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생들의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 연구

        정희윤 인제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장기기증에 대한 인식, 장기기증과 관련된 특성,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를 파악함으로서 장기기증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 활성화에 필요한 홍보, 교육 및 정책에 대한 기초 자료 제공에 있다. 뇌사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뇌의 기능이 비가역적으로 손상을 받고 인공호흡기로 생명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뇌사의 경우 뇌는 기능을 할 수 없으나 심기능은 유지되고 폐기능은 인공호흡기로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장기기증이 가능하다. 서양의 대다수 나라에서는 뇌사자 장기기증에 의한 이식이 대부분을 차지하나 현재 한국은 대부분 생체 기증자이식에 의해 행해지고 있다. 현재 국내 이식 대기자 현황은 이식 대기자에 비해 뇌사 기증자의 절대적 부족으로 많은 수의 환자들이 치료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래서 본 연구는 김해지역 3개의 대학 재학생들 상대로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를 분석하고자 235명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2014년 9월부터 2015년 3월까지 시행되었으며 총 47문항으로 학년별, 성별 등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 t-test, ANOVA 와 Pearson Correlation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 腦死와 臟器移植의 法理에 관한 硏究

        金安女 全北大學校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Many People have been strove to maintain human life eternally since human history. However, on account of the development of nowadays' mechanical enlightenment, sudden deaths frequently occur accident unexpectedly. Although they lead to death, the concept of death become much variation due to developments of medical practice or scientific technique-the brain death come to the fore. The brain death is the status : Artificially maintains life restoration, Concentrate ones thought, even ones respiration expires into comma, by the medical cure for the breath, nutrition and for the evacuation. Life means organized and unified body that the assertion to the brain death as living soul is not real life opinion spread widely even partly ones organ functions, because of all the unified organs lose their roles since for some 30-years. Up until Oct. 31, 2002, almost over ten-thousand people in our country who want eagerly others organs whose lives are in the brain death, in order to prolong their lives by transplantation, however, available organs for the transplantation are always insufficient. In this regard, in order to attain fresh organs successfully, the law of the brain death will be approved by this Government advocated mainly by the medical circle in our country to transplanting organs. The issue of the transplantation of the organs importantly dealt. The transplantation of the organ means surgical treatment in order to cure patients transplanting extracted tissue or organs that have extracted from human organ or that of animal alive or dead body. It has classified according to where the organs are obtained-self-transplantation, family transplantation, different kind transplantation. The organ transplantation has originated from skin transplantation and has developed when the immunized system has clarified medically and so called cyclospoline, a medicine of inhibitive action for rejection symptoms has made. The surgical operations such as for kidney, heart, liver and pancreas transplantation have been developed, however, the problems of donating organs, conservation of them and after the operation of transplantation of the organs are remained still. Awaiting numbers for the organic transplantation as of October, 2002, they are 10,017, that of aliving numbers are 1,369, and that of the brain deaths (include the cornea) are 129, and the cornea transplantation numbered 81 from the deads. It has been well known everywhere on the problems of lawful to the organ transplantation or the brain death, however, when we observe the enforced legislative bill, the brain death might be acknowledged unless breaking the heart-attack principle, the extracting organs from the brain deaths make lawful on which medical circle manages by free will now. Thus, we observe the facets of medical, social, and of humanity. We can take first uncertainty of doctor's decision. Advocators on the brain death assert it on two facets. One is meaningless treatment to the brain death, adding financial and spiritual pains to their family, whose lives are likely dead ; the other problem is arose moral to our medical science and doctors. The existens of medical science and its purpose is for the human : to help the painful ones, patients, and dying ones. The selling and buying organs are the on the first topic to say regarding social aspect. It is the very issues on the matter of the brain death and the transplantation of the organs. Therefore punishment regulations are advanced, notice to the legislative rule in this time. The improvement measures to the transplantation of organs and the brain death for their legalization are : 1. They must have from the motivation of love. 2. They must keep righteousness both to the donator and receiver. After getting to know all of the information, donator's consent shall be induceand the donating act gains inner value to the absolute condition. The designation of the brain death is not to transfer into it from all the heart-death but it aims at the recognization of the brain death, because the case is only one percent of the brain death in all of the death decision. All of the problem around the brain death and the organ transplantation have been arose by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respiration and the remarkable medical technique. Of cause all of the background of the brain death and the organ transplantation are not only on the development of medical technique but also absolutely great issue harboring by human from long ancient and still on the stake. Therefore, the brain death and organ transplantation are not only of the issue for medical science and law but also for the religion, for the society, philosophy, and for the culture that they should be recognized and be researched.

