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영화 ‘주토피아’를 활용한 영어 지도가 초등학생의 어휘력과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노유진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초등영어 교육에서 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과 어휘 능력, 학습에 대한 흥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애니메이션 영화를 활용한 영어지도가 초등학생들의 어휘 능력 향상과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위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이 실행 연구를 하였다. 연구대상은 대구시 소재 P 공립 초등학교 5학년 25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는데, 연구대상자 기초 조사 결과 영어에 대한 흥미, 영어 학습량의 정도에 차이가 있는 학생들이 존재하며, 이로 인해 진단평가 결과의 수준도 다양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연구 과정에서 연구대상자들과의 면담과 관찰을 통해 문제점을 수정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테마 중심 교수법(Thematic Unit)을 활용하여 애니메이션 영화 ‘주토피아’와 초등학교 5학년 교육과정의 내용을 비교하여, 학년 수준과 중심 주제에 적합한 장면과 과목을 선정하고 분석한 후 수업을 계획, 진행하였다. 연구를 진행하며 학생들의 어휘 능력과 정의적 영역(흥미도, 불안감, 자신감, 참여도)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사전·사후 어휘 능력 검사, 사전·사후 정의적 영역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후 다각도로 연구대상자들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면담 및 소감문을 수집 후 분석하였다. 총 20주간 연구를 진행하며 학습자들의 어휘 능력과 정의적 영역에 주는 영향을 관찰 및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애니메이션 영화를 활용한 영어 수업이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어휘력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실험 수업이 진행된 20주의 시간동안 다양한 과목에서 영화 장면의 복습이 이루어진 것과 어휘 및 핵심 표현의 반복적 학습이 효과적으로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둘째, 애니메이션 영화를 활용한 영어 수업이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흥미도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이것은 애니메이션 영화라는 자료 자체가 학생들에게 흥미를 불러일으킬 수 있으며 영어에 대한 동기를 주는 데 적합한 소재가 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셋째, 애니메이션 영화를 활용한 영어 수업이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불안감 해소에 부분적으로 효과가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사전·사후 정의적 영역 검사지 결과 불안감 영역 평균 점수는 감소하였으나, 유의미한 것은 아니었음을 알 수 있었는데, 이는 하 수준의 학생들에게 애니메이션 영화를 활용한 수업이 단순한 주목의 효과는 있었으나 내용을 확인하고 이해하는 것에는 여전히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소극적 성향을 지닌 연구 대상자들이 수업 중 이루어지는 다양한 활동에 불안감을 느꼈을 가능성으로 보인다. 넷째, 애니메이션 영화를 활용한 영어 수업이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참여도 향상에는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연구자는 애니메이션 영화의 장면을 시간 순서대로 수업에 활용하였는데, 이를 통해 연구 대상자들이 ‘테마 중심 교수법(Thematic Unit)’의 테마(주제)에 자연스럽게 몰입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단위 수업에서 사용되는 애니메이션 영화 장면에 집중해 수업 참여도가 올라간 것이라 볼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애니메이션 영화를 활용한 영어 수업이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자신감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이것은 소감문 및 면담 분석의 내용에서도 드러나는데, 활동을 성취한 것에 만족하는 태도가 자신감으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위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영화 자료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학년별, 성별, 장르별로 선호하는 영화를 골라 수업을 구안한다면 영화를 활용한 수업의 효과성을 연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를 통해 초등 영어 수업에 활용 가능한 다양한 영화 선정 및 내용 분석도 연구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장기적인 관점에서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20주 가량의 짧은 시간동안 이루어진 연구이므로,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므로, 애니메이션 영화를 활용한 영어 지도를 장기적으로 연구하여 그 결과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셋째, 영어 과목과 다른 과목과의 연계를 심도 있게 연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테마 중심 교수법(Thematic Unit)뿐 아니라 프로젝트 학습, 더 나아가 내용 중심 교수법(Content Based Learning)을 활용하는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영어 입력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영어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심도 있게 연구할 필요성을 제언하고자 한다. 넷째, 본 연구가 한 개의 학급만을 대상으로 실시된 만큼, 이를 보완하기 위해 여러 집단으로 대상을 확장할 필요가 있다. 즉, 여러 집단으로 연구 대상을 확장하여 어휘력 및 정의적 영역의 결과를 확인하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 모바일 앱 기반 유아 사회인지 평가도구 개발 예비연구

