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팀 구성원간 지식공유가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정보교류체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손정미 가천대학교 경영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경영환경의 변화는 기업으로 하여금 다양한 제도와 관습 및 관행을 요구하고 있다. 특히, 조직 구성원의 역량과 협업 그리고 그들이 보유한 지식과 정보를 활용하는 시스템적 사고는 기업의 성장과 직결되어 있으며 이를 위해 많은 회사가 조직구성원 각자가 보유한 지식과 역량을 공유하고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 정보의 창출, 공유, 활용 및 이를 통한 성과에 이르기까지 기업은 기존의 전통적인 경영방식에서 지식과 정보에 기반을 둔 지식경영으로 전환하고 있으며 내부 및 외부의 환경변화에 따라 조직구성원의 지식과 역량 및 협업을 통한 성과창출을 도모해야만 한다. 특히 디지털환경이 보편적으로 적용되는 경영환경에서 구성원 각자의 능력과 역량은 전통적 관점에서 개인의 특화된 역량이 아닌 회사의 자산으로 편입될 수 있다는 관점에서 이를 적극적으로 공유하고 활용해야만 한다. 이는 전통적 관점에서의 개인지식이 개발, 획득, 축적, 심화, 활용, 성과의 과정을 거친다면 개인의 차원을 넘어 조직차원 및 회사차원의 자산으로 편입, 관리, 재생산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다양한 정보관리 시스템 등이 도입되었고 이를 활용하기 위한 회사차원의 지원이 상당부분 강화되었지만 여전히 조직구성원이 보유한 지식의 활용은 팀과 조직차원에서 원활하지 않은 게 현실이다. 그리고 경영환경의 복잡성이 증가하며 과업수행의 주체가 다변화되고 성과가 다차원에서 관리되고 있으므로 이를 위한 조직 구성원의 대응도 달라져야 하는 시점이다. 이에 따른 본 연구는 팀 구성원간의 지식공유가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는 지식공유와 성과 및 정보교류체제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필요성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고 연구의 목적달성을 위한 연구방법을 설명하였다. 제2장에서는 선행연구 분석을 통한 지식공유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팀 성과와의 영향관계를 제시하였으며 지식공유와 성과를 매개하는 정보교류체제에 대한 척도와 기준을 제시하였다. 제3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을 근거로 본 연구의 가설 및 모형을 설정하였고 이의 실증적 분석을 위한 조사 설계와 방법을 제시 하였다. 제4장에서는 실증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 하였고, 제5장에서는 본 논문의 결과에 대한 요약과 더불어 본 연구의 시사점 및 연구한계 및 향후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 하였다. 검증결과로서 독립변수인 지식공유는 매개변수인 정보교류체제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정보교류체제는 성과에 대부분 정의 영향을 미쳤고, 정보교류체제는 지식공유와 성과 간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수인 지식공유와 결과변수인 성과는 각각 하나의 변인으로 정의하였고, 매개변수인 정보교류체제는 전문성, 신뢰성, 과업조정의 3개 하부요인을 포함하고 있으며, 신뢰성을 제외한 모든 변인은 상호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가 설정한 가설 및 이의 검증을 통해 파악된 내용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식공유의 다양한 정의를 단순화하여 조직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함으로서 현대 기업경영에 있어서 지식공유의 중요성과 이를 제도적으로 지원하는 틀을 제시하였다. 기업은 조직 구성원의 암묵적, 명시적 지식을 성과로 연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내부 시스템을 제공하고 이를 활용해야 하는 당위성을 검증하였다. 둘째, 공유 인지 프로세스의 요소인 정보교류체제와 연결된 성과향상의 도구를 제시하였다. 정보교류체제는 인지된 프로세스로서 조직구성원의 성과와 직결되고 있으며 지식공유의 활용을 가속화하는 개념임을 증명하였다. 셋째, 지식공유를 통한 성과향상의 관계성과 이를 통한 기업의 성장전략의 다양성을 제시 하였다. 기업의 성장전략은 단순한 재무적 데이터로서만 보는 것이 아닌, 구성원의 정서적 요인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시사점과 기준을 제시 하였다. 이와 같은 시사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의 한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편의적 추출법으로 인하여 적용대상이 일부 산업으로 한정되었고 본 논문의 결과를 전체 산업 군으로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이후의 연구는 보다 다양한 산업을 대상으로 한 광범위한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본 연구에서 활용되고 분석된 자료는 응답자의 자기보고식의 주관적 자료이기 때문에 대상자들의 상황에 따라 개인의 주관적 응답 가능성이 존재한다. 셋째, 본 연구는 성과측면에서 시간제약상 횡단적인 분석만을 실시하였기에 이후 동일한 기업 혹은 다양한 산업 군을 대상으로 종단적인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 시립무용단의 운영실태와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서울·청주 시립무용단을 중심으로

        손정미 淸州大學校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study is intend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domestic art by doing research on the present operating system and the way to facilitate through comparing and analyzing the two dance company, Chong-ju Dance Company and Seoul Dance Company. Investigation of the contemporary system of operation of the both dance company is used as researching method, on the other hand, nominal scale with 5-point Likert type, as an analizing method and 5-point scale as a type of survey. By means of this research progressed on this purpose, I could reach into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 : In the case of operating system, these are shown as an upcoming issue that getting in Chong-ju D. C. and in Seoul D. C., improving the rewarding system. Second : In view of finance, it is indicated that the both Dance Company need to raise more outside assist system. Third : In the participation of the people without the background on Dance case, it is shown that Chong-ju D. C. offers dance class once a week dance. However, in case of Seoul D.C., people hardly ever get a chance to be envolved in this activity. Forth : This study suggested the fact that the both D. C. are ignored by the people because of the low acknowledgement in the society. Considering this situation, these findings implies that more efforts should be made on these following aspects.(to facilitate Dance Company) First of all, it is all-important to strengthen the faculty of art, Second, by nominating an authorized person as a producer in the Dance Company, it has to be aimed to expand the profit. In conclusion, this study can be said that it is worth doing in terms of leading the domestic art, which is getting more popular, to the advanced level in quality. Based on the above-mentioned, it has to be done to research on morespecific aspects.

