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의 과학교육환경에 관한 연구

        조혜경 인천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1 과학교육논총 Vol.13 No.-

        본 연구는 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의 과학교육환경에 관한 조사 연구로 과학교육연구소의 인적 구성면, 시설면, 역할, 과학교육교수-학습 활동 지원 현황 등에 관한 실태 조사를 한 것으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전국 교육 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의 소장은 많은 학교에서 과학교육과의 교수가 맡아 하고 있으며, 과학교육과, 수학교육과의 대부분의 교수와 컴퓨터 교육과, 실과교육과 교수가 약간 운영에 참여하고 이싸. 또한 전임조교는 8개교 겸임조교는 3개교에서 확보하고 있었다. 2.소장실, 사무실, 기자재 보관실 등의 시설물이 열악한 실정이다. 3. 과학교육연구소의 역할로 연구 논문집 발간, 각종 인쇄물 제작은 전국 교육 대학교가 공동으로 하고 있었으며, 학교에 따라 다르지만 현장 연구대회, 각 종 세미나, 강연회 등을 운영하고 있었다. 그러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과학교육 관련 실험활동의 자료 및 기기의 확보, 보관, 대여를 하고 있는 학교는 그리 많지 않았다. 또한 보유 현황과 재정도 열악한 상태이며 관리를 위한 전문인력도 부족한 실저이다. 4.대부분의 과학교육연구소는 시설의 빈야과 인적·물적 자원 부족으로 설립 목적에 부합되는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실정이므로 이에 따른 자구책의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고 본다. In this study the science education environment of science education research centers in the National Universities of Education were explored through the survey on the composition of staffs, facilities, roles, facilitation of teaching-learning activities of science education,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Directors of science education research centers in all of the Universities of Education were professors of the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Most of the professors in the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and that of math education, and some of the professors in the department of computer education and that of practical arts took part in the operation of the research centers. In the 8 Universities of Education, research centers had full time assistants, whereas in the 3 Universities of Education the center had assistants serving for 2 offices at the asme time. 2.The facilities like the offices of the directors, offices of the research centers, the Universities Education storages to keep apparatus and materials were in poor condition in all the Universities of Education. 3.All of the science education research centers published academic journals and various printed mateerials. But few centers purchased, kept, and lent materials and apparatuses for experiments related with science education. The amount of materials and apparatuses they kept and thir financial condition were very poor, and the centers were in need of qualified staffs. 4.Most of the science education research centers were in lack of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and so they did not properly perform required roles. Some devices needed to be worked out to get out of this present condition.

      • 인천교육대학교 과학ㆍ수학 영재 캠프의 운영에 관한 기초 연구

        송상헌,정동권,강호감,여상인,노석구 인천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3 과학교육논총 Vol.15 No.-

        경기도와 인천시의 초등교사 양성을 책임지고 있는 인천교육대학교의 입장에서는 경기·인천지역의 초등 과학과 수학분야의 영재교육 프로그램을 경험하려는 학생들에게 기대와 요구를 충족시켜 줄 책임과 의무가 있다. 이에 인천교육대학교에서는 과학교육연구소가 중심이 되어 영재교육연구원이나 영재교육원을 설치하기 위한 장기적인 목표 하에 과학·수학 영재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실제적인 방안을 모색할 필요성에 따라, 우선 실험적으로 캠프 형식의 운영을 실험해 보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구체적인 현장 사례연구를 바탕으로 인천교육대학교에서 주관하는 영재교육추진 기본 계획 수립을 위한 초등 과학·수학분야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운영 모델과 그것의 실천에 필요한 장기적인 전망을 제안한다. 캠프에서 운영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성격은 심화형의 다 주제 탐구형으로 진행하면서 다양한 교과나 체험을 위주로 한 내용과 형식을 갖출 것을 권장한다. 영재캠프에 참가할 수 있는 자격 조건과 선발 기준은 운영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의 내용과 성격에 가장 부합하도록 특성화되어야 하고, 캠프에 참가한 학생들에 대한 지속적인 사후 관리가 필요하다. 지속적인 교육과 운영을 위해서는 장기적인 연구 계획 및 예산 수립이 필요하며, 각 교과의 전문가들과 보다 장기적인 공동연구를 수행해야만 한다. 그러면서 영재교육연구원이나 영재교육원의 운영을 목표로 영재교사 양성을 위한 직무연수 프로그램이나 부설 사회교육원의 프로그램을 통해 학부모 교실을 운영할 수 있음도 제안한다. This is a basic study on the science and math camp program for the gifted and talented children in science and mathematics. We organized and managed empirical camp twice for 2 years. From those experiences, we proposed a sample model to manage good camp and a long term vision. This is the result of the basic study on the management of the science and mathematics camp program in Incho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과학영재교육센터 과학영재 교육 프로그램의 비교

