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정당한 교육지원에 필요한 건강 및 안전관리 실태와 지원방향에 대한 관리자 인식

        박경옥,신윤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9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2 No.2

        Purpose: This study was to find out school administrators’ perceptions about health management and support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for educational support. Method: Participations were 15 schools’ administrators in 19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Data were collected by interview. Data was analyzed by qualitative coding and categorized.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school administrators and parents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have difficulties to support and manage their health and feeding, They also were lacking in human resource and facilities despite of their count-measures. The cooperation among people related should be necessary and make a detailed future plan to support. also make a policy according to the current situation. Conclusion: Therefore, we discussed about health and safe management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nd suggested about future directions for their health and safety. Method: Participation was 15 schools’ administrators in 19 physical disabilities and Data was collected by interview. Data was analyzed by qualitative coding and categorized. Results: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that school administrators and parents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have difficulties to support and manage their health and feeding, They also were lack of human resource and facilities despite of their count-measures. The cooperation among people related should be necessary and make a detailed future plan to support. also make a policy according to the current situation. Conclusion: Therefore, we discussed about health and safe management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nd suggested about future direction for their health and safety. 연구목적: 본 연구는 지체장애 특수학교의 관리자를 대상으로 지체장애를 주 장애로 하는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교육권 보장을 위해 학생이 요구하는 의료적 지원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고 현재 학교의 지원 실태는 어떠하고, 향후 어떠한 지원이 필요한지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전국 9개 지체장애학교 중 지역 및 설립유형을 분배하여 학교관리자(교장 또는 교감)를 대상으로, 지체장애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교육권 확보를 위한 학교차원에서 건강관리 및 안전교육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 관련한 지원의 방향성에 대해 개별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현장에서 겪고 있는 어려움은 현재의 당면한 어려움에 대해 역할과 책임에 부여되지 못한 상태에서 모두가 힘든 교육을 하고 있으며, 학생의 학습 참여를 독려하기 위한 턱없이 부족한 안전시설과 지원인력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보고 하였다.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관리자들은 건강관리 및 인권상담을 위한 협력체계가 구축되고, 지원인력의 수와 이들의 질적 수준을 고양할 수 있는 지원책이 마련되어야 하고, 현장을 고려하여 반영적인 정책지원이 이루어졌을 때 자신의 자리에서의 책무를 다할 수 있을 것이라 하였다. 결론: 국가, 학교단위, 그리고 교사 개인이 중도․중복장애 학생들의 교육활동 중 건강과 안전관리 확보 방안에 대한 쟁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구방법: 전국 9개 지체장애학교 중 지역 및 설립유형을 분배하여 학교관리자(교장 또는 교감)를 대상으로, 지체장애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중도ㆍ중복장애 학생의 교육권 확보를 위한 학교차원에서 건강관리 및 안전교육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 관련한 지원의 방향성에 대해 개별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현장에서 겪고 있는 어려움은 현재의 당면한 어려움에 대해 역할과 책임에 부여되지 못한 상태에서 모두가 힘든 교육을 하고 있으며, 학생의 학습 참여를 독려하기 위한 턱없이 부족한 안전시설과 지원인력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보고 하였다.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관리자들은 건강관리 및 인권상담을 위한 협력체계가 구축되고, 지원인력의 수와 이들의 질적 수준을 고양할 수 있는 지원책이 마련되어야 하고, 현장을 고려하여 반영적인 정책지원이 이루어졌을 때 자신의 자리에서의 책무를 다할 수 있을 것이라 하였다. 결론: 국가, 학교단위, 그리고 교사 개인이 중도ㆍ중복장애 학생들의 교육활동 중 건강과 안전관리 확보 방안에 대한 쟁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일상생활동작 수행과 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계

