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김혜영

        김혜영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63

        본 연구는 동화구연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으며, 유치원 교육현장에서의 동화구연활동의 바람직한 교수학습 방안을 모색하고 그 효과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동화구연활동은 유아의 정서지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1-1. 동화구연활동은 유아의 정서지능 중 자기인식 및 표현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1-2. 동화구연활동은 유아의 정서지능 중 자기조절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1-3. 동화구연활동은 유아의 정서지능 중 타인인식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1-4. 동화구연활동은 유아의 정서지능 중 타인조절 및 대인관계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의정부시에 소재하고 있는 K초등학교 병설유치원 2개 학급에 재원중인 만 5세 유아 40명으로 실험집단 20명(남:10, 여:10)과 통제집단 2명(남:10, 여:10)이었다. 실험집단은 교사가 구연으로 들려주는 동화를 16편의 동화를 감상하고 다시 유아가 구연으로 하는 동화구연활동을 하였고, 통제집단은 일반적인 유치원 교육과정을 수행하였다. 실험처치 기간은 2005년 5월 30일(월)부터 7월 20일(수)까지 주 2회씩(월․수요일)총 8주 동안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Mayer와 Salovey(1997)의 정서지능 모형을 근거로 이병래(1997)가 제작한 만 5세용 정서지능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였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사전 사후 검사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두 집단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한 공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화구연활동은 유아의 자기인식 및 표현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 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동화구연활동은 유아의 자기조절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동화구연활동은 유아의 타인인식 능력에 긍적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다. 넷째, 동화구연활동은 유아의 타인조절 및 대인관계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어머니 교육을 통한 발달장애 아동 건강지원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김혜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박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발달장애 아동의 어머니에게 체계적인 건강지원을 제공함으로써, 발달장애 아동의 건강관리에 대한 어머니의 효과적인 대처에 기여하고자 시도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발달장애 아동의 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해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는 건강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정하고자 하였다. 본 프로그램 개발의 이론적 틀은 Wallander, Verni, Baban, Banis, & Wilcox(1989)의 장애-스트레스-대처 적응 모델을 기초로 하였으며, 전문가 집단의 토론 과정을 거쳐 도출된 내용과 선행 연구결과 내용(김혜영, 이자형, 2004)을 토대로 하여 본 연구의 건강지원 프로그램 내용을 구성하였다. 최종 결정된 프로그램의 내용은 신체적 건강 영역에 영양과 수면, 예방접종, 약물요법, 전염성 및 감염성 질환, 응급처치와 대체요법 이었으며, 사회심리적 건강 영역에는 모아애착, 놀이와 의사소통, 공격성과 분노발작, 유치원(학교)부적응, 문제행동 관리 등이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진행은 주 3회씩 4주간에 걸쳐 총 12회 실시되었으며, 강의를 통한 교육적 활동과 토론과 경험나누기를 통한 지지적 활동으로 진행되었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경북 A시 장애인 복지관에 내원하는 발달장애 아동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실험군과 참여하지 않는 대조군으로 나누어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 실험 설계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도구 중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검정을 위해 사용된 것으로는 Buss and Plomin(1984)이 개발한 아동 기질 도구를 김지연(2003)이 우리나라 아동에 맞게 수정한 아동 기질 도구와 Caldwell and Bradley(1984)가 개발한 HOME(Home Observation for Measurement of the Environment)를 장영애(1986)가 우리나라 문화에 맞게 번안하고 수정한 학령전기 아동용 측정 도구가 있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는 조원정(1983)의 건강행위 도구와 주혜진(1996)의 가족 건강관리 행위 도구를 본 연구의 발달장애 아동에 맞게 수정한 자녀 건강관리 행위 도구, Abidin(1983)의 양육스트레스 측정도구를 박해미(1994)가 번안하고 수정한 도구, Robinson, Eyberg and Ross(1980)의 문제행동 척도를 송주미(1992)가 번안하여 신뢰도, 타당도를 확인 한 도구를 본 연구 대상과 목적에 맞게 내용 타당도를 검증하고 일부 문항 수정을 하여 신뢰도 검사를 확인한 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 기간은 2004년 7월 27일부터 9월 30일까지이다. 자료 수집은 개발된 건강지원 프로그램 효과 검정을 위해 프로그램 첫 회 때 사전 조사를 하였고, 프로그램이 종료되는 12회 때 사후 검사를 하였다. 프로그램 종료 후 4주 경과하여 복지관에 직접 방문을 하거나 우편으로 추후 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통계 프로그램(ver 12.0)을 이용하였으며,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검정을 위해 χ2-test와 t-test를 이용하였고, 건강지원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군과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은 대조군의 프로그램 실시 전, 실시 후, 추후의 종속변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 ANOVA)을 이용하였다. 다중 비교에서는 t-test와 Dunnett test를 이용하였다.