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노인의 치아 및 생활습관에 따른 영양섭취 상태

        문서원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dental health status (dentures status, implants status) and lifestyle on nutrient intake of elderly people in 133 elderly people (male=68, female=65) living in Daegu area. As a result of nutrient intake analysis, nutritional analysis of vitamin D, calcium, potassium and magnesium intake in both men and women, we found that less than standard of KDRIs in 2015, which stated intake of 75%. In implant, mal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vitamin B2, and femal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protein, vitamin D, vitamin B2, niacin, vitamin B6, and potassium intake no implant group than implant group. In teeth stress, male were significantly lower in energy, carbohydrates, fat, protein, vitamin A, vitamin C, vitamin B1, vitamin B2, niacin, vitamin B6, folic Acid, calcium, potassium, magnesium, iron and zinc, and female significantly lower in iron and zinc intake in stress group than no stress group. In the number of breakfast, mal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vitamin C, vitamin B1, niacin, vitamin B6, folic acid, calcium, phosphorus, potassium, zinc intake, and in femal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energy, carbohydrates, protein, vitamin E, vitamin B1, niacin, sodium, magnesium, iron, zinc intake when over the five times per week group than less the five times per week group. In conclusion, the nutrient intake of the elderly both men and women vitamin D, calcium, potassium, and magnesium intake was less than standard of KDRIs in 2015. Nutrient intak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teeth of the no implant group than in the implant group. The teeth stress was low and the number of breakfast was over the 5 times per week. 본 연구는 대구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 133명(남자 68명, 여자 65명)을 대상으로 노인의 치아 건강상태(틀니 유무, 임플란트 유무) 및 생활습관이 영양소 섭취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영양소 섭취량을 분석한 결과, 남녀 공통으로 2015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대비 75% 미만으로 섭취하는 영양소는 비타민 D, 칼슘, 칼륨, 마그네슘으로 나타났다. 임플란트를 한 경우보다 하지 않은 경우 남자는 비타민 B2, 여자는 단백질, 비타민 D, 비타민 B2, 니아신, 비타민 B6, 칼륨섭취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치아에 대한 스트레스가 있는 군이 없는 군에 비해 남자는 에너지,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비타민 A, 비타민 C, 비타민 B1, 비타민 B2, 니아신, 비타민 B6, 엽산, 칼슘, 칼륨, 마그네슘, 철, 아연 섭취가 유의적으로 낮았고, 여자는 철, 아연 섭취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아침을 주 5회 이상 섭취하는 남자는 탄수화물, 비타민 C, 비타민 B1, 니아신, 비타민 B6, 엽산, 칼슘, 인, 칼륨, 아연 섭취가 아침섭취 빈도가 주 5회 보다 낮은 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고, 여자 노인은 에너지, 탄수화물, 단백질, 비타민 E, 비타민 B1, 니아신, 나트륨, 마그네슘, 철, 아연섭취가 주5회 이상 섭취하는 군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결론적으로 노인의 영양소 섭취는 2015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에 비해 남녀 모두 모두 비타민 D, 칼슘, 칼륨, 마그네슘 섭취가 부족했다. 치아는 임플란트를 하지 않은 군이 영양소 섭취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치아 스트레스가 낮고 아침식사 횟수는 주 5회 이상으로 횟수가 많을수록 영양소 섭취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 서울시 노인종합복지관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감에 관한 연구

        강혜련 한서대학교 정보산업대학원 노인복지학과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research was regarding the effects of work stress and public support in relation to Seoul’s agel general welfare center employees’state of depression. Detailed research problems were: First, What is the current situations of agel general welfare center employees’ stress level, public support, and depression level? Second, Does agel general welfare center employees’ social environment property effects their work stress, public support, and depression level? Third, is the work stress and public support the direct cause of agel general welfare center employee’s depression level? To verify these research problems, SPSS 15.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percentage, comparison, and confidence. Also, t-test and oneway-ANOVA was used to observe the average difference and regression analysis. The summary of the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we looked at the agel general welfare center employees’ work stress, publicsupport, and depression level. The major cause of work stress was excess amount of labor by 3.291 points, followed by work complications with 3.207 points and workers’ identity crisis by 2.291 points. Looking at the public support level, it had an average of 3.65 points, which is higher than average(median). The depression level had an average of 2.22points, which is lower than the average(median). Therefore, agel general welfare center employees’ state of depression is fairly low. Also, higher the levels of work complications, work identity crisis, and the employees’excess amount of work indicated higher level of depression. On the other hand, the depression level was low when the employees’ received positive public support. Next, according to agel general welfare center employees’ social environment property ,different age groups had different work stress caused by work complications. The research showed college and graduate school graduates had more complications than the high school graduates. Groups of agel general welfare center employees who had the most excessive amount of labor were in their 20’s and 30’s, college and graduate school graduates, those with one to three years of experience, and employees with social worker license. Also, the excessive amount of labor was high when their were less than thirty employees in one agel general welfare center . Those who were social worker like secretary general and nurse, had the high level of excessive amount of labor. Looking at the agel general welfare center employees’ social environment property relation to the work identity crisis, those who received monthly salary of 2,010,000 won to 3,000,000 won had lower level of work identity crisis than the other groups. Looking at the experience level, employees with less than one year of experience had more work identity crisis than those who had eight or more years of experience. Third, studying the agel general welfare center employees’ social environment property public support level, those employees with social worker license receive high public support. Also, the social worker received more public support than social worker like secretary general and nurse. Lastly, we looked at agel general welfare center employees’work stress and public support in relation to their depression. The employees with high work complications had high level of depression. Those with high work identity crisis also had high level of depression. However, receiving public supports from surrounding community had positive effect of lowering the level of depression. 본 연구에서는 서울지역 노인종합복지관에 근무하는 종사자를 대상으로 하여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종합복지관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우울감의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노인종합복지관 종사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직무스트레스, 사회적지지, 우울감은 차이가 나는가? 셋째, 노인종합복지관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는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SPSS 1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상관관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t-test와 oneway-ANOVA를 통한 평균차이 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종합복지관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 사회적지지, 우울감의 실태를 살펴보면 직무스트레스 요인 중 역할과다가 3.291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역할갈등이 3.207점, 역할모호성이 2.291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를 살펴보면, 평균 3.65점으로 중앙값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다. 우울감 수준을 살펴보면, 평균 2.22점으로 중앙값보다 낮은 점수를 보였다. 즉, 노인종합복지관 종사자들의 우울감은 낮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노인종합복지관 종사자들은 역할갈등이 심할수록, 역할모호성이 높을수록, 역할과다가 심할수록 우울감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을수록 우울감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종합복지관 종사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직무스트레스의 차이에서 역할갈등을 살펴보면, 대졸 및 대학원졸 이상이 고졸에 비해 역할갈등을 가장 심하게 느끼고 있었다. 노인종합복지관 종사자의 역할과다 차이에서는 연령에서는 20대와 30대가 역할과다가 높았고, 학력에서는 대졸 및 대학원졸 이상이, 근무기간에서는 1년에서 3년이 역할과다가 높게 나타났으며, 사회복지사 자격증이 있는 경우가 역할과다가 높았으며, 직원수가 30명 이하인 경우가 역할과다가 높게 나타났으며, 종사자들의 직위를 살펴보면 일반사회복지사가 기타(사무국장, 간호사)보다 역할과다가 높게 나타났다. 