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자기평가형 생활참여척도를 활용한 대학생의 작업 인식 조사 - 작업 인식과 학업 성취도

        김은영,민유선,이선욱,김지현 워크어빌리티학회 2021 워크어빌리티학회지 Vol.4 No.1

        본 연구는 정신건강전문요원으로 새로이 영입될 작업치료 학생들의 대학생활과 관련하여 그들의 작 업 인식을 조사하고, 작업 유능감과 가치가 학업 수행도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 를 위해 작업치료학 전공 학생 48명의 전반적 학업성적과 자기평가형 생활참여척도를 통해 파악된 작 업 인식 자료가 수집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와 SPSS 25에 의해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작 업 인식 항목 중 유능감과 학점 사이의 유의미한 상관관계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가치와 학점 사이에서 는 유의미한 양적 상관관계를 발견할 수 있었다. 더불어 하위 척도인 수행, 패턴화, 작업의지 중에서는 수행 가치와 학점 사이의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1) 학생들의 작업적 유능감, 즉 일상 작업을 잘 한다고 생각하는 것과 학업성취도는 관련이 없음과, 2) 학생들이 수행에 대해 높은 가치를 가질수록, 즉 일상 작업의 수행이 중요하다고 인식할수록 학업성취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결론 적으로, 대학생들의 일상적 생활작업들에 대한 가치를 높이는 것은 그들의 주요 발달과업인 학업의 수행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일상의 배경이 되어주는 작업들에 대한 가치화가 전경이라 할 수 있는 주요 발달과업 또는 역할작업의 성공적 수행을 지원해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subjective perception of doing through the Occupational Self Assessment for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occupational therapy. This study also examined if there is any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their perception in terms of ‘occupational competence’ and ‘values’ about occupational engagement in daily living. Data for 48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were collected and it involve GPA score and results from the Occupational Self Assessment. A descriptive statistic and SPSS 25 were used for data analysis. In the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GPA and ‘occupational competence’, however, a significant quantitative correlation between GPA and ‘values’ was found. That is, this study shows 1) there is no relation between students’ perception about their occupational competence and their academic achievement, and 2) but there is likely more chance to have high academic achievement as they have high value on performance.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roposes that enhancing undergraduate students’ value on micro-daily occupations may have positive effect on their academic performance, with implying that valuing daily background building occupations can support successful performance of a significant developmental task or fulfillment of major occupational role.

      •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한 거울치료가 악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조영석 워크어빌리티학회 2021 워크어빌리티학회지 Vol.4 No.1

        목적 : 만성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한 거울치료(mirror therapy)가 악력(grip strength)에 미치는 영향 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9년 4월에서 2021년 6월까지 충남에 위치한 H대학 작업치료학과 임상실습에 참여한 6개월 이상의 만성 뇌졸중 환자 20명을 10명씩 두 군으로 나누어 각각 거울치료와 일반작업치료 훈련 을 10주간 주 1회, 20분간 적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를 통해 일반적 특성을 분석하였고, 실험 군・ 대조군 간 중재 전·후 변화량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ANCOVA를 실시하였고, 실험군・대조군 내에서의 Grip strength test(GST)의 중재 전·후 비교를 위해 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실험군・ 대조군 내에서의 악력을 보기 위한 GST를 실험 전·후에 측정하였다. 군내에서의 전·후 비교를 위해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결과 : 악력 검사는 거울치료군에서 수장 악력과 외측 악력에서 유의한 차이(p<.05)를 보였으나, 일 반작업치료군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3점 악력과 꼬집기 악력에서는 양군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결론 :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거울치료가 악력의 향상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 였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거울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기능 회복을 위한 또 하나의 치료 중재 방법으로 발전되기를 기대하며, 임상적인 활용가치를 증명하기 위한 다양하고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 리라 사료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study the effects of mirror therapy on grip power of patients with stroke. Methods : Participants were 20 chronic stroke patients who were receiving occupational therapy services in H college located in Chung-Nam.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10 patients each and mirror therapy and blocked mirror therapy training were applied respectively 10 weeks, for 20 minutes a session, 5 session per week.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grip power were examined. ANCOVAs were conducted to examine of the amounts of changes between the groups. Paired t-test were conducted to compare grip power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within each group. Results :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In the comparison between the two groups, Only grasp & lateral pinch among grip power result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the study group(p<.05). Conclusion : As a result of mirror therapy for stroke patients, results grip power of the study group statistically in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We expect mirror therapy to be another possible intervention approach in body function improvement for people with stroke.

