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신천지 신자들의 개종요인에 관한 연구 : 개종, 재개종 간증문에 나타난 교리적 내용을 중심으로

        이정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723

        본 논문의 목적은 기독교계 신종교 단체인 신천지 교회로의 개종 요인을 그 교리와 신화에 초점을 두고 연구하는 것이다. 신종교 단체로의 개종 요인이나 이들 단체로 개종하는 사람들의 심리를 설명하고 있는 대부분의 연구물들이 소외, 일탈, 결핍과 같은 사회학적 관점에서 접근하거나 매우 가치판단적인 신학적 관점으로 분석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신천지 교회에 들어가는 신자들의 간증문 속에서 발견되는 종교적 혹은 영적 갈망에 집중하여 그 개종 요인을 살피고자 하였던 것이다. 이 단체의 다양한 요소 중 교리적 내용에 초점을 두고 개종 요인을 분석한 것은, 신천지로 개종하거나 개종했었던 신도들이 간증문 속에서 가장 중요한 개종 요인으로 꼽은 것이 바로 신천지 “말씀”의 탁월성이었기 때문이며, 이를 통해 신도들의 종교적이고 영적인 갈망에 집중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 때문이었다. 이를 위해 우선 신천지 교회가 어떠한 기독교계 신종교 단체의 역사적 맥락 속에서 등장하였는지 알아보았다. 19세기 말 문호개방 이후 근대화시기로 접어들면서 종교를 비롯한 각종 영역의 규제가 철폐되고 삶의 영역이 확장되기 시작하였다. 이에 기독교를 비롯한 다양한 종교 단체들이 국내로 들어오는 것은 물론, 시대와 사람들의 다양한 기호에 발맞춰 자생적 신종교 단체들이 대거 등장하기 시작했다. 이중 신천지 교회는 이중 신령파 단체로부터 ‘김백문 - 박태선 - 유재열’로 이어지는 계열에 속한다고 하겠다. 그런데 개종 과정에서 교리교육을 비롯한 사상적 측면ㅇ르 강조하고 있는 신천지 교회의 정체성은 선행 단체들로부터 이어 내려온 흐름 속에 형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초창기 신령현상을 강조하던 신종교 단체의 분위기는 '이스라엘 수도원'의 김백문이 김성도의 '새주파(성주교단)'를 보면서 “신령파 단체가 생겨난지 얼마 지나지 않아 사라지거나 축소되는 것은 이론 혹은 진리로 단체의 사상이 뒷받침 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평한 이후 달라지기 시작한다. 후속 단체들은 김백문이 형성한 사상적 체계 속에서, 형성 초기부터 교리와 신화를 체계화시켜 이를 통해 신도들을 모집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신천지 또한 선행 신종교 단체들이 체계화 시킨 사상이라 할 수 있는, ‘한국에서 육신을 입고 등장한 구원자로서의 정체성’과 ‘어린양의 혼인잔치’, ‘육신영생’ ‘비유풀이’ 등에 영향을 받아 설립 초기부터 체계화된 교리를 가지고 활동을 시작하였던 것이다. 1984년 3월 14일에 설립된 ‘신천지’ 교회의 창시자 이만희는 유재열의 ‘장막성전’ 출신이었다. 하지만 그에 따르면 유재열은 신(하나님)과의 언약을 배반하고 배도의 길을 걷게 된다. 이에 기성교회가 들어와 이 장막성전을 인수하게 된다. 그런데 신천지의 창시자 이만희는 이때 언약을 배반하지 않고 장막성전에서 살아남아 구원의 역사를 일으킨 구원자라는 것이다. 그는 실제 신천지 교회의 역사를 계시록의 사건들과 연결시켜 하나의 신화를 만들어낸다. 이를 위해 비유풀이와 ‘배도-멸망-구원’이라는 노정순리, 시대별 구원자, 실상 교리를 사용한다. 즉 짝풀이에 기반을 둔 비유풀이를 통해 주로 성서 예언의 말씀들을 해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계시록을 해석한다. 계시록의 해석 원리는 ‘배도-멸망-구원’의 노정순리를 따르고 있다. 이렇게 해석된 계시록 말씀은 신천지의 실상교리인 계시록의 사건이 신천지 교회의 역사에서 그대로 일어났다는 주장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그 교리와 신화에 따라 조직을 구성한다. 자신들 단체는 성서의 예언이 그대로 성취된 약속의 단체라는 믿음 하에, 자신들이 풀이한 교리 그대로 12지파를 만들고, 7교육장과 24장로, 4기관장을 조직한 것이다. 조직 구성 뿐 아니라 포교방법 또한 철저히 신천지 식 교리와 신화에 입각하여 이루어진다. 이들은 성서에 나온 추수 밭에서 추수하라는 명령대로 자신들 교리에 따르면 추수 밭이라 할 수 있는 기성교회에서 ‘추수의 사명’인 ‘알곡을 골라내는 사명’을 감당하고 있다. 그들 “말씀”의 이와 같은 적용은 신천지가 육천년 전부터 약속되어 있던 “말씀”에 입각하여 세워졌고, 그 “말씀”을 그대로 이루어가고 있는 단체라고 신도들이 믿게 만들었다. 개종과 재개종 간증문 자료에서 간증자들은 신천지로 개종하는데 가장 결정적 영향을 끼친 것은 신천지의 “말씀”이었다고 고백한다. 개종 전에 외부적, 개인적인 결핍을 느끼고 있었던 간증자들은 신천지에서 “말씀”을 통해 그 결핍을 충족받을 수 있었기 때문에 개종한 것이라고 주장하며, 기성교회에서 특별한 결핍을 느끼지 못했던 신도들 또한 신천지 전도자의 계속된 접근으로 그 “말씀”을 듣게 된 후, 다른 어떤 것들보다 “말씀”이 옳기 때문에 신천지로 개종하게 되었다고 말한다. 간증문들에서 신천지의 “말씀”은 기성교회의 메시지와 대비되며 서술된다. 간증자들은 세상적이고 단편적인 메시지만 전하는 기성교회와 달리 신천지의 “말씀”은 철저히 성서를 근거로 모든 것을 설명하는 성스러운 말씀이라고 주장한다. 또한 신천지에서는 기성교회 목자들이 제대로 해결해주지 못한 그 모든 신앙적 궁금증들과 삶의 문제들을 성서를 통해 분명하게 해결해주고 있다고 말한다. 이처럼 개종 신도들에게 기성교회의 메시지는 신천지의 “말씀”이라는 것에 비해 그 교리적 경쟁력이 현저히 떨어져있는 상태였다고 할 수 있다. 스타크와 핑크는 이러한 교리적 경쟁력이 종교가 자유 경쟁을 하는 현대 사회에 얼마나 중요한 요소가 되는지에 대해 이야기한다. 이를 고려할 때 개종 신도들에게 기성 개신교회의 메시지는 ‘속의 이야기를 끌어들여 성서 구절을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여겨졌기 때문에 성스러움과 관련이 없는 것으로 받아들여졌고, 이에 따라 성서에 내포되어 있다고 믿어지는 성스러움과 이들의 일상은 분리된 상태였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신천지의 말씀’은 ‘성서의 구절을 근거로 또 다른 성서 구절을 풀이’하여 매우 성스러운 이야기로 여겨졌고, 이를 신도 자신들의 일상에 적용시켜 설명함으로써 성스러움과 일상을 연결시켜 주었던 것이다. 나아가 이를 통해 개종 신도들에게 어떤 의문도 모호함도 없는 분명하고 확실한 답을 제공해줌으로써 그 교리적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었다고 하겠다. 개종하거나 했었던 신도들의 간증문과 신천지의 교리 · 신화를 바탕으로 분석한 그 개종 요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천지는 비유풀이를 통해 성서의 상징적 용어들을 삶과 연관되어 있는 구체적인 용어들로 바꿔주었다. 그리고 상징어의 다양한 연상 의미들 중 자신들 단체를 설명할 수 있는 의미만을 선택하여 성서를 해석함으로써 모호하고 막연하게 느껴졌던 성서 구절들을 분명해 보이는 메시지로 전환시켜 개종에의 확신을 심어주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신천지의 교리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자체적 신화가 현재 신천지의 역사를 통해 개종 신도들의 삶 속에서 매일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를 신도 자신이 목격하고 있다는 것에 대한 믿음이 이들의 개종을 더욱 촉진시켰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신도들은 이 성스럽게 여겨지는 이야기 속에 자신들 또한 포함되어 신의 역사를 만들어나가는 주체이자 영웅으로 선택받았다는 믿음과 감격 때문에 신천지가 “진리의 도성”임을 더욱 확신하게 된다. 신도들은 신천지에서 자신들의 삶과 분리되어 있다고 생각했던 성서 구절들을 끌어 모아 하나의 성스러운 이야기를 만들어냈고, 그 이야기 속에 신도 개개인을 구체적 구성원으로 포함시켜 주었다고 고백한다. 