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재난관리자원의 효율적 운영 및 관리 방안 – 공유경제 플랫폼을 중심으로 -

        양기근 한국재난관리학회 2023 한국재난관리학보 Vol.1 No.1

        본 연구는 재난관리자원의 효율적 운영 및 관리를 위한 방안으로 공유경제 플랫폼을 활용하는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공유경제는 자원의 효율적인 활용과 배분을 목적으로 하는 경제 모델로서 재난관리자 원을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재난이 발생할 우려가 있거나 발생하였을 때에 재난관리자원을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동원하여 국민의 생명⋅신체 및 재산을 보호하는데 유용한 모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이론적 논의로서 재난관리자원의 의의 및 중요성, 재난관리자원의 법제도 발전과정과 선행연구, 국내 및 미국과 일본의 재난관리자원 운영 현황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는 스마트 물류시스템, 공간⋅수송 공유경제 및 물건, 서비스⋅지식 공유경제 사례 를 통하여 재난관리자원의 효율적 운영 및 관리 방안으로서의 공유경제 플랫폼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an alternative to utilize a sharing economy platform as a way to efficiently operate and manage disaster management resources. The sharing economy is an economic model aimed at the efficient utilization and distribution of resources. It manages disaster management resources systematically and efficiently, and promptly and stably mobilizes disaster management resources when there is a risk of or occurrence of a disaster, thereby it can be a useful model for protecting people's lives, bodies, and propert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is study first looked at the meaning and importance of disaster management resources as a theoretical discussion,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the legal system of disaster management resources, previous studies and the current status of disaster management resources operation in Korea, the United States, and Japan. Next, the sharing economy platform as a method for efficient operation and management of disaster management resources was discussed through cases of smart logistics system, space/transport sharing economy, goods, service/knowledge sharing economy.

      • 한국의 재난관리학 연구의 방향과 과제 - Black Swan과 Gray Rhino -

        이재은 한국재난관리학회 2023 한국재난관리학보 Vol.1 No.1

        이 연구는 한국의 재난관리학이 연구해야 할 주제와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재난관리학의 의의, 주요 재난과 재난관리체계의 변화, 코어시스템(core system) 모델에 대해 검토한다. 연구 결과, 이 연구에서는 한국의 재난관리학이 연구해야 할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재난관리의 가치와 철학 영역에서는 공동체의 재난 회복탄력성, 기후위기 시대의 재난관리, 빈곤 퇴치와 지속가능한 재난관리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재난관리 제도 개선 영역에서는 지방정부의 재난관 리 거버넌스, 재난관리 효과성을 위한 예산 관리 및 투자, 국가핵심기반 재난관리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재난관리 리더십 확보를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재난관리 가치와 철학에 대한 헌신 영역에서는 재난관리 를 위한 공동체의 포괄적 역량 강화, 재난관리 협업과 대비 활동, 재난피해자의 회복탄력성을 높이는 재해구호 연구가 필요하다. 다섯째, 재난관리 전문성 영역에서는 재난관리 전문성 확보,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첨단기 술 활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research topics and future directions for disastronomy in Korea. To accomplish this, this study reviews the significance of disastronomy, major disasters and changes in disaster management systems, and the core system model. As a result,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directions for disastronomy in Korea. First, in the area of value and philosophy of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on disaster resilience of communities, disaster management in the era of climate crisis, poverty alleviation and sustainable disaster management is needed. Second, in the area of improving disaster management systems, research is needed on disaster management governance by local governments, budget management and investment for disaster management effectiveness, and critical infrastructure disaster management. Third, research on disaster management leadership is necessary. Fourth, in the area of devotion/dedication to disaster management values and philosophies, research is needed to strengthen the comprehensive capacity of communities to manage disasters, strengthening disaster management collaboration and preparedness, and disaster relief that increases the resilience of disaster victims. Fifth, in the area of disaster management expertise, research is needed on securing disaster management expertise and utilizing advanced technologie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재난약자를 위한 방재디자인 원칙 연구

