 적응을 더 잘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지체장애를 가진 학생이 기타장애를 가진 학생들보다 사회적 지지에 대한 지각의 모든 하위영역에 대해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으며, 특히 물질적 지지를 더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휴학경험이 있는 장애대학생들이 휴학경험이 없는 장애대학생보다 정보적 지지를 더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지지와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알기위하여 Pearson 상관관계분석을 한 결과 정서적, 정보적, 물질적 지지와 학업적 적응과의 관계를 제외하고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대학생활적응의 하위영역인 학업적 적응은 평가적 지지에서만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사회적 지지가 장애대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시 변수선택방법 중 stepwise의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사회적 지지의 하위영역 중 평가적 지지가 학업적 적응과 정서적 적응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의 하위영역 중 정보적 지지가 사회적 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지지의 하위영역 중 정서적 지지가 신체적 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의 하위영역 중 정보적 지지가 대학 환경적 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결과 장애대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에 평가적 지지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장애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친구·선후배, 교수 및 교직원들에게 장애에 대한 기초지식을 제공하고 장애인을 이해할 수 있는 장애인인식 개선 프로그램이나 장애체험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장애대학생의 사화관계망을 확장시킬 수 있는 지원의 일환으로 장애학생지원센터에서는 학교 내 동아리활동을 안내하고 홍보하여 장애대학생들의 동아리활동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함으로써 장애대학생들과 비장애대학생들이 함께 할 수 있는 경험을 통해 장애학생들의 활동의 폭을 넓혀주는 기회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대학생활적응이란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일련의 과정으로서 장애대학생들이 대학생활에 잘 적응하기위해 대학은 장애대학생들 스스로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할 필요가 있다.

      • 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 관련 심리적 특성 연구

        김지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727

        자기조절학습 능력은 학교 교육을 받는 중·고등학생에게도 중요하지만 대학생에게도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 대학 교육은 사회에 나가기 직전의 단계로서, 대학생은 자신의 사회적 역할을 스스로 설정하고 능동적으로 수행하는 심층적 수준의 능력이 절실하게 요구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학생에게 효과적인 교육을 위해 이들의 자기조절학습 유형을 분류하고 집단별 심리적 특성을 파악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서울 및 수도권에 소재한 8개의 대학교에서 총 516명을 대상으로 자기조절학습의 유형을 살펴보고 유형별 심리적 특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군집분석을 통해 자기조절학습에 따른 학습자의 유형을 분류하고 심리적 특성으로서 대학생활적응, 정서, 지적 능력에 대한 신념, 회복탄력성과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자기조절학습에 따른 학습자 유형 분류를 위해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5개의 유형으로 분류됨을 확인하였다. 자기조절학습 능력이 높은 ‘유형 가’와 평균적인 모습을 보이는 ‘유형 나’, 가장 낮은 집단인 ‘유형 마’, 그리고 자기조절학습 하위 요인 중 인지조절이 높고 동기조절이 낮은 ‘유형 다’와 동기조절이 높고 인지조절이 낮은 ‘유형 라’로 구분되었다. 자기조절학습이 높은 ‘유형 가’는 자기조절학습의 모든 하위 요인에서 가장 우수하였는데 하위 요인별 편차도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한 영역에서 자기조절을 잘하는 학습자가 다른 영역에서도 자기조절을 잘한다는 점을 보여준다. 또한, 자기조절학습은 대학생활적응, 정서, 지적 능력에 대한 신념, 회복탄력성에 의해 40.1%가 설명되었는데 특히 대학생활적응과 부정정서, 향상신념이 자기조절학습을 잘 설명하고 있었다. 자기조절학습 유형별로 심리적 특성의 차이를 살펴봤을 때, 자기조절학습 능력이 높은 ‘유형 가’가 대학생활적응, 긍정정서, 향상신념, 회복탄력성이 가장 높게 나타난 결과를 확인하였다. 자기조절학습 유형에 따른 그래프에서 자기조절학습 능력이 높은 학습자는 대학생활적응, 긍정정서, 향상신념, 회복탄력성이 높은 반면 자기조절학습 능력이 낮은 학습자는 부정정서, 고정신념이 높게 나타났다. 자기조절학습 하위 요인 중 인지조절이 높은 ‘유형 다’는 동기조절이 높은 ‘유형 라’보다 자기조절학습을 잘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동기조절이 낮더라도 인지조절이 높은 학습자가 자기조절학습 능력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요컨대, 자기조절학습에 영향을 주는 심리적 특성의 회귀분석과 자기조절학습 유형에 따른 심리적 특성의 차이 분석을 통해 대학생활적응이 자기조절학습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학습 상황에서 긍정정서와 부정정서는 독립적인 차원으로 서로 차별적인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여 정서가 자기조절학습 전략에 도움을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지적 능력에 대한 신념 중 향상신념을 가지고있는 학습자는 고정신념을 가지고있는 학습자보다 자기조절학습 능력을 잘 사용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인지전략을 많이 사용하여 자기조절학습이 높다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회복탄력성이 높은 학습자 유형이 자기조절학습 능력에서 뛰어난 모습을 보였지만 자기조절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나타나지 않았다. 기존의 선행연구들은 자기조절학습과 관련된 다양한 변인들의 영향력을 탐색하는데 초점이 맞추어져 왔으나 본 연구는 지금까지 이루어진 연구들을 토대로 자기조절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특성을 알아보고, 자기조절학습에 대한 개별적인 접근을 통해 학습자의 유형을 만들어 학습자의 특성을 반영한 개인적 접근을 통해 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을 살펴봤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is not only important for the middle school and the high school students, but also it is significantly important for the college students. Because university education is a step right before coming into the society, so the college students are required to have an in-depth level of ability to set their social roles and to carry out. To improve the college education effectively, it is strongly required to classify of the types of self-regulated learning and understand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pecific group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know the type of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o check the type of self-regulated learning, and the subject of study is 516 people from eight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Through a cluster analysis, according the learners the collected data was classified the type of self-regulated learning. And i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among the college life adjustment as a psychological traits, emotions, beliefs about intelligence and the resilience. The major result of this study is as below. ​Firstly, after conducting the cluster analysis of the classification of students to know the type of leaners, it was able to make students into 5 groups. According to the ability of self-regulated learning, type 가 was in the high level, 나 was in the average, 마 was in the lowest level. And the cognitive regulation of type 다 was high and the motivational regulation was low, the cognitive regulation of type 라 was low and the motivational regulation was high.