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과정극(Process Drama) 교수 방안

        윤혜정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코로나19의 발발로 비대면 수업이 실시되었고 한국어교육 역시 실시간 원격수업이 진행되었다. 그러나 실시간 원격수업이 장기화됨에 따라 학습자들의 학습 동기, 의욕이 상실되었고 의사소통 능력 또한 감소하였다. 이는 실시간 원격수업이 진행되기 전의 수업 방식을 변화된 교육 환경에서 동일하게 진행함에 따라 교사 중심의 수업이 진행되며 학습자들의 심리적 변화가 일어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한국어 수업에서 과정극을 활용하여 학문 목적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말하기 수업을 통해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과정극 활용 교수 방안을 마련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활용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서 이정희 & 박혜옥(2018)에서 제시한 ‘과정극 실행 단계’를 한국어교육에 적용하여 교수 학습 활동을 제시했다. 2장에서는 먼저 이론적 배경으로 의사소통 능력과 과정극의 개념을 제시했다. 이후 선행 연구의 논의를 바탕으로 과정극을 외국어교육에 활용했을 때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또한 선행 연구에서 다루어졌던 과정극 요소와 과정극 기법을 살펴보고 실험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교육 모형에 적용할 수 있는 과정극 요소 및 과정극 기법을 선정하였다. 이를 통하여 과정극 교육 모형을 알아보고 한국어 수업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학문 목적 학습자 중 3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실험 연구를 계획하고 진행했다. 먼저 3급 학습자의 특성과 한국어교육의 목표를 고려하여 교재 선정 기준을 제시하였다. 총 5단계에 걸친 연구 단계를 제시하고 구체적인 연구 기간을 설정했으며 연구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수업을 진행하기 전 사전 조사를 진행하였고 실험 연구를 진행한 뒤 사후 조사를 진행했다. 이후 이정희 & 박혜옥(2018)의 ‘과정극 실행 단계’를 본 실험 연구에 적용하여 과정극을 활용한 교육방안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인 과정극 활용 방안을 제시하기 전 학습자들이 평소 사용하던 『서울대 한국어 3』교재와 『세종한국어 회화 3』의 『더 말해 봐요』를 선정한 이유를 밝혔다. 이어 수업 교안을 제시하여 앞 장에서 제시한 과정극 요소와 기법을 활용한 과정극 교수 방안을 제시하였다. 4장에서는 연구 도구로 과정극 적용 한국어 수업의 평가, 학습자의 한국어 능력 평가 및 정의적 영역의 평가를 설정하며 본 연구의 평가 척도를 제시하였다. 사전 설문 조사와 사후 설문 조사, 학습자의 말하기 활동 평가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해당 프로그램을 통해 기존 수업에서의 말하기 활동과 과정극을 활용한 말하기 활동의 유의미한 차이를 입증했으며 결과적으로 과정극을 활용한 수업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 및 정의적 영역의 변화를 입증했다. 학습 대상을 단일 국가로 구성된 3급 학습자만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는 점과 특별활동 시간에 과정극을 활용한 수업을 진행했다는 점은 본 연구의 한계로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수업 외의 한국어 수업에서 과정극을 활용한 수업을 진행하게 된다면 더욱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이 연구가 변화되어 가는 한국어 교실과 한국어 수업의 새로운 교수 방안 관련 후속 연구에 도움이 되리라 기대하며 연구를 마무리한다.