이를 통해 신도들은 거대하고 성스러운 하늘나라 이야기의 일원이 되어 매일의 실제적 삶 속에서 세상을 이끌어가는 등 의미있는 존재로 살아가고 싶은 자신들의 종교적 갈망이 충족받을 수 있었다고 이야기하고 있는 것이다. Shin-Cheon-Ji is a new religious movement founded in 1984 and derived from Protestant churches in South Korea. The community has been a controversial issue in domestic Protestant churches and korean society recently because of its aggressive propagative strategies and highly exclusive membership activitie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why believers of established Protestant churches convert to Shin-Cheon-Ji. Focusing on its doctrinal content, this thesis will conduct a thorough study on how and why believers in established Protestant churches decide to convert to Shin-Cheon-Ji. Former studies related to this topic have taken various approaches ranging from sociological perspective to theological standpoints. However, those studies have only dealt with external factors of the new religions. Unlike these precedents, I focused on internal factors of the religion, especially on individual participants’ religious or spiritual desires, expressed in their testimonies. To be specific, I chose to pay attention to Shin-Cheon-Ji’s doctrinal contents among other diverse factors because most devotees of Shin-Cheon-Ji have mentioned that their doctrine was the most important in their conversion. Therefore, by investigating the doctrinal dimension, I could concentrate on how each devotees’ spiritual needs were able to be satisfied through doctrine. In the late 19th century, late Chosun empire began to modernize by carrying out an open-door policy. While the government abolished the restriction on various fields including religion, areas of life began to expand and several new religions were introduced to the country. As a result, many new religious movements emerged and Shin-Cheon-Ji was influenced by several leading new religious groups in Korea. Actually the doctrines and thoughts of Shin-Cheon-Ji are grounded on those of leading new religious communities. For example, Some spiritual groups had appeared in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y and their diverse ideas were systemized by Kim Backmoon(the founder of Israel Sudowon). The doctrine formulated by Kim Backmoo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later new religious movements including Shin-Cheon-Ji and these communities reinforced education on this newly created doctrine. Shin-Cheon-Ji’s doctrine is a essential part of the conversion to the community as well as the formation of the community. I analyzed two kind of testimonies to study on this thesis. One is written by converts and the other is testimonies of the converted who later re-convert to the established church. Converts and the converted confessed that the important attraction of Shin-Cheon-Ji was their doctrinal education. Every confessant except one convert gave a testimony that Shin-Cheon-Ji’s Mal-Ssum(the word)―which means their doctrine and myths―changed their mind for conversion. They argued Christian biblical stories and prophecy have been fulfilled in their community and shown in the composition of the organization. Moreover, several confessants compared Shin-Cheon-Ji’s Mal-Ssum with established Protestant Churches’ sermon. According to the testimonies, established churches’ sermon is very secular, simple, ambiguous and doubtable. However, Shin-Cheon-Ji’s Mal-Ssum is believed to be holy and biblical, clear and lucid because converts could readily understand when Shin-Cheon-Ji missionaries match one biblical phrase to another accurately by using an allegorical method. Considering the testimonies of converts, the converted in the past and the doctrinal contents, the reasons that people are drawn to Shin-Cheon-Ji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hin-Cheon-Ji missionary changed the metaphorical expressions in the Bible to realistic and concrete daily terms through their doctrinal interpretation. So, converts could think that their interpretation of the Bible is very clear and unquestionable because they interpreted figurative phrases in the Bible which have possibilities of various analyses into simpler way that can explain the authority of their leader and community. Second, the believers’ confidence of conversion is originated from their strong faith that Shin-Cheon-Ji’s myth has been fulfilled, now fulfills and will be fulfilled in the history of the community. The participants believed that they can witness and experience fulfillment of the myth in their everyday life. Third, Shin-Cheon-Ji’s elitism arouses the devotees’ pride that he/she is a chosen person or hero/heroine who leads and makes a myth. Each devotee believed that he/she can satisfy their desire of being a special and meaningful person through Shin-Cheon-Ji community and its doctrinal contents.

