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기획주제: 현대 기독교철학과 미학 : 『그리스도교 교양』과 아우구스티누스

        문영식 ( Young Sik Moon ) 한국기독교철학회 2013 기독교철학 Vol.17 No.-

        본 논문에서 다루고자 하는 주제는 아우구스티누스의 그리스도교 수사학이다. 아우구스티누스는 그리스도교 교양 Ⅳ권을 중심으로 수사학에 관한 문제에 천착했다. 아우구스티누스는 Ⅳ권에서 그리스도교 수사학을 실행하는 방식인 설교의 문제를 다룬다. 아우구스티누스는 그리스도교로 개종한 후 수사학과 상당한 거리를 두었지만 사목활동 30년이 넘는 긴 시간이 흐른 후에 그리스도교 교양 Ⅳ권 통해 다시금 수사학으로 복귀한다. 본 논문은 아우구스티누스의 수사학 복귀 이유와 그리스도교 교양 Ⅳ권의 집필 목적을 같은 맥락에서 살펴보려고 한다. 이런 고찰을 통해 아우구스티누스가 고전 수사학을 수용하고 변용시키며 그리스도교 수사학을 정초했음을 드러내고자 한다. 아우구스티누스는 키케로의 수사학을 빌려와서 그리스도교 수사학의 설교이론의 틀을 만들었다. 키케로의 수사학에 영향을 받은 아우구스티누스는 수사학의 문체론을 수용하고 변용시켜 그리스도교의 문체의 개념을 제시한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초기교부들처럼 수사학의 도움을 받지 않고 그리스도교진리만 있으면 된다는 신앙 일변도도 문제가 있고, 로마 문화 일색도 문제가 있다는 입장을 취한다. 아우구스티누스는 그리스도교 교육과 성직자 교육, 성도의 교육에서 적극적으로 수사학을 사용할 수 있지 않겠느냐의 대목에서 수사학을 도입했으며, 그 결과가 그리스도교 교양 Ⅳ권으로 나타났다. 그래서 사목활동 만년에 Ⅳ권을 덧붙이게 된 것이다. 그래서 아우구스티누스가 그리스도교 수사학의 기초를 다진 셈이다. 아우구스티누스 이후의 설교학은 그리스도교 교양 에 기초를 두고 중세 설교학이 나오게 되었다. 결론적으로 아우구스티누스는 그리스도교 수사학을 정초했을 뿐만 아니라 이후 중세 설교학의 기초를 놓았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The themes of this paper is Augustine`s christian`s rhetoric. He has studied about rhetoric especially [De doctrina christiana] IV. In [De doctrina christiana] IV, he is dealing with the problem of preaching practicing christianity rhetoric. After his conversing to the christianity, he is far away with the rhetoric considerably. But after 30 years later, he returns to the rhetoric again through [De doctrina christiana] IV. This article is studying the reason of his return to the rhetoric and the purpose of writing of [De doctrina christiana] IV. Through this, he adapts and adopts the classic rhetoric so begins christianity rhetoric. Augustinus borrows Cicero`s rhetoric and makes preaching-theory of the christianity rhetoric. Augustinus takes a position that it is problematic both only christianity truth without any help of rhetoric as early church fathers and only roman culture. So Augustinus adapts actively the rhetoric in the education of christian, clergy, holy man so that it appears in [De doctrina christiana] IV. As a result, it adds book IV in his late years. so he lays the foundation of the christianity rhetoric. After his death, the preaching based on [De doctrina christiana] IV emerges the medieval rhetoric preaching. As a result, not olny Augustine set up the christianity rhetoric, but also after that it can estimate that he lays on the medieval rhetoric preaching.

      • KCI등재

        그리스도교의 중심 이동과 도(道)의 신학

        김흡영(Heup Young Kim)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12 아시아리뷰 Vol.2 No.2

        아직까지도 현대문명을 주도하고 있는 서구사상의 기조는 서구 그리스도교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마찬가지로 한국을 비롯하여 중국, 일본, 싱가포르, 베트남 등 전통적으로 유교문화권에 속한 동아시아 국가들을 주도하는 동아시아 문화의 사상적 배경은 유교라고 할 수 있다. 동아시아가 서구가 주도한 현대문명의 만남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리스도교 사상(신학)과 유교 사상(유학)의 비교와 대화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더욱이 세계 그리스도교의 중심은 이미 전통적 그리스도교 문화권이던 유럽과 북미주로부터 이탈하여 남미, 아프리카, 아시아로 이동하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글로벌 그리스도교의 지형에서 특히 유교는 그리스도교가 역사적으로 조우한 종교문화 전통들 중 마지막 변경이라고 할 수 있어, 동아시아의 그리스도교 신학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서구 문명의 주체라고 할 수 있는 서구 그리스도교 신학과 동아시아 문화의 기조라고 할 수 있는 유교(신유학)와의 만남을 유교-그리스도교 대화의 두 실례(왕양명과 칼 바르트, 이황과 요한 칼뱅)를 통하여 고찰하고, ‘도의 신학’을 이러한 세계 그리스도교의 중심이 이동하는 맥락에서 새로운 글로벌 그리스도교 신학의 한 대안적 패러다임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One cannot deny that Western Christianity provided the foundation for the Western thought, and that it continues to influence the contemporary Western civilization. Likewise, Confucianism provided the traditional basis for the East Asian cultures, such as that of Korea, China, Japan, Singapore, and Vietnam. Therefore, a comparative study through the examination of interreligious dialogue between the Confucian thought and the Christian theology is necessary for our understanding of the situation of East Asia vis-a-vis the contemporary Western civilization built upon the Western thought. Furthermore, the center of Christianity is no longer Europe―the home of Christendom―and North America, but rather, it has shifted to Africa, Latin America, and Asia. In this new map of the globalizing Christianity, the East Asian theology becomes significant for its bond with Confucianism, the last of the religio-cultural traditions historically encountered by Christianity. This paper examines the encounter between the Western Christian theology (the basis of Western civilization) and the Confucian thought (the basis of the East Asian cultures), by drawing on two examples of a Confucian-Christian dialogue (between Wang Yang-ming and Karl Barth, and between Yi Hwang and John Calvin). By doing so, this paper argues for the “theology of Tao” as the alternative paradigm in the new context of the center-shifting, globalizing Christianity.

