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제결혼 부부의 성역할 태도와 사회적 지지 및 결혼만족도 : 부산지역에 거주하는 베트남과 필리핀 다문화 가족을 중심으로

        오세자 신라대학교 사회복지(여성,사회정책)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671

        In industrialized Korea, urban low-income Korean men engaged in an unskilled job is being marginalized in the unstable labor market. It is increasingly difficult for marginalized Korean men to marry in the Korean traditional family structure where the man should be in a higher social position than the woman. Korean men who have passed the marriageable age choose marriage to a young emigrant woman. On the other hand, Southeast Asian women opt for immigration to overseas in order to escape from poverty and to seek a life better than the present one. For them, international marriage has emerged as a safe means of immigration. With the trend of globalization and international moves, international marriage has been increasing gradually. Thus, this study surveyed international marriage couples of Korean man and emigrant woman, and examined their marriage satisfaction according to gender role attitude and social support perceived by them. In particular, this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enhancing international marriage couples’ marriage satisfaction by measuring the influence of gender role attitude and social support on international marriage couples’ marriage satisfaction and preventing possible problems in international marriage couples. For this purpose, we sampled a total of 60 international marriage couples in Pusan including 60 Korean husbands and 60 wives from Vietnam or the Philippines. First, husbands in their 30s showed an equal gender role attitude, and wives who had a relig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husbands in their 30s who were two-year-college graduates and had a religion and a job received high social support from their parents, siblings, friends, and self-help groups. Among the wives, emigrant women with high academic qualification received from family members other than the husband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for overcoming the fear of living in Korea. Third, husbands in their 30s with high academic qualification showed high marriage satisfaction, but the wives’marriage satisfaction was not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Fourth, when the husband had an equal gender role attitude, the couple’s marriage satisfaction was higher. However, marriage satisfaction was not different according to the wife’s gender role attitude. Fifth, in both the husbands and the wives, marriage satisfaction was higher when emotional, informational and material social support was high from family members other than the spouse. According to support from friends and self-help groups, however, the husbands showed higher marriage satisfaction when informational and materials support was high, but the wives did not show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marriage satisfaction.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international marriage couples’ marriage satisfaction is higher when social support is high from family members other than the spouse. Sixth, gender role attitude and marriage satisfaction were correlated with each other in the husbands but not in the wives. As to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marriage satisfaction, the higher social support was the higher marriage satisfaction was in both the husbands and the wives. As proved by the results of this study presented above, social support was found to be a crucial variable for international marriage couples to enhance their marriage satisfaction. Accordingly, couple education programs and family integration education are required for effective social support. Moreover, each community should make efforts to improve inter national marriage couples’ marriage satisfaction through promoting psychosocial homogeneity, and activate self-help groups such as couple meetings, husband meetings, and wife meetings for international marriage couples’stable marriage life. 산업화된 한국에서 단순노무직에 종사하는 도시 저임금의 한국남성들은 불안정한 고용시장에서 주변화되고 있다. 남성이 여성보다 더 높은 사회적 위치를 가져야하는 전통적 가족구조 속에서 주변화된 한국남성들의 결혼은 점점 어려워 질 수밖에 없다. 결혼적령기를 넘긴 한국남성들은 젊은 이주여성들과의 결혼을 선택하게 된다. 한편 여성의 빈곤화가 심화되는 동남아시아 여성들은 가난에서 벗어나거나 현재보다 더 나은 삶을 살고자 해외로 이주를 선택한다. 이들에게 국제결혼은 안전한 이주방식의 하나로 등장하였다. 국제결혼은 세계화를 배경으로 국제 이주가 본격화 되면서 점점 증가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산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국제결혼 부부 중 한국남성과 이주여성 부부를 대상으로 그들이 자각하고 있는 성역할 태도와 사회적 지지에 따르는 결혼만족도를 알아보았다. 특히 성역할 태도와 사회적 지지가 국제결혼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 정도를 파악하여 국제결혼 부부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사전에 예방함으로써 국제결혼 부부의 결혼만족도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에 맞추어 부산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국제결혼 부부 중 베트남과 필리핀 출신의 아내 60명, 한국인 남편 60명으로 총120명이 연구대상이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30대의 젊은 연령의 남편이 평등적 성역할 태도를 나타내며, 아내는 종교를 가지고 있는 경우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둘째, 전문대졸이상의 종교와 직업을 가진 30대 남편이 부모와 형제, 친구와 자조집단으로부터 사회적 지지를 높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내의 경우는 교육수준이 높은 이주여성들이 한국생활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배우자외 가족으로부터 받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30대의 교육수준이 높은 남편의 결혼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아내의 경우 사회인구학적 특성에서 결혼만족도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남편이 평등적 성역할태도를 가지고 있을 때 부부의 결혼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아내의 성역할태도에 따라서는 결혼만족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남편과 아내 모두 배우자외 가족의 정서적, 정보적, 물질적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결혼만족도도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친구 및 자조집단의 지지에서는 남편은 정보적 지지와 물질적 지지가 높을 때 결혼만족도가 높게 나타난 반면 아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국제결혼부부는 배우자외 가족의 사회적 지지가 높을 때 결혼만족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여섯째, 성역할태도와 결혼만족도의 상관관계는 남편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아내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와 결혼만족도의 상관관계는 남편과 아내 모두에서 사회적 지지가 증가할 때 결혼만족도도 함께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에서 보듯이 국제결혼 부부에게 사회적 지지가 결혼만족도를 높이는데 중요한 변수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효과적인 사회적 지지를 위한 부부교육프로그램 및 가족통합교육이 요구된다. 또한 사회심리적 동질감을 통해 결혼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지역사회의 노력이 필요하다. 지역사회는 국제결혼 부부의 안정된 결혼생활을 위한 부부모임, 남편모임, 아내모임 등 자조모임을 적극적으로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