      • 뇌사자 간이식술과 생체 부분간이식술 이후 발생한 담도계 합병증에 관한 비교

        김태협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목적: 간 이식 수술 후 담도계 합병증은 비교적 흔하면서 이식 간과 환자의 생존율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담도계 합병증을 보고한 산발적인 연구들에 따르면 뇌사자 간이식술은 8~30%, 생체 부분간이식술은 대부분 연구가 성인과 소아를 포함한 것이지만 6~23%로 빈도를 보고하였다. 그러나 뇌사자 간이식술과 생체 부분간이식술의 직접적인 담도계 합병증 비교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인데, 이에 비교적 많은 수의 사체, 생체 이식술이 시행되는 단일센터에서의 각 이식술에 따른 담도계 합병증을 조사하여 그 특성을 비교해 보고자 한다. 방법: 1992년 10월부터 2006년 3월까지 서울아산병원에서 시행된 간이식 수술 1198예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수술 예들에서 사체, 생체 간이식술 종류와 담도계 합병증(담도 협착, 담즙 유출, 담도담석)의 빈도를 조사한 후, 합병증이 발생한 수술 예들에서의 담도 문합방법, 합병증 발생 때까지의 기간과 치료법, 경유두적인 접근을 하였을 때의 일차적인 치료 성공률을 비교하였다. 결과: 총 1,198예의 수술 중 161예에서 뇌사자 간이식술, 1,037예에서 생체 부분간이식술이 시행되었다. 이 중 374예(31.3%)에서 담도계 합병증이 발생하였는데, 뇌사자 간이식술은 15예(9.3%- 담도협착;12, 담즙누출;3, 담도담석;6, 6예는 2개의 합병증이 나타났다.), 생체 부분간이식술은 359예(34.6%- 담도협착;330, 담즙누출;40, 담도담석;30, 41예는 2개의 합병증이 나타났다.)로 생체 부분간이식술에서 합병증이 의미있게 많았다(p<0.001). 합병증이 발생한 예들에서 담도 문합방법은, 담도-담도 문합과 담도-장 문합이 뇌사자 간이식술은 각각 15, 0예이었고, 생체 부분간이식술은 각각 299, 140예(80예는 담도-담도와 담도-장 문합이 동시에 이루어졌다.)이었다. 뇌사자 간이식술은 수술 후 중앙값 33주째, 생체 부분간이식술은 중앙값 17주째에 합병증이 나타났으나 통계학적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89). 뇌사자 간이식술 11예, 생체 부분간이식술 178예에서 합병증 치료를 위한 첫 시도로서 경유두적인 접근법이 선택되었고 일차적인 치료 성공율은 뇌사자 간이식술에서 9예(81.8%) 생체 부분간이식술에서 53예(29.8%)로 뇌사자 간이식술에서 성공율이 의미 있게 높았다(p=0.001). 결론: 간 이식수술 후 담도계 합병증 발생은 뇌사자 간이식술에 비해 생체 부분간이식술에서 더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합병증의 종류에 있어서는 담즙누출, 담도담석은 생체 부분간이식술과 뇌사자 간이식술에서 발생빈도의 차이가 없었으나 담도협착은 생체 부분간이식술에서 의미있게 높았다. 또한, 담도계 합병증을 내시경적으로 치료하는데 있어서는 생체 부분간이식술의 담도계 합병증이 뇌사자 간이식술의 경우보다 더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Background The biliary complications (BC) after liver transplantation (LT) are common and affect the outcome of grafts and mortality of patients. According to scattered studies, the incidence of BC was 8~30% in cadaveric donor liver transplantation (CDLT) and 6~32% in living donor liver transplantation (LDLT), though studies of LDLT included adult and child. However, the direct comparison of BC among adults was rare, so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BC after CDLT and LDLT in one center that many cases of LT has been performed. Methods We investigated 1,198 cases of LT that were performed from Oct. 1992 to Mar. 2006 in Asan Medical Center, Korea, retrospectively. After cases were divided into CDLT and LDLT, we compared the two groups in the incidence of BC (biliary stricture, bile leak, biliary stone), the method of biliary anastomosis, period of LT through occurrence of BC, the treatment for BC, and the primary endoscopic success rate of transpapillary approach. Results In 1,198 cases, 161 CDLT and 1,037 LDLT were performed and BC was developed in 374 cases (31.3%). To be concrete, there were 15 BC (9.3%-biliary stricture;12, bile leak;3, biliary stone;6, 6 cases had 2 complications) after CDLT and 359 BC (34.6%-biliary stricture;330, bile leak;40, biliary stone;30, 41 cases had 2 complications) after LDLT; BC after LDLT were more significantly frequent (p<0.001). In the aspect of biliary anastomosis within BC cases, all 15 cases of CDLT performed duct to duct anastomosis (DD) while 299 cases of LDLT performed DD and 140 cases of LDLT performed hepaticojejunostomy (HJ) (80 cases were performed DD and HJ simultaneously). The median period of LT through occurrence of BC was 33 weeks in CDLT and 17 weeks in LDLT.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89). For the treatment of BC, transpapillary approach was chosen in 11 CDLT and 178 LDLT case. The primary endoscopic success rate after CDL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after LDLT (81.8%-9 cases vs. 30.9%-55 cases, p=0.001).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BC after LDLT was higher than that after CDLT. The incidence of bile leak and biliary stone did not show any difference between CDLT and LDLT, however, biliary stricture was more significantly more frequent after LDLT. This study also showed that the treatment of BC after LDLT was more difficult, in the aspect of endoscopic management.

      •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의과대학생의 지식과 태도 연구

        이진아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앞으로 의료인이 되어 다음 세대의 뇌사자 장기기증 및 장기이식과 관련된 건강 전문가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게 될 의과대학생들의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조사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로 뇌사자 장기기증의 활성화를 위한 전략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국에 소재한 41개 의과대학 소속 학생들 중 임상실습과정을 모두 마친 본과 4학년 학생 723명이었으며, 연구도구는 대상자의 특성을 묻는 11문항,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을 묻는 16문항,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를 묻는 16문항을 포함한 총 43문항으로 구성하여 우편으로 배포하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07년 10월 4일부터 11월 7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를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 t-test, ANOVA(F-test)로 분석하였고, 관련요인분석은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를 실시하였다.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1) 의과대학생들의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 점수는 16점 만점에 평균 8.11±2.4점으로 58%의 정답률을 보였다. 대상자의 80%이상이 정답을 맞힌 문항은 1개로 ‘장기기증 및 장기이식 대기자에 대한 모든 정보는 국가(국립장기이식관리센터)에서 통합 관리한다(81%)’이었으며 정답률이 20%이하로 낮은 문항은 ‘뇌사 장기기증자의 장례비는 장기이식자가 부담한다(19%)’와 ‘잠재뇌사자를 진단한 담당의사는 국립장기이식관리센터에 신고하여야 한다(11%)’이었다.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을 범주별로 구분했을 경우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의학적 지식은 3점 만점에 1.5±0.79점, 법률적 지식은 9점 만점에 5.0±1.79점, 뇌사판정절차에 대한 지식은 4점 만점에 1.7±0.89점 이었다.2) 의과대학생들의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 점수는 5점 만점에 평균 3.40±0.49점으로 중간 정도로 나타났으며 대체로 긍정적인 태도로 나타났다. 대상자들은 ‘내가 만약 장기를 기증한다면 타인에게 선을 행한 것이다(91%)’와 ‘나는 뇌사자의 장기기증 및 이식이 의학적으로 바람직한 수술이라고 생각한다(86%)’ 문항에 대해 80%이상 긍정적으로 생각하였고, ‘사람의 죽음을 사람이 판단하는 것은 실수의 여지가 있다(73%)’, ‘환자의 가족이 기증요청을 받는다면 의료진에게 적대적인 감정을 표현할 것이다(53%)’순으로 50%이상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다.