      • 딥러닝 결합규칙의 상호보완적 앙상블 모델을 적용한 지문 분류 성능 향상에 관한 연구

        손정미 서강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IT기술의 발달로 인공지능 등의 정보통신 기술은 치안서비스의 지능화를 가능케 했다. 경찰청에서는 이런 지능화된 정보통신 기술을 현장에 적용하기 위해 경찰데이터 및 공공데이터를 빅데이터 분석하여 범죄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지원하는 등 현장의 범죄수사 지원 및 예방을 위한 시스템을 개발해왔다. 범죄 수사 과정에서 범죄자를 가려내는 방법은 CCTV, 족흔적, 혈흔, 지문 등 다양한 증거물을 이용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지문은 개인마다 서로 다르고 평생 변하지 않기 때문에 가장 강력한 증거물로 이용되고 있다. 범죄 현장에서 발견된 지문을 대량의 지문DB에서 효과적으로 검색하기 위해서는 검색대상 지문을 문형별로 분류하여 분산저장하는 것이 필요하다. 지문을 문형별로 정확히 분류하여 관리하면 검색 오류를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검색시간도 단축되는 등 좀 더 효율적인 검색 결과를 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지문 분류과정에서 사용되고 있는 규칙기반 알고리즘은 지문 문형과 융선의 수에 따라 세분화된 한국 지문분류체계에 맞게 분류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최근에 이러한 지문분류 분야에 딥러닝 기술을 적용하려는 연구가 진행되어 졌다. 기존 연구에서 비지도 학습인 Sparse-AE(Auto-Encoder)를 적용하거나 단일 CNN 모델을 이용하여 분류 성능을 향상시켰다. 하지만 이러한 연구는 FBI식 지문분류법을 이용하여 지문을 5개 혹은 4개의 범주로 분류하는 것이며, 이는 한국 지문분류법에 적용하기는 제한이 따르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세분화된 지문문형 분류분야에 딥러닝 기반의 CNN 앙상블 기법을 적용하여 분류 성능을 개선하는 모델을 연구하였다. 지문이미지 학습데이터를 전처리하여 동일한 이미지로 세종류의 학습데이터를 생성하였다. 전처리과정에서 지문문형의 특징정보를 다르게 가지게 되어 각각의 장점을 활용할 수 있으며 미흡한 부분의 상호보완이 가능하다. 지문이미지의 문형을 효과적으로 학습하기 위해 VGGNet과 Densenet 기반의 세부 신경망을 구성하고 이를 앙상블하여 CNN 모델을 구성하여 성능을 평가하였다. 모델을 앙상블하는 방법으로는 각 세부신경망에서 추출된 특성맵을 결합하고 신경망을 추가하여 자동학습한 후 최종 결과를 예측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단일 이미지를 입력으로 하는 VGGNet, Densenet의 단일 모델과 세종류의 학습데이터를 각각의 서로 다른 모델의 세부신경망의 입력으로 하는 앙상블 모델을 따로 제작한 뒤, 동일한 데이터에 대해 실험한 결과와 비교하여 단일모델 혹은 같은 종류의 모델을 앙상블하는 것보다 서로 다른 모델을 딥러닝 결합규칙을 적용하여 앙상블하였을 때 더 높은 성능을 보임으로써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효과가 있음을 증명하였다. 또한 본 모델을 업무현장에 적용할 경우 기존 규칙기반 알고리즘에 비해 분류 정확도를 상당히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IT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made it possible to intelligentize security services. In order to apply such intelligen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o the field,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has developed systems for supporting crime investigations in the field, including various information on crime by analyzing police data and public data. In the criminal investigation process, various evidences such as CCTV, foot marks, blood marks, and fingerprints are used to find criminals. Among them, fingerprints are used as the strongest evidence because each person’s fingerprint is different and does not change throughout life. In order to effectively search fingerprints found at crime scenes in a large scale databases, it is necessary to classify by image type and store fingerprints. The fingerprint classification of categorizing fingerprints by classes reduces not only search errors but also search time. However, the rule-based algorithm used in the fingerprint classification has limitations in classifying it according to the Korean fingerprint classification system, which is subdivided according to the fingerprint image pattern and the number of ridges. Recently,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apply deep learning technology to the field of fingerprint classification. In previous studies, the classification performance was improved by applying the unsupervised learning Sparse-AE (Auto-Encoder) or using a single CNN model. However, this research classifies fingerprints into 5 or 4 categories using the FBI fingerprint classification method, which is subject to limitations in application to the Korean fingerprint classification method. In this thesis, a model that improves classification performance was studied by applying a deep learning-based CNN ensemble technique to the segmented fingerprint type classification field. By preprocessing the fingerprint learning data, three types of learning dataset were created with the same image. In the pre-processing process, the feature of the fingerprint type is different, so that each advantage can be utilized, and insufficient parts can be complemented. In order to effectively learn the pattern of the fingerprint image, neural networks based on VGGNet and Densenet were constructed, and the performance was evaluated by constructing a CNN model by ensemble them. As a method of ensemble the model, after the feature maps extracted from the neural network were combined and the neural network was added, the final