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생활만족도가 첫 일자리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취업준비행동의 매개효과

        서덕운 대구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20대 대졸 청년층의 대학생활만족도와 첫 일자리 만족도와의 관 계에서 취업준비행동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 여 대졸 청년층의 대학생활만족도, 첫 일자리 만족도, 취업준비행동에 관한 선 행연구를 고찰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먼저 본 연구의 대상으로 설정한 대졸 청년층의 선정기준은 다음과 같다. 첫 째, 한국고용정보원의 2020년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2019 Graduate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이하, 2019GOMS)를 기초자료로 하여, 2020년 9월부터 11월까지 수집된 2019GOMS 표본 18,27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둘째, 본 연구의 대상은 대학을 졸업한 청년층으로, 청년기본법 제 3조(정의)에서 정 하는 청년층 연령(19세 이상 34세 이하)과 청년고용촉진 특별법에서 정하고 있는 청년층 연령(15세 이상 29세 이하)의 교집합을 기준으로 하였다. 셋째, 첫 일자리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첫 일자리가 아르바이트인 경우를 제외 하였으며 상용직 근로자만을 연구대상으로 설정하고, 월 급여 평균 100만원 미만 표본은 제외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검증하기 위하여 추출된 2019GOMS 데이터는 IBM SPSS 28.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측정도구의 타당도 검증을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Cronbach’s α 계수를 분석해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다음으로 주요변 인의 기술통계와 변인 간 상관관계 및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취 업준비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SPSS Process Macro의 부트스트래 핑(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활만족도와 첫 일자리 만족도는 유의한 정(+)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활만족도 와 첫 일자리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취업준비행동이 매개하는지 검증한 결과, 대학생활만족도는 취업준비행동이 부분 매개할 경우 첫 일자리 만족도에 유의 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분석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대졸자의 대학 생활만족도가 향상될수록 첫 일자리 만족도가 향상한다. 이는 대학 재학 시절 경험하는 대학생활 전반의 만족도가 향상할수록 대학 졸업 이후 첫 일자리에 서의 만족도 또한 향상됨을 의미한다. 둘째, 대졸자의 취업준비행동은 대학생 활만족도와 첫 일자리 만족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가진다. 대졸자가 대학생활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교육만족도, 교육서비스만족을 포함한 전반적 인 대학생활만족도가 향살 될수록 취업준비행동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이론적, 실무적 측면에서 시사 점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취업준비행동이 높을수록 첫 일자리에서 가지 게 되는 일자리 만족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하며, 취업문제를 직면한 대졸 자가 취업을 위하여 대학 시절동안 경험하는 취업준비활동이 향상될수록 개인 이 원하는 직업에 안착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첫 일자리에서 경험하는 전 반적인 만족도의 향상을 촉진할 수 있으며 첫 일자리에서의 불만족을 해소하 기 위하여 대학생활만족도와 취업준비행동이 함께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이를 위해서 대학 재학시절부터 대학생활과 관련된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한 대학운영, 제도적 변화 등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첫 일자리에서 만족 도 향상을 위해 대학에서 제공하는 진로ㆍ취업관련 교과목에 대한 효과적ㆍ효 율적 운영과 적용에 초점을 맞추어야 함을 시사한다.

      • 대학생의 스포츠 활동 참여가 신체적 자기개념과 대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유리 강릉원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727

        The effect of participating in sports activities on self-concept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Lee, YuRi Major in Physical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Gangneuneg-Wonju National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hysical self-concept of college students and their satisfaction with college life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sport participation in an effort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and influential relationship of the variables. As for the subjects in this study, the students at two different colleges located in Gangwon Province were selected as the population, and 150 questionnaires each were handed out to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majors, the natural sciences majors and the art, P.E. or music majors. 4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in total, and the answer sheets from 425 respondents were collected. And then the data from 232 respondents who engaged in sport activities were finally analyzed. As to data analysis, a statistical package SPSS 21.0 was employed. A frequency analysis was made to find out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arried out. To test reliability, Cronbach alpha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and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test the hypotheses of the study. As to a post-hoc analysis, Scheffe test was used. Finally, a correlation analysis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to look for connections between physical self-concept and college life satisfac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ncerning physical self-concept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and major. Second, concerning physical self-concept according to sport participa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period of participation and the frequency of participation. Third, concerning college life satisfaction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major. Fourth, concerning college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sport participa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period of participation and the frequency of participation. Fifth, concern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hysical self-concept and college life satisfaction of the college students doing sport activities, the subfactors of college life satisfaction was under the positive influence of the subfactors of physical self-concept that were appearance, muscular strength, endurance, Physical activity, flexibility, body fat, health, sport competency and self-esteem. The findings of the study illustrated that the sport participation of the college students exerted an influence on their physical self-concept and college life satisfaction.

