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체제전환기 몽골의 지리경관 특성

        이간용 한국사진지리학회 2024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34 No.1

        Mongolia is considered a representative country that successfully attempted regime change. Based on fieldwork, this study examines recent geographical changes in Mongolia in terms of land landscape, language landscape, and residential landscape. As changes occur in the commonality of land, which is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 of nomadic society, changes in the land landscape of Mongolia today are occurring, such as strengthening boundaries and territorialization, and the coexistence of pastoralism and cultivation. Even in the linguistic landscape centered on the Cyrillic alphabet, multi-character linguistic landscapes such as East Asian languages appear, and in particular, landscapes showing changes in status between the Cyrillic alphabet and English are also observed. Ger, Mongolia’s traditional residential style, goes beyond its significance as a folklore material and maintains its value and inertia as an important residential form, regardless of whether it is a village or a city, even in modern times. However, changes are also occurring in gers, with modern conveniences and tool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ntinues the line of regional research on Mongolia and introduces recent changes in Mongolia.

      • 초등 저학년 학생들의 ‘조망’ 능력 발달 특성 분석

        이간용 공주교육대학교 초등연구원 2007 公州敎大論叢 Vol.44 No.2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developmental traits of 'perspective ability' of the lower grade students(grade 1-3) in elementary school. Based on the analysis, this study provides several suggestions to the curriculum and teaching-learning activities of social studies of elementary school. The analysis of the study focused on two aspects: perspective view and perspective scope. The findings are as follows. As a school age rise, the students' perspective views progress gradually from oblique angle toward vertical angle. This implies that the visual-spatial materials made from oblique view are appropriate for the grade 1 students in learning activities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As a school year rise, the students' perspective scopes extent from self-centered bounds into classroom in scale. This means that the narrow-spatial materials such as teacher' desk are relevant for the grade 1 students in learning activities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But the perspective activities of the elementary students reveal differences between individuals even in the same school age.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지도 학습을 위한 관건의 하나로서 ‘조망 능력(perspective ability)’의 획득 여부가 중요하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조망적 시각과 그 범위의 발달적 특성을 살펴보고, 그것이 교육 과정 구성이나 학습 자료 개발 및 제시에 주는 함의를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 저학년 학생들의 조망적 시각은 1학년에서는 사각적 조망이 우세하고 2학년의 점이적 단계를 거쳐 3학년에 이르면 수직적 조망 능력이 거의 완성되는 발달적 특성을 보였다. 그리고 초등 저학년 학생들의 조망 범위 확대 과정은 1학년에서는 자신을 중심으로 교사 및 근접 친구 중심의 인지 범위에서, 2학년에서는 불완전한 전체 인지의 중간적 과정을 거쳐, 3학년에 이르면 조망의 범위가 교실 전체로 확대되고 전체 속에서 부분을 인지하는 특성을 보였다. 따라서 시각․공간 자료의 제시나 교사의 학습 자료 개발에서도 이와 같은 발달적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그렇지만 초등 저학년의 조망 시각과 범위의 발달 정도는 동일 학령 내에서도 그 개인차가 크게 나타난다는 점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통합사회」 교과서에 나타난 지리 개념의 문제점과 대안 고찰