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 및 태도 정도는 성별, 의과대학병원의 권역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뇌사자 장기기증 관련 특성에 따른 지식 정도는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정보 획득 경로, 본인의 장기기증 희망 여부, 장기기증 희망카드 소지 여부에 따라 차이를 보였고, 태도에 있어서는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정보 획득 경로, 본인의 장기기증 희망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4) 대상자 특성에 따른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지식에 대한 요인으로 의과대학병원의 권역별 특성과 뇌사관련 정보 획득 경로 특성(전문적 경로)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태도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의과대학병원의 권역별 특성과 본인의 장기기증 희망 여부,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범주별 지식 특성 중 의학적 지식과 뇌사판정절차에 대한 지식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5) 대상자의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과 태도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못한 반면(r=0.055, p=0.142), 범주별 지식에 있어서 의학적 지식(r=0.135, p=0.001)과 뇌사판정절차에 대한 지식(r=-0.075, p=0.043)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결론적으로 의과대학생들의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정확한 지식은 대체로 낮은 비율로 조사되어 이에 대한 정확한 지식전달을 위한 교육과 홍보가 필요하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는 학과특성을 고려하여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정보 획득의 경로를 전문적 경로인 의대교육과정에 관련교육내용 보충, 실습 프로그램 마련 등이 효과적일 것으로 예측 된다. 또한 이러한 과정을 통해 미래의 의료인인 의과대학생들이 뇌사자 장기기증의 필요성과 과정, 역할을 이해하고 개인적인 신념을 확고히 하며 나아가 장기기증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고취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를 통해 장기기증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was intended to study on the knowledge and attitude of the medical students towards the organ donation in brain death, who will be in charge of organ donation and transplantation as health specialists in the future. It was descriptive survey research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strategy to activate organ donation in brain death. In the study, the data had been collected from 723 medical students who have finished clinical practice courses in 41 medical schools in Korea. The method of the study was the questionnaires consisting of 43 questions including 11 questions of general features, 16 questions of the knowledge about organ donation in brain death and 16 questions of the attitude to the organ donation. The data was collected from the 4th of October in 2007 to the 7th of November in 2007.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for the frequency, percentage, t-test and ANOVA(F-test) by SAS program, for relating factor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for correlation by Pearson Correlation.The results were as follows1) The score of the knowledge of medical students about organ donation in brain death was on the average 8.11±2.4 of 16, that is, 58%. The item that over 80% of respondents chose the right answer was the only one question, that is, ‘The government(KONOS; Korean Network for Organ Sharing) should manage organ donation and all the information of recipients for transplantation(81%)’, and the items below 20% were that ‘Recipients should pay all the money for donor's funeral service(19%)’ and ‘The doctor diagnosed potential brain death should report to Korean Network for Organ Sharing(11%)’. When the researcher classified the subjects' knowledge about organ donation in brain death, the results showed 1.5±0.79 of 3 in medical knowledge, 5.±1.79 of 9 in legal knowledge and 1.7±0.89 of 4 in decision processing of brain death.2) In the analysis of attitude of medical students to the organ donation in brain death, the average score was 3.40±0.49 of 5, which seemed they were relatively optimistic. Over 80% of respondents answered positively in two questions, those are, ‘If I donated organs, I would do good to other people(91%)’ and ‘I agree the organ donation in brain death and transplantation are desirable medical treatments(86%)’, In contrary, it showed that over 50% had a pessimistic attitude to two questions, which are, ‘There might be a mistake to make a determination of person's death by human beings(73%)’ and ‘If family were requested organ donation, they would express their hostility to the medical staff(53%)’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knowledge and attitude to the organ donation in brain death in gender and the location of university hospital. Another difference was caused by the ways to gain the information of it, and whether one accepts to organ donation or have the donor card or not. In the case of attitude, there were notabl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ways to obtain information of the organ donation and whether one accepts organ donation.4) In the analysis of the knowledge of general features, the important factors were confirmed statistically by the location of university hospital and the way to get the information for organ donation. And in the attitude, the medical knowledge and the progress of brain death were more meaningful among other factors statistically.5) The correlation between the knowledge and attitude of respondents about organ donation in brain death was not valuable statistically(r=0.055, p=0.142), on the other hand, in the medical knowledge(r=0.135, p=0.001) and the knowledge about progress of brain death(r=-0.075, p=0.043), were valuable statistically.In conclusion, this research showed that the knowledge of medical students about organ donation in brain death was pretty low. That is why education and public relations were needed for improving their knowledge. For the strategy, they should be added to the medical college curriculum and clinical practice program about organ donation. In addition, medical students would recognize the importance, progress and the role of organ donation in brain death through this program. Eventually, they would have positive attitude about the organ donation and contribute to expand it.

