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 노인일자리사업 참여 노인의 일자리만족감, 자아존중감 및 삶의 만족감에 관한 연구 : 서산시를 중심으로

        임설빈 한서대학교 정보산업대학원 노인복지학과 2012 국내석사

        RANK : 253743

        본 연구는 서산시에 거주하는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노인을 대상으로 하여, 노인들의 건강증진, 사회 참여 확대, 보충적 소득지원 효과를 목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현행 노인일자리 사업사업이 노인의 자존감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첫째, 노인일자리사업 노인의 자아존중감 및 삶의 만족도, 일자리 사업관련 변수의 일반적인 경향은 어떠한가? 둘째,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노인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일자리만족감,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는 차이가 나는가? 셋째,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노인의 일자리관련변수에 따른 일자리만족감,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는 차이가 나는가? 넷째,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노인의 일자리만족감,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 영향변인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이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서산시 노인일자리 사업 참여노인을 대상으로 하여 2011년 7월 한달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354부의 설문조사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일자리 참여 노인의 자아존중감 및 삶의 만족도는 5점 만점에 3점대로 보통 수준의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를 보였다. 둘째, 노인일자리관련변인의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보면,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이유를 살펴보면 생계 때문에 참여한다는 노인은 전체의 41.9%였고 용돈을 벌기 위해 참여한다는 노인도 41.9%로 대다수의 노인이 생계와 용돈과 같은 경제적인 이유로 일자리에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일자리사업 참여기간은 평균 24.03개월로 2년 정도이며, 현재 참여하고 있는 일자리 유형으로는 공익형이 47.9%로 절반정도이다. 현재 일자리에 참여하는 일수는 1주일에 3일이 88.5%로 가장 많고, 참여하는 시간은 하루에 4시간이 81.8%로 가장 많았다. 또한 노인의 일자리 사업 만족도는 3.54점으로 보통 이상의 만족도를 보이고 있다. 희망하는 일자리 사업 관련변인의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보면, 앞으로 일자리에 사업에 참여하기를 원하는 나이로는 76세에서 85세까지 일하고 싶다는 노인이 전체의 60.1%로 가장 많았다. 희망하는 나이의 평균은 83.38세로 상당히 고령의 연세까지도 일을 하고자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보수에 대한 희망사항으로는 20만원을 바라는 노인은 전체의 40.4%로 가장 많았으며, 평균 희망 보수는 31.85만원이었다. 희망하는 일자리 유형으로는 공익형이 52.0%로 절반 이상이며, 교육형인 35.7%, 복지형은 7.5%이다. 희망하는 일자리에 참여하는 일수는 1주일에 3일이 68.9%로 가장 많았고 희망하는 일자리에 참여하는 시간은 하루에 4시간이 63.3%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현재 일자리 관련변인과 희망 일자리 관련 변인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현재 공익형 일자리에 참여하는 노인은 대부분 앞으로도 공익형 일자리에 참여하기를 희망하지만, 복지형 일자리에 참여하는 노인은 교육형 일자리를 희망하고, 교육형 일자리에 참여하는 노인은 복지형 일자리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절반 이상의 노인이 현재 일자리에 참여하는 일수와 앞으로 일자리에 참여하는 일수가 같지만, 일주일에 1-2일 참여하는 노인의 42.3%, 일주일에 3일 참여하는 노인의 23.7% 전체 66.0%의 노인이 현재 참여하는 일수보다 더 많은 일수를 참여하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참여하는 시간과 희망하는 참여 시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절반 이상의 노인은 현재 참여하는 시간과 희망하는 시간간에 유사한 경향을 보이지만, 현재 1-3시간 정도 일자리에 참여하는 노인의 27.1%, 현재 4시간 참여하는 노인의 12.8% 즉 전체 39.9%는 앞으로 더 많은 시간 일자리에 참여하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일자리 사업 참여 노인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일자리 만족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여자노인이 남자노인에 비해, 그리고 소득수준을 ‘중․상’이라고 인지하는 노인이 ‘하’이라고 인지하는 노인에 비해 일자리에 대한 만족감이 높았다. 다음으로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살펴보면, 여자노인이 남자노인에 비해, 65세에서 74세 노인이 85세 이상 노인에 비해, 배우자가 있는 노인이 없는 노인에 비해, 종교가 없는 노인이 있는 노인에 비해, 소득수준을 ‘하’라고 인지하는 노인에 비해 ‘중․상’이라고 인지하는 노인의 자아존중감이 더 높았다. 마지막으로 삶의 만족도의 차이를 살펴보면, 여자노인이 남자노인에 비해, 종교가 있는 노인이 없는 노인에 비해, 소득수준을 ‘중․상’이라고 인지하는 노인이 ‘하’이라고 인지하는 노인에 비해 삶의 만족도가 더 높았다. 넷째, 현재 노인의 일자리 관련변인에 따른 일자리 만족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일자리 참여이유가 용돈 및 기타인 노인이 생계 때문인 노인에 비해 일자리 만족도가 높았다. 다음으로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살펴보면, 교육형과 기타 일자리에 참여하는 노인이 공익형과 복지형에 참여하는 노인에 비해 자아존중감이 더 높았다. 마지막으로 일자리 참여이유가 기타인 노인이 생계 때문에 일자리에 참여하는 노인에 비해, 교육형과 기타 일자리에 참여하는 노인이 공익형과 복지형에 비해 삶의 만족도가 더 높았다. 다섯째, 희망 일자리 관련 변인에 따른 일자리 만족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희망 보수가 20만원인 노인이 31만원이상인 노인에 비해, 주 1-2일, 3일 일자리에 참여하기를 희망하는 노인이 주 4일 이상 일자리에 참여하기를 희망하는 노인에 비해, 하루에 1-3시간, 4시간 일자리에 참여하기를 희망하는 노인이 5시간 이상 일자리에 참여하기를 희망하는 노인에 비해 일자리 만족도가 높았다.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살펴보면, 일자리 사업에 참여하기를 희망하는 나이가 75세까지인 노인이 그 이상의 나이까지 일하기를 희망하는 노인에 비해, 복지형에 참여하기를 희망하는 노인이 공익형과 교육형에 참여하기를 희망하는 노인에 비해, 하루 이틀 정도 참여 하기를 희망하는 노인이 4일 이상 참여하기를 희망하는 노인에 비해 자아존중감이 더 높았다. 마지막으로 일자리 사업에 참여하기를 희망하는 나이가 75세까지와 76세에서 84세까지인 노인이 85세 이상까지 일하기를 희망하는 노인에 비해, 희망 보수가 20만원인 노인이 21-30만원 및 31만원이상인 노인에 비해, 복지형을 희망하는 노인이 다른 노인에 비해, 하루 이틀 참여하고자 하는 노인이 다른 노인에 비해 하루에 1-3시간 참여하기를 바라는 노인이 5시간 이상 참여하고자 하는 노인에 비해 삶의 만족도가 높았다. 여섯째, 노인의 일자리 만족감,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변인을 파악한 결과, 사회인구학적 변수를 통제하고 희망보수가 높을 수록 일자리 만족감이 떨어졌고, 희망참여일수가 많을 수록 자아존중감이 떨어졌다. 