      • KCI등재

        한국 그리스도교 연구, 한국적이기 위하여

        이찬수 韓國宗敎敎育學會 2001 宗敎敎育學硏究 Vol.13 No.-

        다른 문화권 안에 새로운 종교가 소개되기 위해서는 그 종교 문화적 전통 안에 살고 있는 사람들 안에서 새롭게 이해되고, 이해 대상이 이해 주체 안에 그 전과는 다르게 받아들여져야 한다. 그리스도교도 마찬가지이다. 한국적으로 이해된 그리스도교와 서양인들이 이해하고 있는 그리스도교는 다르다. 두 문화적 맥락 사이에는 상당한 격차가 놓여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난 100년간 진행되었던 한국 그리스도교 연구는 이러한 이해 과정, 특별히 한국의 종교문화적 상황을 충분히 의식하지 못한 채 이루어졌다. 한국 그리스도교 연구자는 거의 모든 분야에서 한국이라는 지평을 떠나 있었고, 연구의 시각도 한국을 단순히 대상적으로 파악하는 수준을 넘어서지 못했다. 그들은 대부분 서양의 오리엔탈리즘적 시각을 그대로 받아서, 한국을 그리스도교화해야 할 평면적이고 지리적인 공간 차원에서 파악했다. 그러나 한국 그리스도교는 서구 그리스도교라는 보편성에 의해 대상적으로 조명됨으로써 정당성이 확보되어야 할 주변물이 아니다. 한국 없는 한국 그리스도교, 한국 그리스도교 없는 그리스도교 일반이란 애당초 불가능한 개념이기 때문이다. 한국의 역사적이고 문화적인 전통 없이 한국에서 그리스도교는 아무런 내용도 획득하지 못한다. 서양 그리스도교의 특수성과 한국 그리스도교의 특수성이 공존하면서 그리스도교라는 실재가 성립되는 것이다. 모두를 중심으로 세울 수 있는 연구자세가 필요하다. 그것이 한국과 서양의 대립 구도를 넘어서는 탈옥시덴탈리즘적 한국 그리스도교 연구 자세인 것이다. 그래서 이 글의 제목도 "한국 그리스도교 연구, 한국적이기 위하여'라고 붙였다. A Religion is introduced to another culture only when it is understood anew by the people who live in that cultural tradition, is assimilated into the subject of understanding in a tangible way, through their languages. Christianity is similarly circumstanced. Such assimilated Christianity by the Korean people are not the same as Christianity by the Westerners. Because there are sharp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ultural contexts. But the consciousness of this process, especially of the Korean religious situation, has been not fully reflected in the one hundred years of the study of Korean Christianity. the researchers of Korean Christianity in almost fields of study have been beyond the horizon of Korea, regarded Korea as a geographical space to be Christianized with the view of Western orientalism. Korean Christianity is, however, not a peripheral thing which is justified by the lightening of the universality of Western Christianity. No Korean Christianity without Korea. No Christianity itself without Korean Christianity. Christianity obtains no more contents without Korean historical and cultural tradition. The reality of Christianity come into existence only in coexistence of Korean particularity and Western particularity. The attitude of study considering all particularities as the centers and cores is requested. It is the de-occidentalismic study of Korean Christianity which goes beyond antagonism between Korean and Western. So this paper is given a title "For the Study of Korean Christianity in Korean viewpoint".

      • KCI등재후보

        대립과 조화 : 한국 불교와 그리스도교 관계의 역사 A History of Relation between Korean Buddhism and Christianity

        李贊洙 韓國宗敎敎育學會 2004 宗敎敎育學硏究 Vol.19 No.-

        이 글에서는 불교와 그리스도교가 그동안 어떤 관계를 가져왔었는지 그 관계의 역사를 한국적 맥락에서 정리해보고자 한다. 주지하다시피, 그 동안은 주로 그리스도인의 불교에 대한 일방통행식, 아전인수식 선언이 주류를 이루어왔다. 샤를르 달레 같은 선교사는 물론 정약종, 정하상 등 초기 사대부 가문의 천주교 신자들까지 불교를 위시한 한국의 전통 종교에 대해 대단히 비판적이었다. 이러한 양상은 언더우드, 비숍 같은 개신교 선교사들에게서도 비슷하게 나타났다. 그들에게 불교는 무신론 내지는 미신이었다. 그러다가 20세기 초반 최병헌 목사에게서 그리스도교 중심적 타종교 수용의 단초가 보이다가, 1960년대 이후 가톨릭은 제2차 바티칸공의회를 기점으로 타종교 포용적 시각으로 선회하기 시작했고, 개신교 신학자들 사이에서는 토착화신학이 움텄다. 이러한 토대 위에서 불교를 적극적으로 신학화한 변선환이 등장한다. 그는 불교와 그리스도교를 "불가결의 보충"(야스퍼스) 차원에서 보았고, 두 종교인들의 공동 수행을 제안하기도 했다. 