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다문화사회 구성원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편견과 변화에 관한 연구 - 국적과 종교를 중심으로

        홍석기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55

        다문화사회 구성원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편견과 변화에 관한 연구 - 국적과 종교를 중심으로 홍 석 기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다문화교육 전공 (지도교수 박 선 운) 본 연구는 다문화 구성원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생각을 살펴보고, 다문화 수업이 학생들의 편견 감소를 비롯한 다문화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는 것 에 목적이 있다. 초등학생이 갖는 편견의 경우 직접 경험한 불안함이나 공포보다는 소셜미디어를 비롯하여 여러 대중매체와 같은 외부적 요인에 의해 형성된다는 특징 이 있으며, 다양한 사회적 경험이 없는 초등학생이 외국인의 생김새에 대한 농담, 피부색에 대한 농담, 종교, 국적, 성 소수자에 대한 혐오 표현을 스스럼없이 하는 경우가 있다. 초등학생 시기에 무의식적으로 뿌리내린 편견은 사춘기를 지나 성인 기로 접어들면서 지속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초등학교에서 학생들이 지닌 편견의 양상과 원인을 살펴보고 적절한 교육을 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필요성에 기반하여 본 연구에서는 충청북도 청주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6학년 학생 21명을 대상으로 포토보이스 연구 방법과 다문화 수업을 연계 한 6차시의 프로젝트 수업을 진행하였다. 먼저, 포토보이스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한국인, 외국인, 이슬람교 및 무슬림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생각과 감정을 살펴보았 으며 그 속에 녹아있는 편견을 찾아보았다. 이어 학생들의 편견 감소 및 다문화 인 식 함양을 위한 다문화 수업이 진행되었으며 학생들의 변화된 생각을 포토보이스 방법을 활용하여 다시 확인하는 과정을 거쳤다. 포토보이스 연구 방법을 통해 살펴본 다문화 구성원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생각 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초등학생들은 한국인의 특성을 구분하는데 생활‧문화적 요소를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그러나 이의 근저에는 한국인으로서 지녀야 할 법‧제 도적 요소와 생물학적 요소를 강조하고 있는 학생들의 생각이 기반이 되고 있었다. 이러한 생각은 다문화 수업 후 한국의 역사와 전통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바뀌었다. 둘째, 초등학생들은 외국인의 특성으로 미국인으로 대표되는 서구 백인의 이미 지를 제시하였다. 영어를 사용하고 햄버거와 같은 음식을 즐기며 이국적인 외모를 가진 존재라고 생각하였다. 다문화 수업 후 초등학생들은 외국인의 다양성을 인정 하는 생각을 드러내었으나 남학생의 경우에는 아직 인종적 편견을 드러내었다. 셋째, 이슬람교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생각과 감정은 기쁨, 놀라움, 무관심, 회 의적인 시각으로 드러났으나 이슬람교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나 지식은 나타나지 않 았다. 이는 이슬람교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배경지식이 부족한 것이라고 추론되었다 다문화 수업 후 초등학생들은 한국 사회의 무슬림을 이웃으로 받아들이고 그들의 아픔과 고통에 공감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 교육을 위해 향후 초등학교에서 어떠한 변화가 필요한지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첫째, 다양한 다문화 경험이 필요하 다. 정치, 지리, 경제적 경계를 뛰어넘어 다양한 문화에 대해 올바른 정보를 바탕 으로 배우고 공부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 내에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제2외국어로 서 영어만을 강조하는 학교 교육과정에도 개선이 필요하다. 다양한 외국어 교육을 비롯하여 영어가 세계 여러 나라 사람들과의 대화를 위한 도구라는 점을 강조할 필 요가 있다. 셋째, 초등학생들에게 이슬람을 비롯한 다양한 종교, 문화적 배경을 가 르칠 수 있도록 교육과정 내용을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 다양한 종교에 대해서 배 울 수 있는 다문화 교육이 이루어진다면 청소년기 시절에 형성되는 잘못된 정보로 인한 편견이나 차별에 대항하고 올바른 다문화 의식을 함양할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다문화 인식, 다문화 구성원, 한국인, 외국인, 이슬람, 편견, 다문화 교 육 홍석기 다문화교육전공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본 논문은 2024년 2월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의약분업정책의 변동에 관한 연구 : Sabatier의 정책지지연합이론을 중심으로