노인종합복지관 종사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역할모호성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월평균 소득이 201만원에서 300만원인 종사자의 역할모호성이 다른 집단보다 낮았다. 근무기간을 살펴보면 1년미만의 근무를 한 종사자가 8년 이상의 근무를 한 종사자에 비해 역할모호성이 높았다. 셋째, 노인종합복지관 종사자들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 지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노인종합복지관 종사자의 사회복지사 자격증이 있는 경우에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위에 따라서는 사회복지사들이 기타(사무국장,간호사)의 경우보다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노인종합복지관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는 우울감에 영향을 살펴보면, 노인종합복지관 종사자는 역할갈등이 심할수록 우울감이 높고, 역할의 모호성이 높을수록 우울감이 높지만, 주변대인관계망으로부터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을수록 우울감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손자녀 양육 조모의 우울감에 관한 연구 : 일반 여성노인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장고운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역할이론과 생애 경로적 관점을 근거로 여성노인과 손자녀 양육에 참여하는 조모의 우울감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이들 두 집단에 대한 심리적 안녕감 증진방안과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 집단 여성노인의 손자녀 양육에의 참여도는 어느정도인가? 둘째, 일반 여성노인과 손자녀 양육 조모의 우울감의 수준은 어떠한가? 셋째, 일반 여성노인과 손자녀 양육 조모의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어떻게 다른가? 본 연구는 ‘고령화연구패널조사’의 1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독립변수는 손자녀 양육 참여 여부, 손자녀 양육 주당 평균 소요시간, 손자녀 양육 기간, 경제상태(주택의 자가 여부, 연간 총 가구소득, 주관적 경제상태), 건강상태(주관적 건강상태), 가족관계 특성(배우자 유무, 자녀와의 동거 여부), 사회적 지지(자녀와의 만남, 이웃·친구·친척과의 만남 여부, 사회활동에의 참여 여부), 사회인구학적 특성(거주지역, 연령, 교육수준)으로 이루어졌다. 조사대상은 제주도를 제외한 지역의 거주하는 자로 전체 분석대상은 4,724명이었으며, 그 중 손자녀 양육 조모는 406명이었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 이원분석, OLS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노인 중 지난 1년간 손자녀를 양육한 조모는 8.6%로 나타났다. 둘째, 일반 여성노인과 손자녀 양육 조모의 우울감의 수준은 임상적 기준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일반 여성노인의 경우, 주관적 건강상태, 주관적 경제상태, 배우자 유무, 연령, 사회활동에의 참여, 이웃·친구·친척과의 만남, 자녀와의 동거 여부, 주택의 자가 여부 순으로 나타났다. 손자녀 양육 조모의 경우에는 주관적 건강상태, 주관적 경제상태 순으로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연구결과를 통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일반 여성노인에게는 첫째, 고연령일수록 우울감의 수준이 높은 결과가 나타났기에 예방적 차원에서 비교적 저연령층부터 우울감을 다스릴 수 있는 프로그램을 진행해야 한다. 둘째, 경제상태에 따른 소득 지원 마련과 함께 건강 서비스의 제공의 확대가 필요하다. 셋째, 사회적 지지의 부재가 여성노인을 우울하게 만든다는 점에서 지역사회 수준에서 노인들이 적극적 활동에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이 있다. 손자녀 양육 조모에게는 첫째, 경제적 측면에서의 제도적 개입이다. 경제적으로 열악한 손자녀 양육 가정에게는 보다 현실적인 양육비 지원의 소득지원 방안을 제도적으로 마련해야한다. 둘째, 건강적 측면에서의 개입이다. 손자녀 양육 조모는 손자녀 양육에의 시간 투입으로 인해 자신의 건강관리를 할 시간의 여유가 없거나, 혹은 거동이 불편한 조모의 경우 지역사회와의 연계 하에 정기적인 방문간호 서비스 등의 지원을 하는 등의 방문서비스를 확대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This study examined factors influencing the depression of elderly women and grandmothers raising grandchildren based on the role theory and the life course perspective. Proposed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extent is the participating degree of raising grandchildren for elderly women, the study target group? Second, what is the level of depression among elderly women and grandmothers raising grandchildren? Third, how do the factors which influence the depression of elderly women and grandmothers raising grandchildren differ? This research utilized the first year material of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The survey target was people residing in Korea, excluding Jeju-Island, while the analysis target totaled 4,724 persons with 406 grandmothers raising grandchildren. Data analysis performed was descriptive statistics, two-way analysis, and multivariate OLS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grandmothers raising grandchildren among elderly women for last 1 year were 8.6%. Second, the average level of depression among elderly women and grandmothers raising grandchildren was revealed to be higher than the clinical depression cut-off point. Third, as the result of studying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with elderly women, it appeared in the order of subjective health status, subjective financial status, existence of spouse, age,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meeting with neighbor or friends or relatives, co-residence with children, and possession of a house. With grandmothers raising grandchildren, it appeared to influence depression in the order of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subjective financial status. Issue points through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Regarding elderly women, first, because of the result that showed an increase in the level of depression with the rise of age. Second, the expansion of health service provisions is necessary along with provisions of income support depending on financial status. Third, from the view that an absence of social support leads to depression among elderly women, program developments for inducing active participations of elderly people are necessary in the community level. Regarding grandmothers raising grandchildren, it is first a systemic intervention in the financial perspective. For raising grandchildren families with severe financial problems, income support methods of a more realistic childcare subsidy should be provided systematically. Second, it is intervention in a health aspect perspective. Grandmothers raising grandchildren do not have time to manage their own health because of the amount of time put into raising grandchildren.

      • 노인장기요양서비스 유형선택의 결정요인

        김금태 경북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시행되는 초기단계에서 노인장기요양서비스 이용을 결정하는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고,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원활하게 정착되기 위해서는 장기요양서비스 이용과 이용의향에 대하여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아는 것이 매우 중요하기에 노인들의 장기요양서비스 유형선택을 결정짓는 요인을 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모델은 기존 연구들에서 주로 이용한 영향요인에 대한 분석구조인 Anderson의 행동모델에 따라 독립변수로는 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각 요인들로 소인요인, 자원요인, 욕구요인에 노후와 장기요양에 대한 인식 및 부양에 대한 가치관 요인에 대한 부분을 추가시킨 변형된 행동모델을 이용하였고, 상주시와 문경시에 거주하는 노인장기요양보험 수급대상인 65세 이상의 노인과 향후 대상이 될 60세 이상인 노인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고, 수집된 설문지 중 217부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장기요양서비스의 유형선택에서 시설서비스 선택비율이 높았다. 둘째, 소인요인 중 종교가 노인장기요양서비스유형선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자원요인 중 주택형태와 소득만족이 노인장기요양서비스유형선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욕구요인 중 일상생활수행능력(ADL)과 수단적일상생활수행능력(IADL)이 노인장기요양서비스유형선택의 결정요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인식 및 가치관요인에서는 장기요양보호책임이 노인장기요양서비스유형선택의 결정요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정책적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부가 현재 설정하고 있는 시설서비스와 재가서비스에 대한 공급 비율의 정책적 재검토가 필요하다. 보건복지가족부가 2007년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을 제정하고 배포한 보도자료에 의하면 2008년 요양보험 대상을 노인인구의 3.1%인 15만 8천명으로 추계하면서 시설:재가의 비율을 37(59천명):62(99천명)로 잡았다. 그러나 본 조사에서 나온 결과는 시설:재가 수요가 59.5:40.5로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정책방향과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국가적 차원에서 잠정적 요양보호서비스 수요를 정확히 파악하여 시설인프라의 수요와 공급에 탄력적으로 대처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둘째, 노인장기요양서비스 대상자의 수요를 줄이기 위해 국가적 차원에서 노인들의 질환유형과 기능수준에 따른 의료와 재활 등 전문적 프로그램과 전 국민을 대상으로 건강한 노후를 보내기 위한 생활습관 개선 및 건강증진사업을 통해 노인성 질환들을 조기에 예방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노인장기요양서비스에 대한 평등한 접근을 위해서 현 소득수준이 낮은 노인층에게 일정수준의 서비스 욕구가 발생했을 경우 서비스에 대한 접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본인부담금의 비율의 조정이 필요할 것이다. 2009년 1월부터 차상위 의료급여대상자에서 건강보험으로 전환되는 대략 1만 5,000명에게 본인부담의 50%를 경감하는 등 저소득층에 대한 경감대상자를 확대 시행하고 있으나 감면 대상자의 폭 넓은 확대 시행이 필요할 것이다. 넷째, 장기요양보호에 대한 국가의 보다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 결과와 같이 가족의 부양에 대한 책임이 전적으로 자녀가 져야 한다는 전통적인 가치관에서 벗어나고 있고, 요보호노인과의 동거가족의 감소 및 장기요양서비스에 대한 전문성 강화 등에 따라 가족이 노인장기요양보호를 전적으로 맡기에는 한계가 있는 때문이다. 