삶의 만족도 영향변인은 없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rasp influence upon elderly people’s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with the current elderly employment programs, which are being driven with the aim of effects on promoting elderly people’s health, expanding social participation, and supporting supplementary income targeting the elderly of participating in the elderly employment programs who dwell in Seosan city. Specifically, first, what about general tendency of variables related to elderly people’s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with the elderly employment programs and to the employment programs? Second, is there difference among job satisfaction,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depending o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who participate in the elderly employment programs? Third, is there difference among job satisfaction,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depending on variables related to job in the elderly of participating in the elderly employment programs? Fourth, which influential factors are there upon job satisfaction,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elderly of participating in the elderly employment programs? To achieve this objective,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for 1 month in July 2011 targeting the elderly of participating in the elderly employment programs in Seosan city. Finally, 354 copies of questionnaire survey data were used in analysis. Summarizing the main findings, they are as follows. First, the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elderly of participating in the elderly employment programs stood at 3-point level out of 5-point perfection, thereby having shown the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in moderate level. Second, examining a reason for participating in the elderly employment programs, the elderly as saying of participating due to livelihood accounted for 41.9% out of the whole. Even the elderly as saying of participating in order to earn pocket money accounted for 41.9%. Thus, the majority of the elderly were indicated to participate in job due to financial reason like livelihood and pocket money. The participatory period is about 2 years with averagely 24.03 months. As for a type of job of being participated now, the public-service type accounted for 47.9%, thereby having been about a half. Number of days of being participated is the largest in 3 days a week with 88.5%. Time was the largest in 4 hours a day with 81.8%. Also, elderly people’s satisfaction with employment programs stands at 3.54 points, thereby showing satisfaction in more than moderate. Examining general tendency in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desired employment programs, as for the age of desiring to participate in employment programs in the future, the elderly of desiring to work from 76 years to 85 years old were the largest with 60.1% of the whole. The average of the desired age stood at 83.38 years old, thereby having been indicated that the elderly desire to work until the quite old age. The monthly salary was the largest in the elderly of desiring 200,000 won with 40.4% of the whole. The averagely desired salary stood at 318,500 won. A type of desired job was more than a half in the public-service type with 52.0%. The educational type accounts for 35.7%. The welfare type accounts for 7.5%. Number of days with participation in the desired job was the largest in 3 days a week with 68.9%. Time of participating in the desired job was the largest in 4 hours a day with 63.3%. In sequence, examining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current job and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desired job, it was indicated that most of the elderly of participating now in the public-service type job desire to participate in public-service type job even in the future, but that the elderly of participating in welfare-type job desire the educational-type job, and that the elderly of participating in educational-type job desire the welfare-type job. Also, the elderly in more than a half are same in the number of days with the current participation in employment and in the number of days with the future participation in job. However, the elderly of participating for one day or two days a week account for 42.3%. The elderly of participating for three days a week account for 23.7%. Thus, the elderly of 66.0% in the whole were indicated to desire to participate in the more days than the current days with participa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relationship between the time with the current participation and the time with the desired participation, the elderly in more than a half show the similar tendency between the time with the current participation and the time with the desired participation. However, 27.1% of the elderly, who participate now in job for about 1-3 hours, and 12.8% of the elderly, who participate now in job for 4 hours, account for 12.8%, namely, 39.9% of the whole were indicated to desire to participate in job for more hours in the future.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the elderly of participating in the elderly employment programs, the job satisfaction was higher in elderly women compared to elderly men and in the elderly of recognizing that income level is ‘middle and high,’ compared to the elderly of recognizing it to be ‘low.’ In sequence, examining difference in self-esteem, the self-esteem was higher in elderly women than elderly men, in the elderly aged 65-74 than the elderly aged over 85, in the elderly with spouse compared to the elderly without spouse, in the elderly without religion compared to the elderly with religion, and in the elderly of recognizing the income level to be ‘middle and high’ compared to the elderly of recognizing it to be ‘low.’ Finally, examining difference in life satisfaction, the life satisfaction was higher in elderly women compared to elderly men, in the elderly with religion compared to the elderly without reli

