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광주·전남지역 중국 유학생들의 한국의류제품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자오링링 호남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63

        As China has gradually globalized, consumers in China have changed for culture-oriented consumption life, getting out of the propensity to materially consume. In particular, China has imported Korean popular culture such as Korean drama, K-pop, and Korean movies since the end of 1990s, which triggered the Korean wave in China, and brought out growing interest in Korean culture and society such as fashion, food, cosmetics, and hair style, together with sensational popularity in Korean pop culture such as Korean drama, K-pop, and Korean movies. China with approximately 1.3 billion people serves as a manufacturing plant of the world, which is grabbing attention from the world people for the global market. Together with rapid growth in economy, increased income and education levels, and improved standard of living, the quality of average life has risen, so the consumption pattern of the people has changed from the basic necessities of life to decent life which they can afford. Following global luxury goods and the latest fashions in Europe is not a rare case any more in China today. Such a change also has led to change in clothing consciousness of the people in China. For Chinese today, clothing is no more a fundamental need, but a symbol for personal satisfaction or individuality expression, representing their social status. Behind this, there is considerable purchasing power of Chinese students who study in South Korea. The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South Korea use and enjoy trendy Korean clothing, culture and music, and then recommend and promote them to their family and friends in China. Research on purchasing behavior of the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South Korea will enable Korea clothing industry to establish long-term strategy and strategy for its advancement to Chinese market. Thus, this research herein aims to investigate what difference the purchasing behavior can make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argeted for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South Korea on their purchasing Korean clothing products. To achieve th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obtain what difference each of the purchasing behavior can make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age, region, academic background, residence period in South Korea, average monthly spending money, and average monthly spending money on clothing, by classifying purchasing behavior into 5 factors (i.e. purchase motivation, information source, apparel attribute, store selection criteria, and after-purchase satisfaction).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intended for Chinese students attending 10 universities in Gwangju and Jeonnam areas, including Honam University, Chosun University, Gwanju Universit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Kwangju Women's University, and Nambu University in Gwangju, Sunchon National University in Sunchon, Sehan University and Mokpo National University in Mokpo, and Dongshin University in Naju. For data collection, a total of 25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from May 7, 2014 to May 18, 2014 with each 25 copies of them distributed to the universities, and the 208 copies of them were collected. Out of them. a total of 183 copies of them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data, except for 25 copies of them having inappropriate responses. Results show that the average values of items 'Because of the change of seasons', 'Purchase experience in their past', 'Color', 'Quality of Product' and 'Suitability of body type (comfortable wearing sensation and size)' were the highest 3.60, 3.27, 3.85, 3.74, and 3.60, respectively for purchase motivation, information source, apparel attribute, store selection criteria, and after-purchase satisfaction. Purchasing behavior by age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difference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two items 'worn clothing' and 'to show financial affordabilit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urchase motivation by region, and the four item 'to show financial affordability', 'because of the change of seasons', 'to wear trendy clothing', and 'to wear clothing on holidays and birthday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urchase motivation by academic background, meanwhil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urchase motivation by residence period in South Korea. Firstly, when it comes to purchase motivation, the