        노황우 한국재난관리학회 2023 한국재난관리학보 Vol.1 No.2

        우리사회는 저출산과 의학 기술의 발달로 초고령화 사회가 진행되고 있으며 환경오염에 따른 질병, 사고로 발생하는 장애인, 거주 외국인 증가로 재난약자가 늘어나고 있다. 재난약자는 재난 발생 시 행동장애, 소통문 제, 능동적 재난 대응이 어려움을 겪고 있기에 재난약자에 대한 안전대책으로 방재디자인의 원칙을 연구하였 다. 연구의 결과, 재난약자들이 정보처리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인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모색하였으며 방재디자인원칙으로 복합감각·공감각, 차별화·주목성 활용, 양식화·표준화 활용, 안전성·사용 성, 단순화·최소화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이론에 기반한 연구로 검증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향후 실증연구 를 통하여 방재디자인 이론을 검증할 필요가 있으며 방재디자인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도 필요하다. Our society is becoming a super-aging society due to Sub-Replacement Fertility and advancements in medical technology. The number of people vulnerable to disasters is increasing due to diseases caused by environmental pollution, disabled people caused by accidents, and the number of foreigners residing in the country. Disaster-vulnerable people suffer from behavioral difficulties, communication problems, and difficulties in actively responding to disasters when disasters occur. We studied the principles of disaster prevention design as a safety measure for disaster victims. As a result of the study, we sought ways to solve cognitive problems that may arise in the information processing process of disaster-vulnerable people. Disaster prevention design principles for the disaster vulnerable should include multiple senses and synesthesia, use of differentiation and attention, use of stylization and standardization, safety and usability, and simplification and minimization. Since this study is theory-based and has limitations in verification, it is necessary to verify the disaster prevention design theory through future empirical research, and additional research is also necessary.

      • 한국형 초위험사회 정책조합 모형과 재난안전정책 거버넌스

        최상옥 한국재난관리학회 2023 한국재난관리학보 Vol.1 No.1

        뉴노멀 코로나·제4차 산업혁명시대 초위험 불확실성 사회의 난제(wicked problems) 해결을 위한 다양한 정책 수단의 조합을 모형화하여 초대형 복합 재난 및 안전사고 저감는 물론 국민의 일상적 삶의 질 제고를 위한 정책영역을 확대하고 생애주기별로 세부내용을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초위험사회의 정책영역을 신공공성의 논의에 기반으로 하여 초위험사회 공공정책 영역과 내용을 검토하고, 현재 운용되고 있는 사회관계장관회의에서 논의되었던 안건을 중심으로 어떠한 정책조합이 활용되었고, 어떠한 정책조합이 바람직한 것인가에 대한 전문가 의견을 비교하여 한국형 초위험사회 정책조합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초위험사회 정책조합 모형을 통하여, 재난안전분야의 정책조합 모형의 특성을 살펴보았고 재안전전정책 거버넌스의 개선을 위한 재난안전관계장관회의(가칭) 구축을 제언하였다. In the era of the new normal corona an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necessary to model a combination of various policy measures to solve the wicked problems of a hyper-risk, uncertain society, to expand the policy area to improve the quality of people's daily lives as well as to reduce super-large-scale complex disasters and safety accidents, and to specify details for each life cycle. In this study, policy areas of the ultra-risk society are examined based on the discussion of new publicness, and the public policy area and contents of the ultra-risk society are examined, and the Korean policy mix model of ultra-risk society is presented by comparing the opinions of experts on which policy mixes were used and which policy mixes are desirable based on the agenda discussed at the currently operating Social Relations Ministerial Meeting. Through this model of ultra-risky social policy combinations, this paper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policy mix models in the field of disaster safety and proposed the establishment of Disaster Safety Ministerial Meeting to improve the governance of all disaster safety policies.