      • 대학 편입생의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질적 연구

        하원정 동의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편입생이 편입과정에서 느끼는 다양한 경험에 대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대학 편입생의 건강한 대학생활적응을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인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에 따른 연구 문제는 대학 편입생이 편입과정에 대한 경험은 어떠한가, 대학 편입생의 대학생활적응 과정은 어떠한가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현재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이거나 4년제 대학교를 졸업한지 6개월 이내인 남·여 대학생 9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방법을 통해 자료 수집하였다. 문헌고찰, 심층면담, 분석을 이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대상으로 한 자료 분석방법으로는 Strauss와 Corbin(1998)이 제시한 근거이론 분석방법에 따라 개방코딩, 축 코딩, 선택코딩의 절차를 거쳐 패러다임 모형과 정형화된 이론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방코딩에서는 연구 참여자 9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얻은 자료를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분석과정을 거쳐 77개 개념, 35개 하위범주, 14개 범주로 나누었다. 둘째, 축 코딩에서는 개방코딩에서 구성한 14개의 범주를 패러다임 모형에 재배열하였다. 셋째, 선택 코딩에서는 축 코딩의 절차에서 구성한 범주와 내용을 중심으로 ‘편입 전’, ‘편입 준비’, ‘편입 후’의 일련의 시간 흐름에 따라 나타냈다. 또한 상호작용의 결과로 대학 편입생의 대학생활적응의 유형으로 ‘원하는 전공으로 편입 성공형’과 ‘학위를 높여 편입 성공형’으로 나누었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는 대학 편입생이 편입을 고려하게 되는 동기와 편입을 준비하는 과정, 편입을 성공한 이후 대학생활까지 일련의 시간 순으로 연구 참여자의 개별적인 경험과 그 의미를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대학 편입생들의 편입 동기를 개인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을 다양하게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는 대학 편입생들이 편입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정보 부족, 많은 공부의 양으로 인해 외로움과 소외감 등 다양한 심리적 어려움을 경험하지만, 편입시험에 합격하고 편입에 성공한다는 것을 밝힌 것에 의미가 있다. 더불어 본 연구는 대학 편입생들이 Gottfredson(1981)의 ‘제한-타협 이 론’을 바탕으로 전적대학을 포기하고 타협을 경험하여 편입을 선택하고 유지하는 제한을 경험한다는 제시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대학 편입생의 대학생활적응 정도를 이정희 외(2018) 대학생활적응 하위요인을 바탕으로 개개인별로 탐색하였고 어려움이 있었지만 극복하여 잘 적응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 및 의의를 바탕으로 종합하여 향후 과제를 위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소수의 학생들의 경험을 통해 자료를 구성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지역적 범위를 넓혀 대학생활적응 경험 탐색을 통한 고등교육기회 확대가 실현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학사편입을 경험한 대학 편입생을 대상으로 미비하여 추수 연구에서는 다양한 대학 편입생을 추가하여 이루어질 필요가 있어 보인다. 셋째, 본 연구는 연구 참여자들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자신의 경험을 이야기하였다. 따라서 추수 연구에서는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에 대해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자료를 추가하여 이루어질 필요가 있어 보인다. 넷째, 본 연구의 심층면담 질문지가 대학 편입생의 경험을 일련의 시간 순으로 이루어졌으나 추후 연구에서는 편입 전과 편입 후의 경험을 분리하여 어느 시점에 어떠한 경험을 하였는지 등의 구조를 밝히는 연구를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는 대학 편입생의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제도와 정보제공의 역할을 기대하였지만, 체계적인 지침이 부재하여 실제적 활용에 제한적일 수 있다. 따라서 학교 및 학과 차원의 지원 방안을 마련할 것을 제안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various experiences transfer students in college have in the transfer process, and to explore what college transfer students should do to successfully adjust themselves to new college life. To achieve the research aim, this study set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1) What do transfer students experience in the transfer process? (2) How do college transfer students adjust themselves to the lives of new schools? This study used in-depth interviews to 9 respondents who were attending 4-year university, or who were less than 6 months after graduating from such a university. This study used the methods of literature review and in-depth interview. Adopting the grounded theory of Strauss and Corbin (1998), this study built a paradigm model and stylized theory through the procedures of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opening coding, the data from in-depth interviews to 9 participants were under continuous and repetitive analyses, and classified them into 77 concepts, 35 sub-categories and 14 categories. Second, 14 categories constituted in open coding were rearranged in the paradigm model. Third, in selective coding, the categories and contents of them constituted by the procedures of axial coding were expressed by the flow of time: 'before transfer', 'preparation for transfer', and 'after transfer'. In addition, the types of college life adaptation of college transfer students were divided into 'the type of students who succeeded in transferring to the majors they wanted' and 'the type of students who succeeded in moving up to higher degrees'. Finally, this study can be meaningful in the sense that it analyzed individual experiences of interview participants in the time order from the motivation to consider transfer, preparation for transfer, to college life after being transferred to new schools. This study identified various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factors motivating them to consider transferring.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in preparing for transfer, while those students experience various psychological difficulties like loneliness and sense of alienation, they feel happy when they are accepted in new universities. Plus, based on the circumscription and compromise theory of Gottfredson (1981), this study could offer the evidence that they forgive previous school, experience compromise, and select and maintain transfer. It also explored the degrees of adjustments of college transfer students to new schools using the scale offered by Lee, Jeong-hee et al. (2018), and found out that they could overcome difficulties and adjust themselves to new schools. Based on the above findings and discussions, this study want to suggest the followings for future studies. First, this study created data from interviews to a small number of students. In future studies, it would be better to expand the number of interviewees in more diverse regions to know their experiences of adjusting to new schools. Second, this study only dealt with students who transferred to get bachelor's degree. In future studies, it would be desirable to include various types of transfer students. Third, interviewees in this study narrated their experiences in time flows. In future studies, it would be desirable to add some sources which allow researchers to objectify interviewees. Forth, the questionnaire of the in-depth interview allowed interviewer to ask interviewees to narrate their experiences in temporal order. In future studies, it would be desirable to separate experiences before and after transfer, and ask interviewees what they specifically experienced in each stage. Finally, while this study wishes that the findings will serve as the basic source to establish policies or institutions for transfer students, the use of them can be limited because they were created without systemic guidelines. Consequently,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supporting systmes should be prepared in the levels of university and department.

      • Platelet-Activating Factor 기도내 투여후 Surfactant Protein A, B 및 C의 유전자 발현에 관한 연구

        손장원 한양대학교 대학원 1997 국내박사

        RANK : 247615

        Platelet-activating factor ( PAF )는 염증반응의 중요한 매개체이며, 폐혈관의 투과성을 증가시키고, 급만성 폐동맥 고혈압을 유발하며 leukotriene의 합성을 촉진시킨다. 또한 PAF는 호중구의 화학주성, 응집, 탈과립 및 유착과 leukotriene C4 , D4 및 superoxide anion의 생산에도 영향을 미친다. PAF는 혈소판의 응집과 thromboxane A2 의 생산을 초래하여 혈액 응고를 촉진시키며 폐혈관계의 미소색전을 일으켜 폐 손상 발생의 주요원인 중 하나이다. 이와같은 현상은 PAF을 흡입후에도 유사한 반응들이 일어나는 것이 관찰된다. PAF는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RDS)의 병인에 중요한 매개체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Surfactant는 폐 방어기전에 영향을 미치는데 첫째, surfactant protein-A(SP-A)와 대식세포간 상호작용이 적절한 대식세포 기능 유지에 중요하다. 둘째, surfactant는 수많은 염증에 관여되는 매개체들을 적절이 조정하며 셋째, surfactant 단백자체가 중요한 산화방지능이 있으며 넷째, 호기시 폐포밖으로 외부에서 흡입된 각종 입자(불순물)들을 제거한다. 이 중 어느하나에 장애가 오면 ARDS의 병인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PAF를 백서 기도내 투여후 surfactant단백 A, B 및 C의 유전자 발현양상을 filter hybridization방법으로 조사하여 surfactant단백 A,B 및 C 유전자 발현에 대한 PAF의 효과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SP-A mRNA양은 PAF투여군에서 대조군 및 Lyso-PAF투여군에 비하여 각각 37.1% 및 41.6%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 < 0.025, p < 0.01 ). 2. SP-B mRNA양은 PAF투여군에서 대조군 및 Lyso-PAF투여군에 비하여 각각 18.7% 및 32.2% 감소하였으나, 유의한 차는 없었다. 3. SP-C mRNA양은 PAF투여군에서 대조군 및 Lyso-PAF투여군에 비하여 각각 30.7% 및 38.5%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 p < 0.01, p < 0.01 ). 이상의 결과로 SP-A, B, C mRNA에 대한 PAF의 억제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이와 같은 surfactant단백들의 발현에 대한 PAF의 억제효과가 급성 호흡곤란증후군의 병인의 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비세포폐암에서 cyclin D1,p53 및 bcl-2의 발현이 예후에 미치는 영향