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설 1. ‘건강지원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군은 건강지원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시간 경과(사전, 사후, 추후)에 따른 건강관리 행위 점수가 높을 것이다’를 검정한 결과, 집단(F=10.21, p= .002), 시기(F= 10.64, p= .000), 집단과 시기간 상호작용(F=9.57, p= .000)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사후 검정을 실시한 결과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여 가설 1은 지지되었다. 가설 2. ‘건강지원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군은 건강지원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시간 경과(사전, 사후, 추후)에 따른 양육 스트레스 점수가 낮을 것이다’를 검정한 결과, 집단(F=17.59, p= .000), 시기(F= 11.93, p= .000), 집단과 시기간 상호작용(F=17.41, p= .000)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사후 검정을 실시한 결과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여 가설 2는 지지되었다. 가설 3. ‘건강지원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군은 건강지원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시간 경과(사전, 사후, 추후)에 따른 아동의 문제행동 점수가 낮을 것이다’를 검정한 결과, 집단간, 시기간 및 집단과 시기간의 상호작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가설 3은 지지되지 못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발달장애 아동을 위해 개발된 건강지원 프로그램은 어머니를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이는 어머니가 발달장애 아동을 돌보는데 있어 건강관리 행위 수준을 향상시키고, 양육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록 아동의 문제행동 감소에는 효과가 없었으나, 본 연구를 통해 아동의 신체적인 건강뿐만 아니라 대인관계나 사회성, 문제행동까지 건강의 요구를 확장함으로써 어머니가 아동의 건강문제를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대처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개발된 본 프로그램 효과의 지속성을 알아보기 위한 종단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며, 또한 발달장애 아동의 아버지를 대상으로 하는 건강지원 프로그램 개발 연구가 후속적으로 이루어질 것을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health-support program, and test the effect of this program, in order to help mother's coping of developmental disability children's health condition.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this program was based on the disability-stress-coping adjustment model of Wallander, Verni, Baban, Banis, and Wilcox(1989), in order to approach comprehensively to the adjustment of developmental disability children and their mothers. The content of health-support program was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study(Kim & Lee, 2004) and discussions of the expert group. The program progressed on the theme of physical health and psychosocial health that was took the total 4 weeks(12 sessions with 3 times per week). In order to test the effect of this program, the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quasi-experimental design was used. The participants in the program were mothers of developmental disability children, who was registered at the welfare center in A city, Kyongbuk. As the tools for measuring the effect of this program, (1) the health care behavior tool adopted Jo(1983)'s health behavior tool and Ju(1996)'s family health care behavior tool, (2) Abidin(1983)'s Parenting Stress Index(PSI) that Park(1994) translated and modified, and (3) Rinson, Eyberg and Ross(1990)'s Children behavior scale that Song(1992) translated, were used. For the data analysis, SPSS 12.0 program was used, and for the Homogeneity test, χ2-test was used, and for the effect test repeated measure ANOVA, t-test and Dunnett test were us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Hypothesis 1 was support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ould be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health care behavior level after the treatment of health support program as time passed. Hypothesis 2 was support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ould be lower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parenting stress level after the treatment of health support program as time passed. Hypothesis 3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ould be lower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children problem behavior point after the treatment of health support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health-supporting program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via maternal education helped the mothers improve the level of health care behaviors and reduce the parenting stress level. In the future, a longitudinal study, which involves fathers as well as mothers is necessary in order to examine the longitudinal effects of the program.

