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뇌사자 장기적출수술에 참여하는 의료진의 외상경험이 외상후성장과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처유연성의 매개효과

        김건영 울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urvey attempting to verify the mediated effect of coping flexibility mechanism in post-traumatic growth and attitude toward organ donation that trauma experience of healthcare workers participating in organ procurement of brain death have. The data of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a total of 170 healthcare workers, in a way of self-reported questionnaire, who have experience in organ procurement surgery of brain death at least once at three tertiary general hospitals and one general hospital.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June 16, 2021, upon approval of Institutional review board, to September 30, 2021. The questionnaire is composed of dimension about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characteristics related to organ procurement surgery, trauma experience, coping flexibility, post-traumatic growth, and attitude toward organ donation. IBM SPSS statistics 24.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It was analyzed as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PROCESS macro (4.0 version) was used for mediated effect of coping flexibility.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f trauma experience related to organ procurement of brain death was 0.44±0.50 out of 4, mean score of coping flexibility was 9.11±2.43 out of 14, mean score of post-traumatic growth was 2.97±0.88 out of 5, and mean score of attitude toward organ donation was 3.42±.44 out of 5. 2. Among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and features related to organ procurement surgery, number of organ procurement surgery that they participated in(F=3.29, p=.013), emotional difference in brain death depending on their of brain death age(t=4.09, p<.001), and experience of ethical dilemma(t=4.01, p<.001)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rauma experience. Regarding coping flexibility, the age(F=3.13, p=.046), marital status(t=-2.92, p=.004), occupation(F=4.19, p=.003), clinical career(F=3.92, p=.010), number of organ procurement surgery that they participated in(F=3.35, p=.012), and when they participated in organ procurement surgery(F=2.58, p=.039)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Regarding post-traumatic growth, gender(t=-2.30 p=.023), number of organ procurement surgery that they participated in(F=5.19, p<.001), and when they participated in organ procurement surgery(F=3.23, p=.014)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regard to the attitude toward organ donation, marital status(t=-2.55, p=.012), occupation(F=11.48, p<.001), number of organ procurement surgery that they participated in(F=4.44, p=.002), when they participated in organ procurement surgery(F=8.06, p<.001), knowledge about process of declaring brain death(t=2.23, p=.027), and education about organ donation(t=2.03, p=.046)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3.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 has shown between trauma experience related to organ procurement surgery of the subjects and coping flexibility(r=-.16, p=.043), and it has positive relation with post-traumatic growth(r=.20, p=.008). Coping flexibility was shown to have positive relation with post-traumatic growth(r=.20, p=.011) and the attitude toward organ donation(r=.31, p<.001). 4. Among interference effects of the paths leading trauma experience related to organ procurement of brain death to attitude toward organ don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via coping flexibility, the path of attitude toward organ don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95% bootstrap CI=-.0823, -.0045). The trauma experience related to organ procurement surgery of brain death showed negative effect on path to coping flexibility(X on Y, B=-0.94, p=.011). Moreover, coping flexibility showed positive effect(M on Y, B=0.04, p=.005) on the path to attitude toward organ donation. As a result of verification of mediated effect of coping flexibility that trauma experience of healthcare workers participating in organ procurement surgery of brain death have effect on post-traumatic growth and the attitude toward organ donation, trauma experience had no mediated effect of coping flexibility on post-traumatic growth, but it had full mediated effect on the attitude toward organ donation.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interventional educational program that can improve coping flexibility should be developed and applied in order to regularly check psychological trauma of healthcare workers, identify those at high risk, and foster the positive attitude of healthcare workers toward organ donation. 장기기증에 대한 의료진의 태도는 뇌사자 가족의 기증 의사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이다. 뇌사자 장기적출수술에 참여하는 의료진은 뇌사자가 죽음에 이르는 과정을 경험하면서 다양한 감정을 마주하게 되는데, 일부 의료진들은 슬픔, 공허함, 분노와 같은 외상을 경험하기도 한다. 따라서 뇌사자 장기적출수술에서 경험하는 외상에 심리적으로 적응하여 성장하고,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는데 대처유연성의 역할을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뇌사자 장기적출수술에 참여하는 의료진의 외상경험, 대처유연성, 외상후성장 및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 수준을 파악하고 외상경험이 외상후성장과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처유연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장기적출수술에 참여하는 의료진의 외상경험이 외상후성장과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처유연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연구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후 2021년 6월 16일부터 9월 30일까지 3개의 상급종합병원과 1개의 종합병원에서 뇌사자 장기기증 수술에 1회 이상 참여한 경험이 있는 의료진 총 170명을 대상으로 자기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시되었다. 설문지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장기적출수술 관련 특성, 외상경험(Impact of Event Scale, IES), 대처유연성(The Perceived Ability to Cope with Trauma scale, PACT), 외상후성장(Post Traumatic Growth Inventory, PTGI),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에 관한 도구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IBM SPSS statistic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으며, 대처유연성의 매개효과는 PROCESS macro (4.0 version)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뇌사자 장기적출수술과 관련된 외상경험은 4점 만점에 평균 0.44±0.50점, 대처유연성은 14점 만점에 평균 9.11±2.43점, 외상후성장은 5점 만점에 평균 2.97±0.88점이었으며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42±.44점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장기적출수술과 관련 특성 중 외상경험에서는 수술참여횟수(F=3.29, p=.013), 뇌사자 나이에 따라 수술에 임하는 마음가짐의 변화(t=4.09, p<.001), 윤리적 딜레마 경험 여부(t=4.01,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처유연성에서는 연령(F=3.13, p=.046), 결혼상태(t=-2.92, p=.004), 직종(F=4.19, p=.003), 임상경력(F=3.92, p=.010), 수술참여횟수(F=3.35, p=.012), 수술참여시기(F=2.58, p=.039)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외상후성장에서는 성별(t=-2.30, p=.023), 수술참여횟수(F=5.19, p<.001), 수술참여시기(F=3.23, p=.014)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에서는 결혼상태(t=-2.55, p=.012), 직종(F=11.48, p<.001), 수술참여횟수(F=4.44, p=.002), 수술참여시기(F=8.06, p<.001), 뇌사판정절차 지식(t=2.23, p=.027), 장기기증에 관한 교육 여부(t=2.03, p=.046)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대상자의 뇌사자 장기적출수술과 관련된 외상경험은 대처유연성과 유의한 음의 관계(r=-.16, p=.043)가 나타났고, 외상후성장과는 양의 관계를 나타났다(r=.20, p=.008). 대처유연성은 외상후성장(r=.20, p=.011)과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r=.31, p<.001)와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4. 뇌사자 장기적출수술과 관련된 외상경험이 대처유연성을 경유하여 외상후성장과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에 이르는 경로의 간접효과 중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의 경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95% bootstrap CI = -.0823, -.0045). 뇌사자 장기적출수술과 관련된 외상경험이 대처유연성으로 가는 경로에서 부적영향을(X on M, B=-0.94, p=.011) 나타났으며, 대처유연성이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로 가는 경로에서는 정적 영향을(M on Y, B=0.04, p=.005) 나타났다. 뇌사자 장기적출수술에 참여하는 의료진의 외상경험이 외상후성장과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처유연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외상경험과 외상후성장에서는 대처유연성의 매개효과가 없었지만 외상경험과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에서는 완전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의료진의 심리적 외상을 정기적으로 측정하여 고위험군을 선별하고, 의료진의 긍정적인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를 함양하기 위하여 개인의 대처유연성을 높일 수 있는 교육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해야 할 것이다.

