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리교육의 연구 동향과 연구영역별 성과 분석 -대한지리학회지 논문을 중심으로-

        심광택 ( Kwang Taek Sim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5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3 No.3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한지리학회지에 발표된 지리교육논문 102편을 중심으로 지리교육의 연구 동향 및 연구영역별 성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영역별 비중을 살펴보면, 대한지리학회지 지리교육논문(1963-2015년, 102편)은 교육과정, 학습자 특성, 교재분석개발, 교실수업론, 교사전문성, 평가분석 영역 순이지만,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지리교육논문(1993-2015년, 406편)은 교재분석개발, 교육과정, 학습자 특성, 교실수업론, 평가분석, 교사전문성 영역 순이다. 한국지리교육의 균형적 발전을 위해서는 지리교사의 교실수업 설계, 분석 및 학생평가전문성 연구에 대한 적극적 관심이 요청되고 있다. 영역별 연구주제를 범주화하여 연구 동향 및 연구성과를 분석한 결과는 표 5와 같다. 한국의 지리교육학자가 교육과정연구 영역에서 비판지리교육, 도덕지리교육, 지속가능발전 교육 및 세계시민교육 연구에 도전하고, 교재분석 및 개발연구 영역에서 세계시민교육의 시선으로 교과서를 비판적으로 성찰한 노력은 유네스코가 지향하는 학교지리의 역할에 조응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and synthesize the outcomes of geography education research reported by 102 articles published by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The geography education research reported in the selected journal articles includes in turn curriculum studies, empirical research with learners, analysis and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theories of instructional design, teachers’ professional accountability, and the analysis of assessment. During a similar period, there were 406 geography education articles published by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The latter articles include in turn analysis and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curriculum studies, learners’ characteristic, theories of classrooms organization, analysis of assessment, and teachers’ professional accountability. Future attention calls for further research on instructional design, classroom dynamics and analysis,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the assessment of students. Figure 5 shows the trends and categories of research themes based on each domain of research represented in the articles reviewed. The review of geography education research suggests a movement towards critical geography, moral geography,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ttention to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was evident in the analysis and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complements the role of geography education in attaining UNESCO goals.

      • KCI등재

        2015 개정 한국지리 교육과정의 개발 과정과 주요 특징

        안종욱 ( Chong Uk Ahn ),김병연 ( Byung Yeon Kim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6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4 No.1

        본 연구는 2015 개정 한국지리 교육과정의 개발 과정과 주요 특징에 대한 것이다. 2015 교육과정 개정은 학생들의 실질적인 학습량 감축과 융합의 시대에 요구되는 핵심 역량의 함양이라는 필요성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번 한국지리 교육과정 개정은 국토 공간의 체계적 이해를 위해 다양한 이슈와 쟁점을 다루고, 계통지리와 지역 지리의 적절한 조화를 모색하며, 교육 내용 적정화를 추구하였다. 이전 교육과정과 비교할 때, 2015 개정 한국지리 교육과정은 ``인구`` 대단원의 설정과 ``지속가능발전`` 대단원의 해체, 학습 내용 중복성의 지양, 성취기준 수 감축 등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지역 지리 대단원의 성취기준 진술에서 경제 및 도시 지리적 측면뿐만 아니라 문화 지리적 측면에서의 접근에 기반한 지역 이해를 강조하고 있다.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process and main characteristics of 2015 Revised Korean Geography National Curriculum. It is based on necessity of cultivating key competency that are asked in the era of convergence and substantial workload reduction. This Korean Geography National Curriculum deals with different issues and debates in regards to systematic understanding of land space. It also pursues optimization of educational content and seeks the appropriate balance between systematic and regional geography. 2015 Revised Korean Geography National Curriculum that investigated in comparison to the previous curriculum reflected settings section of the ``population`` finale, the dissolu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finale, avoiding learning contents redundancy, the reduction of achievement standards, emphasizing regional understanding based on the dimension of cultural geography as well as the dimension of economic and urban geography in the achievement standard statement of regional geography unit.

