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서울 지역교과서에서 지역정체성 재현 방식의 변화

        윤현실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is paying attention to the regional identity as a part of individual identity and analyzing how the representation style of regional identity has been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curriculum. Perceiving a certain scale of a space as a region is possible when the scale has internal homogeneity that is distinguished from the outside. Therefore the representation method of regional identity is divided ‘making a distinction’ that is the process of drawing a boundary of a region in people's mind and ‘making a connection’ that is the process of arousing a sense of unity toward their region through equating them-self with the region's typical landscapes. The objects of analysis are the regional textbooks published during the 5th - revised 7th curriculum periods in Seoul. The methods of analysis are quantitative content analysis and qualitative document analysis. By quantitative content analysis, counter the frequence of occurrences of ‘making a distinction’ and ‘making a connection’. By qualitative document analysis, consider the meaning made from the interrelation among the representation methods. As a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synthetically the order of frequency of regional identity represented in Seoul regional textbook was the 6th curriculum, the revised 7th curriculum, the 7th curriculum, the 5th curriculum. The order of frequency of regional identity represented by making a distinction in Seoul regional textbook was the revised 7th curriculum, the 6th curriculum, the 7th curriculum, the 5th curriculum. The order of frequency of regional identity represented by making a connection in Seoul regional textbook was the 6th curriculum, the 7th curriculum, the revised 7th curriculum, the 5th curriculum. To represent regional identity, making a connection has been used more than making a distinction generally. It is because when people do not know the boundary of a region making a distinction is useful but after being familiar with the location and boundary of a region making a connection is more effective to represent a region. Second, there were something in common with representation methods of regional identity that appeared in Seoul regional textbook through every curriculum period. The identities of Seoul represented in every Seoul regional textbook commonly were 'a region in which many people has lived together from old times, and which has been expanded over again.', 'the center of the country', 'global city', 'a modernized region that has developed continuously on the basis of beautiful natural landscapes and a long tradition'. The key elements of making a connection were physical geographic symbols like Han River, Namsan et cetera, and modern constructions like the bridges over the Han River, Hangang Park, the Children's Grand Park, the National Assembly Building, the Seoul Tower etc. Making a distinction was done in the relations with the local scale and national scale. The common strategies of making a distinction that appeared in Seoul regional textbook through every curriculum period were exposing the boundary and scale of a region in local scale by process of expansion of Seoul, showing images of a region that has status of 'capital' and 'center' in national scale, showing a regional identity as a 'global city' that exchanging internationally in various fields such as polities, economy and culture in global scale. Third, there were differentiated representation methods of regional identity that appeared in Seoul regional textbook of each curriculum period. The emphasis of a regional identity has been changed from the developed image of Seoul in the 5th curriculum period, the coexist of traditionality and modernity in the 6th curriculum period, the development which is in harmony with the environment in the 7th curriculum period, to the international exchange in the revised 7th curriculum period. When the regional textbook is developed, writers need to use common representation methods that were appeared every curriculum period evenly after drilling them well, and make a new identity that is suitable for current of the times. Key words : region, regional identity, representation, making a distinction, making a connection 본 연구는 개인의 정체성을 이루고 있는 한 부분으로서 지역정체성에 주목하고, 서울 지역교과서에서 지역정체성의 재현 방식이 교육과정 시기별로 어떻게 변화해왔는지를 분석한다. 공간의 여러 가지 스케일들 중에서 어느 특정 범위까지를 ‘지역’으로 인식하는 것은 외부와는 구별되고 내부적으로는 동일한 특성을 가질 때 가능한 일이다. 따라서 사람들의 인식 속에서 특정 범위를 한 지역의 경계로 설정하는 과정인 ‘구별 짓기’와 지역의 상징으로 대표되는 경관에의 동일시를 통해 지역에의 일체감을 유발하는 과정인 ‘연계 짓기’로 지역정체성의 재현 방법을 나누어 분석한다. 분석 대상은 제 5차 교육과정 시기에서 개정 제 7차 교육과정 시기에 발행된 서울 지역교과서이며,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양적 내용분석법과 질적 내용분석법이다. 양적 내용분석을 통해 구별 짓기와 연계 짓기가 발생하는 빈도를 확인하고, 질적 내용분석을 통해 그들 상호간의 관계 속에서 형성되는 의미를 고찰한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종합적으로 볼 때 서울 지역교과서에서 지역정체성이 재현된 빈도가 높았던 순서는 제 6차 교육과정, 개정 제 7차 교육과정, 제 7차 교육과정, 제 5차 교육과정 순으로 나타났다. 구별 짓기의 방법으로 지역정체성이 재현된 빈도가 높았던 순서는 개정 제 7차 교육과정, 제 6차 교육과정, 제 7차 교육과정, 제 5차 교육과정 순이었으며, 연계 짓기의 방법으로 지역정체성이 재현된 빈도가 높았던 순서는 제 6차 교육과정, 제 7차 교육과정, 개정 제 7차 교육과정, 제 5차 교육과정 순이었다. 전반적으로 지역정체성을 재현함에 있어 구별 짓기보다 연계 짓기에 더 의존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는 어떤 지역에 대한 경계가 분명하지 않을 때는 지역정체성을 재현함에 있어 구별 짓기가 유용하지만, 그 지역의 위치와 경계에 대한 인식이 어느 정도 분명해지고 나면 지역 상징에의 동일시를 통하여 지역 내부의 결속력을 단단히 다져주는 연계 짓기가 더 효과적이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둘째, 교육과정 시기별로 서울 지역교과서에서 지역정체성이 재현된 방식에는 몇 가지 공통점이 있었다. 각 교육과정 시기별 지역교과서에서 공통적으로 재현하고 있는 서울의 정체성은 ‘예로부터 많은 사람들이 모여 살아왔으며, 확장을 거듭해온 지역’, ‘우리나라의 중심지’, ‘국제적인 도시’,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오랜 전통을 바탕으로 계속 발전하여 현대화된 지역’이었다. 연계 짓기를 위하여 가장 주목한 요소는 한강, 남산 등과 같은 자연 지리적 상징과 한강 다리, 한강 시민공원, 어린이 대공원, 국회 의사당, 서울 타워 등과 같은 현대 건축물이었다. 구별 짓기는 주로 국지 및 국가 스케일과의 관계 속에서 이루어졌다. 공통적으로 나타난 구별 짓기의 전략은 서울의 확장 과정을 통해 국지 스케일에서 지역의 경계와 범위를 드러내기, 국가 스케일에서 ‘수도’, ‘중심지’로서의 지위를 차지하는 지역의 모습 나타내기, 정치, 경제, 문화 등 다방면에서 국제적으로 교류하는 ‘국제적인 도시’로서의 정체성을 지구 스케일에서 나타내기였다. 셋째, 교육과정 시기별로 서울 지역교과서에서 지역정체성이 재현된 방식에는 차이점도 있었다. 제 5차 교육과정 때는 서울의 발전된 모습에, 제 6차 교육과정 때는 전통과 현대성의 공존에, 제 7차 교육과정 때는 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발전에, 개정 제 7차 교육과정 때는 국제적인 교류에 조금 더 주목하는 방향으로 강조점이 변화되었다. 지역교과서를 개발할 때는 각 교육과정별 지역교과서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구별 짓기의 전략들과 연계 짓기의 매개 요소들을 더욱 정련하여 균형 있게 활용하는 가운데 시대적 흐름을 고려하여 그에 적합한 정체성을 만들어 나갈 필요가 있다. 주요어 : 지역, 지역정체성, 재현, 구별 짓기, 연계 짓기