      •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의과대학생의 지식과 태도 연구

        이진아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앞으로 의료인이 되어 다음 세대의 뇌사자 장기기증 및 장기이식과 관련된 건강 전문가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게 될 의과대학생들의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조사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로 뇌사자 장기기증의 활성화를 위한 전략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국에 소재한 41개 의과대학 소속 학생들 중 임상실습과정을 모두 마친 본과 4학년 학생 723명이었으며, 연구도구는 대상자의 특성을 묻는 11문항,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을 묻는 16문항,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를 묻는 16문항을 포함한 총 43문항으로 구성하여 우편으로 배포하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07년 10월 4일부터 11월 7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를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 t-test, ANOVA(F-test)로 분석하였고, 관련요인분석은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를 실시하였다.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1) 의과대학생들의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 점수는 16점 만점에 평균 8.11±2.4점으로 58%의 정답률을 보였다. 대상자의 80%이상이 정답을 맞힌 문항은 1개로 ‘장기기증 및 장기이식 대기자에 대한 모든 정보는 국가(국립장기이식관리센터)에서 통합 관리한다(81%)’이었으며 정답률이 20%이하로 낮은 문항은 ‘뇌사 장기기증자의 장례비는 장기이식자가 부담한다(19%)’와 ‘잠재뇌사자를 진단한 담당의사는 국립장기이식관리센터에 신고하여야 한다(11%)’이었다.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을 범주별로 구분했을 경우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의학적 지식은 3점 만점에 1.5±0.79점, 법률적 지식은 9점 만점에 5.0±1.79점, 뇌사판정절차에 대한 지식은 4점 만점에 1.7±0.89점 이었다.2) 의과대학생들의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 점수는 5점 만점에 평균 3.40±0.49점으로 중간 정도로 나타났으며 대체로 긍정적인 태도로 나타났다. 대상자들은 ‘내가 만약 장기를 기증한다면 타인에게 선을 행한 것이다(91%)’와 ‘나는 뇌사자의 장기기증 및 이식이 의학적으로 바람직한 수술이라고 생각한다(86%)’ 문항에 대해 80%이상 긍정적으로 생각하였고, ‘사람의 죽음을 사람이 판단하는 것은 실수의 여지가 있다(73%)’, ‘환자의 가족이 기증요청을 받는다면 의료진에게 적대적인 감정을 표현할 것이다(53%)’순으로 50%이상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다.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 및 태도 정도는 성별, 의과대학병원의 권역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뇌사자 장기기증 관련 특성에 따른 지식 정도는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정보 획득 경로, 본인의 장기기증 희망 여부, 장기기증 희망카드 소지 여부에 따라 차이를 보였고, 태도에 있어서는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정보 획득 경로, 본인의 장기기증 희망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4) 대상자 특성에 따른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지식에 대한 요인으로 의과대학병원의 권역별 특성과 뇌사관련 정보 획득 경로 특성(전문적 경로)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태도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의과대학병원의 권역별 특성과 본인의 장기기증 희망 여부,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범주별 지식 특성 중 의학적 지식과 뇌사판정절차에 대한 지식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5) 대상자의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과 태도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못한 반면(r=0.055, p=0.142), 범주별 지식에 있어서 의학적 지식(r=0.135, p=0.001)과 뇌사판정절차에 대한 지식(r=-0.075, p=0.043)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결론적으로 의과대학생들의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정확한 지식은 대체로 낮은 비율로 조사되어 이에 대한 정확한 지식전달을 위한 교육과 홍보가 필요하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는 학과특성을 고려하여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정보 획득의 경로를 전문적 경로인 의대교육과정에 관련교육내용 보충, 실습 프로그램 마련 등이 효과적일 것으로 예측 된다. 또한 이러한 과정을 통해 미래의 의료인인 의과대학생들이 뇌사자 장기기증의 필요성과 과정, 역할을 이해하고 개인적인 신념을 확고히 하며 나아가 장기기증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고취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를 통해 장기기증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was intended to study on the knowledge and attitude of the medical students towards the organ donation in brain death, who will be in charge of organ donation and transplantation as health specialists in the future. It was descriptive survey research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strategy to activate organ donation in brain death. In the study, the data had been collected from 723 medical students who have finished clinical practice courses in 41 medical schools in Korea. The method of the study was the questionnaires consisting of 43 questions including 11 questions of general features, 16 questions of the knowledge about organ donation in brain death and 16 questions of the attitude to the organ donation. The data was collected from the 4th of October in 2007 to the 7th of November in 2007.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for the frequency, percentage, t-test and ANOVA(F-test) by SAS program, for relating factor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for correlation by Pearson Correlation.The results were as follows1) The score of the knowledge of medical students about organ donation in brain death was on the average 8.11±2.4 of 16, that is, 58%. The item that over 80% of respondents chose the right answer was the only one question, that is, ‘The government(KONOS; Korean Network for Organ Sharing) should manage organ donation and all the information of recipients for transplantation(81%)’, and the items below 20% were that ‘Recipients should pay all the money for donor's funeral service(19%)’ and ‘The doctor diagnosed potential brain death should report to Korean Network for Organ Sharing(11%)’. When the researcher classified the subjects' knowledge about organ donation in brain death, the results showed 1.5±0.79 of 3 in medical knowledge, 5.±1.79 of 9 in legal knowledge and 1.7±0.89 of 4 in decision processing of brain death.2) In the analysis of attitude of medical students to the organ donation in brain death, the average score was 3.40±0.49 of 5, which seemed they were relatively optimistic. Over 80% of respondents answered positively in two questions, those are, ‘If I donated organs, I would do good to other people(91%)’ and ‘I agree the organ donation in brain death and transplantation are desirable medical treatments(86%)’, In contrary, it showed that over 50% had a pessimistic attitude to two questions, which are, ‘There might be a mistake to make a determination of person's death by human beings(73%)’ and ‘If family were requested organ donation, they would express their hostility to the medical staff(53%)’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knowledge and attitude to the organ donation in brain death in gender and the location of university hospital. Another difference was caused by the ways to gain the information of it, and whether one accepts to organ donation or have the donor card or not. In the case of attitude, there were notabl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ways to obtain information of the organ donation and whether one accepts organ donation.4) In the analysis of the knowledge of general features, the important factors were confirmed statistically by the location of university hospital and the way to get the information for organ donation. And in the attitude, the medical knowledge and the progress of brain death were more meaningful among other factors statistically.5) The correlation between the knowledge and attitude of respondents about organ donation in brain death was not valuable statistically(r=0.055, p=0.142), on the other hand, in the medical knowledge(r=0.135, p=0.001) and the knowledge about progress of brain death(r=-0.075, p=0.043), were valuable statistically.In conclusion, this research showed that the knowledge of medical students about organ donation in brain death was pretty low. That is why education and public relations were needed for improving their knowledge. For the strategy, they should be added to the medical college curriculum and clinical practice program about organ donation. In addition, medical students would recognize the importance, progress and the role of organ donation in brain death through this program. Eventually, they would have positive attitude about the organ donation and contribute to expand it.