      •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간호사의 지식과 태도

        김상희 고신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현대 의학의 발달은 어떠한 치료로도 소행할 수 없는 장기부전으로 인한 말기환자들에게 장기이식을 실시함으로 생명을 연장하게 하였다. 특히 뇌사상태에서 정상적인 기능을 보유한 장기를 기증하여 생명의 위협 속에 있는 환자에게 새로운 생명을 구할 수 있다는 것이 뇌사자 장기기증의 참 뜻이다. 그런데 우리 나라의 경우 유교사상의 영향으로 장기기증을 꺼리는 등 부정적인 태도를 지니고 있어서 뇌사상태에서만 장기이식이 가능한 심장, 폐, 췌장 등의 경우는 뇌사자 장기기증을 기다리다가 환자가 사망하는 경우가 많아, 뇌사자 장기기증의 증가를 위하여 잠재 뇌사자를 조기에 파악하여 장기기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환자를 직접 간호하는 간호사의 역할이 상당히 중요하다. 따라서 간호사를 대상으로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조사하여 뇌사자 장기기증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 뇌사자 장기기증 활성화를 위한 방법을 모색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B 광역시에 위치하고 있는 3개의 대학병원과 4개의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198명이었다. 자료수집기간은 2001년 7월 1일부터 8월 1일까지이었으며, 자료수집 방법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자료는 300부를 배부하여 그 중 198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도구는 대상자의 제 특성 18문항,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 17문항,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 45문항 등 총 8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중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정도의 측정도구로는 정(2001)이 사용한 뇌사에 대한 지식 측정도구와 주(1995)가 사용한 뇌사와 기증에 대한 지식측정도구를 기초로 구성한 것이고,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정도 측정도구로는 주(1995)가 사용한 장기기증과 뇌사에 대한 태도 측정도구와 하(2001)가 사용한 도구를 기초로 구성한 것으로 긍정적 태도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 .881, 부정적 태도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 .664이었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PC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평균평점 및 표준편차, t-test, ANOVA와 Scheffe test 및 Factor Analysis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정도는 ‘암세포에 침범된 장기나 전염성 병균에 감염된 장기는 기증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아는 경우가 94.9%로 가장 높았고, ‘뇌사판정 업무는 뇌사판정 기관의 요건을 갖추어야 한다’는 것을 아는 경우가 21.7%로 가장 낮았다. 2) 대상자의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긍정적 태도정도는 총 평균평점이 3.753점, 표준편자 3.398(최소 1점, 최고 5점)로 중간 정도로 나타났다. 각 요인별 긍정적 태도정도는 ‘학교교육과정에 포함’요인이 가장 높았고(4.150±0.539), 긍정적 태도정도가 가장 낮은 요인은 ‘뇌사시 장기기증 의사’요인(3.274±0.561)이었다. 그리고 대상자의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부정적 태도정도는 총 평균평점이 2.915점, 표준편자 0.472(최소 1점, 최고 5점)로 중간 정도로 나타났다. 각 요인별 긍정적 태도정도는 ‘장기기증 권유의 부담’요인이(3.512 0.584) 가장 높았고, 부정적 태도정도가 가장 낮은 요인은 ‘종교와 생명의 존엄성에 위배’요인(2.503±0.635)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제 특성에 따른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긍정적 태도정도는 근무처(t=2.303, p=0.022), 평균 가동병상수(F=4.051, p=0.019), 근무병동(F=4.012, p=0.008), 근무병원의 장기이식 시행여부(t=2.077, p=0.039)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대상자의 제 특성에 따른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부정적 태도는 근무처(t=3.190, p=0.002)와 평균 가동병상수(F=4.859, p=0.009) 및 근무병원의 장기이식 시행여부(t=2.488, p=0.014)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대상자의 뇌사자 장기기증의 지식정도에 따른 긍정적 태도정도는 뇌사자의 장기를 떼어내는 것을 법적으로 인정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는 경우(p=0.014), 가장 이상적인 장기기증자는 두부손상으로 뇌사상태에 있는 20대 성인이라는 것을 알고 있는 경우(p=0.034)에서 높았고, 부정적 태도에는 뇌사자의 장기를 떼어내는 것을 법적으로 인정하고 있다는 것을 모르는 경우(p=0.050)에서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간호사의 태도정도는 중간 정도로 나타나 비교적 긍정적이었다. 따라서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이해와 인식을 높이고, 수용적인 태도 전환을 위해 간호사 교육과정에 이에 대한 교육내용이 포함되어야 하며, 뇌사와 장기기증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으로 뇌사자 장기기증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 뇌사자 장기기증 활성화를 위한 끊임없는 대국민 홍보가 필요하다고 본다. 중심단어 : 뇌사자 장기기증,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 Development of medical science such as modern diagnostic procedure, drugs, operative methods, artificial medical devices and nursing science has prolonged so much of human's life span. Korea has official acknowledged the brain death through the law of human organ transplantation and donation since February 9th, 2000 and legalized the organ extraction from the brain dead person. Notwithstanding the positive prospect for more organ donation, numbers of donors from the brain-dead are going decrease than before the legalization of brain death, so many a terminal organ failure patients is waiting for organ donors, Many people who concerned this be done such as medical doctors, biomedical scientists, nurses, patients and families. Nurses especially confront many patients/families who try to help them. There are too many waiting organ recipients but too less organ donators is one of basic problems in organ transplantation in Korea. For increasing of organ donation in brain dead donors, the potentially brain dead donors grasps things quickly, has to be achieved organ donation. For a solution of the problem, the role of nurses who cares of patient directly is very important. Therefore as investigation of nurse's knowledge and attitudes on organ donation in brain dead donors, to try to find the method solving of the problems, this study attempt.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were the 198 nurses of university hospital and general hospital in B city an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1st July, 2001 to the 1st August, 2001. the data. The inquiry used for the research was modified for nurses from three previous ones, Chung Young-Soon's(2001), Park, Bong-Im's(2001), and Ha, Hee-Sun's(2001). It consists of 80 items questionnaires with general characteristics items 18, measuring knowledge of organ donation in brain dead donors 17 items, and attitudes of organ donation in brain dead donors 45 items. The measuring and the assessment of the results has been analyzed with SPSS/PC program by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mean point, t-test, ANOVA, Scheffe test and Factor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ers : 1) The knowledge among the nurses about organ donation in brain dead was that ‘know the fact of organ invasion cancer cell or infected by microorganism are not able to donate’ is the highest score(9439%). Meanwhile the lowest score is 21.7%, ‘The institute to decide the brain death must be have all factors to decide the brain death.’ 2) The total mean point score of positive attitudes about organ donation in brain dead donors was 3.753±3.398(min 1, max 5). The total mean point score of negative attitudes about organ donation in brain donors was 2.915±0.472(min 1, max 5). 3)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positive attitudes of organ donation in brain dead donors were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kinds of hospital’(t=2.303, p=0.022), ‘bed numbers of hospital using actually’(F=4.051, p=0.019), ‘ward’(F=4.012, p=0.008) and ‘yes or no as organ transplantation hospital’(t=2.077, p=0.039).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the negative attitudes of organ donation in brain dead donors were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kinds of hospital’(t=-3.190, p=0.002), ‘bed numbers of hospital using actually’(F=4.859, p=0.009), and ‘yes or no as organ transplantation hospital’(t=-2.488, p=0.014). 4) According to nurse's knowledge and positive attitude, there were statistically meaning differences in ‘know about Korean's government permit the organ transplantation from brain death donors’(p=0.014), ‘best organ donor is aged 20 years of young people in brain dead state from head injury’(p=0.005). There was statistically meaning difference between knowledge and negative attitude in ‘don’ know about Korean's government permit the organ transplantation from brain death donors'(p=0.050). The results of this study might help to the nurses who are concerning organ sharing and make effective interventions and educations to facilitate the decision making process for organ donation in brain dead donors of families. Key Words : Organ donation in brain dead donors, Knowledge of organ donation in brain dead donors, Attitude of organ donation on brain dead donors

