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파라과이 대학의 한국어교육학과 교육과정 개발 연구 : 표현과 이해 기능을 중심으로

        장가혜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losely examine the current curriculum of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t The Instituto Superior de Educación, the ISE, and to develop a new curriculum for the department, which reflects the needs of its students and the real state of Korean education in Paraguay. Chapter 1 discusses previous studies focusing on Korean language instructor training programs designed to “cultivate” new teachers rather than to “re-educate” existing teachers in Korea, as well as the curriculum of other foreign languages, especially English. Chapter 2 investigates some related theories for discussion and reviews reference works used to prepare the standard curriculum in Paraguay. These references could potentially help develop the standard curriculum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departments used both in Paraguay and abroad. Chapter 3 examines Korean academia in general in Paraguay and ISE, and identifies the deficiencies in the Korean Education progra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majority of the students lack the skills or have difficulties articulating an idea verbally in the Korean language. In additnion students are requesting more classes in conversation and Korean culture, and better instructor preparation courses to improve teacher competency. Chapter 4 introduces a new curriculum for the Korean Education Department at ISE, based on the results discussed in chapters 2 and 3. The last chapter, chapter 5, summarizes previous chapters and identifies areas requiring further stud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e illumination of the dire need to address the issue of substandard curriculum for Korean Educational Programs in foreign universities around the world and to initialize the development of excellent educational programs in Korean studies. I hope these Korean Educational Programs will become common in all university language departments, like China, Japan, U.S., other countries, and that they will actively develop better programs. 파라과이 대학의 한국어교육학과 교육과정 개발 연구: 표현과 이해 기능을 중심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해외 대학의 한국어교육학과 교육과정을 면밀히 분석해보고 해외 대학 한국어교육학과 재학생들의 요구와 현지 실정이 반영된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데 있다. 1장에서는 국내 대학의 한국어교육학과 교육과정과 외국어 교사 양성 교육과정에 대한 선행 연구를 살폈다. 2장에서는 논의의 진행을 위한 이론과 파라과이의 현지 사정에 부합하고, 더 나아가 해외 대학에 개설될 한국어교육학과 교육과정의 표준을 마련하기 위하여 참고할만한 교육과정을 검토하였다. 3장에서는 파라과이 전반과 ISE 한국어교육학과의 교육과정을 살피고, 한국어교육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요구 조사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학생들은 한국어 표현 기능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회화 및 문화 수업의 확충, 교육 실습 과목의 개선을 원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4장에서는 2장과 3장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하여 파라과이 실정에 따른 ISE 한국어교육학과 교육과정을 제시하였다. 5장에서는 본고의 내용을 정리하고 후속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논의된 적이 거의 없는 해외 대학의 한국어교육학과 교육과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해외 한국어교육이 지속적으로 활기를 띠고, 더 많은 해외 대학의 한국어교육학과에 대한 논의가 이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예비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쓰기 효능감 향상 수업 실행 연구 : 논증적 글쓰기 루브릭을 활용하여

        장가혜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action research conducted to develop the writing self-efficacy of pre-sessional Korean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who are in the intermediate level. The experience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a decisive opportunity to conduct this study. Since pre-sessional Korean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aim to go to universities (or graduate schools) in Korea, argumentative writing skills are required not only to prepare for admission but also to study. However, in the actual Korean educational field, as writing activities were greatly reduced or omitted due to time constraints, most of the writing activities were left to students, and students were burdened with writing activities themselves. Therefore, while recognizing the need to improve these problems, this researcher focused on one of the affective elements of learners, "writing self-efficacy," by identifying that Korean writing education research is biased on the cognitive