      •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간호사의 지식과 태도

        김상희 고신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현대 의학의 발달은 어떠한 치료로도 소행할 수 없는 장기부전으로 인한 말기환자들에게 장기이식을 실시함으로 생명을 연장하게 하였다. 특히 뇌사상태에서 정상적인 기능을 보유한 장기를 기증하여 생명의 위협 속에 있는 환자에게 새로운 생명을 구할 수 있다는 것이 뇌사자 장기기증의 참 뜻이다. 그런데 우리 나라의 경우 유교사상의 영향으로 장기기증을 꺼리는 등 부정적인 태도를 지니고 있어서 뇌사상태에서만 장기이식이 가능한 심장, 폐, 췌장 등의 경우는 뇌사자 장기기증을 기다리다가 환자가 사망하는 경우가 많아, 뇌사자 장기기증의 증가를 위하여 잠재 뇌사자를 조기에 파악하여 장기기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환자를 직접 간호하는 간호사의 역할이 상당히 중요하다. 따라서 간호사를 대상으로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조사하여 뇌사자 장기기증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 뇌사자 장기기증 활성화를 위한 방법을 모색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B 광역시에 위치하고 있는 3개의 대학병원과 4개의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198명이었다. 자료수집기간은 2001년 7월 1일부터 8월 1일까지이었으며, 자료수집 방법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자료는 300부를 배부하여 그 중 198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도구는 대상자의 제 특성 18문항,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 17문항,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 45문항 등 총 8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중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정도의 측정도구로는 정(2001)이 사용한 뇌사에 대한 지식 측정도구와 주(1995)가 사용한 뇌사와 기증에 대한 지식측정도구를 기초로 구성한 것이고,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정도 측정도구로는 주(1995)가 사용한 장기기증과 뇌사에 대한 태도 측정도구와 하(2001)가 사용한 도구를 기초로 구성한 것으로 긍정적 태도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 .881, 부정적 태도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 .664이었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PC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평균평점 및 표준편차, t-test, ANOVA와 Scheffe test 및 Factor Analysis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정도는 ‘암세포에 침범된 장기나 전염성 병균에 감염된 장기는 기증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아는 경우가 94.9%로 가장 높았고, ‘뇌사판정 업무는 뇌사판정 기관의 요건을 갖추어야 한다’는 것을 아는 경우가 21.7%로 가장 낮았다. 2) 대상자의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긍정적 태도정도는 총 평균평점이 3.753점, 표준편자 3.398(최소 1점, 최고 5점)로 중간 정도로 나타났다. 각 요인별 긍정적 태도정도는 ‘학교교육과정에 포함’요인이 가장 높았고(4.150±0.539), 긍정적 태도정도가 가장 낮은 요인은 ‘뇌사시 장기기증 의사’요인(3.274±0.561)이었다. 그리고 대상자의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부정적 태도정도는 총 평균평점이 2.915점, 표준편자 0.472(최소 1점, 최고 5점)로 중간 정도로 나타났다. 각 요인별 긍정적 태도정도는 ‘장기기증 권유의 부담’요인이(3.512 0.584) 가장 높았고, 부정적 태도정도가 가장 낮은 요인은 ‘종교와 생명의 존엄성에 위배’요인(2.503±0.635)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제 특성에 따른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긍정적 태도정도는 근무처(t=2.303, p=0.022), 평균 가동병상수(F=4.051, p=0.019), 근무병동(F=4.012, p=0.008), 근무병원의 장기이식 시행여부(t=2.077, p=0.039)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대상자의 제 특성에 따른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부정적 태도는 근무처(t=3.190, p=0.002)와 평균 가동병상수(F=4.859, p=0.009) 및 근무병원의 장기이식 시행여부(t=2.488, p=0.014)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대상자의 뇌사자 장기기증의 지식정도에 따른 긍정적 태도정도는 뇌사자의 장기를 떼어내는 것을 법적으로 인정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는 경우(p=0.014), 가장 이상적인 장기기증자는 두부손상으로 뇌사상태에 있는 20대 성인이라는 것을 알고 있는 경우(p=0.034)에서 높았고, 부정적 태도에는 뇌사자의 장기를 떼어내는 것을 법적으로 인정하고 있다는 것을 모르는 경우(p=0.050)에서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간호사의 태도정도는 중간 정도로 나타나 비교적 긍정적이었다. 따라서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이해와 인식을 높이고, 수용적인 태도 전환을 위해 간호사 교육과정에 이에 대한 교육내용이 포함되어야 하며, 뇌사와 장기기증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으로 뇌사자 장기기증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 뇌사자 장기기증 활성화를 위한 끊임없는 대국민 홍보가 필요하다고 본다. 중심단어 : 뇌사자 장기기증,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 Development of medical science such as modern diagnostic procedure, drugs, operative methods, artificial medical devices and nursing science has prolonged so much of human's life span. Korea has official acknowledged the brain death through the law of human organ transplantation and donation since February 9th, 2000 and legalized the organ extraction from the brain dead person. Notwithstanding the positive prospect for more organ donation, numbers of donors from the brain-dead are going decrease than before the legalization of brain death, so many a terminal organ failure patients is waiting for organ donors, Many people who concerned this be done such as medical doctors, biomedical scientists, nurses, patients and families. Nurses especially confront many patients/families who try to help them. There are too many waiting organ recipients but too less organ donators is one of basic problems in organ transplantation in Korea. For increasing of organ donation in brain dead donors, the potentially brain dead donors grasps things quickly, has to be achieved organ donation. For a solution of the problem, the role of nurses who cares of patient directly is very important. Therefore as investigation of nurse's knowledge and attitudes on organ donation in brain dead donors, to try to find the method solving of the problems, this study attempt.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were the 198 nurses of university hospital and general hospital in B city an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1st July, 2001 to the 1st August, 2001. the data. The inquiry used for the research was modified for nurses from three previous ones, Chung Young-Soon's(2001), Park, Bong-Im's(2001), and Ha, Hee-Sun's(2001). It consists of 80 items questionnaires with general characteristics items 18, measuring knowledge of organ donation in brain dead donors 17 items, and attitudes of organ donation in brain dead donors 45 items. The measuring and the assessment of the results has been analyzed with SPSS/PC program by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mean point, t-test, ANOVA, Scheffe test and Factor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ers : 1) The knowledge among the nurses about organ donation in brain dead was that ‘know the fact of organ invasion cancer cell or infected by microorganism are not able to donate’ is the highest score(9439%). Meanwhile the lowest score is 21.7%, ‘The institute to decide the brain death must be have all factors to decide the brain death.’ 2) The total mean point score of positive attitudes about organ donation in brain dead donors was 3.753±3.398(min 1, max 5). The total mean point score of negative attitudes about organ donation in brain donors was 2.915±0.472(min 1, max 5). 3)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positive attitudes of organ donation in brain dead donors were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kinds of hospital’(t=2.303, p=0.022), ‘bed numbers of hospital using actually’(F=4.051, p=0.019), ‘ward’(F=4.012, p=0.008) and ‘yes or no as organ transplantation hospital’(t=2.077, p=0.039).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the negative attitudes of organ donation in brain dead donors were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kinds of hospital’(t=-3.190, p=0.002), ‘bed numbers of hospital using actually’(F=4.859, p=0.009), and ‘yes or no as organ transplantation hospital’(t=-2.488, p=0.014). 4) According to nurse's knowledge and positive attitude, there were statistically meaning differences in ‘know about Korean's government permit the organ transplantation from brain death donors’(p=0.014), ‘best organ donor is aged 20 years of young people in brain dead state from head injury’(p=0.005). There was statistically meaning difference between knowledge and negative attitude in ‘don’ know about Korean's government permit the organ transplantation from brain death donors'(p=0.050). The results of this study might help to the nurses who are concerning organ sharing and make effective interventions and educations to facilitate the decision making process for organ donation in brain dead donors of families. Key Words : Organ donation in brain dead donors, Knowledge of organ donation in brain dead donors, Attitude of organ donation on brain dead donors