result was predicted after automatic learning. In addition, A single model of VGGNet and Densenet and an ensemble model using three types of training data as inputs were separately produced, and then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experiments on the same data. By showing a higher performance when ensembles different types of models by applying the deep learning combination rule than a single model or type of ensemble same models has been demonstrated that the method proposed in this paper is effective. In addition, if this model is applied to the workplace, it is expected that the classification accuracy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the existing rule-based algorithm.

      • 형제 유·무와 중학생의 진로성숙 수준 및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

        손정미 광운대학교 상담복지정책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중학생의 진로성숙 및 진로준비행동이 형제 유․무에 따라, 형제아인 경우 출생순위에 따라, 그리고 학교가 위치하는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점차 늘어나고 있는 외동이에 대한 사회적 인식 변화에 과학적 근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청소년이 진로계획이나 진로결정을 하는 과정에 있어 진로지도 및 상담을 제공하고자 할 때, 동일한 연령이나 발달 단계에 있는 중학생이더라도 그 진로성숙 수준과 준비행동 정도에 영향을 끼치는 다양한 환경적, 가족적 변인을 고려한 효과적이고 내담자 중심적인 진로상담 서비스가 이루어진다면 이들이 선택한 진로는 직업이나 대인관계, 일상생활의 전반적인 영역뿐 만 아니라 삶의 방향과 질에도 영향을 끼쳐 인격적으로 성숙한 성인으로 성장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위의 연구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선정하고 이를 밝혀보고자 한다. 첫째, 형제 유․무에 따라 중학생의 진로성숙 수준(태도와 능력) 및 진로준비행동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중학생 외동이와 출생순위 별 형제아는 진로성숙 수준(태도와 능력) 및 진로준비행동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중학생 외동이와 출생순위 별 형제아는 학교지역에 따라 진로성숙 수준(태도와 능력) 및 진로준비행동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가? 넷째, 형제 유․무와 진로성숙 수준(태도와 능력) 및 진로준비행동 간에는 어떤 상관이 있는가? 이와 같은 문제를 규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서울 시내에 위치한 4개 중학교 1, 2 학년 350명을 대상으로 하여 검사지 설문을 실시하였다. 학교지역 별 중학생 외동이와 형제아를 비교하기 위해서는 학업 성취도와 생활 수준이 통상적 기준으로 보았을 때 구분하기에 비교적 용이한 강남지역 소재의 중학교와 강북지역 소재의 중학교를 임의로 나누어 선정하였다. 진로성숙 수준(태도와 능력)과 진로준비행동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도구로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임 언, 정윤경, 상경아, 2001)에서 개발한 진로성숙도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SPSS(WIN) 13.0을 이용하여 검사지 응답자의 일반적 진로성숙 수준(태도와 능력) 및 진로준비행동을 알아보기 위해 평균, 표준편차, 백분율을 구하였고, 형제 유․무와 학교지역에 따라 진로성숙 수준(태도와 능력) 및 진로준비행동에 차이가 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t 검증을 실시하였다. 형제아의 경우 출생순위 별로 진로성숙 태도, 진로성숙 능력, 진로준비행동에서의 차이를 보기 위해 일원분산분석(ANOVA)을, 형제 유․무별 진로성숙과 진로준비행동간 상관관계와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상관계수와 Fisher z 검증을 실시하였고 통계치의 유의 수준은 요인별로 (P<.05), (P<.01), (P<.001)에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형제 유․무별 중학생의 진로성숙 및 진로준비행동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우 외동이가 형제아보다 진로성숙의 태도와 능력, 진로준비행동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왔다. 둘째, 형제 유․무와 출생순위 별 형제아 중학생의 진로성숙 및 진로준비행동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우 대부분의 하위영역에서 외동이, 첫째 형제아, 둘째 형제아 순으로 진로성숙 태도와 능력, 진로준비행동에서의 평점이 높게 나왔고, 사후검증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셋째, 외동이와 출생순위 별 형제아 중학생의 학교지역에 따른 진로성숙과 진로준비행동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우 외동이가 형제아보다, 강남지역이 강북지역 학교의 중학생보다 진로성숙 및 진로준비행동 하위영역 여러 부분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왔다. 넷째, 형제 유․무와 진로성숙 수준(태도와 능력) 및 진로준비행동 간의 상관에 있어서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상관계수의 차이를 나타내었고,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우 외동이가 형제아 중학생보다 상관관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을 살펴보았을 때, 외동이의 열등성에 초점을 맞춘 과거의 여러 연구들과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의 진로성숙 수준(태도와 능력)과 진로준비행동에 있어 전반적으로 외동이가 형제아보다 더 높은 수준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형제 유무가 중학교 시기 즉, 신체적으로 급격히 발달할 뿐만 아니라 적성과 능력 ,태도, 가치관 등이 집중적으로 발달하는 중요한 진로발달 단계인 탐색기(Super, 1957)의 청소년들에게 결정적인 것은 아니지만, 어떤 부분에서는 관련 요인으로 작용하는 점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진로발달 과정의 중요한 시기에 들어선 중학생들이 진로성숙 및 진로준비행동에서 차이를 보이는 이유 중 형제 유무라는 특정한 가족변인과 학교지역이 관련 요인이 되는 점을 제시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aims that to see if there is a difference in whether they have siblings or not, birth order if they have siblings, and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the area school is located. And providing scientific base about chang of social recognition toward the only which is gradually increasing. When