      • 뇌사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고찰

        김상섭 호남신학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7

        지금까지 교회와 신학은 생명의 주권자이신 하나님의 주권에 대한 신앙고백에 근거해 대부분 뇌사에 반해하였다. 그러나 하나님의 주권성에 대한 고백이 반드시 뇌사를 반대하는 입장으로만 귀결될 수 없는 것도 사실이다. 뇌사는 "죽음의 판단 기준이 무엇이냐?"는 문제만이 아니라 장기이식의 문제와 연관해 "어떻게 생명을 살릴 수 있는가?"라는 문제도 제기하기 때문이다. 서구의 많은 국가들은 안락사까지 법적으로 인정하는 시기가 되었다. 이런 시점에서 일부 종교계는 뇌사가 장기 이식을 살신성인의 정신과 고귀한 인류애로 긍정적 평가를 내리는 것은 대단히 가치 있는 일이다. 신학자 램지(P. Ramsey)는 하나님께서는 우리들에게 그 자신의 일을 위임하셨음을 인식하는 가운데 하나님 행동에 대한 인간의 충실한 협력을 기독교윤리학의 기본원리로 보았다. 그는 이웃사랑의 계명이 선이 아니라 의무라는 점에서 기독교윤리를 의무윤리로 파악하였다. 그리고 의무론적 윤리에서 볼 때 기독교인이 타인을 죽일 수 없는 것은 분명하지만 만일 죽이는 것이 다른 사람의 보호 차원의 질서에 필요하거나 어느 누구도 그와 그녀를 위협했다면 기독교인의 죽음에 대한 책임은 오히려 죽이는 경우가 될 수도 있다고 보았다. 말하자면 램지는 기독교 윤리의 전통적 입장에서는 인간이 다른 사람을 죽일 수 없었지만 다른 사람의 보호 차원에서는 죽일 수 있음을 밝히고 있다. 한국의 대표적 의료윤리학자인 김중호는 뇌사를 죽음으로 인정하자는 의견을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뇌사에 관한 판정기준을 정확히 알게 되면 뇌사를 죽음으로 인정하는 것은 전통적인 종교인의 교리나 주장에 위배되지 않는다. 인간의 존엄성을 무시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고양한 것이며, 환자의 가족이 당하는 정신적 고통과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며, 안락사에 관계되는 중요한 도덕적 문제를 해결해준다. 그리고 장기이식 수술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많은 사람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 가톨릭 윤리학자 호프만은 뇌사에 따른 장기이식의 문제와 관련의 뇌사에 대한 찬성의 근거를 다음과 같이 주장하였다. 첫째, 이식문제는 재래식의 절단의 개념과는 다르다. 왜냐하면 제공된 장기가 다른 사람 안에서 그 기능을 계속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체성의 원리에 위배되지 않는다. 둘째, 구조원, 소방원, 목회자, 의사 등과 같이 인간은 이웃의 생명을 구하기 위하여 자기의 손해나 위험을 무릅쓸 경우가 많다. 이때에는 목숨을 잃거나 건강을 상하게 하는 관점에서 보지 않고 이웃을 돕는 데 큰 의미를 두고 있다. 셋째, 신앙적 입장에서 이웃을 돕기 위해 자신을 희생하는 것은 그리스도의 제자의 길로 간주된다. 자녀의 불치병을 고치기 위해 어머니가 자신의 신장하나를 주는 경우와 같은 비례적 필요성에서 볼 때 육체의 완전무결함보다 인품의 완전함의 추구가 하나님의 뜻의 실천일 수도 있다. 결론적으로 장기이식과 관련해 뇌사인정의 가치를 다음 두 가지로 정리한다. 첫째, 인간의 장기와 같은 가치 있는 자원을 재활용한다는 것은 도덕적으로 정당하다. 재활용할 수 있는 자원을 폐기하는 것은 낭비일 뿐만 아니라 공해를 유발한다는 것과 마찬가지로, 장기 이식의 정당성은 이론의 여지없이 확보될 수 있다. 희소한 자원이 재활용되면 인류의 전체 행복은 그만큼 증가하게 되고, 장기를 기증하는 즐거움을 만끽하는 기증자나 장기 수혜자 모두가 행복하게 된다. 상호혜택적 측면이 강한 것이 장기 이식이 갖고 있는 근본적인 성격이다. 둘째, 장기의 기증자와 수혜자가 반드시 일방적으로 구분되지는 않는다는 점이 고려되어야 한다. 누구나 수혜자가 될 수 있고, 누구나 기증자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점 때문에 장기 이식의 합법화는 모든 사람들을 사회 보험에 가입하게 하는 것과 같은 결과를 가져온다. 보험은 각 개인이 처한 위험을 줄여 주고 상부 상조 한다는 점에서 도덕적으로 긍정적 평가를 받기에 충분하다. 현대와 같은 자칫하면 삭막하고 외로울 수 있는 상황에서 장기 이식은 공동체 의식을 고양시키고 사회 연대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하기도 한다. 물론 현실에서 장기 이식 때문에 생기는 여러 가지 부작용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며, 그렇기 때문에 그것을 최소화하는 방안이 반드시 마련되어야 한다. 의사들의 수준 높은 직업 윤리의식이 절실하게 요구되는 이유는 장기 이식을 활성화하면 부작용 역시 만만치 않게 나타날 것으로 생각되기 때문이다. 의료 기술적 해결책은 의료 윤리의 문제를 해결하는 필요조건이지 결코 필요 충분 조건이 아니다. 기술적으로 가능하지 않은 도덕적 처방을 할 수는 없지만, 기술적으로 가능하다고 해서 모두 도덕적으로 문제가 없는 건은 아니다. 뇌사 인정을 검토함에 있어서 사회 통념과 실정법에 대한 고찰도 필요하겠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우리의 이성에 기초를 둔 도덕적 판단이다. 왜냐하면 사회 통념은 역사적 우연성, 지역적 특수성, 아직 발달되지 않은 과학적 지식, 편견 등에 지나치게 좌우되고, 실정법 역시 그 범주를 벗어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인간의 실천 이성에 기초를 둔 공정한 평가는 이러한 여건을 극복하는 데 주요한 지표가 되어야 한다. 생명은 하나님의 주권 하에 있고 어느 누구도 생명을 함부로 다루어서는 안 된다는 관념들이 이제는 뇌사를 법적으로 인정함으로 인해서 죽어가고 있는 사람을 살리자는 또 다른 운동으로 발전하고 있다고 본다. 이는 생명의 경시가 아니라 역으로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하나밖에 없는 생명을 값지게 여겨야 할 것이다. 거룩한 하나님의 성전인 우리의 육체를 죽어 가는 다른 사람에게 나누어줌으로써 더불어 살 수 있다면 이것보다 더 아름다운 삶이 어디 있을까? 이는 하나님이 지으신 창조의 세계 가운데 서로를 의지하고 돕는 공생의 공동체를 만들며 동시에 예수께서 자신의 몸을 주심으로 이루신 희생의 윤리를 실현하는 과정이라고 하겠다.

