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정당한 교육지원에 필요한 건강 및 안전관리 실태와 지원방향에 대한 관리자 인식
박경옥,신윤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9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2 No.2
Purpose: This study was to find out school administrators’ perceptions about health management and support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for educational support. Method: Participations were 15 schools’ administrators in 19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Data were collected by interview. Data was analyzed by qualitative coding and categorized.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school administrators and parents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have difficulties to support and manage their health and feeding, They also were lacking in human resource and facilities despite of their count-measures. The cooperation among people related should be necessary and make a detailed future plan to support. also make a policy according to the current situation. Conclusion: Therefore, we discussed about health and safe management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nd suggested about future directions for their health and safety. Method: Participation was 15 schools’ administrators in 19 physical disabilities and Data was collected by interview. Data was analyzed by qualitative coding and categorized. Results: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that school administrators and parents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have difficulties to support and manage their health and feeding, They also were lack of human resource and facilities despite of their count-measures. The cooperation among people related should be necessary and make a detailed future plan to support. also make a policy according to the current situation. Conclusion: Therefore, we discussed about health and safe management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nd suggested about future direction for their health and safety. 연구목적: 본 연구는 지체장애 특수학교의 관리자를 대상으로 지체장애를 주 장애로 하는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교육권 보장을 위해 학생이 요구하는 의료적 지원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고 현재 학교의 지원 실태는 어떠하고, 향후 어떠한 지원이 필요한지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전국 9개 지체장애학교 중 지역 및 설립유형을 분배하여 학교관리자(교장 또는 교감)를 대상으로, 지체장애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교육권 확보를 위한 학교차원에서 건강관리 및 안전교육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 관련한 지원의 방향성에 대해 개별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현장에서 겪고 있는 어려움은 현재의 당면한 어려움에 대해 역할과 책임에 부여되지 못한 상태에서 모두가 힘든 교육을 하고 있으며, 학생의 학습 참여를 독려하기 위한 턱없이 부족한 안전시설과 지원인력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보고 하였다.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관리자들은 건강관리 및 인권상담을 위한 협력체계가 구축되고, 지원인력의 수와 이들의 질적 수준을 고양할 수 있는 지원책이 마련되어야 하고, 현장을 고려하여 반영적인 정책지원이 이루어졌을 때 자신의 자리에서의 책무를 다할 수 있을 것이라 하였다. 결론: 국가, 학교단위, 그리고 교사 개인이 중도․중복장애 학생들의 교육활동 중 건강과 안전관리 확보 방안에 대한 쟁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구방법: 전국 9개 지체장애학교 중 지역 및 설립유형을 분배하여 학교관리자(교장 또는 교감)를 대상으로, 지체장애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중도ㆍ중복장애 학생의 교육권 확보를 위한 학교차원에서 건강관리 및 안전교육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 관련한 지원의 방향성에 대해 개별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현장에서 겪고 있는 어려움은 현재의 당면한 어려움에 대해 역할과 책임에 부여되지 못한 상태에서 모두가 힘든 교육을 하고 있으며, 학생의 학습 참여를 독려하기 위한 턱없이 부족한 안전시설과 지원인력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보고 하였다.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관리자들은 건강관리 및 인권상담을 위한 협력체계가 구축되고, 지원인력의 수와 이들의 질적 수준을 고양할 수 있는 지원책이 마련되어야 하고, 현장을 고려하여 반영적인 정책지원이 이루어졌을 때 자신의 자리에서의 책무를 다할 수 있을 것이라 하였다. 결론: 국가, 학교단위, 그리고 교사 개인이 중도ㆍ중복장애 학생들의 교육활동 중 건강과 안전관리 확보 방안에 대한 쟁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중복·지체장애학생 담임교사의 교직적응탄력성과 교사수준 및 학교수준 변인의 관계 - 다층모형 분석의 활용을 중심으로
김영한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21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4 No.1
Purpose: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of the teacher level and school level variables of homeroom teachers` teaching adaptive resilience for students with multiple and physical disabilities by multiple modeling analysis. Metho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mailed survey was conducted on 170 homeroom teachers for students with multiple and physical disabilities of 23 special schools. Selected data were performed using SPSS 26.0 & HLM 7.01 for window for multi-modeling analysis of 2 level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Results: First, the variance explained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acher level and also school level. Second, the school level variables, such as the grade, principals' leadership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ir teaching adaptive resilience. Thirdly, the teacher level variables, such as teaching efficacy and commitmen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ir teaching adaptive resilience.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teraction effect, principals' leadership showe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adaptive resilience and teaching efficacy. And learning enviornment showe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adaptive resilience and commitment. Conclusion: We discussed educational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about the teacher level and school level variables of homeroom teachers` teaching adaptive resilience for students with multiple and physical disabilities.