      • 일상생활 속 구체물 조작활동이 발달지체유아의 수개념 형성에 미치는 효과

        김혜영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 문 초 록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특수교육전공 김혜영 본 연구는 일상생활 속 구체물 조작 활동이 발달지체유아의 수 개념 형성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 그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대상은 대전과 천안시에 위치한 유아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만 3~6세의 발달지체유아 40명이다. 실험에 참여한 유아들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무선 배치하였다. 실험도구로 사용된 구체물 조작 프로그램은 선행 연구를 기초로 유아특수교육 전문가 집단의 자문을 통해 구성하였으며 본 연구의 효과검증을 위한 측정 도구 또한 선행연구 및 기존 검사자료들에 기초하여 유아특수교육 전문가 집단의 자문을 통해 제작되었다. 통제 집단 및 실험 집단의 유아 모두에게 사전과 사후검사가 실시되었으며 사전검사 이후 4주 동안 총 16회기에 걸쳐 실험집단의 유아들이 구체물 조작활동에 참여하였다. 결과 분석에 SPSS12.0이 사용되었으며, 독립표본 t검증과 대응표본 t검증이 실시되었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체물 조작활동은 발달지체유아의 전체 수 개념 형성 정도에 효과를 미치는가에 대해 알아본 결과 구체물 조작활동은 발달지체유아의 전반적 수 개념 형성에 효과적이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물 조작 활동을 한 실험집단은 사전-사후 검사 결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점수의 증가를 나타내었고, 통제집단은 사전-사후 검사 결과 점수의 증가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구체물 조작활동은 발달지체유아의 전반적 수 개념 형성에 효과적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둘째, 구체물 조작활동이 발달지체유아의 수 개념의 하위 영역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 결과, 구체물 조작활동이 분류, 측정 및 서열, 기수, 일대일 대응, 서수, 공간, 시간 능력에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구체물 조작 활동이 한 가지 하위 능력에 국한 된 것이 아니라 7가지의 기초적 수 개념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 일상 생활 속 구체물을 직접 탐색하고 구체적으로 조작해봄으로써 발달지체유아의 주의 집중력을 향상시키고 발달지체유아의 수 개념 형성에 효과적이며, 발달지체유아에게 학습에 효과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발달지체유아의 기초적 수 개념만이 아닌 수 연산, 조합, 숫자쓰기 등의 여러 수학적 개념 발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에 적합한 구체적 조작 활동이 이루어진다면 교육적 효과를 증진시킬 것이라 본다. ABSTRACT Written by: Kim hye young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oosuk University Directed by Prof. Hyojin, Ko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much concrete materials' operative activities in daily life have influence on the number concept formation of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retardation. The targets for this study were 40 developmental-delay children aged 3 to 6 in full who were in a child special class in Daejeon and Chunan. The children participating in the experiment were randomly assign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The concrete material operative program used as a experiment tool was designed on the basis of preceding researches through the consultation with a group of child special education experts. Also the measuring instruments used for verifying the efficiency of this study were designed on the basis of the preceding researches and existing data and through the consultation with a group of child special education experts. Pre-test and post test were implemented to all the children of both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After pre-test, the children of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concrete materials' operative activities for 4 weeks with 16 sessions. SPSS 12.0 as well a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paired sample t-test was used to analyze the results. The results of analysis were as followings: First, when examining if concrete materials's operative activities have influence on the number concept formation of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they were shown to be effective on the number concept formation of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The experimental group to participate in concrete materials's operative activiti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with increasing scores, whereas the control group didn't. Therefore concrete materials' operative activities were proved to be effective the number concept formation of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Second, when examining the effects of concrete materials' operative activities on the sub-domains of the number concept of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the concrete materials' operative activities were shown to have effects on classification, measurement, rank, cardinal numbers, one-to-one correspondence, ordinal numbers, space sense and time sense. This suggests that concrete materials' operative activities have effects on all the seven basic number concepts, not just one sub-domain. In conclusion, to explore and operate concrete materials in daily life helps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to improve their attention and to facilitate their number concept formation, and have significant influence their learning. Therefore if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children's general development of various areas, including calculation, number writing, combination and so on as well as their number concept formation, and performing concrete materials's operative activities suitable for these, it will be possible to improve educational effects.