      • KCI등재

        영국의 국가교육과정 정치학과 지리교육진흥운동

        조철기 ( Chul Ki Cho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2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0 No.3

        본 연구는 1980년대 이후 영국에서 일어난 교육개혁과 국가교육과정 제정을 교육과정 정치학의 관점에서 검토하고, 지리 관련 단체들이 지리교육을 진흥시키기 위해 행한 일련의 활동을 정치적, 제도적, 조직적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영국의 교육개혁은 대처리즘이라는 신보수주의의 기조 하에서 교육의 본질적 측면보다는 효율성과 책무성을 강조하였고, 이는 국가교육과정으로 구체화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지리는 취약성을 그대로 드러낼 수밖에 없었고, 국가교육과정이 개정되면서 KS4 이후 지리는 선택교과로 전락하고 직업 교과와도 경쟁하게 되었다. 이러한 위기 속에서 영국지리교육학회는 교육과정 정치학의 실현을 통해 국가교육과정의 제정에 있어서 지리를 필수교과로 만들었다면, 선택교과화라는 상황에서는 지리의 가치를 내외적으로 홍보하는 전략을 통해 지리교육의 진흥을 꾀하였다. 영국지리교육학회는 내부적으로는 각 지부와 긴밀한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외부적으로 지리학자들과 연대하여 영국지리협회(COBRIG)를 결성하였으며, 국제적으로는 다른 국가와 정보를 교환하여 지리교육의 진흥에 앞장섰다. 현재 우리나라 지리교육이 직면하고 있는 위기 상황이 1980년대 이후의 영국과 비슷한 맥락에 있다고 볼 때, 영국에서 추진해 온 일련의 활동들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다. This paper is to examine in terms of curriculum politics a range of processes surrounding the Educational Reform and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Curriculum in England since 1980s. And it analyzed a series of campaigns that the organizations related with geography education carried out to promote geography education. The Education Reform was based on neoconservatism like Thatcherism, emphasized more the efficiency and accountability of education than its substance and as a result the National Curriculum was made by. In this context, geography revealed weak competition and became not only non-statutory subject but also competing with specialized subjects in post-14 as a result of revis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In this crisis, the Geographical Association made geography statutory foundation subject through realization of curriculum politics and adopted diverse strategies to promote the importance of geography to overcome situation of non-statutory subject. To promote geography education, the Geographical Association internally constructed intense network with each branches, externally banded together with the bodies of geographers to form COBRIG and internationally exchanged informations with other countries. Currently geography education in Korea is facing a very similar crisis to that of England since 1980s. Thus, it is helpful for us to refer to a range of the campaigns for promoting geography education in England.

      • KCI등재

        2015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한국지리, 세계지리, 여행지리 교수 · 학습자료 개발 과정에 대한 논의