      • 대학생의 변혁적 리더십, 자기효능감 및 대학생활만족도와 취업전략의 관계

        김민주 목포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727

        우리나라 대학생들은 급속한 사회변화에 따른 무한경쟁시대에 취업에 대한 심리적 압박감은 높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변혁적 리더십과 취업전략의 일반적 수준을 파악해 보고, 자기효능감 및 대학생활만족도와 취업전략의 수준을 파악해 본 후 대학생들의 변혁적 리더십, 자기효능감과 대학생활만족도가 취업전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변혁적 리더십, 자기효능감, 대학생활만족도, 취업전략의 일반 수준은 어떠한가? 둘째, 대학생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라 변혁적 리더십, 자기효능감, 대학생활만족도, 취업전략의 차이가 있는가? 셋째, 대학생의 변혁적 리더십, 자기효능감, 대학생활만족도, 취업전략은 서로 상관관계가 있는가? 넷째, 취업전략에 대한 인구사회학적 변인, 자기효능감, 대학생활만족도, 변혁적 리더십의 영향력은 어떠한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수행하기 위한 연구대상은 전라남도에 소재한 대학생 197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고 회수해 최종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 WIN 19.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빈도, 백분율, 산술평균, 표준편차, 신뢰도 계수,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고 , t-검정과 일원분산 분석(one-way ANOVA), Scheffe의 사후검정,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변혁적 리더십, 자기효능감 및 대학생활만족도와 취업전략의 일반수준을 살펴보면, 자기효능감 수준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변혁적 리더십, 취업전략 순으로 높았다. 대학생활만족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변혁적 리더십의 하위영역 별로 살펴보면, 개별적 배려가 가장 높았고 카리스마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전략의 수준은 하위영역 별로 살펴보면, 취업계획이 다른 영역에 비해 가장 높았고 경력개발, 관리행동, 적극적 행동에 있어서는 미숙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라 변혁적 리더십, 자기효능감, 대학생활만족도, 취업전략의 차이를 살펴보면, 변혁적 리더십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성적에 따라서는 ‘카리스마, 지적자극, 개별적 고려’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동기부여’ 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대학생의 심리적 변인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고 성적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취업전략에 있어서는 하위영역 중 경력개발과 관리행동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취업계획, 정보탐색, 적극적 행동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성적에 따른 취업전략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자기효능감은 변혁적 리더십의 하위유형인 카리스마, 동기부여, 지적자극과 정적 상관을 보이고 있으며 개별적 고려와는 상관을 보이고 있지 않다. 대학생활만족도는 변혁적 리더십의 하위유형인 카리스마와 동기부여와는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이고 있으나, 지적자극이나 개별적 고려와는 상관을 보이고 있지 않다. 자기효능감과 대학생활만족도, 취업전략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자기효능감은 취업전략의 하위유형인 취업계획, 정보탐색, 경력개발, 관리행동, 적극적 행동과는 정적 상관을 보이고 있다. 대학생활만족은 취업전략의 하유유형인 취업계획, 정보탐색, 경력개발, 관리행동, 적극적 행동과는 정적 상관을 보이고 있다. 변혁적 리더십과 취업전략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변혁적 리더십의 하위유형인 개별적 고려는 취업전략의 하위유형인 관리행동과 적극적행동에 유의한 상관을 보이고 있지 않았고 개별적 고려는 취업전략의 하위유형 전체에 유의한 상관을 보이고 있지 않았다. 이것을 제외한 그 외 변혁적 리더십 하위유형은 취업전략에 정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취업전략에 대한 인구사회학적 변인, 자기효능감, 대학생활만족도, 변혁적 리더십과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봤을 때 취업전략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은 자기효능감, 대학생활만족도, 동기부여, 성별, 지적자극, 개별적 고려와 유이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상으로 본 연구 통해 대학생의 변혁적 리더십 수준이 취업전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만 자기 효능감과 대학생활만족도가 취업전략에 더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혀냈다. 이는 대학생이 실제로 변혁적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가 드물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으로 추정이 된다. 변혁적 리더십은 개인보다는 조직에서 필요한 영향력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대학교 교육에서는 변혁적 리더십 보다는 셀프 리더십으로 초점이 맞춰져 학생들이 접할 기회가 없기 때문이다. 변혁적 리더십을 개인에 초점을 맞추면 자신의 목표와 비전이 잘 성취될 수 있도록 관계면에서 이끌어 간다면 긍정적 역할에 충분히 반영된다고 생각한다. 그렇게 된다면 대학생 시기에 교육을 통해 학업과 취업에 대한 전략을 더 효율적으로 세워 새로운 시대에 자기 영향력을 잘 발휘하면서 성숙한 성인으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College students in South Korea have high psychological pressure of employment in the age of limitless competition according to rapid social chang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understand the general level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employment strategy of college students, and to identify the level of self-efficacy, college life satisfaction, and employment strategy, then to verify how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elf-efficacy, and college life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affect employment strategy. Detailed study problem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would the general level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elf-efficacy, college life satisfaction, and employment strategy of college students be like? Second, is there a differenc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elf-efficacy, college life satisfaction, and employment strategy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variables of college students? Third, is there a correlation among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elf=efficacy, college life satisfaction, and employment strategy of college students? Fourth, what would the effect of sociodemographic variables, self-efficacy, college life satisfaction,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employment strategy be like? Study objects to carry out these study problems are 197 college students in Jeollanam-do. Questionnaires were handed out to them and were collected, so were used as final analysis materials. SPSS