        양석철 漢陽大學校 大學院 1997 국내박사

        RANK : 247615

        폐암은 전세계적으로 암에 의한 사망률 1위를 보이는 암종으로 우리 나라에서도 폐암의 발생율이 높아지면서 폐암의 사망율이 점차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지난 20여년간 암치료의 획기적인 진전에도 불구하고 폐암 환자의 예후는 별로 개선되지 못하고 있으나 폐암의 원인에 대한 여러 연구의 진척에 따라 폐암의 분자 병인론과 분자생물학의 발전과 더불어 다단계적 암발생과정에 대한 새로운 이해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또한 암발생에서 여러 유전자 변이와 다른 이상의 생물학적 역할에 대한 이해가 깊어짐에 따라 이러한 변이에 대한 임상적 의의를 부여하게 되었다. 세포 주기의 중요한 요소인 cyclin D계중 하나인 cyclin D1은 염색체 11q13에 존재하는 암유전자로 세포 주기에서 G1기에서 S기로의 진행을 촉진하므로써 세포 주기를 진행시키며 여러 연구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식도암, 유방암, 방광암, 간암 등과 같은 여러 암종에서 이의 과발현이 암발생에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는 보고가 있다. 또한 암유전자들과 종양 억제유전자들이 apoptosis의 발현을 조절한다고 알려지고 있는데 그중 bcl-2 암유전자는 apoptosis를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종양 억제유전자인 p53은 역으로 apoptosis를 촉진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렇게 p53은 세포 주기에서 p21와의 균형을 맞추면서 세포 주기 진행의 조절에 관여함과 동시에 bcl-2와 더불어 apoptosis에서 중요한 조절적 영향을 보인다고 알려져 있다. p53 암억제유전자의 변이는 인간에서 생기는 폐암을 비롯한 여러 암종에 가장 흔히 발견되는 것으로 p53 유전자는 G1/S기에서의 checkpoint에서 세포의 생장을 조절하는데 이유전자에 이상이 생기면 세포 증식 조절이 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일부 연구에서는 p53 유전자 발현이 폐암환자의 예후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는 반면 다른 일부 보고에서는 임상적 예후와는 별다른 영향이 없다고 주장한다. bcl-2 유전자는 여포성 림프종에서 t(14;18) 전좌되어 있는 것이 처음 발견되었으나 bcl-2 유전자의 생성은 항상 전좌에 의존하는 것은 아니다. bcl-2 유전자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세포가 apoptosis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보인다. bcl-2 유전자의 발현은 폐암, 유방암, 갑상선암, 난소암, 전립선암, 위암 및 대장암 등 다양한 표피 암종에서 보고되었으며 최근 보고에서는 bcl-2 발현은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보다 나은 예후 인자로 작용한다고 하였으나 이러한 암종에서 bcl-2의 정확한 생물학적 역할은 아직도 모호하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세포 주기를 직, 간접으로 조절하는 요소, 특히 cyclin D1, p53, bcl-2 들이 비소세포폐암의 예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이 실험을 계획하였다. 광범위 폐절제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cyclin D1, p53, bcl-2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 방법으로 이들의 발현 상태와 환자의 예후를 비교 분석하고 비소세포폐암에서의 예후적 의미를 부여하고자 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방법은 1980년부터 1994년까지 한양대학교 부속병원에서 비소세포폐암으로 진단되어 치료적 목적으로 광범위 폐절제술을 통해 얻어진 총 81예, 84예의 조직을 이용하여 cyclin D1과 p53 및 bcl-2 각각의 단클론성 항체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시행하였고 더불어 병리조직학적 특징과 임상적 특징, 특히 생존률과의 연관성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Cyclin D1의 발현은 총 81예 중 26예에서 발현되어 30.9%의 발현율을 보였고 각각의 조직형이나 병기, 암의 크기에는 통계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TNM 병기 판정에 따라 N0와 나머지 N1-3 두 군으로 나누어 비교할 때 cyclin D1 과발현에 따른 통계적 의의를 보였다(p=0.035). p53과 bcl-2의 발현은 총 84예 중 각각 47예가 발현되어 56.0%, 또한 15예가 발현되어 17.9%의 발현율을 보였다. bcl-2의 발현군은 생존기간이 64.23+10.73달이었으나 음성군은 생존기간이 35.28+4.39달(p=0.03)로 bcl-2의 발현은 생존율과 밀접한 연관을 보였다. Cyclin D1은 양성 발현군의 생존 기간이 22.76+3.50개월, 음성 발현군의 생존기간이 45.38+5.64개월(p=0.0515)로 생존율과의 상당한 차이가 있었지만 p53의 경우는 양성군의 생존기간이 34.71+6.12개월, 발현 음성군의 생존기간 45.35+6.30개월로 두 군 사이에 통계적 의의를 찾을 수 없었다(p=0.21). 결론적으로 cyclin D1은 비소세포폐암에서 상당히 불량한 예후 인자로 작용하였고(p=0.0515) bcl-2는 양호한 예후 인자로 작용하였으며(p=0.03) p53의 발현은 예후적인 인자로의 의미를 찾을 수가 없었다(p=0.21).