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중복·지체장애학생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그들의 교직적응탄력성과 교사수준 및 학교수준 변인의 관계를 다층모형으로 분석하고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3개 특수학교에서 중복·지체장애학생을 담임 및 부담임교사 170명을 대상으로 우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PSS 26.0 및 HLM 7.01을 자료분석에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중복·지체장애학생 담임교사의 교직적응탄력성은 학교수준 변인과 교사수준 변인 모두에 의해 차이가 난다. 둘째, 중복·지체장애학생 담임교사의 교직적응탄력성은 학교수준의 변인 중 학교급과 교장 지도성에서 차이가 난다. 셋째, 중복·지체장애학생 담임교사의 교직적응탄력성은 교사수준의 변인 중 교수효능감과 교직헌신에서 차이가 난다. 넷째, 중복·지체장애학생 담임교사의 교직적응탄력성과 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교장 지도성은 조절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중복·지체장애학생 담임교사의 교직적응탄력성과 교직헌신의 관계에서 학습환경은 조절효과를 가진다. 결론: 도출된 연구결과를 토대로 특수교육 분야에서 중복·지체장애학생 담임교사의 교사수준 및 학생수준 변인과 교직적응탄력성의 관계에 대한 교육적인 함의와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을 위한 기본 교육과정 재구성 방안 탐색
오세웅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4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7 No.3
본 연구는 특수교육 현장에 증가하고 있는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행되었다. 연구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서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을 제시하고 있는 기본 교육과정의 분석을 통하여 첫째,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기본 교육과정이 중도․중복장애 학생에게 적용할 교육과정으로서의 성격적 이론적 적합성 및 정합성을 밝히고, 둘째,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을 지원하는 기본 교육과정의 재구성 및 적용 방안을 탐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론으로, 첫째, 중도․중복장애 학생을 위한 교육과정으로서의 기본 교육과정의 교육과정상의 성격적․내용적 접근성과 합치성을 제시하였다. 둘째,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방안으로 기본 교육과정을 생활중심의 통합교육과정으로 재구성하는 방안과 개별화 교육과정으로 재구성하는 방안 그리고 교육과정 운영 자료의 실제적인 재구성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탐색의 결과는 궁극적으로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법리적 합치성, 이론적 정합성 및 내용의 적합성 등을 제고하는데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endencies in the changes and to provide the clues of discussion for the future curriculum revision by analyzing what the current of the times influenced the enactment or revision of the Basic Curriculum in special schools and what were the major contents and key issues in the curriculum. For this, the study analyzed materials of national level curriculum, holistic changes and objects, systems, and time in the Basic Curriculum from the curriculum for the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in 1974 to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8, on the basis of student-centered curriculum and inclusive education. The clues for the discussions in the future revision in the Basic Curriculum were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and status of the curriculum are needed to be discussed. Second, the re-design of the curriculum according to the field is needed to be discussed. Third, IEP support system is needed to be discussed.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특수교육 지원체계에 대한 요구조사
박은혜,이영선,이명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0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3 No.4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provide basic data and directions for special education support system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SMD). Teachers- and parents needs survey analyses were conducted to inquire the perceptions of instructional barriers and support need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en they taught (or were supposed to teach) students with SMD, and of parents of those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503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263 parents of children with SMD from 3 special schools and resource rooms from 5 school districts in Incheon, South Korea. Based on findings from teachers- and parents needs survey, discussion and implications for developing special education support system for students with SMD were suggested as following: 1) improving quality of education for those students through adapting and/or augmenting curriculum as well as optimizing educational environments, 2)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therapeutic supports and supports for professional staffs, 3) providing flexibility in curriculum as well as for class time and location, and 4) developing and implementing differentiated curriculum for those students. 본 연구는 학교 교육 및 서비스에서 소외되기 쉬운 중도⋅중복장애 학생을 위한 공교육내에서의 적절한 지원체계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교사와 부모들이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지원 실태 및 교육에 대한 인식 및 경험을 수렴함으로써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성공적 교육을 위한 지원요구를 판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의교사 503명, 부모 26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실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교사 및 부모요요구조사로 나누어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교사요구조사 결과는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교사들의 중도⋅중복장애 학생 교육에 대한 경험은 준비도에 비해 낮게 나타났으나 세부 지도 내용에 따른 경험과 준비도는 비슷한 양상으로 나타났다. 둘째,신체활동의 제한과 자립생활 기술의 제한 등이 교사들이 인식하는 중도⋅중복장애 학생 교육에 대한 가장 큰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교육에 있어서 물리적 교육환경의 개선과 교수자료 및 보조공학 기기의 지원에 대한 요구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부모요구조사 결과로는, 첫째, 적절한 교육기관 확대의 필요성이 지적되었고, 둘째, 안전하고 편안한 교육시설 설치 및 보조공학 도구의 제공이 요구되었으며, 마지막으로치료지원에 대한 요구가 매우 강하게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교육지원체계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논의가 이루어졌다: 첫째, 물리적 교육환경의 최적화와 교수방법의 적합화를 통한 특수교육의 질적 제고. 둘째, 치료지원 및 전문 인력 지원에 대한 문제의 중요성 강조. 셋째, 교육과정 및 교육 시간, 장소 등에 대한 융통성과 지원 및 지침 제공의 필요성. 넷째, 차별화된 교육과정의 필요성.