      • 교사다면평가제도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및 개선방안 연구

        김혜영 강원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이 연구는 현행 교사평가제도인 근무성적평정제도의 현황과 새롭게 도입되는 교사다면평가제도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을 조사?분석함으로써, 교사다면평가제도의 개선방안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 교사평가제도인 근무성적평정제도에 대해 초등 교사들은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둘째, 새롭게 도입되는 교사다면평가제도에 대해 초등교사들은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셋째, 현행 근무성적평정제도에 교사 다면평가제도의 효과적인 도입방안은 무엇인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참고문헌과 근무성적평정제도 및 교사다면평가제의 관련 자료를 근거로 설문지를 작성하였고, 이 설문지를 강원도 영서지방에 근무하는 12개교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배부된 설문지는 총 300부이며 회수된 272부 중에서 응답내용이 충분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2부를 제외하고 270부를 본 연구의 기초 자료로 삼았다. 설문지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는 윈도우용 SPSS(12.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및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 교사평가제도인 근무성적평정제도의 만족도에 대해 대부분의 교사들이 만족하지 못하고 있으며, 많은 교사들이 객관적이고 공정하지 못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둘째, 현행 교사 근무성적평정제도에 다면평가 제도를 도입할 경우 객관성, 공정성, 신뢰성 확보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의견이 많아 교사 다면평가제도 도입에 대해 부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현행 교사 근무성적평정제도에 다면평가 제도를 도입할 경우 평가의 목적은 교직수행 능력 신장이 우선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넷째, 교사 다면평가 평가자로는 동료교사, 교감, 교장이 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매우 많았고, 평가자에 따른 교사 다면평가 평가영역 중 학습지도능력, 생활지도능력은 동료교사가 더 잘 알고 있다는 의견이 많았다. 다섯째, 교사 다면평가 제도를 도입할 경우 평가방법으로 상대평가와 절대평가를 절충하자는 의견이 많았고, 절대평가, 상대평가 순으로 나타났다. 평가횟수는 1년에 1회의 의견이 많았고, 평가 시기는 학년말에 하자는 의견이 많았다. 여섯째, 교사 다면평가 제도를 도입할 경우 평가결과의 공개에 대한 인식의 결과는 부분공개(본인에게만 공개)의 의견이 많았다. 다음으로 완전공개, 비공개의 순으로 나타났다. 교사 다면평가 결과의 활용에 대한 인식의 결과는 교원성과급 자료로 활용하는 의견은 부정적인 인식이 많았고, 전문성 신장을 위한 재교육과 연수의 기회를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대체로 많았다. 따라서 현행 근무성적평정제도가 교사들에게 실질적인 영향력을 발휘하는 교사평가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평가대상자가 함께 참여하고 협의해야 할 것이다. 또한 교사평가가 승진, 포상, 전보 등 인사관리 자료로만 반영되는 것보다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자료로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is set up a purpose of an investigation and analysis about Multi-Rater Feedback System enforcement. Investigating and analyz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tion, how to examine, examination part, terms, frequency, how to show and use the result are related to the purpose of report, examiner and examinee when using Teacher's Working Report System and Multi-Rater Feedback System. These are the matters that must be solved to make the system work. First, how do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ze Teacher's Working Report System? Second, how do they recognize Multi-Rater Feedback System? This research will tell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tion about how to examine, examination part, terms, frequency, how to show and use the result of the purpose of report and teachers when using Multi-Rater Feedback System. Third, what is the effectual entrance way to use Multi-Rater Feedback System with Teacher's Working Report System? To solve these three matters, the questionnaire based on related books and references was made nad published to teachers from 12 elementary schools in Western KangWon area. Totally 300 papers were published but 272 papers were handed in and analysed with Windows SPSS(12.0) ststic program. This is the summary of result about the research work. First, teachers are not satisfied with Teacher's Working Report System and most of them think that it is not fair and objective. Second, it shows that teachers are contradictory for using Teacher's Working Report System with negative opinions of justice, reliance and objectivity about Multi-Rater Feedback System. Third, Teacher's improvement is the point of using Multi-Rater Feedback System with Teacher's Working Report System.' is appeared in most suggestions. Fourth, the examiners are supposed to be co-workers, a vice principal and a principal. Co-workers know teaching guidance skills, living guidance skills better than anyone from many suggestions. Fifth, for using Multi-Rater Feedback System, there are two methods, absolute evaluation and relative evaluation. In many opinions from the research, combining both evaluations well, absolute evaluation and relative evaluation in sequence. The frequency is once a year, terms are the end of the years. Sixth, the result would be shown to the only own person from many opinions. Nextly opening to the public, putting in a secret in sequence. About the result of using Multi-Rater Feedback System, it would be better to use for giving teachers chances for restudying and training than piece rate payment. Here is the conclusion for colligation of the research results. First, in the research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bout Teacher's Working Report System, examiners and examinee should work together and co-operate to prove that Multi-Rater Feedback System is fair and trustful. Second, Multi-Rater Feedback System wouldn't be only used for a promotion, a reward and a telegraph but improving skills of teachers as useful references. Third, combining Teacher's Working Report System and Multi-Rater Feedback System will be operated after a development through correcting and complementing the methods of Teacher's Working Report System that could have a reliance and objectivity becaus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negative views. Fourth, teachers have very negative views of students and parents of students' participation. Most of teachers think that a principal, a vice principal and co-workers are suitable for examiners. It must be careful to get closer. Fifth, it should be mixed absolute evaluation and relative evaluation well after reforming the methods of compulsory distribution from relative evaluation. Examination frequency is once a year. Examination terms are the ends of years from many opinions. Sixth, the result would be shown to the only own person and it should be used for the chances of re-education and training for improving professional skills in many opinions. Examiners and examinee should participate in and co-operate to make Multi-Rater Feedback System influence teachers suitably. Also, reporting and grading teachers are not the only references for a promotion, a reward and a telegraph but also useful references for improving expert of teachers.