        노유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is a preliminary research to develop a mobile application-based social cognitive on evaluation tool to measure the level of a child social cognitive development. Through literature analysis, seven concepts were confirmed as sub-factors consisting social cognition : joint attention, pretend, desire, belief, perception, emotion, intention. In order to measure each concept, preliminary items were developed by referring to previous studies. The contents validity test was conducted by experts and the pilot research was conducted on 6 children.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tool and to identify the development of a child’s social cognition, the tool was conducted on 177 children, aged 3~6, attending to 6 day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in Incheon, Gyeonggi and Seoul. The results of the study on mobile application-based social cognition evaluation tool, consisted with 7 sub-factors 57 items were as follow: First, evaluating the suitability of the subjects’ responses through Rasch analysis, 96.6% of the subjects showed consistent responses, and distritutions of levels of the subjects and the items were relatively even in the person-item map. Second, analyzing the fitness of the tool through Rasch, one overfit item and four misfit items were identifi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oint-measure correlation, 7 items were found unsuitable to measure the construct that the tool intened to measure. Third, examining reliability, both the separation reliability and the separation index of the tool were suitable, and the responses of the subjects were stable and consistent. Fourth,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final 6 factors 50 items were confirmed. As a result, the final draft of the mobile app-based social cognitive assessment tool is a valid and reliable tool to evaluate the level of children's social cognitive development. 본 연구는 유아의 사회인지 발달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모바일 앱 기반 사회인지 평가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예비연구이다. 사회인지의 하위요인을 선정하기 위해 문헌분석을 통해 사회인지의 개념적 정의를 명확하게 하고, 공동주의, 가장, 바람, 믿음, 지각, 정서, 의도의 7개 하위요인을 확정하였다. 각 개념을 측정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예비문항에 대하여 전문가를 대상으로 내용타당도 검증을 실시하고 유아 6명을 대상으로 파일럿 연구를 실시하여 모바일 앱 기반 사회인지 평가도구를 구성하였다. 개발된 평가도구의 타당도를 검증하고 유아의 사회인지 발달 양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인천광역시와 경기도, 서울특별시에 소재하는 6개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3∼6세 유아 177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였다. 정서, 공동주의, 가장, 지각, 바람, 믿음, 의도 등 총 7개 하위요인 57문항으로 구성된 모바일 앱 기반 사회인지 평가도구로 실시한 예비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Rasch 분석을 통한 피험자 반응의 적합도 분석 결과, 전체 피험자의 96.6%는 일관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피험자×문항 분포에서 피험자의 수준과 문항의 수준이 비교적 고르게 분포되어 있었다. 둘째, Rasch 분석을 통한 평가도구의 적합도 분석 결과, 1개의 과적합 문항과 4개의 부적합 문항이 확인되었다. 점이연 측정상관계수 분석 결과 7개 문항이 도구가 반영하고자 하는 구인을 적절하게 측정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뢰도를 살펴본 결과, 사회인지 평가도구의 분리신뢰도와 분리지수 모두 양호한 값을 보여, 피험자들의 응답은 안정적이고 일관되었으며, 사회인지 평가도구의 문항은 피험자에게 동일한 문항 난이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난다. 넷째,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최종 6 요인 50문항을 확정하였다. 결과적으로, 모바일 앱 기반 사회인지 평가도구 최종안은 유아의 사회인지 발달 수준을 평가하기에 타당하고 신뢰로운 도구라고 볼 수 있다.