      • 드라마를 활용한 한국어 불평 화행 교육 방안

        상일화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14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드라마를 활용하여 불평 화행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1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이러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는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그리고 불평 화행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2장에서는 화행 이론과 불평 화행에 대한 살펴보았다. 기존 연구를 토대로 불평 화행의 개념과 불평 전략에 대한 정리하였다. 본 연구에서 불평 화행은 상대방의 체면을 위협하는 행위로서 화자가 청자 하는 행동이나 언어적 표현에 대하여 불쾌한 감정을 표현하기 위해 발화하는 행위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불평 화행 전략은 크게 상황에 대한 불평하기, 청자에게 불평하기 두 가지로 분류하였다. 청자에게 불평하기 전략은 청자에게 우회적으로 불평하기, 청자에게 직설적으로 불평하기 두 가지로 나눠져 있다. 청자에게 우회적으로 불평하는 전략에서 돌려 말하기, 빈정거리기, 소망 표출하기 세 가지 전략이 있다. 한편 청자에게 직설적으로 불평하는 전략에는 상황 제시하면서 지적하기, 반문하기, 보상 요구하기, 명령하기, 경고하기 전략이 포함시켰다. 3장에서는 드라마를 활용한 화행 교육이 어떤 가치가 지니는지에 대해 제시하였고 드라마 분석 대상과 기준을 설정하였다. 이정희(1999)에서 제시된 교육 자료를 선정하는 기준을 참고하여 선정한 기준은 다음과 같다. 첫째, 드라마의 내용 측면에서 한국어 학습자가 접하기 어려운 배경으로 하는 드라마는 제외한다. 둘째, 드라마에서 일어나는 장면 측면에서 한국어 학습자들이 많이 접하는 장면들을 위주로 한다. 셋째, 학습자의 학습 동기를 유발시킬 수 있도록 인기가 많은 드라마를 선정하는 것이 좋다. 넷째, 방언이나 비속어가 많이 나오는 드라마는 피해야 한다. 다섯째,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드라마를 선택하는 것이다. 이상의 다섯 가지 선정 기준을 바탕으로 ‘별에서 온 그대’, ‘상속자들’, ‘학교 2013’, ‘거침없이 하이킥’ 및 ‘지붕 뚫고 하이킥’ 등을 비롯한 한국 주요 방송국 SBS, KBS, MBC에서 나온 드라마 총 8편을 골고루 포함시켰다. 4장에서는 설정한 드라마에서 나타난 한국어 불평 화행을 불평 전략 및 사회적 변인 두 가지 측면을 통해서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불평 전략 측면에서 상황 제시하면서 지적하기 전략은 제일 많이 사용되었다는 결과가 나왔다. 그리고 반문하는 전략은 2위에 차지하고 있으며 돌려서 말하는 전략은 3위에서 찾아볼 수 있다. 한편 보상 요구하는 전략은 제일 적게 사용된 전략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상황에 대한 불평하는 전략과 소망을 표출하는 전략도 적게 사용된 전략이다. 그리고 사회적 변인 측면에서 상대적 우위, 사회적 거리감, 연령 이 세 가지 사회적 변인들은 불평 상황에서 실현된 불평 전략에 대한 작용하는 결과라고 확인할 수 있다. 5장에서는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한국어 불평 화행 교육에 있어서 교육 목표와 교육 내용에 대한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불평 화행 교육 목표는 불평 상황에 맞는 전략의 사용 및 전략에 맞는 불평 언어 표현 두 가지로 삼는다. 그리고 교육 내용은 사회적 변인, 수행 전략, 언어 표현 세 가지로 포함시켰다. 이를 바탕으로 중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실제 교수-학습 모형까지 마련되어 있다. 지금까지의 불평 화행 연구는 불평 화행 전략을 중심으로 교육하였는데 본고에서 불평 화행 교육의 내용은 불평 화행 전략뿐만 아니라 전략에 맞는 언어 표현 및 전략에 작용하는 사회적 변인과 함께 포함시켰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리고 설정한 교육 목표 및 내용에 따라 교수 모형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설계한 교수 모형을 실제 교육 현장에서 적용하지 못한 점이 아쉽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some implications of teaching the complaint speech-act for Korean learners. The first chapter pres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necessity of conducting this study, and examination of precedent studies. The second chapter talks about research of speech act theory and the speech act of complaining .Also, based upon precedent studies, it talks about reconceptualization of complaining speech-act and strategies of complaining. In this study, the speech act of complaint is redefined as an act of threatening the listener’s social image by expressing the speaker’s discomfort at the listener’s behaviors or verbal expressions. And the strategies of the speech act of complaint ar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which are complaining about a circumstance and complaining to a listener. Later, strategy is also subcategorized as complaining indirectly to listener—which consists of circumlocution, sarcasm, and wishing—and complaining directly to the listener— which consists of explaining responsibility in context, counter-questioning, requesting a reward, ordering, and cautioning. The third chapter explains the value of speech-act education utilizing dramas and defines target dramas and criteria for analysis. In accordance with the criteria of selecting education materials in Lee Jung Hee’s study(1999), the criteria redefined in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contents of drama: dramas which have a hard-to-learn background should be excluded. Second, with regards to selecting scenes: scenes which Korean learners are familiar with should be selected. Third, popular dramas should be chosen in order to motivate Korean learners. Fourth, dramas in which dialects are spoken or slang is used should be avoided. Fifth, Dramas which are appropriate to learner’s level should be selected. Based upon the five criteria explained above, 8 dramas broadcast by leading Korean broadcasting stations, SBS, KBS, MBC including 별에서 온 그대, 상속자들, 학교 2013, 거침없이 하이킥, and 지붕 뚫고 하이킥. The fourth chapter presents an analysis of the speech-act of complaint using complaint strategies and social variables. The result of this analysis is as follow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analysis, in terms of complaint strategies, the strategy of explaining responsibility in context used most. The counter questioning strategy is ranked second, while the circum locution strategy is marked third, complaining about the situation and wishing were less common strategies, requesting are ward strategy is used least. Regarding social variables, relative social standing, social distance, and age are confirmed as resulting in the complaint strategies utilized in complaining situation. The fifth chapter defines the goal and the content of the speech act of complaint, based up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e goal of education about the speech act of complaint is defined as proper usage of the complaint strategies in a complaint situation and using proper expressions of complaint according to the strategies. Educational contents of the speech act of complaint incorporate social variables, execution strategies and language expressions. Finally, a teaching/learning model for intermediate Korean learners is presented based upon these contents. This study’s innovative approach,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consider only complaint speech act strategies, is that the educational content also incorporates social variables in conjunction with proper usage of language expressions in each strategy when teaching complaint speech act strategies. Moreover, a teaching/learning model is presented according to the goal and the contents laid out in this study. Alth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benefits to Korean language learners, more real-world qualification is necessary. Therefore, application of the described teaching/learning model in an actual classroom is suggested for further analysis.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비교 표현 사용 양상 연구 : ‘만큼’, ‘처럼’ 및 ‘보다’, ‘에 비해(서)’를 중심으로