      • 구조화된 집단놀이 활동이 다문화가정 유아의 사회정서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김혜영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이 연구는 다문화가정 유아가 이중문화 속에서 겪게 되는 사회, 정서적 어려움에 도움을 주고자 구조화된 집단놀이 활동이 다문화가정 유아의 사회정서적 유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를 위해 서울시 K구에 위치한 A센터에 다니는 다문화가정 유아 중 만 6세 아동 3명을 대상으로 정서능력, 사회적 능력 향상을 위한 O'Connor가 제시한 형식에 맞춰 구조화된 집단놀이 활동 프로그램을 이한나(2008), 이상미(2007), 권영주(1998)가 구성한 내용을 토대로 재구성하고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평가방법은 프로그램 내에서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회기 내 구성되어있는 자유놀이 시간 15분을 관찰하여 행동의 변화를 기술 관찰하였고, 프로그램 장면 외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우수경(2002)이 제작한 ‘정서능력’, ‘사회적 능력’검사를 사전, 사후 유아들의 어머니께서 평정하신 내용을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조화된 집단 놀이 활동은 다문화가정 유아의 정서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회기가 진행되는 동안에 정서표현능력이 향상됨을 보였고, 정서능력 사전 검사에 비해 사후 검사의 점수가 증가함을 보였다. 둘째, 구조화된 집단 놀이 활동은 다문화가정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회기가 진행되는 동안에 관계 속에서 일어나는 문제들을 조율해 나가는 모습을 보였고, 사회적 능력 검사가 사전 검사에 비해 사후 검사의 점수가 증가함을 보였다. 이상에서 제시한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구조화된 집단놀이 활동은 다문화가정 유아의 사회 정서적 유능감의 정서능력과 사회적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었으며, 이는 이중 문화권에서 사회·정서적으로 위축되어 있는 다문화가정 유아들의 사회, 정서발달에 도움이 되는 적절한 중재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 Matlab-Simulink를 이용한 MPPT 제어 특성과 여유계수에 관한 연구

        김혜영 조선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논문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P&O 제어 알고리즘 방식과 여유계수를 고려하지 않은 IncCond 제어 알고리즘 그리고 여유계수를 고려하였을 경우의 IncCond 제어 알고리즘 대하여 설명하고 Matlab-Simulink를 이용하여 일사량이 일정하게 변화하였을 경우와 일사량이 급변하는 경우의 조건에 따른 3가지의 MPPT 제어 방식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하여 비교 분석하여 본다.

      • 비행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성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혜영 숭실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비행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성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학과 김혜영 지 도 교 수 배임호 본 연구는 비행청소년의 왜곡된 성의식에 대한 올바른 정립의 필요성을 바탕으로 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심리적 요인 중 자아존중감이 성의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독립변수인 자아존중감은 하위요인인 일반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 가정에서의 자아존중감으로 구분하였으며, 종속변수인 성의식은 성태도, 성행동, 성지식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연구를 위하여 〇〇여자정보산업고등학교와 〇〇소년분류심사원의 남녀 청소년 242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 18.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T-검증, 일원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비행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은 성별, 부모의 유무, 가족의 경제수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하위요인 별로 살펴보면 일반적 자아존중감은 성별에 따라, 사회적 자아존중감은 성별, 가족의 경제수준에 따라, 가정에서의 자아존중감은 성별, 연령, 부모의 유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행청소년의 성의식은 연령, 학력, 가족의 경제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하위요인 별로 살펴보면 성태도는 학력과 가족의 경제수준에 따라, 성행동은 성별, 학력, 가족의 경제수준에 따라, 성지식은 연령과 학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존중감과 성의식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인 사회적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성의식의 하위요인인 성행동 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자아존중감이 성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함의를 제시한다. 첫째,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의 경우 가정에서의 자아존중감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가정에서는 성차별적인 요인에 대한 영향력을 인지하고, 자녀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해 성차별적인 요인이나 행동을 지양해야 한다. 