WIN 19.0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for data processing of the study, and frequency, percentage, arithmetic mean, standard deviation, reliability coefficient, and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calculated. T-test, one-way ANOVA, Scheffe's post test, and phas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fulfilled. The gist of study results is as follows. First, if the general level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elf-efficacy, college life satisfaction, and employment strategy of college students is examined, self-efficacy has the highest level, and it is high in the order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employment strategy. College life satisfaction has the lowest level. If sub-area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re examined, individual consideration is the highest, and charisma is the lowest. If the level of employment strategy is examined by sub-areas, employment plan is the highest, and it is unripe in career development, administrative behavior, and active behavior. Second, if a differenc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elf-efficacy, college life satisfaction, and employment strategy is examined depending on sociodemographic variables of college student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gender. On grade,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harisma, intellectual stimulus, and individual consideration' and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motivation.' In addition, a psychological variable of college students h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gender and shows a significant difference on grade. In employment strategy, career development and administrative behavior of sub-areas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on gender, and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mployment plan, information search, and active behavior. Employment strategy on grade does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self-efficacy show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charisma, motivation, and intellectual stimulus that are sub-type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ut does not show a relationship with individual consideration. College life satisfaction show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charisma and motivation that are sub-type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ut does not show a relationship with intellectual stimulus and individual consideration. If a correlation among self-efficacy, college life satisfaction, and employment strategy is examined, self-efficacy show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employment plan, information search, career development, administrative behavior, and active behavior that are sub-types of employment strategy. College life satisfaction show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employment plan, information search, career development, administrative behavior, active behavior that are sub-types of employment strategy. If a correlation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employment strategy is examined, individual consideration that is a sub-typ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does not show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administrative behavior and active behavior that are sub-types of employment strategy, and does not have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whole sub-types of employment strategy. Except for this, other sub-type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how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employment strategy. Fourth, when relative influence of sociodemographic variables, self-efficacy, college life satisfaction,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employment strategy is examined, it is verified that self-efficacy, college life satisfaction, motivation, gender, intellectual stimulus, and individual consideration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employment strategy. The study determined that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level of college student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employment strategy but self-efficacy and college life satisfaction have a more significant effect on employment strategy. It is presumed that this phenomenon is showed because an opportunity that college students really show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s rare. Because it is thought tha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s influence needed to organization rather than individual, college education does not focus o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ut focuses on self-leadership so there is no opportunity that students learn. I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focuses on individual and is led in a relationship to achieve own goal and vision well, it is fully reflected in a positive role. If so, in a new era, college students can grow into mature adults, showing their influence well, by establishing a strategy of study and employment more efficiently through education while in college.