        이간용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8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6 No.4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problems of conceptual error or inadequacy and abuse or misuse of geographical concepts in ‘integrated social studies’ texts, and try to find a solution to the problems. The sample editions of the 5 texts were used for investigating because these properly showed latest recognition and understanding of geographical concepts. Geography domain of the texts have many problems on geographical concepts, for example a conceptual errors or inadequacy and abuse or misuse of concepts. In particular, the authors of texts hold a different view of what is the definition of spatial perspectives. The fundamental geographical concepts, i.e. region, space, place, and so on, were overused or misused. Therefore geographical researchers need to discuss these problems, and the geography community must strictly apply these concepts to the contexts of explain and statement. These problems have to be dealt with by geography teacher training programs.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신설된 「통합사회」교과서에서 나타난 여러 지리 개념의 정의와 활용상의 문제점을 탐색하고 그 대안을 모색한 것이다. 분석 자료는 5종의 「통합사회」교과서로서 2018학년도부터학교 현장에 보급된 것이다. 분석 결과, 기후와 날씨, 영역과 영토 개념 간 혼동을 비롯하여 지리 관련 내용에서 개념 정의의 오류 및 미흡, 개념의 혼용 및 오남용 문제를 다수 발견할 수 있었다. 특히, 교과서마다 공간적 관점에대하여 서로 달리 정의되는 문제점과 지역, 공간, 장소 등 지리의 주요 개념이 오남용되는 문제점이 두드러졌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선 공간적 관점에 대한 타당한 정의를 위한 논의의 장이 마련되고, 여러 지리개념을 보다 정밀하게 정의하여 그것을 일관되고 엄격하게, 그리고 맥락에 부합하도록 활용하려는 지리 교육 공동체의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 아울러 교육과정이나 지리 교사 현장 연수 등에서도 지리 개념의 오남용 문제를다룰 프로그램이 제공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씨족 집단간 사회적 관계의 변화와 존락의 공간구성 - 중남 청양군 미동 동족촌의 사례연구 -

        이간용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1994 地理敎育論集 Vol.31 No.1

        This study is designed to examine the process of changing spatial structure in social relationships between two village clans. 'Midong' located Woongok-myon Chongyang-gun Chungchongnam Do, has been selected as a research area. The subjects for this study are the Lee family originated from Chonju and the Chon family from Tamyang who have lived in this area since the late 17th century. Supposing a well-organized social system and clan activities were prerequisites for a consanguine village, number or density of clan members, social status, and landholding of a clan would be practical conditions for its development. Even though many complicated factors could impact on changing village spatial structure, the following three factors were examined in this study: the supplement of clan members; the change in social status; and the transition process of landholding accompanied with the change of social standing. Observation of the two Midong clans revealed that these factors had a negative affect on the Chon clan. The genealogie organization of the Chon clan was weakened despite the fact that this clan had lived on the Midong area for about three centuries. To the contrary, the Lee clan increased in number of family members, enjoyed a relative rise in social status, and increased their landholdings. Therefore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spatial structure in Midong was centered around the Lee clan.

      • KCI등재

        독일의 초등 지리교육과정 변화 특성 및 그 함의 고찰

        이간용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9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7 No.2

        This study is to elucidate recent changing features and implications of elementary geography curriculum of German. In 2004 curriculum the geography education has been realized in 「Integrated Subject」for 1st-4th grades with ‘understanding of spatial’ theme as the center, and in high level in 「Geography」for 5th-6th as an independent subject. In company with 2017/18 curriculum geography education of Germen has an experience a great changes. The 2017/18 curriculum pursues competence development of learners on the bases of integrated themes. Thus theme of Earth of 「Integrated Subject」 takes on a main role as geographical contents, 「Social Science」replaces 「Geography」for upper grades. The contents of 「Social Science」are composed of 6 mandatory themes, i.e. food, and 7 optional themes, i.e. world of children. The themes of this subject bear a close parallel to traditional geographical themes, and the contents have stereo-structures to understand phenomena from a geographical, historical and social perspective. These features have significant implication to reorganize our elementary social studies in the future.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지리교육 강국인 독일의 최근 초등 지리교육의 변화 특성을 분석하고, 우리 초등사회과에 주는 함의를 고찰하였다. 독일의 2004 교육과정 체제에서 지리교육은 1-4학년의 「통합교과」에서는 8가지 대주제 중에서 ‘공간 이해’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5-6학년에서는 「지리」라는 독립 교과로서 매우 체계적이고높은 수준에서 이루어졌었다. 그렇지만 2017/18 교육과정의 도입으로 지리교육은 큰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이교육과정의 가장 큰 특징은 통합적 주제를 바탕으로 한 역량 계발을 지향한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지리교육은저학년 「통합교과」에서는 새로 선정된 8가지 대주제 중에서 ‘지구’ 주제를 중심으로, 고학년에서는 신설된 「사회과학」에서 통합적 주제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통합적 주제는 ‘식량’ 비롯한 6가지 필수 주제와 ‘어린이들의 세계’를 비롯한 7개의 선택 주제로 구성된다. 이 「사회과학」교육과정은 내용 면에서 전통적인 지리적 주제와유사성이 높고, 장소나 지역 사례를 토대로 과거와 현재 사회를 이해하도록 하는 입체적 구성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러한 특성은 장치 우리의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진정한 통합을 추구하고자 할 때, 하나의 수범적 사례가될 수 있을 것이다.