둘째, 성행동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차별적인 성교육 프로그램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사회적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성행동 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행청소년을 대상으로 사회에서의 올바른 대인관계 형성을 통해 성행동에 책임을 질 수 있고, 절제할 수 있도록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추후의 연구에서는 성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부모,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환경적, 문화적 요인 등으로 세분화 하여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BSTRACT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elf-Esteem on Juvenile Delinquents’ Sexual Consciousness KIM, HYEYOUNG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Soongsil University It is crucial to investigate factors that can affect sexual consciousness of juvenile delinquency. In order to correct distortions of sexual consciousness during juvenile delinquency. Among various possible factors, this study focuses the influence of self-esteem on juvenile delinquents' sexual consciousness. In this study is classified into ‘General Self’, ‘Social-Self-Peers'. ‘Home-Parents' and sexual consciousness is classified into ‘attitude towards sex', ‘sexual behavior', ‘knowledge of sexual matters'. This study surveyed 242 male and female students at J Girls' Information Industry High School and S Institution. For data analysis, SPSS 18.0 was used to descriptive analysis,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e survey were as follows: First, juvenile delinquents' self-esteem varied significantly by gender, existence of parents and economic status of family. In particular, general self-esteem varied by gender and social self-esteem varied by economic status of family and self-esteem form family varied by gender, age and existence of parents. Second, juvenile delinquents' sexual consciousness varied significantly by age, level of education and economic status of family. Regarding the sub-variable of sexual consciousness, attitude towards sex varied by level of education and economic status of family and sexual behavior varied significantly by gender, level of education and economic status of family and knowledge of sexual matters varied significantly by age, level of education. Third,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elf-esteem and sexual consciousness of juvenile delinquents shows that the higher self-esteem from community the more frequent sexual behaviors. Fourth, the influence of self-esteem on juvenile delinquents' sexual consciousness was not existent. According to the major findings of the survey, the following implications can be made. First, self-esteem from family for female is lower than that for male. Hence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influences of sexist factors and prevent sexist behaviors in order to improve of child's self-esteem. Second, sex education program must be designed differently by gender, because there are differences in attitudes towards sex and sexual behaviors by gender. Third, it is necessary to educate juvenile delinquents to be responsible and to have self-control in their sexual behavior. In that sense, developing proper interpersonal skills is crucial, because the survey shows that the higher self-esteem from community the more frequence juvenile delinquents' sexual behavior. Forth, since self-esteem did not seem to significantly influence sexual consciousness, other various factors, such as parents, physical, psychological, social, environmental, cultural factors must be examined in the follow-up researches.

      • 간호대학생의 좋은죽음에 대한 인식,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과 간호전문직관이 연명의료 중단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혜영 호남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47

        간호대학생의 좋은죽음에 대한 인식,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과 간호전문직관이 연명의료 중단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제 출 자 : 김혜영 지도교수 : 조은아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좋은죽음에 대한 인식,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 간호전문직관이 연명의료 중단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대상자는 G광역시에 소재한 3개의 간호학과에 재학중인 간호대학 생 중 본 연구의 취지를 이해하고 자발적으로 참여할 것을 동의한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2023년 10월 4일부터 2023년 10월 18일까지 진행하였으며, 최종 246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도구로 좋은죽음에 대한 인식은 Schwartz 등(2003)이 개발하고 정현숙(2010)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은 홍선우와 김신미(2013)가 개발한 도구, 간호전문직관은 윤은자 등(2005)이 개발한 도 구를, 연명의료 중단에 대한 태도는 박계선(2000)이 개발하고 변은경 등 (2003)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test, One-way ANOVA, Tukey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간호대학생의 좋은죽음에 대한 인식 점수는 4점 만점에 3.06점, 사전연명 의료의향서 지식 점수는 9점 만점에 7.23점, 간호전문직관은 5점 만점에 3.86점, 연명의료 중단에 대한 태도 점수는 5점 만점에 3.43점이었다. 2.