      • 지방대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대학생활만족도, 스트레스지각 및 스트레스대처방식 간의 관계

        황윤경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지방대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대학생활만족도, 스트레스지각 및 스트레스대처방식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연구의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남지역에 소재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8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된 648부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SPSS Statistics 2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Pearson상관관계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 회귀분석 등으로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알 수 있었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기효능감, 대학생활만족도, 스트레스지각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스트레스대처방식에서의 차이는 없었다. 자기효능감차이 분석결과는 성별, 전공계열별, 학업성적, 대학입학결정시 영향을 준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성별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은 수준이었으며 전공계열별에서는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선행 연구결과들과는 상반되게 나타났다. 학업성적은 성적이 높은 학생보다 신입생이 자기효능감이 높게 나타났고, 대학입학결정시 영향을 준 요인 중 「스스로」가 가장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대학생활만족도 분석결과는 학년별, 학업성적, 전공 선택 동기, 휴학에 대한 경험(생각)여부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고학년보다 저학년이, 학업성적은 높을수록 대학생활만족도가 높았다. 전공 선택 동기에서는 적성/흥미가 성적보다 높고, 휴학에 대한 경험(생각)여부에서는 「없다」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스트레스지각 차이 분석결과는 학업성적, 휴학에 대한 경험(생각)여부, 가정의 경제적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학업성적이 높은 학생들보다 낮은 학생들이 생활스트레스가 높았다. 휴학에 대한 경험(생각)여부는 「있다」가 「없다」보다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가정의 경제적 수준에서는 가정생활이 어려울수록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대처방식의 차이에서는 일반적인 특성 모두 차이가 없었다. 둘째, 자기효능감, 대학생활만족도, 스트레스지각 및 스트레스대처방식 간의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자기효능감은 대학생활만족도와 스트레스대처방식에서 정적상관관계, 자기효능감과 스트레스지각에서는 부적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대학생활만족도에서는 스트레스지각과 유의한 부적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자기효능감에 따라 미치는 영향의 정도는 스트레스지각(부정적인 영향), 대학생활만족도(정적인 영향), 스트레스 대처방식(정적인 영향)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자기효능감이 높아질수록 스트레스지각은 낮아지고 대학생활만족도와 스트레스대처방식이 높아진다는 결과이다. 그러므로 개인이 느끼는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만족도와 스트레스를 지각하고 스트레스 상황에 대처함에 있어 상호성을 가진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학생들의 정신건강과 보다나은 대학생활을 위하여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 여가활동에 참여하는 중국유학생의 대학생활적응, 대학생활만족도, 삶의 질 및 자아실현에 관한 연구

        왕녕 신한대학교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727

        This study will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adjustment, college satisfaction, quality of life, and self-actualization among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Research Hypothesi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leisure activity participation type and leisure activity participation characteristics on college adjustment and college satisfaction.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collected data to find out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reliability test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 To check the normality of the variables, skewness and kurtosis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using SPSS, and pe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iscrete-valued correlation between the four variables of college adjustment, quality of life, self-actualization, and college satisfaction.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A t-test was conducted to examine university environmental adaptation,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quality of life, and self-realization according to gender.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grade, age, and time spent in Korea on the four factors.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were: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has a positive effect on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and quality of life have a positive effect on self-actualization,'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differs depending on the type of leisure activity participation,'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differs depending on the frequency, time, and duration of leisure activity participation,' 'Grade/Gender,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university environmental adjustment,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quality of life, and self-actualization according to grade/gender and time of residence in Korea'. Improving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life, and quality of life can enhance their self-actualization. 본 연구는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대학생활 적응, 대학생활만족도, 삶의 질, 자아실현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여가활동에 따라 중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이 대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차이 점을 검증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대상으로 빈도분석을 실시하여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파악하고, 신뢰도 검사와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설문지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습니다. 대학적응, 삶의 질, 자아실현, 대학만족의 네 가지 변인 간의 이산값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공적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의 인과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성별에 따른 대학 환경 적응, 대학 생활 만족도, 삶의 질, 자아실현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정을 실시하였다. 학년, 연령, 한국 거주 기간이 네 가지 요인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점을 알아보기 위해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항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국유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은 대학생활만족도, 삶의 질에게 정(+)의 영향을 미친다’ ‘중국유학생의 대학생활만족도와 삶의 질은 자아실현에게 정(+)의 영향을 미친다’ ‘여가활동 참여 유형은 중국유학생의 대학생활적응과 대학생활만족도에서 조절효과가 있다’ ‘여가활동 참여 특셩(빈도/시간/기간)은 중국유학생의 대학생활적응과 삶의 질 사이에서 조절효과가 있다’ ‘학년에 따라 대학생활적응, 대학생활만족에 대한 유의한 차이가 있다’ ‘연령에 따라 네 변수에 대한 유의한 차이가 없다’ ‘성별에 따라 대학생활적응, 대학생활만족도에 대한 유의한 차이가 있다’‘한국에서 거주 시간에 따라 네 변수에 대한 유의한 차이가 있다’.