      • 전자간증 (前子癎症) 가계의 유전적 다형성 분석

        김영미 동국대학교 2005 국내박사

        RANK : 247551

        전자간증은 산모 및 태아 사망과 이환의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 전체 임신의 약 2~8%에서 발병한다. 정확한 병인은 밝혀지지 않고 있지만, 전자간증 가계에서 발병 빈도가 더 높게 나타나는 가족적 소인을 보이며, 이는 유전적 요소가 전자간증의 발병에 기여하고 있음을 증명해 준다. 전자간증의 원인이 될 것으로 보이는 유전자들의 다형성과 질병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산모, 배우자 그리고 신생아로 구성된 104 가계를 251명의 대조군 (136명의 여성과 115명의 남성)과 비교 분석하였다. 활성산소 스트레스와 관련된 유전자들 중 glutathione S-transferase (GST)M1, GSTT1, GSTP1 A313G 그리고 glutathione peroxidase1 (GPX-1) C593T 그리고 호모시스테인 대사과정에 관련된 유전자들 중 methylenetetrahydrofolate reductase (MTHFR) C677T, MTHFR A1298C 그리고 methione synthase reductase (MTRR) A66G의 유전적 다형성을 중합효소 연쇄반응법 (PCR) 과 제한효소 절편 다형성 조사법 (PCR-RFLP)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된 7개의 유전자 자리 중 GSTM1 유전자를 제외하고는 전자간증 가계의 실험군과 대조군 사이에 유전자 다형성의 빈도 분포에 있어서 통계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GSTM1 유전자의 경우, 신생아에서 보이는 결손 다형성이 대조군과 비교해서 61% 대 49% [P=0.03, Fisher’s exact test; odds ratio 1.7 (95% 신뢰구간: 1.1-2.6)]로 높게 나타났다. 전자간증 신생아군의 GSTM1 결손 다형성으로 인해 태반에서 일어나는 활성산소 스트레스 해독작용 능력이 감소되고 결과적으로 전자간증에 감수성을 갖게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Preeclampsia (PE) is a major cause of fetal and maternal morbidity and mortality. It affects approximately 2~8% of all pregnancies. Although the etiology is still obscure, a familial predisposition to PE has been documented, confirming that genetic factors contribute to its development. The association between PE and genetic polymorphism of candidate genes was investigated in 104 family triads of mother, father and neonate as well as in 251 healthy controls (136 females and 115 males). Polymorphisms were determined by PCR and RFLP for the following seven polymorphisms in six genes; oxidative stress-related genes glutathione S-transferase (GST)M1, GSTT1, GSTP1 A313G and glutathione peroxidase 1(GPX-1) C593T and genes involved in homocysteine metabolism methylenetetrahydrofolate reductase (MTHFR) C677T, MTHFR A1298C and methione synthase reductase (MTRR) A66G. The frequency distributions of the genotypes of these seven polymorphisms were similar in the family triads and control group except GSTM1. For GSTM1, an excess of the deletion polymorphism was observed in neonates compared with controls, 61% versus 49% [P=0.03, Fisher’s exact test; odds ratio 1.7 (95% CI 1.1-2.6)]. Higher frequency of GSTM1 deletion polymorphism in PE neonates might result in a lower detoxification capacity in the placenta and inadequate coping with local oxidative stress and thereby increase the susceptibility to PE in Korean population.