        박재국,김은라,임세령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9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2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Method: To this end, 155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ttending special schools were surveyed about their daily activities and quality of life. Results: First, it was shown that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had some level of needing help partially,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according to grade, type of disability, and level of communication. Second,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was found to be normal,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according to grade, type of disability, and level of communication. Thir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statistical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such as removals, movements, meals, and toiletries were suggested. 연구목적: 본 연구는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일상생활동작 수행 수준과 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계를 탐색함으로써 중도․중복장애학생의 건강관련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중도․중복장애학생의 담당 교사 155명을 대상으로 담당 학생의 일상생활동작 수행과 건강관련 삶의 질 수준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일상생활동작 수행은 부분적인 도움이 필요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도․중복장애학생의 학교급, 장애유형, 의사소통 수준에 따라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둘째, 중도․중복장애학생의 건강관련 삶의 질 수준은 보통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급과 장애유형, 의사소통 수준에 따라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셋째,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일상생활동작 수행 수준과 건강관련 삶의 질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일상생활동작을 독립적으로 수행할수록 건강관련 삶의 질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착탈의, 이동, 식사, 용변처리에 대한 효율적인 교수를 제공함으로써 중도․중복장애학생이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구기운동이 지체장애노인의 혈중지질과 스트레스호르몬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김성진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0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3 No.4

        The purpose of this prospective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12-week ball exercise such as table tennis, gate ball, and park golf and to provide with an indicator of physiological (body composition, blood lipid, and stress hormones) and mental changes from the exercise program among the handicapped elderly.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24 handicapped males with age of 65 or over using the B disabled rehabilitation facilities in A city, and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including experimental group (n=12; 8 joint dysfunction and 4physical dysfunction) and control group (n=12; 7 joint dysfunction, 5 physical dysfunction). SPSS 17.0 for Windows was addressed to analyze the research data,and ANCOVA was used to compare the mean of the two groups. The significant level was set at .05. The results showed that weight and body fat mass decreased to some degree while lean body mass increased in the experiment group. As for blood lipid,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and LDL-C decreased, and HDL-C increased. On stress hormone, cortisol, epinephrine and norepinephrine decreased in the experiment group. Of the changes in the mental health, the experiment group had lower scores than control group on the negative subpart of the mental health, such as tension, depression, anger, fatigue while the score of vitality as the positive subpart of the mental health was higher in the experiment group. Therefore, the 12-week ball exercise performed in this research was seen to have positive effects on physiological and mental aspects for the handicapped elderly. 이 연구의 목적은 65세 이상의 지체장애노인을 대상으로 12주간 규칙적인 구기운동참여,즉 지체장애인들이 선호하는 탁구, 게이트볼, 파크골프 종목을 적용하여 신체조성, 혈중지질, 스트레스호르몬 및 정신건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는데 있으며, 이러한결과로 장애를 가진 지체장애노인들이 신체활동을 함으로써 가지는 운동효과 측면에서 생리적·심리적 변화에 대한 하나의 지표를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A시에 거주하면서 B장애노인복지시설을 이용하고 있는 후천적 남성 지체장애노인 총 24명(관절장애 15명, 지체기능장애 9명)이며, 참여집단 12명(관절장애 8명, 지체기능장애 4명)과 비참여집단 12명(관절장애 7명, 지체기능장애 5명)으로 무작위로 할당된 장애인복지법에 의한 등급으로 구성되었다. 측정된 자료는 SPSS WIN Version 17.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참여집단과 비참여집단간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종속변인별로 구하였다. 두 집단 간의 평균비교는 사전검사 측정값을 공변인으로 하여 사후검사 측정값을 서로 비교하는 공분산분석(Analysis of Convariance)으로 분석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신체조성의 체중과 체지방량은 다소 감소하였으며, 제지방률은 다소 증가하였다. 혈중지질은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이 감소하였으며,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은 증가하였다. 스트레스호르몬은 코티졸, 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이 감소하였다. 정신건강의 변화에서는 하위요인 중, 부정적 요인인 긴장, 우울, 분노,피로, 혼동의 수준에서 참여집단이 비참여집단보다 매우 낮아졌고, 긍정적 요인인 활력의수준에서는 참여집단이 비참여집단보다 매우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수행한 12주간의 규칙적인 운동은 지체장애노인의 생리적, 심리적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지체장애노인의 심혈관 질환 개선뿐만 아니라,특히 심리적인 정신건강의 변화에 매우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온다는 결론을 얻었다.