길희성은 불교와 그리스도교간 관계를 정교하게 서술하며 창조적 일치의 차원에서 이들 간의 대화, 비교의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렸으며, 90년대 들어서는 김승철, 이찬수 등이 불교와의 대화를 적극적으로 도모하는 중에 있다. 이와 함께 유영모, 함석헌, 이현주 등 그리스도교권 수행적 사상가들에게서는 이들 종교가 하나된 모습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물론 편견없는 연구 내지는 포용적 자세들은 극히 제한적인 수준에 머물고 있는 실정이다. 전반적으로 불교에 대한 일반 그리스도인의 입장은 여전히 부정적이며, 일부극단적 근본주의자들은 폐불 사건까지 일으킬 정도로 불교에 대한 그리스도인의 시각은 때로 극단적으로 치닫기도 한다. 이러한 상황을 우려하며 불자들 사이에서는 일부 개신교도들의 공격적 선교에 대한 내부적 대응 방안을 모색하기도 한다. 방어적 대응 차원에 머물지 말고 그리스도교에 대한 적극적인 연구로 나아가야 한다고 제안하기도 한다. 하지만 20세기 전반에 《백교회통》과 《기독교급외교사》를 썼던 이능화와 20세기 후반에 불교와 그리스도교를 상호 일치적 차원에서 잠시 논하기도 했던 이기영을 제외한다면, 그리스도교에 대한 불교권의 본격적인 연구는 아직 나오지 않고 있는 형편이다. 애정을 가지고 그리스도교의 신학을 제대로 다룬 불자들의 연구가 요청되는 때이다. 이러한 상황을 의식하고 적극적으로 소화할 때 21세기 한국 불교학에 전환이 일어날 것이다. This paper outlines the history of conflict and dialogue between Buddhism and Christianity in Korean context. As is generally known, almost Christian view to Buddhism has been arguing from a self-centered angle. Not only foreign missionary like Claude-Charles Dallet but Korean Catholic believers like Jeong Yak-Jong and Jeong Ha-Sang was very critical to the Korean traditional religions including Buddhism. The view of Protestant missionaries like H.G.Underwood and I.L.Bishop to Buddhism assumed an almost same aspect of that. For them, Buddhism was a sort of atheism or superstition. Early in the 20th century, Choi Byung-Heon, a Protestant clergyman, began to show an aspect of embracing Buddhism. After the 1960's, Catholic began to treat in a friendly way to other culture or religions starting from the Second Vatical Council, meaningful indigenous theologies sprouted by some Protestant theologians. On the basis of this situation, Pyun Sun-Hwan adopts Buddhism as a matter of theology. He explained the relations between Buddhism and Christianity in the dimension of "Unerlassliche Erganzung"(Karl Jaspers), suggested the common spiritual practice between two religions. Keel Hee-Sung describes very eleborately the relation between two religions in the dimension of creative unity, raises the dialogical and comparative level. In the 1990's, Kim Sung-Chul, Yi, Chan-Su attempt the dialogue between these religions positively. And some spiritual thinkers like Yu Young-Mo, Ham Seok-Hun, Yi, Hyun-Ju practice was/is the spiritual leaders who was/is beyond and broke/break down the barriers between religions. Christians who assume a clear attitude free from general bias are certainly in the minority. The view of general Christians to Buddhism is negativeon the whole. Some radical fundamentalists run to an extreme as much as that break a statue of Buddha. For fear of that attactive acts of radical fundamentalists some Buddhists seek to discuss how to respond such a destructive acts. It is also said to be demanded a positive research into the Christianity. The full-scale researches into the Christianity by Buddhists have not produced yet, nevertheless, apart from Yi Neung-Hwa who published the books about the Christianity at early 1920's and Yi Ki-Young who argued the unity of these religions through his short article in the 1980's. It is time that the affectionately proper researches into Korean Christianity by Buddhists are demanded. Only after being conscious and embracing this situation,