        GONG YANJUAN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비교 표현에 대한 사용 양상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을 밝히고 비교 표현에 관한 연구를 국어학과 한국어 교육학 두 가지로 분류하여 검토하였다. 국어학에서 비교 표현에 관한 연구이 활발하게 진행되었는데 한국어 교육에서 진행된 비교 표현에 관한 연구는 주로 대조 분석, 교재 분석으로 비교 표현에 대한 오류 분석은 아직 미흡하다. 본 연구는 문법성 테스트를 통해 중국인 학습자의 비교 표현 사용 양상을 파악하고 오류 원인을 분석할 것이다. 이를 통해 체계적으로 비교 표현의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비교와 비교 구문, 비교 표현 등의 개념을 명확히 밝히고 비교 표현의 분류를 살펴보았다. 동등 비교 표현 ‘만큼’과 ‘처럼’, 차등 비교 표현 ‘보다’와 ‘에 비해(서)’의 특성 및 이질성을 자세히 알아보았다. 그리고 한국어 비교 표현에 대응하는 중국어 비교 표현을 알아보았다. 3장에서는 한국어 교재에서 비교 표현이 어떤 양상을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비교 표현들의 제시 단계와 제시 양상을 알아보기 위해 한국 대학 기관에서 많이 쓰이는 한국어 교재 4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의 문제점 및 보완할 점을 파악하였다. 4장에서는 중국인 학습자의 비교 표현 사용 양상을 알아보기 위해 문법성 테스트를 만들었다. 중급 학습자와 고급 학습자 두 집단 간의 비교 표현에 대한 사용 양상의 차이를 분석하고 정리하였다. 비교 표현 사용 양상의 결과를 보면 중국인 학습자의 ‘처럼’에 대한 인식은 ‘만큼’보다 훨씬 높다. 이를 통해 중국인 학습자는 ‘처럼’을 더 선호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중국인 학습자의 ‘보다’에 대한 인식은 ‘에 비해(서)’보다 훨씬 높다. 이를 통해 중국인 학습자는 ‘보다’를 더 선호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고급 학습자가 중급 학습자보다 비교 표현을 더 잘 익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여전히 일부 문항에서는 중급이든 고급이든 정답률이 높지 않다. 이는 고급 학습자라도 비교 표현의 제약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5장에서는 중국인 학습자들이 비교 표현을 잘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교육 시 유의해야 하는 사항들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먼저, 동등 비교 표현을 교육할 때 선행어의 제약과 서술어의 제약으로 교육해야 한다. 또한, 차등 비교 표현을 교육할 때 ‘보다’만 가능한 상황과 ‘에 비해(서)’만 가능한 상황과 둘 다 가능한 상황으로 교육해야 한다. 이 같은 유의점을 고려하여 차등 비교 표현 ‘만큼’과 ‘처럼’의 경우 3단계로, 동등 비교 표현 ‘보다’와 ‘에 비해(서)’의 경우 4단계로 교수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비교 표현 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usage pattern of comparative expression of Chinese Korean learners. In Chapter 1, we clarify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study is divided into two sectors: Korean language study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pectively. The studies on comparative expression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in Korean language study. However, related research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mainly focused on comparative analysis and textbook analysis. In other words, there is insufficient study on the topic of error analysis of comparative expressio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usage of comparative expression for Chinese learners through grammatical tests. The cause of error is accessible, and the education project is proposed accordingly. The concepts of comparison, comparative sentence, and comparative expression are specified, and the classification of comparative expression is discussed in Chapter 2. The characteristics and heterogeneity of equivalent comparison expressions ‘만큼’ and ‘처럼’, and inequivalent comparison expressions ‘보다’ and ‘에 비해(서)’ are discussed in detail. Following, we learnt about the Chinese comparative expression in terms of Korean comparative expression. In Chapter 3, we observe the comparative expression in Korean textbooks. In order to understand the appearing stage and situation of comparative expression, we analyzed four Korean textbooks commonly used in Korean universities. Under the circumstances, we try to grasp the existing education problems and the method to solve them. In Chapter 4, a grammatical test is developed to understand the comparative expression performance of Chinese Korean learners. Through the test, we can analyze and summarize the differences in the use of comparative expression between the two groups of intermediate learners and advanced learners. The statistical results show that the learners have a much higher understanding of ‘처럼’ than ‘만큼’. It can be seen that Chinese learners prefer ‘처럼’. Moreover, Chinese learners' cognition of ‘보다’ is much higher than ‘에 비해(서)’. It can be seen that Chinese learners prefer ‘보다’. In addition, advanced learners are more familiar with comparative expressions than intermediate learners. However, both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still answered some questions incorrectly. The reason may be that even advanced learners have a hard time getting comparative expression right. In order to enable Chinese Korean learners to better use comparative expressions, we propose several issues that should be paid attention to in education process in Chapter 5. First, when teaching equivalent comparative expression, one should teach according to the constraints of preamble and predicate. In addition, when educating inequivalent comparative expression, it should be taught that there are cases where only ‘보다’ is applicable, only ‘에 비해(서)’ is applicable, and both are applicable. Considering the above significance, a 3-stage teaching scheme for equivalent comparison expression ‘만큼’ and ‘처럼’, as well as 4-stage teaching scheme of inequivalent comparison expression ‘보다’ and ‘에 비해(서)’ are proposed. This study provides data for comparative expression education and is therefore of great significance.