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연명의료 중단에 대한 태도의 차이 는 학년(F=3.02, p=.031), 임상실습 경험(t=3.13, p=.002)에 따라 통계적 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간호대학생의 연명의료 중단에 대한 태도와 예측변수들 간의 관계에서는 좋은죽음에 대한 인식(r=.37, p<.001),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r=.13, p=.037), 간호전문직관(r=.28, p<.001)과 모두 유의한 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간호대학생의 연명의료 중단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β=.33, p<.001), 임상 실습 경험(유)(β=.16, p=.001), 간 호전문직관(β=.15, p=002) 순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20.0%였고, 이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F=20.63, p<.001). 종합해보면 좋은죽음에 대한 인식, 임상 실습 경험, 간호전문직관이 간호 대학생의 연명의료 중단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이 실증적으로 규명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근거로, 간호대학생의 긍정적인 연명의료 중단에 대한 태도를 위해서는 좋은죽음에 대한 인식과 간호전문직관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과 더불어 임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 대한 시나리오 기반의 연명의료와 좋은죽음에 대한 맞춤형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주요어: 간호대학생, 좋은죽음, 사전연명의료의향서, 간호전문직관, 연명의료 중단 Abstract Influence of Perception of Good Death, Knowledge toward Advance Directive and Nursing Professionalism on Attitude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among Nursing students Kim, Hye Young Department of Nursing Graduate School Honam University Gwangju Korea Directed by Prof. Cho, Eun-A Purpose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perception of good death, knowledge toward advance directive and nursing professionalism on attitude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among nursing students as a descriptive research. Methods : This study was conducted at 3 colleges of nursing department in G metropolitan city. 246 out of 250(98.4%) responded to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17th in July to 31th in August in 2023 year and were analyzed by t-test, ANOVA, Turkey HS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of SPSS 26.0. Results : 1. The perception score of good death of nursing students was 3.06(4-point Likert-type scale), the score of Advance Directives 7.23(9-point Likert-type scale), the score of Nursing Professionalism 3.86(5-point Likert-type scale), the score of Attitude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3.43(5-point Likert-type scale) 2.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rade(F=3.02. p=.031) and clinical practice(t=3.13 p=.002) among nursing students at attitude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The score of attitude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3rd grade than 3. The attitude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Good Death(r=.37, p<.001), Advance Directive(r=.13, p=.037) and Nursing Professionalism (r=.28, p<.001). 4. The influence factors of attitude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were the perception of good death(β=.33, p<.001), experienced clinical practice(β=.16, p=.001) and nursing professionalism(β=.15, p=002) in order. The adjusted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Adj.R2) was 0.20 which was 20% correlated and was significant(F=20.63, p<.001). Conclusions : In summary, it has been empirically confirmed that awareness of a good death,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and nursing professionalism are factors that influence nursing students' attitudes toward discontinuation of life-sustaining treatment. Based on the above results, nursing students' positive attitude toward discontinuation of life-sustaining treatment requires education to increase awareness of good death and nursing professionalism, as well as scenario-based life-sustaining treatment for situations that may occur in clinical practice. It is believed that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customized education program on good death is necessary. keywords : Nursing students, Good death, Advance directives, Nursing professionalism,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 유도선수의 스포츠 상해와 신체적, 심리적 기능이 스포츠 대처기술에 미치는 영향