attempting to give guidance and counseling to teenagers during their career planning or choosing a career proper effective client centered counseling services that considers the various environmental, family variables that affect the career maturity or preparation it would help immensely as it would not only affect the career choices, social relations and general everyday life areas, it will also affect the direction and quality of life allowing middle schoolers, though at the same age or level of development, to grow into adults of mature personalities. Therefore,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problems were selected and determined as follows. First, is there a difference in career maturity level(attitude and abil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middle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at who has siblings or not? Second, do middle school students who is the only child and the child who has siblings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at career maturity level(attitude and abil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rd, do middle school students who is the only child and the child who has siblings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on career maturity level(attitude and abil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urth, i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whether they are siblings or not and career maturity level(attitude and abil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o identify these problems the questionnaires were intended for 350 students who are first and second year in four middle schools which are located in Seoul. Looking at the academic achievements and life standard to compare middle schoolers who are the only child and have siblings according to school sector we have dividedly selected schools in the Gangnam area and schools in the Gangbuk for considerably easy categorization. Used career maturity level questionnaire that was developed in KRIVET(2001) to measure career maturity(attitude and abil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analysis method, used SPSS(WIN) 13.0 to calculate the average, stand deviation, and percentage to find out common career maturity level(attitude and abil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a respondent. And T-test was used to find out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career maturity level(attitude and abil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depending on the school area and whether they have siblings or not. in the case who has siblings, One Way ANOVA were used to see an difference in the career maturity attitude, career maturity abilit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ry out an Pearson correlation and Fisher z-test verify to find out an difference and correlation between career maturity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the only child and siblings. Significance level of statistics were verified at (P<.05), (P<.01), (P<.001) by factors. The results of research work was summar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n career maturity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a middle school student who has siblings or not. In the case that has significantly high.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n career maturity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a middle school student who has siblings or not and birth order siblings. In the case that has significant difference, generally in lower area, the average of career maturity level(attitude and abl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ere high in the only child, first born child next, second born child order and the result was similar at Duncan Verify.