구기운동이 지체장애노인의 혈중지질과 스트레스호르몬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김성진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0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3 No.4
The purpose of this prospective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12-week ball exercise such as table tennis, gate ball, and park golf and to provide with an indicator of physiological (body composition, blood lipid, and stress hormones) and mental changes from the exercise program among the handicapped elderly.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24 handicapped males with age of 65 or over using the B disabled rehabilitation facilities in A city, and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including experimental group (n=12; 8 joint dysfunction and 4physical dysfunction) and control group (n=12; 7 joint dysfunction, 5 physical dysfunction). SPSS 17.0 for Windows was addressed to analyze the research data,and ANCOVA was used to compare the mean of the two groups. The significant level was set at .05. The results showed that weight and body fat mass decreased to some degree while lean body mass increased in the experiment group. As for blood lipid,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and LDL-C decreased, and HDL-C increased. On stress hormone, cortisol, epinephrine and norepinephrine decreased in the experiment group. Of the changes in the mental health, the experiment group had lower scores than control group on the negative subpart of the mental health, such as tension, depression, anger, fatigue while the score of vitality as the positive subpart of the mental health was higher in the experiment group. Therefore, the 12-week ball exercise performed in this research was seen to have positive effects on physiological and mental aspects for the handicapped elderly. 이 연구의 목적은 65세 이상의 지체장애노인을 대상으로 12주간 규칙적인 구기운동참여,즉 지체장애인들이 선호하는 탁구, 게이트볼, 파크골프 종목을 적용하여 신체조성, 혈중지질, 스트레스호르몬 및 정신건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는데 있으며, 이러한결과로 장애를 가진 지체장애노인들이 신체활동을 함으로써 가지는 운동효과 측면에서 생리적·심리적 변화에 대한 하나의 지표를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A시에 거주하면서 B장애노인복지시설을 이용하고 있는 후천적 남성 지체장애노인 총 24명(관절장애 15명, 지체기능장애 9명)이며, 참여집단 12명(관절장애 8명, 지체기능장애 4명)과 비참여집단 12명(관절장애 7명, 지체기능장애 5명)으로 무작위로 할당된 장애인복지법에 의한 등급으로 구성되었다. 측정된 자료는 SPSS WIN Version 17.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참여집단과 비참여집단간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종속변인별로 구하였다. 두 집단 간의 평균비교는 사전검사 측정값을 공변인으로 하여 사후검사 측정값을 서로 비교하는 공분산분석(Analysis of Convariance)으로 분석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신체조성의 체중과 체지방량은 다소 감소하였으며, 제지방률은 다소 증가하였다. 혈중지질은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이 감소하였으며,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은 증가하였다. 스트레스호르몬은 코티졸, 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이 감소하였다. 정신건강의 변화에서는 하위요인 중, 부정적 요인인 긴장, 우울, 분노,피로, 혼동의 수준에서 참여집단이 비참여집단보다 매우 낮아졌고, 긍정적 요인인 활력의수준에서는 참여집단이 비참여집단보다 매우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수행한 12주간의 규칙적인 운동은 지체장애노인의 생리적, 심리적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지체장애노인의 심혈관 질환 개선뿐만 아니라,특히 심리적인 정신건강의 변화에 매우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온다는 결론을 얻었다.