side of learners. Writing self-efficacy can be summarized as an individual's belief that "writing tasks can be performed well," and the researcher believes that if learners increase their writing self-efficacy, they will be interested in performing a given writing task and have a longer attitude to solve the task. In addition, in order to continue successful studies after entering college, one must have a strong belief in oneself, and studies have already been published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As a way to improve writing self-efficacy, a number of previous studies dealt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rubric. In particular,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al study by Lee(2014), this study was planned as it was judged that the method of using rubric was applicable to argumentative writing classes for Korean learners for preliminary academic purposes. For this purpose, six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writing self-efficacy measurement tools with proven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compared and analyzed, and pre-writing efficacy tests and pre-writing were conducted. After that, an argumentative writing rubric was prepared based on the analysis of argumentative writing evaluation criteria(Kim, 2019) and pre-writing results. And preparation classes for argumentative writing and four writing classes were conducted sequentially. The writing classes were conducted by referring to the rubric with the presented topic, writing, and then evaluating and giving feedback to colleagues with the same rubric. In this process, the researcher observed the students' activities, checked their responses, and reflected them in the class every time. After completing four writing classes, post-writing efficacy test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conclusions were drawn by analyzing the pre- and post-results. As a result of having students repeatedly use rubric during and after writing in the classes, the overall score of writing self-efficacy was increased. In particular, the writing self-efficacy measurement question related to the creation of arguments and grounds which are also emphasized in the argumentative writing rubric, and it can be seen that the efficacy of the question has improved in the process of students using the rubric repeatedly. In order to plan classes to improve writing self-efficacy using rubric, the following measures are proposed. First, before providing an argumentative writing task, it is necessary to select argumentative factors suitable for the student level and teach related expressions. In addition, it is desirable to gradually expand the subject of argumentative writing from something close to the daily life of students rather than providing abstract things from the beginning. Next, it is effective to provide the same rubric to students every time possible. Furthermore, it is better for teachers and students to organize rubric evaluation items together than to use rubric produced by teachers. Finally, it is necessary to guide how to use rubric before and during writing, and to show the process of evaluating writing with rubric.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tried to find a direction to help improve the field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researchers and research participants by repeatedly planning, implementing, observing, evaluating, and reflecting on ways to improve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ield. In addition, it will be an opportunity to explore the diversity of research in the field of Korean writing education in that it attempted to observe the process of change in the affective aspect without focusing only on the cognitive aspect of learners. However, it is regrettable that the study period is short, the nationality and gender of the study participants are biased to one side, and there is a lack of peer feedback to review the appropriateness of class tools and class contents. As a follow-up study to compensate for this, it will be possible to conduct a research to find the ways to promote thinking and learning by making students participate in the development of rubric, and a long term research to improve writing efficacy for learners from various backgrounds. In addition, if the research on improving efficacy using rubric is