      • KCI우수등재

        슬로베니아 크라스(Kras) 지방의 지명 및 경관 정체성 - ‘카르스트’ 지명 및 학술용어의 유래를 포함하여 -

        이간용 대한지리학회 2022 대한지리학회지 Vol.57 No.5

        ‘K(k)arst’ is one of the relatively familiar geographical terms not only for geography researchers, but also for students and the general public. This K(k)arst is closely related to the Kras in southwestern Slovenia. Unlike what is known in Korea so far, K(k)arst is not a German expression of ‘Kras’, but is derived from ‘Carsus’, the old name of Kras, which was Latinized in Roman times. Carsus has its origins in the Pre-Indo-European root ‘kar(r)a/gar(r)-’, meaning stone. From this Carsus, Italian ‘Carso’, Slovenian ‘Kras’, and German ‘Karst’ are derived according to the phonemic changes of each country. Karst, which was a proper noun, acquired status as an international academic term in the late 19th century.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fact that almost all travel reports and treatises on Kras were published in German from that time and before that time. Today, in Slovenia, many academic and regional activities are active to realize the toponym identity of Kras. And Kras’ traditional landscape identity as a ‘gray stony barren land(kraška gmajna)’ was shaped throughout the 17-19th centuries. However, from the end of the 18th century onwards, along with the removal of surface rocks due to arable land reclamation, changes in vegetation due to the creation of artificial forests and the increase of natural forests have been occurring since the 20th century. Accordingly, the traditional landscape identity for Kras is difficult to exist any longer. Today, Kras is not a gray wasteland, but a ‘green forest’. ‘카르스트’는 지리 관련 연구자뿐만 아니라, 학생과 일반인들에게도 비교적 친숙한 지리 용어의 하나이다. 이 카르스트는 바로 슬로베니아 남서부에 위치한 크라스(Kras) 지방과 관련이 깊다. 지금까지 국내에 알려진 것과는 달리 카르스트는 ‘Kras’의 독일식 표현이 아니라, 로마 시대 라틴어화한 Kras의 옛 지명인 ‘Carsus’로부터 유래하였으며, 이는 돌을 의미하는 선(先) 인도-유럽어 어근 ‘kar(r)a/gar(r)-’에 그 기원을 두고 있다. 이 Carsus로부터 각국의 음운변천에 따라 이탈리아어 ‘Carso’, 슬로베니아어 ‘Kras’, 독일어 ‘Karst’가 파생된 것이다. 고유명사였던 Karst는 19세기 후반에 이르러 국제적인 학술용어로서의 지위를 획득한다. 당시를 포함하여 그 이전 시기부터 크라스 지방에 대한 거의 모든 여행기나 논문이 독일어로 출판된 것과 관계가 깊다. 오늘날 슬로베니아에서는 ‘Kras’의 지명 정체성을 구현하려는 여러 학술적, 지역적 활동이 활발하다. 그리고 ‘회색 돌투성이의 황무지(kraška gmajna)’라는 크라스 지방에 대한 전통적인 경관 정체성은 17-19세기에 걸쳐 형성되었다. 그렇지만 18세기 말 이후부터 경지 개간에 따른 지표 암석의 제거, 20세기 이후부터 인공림 조성과 자연림 증대에 따른 식생의 변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크라스 지방에 대한 전통적인 경관 정체성은 더 이상 존립하기 어렵다. 오늘날 크라스 지방은 회색의 황무지가 아니라, ‘녹색의 산림지’로 변모하고 있다.