      • KCI등재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진로 및 직업교육 방안

        이미숙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20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3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the model on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in order to suggest ways of enhancing the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Method: The study reviewed journal articles, curriculum, models, and scales regarding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Results: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method proposals for the studen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suggested ways to enhance the perceptions of careers and vocational education of school members, community members, and family members. Second, the study suggested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methods based on examples of schools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Third, the study suggested plans for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to connect schools, communities, and families. Fourth, the study suggested methods of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based on communities and families. Finally, the study suggested ways of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through research base support as well as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Conclusion: The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needs to focus on vocational rehabilitation based on practical placement of the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fter their school graduation. 연구목적: 본 연구는 중도·중복장애학생의 학교에서 사회로의 원활한 지원을 위한 진로·직업교육의 모형을 개발하여,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진로·직업교육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진로·직업교육에 대한 학술지 논문,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진로·직업교육 관련 교육과정,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진로·직업교육 관련 모형,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진로·직업교육 관련 척도를 중심으로 문헌을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진로 및 직업교육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도·중복장애학생들의 진로·직업교육에 대한 학교구성원, 지역사회구성원, 가족구성원의 인식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학교중심의 중도·중복장애학생 진로·직업교육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학교와 지역사회 및 가정과의 연계를 통한 진로·직업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넷째, 지역사회 및 가정 중심의 진로·직업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 기반의 지원을 통한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진로·직업교육 방안과 행·재정적인 지원을 통한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진로·직업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결론: 중도·중복장애학생의 학교 졸업 이후의 실제적인 배치를 고려하여 직업재활에 초점을 맞춘 진로 및 직업교육의 방향이 마련되어야 한다.

      • KCI등재

        중도・중복장애학생의 개별화교육계획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

        박재국,김진주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4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7 No.4

        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provide basic data for efficient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by reviewi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of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To that end,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127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structing students with severe multiple disabilities in 9 special education schools located in Busan Metropolitan City, and the following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perception of the establish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level of importance was recognized high, but level of implementation was found normal, and through analysis of Borich requirement items, required for efficient operation of the plan for individualized education by each stage were extracted. Second, in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by teacher factors for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the perceptions differed significantly statistically depending on acquired qualification, the experience of instructing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the total number of students to instruct, and the ratio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Based on such study results, the application measure of IEP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for the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was discussed. 본 연구는 중도․중복장애학생 개별화교육계획에 대한 특수학교 교사의 인식을 검토하여 중도․중복장애학생의 효율적인 개별화교육계획 수립․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소재 9개 특수학교에서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지도하는 특수교사 12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에 따른 주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도․중복장애학생 개별화교육계획 수립․실행․평가에 대한 인식에서 중요도는 높게 인식하는 반면 수행도는 보통으로 나타났으며, Borich 요구도 분석을 통해 각 단계별로 효율적인 개별화교육계획 운영을 위해 요구되는 항목을 추출하였다. 둘째, 중도․중복장애학생 개별화교육계획에 대한 교사변인별 인식차이에서는 소지자격, 중도․중복장애학생 지도 경력, 지도하는 총 학생 수 및 중도․중복장애학생의 비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도․중복장애학생 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개별화교육계획 적용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중도·중복장애의 개념, 진단평가 및 교육지원 관련 연구동향 분석

        한경근,이미경,박윤정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09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2 No.1