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of type 가 is in the high level, at the same time, sub-factors of self-regulated learning were also superior and it has smallest deviations. The results show that a learner good at self-regulated is also good at the self-regulated at the diffrent area. ​From the research of the relationship among the college life adjustment as a psychological traits, emotions, beliefs about intelligence and the resilience, it was able to explain self-regulated learning, particularly the college life adjustment, negative emotions and the belief of self-improvement were more definitively able to explain self-regulated learning. ​After examination of the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elf-regulated learning, type 가 which has the high-level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is figured out that has higher college life adjustment, positive emotions, beliefs of improvement and the resilience. Through the graph of self-regulated learning types, it was able to know that the college life adjustment, positive emotions, beliefs of improvement and the resilience of a learner who has a high ability of self-regulated learning is higher. But the negative emotions, fixed beliefs of a learner who has a lower ability of self-regulated learning is higher. Thus, type 다 which has high cognitive regulation among the sub-factors of self-regulated learning is good at self-regulated learning than type 라. And it means that even though the motivational regulation is lower, but if learner has the higher cognitive regulation, than the leaner does self-regulated learning more effectively. In short, through the regression analysis of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at affect learning and self-regulation, and the gap analysis of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type of self-regulated learning, it was able to know that the college life adjustment can be an important role in the self-regulated learning. Besides, positive emotions and negative emotions in the learning situation are independently performing a differential function and role, so that it was confirmed that the sentiment is helpful in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Learners who have beliefs of improvement in intellectual abilities, can use the self-regulated learning skills appropriately than the learners who have fixed beliefs. Also, since they use more cognitive strategies it can be predicted that their self-regulated learning is high. The learners who has higher resilience have excellent performance in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but it was not an important factor of self-regulated learning. ​Prior studies have focused on the influence of various factors regarding self-regulated learning, but this study is focus on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at affect the self-regulated learning based on the prior studies. In addition, through an individual research on the self-regulated learning created types of learner, therefore it has a significance which was able to study the self-regulated learning of college students approached by reflections of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일상적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의 상호작용효과 : 자아존중감의 안정성 및 수준을 중심으로

        양현정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일상적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의 안정성 및 수준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대학생 545명을 대상으로 대학생활적응 척도, 자아존중감 안정성 척도, 자아존중감 척도,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하였다. 설문을 통해 얻은 자료를 상관과 회귀를 통해 통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일상적 스트레스의 효과를 통제했을 때, 전체 대학생활적응 및 학업적응, 사회적응, 개인-정서적응에서는 자아존중감의 안정성과 수준이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대학환경적응에서는 자아존중감의 수준만이 유의미한 영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설명량은 자아존중감의 수준이 자아존중감의 안정성 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상적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 안정성의 상호작용은 전체 대학생활적응 및 하위적응 영역 모두에서, 일상적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 수준의 상호작용은 사회적응, 개인-정서적응, 대학환경적응에서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자아존중감의 안정성과 수준을 함께 살펴볼 필요가 있음을 논의하였다. 또한 일상적 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간에 자아존중감의 안정성이 수준보다 더 큰 상호작용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daily hassles, self-esteem stability and self-esteem level on adjustment to college. Data from 545 undergraduates were analysed.