      • 정책평가결과 활용의 영향요인과 활용유형의 특성에 관한 연구

        노유진 고려대학교 2005 국내박사

        RANK : 248639

        " 정책평가결과의 활용은 정책평가 커뮤니티에서 가장 중요한 이슈의 하나이다. 정책평가결과 활용의 이슈는 과학과 실천간의 접촉면에서 일어나고, 아는 것과 실행하는 것의 접촉면에서 일어난다. 이는 인간의 합리성과 정책결정, 좀 더 나은 세상을 만들고자 지식을 적용하는 것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에서 제기된다. 바꾸어 말하자면, 정책평가결과의 활용은 효과적인 정책결정과 정책집행을 통하여 좀 더 나은 세상을 만들고자 하는 것과 관련된 중요한 이슈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는 정책평가결과의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 활용유형에 관해 체계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매우 드문 실정이다. 본 연구는 정책평가결과의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 활용유형에 관한 선행연구들의 검토를 통하여 중요한 영향요인들과 활용유형들을 식별해 내고, 국무조정실과 정책평가위원회에 의해서 수행되어온 주요정책과제평가를 토대로 정책평가결과의 활용요인과 활용유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정책평가결과의 활용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검토한 다음, 정부의 주요정책과제평가를 하나의 정책평가프로그램으로 보고, 프로그램 논리모형의 틀 속에 선행연구들의 검토를 통해서 식별된 중요한 영향요인들을 배열하였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작성된 평가프로그램의 논리모형에 따라 각 영향요인들의 실태, 영향의 정도 및 성격을 분석하고, 이들 간의 상호작용을 분석하였다. 본 사례연구 분석을 위한 자료는 주로 문헌과 면접을 통하여 수집하였다. 면접대상은 연구사례로 선정된 주요정책과제들을 평가한 정책평가위원과 전문위원, 국무조정실의 관련정책평가담당 고위공무원들과 중견공무원들, 그리고 정책담당기관의 정책과제관련 고위공무원들과 중견공무원들이었다. 본 연구는 프로그램 논리모형에 따라 평가결과의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i) 평가수행이전에 존재하는 제약요인, ii) 투입자원요인, iii) 평가활동요인, iv) 평가의 산출요인, v) 활용자요인 등으로 크게 5가지 카테고리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평가수행이전에 존재하는 제약요인은 정책평가프로그램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의미한다. 평가단 전체의 평가방침, 평가대상 및 과제선정기준, 평가의 시기와 기간, 평가기준 등 주로 제도적 요인들이 이에 해당된다. 둘째 투입자원요인은 평가활동과 평가정보의 산출에 영향을 미쳐 평가결과의 활용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요인을 의미한다. 평가예산과 평가인력, 즉 평가예산의 규모와 편성방법, 평가자의 정책전문성, 평가자의 평가철학, 평가자의 권한 등이 이에 해당된다. 셋째, 평가활동요인은 평가정보의 산출에 영향을 미쳐 평가결과의 활용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요인으로서 정책평가의 절차, 평가자들의 평가접근방법, 성과지표, 평가자와 활용자간의 의사소통 등이 이에 해당된다. 넷째, 평가의 산출요인은 평가결과의 활용도와 활용유형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요인으로서 산출된 평가의 내용과 질, 보고서의 양식 등이 이에 해당된다. 다섯째, 평가결과의 활용자 요인은 평가결과의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피평가자의 개인적 특성을 의미한다. 피평가자가 평가에 대하여 갖는 관심과 평가과정에의 관여 등이 이에 해당된다. 본 연구는 평가결과의 활용유형을 두 단계에 나누어 분석하였다. 첫 번째 분석은 우리나라 정부의 정책평가결과의 활용유형이 선행연구의 검토를 토대로 식별해 낸 수단적 활용, 개념적 활용 가운데 어떠한 형태로 이루어져 왔는가 하는 것이다. 두 번째 분석은 각 유형의 활용이 정책목적과 우선순위의 재조정, 정책목표의 재설정, 집행활동과 정책수단들의 재설계 가운데 어디에 활용되고 있는가 하는 것이다. 우리나라 정부의 정책평가결과 활용유형과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조사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정책평가결과의 활용에 있어서 우리나라 정부의 정책관리자들은 평가결과를 개념적으로 활용하는 경우는 거의 없었으며, 주로 수단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책평가결과의 세부적인 활용유형에 있어서는 주로 수단적 활용 가운데 집행활동과 정책수단의 개선 Policy evaluation utilization is one of critical social issues. This issue of evaluation utilization has emerged at the interface between science and action, and between knowing and doing. It raises fundamental questions about human rationality, decision-making and knowledge applied to the creation of a better world. In other words, policy evaluation utilization is a critical issue related with creation of a better world through the effective policy making and implementation. As mentioned above, there has been no attempt to systematically explore the factors influencing policy evaluation utilization and the types of evaluation utilization in the Korean government. This study explores the factors influencing policy evaluation utilization and the types of evaluation utilization of policy evaluation information resulted from the policy evaluations composing a part of the institutional evaluation carried out by the policy evaluation committee of Korean government. This study assumed government policy evaluation as a program and developed program logic model as an analyzing framework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fluencing processes among the important factors identified as the critical factors of policy utilization founded through the surveys of the evaluation utilization literatures. This study is a case study. In order to collect research data, this study interviewed professionals and high ranking government officials who participated in government policy evaluations and high ranking government officials who are supposed to use policy evaluation results. According to the program logic model, this study divided factors influencing policy evaluation utilization into five categories - 1) preexisting evaluation bounds, 2) resources, 3) activities, 4) outputs, 5) clients, and analyzed their actual conditions and activities. First, preexisting evaluation bounds mean factors influencing the whole policy evaluation program. These factors