four item 'Because of feeling the urge by seeing clothing displayed in shops', 'To wear trendy clothing', 'Because of desire to wear new product of fashion magazine' and 'To participate in social activiti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urchase motivation by average monthly spending money. The four items 'Because of feeling the urge by seeing clothing displayed in shops', 'to wear trendy clothing', 'to express my individuality with clothing' and 'because of desire to wear new product of fashion magazin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urchase motivation by average monthly spending money on clothing. Secondly, when it comes to information sourc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information source by region, meanwhile the two items 'advice from sales clerk' and 'advice from friends or co-worker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information source by academic backgrou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information source by resident period in South Korea. The four items 'clothing of entertainers and celebrities', 'advertisement through printing media (e.g. newspaper, fashion magazine advertisement), 'newspaper and broadcasting articles about fashion', and 'display of shops or shop window'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information source by average monthly spending money, meanwhile one item 'clothing of entertainer or celebriti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information source by average monthly spending money on clothing. Thirdly, when it comes to a 중국은 점점 글로벌화가 되면서 중국 소비자들이 물질적 소비성향에서 벗어나 문화 중심적 소비의 삶을 추구하도록 변화시켰다. 특히 1990년 말 이후 중국은 한국드라마, 가요, 영화 등 대중문화를 수입하여 큰 인기를 끌어 ‘한류’가 형성 되었으며, 한류열풍으로 중국에서는 한국의 드라마, 가요, 영화 등의 한국 대중문화에 대한 선풍적인 인기와 이에 의해 촉발된 패션, 음식, 화장품, 헤어스타일 등과 함께 한국의 문화와 사회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이와 함께 13억이라는 방대한 소비인구를 갖고 있는 중국은 전 세계의 제조공장으로서 또한 세계시장으로 세인들의 주목을 끌고 있다. 경제적인 급성장과 더불어 국민들의 소득 수준이 증대, 교육수준의 향상, 생활수준의 개선 등으로 평균적인 삶의 질이 높아지고 있으며 기본적인 의식주 수준에서 이제는 어느 정도의 여유를 추구할 수 있는 수준으로 소비패턴이 바뀌었다. 세계적인 명품을 구매하고 유럽 및 최신유행을 추구하는 것은 중국에서 더 이상은 과거에는 보기 드물었던 희한한 일이 아니다. 이러한 변화는 중국인들의 패션에 대한 의식에도 변화를 가져오게 하였다. 중국인들에게 있어서 의복은 더 이상은 의, 식, 주의 기본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욕구가 아니라 개인의 만족이나 개성표현 또한 자신의 신분과 지위를 나타내기 위한 상징으로서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는 한국에서 유학을 하고 있는 중국학생들의 구매력을 무시할 수 없다. 재한 중국유학생들은 한국의 패션, 문화, 음악 등을 직접 사용하고 중국의 가족과 친구들에게 추천하고 홍보하기도 한다. 중국 유학생들의 이런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를 통해 한류의 장기적인 전략과 한국의류산업의 중국진출을 위한 전략을 추구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국유학생들을 대상으로 한국의 패션의류 제품을 구매함에 있어서의 구매행동이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구매행동을 구매동기, 정보원천, 의류제품 선택속성, 점포선택기준, 구매 후 만족도 등 5가지로 구분하여 연령, 지역, 학력, 한국 거주기간, 한달 평균 용돈, 한달 평균 의류구매 지출 등의 특성에 따라 각각의 구매행동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설문지 조사를 통해 알아보았다. 설문조사는 광주·전남지역의 10개 대학에서 재학 중인 중국 유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10개 대학은 광주지역의 호남대학교, 조선대학교, 광주대학교, 전남대학교, 광주여자대학교, 남부대학교이고 순천지역의 순천대학교, 목포지역의 세한대학교, 목포대학교, 나주지역의 동신대학교이다. 자료의 수집은 2014년 5월 7일부터 5월 18일까지 각 대학별로 25부씩 총 250부를 배부하여 최종 208부가 회수되었으며, 이 중 응답내용이 불완전하거나 성실하지 않은 25부를 제외한 총 183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구매동기에 있어서는 ‘계절이 바뀌므로’ 문항의 평균값이 3.6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정보원천에 있어서는 ‘본인 과거의 구매경험’의 평균값이 3.27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고, 의류상품의 선택속성에 있어서는 ‘색상’의 평균값이 3.8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점포선택기준에 있어서는 ‘상품의 품질’의 평균값이 3.74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으며, 구매 후 만족도에 있어서는 ‘체형과의 적합성(편안한 착용감, 사이즈)’의 만족도 평균값이 3.6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에 있어 연령에 따른 구매행동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매동기에 있어서의 차이를 살펴보면, 지역에 따른 구매동기의 차이에 있어서는 ‘옷이 낡아서’, ‘경제적으로 여유있게 보이기 위해서’의 두 문항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력에 따른 구매동기의 차이에 있어서는 ‘경제적으로 여유있게 보이기 위해서’, ‘계절이 바뀌므로’, ‘유행하는 옷을 입기 위하여’, ‘명절, 생일 등에 입기 위하여’의 네 문항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 거주기간에 따른 구매동기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서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달 평균 용돈에 따른 구매동기의 차이에 있어서는 ‘매장에 전시된 의복을 보고 충동을 느껴서’, ‘유행하는 옷을 입기 위하여’, ‘패션잡지의 신상품을 입고 싶어서’, ‘사교활동에 참여하기 위해서’ 의 네 문항에 대해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달 평균 의류구매 지출에 따른 구매동기의 차이에 있어서는 ‘매장에 전시된 의복을 보고 충동을 느껴서’, ‘유행하는 옷을 입기 위하여’, ‘옷차림으로 나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해서’, ‘패션잡지의 신상품을 입고 싶어서’ 의 네 문항에 대해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정보원천을 살펴보면, 지역에 따른 정보원천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력에 따른 정보원천의 차이에 있어서는 ‘판매원의 조언’,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