        홍석기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첫째, 의약분업을 둘러싼 집단간의 쟁점은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둘째, 한국에서의 의약분업 추진 현황에 대해 알아보고, 세부적으로는 의약분업정책 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설명변수와 이를 구성하고 있는 행위주체들의 연합구조를 통해 의약분업 정책의 변동이 어디에서, 왜, 무엇을 통해, 어떻게 발생하게 되었는지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한다. 셋째, 그 동안의 의약분업정책의 사례연구를 통해 앞으로의 의약분업정책의 추진에 미치는 영향 및 역할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한다. 본 연구에서의 가장 핵심적인 연구 질문은 ”의약분업정책의 변동은 왜 이해관계, 신념체계, 역할 등에 따라 발생하는 5가지 행위주체들(정부, 이익집단, NGO, 언론 및 여론, 국회)의 정책지지연합구조의 변동에 의해 발생하게 되는가?”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이에 대한 핵심적 요인으로서 본 연구에서는 의약분업과정에 핵심적으로 참여했다고 여겨지는 5가지의 행위주체들(정부, NGO, 이익집단, 언론과 사회적 여론, 국회)의 대해 알아보고, 이들 간의 상호작용을 독립변수로 삼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핵심적인 분석은 행위주체들이 의약분업정책에 참여하여, 이들이 지니고 있는 이해관계, 신념체계 및 역할에 따른 연합구조의 변동으로 인해 정책의 변동이 발생하게 된다는 것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들 5가지의 행위주체들이 서로 어떠한 연합 구조를 형성하고, 이 구조가 변화되면서 정책의 내용이 어떠한 모습으로 변화되어지는 가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라고 하겠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사실은 의약분업과 관련된 이해당사자들 간의 첨예한 대립으로 의약분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였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들의 의사를 공정하게 실제 정책에 반영시키기 위한 대안의 마련이 시급한 문제이다. 본 연구는 의약분업정책의 결정과정을 3시기로 구분하고, 각 시기별로 정책하위체계에서의 정책행위주체들(정부, 이익집단, NGO, 언론 및 여론, 국회)이 어떠한 연합구조를 형성하고, 갈등구조를 형성하여 정책의 변동이 어떠한 형태로 나타났는가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각 시기별 정책지지연합구조와 이에 따른 정책의 변동은, 제1시기인 정책 시동기(1998년 3월-1998년 10월)와 정책 지연기(1998년 11월-1999년 2월)의 연합구조는 정부와 NGO, 언론이 의약분업의 실시를 주장하며 같은 연합구조를 형성하였고, 반면에 의사회와 약사회라는 두 이익집단은 각각 의사회는 약의 조제와 선택권을 행사하면서 제약회사로부터 경제적인 반대급부를 획득하고 있었고, 약사회 역시 ‘임의조제권’이라는 특별한 권리를 갖고 있었기 때문에 의약분업을 하려는 의지가 소극적이었던 측면에서의 연합구조를 형성하였다. 이들 두 이익집단은 그들의 이해관계와 경제적인 이익이 침해당할 것을 우려하여 1999년 7월 1일에 실시하기로 되어있던 의약분업의 실시를 준비부족과 이해당사들 간의 합의 부족문제 등을 표면적인 이유로 하여 ‘의약분업의 연기’라는 새로운 정책패러다임을 제시하였다. 이는 곧 의약분업의 연기에 대해 국회에 청원하게 되었고, 이 과정에서 국회의 같은 직능출신인 국회의원들이 동조하여 연합세력을 이루게 되었다. 이러한 연합구조는 당시의 집권여당의 개입을 가져오게 되었고, 조건부이기는 하지만 의약분업 시행의 1년 연기라는 새로운 정책의 변동이 발생하게 된 것이다. 따라서 의약분업은 기존의 시행시기보다 1년 늦은 2000년 7월 1일에 시행하는 것으로 그 시기가 변화되었던 것이다. 제2시기인 합의안 도출기(1999년 3월-1999년 10월)의 연합구조는 NGO가 중심이 되어 의약분업의 시행을 위한 합의안을 마련하는 측면에서 NGO, 정부, 언론, 약사회가 1999년 5월 10일에 합의하였던 의약분업 안에 대해 찬성의 입장을 보이면서 의약분업의 시행을 주장하는 연합구조를 형성하였고, 반면에 의사회는 그들의 이익관계가 침해될 것을 우려하여 의약분업 시행 반대 입장을 견지하였다. 그러므로 제2시기의 정책참여자들 간의 연합구조는 NGO의 주도 하에서 의약분업의 실시를 주장하는 NGO, 정부, 언론, 약사회와 의약분업의 실시를 반대하는 의사회라는 역학관계가 성립되었다. 이러한 연합구조는 이 시기에 새로운 의약분업정책의 변동을 불러일으켰다. 제2시기에 NGO를 중심으로 의약분업의 실시에 대한 합의안은 기존에는 의사와 약사 간의 처방과 조제라는 측면에서 거의 구분이 없었던 반면, 이 합의안에서는 처방은 의사에게 조제는 약사에게 라는 의. 