      • 교통사고 비정형 데이터 분석과 LSTM을 이용한 예측 모델 개발

        노유진 부경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39

        Abstract There are many lives lost due traffic accidents, and which have not decreased despite advances in technology. In order to prevent traffic accidents,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forecast how they will change in the future. Recently, the era of big data has arrived with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raffic accident data is also big data, playing a big role in establishing policy tasks for traffic safety, and it is expected that more big data will be generated and processed and analyzed to contribute to traffic accident prevention in the future. In this paper, the process of generating big data from the occurrence of traffic accidents and the traffic accident data as big data currently being analyzed are divided into unstructured data and structured data to devise information utilization plans. First, as unstructured data, 199,996 traffic accident-related reports collected from 2007 to 2012 by Busan Traffic Broadcasting Station were obtained, and the main key-words related to traffic accidents were derived and analyzed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Second, as a structured data, the NPA conducted a total survey of 1,549,151 traffic accidents that received and processed nationwide for 6 years from 2014 to 2020. In addition, a model that forecast the frequency of traffic accidents by age and time, which is time-series data, was developed using LSTM among deep-learning algorithms. By converting traffic accident structured data into time series data, we predicted how traffic accidents will change in the future using the AI ​​algorithm LSTM. As a result of the prediction, the age group increases by one year each year, and the frequency of traffic accidents among drivers born between 1960 and 1963 is the highest, and a similar trend is shown for all age groups. However, it was predicted that the 19-year-old who is driving for the first time has a high frequency of traffic accidents. In the analysis by time period, it was predicted that it appeared higher in the time of work than in the time of work, and gradually decreased after 19:00. However, in the course of research, even in situations where movement and economic activity ceases due to the COVID-19 outbreak worldwide,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dicted value of LSTM in 2020 and the actual value is 6.0%, similar to the decrease in road traffic, but by age group and time period. As a prediction, it was proved that traffic accidents occurred with a certain pattern.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t is expected that more research resulSecond, as a structured data, the NPA conducted a total survey of 1,549,151 traffic accidents that received and processed nationwide for 6 years from 2014 to 2020. In addition, a model that forecast the frequency of traffic accidents by age and time, which is time-series data, was developed using LSTM among deep-learning algorithms. By converting traffic accident structured data into time series data, we predicted how traffic accidents will change in the future using the AI ​​algorithm LSTM. As a result of the prediction, the age group increases by one year