      • [논단 8] 아동의 그리스도교 종교적 경험

        김상인 인천가톨릭대학교 2013 누리와 말씀 Vol.- No.34

        제2차 바티칸 공의회 문헌 중에「계시헌장」에서는 “구원의 역사 안에서 하느님께서 이루신 업적들은 가르침과 그리고 말씀들로 표현된 사실”(DV 2)들을 통해서 인간의 언어로 제시된다고 말했고, 이것에 대해서 인간은 그들의 구체적인 역사 속에서 활동하시는 하느님의 체험 가능함을 알 수 있게 되었다. 그렇다면 인간적인 경험과 더구나 종교적인 경험(혹은 체험)이 부족한 아동들의 경우에는 어떻게 하느님의 초대에 응답하고 그러한 만남을 경험할 수 있을까? 그것은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부모로부터 받게 되는 신앙교육과 본당에서의 주일학교 교육을 통해 어느 정도 가능할 것이라는 기대를 하게 하지만, 유아와 아동에 대하여 부모와 본당 교리교사들의 이들 대상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와 이해가 부족하다면,「어린이 미사 지침서」가 말하고 있는 그들의 선천적인 종교성(capacitatis religiosae sigularis, 2항)을 발견하는 일은 쉽지 않을 것이고, 또, 그에 따른 그들을 위한 신앙교육의 방향성과 방법은 이러한 대상이 받아들이고 경험할 수 있는 정도와 많은 차이를 가지게 될 것이다. 이에 유아로부터 아동으로 성장함에 따라 어떻게 그리스도교 종교적 경험이 가능하고, 발전하며, 교리교육의 현장에서도 중요하게 인식되는지에 관한 물음은 중요하게 여겨진다. 이러한 물음으로부터 종교적 경험과 그리스도교 종교적 경험의 일반적인 핵심 내용을 통해 그리스도인들이 갖는 종교적 경험에 대해서 살펴보았고, 과연 아동(만 7세부터 12세 정도의 초등학생)은 그리스도교적인 환경 속에서 그 종교적 경험이 가능한가에 대한 물음과 그들이 종교 심리학 관점에서 인지적·정서적인 발달을 거치면서 하느님에 대한 이해와 부모와의 관계 속에서 얻고 경험하게 되는 그리스도교 종교적 경험의 중요성과 그러한 경험들이 아동들에게 실제로 전례적인 삶 안에서 어떻게 표현되고 발전하는지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아동에게 있어서의 그리스도교 종교적인 경험은 이미 성인들처럼 그러한 경험들을 종교적인 차원에서 경험하고 분석하며, 심화하여 그 경험에 대해 재해석을 하는 차원의 것이라 쉽게 말하기가 어려운 것이었다. 왜냐하면, 아동의 인지적, 정서적인 한계 때문에 성인들이 가지는 경험을 받아들이고 해석하는 데에 어려움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유아로부터 아동으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아동이 가지게 되고, 종교적인 환경 속에서 경험하게 되는 인지적·정서적·종교적 표현적인 변화들을 통해 그들이 -부모의 신앙적인 큰 도움과 함께- 그들 나름의 방식으로 최선을 다하여 그리스도교 종교적인 경험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그것이 교리교육과 전례적 교육(양성)적인 측면과도 밀접하게 연결되어 아동의 그리스도교 종교적 경험의 중요성을 간과할 수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그러한 가능성은 두 분야에서의 대상을 이해하는 것에 대한 탁월한 방향성을 제시하고, 내용 설정과 방법론의 선택에서도 중요한 참고가 될 것으로 기대할 수 있었다(물론 이러한 분야에서 근본적으로 하느님의 은총과 함께하는 아동의 신앙적 성장에 관한 필수적인 요인을 절대적으로 인정함을 전제로 한다). 끝으로 교리 교육적 학습 안에서와 같은 그리스도교 종교적 실천 안에서의 정서성과 감각들의 중요성은 그의 기원으로부터 출발하여 전통 안에서 나타나게 되는데, 그것은 전례 거행과 기도, 성가, 상징적인 표현들, 친교의 장 등을 이해하게 하고 그러한 표현들과 경험들 안에서 아동은 그리스도교 종교적 경험이 가능해지며, 그들의 ‘전체적 성장’에 있어서도 중요성을 가지게 된다. 또한, 이러한 시각 안에서 아동의 교리교육과 더불어 전례적 양성은 상징적 경험들의 진지한 촉진으로부터 그 지지(支持)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다. One of the documents of the Second Vatican Council, ‘Dei Verbum’ (DV) points out "the deeds wrought by God in the history of salvation manifest and confirm the teaching and realities signified by the words" (DV2), in which man can understand that he can experience God who lives and acts in the history of mankind. Children to some degree have a lack of this human and religious experience. With this in mind, how is it possible for them to respond to an invitation and encounter with God? This process is generally anticipated through family education and catechism classes. However, if either one’s parents or catechists have a lack of true understanding of children or of serious study of their faith, they may find difficulty in exercising their ‘innate religiosity’(capacitates religiosae sigularis n.2) which is mentioned in “Directorium de Missis cum pueris.” Also, there would be a huge distance between the method of Christian education, course of their own faith and a level that children can receive and experience. Therefore, since there is a biological and psychological development of children, it is important to examine how it is possible for them to have Christian religious experiences, and how it can develop and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catechesis. From this question, we look into the religious experience that a Christian has through the essence of religious experience. We discuss children, who are between 7 to 12 years old, and their possibility of religious experiences in the Christian environment. We also describe the importance of Christian religious experience that children have through the development of affective and cognitive abilities, especially through their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God and relationship with their parents from the point of view of religious psychology. We consider how these experiences can truly be expressed to children in the liturgical life and sacramental life. This can be difficult, since for children in this process, the Christian religious experience is like an adult who reinterprets their own experience, analysis and deepening of the religious dimension. Since children have certain limitations of intelligence and sentiment, they may find some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and interpreting adults. In their development (children growing from infant to child), the children however, have experience like the teaching and the emotional and religious expression they receive in their religious environment with the help of their parents, but they also put in their own effort from all of these so that they can have their own Christian religious experience. Since these experiences are strongly influenced by catechetical and liturgical training, it is not right to ignore children’s own Christian religious experience. This possibility, moreover, presents the excellent orientation towards the understanding of children in two areas (infant and child), and it also gives an indication of choosing the best method and content. Finally, the importance of affect and the senses in the Christian religious practice which is demonstrated by tradition and its origins, helps one to understand prayer in the liturgy, symbolic expression, singing hymns, and friendship in the community. From these experiences, children can learn and experience the Christian religious experience. In this aspect, catechesis and liturgical formation of children can draw support from a serious promotion of symbolic experiences. However, it will also take a great part of their life to grow and mature in many of these areas.