약사 간의 직능이 완전히 분리되는 새로운 정책으로의 변동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제3시기인 정책 갈등기(1999년 11월-2000년 6월)와 의약분업의 시행 및 대립기(2000년 7월-2003년 2월)의 연합구조는 의약분업의 시행에 대한 관점의 차이로 인해 정부와 의사회가 대립하는 양상을 보였고, 의사협회가 집단행동을 통해 그들의 요구를 주장하면, 정부는 이에 따라 대응하는 형식을 취하였다. 이 시기의 NGO는 의사회의 행동에 대해 ‘집단이기주의’라는 견해를 보이면서 비판적인 자세를 취하였으며, 언론 역시 의사회의 집단행동에 대해 매우 비판적인 논조를 통해 사회적 여론을 형성하는 역할을 수행하였고, 약사회는 정부의 확고한 의약분업의 시행의지와 합의안에 따라 의약분업이 시행될 것을 주장하였다. 따라서 이 시기의 정책참여자들 간의 연합구조는 정부와 의사회의 대립구조 하에서, 정부, NGO, 약사회, 언론이 의약분업 실시의 찬성연합으로, 의사회와 국회는 반대 입장을 분명하게 견지하였던 시기였다. 이러한 현상은 의약분업 안의 수용을 둘러싸고 지지와 반대로 나누어 서로 갈등하는 양상을 보였다. 제3시기에 의사회가 의약분업 안의 실행에 대한 거부의사와 집단행동 등의 격렬한 반대운동을 전개했던 이유는 약사법의 개정과 의료수가의 인상을 통해 그들의 이익을 확보하기 위해서였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정부는 의약분업의 강한 시행의지를 보이는 가운데 의사회의 정책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해 갈등관계에 있던 의사회와 일시적인 협상을 진행하게 되는데, 이 협상에서 정부는 5차례의 의료보험수가의 인상, 3차례의 약사법 개정을 통한 정책 패러다임의 변동을 통해 의사회를 회유하게 되었다. 결국 이러한 합의는 국회에 약사법 개정을 위한 청원서를 제출하게 되었으며, 결국 약사법의 개정이 이루어지게 되었고, 의료수가의 인상이라는 의사회의 요구가 대부분 관철되는 새로운 정책의 형태로의 변동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정책지지연합구조의 변동은 의약분업정책의 사례에서 각 시기별로 정책의 변동을 발생시키는 결과를 낳게 되었던 것을 본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또한 정책지지연합구조 내의 행위주체들 간의 긴밀한 연합은 정책의 지속을 제약하고,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의 정책의 변동을 발생시킨다는 것이다. 물론 이에 따른 정책반응은 이들 행위주체들의 연합구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본 연구는 정책지지연합구조에 따른 정책의 변동에 대해 의약분업의 사례를 가지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독립변수인 연합구조는 정책행위주체들 간의 상호 협력과 조정에 의해 발생한다. 이것은 정책문제에 정부와 국회 및 관련 이익집단뿐만 아니라 NGO, 언론 등 사회 내의 다양한 행위자들이 함께 참여하여 유기적인 관계 속에서의 연합에 의한 상호 관계 속에서의 정책대안을 도출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시민사회 중심적 거버넌스이론에서 주장하고 있는 시민참여와 같은 의사를 지닌 개인 또는 집단들 간의 공동체주의에 의한 정책네트워크의 형성과 일맥상통하고 있는 부분이다. 이러한 근거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의약분업에 관한 연구의 목적이 미래에 요구되어질 의약분업의 조건과 추진사업에 초점을 맞추어 현재의 문제점들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새로운 정책 대안을 모색하는데 초점이 맞추어져야 한다고 본다. 그리고 의약분업정책이 의도한 본래의 효과를 거두지 못함으로서 나타나는 의약분업의 잦은 변화에 대해 본 연구에서 제시한 사실 이외에도 다른 원인을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서 앞으로 나타날 의약분업정책에 대한 평가를 제대로 수행하는데서 매우 중요하다고 하겠다. 또한 앞으로 같은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면 그 동안의 틀에서 벗어나 국민들에게 피해가 가지 않는(의약분업정책의 최대의 피해자는 결국 국민들이었기 때문에)차원에서의 정책의 집행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의약분업은 정책문제를 대하는데 있어서 그들의 이해관계와 신념체계, 역할에 따른 연합구조의 형성과 이것의 변동으로 인해 잦은 정책변동에 따른 정책추진의 혼선이 빚어지고 있는 것을 본 연구를 통해 볼 수 있었다. 물론 의약분업정책은 기존의 의료계와 관련된 참여자 이외에도 다양한 행위주체들이 정책에 참여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지닐 수 있겠지만, 국가의 중대한 정책문제가 관련 집단 간의 이익에 의한 연합 및 갈등구조의 형성이라는 측면에서 행위주체들 간의 원활한 상호작용이 이루어지지 못했다고 할 수 있겠다.