      • 중년층이 인지하는 노년기의 주거복지시설 욕구에 관한 연구

        장여정 한서대학교 정보산업대학원 노인복지학과 2012 국내석사

        RANK : 253743

        우리나라의 고령화 속도는 세계에서 유래가 없을 만큼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노인인구비율의 증가 및 노인부양지수의 상승을 초래하게 되어 가족적인 차원과 국가적인 차원에서 노인들의 생물학, 사회학적 특성을 반영한 합리적인 형태의 노인주거복지시설의 개발이 시급한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주거산업의 실수요자가 될 현재의 중년층을 대상으로 노후생활에서 노인주거복지시설 유형욕구 및 시설에 대한 선호도를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우리나라에 적합한 노인주거복지시설의 개발 및 노인주거정책방향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하고자 이루어졌으며,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현재 중년층의 주거유형을 보면, 거주형태는 단독주택이 가장 많았고, 본인소유의 자가이며, 거주기간은 9년 이상 11년 미만이 가장 많았으며, 주택만족도는 “만족 한다” 이다. 둘째, 노후생활의 경제적 측면에서 가장 중요한 것으로 가족들의 건강을 생각하고 있었으며, 노후의 생활비는 부인을 포함한 본인이 전적으로 부담해야 한다는 경우가 가장 높았고, 편안한 노후생활을 위해서는 노인주거 및 복지시설이 확대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셋째, 자녀와의 동거 측면에서는 노후에 자녀와의 동거를 원하고 있었으며, 동거 자녀로 장남을 선호하였고, 자녀와 같이 살고자 하는 주된 이유로는 마음이 놓이고 든든할 것 같아서이다. 하지만 자녀와 같이 살 경우 경제적인 수입을 가장 큰 문제로 보았으며, 함께 살 경우 가장 중요한 문제 또한 가정의 수입(경제적 여건)을 들었다. 넷째, 노인주거복지시설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며, 교통의 편리성과 입주 시 소형의 주택규모를 선호하였고, 선호위치로는 대도시 근교 외각을 선택하였다. 차후 노인주거복지시설이 저렴한 가격에 분양 및 임대를 한다면 입주하고자 하는 의향을 가지고 있었으며, 30여 가구 정도의 독립적인 은퇴가구 형태를 노년을 보낼 수 있는 적합한 노인주거형태로 보고 있었다. 또한, 입주에 관심이 없는 이유로는 입주할 경제적 능력이 부족해서란 의견이 가장 높았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바람직한 노인주거복지시설개발 및 노인주거정책방향을 수립함에 있어 다음과 같은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노후의 생활비를 노인 스스로 부담하고자 하는 것은 많은 부담을 초래하므로, 노후준비를 하는 중년층을 대상으로 노인복지주택이든, 노인아파트든, 양로시설이든 노후의 주택구입에 필요한 비용과 의료 및 보건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적절한 보험제도 및 상품 등을 마련하여 보다 안정적이고 체계적으로 노후준비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둘째, 노인주거복지시설의 입주를 위해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노인의 경제적 측면을 고려하여 정부와 공공기관의 적절한 지원이 필요하며,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지역주민의 접근성 및 수요의 다양성에 부응할 수 있도록 노인주거시설 전달체계의 정비, 필요인력의 기준제시 및 교육, 비용의 보조 등 지원역할을 해야 한다. 셋째, 노인주거복지시설에 대한 사회적 인식개선의 노력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정부에서의 적절한 관리감독과 지원이 투명성 있게 운영되어져야 하며, 노인의 취미나 생활방식, 다양의 노인의 주거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노인주거시설복지의 건립이 필요하다. 넷째, 대도시 위주로 하는 노인주거시설의 개발 구상에서 벗어나 농촌 노인들과 도시 노인들의 절충 형 중소도시 시설에 대한 독자적인 구상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민간부문에서의 노인주거복자시설 건립을 위한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하여 노인주거복지시설 건립 투자업체에 세재감면 혜택이나 사회적인 인센티브를 줄 수 있는 기회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has been performed to investigate needs and preferences for the later life housing perceived by the mid-life adults. In this study, 2948 male and females aged 40 to 60 were interviewed about their preferences on their future retirement living. Some residents preferred to move into the facility area due to leisure pastime programs and elderly concentrating programs, as well as comprehensive needs for maintaining very natural social lives among the peer elderly as if they were in the family and in the community. Some felt the needs for their elderly congregate housing in 40s as much as more than 50%. On the other hand, about 35% felt they should live with children for emotional comforts. They viewed living at a cooperation farm nearby small cities are best fit later life. Regarding preferred housing type, the subjects most likely preferred independent single detached small housing unit. In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policy guides can project self regulating retirement community and more concrete financial support institutions like reverse mortgage as well as care providing services for the aged. In addition, it is also proposed that elderly housing needs to be developed targeting middle class pastoral life town around small cities and rural counties so that early elderly can start their active adult life style in pastoral community.