지체중복장애 거점 특수교육지원센터에 대한 특수교육 전문가와 부모의 지원요구 고찰
이설희,최진희,조아라,최재연,박은혜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9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2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upport needs on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for the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based on experiences and perceptions for those who are related to students with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Metho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ree parents and two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cus group interviews (FGI) were conducted with six experts, three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hree junior high 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All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 constant comparative method. Results: A total of four main topics including instruction·parenting difficulties, helpful support, support needs, expectations for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for the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and 19 sub-topics were derived.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were provided to prepare effective management plan for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for the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연구목적: 본 연구는 지체중복장애 거점 특수교육지원센터의 효율적 운영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지체중복장애학생 관련인의 특수교육지원센터에 대한 경험과 인식을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지체중복장애 거점 특수교육지원센터에 기대하는 지원요구를 고찰하였다. 연구방법: 수도권 지역 내 지체중복장애 자녀를 둔 부모(3명)와 지체중복장애학생 교육경험이 있는 특수교사(2명)를 대상으로 개별심층면담을 진행하였고, 지체중복장애학생 지도 및 강의 경력이 있는 전문가(6명)와 초등 특수교사(3명), 중등 특수교사(3명)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면담(FGI)을 진행하였다. 모든 면담의 결과는 전사 후 지속적 비교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지도·양육상의 어려움, 도움이 되었던 지원, 지원요구, 지체중복장애 거점 특수교육센터에 대한 기대를 포함한 총 4개의 대주제와 19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결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체중복장애 거점 특수교육지원센터의 효율적 운영방안을 다음의 네 가지 측면에서 제언하였다. 1) 지체중복장애 거점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역할과 운영 방향을 규정하기 위한 정책적인 접근의 필요성, 2) 지원 대상의 수, 지원 범위 등을 고려한 센터 및 업무 담당자의 수 조정, 3) 다양한 분야와의 협력 체계 구축의 필요성 및 지체장애 특수학교의 거점 센터로서의 역할 수행 고려, 4) 최우선 과제로서의 통합교육 지원.
중도·중복장애아동의 지각양식 이해를 위한 현상학적 방법론과 실제
김혜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09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2 No.1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perceptual experience to severe and multiple handicapped children and to explain their perceptual style by applying the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For this purpose, first, we investigated the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on the education of severe and multiple handicapped children. Second, we understand and explain the perception experience style of severe and multiple-handicapped children through the case studies on the basis of phenomenological methodological principles obtained by the theoretical investigations. We draw some conclusions from our study as followed. First, the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on the education of severe and multiple handicapped children take understanding the entity of the children and their relationship with the world as the main topic and take the empirical style and subjectivity of researcher of these study as the mean of subject resolution. Second, We obtain 3 subjects, perception with body, changing perception and sense of touch intentionality from the perceptual understanding and analysis on the severe and multiple handicapped children. This result implies importance of the educational approach which accept without prejudice and respect the subjective perception on the world and mutual reactions of severe and multiple-handicapped children. 본 연구는 현상학적 방법론의 적용을 통해서 중도・중복장애아동의 지각경험의 의미를 이해하고 그들의 지각양식을 해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첫째, 중도・중복장애아동 관련연구에 있어서 현상학적 방법론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둘째, 이론적 고찰에서 얻어진 현상학적 방법론의 기본원리를 사례연구 속에서 실제적으로 적용하여 중도・중복장애아동의 지각양식의 의미를 이해하고 해명하였다. 이상의 절차에 따라 연구를 진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중도・중복장애아동 관련연구에 있어서 현상학적 방법론은 중도・중복장애아동의 존재 및 세계와의 관계양식에 대해 이해하는 것을 주된 연구과제로 하며, 이 과제를 수행하는 연구자의 경험양식 및 주관성의 파악을 과제해결을 위한 수단으로 삼는다. 둘째, 중도・중복장애아동의 지각경험의 의미를 현상학적으로 이해하고 해석하여 신체에 근거한 지각, 변화하는 지각, 촉각적 지향성이라는 3가지 주제를 얻을 수 있었는데, 이는 중도・중복장애아동의 주관적인 세계인식과 상호작용을 편견없이 받아들이고 존중하는 교육적 접근의 중요성을 시사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통합된 지체장애학생 교육을 위한 온라인 교사학습공동체 활동 개발 및 실행
주수영,박은혜,이영선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22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5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들을 대상으로 지체장애학생 교육을 위한 온라인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을 진행하고, 이를 통해 교사효능감과 지체장애 관련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지체장애학생들을 가르치는 초등 특수학급 교사들을 지원하고 이를 통해 지체장애학생의 통합교육을 질적으로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특수학급에서 지체장애학생을 가르치는 13명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단일집단 사전사후검사설계로 진행되었다. 10주간의 온라인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은 실시간 화상 회의 프로그램을 통한 온라인 교사학습공동체 모임, 온라인 카페 참여, 모바일 메신저를 통한 의사소통의 세 가지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이후 교사효능감과 지체장애 관련 전문성 인식에 대한 설문지를 통해 양적 자료를 수집하고, 포커스집단면담을 통해 참여자들의 경험을 질적으로 탐구하였다. 연구결과: 지체장애학생 교육을 위한 온라인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은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들의 교사효능감과 지체장애 관련 전문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연구참여자들은 공동체 활동을 통해 역량이 강화되고 자신감이 향상되었다고 보고하였으며 질적자료 분석 결과 1) 내겐 너무 어려운 지체장애, 2) 함께 나누며 성장하는 교사학습공동체 활동, 3) 더 나은 활동을 위한 평가의 3가지 주제가 도출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지체장애학생을 가르치는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들이라는 특정 대상을 참여자로 하여 이들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지원을 제공하여 지체장애학생이 받는 통합교육의 질을 높이고자 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넘어 특수학급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온라인을 통한 교사학습공동체를 운영하고 다양한 경로를 활용한 효과적인 운영 방법을 제시했다는 의의를 가진다.