        이 연구는 1990년대부터 시작하여 2008년 9월까지 국내에서 이루어진 중도·중복장애관련 연구를 고찰하여 중도·중복장애의 개념적 정의와 특성을 알아보며, 그에 따른 교육적 지원에서 가장 필요로 한 부분이 무엇인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도·중복장애를 지닌 학생을 대상으로 한 문헌 96편을 선정하여, 중도ㆍ중복장애의 특성, 진단평가 체제, 교육지원 주제 동향 등을 살펴보았다. 첫째, 장애영역에 있어서는 단일 중도 장애로 뇌성마비가 가장 많았으며, 중복장애의 경우는 정신지체 중복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념적 정의 측면에서, 뇌성마비는 적응행동과 운동에 관한 정의가 많은 반면 정신지체는 적응행동에 관한 정의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중도·중복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의 교육적 지원을 위한 진단체제는 많이 실시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도·중복장애를 지니고 있는 학생들의 지원부분에서는 의사소통, 운동과 건강, 교육과정에 관련된 내용이 많았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혼용되고 있는 여러 용어들을 ‘중도·중복장애’로 통일할 것을 제안하며, 중도·중복장애 학생들을 위한 교육적 제안들도 함께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conceptualize the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nd to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in the field of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by synthesizing the 96 related articles published between 1990 and 2008 across 13 major special education journals. Specifically, this study focused on the definition of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research trend on supports, and assessment. The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cerebral palsy occupied high portion among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In addition, mental retardation was also frequently cited as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Most articles for cerebral palsy defined and explained characteristics, concepts on adaptive behavior and motor area. On the other hand, most of articles for mental retardation explained concept of adaptive behavior. Second, it was found that assessments to make up appropriate education and monitor its progress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were rarely conducted. Third, research trends of supports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were focused on communication, motor and health, and educational curriculum. We also discussed further research implications for educating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 KCI등재

        중도·중복장애아동의 자기결정권에 관한 현상학적 이해

        김혜리,박재국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0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3 No.1

        This study is aiming at phenomen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self-determination of severe and multiple handicapped children by reflective considering the case of severe and multiple handicapped children based on the phenomenological major concept and by discussion. In order to accomplish above purposes, first, according to the model or concept of self-determination for the special education area and the precedence research, they are premised on the rational-intellectual ability of severe and multiple handicapped children and based on the objective and reasonable viewpoint. Second, according to the phenomenological understanding about self-determination of severe and multiple handicapped children, there is no concept for self-determination which can be applied to every severe and multiple handicapped children equally. Moreover, we found that the concept of self-determination should be understood and applied based on the experience and existence of severe and multiple handicapped children, other people, and the relation between others and severe and multiple handicapped children. In other words, in order to understand the self-determination of severe and multiple handicapped children, one should know the experience and existence of severe and multiple handicapped children first, which means that self-determination can be performed in the relation between others and severe and multiple handicapped children, and the relation itself indicates the self-determination of severe and multiple handicapped children. A body is a medium which makes the mutual subjective relation between others and severe and multiple handicapped children. Likewise, one should recognize that the formation of the relation through the body is the inherent and subjective self-determination of severe and multiple handicapped children. 본 연구는 현상학의 주요개념 즉, 판단중지, 생활세계, 상호주관성, 상호신체성 등에 근거하여 실제적 사례에 대한 반성적 고찰을 행함으로써 중도·중복장애아동에 있어서 자기결정의 개념 및 기본원리를 현상학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첫째, 특수교육분야에서 사용된 기존의 자기결정권의 개념과 모델 그리고 선행연구의 동향을 검토한 결과, 이들은 장애아동의 이성적-인지적 능력을 전제로 하고 있고 장애를 가지지 않은 아동의 기준과 잣대에 근거하고 있으며 자연과학의 객관적-합리적 세계관의 이념에 바탕을 두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중도․중복장애아동의 자기결정권에 대해 현상학적으로 접근하여 이해한 결과, 중도·중복장애아동 모두에게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 자기결정권의 개념은 존재할 수 없으며 각 아동의 경험양식 및 실존에 따라, 그 아동과 관계하는 타자에 따라, 그리고 중도·중복장애아동과 타자 간의 관계방식에 따라 자기결정권의 개념은 달리 이해되고 적용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즉, 중도·중복장애아동에게 있어 자기결정권이 무엇인지 해명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경험양식 및 실존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는데, 이는 중도·중복장애아동 그리고 그들과 관계하는 타자 간의 관계성 속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쌍방 간의 상호주체적 관계 자체가 바로 중도·중복장애아동의 자기결정을 의미한다고 말할 수 있다. 이 때 신체는 중도·중복장애아동과 타자의 상호주체적 관계를 성립시키는 매개이자 대화를 위한 도구이며, 이와 같이 신체를 통한 관계형성은 중도중복장애아동의 고유하고 주관적인 자기결정권 그 자체임을 인식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중·고등학교 지체장애학생 통합교육과 관련한 특수교사의 경험과 지원요구 탐색