        전보애 ( Bo Ae Chun ),길현주 ( Hyun Joo Ghil ),김민숙 ( Minsuk Kim ),김인철 ( Incheol Kim ),범영우 ( Yeongwoo Beom ),서지연 ( Jiyeon Seo ),성정원 ( Jeongwon Seong ),오태훈 ( Tae-hun Oh ),이윤구 ( Yungu Lee ),채나미 ( Nami Chae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8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6 No.2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사회과 교수·학습자료 『한국지리, 세계지리, 여행지리』의 개발 및 검토 과정을 분석하였다. 『한국지리, 세계지리, 여행지리』는 2015 개정 지리 교육과정의 학교 현장 안착을 위한 교수·학습자료의 사례를 제시하려는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따라서 개발 및 검토 과정의 분석은 『한국지리, 세계지리, 여행지리』가 교수·학습자료로서 갖는 의미와 가능성에 대한 이해를 제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는 지리교육 분야의 교수·학습자료 개발 및 운영과 관련된 의미있는 논의를 제공하리라고 기대된다. 개발과정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중점 사항이자 특징이기도 한 교과역량 및 기능의 교육적 실천, 교수·학습과정과 연계된 과정중심 평가, 학생 참여에 토대한 활동 중심의 교수·학습 등을 위한 자료를 구성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그리고 현장적합성 제고를 위해 현장적합성 검토, 교실 수업 적용 등과 같은 검토를 거쳤다. 검토결과 『한국지리, 세계지리, 여행지리』는 성취기준과 교과역량에 대한 분명한 안내를 토대로 활동 중심의 수업 실천, 과정 중심의 평가 등을 가능케 하여 궁극적으로는 교실 수업의 발전적 변화에 기여할 가능성을 가지는 교수·학습자료라고 평가받았다. 이와 더불어 활동량이나 수업 시수 조정, 지리 현상과 관련된 다양한 인문지리적·자연지리적 요인들 간의 관련성에 대한 고찰의 필요성 등과 같은 지적사항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같은 결과는 교육과정 교수·학습자료 개발 및 활용과 관련된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교수·학습자료는 교수활동이나 학습활동에 활용되는 자료 뿐만 아니라 평가를 위한 자료까지도 아울러야 한다는 인식을 분명하게 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육과정 교수·학습자료상에는 자료 자체는 물론 그것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안내도 충분히 제시되어야 한다. 셋째, 역량중심 교육과정 교수·학습자료가 적절히 개발 및 활용되려면 교과역량 및 기능에 대한 충분한 분석과 검토가 선행되어야 한다. 넷째, 지리 교수·학습자료는 복잡다양한 인문지리적·자연지리적 요인과 맥락에 대한 충분한 검토를 바탕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한국지리, 세계지리, 여행지리』는 예시적인 자료집의 성격을 갖는만큼, 2015 개정 지리 교육과정의 보다 효과적인 학교 현장 안착 및 개선을 위해서 교육과정 교수·학습자료의 개발 및 활용에 관한 후속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성을 제안해 본다. This study analyzed the development, revision, and supplemental processes involved in the creation of curriculum materials for the high school social studies of the 2015 National Revised Curriculum, Korea Geography, World Geography, and Travel Geography. Korea Geography, World Geography, and Travel Geography was created to provide the examples of curriculum materials necessary for the successful practice of the 2015 National Revised Curriculum.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possibly provide meaningful discussions about the development and use of geography curriculum materials as well as the potential of Korea Geography, World Geography, and Travel Geography. The characteristics of the 2015 National Revised Curriculum, including the adoption of the concept of competence, student-centered learn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assessment improvements, were emphasized in the development process. Several revisions and supplemental processes were followed to refine and enhance the quality of educational materials. These processes suggested that Korea Geography, World Geography, and Travel Geography has meaningful possibilities for contribution to the effective enhancement of South Korean geography education. Further ideas, such as considerations for optimizing the volume of contents/ activities and diverse geographic contexts, were also proposed. These results show several meaningful discussions toward the development and use of curriculum materials as follows: First, curriculum developers and teachers should recognize that the concept of curriculum and educational materials are not limited to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but encompass assessment processes. Second, curriculum materials ought to provide guidance as to their use in class. Third,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mpetencies should be deeply analyzed and understood before the development and use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materials. Fourth, consideration of diverse geographic factors and contexts are essential for creating geography educational materials. Additionally, Korea Geography, World Geography, and Travel Geography is a collection of geography curriculum materials for the 2015 National Revised Curriculum. Follow-up researches on the development and use of geography curriculum materials can meaningfully contribute to the successful development of the 2015 National Revised Curriculum.

      • KCI등재

        고등학교 한국지리 교육과정 변천과 지역 단원 구성의 특징

        강창숙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20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8 No.2

        In this study, the changes of the national curriculum of Korean Geography in high school were analyzed from the syllabus period to the current 2015 revised curriculum. It focuses on internal demand aspects and external influence aspec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ntent organization of Korean Geography was composed of systematic geography centered on human geography after 『Geography I』 in the second period. Until the second period, 『Geography I』 was composed of the traditional regional geography, and in the fourth period, 『Geography II』 was changed to a regional geography method. Second, in the national curriculum, Korean Geography was changed to a compulsory subject period of 『Our Country Geography』→ blank period for Our Country Geography→a compulsory subject period of 『National Geography』→chaotic period of National Geography→ a compulsory subject period of 『Korean Geography』→and elective subject period of 『Korean Geography』. Third, in the systematic geography-centered content organization, regional geography was composed of one or two units, including ‘geography of living in each region,’ which is a key topic, or in conjunction with ‘the meaning of the region and regional classification’ or ‘unification and division of national territory.’ Finally, the regional classification was centered on functional regions, but in actuality was based on administrative districts. The regional names according to regional classification were made up of different names, such as different hierarchical names, at different times when it was difficult to distinguish between their regional scope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본 연구는 교수요목기부터 현행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고등학교 한국지리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 지역 단원 구성, 지역 구분 등 내재적 측면과 사회과 편제 등 외재적 측면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한국지리는 제2차 교육과정기 『지리 I』부터 인문지리 중심의 계통지리로 구성되었다. 지역지리 단원은 제2차 시기 『지리 I』까지 전통 지역지리(지방지) 체계로 구성되었고, 제4차 시기 『지리 II』부터 지역지리 체계로 변화되었다. 둘째, 국가 교육과정에서 한국지리는 『우리나라 지리』 필수 과목기→우리나라 지리 학습 공백기→『국토지리』 필수 과목기→국토지리 학습 혼란기→『한국지리』필수 과목기→『한국지리』 선택 과목기로 변천되었다. 셋째, 계통지리 중심 내용 체계에서 지역지리는, 핵심 주제가 되는 ‘각 지역의생활’이 1개 단원으로 포함되거나, ‘지역의 의미와 지역 구분’ 혹은 ‘국토 분단과 통일’ 단원과 연계되어 2개 단원으로 구성되었다. 마지막으로, 지역 구분은 기능 지역 중심으로 이루어졌지만, 그 실제는 행정구역을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지역 구분에 따른 지역명칭은 그 범위와 지역성을 가늠하기 어렵게 명명되거나 위계가 다른 명칭이 혼용되었다.