      • 초고층 건물화재 특성을 반영한 화재 진압에 관한 연구

        이성영,양수연,박준하,류상일 한국재난관리학회 2023 한국재난관리학보 Vol.1 No.2

        2001년 세계무역센터 테러를 시작으로 중국 상하이 아파트 화재(2010), 미국 하와이 아파트 화재(2017), 영국 그렌펠 타워 화재(2017) 등의 고층 건축물 화재는 건축물의 안전에 관한 관심을 전 세계적으로 증가시켰다. 고층화, 고밀도화, 다기능화, 복잡화 등 초고층 건축물이 가지는 특성은 화재진압을 어렵게 하며, 효과적 화재진압을 위해서는 화재진압에 해당하는 대응 단계뿐만 아니라 예방 및 대비 단계에서도 그 역량을 강화하 여야 한다. 이 연구는 문헌조사 및 선행연구를 통하여 초고층 건물화재 특성과 진화의 어려움을 살펴보고, 해외의 초고층 건물화재 사례를 분석하여 국내 초고층 건물의 대응 및 화재진압 역량 강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의 결과를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소방대 역량에 따른 고층 개념의 재정립이 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화재진압 방식의 변경과 이에 따른 소화 약제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건물 외벽 윈도 스프링클러(Window sprinkler)의 설치가 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피난층 설치 기준의 강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해외 및 국내의 사례를 보면 초고층 건물화재 직후 관련 법안과 규정이 마련되었다. 효과적인 재난관리를 위해서는 후속적 조치로서 법안을 마련하는 것을 넘어, 선제적으로 재난관리 법안을 만들 필요가 있다. Starting with the attacks on the World Trade Center in 2001, high-rise building fires such as the Shanghai, China apartment fire (2010), the Hawaii, USA apartment fire (2017), and the U.K. Grenfell Tower fire (2017), high-rise building fires have increased global attention to building safety. The characteristics of high-rise buildings, such as high-rise, high-density, multi-functionality, and complexity, make fire suppression challenging, effective firefighting requires enhanced capabilities not only in the response phase of firefighting, but also in the prevention and preparedness phase.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high-rise building fires and the difficulty of extinguishing them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previous research.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proposed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of high-rise should be redefined according to the capabilities of the fire brigade. Second, firefighting methods will need to change and extinguishing agents will need to be developed accordingly. Third, window sprinklers should be installed on the exterior walls of buildings. Fourth, the standards for the installation of evacuation floors should be strengthened. Based on overseas and domestic cases,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were prepared immediately after the fire in highrise buildings. Effective disaster management requires proactive disaster management legislation, not reactive legislation.

      • 다중인파 밀집으로 인한 군중눌림 사고의 이해와 접근 - 사례와 현황 -

        왕순주 한국재난관리학회 2023 한국재난관리학보 Vol.1 No.1

        국내에서는 2022년 발생한 10.29 이태원참사로 인해 국민적 관심을 받기 이전까지는 몇몇 군중눌림 사고의 발생에도 불구하고 관심과 연구가 미비하였고, 이에 따라 군중눌림 사고 형태의 재난은 관련 용어의 정의가 되어 있지 않아 개념 확립과 실제 적용을 위하여 이를 재정립할 필요가 있어 저자는 같은 개념 분류 상의 영문 정의와 비교하여 한글 용어를 제안하였으며 이의 적용을 위해 논의와 과정이 필요하다. 군중눌림 사고는 국내에서는 빈도가 낮으나 세계적으로는 선진국, 후진국을 망라하여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주요 재난의 한 종류로 자리잡은 바 있다. 그러나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이 어렵고 대규모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지만 핵심적 인 해결책이 없다는 점에서 예방, 대비, 대응에 대한 다면적인 접근이 요구되며, 그러한 접근에 대한 분야를 초월한 이해를 기반으로 하여 각 해당 분야가 종합적으로 조율되어 접근하면서 지속적으로 새로운 해결책을 찾아가야 하겠다. There was little attention and research despite the occurrence of several crowd crushing accidents in Korea until the Itaewon disaster on October 29, 2022. So disasters in the form of crowd crushing have not been defined and need to be redefined for conceptualization and practical application. Korean terms were proposed in this study compared to the English definition of the same conceptual classification, although discussion and application process are needed. Crowd crush is less frequent in Korea, but globally, they have been established as one of the major disasters that continue to occur in both developed and underdeveloped countries. It is difficult to respond quickly when crowd crush occurs and it can cause large-scale casualties, but there is no definite solution. So a multifaceted approach to prevention, preparedness, and response is required, and it is necessary to find new solutions continuously while taking a comprehensive approach based on transdisciplinary understanding of each field.