      • 서울시 노인종합복지관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감에 관한 연구

        강혜련 한서대학교 정보산업대학원 노인복지학과 2009 국내석사

        RANK : 253743

        This research was regarding the effects of work stress and public support in relation to Seoul’s agel general welfare center employees’state of depression. Detailed research problems were: First, What is the current situations of agel general welfare center employees’ stress level, public support, and depression level? Second, Does agel general welfare center employees’ social environment property effects their work stress, public support, and depression level? Third, is the work stress and public support the direct cause of agel general welfare center employee’s depression level? To verify these research problems, SPSS 15.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percentage, comparison, and confidence. Also, t-test and oneway-ANOVA was used to observe the average difference and regression analysis. The summary of the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we looked at the agel general welfare center employees’ work stress, publicsupport, and depression level. The major cause of work stress was excess amount of labor by 3.291 points, followed by work complications with 3.207 points and workers’ identity crisis by 2.291 points. Looking at the public support level, it had an average of 3.65 points, which is higher than average(median). The depression level had an average of 2.22points, which is lower than the average(median). Therefore, agel general welfare center employees’ state of depression is fairly low. Also, higher the levels of work complications, work identity crisis, and the employees’excess amount of work indicated higher level of depression. On the other hand, the depression level was low when the employees’ received positive public support. Next, according to agel general welfare center employees’ social environment property ,different age groups had different work stress caused by work complications. The research showed college and graduate school graduates had more complications than the high school graduates. Groups of agel general welfare center employees who had the most excessive amount of labor were in their 20’s and 30’s, college and graduate school graduates, those with one to three years of experience, and employees with social worker license. Also, the excessive amount of labor was high when their were less than thirty employees in one agel general welfare center . Those who were social worker like secretary general and nurse, had the high level of excessive amount of labor. Looking at the agel general welfare center employees’ social environment property relation to the work identity crisis, those who received monthly salary of 2,010,000 won to 3,000,000 won had lower level of work identity crisis than the other groups. Looking at the experience level, employees with less than one year of experience had more work identity crisis than those who had eight or more years of experience. Third, studying the agel general welfare center employees’ social environment property public support level, those employees with social worker license receive high public support. Also, the social worker received more public support than social worker like secretary general and nurse. Lastly, we looked at agel general welfare center employees’work stress and public support in relation to their depression. The employees with high work complications had high level of depression. Those with high work identity crisis also had high level of depression. However, receiving public supports from surrounding community had positive effect of lowering the level of depression. 본 연구에서는 서울지역 노인종합복지관에 근무하는 종사자를 대상으로 하여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종합복지관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우울감의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노인종합복지관 종사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직무스트레스, 사회적지지, 우울감은 차이가 나는가? 셋째, 노인종합복지관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는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SPSS 1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상관관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t-test와 oneway-ANOVA를 통한 평균차이 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종합복지관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 사회적지지, 우울감의 실태를 살펴보면 직무스트레스 요인 중 역할과다가 3.291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역할갈등이 3.207점, 역할모호성이 2.291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를 살펴보면, 평균 3.65점으로 중앙값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다. 우울감 수준을 살펴보면, 평균 2.22점으로 중앙값보다 낮은 점수를 보였다. 즉, 노인종합복지관 종사자들의 우울감은 낮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노인종합복지관 종사자들은 역할갈등이 심할수록, 역할모호성이 높을수록, 역할과다가 심할수록 우울감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을수록 우울감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종합복지관 종사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직무스트레스의 차이에서 역할갈등을 살펴보면, 대졸 및 대학원졸 이상이 고졸에 비해 역할갈등을 가장 심하게 느끼고 있었다. 노인종합복지관 종사자의 역할과다 차이에서는 연령에서는 20대와 30대가 역할과다가 높았고, 학력에서는 대졸 및 대학원졸 이상이, 근무기간에서는 1년에서 3년이 역할과다가 높게 나타났으며, 사회복지사 자격증이 있는 경우가 역할과다가 높았으며, 직원수가 30명 이하인 경우가 역할과다가 높게 나타났으며, 종사자들의 직위를 살펴보면 일반사회복지사가 기타(사무국장, 간호사)보다 역할과다가 높게 나타났다. 노인종합복지관 종사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역할모호성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월평균 소득이 201만원에서 300만원인 종사자의 역할모호성이 다른 집단보다 낮았다. 근무기간을 살펴보면 1년미만의 근무를 한 종사자가 8년 이상의 근무를 한 종사자에 비해 역할모호성이 높았다. 셋째, 노인종합복지관 종사자들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 지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노인종합복지관 종사자의 사회복지사 자격증이 있는 경우에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위에 따라서는 사회복지사들이 기타(사무국장,간호사)의 경우보다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노인종합복지관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는 우울감에 영향을 살펴보면, 노인종합복지관 종사자는 역할갈등이 심할수록 우울감이 높고, 역할의 모호성이 높을수록 우울감이 높지만, 주변대인관계망으로부터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을수록 우울감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죽음불안 간의 관계 : 노노케어사업 참여노인과 일반노인간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상진 한서대학교 정보산업대학원 노인복지학과 2012 국내석사