      • 중국어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인터넷 활용 방안 연구

        윤현실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阅读'是为了提高语言水平, 加强交际能力, 获得所需要的信息。这是教学的核心内容, 学生一定要掌握好适于自己的阅读学习方法。 随着教育信息化, 网络教学已相当普遍。易于接近网路也便于获得信息, 不受时间和空间的限制, 可以根据学生的水平进行个别而互动的教学。由于网络教学提供丰富多样的资料, 可以说它对于对外汉语阅读教学是十分有利的媒体。但是网络上也存在沟通的困难, 这会使学生难以辨别虚实, 有可能获得错误的信息。为了克服这个难点, 教师须扮演指引的角色。教师要向学生明确提示阅读的目标和方向, 并为了更有效地进行阅读教学, 教师也应该善于利用网络资料, 为学生介绍在网上的信息, 以及阅读策略。 现在网络上有很多汉语教学网站。但是所有的网站几乎对阅读没有给予应有的关注,特别是没有关心初级阅读教学。大部分只仅仅提供阅读资料而已。阅读是一种要从初学阶段坚持不懈的学习环节, 为了提高阅读能力必要有多方面的关注和努力。我们必须明确教学目标、学生的兴趣和水平、资料的可靠度、权威性等。对外汉语阅读教学不仅是为了增强交际能力, 而且还要通过它了解中国的政治、经济、文化等各方面的情况。 作为第二语言的汉语教学要引起学生的兴趣, 重视阅读所能够为学生带来的语言的背景知识。利用语言的背景知识, 可以在文章中推测词句的意义, 还可以通过韩中语言的对比, 熟悉两种语言的结构特点。若进行听、说、读、写的综合教学, 阅读将是一种有利的学习方法。在课堂上若能发挥网络教学的优点, 教师和学生之间的互动, 可以使教学更加有效。 每个学生的学习水平不同, 所以要考慮学生的学习阶段。根据不同的学习需求, 确定相异的侧重点, 如此便可能有不同的阅读任务。其中, 在扩大词汇量、理解背景知识、训练词句意义的推测, 以及进行听、说、读、写综合教学等方面, 多读可谓首要任务。教师应该在阅读过程中发挥主导作用, 利用阅读策略, 让学生快速而准确地获得所需要的信息。 通常学生利用网络接受远程教育时, 得不到教师的帮助, 只能靠自己的意志完成课业。所以我们更需要倾注全力做好学习内容的开发。稳定的服务器, 可提高学习兴趣的软件, 丰富多样的阅读资料, 都是学习内容开发者所要的不断关心和努力的环节。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