each year, and the frequency of traffic accidents among drivers born between 1960 and 1963 is the highest, and a similar trend is shown for all age groups. However, it was predicted that the 19-year-old who is driving for the first time has a high frequency of traffic accidents. In the analysis by time period, it was predicted that it appeared higher in the time of work than in the time of work, and gradually decreased after 19:00. However, in the course of research, even in situations where movement and economic activity ceases due to the COVID-19 outbreak worldwide,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dicted value of LSTM in 2020 and the actual value is 6.0%, similar to the decrease in road traffic, but by age group and time period. As a prediction, it was proved that traffic accidents occurred with a certain pattern.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t is expected that more research results will be derived if the traffic accident big data of structured data and unstructured data are combined. 요 약 교통사고로 인한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하고 있으나, 첨단 기술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교통사고 발생은 줄어들지 않고 있다. 교통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서는 향후 사고가 어떻게 변화하여 갈 것인지를 정확하게 예측할 필요가 있다. 최근에는 4차 산업혁명으로 빅데이터의 시대가 도래되었다. 교통사고 자료도 빅데이터로서 교통안전을 위한 정책과제 수립에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더 많은 빅데이터가 생성되고 가공 분석되어 교통사고 예방에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논문에서는 교통사고 발생부터 빅데이터의 생성과정과 현재 분석되는 빅데이터로서의 교통사고 자료를 비정형데이터와 정형데이터로 구분하여 정보 활용방안을 강구하였다. 먼저 비정형데이터로서 교통사고 자료은 TBN 부산교통방송국에서 2007년부터 2012년까지 6년간 수집된 199,996건의 교통사고 관련 제보를 확보하여,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 기법으로 분석하고 교통사고와 연관된 단어들을 추출하고 사용 빈도가 높은 단어들을 이용하여 각각의 제보단어들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정형데이터로서 경찰청에서 2014년부터 2020년까지 7년간 전국에서 접수, 처리되어 수집되는 교통사고 자료 1,549,151건을 도로교통공단 TAAS시스템을 통해 필요한 자료를 추출하고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기법으로 분석하고 전통적 회귀모형에서 다루지 못했던 교통사고와 연령대별, 시간대별 분포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딥러닝 알고리즘 중 시계열 자료를 분석하는데 최적의 모형인 LSTM 교통사고 예측모델을 구축하였다. 교통사고 관련 제보는 비정형데이터로서 교통사고를 유발한 가해자나 피해자의 관점이 아닌, 교통사고 발생 지점과 구간, 시간대에 있었던 타 운전자의 관점에서 생성된 교통정보를 시각화하고 해석하여, 기존의 정형 데이터에서 분석하지 못한 정보를 도출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으로 교통제보의 트랜드를 파악하고, 운전자가 제보하는“도로명”,“지점명”,“시간대”를 추출하였으며, 교통사고 발생으로 다른 운전자에게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지점과 구간의 파악이 가능하였다. 향후 실제 교통사고 데이터와 결합하여 교통제보와의 상관성 분석 등을 통해 비정형 데이터의 활용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다. 교통사고 정형데이터를 시계열 데이터로 변환하여 AI 알고리즘 LSTM을 이용하여 향후 교통사고가 어떻게 변화하여 갈 것인지를 예측하였다. 예측결과 연령대는 매년 1년씩 증가하며 1960~1963년에 태어난 운전자의 교통사고 발생 빈도수가 가장 높게 나타나며, 모든 연령대에서 비슷한 추세를 나타나고 있다. 다만, 운전을 처음 하는 19세는 고정적으로 교통사고 발생 빈도수가 높은 것으로 예측되었다. 시간대별 분석에서도 출근시간대보다는 퇴근시간대에 높게 나타나고 19시 이후에는 점차 줄어드는 것으로 예측하였다. 하지만, 연구과정에서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사태로 사람의 이동과 경제활동이 멈추는 상황에서도 2020년 LSTM 예측값과 실제값과의 차이는 6.0%로 도로교통량 감소와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으나, 연령대별, 시간대별 예측으로 일정한 패턴을 가지고 교통사고가 발생하고 있음을 증명하였다. 향후 이러한 교통사고 발생 추세를 감안하여 특정 연령대의 교통안전예방 활동, 초보운전자의 사고 예방을 위하여 학교 교육에서 교통안전교육 의무화 등 교통안전정책에 변화가 있어야 될 것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정형데이터와 비정형데이터의 교통사고 빅데이터를 결합한다면 더 많은 연구 성과가 도출될 것으로 기대한다.