      • 秋夕 通行者의 交通手段 選擇特性分析 및 模型構築 高速道路 通行者를 中心으로

        홍석기 漢陽大學校 産業經營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서울시 거주자를 대상으로 명절통행에 대한 개별행태 설문조사를 통하여 교통수단 선택특성분석 및 로짓모형을 구축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교통정책, 특히 고속도로 운영정책 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자료수집은 서울시민을 대상으로 전화설문에 의한 무작위 표본추출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총315개의 표본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설문자료의 교차분류분석을 통한 통행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행인원이 많을수록 승용차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승용차보유자 및 휴가자의 대부분은 승용차를 이용하였다. 셋째, 버스나 기차이용자들은 승용차이용자보다 새벽이나 저녁 늦은 시간에 이용하는 비율이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년도와 올해의 타 교통수단간 전환률은 아주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승용차에서 버스나 기차로 전환되는 비율보다는 버스나 기차에서 승용차로 전환되는 비율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교통수단 선택행태에 대한 로짓모형은 통행시간, 통행비용 및 동행인원수와 통행거리를 주요 설명변수로 하고 이들 변수들로 설명이 안 되는 교통수단 특성을 고려하고자 수단별로 상수항을 도입하였다. 구축된 모형의 분석결과에 의한 명절통행자의 교통수단선택행태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수단별 명절 통행자들은 통행비용에는 별로 개의치 않고 통행시간에 의해 교통수단을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통수단별로는 승용차가 다른 버스나 기차이용자들에 비하여 통행시간과 통행비용의 직접탄력성에 있어서 크게 비탄력적으로 분석되었다.