        RANK : 253727

        본 연구는 노노케어사업에 참여하는 노인 203명과 일반노인 370을 대상으로 노인이 제공받는 사회적 지지와 죽음불안을 비교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1년 6월과 7월에 노노케어에 종사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일반노인의 자료는 2010년 노인의 정신건강을 파악하기 위한 자료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7.0을 사용하여 신뢰도분석, 빈도분석, 교차분석, t-test, oneway ANOVA,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노케어사업 참여노인과 일반노인 간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죽음불안 및 사회적 지지의 차이를 파악한 결과, 일반노인의 경우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었지만 노노케어사업 참여노인의 경우 여성의 비율이 남성보다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라서는 노노케어사업 참여노인의 경우 65세에서 74세 사이의 노인의 비율과 75세 이상의 노인의 비율이 차이가 많지 않았지만, 일반노인의 경우 연령이 65세에서 74세의 노인이 75세 이상의 노인보다 2배 이상 많았다. 교육의 정도에 따른 노노케어사업 참여노인과 일반노인을 비교해보면 노노케어사업 참여노인, 일반노인 모두 무학인 경우보다 유학인 경우가 많았으며, 일반노인의 경우 더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주지의 경우 노노케어사업 참여노인은 도시(동, 읍)지역과 농촌(면)지역이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일반노인의 경우는 농촌(면)지역 보다는 도시(동, 읍) 지역에 더 많이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소득수준의 경우 노노케어사업 참여노인은 ‘부족하다’라고 응답한 노인과 ‘보통’이거나 ‘넉넉하다’라고 응답한 노인이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일반노인은 ‘부족하다’라고 응답한 노인보다 ‘보통’이거나 ‘넉넉하다’라고 응답한 노인이 2배정도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동거상태를 보면 노노케어사업 참여노인은 부부간의 동거, 독거, (손)자녀와의 동거 순으로 '부부간에 동거를 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일반노인의 경우 부부간의 동거, (손)자녀와 동거, 독거의 순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건강상태를 보면 노노케어사업 참여노인과 일반노인 모두 주관적 건강상태가 ‘보통’이거나 ‘건강하다’라고 생각하는 노인이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일반노인의 경우 노노케어사업의 노인에 비해 ‘나쁘다’라고 응답한 노인이 더 많았다. 또한 노노케어사업 참여노인과 일반노인 간의 죽음불안과 사회적 지지의 차이는 유의미하였다. 노노케어사업에 참여하는 노인이 일반노인보다 죽음불안 수준과 사회적 지지가 더 높았다. 둘째, 노노케어사업 참여노인과 일반노인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죽음불안과 사회적 지지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노노케어사업 참여노인의 경우에는 건강이 나쁘다고 생각할수록 죽음 불안이 높고, 배우자가 있는 경우, 도시(동, 읍)지역보다 농촌(면)지역에 거주하는 경우, 주관적 소득수준이 높은 경우, 부부가 동거를 하는 경우에 사회적 지지를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노인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죽음불안과 사회적 지지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유학인 노인보다 무학의 노인이, 종교를 가지고 있는 노인보다 종교가 없는 노인의 죽음불안의 수준이 더 높고, 건강이 ‘나쁘다’라고 생각할수록 죽음불안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관적 소득수준이 ‘보통’이거나 ‘넉넉하다’고 응답한 노인의 사회적 지지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노케어사업 참여노인과 일반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죽음불안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노노케어사업 참여노인의 경우 주관적인 건강상태가 좋지 않을수록 죽음불안이 더 높고, 사회적 지지가 낮을수록 죽음불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령이 높은 경우 사회적 지지가 높고, 배우자가 없는 경우, 거주지가 동이나 읍지역인 경우, 주관적 소득수준이 ‘보통’이거나 ‘높다’고 인식하는 경우 사회적 지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노노케어사업 참여노인의 경우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을수록 죽음불안이 낮아졌으나, 일반노인의 경우에는 사회적 지지와 죽음불안간의 상관관계가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회귀분석을 통한 사회적 지지가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은 노노케어사업 참여노인과 일반노인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The study, targeting 203 elderly people participating in 'Elderly Care by Elderly' Project and 370 non-participating senior citizens, aims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ir social support and anxiety over death. So the study surveyed senior citizens engaged in 'Elderly Care by Elderly' Project in June and July, 2011 and used the data of general elderly people, collected to figure out their mental health in 2010. The study made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cross-tabulation analysis, t-test, oneway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using Spss Win 17.0. The research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differences between senior citizens participating in 'Elderly Care by Elderly' Project and general ones in thei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xiety about death, and social support, the gender ratio of general senior citizens was fifty-fifty, while the rate of female elderly participants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male ones. Speaking of age, participating ones showed no big difference between the rate of those aged from 65 to 74 and that of those over 75, while the rate of non-participating ones aged from 65 to 74 was twice as high as that of those over 75. When it comes to educational background, the number of educated ones was greater than that of uneducated ones in both senior citizens participating in the project and general elderly people, and the latter ones showed a greater difference than the former ones. As for residence, elderly participants did not show a big difference between the number of those living in urban areas(dong, eup) and that of those living in rural areas(myun), while more of non-participating ones are living in urban areas(dong, eup) other than rural areas(myun). In case of subjective income level, the rate of participating ones answering 'not enough' was similar to that of those who said 'average' or 'enough', while the rate of non-participating ones answering 'average' or 'enough' was twice as high as that of those saying 'not enough'. In terms of cohabitation, the most of elderly participants answered 'living with my spouse', followed by 'living alone' and 'living with my (grand)children' in order, the most of elderly nonparticipants said 'living with my spouse', followed by 'living with my (grand)children' and 'living alone' in order. With regard to subjective physical condition, more of them answered 'average' or 'healthy' in both parcitipants and nonparticipants, while the rate of the latter ones answering 'not healthy' was higher than that of the former ones.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 in anxiety over death and social support: those participating in the project showed a higher level of anxiety over death and social support than those who do not participate in the project. Second, the study looked into differences in anxiety over death and social support of the two groups, led by thei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case of elderly participants, the more they think they're not healthy, the more anxiety over death they have, and those having a spouse, living in rural areas(myun), having higher income level, and living with a spouse turned out to gain more of social support. As for elderly nonparticipants, uneducated and unreligious ones showed greater anxiety over death than educated and religious ones, and the more they think they are 'not healthy', the more anxiety over death they have. Furthermore, those thinking of their subjective income level as ‘average’ or ‘enough’ proved to gain more social support.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anxiety over death in the two groups, the worse their subjective physical condition is, the greater anxiety over death they feel, and the less social support they gain, the greater anxiety over death they have in case of senior citizens participating in Elderly Care by Elderly Project. Social support turned out to be high in older ones when they have high social support, have no spouse, live in urban areas(dong, eup) and recognize their subjective income level as ‘average’ or ‘high’. Finally, elderly people participating in the project with more of social support showed less anxiety over death,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anxiety over death in case of general senior citizens. However, a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social support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anxiety over death in the two groups.