      • 뇌사와 장기이식에 대한 윤리신학적 고찰

        김진모 광주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우리나라에서 1999년 2월 ‘장기등이식(臟器等移植)에 관한 법률’이 통과되면서 ‘뇌사와 장기이식’이 합법적으로 가능하게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법률안으로 인해 생명경시풍조가 확산될 수 있고, 아직 여러 가지 측면에서도 많은 문제점을 지니고 있는 우리나라의 현실을 중심으로 연구되었다. 따라서 본고는 뇌사와 장기이식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아울러 이들이 지닌 문제점들이 무엇인지를 명확히 밝히고, 뇌사와 장기이식이 당면한 문제들을 극복하고, 윤리적 타당성을 지니고 올바른 방향으로 발전해 가기 위해서 지켜져야 할 것이 무엇인지를 가톨릭 윤리 신학적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일반적으로 폐, 심장, 뇌의 세 장기는 생명 유지에 있어서 필수적인 장기이다. 따라서 이들 중에서 어느 하나라도 소실되면 생명은 유지되지 못하게 된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이 세 장기 중에서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었던 폐와 심장의 영구적 기능정지를 인간의 죽음의 판단 기준으로 삼아왔고, 그것이 별다른 의심 없이 받아들여졌다. 그런데 최근 들어 과학 기술 문명의 발달에 힘입은 의료 기구와 의학 기술의 획기적인 발전으로 인해 뇌의 상태를 관측할 수 있게 되면서 심장이 뛰고 호흡이 계속되는 등 여러 내장의 기능이 완전히 정지되지 않았다 하더라도 뇌기능만 완전히 소실되면 사망으로 인정하자는 뇌사설이 새롭게 대두되었다. 이처럼 전통적인 죽음의 판단 기준이었던 심폐사 이외에 뇌사가 죽음의 판단 기준으로 새롭게 제기된 배경에는 불필요한 치료행위를 계속할 필요가 없다는 등의 여러 가지 이유가 있지만 가장 문제가 되고, 또 그것이 중요한 이유는 뇌사가 장기이식 수술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기 때문이다. 의료기구나 의학 기술의 발달은 과거에는 상상도 하지 못했던 인간 신체의 일부를 다른 사람에게로 이식하는 일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죽음 직전에 처한 인간의 생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종래의 전통적인 사망 기준인 호흡 및 심장의 기능 정지를 바탕으로 해서는 장기이식 수술에서 좋은 성과를 얻지 못하게 되자, 종래의 사망 기준보다 한 발 앞선 새로운 사망의 기준이 필요하게 된 것이다. 뇌사란 ‘전 뇌기능이 불가역적으로 정지된 상태’로, 뇌사 상태에 빠지면 어떤 치료를 하더라도 회복가능성은 전혀 없고 적어도 14일 이내에는 결국 심장사에 이르게 된다. 그러므로 뇌사 상태에 빠진 환자가 심장사에 이르기 전에 죽음의 판정을 내려 그의 장기를 이식을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제공하여 그들에게 생명을 연장시켜 주자는 주장은 일견 매우 타당하고 합리적이며 의미 있는 일로 보인다. 그래서 각 나라들은 저마다 뇌사 판정 기준을 만들고 뇌사를 인정하는 법을 만들어 뇌사자의 장기이식 수술을 합법화하고 있고, 우리나라의 경우도 예외는 아니다. 그러나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여기에는 상당한 위험성과 중대한 문제점들이 내포되어 있다. 장기이식을 위해서 뇌사를 인정하게 될 경우, 인간 생명의 존엄성이 말살되고, 우리 사회에 만연한 생명경시풍조가 걷잡을 수 없는 지경으로까지 확산될 우려가 있다. 또 여러 가지 목적 달성을 위해서 의도적으로 죽음의 순간을 앞당겨 판단한다든지, 판정의 실수 등으로 인해 무고한 생명이 죽음으로 내몰릴 수 있다. 이외에도 장기의 매매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심각한 사회 문제와 가난하고 병들고 약한 자들의 희생, 장기 분배에 있어서의 불평등 등, 이들이 내포하고 있는 문제들은 이루 헤아릴 수 없이 많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가톨릭 교회의 교도권은 인간의 죽음에 대한 최종 판단과 확인은 의학의 소임이라는 측면에서 뇌사 판정과 장기이식에 대한 공식적인 입장을 표명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전체적인 맥락에서 볼 때 가톨릭 교회는 윤리적이고 합법적으로 이루어지는 뇌사 판정과 장기이식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교회는 생전에 자신의 자유로운 동의가 있었다면 살아서나 죽어서 자신의 장기를 다른 사람에게 제공하는 것은 예수 그리스도의 가르침을 따라 행하는 이웃 사랑의 실천으로서 영웅적 행위로 간주하며 권장하고 있다. 그러나 더 우선적으로 인간의 존엄한 죽음을 방해하는 인위적인 생명연장을 막기 위해 뇌사가 인정될 필요가 있다고 보는 것이다. 그런데 가톨릭 교회는 뇌사와 장기이식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기는 하지만, 뇌사를 죽음으로 판정하고 장기이식을 시행하는 자체보다는 그에 수반되는 윤리적 측면에 더 깊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왜냐하면 교회는 이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모든 문제들을 선험적으로 예견하고 판단하여 이 일들이 오류에 빠지지 않고 올바른 방향으로 발전되도록 해야 하고 하느님이 주신 생명을 보호하고 지켜나가야 하기 때문이다. 가톨릭 교회가 뇌사와 장기이식에 대한 공식적 입장을 선뜻 표명하지 못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고 본다. 이러한 가톨릭 교회의 가르침을 바탕으로 하여 볼 때, 뇌사와 장기이식 문제가 윤리적 타당성을 가지고 올바로 발전해가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생명 중심적 의식이 필요하다. 인간 생명의 존엄성을 근본적 기준으로 삼아야 한다. 교회는 언제나 인간의 생명은 하느님이 주신 선물이며 그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존엄성을 지니고 있음을 천명해 왔다. 그리고 뇌사의 판정과 장기이식 수술의 시행은 그것이 참다운 인간 생명에 봉사하는 것이어야 한다. 생명과학의 발전은 어디까지나 인간에 대한 봉사, 곧 인격이 존중되고 생명이 온전히 보호받는 인간에 대한 봉사가 그 목적이 되어야지, 그 발전을 위해 인간이 단순히 수단이 되어서는 결코 안 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지속적인 생명존중의 문화를 형성해 나아가야 한다. 가난한 이들이나 약자들의 생명을 빼앗아 자신의 유익을 위해 이용하는 행위는 죽음의 문화에 동참하는 것이며 생명 있는 모든 존재들의 연대성 윤리에 어긋나는 것이기 때문이다. On February 1999, our country(Republic of Korea) have passed ‘The Act of Transplanting Organs and the Equivalents’ and this measure made ‘legally’ possible carrying out the “Brain Death” and the “Organ Transplantation.” However, the new law is expected to promote ignorance of the value of life and reflects on other problems that follow. Still many controversial affects are anticipated in this country and at this point, I want to consider this related to our reality. Under this consideration, I'm going to make clear what's the right definition of the “Brain Death” and the “Organ Transplantation,” what's the problem with which it have confronted, what's the terms which it have to be observed in the right way fasten to Catholic moral vision. Generally, the lung, the heart and the brain are the essential organs which maintain life of human being. By any chance, when one of these get disorganized it would make impossible to maintain one's life. Until this day, whether the lung and the heart which appears in visual are functioning or not were the base line judging one's death and this was accepted with no doubt. By the way, the progress with giant strides of science technology made medical instruments and skills effective enough to survey the structure of man's brain. But this kind of advance came out with new fact that, though the heart is beating or some internals are still working, when the function of the brain halts it should be recognized “dead.” In this matter, besides the traditional concept of death, the background of new standard which resolves the matter results from many reasons including sublation of unnecessary treatments rose inevitably but the definitive factor is that the “Brain Death” relatively link to “Organ Transplantation.” The Development of medical facilities and supplies actualized transplanting one's part to another which it was totally impracticable in the past, expanded the life that is in a critical condition. While former regulation of death came out without result on transplantation surgery, the new requirement of mortal rule have rose for necessary. The definition of the “Brain Death” is ‘unreversible functional suspense of entire sphere of the brain.’ Once the brain stops its work, in what manner, possibility for recovery utterly evaporates and leads to heart death no longer than 14 days. Therefore the suggestion that insists that rapid judgement is necessary for patient's unjustly state before reaching to heart death and this appropriate and persuasive measure will lengthen other sufferer's life by providing needed organs from unconsciousness. This is the reason why every states have their own outline for judging brain death and legally approve it to concise death for transplantation surgery of unconscious patient. Our country couldn't be an exception. Focusing on this matter in detail, we can find severe problems and dangers that have contained. When we permit the brain death for the organ transplantation, the respects for human dignity will be harmed and not any longer negligence of human right will spread around the society in unimaginable way. Nevertheless, the rough judgments could be proceed in advance for many other reasons(like doctor's carelessness) and this can possibly kill innocent patients. Furthermore, unpredictable side-affects could be occurred as clear as the light. The problems that have been already revealed are prevalence of purchasing organs and following social problems, unfair distributions of organs, sacrifices of poors and sicknesses and many others we can't hardly imagine. Yet, the power of Catholic magisterium have not expressed its attitude about the judgement of brain death and the organ transplantation which they are in charge of medical science and they are the one who have to make final decisions and confirmations whether one is dead or alive. However in total sight, Catholic church seems to stand on the positive spot of the process of judgement of the brain death and the organ transplantation in legal way. The Church notices that if one have completely agreed at transplanting his(or her) organ to other person whether he(or she) is dead or alive, this decision is great practice of following Jesus Christ who taught to love neighbors. But in priority the artificial treatments which they interfere dignity of human death should be denied and this is the reason why the church consents the necessity of the ‘Brain Death.’ As mentioned, It seems that Catholic church admits the brain death and the organ transplantation. But before judging the brain death as “dead” and proceed the organ transplantation, the Church fixes it's eyes on the ethic aspects which follow after itself. Because the Church transcendentally prospects “the bad occasions” which can happen after the situation and voluntary leads to improve in the positive direction without committing mistakes, so we can preserve the human life. After all, basis to the doctrine of the Catholic Church, to develop the brain death and the organ transplantation problem in the sound way, so it can have ethic propriety, we should possess “the life-centered conscious.” The respect of human life should be the fundamental standard. The Church always taught human life is God's present and it couldn't be shifted to another. In extension, the judgement of brain death and the operation of organ transplantation should sincerely service to human life. The ultimate purpose of the life science is to service to protect human life and respect one's humanity, not degrading human as a means to develop science itself. Last of all, we have to create the life-respecting culture. Exploiting the sicknesses and the poors to make benefit for oneself is participation in culture of death and this trespasses the ethic of the fellowship which every life-living creatures possess.