        여상인,강호감 仁川敎育大學校 科學敎育硏究所 2002 과학교육논총 Vol.14 No.-

        본 연구는 15개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센터에서 개발한 과학영재를 위한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개발방향과 원칙의 설정, 프로그램의 내용과 그 수준, 영재 지도방법을 비교·분석하였다. 많은 과학교육영재센터에서 프로그램 개발 방향과 원칙의 설정이 미흡했으며, 프로그램의 내용이 교과 교육에 편중되어 있고, 인성교육, 과학자의 특성, 학부모를 위한 교육 등 비공식적인 특별 프로그램의 비중이 매우 낮았다. 기초과정, 심화과정, 사사제도로 연결되는 다단계 형태의 교육 방법은 충분한 교육적 효과를 올리고 학생들을 지속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제도로 판단되지만, 사사교육은 단순히 고급 지식을 전수하고, 지도하는 형태의 프로그램을 지양하고, 실제 학생이 관심 있는 분야를 과학자의 입장에서 독창적, 창의적 산출물을 생산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개선될 필요가 있었다. 교과 내용에서 심화형과 속진형의 균형이 필요하며, 과학 영재를 지도하는 교수/학습 형태가 강의, 실험, 토론 등으로 매우 단조롭게 운영되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과학영재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관련된 방향과 원칙의 설정, 내용과 수준, 영재지도방법 등에 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programs developed by education centers for the gifted in science attached to 15 universities in Korea.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Developing direction and principle of the programs were not clearly established in a lot of education center for the gifted in science. In the most of education centers, the contents of the programs were focused on science, but the special programs such as moral education, characteristics of scientists, the programs for parents, etc were insufficient. 2. Multi-step teaching system-basic course, advanced course and mentor system-may be effective to enhance the ability of the gifted and evaluate them continuously. In the most of education centers, the mentor systems were designed to teach the highly advanced knowledge. It is necessary for the students to produce the creative products by cooperating with the professor. 3. It is necessary to be balanced between enriched and accelerated programs. 4. In the most of education centers, there were not various teaching- learning methods relevant to the gifted in science. Based on this analysis, we suggested the guidelines to develop the programs for teaching the gifted in science.

      • 교육대학교 학생들과 초등학교 교사들의 이해도 분석 : Seasonal Variation and Solar Radiation 계절의 변화와 태양복사 에너지

        이희순,조혜경 仁川敎育大學校 科學敎育硏究所 1997 과학교육논총 Vol.9 No.-

        인천교육대학교 1,4학년 학생들과 경기도의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태양복사 에너지가 계절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묻는 문제를 제시하여주고 이를 주관식으로 답안을 작성하게하여 각 집단의 이해도 특성을 조사하였다. 본 내용을 대학에서 수업하기전에 실시한 교육대학교 1학년생들은 전체적으로 74.5%의 학생들이 정답에 준하는 답을 보였으며, 이러한 답의 비율은 고등학교때 문·이과에 따라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엄격한 좁은범위의 정답율은 41.4%로 고등학교때 문과(37.4%)와 이과(56.7%)에 따라 비교적 큰 차이를 보였다. 임용고사 전에 시험을 실시했기 때문에 예비교사로서의 특성을 지닌다고 할수 있는 4학년 학생들은 전체적으로 88.3%의 대다수의 학생이 정답에 준하는 답변을 하였으며, 엄격한 좁은 범위의 답도51.5%로 1학년학생들에 비해 높았다. 특이할만한 것은 4학년 학생들의 답변은 고등학교때 이과학생이었던 학생과 문과학생이었던 학생들의 정답율이 많은 차이가 나지는 않은 것으로 이는 교육대학교를 다닌 4학년동안 전과목을 골고루 학습하는 데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초등학교 교사들은 주로 경기도 지역에 근무하는 교사들로 근무연한이 대략5년정도되는 교사들이며, 교육대학교 학생들과는 달리 사전 실험을 거쳤다. 사전 실험후 이러한 실험의 결과가 실제 태양과 지구의 상황에서 어떻게 영향을 주는가에 대한 논의는 생략하고 시험을 실시하였다. 교사들중 32.3%가 엄격한 의미의 정답을 제시하였고 정답에 준하는 답을 제시한 비율은 58.9%로 오히려 교육대학교 학생들보다 낮다. 또한 교사들은 태양과 지구의 거리에 따른 효과를 또다른 중요한 요인으로 함께 기재한 경우가 많았는데 이는 사전 실험의 영향으로 생각되며 이를 포함한 비율은 91.2%이다. 결론적으로 교육대학교 학생들과 교사들은 비교적 양호한 개념을 가지고 있으며 일부가 전부터 가지고 있던 선개념을 그대로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nderstanding levels of the freshmen and seniors of Incho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nd the elementary teacher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solar radiation and seasonal variation of temperature. Freshmen took an examination before learning this concept in University which was set up a purpose to test the learning level in high school. They get correct answers in broad criterion up to rate of 74.5% which had not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students in science and literary course in high school , but in strict criterion up to rate of 41.4% which had large difference between students in science(56.7%) and literary(37.4%) course. Senior students took an examination in the second semester which was set up to test the learning level as pre-service teachers. They get correct answers in broad criterion up to rate of 88.3 % and in strict criterion up to 51.5% which had not meaningful differences in both criterions between students in science and literary course in high school. Th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have about 5-year carrier and worn KyungGi-do. The teachers was taken two experiments before test. The experiments was how it effects on temperature of an test area as it was varied that the distance( or angle ) from a heat radiation source. Teachers get correct answers in broad criterion up to the rate of 58.9 and in strict criterion up to 32.3%. It is not pertinent that the direct comparison of the correct rates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because tethers was taken experiments before the test. And it is considerable that the effect of preconception in students and teachers.