      • 교통사고에 의한 러버넥킹 영향도 산정모형

        홍석기 서울市立大學校 2018 국내박사

        RANK : 248639

        일반운전자가 차량화재, 교통사고, 특이한 장면 등을 호기심으로 구경하다가 교통이 지체하는 현상을 러버넥킹(rubbernecking)이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정량적으로 증명하고 이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영향인자를 산정하였다. 또한 러버넥팅으로 발생한 속도차이를 변수로 다중선형회귀분석을 하여 러버넥킹 산정모형을 개발하였고, 모형의 결과를 바탕으로 교통 지정체, 2차 사고를 최소화하는 교통관리방안도 제시하였다. 분석 자료는 지난 3년간 발생한 고속도로의 사고 자료를 바탕으로 사고발생지점 반대방향의 차량검지기 속도 데이터를 이용하였으며, 데이터의 신뢰성 확인을 위해 인근 차량검지기 데이터 간의 비교 검증을 실시하였다. 해당 고속도로 연평균일교통량(AADT)도 영향인자 분석에 사용하였다. 사용된 모든 데이터는 빈도분석을 통해 변수 중 구성비가 작거나 성격이 유사한 경우는 다른 범주와 합쳤고, 독립변수 간 상관도가 높은 변수는 다중 공선성을 고려하여 제외하거나 한 개의 변수만 사용하였다. 연속형 변수의 경우 최소값, 최대값, 평균, 표준편차로 기초통계 분석을 하였고, 검증을 통해 독립변수의 집단 간 차이를 종속변수 차이에 유의한지 여부를 판단하였다. 러버넥킹 발생여부는 사고발생지점 반대방향의 러버넥킹 발생 일주일전 주행속도와 전방 주행속도를 정상속도로 간주하고 러버넥킹 시점의 후방 주행속도를 비교하여 큰 속도차이로 판단하였다. 또한 종속변수를 러버넥킹 발생 유/무로 한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차종, 사고처리시간, 주중/주말, 사고심각도가 러버넥킹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산출하였다. 러버넥킹으로 인한 주행속도 감속값 산정모형 개발을 위하여 종속변수를 사고지점 반대방향 교통류의 주행속도 감속 값으로 한 다중 선형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사고지점과 차량검지기 위치의 거리에 따라 감속 정도가 하향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가중치를 반영하였고, 이로 인해 분석결과의 유의확률이 크게 개선되었다. 모형분석 결과, 러버넥킹에 의한 속도차이는 야간보다 주간이, 타 차종보다 대형이, 주중보다 주말이, 사고처리시간이 길수록, 사고가 심각할수록, 그리고 교통량이 많을수록 크게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데이터 및 모형식 검증을 위하여 수집한 사고건수 중 100건을 무작위로 추출하여 MPB(Mean Prediction Bias)와 MAD(Mean Absolute Deviation)를 산출하였으며 그 결과는 우수한 평가를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의 활용을 위하여 러버넥킹 현상 산정모형 결과 값을 바탕으로 이동식 커튼, 가변식 제어, 반대방향 교통처리와 같은 단계별 교통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향후 연구과제로 본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도시부 고속도로, 일반도로, 중앙분리대 미설치도로, 종단경사가 심한 도로 등 다양한 도로조건의 도로와 human factor를 반영한 러버넥킹 산정 모형을 제안하였다. Rubbernecking refers to the act of slowing down while driving to look at something interesting such as car fire, traffic accidents or other unusual scenes. In this dissertation, rubbernecking phenomenon was quantified by binary logit regression analysis and its rate of occurrence was estimated. Through multi-linear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value of speed reduction occurred by rubbernecking as a dependent variable, impact factors were found and an estimate model for rubbernecking was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model, traffic management measures were suggested to minimize traffic delay or congestion and secondary accidents caused by rubbernecking. For accidents which occur on expressways for the past three years, speed was measured for the lanes at the opposite side using vehicle detectors. In addition, this data was verified by comparing it with those collected by nearby detectors. Annual Average Daily Traffic Volume (AADT) on the expressway was also used as an impact factor in the analysis. All the data was organized by integrating the data which account for small portions or which have similar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variables highly related to each other were excluded or only one of them was included considering the multi-collinearity through the correlation analysis. Also, sequential variables were analyzed using minimum/maximum values,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n the base of basic statistics. Moreover, verification tools were implemented to determine whether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of independent variables were significant compared to the differences of dependent variables. It was defined as a rubbernecking phenomenon when there was a significant delay in the traffic flow after comparing the running speed on the previous week or on the downstream as a normal speed with on the upstream of the same road. It was estimated by binary logit regression analysis with a dependent variable on whether or not rubbernecking has occurred. It was found that factors such as vehicle type, accident clearance time, time of the week (weekdays/weekend) and accident severity are variables which had greater impacts on rubbernecking. To develop an estimation model, multi-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with a speed reduction on the opposite side of the accident site as a dependent variable. Since the measurement of running speed may not be accurate depending on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detector and the accident site, weight value was added to the equation. As a result, this has greatly improved the significance probability. The result of the model analysis proved that speed reduction caused by rubbernecking was more evident during the daytime compared to night, during weekends compared to weekdays, and for heavy vehicles compared to other types of vehicles. It can also be concluded that longer clearance time, higher accident severity and higher traffic volume affect greater traffic delay. For verifying the data and model equation, Mean Prediction Bias (MPB) and Mean Absolute Deviation (MAD) were calculated with a hundred cases randomly extracted from the collected accident data. The result was evaluated to be excellent. To apply the output of this study to the field, phased traffic measures such as movable curtain, variable lane control, traffic measure on the opposite direction were suggested. For future studies, the rubbernecking estimate model reflecting human factors and various road conditions including urban expressway, other types of road, road without median, steep vertical alignment road was recommended.