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n career maturity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a middle school student who are only child and birth order siblings. In the case that has significant difference, the only child and Gangman area middle school students were generally higher on many subordinate parts of career maturity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an Gangbuk area. Fourth, in relationship between child who has siblings of not and career maturity level(attitude and abil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coefficient difference partially and the relationship of a middle school child who is the only child were more higher in the case that has significant difference. Examining these results, contrary to past researches which was focused on only child's complex, in this study career maturity level(attitude and abil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a middle school student generally shown high standard to child who has siblings. Having siblings or not is not decisive factor of adolescent who are in Exploration stage(Super, 1957) which is important career development stage that develops not just physically but also aptitude, ability, attitude and values focused, but it acts as related factor at some more part. Grounded on this study, it is suggesting that specific family variable that is whether there is siblings or not and school area is being related factor in the reason of a middle school student who's in the important period of career development shown a difference in the career maturity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 설명책임 도구로서 백서의 가능성 연구

        손정미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정부 등의 정책활동 보고서인 공공기관 백서의 효용에 주목하였다. 백서는 업무활동의 결과로서 기록을 구성하는 내용과 구조, 맥락을 다양한 시각적 효과와 함께 종합할 수 있는 활용폭 넓은 편찬서비스이다. 한편으로 활동보고서라는 성격으로 인해 발행 기관의 치적이 과도하게 부각되거나 법규의 기록보존연한과 실제 발간 주기가 맞지 않아 비공개 주요 기록을 포함하기 어려운 한계도 가지고 있다. 논문은 이러한 백서의 현실을 비판적으로 고찰한 다음 기록물과 홍보물의 경계에 놓인 백서에 기록관리의 핵심 편익인 설명책임성을 강화하는 공정을 추가한다면 사회적 효용을 높일 수 있다고 보아 그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그동안 철저한 기록화를 통해 미시적 설명책임성을 구현해온 것에서 나아가 제작 과정에서 기관 차원의 거시적 설명책임성을 강화함으로써 백서 그 자체로 설명책임 도구가 되는 ‘설명책임백서’를 구상해 본 것이다. 그리고 설명책임백서의 콘텐츠 전략으로 핵심 기록에 접근하는 기록큐레이션, 디지털 기술과 결합, 그리고 편찬서비스와 기록콘텐츠 전문가로서 아키비스트 역할을 제시하고 거칠게나마 실제 백서 제작 과정에 접목해 봄으로써 백서형 기록화 과정이 어떻게 이뤄질 수 있는지도 살펴보았다. 1인 기록관 체제에 따른 현장 아키비스트의 업무 과부하, 비공개 및 비밀 기록에의 접근 등 현장에서 설명책임백서가 구현되기까지 넘어야 할 장애물이 여럿이다. 하지만 투명하고 책임 있는 행정에 대한 시민의 기대, 디지털시대 아키비스트의 위상 재정립 목소리에 부응해야 하는 과제를 직시해야 할 시점이다. 기록관리의 편익을 제고하는 동시에 변화와 개선 의지를 구체적으로 실험하고 발전적 대안을 모색해야 하는 이때 유용한 도구로서 설명책임백서를 제안한다. This paper noted the effectiveness of the White Paper of public institutions, which is a report on policy activities of the government and others. The white paper is a wide range of compilation service that can be used to combine the components of the records, that is, the content, structure, and context, which are the results of business activities, with various visual effects. On the other hand, due to the nature of the activity report, the issuer's achievements are excessively highlighted, or the record retention period of the laws and regulations do not match the actual publication cycle, so it is difficult to include non-public major records. The paper critically examined the reality of these white papers and then explored the possibility by paying attention to the fact that social utility can be enhanced by adding a process that reinforces accountability, which is the core benefit of records management, to the white paper that lies at the border of records and promotional materials. In addition to implementing micro-responsibility for explanation through thorough recording, I have conceived a white paper called ‘the white paper of accountability’, which is itself a tool for accountability through a production process that strengthens macro-responsibility for explanation at the institutional level. In addition, I also looked at how the white paper-type recording process can be achieved by roughly integrating the records-curation approaching the key record, combination of digital technology, and the role of the archivist as a compilation service and record content expert into the actual white paper production process as a content strategy for the white paper of accountability. There are several hurdles that must be overcome until the white paper of accountability for explanation is implemented at the field, such as work overload of an on-site Archivist under the one-person recorder system, and access to private and confidential records. Nevertheless, it is time to face the task of responding to citizens' expectations for transparent and responsible administration and the voice of re-establishing the position of archivists in the digital age. The white paper of accountability is proposed as a useful tool at the present time to specifically experiment with the willingness to change and improve and seek developmental alternatives while enhancing the benefits of record management.