      • 예비초등교사와 초등교사의 과학과 과학교육에 관한 인식

        조혜경 仁川敎育大學校 科學敎育硏究所 2004 과학교육논총 Vol.16 No.-

        본 연구는 예비초등교사와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과학과 과학교육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고 이들간의 차이를 규명해 봄으로써 과학 교육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계획되었다. 예비초등교사와 초등교사의 과학과 과학교육에 관한 인식에 대한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두 집단 모두 과학과 과학교육에 관한 중요도, 자신감, 선호도, 교육환경, 주관적 생각의 5개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예비초등교사와 초등교사의 인식의 차이를 조사하여 본 결과 초등예비교사들 중 성별에 따른 인식의 평균값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별로는 차이가 없고, 반별 편성방법에 따라서는 과학반이 비과학반이나 특별편입반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현직교사들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성별, 연령별, 교직경력별로 비교하여 보았으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초등교사와 초등교사를 통합하여 본 인식의 차이에서 예비초등교사에 비하여 초등교사의 평균값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나 예비초등교사의 과학과 과학교육에 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한 노력의 필요성을 시사해주었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pre-service and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n science and science education. Through factor analysis, perception factors of science and science education were identified as 'importance', 'self-confidence', 'preference', 'education environment', and 'subjective thought'. In both groups, 'importance' was the highest perception factor. The mean value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 on science and science educa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sex and class division. However, that of in-service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 on science and science education didn't show any difference between segmented groups. The mean value of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presenting the need of effort to increase the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n science and science education.

      • 정보과학영재를 위한 교육 방법에 관한 연구

        이재호 仁川敎育大學校 科學敎育硏究所 2004 과학교육논총 Vol.16 No.-

        영재의 육성은 하루 아침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체계적인 방법을 장기적으로 적용할 때에만 가능한 것이다. 즉 모든 아동들이 각자가 지니고 있을지 모르는 영재성을 발굴하고, 이를 더욱 계발시키며, 창의적인 전문가가 되고자 하는 기회가 수시로 주어짐과 동시에 끊임없이 발굴해 내야 하는 것이다. 현재 우리 나라의 정보과학교육은 방과후 활동이나 재량활동 시간을 이용한 컴퓨터에 대한 소개 및 기초적인 소양 기술 교육에 머물고 있는 실정이며, 이마저도 학원 등의 사설교육 기관에 의존하고 있는 형편이다. 특히 정보 과학 분야에 뛰어난 영재성을 보이거나 잠재능력을 지니고 있는 정보과학영재에 대한 교육은 더욱 그러하여, 합의된 교육과정 없이 과학영재교육원 또는 학원 등에서 자체적으로 마련한 교육과정에 의존하고 있다. 21세기 지식정보시대는 누가 빨리 새로운 아이디어를 개발해내느냐에 따라 성공과 실패가 결정되는 두뇌 전쟁의 시대, 아이디어 전쟁의 시대라고도 할 수 있다. 따라서 체계적인 영재교육 체계의 수립은 개인적 차원뿐만 아니라, 사회·국가적 차원에서도 매우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상대적으로 연구 결과물이 미비한 초등정보과학 영재에 대한 교육 방법의 정립은 매우 시급한 과제이라 할 수 있다. In this paper we present educational method for the gifted of information science. In order to achieve above goal, we perform study as follows: First, we analyze education program of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and then deduce viewpoints. Second, we deduce issues of information science education for the gifted by analyzing viewpoints. Finally, we present education program of information science for the gifted by using analyzed and deduced data. The education program of information science for the gifted composed of four parts, basic literacy, core concerts and ICT ethics, thinking promotion, and programming education. The basic literacy education part focuses on the using ability of various application program. The core concepts and ICT ethics education part covers kernel concepts of information science and ICT ethics. The thinking promotion education part focuses on promoting of problem-solving ability and creativity. The programming education part composed of preparing phase and developing phase.