따라서 국가가 가족기능을 보충하여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장기요양보호에 대한 서비스의 질을 높이고 접근성을 높이기 더 적극적으로 개입해야 할 것이다. As the introduction of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led to the necessity of studies on factors determining the use of the long-term care service for the elderly in the early stage, and identification of the factors determining the use of and the intention to use the long-term care service is very important to the smooth settlement of the long-term care system,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ose factors which determine the type of long-term care service for the elderly. This study is based on Anderson's behavior model that is the analytical structure for influential factors widely used in existing studies. According to this model,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those factors affecting the use of service, such as predisposing factors, resource factors, and need factors. Perception of old age and long-term care, and value factors concerning the support of the elderly were added to the above factors to get a modified behavior model. Using this modified behavior model, 217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sent out to senior citizens living in Sangju and Mungyeong subject to the long-term care insurance who are 65 years of age or older, and those who are 60 years of age and older that will benefit from the long-term care insurance in the future, and their responses were analyzed with SPSS 12.0.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done for each model to identify the factors determining the selection of the type of long-term care service for the elderly. In model 1 the number of children, educational attainment and religion produc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hereas in model 2 the number of children, educational attainment, religion, housing type and income satisfaction produc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model 3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were produced by the number of children, educational attainment, religion, housing type, income satisfaction, ADL and IADL, while in model 4 religion, housing type, income satisfaction, ADL, IADL, and long-term care protection responsibility produc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The following policy implications were foun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seeing how 88.9% responded to the necessity of providing the elderly with a low educational level with easy-to-understand information about the long-term care service, revitalizing counseling service to enable them to express problems and needs related to long-term care, and the necessity of education regarding long-term care and protection, it will also be necessary to quantitatively increase the amount of information given by service providers so that the elderly can obtain information about long-term care. Second, when the Act on Long-term Care Insurance was enforced, 3.1% of the population was estimated to be subject to the long-term care insurance, and the ratio of the demands on institutional care to the demands on home care was assumed to be 37:62. However, this study found that the ratio is 59.5:40.5, which is different than the government policy. It seems necessary that the government should accurately estimate the tentative demands on long-term care and protection service, and flexibly respond to the demand and supply of institutional infrastructure. Third, seeing that those respondents who thought that the responsibility for long-term care and protection rests with the society and the stat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election of institutional service, they are free from the traditional values stipulating that the responsibility for long-term care entirely rests with offspring. In this sense, it will be important that the state should reinforce those types of service providers which can improve the family function and promote the quality of life of senior citizens. Fourth, it is inappropriate if supply creates demands in the provision of long-term care service, and it is ineffective if services are offered the way users want. Therefore, it will be important that the state should provide the basic frame so that services are used appropriately and multiple services are provided in the local community ensuring a harmony among medical service, healthcare and welfare, and that the state should make such a system that makes it possible to provide integrated services for users with multiple needs.

      • 서예교육을 통한 노인교육프로그램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김영애 수원대학교 미술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노인인구의 증가, 산업화와 도시화, 정보화, 급속한 사회의 고령화, 노인부양 등의 가치관의 변화 속에서 이제 노인문제가 개인 차원에서 벗어나 사회적 차원에서 중요한 쟁점이 되고 있는 상황 속에서 노인교육은 노인들의 자아실현과 전생애발달(life-span development)을 근간으로 하는 평생교육의 일환으로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노인 교육은 사회복지 차원에서 노인들의 여가선용을 위한 장을 제공하는 역할에 주로 머물렀고 제도적, 사회적인 한계점으로 인해 노인들의 교육에 대한 다양하고 높은 욕구를 충족시키기에는 부족한 점이 없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서예를 통한 노인 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강구하여 노인들의 자아실현에 기여하고 삶의 질 향상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분석 자료는 서울, 수원, 인천 지역의 55세 이상의 노인 10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집한 후, SPSS 15 PC+의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노인들은 참여하고 있는 교육프로그램에 만족하고 있었고 대부분의 응답자들이 앞으로도 계속 노인 교육에 참여할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참여하고 있는 노인 교육기관은 노인복지관, 종교기관에서 운영하는 노인대학이나 노인교실, 대한노인회의 노인대학, 노인교실, 대학부설의 노인대학 순으로 나타났고 주로 친구들을 만나거나 규칙적인 생활을 하기 위해서 그리고 여가활동을 하기 위해서 주로 노인교육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 참여시 가지는 가장 큰 애로점은 마음에 드는 평생교육기관이 없고, 배우고 싶은 프로그램의 부족, 그리고 수강료 등의 금전적 부담 순으로 나타났다. 서예교육에 있어서는 교육수준이 높고 나이가 상대적으로 적을수록 서예교육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다수가 서예로 인한 긍정적인 효과를 경험했다고 답했다. 서예교육에 대한 만족도도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서예교육 유경험자와 미경험자의 앞으로의 서예교육 참가 의사 사이에는 의미 있는 차이가 발견되었는데, 서예교육 유경험자의 참여의사가 높았다. 노인교육 프로그램에서 희망하는 프로그램을 영역별로 보면 건강교육, 노인복지, 시민생활교육, 기초교양교육, 기술전문교육 순으로 요구수준이 높았다. 개별 프로그램 중 가장 필요한 프로그램은 운동방법이었고 취미교육, 지역사회 봉사교육, 재정관리, 인터넷·휴대폰 사용 지식 순이었다. 반면 요구가 가장 낮은 프로그램은 재취업 기술교육, 취업 전문교육, 창업교육, 기초외국어 순이었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한 노인교육 활성화 방안으로는 노인들의 욕구와 노인교육 전문가의 의견이 반영된 교육 프로그램의 구성과 운영이다. 노인들의 건강에 관한 높은 관심을 참고하여 교육성과 오락성의 균형을 맞춘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고 현재 직업교육에 관한 욕구가 적다고 하더라도 앞으로의 필요성을 감안하여 직업교육에 관한 교육 프로그램도 개발·운영 되어야 한다. 또한 정보 수집력이 부족한 노인들이 주변사람들의 의견에 의존하는 점을 감안하여 주변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노인 교육 프로그램의 홍보를 강화하여야 한다. 노인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서예교육의 활용 방안은 노인들의 건강교육에 대한 높은 관심을 서예의 치료적 효과와 연계시키는 방안이다. 이를 위해서는 노인들에게 서예의 치료효과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어야 하고 구체적 사례를 통해 올바른 집필과 자세를 지도해야 한다. 그러나 서예의 치료효과만 지나치게 강조하기보다는 서예본연의 예술성과 조화를 이룬 교육이 필요하다. 서예수업의 다양함을 위해서 특강이나 견학 등을 정기화하고 그룹전이나 서예대전 참여를 통해 동기를 부여하며 집단 속에서 상호교류를 통한 노인들의 사회성을 향상시켜야 한다. 또한 노인의 긍정적인 이미지와 활동적인 노년상을 바탕으로 하는 ‘활동적 고령화’를 위한 정책의 방향과 실행을 제안했다. 앞으로의 과제를 언급하자면 고학력 고령자의 증가를 대비해 그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사회의 생산적인 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해 특정한 주제를 심도 있게 다루는 전문성이 강화된 교육 프로그램들이 많이 개발되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교육방법의 다양화와 저변 확대를 위해 노인교육을 위해서도 e-learning 프로그램의 개발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노인을 위한 교육’으로 노인교육의 개념을 한정지었고 표본 집단의 크기와 연구의 대상을 현재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노인들로 한정했다는 점에서 자료의 분석결과를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으나 연구 결과가 교육을 통한 노인들이 자아실현과 나아가 삶의 질 향상에 조금이나마 기여하는 바가 있다면 바로 거기에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 An importance of elderly education as a lifelong education based on self-actualization and life-span development is increasing in the situation where an ageing issue is not only personal concern but also a social issue due to the increase of ageing population. The elderly education program in Korea, however, has just played a role as an occasion for spare time activities and merely satisfied the diverse and high demanding elderly's wants because of its systematic and social limitations. Hereupon,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in embodiment of self-actualization and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for elderly by conceiving an activation plan for elderly education through calligraphy. To collect research data,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mong the 108 elderly aged over 55 in Seoul and Suwon area. The obtained data was analyzed with SPSS 15 by utilizing frequent,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d independent samples t test.