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 Stability of Self Scale, Self-Esteem Scale and Daily Hassles Scale were administered for this survey. The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through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regression, stepwise regression and simple regression. The result indicated that both stability and level of self-esteem had significant effects on general adjustment to college, academic, social and personal-emotional adjustment after controlling daily hassles. In attachment adjustment, only self-esteem level had a significant effect. Generally self-esteem level explained adjustment to college more than self-esteem stability. The interaction between daily hassles and self-esteem stability on general adjustment to college and all subscales was significant. The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daily hassles and self-esteem level emerged in social, personal-emotional and attachment adjustment. Based on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hat individual differences in adjustment to college should be more obscured when both stability and level of self-esteem had t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Also, it was found that self-esteem stability was more important moderator between daily hassles and adjustment to college than self-esteem level.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results and recommendable topics for further study were discussed.

      •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교수 학업성취압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학업소진의 매개효과와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신우단 호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9727

        대학생활의 시기는 큰 변화의 과정을 경험하는 중요한 시기이며 성인기 적응을 준비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항공서비스를 전공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지각하는 교수 학업성취압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관계에서 학업소진의 매개효과, 그리고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교수 학업성취압력과 대학생활적응의 영향관계를 검증한 결과, 교수 학업성취압력 중 교수 행동관련 변인에 대해 높게 지각할수록 개인·정서적 적응, 학업적 적응, 대학환경적 적응, 사회적 적응이 모두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수 태도관련 변인은 대학생활적응의 모든 하위 요인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수 학업성취압력과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학업 소진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교수 학업성취압력 중 교수 태도관련 변인은 매개검증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못한 반면, 교수 행동관련 변인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학업 소진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완전매개 효과를 보이는 변인들이 있었다. 교수행동이 탈진과 냉담을 거쳐 개인·정서적 적응과 학업적 적응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수행동이 냉담을 거쳐 대학환경적 적응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수 학업성취압력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교수·학생 상호작용 중 민감성, 수용성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수·학생 상호작용 중 민감성과 수용성의 수준에 따라 교수 학업성취압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남을 의미한다. 또한, 교수학생 상호작용 중 접근가능성, 신뢰성은 교수 학업성취압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관계에서 조절효과로서 기능을 하기 보다는 대학생활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로 나타났다. 이에 교수는 학생을 지도함에 있어 학업의 중요성은 강조하되 이에 대한 긍정적, 부정적 보상을 매개로 하여 통제하는 것은 대학에 적응하는 데에 있어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그리고 학생들과의 상호작용에 더 많은 관심을 갖고 수업 내·외에서 양적으로도 질적으로도 상호작용의 수준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 이러한 교수의 노력은 학생들이 성공적으로 대학생활에 적응하여 내적으로 건강하고 성숙한 성인이 될 수 있도록 발판을 마련해 줄 뿐만 아니라 학교와 사회 발전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eriod of college life is important period that the students can experience the process of great change and it is very significant in that they can prepare for the adulthood adaptation. Accordingly, as an object of th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the airline service,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 of the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by professor perceived by the students on the college life adapta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burnout and moderating effect of student-faculty interaction in this relationship. From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bove, it may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influence relation between the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by professor and college life adaptation, the higher the students perceived the teaching behavior-related variables from the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by professor, the lower the whole individual emotional adaptation, academic adaptation, college environmental adaptation, and social adaptation was. The teaching attitude-related variabl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ll sub-factors of college life adaptation.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burnout in the impacts of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by professor and college life adaptation, the teaching attitude-related variables from the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by professor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mediation verification. In contrast, this study has found out that the teaching behavior-related variables had mediating effect on the academic burnout in the impact of college life adaptation. Among them, there were variables which showed full mediating effect. This study has shown that the teaching behavior lowered the individual emotional adaptation and academic adaptation through the exhaustion and indifference, and that the teaching behavior lowered the college environmental adaptation through the indifference.