      • 제 7차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과학과 교과서 단원에 따른 과제 학습 주제 개발

        권난주 仁川敎育大學校 科學敎育硏究所 2004 과학교육논총 Vol.16 No.-

        학생 중심, 탐구 중심 교육이 강조되면서 과학관련 재량활동, 특기적성 활동, 각종 경진대회의 종류와 수준이 점점 다양해지고 있다. 이들은 교사의 지도와 안내를 받는 공식적인 학교 과학이면서도, 내용적으로는 비공식적인 학교밖 과학 활동인 경우가 많다. 방송과 서적을 비롯한 문화적, 대중매체에서의 과학 활동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시공간적으로 담임교사의 지도가 어려울 뿐 아니라, 과학 교과와도 체계적으로 관련짓지 못하여, 교육과정의 운영에는 실직적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을 보완하고, 활동 중심의 제 7차 과학과 교육과정의 특징을 살리는, 효율적인 교수 학습 전략으로서 과제 학습을 제안하고자 한다. 자기주도적 과학 경험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활동 과제 주제들을 과학교과 단원별로 제시하여, 예비교사 및 교사교육에 적극 활용하고자 한다. 여기서는 6학년 내용을 중심으로 한 것만 기술하였다. Since the implementation of 7th national science curriculum, many of teaching methods introduced, concentrating on the differential enriched/supplementary activities. But there are few practical- materials considering school science connection with everyday science. One of the science education's goal is students to be scientific problem-solvers, that is scientific literacy: act and think scientifically in real contexts.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propose task-learning contents by the order of science subject text. These will help students experience scientific inquiry and self-oriented learning. The developing contents are described in 6-grade text's order.

      • 제7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반영된 환경교육 내용 분석

        서우석 仁川敎育大學校 科學敎育硏究所 2000 과학교육논총 Vol.12 No.-

        이 연구는 제7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반영된 환경교육 내용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1) 초등학교 환경교육 접근 방법의 특징을 구명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환경교육의 논의 배경을 분석하고, (2) 내용 분석 틀을 개발하는 데 준거가 될 초등학교 환경교육의 목표와 내용을 구명한 다음, (3) 개발된 내용 분석들을 토대로 제7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반영된 환경교육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 이용된 연구 방법은 문헌 연구, 조사 연구 및 전문가 협의회 등이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은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7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에는 '우리들은 1학년', '바른생활', '슬기로운 생활', '도덕', '사회', '과학', '실과', '체육' 교과만 구체적으로 환경 관련 단원이 설정되어 있었다. (2) 환경관련 단원을 환경교육 목표의 측면서 분석한 결과,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대부분 지식 영역을 가장 강조하고 있었으며 다음으로 태도와 가치 및 행동과 참여를 많이 다루고 있었다. (3) 내용 영역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초등학교 교육과정에는 환경 보전, 자연 환경, 인공 환경, 자원, 환경 위생등의 환경 교육 내용이 주로 반영되어 있었지만, 인구, 산업화와 도시화, 환경 오염 및 환경 윤리 등의 환경 교육 내용은 적게 반영되어 있었다. 이와 같은 내용 분석에 터하여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개발하거나 교과서를 개발할 때 환경관련 내용을 반영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o a content analysis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designed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 framework for the content analysis was developed from a extensive review of literatures. The review focused on objectives, contents, historical developments, and current status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develop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were analyzed. The major findings and recommendations were as follows: 1) The examined curriculum were not differentiated, and reflected with the unique mission of the subjects. Therefore it should be uniquely developed among the subjects. 2) From the considerations of the developmental stage of elementary students and the approaches to environmental education, a new program should be focused upon values, attitudes, and behaviors and participation rather than information and knowledge on environment. 3) 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dealt with the limited areas in the nine areas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us it should include all the areas in developing a new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