      • 대학생의 동아리활동과 사회적지지, 학업적응도 및 대학생활만족도와의 관계연구

        조성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727

        고등교육의 목적은 전인적인 인간의 양성에 있다. 다양한 동아리활동의 경험은 학과공부와 통합되어 대학생의 심리적 발달을 돕고, 대학생활의 적응력과 만족을 높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 연구는 동아리활동 경험에 따라 대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지지 및 학업적응도와 대학생활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각각에 영향을 미치는 동아리활동 요인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이 연구에서 알아보고자 하는 구체적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첫째, 동아리활동 경험에 따라 대학생들의 사회적지지에는 차이가 있는가?둘째, 동아리활동 경험에 따라 대학생들의 학업적응도에는 차이가 있는가?셋째, 동아리활동 경험에 따라 대학생들의 대학생활만족도에는 차이가 있는가?넷째, 동아리활동 특성은 대학생들의 사회적지지와 학업적응도, 대학생활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동아리활동 경험에 따른 대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지지 및 학업적응도와 대학생활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서울 지역의 4년제 Y 대학교, G 대학교, S 대학교 학부생 330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동아리활동 질문지와 사회적지지, 학업적응도, 대학생활만족도 척도였고, 자료분석은 SPSS 12.0K를 사용하여 분산분석과 다변량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동아리활동 경험에 따른 사회적지지 및 학업적응도와 대학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동아리활동 경험에 따른 사회적지지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둘째, 동아리활동 경험에 따른 학업적응도와 대학생활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대학생들의 대학생활만족도만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셋째, 사회적지지에 영향을 미치는 동아리활동 특성에 대해 분석한 결과, 동아리 활동 경험이 있는 대학생들의 경우 그들이 속한 동아리내용과 역할이 사회적지지에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넷째, 대학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동아리활동 특성에 대해 분석한 결과, 동아리활동 경험이 있는 대학생들의 경우 대학생활만족도에는 현재 동아리에 가입하여 활동을 하는가가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대학생의 동아리활동과 사회적지지, 학업적응도 및 대학생활만족도와의 관계에 관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첫째, 동아리활동을 하고 있는 대학생들이 지각한 사회적지지는 동아리 경험이 있었거나 전혀 없는 대학생들보다 높다.둘째, 동아리활동을 하고 있는 대학생들의 대학생활만족도는 동아리 경험이 있었거나 전혀 없는 대학생들보다 높다.셋째, 동아리 중에는 학습관련 동아리가 사회적지지를 지각하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며, 동아리에서 임원을 맡아본 경험이 있는 대학생일수록 그들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높다.넷째, 동아리의 가입여부는 대학생들의 대학생활만족도를 설명하는데 중요한 요인이 된다. 특히, 현재 동아리에 소속되어 있는 대학생일수록 대학생활만족도가 높다.이를 종합하여 살펴볼 때, 동아리활동 경험은 대학생들의 사회적지지와 대학생활만족도를 높이는데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다.

      • 대학생의 진로적응력,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전공관련성, 대학생활만족도, 사회적 후원이 진로준비에 미치는 영향 : 진로탐색활동과 진로결정과정 다변인다중회귀분석