      •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자의 교육만족도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공익형, 복지형, 교육형을 중심으로

        유명환 한서대학교 정보산업대학원 노인복지학과 2012 국내석사

        RANK : 253727

        노인들이 일자리사업에 참여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경제적 이유이다. 본 논문에서는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자의 교육만족도와 직무만족도가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본 논문에서는 교육만족도를 향상시켜 직무만족도를 제고하여 노인 일자리사업을 활성화하여 노인들의 경제적 필요 충족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As the importance of senior work has been emphasized, the study about job satisfaction and the study about education satisfaction and desire were done. But the study about the relation between education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is not done. So, I wanted to study about the relation between education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and contributed on the progress of senior work. I did this study about the seniors who belong to the senior institution and lived in Dang jin county, and working as the public type, the welfare type, and the education type. They were 219 peopl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the social and demographic characters, the situation about senior work, and the education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work type, the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work type, the influence of education satisfaction on job satisfaction. I used the SPSS WIN 16.0 for the analysis of data. I can summarize the result. First, according to the social and demographic characters, the female number was bigger than the male number. And the Elementary graduates and Seodang graduates were 55%. The 42% seniors responded that they were healthy. The 61.6% seniors lived with their partner. The 50.2% seniors composed family only with their partner. The 54% seniors responded that they were normal economic status. The 48.4% made money for their lives through senior work. The monthly income was 640,000 won in average. The monthly pocket money was 240,000 won in average. The 49.5% seniors responded that the most difficult problem was economy. Second, according to the study for situation of senior work, seniors participated in work during 10.3 month in average. And seniors participated 2.6 days per week. Seniors participated 3.2 hours per day. The participation motive of 35.6% seniors was for the pocket money. Third, the welfare type seniors had the highest education satisfaction. Fourth, the welfare type seniors had the highest job satisfaction. Fifth, the management method and attitude, education contents, and education method influenced on the job satisfaction positively. I can conclude and suggest. Seniors worked for the economy mainly. And the sub-factors of education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must be progressed. Seniors desired more money. To meet with their need, we must enhance the education satisfaction, and cause the enhancement of job satisfaction, and finally cause the better outcome. So, let the seniors can make more money. For this, the government policy makers must consider.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are the limited types, regional limitation, and small people number.