      • 스마트농업 재배버섯의 경쟁 곰팡이 균에 대한 친환경적 방제기술 개발

        노유진 순천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genus Trichoderma is one of the competing fungi in oyster mushroom (Lentinula edodes) cultivation cases significant yield losses. Although a number of Trichoderma spp. including T. pleuroticola. nov., named smoky mold, little is known about the fungal species in Korea.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strains isolated from putatively Trichoderma infected mushroom cultivation media in Jangheung-gun and Sunchon city, Korea, and show that these outbreaks were caused by Trichoderma spp. We collected 45 isolates from the infected media and examined the identification using sequences of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egion, -tubulin (BenA), Calmodulin (CaM), and RNA polymerase II second largest subunit (RPB2) genes as molecular markers with morphological identification. Among 45 isolates, the dominant isolates were Trichoderma spp. (92%) and Penicillium spp. (6%). To develop appropriate eco-friendly control strategies, we applied Streptomyces sp. with commercially available chemicals as a control.

      • 외식산업의 창업가정신 및 지원서비스가 창업역량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창업역량의 매개효과)

        노유진 대구가톨릭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8639

        As global economic conditions are getting uneasy and polarization of our economy is intensified, the economic sentiment of small businesses is still low and unstable. The collapse of worldwide banking systems due to sub prime crisis in 2008 became the catalyst that shakes financial industries in each country in the world; the most sentiment people, small business persons, also have hard time facing survival way out, facing a great crisis. All organizing powers including manufactures, wholesales and retails are being gradually greater in mutual relations and dependence, and unstable factors about risks are also increasing. For exterior environmental and physical risk factors which cannot make small businesses survive themselves by developing ways out are eventually increasing, those who cannot cope with these factors face a great crisis. Although the government tries hard to overcome this situation conducting many ways, the effect does not continu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and support service of foodservice industry on entrepreneurial capability and management performanc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entrepreneurial capability.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among entrepreneurship, governmental supporting service, entrepreneurial capability, management performance. In total, 37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308 valid and complete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or empirical data analysi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governmental supporting service and entrepreneurship have a great effect on entrepreneurial capability and management performance. And it has been found that the entrepreneurial capability is a mediating effect between entrepreneurship, governmental supporting service and management performance. Thus the support institution for start up business need to try to improve overall service quality. Specially, the system consumer can use easily and conveniently must be built through interest and concern on consumer using the service. And opportunity supporting start up business whose ability dealing with information is relatively weak should be promoted through advertisement and public relations about the support institution and service. Through this study, we need entrepreneurship education for young CEOs and effort to develop entrepreneur's competence to improve achievement and we concluded that approaching systematically in entrepreneurial preparation and using various entrepreneurship infra aggressively are important factors to improve achievement. By doing these things, if the start up business can be induced to improve self-survival ability itself, a ripple effect on national and regional economy is likely to be promoted more. This study suggests the future direction for the government’s entrepreneurial supporting policy and aims to contribute to enhance the entrepreneurship and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 Robert M. Gagné의 수업이론을 적용한 국악 기악감상 지도방안 연구