      • 뇌사자의 장기기증에 대한 간호사의 지식과 태도

        방성애 인제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국문초록 뇌사자의 장기기증에 대한 간호사의 지식과 태도 방 성 애 (지도교수 문 덕 환)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관리학과 목적 : 간호사를 대상으로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조사하여 뇌사자 장기기증 활성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 뇌사자 장기기증 활성화를 위한 방법을 모색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방법 : 연구의 대상자는 B 광역시에 있는 대학병원과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300명이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2년 2월 1일부터 2월 28일까지 이었으며, 자료수집 방법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6문항, 뇌사자 장기기증경험 4문항,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 17문항,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 45문항 등 총 82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18.0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평균평점 및 표준편차, t-test, ANOVA 및 Factor Analysis로 분석하였다. 결과 : 대상자의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 정도는 ‘뇌사 판정 업무는 뇌사판정기관의 요구조건을 갖추어야 한다.’는 것을 아는 경우가 97%로 가장 높았고, ‘뇌사상태 시 기증할 수 있는 장기는 췌장, 심장. 폐이다.'를 아는 경우가 45.4%로 가장 낮았다 대상자의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긍정적 태도정도는 평균평점이 3.667±0.545(최소 1점, 최고 5점)로 약간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대상자의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부정적 태도 정도는 총 평균 2.918±0.585(최소 1점, 최대 5점)로 중간 정도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긍정적 태도정도는 성별(t=2.362, p=.000), 근무처(t=-.905, p=0.47), 장기이식 시행여부(t=-.905, p=.047) 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부정적 태도 정도는 근무처(t=-2.940, p=.000), 장기이식 시행 여부(t=-2.940, p=.000)에 따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간호사의 태도 정도는 중간 정도로 나타나 비교적 긍정적 이었다. 따라서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이해와 인식을 높이고, 수용적인 태도 전환을 위해 간호사 교육과정에 이에 관한 교육 내용이 포함되어야 하며,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으로 뇌사자 장기기증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 뇌사자 장기기증 활성화를 위한 끊임없는 홍보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중심단어: 간호사, 뇌사자 장기기증, 지식, 태도

      • 중환자실 간호사의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간호경험, 지식, 태도 및 중재역할 자신감

        손지영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79

        Purpos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ntensive care nurses' experiences, knowledge, attitudes and role-confidence and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knowledge, attitudes and role-confidence. Methods : This study enrolled 260 intensive care nurses who worked at hospitals earmarked under HOPO in B-city, Y-city and U-city from the 20th of December, 2014 to the 13th of March, 2015. In this study, the knowledge in organ donation instrument which was developed by 6 major preceding researchs was used to examine the kowledge of intensive care nurses and the attitudes in organ donation instrument which was developed by Ju(1995) revised by Lee(2003) was used to measured attitudes status. the role-confidence which was developed by Roels(2010) was used. Data analyzed descriptive sta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by SPSS WIN 20.0 program. Results : Kowledge of participants was 9.77±3.65 out of a total of 20points. The knowledge towards organ dona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age(F=9.00, p<.001), work position(F=2.46, p=.046), career(F=3.84, p=.010), career in intensive care unit(ICU)(F=3.75, p=.021), own way of funeral(t=2.81, p=.005), experience of caring brain dead donor(t=-2.09, p=.023), experience of being taught about organ donation(t=3.00, p=.004), experience of caring recipients for organ donation(t=2.28, p=.024). The average score of attitudes was 3.41±0.42. The attitudes towards organ donation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religion(t=-2.47, p=.014), own way of funeral(t=2.24, p=.026), signed in KONOS(t=3.35, p=.002), own willing of organ donation(F=46.30, p<.001), experience of caring brain dead donor(t=-4.79, p<.001), experience of being taught about organ donation(t=2.20, p=.029). Role-confidence of participants was 1.80±1.27 out of a total of 4 points. The role-confidence was significantly difference age(F=6.70, p=.019), work position(F=5.27, p=.006), marriage(t=-2.66, p=.008), own children(t=2.19, p=.033) and signed in KONOS(t=2.66, p=.008). The knowledge status of participant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attitudes(r=0.365, p<.001) and role-confidence(r=0.299, p=.005). The attitud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role-confidence(r=0.408, p<.001). Conclusion : Intensive care unit nurses's understanding on reality, procedure and legal knowledge about organ transplantation is low-side. And they also show a low-side of confidence as an organ donation mediator and feel hard to mention about organ donation to brain dead donor familiy. But their attitude toward organ transplantation is positive. From the research result It's necessary to provide a well-organized program for ICU nurses like a providing more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process of organ donation from brain dead donor or beneficiary care otherwise a simulation as an educational purpose so that intensive care unit nurses are available to provide exact information to brain dead donor family.