      • 방폐장 입지선정 사례 정책PR 분석 - 고준위방폐장 수용성 제고를 위한 정책적 함의를 중심으로 -

        김태수,송진우,이서진,조일윤,김수빈 한국재난관리학회 2023 한국재난관리학보 Vol.1 No.2

        본 연구는 원전별 고준위 방폐물 처분시설의 포화 시점이 가까워짐에 따라 고준위 방폐장 설치가 필수가 된 국내 상황을 연구 배경으로 하여, 방폐장 입지선정에 대하여 대중의 수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적인 정책 PR 방향성 탐색을 목표로 한다. 사례 분석을 통한 갈등 상황 분석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는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과거 국내 대표적인 중저준위 방폐장 입지선정 실패 사례인 굴업도, 부안과 성공 사례인 경주를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였다. 각 사례 별로 실패, 성공 요인을 기존 선행연구에서 논의된 1) 응답성, 2) 개방성, 3) 컨트롤타워, 4) 가이드라인의 측정변인을 기준으로 비교, 분석한 결과, 방폐장 설립 관련 정책 PR 성공을 위해서 ‘소통 확대’와 ‘시민참여 활성화’, ‘조직간 원활한 정보 공유’, ‘성실한 환경평가 이행’이 효과적인 정책 PR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국민적 공감대 확보를 통한 원활한 정책 이행을 도모하는 정책 PR의 관점에서, ‘영향권 지역으로의 소통 범위 확대’, ‘시민참여의 제도적 보장’, ‘조직 간 쌍방향소통 방식 채택’, ‘주민의 안전 및 환경 관련 지속적인 가이드라인’을 향후 고준위 방폐장 유치 관련 방향성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effective policy PR that can maximize public acceptance of high-level waste disposal facilities as the saturation point of high-level waste disposal facilities for each nuclear power plant approaches, making the installation of high-level waste repositories a necessity in Korea. Referring to previous studies that focus on analyzing conflict situations through case analysis, we set Gulup Island and Buan, which are representative cases of failure in the past, and Gyeongju, which is a successful case, as the research subject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factors of failure and success in each case based on the measurement variables of 1) responsiveness, 2) openness, 3) control tower, and 4) guidelines discussed in previous studies, we found that ‘expanding communication’, ‘activating citizen participation’, ‘smooth information sharing between organizations’, and ‘implementing sincere environmental assessment’ contribute to effective policy PR. Based on the analysis, in terms of policy PR that promotes smooth policy implementation through securing public consensus, we suggest ‘expanding the scope of communication to affected areas,’ ‘institutional guarantee of citizen participation,’ ‘adoption of interactive communication methods between organizations,’ and ‘continuous guidelines related to residents’ safety and environment' as directions and implications for attracting high-level waste disposal sites in the future.