      • 유비쿼터스 환경의 온ㆍ오프라인 연계 콘텐츠와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청계천변 U-Zone(온ㆍ오프라인 연계체험 공간) 개발을 중심으로

        홍석기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8639

        디지털 기술은 네트워크 환경과 결합하여 급격한 변화를 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사회현상과 무관하지 않고 디자인 분야 또한 변화에 직면하고 있다. 변화의 중심에는 웹 2.0환경과 유비쿼터스 공간의 출현이 있고, 유비쿼터스 공간은 사용자 참여의 행위가 일어나는 실제공간과 사용자 집단에 의해서 유지 관리되는 블로그 등의 전자공간의 통합체로서 글로벌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다.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사용자 참여의 경험가치가 새로운 상품가치로 변환되는 과정을 겪고 있다. 사용자의 참여로 생성된 유비쿼터스 환경의 콘텐츠, 즉 온· 오프라인이 연계된 인터페이스와 콘텐츠는 그 공간이 제공하는 상황 자체의 문맥을 통하여 문화적 정체성을 갖춘 상품성의 가치로 변환되며 동시에 글로벌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거대한 인터넷 지식체계의 문화 상품으로 자리 할 수 있다. 사용자의 참여 행위와 체험이 문화 콘텐츠 상품을 만들 수 있고 행위가 일어나는 공간과 네트워크는 자체의 독창적 정체성에 의하여 글로벌 브랜드화 되어 세계시장에 전략적 가치를 창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네트워크 환경에서 디자인 전문성은 유비쿼터스 공간의 인터페이스와 콘텐츠를 생성하여 가치창조를 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에 적응해야 한다. 유비쿼터스 환경의 디자이너는 디지털 환경을 수단과 방법의 툴로써 뿐 아니라 인류를 위해 활용되고 진화하는 본질적 가치로 인식하고 디지털 콘텐츠 디자인의 새로운 개념으로 승화시켜 디자인의 영역과 역할을 정의하는 새로운 전문성으로 재창조 시켜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비쿼터스 공간과 사용자 참여에 의한 경험 콘텐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유비쿼터스 환경하에서의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새로운 가치창조의 기반을 구축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 전문성의 의미와 범위, 역할에 대한 재해석을 시도하고, 급격히 변화하는 사회 환경적 요인에 부응하는 새로운 디자인 모습을 모색한다. 디자인의 과정은 유비쿼터스 환경이 제시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에 적응하고 변화 자체를 본질적 가치로 추구함에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연구의 구성을 다음의 6 단원으로 체계화 하였다. 2장에서 디지털 기술을 바탕으로 한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실제적 공간과 전자적 공간의 통합된 제 3공간의 생성에 관한 배경을 분석하고 새로운 패러다임의 정보전달 형태의 구조적 역할을 부여하였다. 3장에서 글로벌 네트워크에 연결된 통합적 공간이 제시하는 인터페이스와 사용자의 참여로 생산되는 경험적 콘텐츠에 대한 해석과 상품성의 가치 구현을 개론적으로 서술하였다. 4장에서 경험적 콘텐츠의 상품성은 유비쿼터스 공간과 함께 그 자체로 문화적 정체성을 갖는 브랜드로 재생산되므로 세계시장에 대한 브랜딩 전략과 당위성을 규정하였다. 5장에서 상기 장에서 개론적으로 분석한 체계를 바탕으로 서울시에 제안한 청계천 U-Zone 공간의 디자인 프로젝트를 설정하여 수행한 전 과정을 사용자 경험요소, 공간요소 분석, 인터페이스 공간 디자인, 네트워크 디자인과 브랜드 디자인으로 나누어 유비쿼터스 환경의 개론적 체계의 대한 디자인 작업의 실천과정으로 제시하였다. 6장에서 본 연구의 결론으로, 유비쿼터스 환경에 대한 개론적 이해와 디자인 작업과정의 수행을 바탕으로 U-Zone의 성격을 규명하고 결과로 네트워크의 브랜딩 전략을 통한 비즈니스 모델의 제시와 확립된 브랜드 가치를 통한 네크워크 콘텐츠 상품의 개발에 대해 논의함으로써 새로운 가치창조의 가능성을 모색하여, 급격히 변화하는 미래 디자인 분야의 작업과정에 대한 가이드라인으로 제시하였다. 7장에서 이전의 연구내용 및 결과를 정리하고 유비쿼터스 시대의 콘텐츠 본질에 대한 창의적 해석을 통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기 위하여 향후 수행할 연구방향을 다양하게 모색함으로써 본 연구를 마감한다. The digital technology, integrated with the network environment, is rapidly changing. This change is asocial phenomenon, and the field of design is also being faced with the change. The cores of this change have been the web 2.0 environment and the ubiquitous space. The ubiquitous space is an integrated conceptual space and is connected to the global network. It consists of a physical space where user's participation occurs and a cyber space such as a web blog managed by a group of users. Ubiquitous environment in an ongoing stage where the experience value created by user's participation is transforming into a product value. The contents of ubiquitous environment are created by user's participation, namely on/off line coordinated interface and contents. The contents transform into a product value with a cultural identity through a context of the situation provided by its space. At the same time, they can also become the cultural product of enormous Internet knowledge system by connecting to the global network. The user participation and experience can produce cultural content products. In addition, the space and network, where those experiences occur, can produce a strategic value of their own by becoming a global brand through their independent identities. Design expertise in the network environment should adapt to the new paradigm of value creation by generating interface of the ubiquitous space and contents. The designers of the ubiquitous environment should not only recognize the digital environment as a tool of method, but also as an essential value that is being used and evolved for the human beings. Moreover, the designers should recognize the innovation of digital environment as a new concept of digital contents design to create new expertise that defines the boundary and role of desig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a business model under the ubiquitous environment from understanding of the ubiquitous space and user experience contents, This research also reinterprets the meaning, boundary, and role of the design expertise under the ubiquitous environment, and figures out the nature of design that meets rapidly changing social requirements. Based on this research purpose, the dissertation is structured in 6 chapters and describes that the design expertise are the adaptation to the new paradigm presented by the ubiquitous environment and the pursuit of the change itself as an essential value. In chapter 2, the background of the creation of a third space, which is made by an integration of physical and cyber space in the digital technology based ubiquitous environment, is analyzed, and a structural role to the new paradigm in a form of information transfer in ubiquitous space is attached. In chapter 3, the interface, which is presented by an integrated space connected to the global network, and the contents, which are created by user participation, are introduced, and the realization of commodity value is described. In chapter 4, since the commodity value, transformed from experienced contents along with the ubiquitous space, is reproduced as a brand with a cultural identity, the branding strategy in the global market and its necessity are defined. In chapter 5, based on the outlined analysis of the system made in the previous chapters, the whole process of the Cheonggye-chun U-Zone space design project is divided into user experience factor investigation, space factor analysis, interface space design, network design, and brand design, to present a systematic model of a design work process in the ubiquitous environment. Chapter 6, a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defines the character of the U-Zone based on the outlined understanding of the ubiquitous environment and the design work process, and it attempts to suggest a working process guideline to the rapidly changing future design field that seeks possibility of new value creation by presenting a strategic business model of network branding and discussing development of networked content product. In chapter 7, the contents and results of the research are summarized, and the research is ended with consideration of multiple future research directions to create new value through a creative understanding of the contents' nature in the ubiquitous generation.