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oderating effect of student-faculty interaction in a relationship with the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by professor and college life adaptation, this study has found out that there was moderating effect of the sensitivity and acceptability from the student-faculty interaction. That is, the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by professor might appear in a different college life adapta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sensitivity and acceptability from the student-faculty interaction. In addition, this study has shown that the accessibility and reliability from the student-faculty interaction was independent variable which had direct effect on the college life adaptation rather than functioned as moderating effect in a relationship with the college life adaptation by the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by professor. To conclude, the professor should emphasize the importance of learning in teaching the students, and it needs to take note that the control mediated by the positive and negative compensation can have negative effect on adaptation to the college. In addition, the professor should make efforts in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elevating the level of interaction in and out of class with great interest in the interaction with the students. Such efforts by the professor could be of any help to the development in the school and society as well as to the establishment of a foothold in order that the students can adapt to the college life successfully and become internally healthy and mature adults.

      •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 효과

        강수양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겪는 취업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 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 간의 관 계는 어떠한가? 둘째,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하위 요인(통제성, 긍정성, 사회성)은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4년제 대학교에 재학중인 남녀학생 400명이며, 본 연구를 위해 사 용한 측정도구는 취업스트레스 검사, 대학생활적응 검사, 회복탄력성 검사로 신 뢰도 .87∼.92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L 25.0을 사용하여 상관관계분석 및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바탕으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스트레스, 대학생활적응, 회복탄력성 간의 관계에서는 유의미한 상관- ii - 이 있다. 즉, 취업스트레스가 높을수록 대학생활 적응은 낮으며, 회복탄력성이 높 을수록 대학 생활적응은 높다. 따라서 취업스트레스를 완화시켜주는 완충요인으 로 회복탄력성을 높여 줄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며, 이는 취업스트레스를 감소시 키고 대학생활 적응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취업스트레스는 대학생활 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즉, 취업스트 레스가 높을수록 대학생활 적응은 낮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대학생활 적응을 높이기 위해서는 취업스트레스를 완화 시켜줄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셋째, 회복탄력성은 대학생활 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즉, 회복탄력성 이 높을수록 대학생활 적응이 높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 중 긍정성이 대학생활 적응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대학생활 적응을 높이기 위해 회복탄력성 향상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에 회복탄력성이 영향 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설명해 준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가 높더라 도 개인의 회복탄력성이 높다면 미래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로 심리적 불편감이 줄어들어 적응적인 대학생활을 경험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job stress and resilience experienced by college students on college life adaptation. The research questions set up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 employment stress and college life adaptation? Second, what are the sub-factors (control, positivity, sociality)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 employment stress and college life adapt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400 male and female students who are enrolled in a four-year university, and the measurement tools used for this study are the employment stress test, college life adaptation test, and resilience test, with a reliability of .87 to .92.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WIL 25.0. The conclusions obtained based on the results and discuss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stress, college life adaptation, and resilience.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employment stress, the lower the college life adaptation, and the higher the resilience, the higher the college life adaptation.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way to increase resilience as a buffering factor to alleviate employment stress, which is expected to reduce employment stress and help adaptation to college life. Second, employment stres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adaptation to college life.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the higher the employment skills, the lower the college life adaptation.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adaptation to life in college, there is a need for a way to alleviate employment stress. Third, resilienc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college life adaptation.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the higher the resilience, the higher the college life adaptation. In addition, among the sub-factors of resilience, positivity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college life adapt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resilience improvement program in order to increase adaptation to college life. These results explain that resilience affects college students employment stress and college life adaptation. Therefore, even if college students have high employment stress, if the individual's resilience is high, psychological discomfort will be reduced with positive expectations for the future, allowing them to experience an adaptive college life.