      • 腦死 및 臟器移植에 관한 立法論的 硏究

        송영민 동아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박사

        RANK : 247807

        최근에 「臟器등 移植에 관한 法律」의 制定 움직임을 계기로 腦死와 臟器移植에 관한 논의가 새롭게 제기되고 있다. 논의의 초점은 「心臟死」와 「腦死」에 관한 소위 「死亡의 定議」에 관한 문제, 그리고 臟器移植에 따른 人權侵害의 요소를 제거하는 문제이다. 이러한 두 가지 문제점은 서로 不可分의 關係를 가지면서 발달하여 왔다. 臟器移植은 1940년대의 角膜移植, 1950년대의 腎臟移植 등으로 시작되어 腦死를 醫學的, 法的 死亡으로 인정하게 된 1980년 이후부터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 나라에서의 臟器移植은 1984년의 免疫抑制劑인 cyclosporine의 導入, 1993년 大韓醫學協會의 腦死에 관한 宣言을 계기로 비약적인 발전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에서 불구하고 우리 나라에서는 腦死 및 臟器移植을 인정하는 어떠한 형태의 法的 根據도 없이 醫療界에서는 腦死判定과 臟器移植이 慣行的으로 이루어져 왔다. 따라서 臟器提供者와 受容者의 人權侵害의 요소를 제거하고 또한 醫師의 腦死判定 및 移植醫療行爲에 대한 法的 根據를 부여하는 제도적인 장치가 필요한 것이다. 本 論文에서는 臟器移植醫療行爲의 여러 側面중에서 특히 民事法的 側面을 중심으로 고찰하였으며 이를 다시 生體臟器移植과 死體(腦死體 포함)臟器移植, 臟器賣買根絶對策, 臟器移植管理機構의 문제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먼저, ① 死亡과 法律關係에 대한 문제이다. 腦死를 모든 경우에 法的인 死亡으로 認定하는 것에는 여전히 市民全體의 統一的인 同意를 얻기 어렵다. 따라서 死亡의 槪念은 변화시키지 않는다는 전제하에서 「또 하나의 死亡判定方法」으로 腦死를 인정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心臟死」는 여전히 一般的인 死亡의 判定方法이 되고 「腦死」는 다만 臟器移植과 관련되어서만 死亡의 判定方法이 되는 것이다. ② 「死體로부터의 臟器移植」을 위해서는 死體의 法的 地位를 어떻게 볼 것인가가 문제된다. 死體의 歸屬權者와 臟器提供意思表示에 관한 문제이다. 이는 死體處分에 대한 生前의 本人의 意思表示를 어떻게 볼 것인가, 그리고 本人의 死後에 死體의 歸屬權者가 死體를 處分할 수 있는가와 관련된다. 死體處分에 대한 生前의 本人의 意思表示는 死後에도 존중되어야 한다. 그렇다면 本人의 死後에 死體는 누구에게 歸屬하는가? 이에 대해서는 戶主承繼人에게 귀속한다는 學說과 祭祀主宰者에게 속한다는 學說이 있다. 그러나 祭祀主宰者說의 短點인 歸屬權者選定의 問題 및 歸屬時期에 대한 문제를 명확하고 신속히 해결하기 위해서나 또는 1990년 改正民法에서의 男女平等思想에 비추어 「相續人」을 死體의 歸屬權者로 하는 것이 타당하다. 그리고 順位는 相續順位에 의하면 될 것이다. 그렇다면, 本人의 死體處分에 대한 意思表示와 相續人의 意思表示가 衝突하는 경우에는 臟器提供이 가능한가? 이러한 경우에는 死者本人에게는 生前의 人格權에서 파생되는 自己決定權이 있고, 다른 한편에는 相續人에게도 家族共同生活을 통하여 형성된 精神的 紐帶感을 배경으로 한 고유의 自己決定權이 있다. 그러나 死體의 處分에 대해서는 本人意思의 最優先性의 原則이 적용되어야 한다. 따라서 生前에 本人의 명확한 意思가 있는 경우에는 本人의 意思가 優先適用되고, 다만 本人의 意思가 없거나 분명하지 않은 경우에 한하여 相續人의 意思가 적용되어야 한다. ③ 生體臟器移植에 대한 문제이다. 현실적으로 腎臟 및 骨髓와 같은 경우에는 家族이니 親族으로부터의 臟器移植이 행해지고 있고, 특히 腎臟과 같은 臟器는 不法的인 賣買가 비밀리에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法에서의 放任보다는 오히려 制度的으로 吸收해서 嚴格한 範圍內에서는 移植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타당하다. 成人인 경우에는 自身의 身體에 대한 自己決定權의 行使로서 移植에 따른 充分한 說明을 들은 후 臟器의 摘出에 同意할 수 있다. 그러나 無能力者인 경우에는 아직 成長期에 있으므로 臟器 摘出이 禁止되어야 한다. ④ 장기의 不法的인 去來의 遮斷과 臟器移植管理機構에 대한 문제이다. 이는 먼저 臟器의 不法的인 去來를 遮斷하는 側面과 臟器移植管理機構를 통한 臟器의 適正한 分配에 대한 側面이 문제가 된다. 兩者의 目的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臟器移植管理機構의 組織이 全國的이어야 하며 네트워크화되어야 한다. 또한 臟器管理機構는 國費로서 설립되고 國家에서 運營하는 形態가 되어야 한다. 國家機關이 媒介가 되어야만 財政的 問題의 解決이 容易하고 提供된 臟器에 대한 適切한 補償金의 支給, 기타 移植과 關聯된 費用의 國家機關에서의 調節, 臟器分配의 透明性確保, 國家次元에서의 市民意識啓蒙 등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At present, the argument that several legal problems with brain-death and organ transplantation is about newly uprising. Especially, so it is after laying the 「Organ Transplantation Law」before the Assembly. Key-points are 「definition of death」in connection with 「heart-death & brain-death」and 「avoiding the violation of human rights through transplantation procedure」that have been discussed with inseparable relation. The first cornea and kidney transplantation were in 1940s and 1950s each. After 1980s, organ transplantation has been uprising due to medical admittance of brain-death. In Korea, it has been flourished after introduction of cyclosporine, immunosuppressant, in 1984 and declaration of the Korean Academy of Medical Sciences about brain-death in 1993. The admission, however, of brain-death and organ transplantation has been carried customarily without any kind of legal basis. So, it is necessary to provide legal basis to brain-death decision and transplantation operation and to exclude any factor of human-rights violation. The thesis is to inquire into organ transplantation therapy procedure with a point of view based on the Civil Lay and its relevant legislation. In the thesis, organ transplantation therapy procedure is divided and analyzed into as followed parts, ① death and related legal problems, ② transplantation from dead body, ③ living organ transplantation, and ④ rooting out illegal organ trade and establishing organ transplantation control organization. ① Death and related legal concern. The concept of brain-death is rarely adoptive in every case. Most of civil consensus are not positive of it. So, with logical basis that traditional concept of death is not immutable, brain-death is the another choice to judge someone dead or no. The former 「heart death」is general criterion for death and 「brain-death」is only admissible in case of organ transplantation. ② Dead body organ transplantation requires settlement of legal status of dead body. How does make it out donor's declaration of intention about his dead-body, expressed during his living days, and understand legal status of dead body? In addition, it is questionary problem whose full ownership to his body after his life. One's expression of his will about using his body after life deserve to be kept. Then, who has the right to own dead body of the deceased? One theory suggested that a man who has the privilege of succession of the head of a family is possessed of the right. The another said that a head of family in religious service has that right. To avoid, however, a defect that the posterior theory gives hard solution to choose appropriate person for one's dead body and pertinent time legal ownership starts, it would be good as a heir is legal owner of precedent's body. The amended Civil Law in 1990 shows a logic as like same equality between man and woman. The order will be the same as in the case of inheritance. Then, is it possible to proceed organ transplantation procedure when a heir has different opinion from a dead inheritee? The dead had self-determination right which derives from his personal right and the heir has nearly same kind of right from co-family life. No prior capacity between them. It is therefore, potential to proceed organ transplantation only when there's co-associated showing of will and no collision of rights. ③ Living organ transplantation. Kidney or bone-marrow transplantation, usually, operated with aid of patient's family. Kidney is famous for illegal money trade. So, it is essential that permitting organ transplantation under severe control and certain system rather than just neglecting as subscribed in related law. For an adult, he would assent to take organ out his body as self-determination after sufficient elucidation. In case of, however, incompetent, consent from parental authority or guardian must be required to take organ out of his body. Taking out organ from mental incompetence must be prohibited, the reason why organ transplantation needs one's will showing whether he take part in or not. ④ Rooting out illegal organ trade and founding organ transplantation control organization. To accomplish those, systematized, nationwide and information-shared organization is needed. The organization should has nation aided financial system and operated by the state. Under the state control and responsibility, it is may fully filled up the financial aid, indemnity for all expenditure required during transplantation procedure and leading civil edification, et cetera.