      • KCI등재

        힌두 사상에 대한 한국 그리스도교 사상가들의 해석: 류영모와 함석헌의 비교를 중심으로

        나혜숙 ( Ra Hae Sook ) 한국종교문화연구소 2021 종교문화비평 Vol.40 No.40

        본고는 힌두(Hindu) 사상에 대한 한국의 두 그리스도교(개신교) 사상가 류영모와 함석헌의 해석을 비교 고찰함으로써, 힌두 사상에 대한 한국 그리스도교 사상가의 해석을 이전보다 확장해 논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동안 힌두 사상에 대한 한국 그리스도교 사상가의 해석은 함석헌(1901~1989)만 연구되어 있었다. 그리고 함석헌의 해석을 다룬 연구는 ‘간디(Gandhi)’와 ‘≪바가바드 기타≫(Bhagavad Gītā, 이하 ≪기타≫로 약칭)’라는 두 주제에 한정되어 있었다. 하지만 류영모(1890~1981)는 겉으로는 힌두 사상과 연관이 적어 보이지만 그의 삶에서는 연관이 큰 모습을 보여 준다. 그러므로 류영모는 힌두 사상에 관련한 한국 그리스도교 사상가를 다룰 때 반드시 다루어야 하는 사상가이다. 류영모와 함석헌은 힌두 사상 가운데 세 주제를 공통으로 논한다. 그것은 힌두 경전 ‘≪기타≫’, 힌두 사상가 ‘간디’, 힌두 수행법 ‘요가(yoga)’이다. 본고에서는 ≪기타≫, 간디, 요가에 대한 류영모와 함석헌의 해석을 비교한 후 차이점과 공통점을 논한다. 먼저, 힌두 사상을 류영모는 ‘몸 수행’에, 함석헌은 ‘정신’에 초점을 두어 해석한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이러한 차이점은 있지만, 그들은 그리스도교인으로서 자신들의 굳건한 ‘신앙’ 안에서 힌두 사상을 해석하는 공통점이 있다고 주장한다. 본고의 의의는 세 가지이다. 첫째, 본고는 힌두 사상에 대한 한국 그리스도교 사상가의 해석을 이전보다 확장해 이해하는 데에 기여한다. 본고에서는 처음으로 힌두 사상에 대한 류영모의 해석을 다루고, 요가라는 새로운 주제로 함석헌의 해석을 다룬다. 그리고 류영모와 함석헌의 해석을 한자리에서 비교함으로써, 각각의 입장만 살필 때보다 두 그리스도교 사상가의 입장을 분명하게 이해한다. 이러한 점에서 본고는 힌두사상에 대한 한국 그리스도교 사상가의 해석을 이전보다 확장해 이해하는 데에 기여한다. 둘째, 본고는 류영모와 함석헌의 독자성에 관해 새로운 평가를 제시한다. 선행연구들에서는 두 사상가 간 독자성의 요점이 류영모는 정신성과 개인성, 함석헌은 사회적 실천성과 역사성에 있었다. 그런데 본고에서는 ‘힌두 사상에 관해서는’ 류영모는 몸수행, 함석헌은 정신성에 초점을 둔다고 주장한다. 그래서 두 그리스도교 사상가 류영모와 함석헌의 독자적 사상 관계를 살필 때 기존에 제시된 적 없는 새로운 평가를 추가로 제시한다. 셋째, 본고는 그리스도교인이 요가에 대한 인식을 재고하는 데에 기여한다. 개신교의 교파들 가운데에는 그리스도교인으로서의 정체성을 잃을 것을 우려해 요가를 경계하는 접근이 있다. 본고에서는 이것이 그리스도교 전체의 결정이 아니며, 그리스도교 안에 류영모와 함석헌과 같이 요가를 적극적으로 포용한 접근이 있다는 역사적 사실을 알린다. 그럼으로써 요가에 대한 그리스도교의 입장에 다양성을 제시하고, 그리스도교인이 요가에 대한 인식을 재고하고 참고하는 데에 기여한다. This study aims to expand the understanding of Korean Christian thinkers’ interpretation of Hindu thoughts. So far, only Sok-Hon Ham (1901~1989) has been investigated in this regard, and studies on his interpretation have been restricted to two topics: Gandhi and the Hindu scripture Bhagavad Gītā. Although it appears that Young-Mo Ryu (1890~1981), who was Ham’s teacher, has no relevance to Hindu thoughts, Ryu has mentioned them in his writings. Accordingly, Ryu should be studied for Korean Christian thinkers’ interpretation of Hindu thoughts. Ryu and Ham have certain things in common, with both of them discussing three topics of Hindu thoughts: the Bhagavad Gītā; the Hindu thinker “Gandhi”; and the Hindu practice “Yoga.” This study compares the interpretations of Ryu and Ham of these three Hindu thoughts, arguing that Ryu focuses on “bodily practice” and Ham on “spirituality.” The study also argues that despite this difference, they share a common feature in that they interpret these Hindu thoughts within their firm Christian faith. The importance of this study can be viewed from three perspectives. First, it extends the existing understanding of Korean Christian thinkers’ interpretation of Hindu thoughts. It explores Ryu’s interpretation of Hindu thoughts as well as Ham’s views on yoga for the first time. It also compares the interpretations of Ryu and Ham, and this helps understand their perspectives vividly than by considering them independently. Accordingly, this paper deepens the existing understanding of Korean Christian thinkers’ interpretation of Hindu thoughts. Second, this study suggests a new evaluation regarding the independent relationship between the ideas of both Ryu and Ham. Existing studies have evaluated that the difference lies in that while Ryu focuses on spirituality and individuality, Ham considers social movement and historical perspectives. In addition, the study shows a different evaluation that “regarding Hindu thoughts,” Ryu focuses on bodily practice, and Ham on spirituality.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an additional and fresh assessment regarding the independent relationship between the ideas of Ryu and Ham. Lastly, the study elevates Christians’ understanding of yoga. Among the many sects of Korean Christianity (Protestantism), a major sect had alerted about the danger of yoga, and concluded that yoga must not be practiced, and the word “yoga” must not be uttered. This study shows that not all Christians endorse this view, and that there is historical evidence that Christians like Ryu and Ham interpreted and accepted yoga positively. In this regard,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within Christianity, there is another and older perspective of yoga, which elevates Christians’ understanding of yoga.