        김동성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727

        University life is a transitional period before entering society, where students engage in academic pursuits and prepare for their careers before obtaining a job. During this transitional phase, it is crucial for university students to prepare not only for their academic studies but also for their career paths and employment. Research has shown that the way students prepare for their careers during university life can greatly influence their success in career decisions and employment after completing their studies. While there have been numerous empirical studies on career preparation, integrated and comprehensive research on the key factors of career exploration behavior and career decision making processes has been scarc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career exploration behavior and career decision making processes, which are the core factors of career preparation, by integrating and analyzing them with multiple dimensions, incorporating variables such as career adaptability,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major relevance, and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as an independent variable set. The purpose of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the independent variable set has predictive power for the dependent variable set of career preparation and to identify which independent variables have a significant impac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aimed to provide suggestions for support or guidance that should be emphasized in university life to prepare for career decisions and employment. The study collected data from 514 students in grades 1 to 4 at K-university, located in Seoul, Korea. Descriptive statistics, including means, standard deviations, frequencies, and percentages, as well as correlation analysis, factor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variat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Windows SAS 9.4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The key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total survey participants (N=514), approximately 70% were found to have not made a career decision. Although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 academic years, this generally indicates that students face difficulties in determining their career paths or preparing for employment. It suggests the need for systematic career and employment guidance and support. Second, the most significant factor in making career decisions was found to be the school, with about one-third of the participants acquiring information and data within the school. Factors such as aptitude or interest, salary, and working environment were identified as important considerations in making career and employment decisions. Factors such as guaranteed retirement benefits or stable job positions were ranked lower in career and employment decisions. Third, career adaptability was found to be composed of career concern, career control, career confidence, and career curiosity, similar to previous studies (Park et al., 2018; Park et al., 2022; Park et al., 2022), through factor analysis. Fourth, the dependent variable set of career preparation, consisting of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and career decision making processes, was found to be predictable from the independent variable set (career concern, career control, career curiosity, career confidence,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major relevance,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through multivariat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a significant linear regression equation. Therefore, it was revealed that the independent variable set had an overall effect. In particular,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independent variable set was approximately 76%, indicating significant and substantial predictability. Fifth, a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whether the slopes of the regression lines for the dependent variables,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and career decision making processes, were identical, using the independent variable set (career concern, career control, career curiosity, career confidence,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major relevance,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social suppor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lopes were different, indicating that the independent variable set had different influences on the two dependent variables,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and career decision making processes. Sixth, using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as the dependent variable,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with the eight independent variables (career concern, career control, career curiosity, career confidence,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major relevance,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social support) inserted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multiple regression equation was significant,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approximately 70%. In particular,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was identified a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while career confidence and major relevance were found to be non-significant independent variables. Lastly,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eight independent variables to predict the dependent variable set of career decision making processes. The multiple regression equation was significant, but the explanatory power was relatively low at approximately 25% compared to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It was found that career concern, a sub-factor of career adaptability, had the most significant influence, followed by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Taking all the results into consideration, it was revealed that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plays an important role in a university student's career preparation. 대학생활은 사회에 진출하기 앞서 최종적으로 학문을 수행하며, 직업을 갖기 직전의 전환적인(transition)시기이다. 이러한 전환적 시기에 있어 대학생들은 학업뿐만 아닌 자신의 진로 및 취업을 준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이슈라고 할 수 있다. 대학생활 중 진로준비를 어떻게 하는가에 따라 대학생 개인이 학업을 마친 이후 진로와 취업의 성공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러한 진로준비에 관한 실증적인 연구는 많이 있었으나 진로준비의 핵심요인인 진로탐색행동과 진로결정과정에 대해 통합적이고 복합적인 연구는 거의 이뤄지지 못했다. 이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준비와 관련된 진로탐색행동과 진로결정과정 두 개의 하위 종속변인을 하나의 세트(set)로 설정하고, 진로적응력,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전공관련성, 대학생활만족도를 삽입하여 독립변인 세트로 설정한 후 두 세트 간의 관계성을 다변인차원(multivariate dimension)에서 통합적으로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목적은 진로준비 종속변인 세트에 대해 독립변인의 세트가 예측력을 가질 수 있는가를 파악하고, 어떠한 독립변인들이 어느 정도의 영향력을 미치는가 구명하여, 이를 기반으로 진로결정과 취업을 대비한 대학생활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하는 후원 또는 지침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를 위해 수집된 조사대상자는 수도권에 위치한 K대학 1∼4학년 학생들이었으며, 총 514명이 참여하였다. 평균, 표준편차, 빈도, 퍼센트를 포함한 기본 기술통계(descriptive statistics) 분석과 상관분석, 요인분석, 회귀분석 그리고 다변인다중회귀분석(multivariat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이 수행되었으며 분석에 앞서 정규분포성, 변량동질성, 독립성, 영향치와 이상치, 다중공선성 등을 비롯하여 다변인다중회귀분석을 위해 다변인정규분포성 검증이 수행되었다. 