        김혜영 삼육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47

        국가대표 유도 선수의 신체부위별 스포츠상해에 대한 후향적 연구 본 연구에서는 국가대표 유도 선수들의 스포츠 상해 발생 부위 및 발생 패턴 경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9년간 국가대표 유도 선수의 부상 발생에 대한 신체 부위 별 통계 분석을 실시하여 유도 선수에게 자주 발생하는 부상 부위를 확인하였고, 국가대표 유도 선수의 스포츠 상해 실태를 조사하고 유도 선수의 부상 부위가 남·녀 간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각 부상 부위 별 스포츠 상해 발생률의 변화 추이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2008년부터 2016년까지 국가대표 유도 선수들이 훈련 및 경기 중 경험한 모든 부상에 대한 기록을 바탕으로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각 부상 부위에 대한 진단은 국가대표 선수촌에 상주하는 스포츠의학 전문의에 의해 결정되었다. 본 연구는 9년간 국가대표 유도 선수로 활동한 259명의 스포츠 상해 자료가 포함되어 있고, 그 중 여자는 123명, 남자는 136명이었다. 물리치료가 필요한 스포츠 상해는 총 20,345건이었으며, 그 중 여자는 10,768건(52.93%), 남자는 9,577건(47.07%)이었다. 신체 부상 부위를 크게 체간, 상지, 하지로 분류하였을 때, 하지 9,688건(47.62%), 상지 5,807건(28.54%), 체간 4,850건(23.84%)이었다. 본 연구에서 분류된 부상 부위에서 무릎 관련 부상(27.82%)이 다른 부상에 비해 특히 자주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목(16.07%), 허리(15.18%), 어깨(12.62%) 부위는 등(2.94%), 가슴 및 복부(1.31%), 엉덩이(0.50%) 부위와 비교했을 때 스포츠 상해가 많은 부위로 나타났다. 어깨, 발, 등은 남자 선수에서 더 자주 발생하였고, 발목, 목, 손 부상은 여자 선수에서 스포츠 상해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항 추세선을 사용하여 각 부위 별 스포츠 상해 증가 및 감소에 대한 흐름을 알아본 결과 전반적으로 스포츠 상해가 감소하는 추이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손과 엉덩이와 같은 기존에 드물게 발생한 부상 부위는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유도 선수의 스포츠 상해 관련 훈련 프로그램 및 의학 기술 개발 관련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유도선수의 신체적, 심리적 기능이 스포츠 대처기술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유도선수의 신체적, 심리적 기능이 스포츠 대처기술에 미치는 효과에서 자기관리의 조절된 매개효과의 검증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124명이 참여하였으며, 고등학생, 대학생, 실업팀 선수들이 참여하였다. 이들은 신체적 검사로 무릎 기능검사지, 발목기능 검사지, 허리 검사지를 자기 기술하여 신체적 검사를 측정하고, 심리적 검사로 기분상태 검사지, 스포츠 경쟁불안 검사지, 운동선수 자기관리행동 검사지, 운동 대처기술 검사지를 통해 유도선수의 신체적, 심리적 기능이 스포츠 대처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신체적, 심리적 기능의 남·녀별, 체급별, 연령별 기능을 비교한 결과, 남·녀의 신체적 검사의 결과에서는 무릎과 허리는 차이가 있었으나, 발목은 차이가 없었다. 남·녀의 심리적 검사에서는 기분 상태 중 활력과 자기관리행동, 스포츠 대처기술에는 차이가 있었지만, 스포츠 불안은 차이가 없었다. 체급별 신체적 검사의 결과, 무릎의 통증과 스포츠 항목에서는 차이가 있었고, 발목과 허리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체급별 심리적 검사의 결과 기분상태는 긴장, 우울, 분노, 피로, 혼란, 활력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차이가 있었고, 스포츠 경쟁불안, 자기관리행동, 스포츠 대처기술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연령별 신체적 검사는 무릎, 발목, 허리에서 차이가 있었다. 연령별 심리적 검사의 결과, 기분상태검사 중 긴장과 활력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차이가 있었고, 자기관리행동 중 몸관리 문항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스포츠 경쟁불안, 스포츠 대처기술은 차이가 없었다. 신체적 기능과 심리적 기능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무릎검사의 통증과 기분상태의 우울, 발목검사의 삶의 질과 기분상태의 혼란, 발목검사의 일상생활과 기분상태의 긴장, 우울, 분노, 피로, 혼란, 총점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무릎, 발목, 허리는 유도선수의 상해 호발 부위로 신체적 상해부위 간의 신체적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심리적 검사 간의 상관관계에서 기분상태는 기분상태의 활력을 제외한 긴장, 우울, 분노, 피로, 혼란이 상관관계를 보였다. 운동선수 자기관리행동, 스포츠 대처기술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운동선수 자기관리행동과 스포츠 대처기술검사는 상관관계를 보였다. 신체적 기능과 심리적 기능이 스포츠 대처 기술에 영향을 회귀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자기관리행동과 기분상태의 활력, 긴장, 자기관리행동의 고유행동관리는 스포츠 대처기술에 영향을 미쳤다. 자기관리행동의 조절효과 분석결과에서는 신체적 기능인 발목기능이 스포츠 대처기술에 미치는 영향에서 불안은 선수의 발목기능과 스포츠 대처기술과의 관계에서 조절하는 효과가 있었고, 긴장은 선수의 자기관리행동과 스포츠 대처기술에 관계에서도 조절 효과가 있었다. 매개효과 분석결과 선수의 활력과 스포츠 대처기술 관계에서 자기관리행동의 매개효과가 있었다. 자기관리행동이 스포츠 대처기술에 미치는 영향에서 긴장이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도 확인되었다. 따라서 자기관리가 높을수록 스포츠 대처기술에 조절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신체적 기능이 스포츠 대처기술에 영향을 주며, 심리적인 기능 또한 조절된 매개 효과를 보이며 스포츠 대처기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신체적 기능과 심리적 기능과의 상호 연관성의 연구가 더욱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