      • 소방장비 구매제도의 개선방안 연구

        한상현,채진 한국재난관리학회 2023 한국재난관리학보 Vol.1 No.2

        소방조직은 다른 정부기관에서 수행하는 업무와는 다르게 화재, 구조, 구급과 같은 위험상황에서 활동한다는 특별함과 극한의 환경에서 사용해야 한다. 소방장비의 특수성을 고려해 볼 때 각 시·도 소방본부가 요구하는 바와 더불어 실사용자 위주의 요구가 반영되고 우수장비 구입목적을 이룰 수 있는 소방기관 또는 소방장비만 을 대상으로 하는 자체 소방장비 조달계약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소방본부 등이 진행하는 소방장비 구매절차 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조달계약 체계에 대한 문제점과 사례를 분석하고 개선점 과 대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주요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도적 측면에서 새로운 규제수단을 통한 통제적 방안이다. 둘째, 실질적 구매행정이 이루어지는 수요기관의 구매절 차에 대해 업무담당자의 굴절된 재량행위를 제도화로 단속하고 이러한 한계적 권한을 지향하는 방향의 통제적 대안이다. Unlike the service performed by other government agencies, the service of firefighting organizations is unique in that it is performed in dangerous situations and extreme environments such as fire, rescue, and first aid. Considering the special nature of firefighting equipment, it needs to establish the procurement contract system that reflects the needs of each city/provincial firefighting headquarters as well as those of actual users to achieve the purpose of purchasing excellent firefighting equipment. This study aims to analyze problems of the existing procurement contract system which accounts for most of the purchase procedures of firefighting equipment conducted by fire departments, etc., and to suggest improvements and alternatives. Policy measures focusing on primary improvement measure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from an institutional perspective, control measures through new regulatory means are needed. Second, it needs a control alternative that systematically supervise the distorted discretionary behavior of the person in charge of the purchasing process of the demanding agency where actual purchasing administration takes place aiming for limited authority.

      • 산재근로자의 직업복귀 형태에 관한 요인 연구 - 회복탄력성 개념의 적용 -

        김민규,정지범 한국재난관리학회 2023 한국재난관리학보 Vol.1 No.1

        산업안전 분야는 사고 예방 위주의 전략을 취해왔지만, 근래에는 사고 이후의 회복과정에 집중하는 회복력의 개념이 강조되고 있다. 산재근로자의 원활한 직업복귀는 산업안전 회복력 관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산재근로자의 직업복귀 형태를 세부적으로 파악하고, 그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포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그들의 원활한 직업복귀, 나아가 산업안전의 회복력 강화를 위한 방안을 탐구하는 것이다. 산재보험패널조사의 1차연도(2018년)부터 4차연도(2021년)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4개년 모두 응답한 2,653 명의 패널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은 Stata 16.0 프로그램을 통해 진행했다. 카이제곱 분석을 통해 정규직 과 비정규직간 직업복귀 형태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정규직 산재근로자 집단은 비정규직 산재근로 자 집단과 비교하여 원직장 복귀율이 높았으며, 재취업과 미취업 비율이 낮았다. 혼합 다항로지스틱 분석을 통해 원직장 복귀와 재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사회심리학적, 재해사업장 요인을 파악했다. 분석 결과, 사회심리학적 요인은 원직장 복귀와 재취업 확률을 높이는 데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반면 재해사 업장 요인은 원직장 복귀 시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산재근로자 집단의 직업복귀에 대한 취약성을 도출하고 원활한 직업복귀를 지원하기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field of occupational safety has traditionally focused on accident prevention, but in recent years, the concept of resilience has been emphasized, with a focus on the recovery process after an accident. The smooth return to work of injured workers is important from the perspective of resilience in occupational saf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ays to strengthen the resilience of occupational safety by identifying the forms of occupational recovery of injured workers in detail and comprehensively analyzing the influencing factors. Data from the first year (2018) to the fourth year (2021) of the Panel Study of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were used, and 2,653 respondents from all four years were analyzed.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tata 16.0 program. Chi-square analysis was used to test for differences in the form of return to work between regular and non-regular workers. The results showed that regular workers had a higher rate of returning to their original job and a lower rate of reemployment and non-employment compared to non-regular workers. Mixed multinomial logistic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demographic, social psychological, and accident site factors that influence return to work and reemployment. The results showed that social psychological factor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increasing the probability of returning to work and reemployment. On the other hand, accidents workplace factors were only significant for return to work. Based on these results, we identified the vulnerabilities of the injured worker population when it comes to returning to work and discussed the implications for supporting a smooth return to wor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