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 First, the analysis showed that elderly was satisfied with current education program and most of respondents continue participating in education program. The elderly education facility the most respondents are currently attending is senior welfare center followed by elderly center or elderly school run by religion groups, elderly center by Korean Senior Association and university construction elderly center. The reasons of participation in education program include making friends, regular life and recreation. The difficulties in participating education programs include lack of appropriate education facilities, insufficient program options and financial burden such as tuition fees. Second, the more educated and the less aged respondents have experienced calligraphy education. Most of them have had positive mental and physical effects due to calligraphy. They also showed high satisfaction degree over calligraphy and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respondents with calligraphy education experience and those without when they were asked whether they are willing to participate in calligraphy class in the future. The respondents with calligraphy experience demonstrated higher participation intention. The most requested education category was health education followed by elderly welfare, education for living, basic culture education, professional education. In terms of individual education items, exercise for elderly came first followed by pastime education, local community service education, financial management, education for the use of cellular phone and internet. The least needed education program was technology education for reemployment, vocational education, education for self employment and basic foreign language education. Based on the findings, following suggestions are proposed as elderly education activation plans. First, the aged's needs and wants are should be reflected in developing and executing education programs for the elderly. A health promotion program that is both educational and entertaining can be developed considering the respondents' high interest in health matter. In addition, even though the desire for professional education is low, it is recommended to develop the related program in preparation for extended senescence in the life span. As the aged lack the ability of information collection and rely on the people around , program promotion for the elderly should target the people around, accordingly. Second, the effects of calligraphy therapy should be linked with the elderly's high interest in health as the research showed that calligraphy can be not only a pastime activity but also a sophisticated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this, the information about the mental and physical effects of calligraphy therapy should be provided to the elderly and the proper drawing and writing posture and method should be taught. However, the therapeutic aspect of calligraphy should be balanced with the artistic aspect of it when it comes to education. For a diversity of calligraphy class, special lectures and field trips can be arranged as regular events. Group exhibition and participation in calligraphy contest can be recommended as a means of self-motivation and social skill improvement. Third, the policy for the elderly should be set and executed to promote "active ageing" based on positive and active image of the elderly. The further suggestions for the future are that specialized in-depth educational program needs to be developed to satisfy the needs of increasing number of well educated elderly and make best use of them as social resource. Also, development of e-learning program should be considered.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erms of sample size and subjects becaus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limited to the elderly who were participating in the education program at the time of research. The research also limited the scope of the study as it defined the concept of "elderly education" as "education for older adults". Though the study might have difficulties in generalization of the research results, if the results are able to make a mere contribution in self actualization of the aged, further, the improvement of quality of their lives, it will be what the whole research would mean to accomplish.

      • 문경시 노인일자리사업의 실태분석과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이저영 경북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Function of supporting family has weakened for progress of the rapid aging society and poverty problem of the aged has loomed as social problem. Utilization of the aged workers for sustainable nation's economic development has called for. By these social and economic reasons, necessity of senior working project loomed, and it is the situation that has become very important problem. This thesis considered the general idea and necessity of senior working project, and theoretical background through investigation of study precedent, and would try to find plans for revitalization of the project by research analysis on actual condition of the project in Mungyeong City. From this result of research, this study would like to present as follows. First, for the aged's substantial increasing income, control of payment needs as participation of the working project. Upon investigation, most participants in Mungyeong were the low-income bracket whose average monthly income were below 400,000 won, so their participation reason was 'in order to get living expenses(76.4%)', and it showed that a lot of the aged wanted higher payment than now. Also on the participation period desired of the project, 55% of them answered that they wanted to participate without interruption as long as their health allows it, so this study is thought that it needs active management, such as payment from participation and enlargement of participation period. Second, effort for extending the aged's participation, including development of suitable job series for the aged and so on, needs. Senior working project is a type of simple labor rather than a type of nagging stable job, so participation of educated individuals, the profession among retired people, retired public officials and teachers who have ability and experience is negligible. The various job offering plans considering the degree of difficulty of duty and characteristic of ex-job have to be established. Third, the various job offering plans in order to satisfy the aged's desire except income guarantee have to established. It showed that participation of the working project increased their health and mental satisfaction, also contributed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aged's life, therefore job offering plans in order to satisfy the aged's desire have to be sought. Forth, awareness of manpower support center for the aged that is a facility for revitalization of the aged manpower and the aged's employment support laws regulations is very low, thus for revitalization of the aged manpower, plans for raising utilization of employment laws regulations or employment support center have to be considered. 급속한 고령화 사회의 진전으로 가족부양기능이 약화되고 있으며, 노인의 빈곤문제가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지속가능한 국가경제발전을 위해서도 노인인력의 활용이 요청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경제적 이유로 노인일자리사업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매우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논문은 노인일자리사업의 개념과 필요성, 선행연구의 검토를 통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문경시 노인일자리사업의 참여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노인일자리사업의 활성화 방안을 강구하고자 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노인들의 실질적인 소득증대를 위하여 일자리사업 참여에 따른 보수의 조정이 필요하다. 조사결과 문경시 사업참여자의 대부분이 월평균소득이 40만원 미만의 저소득층이며, 참여이유가 생활비 마련을 위해(76.4%) 일자리사업에 참여하고 있었으며, 많은 노인들이 현재보다 더 높은 보수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일자리 참여 희망기간도 건강이 허락하는 한 계속 참여하고 싶다가 55% 여서 참여에 따른 보수와 참여기간을 확대하는 등의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둘째, 고령노인의 참여를 확대하기 위하여 고령노인들에 적합한 직종을 개발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노인일자리 사업이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일자리라고 하기 보다는 노인 소일거리등의 단순 노동 형태여서, 고학력자이거나 퇴직자중 전문직 종사자, 퇴직공무원, 퇴직교원등 능력과 경험을 갖춘 분들의 참여는 미미한 실정이다. 직무난이도나 전직업등의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일자리 제공 방안이 마련되어야한다. 셋째, 소득보장 외에 노인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다양한 일자리 제공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일자리사업 참여가 소득 외에도 건강증진과 정신적 만족도를 증진시킴으로서 노인 삶의 질의 향상에도 기여하는것 으로 나타나 노인들의 욕구가 충족될 수 있는 일자리 제공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노인인력 활성화를 위한 기관인 노인인력지원센타와 노인취업관련지원법의 인지도가 매우 낮은 실정으로 노인일자리사업의 활성화를 위해 관련법이나 취업지원센타의 활용을 높이는 방안도 강구되어야겠다.