      • 임신전자간증 또는 자궁내 태아발육 지연을 동반한 산모의 태반에서 지질 과산화 및 과산소디스뮤타제 활동성의 변화

        강윤단 단국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535

        목적 : 임신전자간증 또는 자궁내 태아발육 지연을 동반한 환자 및 정상 산모의 태반에서 지질과산화 정도를 비교하고, 과산화물을 제거하는 효소인 과산소디스뮤타제의 활동성을 비교하여, 이들 질환에서 산소 스트레스의 역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 및 방법 : 임신전자간증 환자 20명, 자궁내 태아발육 지연이 있었던 환자 20명 및 대조군 환자 20명의 태반조직에서 thiobarbituric acid(TBA) 방법으로 이차 과산화물인 MDA를 측정하였으며, SOD 활성도는 Bioxytech SOD-525 kit (OxisResearch,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 태반 조직 내 MDA 농도는 임신전자간증군에서 7.87±9.24 nmole/mg protein으로 자궁내 태아발육 지연군 및 대조군보다 의미있게 낮았다. 자궁내 태아발육 지연군에서는 18.56±6.32 nmole/mg protein로 임신전자간증군보다 의미있게 높았으나, 대조군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SOD 활성도는 임신전자간증군에서 5.88±0.86 U/mg protein로 자궁내 태아발육 지연군보다 의미있게 낮았지만 대조군보다는 의미있게 높았다. 자궁내 태아발육 지연군에서는 13.33±5.6 U/mg protein로 임신전자간증군 및 대조군보다 의미있게 높았다. 임신전자간증군에서 MDA 측정유무의 여부가 SOD 활성도 차이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MDA/SOD 비율은 임신전자간증군과 자궁내 태아발육 지연군에서 이들의 비율은 각각 1.41±1.70 및 1.59±0.64로 대조군보다 의미있게 낮았으며, 이들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 임신전자간증 및 자궁내 태아발육 지연 환자에서 산소 스트레스를 중화하기 위한 항산화력의 증가가 산소 스트레스를 훨씬 능가하였던 것으로 보아 이들 두 질환에서 산소 스트레스가 병태생리의 연관인자라고 보기는 어려울 것 같다. Objective: Oxidative stress has been postulated as a major contributor to pathogenesis of preeclampsia (PE) and fetal growth restriction (FGR), although evidence supporting this hypothesis remains inconsistent.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address the potential role of oxidative stress in PE and FGR. Methods: A case-control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concentrations of malondialdehyde (MDA) as a indicative marker of lipid peroxidation and superoxide dismutase (SOD) as a antioxidant defence system in placentas from 20 women with PE, 20 women with FGR and 20 healthy normal pregnant controls. Data were analyzed statistically using Mann-whitney test, Fisher's exact test. Results: Placental MDA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preeclampsia group (mean value 7.89±9.24 nmol/mg protein) compared with the FGR and control groups. Placental MDA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FGR group (mean value 18.56±6.32 nmol/mg protein) compared with the preeclampsia group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FGR and control groups. SOD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preeclamptic group (mean value 5.88±0.86 U/mg protein) compared with the FGR group but higher compared with control group. SOD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FGR group (mean value 13.33±5.6 Ul/mg protein) compared with the preeclampsia and control group. Measurement of MDA in preeclampsia group could not influence SOD activities. MDA/SOD ratio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peeclamptic group (1.41±1.70) and FGR group (1.59±0.64)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however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 To conclude, this study shows that oxidative stress is not a major pathophysiology of preeclampsia and FGR, because there is more predominant antioxidative defenses than oxidative stress.

      • 전자간증 태반에서의 nitric oxide synthases,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및 matrix metalloproteinases 의 발현에 관한 연구