      • 초등학교 교무부장교사의 학급담임 업무 수행 실태와 요인분석

        홍석기 성공회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초등학교 교무부장이 학급담임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그 실태와 수행 수준의 요인을 규명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즉 초등학교 교무부장이 학급담임 업무 중 교수-학습 지도, 생활지도, 학급경영을 수행함에 있어 어떤 요인이 수행 수준을 결정하는가를 밝힘으로써, 교무부장의 교무업무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교무부장 업무가 과중하여 교사의 본질적 업무인 학급담임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차질을 빚는 현실적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안산교육청 및 수원교육청 산하 136개교의 교무부장을 모집단으로 하여 60명을 무작위 표본 추출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초등학교 교무부장과 담임교사로서의 역할 수행 및 갈등 실태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성별, 연령, 학교규모, 교직경력, 일반부장경력, 교무부장경력, 담임학년을 독립변인으로 하여 각각의 독립변인에 따라 교무부장이 자각하는 교수-학습 수행 수준, 생활지도 수행 수준, 학급경영 수행 수준을 조사·분석하였다. 교수-학습 영역은 교재연구, 교구준비 등 9개 부분으로, 생활지도 영역은 학기초 생활습관 형성지도, 개인차를 고려한 생활지도 등 7개 부분으로, 학급경영 영역은 학급 게시물 및 재배물 관리 등 4개 부분으로 각각 세분화하여 설정하였다. The author drew a random sample of 50 teachers in charge of educational affairs at each elementary school at random from a population of 136 teachers in corresponding affairs whose schools belong to Ansan city or Suwon city education offices to analyze dilemma relating to fulfillment of role as homeroom teacher and as the teacher in charge of educational affairs. Accordingly, this survey was to analyze the dilemma in which teacher who works as a homeroom teacher and concurrently teacher in charge of educational affairs is in terms of teaching, school life guidance and class management. First, majority of the samples had more than 20-year experiences in teaching, or homeroom teachers. So the survey showed that the teachers were utilizing their own know-how's acquired for their long experiences in teaching. It was noted that they did not seem to have any difficulty in the area of teaching because they had a good understanding of establishment of educational goal, organization of educational contents and the evaluation as they were in the position to determine the curriculum. It was also noted that most of the teachers in charge of educational affairs put school affairs before everything else while they were handling official documentations according to their own judgments in terms of urgency. According to the survey, the evaluation was implemented systematically according to the plan of achievement evaluation that had been determined before the semester started and the treatment of results and feedback were used as references for the next teaching materials. But it was noted that most of the respondents of the survey told that they could not afford to implement any extra curricular program for retarded students that requires extra spending of times after schools. But what is important is the fact that the teachers in charge of educational affairs are providing high quality level classes in terms of teaching despite overload of works. According to the survey findings, the teachers in charge of educational affairs pay extra attention to the guidance of basic habit forming of school life for the students at the beginning of semester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sition to stay frequently away from the class under their charge. It was noted that, while they are engaged in the development of school education plan and establishment of curricula, they were trying to stay as much as they can in the classes under their charge even if they should do the job of educational affairs in his class They generally fulfill their jobs as a homeroom teacher and teacher in charge of educational affairs alternately in class and teachers office if they judge that their classes might have no problem if they stay away for a while from the class under their charges. That might be the reason why most of schools have class of the teacher in charge of educational affairs next door to the teachers' office. There were no problems with cleaning the classes even if the teachers were not allowed to be present on the site of cleaning due to their limited time available. That means that the teachers were able to check up final status of cleaning or to clean the classes with the help of parents. While they were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observing students' behaviors to leave them on records, their fulfillments were below the level in their minds. Accordingly, the consultation activities with children for this matter were not so active. It was noted that they were handling the class management related affairs using extra hours after schools and they understood that it was very important to plan and execute the class-wide events, but they rarely put them in practice. The communications with parents for cooperative relationship occurred when some parents come to school voluntarily to clean the class, serving as the communication venue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s between parents and homeroom teachers. In conclusion, the teachers who were working as a homeroom teacher and concurrently as the teacher in charge of educational affairs had a tendency to put faithful management school before everything else despite their overload of works. But the survey findings showed that the teachers seemed to give a little bit precedence to the school affairs because if they are postponed they usually require more hours to complete later. But that does not mean that the importance of role as a homeroom teacher is disregarded or ignored by the role as the teacher in charge of educational affairs. The teacher in charge of educational affairs and concurrent homeroom teacher is lacking in time compared with other ordinary teachers with a single post. Consequently I would like to suggest the ways to relieve their overload of works as follows: Through the systematic cooperation among the same school year classes, we contain as much contents such as teaching plan and evaluation in the curricula for the same school year classes, applying them to each class. Each teacher in the same school year classes might share the research of teaching materials and preparation of teaching aids to avoid overlapping and to make up for the weak points each other. We might be able to expect some strength through the cooperative system between the same school year classes as follows; It might help to relieve the workload of the teacher in charge of educational affairs by promoting the active participations by the teachers who had been reluctant to participate in the activity and indifferent to the school affairs. It also might help to reduce the workload of the teacher in charge of educational affairs for class management thanks to the probable high quality performance in terms of study of teaching method, modification of teaching plan format, re-evaluation after chapter review of the same school year classes. Reappointment for the same school year means a teacher is appointed as the teacher of the same school year class in consecutive years. The advantages claimed for this system might be the improved professionalism in terms of teaching method and evaluation plan and its implementation attributable to the construction of database. It will enable us to operate in-depth curricula because we can establish the class management plan and study of teaching materials in advance by accumulating teaching methods and teaching materials over years. Accordingly it is possible for us to enhance with ease the effects of education due toa couple of advantages in terms of improvement of quality in teaching attributable to the elevated professionalism in the specific school year class, the accumulated experiences in teaching and teaching material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previously produced materials. There are 3 to 5 persons assisting the work of head of school administration regardless of size of school. And there is 1 person who assists the works of science laboratory. The related education office financially supports all these assistant positions. But each related school itself financially supports the assistantship to the teacher in charge of educational affairs at each school. Consequently, hire the assistant to the teacher in charge of educational affairs is totally depending upon the discretion of schoolmaster. As said before, if the same workload is given to the teacher in charge of educational affairs in terms of teaching and children guidance activities as other teachers with only a single post, the law at government level to relieve the workload to the corresponding teacher should financially support the assistantship to the teacher. Every official document to the school is delivered to the teacher in charge of it via schoolmaster and vice schoolmaster. The teacher in charge of it is advised to consult with the previous year documents or schoolmaster or vice schoolmaster before action. The teacher in charge of educational affairs has the similar flow to the teacher and the job by him is overlapped with many departments in school. For example, the exhibition for student works is, in some part, belongs to the teacher in charge of educational affairs and to the head of research department as well. Jobs relating to commencement ceremony and other events belong to the manager teacher of 6th school year classes. Listing job of teachers' names is vice schoolmaster's decision to make, but in act the job is done by the teacher in charge of educational affairs and reported to the vice schoolmaster. These are only a few to name. Efforts to relieve the workload of the teacher in charge of educational affairs should be made through efficient job description at each school unit. Any department concerned should handle the overlapped jobs that seem to belong to multiple departments positively. The sample for the study is made up of 60 teachers of educational affairs at elementary school belonging to Ansan and Suwon Education Office. The size of sample is not small considering the total number of elementary schools is 136 in the areas of both Education Offices. However it might be somewhat difficult to generalize the entire elementary schools across the country. And the study focused on only the subjective role expectation and role achievement level perceived by the teachers in charge of educational affairs. To bring about more meaningful research findings, the role expectation and role achievement level perceived by the colleague teachers and school administrative officers is recommended to compare with those by the teachers in charge of educational affairs.