분석에 도입된 프로그램은 Windows SAS 9.4이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조사대상자(N=514) 중 약 70%가 진로를 결정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년 간 차이는 있지만 이는 전반적으로 자신의 진로나 취업준비에 어려움을 겪는 것을 의미하며, 체계적인 진로 및 취업지도와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해석된다. 둘째, 진로나 취업을 결정함에 있어 가장 큰 도움을 주는 요인으로는 학교이며, 약 1/3 정도가 학교 안에서 자료나 정보를 획득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진로와 취업을 결정함에 있어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으로 적성이나 흥미, 연봉, 근무환경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정년보장이나 안정적인 일자리는 진로와 취업 결정에 있어 낮은 순위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적응력(career adaptability)는 요인분석결과 다른 선행연구(박성열 외. 2018; 박성열 외. 2022; Park et al., 2022) 와 마찬가지로 하위요인인 진로관심(career concern)과 진로통제(career control), 진로자신감(career confidence), 진로호기심(career curiosity)의 구성(construct)으로 이뤄져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넷째, 종속변인인 진로준비 세트(진로탐색활동, 진로결정과정)는 독립변인 세트(진로관심, 진로통제, 진로호기심, 진로자신감,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전공관련성, 대학생활만족도, 사회적후원)로부터 예측 가능한지 다변인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선형회귀식은 유의하였다. 따라서 독립변인 세트의 전반적인 효과(overall effect)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상기 독립변인 세트의 설명력은 약 76%로 유의성과 더불어 실질적으로 예측의 강도(magnitude)도 의미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종속변인인 진로준비 하위요인의 진로탐색활동과 진로결정과정 각각의 회귀선에 대해 독립변인 세트(진로관심, 진로통제, 진로호기심, 진로자신감,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전공관련성, 대학생활만족도, 사회적후원)가 미치는 영향의 동일성 여부 즉 회귀선의 기울기가 동일한지(identical)를 검증한 결과 기울기(slope)는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두 종속하위요인에 대해 기울기가 다르게 나타난 것은 독립변인의 세트가 두 종속하위요인인 진로탐색활동과 진로결정과정에 다르게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여섯째, 진로탐색활동을 종속변인으로 설정하고 독립변인 세트에 삽입된 8개 변인 (진로관심, 진로통제, 진로호기심, 진로자신감,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전공관련성, 대학생활만족도, 사회적후원)을 독립변인으로 설정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다중회귀식은 유의하고 설명력도 약 70%로 나타났다. 특히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가장 영향력이 큰 변인으로 나타났다. 반면 진로자신감과 전공관련성은 유의성이 없는 독립변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진로결정과정에 대한 상기 8개 독립변인을 이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다중회귀식은 유의하고 설명력은 약 25%로 진로탐색활동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적응력의 하위요인인 진로관심이 가장 영향력이 있는 요인이고, 뒤를 이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크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위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대학생의 진로준비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 대졸자의 대학생활만족도가 일자리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학업성과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지현 충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에서는 대졸자의 대학생활 만족도가 일자리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업성과의 매개효과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연구 문제를 제시하였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변수 간에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 둘째, 대학생활만족도가 일자리의 질에 미치는 직접 효과는 어떠한가? 셋째, 대학생활만족도가 일자리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업성과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조사한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OMS: Graduate Occuptional Mobility Survey)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을 시도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에서 만 40세 미만 대졸자 총 10,914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고, 가중치 데이터를 확인한 결과 총 293,390명이었다. 연구 대상자 일반적 특성은 성별, 연령, 학교 소재지, 직장 소재지, 거주지, 전공계열, 학교유형을 투입하였다. 대학생활만족도를 대학의 시설요인, 지원제도요인, 전공요인으로 구성하였고, 일자리의 질은 임금 및 고용안정 요인과 적성 및 평판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이상의 자료는 5점 리커트 척도로 응답한 결과이다. 한편, 학업성과는 졸업평점으로 4.5점 만점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 데이터 자료를 SPSS 28.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도 분석,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차이분석을 위한 독립표본 t-test와 일원배치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매개효과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기한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변수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대학생활만족도는 일자리의 질에 유의미한 직접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학업성과는 대학생활만족도와 일자리의 질의 관계를 유의미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대학생활 중에 경험하는 다양한 교육과 활동들이 졸업 후 가지는 일자리의 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학업성과를 매개로 하여 유의미한 간접효과를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고등교육기관과 사회가 졸업 후 좋은 일자리를 갖도록 지원하기 위해 대학생들에게 어떠한 학습환경을 조성해야 할지에 대한 방안을 모색하고, 적절한 진로 기회와 경험을 제공하는 것에 대한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This study aims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of academic achievement on the impact of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on the job quality of university graduates. For this purpose, the study set the following specific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differences are there between the variable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econd, what kind of direct effects does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have on job quality? Third, what kind of mediating effects does academic achievement have on the impact of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on job quality? To answer these research questions, the study conducted an analysis with the data of the Graduate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GOMS) by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The analysis used the data of 10,914 university graduates who were under the age of 40 from the data collected. The number increased to a total of 293,390 when weighted data was examin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examined in the study included gender, age, location of university, location of workplace, residence, field of specialization, and type of university.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consisted of university facility, support system, and major factors. Job quality consisted of wage, employment stability, and reputation factors. These materials were based on the 5-point Likert scale responses. Academic achievement was analyzed based on the full 4.5 grade average points. The data of the GOMS results was put into the reliability, frequency,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to analyze differences, while correlation and mediating effect analysis was conduced with the SPSS 28.0 statistical program. The main findings for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variable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econd,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had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job quality. Third, academic achievement ha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on relations between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and job quality.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diverse education programs and activities experienced during university life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quality of jobs that graduates get after graduation and show that academic achievement has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between them. The findings imply a need to search for ways to determine what kind of learning environment should be created for university students and offer them proper career chances and experiences so that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nd society can support them after graduation.