      • KCI등재

        종교간 대화의 모델로서 마태오 리치의 적응주의 -『천주실의』에 나타난 그리스도교와 유,불,도(儒佛道)의 대화

        김명희 ( Myong Hee Kim ) 한국조직신학회 2014 한국조직신학논총 Vol.39 No.-

        본 논문은 16세기 중국의 선교사로 파송된 예수회 신부 마태오 리치가 적응주의 선교에서 보여준 그리스도교와 유·불·도(儒佛道)와의 대화를 분석해 종교 간 대화의 원리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리치의 적응주의 선교는 그리스도교와 유교와의 대화를 통해 추구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유교사회와 문화 속에서 추진된 리치의 적응주의가 어떻게 종교 간 대화의 모델이 될 수 있는지 그의 저서 『천주실의』를 통해 살펴보았다. 『천주실의』는 리치의 불교와 도교에 대한 반박글로서, 리치는 이책에서 그리스도교와 구별되는 두 종교의 신개념과 도덕론을 논박하였다. 동시에 유교와 그리스도교 간의 화해의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리치와 중국 선비와의 대화내용을 기록한 『천주실의』를 분석해 리치의 종교간 대화의 특징과 한계, 의의를 밝혔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21세기 한국사회가 필요로 하는 종교간 대화의 원리를 전망하였다. 본 논문은 먼저 ‘리치의 문화적응주의’에 대해 살펴보았다. 문화적응주의는 리치의 종교간 대화의 토대가 되는 원리이기 때문이다. 둘째, 『천주실의』에 나타난 그리스도교와 유·불·도의 대화를 해석학적으로 분석, 고찰하였다. 지금까지의 연구서들이 그리스도교와 유교와의 대화 혹은 그리스도교의 전교서로서 『천주실의』를 조명하였다면, 본 논문에서는 유·불·도, 특히 불교에 대한 리치의 이성적 대화의 논거들을 그리스도교와 유·불·도의 존재론적·도덕적 대화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셋째, 앞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리치의 종교간 대화의 특징과 한계를 제시한 후 종교간 대화의 모델로서 리치의 적응주의가 한국의 종교간 대화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 논하였다. 논문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리치는 크게 두 방향에서 대화를 시도하였다. 그리스도교와 유·불·도와의 존재론적 대화와 도덕적 대화다. 존재론적 대화에서 리치는 공무론(空無論)을 내세우는 불교와 도교는 무신론(無神論)의 종교라고 논박하였고, 인격신으로서 상제(上帝)를 표방하는 (원시)유교에 대해서는 호의적 태도를 보였다. 그리스도교와 유교의 유신론적 (有神論的) 신관에서 공유점을 찾은 리치는 이를 토대로 유학자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 중국의 상류층에 그리스도교의 가르침을 전파하려고 하였다. 리치는 도덕론을 통한 대화에서도 실재적 존재론에 입각해 불교의 윤회설을 해석함으로써 불교 윤리의 모순을 비판하였다. 뿐만 아니라 리치는 종교혼합주의에 대해서도 제동을 걸었다. 그는 유·불·도 세 종교가 혼합되는 것에 대해 경계했다. 리치의 유·불·도 대화의 목적은 세 종교의 잘못된 교설(敎說)을 그리스도교의 가르침으로 바로잡는 데 있었다. 이것은 혼합의 의미에서가 아닌 그리스도교 중심의 포괄적 의미에서의 대화였다. 세 종교 혹은 네 종교의 도리를 동시에 믿는 것이 아닌, 하나의 올바른 도리를 찾아내 믿는 것이 중요하였다. 리치는 그 하나의 올바른 도리가 그리스도교라고 확신하였다. 그리스도교 중심의 포괄주의적 대화는 리치의 대화가 갖는 한계점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6세기 당시 리치의 적응주의적 방법을 통한 보유론적(補儒論的) 대화는 획기적인 것이었다. 중세의 배타적 종교관에서 벗어나 타종교, 타문화와의 대화를 시도한 것은 이후 다종교·다문화 시대에 전개될 종교간 대화의 모델로서 좋은 선례가 될 수 있었다. 비록 선교를 목적으로 하는 포괄주의적 대화였다고 하더라도 리치는 유교문화의 적응을 통해 유교와 그리스도교의 조화와 화해를 모색하였고, 동서문명의 교량적 역할을 하였다. 바로 이점이 종교간 대화의 모델로서 리치의 적응주의가 갖는 의의라고 하겠다. This paper analyzes the dialogue between Confucianism/ Buddhism/Taoism and Christianity spread by way of Accommodationism of Matteo Ricci. This approach adopted by the Jesuit priest who was sent to China in the 16th century served as a foundation for the principles that can help define the interfaith dialogue. Ricci’s accommodationist approach was pursued via the dialogue between Christianity and Confucianism. This study explored how Ricci’s Accommodationism introduced to the Confucian society and culture came to be the model of interfaith discourse by looking at his book Tianzhu Shiyi(The True Discourse of the Lord of Heaven). Tianzhu Shiyi is Ricci’s refutation of Buddhism and Taoism. In this book, he argued against the concept of deity and morality of these two religions as opposed to those of Christianity while examining the possibility of reconciliating Confucianism and Christianity. The focus of this study was placed on the conversation between Ricci and a Chinese scholar in Tianzhu Shiyi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limitations and significance of Ricci’s interfaith dialogue. Based on the analysis, the principles of the interfaith discourse - much needed in the twenty-first century South Korea - were reviewed. The first to be analyzed was Ricci’s cultural Accommodationism it was crucial as it was the founding stone of his interfaith exchange. Secondly, the hermeneutic interpretation was conducted on the dialogue between Christianity and Confucianism/Buddhism/ Taoism as seen in Tianzhu Shiyi. While the existing studies shed light on Tianzhu Shiyi with a primary focus on the Christianity- Confucianism discourse or its evangelistic nature, this study examined Ricci’s rational basis for argument with regard to Confucianism/ Buddhism/Taoism, particularly to Buddhism, concentrating on the ontological and moralistic discourse between Christianity and Confucianism/Buddhism/Taoism. Thirdly, the aforementioned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Ricci’s interfaith dialogue and to find out how his Accommodationism could contribute to advancing the discourse.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Ricci attempted the discourse in two different directions - the ontological and moralistic dialogue between Christianity and Confucianism/ Buddhism/Taoism. In the ontologicaldialogue, Ricci refuted that Buddhism and Taoism - which assert the emptiness and nothing(空無論) of things - were the religion of the atheists. He showed a more favorable attitude toward(primitive) Confucianism that had Shangdi(上帝) as its supreme deity. Having found a common ground in the theist belief of Christianity and Confucianism, Ricci sought to spread the teachings of Christianity to the upper class members of China, which were primarily comprised of Confucian scholars. Even in the moralistic discourse, Ricci interpreted the Buddhist belief of the cycle of life and death(samsara) based on the existential ontology to criticize the contradictory nature of Buddhist ethics. Furthermore, Ricci attempted to put a stop to religious syncretism. He warned against the fusion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The purpose of the interfaith dialogue that Ricci intended was to correct the fallacious teachings of the three religions with those of Christianity. This did not mean a fusion in its sense but inclusion that centered on Christianity. What was important to him was to find and believe in the one true way, not to believe in the three or four religions together simultaneously. Ricci was assured that that one true way was the way of Christianity. None other than this inclusive approach centered on Christianity was the limitation of Ricci’s discourse. Nonetheless, the discourse that ventured to ‘complement Confucianism’ based on Ricci’s accommodationist approach was one groundbreaking attempt. The escape from the exclusive and closed medieval view and the endeavor to initiate the inter-religious and inter-cultural conversation served as an excellent precedent for the interfaith dialogues that are to follow in the age of multi-religion and multiculture. Although limited by the discourse’s inclusive nature with a purpose of evangelizing the non-believers, Ricci aimed to reconcile Confucianism and Christianity based on the accommodationist approach to the Confucian culture, thereby bridging the Eastern and Western cultures. This is precisely why Ricci’s Accommodationism holds considerable significance today.