      • KCI우수등재

        슬로베니아 크라스(Kras) 지방의 자연과 인간 - 돌, 물, 바람 문화를 중심으로 -

        이간용 대한지리학회 2023 대한지리학회지 Vol.58 No.2

        슬로베니아의 크라스(Kras) 지방은 비단 카르스트 지형 연구의 본원지로서 뿐만 아니라, 지리학과 지리교육의 전통적 대주제인 인간-자연 간 관계의 특징적인 면을 보여주는 전형적인 사례 지역으로서 평가된다. 이 지방은 단일 암석(석회암)의 균질적 분포, 지표수의 부재, 그리고 강력한 지역풍(bora)의 존재 등 특징적인 자연환경에 의존 및 적응하는 과정에서 독특한 인간 생활과 문화경관을 형성해 왔기 때문이다. 전통적으로 돌담, 돌 오두막, 돌 가옥 등 석축문화를 비롯한 돌 공장, 돌 조각 등 채석 및 석조 문화가 발달한 점, 카르스트 우물, 돌리네 연못, 빗물 집수 장치 등 저수및 집수 문화가 발달한 점, 그리고 남사면 취락 입지, 연립형 집촌, 남서향 및 반(半) 닫힘 구조의 가옥, 완만한 지붕 경사, 짧은 처마, 지붕돌, 높은 담장과 안마당, 육중한 굴뚝 등 방풍 및 적풍(適風) 문화가 발달한 점 등이 그것이다. 특히 크라스지방의 ‘돌’은 이 지역의 과거와 현재에 걸쳐 지역적 특성 및 정체성의 핵심이자 원천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이 연구는실제 답사에 기초하여 크라스 지방의 자연환경과 인간 생활 간의 관계를 설명한 것으로서 크라스 지방의 자연환경과인간 생활에 대한 지리학적 이해를 돕고, 아울러 지리교육과 여행 지리에 의미 있는 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오스트레일리아 HASS 초등지리 교육과정의 최근 변화 특성 및 함의

        이간용,임미연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24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32 No.1