        손정미 고신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박사

        RANK : 247535

        배경 및 목적: 전자간증의 태반병리는 태반 융모내, 자궁-태반 및 태반-태아 사이의 순환장애를 특징으로 한다. 그 발생기전은 분명하지 않으나 세포영양막의 자궁내막의 침습 과정의 이상으로 인한 얕은 태반형성이 중요한 인자로 이해되고 있다. 이 침습 과정에는 혈관 신생과 간질조직의 분해에 필요한 여러 인자, 특히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단백분해효소인 metalloproteinases (MMPs)와 이들의 억제제인 tissue inhibitor metalloproteinases (TIMPs)가 작용한다. 또한 임신 말기에 가서 현저해지는 순환장애는 여러 원인에 의한 융모 혈관내피세포의 손상 또는 기능적 이상으로 설명하고 있으며, 산화 질소(nitric oxide, NO)의 활성은 혈류의 역동학적 변화를 초래하는데 관여하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이에 저자는 태반 형성의 초기단계에 주로 관련된 간질분해 효소와 내피세포 기능 이상에 관련된 인자들의 전자간증 태반내에서의 발현 동태를 정상 태반과 비교 조사하고 이를 전자간증 임신의 임상-병리학적 소견과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전자간증 병태생리에 대한 이해를 더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자간증 태반의 광학 및 전자현미경적 변화를 조사하고, 제대와 태반의 부위에 따른 VEGF, MMP-2, MMP-3, MMP-9 및 TIMP-1과 iNOS 및 eNOS의 발현을 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재료 및 방법: 32예의 전자간증 환자와 15예의 정상 임산부의 태반과 제대 조직을 분만 직후 태반의 기저판(basal plate)과 융모판(chorionic plate)이 포함될 수 있도록 태반융모의 대표적 부위를 취하였다. 태반의 미세구조의 변화는 신선 태반 조직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2% glutaraldehyde에 고정하고 epon에 포매하여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으며, 연구에 사용된 VEGF (A-20 G, rabbit polyclonal, Santa Cruz, USA), CD34 (B1-3C5, mouse monoclonal, Zymed, USA), iNOS (PA1-039, rabbit polyclonal, Affinity Bioreagents INC, USA), eNOS (NOS type III, rabbit polyclonal, Transduction Lab, USA), MMP-2 (A-Gel VC2, mouse monoclonal, Neomarkers, USA), MMP-3 (Clone SL-IID4, mouse monoclonal, Neomarkers, USA), MMP-9 (Clone VIIC2, mouse monoclonal, Neomarkers, USA) 및 TIMP-1 (102D1, mouse monoclonal, Neomarkers, USA)의 단클론 또는 다클론 항체를 구입하여 avidin-biotin complex (ABC) 법으로 염색하였으며, MMP-3, MMP-9 및 TIMP-1의 미세구조적 국재화를 보기 위해서 protein-A gold를 이용한 후포매법으로 시료를 제작하여 검색하였다. 결과; 1) 전자간증의 융합융모막은 정상에 비해 세포소기관의 세포 단위막의 현저한 변성을 보였으며, 융모 혈관 내피세포는 정상과는 다른 세포골격 구조의 반응성 비대를 보였다. 2) VEGF는 탈락막에서 가장 현저한 발현을 보였고, 기저판과 융모판의 세포영양막은 정상 태반에 비해 높은 빈도를 보인 반면 융합영양막에서의 발현 강도는 감소하였다. 3) eNOS는 정상 태반과 같이 융모융합영양막, 기저판 및 융모판의 세포영양막에서 가장 강하게 발현되었으나, iNOS는 융모의 간질세포에 제한하여 발현되었다. 융합영양막에서의 eNOS는 정상 기저부 점상 발현에서 첨부 선상의 발현으로 변조되었다. 4) MMP-2는 제대 및 태반의 대부분의 구성요소에서 발현하며 탈락막에서 가장 현저한 발현을 보였다. MMP-3의 발현은 혈관내피세포와 세포영양막에 제한하여 발현되었으나 MMP-9과 함께 기저판에 접한 세포외 간질에서도 발현을 보였다. MMP-9과 TIMP-1은 그 발현 부위가 일치하였으며, 제한된 부위에서 미약한 발현을 보였다. 전자간증 태반에서의 MMP와 TIMP의 발현은 정상과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5) 태반 무게와 VEGF 발현과의 관련성을 제외하고는 나이, 제태연령, 임신회수, 혈압 및 단백뇨의 정도, Apgar 점수등의 임상 소견과, 경색, syncytial knot, 석회화, 융모간강 섬유소, 융모판의 세포영양막 두께등의 병리학적인 제 요소와의 연관성은 없었다. 결론; 전자간증 태반에서의 VEGF, MMP-2, MMP-3, MMP-9 및 TIMP-1의 발현 빈도와 국재화는 정상 태반과 유사하여 간질 분해와 관련한 전자간증의 원인적 기전은 정상과 차이가 없거나 또는 임신 말기까지 지속되지 않았을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그리고 모세혈관의 비대를 보이는 융모에서 융합영양막 eNOS의 발현 변조는 전자간증 태반의 혈류 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Background & Purpose: Pre-eclampsia is characterized by maternal-placental circulatory disturbance. Although the pathogenetic mechanism is not precisely described, shallow placentation due to inadequate invasion of trophoblast to uterine endometrium has been proposed. During trophoblastic invasion, degradation of extracellular matrix by metalloproteinase is necessary. And endothelial dysfunction also has been related with fetoplacental hemodynamic alterations and maternal circulatory disturbance. To extend knowledge for pathophysiology of preeclampsia, the author investigated the expression and distribution pattern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nitric oxide synthases (iNOS & eNOS), and metalloproteinases (MMP-2, -3, -9) and their tissue inhibitor (TIMP-1) within preeclamptic placenta, and disclosed clinico-pathological correlation. Materials and Methods; 32 cases of preeclampsia and 15 cases of control normal placenta including chorionic and basal plates were examined by light microscopically and ultrastructurally. Immunohistochemical stains with ABC (avidin-biotin complex) method were performed for the expressions of VEGF (A-20 G, rabbit polyclonal, Santa Cruz, USA), iNOS (PA1-039, rabbit polyclonal, Affinity Bioreagents INC, USA), eNOS (NOS type III, rabbit polyclonal, Transduction Lab, USA), MMP-2 (A-Gel VC2, mouse monoclonal, Neomarkers, USA), MMP-3 (Clone SL-IID4, mouse monoclonal, Neomarkers, USA), MMP-9 (Clone VIIC2, mouse monoclonal, Neomarkers, USA) and TIMP-1 (102D1, mouse monoclonal, Neomarkers, USA). Subcellular localization of MMP-3, -9 and TIMP-1 was performed with conjugation of protein-A gold by post embedding method. Results; 1) Degeneration with focal necrosis of subcellular structures of syncytiotrophoblast was marked in preeclampsia. Capillary endothelial cells, however, showed bulbous hypertrophy with cytoskeletal filamentous aggregation. 2) VEGF was markedly expressed in decidual cells in both preeclamptic and control groups. Although both basal and chorionic plates showed frequent expression of VEGF, intensity in villous trophoblasts was reduced comparing to normal placenta. 3) eNOS was intensely expressed in villous syncytiotrophoblasts and cytotrophoblasts in both groups, while iNOS was limited to villous stroma. However, eNOS expression of syncytiotrophoblasts was apico-linear in preeclamtic placenta, contrast to baso-punctate in normal placenta. 4) MMP-2 expression was diffuse in both normal and preeclamptic groups. Decidual expression of MMP-2 was more exaggerated. MMP-3, -9 and TIMP-1 were weakly expressed and localized mainly in basal trophoblasts and surrounding extracellular matrix. Immunogold labelling with MMP-9 and TIMP-1 was noted in areas of amorphous and/or fibrillary extracellular matrix. 5) Except for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lacental weight and VEGF expression, other clinico-patholgical factors were not related. Conclusions; Expression and its distribution pattern of VEGF, MMP-2, MMP-3, MMP-9 and TIMP-1 within preeclamptic placenta were similar to those of normal placenta.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CM degradation-related etiologic events may not be differ from those of normal placentation or may not persistent at term. Modulation of eNOS expression and capillary endothelial hypertrophy was confirmed in chorionic villi, which suggest that eNOS c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hemodynamic alterations of preeclampsia.