      • 기혼 중년여성이 경험한 행복한 삶에 관한 연구: 근거이론 중심으로

        손정미 삼육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기혼 중년여성들이 다양한 어려움 극복하고 경험한 행복한 삶의 구조와 과정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기혼 중년여성들이 경험한 행복한 삶의 내용은 무엇인지, 삶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행복한 삶을 살 수 있었던 내적·외적인 요인들과 전략은 무엇인지, 어떤 과정을 거치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17명의 기혼 중년여성들을 대상으로 2022년 9월부터 2022년 11월까지 1대 1 심층 면담과 비대면 면담을 병행하여 진행하였고, Strauss와 Corbin(1998)이 제시한 근거이론 연구의 절차와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개방코딩에서 135개의 개념(concept)과 43개의 하위범주(subcategory), 18개의 범주(category)가 도출되었다. 축코딩의 첫 번째 단계는 개방코딩의 결과로 제시된 범주들을 Strauss와 Corbin(1998)이 제시한 패러다임 모형에 따라 재배열하는 것으로 인과적 조건은 ‘가족의 무게’, ‘스며드는 중년기 혼돈’이고 중심현상은 ‘희망과 절망 속 흔들리는 삶’이었다. 맥락적 조건은 ‘재도약의 중심추’, ‘자기 초월의 신념’, ‘자기 연단의 장 만들기’이고, 중재적 조건은 ‘삶의 혁신작업’, ‘가족과 공동체의 지지’, ‘고통에서 의미 찾기’였다.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성찰적 자기갱신’, ‘체득된 감사’, ‘일상의 균형 잡기’, ‘수용과 다가감’이었다. 결과는 ‘내면의 변화 속 성숙’, ‘자기 삶의 주인공’, ‘행복의 가랑비에 젖기’, ‘공존의 관계’, ‘나누는 삶으로의 확장’이었다. 축코딩의 두 번째 단계는 과정 분석으로 1단계는 자기 삶의 반성, 2단계는 성찰적 재귀, 3단계는 삶의 방식 재구성, 4단계는 나와 세계의 통합으로 총 4단계로 구성되었다. 선택코딩에서는 이야기 윤곽을 기술하고 연구 참여자들의 모든 경험을 포함하는 핵심범주를 구성하고 유형 분석과 상황 모형을 제시했다. 핵심범주는 ‘내면의 흔들림을 통해 성숙해지는 과정에서 구성한 주체적이고 함께하는 삶’으로 나타났다. 유형 분석에서는 행복나눔형, 외연확장형, 가족연계형이라는 세 가지 유형을 도출했다. 마지막으로 상황 모형은 핵심범주를 중심으로 하여 개인 수준, 가족 수준, 사회 수준, 국가 수준으로 나누어 설명했다. 핵심범주에 영향을 준 개인 수준의 요인은 긍정성, 개방성, 자존감, 감사, 자기조절, 학구열, 자기성찰, 자기수용과 영성이었다. 가족 수준에서는 자녀와 배우자의 지지가 어려움을 극복하고 행복한 삶으로 나아가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었고, 사회 수준에서는 배움의 기회와 공동체의 지지였으며, 국가 수준에서는 과거와는 달라진 노년에 대한 인식과 정부의 다양한 지원 사업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본 연구 참여자들이 경험한 진정한 행복은 가족 갈등과 정체성 혼란 등과 같은 중년기의 어려움 속에서, 자신의 삶을 재평가하고 내면의 성찰을 통해 삶의 의미를 찾고 새로운 인생 구조를 형성하여, 자신의 행복한 삶을 창조하며 가족, 이웃과 함께 하는 성숙한 삶이었다. Erikson의 중년기 발달과제인 주변과 후대를 위해 배려하고 나누는 생성감을 연구 참여자들의 행복한 삶의 모습에서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긍정정서, 몰입, 관계, 의미, 성취로 구성되어 있는 Seligman의 웰빙이론의 5가지 요소를 본 연구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삶의 만족과 긍정적인 감정뿐만이 아니라 다양한 삶의 경험 속에서 자신만의 의미와 가치를 부여하며 다른 사람들과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고 봉사하며 성숙한 삶으로 나아가는 것으로, 다차원적인 측면에서 행복을 경험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 드러난 기혼 중년여성이 경험한 행복한 삶의 내용 및 과정 등을 바탕으로 상담학적, 사회적, 정책적 차원에서 제언했다. 자기실현의 욕구와 새로운 삶에 대한 열망을 갖고 있는 기혼 중년여성들을 이해하고 긍정적인 방향으로 삶을 변화시키는 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 유아기 늦둥이 자녀를 둔 부모의 임신, 출산 및 양육과 기대수준

        손정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늦둥이 자녀 임신, 출산 및 양육에 대한 전반적인 경향과 어머니의 유아기 늦둥이 자녀에 대한 발달 기대 및 어머니, 아버지의 늦둥이 자녀에 대한 학력과 직업 기대를 알아보았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어머니의 늦둥이 자녀 임신, 출산 및 양육은 어떠한가? 2. 어머니의 유아기 늦둥이 자녀에 대한 발달 기대는 어떠한가? 2-1. 어머니, 아버지의 늦둥이 자녀에 대한 학력과 직업 기대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한 E대공원에 주말 나들이 나온 유아기 늦둥이 자녀를 둔 부모 74쌍(아버지 74명, 어머니 74명)이다.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늦둥이 자녀 임신, 출산 및 양육에 대한 전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늦둥이 자녀를 둔 부모들의 개별 면담과 포털사이트 내 늦둥이 부모 카페 회원들의 온라인 조사 통하여 어머니의 늦둥이 자녀 임신, 출산 및 양육 질문지를 작성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어머니의 유아기 늦둥이 자녀에 대한 발달 기대를 알아보기 위하여 윤영애(1988)가 사용한 이희선(1987)이 수정, 번안한 Hess와 Azuma(1980)의 발달 기대 질문지(DEQ)를 연구목적에 맞게 형식을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어머니, 아버지의 늦둥이 자녀에 대한 학력과 직업 기대를 알아보기 위하여 오진숙(1979)의 학부모 교육의식 문항과 곽병선(1982)의 부모 진로의식 문항에서 선택, 사용한 이승미(2004)의 어머니의 자녀 성취에 대한 기대 질문지를 연구목적에 맞게 형식을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의 처리는 SPSS 12.