        이 연구는 오스트레일리아의 초등사회과(HASS F-6), 특히 지리 교육과정의 최근 변화 특성 및 함의를 고찰한 것이다. 최근(2022) 오스트레일리아의 국가 교육과정 및 사회과 교육과정은 목표, 스트랜드 및 하위 스트랜드의 명칭, 학문적 사고 개념 및 학제적 사고 개념 등에 변화가 나타났다. 특히, 학문적 지식과 사고 개념이 강조되는 점, 성취기준의 내용을 정련하고 정교화(elaboration) 한 점이 두드러진 특징이다. 초등지리 교육과정의 경우, ‘지식・이해’ 및 ‘기능’ 스트랜드(strands)가 내용 구성의 기본 틀이자 중심축으로 작용하는 가운데, 역사, 지리, 시민, 경제가 각각 독자적인 영역 명과 성취기준을 지닌다. 이 네 영역은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역사와 지리, 시민, 경제 순으로 편입되는, 순차적 중첩방식으로 조직된다. 내용 선정 및 조직 면에서는 7개의 대주제가 선정되어학년별로 계열화하여 있고, 모든 대주제 명에는 공간 및 시간 스케일이 결합하여 있어 양자가 학습 내용 및 범위 구성의 요체로작용하고 있다. 대주제는 지평 확대 방식으로 학년별로 배열된다. 지식・이해 스트랜드 면에서 지리 주제는 기본적으로 지역 중심적 성격을 띠는 가운데서도 중학년(Y4) 이상에서 주제 중심적 내용도 복합된 특징을 보인다. 기능 스트랜드 면에서 지리 학습 활동은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학습자의 행동 수준 및 자료 활용 유형에서 명확한 차별화와 계열화가 이루어지도록 조직되어 있다. 오스트레일리아의 초등지리 교육과정은 우리에게 영역의 순차적 중첩, 학년별 단일 대주제를 통한 내용 통합 및 대주제별 공간적 스케일 명시, 학년에 따른 기능별 행동 및 자료 수준의 계열화, 성취기준의 지리교육적 정교화 등의 함의를 제공해 준다.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recent changes in Australia’s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HASS F-6), especially the geography curriculum. Recently (2022), Australia’s national curriculum and social studies curriculum showed changes in aims, names of strands and sub-strands, and concepts of disciplinary thinking and interdisciplinary thinking. In particular, the emphasis on disciplinary knowledge and thinking concepts, and the refining and elaboration of the content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are notable features. In the case of the elementary geography curriculum, the ‘knowledge and understanding’ and ‘skills’ strands serve as the basic framework and central axis of content composition, while history, geography, civics, and economics each have their own domain names and achievement standards. These four domains are organized in a sequential overlapping methode, with history, geography, civics, and economics being incorporated as the grades progress. In terms of content selection and organization, seven major topics are selected and organized by grade, and all major topic names are combined with spatial and temporal scales, so both serve as the essence of composing learning content and scope. Major topics are arranged by grade in a horizon-expanding manner. In terms of knowledge and understanding strand, the topic of geography is basically region-centered, but also shows a combination of topic-centered content in middle grades (Y4) and above. In terms of skill strands, geography learning activities are organized so that there is clear differentiation and sequencing in the level of learner behavior and types of material use as the grades progress. Australia’s primary geography curriculum provides us with implications such as sequential overlapping of domains, integration of content through a single major topic for each grade and explicit spatial scale for each major topic, sequencing of behavoir and material levels by skills according to grade, and geographic elaboration of achievement standards.

      • KCI우수등재

        라틴 아메리카의 지폐 아이코노그래피

        이간용 대한지리학회 2022 대한지리학회지 Vol.57 No.4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banknote iconography in Latin America in terms of region and subject. The subject+subtitle combination of the banknote iconography of the Islands of America has a high ratio of figures・portraits+architecture・structures, and the main materials are the tropical climate and the physical environment of marine islands. Central and South America’s subject+subtitle combination has a high proportion of figures・portraits+nature・ecology, and the main materials are ancient remains and relics, and colorful natural and ecological landscapes. In particular, the Argentine banknote deserves to be evaluated as the most ‘geographical’ banknote iconography in that the country’s ecological landscape, map, and direction map are serialized by face value. When all the subject and materials appearing in Latin American banknotes are put together, the types of identity enhancement and value orientation contained in banknote iconography can be categorized into six categories: authority, history, material, art, nature, and ecology. In this process, it is confirmed that the stage of ecological value orientation is coming as a new trend of global social change(commitment to tradition→ material success→pursuit of quality of life) presented in the modernization theory and world social norms theory. As a result, Latin American banknote iconography reflects the diverse human and natural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while differentiation and commonality coexist by region and subject, thereby confirming and enhancing their identity. In particular,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tural environment go beyond their role as assets to enhance their identity, and actively and proactively contain ecological values ​​that are emerging as important norms in our lives and in the world society today. These characteristics have implications for the past-oriented iconography of Korean banknotes. 본 연구는 라틴 아메리카의 지폐 아이코노그래피 특성을 지역 및 주제 면에서 고찰한 것이다. 도서 아메리카의 지폐 아이코노그래피의 주제+부제 조합은 인물・초상+건축・구조의 비율이 높았고, 주요 소재는 열대기후와 해양 도서라는 자연환경이었다. 중앙 및 남아메리카의 주제+부제 조합은 인물・초상+자연・생태의 비율이 높았고, 주요 소재는 고대의 유적과 유물, 다채로운 자연 및 생태 경관이었다. 특히, 아르헨티나 지폐는 자국의 생태 경관, 지도, 방위표 등이 액면가별로 계열화하여 있다는 점에서 가장 ‘지리적인’ 지폐 아이코노그래피로 평가할 만하다. 라틴 아메리카의 지폐에 등장하는 모든 주제와 소재를 종합할 때, 지폐 아이코노그래피에 담긴 정체성 고양 및 가치 지향의 유형을 권위, 역사, 물질, 예술, 자연, 생태의 6가지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현대화이론 및 세계사회규범이론에서 제시되었던 세계사회변화(전통에 대한 헌신→물질적인 성공→삶의 질 추구)의 새로운 경향으로서 생태적 가치 지향의 단계가 도래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라틴 아메리카의 지폐 아이코노그래피는 지역 및 주제 면에서 차별성과 공통성이 병존하는 가운데서 지역의 다양한 인문적 및 자연적 특성이 반영되고 있었으며, 이를 통해 자신들의 정체성을 확인하고 고양하고자 의도하고 있었다. 특히 자연환경 특성을 자신들의 정체성 고양을 위한 자산으로서의 역할을 넘어, 오늘날 우리 삶과 국제사회에서 중요한 규범으로 부각하고 있는 생태적 가치로서 적극적이고 선도적으로 담아내고 있었다. 이러한 특성은 과거지향적인 한국의 지폐 아이코노그래피에 시사하는 바가 있다.