      • 우리나라 노인인력 활용 재고 방안에 관한 연구

        박샘이나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고령화와 노인문제는 현재 우리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쟁점이다. 세계 어느 나라에서도 유래를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의 급속히 진행되는 고령화는 더 이상 노인만의 문제가 아닌 사회가 해결해야 할 문제이다. 고령화속에서 노인들의 사회적 지위와 역할의 상실에서 오는 다양한 어려움에 당면하게 된다. 고령사회에 접어들면서 경제활동 인구의 감소, 고령인구의 증대에 따른 부양 노인에 대한 개인, 가족, 국가의 재정적·심리적 부담이 커짐에 따라 고령인구 증대가 갖고 있는 정책적 의미를 살펴보고 적절한 정책방향을 모색하고 개혁을 실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소득보장의 방법으로 노인 인력의 활용 방안의 제시를 통하여 노후의 안정적인 생활이 가능하도록 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 인력 활용 재고방안을 연구하기 위해 우리나라 노인고용의 실태와 특성 그리고 선진국의 노인고용정책 사례를 제시하여 우리나라에 적합한 노인 고용정책사례를 토대로 노인 인력활용의 재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첫 번째로 노인고용정책 제도와 법령의 정비이다. 우리나라 노인고용정책 관련 법령의 전체적인 특징은 권고사항이다. 이는 법적이 구속력이나 효력이 발생되지 못하여 이름뿐인 제도와 법규가 될 수 있으며, 노인의 고용에 실질적 도움이 되지 못한다. 이에 실질적인 노인 고용을 가능하게 하는 정년제의 도입, 노인 의무고용, 사업주에 대한 혜택이 제도적으로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둘째, 노인의 재 취업을 가능하게 하는 교육과 훈련이 지원되어야 한다. 노인고용을 위한 현실적 제도는 노인인력을 노동시장에서 필요로 하는 인력으로 만들어 자연스럽게 노인인력의 고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지원해주는 시스템이 정비될 수 있음이다. 세 번째는 서비스 전달체계가 유연성과 효율성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현재 우리나라의 노인고용관련 서비스는 보건복지가족부, 노동부, 각 시도에서 다양하게 실시되어 취업알선, 구인ㄱㄷ구직 신청접수, 취업 및 진로상담, 취업자의 사후관리, 구인처 개발 등 공통 업무를 진행하고 있으나, 그 대상자을 달리함으로써 정책의 혼선과 이용의 혼선을 초래하여 그 효과의 실효를 제대로 거두지 못하고 있다. 노인인력활용은 빈곤으로부터 피폐해질 수 있는 노후의 삶의 질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Aging and the Elderly related problems are the most important issues in our society at present. The aging of Korea in such rapidness that cannot be found in the history elsewhere in the world is no longer the problem of the elderly only limited to them but is a problem that our society needs to find the solution. In the aging society, the elderly population faces various difficulties caused by the loss of their social positions or roles. As we enter into the aging society, the individual, family's and the state's financial and psychological burdens to support the elderly are being grown bigger along with decrease of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as well as increase or aged population. Given with issues, efforts are being made to identify the political significance of increasing aged population, to explore appropriate direction of policies and to execute reforms. To this end, this study aims to enable the elderly to have stable life at old age by presentation of measures to utilize the aged manpower in the form of income security for the aged. In this study, in order to research on measures of reconsideration on utilization of the aged manpower, it presents the actual conditio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ged employment as well as the examples of advanced countries' employment policies for the aged. And it intended to make suggestion on the reconsideration measures for utilization of the aged manpower based on the employment policies for the aged that would be suitable to Korea First, it is to reconstitute the system and the statutes of the employment policy for the aged. The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s of Korea's law related to the employment policy for the aged is the fact that it is only a suasive matter. This means that the current system and relevant laws can be only nominal without valid legal binding or effectiveness so that it cannot be a substantial help to the aged employment. Therefore, a systematic frame should be established to ensure the introduction of retirement system that will enable substantial employments of the aged to happen, to mandate the hiring of the aged and to provide incentives for the business owners. Secondly, there should be a support system for training and education programs because they enable the re-employment of the aged. To make the aged employment system to be realistic, it is required to prepare the aged manpower to be the one the labor market needs so that the employment of the aged can be accomplished more naturally. Thirdly, the service delivery system must have flexibility and effectiveness at the same time. The current services related to the employment of the aged in Korea are being carried out as common affairs by the Ministry of Health, Welfare and Family, the Ministry of Labor and each municipality and provincial governments in various say. The common affairs refer to the job placement, recruitment/job seeking application receipt, counseling on employment and future direction, follow up management of those employed, and development of recruiting company , etc. However, as each of them implements its program for different subjects that caused entanglement of policies, and confusion in use so that it could not achieve its actual effectiveness. Utilization of the aged manpower will be an important element to determine the quality of life at old age, otherwise it can be impoverished.

      • 포항지역 거주노인의 공연예술문화생활 실태분석

        현우현 영남대학교 행정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M. A. Thesis The actual conditions analysis for performance art cultural life of seniors who live in Pohang Hyun. Woo Hyun Major in Social Welfare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Yeungnam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Choi, Oe Choo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how good and profitable Performance Art Culture Viewing is to the senior residents at namgu in pohang city, especially who have been using in Pohang Art Center, Hyoza Art Center in order to improve their life's quality abundantly in their leisure and spare time and to provide them a basic factor which is how helpful for their life. Therefore an object of the research is over 60 year the senior residents at namgu in pohang city who have been using in . And total was 146 persons from February 1, 2009 to April 31, 2009 through personal direct interviews and questionnaires. The frequency analysis and the intersection(cross) analysis were found out by the method of the measure, SPSS 14.0 Program and the confidence level by Cronbach's A.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 First of all, regarding the ages of watching Performance of Art Culture, 136 persons(93.2%) of the total have been using in Performance Art Culture before 60 year old. Regarding the way how to get the informations about Performance, there are such as TV, radio, a commercial on news papers, or from people. Regarding the program of viewing, they used to prefer to watch singing and dancing of Korean pop singers and comic chatting and so forth. However their choices for the programs were getting very wide. Secondly, they have considered that Performance Art Culture is most worthy and valuable in their life. Therefore regarding the value recognition, 70% of all respondents gave positive and spontaneous answers.(about what?) On the other hands, regarding the question for the activity related Performance Art Culture Viewing and their life, the majority were in neutral respondence. Thirdly, by watching it they could have substitute satisfaction, a motive and a incentive to live. Therefore the civilized life influences of their life in a various way.