      •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 능력 발달 연구 : 계량적 분석을 기반으로

        MIKI TAKASHI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599

        This study examines, based on the quantative analysis of Korean learners’ corpus, the development of learners’ writing proficiency, especially focused on the lexical variation, the mean length per sentence, and the use of conjunctive adverbs. Reffering to Contrastive Interlanguage Analysis(CIA), the difference of Korean learners’ interlanguage is analyzed with the variance of the level of the Koean classes they are taking and their mother tongues. The first chapter displays the necessity of this study, the data and the methods used for this study, and previous resear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e appearance of Korean language learners’ interlanguage by analyzing their writing in Korean. To this end,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aspects other than the accuracy of learners’ language. This is because most previous researches in Korean education have dealt with the accuracy through the error analysis of learners’ language. The writing data that Korean learners made in their regular exam is used for the analysis and it contains 60951 tokens in 600 exam papers that each 100 learners made in each six levels. In the second chapter,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is study is presented. Specifically, after referring the theory of Contrastive Interlanguage Analysis(CIA) and the components of writing proficiency of Korean, the indexes of development used for this study are identified. The third chapter describes the result of the analysis which focuses on the difference of the learners’ writing proficiency with the variables of the levels of their Korean class. First, the result of ANOVA demonstrates that the difference of the lexical variation among the groups(beginner, intermediate, advanced) is significant. The difference of the mean length per sentence among the groups is also shown to be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use of conjunctive adverbs, it is revealed that the higher their level is, the lower the ratio of conjunctive adverbs to whole texts they wrote is. In the fourth chapter, the difference of learners’interlanguage is analyzed with the variable of their mother languages.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OVA, the mean score of the lexical variation i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of kanji users(Chinese, Japanese)and non-users in the beginner level. On the other hand, the difference of the mean length per sentence by the groups is significant in the intermediate and the advanced level, and not in the beginner level. Also, it is inferenced that the kinds of conjunctive adverbs which learners use are slightly different among the groups. The fifth chapter shows how the result of analysis of learners’corpus could be applicated to the contex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Learners’corpus research is one of the important areas to analyse learners’ interlanguage more objectively and scientifically. In this study, the difference of Korean learners’interlanguage among the gropus of the level and their mother language is analyzed by focusing on the the lexical variation, the mean length per sentence, and the use of conjunctive adverbs. As indicated above, this study focuses on just three indexes for analyzing learners’interlanguage. However, there would be more various indexes such as the difficulty level of vocabulary and the correctness of grammar for observating learners’language. More various dimention of Korean learners’interlanguage would be expected to be explored through corpus research in the future. 本研究は、韓国語学習者コーパスの分析を基盤として学習者の作文能力の発達様相を考察したものである。特に、作文における「語彙の多様性」、「一文の長さ」、「接続副詞の使用様相」に着目し、学習者の中間言語を考察した。分析に際しては「対照中間言語分析(Contrastive Interlanguage Analysis)」理論を参照し、学習レベルと母語背景による発達様相の違いを考察した。 第1章では研究目的および必要性、研究対象および道具、関連先行研究について論じた。具体的に、本研究は韓国語学習者の作文能力発達様相の特徴を明らかにすることを目的としていること、その考察を学習者言語の「正確さ」以外の観点から行うことなどを述べた。その理由として、韓国語教育分野における先行研究の多くが誤用研究を通じた「正確さ」の観点から行われており、それ以外の観点からの研究が不足していることを提示した。本研究の分析に使用されたデータは韓国語学習者が定期テストの際に書いた作文を基に構築された学習者コーパスであり、同コーパスには計600件、60591語の作文データが含まれている。 第2章では本研究における分析の理論的基盤について論じた。具体的に、「対照中間言語分析(Contrastive Interlanguage Analysis:CIA)」の概念、韓国語作文能力の構成要素、本研究で使用する発達指標について言及した。 第3章では学習者の学習レベル因子による作文能力の発達様相の違いを分析した。まず、レベル別の集団(初級·中級·高級)間で「語彙の多様性」指標の値に違いがあるのかを調べるため、分散分析 (ANOVA)を行った。その結果、集団間の平均値の差が有意であることが示された。同様に「一文の長さ」についても分析したところ、集団間の平均値に有意な違いが検出された。また「接続副詞の使用様相」を分析した結果、学習レベルが高いほどテクスト全体に占める接続副詞の比率が低いことが示された。 第4章では学習者の母語因子による学習者言語の違いを分析した。第3章と同様に分散分析(ANOVA)を行った結果、初級において漢字語圏(中国語、日本語)集団と非漢字語圏集団間で「語彙の多様性」の違いが有意であることが示された。一方、「一文の長さ」については中級と高級において集団間の平均値の違いが有意であった。また集団間で接続副詞の使用項目にも少しずつ違いが見られた。 第5章では学習者コーパスの分析結果を韓国語教育においてどのように活用しうるかについて論じた。 学習者コーパスの分析は、学習者の言語能力の発達様相をより客観的、科学的に考察するうえで重要な領域である。本研究では対照中間言語分析理論に基づき、学習レベルおよび学習者の母語背景別の集団間の「語彙の多様性」、「一文の長さ」、「接続副詞の使用様相」の各側面の違いを比較した。 本研究では前述の3つの指標を基に学習者の作文能力を分析した。しかし、学習者言語を考察する指標にはこの他にも、使用語彙の難易度や文法的な正確さなど、多様なものが存在する。今後学習者コーパスの分析を通じてより多様な指標について分析が進み、学習者の中間言語についてより多くの内容が明らかになることを期待する。