      • 대학생의 매체효능감과 학습성과 간의 관계에서 대학생활적응의 매개효과 검증 : 출신고교별 다중집단 경로분석

        정혜원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727

        The development of various media and COVID-19 infection have brought changes that drastically expand the online learning environment of universities. Particularly, in a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that requires the use of media, the higher the media efficacy of learners, the more it affects successful learning outcomes. In this regard,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s of college life adapt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efficacy and learning outcomes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find practical intervention factors that strengthen the path from media efficacy to learning outcomes. On the other hand,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high school attended among the variables that have various effects on media efficacy. Before entering college, students complete different curriculums and enter college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establishment and talent of the high school they are from. And education on the media also differs in degree and level because it proceeds differently. However, as the number of students entering college increases, regardless of the type of high school, college students are exposed to the university online learning environment with different levels of awareness of the media. In addition to this, when college students were classified by their high school origin, there were various differences in college life adjustment and learning outcom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educational development related to the variable by cla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and identifying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and path of each variable by high school.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efficacy, college life adaptation, and learning outcomes in the online learning environment of the university was confirmed, and the mediating effect of college life adaptation was verified. In addition,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each variable, it was confirmed whether there was a path difference between groups according to the high school they graduated from. To examine the research questions, a pilot and a main test were conducted, respectively. The pilot test was conducted with 86 students at K University in Seoul. The main test targeted 732 4-year university students nationwide, and 657 responses were selected as the final research subject, excluding those who did not graduate from domestic high schools (overseas high school graduation, GED, etc.) and insincere responses. In addition, in order to confirm the results through the research questions, the factor analysis values of the preliminary investigation were derived, and the main investigation was conducted with supplementary measurement tools through the expert's validity verification and the explanatory power verification of the items. In this stud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model fit were verified using structural equations along with basic statistics, and mediating effects were verified using structural models and bootstrapping. Finally, measurement identity for multi-group analysis was tested, and through multi-group path analysis, differences in pathways by high school were identified. As a result of the study, both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or each latent variable and the goodness-of-fit test of the measurement model showed significant values, so the initial model was selected without model modification. As a result of structural model analysis, media efficacy had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college life adaptation and learning outcome respectively, and college life adaptation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outcomes. As a result of the mediating effect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college life adaptation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and all effects were significant in all pathways in the total effect and direct and indirect effects. Finally, for the multigroup analysis, the result of the measurement identity test corresponding to the multi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all the requirements for the multigroup path analysis were satisfied. In the multi-group path analysi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from special purpose high schools and private high schools and the group from general high schools within the path from college life adjustment to learning outcomes. Through these result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presented a path toward media efficacy, college life adaptation, and learning performance variables, selection of scales suitable for the current university situation, meaning of partial mediating effects of college life adaptation variables, and the presentation of the suggested high school group and university major field in an integrated manner. In additio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the examination of differences between high schools that were different from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the limitations of the self-report online questionnaire survey method, the imbalance of gender and grade of the study subjects, difficulties in applying the research results to other types of universities other than 4-year general universities and the different perceptions of students entering the special admissions on research