      • 임신 전자간증 또는 자궁내 태아발육지연을 동반한 태반에서 세포고사의 변화 양상

        김종석 단국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534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xpression of Bax and Bcl-2 protein in the placenta of pregnant women with preeclampsia or fetal growth restriction, and to determine the role of these proteins in the increased phagocytosis of those women. Methods: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 of 60 pregnant women. 20 were complicated with preeclampsia, another 20 were with fetal growth restriction, and the others for the control group were normal pregnant women without any complication. We got wedge resection of the placental tissue from those women after delivery and evaluated the expression of Bax and Bcl-2 protein of them via Western immunoblottting test.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ax protein expression of the study groups; the preeclampsia group was 0.93±0.35 comparative to the control group, and the fetal growth restriction(FGR) group was 1.1±0.47. On the other hand, the expression of Bcl-2 was significantly lower in both preeclampsia group(0.53 ±0.16) and FGR group(0.51±0.13). Conclusion: Bcl-2 protein expression in the placental tissue either with preeclampsia or FGR is lower while Bax protein expression is not, which means restricting process of phagocytosis in placenta is reduced with those complications. Therefore, we conclude the regulation of phagocytosis via expression of Bcl-2 should have an important role in pathophysiology of preeclampsia and fetal growth restriction. 목적 : 임신 전자간증 또는 자궁내 태아발육지연을 동반한 산모의 태반에서 단백질 Bcl-2 및 단백질 Bax의 발현정도를 대조군과 비교하여 이들이 태반세포의 세포고사를 매개해 주는 조절인자로 작용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 및 방법 : 임신 전자간증이 있었지만 자궁내 태아발육지연은 없었던 20명의 환자와 임신 전자간증 없이 자궁내 태아발육지연이 있었던 2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분만 직후의 태반에서 태반조직을 채취하여 태반 내 Bcl-2 및 Bax의 발현정도를 Western immunoblotting 방법으로 측정하여 비교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 임신 전자간증 환자의 태반조직 내 Bax 단백의 발현은 대조군에 비해 0.93±0.35배로 나타났고, 자궁내 태아발육지연을 동반한 환자의 태반에서 Bax 단백은 대조군에 비해 1.1±0.47배로 발현되어 모두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임신 전자간증 환자의 태반조직 내 Bcl-2 단백의 발현은 대조군에 비해 0.53±0.16배였고, 자궁내 태아발육지연을 동반한 환자의 태반에서 Bax 단백은 대조군에 비해 0.51±0.13 배로 발현되어 두 실험군 모두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감소되어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에 의하면 Bcl-2 단백의 발현은 임신 전자간증 또는 자궁내 태아발육지연이 동반된 산모의 태반에서 감소된다. 이는 곧 임신 전자간증 및 자궁내 태아발육지연이 동반된 임신에서 태반의 세포고사를 억제시키는 과정이 감소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임신 전자간증 또는 자궁내 태아발육지연을 동반한 임신에서 Bcl-2 단백 조절을 통한 태반 세포고사 과정이 임신 전자간증과 자궁내 태아발육지연을 유발하는 과정의 중요한 요인으로 사료된다.