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tudy, I just want to present some policy proposal. first of all, the country have to constantly listen to how its nation's want to live. Especially the country have to recognize that it is all spare time for the rest of their life and besides it is only the problem that they have a lot of spare time. As I learned above, it is needed to recognize and to realize that there has been an improvement of self esteem and a progress of sense as an independent life - a passively and pessimistically perspective in the past such as winging of a butterfly from out of a chrysalis. Therefore as avoiding preferential welfare, it is really demanded to support in policy of more detail and high quality service program for the seniors who had established Korean remarkable economy and society development. 국 문 초 록 포항지역 거주노인의 공연예술문화생활 실태분석 현 우 현 영남대학교 행정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사회복지전공 지도교수 최 외 출 본 연구는 60세 이상의 노인으로 포항시 남구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들 중에서 포항시문화예술회관, 효자아트홀 및 남구 지역에 있는 소규모 연주홀에서 공연되고 있는 관람장을 이용하시는 분을 중심으로, 공연예술문화라는 노인 여가생활에서 아주 작은 점과 같은 요소가 노인의 삶의 질의 향상에 어떠한 기여를 하며, 또한 여가생활로써 공연예술문화 관람이 얼마만큼의 만족을 제공하는가를 파악하여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는 데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연구대상은 60세 이상의 노인으로 포항시 남구에 거주하고 남구에 위치해 있는 포항시문화예술회관과 효자아트홀을 이용하시는 노인 남녀 총 146명이며, 2009년 2월 1일에서부터 2009년 4월 31일까지 설문지를 배포하여 자기보고식과 직접면접법을 병행하여 수행하였다. 측정도구는 SPSS 14.0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하였으며, 신뢰도는 Cronbach's a계수를 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들이 공연예술문화에 대한 공연 관람시기로 60세 이전에 총 응답자 중 136명(93.2%)이 관람 경험을 하였으며, 공연 정보 취득별 방법에서는 대체적으로 노인들에게 있어 공연 정보 취득의 방법이 TV시청, 라디오 청취, 신문광고 혹은 개인적 관계에 의존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공연 프로그램에 있어서는 노인들에게 있어 아직은 접근하기 쉽고 격식이 간편한 가수들의 노래와 춤, 만담과 꽁트 등이 어우러진 프로그램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노인들의 공연 관람 프로그램에 관한 선택의 폭이 상당히 넓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들에게 있어 공연 예술문화를 관람함에 대하여서는 가치가 있는 일이고 삶에 우선순위에 둘 만큼 삶에 있어서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치 인식에 관하여서는 응답자 중 70%의 응답자가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응답을 한 반면, 공연예술문화 관람과 삶에 관한 질문 즉 활동성에 관련된 질문에서는 중립적 입장을 보이는 응답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연예술문화를 관람함으로써 노인들로 하여금 대리만족효과, 도전의식 고취 및 성취욕구 제공, 삶의 의욕에 관한 동기 유발 효과 등 문화생활이 노인의 삶에 대하여 다양한 형태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정책적 제언을 하고자 한다. 국가는 항상 국민이 공유하는 정신적 생활에 대한 목표를 상정하고 이에 부응하기 위한 노력이 있어야 한다. 특히 역할 상실, 무료함 등으로 고통을 받아야 하는 노인들의 입장에서는 생리적인 필수 시간 이외의 시간은 여가일 수밖에 없다는 것을 인식하고, 이들에게 강요된 주체할 수 없이 많은 여가는 그 자체가 하나의 노인문제임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노인들의 삶에 대한 자아 존중감의 향상과 주체적 삶에 대한 의식의 진보 - 과거의 소극적이고 비관적이었던 모습에서 마치 번데기에서 탈피한 나비의 힘찬 날개 짓과 함께 비상하듯 - 가 있었음을 자각하고 인식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시혜적 복지 차원에서 탈피하여 고도화된 사회를 일궈낸 노인세대에 대한 보다 전문적이며 고도화된 서비스 프로그램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더욱 요구된다 하겠다.

      • 치매노인의 행동심리적 증상(BPSD)과 간호제공자의 부담에 관한 연구 : 인천광역시 치매센터를 중심으로

        조미경 가천의과학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치매주간보호센터 이용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간호제공자의 관점에서 돌보기 힘든 행동심리적 증상(BPSD) 유형을 파악하고, 유형별 돌봄의 부담정도를 측정하고 분석하여, 향후 간호제공자의 직무스트레스 완화와 간호의 질 향상 및 대처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자는 인천광역시 소재 치매센터 10개소를 대상으로 59명의 간호제공자와 치매노인 207명 이었다. 연구 도구는 김경애(2003) 4점 척도 6개영역 25문항의 ‘시설치매노인의 행동심리적 증상(BPSD)과 간호제공자 부담감 조사를 위한 사정 도구’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 9.1(SPSS14.0K)을 이용 하였으며 빈도분석, 기술통계량, t-test와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치매노인의 특성과 행동심리적 증상(BPSD) 유형별 출현빈도에서 공격행동은 성별(t=2.50, p<.01)에서, 초조행동은 MMSE-K(F=9.54, p<.00)에서, 간호 저항 행동은 성별(t=1.98, p<.04)과 MMSE-K(F=6.14, p<.00)에서, 신체증상은 MMSE-K(F=4.50, p<.01)에서, 신경증상은 연령(F=2.57, p<.02)과 MMSE-K(F=7.69, P<.00)에서, 정신증상은 성별(t=-2.21, p<.02)과 MMSE-K(F=6.18, p<.00)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둘째, 치매노인의 행동심리적 증상(BPSD) 유형별 빈도와 부담정도에서 출현횟수는 ‘같은 질문을 반복하거나 같은 요구를 반복 한다’(0.83±1.06)의 초조행동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여주었다. 가장 낮은 빈도를 보인 문항은 ‘부적절하게 변을 다룸’(0.06±0.34)과 ‘성기를 노출하거나, 신체부위를 만지거나, 성적인 말을 한다’(0.06±0.31)로 신체증상과 관련된 문항이었다. 치매노인의 행동심리적 증상(BPSD)으로 인하여 부담을 가장 많이 느끼는 문항은 ‘같은 질문을 반복하거나 같은 요구를 반복 한다’(0.82±0.96)는 초조 행동이었고, 부담수준이 낮은 문항은 ‘부적절하게 변을 다룸’(0.28±0.55)과 ‘성기를 노출하거나, 신체부위를 만지거나, 성적인 말을 한다’(0.28±0.53)는 신체증상과 관련된 문항이었다. 셋째, MMSE-K와 행동심리적 증상(BPSD)유형별 간호제공자의 부담정도의 상관관계는 공격행동(r=-0.09, p<.001), 초조행동(r=-0.19, p<.001), 간호저항(r=-0.13, p<.001), 신체증상(r=-0.10, p<.001), 신경증상(r=-0.12,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간호제공자의 특성에 따른 행동심리적 증상(BPSD) 유형별 부담정도는 간병인(0.69±0.76)이 공격행동에서 부담수준이 높고, 현 시설 근무경력이 2~3년 미만은 공격행동, 간호저항, 신경증상에, 현 시설 근무경력이 1년 미만은 신체증상, 정신증상에서 부담수준이 높게 나왔다. 이전 시설 근무경력으로 4~5년 미만이 공격행동, 간호저항, 신체증상에서 부담을 갖고, 이전 근무 기관은 보건소에서 일했던 간호제공자가 공격행동, 초조행동, 간호저항, 신체증상, 신경증상, 정신증상에서 부담 수준이 높았다. 다섯째, 치매노인에 대한 간호제공자의 도움정도와 치매노인의 특성에 따른 도움정도는 세수/목욕(2.03±0.94)이 가장 많은 도움을 받았고 도움이 필요하지 않은 항목은 보행(1.18±0.41)으로 나타났다. 치매 노인의 특성에 따른 도움 정도는 성별(t=2.15, p<.05)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는데, 남자(0.49±0.56)가 여자(0.28±0.43)보다 전체적인 도움의 필요정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 분석 결과에 나타 난 바와 같이 치매노인의 행동심리적 증상(BPSD)과 간호제공자의 부담은 유의한 상관성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간호제공자들에게 부담을 주는 행동심리적인 증상(BPSD) 유형 파악에 도움이 되었고, 그 결과는 간호제공자의 직무스트레스 완화와 간호의 질 향상 및 대처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고 본다. 따라서 상기의 결과를 근거로 치매노인의 행동심리적 증상(BPSD)의 감소를 위한 개별 특성에 맞는 인지 재활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효과를 확인하는 연구와, 치매노인의 행동심리적 증상(BPSD)과 관련 있는 변수 즉, 병전 성격, 치매노인 제 특성, 환경적 요인들의 관련성을 파악하는 연구 및 치매노인의 행동심리적 증상(BPSD) 중 공격행동에 대한 대처 방법과 간호제공자의 안전을 위한 보호 방안에 관한 연구가 시행될 것을 제언한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BPSD) types of old people with dementia who use a day care center. And also this study was to evaluate and analyzed the level of burden of a caregiver for each BPSD type. The study subjects were consisted of 59 caregivers and 216 old people with dementia (the analysis was applied to 207 patients) in 10 day care centers for dementia that were located in Incheon. For research tool, 'BPSD consideration tool for old people with dementia in a center' by Kyung-Ae Kim(2003) was employed, which consisted of 25 questionnaires in 6 categories with 4 points scale. The data collected was analyzed by SAS 9.1(SPSS14.0K) for frequency, mean using descriptive statistical technique, t-test, One-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A Summary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In frequency of for each BPSD type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old people with dementia,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gender (t=2.50, p<.01) for aggressive behavior, MMSE-K(F=9.54, p<.00) for agitation behavior, gender(t=1.98, p<.04) and MMSE-K(F=6.14, p<.00) for resistance behavior against care provided, MMSE-K(F=4.50, p<.01) for vegetative symptoms, gender(F=2.57, p<.02) and MMSE-K(F=7.69, P<.00) for neurotic features and gender (t=-2.21, p<.02) and MMSE-K(F=6.18, p<.00) for psychotic features. 