      • 아동의 그리스도교 종교적 경험

        김상인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13 누리와 말씀 Vol.- No.34

        제2차 바티칸 공의회 문헌 중에 「계시헌장」에서는 "구원의 역사 안에서 하느님께서 이루신 업적들은 가르침과 그리고 말씀들로 표현된 사실"(DV 2)들을 통해서 인간의 언어로 제시된다고 말했고, 이것에 대해서 인간은 그들의 구체적인 역사 속에서 활동하시는 하느님의 체험 가능함을 알 수 있게 되었다. 그렇다면 인간적인 경험과 더구나 종교적인 경험(혹은 체험)이 부족한 아동들의 경우에는 어떻게 하느님의 초대에 응답하고 그러한 만남을 경험할 수 있을까? 그것은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부모로부터 받게 되는 신앙교육과 본당에서의 주일학교 교육을 통해 어느 정도 가능할 것이라는 기대를 하게 하지만, 유아와 아동에 대하여 부모와 본당 교리교사들의 이들 대상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와 이해가 부족하다면,「어린이 미사 지침서」가 말하고 있는 그들의 선천적인 종교성(capacitatis religiosae sigularis, 2항)을 발견하는 일은 쉽지 않을 것이고, 또, 그에 따른 그들을 위한 신앙교육의 방향성과 방법은 이러한 대상이 받아들이고 경험할 수 있는 정도와 많은 차이를 가지게 될 것이다. 이에 유아로부터 아동으로 성장함에 따라 어떻게 그리스도교 종교적 경험이 가능하고, 발전하며, 교리교육의 현장에서도 중요하게 인식되는지에 관한 물음은 중요하게 여겨진다. 이러한 물음으로부터 종교적 경험과 그리스도교 종교적 경험의 일반적인 핵심 내용을 통해 그리스도인들이 갖는 종교적 경험에 대해서 살펴보았고, 과연 아동(만 7세부터 12세 정도의 초등학생)은 그리스도교적인 환경 속에서 그 종교적 경험이 가능한가에 대한 물음과 그들이 종교 심리학 관점에서 인지적·정서적인 발달을 거치면서 하느님에 대한 이해와 부모와의 관계 속에서 얻고 경험하게 되는 그리스도교 종교적 경험의 중요성과 그러한 경험들이 아동들에게 실제로 전례적인 삶 안에서 어떻게 표현되고 발전하는지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아동에게 있어서의 그리스도교 종교적인 경험은 이미 성인들처럼 그러한 경험들을 종교적인 차원에서 경험하고 분석하며, 심화하여 그 경험에 대해 재해석을 하는 차원의 것이라 쉽게 말하기가 어려운 것이었다. 왜냐하면, 아동의 인지적, 정서적인 한계 때문에 성인들이 가지는 경험을 받아들이고 해석하는 데에 어려움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유아로부터 아동으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아동이 가지게 되고, 종교적인 환경 속에서 경험하게 되는 인지적·정서적·종교적 표현적인 변화들을 통해 그들이 -부모의 신앙적인 큰 도움과 함께- 그들 나름의 방식으로 최선을 다하여 그리스도교 종교적인 경험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그것이 교리교육과 전례적 교육(양성)적인 측면과도 밀접하게 연결되어 아동의 그리스도교 종교적 경험의 중요성을 간과할 수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그러한 가능성은 두 분야에서의 대상을 이해하는 것에 대한 탁월한 방향성을 제시하고, 내용 설정과 방법론의 선택에서도 중요한 참고가 될 것으로 기대할 수 있었다(물론 이러한 분야에서 근본적으로 하느님의 은총과 함께하는 아동의 신앙적 성장에 관한 필수적인 요인을 절대적으로 인정함을 전제로 한다). 끝으로 교리 교육적 학습 안에서와 같은 그리스도교 종교적 실천 안에서의 정서성과 감각들의 중요성은 그의 기원으로부터 출발하여 전통 안에서 나타나게 되는데, 그것은 전례 거행과 기도, 성가, 상징적인 표현들, 친교의 장 등을 이해하게 하고 그러한 표현들과 경험들 안에서 아동은 그리스도교 종교적 경험이 가능해지며, 그들의 '전체적 성장'에 있어서도 중요성을 가지게 된다. 또한, 이러한 시각 안에서 아동의 교리교육과 더불어 전례적 양성은 상징적 경험들의 진지한 촉진으로부터 그 지지(支持)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다. One of the documents of the Second Vatican Council, 'Dei Verbum' (DV) points out "the deeds wrought by God in the history of salvation manifest and confirm the teaching and realities signified by the words" (DV2), in which man can understand that he can experience God who lives and acts in the history of mankind. Children to some degree have a lack of this human and religious experience. With this in mind, how is it possible for them to respond to an invitation and encounter with God? This process is generally anticipated through family education and catechism classes. However, if either one's parents or catechists have a lack of true understanding of children or of serious study of their faith, they may find difficulty in exercising their 'innate religiosity'(capacitates religiosae sigularis n.2) which is mentioned in "Directorium de Missis cum pueris." Also, there would be a huge distance between the method of Christian education, course of their own faith and a level that children can receive and experience. Therefore, since there is a biological and psychological development of children, it is important to examine how it is possible for them to have Christian religious experiences, and how it can develop and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catechesis. From this question, we look into the religious experience that a Christian has through the essence of religious experience. We discuss children, who are between 7 to 12 years old, and their possibility of religious experiences in the Christian environment. We also describe the importance of Christian religious experience that children have through the development of affective and cognitive abilities, especially through their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God and relationship with their parents from the point of view of religious psychology. We consider how these experiences can truly be expressed to children in the liturgical life and sacramental life. This can be difficult, since for children in this process, the Christian religious experience is like an adult who reinterprets their own experience, analysis and deepening of the religious dimension. Since children have certain limitations of intelligence and sentiment, they may find some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and interpreting adults. In their development (children growing from infant to child), the children however, have experience like the teaching and the emotional and religious expression they receive in their religious environment with the help of their parents, but they also put in their own effort from all of these so that they can have their own Christian religious experience. Since these experiences are strongly influenced by catechetical and liturgical training, it is not right to ignore children's own Christian religious experience. This possibility, moreover, presents the excellent orientation towards the understanding of children in two areas (infant and child), and it also gives an indication of choosing the best method and content. Finally, the importance of affect and the senses in the Christian religious practice which is demonstrated by tradition and its origins, helps one to understand prayer in the liturgy, symbolic expression, singing hymns, and friendship in the community. From these experiences, children can learn and experience the Christian religious experience. In this aspect, catechesis and liturgical formation of children can draw support from a serious promotion of symbolic experiences. However, it will also take a great part of their life to grow and mature in many of these areas.

      • KCI등재

        니체는 안티크리스트인가?