      • 뇌사자의 장기기증에 대한 가족동의수준 관련요인

        정영훈 인제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Objective: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level of family consent for human organ donation by brain dead patients and identify the factors to affect the family consent. Methods: The results of a survey of self-reported questionnaires from a convenient sample of 1,452 adult men and women who live mainly in Seoul metropolitan area were analyzed. The research analysis model was built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by adding a socio-cultural dimension.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related to the level of family consent. Results: The level of family consent of the respondents themselves as a family was positive, but the consent of other families' for the respondent's donation was relatively passive. The study showed that attitudes, norms, behavioral control, and socio-cultural factors affected on the family consent. Normative motivation, body burial concepts, faith for organ donation, environmental influences, a will against donation, religion and income level were major factors. Compared with the norms and behavior controlling factors, attitudes and socio-cultural factors were relatively less influential. The motivation of family consent driven by recommendation of doctors or religious leaders was the strongest factor among those influential factors. The intention to persuade the family to agree the donation and the dialogue were the next strongest factors. Older aged persons(at least 50 years old) were higher at the level of family consent than the persons under 50. Conclusion: There need institutional efforts to promote the family consent for organ donation, such as education and training for doctors in the hospital, distribution of manual for doctors and hospital evaluation for the performance of family consent. The religious organization's campaign for organ donation needs to focus on the family consent related materials. Building network for organ donation and family consent centered on the persons aged 50 and over(baby boomers) will contribute to the activation of family consent for organ donation. 연구목적: 본 연구는 뇌사자의 장기기증에 관한 가족동의 수준을 파악하고 그에 관련된 요인을 규명하려는 것이다. 연구방법: 계획된 행위이론에 사회문화적 차원을 추가한 분석모형을 구축하였으며 수도권에 거주하는 성인 남녀 1,452명의 편의표본으로부터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가족동의수준 관련요인은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규명하였다. 연구결과: 장기기증 가족동의 수준은 응답자 본인이 가족으로서 동의하는 것은 전반적으로 긍정적이었으나 본인의 기증에 대해 가족이 동의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소극적이었다. 태도나 규범, 행위통제, 사회문화적 변수들이 모두 가족동의 수준에 영향이 있었다. 규범적 동의동기, 신체매장선호, 장기기증 믿음, 주위영향, 기증반대, 종교와 소득수준 등이 주요 영향요인이었고, 규범과 행위통제적 요인에 비해 태도와 사회문화적 요인은 상대적으로 영향력이 적었다. 동의동기 중 '의사나 신앙지도자의 기증권유에 동의동기가 발생'한 요인이 영향력이 가장 컸으며 가족의 설득의지나 대화 등이 다음으로 강하였다. 사회문화적 요인은 태도, 규범, 행위통제 등을 매개로 가족동의수준에 영향이 있었으며, 50세 이상 고연령층이 50세 미만보다 세대별 가족동의수준이 더 높았다. 결론: 가족동의수준 제고를 위해 병원내 의료진에 대한 교육훈련, 매뉴얼 제작?배포, 병원평가 등의 제도적 노력과 함께 종교단체 중심의 장기기증 활성화 캠페인에서 가족동의 관련 내용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 그리고 50세 이상 고연령층(베이비부머)을 중심으로 장기기증과 가족동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이 가족동의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다.

      • 뇌사 진단에 있어 경두개골 도플러의 진단적 의의

        정동문 인제대학교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14

        국문초록 뇌사진단에 있어 경두개도플러의 진단적 의의 정 동 문 (지도교수 : 정 용 태)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외과학 교실 목적 : 뇌사환자에서 경두개도플러의 진단의 유용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996년 1월부터 2009년 9월말까지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신경외과학교실에 입원치료를 시행한 환자중 뇌사환자중 경두개도플러 검사를 시행한 522례를 대상으로 경두개도플러의 형태, 혈류속도, pulsatility index를 분석하였다. 결과 : 남녀비는 1.7:1, 50대가 127례, 40대 121례, 30대 112례 순이었고, 뇌사의 원인은 뇌지주막하출혈이 139례(26.6%), 외상성경막하출혈 145례(27.8%)등이었고, 뇌사때 뇌도플러의 형태는 reverberating flow, systolic peak wave, zero flow 순이었고, 중대뇌동맥의 혈류는 10cm/sec 미만, pulsatility index는 2.5 이상이었다. 결론 : 뇌사자에서 경두개도플러 초음파 검사는 뇌사진단의 비침습적으로 유용한 진단방법이다. 중심단어 : 뇌사진단, 뇌사자, 경두개도플러 Abstract Transcranial Doppler Ultrasound in patients with Brain Death Dong-Moon Jeong (Director : Prof. Yong Tae Jung, M.D.) Department of Medicine, Graduate School Inje University Objective :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the transcranial doppler ultrasound in the brain death patients. Methods : Transcranial doppler ultrasound was performed in 522 patients with the brain death by use of the transcranial doppler ultrasound from January, 1996 to September, 2009. In all cases, transcranial doppler ultrasound patterns, velocity, pulsatility index were analysed. Results : Male to female was 1.7:1, common ages were fifty : 127 cases, fourty : 121 cases, thirty : 112 cases, etc. Causes of the brain death were spontaneous subarachnoid hemorrhage 139(26.6 %), traumatic subdural hematoma 145(27.8 %), etc. The patterns of the brain death were reverberating flow, systolic peak wave, zero flow. Velocity of the middle cerebral artery was below 10 cm/sec., pulsatility index over 2.5. · Conclusion : Transcranial doppler ultrasound is very useful noninvasive diagnostic method for the brain death. Key Words : Transcranial doppler, ultrasound, Brain death.