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각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나 평균, 표준편차, Cronbach's α를 알아보고 t-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늦둥이 자녀 임신, 출산 및 양육에 대한 전반적인 경향을 살펴보면 늦둥이 자녀의 경우에는 계획된 임신이 많았으며, 계획하여 출산하게 된 동기로는 ‘결혼이 늦어져서’와 ‘아이를 갖고 싶어서’가 많았다. 계획하지는 않았으나 출산하게 된 동기로는 ‘아이가 있어야 할 것 같아서’와 ‘임신이 안 돼서 포기했다가’가 많았다. 늦둥이 자녀의 임신 기간에 좋았던 점으로는 ‘태어날 아기생각‘과 ‘엄마가 된다는 기쁨’이 많았으며, 힘들었던 점으로는 ‘건강한 아이를 낳을 수 있을지에 대한 걱정’과 ‘유산과 분만에 대한 걱정’이 많았다. 늦둥이 자녀를 키우면서 윗자녀에게 좋아진 점으로는 ‘듬직하고 어른스러워졌다’와 ‘안정감이 생겼다’가 많았고 늦둥이 자녀가 성장함에 따라 걱정되는 점으로는 ‘아이가 외롭거나 어린 나이에 혼자 남겨질 것 같아서’와 ‘끝까지 경제적 뒷받침을 할 수 없을 것 같아서’가 많았다. 둘째, 어머니의 유아기 늦둥이 자녀에 대한 발달 기대에서는 전체 평균이 중간보다 약간 높은 편이었고 발달 영역 간 큰 차이가 없었다. 어머니, 아버지의 늦둥이 자녀에 대한 학력과 직업 기대에서는 전체평균은 어머니가 아버지보다 높았으며, 기대하는 학력과 가정형편상 진학이 어려울 경우의 조치, 두 개의 하위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즉, 늦둥이 자녀에게 기대하는 학력에서는 어머니는 대학교 졸업보다 높은 학력을 기대하였고, 아버지는 대학교 졸업보다 낮은 학력을 기대하였다. 가정형편상 진학이 어려울 경우의 조치에서는 어머니는 중간입장보다 높은, 즉 무리해서라도 진학시키겠다는 쪽에 좀 더 가까웠고 아버지는 중간입장보다 낮은, 즉 가정형편에 따르겠다는 쪽에 좀 더 가까 This study intends to inspect mother's general tendency of pregnancy, childbirth & rearing of a young child born late, mother's developmental expectancy on a child born late, and mother's & father's expectation on academic background & vocation of a child born late. The concrete research topics are like followings. 1. What are mother's pregnancy, childbirth & rearing of a child born late like? 2. What is mother's developmental expectancy on a young child born late like? 2-1. What is mother's & father's expectation on academic background & vocation of a child born late like? This study was done for 74 pairs of parents(74 fathers, 74 mothers) having infants born late who went for a weekend outing to E Grand Park located in Seoul. In order to inspect mother's general tendency of pregnancy, childbirth & rearing of a child born late, questionnaires on their pregnancy, childbirth & rearing were written down and used through individual interview with parents having a young child born late & online survey on members of a cafe in Portal sites for parents having a young child born late. In addition, in order to examine mother's developmental expectancy on a young child born late, Developmental Expectancy Questionnaire(DEQ) by Hess & Azuma(1980), used by Young Ae Yun(1988), modified & changed by Hi Seon Lee, was used after modifying its form according to the research aims. In order to inspect mother's & father's expectation on academic background & vocation of a child born late, Questionnaire on mother's expectancy on the achievement of a child by Seung Mi Lee(2004), selected from questions on parents' educational consciousness by Jin Suk Oh(1979) & questions on parent's career consciousness by Byeong Seon Gwak(1982), was used after modifying its form according to the research aims. For data processing collected from this study, frequency, mean, standard deviation, Cronbach's α were examined and t-test was performed according to each research topic using SPSS 12.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like followings. First, as for mother's general tendency of pregnancy, childbirth & rearing of a child born late, there are many cases of planned pregnancy, and the motive for it was mainly ‘delayed marriage' or ‘desire for a child'. The motive for childbirth unplanned was mainly that ‘Having a child was required’ or ‘Happened to have a child after giving up pregnancy’. During a pregnancy period of a child born late, most of their pleasure was like ‘Thinking about an expected child' or ‘Delight of becoming mom', and the difficulties were concentrated on ‘concern about childbirth of a healthy baby' or ‘anxiety about miscarriage & delivery'. The advantage with siblings from a child born late was mainly that ‘They became dignified & behaved like a grown-up’ or ‘They became more stable than before’. And, as a child born late grows up, their concern was that ‘He may feel lonely or be left alone when young’ or ‘He may not get economical support to the end'. Second, as for mother's developmental expectancy on an infant born late, total mean value was a little higher than the middle, and there was no outstanding difference between the developmental zones. As for mother's & father's expectation on academic background & vocation of a child born late, total mean value was higher for mother than father. And, in expected academic background & measures for difficulty in entering school because of family reasons, in two sub-zone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other words, as for academic background they expect to the child born late, mothers expected higher one than graduating from a college, while fathers expected lower one than that. As for measures for difficulty in entering school because of family reasons, mothers were in the position to educate the child at large though it's beyond their limit, or took higher place than the middle, and fathers were in the position to consider family reasons at large, or took lower place than the middle.

      • ICT 활용교육이 학업성취도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교 1학년 사회과 수업을 중심으로

        손정미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21세기 사회는 정보화, 세계화로 특정 지워지며 이에 대비하기 위한 교육의 중점은 단순 기능인의 양성보다는 자기 주도적으로 지적 가치를 창조할 수 있는 인간의 형성에 있다. ICT는 이러한 정보화 시대 및 열린 교육 시대에 발맞추어 학생들에게 개별학습, 자기주도적 학습을 하도록 도와주는 첨단매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교육인적 자원부는 초?중등학교 ICT 교육 운영지침을 발표하고 ICT 교육의 목표가 단순한 기능 위주의 정보소양 능력 배양만이 아닌 각 교과별 교수-학습 능력을 신장하는 것임을 강조하고 있다.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국민공통기본교과수업에서 정보통신 기술의 10% 이상 활용을 목표로 정보통신 활용기술 내용을 개발하여 교과서 편찬시 반영하도록 하고, 초?중?고교 정보통신 활용 기술지도 자료를 개발, 보급하는데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ICT 활용교육의 여러 가지 교육적 효과에도 불구하고 실제 학교에서의 수업형태는 ICT 활용수업 보다 주로 전통적인 교과 중심수업 방식에 의해 수업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ICT 활용수업을 실제 교육현장에서 실천하고자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사회과 ICT 적용 학습지도안을 만들어 수업을 실시함으로써 ICT 활용교육이 학습자의 학업성취도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경기도 수원 소재의 T고등학교 1학년 4개 학급을 선정하여 5주 동안 6차시의 수업을 진행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1>. 고등학교 1학년 사회교과에서 ICT 활용 집단(실험집단)은 ICT 비활용 집단(통제집단)보다 학업성취도가 높다. <가설 2>. ICT 활용 집단(실험집단)은 ICT 비활용 집단(통제집단)보다 학습만족도가 높다. 연구의 방법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ICT 활용 교수-학습 과정안을 제작하여 수업을 실시, 학습지로 학업성취도를 평가한 다음에 설문지를 작성하여 학습만족도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설 1>은 긍정되었다. 전통적 강의식 수업 집단보다 상호작용적 ICT 활용수업을 받은 집단이 학업성취도가 다소 높게 나타났다. 통제집단의 평균은 사전 62.60 사후 64.74이며 실험집단의 평균은 사전 62.98 사후 67.62로 실험집단의 학생들이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나타냈다. 따라서 ICT 활용교육을 통해 학업성취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가설 2>도 긍정되었다. ICT 활용교육의 흥미성, 이해도, 만족도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학생들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실험집단 학생들의 학습만족도가 높았다. 그러나 ICT 활용교육의 인식, ICT 활용교육의 중요도, 집중도에서는 실험집단과 통계집단 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상호작용적 ICT 활용 교수-학습 방법을 통해 학업성취도와 학습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효과적인 ICT 활용교육을 위해서는 교사의 수업 능력을 신장시키고 아직도 ICT 활용수업이 교사의 능력 여하에 따라 성패를 판가름 한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되며, 학습자의 수준별, 능력별 차이를 고려하여 학습자의 흥미와 동기를 유발시켜야 하며, 실생활과 관련된 다양한 매체를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