not limited to writing education, but also applied to various areas such as classes to improve the presentation ability of Korean learners for preliminary academic purposes, it will be an opportunity to expand and diversify the research area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본 연구는 국내 A 대학 부설 한국어 교육 기관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중급 수준의 예비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효능감을 길러주기 위하여 수행한 실행 연구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의 경험이 본 연구를 수행하는 데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예비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는 국내 대학(원)에 진학하는 것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입학 준비뿐만 아니라 유학 생활을 하기 위해서는 논증적 쓰기 능력이 요구된다. 그러나 실제 교육 현장에서는 시간의 제약으로 쓰기 활동을 대폭 축소하거나 생략함에 따라 쓰기 활동의 대부분은 학생의 몫으로 남겨지고, 학생들은 쓰기 활동 자체를 부담스러워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개선해야 할 필요성을 인식함과 동시에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가 학습자의 인지적 측면에 편중된 점을 파악하여 학습자의 정의적 요소 중 하나인 ‘쓰기 효능감(writing self-efficacy)’에 집중하게 되었다. 쓰기 효능감이란 ‘쓰기 과제를 잘 수행할 수 있다’고 믿는 개인의 신념으로 요약할 수 있는데, 본 연구자는 학습자의 쓰기 효능감을 높여주면 주어진 쓰기 과제를 수행할 때 흥미를 느끼고 과제를 해결하려는 자세가 더욱 오랫동안 지속될 것이라고 보았다. 또한 대학(원) 진학 이후 성공적인 학업을 계속해 나가기 위해서는 자기 자신에 대한 신념이 견고해야 하는데, 자기효능감과 학업 성취 간의 관계를 밝히려는 연구와 쓰기 효능감과 쓰기 성취 간의 관계를 밝히려는 연구는 이미 발표된 바가 있으므로 이러한 연구의 후속 연구 개념으로 예비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의 논증적 글쓰기 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실행 연구 방법을 통해서 살피고자 하였다. 논증적 글쓰기 효능감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는 자기 효능감과 루브릭의 관계를 다룬 다수의 선행 연구를 근거 삼았다. 특히 이인영(2014)의 실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예비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논증적 글쓰기 수업에도 루브릭을 활용하는 방법을 적용할 만하다고 판단하여 실행 연구를 계획하였다. 이를 위하여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된 쓰기 효능감 측정 도구 개발 연구 6편을 비교·분석하여 본 연구 목적에 맞게 수정한 쓰기 효능감 측정 도구로 사전 쓰기 효능감 검사와 사전 쓰기를 진행하였다. 이후 김현진(2019)의 논증적 글쓰기 평가 기준과 사전 쓰기 결과를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논증적 글쓰기 루브릭을 마련하였으며, 논증적 글쓰기를 위한 준비 수업 및 4차례의 쓰기 수업을 순차적으로 진행하였다. 쓰기 수업은 제시된 주제를 가지고 루브릭을 참고하여 직접 글을 쓴 후에, 동일한 루브릭으로 동료의 글을 평가하고 피드백을 주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연구자는 학생들의 활동을 관찰하고 반응을 확인하여 매 차시 수업에 반영하였다. 4차례 쓰기 수업까지 완료된 후에는 사후 쓰기 효능감 검사 및 면담을 실시했으며, 사전·사후 결과를 분석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쓰기 수업에서 학생들에게 글쓰기 활동 중 및 글을 쓴 후에 루브릭을 반복적으로 사용하도록 한 결과 ‘글쓰기에 대한 흥미’는 전반적으로 높아졌고, 피드백을 포함한 ‘글쓰기에 대한 불안감’은 감소하였다. ‘논증적 글쓰기 준비 영역’과 ‘쓰기 과정’ 역시 전반적으로 점수가 상승했다. 특히 주장과 근거 작성과 관련된 쓰기 효능감 측정 문항은 논증적 글쓰기 루브릭에서도 강조하는 항목으로 학생들이 루브릭을 반복해서 사용하는 과정에서 해당 문항의 효능감이 향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어 ‘쓰기 후’와 ‘글쓰기 능력에 대한 나의 믿음’, ‘내가 쓴 글에 대한 주변의 반응’도 소폭이긴 하지만 사전 검사 결과에 비해서 대부분 상승한 모양새를 나타냈다. 루브릭을 활용한 쓰기 효능감 향상을 위한 수업을 계획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방안을 제안한다. 먼저 논증적 글쓰기 과제를 제공하기 전에 학생 수준에 맞는 논증 요인을 선별하여 관련 표현 등을 가르칠 필요가 있다. 또한 논증적 글쓰기 주제는 처음부터 시사적이고 추상적인 것을 제공하기보다 학생들의 일상에 가까운 것에서부터 점차 확장시켜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학생들에게 제공하는 루브릭은 가능하면 매회 동일한 내용으로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교사가 단독으로 제작한 루브릭을 사용하는 것보다는 루브릭 평가 항목을 교사와 학생이 함께 구성해 보는 것이 좋다. 마지막으로 루브릭을 활용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안내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루브릭을 사용하여 글을 평가하는 과정 외에도 글쓰기 전과 쓰는 중에 활용하는 방법을 실제로 보여줘야 학생들에게 도움이 된다.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문제의식을 느끼고 개선 방안을 찾기 위하여 계획, 실행 및 관찰, 평가, 반성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의 상호작용을 통해 현장 개선에 도움이 되는 방향을 찾으려 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또한 학습자의 인지적 측면에만 집중하지 않고 정의적 측면의 변화 과정 관찰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한국어 쓰기 교육 분야 연구의 다양성을 모색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그러나 짧은 호흡으로 진행된 실행 연구라는 점, 연구 참여자의 국적과 성별이 한쪽으로 치우친 점, 수업 도구와 수업 내용의 적절성 검토를 위한 동료 피드백이 부족한 점이 아쉽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한 후속 연구로 학생들을 루브릭 개발에 직접 참여시켜 사고와 학습을 더욱 촉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 더 장기적으로 다양한 배경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쓰기 효능감 향상 연구를 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루브릭을 활용한 효능감 향상 연구를 쓰기 교육에만 한정하지 말고 예비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의 발표 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수업 등 다양한 영역에 적용한 연구도 진행해 본다면 한국어 교육의 연구 영역이 더욱 넓어지고 다양해질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