        김선희,정지윤,박은혜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23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6 No.4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중·고등학교에서 지체장애학생을 지도한 특수교사의 경험을 바탕으로 중·고등학교지체장애학생의 성공적인 통합교육 실현을 위한 특수교사의 지원요구를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중·고등학교 특수학급에서 지체장애학생의 통합교육을 실행한 경험이 있는 특수교사 10명을 대상으로 개별면담을 진행하고 모든 면담을 전사한 후, 면담자료를 지속적 비교분석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 결과 3 개의 대주제와 13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연구결과 중·고등학교 지체장애학생의 통합교육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가족, 학교, 특수교육지원센터 간의 협력을 중심으로 1) 가족과의 협력 및 지원, 2) 학교 차원의 지원 및 구성원 간의 협력, 3) 교육청 차원의 통합교육지원, 4) 특수학급 교사의 지체장애학생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개선 및 전문성 강화와 같은 다차원적 지원방안이마련되어야 한다. 결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고등학교 지체장애학생의 통합교육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 후속 연구를제언하였다. 첫째, 중·고등학교에서 통합교육을 받는 중도의 지체중복장애학생의 수가 많아짐에 따라 일반 학교내에서 특수교사와 보건교사, 학교 구성원들을 지원할 학교 기반 건강관리 지원체계의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둘째, 인지적 어려움을 가진 지체장애학생이 일반교육과정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수준의 개별화된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특수교육 지원센터가 관련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원주체로서 역할 의식을 가지고 특수교사에게 필요한 정보와 지원을 적시에 제공하는 지원체계를 갖출 필요가 있다. 넷째, 중·고등학교가 자유학년제와 고교학점제와 같은 새로운 교육과정을 운영함에 따라 지체장애학생을 위한 보다 세심한 준비와 협력적인 지원체계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special educators’ experience and support needs for effectively implementing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in secondary schools. Method: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special educators with teaching experience in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in special classes at middle and high schools. The interview data were transcribed and analyzed using continuous comparative analysis. The findings revealed 13 subtopics categorized under 3 main themes. Results: A multidimensional support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to realize the inclusive education of secondary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emphasizing collaboration among families, schools, and school district offices, and including the following features: 1) cooperation and support of families, 2) school-level support and cooperation among stakeholders, 3) inclusive education support from school district offices, and 4) strengthening awareness and expertise of special educators in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Conclusion: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e following issues were discussed in relation to inclusive education for secondary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First, the increasing number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in secondary schools highlights the necessity of a school-based health support system. Second, students with cognitive and physical disabilities require various levels of individualized support to participate in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Third, school district offices should acknowledge their role as service providers and establish a support system for timely information and assistance to special education educators. Finally, the implementation of new educational curricula in secondary schools calls for an increased emphasis on collaborative support systems.