      •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연결어미 ‘-(으)니까’ 오류 연구

        최일박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언어학의 오류 분석 이론을 바탕으로 날로 증가하고 있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쓰기 텍스트 중 연결어미 ‘-(으)니까’의 사용 양상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연결어미 '-(으)니까'에 대한 효율적인 교수를 위한 제언도 같이 제시했다. 한국어를 공부하는 중국인 학습자들의 연결어미 사용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본 연구는 경희대학교 국제교육원에서 한국어를 학습하는 중국인 학습자의 작문을 선택하여 초, 중, 고급 학생 각 50명, 총 150명의 작문 자료를 분석했다. 각 단계별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테스트 자료를 통해서 4가지 결론을 내렸다. 첫째, ‘-(으)니까’의 대치 오류가 많다. [이유∙원인] 의미 기능은 인과관계 연결어미와의 대치 오류를 범하고 [상황 설명] 의미 기능은 주로 ‘-(으)ㄴ/는데’와 대치한다. 둘째, 초급 학습자가 회피 전략을 더1 많이 사용하고 중급 단계에 들어가면 연결어미 사용이 급증하고, 고급 단계에 들어가야 한국어에 대한 언어 체계를 형성한다. 셋째, 초∙중급 단계는 주로 ‘-(으)니까’의 [이유∙원인] 기능을 사용하고, 고급 단계 학습자가 [상황 설명] 의미 기능을 더 많이 사용한다. 넷째, 중국인 학습자가 시제 제약 오류에 있어서 제1 언어인 중국어의 영향이 크다. This research is based on error analysis theory and in order to analyze the using aspect of the causal connective ending ‘-(으)니까’ in the writing text for Chinese korean learner who is increasing day by da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ncluding the reasons why errors have occurred were divided into five grades based on the stage of korean language studying. Be based on the results, this research had put forward the proposal for education about the causal connective ending ‘-(으)니까’ in the end. In order to examine the using aspect of causal connective ending ‘-(으)니까’ for the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this research selected a total of 150 students writing materials that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junior, middle and senior and each level have 50 persons. These Chinese students all study korean language at the Institute of International Education of Kyung Hee University. Four conclusions can be drawn form each level of Chinese Korean learners' writing text. First, ‘-(으)니까’ has a lot of the substitution errors. The semantic function for cause and reason always make errors with the other causal connective ending. And students usually make mistakes with ‘-(으)ㄴ/는데’ for the semantic function of explaining of the situation. Secondly, the junior learners use more strategies of adjusting or approximating the message. When they are the middle stage, they use much more connective endings than before. Only to enter the senior level, they can truly get a system for Korean language. Thirdly, the students of junior stage and middle stage mostly use the semantic function for cause and reason. The senior learners use more the semantic function of explaining of the situation than the students of junior stage and middle stage. Fourthly, Chinese Korean learners make more tense errors with a great influence of the native language.

      • 트로트 노래 부르기가 노인의 스트레스와 우울개선에 미치는 영향

        오명규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트로트 노래 부르기가 노인의 스트레스와 우울개선에 미치는 영향과 변화를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 대상은 경남 밀양시 보건소 관내 65세 이상의 노인 315명을 대상으로 트로트 노래 부르기가 스트레스와 우울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노래 부르기 전 노인들의 스트레스와 우울 수준을 조사하고 노래 부른 후의 노인들의 스트레스 변화에 미치는 영향과 우울 개선에 미치는 영향 규명하였다. 노래 부르기 전 노인들의 스트레스점수 평균은 2.01로 중등도 스트레스군의 범위에 속하며, 스트레스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노래 부른 후에는 1.46으로 감소하여 트로트 노래 부르기가 스트레스의 27%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01). 또한 노인들의 우울 점수 평균은 10.33으로 정상범위에 속하며, 우울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개별 항목에 따라서는 각각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노래를 부른 후 4.81로 5.52점 감소하였다. 트로트 노래 부르기는 노인들의 우울 점수를 약 53.4%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음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001).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고령이 될수록 스트레스와 우울의 수준이 높아질 환경에 노출될 수 있음을 고려해 볼 때 트로트 노래 부르기는 노인들의 정서변화에 중요한 활동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트로트 노래 부르기를 노인들의 스트레스 및 우울 개선을 위한 대중음악치료 프로그램의 하나로 연구개발 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 of trot singing on the stress and depression for the elders. The summary of the results is shown below. Levels of stress and depression of 315 elders over 65 years of age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singing trots to determine the effect of singing trots on stress and depression. The mean value of stress scores before singing was 2.01, which was moderate, and the value dropped down to 1.46 after singing. Trot singing decreased stress level by 27%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1). The mean value of their depression level was 10.33, which was within the normal range. The level of depression was low, but each individual item displayed high deviation. It decreased by 5.52 to 4.81 after singing. Trot singing decreased depression level by 53.4%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1). Based on the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rawn: Considering the fact that older persons are more likely to be exposed in environment that increases stress and depression, trot singing is an important activity to improve their emotions. Therefore, it exhibits the need to R&D trot singing as a music therapy program to improve stress and depression levels for the elders.