      • 腦死와 臟器移植에 對한 基督敎 倫理學的 理解

        박희찬 明知大學校 社會敎育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writer has reviewed issues on the brain death to be determined as 'death' based op the dignity of human kind and ethical review of organ transplantation,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mount their problems and to present alternative resolution in Christian ethics. First of all, in Christian ethics the writer investigated whether the brain death cap be determined as death. I am proposing 'possible acceptance of the brain death as death' after reviewing two parties; one who support op the brain death as death and the other who disagree. This is different atartinia point from possible partial acceptance of brain death that teleoloiaists insist op. Originally, the writer does pot agree to the brain death while teleoloiaists insist op possible partial brain death on the basis of utilitariapistic demand and understanding. Just as the problem of interpretation in ethics, 'How to understand God's command' is being a matter of copseguence and attitude of positive opposition to the 'brain death' which might be copfipded. By balancing Christians ethics towards life's total approaching methods and 'the responsible self' f Refold Niebuhr, the writer is presenting a scheme for a reluctant acceptance of the brain death. Acceptance of the brain death is to be limited to only if dignity of life is highly considered as activity of love and necessary conditions are all fulfilled. The following are conditions of determining the brain death as death. 1) Agreement by the person who is facing brain death 2) Clarity of judgement on the brain death 3) Agreement in social controversy 4) Fair selection of patients who will receive organs The conditions above are to secure dignity of human lives. Next, as the transplantation of organs is an activity of love in Christian ethics, the writer is recommending justifiable steps toward possible organ transplantation. Currently, the government is in the process of setting up legal regulations on the organ transplantation. In Christian ethical point of view there might be problems. In a situation of organ transplantation from a person alive reguires protection systems for minors. Name of organ donor should be kept strictly in confidential. Transplantation from the dead body should only be executed based on the agreement made prior to the death. Corpse should not be ignorantly handled and organ transplantation from a brain dead is restricted until finalizaton of precise definition of the brain death and its process of medical analysis that meet the standard of Christian ethics. In closing of this study of Christian ethical understanding of the brain death and the transplant of organs, the writer is proposing few points as follows. First, God has given human life. Since an era of life belongs to God, life has sanctity and dignity, so human cannot control over life. Thus, we must value dignity of human lives whether we disagree or agree on the brain death. Second, life fo human has sanctity and dignity, man behaves himself what should be done with God's permission. In christian ethics the brain death is not considered as death within the philosophy of human dignity. However, rather than completely disagreeing on the brain death I am considering to admit reluctantly to save someone who can extend his life by translpanting organs. Determination of the brain death should be selective and thorough diagnosis is necessary prior to execution. Third, the organ donation is regarded as the precious love of all that man can extend. Although organ transplantation is one of the greatest modern medical studies, currently there are many problems. Particularly, in case of legal regulations in regards to the organ transplantation is implemented, we should be ready to prevent side effects and/or over does well in advance. Fourth, full review of 'legal regulations on the organ transplantation' that the government is going to issue is necessary. Therefore, prior to finalization of the law, Churches are required to put constant efforts on reviewing and pointing out possible problems to meet the standard of Christian ethics. Fifth, current law does not define the brain death as death: however, in the medical science field this has been defined as death and organ transplantation has been practically performed. The organ transplantation should be banned as long as the law does not permit. The medical science field who deals with life of mankind should not violate legal regulations. Now in conclusion, it is insufficient for limited number of persons to discuss over the subject, and Christians as prophets with high standard of ethics need to lead the society to right determination of the 'brain death' and 'organ transplant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