      • 農村 중노년의 農村 觀光事業 認識에 관한 硏究

        이상국 한서대학교 정보산업대학원 노인복지학과 2009 국내석사

        RANK : 253727

        본 연구에서는 노인 인구의 증가와 함께 수반되는 노후생활 안정 및 복지에 관한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알아본다. 특히, 해결책의 일환으로,농촌 노인에게 그들의 삶의 터전을 활용한 안정된 노후생활을 위한 농촌관광 사업프로그램의 역활과 동향을 파악하고자 실증적인 분석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농촌관광 사업개발이 농촌 노인의 삶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시각들을 조명하여, 농촌관광사업 활성화에 본 연구의 초점을 두었다. 특히 본 연구는 서산시에 위치한 지곡면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 성인 남성들의 죽음불안과 노화불안

        기노진 한서대학교 정보산업대학원 노인복지학과 2012 국내석사

        RANK : 253727

        노화에 대한 불안은 근본적으로 죽음에 대한 두려움으로부터 연유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우리 사회의 노화불안이 죽음불안으로 인한 것인지에 대해서는 명확한 연구결과가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직장에서 근무하는 성인 남성들을 대상으로 죽음불안과 노화불안의 관계를 규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경기지역 소재 직장에 근무하는 성인 남성 315명을 대상으로 죽음불안 및 노화불안에 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죽음불안은 평균 3.02점이었으며, 요인별로는 짧은 시간 지각, 죽음생각의 부인, 죽음연관 사건에 대한 두려움, 죽음생각의 부인 순이었다.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죽음불안의 차이 분석 결과, 나이가 많고, 학력이 높을수록 죽음불안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요인별로는 죽음연관 사건에 대한 두려움은 45세 이상의 불안이 컸고, 짧은 시간 지각은 45세 이상일수록 그리고 자녀가 많을수록 불안이 더 컸으며, 죽음에 대한 두려움은 월평균 소득이 적을수록 불안이 컸고, 죽음생각의 부인에서는 모든 특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노화불안은 평균 3.06점이었으며, 요인별로는 심리적 불안정, 노인에 대한 두려움, 상실에 대한 두려움, 외모에 대한 걱정의 순으로 나타났다.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노화불안의 차이 분석 결과, 고졸자가 그 이상의 고학력자들보다 노화불안이 더 낮았다. 요인별로는 노인에 대한 두려움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심리적 불안정은 고학력이고 고소득인 경우 더 불안이 컸고, 상실에 대한 두려움은 연령이 높을수록 불안이 더 컸으며, 외모에 대한 걱정은 고학력일수록 불안이 높았다. 셋째, 죽음불안과 노화불안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죽음불안에서는 첫째, 연령이 높고 짧은 시간 지각과 죽음에 대한 두려움이 크며 상실에 대한 두려움과 외모에 대한 걱정이 크고 심리적 불안정이 적을수록 죽음연관 사건에 대한 두려움이 높았다. 둘째, 연령이 높고 죽음연관 사건에 대한 두려움과 죽음에 대한 두려움이 크며 노인에 대한 두려움은 적고 상실에 대한 두려움과 외모에 대한 걱정은 높을수록 짧은 시간 지각의 불안이 높았다. 셋째, 월소득이 적고 죽음연관 사건에 대한 두려움과 짧은 시간 지각 그리고 죽음생각의 부인에 대한 불안이 높을수록 죽음에 대한 두려움이 높았다. 넷째, 죽음에 대한 두려움과 상실에 대한 두려움이 높고 심리적 불안정이 낮을수록 죽음생각 부인의 불안이 높았다. 노화불안에서는 첫째, 짧은 시간 지각과 죽음에 대한 두려움 그리고 심리적 불안정이 높을수록 노인에 대한 두려움이 높았다. 둘째, 월소득이 높고 주관적 생활수준은 낮으며 죽음연관 사건에 대한 두려움과 죽음생각의 부인 그리고 상실에 대한 두려움과 외모에 대한 걱정이 낮고 노인에 대한 두려움이 높을수록 심리적 불안정이 높았다. 셋째, 연령이 높고 월소득은 낮으며 죽음연관 사건에 대한 두려움과 짧은 시간 지각 그리고 죽음생각의 부인이 높고 심리적 불안정이 낮을수록 상실에 대한 두려움이 높았다. 넷째, 연령이 높고 학력이 높으며 월소득이 낮고 주관적 생활수준이 높고 죽음연관 사건에 대한 두려움과 짧은 시간 지각 그리고 상실에 대한 두려움이 높으며 심리적 불안정이 낮을수록 외모에 대한 걱정이 높았다. 넷째, 노화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노인에 대한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죽음불안 중 짧은 시간 지각으로, 짧은 시각 지각에 대한 불안이 낮을수록 노인에 대한 두려움이 컸다. 심리적 불안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월소득과 주관적 생활수준, 그리고 죽음불안 중 죽음연관 사건에 대한 두려움과 죽음생각의 부인으로, 그 중 가장 중요한 영향요인은 죽음생각의 부인이었으며, 월소득이 300만원 이상이고, 주관적 생활수준이 어려우며, 죽음연관 사건에 대한 두려움이 낮고, 죽음생각의 부인 불안이 낮을수록 심리적 불안정이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상실에 대한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령과 월소득, 그리고 죽음불안의 네 가지 요인으로, 그 중 죽음연관 사건에 대한 두려움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이 높고, 월소득이 낮으며, 죽음연관 사건에 대한 두려움이 높고, 짧은 시간지각의 불안이 높으며, 죽음에 대한 두려움이 낮고, 죽음생각의 부인이 클수록 상실에 대한 두려움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외모에 대한 걱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력과 월소득 그리고 죽음연관 사건에 대한 두려움과 죽음에 대한 두려움으로, 그 중 가장 중요한 변인은 죽음연관 사건에 대한 두려움이었으며, 죽음연관 사건에 대한 두려움이 크고, 죽음에 대한 두려움이 낮을수록 외모에 대한 걱정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직장의 성인 남성들이 올바른 죽음불안과 노화불안에 관한 지식을 습득하고 불안에 대한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다양하고 전문적인 상담 및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시할 것으로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lations between death and aging anxiety of male adults working at companies. For this purpose, survey on death and aging anxiety was conducted aiming at 315 male adults working at companies located in Gyeonggi-do.