      • 윤리적 간호역량과 사회지능이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중환자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이수미 을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51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윤리적 간호역량과 사회지능이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22년 7월 5일부터 8월 15일까지 이루어졌고, 연구 대상은 D시에 위치한 500병상 이상의 3개 대학병원 중환자실에서 6개월 이상 근무간 간호사 16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 도구인 윤리적 간호역량은 Lechasseur 등(2018)의 간호사의 Ethical Competence Model을 사용하여 Kang과 Oh (2020)가 개발한 Ethical Nursing Competence Self-rating Scale for Clinical Nurses (ENC-S-CN)도구로 총 20문항의 Likert 4점 척도를 이용하였다. 사회지능은 Goleman & Boyatzis (2008)의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척도를 바탕으로 Yeu (2012)가 구성한 총 24문항의 Likert 5점 척도를 이용하였다.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는 Sung 등(2006)이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구성한 총 33문항의 Likert 5점 척도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 통계,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와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는 연령(F=3.635, p=.014), 최종학력(t=-2.137, p=.034), 임상경력(F=5.822, p=.004), 중환자실 경력(F=5.824, p=.004), 직위(t=-3.254, p=.001), 자신의 장기기증 희망 여부(t=7.409, p<.001), 가족의 장기기증 희망여부(t=5.993,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는 사회지능(r=.160, p=.039)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윤리적 간호역량과의 상관관계는 유의하지 않았다. 윤리적 간호역량과 사회지능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457, p<.001)가 있었다. 결과적으로 사회지능이 높을수록 뇌사자 장기기증의 대한 태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사회지능(β=.143, p=.026),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직위(β=.251, p<.001), 자신의 장기기증 희망 여부(β=.511, p<.001)였고, 이 변수들이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를 32.7% 설명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중환자실 간호사의 사회지능이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의 중요한 영향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의료기관에서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사회지능 향상을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전략적으로 적용한다면 뇌사자 장기기증 활성화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to identify the effects of ethical nursing competency and social intelligence of intensive care unit nurses on their attitude toward organ donation for brain dead patients. Data collection is from July 5 to August 2022 made up to the 15th,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68 nurses who worked for more than 6 months in the intensive care unit of three university hospitals with more than 500 beds located in D city and conducted a survey. In this study, investigate ethical nursing competence, a total of 20 questions of Likert 4-score scale was used as an Ethical Nursing Competence Self-rating Scale for Clinical Nurses (ENC-S-CN) tool developed by Kang and Oh (2020) using the nurse's Ethical Competence Model by Lechassur et al. (2018). Social intelligence used the Likert 5-score scale of a total of 24 questions composed by Yeu (2012) based on the measurement scale used in the study of Goleman & Boyatzis (2008). Attitudes toward organ donation from brain dead people were constructed by Sung et al. (2006) to measure attitudes toward organ donation from brain dead people. A total of 33 questions were used on a Likert 5-score scale. the data collecte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WIN 26.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attitudes towards brain death organ dona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age (F=3.635, p=.014), education level (t=-2.137, p=.034), clinical experience (F=5.822, p=.004), intensive care unit experience (F=5.824, p=.004), position (t=-3.254, p=.001), organ donation hope (t=7.409, p<.001), and family organ donation hope (t=5.993, p<.001). The attitudes towards brain death organ don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ocial intelligence (r=.160, p=.039), and the correlation with ethical nursing competence was not significan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thical nursing competence and social intelligence. As a result, the higher the social intelligence, the higher the attitudes towards brain death organ donation. Factors influencing on attitudes towards brain death organ donation included hope for organ donation (β=.511, p<.001), position (β=.251, p<.001), social intelligence (β=.143, p=.026). These variables explained 32.7% of attitudes towards brain death organ donation.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social intelligence of intensive care unit nurses is an important influencing factor for attitudes towards brain death organ donation. Therefore, if medical institutions develop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to improve the social intelligence of intensive care unit nurses and apply them strategically, it will be helpful to promote brain-dead organ donation.