        정낙림(Chung, Nak-rim) 대한철학회 2013 哲學硏究 Vol.126 No.-

        이 논문은 니체의 그리스도교에 대한 입장을 주제로 한다. 니체는 유럽 지성사에서 가장 격렬한 그리스도교 비판자로 알려져 있다. 니체의 그리스도교에 대한 격렬한 저항은 그리스도교가 하나의 종교 이상의 의미를 가지기 때문이다. 그리스도교는 유럽형이상학과 도덕의 근간일 뿐만 아니라 문화의 원천이다. 따라서 니체가 니힐리즘의 도래와 유렵문화의 몰락에 대한 근거로 그리스도교적 가치관에서 찾는 것은 온당하다. 그렇다면 그리스도교적 가치는 누구에게서 비롯되었는가? 니체는 그리스도교와 예수를 분리한다. 니체에 따르면 제도화된 그리스도교와 예수는 무관하다. 그에게 그리스도교의 진정한 창시자는 사도 바울이다. 천재 바울은 그리스·로마적인 강자와 현세 중심의 가치관을 죄, 심판, 그리고 천국을 통해 전도시키고 교회가 권력의 중심에 서게 했다. 니체는 이 순간을 ‘도덕에서 노예의 반란’으로 표현한다. 니체에 따르면 바울의 교회가 세상에 등장한 후 유럽의 문화는 몰락의 길을 가게 된다. 니체에게 또한 근대의 가치들은 교회의 가치를 세속화시킨 것에 불과하다. 근대와 니힐리즘의 극복을 철학적 과제로 설정한 니체가 바울을 향해 ‘목숨을 건 전쟁’을 선포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 논문은 다음의 질문에 답한다. 첫째, 니체에게 그리스도교는 무엇인가? 니체는 예수와 바울을 어떻게 평가하는가? 이 질문에 대해 니체의 저서를 통해 상론할 것이다. 둘째, 니체와 예수, 바울의 관계를 야스퍼스는 어떻게 평가하는가?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야스퍼스의 『니체와 그리스도교』를 중심으로 살펴볼 것이다. 셋째, 니체의 그리스도교 비판은 정당한가? 이 질문에 대해 야스퍼스의 실존철학의 핵심개념인 ‘포괄자‘ 개념을 중심으로 살펴볼 것이다. 마지막으로 야스퍼스의 니체 해석이 가진 문제를 비판적으로 검토할 것이다. Der vorliegende Beitrag zielt darauf ab, Nietzsches Einstellung zum Christentum zu erörtern. Nietzsche gilt als einer der eindeutigsten Kritiker des Christentums in der abendländischen Geistesgeschichte. Für Nietzsche ist das Christentum nicht nur eine Religion, sondern auch eine Wertvorstellung, an der sich die europäische Kultur orientiert hat. Nietzsche setzt sich die vollständig Überwindung des Christentums zum Ziel, weil es der entscheidende Grund des Untergangs der europüische Kultur ist.Ist Nietzsche Antichrist? Die Antwort auf die Frage ist sehr umstritten, denn Nietzsches Einstellung zum Christentum ist ambivalent. Freilich fokussiert Nietzsche seine Kritik nicht auf den Religionsstifter selbst, sondern auf den Apostel Paulus. In den verschiedenen Phasen seines Werkes erscheint Jesus in unterschiedlicher Weise. Er lehnt die Person Jesus nicht grundsätzlich ab, negiert aber den ‘Typus’ Jesus, z. B. als ‘Idiot’ und ‘decadent’. Paulus ist der entscheidende Antipode für Nietzsche. Der Apostel Paulus ist der wahre Begründer des Christentums und der Sklavenmoral der Christen.Der vorliegende Aufsatz gibt Antworten auf die Fragen: Erstens, was das Christentum für Nietzsche ist. Zweitens, wie Karl Jaspers Nietzsches Verhältnis zu Jesus und Paulus besonders in Nietzsche und das Christentum beurteilt. Drittens, welches Problem die Interpretation von Jaspers besonders in Bezug auf seinen Begriff des ‘Umgreifenden’ hat.

      • KCI등재

        아우구스티누스 De Doctrina Christiana에서 doctrina의 함의

        문영식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22 생명과 말씀 Vol.34 No.3

        This paper is to find the purpose of Augustine’s writing De Doctrina Christiana in the concept of doctrina. This paper suggests that doctrina should be understood in terms of hermeneutics, rhetoric, and culture beyond the category of the meaning of liberal arts or educational theory. Augustine’s various interpretations of doctrina will be examined, and the meaning he intended will be highlighted. Christianity emerging as the dominant religion of Rome, Roman education was led by the Second Sophist. Through the encounter of Roman education and Christian education, I will reveal his view of education and Christian worldview through doctrina. Augustine uses doctrina as a headword only in De Doctrina Christiana among his writings. Augustine began writing in the early days of the Christian bishop's ministry and finished writing at the end of the ministry. Even though there is a gap of 30 years, he explains with doctrina at the center the Bible which is the scripture of Christianity, and the culture of Christianity. And he explains the issues dealt with by the entire Bible, focusing on doctrina. He presents the methodology of biblical interpretation and rhetoric in matters dealing with the entire Bible. When he deals with the entire Bible, the most important word is doctrina, and doctrina is essential when he also emphasizes hermeneutics and rhetoric. When Augustine preaches or argues with heresy, doctrina is bound to be important. Perhaps doctrina is the most meaningful word to reveal not merely his entire ministry but also his entire life. In addition, doctrina may be the key word that encompasses the entire Bible, a Christian scripture. In this paper, I will examine doctrina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 and from one of biblical interpretation, rhetoric, and Christian culture. In this process, his intention to write De Doctrina Christiana will be clarified, and furthermore, the evaluation of De Doctrina Christiana will be made. 본 논문은 아우구스티누스의 『그리스도교 교양』의 집필 목적을doctrina의 개념에서 찾는 데 있다. 본 논문은 doctrina를 교양 또는 교육론 정도의 의미로 사용하는 범주를 넘어 해석학, 수사학, 문화 차원으로 이해해야 한다는 점을 제안할 것이다. 아우구스티누스가 사용한 doctrina에 대한 다양한 해석을 살펴보고, 아우구스티누스가 의도했던 의미를 부각시킬 것이다. 그리스도교가 로마의 지배적인 종교로 등장할 때 로마의 교육은 제2 소피스트가주도하고 있었다. 로마의 교육과 그리스도교의 교육의 조우를 통해 아우구스티누스가 제시하고자 했던 교육관과 그리스도교 세계관을 doctrina를 통해 드러낼 것이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자신의저작 중에서 『그리스도교 교양』에서 유일하게 doctrina를 표제어로 사용한다. 아우구스티누스는 그리스도교 주교 사역 초기에 『그리스도교 교양』집필을 시작했고, 사역 말기에 집필을 마무리했다. 30년이라는 간극이 있을지라도 doctrina를 중심으로 그리스도교의 경전인 성경과 그리스도교의 문화를 설명해 나간다. doc- trina를 중심으로 성경 전체를 다루는 사안을 설명한다. 성경 전체를 다루는 사안에서 성경 해석학과 수사학의 방법론이 제시된다. 성경 전체를 다룰 때도 가장 중요한 단어는 doctrina이고, 해석학과 수사학을 강조할 때도 doctrina는 필수적이다. 아우구스티누스가 설교를 할 때도, 이단과 논쟁을 할 때도 doctrina는 중요할 수밖에 없다. doctrina는 그의 전 사역뿐만 아니라 그의 삶 전체를 드러낼 수 있는 가장 의미 있는 단어일 것이다. 그리고 그리스도교의경전인 성경 전체를 아우를 수 있는 핵심어도 doctrina일 것이다. 본 논문은 doctrina를 교육의 관점에서, 그리고 성경 해석학과 수사학, 그리고 그리스도교 문화의 관점에서 살펴볼 것이다. 이 과정에서 『그리스도교 교양』의 집필 의도가 명확해 질 것이고, 더 나아가 『그리스도교 교양』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질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