variables. As a suggestion of this study, it was presented at the high school level, university level, and instructor level. First of all, at the high school level, regardless of the type of high school, media-related subjects should be added to the curriculum, and various subjects and career education to experience media should be supported. At the university level, it is necessary to actively open curricular and extracurricular programs that can enhance media efficacy while understanding the differences in secondary education courses that college students have completed differently and developing tools that can measure the level of media efficacy. In addition, it should include topics that can deal with media, such as workshops or programs for instructors, to increase the level of media efficacy not only for university students but also for instructors. Particularly, when the results of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college life adaptation were confirmed, it is good to open online contents and online counseling channels where smooth adaptation can be made even in the online learning environment of colleges. At the level of instructors, it is necessary to properly select the media to be used in class, recognizing that the media efficacy of the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the online learning environment can all be different. In addition, instructors themselves should actively participate in media-related workshops held by universities or related organizations to enhance media efficacy, and in the online learning environment of universities, faculty counseling capabilities should be strengthened for active communication between learners. Lastly, as a suggestion for follow-up research, it is possible to check the difference between each group by resetting the classification standard of high school to the career plan after entering school or by classifying groups by admission screening. 다양한 매체의 발달과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사태는 대학의 온라인 학습환경을 급격히 확대시키는 변화를 가져왔다. 특히, 매체를 활용해야 하는 온라인 학습환경에서는 학습자들의 매체효능감이 높을수록 성공적인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친다. 이와 관련하여, 매체효능감과 학습성과 간의 관계에서 대학생활적응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은 매체효능감으로부터 학습성과로 연결되는 경로를 강화하는 실천적 개입요소를 찾을 수 있다는 데에 본 연구의 의미가 있다. 한편, 매체효능감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 중 출신고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대학생들은 대학에 진학하기 전, 출신 고등학교의 설립목적과 인재상에 따라 상이한 교육과정을 이수하고 대학에 입학하는데 매체에 대한 교육 역시 상이하게 진행되기 때문에 그 정도와 수준에 차이를 보인다. 그러나 고등학교의 유형과 상관없이 대학에 진학하는 학생의 수가 많아지면서 대학생들은 매체에 대한 각기 다른 수준의 인식을 가진 채로 대학 온라인 학습환경에 노출된다. 이뿐만이 아니라 대학생들을 출신고교별로 분류하였을 때 대학생활적응과 학습성과도 다양한 차이를 보여 해당 변인들의 관계를 보다 명확히 하고 출신고교별로 각 변인의 관계 및 경로에 대한 차이를 확인하여 해당 변인과 관련된 교육적 발전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학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매체효능감과 대학생활적응, 학습성과 간의 관계는 어떠한지 확인했고 대학생활적응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또한, 각 변인의 구조적 관계에서 출신고교에 따른 집단 간 경로 차이가 있는지 확인했다. 본 연구는 예비조사와 본조사로 총 2차례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예비조사는 서울 K 대학교 재학생 86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본조사는 전국 4년제 대학생 73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국내 고등학교를 졸업하지 않은 경우(해외 고교 졸업, 검정고시 등)와 불성실 응답을 제외한 657명의 응답을 최종 연구 대상으로 채택했다. 또한, 연구문제를 통한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예비조사의 요인분석값 등을 도출하고 전문가의 타당도 검증, 문항의 설명력 검증 단계를 거쳐 보완한 측정 도구로 본조사를 진행하였다. 본조사에서 기초통계와 더불어 구조방정식을 활용한 확인적 요인분석 및 모형적합도를 검증하였으며 구조모형과 부트스트래핑을 활용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다중집단분석을 위한 측정동일성을 검정하였고 다중집단 경로분석을 통해 출신고교별 경로 차이를 확인했다. 연구 결과, 잠재변인별 확인적 요인분석과 측정모형의 적합도 검증에서 모두 유의한 값을 보여 모형의 수정 없이 초기 모형을 선정하였다. 구조모형 분석 결과 매체효능감은 대학생활적응과 학습성과에 각각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끼쳤으며 대학생활적응 역시 학습성과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매개효과 분석 결과, 대학생활적응이 부분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했고 총효과와 직접 및 간접효과에서도 모든 경로에서 모든 효과에 유의성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다중집단 분석을 위해 다중집단 확인적 요인분석에 해당하는 측정동일성 검정 결과, 다중집단 경로분석에 필요한 요건을 모두 충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집단 경로분석에서는 대학생활적응에서 학습성과로 향하는 경로 내에서 특목고 및 자사고 출신 집단과 일반계고 출신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연구의 의의는 매체효능감과 대학생활적응, 학습성과 변인이 향하는 경로를 제시했다는 점과 현 대학 실정에 맞는 척도 선정, 대학생활적응 변인의 부분매개효과가 가지는 의미, 통합적으로 제시된 출신고교의 집단 및 대학 전공분야 제시가 있다. 또한,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 선행연구의 결과들과는 상이했던 출신고교 별 차이점에 대한 점검, 자기보고식 온라인 설문지 조사 방식의 한계, 연구 대상의 성비 및 학년의 불균형, 연구 변인에 대한 특별전형 입학생들의 상이한 인식, 4년제 일반대학 외의 타 대학 유형에 대한 연구결과 적용의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의 제언으로 고등학교 차원, 대학 차원, 교수자 차원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우선 고등학교 차원에서는 고등학교 유형에 상관없이 교육과정에 매체 관련 교과목을 증설하고 매체를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교과 및 진로진학교육을 지원해야 한다. 대학 차원에서는 대학생들의 대학생별로 상이하게 이수한 중등 교육과정의 차이를 이해하고 매체효능감의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면서 매체효능감을 증진할 수 있는 교과 및 비교과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개설해야 한다. 또한, 대학생뿐만 아니라 교수자의 매체효능감 수준을 높일 수 있도록 교수자 대상 워크숍이나 프로그램 등 매체를 다룰 수 있는 주제를 포함해야 한다. 특히 대학생활적응의 부분매개효과 결과를 확인했을 때, 대학 온라인 학습환경에서도 원활한 적응이 이루어질 수 있는 온라인 콘텐츠 및 온라인 상담 창구를 개설하는 것이 좋다. 교수자 차원에서는 온라인 학습환경에 참여한 학습자들의 매체효능감은 모두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여 수업에 활용할 매체를 적절히 선정해야 한다. 또한, 교수자 스스로 대학이나 관련 기관에서 실시하는 매체 관련 워크숍 등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매체효능감을 증진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하며 대학 온라인 학습환경에서도 학습자들 간의 적극적인 소통을 위해 교수상담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으로는 출신고교의 분류기준을 진업 후 진로계획으로 재설정하여 진행하는 연구나 입학전형별로 집단을 분류하여 각 집단의 차이를 확인해볼 수 있다.