      • KCI등재

        지리교육에서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방안 모색: 한국지리(7차개정시안)를 중심으로

        박선희 ( Seon Heui Park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08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1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지리교육에서 다문화교육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지리교육에서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방안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지리 교육과정 중 삶의 질과 국토의 과제 단원 중 외국인 노동자의 유입을 사례로 지리교육에서 다문화교육의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 시도한 다문화교육은 여러 차원의 다문화교육의 노력 중에서 교과교육의 내용적 접근이다. 지리교육에서 다문화교육을 접근하기 위해 다문화사회를 지리교육적 측면에서 접근한다. 지리교육에서 바라본 다문화사회는 경제적 세계화와 노동의 국제적 이동이라는 세계적 상황과 인구지리학적 특성, 지역불균형, 경제구조, 사회의식 등이 결부된 한국적 상황이 복합적으로 연결되어 형성된 것이다. 지리교육은 다문화사회의 형성에 영향을 준 다양한 요소를 다루는 교과이며 세계적 규모에서 지역을 탐구한다. 지리교육은 전 지구상의 인간사회의 인종적, 문화적, 정치적 다양성에 대한 지리적 표현과 내용을 학습하는 교육이므로 세계화시대에 요구하는 다문화교육을 담당할 수 있는 매우 적합한 교과이다. 또한 지리교육은 세계화 시대에 요구되고 있는 시민성의 함양을 추구하고 있는 교과이기도 하다. 7차 개정 한국지리 교육과정을 분석한 결과 한국지리 교육과정의 많은 부분에서 다문화교육을 담아낼 수 있는 가능성을 찾을 수 있다. 지리교육에서 다문화교육에 관한 이론적 정립이 이루어지지 않았고 경험적 연구도 매우 드물다. 본 연구의 방법과 결과는 교육현장에서 지리교육의 다문화교육을 실천할 때 활용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grope the possibil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geographical education and to develop an instruction-learning model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n geographical education. This paper suggests the instruction-learning model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case of content which is about foreign workers immigration to South Korea. The case unit of this paper is "Qualities of life and problems of our country" in Korean geography curriculum. This paper is an approach of multicultural contents in geographic education. Multicultural society in Korea is formed by the interaction of global and national contexts. The global contexts connect with globalization of economy and international migration of labor. The national contexts are related with the characteristic of population, the inequality of urban-rural, Korean`s 3D avoiding, etc.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n geographic education has to include the contents which are required in globalization. Geographic education studies many regions in the world and researches the diversity of culture and ethnic group, etc. Therefore, geography is a very proper and useful subject for multicultural education.

      • KCI등재

        지리교과에서 인권 교육의 가능성 탐색

        김대훈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8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6 No.1