      • 뇌졸중 환자의 강제유도운동치료가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 체계적 고찰

        김혜련,서준호,조서영,이유나 워크어빌리티학회 2021 워크어빌리티학회지 Vol.4 No.1

        목적 :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강제유도운동치료가 일상생활활동 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 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국가과학기술정보센터(National Digital Science Library; NSDL), 한국학술정보(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e-article, DBpia, Pubmed 의 데이터베이스에서 2009년 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의 연구를 검색하였고, 검색어는 ‘뇌졸중’ 그리고 ‘강제유도운동치료’그리고 ‘일상생활활동’이었다. 검색된 논문에서 선정기준에 부합하여 최종 분석한 논문은 총 10편이었다. 결과 : 10편 중 7편의 연구에서 중재 전에 비하여 중재 후에 실험군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으며 중재제공자로 가장 많이 참여한 전문가는 작업치료사였다. 일상생활활동 수행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평가도구는 MAL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며, 모든 연구가 상지기능, 손기능, 인지, 감각, 시각 에 관한 평가를 병행하여 실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강제유도운동치료가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 향상에 효과적임을 확인하고 임상 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뇌졸중 환자군을 대상으로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강제유도운동치료의 효과 에 관한 더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systematically reviewed to identify, evaluate, synthesize the research literature and suggested to the research direction on the effectiveness of occupational therapy using a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Methods : We analyzed 10 studies that identified the effectiveness of occupational therapy using a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for Stroke patients offering in NSDL, PubMed, e-article and DBpia between 2009 and 2020. Result : In 7 out of 10 studie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after intervention compared to before intervention. The most involved professional as an intervention provider was occupational therapists. MAL showed the highest utilization rate as an evaluation tool to check the effects of improving daily activities. All studies were found to have conducted evaluations of upper extremity, hand function, cognition, sensation, and vision in parallel. Conclusion : This study confirmed that compulsory induction exercise therapy was effective in improving daily living skills and provided clinical evidence. Recently, studies on forced induction exercise therapy tend not to be actively conducted at domestic conferences, so more studies should be conducted on the effects of forced induction exercise therapy on daily life for stroke patients.

      • 장애유형에 따른 직업능력 비교분석 : 장애인고용패널조사 중심으로

        김형민,김환 워크어빌리티학회 2021 워크어빌리티학회지 Vol.4 No.1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고용패널조사(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자료 를 기반으로 장애의 유형에 따른 직업능력 수준을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장애인고용패널조사(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2차 웨이브 4차 조사 자료 중 모든 설문 문항에 유효한 응답을 한 2394명의 장애인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장애의 유형에 따른 직업능력 수준을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일원배치분산분석(One Way ANOVA) 을 실시하였고, 사후분석으로 Scheffé test를 시행하였다. 결과 : 장애유형간의 직업능력 수준을 비교·분석한 결과 업무 능력, 업무 경력, 사회적 관계의 조 직적응 능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사회적 관계의 취업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지인의 수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장애유형 중 정신적장애인이 다른 장 애유형(신체외부장애, 감각장애, 신체내부장애)에 비해 비교적 낮은 수준의 직업능력을 보였다. 결론 : 장애유형에 따른 직업재활 접근 시 업무 능력과 경력 그리고 조직적응 능력은 간과해서는 안 되는 중요한 변인이 되겠다. 그 중 정신적장애를 경험하는 대상자들의 직업능력 향상을 위한 고 려는 다른 장애유형 보다 더욱 선제적이고 구체적으로 접근되어져야 할 필요가 있겠다.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vocational ability level according to the types of disability based on the data of the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Methods : 2,394 persons with disabilities who answered all the questionnaires validly among the data of the 2nd wave of the 4th wave of the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were selected as subjects of the study. One-way ANOVA was perform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vocational ability level according to the types of disability, and the Scheffé test was performed as a post-hoc analysis. Results :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vocational ability levels according to disability type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work ability, work experiences, and organizational adaptability of social relationship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acquaintances who could help socially to find employment. Among the types of disability, the mentally disabled showed a relatively low level of vocational ability compared to other types of disability (external physical disability, sensory impairment, and internal physical disability). Conclusion : When approaching vocational rehabilitation according to the types of disability, work ability, work experiences, and organizational adaptability will be important variables that should not be overlooked. In addition, consideration for improving the vocational ability of subjects experiencing mental disorders needs to be approached more preemptively and specifically than other types of disab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