      • 일개 병원 직원의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지식, 태도와 교육요구

        김미림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51

        목적 : 본 연구는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 활성화를 위하여 일개 병원직원을 대상으로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지식, 태도와 교육요구를 조사하여 교육 프로그램의 기초 자료를 개발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방법 : 연구 대상자는 B 광역시에 소재한 일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근속년수 1년 이상의 병원직원을 32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5년 7월 25일부터 9월 15일까지 이었으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9문항,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지식 20문항,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태도 40문항,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교육 요구 7문항 등 총 8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χ²-test, t-test, one-way ANOVA, 사후분석은 Scheffé test, 피어슨 상관계수(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지식은 20점 만점에 13.31(3.20)점이었고, 정답률 67.4%이었다.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지식의 정답률이 높은 문항은 ‘장기기증의 의미’ 94.1%, ‘장기기증의 적응증이 되지 않는 경우’로 93.8%, ‘장기수급 불균형’ 93.1%이며 오답률 빈도가 높은 문항은 ‘뇌사판정위원회의 전문의’ 95.6%, ‘뇌사판정 조건’ 74.5%, ‘뇌사판정위원회 구성’ 60.4%이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지식은 교육수준(F=7.11, p<.001), 근무부서(F=4.50, p<.001), 입원 환자의 장기이식 경험(F=22.80, p<.001), 뇌사자 장기이식 교육받은 경로(F=4.11, p=.010)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태도점수는 5점 만점에 평균 3.59(0.36)이었다.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태도에서 점수가 높은 문항은 ‘장기기증은 타인에게 선을 행하는 것’ 4.39(0.60), ‘국가적 차원에서 장기기증의 제도화’ 4.29(0.71), ‘장기이식은 장기수혜자 삶의 질 향상에 기여’ 4.26(0.62) 순 이었고, 점수가 낮은 문항은 ‘뇌사 장기기증 권유의 부담감’ 2.01(0.83), '이식의료비용에 따라 빈부의 차이로 인한 생명가치 좌우 가능성‘ 2.16(0.84), ‘사람이 사람의 죽음의 판단하는 것에 대한 실수 가능성’ 2.73(0.99) 순이었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태도는 연령(F=9.35, p<.001), 교육수준(F=3.54, p=.008), 근무경력(F=5.69, p=.001), 입원환자의 장기이식경험(F=11.06, p<.001), 교육을 받은 경우에 교육받은 횟수(F=4.02, p=.023)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지식에 따른 태도에서는 뇌사와 식물인간의 차이(t=2.46, p=.014), 뇌사는 회복이 불가능하다는 것(t=3.01, p=.003), 뇌사 상태 시 여러 종류의 장기를 이식할 수 있는 것(t=6.37, p=<.001), 이상적인 장기기증자는 두부손상으로 뇌사 상태에 있는 20대 성인이라는 것(t=3.34, p=.001), 뇌사의 법적 사망인정(t=4.35, p=<.001), 뇌사자 장기이식의 법적 인정(t=4.61, p=<.001), 뇌사판정위원회의 구성(t=0.32, p=.021), 뇌사판정조건(t=2.56, p=.011), 뇌사판정업무는 뇌사판정 기관의 요건을 갖추어야 하는 것(t=2.23, p=.030), 장기수요 불균형(t=3.18, p=.002), 장기기증의 참의미(t=3.05, p=.006)를 알고 있는 경우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6. 대상자의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지식과 태도 간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r=.30, p<.001) 7. 대상자의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일반적 특성에서 교육을 받은 경우가 20.2%, 교육을 받지 않은 경우가 79.8%였고, 교육요구에서 교육이 95.6%가 필요하며, 90.3%가 참여하겠다고 응답하였다. 원하는 교육의 형태는 ‘공식적 교육’ 65.7%, 교육시간은 ‘1시간’이 40.5%, ‘1시간미만' 39.9%순이었고, 교육 시간대는 ‘15:00-18:00’ 51.4%, ‘09:00-12:00’ 26.5%로 나타났다. 뇌사자 장기이식과 관련하여 받고 싶은 교육 내용에서는 ‘뇌사’에 관한 것 46.4%, ‘장기 및 조직기증 결정과 관련한 것’ 36.1%, ‘장기 및 조직기증 동의 얻는 것’ 25.2%의 순으로 응답하였고, 뇌사자 장기이식이 증가되기 위한 개선점에서는 ‘범국민적인 캠페인 활동을 통한 적극적인 홍보’가 55.1%, ‘장기기증자에 대한 장려 및 지원확대’가 35.8%, ‘의료인교육 강화’가 23.4% 순으로 응답하였다. 8. 의료인과 비 의료인의 뇌사자 장기이식의 교육내용에서는 커뮤니케이션 기술이 의료인은 20.4%(3명), 비 의료인은 8.2%(9명)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χ²=6.34, p=.008). 뇌사, 장기 및 조직기증 동의를 얻는 것, 장기 및 조직기증 결정과 관련된 것, 기증자를 판별 방법, 기증자 관리 방법, 병원에서 장기기증 조정, 보호자의 슬픔 상담의 문항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이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병원직원들의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지식의 정답률은 67.4%, 태도의 평균 점수는 3.59(0.36)이었다. 교육을 받은 경험은 20.2%로 교육이 부족한 실정임을 알 수 있으며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교육요구에서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교육요구와 참여의사는 각각 95.6%, 90.3%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따라서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며 병원 내 직원교육프로그램에 뇌사자 장기이식 교육과정이 포함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교육요구 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병원직원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으며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체계적인 교육이 제공되도록 하여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올바른 지식의 확립과 긍정적인 태도로의 전환을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basic data for education programs by examining knowledge, attitude and educational needs of hospital staff on organ transplantation from brain-dead donors, in order to promote positive awareness about organ transplantation from brain-dead donors. Method: Research subjects are 321 hospital employees who have been working for at least 1 year at a general hospital located in B City. Data was collected from July 25 to September 15, 2015,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consists of total 86 items: 19 items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20 items on the knowledge about organ transplantation from brain-dead donors, 40 items about the attitude toward organ transplantation from brain-dead donors, and 7 items on the educational needs on organ transplantation from brain-dead dono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real numbers,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χ²-test,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for ex-post analysis,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the SPSS 18.0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Knowledge about organ transplantation from brain-dead donors scored 13.31(3.20) points out of 20, and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was 67.4%. Items with high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in knowledge about organ transplantation from brain-dead donors were ‘meaning of organ donation’ (94.1%), ‘cases in which there are no indicators for organ donation’ (93.8%), and ‘imbalance of supply and demand of organs’ (93.1%). Items with high frequency of incorrect answers were ‘specialists of the brain death decision committee’ (95.6%), ‘conditions for brain death decision’ (74.5%), and ‘organization of the brain death decision committee’ (60.4%). 2. Knowledge about organ transplantation from brain-dead donor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education level (F=7.11, p<.001), department (F=4.50, p<.001), experience of organ transplantation by inpatients (F=22.80, p<.001), and course of education on organ transplantation from brain-dead donors (F=4.11, p=.010). 3. Attitude toward organ transplantation from brain-dead donors scored an average of 3.59(0.36) points out of 5. Items with high scores in the attitude toward organ transplantation from brain-dead donors were ‘donating organs is doing good deed for others’ 4.39(0.60), ‘systemization of organ donation at the national level’ 4.29(0.71), and ‘donating organs contributes to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for recipients’ 4.26(0.62). Items with low scores were ‘burden of suggesting organ transplantation to brain-dead patients’ 2.01(0.83), 'possibility of determining life value due to the rich-poor gap according to transplantation costs‘ 2.16(0.84), and ‘possibility of making a mistake in deciding on another person’s death’ 2.73(0.99). 4. Attitude toward organ transplantation from brain-dead donor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F=9.35, p<.001), education level (F=3.54, p=.008), work experience (F=5.69, p=.001), experience of organ transplantation by inpatients (F=11.06, p<.001), and number of participated education programs (F=4.02, p=.023). 5. Attitude according to knowledge about organ transplantation from brain-dead dono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when the subjects were aware of the following: the difference between brain death and vegetative state (t=2.46, p=.014), impossible recovery of brain death (t=3.01, p=.003), possibility of transplanting various organs in brain death (t=6.37, p=<.001), ideal organ donors are adults in their 20s in brain death due to head injuries (t=3.34, p=.001), legal recognition of brain death (t=4.35, p=<.001), legal recognition of organ transplantation from brain-dead donors (t=4.61, p=<.001), organization of the brain death decision committee (t=0.32, p=.021), conditions for brain death decision (t=2.56, p=.011), need for brain death decision tasks to meet the requirements of brain death decision agencies (t=2.23, p=.030), imbalance of supply and demand of organs (t=3.18, p=.002), and true meaning of organ donation (t=3.05, p=.006). 6.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knowledge and attitude of the subjects regarding organ transplantation from brain-dead donors, which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r=.30, p<.001) 7.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bout organ transplantation from brain-dead donors, 20.2% of the subjects received education and 79.8% did not. In educational needs, 95.6% responded that education is needed, and 90.3% responded that they would participate. The desired form of education was ‘formal education’ (65.7%), the desired education hour was ‘1 hour’ (40.5%) and ‘less than 1 hour' (39.9%), and the desired education time was ‘15:00-18:00’ (51.4%) and ‘09:00-12:00’ (26.5%). The desired education content regarding organ transplantation from brain-dead donors was ‘brain death’ (46.4%), ‘matters related to decision of organ and tissue donation’ (36.1%), and ‘getting consent for organ and tissue donation’ (25.2%). Points to improve in order to increase organ transplantation from brain-dead donors were ‘active publicity through pan-national campaign activities’ (55.1%), ‘encouragement and increased support for organ donors’ (35.8%), and ‘reinforcement of education for medical personnel’ (23.4%). 8. Education contents of organ transplantation from brain-dead donors for medical and non-medical personnel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χ²=6.34, p=.008) in communication technology, with medical personnel at 20.4% (3 persons), and non-medical personnel at 8.2% (9 person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tems such as brain death, getting consent for organ and tissue donation, matters related to decision of organ and tissue donation, discrimination of donors, management of donors, mediation of organ donation at hospitals, and counseling for the grief of guardians. Conclusion: In sum,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in the hospital staff’s knowledge about organ transplantation from brain-dead donors was 67.4%, and the average score of attitude was 3.59(0.36). Only 20.2% of the subjects received education, indicating that there is insufficient education. In educational needs for organ transplantation from brain-dead donors, the educational needs and intention for participation were high with 95.6% and 90.3% respectively.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education on organ transplantation from brain-dead donors, and training programs for hospital staff must include the curriculum on organ transplantation from brain-dead donor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provides the basic data for developing effective hospital staff training programs based on the results of educational needs for organ transplantation from brain-dead donors. It is necessary to make multilateral efforts to establish proper knowledge and positive attitude toward organ transplantation from brain-dead donors by providing systematic education.