        본 연구는 지리교과에서 인권 교육의 가능성에 대해 탐구하였다. 먼저 인권 개념의 형성과 발달 과정을 이론적으로 검토하여 인권 개념을 3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그 다음 지리교과에서 인권 교육의 가능성을 지리를 통한 인권 교육과 지리적 인권에 대한 교육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지리를 통한 인권 교육에서는 지리교과의 고유한 학습 방법을 적용하여 인권 교육의 가능성을 탐구하였고, 지리적 인권에 대한 교육에서는 주거권, 도시권, 환경권을 지리적 인권 내용으로 개발한 후 지리교육과정과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지리교과는 인권을 교육함으로써 학교교육의 패러다임 변화에 부응하고, 지리교육의 목적인 시민성을 함양하며, 지리교육 내용지식의 원천을 다양화하는 효과가 있지만 사회과 통합 논의에 흡수될 우려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quire into the possibility of human rights education in geography subject. First, after theoretically examining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process of the concept of human rights, the concept of human rights was divided into three types. Next, the possibility of human rights education in the geography subject was explored, as divided into human rights education through geography and education about geographical human rights. In the human rights education through geography, it is explored that the possibility of human rights education by applying a unique learning method of geography subject. In the education about geographical human rights, it is developed that the rights to environment, the right to housing and the right to the city as the geographical human rights contents, and its relevance to the geography curriculum was examined. Finally, by educating human rights, the geography subject had the effect of meeting the changes of the paradigm of school education, cultivating citizenship for the purpose of geography education, diversifying the source of knowledge of geography education contents. But it was pointed out that the possibility of being absorbed in the integrated social studies.

      • KCI등재

        감성지리학의 지리교육적 의미 탐색 - 심미적 감성을 중심으로 -

        박승규 ( Park Seungkyu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6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4 No.4

        이 논문은 지리교육에서 심미적 감성의 의미에 대해 탐색한다. 심미적 감성은 이성과 감성의 상호보완적인 모습을 통해 인간 삶의 근원적 해석에 다가간다. 심미적 감성이 지리학과 지리교육에 기여할 수 있는 이유이다. 공간을 전유하고 있는 인간에 대한 이해는 분석적이고 과학적인 지리학으로는 접근하기 어려웠다. 심미적 감성은 이전에 경험하지 못했던 지리학의 미지의 영역을 열어준다. 지리교육에서 심미적 감성은 학교에서 가르쳐지는 지리학이 구체성의 과학임을 보여준다. 지리교육은 일상적인 삶을 명제적인 지식으로 바꿔 학생들에게 가르침으로써 삶의 생생함을 잃는다. 지리교육은 생기를 잃은 교육에서 벗어나, 현실적인 삶의 과정에서 느낄 수 있고, 인식할 수 있는 교육의 과정을 제공해야 한다. 심미적 감성은 듀이가 제시하는 흥미론의 이상을 지리교육을 통해 실현한다. 자아와 대상의 일체화를 지향하는 듀이의 흥미론은 인간과 공간의 관계를 통해 인간 존재를 인식하고자 하는 지리교육의 본래적 목적에 다가갈 수 있기 때문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aesthetic emotion in geography education. The aesthetic emotion is a unified entity which is not separated between reason and emotion. The aesthetic emotion tends to approach fundamental interpretation of life through mutual complement of reason and emotion. That is the reason that aesthetic emotion can contribute to geography and geography education trying to understand about “I” and “We” by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space. Perceiving aura from space as emotional awareness and understanding human being who possess the space exclusively from the perception is an area which is not interpretable by analytical and scientific approach. The aesthetic emotion can open the area of terra incognita of geography. The aesthetic emotion in geography education shows that geography teaching in school is an embodied science. Current geography education loses realistic vividness in terms of teaching students about our common life as transformed into propositional knowledge. Coming away from the geography education, it makes possible to create a course of geography education which feel and perceive the course of a vivid and realistic life. Also, it can accomplish the ideal of Dewey`s interest theory through geography education. Because, Dewey`s interest theory pursuing the coalition of ego and target can approach the goal of geography education which understand human`s existence by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space.

      • KCI등재

        프랑스 지리교육사 150년의 전통과 최근 동향, 그리고 전망

        이상균 ( Saang Kyun Yi ),권정화 ( Jung Hwa Kwon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1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19 No.2