      • 정기 산전검사와 자궁동맥 도플러 혈류검사를 통한 중증 전자간증의 예측

        임승철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01

        목적: 정기적 산전검사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를 통하여 중증 전자간증의 발생과 관련 있는 인자를 파악하고 이 요인들의 상대 위험도를 평가하여 중증 전자간증 발생 예측의 유용성을 평가한다.연구방법: 2003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연세의료원 세브란스병원에서 임신 제1삼분기부터 정기적인 산전진찰을 받고 분만한 876명의 단태임신 산모를 대상으로 환자의 의무기록, 진단검사의학적 검사 결과 그리고 초음파검사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내과적 질환, 다태임신, 전자간증 이외의 산과적 합병증이 있는 환자는 제외하였고 태아기형이 확인된 경우도 제외하였다. 산과력, 임신 제1삼분기의 혈청화학적 검사, 임신 제2삼분기의 기형아 선별을 위한 삼중표지자검사, 임신 제2삼분기의 자궁동맥 도플러 혈류 검사의 자료를 분석하였다.결과: 876명의 산모 중에서 38명이 중증 전자간증으로 진단되었다 (4.3%). 정상군과 중증 전자간증군사이에서 일변량 분석을 통하여 산모의 나이, 체질량지수, 중심동맥압, 산모혈청의 화학적검사(BUN, 크리아티닌, 요산), 삼중 표지자 검사 중 알파태아단백, 사람융모생식샘자극호르몬 그리고 자궁동맥 도플러 검사가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 이들 위험인자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이전 임신에서의 전자간증 발생의 기왕력이 가장 높은 위험도를 보였다 (OR 67.0, 95% CI 18.8-238.3). 다음으로 비정상 자궁동맥 도플러(OR 7.9, 95% CI 2.8-22.4), 알파태아단백(OR 6.8, 95% CI 1.9-24.6), 사람융모생식샘자극호르몬(OR 3.0, 95% CI 1.3-7.0)의 순서였다. 체질량지수와 평균동맥압 그리고 요산의 증가도 중증 전자간증의 발생에 있어 위험인자로 작용하였다.결론: 정기 산전검사에서 전자간증의 기왕력이 가장 높은 위험도를 보였다. 비정상 자궁동맥 도플러 혈류 검사와 기형아 선별을 위한 삼중표지자 검사 중 알파태아단백, 사람융모생식샘자극호르몬의 증가는 중증 전자간증을 예측하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체질량지수의 증가, 평균동맥압의 상승, 혈중 요산의 증가가 중증 전자간증 예측 인자가 될 수 있다.

      • 전자간증 임신의 태반과 태반저 조직에서 세포자식작용 단백질인 LC3의 발현

        송승은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471

        연구목적: 전자간증 임신부의 태반과 태반저 조직에서 LC3의 발현양상을 정상임신부와 비교 분석한다. 연구방법: 정상임신부와 전자간증 임신부의 태반과 태반저 조직을 제왕절개 분만 시 채취하였다. 태반과 태반저 조직에서 LC3에 대한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시행하였고, 태반에서 LC3에 대한 Western blot을 시행하였다. 결과: 면역조직화학염색과 Western blot에서 전자간증의 태반은 정상임신 태반에 비해 LC3 발현이 증가함을 보였다. 그러나 태반저 조직의 LC3 발현은 전자간증과 정상임신 간에 차이가 없었다. 태반저 조직의 LC3 발현은 정상임신과 전자간증 임신 모두에서 자궁근층의 융모막외 영양막세포 (중간 영양막세포와 혈관내 영양막세포) 의 수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 전자간증 태반에서 LC3의 증가는 전자간증에서 융모 영양막세포 (villous trophoblasts) 의 회전율이 증가함을 반영한다고 생각된다. 또한 세포자식작용이 융모막외 영양막세포 (extravillous trophoblasts)의 침입을 조절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될 수 있다. Objectives: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 of autophagy-related proteins, LC3 in placentas and placental beds from normal and preeclamptic pregnancies. Materials and methods: The placentas and placental beds were collected from normal and preeclamptic pregnancies during cesarean section and immunohistochemistry for LC3 was performed. Western blotting analysis was also performed in placentas from normal and preeclamptic pregnancies. Results: Western blotting and immunohistochemistry for LC3 showed increased expression of LC3 in placentas from preeclamptic pregnancies compared with normal pregnancies. However, the grade of LC3 immunostaining in placental beds was not different between normal and preeclamptic pregnancies. The grade of LC3 immunostaining in extravillous trophoblasts of placental beds from normal and preeclamptic pregnancie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deep trophoblasts invasion as assessed by correlation of LC3 immunostaining with the number of myometrial extravillous trophoblasts. Conclusion: Increased expression of LC3 in placentas from preeclamptic pregnancies is thought to reflect increased turnover of villous trophoblasts. Our data also suggests that autophagy might be a possible regulatory mechanism of extravillous trophoblasts invasion.