      • 간호사의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태도와 호스피스완화의료에 관한 지식

        이광흠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51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의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태도와 호스피스완화의료에 관한 지식의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변수 간의 관계를 확인하여, 뇌사자 및 가족을 위한 지지적인 간호중재를 개발하고 뇌사자 장기이식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9년 12월 01일부터 2020년 3월 31일까지 실시하였으며, B광역시에 소재한 3개 대학병원의 1년 이상 경력을 가지고, 호스피스완화병동 근무 및 전문 교과 과정을 이수하지 않은 간호사 중 편의 표출한 238명을 대상으로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태도 점수는 총점 5점 중 평균 3.63±0.76점으로 비교적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별로 뇌사를 죽음으로 인정(요인 2)이 평균 3.92±0.74으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고, 장기이식의 돌봄(요인 4) 3.84±0.69, 뇌사인정의 위험성(요인 3) 3.41±0.86, 뇌사 장기기증에 대한 수용(요인 1) 3.37±0.74순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호스피스완화의료에 관한 지식 점수는 평균 8.18±2.44점(20점 만점)이었으며, 문항별로 ‘통증조절에서 보조적 요법을 사용하는 것은 중요하다.’가 가장 높은 정답률을 보였다. ‘임종 시 환자 가족이 환자 곁을 지키는 것은 중요하다.’의 정답률이 가장 낮았으나 이는 우리나라 문화와 상반되는 정답이여서 제외하고 ‘위약을 사용하는 것은 어떤 유형의 통증 치료에는 적절하다.’가 가장 낮은 문항이었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태도는 성별(t=3.01, p=.003), 연령(F=2.88, p=.037), 최종학력(F=3.15, p=.045), 결혼 상태(t=-3.12, p=.002), 자녀여부(t=2.22, p=.027), 뇌사자 간호 경험(t=2.39, p=.018)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호스피스완화의료에 관한 지식은 최종학력(F=6.79, p<.001), 직위(F=4.38, p=.014)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대상자의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태도와 호스피스완화의료에 관한 지식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호스피스완화의료와 뇌사자 장기이식은 같은 법적 테두리에서 제도가 시행되고 있음에도 실제 호스피스현장에서는 관심을 받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존엄하고 품위 있는 죽음을 맞을 수 있도록 환자와 가족에게 돌봄을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호스피스 대상자와 더불어 뇌사자 및 사별가족도 돌봄 서비스의 수혜자가 된다고 하겠다. 즉 호스피스 서비스의 철학 및 윤리의 본래 취지에 따라 서비스 대상을 확장할 필요가 있으며, 나아가 뇌사와 관련된 죽음의 존엄성 유지, 장기이식 및 사별가족간의 갈등과 같은 윤리적 쟁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개선과 더불어 제도적인 보완을 위한 국가·정책적 차원의 지원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nurses attitudes toward brain-death organ transplantation and the degree of knowledge about hospice and palliative care, check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develop supportive nursing interventions for brain-death and family, and provide basic data for activating brain-death organ transplantation.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December 1, 2019 to March 31, 2020, and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conducted on 238 nurses who have more than a year of experience in three university hospitals located in B Metropolitan City and have not completed hospice and palliative ward and specialized curriculum.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and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the SPSS/WIN 25.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subject's attitude toward brain-death organ transplantation was relatively positive, averaging 3.63±0.76 out of 5 points, and by sub-factor, brain-death was recognized as death (factor 2) with the highest average of 3.92±0.74, the care of organ transplantation (factor 4) was 3.84±0.69, the risk of brain death recognition (factor 3) was 3.41±0.86, and the acceptance of brain death organ donation (factor 1) was 3.37±0.74. 2. The subject's knowledge score o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averaged 8.18±2.44 out of the total score of 20, and the question 'Using auxiliary therapy in pain control' showed the highest correct answer rate. 'It is important for the patient's family to stand by the patient when dying' had the lowest correct answer rate, but this was contrary to Korean culture so it was be excepted. The lowest question was 'Using placebo is appropriate for any type of pain control'. 3. The difference in attitudes toward brain-death organ transplanta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is gender (t=3.01, p=.003), age (F=2.88, p=.037), final education (F=3.15, p=.045), state of marriage (t=-3.12, p=.002), child status (t=2.22, p=.027), brain-death experience (t=2.39, p=.018). 4.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knowledge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depending on the final educational background (F=6.79, p<.001), and position (F=4.38, p=.014). 5.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s attitude toward brain-death organ transplantation and knowledge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has shown that the two variables are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The above results show that hospice palliative care and brain-death organ transplantation are not receiving attention at the actual hospice site even though the system is in place under the same legal framework. In terms of providing care to patients and their families so that they can die with dignity and value, brain-death and bereavement families as well as those subject to hospice care will also benefit from the care service.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of the service in accordance with the original purpose of the philosophy and ethics of hospice service. Furthermore, in order to resolve ethical issues such as maintaining the dignity of death related to brain-death, organ transplantation and conflicts between separated families, national and policy support for institutional supplementation is required along with improving nurses awareness of organ transplantation of brain-dea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