      • 디지털 발진기를 이용한 생체 저항 측정용 정현파 전류 생성기

        홍석기 아주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에서는 웨어러블 기기에서 활용될 수 있는 저 전력, 저 면적의 생체 저항 측정용 정현파 전류 발생기 회로를 제안한다. 기존의 아날로그 방식의 정현파 발생기는 많은 전력을 필요로 하며, 룩업 테이블(look-up table)을 사용하여 정현파를 생성하는 방식은 넓은 메모리 면적과 고해상도 디지털-전류 변환기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피드백(feedback) 구조를 이용한 재귀적 디지털 발진기를 사용하여 정현파를 생성해내고, FIR 필터가 내장된 1비트 전류원을 사용하여 델타-시그마(delta-sigma) 변조기의 고주파 잡음를 제거하는 높은 해상도의 디지털-전류 변환기를 구현하여, 적은 면적과 전력을 사용하는 정현파 전류 발생기를 구현하였다. 표준 0.18μm CMOS 공정으로 구현된 회로는 20 kHz, 40μAp-p의 정현파 전류를 생성하는데 55.6μW의 전력만을 사용하였으며, 0.17%이하의 총 고조파 왜곡률(total harmonic distortion)을 가지며, 기존연구대비 10배 이상 작은 0.052mm2의 면적만을 사용하였다.

      • 세계 디플레이션에 대한 정책적 대응방안 연구

        홍석기 韓國外國語大學校 經營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최근 글로벌 경제침체에 대해 디플레이션(Deflation) 시각을 바탕으로 한 이 연구는 디플레이션이 발생되는 원인을 경제 구조적으로 분석하고 디플레이션이 유발하는 현상을 예측해 한국의 대응방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연구하였다. 1980년대 이후 신자유주의 정책에 의한 국제간 무역발달과 통신기술 발달로 인한 세계화가 결합되면서 지구촌화 되었다. 또한 이데올로기 전쟁 종료로 인해 구 공산권이 자본주의로 체제전환을 함으로써 전세계적인 공장역활을 담당하게 되었고 공급은 폭발적으로 증가하였다. 하지만 신자유주의 정책의 후유증으로 경제 양극화로 인해 소비성향의 둔화와 세계 인구의 노령화로 인한 경제활력 둔화는 수요를 억제한다. 이런 요인들이 공급이 수요보다 과잉되는 디플레이션을 만드는 구조적 요인이다. 디플레이션 경제하에서는 투자 활성화가 이루어지기 힘들고 경제에 대한 불안감 때문에 현금수요가 생기기 때문에 중앙은행에서 돈을 아무리 풀어도 돈이 돌지 않은 ‘유동성 함정’과 ‘구축효과’가 상시적으로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 또한 이머징 국가들의 기술력 축소로 인해 국제 분업이 힘들어지기 때문에 상대편이 쓰러질 때까지 싸우는 ‘치킨게임’이 전세계화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상황을 한국이 돌파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이고 전폭적인 기술개발지원을 통한 국제경쟁력유지와, 녹색 에너지와 같은 새로운 산업을 개척을 통한 새로운 먹거리 창출이 필요하며 경기가 침체된 상황에서 국가재정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크므로 재정사용의 효율화가 필요하며 양극화 해소를 위한 정책사용으로 내수소비를 진작시켜 수출감소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 This study, which is based on the perception of deflation on the recent global economic recession, analyzes the root causes of deflation on the economic structure viewpoint, and conducted a study to recommend countermeasures for Korean by forecasting the phenomenon that leads to deflation. Technology innovation, which is represented by IT technology led to explosive productivity. Moreover, neo-liberalist policies after 1980s and capital which has become international helped to create "global factory" as the money got invested in emerging markets including China. As a result, supply increased explosively, but the slowing down of consumption resulting from economy polarization made by, neo-liberalism and the slowing down of the economic viability resulting from the aging of the population in the world curtail demand. These elements are the structural elements that lead to deflation in which supply exceeds demands. Amidst deflation, investment is not vitalized due to the anxiety towards the economy,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liquidity trap" and "crowding effect" may occur in which money dose not flow around no matter how much the central bank releases money out in the market due to the preference for cash. Moreover, division of work in the international world reduced due to the reduction in the advanced and emerging nation's dwindled technology capability. And there is a good possibility that the "chicken game" in which fight continues on until one party falls may spread out to the world. For Korea to overcome these situations, it must continue to provide continual and full support for technology development to sustain significant competitive edge in the international arena, and it is also necessary to pioneer into new industries such as the green energy industry to create new foodstuff. Moreover, when the economy is stagnant, the national treasury significantly affects the economy. Thus, effective use of the finance is required. Lastly, it is necessary to reduce shock caused by decrease in export by mobilizing the demand in the domestic market via policy measures in order to mitigate polar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