      • KCI등재

        초등학생의 세계 국가 위치인지의 공간적 특성 - ‘우리나라’ 및 ‘이웃 나라’를 중심으로 -

        이간용,임미연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23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31 No.1

        Location is a key concept and idea of geography and is the basis of geographic literacy. This study analyze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location cognition on the map of ‘Korea’ and its ‘neighboring countries’ in terms of locating and orienting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ile the overall positioning-accuracy rate for Korea’s location increased as the grades increased, a leap forward was observed in the 3rd and 6th grades. However, there was also a problem that the overall average rat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less than 50%. As for the positioning characteristics for Korea, there were systematic trends such as worldwide dispersion distribution in the lower grades, concentration in East Asia from the middle grades, and clustering in the Korean Peninsula in the upper grades. Elementary school students’ overall awareness of neighboring countries was high in the order of Japan, China, Russia, North Korea, the United States, Mongolia, and others. Japan and China are the top-recognition countries, and the lower and middle school students have higher awareness of Japan, and the upper grades have higher awareness of China. In the orienting for neighboring countries, spatial characteristics such as expansion of distribution range, clustering of distribution, and strengthening of clustering along the northwest-southeast axis were confirmed as the higher grades progressed. 위치는 지리의 핵심 개념이자 아이디어이고, 지리적 문해력의 기초이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우리나라 및 ‘이웃 나라’에 대한 지도상 위치인지의 공간적 특성을 정치(定置)와 정향(定向) 면에서 분석한 것이다. 우리나라 위치에 대한 정위율(正位率)은 학년이 높아질수록 전체적으로 높아지는 가운데 3학년과 6학년에서 도약적 상승이 나타났다. 그렇지만 초등학생의전체적인 평균 정위율은 50%를 하회하는 문제점도 발견되었다. 우리나라에 대한 정치(定置) 특성으로는 저학년에서 세계적인분산 분포, 중학년에서 동아시아로의 집중화, 고학년에서 한반도로의 밀집화 등의 계열적 경향을 보였다. 이웃 나라에 대한 초등학생의 전체적인 인지도는 일본, 중국, 러시아, 북한, 미국, 몽골, 기타 등의 순으로 높았는데, 고학년으로 갈수록 중국, 일본, 러시아의 3국으로 집약되는 경향을 보였다. 일본과 중국은 최상위 인지도 국가로서 저학년과 중학년에서는 일본, 고학년에서는 중국에대한 인지도가 더 높았다. 이웃 나라에 대한 정향(定向)에서는 고학년으로 갈수록 분포 범위의 확대, 분포의 군집화, 그리고 북서- 남동 방향 축으로의 군집화 강화 등의 공간적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