2. In frequency and the level of burden for each BPSD type of old people with dementia, agitation behavior as ' either repeat of same question or same demand' (0.83±1.06)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The questionnaires about vegetative symptoms such as ' inappropriate management for feces' (0.06±0.34) and 'exposure of sexual organs, touch of body parts, and sexual language' (0.06±0.31) indicated the lowest frequency. The questionary with the highest burden by BPSD of old people with dementia was agitation behavior as 'either repeat of same question or same demand’(0.82±0.96), whereas one with the lowest burden was vegetative symptoms such as ' inappropriate management of feces' (0.28±0.55) and 'exposure of sexual organs, touch of body parts, and sexual language' (0.28±0.53). 3. The relationship between MMSE-K and burden level of a caregiver for each BPSD type demonstra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in aggressive behavior (r=-0.09, p<.001), agitation behavior (r=-0.19, p<.001), resistance behavior against care provided (r=-0.13, p<.001), vegetative symptoms (r=-0.10, p<.001), and neurotic features (r=-0.12, p<.001). 4. In the burden level of each BPSD typ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a caregiver, a caregiver (0.69±0.76) showed the highest burden level in aggressive behavior: one with less than 2~3 years of working experience: in a current center showed high burden levels in aggressive behavior, resistance behavior against care provided, and neurotic features, whereas one with less than 1 year of working experience indicated high level of burden in physical and psychotic features. One with less than 4~5 years of working experiences in the previous center was burdened in aggressive behavior, resistance behavior against care provided, and vegetative symptoms, while one who previously worked in a public health center showed high level of burden in aggressive behavior, agitation behavior, resistance behavior against care provided, vegetative symptoms, neurotic features and psychotic features. 5. In the support level of a caregiver for old people with dementia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old people with dementia, the most support were provided in face washing and bathing(2.03±0.94), whereas the least support demand was walking (1.18±0.41). The support level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old people with dementia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ccording to gender (t=2.15, p<.05); male (0.49±0.56) showed higher level of general support demand than female (0.28±0.43). As indicated in the above analysis result, BPSD of old people with dementia and burden of a caregiver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Accordingly, this study supported to identify BPSD types that burdened caregivers; it is possible to apply the results as a basic data to relieve work burden and care quality promotion of a caregiver and to find its management plan. Thus, on the basis of the above results, it is strongly suggested to operate a study to develop and apply an appropriate recognition rehabilitation program for each characteristic to reduce BPSD of old people with dementia and to confirm the effects of it, a study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BPSD of old people with dementia and its related variables such as premorbid personality, their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factors and a study about management methods for aggressive behavior among BPSD of old people with dementia and protection plan for safety of a caregiver.

      • 노인일자리사업 노동특성과 참여노인의 삶의 변화 : 시장형 쇼핑백 공동사업장 사례를 중심으로

        최성미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ractical effects of the project on the elderly and to investigate the reality of the elderly in modern Korea, focusing on the 'Employment Project for the Elderly' performed as a part of the Elderly Welfare policy of the government. For doing this, the research questions are established as follows. First, how is the labor conditions of the Employment Project for the Elderly? Second, with what labor activities do the elderly participants make workplace-specific labor characteristics during laboring? Third, what changes appear in the lives of the elderly participants from the project having such labor characteristics? In order to answer to the questions, the author in this study selected a market-type join workplace for shopping bags as the subject. Because the market-type is for independence within market, it may affect directly and visibly the labor process and change in life of the elderly. Also, because workplace for shopping bags has been maintained for a relatively long term since 2004 when the Employment Project for the Elderly began, the author considered it would represent the effects of labor participation on the elderly as a sort of sub-business type. The labor conditions of workplace for shopping bags can be established as long-time working and relatively lower wages. The elderly performed extra working both in the workplace and in their homes after work. Their working hours exceeded not only the mean working hours of other joint workplaces but the mean working hours of workers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in this area. The wages in the workplace were paid according to simple piece rate plan in which wages are calculated with the amount of individual working, being lower when compared to the long-time working. The pay per hour was only half of the legal minimum hourly pay. Despite such labor conditions, the elderly participated in the working sufficiently voluntarily and actively, which appeared as voluntary stretch-out. The elderly devoted themselves to working in the workplace by investing their time, and activities not related to the working were extremely limited. The working hours were extended by the voluntary intention of the elderly: they arrived at the workplace earlier and left it later; and they reduced their lunch time in the interim of working time and did not take a rest. The senior resources center controlling the workplace persuaded the elderly to work for only certain hours and not to overwork because they were physically weak, but the elderly refused the persuasion. Also, although they recognized the high intensity of labor and promised to reduce working hours, the promise was not realized and the working hours were extended again. The working-oriented activities of the elderly were also shown in their intention to secure articles for working: they tried to have more work via quarrelling, excess storing of work, conciliation, lying, and theft. Quarrelling to secure supplementary paper and bag bodies, behaviors to secure excessive bag bodies for sewing and threads, intentional kindness to peers, lying that they did not acquire articles, and stealing of peers' work were normal and frequent in the workplace. The working-oriented activities of the elderly was