      • 대학생의 부모애착관계 및 자아존중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이민희 동아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대학생의 부모애착관계 및 자아존중감과 대학생활적응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부모애착관계와 자아존중감이 대학생활적응의 하위요인별로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대상은 부산지역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2-4학년 113명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척도는 부모애착 척도, 자아존중감 척도, 대학생활적응 척도가 사용되었고, 대학생활적응 척도는 세부적으로 학업적 적응, 사회적 적응, 정서적 적응, 신체적 적응, 대학 만족도의 5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료 분석은 대학생의 부모애착관계 및 자아존중감과 대학생활적응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고, 부모애착관계 및 자아존중감이 대학생활적응 하위요인별로 미치는 영향력에 상대적으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애착관계 및 자아존중감과 대학생활적응간에는 유의한 수준의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부모와 안정적인 애착관계를 형성한 대학생은 자신에 대해 긍정적인 내적작동모델을 형성하게 되고, 이를 바탕으로 자신에 대해서 긍정적인 태도를 갖게 되는 높은 수준의 자아존중감을 갖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활적응의 하위요인별로 살펴볼 때, 부모애착관계와 자아존중감 두 변인 모두 하위요인에 유의한 수준의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고, 자아존중감 변인은 부모애착변인보다 학업적 적응, 사회적 적응, 정서적 적응, 신체적 적응, 대학 만족도에 대해 상대적으로 영향력 있는 변인이었다. 특히나 사회적 적응, 정서적 적응에서 자아존중감의 영향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부모애착관계도 대학생활적응에서 중요한 변인이지만 부모애착관계를 바탕으로 형성된 긍정적인 자아존중감이 대학생활적응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여 진다. 이상의 결과들은 부모애착관계와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대학생활적응정도도 높다고 말할 수 있으며, 특히 자아존중감은 대학생활적응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부모애착관계보다 상대적으로 영향력이 있는 변인임을 밝혀냈다. 본 연구는 개인 외적 변인인 부모애착관계와 개인 내적 변인인 자아존중감을 동시에 고려하여 대학생활적응간의 관계를 살펴본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대학생활에 부적응을 보이는 학생들 중 부모와의 관계가 불안정하거나 자아존중감이 낮은 대학생은 대학교라는 환경적 요소를 이용하여 상담이나 관련 프로그램을 통해 관계에 대한 표상을 재형성하거나 자아존중감을 높임으로써 대학생활적응이 보다 원활하게 도와줄 수 있을 것이다.