      • 외국인유학생 대학생활만족도의 영향요인 연구

        상경위 인제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726

        본 연구는 한국에서 공부하고 있는 외국인 유학생들의 대학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각 변인에 대한 설명력의 정도를 파악하며, 이를 바탕으로 한국에서 공부하고 있는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찾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대학생활만족도에 대한 개념과 관련이론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고찰하여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학교적 요인, 한국어 숙달수준, 사회적지지, 여가활동참여로 구분하여 연구의 분석틀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연구대상은 경상남도 김해시의 인제대학교에서 공부하고 있는 251명의 외국인 유학생을 전수 조사하였고, 회수된 179부 중 무효응답 1부 배고 178부의 조사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8.0를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 독립표본 T-TEST, 일원분산분석(ANOVA)을 실시한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제대학교에서 공부하고 있는 외국인유학생들의 대학생활만족도가 보통수준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응답자의 개인적 특성을 살펴보면, 여자가 남자보다 10%정도 많았고, 나이는 26세가 가장 많았다. 국적별로는 중국인 유학생이 가장 많았으며, 체류기간은 3년 이상이 가장 많았다. 응답자의 학교적 특성에서는 지난학기 성적이 4.0이상이 67명으로 응답자의 54.9%에 답했으며, 과정별로는 대학원석사과정이 38.8%로 가장 높았으며, 전공분야별로는 인문사회과학대학분야가 71.8%로 가장 많았다. 등록금조달방법은 장학금을 받는 유학생이 89.3%로 상당히 높았다. 생활비부담감의 평균은 4.29이며, 거의 보통수준으로 나타났다. 외국인유학생들의 한국어숙달수준 현황을 살펴보면, 외국인유학생의 한국어실력은 보통수준으로 나타냈다. 사회적 지지는 평균값이 2.97점으로 중앙값 3보다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여가활동 참여는 평균값이 2.23점으로 중앙값 3보다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제대학교에 다니는 외국인유학생의 대학생활만족도는 국적, 생활비부담감, 사회적지지, 여가활동참여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었다. 외국인유학생 대상자의 중국국적을 가지고 있는 학생이 기타국적 가진 학생보다 대학생활만족도가 유의미하게 낮은 것으로 밝혀졌으며, 생활비부담감이 큰 학생, 사회적지지가 낮은 학생, 여가활동을 적게 참여하는 학생의 대학생활만족도가 유의미하게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넷째, 외국인유학생의 대학생활만족도는 사회적 지지수준을 통해 측정하였다. 사회적 지지수준이 높을수록 한국에서 대학생활에 있어서 어려움이 많이 줄이기 때문에 대학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만족도에 가장 중요한 요인은 사회적 지지수준임이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함의와 정책적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인제대학교에 있는 외국인 유학생들의 대학생활만족도 높기 위해 사회적 지지를 높혀야하며, 구체적이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인 유학생회로부터 많은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현재 인제대학교에서 공식적인 외국인 유학생회가 없으며, 외국인 유학생의 사회적지지를 높이기 위해서는 우선 외국인 유학생회를 만들 필요가 있다. 둘째, 외국인 유학생이 한국인 친구를 많이 사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해주어야 한다. 현재 인제대학교에 있는 단체 활동을 보면 각 전공별로 있는 MT와 대외교류처에서 외국인 유학생대상으로 하는 문화탐방이 있다. 그 중 대외교류처에서 하는 문화탐방은 외국인 유학생들만 참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한국인 학생도 같이 참여하여 함께 교류할 수 있는 계기가 되면 좋을 것이다. 셋째, 외국인 유학생이 수업의 발표와 과제에 대해 교수님이나 친구의 도움을 많이 받을 수 있도록 전공튜터링제도를 실시해야한다. 인제대학교 대외교류처에서 하는 튜터링제도가 있다. 이 제도는 외국인 유학생의 학습을 도움을 많이 되었지만 참여하는 팀별로 한국어 학습이 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한국어 학습 뿐 만 아니라 전공 수업 역시 힘든 학생들이 있는데 이들에게는 같은 전공의 멘토와 연결되어 한국어 학습만이 아니라 전공을 함께 공부할 수 있는 전공 튜터링제도가 필요하다. 넷째, 외국인 유학생이 필요한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도록 외국어 외국어 홈페이지를 확대하여야 한다. 한국학생들은 기존 인제대학교 홈페이지 등을 통해 학교생활에 필요한 정보 등을 쉽게 찾을 수 있지만 언어 능력이 부족한 경우 이해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외국인 유학생회 등과 같이 외국인 유학생들이 쉽게 접근 할 수 있고 외국인에게 필요한 정보도 제공되고 그 정보들이 각국의 언어로 제공이 된다면 외국인 유학생들은 필요한 정보를 쉽게 얻고 학교에 적응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