caused by the labor conditions of the workplace and the social & cultural environment. The piece rate plan based on the number of the bags as the pay system here encouraged the elderly to work more, and the competition among the elderly in the workplace served as a mechanism by which the elderly attached to working and made them competitive. The overheated working in the workplace based on such causes affected the life of the elderly. Before participating in the project, the elderly expected that the labor in the workplace would positively affect their life generally. They had overlapped motives including economic, psychological & emotional, social, and healthy ones. In other words, as in the purpose of the project, the elderly expected economic abundance, reduction in negative emotions, close network with peers, and health improvement. However, the results of the working were partially against their expectation. The economic and psychological & emotional aspects were positively changed similar to their expectation, but the social and healthy changes were sufficiently negative. Although the pay was relatively lower when compared to the labor, the elderly could live more composedly from the economic resource as pocket money and living expenses. Also, they solved negative emotions via working, experiencing psychological & emotional changes from the positive emotions. On the contrary, the elderly were insufficient in their time due to the labor in the workplace and had difficulty in maintaining intimate social relations with the existing peers, and there was alienation appeared with the peers. Others who had narrower and limited relations before the labor showed no changes in the relations. Meanwhile, the peer relations within the workplace as a social relation were closed though they spent most of their daily life. Friendship with peers was also restricted to limited groups, and in general the relations among the elderly were merely 'peers' to each other. Without developing into closed and active social ones, their relations were only superficial. As for health, the elderly were faced with various pain after the participation. They already had chronic diseases because of their physical characteristics as the elderly, and those who had musculoskeletal diseases related to the working were aggravated of their diseases. Also, those who did not have such diseases had pain due to the labor. The elderly took measures to manage the pain, but it was just a makeshift because they continued to overwork. Health deterioration via working aggravated the life qualify of the elderly. Despite the partial aggravation of life quality, the elderly were satisfied with their participation in the project because the project positively affected the certain part of their lives. However, the perception on their conditions would be the more essential reason. The elderly knew that they are not allowed to work in Korean society, thus satisfying sufficiently with the fact they were given of the working. This result may indicate the reality of the elderly in modern Korean society. This study may contribute to the multilateral investigation of the effects of Employment Project for the Elderly as a macroscopic elderly welfare policy on the elderly from the aspect of concrete experiences by discussing the relation between the project and the elderly based on the in-depth consideration of the workplace where labor was performed. 본 연구는 정부의 노인복지정책의 일환으로 시행된 ‘노인일자리사업’에 초점을 맞추어, 이 사업이 노인에게 실질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동시에, 현대 한국사회의 노인들이 처한 현실을 조명해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이를 위해, 고찰할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일자리사업의 노동조건은 어떠한가? 둘째, 노동과정에서 참여노인은 어떤 노동 행위를 통해 사업장 특유의 노동특성을 만들고 있는가? 셋째, 이러한 노동특성을 가진 사업이 참여노인의 삶에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가? 이에 답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노인일자리사업 중 시장형 쇼핑백 공동사업장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시장형 유형은 시장 내 자립을 목표하기 때문에 노인들의 노동과정 및 삶의 변화에 직접적이고 가시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 생각되었다. 또한 하위 사업 종류로 쇼핑백 공동사업장을 선택한 이유는 이것이 노인일자리사업 시행초기인 2004년부터 현재까지 비교적 장시간 지속되었기 때문에 노동참여가 노인에게 미치는 영향을 잘 대변해 줄 것이라 여겼기 때문이다. 쇼핑백 사업장의 노동조건은 장시간 근로와 그에 비해 적은 임금으로 규정할 수 있다. 노인들은 사업장뿐만 아니라 퇴근 후 집에서까지 추가노동을 실시하였다. 이들의 노동시간은 시장형 유형의 다른 공동사업장의 평균 근로시간 뿐 아니라 이 지역 제조업 평균노동시간을 상회할 정도로 장시간이었다. 임금지급방식은 개인 작업량에 비례해 정산되는 단순성과급제였다. 시장형 평균임금에 비해 이곳의 임금은 높은 편이었지만, 노동시간에 비해서는 매우 적은 수준으로, 시간 당 임금은 법정 최저시급의 절반 수준에 그쳤다. 이러한 노동조건 속에도 노인들은 노동과정에 매우 자발적이고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었다. 이는 자발적인 노동강화현상으로 나타났다. 노인들은 사업장에서 시간을 아껴가며 작업에 열중하고 있었다. 노동과 관련되지 않은 행동은 극히 제한적으로만 이루어졌다. 노동시간은 노인들의 자발적인 의지에 의해 연장되는 현상이 나타났는데, 출근시간은 앞당겨지고, 퇴근시간은 지연되었다.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 중간에 점심시간도 단축되었으며, 휴식시간은 존재하지 않았다. 이들을 관할하는 사업 수행기관에서는 신체적으로 열악한 노인들이 일한다는 것을 감안하여 무리가 가지 않을 일정 시간 동안만 일할 것을 권유하였으나, 이는 지켜지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노인들은 높은 노동강도를 인지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스스로 작업시간을 줄이자는 약속을 하였으나 이는 지켜지지 않고 노동시간은 다시 연장되었다. 노인들의 자발적 노동강화는 작업할 물품을 확보하려는 전략적 움직임을 통해서도 드러난다. 노인들은 말싸움, 일감의 과잉축적, 회유, 거짓말, 도둑질의 방법을 사용해 일감을 동료보다 더 많이 확보하려고 노력하고 있었다. 보강지와 몸체 등을 확보하는 과정에서 말싸움이, 실을 낄 몸체와 실을 잉여확보하려는 행동이, 물품을 받지 않았다는 거짓말이, 동료에게는 의도적인 회유나 일감을 훔치는 도둑질이 작업장에서 나타나는 현상이었다. 이러한 자발적 노동강화의 원인은 사업장의 노동조건과 사회·문화적 환경에서 기인한 것이었다. 이곳의 임금지급체계인 수량에 따른 성과급제는 노인들로 하여금 더 많은 일감을 수행하게 하는 원인이었다. 이와 더불어 사업장에 형성된 노인들 간의 경쟁은 노인들이 더욱 일에 집착하게 하여 각축의 장에 빠져들게 하는 기제였다. 사업에 참여하기 전 노인들은 사업장에서의 일이 삶의 전반에 걸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 예상하고 작업에 참여하였다. 이들은 경제적, 심리·정서적, 사회적, 건강상의 중첩된 동기들을 가지고 있었다. 즉, 사업 본래의 취지와 마찬가지로 이들은 경제적 풍족, 부정적 감정의 감소, 동료들과의 돈독한 관계망 형성, 건강의 증진을 예상했었다. 그러나 실제적인 결과는 이와는 부분적으로 어긋나게 되었다. 경제적, 심리·정서적 결과는 이들의 예상과 유사하게 긍정적인 변화가 야기되었지만 사회적, 건강상의 변화에서는 매우 부정적인 결과가 나타났기 때문이다. 노동대가에 비해 적은 금액이지만 노인들은 경제적 자원이 생김으로써 용돈과 생활비로 보다 여유롭게 생활할 수 있었다. 또한, 이들은 일을 통해 부정적 감정이 해소되고, 긍정적 감정이 생성되는 심리·정서적 변화를 경험하고 있었다. 반면, 사업장에서의 노동으로 인해 시간적 여유가 부족해진 노인들은 기존에 맺었던 돈독한 사회관계를 유지하기가 어렵게 되었다. 따라서 이들과의 관계는 소원화경향이 나타나게 되었다. 일을 시작하기 전 좁고 제한된 사회관계를 형성했던 노인들은 그 관계에 변화가 없었다. 또한, 작업장 내 사회관계인 동료관계는 일상의 대부분을 함께 보내는 사이임에도 불구하고 폐쇄적인 성격을 띠었다. 동료와의 돈독함 역시 제한적인 그룹만으로 한정되며, 전반적으로 노인들의 관계는 단순히 ‘동료’의 수준에만 그쳤다. 노동과정에서의 특성으로 인해 사업장에서는 돈독하고 활발한 사회관계로의 발전은 이루어지지 않은 채 표면적인 관계만 형성하게 되었다. 건강상으로 노인들은 일에 참여한 후 여러 가지 통증에 직면하게 되었다. 노인이라는 신체 특성상 이들은 지병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이 중 작업과 관련된 근골격계 질환을 가진 노인들의 지병은 더욱 악화되었다. 뿐만 아니라, 이 질환을 앓고 있지 않은 노인들조차 일로 인해 통증이 발생하게 되었다. 노인들은 통증을 다스리기 위해 여러 가지 대처를 하지만 이는 미봉책에 불과했다. 과도한 작업은 계속 수행되었기 때문이다. 작업으로 인한 건강악화로 노인들의 삶의 질은 저하되고 있었다. 부분적인 삶의 질의 저하에도 불구하고 노인들은 사업 참여에 만족하고 있었다. 이는 사업이 이들의 삶의 일정 부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보다 근본적인 이유는 자신에 대한 처지 인식에 있었다. 이들은 한국사회에서 노인이 노동할 수 없는 존재라는 것을 잘 알고 있었으며, 이러한 노인인 자신에게 일이 주어진 것 자체에 크게 만족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와 같은 결과는 현대 한국사회에서 노인이 처한 현실을 잘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는 노동이 이루어지는 현장에 대한 심층적인 고찰을 바탕으로 노인일자리사업과 노인의 관련성을 논함으로써 거시적 노인복지정책인 노인일자리사업이 노인에게 미친 영향을 구체적인 경험의 차원에서 다각적으로 살펴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