      • KCI등재

        최근 10년간 미국 지체장애연구 경향 분석

        강종구,오세철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0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cent trend of physical disabilities. It explored the recent studies and trends of physical disabilities and what the topics related to physical disabilities imply. In order to explore the last 10 years' studies on physical disabilities, we reviewed the articles on physical disabilities through two search methods of ProQuest, Academic Research Library and Education Journals. We found 282articles which used physical disab* as a title. Our study has limitations to represent all studies of physical disabilities, and cannot discuss the studies on other countries such as Japan, and Germany. However, it helps understand the overall trend of the studies on physical disabilities. Among 282 articles, 128articles was peer reviewed and had full text. We chose 70 articles except overlapping articles, book review, introductory articles, and others.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the studies on physical disabilities primarily show the topics such as emotion, health, sex, education, social adaptation,physical activity, minority group, and nurture. The topics are different according to ages, and the paradigm of the studies moves from rehabilitation to independence. In addition, as qualitative studies among the whole studies consist of 40%, the in-depth studies on physical disabilities are increasing. 본 연구의 목적은 지체장애의 최근 동향을 살펴보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지체장애에 관련한 주요 연구와 최근경향은 무엇이며, 지체장애에 관련된 주제들이 의미하는 것은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위한 연구방법은 미국 저널의 대표적 검색도구인 ProQuest의 두 가지 검색 방법인 Academic Research Library와 Education Journals를 통한 문헌검토방법으로 이루어졌다. 미국 논문들을 중심으로 한 최근 10년간의 문헌들을 살펴본 결과 총 282편의 논문들이 지체장애(physical disab*)를 제목을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검색어로 사용된 지체장애는 지체장애 전체를 대표할 수 없으며, 일본, 독일 등 비영어권 논문들을 나타낼 수 없다는 한계점이 있지만 지체장애에 대한 전반적인 흐름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282편의 논문들 가운데 Peer Reviewed(동료 검토)된 전문(Full Text)으로 된 논문은 총 128편이었으며, 중복된 논문, 북 리뷰(Book review), 소개 글 등을 제외한 논문들 가운데 지체장애 연구의 최근 경향을 잘 보여주는 논문 70편을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지체장애는 정서, 건강, 성(sex), 교육, 사회적응, 신체활동, 소수집단(minority group), 양육에 대하여 주로 다루고 있으며, 연령별로 관련 주제가 다소 차이가 있으며, 연구경향은 재활중심에서 자립생활중심으로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전체연구들 가운데 질적연구 방법이 40% 가량으로 지체장애에 관한 심도 깊은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지체장애인의 건강신념이 운동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영혁,박수경,이현수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2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5 No.2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health belief of the people with physical impairments by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was different from stages of exercise behavior change and thereby how health beief of the people with physical impairments affected exercise behavior change in order to provide significant data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health belief necessary to enhance the health of the people with physical impairments and predict and identify stages of exercise behavior change.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are 379 people participating in sports for the disabled. In this study, used the questionnaire of the stages of exercise behavior change by Hye-ja Jeon and Jae-hyun Park(2005) and the health beliefs by Kyung-man Son(2008). MANOVA,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s used by SPSS 14.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health belief by sex, the degree of disability, the presence of a family sports participants, and sports participants of people with physical impairments. Secondly,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tages of exercise behavior by sex, the degree of disability, and the presence of a family sports participants. Thirdly, the people with physical impairments recognized obstacles among a sub-primary factor in health. The tests showed that negative significance influence on exercise behavior changed a people with physical impairments clue of action. The benefits and sensibility that were beneficial were significance effect on the change of the exercise behavior on a people with physical impairments. On the other hand, the recognition was acute and was not significance influence on their changes. 본 연구는 지체장애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건강신념과 운동행동변화단계에 대한 특성과 지체장애인의 건강신념과 운동행동변화와의 영향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지체장애인 379명의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측정도구는 손경남(2008)이 사용한 건강신념 설문지와 전혜자, 박재현(2005)의 운동행동단계설문지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검증, 일원다변량 분산분석과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체장애인의 성별, 장애등급, 가족 중 생활체육 참여자 유무, 생활체육 참가 유무에 따라 건강신념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 지체장애인, 장애등급, 가족 중 생활체육 참여자 유무에 따라 운동행동단계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체장애인의 건강 신념이 운동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한 결과 건강신념의 하위요인 중 행동계기, 인지된 이득, 인지된 민감성은 지체장애인의 운동행동변화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지된 장애는 지체장애인의 운동행동변화에 부(-)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인지된 심각성은 지체장애인 운동행동 변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