      • 미얀마인 한국어 학습자의 연결어미 오류 연구 : ‘-아서/-어서’와 ‘-(으)니까’를 중심으로

        SWE SWE AUNG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논문은 한국어를 대학에서 전공하고 있는 미얀마인 학습자들이 사용하고 있는 한국어의 이유⋅원인 연결어미 ‘-아서/-어서’와 ‘-(으)니까’의 오류 분석을 실시하고 그 원인을 분석하여 해당 표현을 정확하게 사용하게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법성 판단 테스트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각 표현에 대한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미얀마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논의한 연구 및 한국어의 인과 관계 연결어미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둘째, 이론적 배경으로 오류의 개념, 오류의 의의와 오류 유형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본고에서 정리한 오류 결과들을 유형화하고자 하였다. 셋째, 한국어와 미얀마어 인과 관계 연결어미의 특징을 의미적․통사적 측면에서 살펴보고 대조함으로써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힐 수 있었다. (또한 삭제) 한국어와 미얀마어 연결어미들은 일대일로 대응되는 연결어미가 없으며 ‘-아서/-어서’와 통사적 기능이 대부분으로 대응된다고 표현할 수 있는 미얀마어 연결어미로 နဲ့(တာနဲ့) (nae(tae nae))가 있음을 밝힐 수 있었다. 넷째, 중⋅고급 단계에서 미얀마인 한국어 학습자 150명을 대상으로 문법성 판단 테스트를 통햬 ‘-아서/-어서’와 ‘-(으)니까’ 오류 양상을 살펴보았다. 문법성 판단 테스트는 한국어로 된 문장에서 ‘빈칸 채우기’ 테스트와 미얀마어로 제시된 문장을 한국어로 ‘번역하기’ 테스트로 구성하였다. 문법성 판단 테스트 실시 결과, 중⋅고급 단계에서 학습자들이 대치 오류를 이형태 오류와 시제 오류보다 높게 범했다는 것을 밝힐 수 있었다. 또한 ‘-(으)니까’ 오류율보다 ‘-아서/-어서’ 오류율이 높게 나타났는데 그것은 ‘–아서/-어서’의 통사적 제약 때문이라고 할 수 있겠다. 또 다른 이유로 모국어인 미얀마어의 간섭 때문이라고 추정할 수 있는데 미얀마어의 인과 관계 연결어미들은 한국어에 비해 의미적 기능이 뚜렷하지 않고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섯째, 미얀마인 학습자들이 중⦁고급 단계임에도 불구하고 ‘-아서/-어서’와 ‘-(으)니까’ 사용에 오류가 빈번하게 나타내기 때문에 초급 단계부터 정확한 교육이 요구된다고 파악하여 초급 단계 학습자를 위해 각 연결어미에 대한 교육 방안을 ‘도입 → 제시 → 연습 → 활용 → 마무리’ 5가지 단계로 제시하였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는 미얀마인 학습자들이 각 연결어미의 문법적 특징을 잘 이해하고 상황 맥락에 따라 제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교육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아서/-어서’와 ‘-(으)니까’의 인과 관계 하나의 의미 기능을 중심으로만 오류를 분석하였고 다른 의미 기능까지 확장하지 못한 점은 향후 관련 연구를 통해 보완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sure that the Korean Connective Endings: ‘-아서/-어서’ and ‘-(으)니까’ are used properly and exactly by Myanmar learners who are majoring in Korean at university by carrying out the error analysis on those connective endings and analysing the reason of those. In order to do that, after doing the grammaticality judgement test to the students, the teaching plans for each connective ending are going to be presen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test. First, the outcomes of the research on Myanmar Korean learners and related studies to Korean connective endings are examined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Second, in theoretical background, the concept and meaning of error and types of error will be examined and then the error results summarized in this paper will be categorized. Third, I could find out the common features and differences of both Korean and Myanmar connective endings by examining and compa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m in the semantic and syntactic aspects. In addition, there is no connective ending corresponding one-to-one in Korean and Myanmar language but it can be said that န(ဲ့ တာန)ဲ့(nae(tae nae)) in Myanmar mostly corresponds with ‘-아서/-어서’ in Korean syntactically. Fourth, the grammaticality judgement test had been progressed to 150 Myanmar Korean learners who are in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s to examine the condition of the errors of ‘-아서/-어서’ and ‘-(으)니까’. In this test, there are two types : ‘fill in the blanks’ and ‘translation (Myanmar to Korean)’. As the results of the grammaticality judgement test, both of learners in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s had higher substitution errors than allomorph and tense ones. Moreover, the error rate of ‘-(으)니까’ was higher than those of ‘-아서/-어서’ due to the syntactic constraints of itself. It can also be assumed that errors of ‘-아서/-어서’ is due to the interference of mother tongue, Myanmar. This is because most of the connective endings in Myanmar are not distinct semantically and can be used freely in comparison with Korean. Fifth, as Myanmar Korean learners made several errors while using ‘–아서/-어서’ and ‘-(으)니까’, in spite of being at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 in Korean, it would be necessary an accurate education about the connective endings in Korean and therefore teaching plans are designated according to the 5 educational stages: warming up → presentation → practice → using → follow-up for basic Myanmar Korean learners. In conclusion, this study can be said that it is meaningful for presenting teaching plans of ‘-아서/-어서’and ‘-(으)니까 in order to be able to understand the grammatical characteristics of each ending through this study and use them properly. However, in this study, the errors of ‘-아서/-어서’ and ‘-(으)니까 were analyzed only in terms of causal relation but not be able to expand to the other meaning functions of them and therefore I hope that they could be supplemented by related studies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