      • 전자간증을 동반한 산모에서 단태임신과 쌍태임신의 주산기 예후 비교연구

        변재광 아주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455

        - 국문요약 - 전자간증을 동반한 산모에서 단태임신과 쌍태임신의 주산기 예후 비교연구 목적: 전자간증 산모에서 단태아와 쌍태아의 주산기 예후와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알고자 한다. 연구대상 및 방법: 전자간증을 동반한 단태임신 산모 208명과 쌍태임신 산모 78명을 대상으로 연령 분포, 출산력, 임신 주수, 분만 방법, 산모 합병증, 양수지수를 조사하였으며, 주산기 예후의 지표로서 출생시 체중, 1분과 5분 Apgar 점수, 주산기 사망률과 주산기 유병율을 비교하였다. 결과는 chi-square test, independant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전자간증을 동반한 단태임신과 쌍태임신 산모의 평균 나이에 있어서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평균 임신 주수에서 단태임신 35.93±3.60주, 쌍태임신 34.65±1.92주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0). 산모의 합병증에 있어서 심장비대(P=0.000), 심장부전(P=0.006), 폐부종(P=0.000), 재원기간(P=0.031)이 쌍태임신 산모에서 통계학적으로 의미있게 높은 것으로 나왔으며 뇌출혈, 신장 기능 저하, 파종혈관내 응고 장애, 간부전에 있어서는 통계학적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총 364명이 태어났으며, 이 중 저 체중아(small for gestational age: SGA) 출생은 단태임신에서 53명(25.7%), 쌍태임신에서 23명(14.7%)으로 단태임신의 경우가 쌍태임신의 경우보다 유의하게 더 많았으며(P=0.013), 출생시 평균 체중은 단태임신 2429.42±873.14gm, 쌍태임신 2199.23±492.08gm이었다(P=0.02). 주산기 이환율에 있어서는 쌍태임신이 신생아 중환자실 입원(108명 69.2%, P=0.000)을 더 높았으며, 7점 미만의 5분 APGAR 점수 신생아는 9명(5.7%, P=0.000)으로 단태임신보다 낮았다. 주산기 사망률에 있어서는 단태임신에서 3명(1.4%), 쌍태임신에서 1명(0.6%)으로 그룹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638). 결론 : 본 연구 결과 전자간증 산모에서 쌍태임신이 단태임신보다 주산기 예후에 있어서 중환자실 입원비율이 높은 것 외에는 더 나쁘다는 증거는 없었다. 중환자실 입원에 있어서도 정상적인 쌍태임신 그룹에서와 같이 조산과 저 체중출생아로 입원의 증가가 나타났다. 그래서 전자간증 산모의 치료에 있어서 최대한 임신주수 증가가 주산기 예후를 증가시키므로 조기 산전진찰과 진단으로 임신중독증 자체의 합병증 예방에 힘써야 한다. 핵심어 : 전자간증, 주산기 예후, 쌍태임신

      • 전자간증 산모와 정상임신에서의 혈중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와 Matrix Metalloproteinase-2에 관한 비교연구

        이경주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423

        Backgroun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has been implicated in the pathophysiology of preeclampsia and is important in angiogenesis that requires the release of proteases to allow for migration of endothelial cells.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whether serum levels of VEGF and matrix metalloproteinase-2 (MMP-2) are different between normotensive pregnant women and preeclampsia patients and also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VEGF and MMP-2. Methods: We analyzed the serum levels of VEGF and MMP-2 in patients with preeclampsia (n=20) and normotensive pregnant women (n=20). Results: We demonstrate that the serum VEGF and MMP-2 levels are higher in preeclampsia patients than normotensive pregnant women. Serum VEGF levels highly correlate with the increased MMP-2 levels. (r=0.91, p < . 0.0001)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VEGF upregulats the secretion of MMP-2, which can contribute the pathophysiology of preeclampsia. 배경 : 혈관내피성장인자는 혈관생성 시 내피세포 이동과 관련한 효소를 분비하는 중요한 임신전자간증의 병태생리에 관여한다. 목적 : 정상혈압을 가진 산모와 임신전자간증 산모에서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와 matrix metalloproteinase-2(MMP-2)의 혈중 농도의 차이 와 이들의 상호 관계에 대한 고찰을 하였다. 연구방법 : 임신 29주에서 30주 사이의 각각 20명의 정상혈압을 가진 산모와 임신 전자간증을 가진 산모에서 분만 전에 채취한 혈액에서 ELISA를 이용하여 혈중 농도 를 측정하였다 결과 : 임신 전자간증 산모에서 정상혈압을 가진 산모보다 VEGF와 MMP-2의 높 은 혈중 농도를 보였고,VEGF의 증가는 MMP-2의 증가와 관련이 있었다.(p<.05,상 관계수 0.78) 결론 : VEGF의 증가는 MMP-2의 분비를 증가시키고 이는 임신전자간증 산모의 혈관기능장애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