중도·중복장애의 개념, 진단평가 및 교육지원 관련 연구동향 분석
한경근,이미경,박윤정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09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2 No.1
이 연구는 1990년대부터 시작하여 2008년 9월까지 국내에서 이루어진 중도·중복장애관련 연구를 고찰하여 중도·중복장애의 개념적 정의와 특성을 알아보며, 그에 따른 교육적 지원에서 가장 필요로 한 부분이 무엇인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도·중복장애를 지닌 학생을 대상으로 한 문헌 96편을 선정하여, 중도ㆍ중복장애의 특성, 진단평가 체제, 교육지원 주제 동향 등을 살펴보았다. 첫째, 장애영역에 있어서는 단일 중도 장애로 뇌성마비가 가장 많았으며, 중복장애의 경우는 정신지체 중복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념적 정의 측면에서, 뇌성마비는 적응행동과 운동에 관한 정의가 많은 반면 정신지체는 적응행동에 관한 정의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중도·중복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의 교육적 지원을 위한 진단체제는 많이 실시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도·중복장애를 지니고 있는 학생들의 지원부분에서는 의사소통, 운동과 건강, 교육과정에 관련된 내용이 많았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혼용되고 있는 여러 용어들을 ‘중도·중복장애’로 통일할 것을 제안하며, 중도·중복장애 학생들을 위한 교육적 제안들도 함께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conceptualize the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nd to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in the field of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by synthesizing the 96 related articles published between 1990 and 2008 across 13 major special education journals. Specifically, this study focused on the definition of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research trend on supports, and assessment. The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cerebral palsy occupied high portion among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In addition, mental retardation was also frequently cited as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Most articles for cerebral palsy defined and explained characteristics, concepts on adaptive behavior and motor area. On the other hand, most of articles for mental retardation explained concept of adaptive behavior. Second, it was found that assessments to make up appropriate education and monitor its progress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were rarely conducted. Third, research trends of supports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were focused on communication, motor and health, and educational curriculum. We also discussed further research implications for educating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의 연구동향 및 지식구조: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연준모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8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1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and knowledge structure of 『Korean Journal of Physical, Multiple, and Health Disabilities』. Method: For this research purpose, the studies published in 『Korean Journal of Physical, Multiple and Health Disabilities』were analyzed. Specifically, the studies published from 2002 to 2018 were analyzed with keyword network analysis using KrKwic and UCINET 6.0 program.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most frequently used keywords were cerebral palsy and physical disability. Second, the ranking of the keywords were changed according to the three periods, 1st period(2002~2007), 2nd period (2008~2012), and 3rd period(2013~2018). Finally, the keywords with highest centrality were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and ‘career education’. In addition, these keywords with high centrality varied according to the three period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ggested.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 were discussed.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의 연구동향과 지적구조를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에 게재된 논문들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2002년부터 2018년까지 학술지에 게재되었던 논문들이 분석에 포함되었으며,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은 주로 KrKwic와 UNICET 6.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출현 빈도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에서의 나타난 주요 키워드들은 ‘뇌성마비’, ‘지체장애’ 등이었다. 둘째, 출현 빈도가 높은 주요 키워드들은 시기에 따라 변화가 나타났다. 즉 1기(2002년∼2007년), 2기 (2008년∼2012년), 3기(2013∼2018년)를 거치는 동안 주요 키워드의 순위에는 변화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하여 높은 중심성을 지닌 것으로 밝혀진 키워드로는 ‘보완대체의사소통’, ‘직업 및 진로교육’ 등이 있었으며, 이들은 높은 출현빈도를 보였던 키워드들과 상이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높은 중심성을 지닌 키워드들 역시 각 시기별로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결론: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적으로 제시하고, 연구에서의 제한점과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