        노유진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Korean traditional music intrinsically contains the distinctive spirit of the Korean people. As such, learning Korean traditional music means participating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Korean identity. Further, a proper education in Korean traditional music would provide ̶̶ ̶not only for the youth, but for Koreans at large ̶ ̶an opportunity to become aware of the significance of the national spirit that is unique to Koreans. Among activities related to Korean traditional music in the seventh revised music curriculum, music appreciation seems to be difficult to pursue efficiently due to a lack of general and systematic teaching-learning methods, despite the fact that music appreciation is commonly practiced in the classroom. Therefore, in this study, I suggest practical lesson plans for music appreciation, using a Nine Events of Instruction model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which I base on Gagné’s theory, so that instructors can effectively assist students in Korean traditional music appreciation activities using a systematic teaching method. To establish a theoretical foundation, I first examine the learned capabilities, the process of learning, and the conditions of learning—the principal concepts in Gagné’s instructional theory—and then derive practical lesson plans applying Gagné’s Nine Events of Instruction to Korean traditional music appreciation. The instructional events follow Gagné’s Instructional Design Model, and I designed them with nine steps in total: gaining the learner’s attention; informing them of objectives; stimulating recall of prior learning; presenting stimulus material; providing learner guidance; eliciting performance; providing feedback; assessing performance; and enhancing retention and transfer. This study is organized as follows. In chapter one, I delineate the goals, methodology, and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Chapter two examines Gagné’s Instructional Theory and the Nine Events of Instruction in detail, and explains the importance of music appreciation to Korean traditional music as well as the current state of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n chapter three, I present a practical instructional example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following Gagné’s Instructional Design Model, and suggest teaching plans based on the music pieces “Gayageumsanjo” (virtuoso solo music for the 12-string zither), “Cheonnyeonmanse” (a chamber suite), and “Sujecheon” (wind ensemble music) from the music textbook. These pieces were selected because all are included in four different music textbooks in the seventh revised curriculum for ninth grade students, and are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al music pieces that students rarely encounter except in school music classes. Today, instructional hours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run short compared to other primary subjects, due to the entrance exam-centered educational system. In addition, although music teachers whose major was not Korean traditional music admit the effects and necessity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n their instruction they struggle from a lack of technical expertise and training in the music. To overcome these hardships and arrive at an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this study suggests systematic lesson plans, based on Gagné,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appreciation. I hope it can be a guide toward direct and effective instructional methods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appreciation; my ultimate goal is to promote the understanding and valuing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hrough effective education. 국악은 본질상 우리민족의 고유 정신이 깃들어져 있는 음악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국악을 배운다는 것은 한국인으로써 정체성을 확립하는 과정을 거치는 것이며, 올바른 국악 교육은 자라나는 청소년들은 물론 우리 모두에게 있어 민족 고유정신의 소중함을 일깨울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준다. 제7차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나타나는 국악 활동영역 중 특히 감상활동은 실제 교육현장에서 많이 다루어지고는 있으나 개괄적이면서도 체계적인 교수-학습 방안이 부족하여 실제 음악 수업에 효과적으로 적용되기에는 다소 어려워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들이 국악 수업의 기악곡 감상 활동에서도 체계적인 지도 방법을 통해 학생들의 효과적인 감상학습을 도울 수 있도록 가네의 학습이론을 적용, 국악 수업의 9가지 수업사태를 설계하고 수업사태에 의해 설계된 실제 감상활동 지도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가네의 학습이론을 구성하는 핵심 개념인 학습된 능력, 학습의 과정, 학습의 조건에 대해 살펴본 다음, 가네의 9가지 수업사태를 국악 수업의 감상 영역에 적용해 설계한 모형으로 실제 수업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국악 감상활동의 수업 사태는 가네의 학습 이론에 모두 따랐으며 주의를 획득하는 1단계를 거쳐 학습목표 제시, 선수학습 회상, 자극제시, 학습안내 제공, 수행유도, 피드백 제공, 수행평가, 마지막으로 파지와 전이의 향상까지 총 9단계에 거쳐 설계되었다.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방법 및 제한점을 설정한다. 2장에서는 가네의 수업이론의 개념과 함께 9가지 수업사태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을 제시하고, 국악 교육의 현황 및 국악 기악곡 감상활동의 중요성을 담았다. 3장에서는 가네의 교수설계 이론에 따른 국악 지도의 실제적인 예를 보여준 뒤, 음악 교과서의 수록곡 중 ‘가야금 산조’, ‘천년만세’, ‘수제천’ 세 곡을 제재곡으로 삼아 수업 모형에 따른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재곡 선정 기준은 학생들이 평소 학교 수업 이외에 다른 경로로는 쉽게 접하기 힘든 국악 기악곡들 중 제7차 개정 중학교 3학년 음악 교과서 4종에 공통적으로 포함된 작품으로 선택하였다. 오늘날의 국악 교육은 입시위주의 현장에서 다른 주요 교과에 비해 수업시수가 턱없이 부족하다. 또한 국악 이외의 전공을 가진 음악 교사들은 국악 교육의 효과와 그 필요성을 인정하면서도 자신의 전공과 다른 국악 지도를 위한 교수법의 전문성 부재로 현실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고 짧은 시간 내에 효과적인 지도와 학습이 가능하도록 가네의 9가지 수업사태 이론을 통한 국악 감상 영역의 체계적인 지도안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국악 감상활동 교수 방법의 효과적 지도방향 및 방법적 모색을 기대하며 궁극적으로는 효과적인 국악 교육으로 올바른 전통음악의 이해와 가치를 끌어 올리는데 주안을 둔다.