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pondents' average death anxiety was 3.02 points and according to factors, the recognition of short time, the fear of accidents relating to death, and the denial of thinking about death were in the order. Meanwhile, as older and higher educated, the death anxiety was higher and according to factors the fear of accidents relating to death was higher at men over 45, and the recognition of short time was higher at men over 45 and having more children . And the fear of death was higher at men with less income. Second, the respondents' average aging anxiety was 3.06 points and according to factors, the psychological instability, the fear of becoming older, the fear of loss, and the anxiety on appearance appeared in the order. High school graduators had lower aging anxiety than the others, according to factors, the psychological instability was higher at men higher educated and with more income, the anxiety of loss was higher at men more aged, and the anxiety of appearance was higher at men higher educated. Third, in the result analyzing correlation between death anxiety and again anxiety, first, as age was high and short time recognition and fear on death were high, fear on loss and anxiety on appearance were high and less psychological instability had high fear on events relating to death. Fourth, higher fear on death and loss and less psychological anxiety had higher anxiety of denying of death thought. In aging anxiety, first, higher short time recognition, higher fear on death, and higher psychological instability had higher fear of becoming old men. Second, high monthly income, low subjective living level, low fear on accidents relating to death, low denying of death though, low fear on loss, low anxiety on appearance, and higher fear of becoming old men had high psychological instability. Third, high age, low monthly income, high fear on accidents relating to death, high short time recognition, high denying on death thought, and lower psychological anxiety had high fear on loss. Fourth, high age, high education, low monthly income, high subjective living level, high fear on accidents relating to death, high short time recognition, high fear on loss, and lower psychological anxiety had high anxiety on appearance. Fourth, in the result analyzing elements influencing aging anxiety, the factor influencing the fear of becoming old men was the short time recognition among death anxieties, and lower anxiety on short time recognition had high fear of becoming old men. Factors influencing psychological anxiety were monthly income, subjective living level, and fear on accidents relating to death and denying of death thought among death anxieties, and the most important influencing factor among them was denying of death thought, and those who having over 3 million won of monthly income, difficulty in subjective living level, low fear on accident relating to death, and lower fear on denying death thought showed high psychological anxiety. Next, the factors influencing fear on loss were age, monthly income, and four factors of death anxiety, and among them fear on accidents relating to death appeared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and high age, low monthly income, high fear on accidents relating to death, high anxiety of short time recognition, low fear on death, and higher denying on death thought appeared to have high fear on loss. At last, factors influencing the anxiety on appearance were education, monthly income, fear on accidents relating to death, and fear on death, and the most important variable among them was fear on accidents relating to death, and high fear on accidents relating to death and lower fear on death appeared to have greater anxiety on appearanc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 the study suggested development of diverse and specialized counseling and programs so that adult men working at companies can acquire right death anxiety and aging anxiety and form positive relations on the anx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