        프랑스는 국제적으로 지리 교과의 위상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현재와 같은 교육과정 상의 지위를 인정받게 된 것은 1871년 이후로서, 1870년 보불전쟁에서 패배한 국가적 위기 상황을 맞이하여 프랑스의 지도층과 교육관료들이 앞장서서 위기극복을 위한 대처방안으로서 지리교육을 강화시켰다. 국가 사회적인 관심과 지원 속에 지리교육은 제도적으로 확고한 위상을 정립하게 되었으며, 학계와 교육계의 열정적인 노력으로 지리교과는 국가교육의 핵심적 지위를 확보하게 되었다. 이러한 맥락 하에서 프랑스의 지리 교육과정은 국토애를 통한 애국심 함양, 자국 중심의 국제 정세 파악이라는 교육 목적 하에서 지역지리 중심으로 내용을 구성하여 왔으며, 1960년대까지 이러한 경향이 지속되었다. 1970년대부터 학생들의 탐구 기능 습득을 강조하는 교육 철학이 도입되면서, 계통지리가 강화되고 지역지리 학습에서 기술적 방식을 탈피하여 설명의 논리를 도입하려는 시도가 진행되어 왔다. 2008년 개정교육과정은 지역지리가 약화되고, 계통지리가 강화되었다는 점에서 큰 변화를 예고하고 있지만, 지평확대 역전 모형과 나선형 교육과정은 프랑스 지리교육의 전통으로서 최근까지 교육내용 구성의 기본 형식으로 유지되고 있다. 이는 주지주의 교육철학과 교과서 중심의 교실수업이라는 전통에 기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France is internationally known for the highest level of the geography education. Since 1871 geography education in France was firmly established on an institutional basis. In the situation of national crisis by the defeat in the Franco-Prussian War in 1870, the elite and educational officials took the lead in fostering geography education as an solution to overcome the crisis. Governmental and social support helped geography education secure an institutionally stable position, and passionate efforts by academic and educational circles enabled the subject of geography to secure a central position in national curriculum. In this context, school geography was constructed according to regional framework, for educational purposes of fostering patriotism through territorial attachment and understanding international affairs from the French perspective, this trend lasted until the 1960s. Since the early 1970s, educational philosophy emphasizing the learning skills was introduced, systematic geography was strengthened, and regional geography was transformed from the description to explain. Revised curriculum in 2008 will bring out a big change, because the regional geography was weakened, and the systematic geography was strengthened more. However, until recently Inversion model of expanded horizons and the spiral curriculum have been maintained as French tradition of geography education. This is interpreted as due to educational tradition of intellectualism and the school culture of textbookcentered classroom.

      • KCI등재

        역량 기반 대만 지리 교육과정의 특징

        김현주 ( Hyun Joo Kim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3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대만 지리 교육과정의 구성, 역량과의 관계, 학습 내용의 조직 등을 중심으로 역량 기반 교과 교육과정의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지리 교육과정 개정에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 것이다. 대만의 지리 교육과정은 국민교육 단계인 초·중학교 1~9학년에서 7대 학습 영역 중의 「사회」학습영역으로, 일반계 고등학교 10~12학년에서는 ‘통론지리’, ‘구역지리’로 나뉘어 운영되고 있다. 대만은 총론 수준에서 역량을 명시하고 모든 교과교육에서 역량 계발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지리 학습 내용을 구성, 조직하는 단계의 지리교육과정 수준에서는 지리과 고유의 역량이나 개념에 대한 명시가 없고, 단순히 역량과 지리 교과 지식의 관계가 병렬적으로 제시되는, 소극적 형태의 설계 방식을 보인다. 역량 기반을 표방한 대만의 지리 교육과정 운영사례는 교과 지식의 내용 체계를 유지하면서 학습의 방향이 역량의 계발임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 지리과 고유의 역량에 대한 수준별 제시가 없다는 점 등에서 우리나라 지리 교육과정 개정에 시사점을 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implications for the further curriculum revision of Korean Geography curriculum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aiwan`s competence-based curriculum based on its curriculum design, its relations with competence, and organization of learning contents. According to Taiwan`s curriculum, students in 1st~9th grades(compulsory education) study Geography under Social Studies section, one of the seven subject areas; high school students in 10th~12th grades study ‘Systematic Geography’ and ‘Regional Geography’ separately. Taiwan`s curriculum has configured competency as a separate category in its general guideline and emphasizes that the competency should be achieved through the content knowledge. However, at the level of composing and organizing the content of Geography curriculum, it hasn`t configured its distinct subject-competence or core concepts of Geography. It simply states the parallel relationship between Geography content knowledge and competencies. The case of Taiwan`s Geography curriculum design gives implications for the future revision of Korean Geography curriculum in the following references: Taiwan`s Geography curriculum which claims to be competence-base stresses the development of competence while the knowledge structure of the subject still follows the traditional way. Another point is that its curriculum does not introduce any distinct competence of Geography in different leve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