      • 목교정운동으로인한머리척추각의변화가 골반정렬및목기능장애에미치는영향

        노유진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39

        목 교정 운동으로 인한 머리척추각의 변화가 골반 정렬 및 목 기능장애에 미치는 영향 노 유 진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운동건강관리전공 이 연구는 중등도 목 기능장애를 가진 20세 이상 성인 앞쪽머리자세(Forward Head Posture, FHP)를 대상으로 8주간의 목 교정 운동이 머리척추각 (Craniovertebral angle, CVA)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CVA의 변화가 골반경 사각(Pelvic tilt angle, PTA)과 목기능장애지수(Neck Disability Index, NDI)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의 선정 기준은 어깨뼈봉우리에 서 귀구슬이 앞쪽으로 벗어난 FHP 대상자 중 CVA가 48도 미만인 자, 그리고 NDI가 15-24점인 자이며, 제외 기준은 과거 정형외과적, 신경외과적 목 수술 병 력이 있는자, 현재 정형외과적, 신경외과적 목 치료를 받고 있는 자, 다리 길이의 차이가 있는자, 특발성척추측만증 그리고 임신부이다. 이 기준에 적합한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하는 성인 남녀 34명을 대상으로 목교정운동집단(NCEG, 17명)과 통제집단(CG, 17명)으로 무선 배정하였으며, 8주간 실험에 참여하기 전 CVA, PTA, NDI의 사전 측정을 진행한 후 목교정운동집단은 주 3회, 1회당 50분의 운 동을 시행하였고, 통제집단은 평소와 같은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통제하였다. 8주 간의 실험이 끝난 후 사전 측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사후 측정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CVA는 그룹 간, 시기별 그리고 그룹과 시기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에 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따라서 구체적인 효 과 검정을 실시한 결과 CVA는 목 교정 운동을 시행한 NCEG에서 유의하 게 개선되었으며(P<.001), 두 그룹 간의 사후 측정 결과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PTA는 그룹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P <.01), 시기별, 그룹과 시기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따라서 구체적인 효과 검정을 실시한 결과 PTA는 목 교정 운동을 시행한 NCEG에서 유의하게 개선되었으며(P <.001), 두 그룹 간 사후 측정 결과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NDI는 그룹 간, 시기별 그리고 그룹과 시기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에서 모 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따라서 구체적인 효과 검 정을 실시한 결과 NDI는 목 교정 운동을 시행한 NCEG에서 유의하게 개 선되었으며(P<.001), 두 그룹 간 사후 측정 결과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 다(P<.001). 그리고 상관관계 분석 결과 CVA와 PTA는 통계적으로 유의 한 상관관계를 보였고(P<.001), CVA와 NDI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였다(P<.001). 따라서 현대사회에 흔한 FHP 대상자는 이 논문에 서 제시한 목 교정 운동을 통해 CVA의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CVA 의 개선은 머리와 목 주위 근육뼈대계통의 불균형을 해소하여 목의 기능장 애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더 나아가 골반 정렬 개선에 긍정적 영 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주요어: 앞쪽머리자세, 머리척추각, 골반정렬, 목기능장애, 목기능장 애지수, 목교정운동, 목통증, 깊은목굽힘근 Abstract The effects of changes in craniovertebral angle due to corrective neck exercises on pelvic alignment and neck dysfunction Yu Jin Noh Graduate School of Sports and Leisure Studies, 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 Department of Health and Exercise Science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impact of an 8-week neck correction exercise on the Craniovertebral angle (CVA) in adults aged 20 with forward head posture (FHP), and assesses the subsequent effects on Pelvic tilt angle (PTA) and Neck Disability Index (NDI). The selection criteria for the study included individuals with forward head posture (FHP) where the tragus protruded forward from the acromion process, with a Craniovertebral angle (CVA) of less than 48 degrees and a Neck Disability Index (NDI) score ranging from 15 to 24. Exclusion criteria comprised individuals with a history of orthopedic or neurological neck surgery, currently undergoing orthopedic or neurological neck treatment, leg length discrepancy, idiopathic scoliosis, and pregnant women. A total of 34 adult participants resid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ho met these criteria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Neck - 57 - Correction Exercise Group (NCEG, 17 participants) and the Control Group (CG, 17 participants). Before participating in the 8-week experiment, baseline measurements of CVA, Pelvic Tilt Angle (PTA), and NDI were assessed. The Neck Correction Exercise Group engaged in exercises three times a week, with each session lasting 50 minutes, while the Control Group maintained their usual lifestyle. After the 8-week experiment concluded, post-measurements were conducted using the same methods as the pre-measurem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VA between two groups, by periods and in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groups and periods(P<.001). Consequently, upon conducting specific effect tests, it was found that CVA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Neck Correction Exercise Group where neck correction exercises were implemented(P<.001). Moreover,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ost-measurements was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P<.001). Secondl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TA between the two groups(P<.01), by periods and in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groups and periods(P<.001). Consequently, upon conducting specific effect tests, it was found that PTA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Neck Correction Exercise Group where neck correction exercises were implemented(P<.001). Moreover,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ost-measurements was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P<.001). Thirdl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NDI between the two groups, by periods and in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groups and periods(P<.001). Consequently, upon conducting specific effect tests, it - 58 - was found that PTA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Neck Correction Exercise Group where neck correction exercises were implemented(P <.001). Additionally,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ost-measurements was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P<.001). Fourthly, the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reveal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VA and PTA(P<.001). Fifthly,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CVA and NDI(P<.001). The research reveals that individuals with common FHP in contemporary society can experience the beneficial effects of improving CVA through the neck correction exercises proposed in this study. The enhancement of CVA has a positive impact on alleviating imbalances in the musculoskeletal system around the head and neck, leading to improvements in neck functionality. Furthermore, the study confirms that the improvement in CVA positively influences pelvic alig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