      • 지방캠퍼스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요인 연구

        변강희 건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지방캠퍼스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실태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여 이들의 건강한 발달을 도모하고자 유용한 자료를 확보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서 지방캠퍼스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하여 이론적 근거를 기술하였다. 그리고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선행연구의 의미있는 요인들을 산출하여 조사하였다. 산출된 독립변인은 인구사회학적 변인과 지방캠퍼스 대학생활 변인 그리고 사회적 지지 변인으로 구분하였다. 조사측정도구는 사회적 지지 척도와 대학생활적응 척도를 사용하였다. 사회적 지지 척도는 박지원(1985)이 “사회적 지지 척도 개발을 위한 일”연구에서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였고, 대학생활적응 척도는 Baker&Siryk(1984)가 개발한 척도를 현진원(1992)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충청북도 충주에 있는 K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 여 대학생 477명을 조사연구 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WIN(Ver 12.0)을 이용하였으며, 평균 및 표준편차에 의한 배경변인별 사회적 지지 및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인식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 및 F검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사회적 지지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는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하였고, 또한 인구사회학 배경, 지방캠퍼스 대학생활, 사회적 지지를 투입변인으로 하는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분석은 위계적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성별에 따라 대학생활적응에 차이가 나타났는데,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대학생활적응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남학생은 사회적응, 개인정서적응, 대학환경적응면에서 높은 적응도를 나타내었다. 이것은 상대적으로 여학생이 대학생활적응 수준이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급변하는 사회의 흐름에 맞춰 여학생의 대학생활적응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둘째, 거주형태 요인이 대학생활적응에서 차이가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는 통학을 하는 학생보다 기숙사나 자취, 하숙을 하는 학생이 대학생활적응을 잘하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이 결과는 상대적으로 통학을 하는 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도가 낮다는 것을 뜻하며, 통학에 대한 어려움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통학생들은 학업적응, 사회적응, 대학환경적응면에서도 낮은 적응도를 나타낸 결과를 보면 알 수 있다. 통학생이 안전하고 편리한 대학생활을 할 수 있도록 정책적인 방안이 필요하다. 셋째, 동아리 활동 경험의 여부에 대하여 대학생활적응에 차이가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는 동아리 활동을 하는 학생이 하지 않는 학생보다 대학생활적응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동아리 활동의 경험이 있는 학생이 학업적응, 사회적응, 대학환경적응면에서도 높은 적응도를 나타냈다.이러한 동아리 활동 경험을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넷째, 사회적 지지영역 중 교수 지지에 대하여 대학생활적응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수의 지지가 학업적응, 사회적응, 대학환경적응면에서도 높은 적응도를 나타냈다. 지방캠퍼스 대학생들에게 교수와의 상호작용이 활성화되어 대학생활적응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This paper has aimed to examine how college students from local campus adapt themselves to campus life and the influence factors and secure useful data to lead them to a right direction. For this, theoretical background has been described through a preliminary study on how college students from local campus fit in the campus life. To find out the influence on their adaptation to the campus life, furthermore, significant factors that were estimated from the preliminary study have been examined. The calculated independent variables have been classified into social-demographic variable, local campus-life variable and social support variable. For survey, social support scale and campus life adaptation scale were used. In terms of the social support scale, the one developed by Ji-WonPark(1985)inhisstudy‘Work for Development of Social Support Scale’ has been used. In terms of the campus life adaptation scale, on the contrary, the scale developed by Baker&Siryk (1984) and adapted by Jin-Won Hyeon (1992) was used. The survey was conducted against 477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from ‘K’ University in Chungju, Chungcheongbuk-do.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Ver. 12.0). To investigate cognitive difference in social support and campus life adaptation by background variable in terms of means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and F-test have been performed. The 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campus life adaptation was analyzed based on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o investigate the campus life adaptation which takes socio-demographic background, local campus life and social support as input variables, on the contrar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 has turned out as follows: First, male students were better than female students in terms of adaptation to campus life. Specifically, male students were excellent in social adaptation, personal emotional adaptation and adaptation to campus environment, which in turn means that female students are relatively poor at adapting themselves to campus life. Therefore, it’s necessary to improve female students’ adaptation to campus life. Second, difference in adaptation to campus life was observed in terms of type of housing. According to the survey, students who live in a school dormitory or a studio apartment or in lodgings near the school were much better than those who commute to campus in terms of adaptation to campus life, which in turn means that those who commute are not good at fitting in campus life. In fact, commuting students showed a poor level in academic adaptation, social adaptation and adaptation to campus environment. In other words, it’s necessary to elaborate a plan to help commuting students enjoy a safe and comfortable campus life. Third, difference in adaptation to campus life was also observed depending on the experience of club activities. Those who had club activities were excellent in academic adaptation, social adaptation and adaptation to campus environment, compared to the students who didn’t. In sum, it’s necessary to facilitate club activities. Fourth, it has turned out that faculty support had a great impact on students’ adaptation to campus life in the category of social support. In particular, students with a professor’s support showed high level in academic adaptation, social adaptation and adaptation to campus environment. Therefore, the interaction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should be promoted to improve students’ adaptation to campus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